KR101331352B1 - 한방녹두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방녹두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1352B1 KR101331352B1 KR1020130051024A KR20130051024A KR101331352B1 KR 101331352 B1 KR101331352 B1 KR 101331352B1 KR 1020130051024 A KR1020130051024 A KR 1020130051024A KR 20130051024 A KR20130051024 A KR 20130051024A KR 101331352 B1 KR101331352 B1 KR 1013313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nseng
- chicken
- broth
- meat
- samgyetang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40000004922 Vigna radiat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5000010721 Vigna radiata var radiat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5000011469 Vigna radiata var sublobat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2
- 244000131316 Panax pseudoginseng Species 0.000 title 1
- 235000013330 chicken mea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0208340 Araliacea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29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44000013123 dwarf bean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44000273928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1001061264 Astragal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4036 Castane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1070941 Castane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4000223760 Cinnamomum zeylanic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6533 astragal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7803 cinnamo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10000004233 talus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0000004670 Glycyrrhiza echina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1453 Glycyrrhiza echina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6200 Glycyrrhiza glabr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7382 Glycyrrhiza lepido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0000002045 Guettarda specios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1287 Guettarda specios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4000305267 Quercus macrolep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6976 Quercus macrolep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21331 green bean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40010454 licoric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4347 Perill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4000124853 Perilla frutescen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6108 Allium ampelopras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5254 Allium ampelopras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0936 intesti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4000126002 Ziziphus vulgaris Species 0.000 claims 2
- 241000283074 Equus asinus Species 0.000 claims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claims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19605 sweet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06010039509 Scab Diseases 0.000 abstract 1
- 210000003746 feather Anatomy 0.000 abstract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1
- 210000001835 viscera Anatomy 0.000 abstract 1
- 240000004371 Panax 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47
- 229940088598 enzyme Drugs 0.000 description 22
- 235000021329 brown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5000021395 porrid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0000008866 Ziziphus nummul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40124595 oriental medicine Drugs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9866 Cold sweat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108091005804 Peptid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55 chew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41000272525 Anas platyrhyncho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952 Food poiso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331 Foodborn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201 Ginkg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94101 Ginkgo bilob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100 Ginkgo bilob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35195 Peptid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889 Piper guineens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65 Prot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443 Pyru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100037486 Reverse transcriptase/ribonuclease H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7700 Vomit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63 carbon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86 dish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31 fora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62 prolif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4999 proteolytic enzymes for treatment of wounds and ulcers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15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083 shōchū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997 soju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14 sou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00 swe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73 vomi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50—Poultry products, e.g. poultry sausag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물에 닭발 혹은 닭발과 닭뼈를 넣어 끓여 닭 육수를 만드는 육수준비단계, 털과 내장을 제거하여 손질한 닭 정육에 인삼효소액을 바르거나 침지시킨 상태로 일정 시간 경과시키는 숙성단계, 닭 육수에 숙성단계를 거친 닭 정육과 한방재료를 넣고 끓이는 가열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한방녹두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이때 인삼효소액은 수삼과 설탕 혹은 꿀을 1:1로 섞어 숙성하여 만들며, 발아곡물분 분산액은 발아곡물분과 물을 1:10 내지 3:10으로 혼합하여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닭 정육을 본격적으로 조리하기 전에 인삼효소액을 바르거나 인삼효소액에 침지시켜 인삼의 향을 자연스럽게 배어들게 만들고, 인삼효소액을 만들어 인삼의 강한 쓴맛을 순화시키고, 단맛을 추가시켜 인삼향을 살리면서도 기존 삼계탕의 쓴맛을 제거함으로써 보다 많은 어린이나 외국인들도 거부감 없이 삼계탕을 즐길 수 있으며, 발아곡물분 분산액을 숙성단계에서 추가할 경우 연육작용에 의해 닭고기의 육질을 개선하고 삼계탕의 식감을 개선할 수 있으며, 녹두누룽지를 넣어 끓임으로서 통상의 삼계탕에서 벗어나 새로운 풍미와 식감을 즐길 수 있다.
이때 인삼효소액은 수삼과 설탕 혹은 꿀을 1:1로 섞어 숙성하여 만들며, 발아곡물분 분산액은 발아곡물분과 물을 1:10 내지 3:10으로 혼합하여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닭 정육을 본격적으로 조리하기 전에 인삼효소액을 바르거나 인삼효소액에 침지시켜 인삼의 향을 자연스럽게 배어들게 만들고, 인삼효소액을 만들어 인삼의 강한 쓴맛을 순화시키고, 단맛을 추가시켜 인삼향을 살리면서도 기존 삼계탕의 쓴맛을 제거함으로써 보다 많은 어린이나 외국인들도 거부감 없이 삼계탕을 즐길 수 있으며, 발아곡물분 분산액을 숙성단계에서 추가할 경우 연육작용에 의해 닭고기의 육질을 개선하고 삼계탕의 식감을 개선할 수 있으며, 녹두누룽지를 넣어 끓임으로서 통상의 삼계탕에서 벗어나 새로운 풍미와 식감을 즐길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한방녹두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삼계탕의 풍미를 살리면서도 닭고기의 씹는 감촉을 개선하고, 맛을 다양화할 수 있는 한방녹두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삼계탕은 생닭 내부에 찹쌀 등의 곡물과 대추 인삼 등을 넣어 끓인 보양용 음식을 통상적으로 말한다. 이런 삼계탕은 음식으로서 특히 보양식으로서 효과가 잘 알려져 있고, 또한 한국음식의 세계화 추세와 함께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전파되고 있다.
그런데, 삼계탕 내에 인삼의 풍미가 잘 배어나게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조리시간 동안 가열할 필요가 있지만 이런 경우, 닭고기의 육질이 팍팍하거나 질겨지기 쉽다.
또한, 삼계탕에는 인삼이 들어가기 때문에 닭고기의 느끼함이나 누린내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지만 인삼은 다소 쓴맛을 가지기 때문에 쓴 것을 싫어하는 젊은 층이나 어린이들, 외국인들은 맛있게 먹기가 어려울 수 있다. 특히, 한방삼계탕이라는 이름으로 인삼 외에 여러 가지 한방 약재를 함께 넣어 끓이는 경우 한방재에 부담이 없는 성인층은 선호할 수 있지만 어린이들이나 외국인은 쓴맛에 거부감을 가질 수 있다.
이런 문제와 관련하여 삼계탕 내의 닭고기의 식감을 개선하기 위해 연육제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일반 육류에는 조리하기 전에 과즙이나 마늘, 생강과 같은 양념을 일종의 연육제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이들 가운데 과즙의 단맛과 신맛은 삼계탕의 풍미와는 어울리지 않는 점이 있어서 적합하지 않았다.
또한, 종래에 삼계탕을 만드는 일반적 조리법을 보면, 닭고기를 통으로 사용하며, 닭고기와 육수에 황기 등과 같은 한약재, 밤, 대추, 마늘 등을 넣고 센불로 삶는 과정을 거치는 데, 이런 조리 과정에서는 마늘이나 생강은 삶거나 찌는 요리에서 통째로 사용하거나, 큰 조각으로 잘라 사용하고, 높은 온도 상태로 함께 조리되므로 갈아서 닭고기에 직접 묻혀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는 연육의 효과가 떨어진다.
그리고, 삼계탕은 통상 내부에 찹쌀이 들어가, 먹을 때에는 삼계탕 내에서 닭죽과 비슷한 상태를 이룰 수 있는데 사람들의 기호에 따라 닭고기와 국물과 밥이 섞인 상태 혹은 닭죽 상태로 삼계탕을 먹기보다는 밥이나 죽이 들어있지 않은 상태로 닭고기와 국물을 음미하고, 뼈나 덩어리 형태의 닭고기가 섞이지 않은 상태로 깔끔하게 떠먹을 수 있도록 끓여진 닭죽이나 누룽지탕을 선호하는 경우도 있고, 밥으로서 찹쌀이나 맵쌀보다 닭에 더 잘 어울리는 녹두를 위주로한 탕을 선호할 수도 있지만 현재의 삼계탕이나 닭죽은 이런 기호를 만족시키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존의 삼계탕 자체와 조리상의 난점들을 경감하기 위한 것으로, 인삼의 향을 충분히 살려 삼계탕의 고유 풍미를 살리면서도 닭고기의 식감을 높이고, 쓴맛으로 인하여 삼계탕을 꺼리는 사람들도 보다 쉽게 삼계탕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한방녹두삼계탕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방녹두삼계탕 제조방법은 물에 닭발 혹은 닭발과 닭뼈를 넣어 끓여 닭 육수를 만드는 육수준비단계, 털과 내장을 제거하여 손질한 닭 정육에 인삼효소액을 바르거나 침지시킨 상태로 일정 시간 경과시키는 숙성단계, 닭 육수에 한방재료와 숙성단계를 거친 닭 정육을 넣고 끓이는 가열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인삼효소액은 수삼과 함께 인삼 잎과 줄기를 포함하여 만들어질 수 있으며, 수분을 포함한 인삼 개체를 그대로 혹은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설탕이나 꿀에 넣어 숙성시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삼효소액과 더불어 연육효과를 위해 발아곡물분 분산액을 추가할 수 있으며, 발아곡물분 분산액은 발아현미나 기타 발아곡물분을 물에 고르게 혼합하여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숙성단계를 위한 인삼효소액에는 수삼을 거칠게 갈아서 만든 인삼퓨레가 더해져서 사용될 수 있고, 가열단계에서 소비자의 취향에 맞게 적당량의 인삼퓨레를 부가하여 가열함으로써 조리를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한방재료로는 황기, 엄나무, 당귀, 천궁, 계피, 감초, 대추 , 녹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숙성시켜 만들어진 닭 정육의 내부에는 녹두와 함께 찹쌀, 마늘 등이 취향에 맞게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한방녹두삼계탕을 제조하면서 닭 정육을 육수와 함께 끓여서 얻은 국물에 녹두누룽지를 넣어 다시 가열하여 녹두누룽지가 부드럽게 되도록 하는 단계가 추가되면 누룽지탕 형태의 한방녹두삼계탕을 얻을 수 있다. 녹두누룽지는 한방녹두삼계탕을 위해 닭 정육의 내부에 넣어 삶은 녹두밥을 그대로 꺼내어 사용할 수도 있지만, 한방녹두삼계탕과 별도로 녹두밥을 하면서 가열할 때 밥솥의 바닥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되거나, 녹두밥을 인위적으로 팬에 눌러 가열함으로써 만들 수 있다. 이때 녹두밥은 녹두80~90%에 찹쌀 10~20%를 섞어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방녹두삼계탕은 이상의 제조방법을 통해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방녹두삼계탕은 이상의 제조방법을 통해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닭 정육을 본격적으로 조리하기 전에 인삼효소액을 바르거나 인삼효소액에 침지시켜 인삼의 향을 자연스럽게 배어들게 만들고, 인삼효소액을 만들어 인삼의 강한 쓴맛을 순화시키고, 단맛을 추가시켜 인삼향을 살리면서도 기존 삼계탕의 쓴맛을 제거함으로써 보다 많은 어린이나 외국인들도 거부감 없이 한방녹두삼계탕을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닭 정육에 인삼효소액의 당분과 효소 및 필요에 따라 추가될 수 있는 발아곡물분 분산액의 연육작용에 의해 닭고기의 육질을 개선하고 따라서 한방녹두삼계탕의 식감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얻어진 한방녹두삼계탕의 국물에 녹두누룽지를 넣어 끓임으로서 기존의 삼계탕과는 곡물 종류와 조리상태를 차별화한 한방녹두삼계탕을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한방녹두삼계탕은 이상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방녹두삼계탕은 이상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한방녹두삼계탕 조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며,
도2는 본 발명의 한방녹두삼계탕의 조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2는 본 발명의 한방녹두삼계탕의 조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먼저 닭 정육과 육수를 준비한다. 닭 육수 제조 단계(10)에서는 닭발과 물을 질량대비 1:1 내지 2:1로 넣고 100℃ 이상(압력솥의 경우는 압력에 따라 100℃가 초과될 수 있으므로)이 되도록 센불로 끓이되 100℃ 기준으로 2시간 내지 3시간 끓여서 준비한다. 닭발과 함께 닭뼈를 넣어 육수를 우려낼 수도 있다.
닭 육수를 얻기 위해 이렇게 충분한 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은 뼈의 성분을 충분히 추출하고 풍미를 얻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고기를 뼈와 같이 오랜 시간 가열하면 고기의 식감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 단계에서 고기는 넣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솥을 사용하면 조리 온도를 높일 수 있고, 조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닭발이나 뼈와 물의 비율은 육수에 대한 선호에 따라 옅은 육수를 선호하는 경우 혹은 조리 대상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 물이 증발하는 양을 고려하여 물과의 비율을 1:3 정도로 할 수도 있다. 끓인 육수는 뼈를 제거하여 식히고 위에 뜨는 기름기와 이물질은 체나 국자 등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좋다.
닭 정육 숙성단계(20)에서 닭 정육은 400g 내지 600g의 것을 사용하며, 생 닭을 손질하여 머리와 발, 내장과 털을 제거한 상태로 부분별로 자르지 않고 사용한다. 표면에 뜨거운 물을 붓거나 끓는 물에 잠깐 넣어 깨끗이 씻어준다. 뼈를 포함한 상태로 500g의 닭 정육에는 인삼효소액과 발아현미분 분산액을 질량대비 대략 1 : 1로 혼합하여 만든 혼합 페이스트를 100g 정도 가하여 닭 정육의 표면과 속이 빈 내부에 고르게 입히거나 혼합 페이스트에 침지하여 3시간 내지 6시간 숙성시킨다.
숙성단계에서 인삼효소액은 자체의 숙성 상태에 따라 당분의 정도를 달리하므로 닭 정육에 가하여 숙성처리 할 때에는 너무 달지 않도록 하며, 닭 정육의 질량 대비 5~10% 사용할 수 있고, 발아현미분 분산액도 10% 내외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삼효소액이 충분하지 못하면 인삼의 향과 풍미가 충분하게 느껴질 수 없고, 너무 많은 경우, 달게 느껴져 풍미를 해치면서 재료비용만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혼합 페이스트 내의 인삼효소의 인삼향이 닭 정육에 고르고 빠르게 배도록 하기 위해 닭 정육의 속이 빈 내부나 외측의 살이 두꺼운 곳에는 혼합 페이스트를 가하기 전에 칼금을 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삼효소액은 수삼과 설탕 혹은 꿀을 질량 대비 1:1 비율로 섞어 3개월 내지 1년 숙성시켜 사용한다. 수삼은 수확한 지 얼마 안 되는 것을 잘 씻어 사용하는 것이 좋고, 통상 뇌두를 제외한 뿌리 부분을 사용하여 만들지만 줄기, 잎, 열매를 포함하는 모든 부분을 사용하여 만들 수도 있다. 잔뿌리는 썰지 않고, 몸통 부분은 채나 편으로 썰어서 표면적을 넓게 하고 내용 성분이 잘 우러나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삼은 숙성시키는 용기에서 설탕의 녹은 물이나 꿀에 충분히 잠기도록 하는 것이 변질이나 곰팡이 방지를 위해 좋다.
인삼효소액을 만들고 숙성시키는 과정에서 인삼의 쓰고 텁텁한 맛은 순화되고, 은은한 맛을 내게 되며, 인삼의 향기로 맑고 상쾌한 느낌을 더할 수 있다. 또한, 인삼효소액을 숙성시키는 과정을 통해 인삼의 향과 유효성분이 효소액 속으로 추출되고, 원래의 성분 가운데 일부는 인체에 더 유익하고 흡수에 용이한 성분으로 전환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삼계탕에서 인삼의 유효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조리시에 많은 시간을 가열할 필요가 없어지며, 따라서 삼계탕의 닭 고기를 오래 가열함에 의해 질겨지거나 식감이 떨어지는 문제도 자연스럽게 해결될 수 있다.
발아곡물분으로 발아현미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발아현미분 분산액은 물 1리터에 발아현미분 가령 100g 내지 300g을 섞어 사용할 수 있으며, 발아현미분을 많이 넣어 점도가 큰 묽은 반죽 상태로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 반죽을 바르듯이 닭 정육을 덮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인삼효소액을 바른 후에 발아곡물분 분산액을 바르거나, 인삼효소액과 발아곡물분 분산액을 함께 섞어 닭 정육의 표면에 바르는 것도 가능하다.
발아현미를 비롯하여 다양한 발아곡물에는 배의 성장을 위해 영양을 공급하도록 자체의 당류와 단백질 등의 양분을 분해하기 위한 여러 효소성분이 집약적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이때의 효소 성분 가운데 단백질 분해효소는 닭 고기의 단백질 분해 작용을 통해 질긴 상태의 닭 고기를 연하고 부드럽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발아 현미는 자체가 곡물이므로 숙성된 닭 정육과 함께 음식물 재료로 포함되어 함께 조리되면 본원 발명에서 얻어지는 삼계탕뿐만 아니라 삼계죽이나 누룽지탕의 풍미와 어울리는 풍미를 줄 수 있고, 자체로서도 다양한 영양소를 가져 일반 영양죽에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 보충원으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외에 닭 정육을 숙성하는 단계에서 혼합 페이스트 100g에는 마늘 곱게 간것 혹은 마늘 즙 10g, 생강즙 5g, 후추, 소금을 함께 섞어 사용할 수 있다. 마늘과 생강에도 단백질 분해효소가 들어 있어 연육효과를 증대시키면 식중독균에 대해 살균, 항균 작용이 있어서 침지 단계에서 닭 정육에 나쁜 균이 증식되고 부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닭 정육과 육수를 함께 끓여서 익히는 단계(30)에서는 닭 정육 500g을 기준으로 녹두 200g, 찹쌀 50g, 인삼퓨레 10~20g과 한방재료로 엄나무 150g, 황기 70g, 녹각 2~3g, 당귀 5g, 천궁 2~3g, 계피 5g, 감초 3g, 대추 10~15g, 밤 20g, 생강 3~5g 비율로 사용할 수 있고, 녹두, 찹쌀 등은 물에 잘 불려 사용한다.
끓일 때에는 솥에 미리 준비된 닭발 육수 적당량, 가령, 500~600cc를 다른 재료들과 함께 넣고 가열하여 끓으면 숙성된 닭 정육을 넣고 다시 센불로 가열하여 100℃ 이상의 온도가 된 상태에서 100℃ 기준으로 25분 내지 35분 끓인다. 이는 닭 고기를 높은 온도에서 빨리 익혀 식감을 높이기 위한 것이며, 압력솥과 같이 가령 120℃ 정도의 높은 온도에서 조리할 경우, 조리 시간은 감소될 수 있다.
위의 곡물 및 한방 재료 외에도 부재료로 은행, 미향, 소주, 통마늘, 녹차잎 등을 더 넣어 사용할 수 있고, 이들 가운데 먹지 않는 한방 재료나 녹차잎 등은 삼베나 무명 주머니에 넣어 먹기 전에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들 가운데 녹차잎은 여러 건강물질을 포함하며 여기서는 잡냄새의 제거를 위한 일종의 향신료로서 사용되는 것이며, 황기는 인삼과 더불어 기를 보호하는 대표적인 약재로 피부 등의 인체를 둘러싸고 있는 표피를 충실하게 하여 기가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동시에 식은땀을 그치게 하고 정기를 보전시키며, 양기를 원활히 순환하게 하여 몸 안의 불필요한 수분을 밖으로 배출시키고 종기 등을 치료하는 것으로 식은땀이나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들, 즉 몸이 허약한 사람들에게 기를 보하는 데 사용한다.
발아곡물분의 재료 곡물로 현미를 많이 사용하지만 다른 발아곡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숙성에 사용된 발아곡물분 분산액은 여기서는 요리의 재료로 함께 사용되지만 요리에 풀기가 많은 것을 싫어하는 경우, 인산효소액과 발아곡물분 분산액을 별도로 사용하고, 솥에 넣기 전에 숙성된 닭 정육에서 발아곡물분 분산액을 씻어서 제거하고 사용할 수도 있다.
조리할 때 뚝배기와 같은 용기에 음식물을 담아 가령 부추 30g 를 더 넣어 열기에 의해 데친 상태가 되게 하고, 들께 가루 10~20g 정도, 특히 껍질을 제거한 들께 가루를 첨가하여 한방녹두삼계탕을 완성한다.
이상 실시예에서는 녹두, 찹쌀 등 곡물을 솥에 먼저 넣어 끓이고 있지만 일반 삼계탕과 같이 닭 정육의 빈 속에 넣어 함께 조리할 수 있고, 찹쌀 등의 곡물성 재료를 넣지 않는 것으로서 삼계탕을 만들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2를 참조하여 한방녹두삼계탕을 조리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먼저, 위 실시예 가운데 곡물을 넣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 위에서 살펴본 한방녹두삼계탕의 조리와 동일한 조리 방법을 통해 얻은 한방녹두삼계탕 국물을 얻는다. 누룽지는 삼계탕 조리와 별도로 질량비로 찹쌀 10~20%에 녹두 80~90%를 섞어 밥을 하고 눌리는 녹두 누룽지 제조 단계(40)를 통해 얻어진다. 녹두는 닭이나 오리와 음식으로서의 조화가 좋고, 풍미감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누룽지는 곡물로 밥솥에 밥을 하면서 바닥에 자연스럽게 눌은 누룽지를 바닥에서 분리하여 얻거나, 곡물로 밥을 한 뒤 이 밥을 팬에 눌러 붙이고 바닥을 가열하여 일부 탄화시킴으로써 인위적으로 누룽지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쌀은 통상의 맵쌀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녹두가 주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한방녹두삼계탕의 누룽지의 풍미를 높이고 씹을 때의 탄성있는 식감을 위하여 보다 찰기가 있는 찹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룽지는 동의보감에 따르면 “음식이 목구멍으로 잘 넘어가지 못하거나 넘어가도 위에까지 내려가지 못하고 이내 토하는 병증으로 오랫동안 음식을 먹지 못하는 병, 즉, 열격은 누룽지로 치료한다. 여러 해가 된 누룽지를 강물에 달여서 아무 때나 마신다. 그 다음 음식을 먹게 되면 약으로 조리해야 한다”라고 되어, 약으로까지 쓰였던 것인데, 누룽지는 식이섬유의 작용으로 에너지를 거의 내지 않음은 물론 배부른 느낌을 주고, 음식물의 장내 통과시간을 단축시켜 비만과 변비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국물에 녹두누룽지를 넣고 끓이는 단계(50)에서는 앞선 실시예의 한방녹두삼계탕의 조리를 통해 얻은 국물과 녹두누룽지를 얻는 단계에서 얻은 녹두누룽지를 솥이나 뚝배기 상태의 가열 용기에 함께 넣고 중불이나 약한 불로 가열하여 녹두누룽지를 부드럽게 퍼지도록 하여 다른 형태의 한방녹두삼계탕을 완성한다.
이때, 먹기에 편하고 조리 시간을 줄이기 위해 누룽지는 적당한 크기로 잘라 넣는 것이 바람직하고, 먹는 사람의 기호에 따라 양념이나 다른 식재료를 추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가령, 이상의 실시에에서 닭 정육은 뼈가 있는 상태의 것이나 뼈가 분리된 상태의 것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솥에서 육수와 숙성된 닭 정육을 함께 넣어 끓이는 단계에서 술은 소주 대신에 청주나 다른 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술은 발아곡물 분산액에 섞어서 닭 정육을 숙성시키는 단계에서부터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닭 정육을 인삼효소액 및 발아곡물분 분산액의 혼합 페이스트에 침지시키는 단계는 시간이 1시간 정도로 짧게 이루어지거나, 10 내지 15℃ 정도의 낮은 온도에서는 12시간 정도로 충분히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황기나 엄나무 외에도 한약재로 당귀, 천궁, 계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정도의 변형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8)
- 물에 닭발 혹은 닭발과 닭뼈를 넣어 끓여 닭 육수를 만드는 육수준비단계,
털과 내장을 제거하여 손질한 닭 정육에 인삼효소액을 바르거나 침지시킨 상태로 일정 시간 경과시키는 숙성단계,
상기 닭 육수에 한방재료, 상기 숙성단계를 거친 닭 정육 및 녹두를 넣고 끓이는 가열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한방녹두삼계탕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효소액은 수삼과 함께 인삼 잎과 줄기를 절단한 것과 설탕이나 꿀을 질량대비 1: 1로 혼합하여 3개월 내지 1년 숙성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인 한방녹두삼계탕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단계에서는 상기 인삼효소액과 더불어 연육효과를 위해 발아곡물분 분산액을 추가하여 사용하며, 상기 발아곡물분 분산액은 발아곡물분과 물을 질량 대비 1: 10 내지 3: 10 비율로 고르게 혼합하여 만드는 것인 한방녹두삼계탕 제조방법. - 제 1 항 내지 제 3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단계에서 상기 인삼효소액에 수삼을 거칠게 갈아서 만든 인삼퓨레가 더해져서 사용되거나, 상기 가열단계에서 상기 인삼퓨레를 부가하여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녹두삼계탕 제조방법. - 제 1 항 내지 제 3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 재료는 엄나무, 황기, 녹각, 당귀, 천궁, 계피, 감초, 대추 , 밤, 생강을 포함하며,
상기 가열단계에서 상기 닭 정육 500g을 기준으로 다른 재료는 녹두 200g, 찹쌀 50g, 인삼퓨레 10~20g, 엄나무 150g, 황기 70g, 녹각 2~3g, 당귀 5g, 천궁 2~3g, 계피 5g, 감초 3g, 대추 10~15g, 밤 20g, 생강 3~5g 비율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녹두삼계탕 제조방법. - 제 1 항 내지 제 3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 이후에 부추와 들께 가루를 더 첨가하는 향신료 첨가단계가 더 구비되며,
상기 닭 육수는 상기 닭발과 물을 질량 대비 1:1 내지 2:1로 넣어 2시간 내지 3시간 100℃ 이상으로 끓여서 얻으며,
상기 숙성단계에서는 수삼과 설탕이나 꿀을 질량대비 1: 1로 혼합하여 숙성시킨 상기 인삼효소액을 상기 닭 정육의 질량 대비 5%~10%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닭 육수에 상기 숙성단계를 거친 닭 정육을 넣고 끓이는 가열단계는 25분 내지 35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녹두삼계탕 제조방법. - 제 1 항 내지 제 3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을 통해 얻은 한방녹두삼계탕의 국물에 녹두를 포함하는 누룽지를 넣어 다시 가열하여 누룽지가 부드럽게 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한방녹두삼계탕 제조방법.
- 제 1 항 내지 제 3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한방녹두삼계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1024A KR101331352B1 (ko) | 2013-05-07 | 2013-05-07 | 한방녹두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1024A KR101331352B1 (ko) | 2013-05-07 | 2013-05-07 | 한방녹두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31352B1 true KR101331352B1 (ko) | 2013-11-20 |
Family
ID=49858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1024A KR101331352B1 (ko) | 2013-05-07 | 2013-05-07 | 한방녹두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1352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41934A (ko) | 2015-06-01 | 2016-12-12 |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강황 한방삼계탕 제조방법 |
KR101736011B1 (ko) | 2016-07-22 | 2017-05-24 | 조갑연 | 닭백숙의 조리방법 |
KR101876552B1 (ko) | 2016-12-30 | 2018-08-09 | 강영대 | 삼계탕 육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삼계탕 제조방법 |
KR20180109357A (ko) * | 2017-03-28 | 2018-10-08 | 자연애벗 주식회사 | 발효 닭가슴살을 이용한 저지방 삼계탕의 제조방법 |
KR101962582B1 (ko) * | 2018-12-07 | 2019-07-18 | 김정민 | 삼계탕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삼계탕 |
KR102081831B1 (ko) | 2019-12-06 | 2020-02-26 | 이우철 | 누룽지 삼계탕의 제조 방법 |
KR102081832B1 (ko) | 2019-12-06 | 2020-02-27 | 이우철 | 흑마늘 능이버섯 삼계탕의 제조 방법 |
KR102258131B1 (ko) | 2020-12-17 | 2021-05-28 | 조영심 | 삼계탕 육수용 첨가제 조성물 |
KR102456194B1 (ko) | 2021-12-22 | 2022-10-18 | 전찬규 | 한방 누룽지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103113A (ko) * | 2001-10-09 | 2001-11-23 | 이기영 | 기능성 삼계탕의 조리방법 |
KR20040036696A (ko) * | 2004-03-25 | 2004-04-30 | 김옥선 | 오가피 삼계탕 |
KR20110041750A (ko) * | 2009-10-16 | 2011-04-22 | 한은영 | 삼계탕의 제조방법 |
KR101232471B1 (ko) * | 2011-06-21 | 2013-02-12 | 조현정 | 한방 오리 백숙 및 누룽지탕의 조리방법 |
-
2013
- 2013-05-07 KR KR1020130051024A patent/KR10133135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103113A (ko) * | 2001-10-09 | 2001-11-23 | 이기영 | 기능성 삼계탕의 조리방법 |
KR20040036696A (ko) * | 2004-03-25 | 2004-04-30 | 김옥선 | 오가피 삼계탕 |
KR20110041750A (ko) * | 2009-10-16 | 2011-04-22 | 한은영 | 삼계탕의 제조방법 |
KR101232471B1 (ko) * | 2011-06-21 | 2013-02-12 | 조현정 | 한방 오리 백숙 및 누룽지탕의 조리방법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41934A (ko) | 2015-06-01 | 2016-12-12 |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강황 한방삼계탕 제조방법 |
KR101736011B1 (ko) | 2016-07-22 | 2017-05-24 | 조갑연 | 닭백숙의 조리방법 |
KR101876552B1 (ko) | 2016-12-30 | 2018-08-09 | 강영대 | 삼계탕 육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삼계탕 제조방법 |
KR20180109357A (ko) * | 2017-03-28 | 2018-10-08 | 자연애벗 주식회사 | 발효 닭가슴살을 이용한 저지방 삼계탕의 제조방법 |
KR101936498B1 (ko) * | 2017-03-28 | 2019-04-04 | 주식회사 올에프씨 | 발효 닭가슴살을 이용한 저지방 삼계탕의 제조방법 |
KR101962582B1 (ko) * | 2018-12-07 | 2019-07-18 | 김정민 | 삼계탕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삼계탕 |
KR102081831B1 (ko) | 2019-12-06 | 2020-02-26 | 이우철 | 누룽지 삼계탕의 제조 방법 |
KR102081832B1 (ko) | 2019-12-06 | 2020-02-27 | 이우철 | 흑마늘 능이버섯 삼계탕의 제조 방법 |
KR102258131B1 (ko) | 2020-12-17 | 2021-05-28 | 조영심 | 삼계탕 육수용 첨가제 조성물 |
KR102456194B1 (ko) | 2021-12-22 | 2022-10-18 | 전찬규 | 한방 누룽지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31352B1 (ko) | 한방녹두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 |
CN103652975A (zh) | 一种茶香羊肉串及其制备方法 | |
KR100371778B1 (ko) | 한방 삼계탕 | |
CN103431346A (zh) | 一种枸杞滋补火锅汤料及其制备方法 | |
KR102531665B1 (ko) | 족발맛이 나는 돼지머리 편육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족발맛이 나는 돼지머리 편육 | |
KR101923863B1 (ko) | 육즙이 풍부한 백숙통닭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백숙통닭 | |
KR101232471B1 (ko) | 한방 오리 백숙 및 누룽지탕의 조리방법 | |
KR20170136710A (ko) | 간장초절임 깻잎장아찌의 제조방법 | |
KR101079172B1 (ko) |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숙성 대추정과 | |
CN104305123A (zh) | 一种鱼头火锅底料及制备方法 | |
CN112998235A (zh) | 一种浓香滋补火锅底料及其制备方法 | |
KR101802181B1 (ko) | 미꾸라지 튀김이 들어있는 쌈의 제조방법 | |
CN103416795A (zh) | 一种含三种花椒的滋补火锅汤料及制备方法 | |
CN104366404A (zh) | 一种鱼苗火锅底料及制备方法 | |
CN103931977A (zh) | 一种腊味蓝莓糕点及其制备方法 | |
KR20180117001A (ko) | 양념장이 혼합되는 곤드레 나물밥의 제조방법 | |
CN105768010A (zh) | 一种牛肉粉红汤及其制作工艺 | |
CN104957635A (zh) | 一种香辣风味烤羊肉 | |
CN105831652A (zh) | 一种多味葛根食品及其制作方法 | |
CN104286795A (zh) | 一种酸菜鱼火锅底料及制备方法 | |
KR101860124B1 (ko) | 녹차 떡갈비의 제조방법 및 그 녹차 떡갈비 | |
CN110892975A (zh) | 一种酸辣藤椒味方便调味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 |
CN104305242A (zh) | 一种富硒笋香金针牛肉丝及其加工方法 | |
KR102355098B1 (ko) | 송이버섯액이 가미된 명태순대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325126B1 (ko) | 꾸지뽕소스가 첨가된 방어 지짐 및 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