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172B1 -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숙성 대추정과 - Google Patents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숙성 대추정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79172B1 KR101079172B1 KR1020100070732A KR20100070732A KR101079172B1 KR 101079172 B1 KR101079172 B1 KR 101079172B1 KR 1020100070732 A KR1020100070732 A KR 1020100070732A KR 20100070732 A KR20100070732 A KR 20100070732A KR 101079172 B1 KR101079172 B1 KR 1010791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ujube
- aged
- weight
- bamboo
- black garlic
- Prior art date
Links
- 241001247821 Ziziphus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5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0
- 240000003917 Bambusa tulda Species 0.000 title 1
- 241001330002 Bambusea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41000383638 Allium nigr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6000 Garlic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5000020706 garlic extrac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02789 Panax 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29920002456 HOTAIR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2431 foraging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14860 sensory perception of taste Effects 0.000 description 33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3
- 230000035917 taste Effects 0.000 description 3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0987 pec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1277 pec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1814 pec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6528 appetit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9789 appet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058 adul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685 pulmonar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067 refi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HVYWMOMLDIMFJA-DPAQBDIFSA-N (3β)-Cholest-5-en-3-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3911 Dysgeu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467 acupunc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21 anti-septic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673 Asth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7161 Chole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826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4280 Li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726 Panax vietnam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880 Polyu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660 Py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96 anti-anti-diur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82 diur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GNPVGFCGXDBREM-UHFFFAOYSA-N germanium Chemical compound [Ge] GNPVGFCGXDB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2 germ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95 porrid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97 sensory organ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71 so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14 sou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05 sweet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28 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79 visual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5—Flavour affecting agen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통에 대추를 넣고 밀폐용기 내에서 숙성시킨 후 씨를 제거한 대추의 내부에 흑마늘, 홍삼, 숙성매실, 맥문동(麥門冬) 등의 잼 또는 과육을 넣고, 대추의 표면에 상기 흑마늘 추출물 또는 대추씨 추출물과 천연벌꿀의 혼합물을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대나무통으로부터 추출된 죽력(竹瀝)이 함침된 숙성대추와 흑마늘, 홍삼 등의 맛이 어우러져 한국 고유의 맛과 향을 한국 고유의 맛과 향을 현대인의 입맛에 맞게 가공함으로써,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의 기호에도 적합한 것이 장점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나무통에 대추를 넣고 밀폐용기 내에서 숙성시킨 후 씨를 제거한 대추의 내부에 흑마늘, 홍삼, 숙성매실, 맥문동(麥門冬) 등의 잼 또는 과육을 넣고, 대추의 표면에 흑마늘 추출물 또는 대추씨 추출물과 천연벌꿀의 혼합물을 도포함으로써, 대나무통으로부터 추출된 죽력(竹瀝)이 함침된 숙성대추와 흑마늘, 홍삼 등의 맛이 어우러져 한국 고유의 맛과 향을 현대인의 입맛에 맞게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숙성 대추정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민들의 생활수준 향상으로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흑마늘 가공식품, 홍삼 가공식품 등과 같은 많은 건강식품들이 시중에 출시되고 있지만, 상기와 같은 건강식품들의 경우에는 주로 흑마늘, 홍삼 등을 과육, 환(丸) 또는 엑기스의 형태로 단순가공된 형태의 제품들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흑마늘은 다양하게 개발되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857270호, 제10-0840991호, 제10-0880268호, 제10-0774498호, 제10-0904307호, 제10-0797915호 및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5084호, 제10-2009-0055090호, 제10-2008-0103186호, 제10-2010-0026669호 등과 같이 다양한 특허들이 출원 또는 등록되어있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들의 경우에는 공통적으로 생마늘을 일정한 온도 및 습도에서 숙성 및 발효시켜 제조함으로써, 숙성과정에 마늘 냄새를 유발하는 휘발성 성분이 줄어들고, 폴리페놀 및 당함량이 높아져 새콤달콤한 맛을 낸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사람들이 섭취하기에는 아직까지 입맛에 맞지 않는 거북한 면이 있었다.
최근에는 혈관계 질병이나 기관지 천식 등을 치료와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죽력(竹瀝)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이에 대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558220호, 제10-0447458호 및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3137호 등과 같이 다양한 특허들이 출원 또는 등록되어 있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들의 경우에도 다양한 형태의 제품들이 개발되지 못하고 단순히 엑기스 또는 음료의 형태로만 가공되어 시판됨에 따라 섭취하기에는 현대인의 입맛에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본 화과자(和菓子)는 일본 전통의 고유 맛과 향이 가미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모양과 화려한 색상에 의해 일본 자국민들뿐만 아니라 일본을 방문하는 외국인들에게도 호평을 받는데 반해 국내 특산품인 흑마늘, 홍삼, 죽력 등의 건강가공식품들은 단순히 과육 또는 엑기스의 형태로만 가공되어 시판됨에 따라 현대인의 입맛에 맞지 않으며, 제품의 가공 형태가 단순하여 국내 소비자로부터의 관심이 부족해지고, 특히 외국인들로부터는 거의 외면받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3229호에는 홍삼이 혼합된 당침액에 대추를 당침한 후, 건조 숙성시켜 제조한 정과가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대추를 홍삼이 혼합된 당침액에 단순 당침시킴으로써, 홍삼의 맛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홍삼의 맛과 대추의 맛이 어우러지지 않아 현대인의 입맛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죽력(竹瀝)을 숙성 흑마늘에 적용시킨 기술을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50002호로 등록받은 바 있는 '황토게르마늄을 이용한 대나무통 흑마늘의 제조방법'에 착안하여, 대추에 죽력(竹瀝)을 함침시킨 다음 흑마늘, 홍삼, 매실 등으로 제조한 잼 또는 엑기스를 대추에 넣어 가미시킴으로써 현대인의 입맛에 맞는 숙성 대추정과를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에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씨를 제거한 대추를 대나무통에 넣은 다음 밀폐 숙성용기 내에서 가온하여 숙성시킴으로써, 가온시 대나무통으로부터 추출되는 죽력(竹瀝)이 대추에 함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에 의해 숙성된 대추에서 씨를 제거한 내부에 흑마늘, 홍삼, 숙성매실, 맥문동(麥門冬) 등의 잼 또는 과육을 넣어 현대인의 입맛에 맞게 맛과 향을 가미함으로써,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의 기호에도 맞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흑마늘, 홍삼, 숙성매실, 맥문동(麥門冬) 등의 잼 또는 과육을 대추의 내부에 넣은 다음 흑마늘 추출물 또는 대추씨 추출물과 천연벌꿀의 혼합물로 대추의 표면을 도포하고, 열을 가하여 살균처리하여 포장함으로써, 숙성대추의 외관이 미려하고, 천연방부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씨를 제거한 대추를 대나무통에 넣은 다음 밀폐 숙성용기 내에서 65 ~ 75℃로 가온하여 숙성시킴으로써, 가온 시 대나무통으로부터 추출되는 죽력(竹瀝)이 대추에 함침되도록 하고,
상기 숙성된 숙성 대추를 10 ~ 55℃에서 자연 건조 또는 열풍건조 한 후, 상기 씨를 제거한 숙성 대추의 내부에 잼 또는 과육을 삽입하고,
상기 잼 또는 과육이 삽입된 숙성 대추의 표면에 흑마늘 추출물 또는 대추씨 추출물과 천연벌꿀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상기 흑마늘 추출물 또는 대추씨 추출물과 천연벌꿀의 혼합물이 도포된 숙성 대추에 열을 가하여 살균처리 및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진 숙성 대추정과를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잼 또는 과육은, 흑마늘, 홍삼, 숙성매실 또는 맥문동(麥門冬) 중 1종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잼 또는 과육은, 숙성 대추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40중량부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흑마늘 추출물 또는 대추씨 추출물과 천연벌꿀의 혼합물은 중량비가 30 ~ 70 : 70 ~ 30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
또한, 상기 흑마늘 추출물 또는 대추씨 추출물과 천연벌꿀의 혼합물은, 숙성 대추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5중량부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대나무통에 대추를 넣고 밀폐용기 내에서 숙성시킨 후 씨를 제거한 대추의 내부에 흑마늘, 홍삼, 숙성매실, 맥문동(麥門冬) 등의 잼 또는 과육을 넣고, 대추의 표면에 흑마늘 추출물 또는 대추씨 추출물과 천연벌꿀의 혼합물을 도포하여 대나무통으로부터 추출된 죽력(竹瀝)이 함침된 숙성대추와 흑마늘, 홍삼 등의 맛이 어우러져 한국 고유의 맛과 향을 한국 고유의 맛과 향을 현대인의 입맛에 맞게 가공함으로써,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의 기호에도 적합한 것이 장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상기 도 1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개별포장 사진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상기 도 1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세트포장 사진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개별포장 사진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상기 도 1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세트포장 사진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씨를 제거한 대추를 대나무통에 넣은 다음 밀폐 숙성용기 내에서 65 ~ 75℃로 가온하여 숙성시킴으로써, 가온 시 대나무통으로부터 추출되는 죽력(竹瀝)이 대추에 함침되도록 하고,
(B)상기 숙성된 숙성 대추를 상온 ~ 55℃에서 자연 건조 또는 열풍건조 한 후, 상기 씨를 제거한 숙성 대추의 내부에 잼 또는 과육을 삽입하고,
(C)상기 잼 또는 과육이 삽입된 숙성 대추의 표면에 흑마늘 추출물 또는 대추씨 추출물과 천연벌꿀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D)상기 흑마늘 추출물 또는 대추씨 추출물과 천연벌꿀의 혼합물이 도포된 숙성 대추에 열을 가하여 살균처리 및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대나무통은, 맹종죽(孟宗竹)의 일단을 절단하여 제작한다.
상기 맹종죽은 대나무의 한 종류로써, 중국원산으로 최근에 국내에 도입되어 그 활용도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추위에 약하여 중부지방에서는 식재가 불가능함에 따라, 현재 남부지방 일대에 식재되고 있다.
특히, 경남 거제시에서 식재되는 맹종죽은 청정지역 해풍을 맞고 자라 미네랄이 풍부하다. 따라서, 경남 거제시에서 식재되는 맹종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맹종죽을 제작된 대나무통에서의 숙성온도는 65 ~ 75℃가 바람직하며, 65℃ 미만일 경우, 대나무통 내부의 죽력이 풍부하게 추출되지 않으며, 75℃를 초과할 경우, 대나무통 내부에 그을음이 생겨 대추에 탄내음이 생기게 된다.
상기 죽력은, 직,간접적으로 열을 받은 대나무의 마디줄기로부터 추출되는 진액형태의 액체로써, 특유의 향긋한 냄새를 지니고 있으며, 새큼한 맛을 띠면서 약간의 탄내를 풍긴다. 아울러, 알코올분해작용, 항균작용, 콜레스테롤강하작용 등이 있으며, 눈을 밝게하고 인체의 모든 감각기관과 배설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등 활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숙성 대추는 상온 ~ 55℃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조온도가 55℃를 초과할 경우, 상기 숙성 대추에 포함된 죽력의 향긋한 냄새와 새큼한 맛은 감소시키고, 탄내를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잼 또는 과육은, 구현하고자 하는 정과의 맛과 향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흑마늘, 홍삼, 숙성매실 또는 맥문동(麥門冬)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잼 또는 과육을 사용한다.
상기 맥문동은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써, 이른 봄 또는 늦가을에 수확하여약재로 널리 사용되며, 폐, 심장를 안정시키고, 이뇨작용, 체질개선 해열, 당뇨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 각 재료별 잼의 제조는 흑마늘, 홍삼, 숙성매실 또는 맥문동 중 1종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잘게 분쇄한 다음, 상기 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설탕 65~ 70중량부, 펙틴 0.5 ~ 1중량부을 혼합한 후, 교반시켜 각 재료별 잼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설탕의 혼합량이 65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설탕의 혼합량 부족으로 인해 잼의 단맛이 제대로 나지않을 우려가 있고, 설탕의 혼합량이 7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설탕의 혼합량 과다로 인해 단맛이 강해질 우려가 있다.
아울러, 상기 팩틴의 혼합량이 0.5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팩틴의 혼합량 부족으로 인해 잼이 제대로 겔화가 되지않을 우려가 있고, 팩틴의 혼합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팩틴의 혼합량 과다로 인해 잼에 형성된 겔이 단단해져 잼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각 재료별 과육의 제조는 공지된 과육 추출장치 또는 믹서기를 이용한 통상의 과육 제조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잼 또는 과육은, 숙성 대추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40중량부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중량부 미만으로 삽입될 경우, 각 재료별 잼 또는 과육의 맛과 향을 느끼지 못할 우려가 있고, 40중량부를 초과하여 삽입될 경우, 잼 또는 과육의 맛과 향에 의해 숙성 대추 고유의 향과 맛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잼 또는 과육이 삽입된 숙성 대추에 도포되는 흑마늘 추출물 또는 대추씨 추출물은 상기 각 재료(흑마늘 또는 대추씨)와 물을 40 ~ 60 : 60 ~ 40로 혼합하고 80 ~ 100℃에서 1 ~ 5시간 끓여 추출한다. 한편, 상기 흑마늘 추출물 또는 대추씨 추출물은 단독으로 숙성 대추에 도포되지 않고, 천연벌꿀을 혼합하여 도포한다. 이는 숙성 대추 표면과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고 방부효과를 향상시킨다.
상기 흑마늘 추출물 또는 대추씨 추출물과 천연벌꿀의 혼합물은 중량비가 30 ~ 70 : 70 ~ 30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와 같은 비율로 제조된 흑마늘 추출물 또는 대추씨 추출물과 천연벌꿀의 혼합물은 숙성 대추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5중량부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중량부 미만일 경우, 숙성 대추의 표면 전체를 제대로 도포하지 못할 우려가 있으며, 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천연벌꿀에 의해 단맛이 과해지고 식감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진,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추(10)의 중앙에 흑마늘 잼 또는 과육(20)이 삽입된 형태를 가진다.
아울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형태의 대추정과를 다양한 모양과 화려한 색상의 포장지로 개별포장하고, 이를 세트 포장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소비 욕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의 구성은 반드시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
(실시예 1) 흑마늘 잼이 삽입된 숙성 대추정과
씨를 제거한 대추를 대나무통에 넣은 다음 밀폐 숙성용기 내에서 75℃로 가온하여 숙성시킴으로써, 가온 시 대나무통으로부터 추출되는 죽력(竹瀝)이 대추에 함침되도록 하고, 상기 숙성된 숙성 대추를 상온에서 자연 건조한 후, 숙성 대추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의 흑마늘 잼을 상기 씨를 제거한 숙성 대추의 내부에 삽입하고, 흑마늘 추출물과 천연벌꿀을 50 : 50으로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 대추 100 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를 숙성 대추의 표면에 도포한 후, 살균처리하여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흑마늘 잼은 분쇄기를 이용하여 흑마늘을 잘게 분쇄한 다음, 상기 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설탕 70중량부, 펙틴 1중량부을 혼합한 후, 농축시키고, 교반시켜 흑마늘 잼을 제조하였다.
아울러, 상기 흑마늘 추출물은 흑마늘과 물을 40 : 60으로 혼합하고 80℃에서 2시간동안 끓여 추출하였다.
(실시예 2) 홍삼 잼이 삽입된 숙성 대추정과
씨를 제거한 대추를 대나무통에 넣은 다음 밀폐 숙성용기 내에서 75℃로 가온하여 숙성시킴으로써, 가온 시 대나무통으로부터 추출되는 죽력(竹瀝)이 대추에 함침되도록 하고, 상기 숙성된 숙성 대추를 상온에서 자연 건조한 후, 숙성 대추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의 홍삼 잼을 상기 씨를 제거한 숙성 대추의 내부에 삽입하고, 흑마늘 추출물과 천연벌꿀을 50 : 50으로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 대추 100 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를 숙성 대추의 표면에 도포한 후, 살균처리하여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홍삼 잼은 분쇄기를 이용하여 홍삼을 잘게 분쇄한 다음, 상기 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설탕 70중량부, 펙틴 1중량부을 혼합한 후, 농축시키고, 교반시켜 홍삼 잼을 제조하였다.
아울러, 상기 흑마늘 추출물은 흑마늘과 물을 40 : 60으로 혼합하고 80℃에서 2시간동안 끓여 추출하였다.
(실시예 3) 숙성매실 잼이 삽입된 숙성 대추정과
씨를 제거한 대추를 대나무통에 넣은 다음 밀폐 숙성용기 내에서 75℃로 가온하여 숙성시킴으로써, 가온 시 대나무통으로부터 추출되는 죽력(竹瀝)이 대추에 함침되도록 하고, 상기 숙성된 숙성 대추를 상온에서 자연 건조한 후, 숙성 대추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의 숙성매실 잼을 상기 씨를 제거한 숙성 대추의 내부에 삽입하고, 대추씨 추출물과 천연벌꿀을 50 : 50으로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 대추 100 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를 숙성 대추의 표면에 도포한 후, 살균처리하여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숙성매실 잼은 분쇄기를 이용하여 숙성매실을 잘게 분쇄한 다음, 상기 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설탕 70중량부, 펙틴 1중량부을 혼합한 후, 농축시키고, 교반시켜 숙성매실 잼을 제조하였다.
아울러, 상기 대추씨 추출물은 대추씨와 물을 40 : 60으로 혼합하고 80℃에서 2시간동안 끓여 추출하였다.
(실시예 4) 맥문동 잼이 삽입된 숙성 대추정과
씨를 제거한 대추를 대나무통에 넣은 다음 밀폐 숙성용기 내에서 75℃로 가온하여 숙성시킴으로써, 가온 시 대나무통으로부터 추출되는 죽력(竹瀝)이 대추에 함침되도록 하고, 상기 숙성된 숙성 대추를 상온에서 자연 건조한 후, 숙성 대추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의 맥문동 잼을 상기 씨를 제거한 숙성 대추의 내부에 삽입하고, 대추씨 추출물과 천연벌꿀을 50 : 50으로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 대추 100 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를 숙성 대추의 표면에 도포한 후, 살균처리하여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맥문동 잼은 분쇄기를 이용하여 맥문동 잘게 분쇄한 다음, 상기 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설탕 70중량부, 펙틴 1중량부을 혼합한 후, 농축시키고, 교반시켜 맥문동 잼을 제조하였다.
아울러, 상기 대추씨 추출물은 대추씨와 물을 40 : 60으로 혼합하고 80℃에서 2시간동안 끓여 추출하였다.
(실시예 5) 흑마늘 과육이 삽입된 숙성 대추정과
씨를 제거한 대추를 대나무통에 넣은 다음 밀폐 숙성용기 내에서 75℃로 가온하여 숙성시킴으로써, 가온 시 대나무통으로부터 추출되는 죽력(竹瀝)이 대추에 함침되도록 하고, 상기 숙성된 숙성 대추를 상온에서 자연 건조한 후, 숙성 대추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의 흑마늘 과육을 상기 씨를 제거한 숙성 대추의 내부에 삽입하고, 흑마늘 추출물과 천연벌꿀을 50 : 50으로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 대추 100 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를 숙성 대추의 표면에 도포한 후, 살균처리하여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흑마늘 과육은 독일 BRAUN사에서 생산된 MP80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아울러, 상기 흑마늘 추출물은 흑마늘과 물을 40 : 60으로 혼합하고 80℃에서 2시간동안 끓여 추출하였다.
(실시예 6) 홍삼 과육이 삽입된 숙성 대추정과
씨를 제거한 대추를 대나무통에 넣은 다음 밀폐 숙성용기 내에서 75℃로 가온하여 숙성시킴으로써, 가온 시 대나무통으로부터 추출되는 죽력(竹瀝)이 대추에 함침되도록 하고, 상기 숙성된 숙성 대추를 상온에서 자연 건조한 후, 숙성 대추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의 홍삼 과육을 상기 씨를 제거한 숙성 대추의 내부에 삽입하고, 흑마늘 추출물과 천연벌꿀을 50 : 50으로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 대추 100 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를 숙성 대추의 표면에 도포한 후, 살균처리하여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홍삼 과육은 독일 BRAUN사에서 생산된 MP80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아울러, 상기 흑마늘 추출물은 흑마늘과 물을 40 : 60으로 혼합하고 80℃에서 2시간동안 끓여 추출하였다.
(실시예 7) 숙성매실 과육이 삽입된 숙성 대추정과
씨를 제거한 대추를 대나무통에 넣은 다음 밀폐 숙성용기 내에서 75℃로 가온하여 숙성시킴으로써, 가온 시 대나무통으로부터 추출되는 죽력(竹瀝)이 대추에 함침되도록 하고, 상기 숙성된 숙성 대추를 상온에서 자연 건조한 후, 숙성 대추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의 숙성매실 과육을 상기 씨를 제거한 숙성 대추의 내부에 삽입하고, 대추씨 추출물과 천연벌꿀을 50 : 50으로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 대추 100 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를 숙성 대추의 표면에 도포한 후, 살균처리하여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숙성매실 과육은 독일 BRAUN사에서 생산된 MP80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아울러, 상기 대추씨 추출물은 대추씨와 물을 40 : 60으로 혼합하고 80℃에서 2시간동안 끓여 추출하였다.
(실시예 8) 맥문동 과육이 삽입된 숙성 대추정과
씨를 제거한 대추를 대나무통에 넣은 다음 밀폐 숙성용기 내에서 75℃로 가온하여 숙성시킴으로써, 가온 시 대나무통으로부터 추출되는 죽력(竹瀝)이 대추에 함침되도록 하고, 상기 숙성된 숙성 대추를 상온에서 자연 건조한 후, 숙성 대추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의 맥문동 과육을 상기 씨를 제거한 숙성 대추의 내부에 삽입하고, 대추씨 추출물과 천연벌꿀을 50 : 50으로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 대추 100 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를 숙성 대추의 표면에 도포한 후, 살균처리하여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맥문동 과육은 독일 BRAUN사에서 생산된 MP80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아울러, 상기 대추씨 추출물은 대추씨와 물을 40 : 60으로 혼합하고 80℃에서 2시간동안 끓여 추출하였다.
(비교예 1)
씨를 제거한 대추를 대나무통에 넣은 다음 밀폐 숙성용기 내에서 75℃로 가온하여 숙성시킴으로써, 가온 시 대나무통으로부터 추출되는 죽력(竹瀝)이 대추에 함침되도록 하고, 상기 숙성된 숙성 대추를 상온에서 자연 건조한 후, 살균처리하여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씨를 제거한 대추를 대나무통에 넣은 다음 밀폐 숙성용기 내에서 75℃로 가온하여 숙성시킴으로써, 가온 시 대나무통으로부터 추출되는 죽력(竹瀝)이 대추에 함침되도록 하고, 상기 숙성된 숙성 대추를 상온에서 자연 건조한 후, 흑마늘 추출물과 천연벌꿀을 50 : 50으로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 대추 100 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를 숙성 대추의 표면에 도포한 후, 살균처리하여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를 제조하였다.
아울러, 상기 흑마늘 추출물은 흑마늘과 물을 40 : 60으로 혼합하고 80℃에서 2시간동안 끓여 추출하였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8은 죽력이 함침된 숙성 대추에 흑마늘, 홍삼, 숙성매실, 맥문동(麥門冬) 중 1종이 포함된 잼 또는 과육를 삽입시키고, 흑마늘 추출물 또는 대추씨 추출물과 천연벌꿀의 혼합물을 도포하여 숙성 대추정과를 제조한 것이며, 비교예 1은 죽력이 함침된 숙성 대추만을 사용하여 숙성 대추정과를 제조하였고, 비교예 2는 죽력이 함침된 숙성 대추만을 사용하되, 흑마늘 추출물과 천연벌꿀의 혼합물을 도포하여 숙성 대추정과를 제조한 것으로,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구성성분을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실시예4 | 실시예5 | 실시예6 | 실시예7 | 실시예8 | 비교예1 | 비교예2 | |
숙성 대추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흑마늘 잼 | 20 | - | - | - | - | - | - | - | - | - |
홍삼 잼 | - | 20 | - | - | - | - | - | - | - | - |
숙성 매실잼 |
- | - | 20 | - | - | - | - | - | - | - |
맥문동 잼 | - | - | - | 20 | - | - | - | - | - | - |
흑마늘 과육 | - | - | - | - | 20 | - | - | - | - | - |
홍삼 과육 | - | - | - | - | - | 20 | - | - | - | - |
숙성매실과육 | - | - | - | - | - | - | 20 | - | - | - |
맥문동 과육 | - | - | - | - | - | - | - | 20 | - | - |
흑마늘추출물과 천연벌꿀 혼합물 |
3 |
3 |
- |
- |
3 |
3 |
- |
- |
- |
3 |
대추씨추출물과 천연벌꿀 혼합 |
- |
- |
3 |
3 |
- |
- |
3 |
3 |
- |
- |
숙성 대추 : 밀폐된 대나무통에서 숙성되어 대나무통의 죽력이 함침된 것 잼 : 각 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설탕 70중량부, 펙틴 1중량부을 혼합한 후, 농축시키고, 교반시켜 제조 과육 : 독일 BRAUN사에서 생산된 MP80을 이용하여 추출 흑마늘 추출물 또는 대추씨 추출물 : 흑마늘 또는 대추씨와 물을 40 : 60으로 혼합하고 80℃에서 2시간동안 끓여 추출 |
2. 시험방법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숙성 대추정과를 건장한 성인 남자 10명과 성인 여자 10명에게 직접 육안으로 관찰하고 시식하게 한 후, 다음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가. 맛과 향에 대한 관능검사
건장한 성인 남자 10명과 성인 여자 10명에게 직접 시식한 다음 아래 [표 2]의 평가기준에 따른 점수로서 평가하였고, 평가된 점수를 합산한 다음 20으로 나눈 정수값으로 표현하였다.
나. 숙성 대추정과의 외관검사
건장한 성인 남자 10명과 성인 여자 10명에게 직접 숙성 대추정과의 외관을 관찰하게 한 다음 식욕을 돋우는 욕구에 대한 평가를 아래 [표 2]의 평가기준에 따른 점수로서 평가하였고, 평가된 점수를 합산한 다음 20으로 나눈 정수값으로 표현하였다.
평가점수 | 맛과 향에 대한 관능검사 | 숙성 대추정과의 외관검사 |
5점 | 숙성 대추정과의 맛과 향이 매우 좋음 | 식욕을 매우 돋우게 함 |
4점 | 숙성 대추정과의 맛과 향이 약간 좋음 | 식욕을 약간 돋우게 함 |
3점 | 숙성 대추정과의 맛과 향이 보통임 | 식욕을 느끼지 못함 |
2점 | 숙성 대추정과의 맛과 향이 약간 나쁨 | - |
1점 | 숙성 대추정과의 맛과 향이 매우 나쁨 | - |
3. 시험결과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숙성 대추정과를 건장한 성인 남자 10명과 성인 여자 10명에게 직접 육안으로 관찰한 다음 시식하게 하고, 숙성 대추정과의 맛과 향에 대한 관능검사 및 외관검사를 실시 한 결과 다음 [표 3]의 내용과 같다.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실시예4 | 실시예5 | 실시예6 | 실시예7 | 실시예8 | 비교예1 | 비교예2 | |
맛과향 | 5 | 5 | 5 | 5 | 5 | 5 | 5 | 5 | 1 | 2 |
외관 | 5 | 5 | 5 | 5 | 5 | 5 | 5 | 5 | 3 | 4 |
상기 [표 3]의 시험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의 경우, 흑마늘, 홍삼, 숙성매실 또는 맥문동 중 1종을 포함하는 잼 또는 과육에 의해, 대추 및 죽력의 맛 이외에도 각 재료에 따른 감칠맛이 부가되었으며, 그에 따라 그 맛과 향이 매우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 1의 경우, 그 맛과 향이 매우 나쁜 것으로 평가되었는데, 이는 별도의 부가재료 없이 숙성된 대추만 첨가됨에 따라 오히려 약간의 쓴맛을 발생시켰기 때문이며, 비교예 2의 경우, 그 맛과 향이 약간 나쁜 것으로 평가되었는데, 이는 숙성 대추정과에 도포된 천연벌꿀이 숙성된 대추의 쓴맛을 일부 감소시켰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는 한국 고유의 맛과 향이 현대인의 입맛에 적합하게 가공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표 3]의 시험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의 경우, 흑마늘, 홍삼, 숙성매실 또는 맥문동 중 1종을 포함하는 잼 또는 과육이 숙성 대추의 중앙부에서 일부 돌출되고, 흑마늘 추출물 또는 대추씨 추출물과 천연벌꿀의 혼합물이 숙성 대추의 표면에 일부 나타남에 따라 식욕을 매우 돋우게 한다고 평가되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 1의 경우, 식욕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는데, 이는 식욕을 돋울만한 별도의 부가재료 없이 색상만 변질된 대추 형태를 가지기 때문이며, 비교예 2의 경우, 식욕을 약간 돋우게 한다고 판단되었는데 이는 흑마늘 추출물과 천연벌꿀의 혼합물이 숙성 대추의 표면에 일부 나타났기 때문에 상기 비교예 1보다는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할 경우, 식욕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소비 욕구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에서 설명 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그 우수성이 입증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 숙성대추 20 : 흑마늘 잼 또는 과육
Claims (6)
-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씨를 제거한 대추를 대나무통에 넣은 다음 밀폐 숙성용기 내에서 65 ~ 75℃로 가온하여 숙성시킴으로써, 가온 시 대나무통으로부터 추출되는 죽력(竹瀝)이 대추에 함침되도록 하고,
(B)상기 숙성된 숙성 대추를 10 ~ 55℃에서 자연 건조 또는 열풍건조 한 후, 상기 씨를 제거한 숙성 대추의 내부에 잼 또는 과육을 삽입하고,
(C)상기 잼 또는 과육이 삽입된 숙성 대추의 표면에 흑마늘 추출물 또는 대추씨 추출물과 천연벌꿀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D)상기 흑마늘 추출물 또는 대추씨 추출물과 천연벌꿀의 혼합물이 도포된 숙성 대추에 열을 가하여 살균처리 및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잼 또는 과육은,
흑마늘, 홍삼, 숙성매실 또는 맥문동(麥門冬) 중 1종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잼 또는 과육은,
숙성 대추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40중량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흑마늘 추출물 또는 대추씨 추출물과 천연벌꿀의 혼합물은,
중량비가 30 ~ 70 : 70 ~ 30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흑마늘 추출물 또는 대추씨 추출물과 천연벌꿀의 혼합물은,
숙성 대추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5중량부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
- 제 1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진 숙성 대추정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0732A KR101079172B1 (ko) | 2010-07-22 | 2010-07-22 |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숙성 대추정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0732A KR101079172B1 (ko) | 2010-07-22 | 2010-07-22 |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숙성 대추정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79172B1 true KR101079172B1 (ko) | 2011-11-02 |
Family
ID=45397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0732A KR101079172B1 (ko) | 2010-07-22 | 2010-07-22 |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숙성 대추정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79172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77171A (zh) * | 2018-08-20 | 2018-12-25 | 广东佳宝集团有限公司 | 一种蜜饯生产过程杀灭酵母的方法 |
KR20190030279A (ko) * | 2017-09-14 | 2019-03-22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수신오도 | 대나무통 숙성 차가버섯 모링가차와 이의 제조방법 |
KR20190041078A (ko) | 2017-10-12 | 2019-04-22 | 전태익 | 대추 정과의 제조방법 |
KR102346397B1 (ko) * | 2020-11-24 | 2022-01-03 | 하숙영 | 당근을 이용한 정과 및 그 제조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1507B1 (ko) | 2003-04-17 | 2005-03-10 | 박의석 | 고품질 인삼정과 제조방법 |
KR100713163B1 (ko) | 2006-02-06 | 2007-05-02 | 허성호 | 인삼정과의 제조방법 |
KR100929418B1 (ko) | 2008-09-30 | 2009-12-03 | 금산홍삼고을 영농조합법인 | 천연과일을 이용한 인삼정과 및 그 제조방법 |
-
2010
- 2010-07-22 KR KR1020100070732A patent/KR10107917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1507B1 (ko) | 2003-04-17 | 2005-03-10 | 박의석 | 고품질 인삼정과 제조방법 |
KR100713163B1 (ko) | 2006-02-06 | 2007-05-02 | 허성호 | 인삼정과의 제조방법 |
KR100929418B1 (ko) | 2008-09-30 | 2009-12-03 | 금산홍삼고을 영농조합법인 | 천연과일을 이용한 인삼정과 및 그 제조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0279A (ko) * | 2017-09-14 | 2019-03-22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수신오도 | 대나무통 숙성 차가버섯 모링가차와 이의 제조방법 |
KR102000831B1 (ko) * | 2017-09-14 | 2019-07-17 | 모링가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 대나무통 숙성 차가버섯 모링가차와 이의 제조방법 |
KR20190041078A (ko) | 2017-10-12 | 2019-04-22 | 전태익 | 대추 정과의 제조방법 |
CN109077171A (zh) * | 2018-08-20 | 2018-12-25 | 广东佳宝集团有限公司 | 一种蜜饯生产过程杀灭酵母的方法 |
KR102346397B1 (ko) * | 2020-11-24 | 2022-01-03 | 하숙영 | 당근을 이용한 정과 및 그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31352B1 (ko) | 한방녹두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 |
CN104630010B (zh) | 滋补保健养生酒及其制备方法 | |
KR101107020B1 (ko) | 기능성 한약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280455B1 (ko) | 약초 고추장의 제조방법 | |
KR101079172B1 (ko) |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숙성 대추정과 | |
KR20170136710A (ko) | 간장초절임 깻잎장아찌의 제조방법 | |
KR20130071708A (ko) | 양념치킨용 양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163564B1 (ko) | 한방 보리 된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된장 | |
KR101518412B1 (ko) | 명태찜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명태찜 | |
CN105994800A (zh) | 一种止咳平喘竹叶保健茶 | |
CN103444931B (zh) | 一种春季养身下午茶袋泡茶 | |
CN105614789A (zh) | 桂花味泡榨菜及其制备方法 | |
KR20140027772A (ko) | 옥음차 제조 방법 | |
KR102126179B1 (ko) | 건강백숙의 제조방법 | |
CN105876645A (zh) | 一种鲜豆鼓的制作方法 | |
KR102015369B1 (ko) | 녹차 생엽을 이용한 숙성차의 제조방법 | |
KR100708778B1 (ko) | 홍삼곤짠지의 제조방법 | |
CN110613036A (zh) | 一种柚子花桑叶茶及其制备方法 | |
KR101756264B1 (ko) | 꾸지뽕 음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CN108782894A (zh) | 一种零添加富硒辣木红茶及其制备方法 | |
KR102438136B1 (ko) | 우슬차 및 그 제조방법 | |
CN105918563A (zh) | 一种解暑生津竹叶保健茶 | |
KR102375920B1 (ko) | 갈대 커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99434B1 (ko) | 머위 뿌리 덖음 차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284919B1 (ko) | 쑥 발효숙성 차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