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610B1 -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 - Google Patents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610B1
KR101319610B1 KR1020100013809A KR20100013809A KR101319610B1 KR 101319610 B1 KR101319610 B1 KR 101319610B1 KR 1020100013809 A KR1020100013809 A KR 1020100013809A KR 20100013809 A KR20100013809 A KR 20100013809A KR 101319610 B1 KR101319610 B1 KR 101319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machine
scalpel
needle plate
sewing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0609A (ko
Inventor
토루 세이리키
류이치로 키노시타
타카유키 하야시다
Original Assignee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08327A external-priority patent/JP4822193B2/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0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8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multi-thread seams
    • D05B1/10Double chain-stitch sea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 D05B29/08Presser feet comprising relatively-movable par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7/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litting, grooving, or cutting
    • D05B37/04Cut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2Loop takers, e.g. loopers for chain-stitch sewing machines, e.g. oscillat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은, 상자형의 재봉틀 베드와, 재봉틀 베드 상의 바늘판 위로 하강하여 봉제 천을 누르는 노루 발을 구비하고. 노루 발에는 메스 기구가 장착되어 있으며, 봉제 천은 재봉틀 베드의 평탄한 상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메스 기구에 의해 가장자리를 절단함으로써 일정한 폭으로 겹쳐져 박아 잇기 되며, 재봉틀 베드의 상면은 바늘판의 폭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서 바늘판의 상면보다 낮고, 노루 발 바깥쪽의 메스 기구의 돌출부와의 사이에 간격이 확보되며, 작업자는 이 간격을 이용하여 노루 발 부근에서 손을 써서 봉제 천의 이송을 보조할 수 있어, 대형 봉제 천의 맞춰 박기를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DOUBLE CHAIN STITCH SEWING MACHINE HAVING BOX-SHAPED BED}
본 발명은 상자형 재봉틀 베드를 구비하는 이중환봉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공업용 재봉틀의 일 형식으로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이 있다. 이 재봉틀은 바늘판의 양측에 평탄한 상면을 가진 상자형 재봉틀 베드를 구비한다. 재봉틀 베드의 평탄한 상면은 바늘판의 양측에서 봉제 천을 지탱하여, 작업자가 봉제중인 천을 떠받치는 수고를 경감한다. 따라서,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은 대형 봉제 천을 봉제하는 용도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일부의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은 바늘판보다도 선단측의 재봉틀 베드가 평탄한 상면을 가진 통형으로 되어 있다. 이 재봉틀을 중통 타입의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이라 한다.
공업용 재봉틀의 다른 형식으로 이송 암형 편평봉 재봉틀이 있다. 이 재봉틀은 재봉틀 프레임의 하부에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느다란 폭을 가진 통형의 재봉틀 베드를 구비하고, 또한 재봉틀 프레임의 상부에 재봉틀 베드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재봉틀 암을 구비한다. 이송 암형 편평봉 재봉틀은 예를 들면 브리프(Brief), 쇼츠(Shorts) 등의 다리 가랑이 아래 부분을 맞춰 박는 용도에 사용한다. 맞춰 박기는 박아 이어야 할 2장의 천의 가장자리를 소정 폭에 걸쳐 상하로 겹쳐서, 재봉틀 베드 상의 바늘판과, 이 바늘판 위로 하강하는 노루 발 사이로 이송하여 실시한다.
일본 특허공보 평성 7-57272호 공보(Examined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7-57272(1995))에 기재된 이송 암형 편평봉 재봉틀은 메스 기구를 장비한 특수한 노루 발을 구비하고 있다. 이 노루 발은 노루 발 본체와 2개의 누름 발을 가진다. 노루 발 본체는 바늘판 위로 하강하고, 이 바늘판과의 사이에 봉제 천을 끼운다. 2개의 누름 발은 노루 발 본체의 전방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메스 기구는 한쪽 누름 발에 고정된 고정 메스와, 다른 쪽 누름 발에 설치한 가동 메스를 구비한다. 고정 메스와 가동 메스는 2개의 누름 발 사이에 돌출한 단부에 절단날을 가진다. 이들 절단날은 바늘 낙하 위치(바늘이 하강하는 위치) 앞에서 대향한다.
가동 메스는 재봉틀 암의 내부로부터의 전동에 의해 왕복 동작하고 고정 메스에 슬라이딩하며 접한다. 가동 메스는 누름 발의 바깥쪽에 일부 돌출되도록 장착되고, 이 돌출 부분에 재봉틀 암의 내부로부터의 구동기구가 연결된다.
작업자는 박아 잇는 봉제 천의 가장자리를 상호 맞춰서, 바늘판 위에 세운 상태에서 2개의 누름 발 사이로 보낸다. 봉제 천의 가장자리는 고정 메스 및 가동 메스의 슬라이딩 하며 접하는 위치에 도달하여 가지런히 잘린다. 노루 발 본체는 가지런히 잘린 천의 가장자리를 상하 겹쳐서 바늘 낙하 위치로 보낸다. 이 재봉틀을 사용하는 작업자는 수작업으로 겹침 폭을 조정할 필요가 없으며, 거의 일정한 바느질 폭으로 맞춰 박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맞춰 박기는 다른 형식의 재봉틀에서도 실시된다.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재봉틀 베드 상에서 봉제 천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종래 일반적으로 바늘판의 전방 위치에서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겹침 폭을 조정하여 맞춰 박기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마무리 상태에 차이가 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는 이송 암형 편평봉 재봉틀이 구비하는 메스 기구가 부착된 노루 발을 장비함으로써 해소된다. 그러나,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은 전술한 바와 같이, 대형 봉제 천을 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바늘판의 양측으로 펼쳐지는 평탄한 상면을 가진 재봉틀 베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송 암형 편평봉 재봉틀이 구비하는 메스 기구가 부착된 노루 발은 전술한 바와 같이, 노루 발의 한쪽에 돌출한 가동 메스를 갖고, 이 돌출 부분에 구동기구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 노루 발을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에 적용하였을 경우, 가동 메스의 구동기구는 상자형 베드의 상면 부근에서 동작하게 된다.
한편, 봉제 작업중인 작업자는 일반적으로 노루 발의 양측 부근에서 봉제 천을 손으로 누르며 이송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이 봉제 천의 이송을 보조한다. 이러한 이송 보조는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에서 다루는 대형 봉제 천의 봉제 작업에서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에 메스 기구가 부착된 노루 발을 적용한 경우에는 노루 발의 한쪽에서는 가동 메스의 구동기구가 동작하고, 또한 노루 발의 다른 쪽에는 고정 메스의 일부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이송을 보조하기 어려워 봉제 작업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한편, 작업자는 대형 봉제 천의 맞춰 박기를, 이송 암형 편평봉 재봉틀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송 암형 편평봉 재봉틀은 가느다란 지름을 가진 통형의 재봉틀 베드를 구비하고 있어, 대형 봉제 천의 맞춰 박기를 실시하고자 할 경우, 재봉틀 베드에 의해 봉제 천을 지지하는 것이 불충분하여 양호하게 봉제 작업을 실시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봉제 천의 가장자리를 가지런히 자르는 메스 기구가 부착된 노루 발을 구비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 정도에 관계없이 양호하게 맞춰 박기를 마무리 지을 수 있으며, 더욱이 노루 발의 양측에서 작업자가 실시하는 이송 보조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은 바늘판의 폭방향의 양측에 봉제 천을 안착하기 위한 평탄한 상면을 가진 상자형의 재봉틀 베드와, 이 재봉틀 베드의 윗쪽 재봉틀 암에 수직하게 아래로 지지된 바늘대 및 누름 봉과, 이 바늘대 및 누름 봉의 하단에 각각 설치한 바늘 및 노루 발과, 상기 바늘판의 아래쪽의 상기 재봉틀 베드의 내부에 설치한 이송기구 및 루퍼를 구비하고, 상기 누름 봉과 함께 하강하는 상기 노루 발이 상기 바늘판 위를 누르며, 상기 이송기구에 의해 상기 바늘판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되는 봉제 천을 상기 바늘대와 함께 상하로 움직이는 상기 바늘과, 상기 이송 방향과 평행한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바늘판의 하면을 따라 요동하는 상기 루퍼에 의하여 봉제하는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노루 발은 상기 바늘판의 상면을 따라 상기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가동 메스와, 이 가동 메스와 슬라이딩하며 접하는 고정 메스를 가진 메스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바늘판 위에 봉제 천을 누르는 노루 발에 고정 메스 및 가동 메스를 가진 메스 기구를 설치하였으므로, 대형 봉제 천의 맞춰 박기를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하지 않고 양호한 품질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은 상기 재봉틀 베드의 상면이 상기 바늘판의 폭방향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이 바늘판의 상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자형 베드의 상면을 바늘판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바늘판의 상면보다도 낮게 하였기 때문에, 상자형 베드의 상면과 노루 발의 바깥쪽을 향한 가동 메스의 돌출 부분 사이에 간격이 확보된다. 작업자는 이 간격을 이용하여 노루 발 부근에서 봉제 천에 손을 써서 이송을 보조할 수 있어, 대형 봉제 천의 맞춰 박기를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은 상기 재봉틀 베드의 상면과 상기 바늘판의 상면이, 상기 바늘판의 양측에 상기 루퍼의 요동 영역과의 간섭을 피해 설치된 단차부에 의해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바늘판의 상면과 상자형 베드의 상면이 단차부에 의해 매끄럽게 연속되어 있다. 단차부는 루퍼의 요동 영역을 피하여 설치되어 있어 상자형 베드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루퍼 동작을 저해하지 않고, 대형 봉제 천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맞춰 박기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은 상기 재봉틀 암의 내부에 설치한 메스 진동축과, 이 메스 진동축의 반복 회동을 상기 가동 메스에 전달하여 이 가동 메스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재봉틀 암의 내부의 메스 진동축의 반복 회동을 구동기구를 통해 가동 메스에 전달한다. 노루 발에 설치된 가동 메스는 확실하게 왕복 동작하여 봉제 천의 가장자리를 가지런히 잘라, 맞춰 박기를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은 상기 구동기구가 상기 재봉틀 암의 하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지지하고, 상기 누름 봉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시를 안에서 끼워 유지하는 전동통과, 상기 재봉틀 암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전동통의 상부에 상기 메스 진동축의 반복 회동을 전달하는 전동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재봉틀 암의 외부에 돌출하는 상기 전동통의 하부에 상기 가동 메스의 장착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메스 진동축의 반복 회동을 가동 메스에 전달하는 구동기구가 누름 봉의 지지 부재를 겸하는 전동통을 구비하고 있어, 재봉틀 암의 내부의 메스 진동축으로부터 재봉틀 암의 외부의 가동 메스로의 전동을 간소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들 발명의 목적과 신규 특징은 이하에 서술하는 상세한 설명을 첨부 도면과 대조하여 보면, 보다 완전히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봉제 천의 가장자리를 가지런히 자르는 메스 기구가 부착된 노루 발을 구비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 정도에 관계없이 양호하게 맞춰 박기를 마무리 지을 수 있고, 더욱이 노루 발의 양측에서 작업자가 실시하는 이송 보조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바늘판의 장착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바늘판의 장착 위치 근방에서의 재봉틀 베드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4는, 가동 메스의 구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의 외관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상, 하 및 좌, 우"는 도 1중의 "상, 하 및 좌, 우"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의 지면 앞쪽을 "앞"이라 하고, 도 1의 지면 안쪽을 "뒤"라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은, 재봉틀 베드(1), 각주(脚柱)(2), 및 재봉틀 암(3)을 구비한다. 재봉틀 베드(1)는 상자형이며, 평탄한 상면(20)을 가진다. 각주(2)는 재봉틀 베드(1)의 우측 단부에 대략 수직하게 세워 설치된다. 재봉틀 암(3)은 각주(2)의 상단부로부터 재봉틀 베드(1)의 상면(20)과 평행을 이루며 좌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재봉틀 암(3)은 그 선단부에 바늘대(30) 및 누름 봉(31)을 지지하고 있다.
바늘대(30)는 재봉틀 암(3)의 내부에 상하 방향의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바늘대(30)는 재봉틀 암(3)의 내부에 설치된 바늘대 구동기구(미도시)의 동작에 따라 상하로 움직인다. 바늘대(30)는 재봉틀 암(3)의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바늘대(30)의 돌출 단부에는 바늘 잡이(40)를 거쳐 복수 개의 바늘(4, 4…)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바늘(4, 4…)은 바늘대(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승 및 하강한다.
누름 봉(31)은 바늘대(30)의 뒤쪽에서 재봉틀 암(3)의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누름 봉(31)의 돌출 단부에는 노루 발(5)이 장착되어 있다. 노루 발(5)은 후술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누름 봉(31)은 재봉틀 암(3)의 내부에 상하 방향의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누름 봉(31)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노루 발(5)은 누름 봉(31)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승 및 하강한다.
재봉틀 베드(1)의 상면(20)에는 바늘(4, 4…) 및 노루 발(5)의 하강 위치에 대응하도록 바늘판(10)이 장착된다. 도 2는, 바늘판(10)의 장착 상태의 설명도이다. 바늘판(1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로 긴 사각형의 평판으로, 재봉틀 베드(1)에 고정된 장착대(11)에, 복수 개(2개만 도시)의 고정나사(10a, 10a…)에 의해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바늘판(10)의 앞쪽 가장자리에는 폭방향(좌우 방향)의 중앙에 사각형의 절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바늘판 장착대(11)에는 바늘판(10)의 절개부(12)와 정합되는 위치에 오목부(12a)가 설치된다. 오목부(12a)는 절개부(12)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가이드 장착편(14)이 결합된다. 가이드 장착편(14)은, 오목부(12a)의 저면에 설치된 나사 구멍에 나사결합하는 누름나사(15)를 윗방향으로 밀어서 바늘판(10)의 이면에 밀어붙여 절개부(12) 밑에 고정된다. 가이드 장착편(14)은 전후로 나열된 2개의 나사 구멍을 가진다. 가이드 장착편(14)에는, 상기 나사 구멍의 각각에 나사결합하는 고정나사(17, 17)에 의해 천 가이드(16)가 조여져 고정된다. 천 가이드(16)는 고정나사(17, 17)에 의한 고정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바늘판(10) 상면의 폭방향 중앙에, 이 상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배치되는 평판형상의 부재이다.
또한, 바늘판(10)에는 이송 톱니구멍(13, 13…)이 형성된다. 이송 톱니구멍(13, 13…)은 전후로 긴 가느다란 폭을 가진 사각형의 개구로, 바늘판(10)의 좌우 양측으로 나뉘어 각 2개 설치되어 있다. 이송 톱니구멍(13, 13…)은 재봉틀 베드(1)의 내부에서 동작하는 이송 톱니를 돌출시키기 위해서 설치된다. 이송 톱니는 재봉틀 베드(1) 내부의 이송기구의 동작에 의해 전후운동 및 상하운동을 조합한 타원형의 운동을 수행하는 공지된 구성을 가진다. 이송 톱니는 위로 움직일 경우에 각각의 이송 톱니구멍(13, 13…)을 거쳐서 바늘판(10) 위로 돌출되어 후방으로 이동하고, 그 후에 아래로 움직여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 동작에 의해 바늘판(10) 상의 봉제 천(미도시)은 후방을 향해 간헐적으로 이송되게 된다.
도 2에는, 노루 발(5) 및 바늘(4, 4…)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노루 발(5)은 누름 봉(31)이 아래로 움직임에 따라 하강하게 되면, 도시한 바와 같이 바늘판(10) 위로 겹쳐지고, 이 바늘판(10)과의 사이에 봉제 천이 끼워진다. 노루 발(5)은 누름 봉(31)의 하단에 고정된 노루 발 본체(50)와, 2개의 누름 발(51, 52)을 가진다. 누름 발(51, 52)은 노루 발 본체(50) 앞부분의 좌우 양측에서 전방을 향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누름 발(51, 52)은 노루 발 본체(50)의 앞쪽에서 적당한 간격을 두고 대향하며, 봉제 천의 도입로를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노루 발(5)은 고정 메스(6a) 및 가동 메스(6b)를 구비하는 메스 기구를 장비하고 있다. 고정 메스(6a)는 좌측의 누름 발(51)에 고정된 판 형상의 메스이다. 고정 메스(6a)는 누름 발(51)에 설치된 사각형의 유지 구멍(53)에 삽입 고정된다. 도 2에는 누름 발(51)의 바깥쪽에 돌출한 고정 메스(6a)의 기부가 도시되어 있다. 고정 메스(6a)는 누름 발(51, 52)간의 상기 도입로 내부로 돌출한 선단에 날을 가지고 있다.
가동 메스(6b)는 우측의 누름 발(52)에 설치된 유지 구멍(54)에 삽입 유지된다. 가동 메스(6b)는 유지 구멍(54)의 안내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가동 메스(6b)는 누름 발(51, 52)간의 상기 도입로 내부로 돌출하는 선단부에 날을 가지고 있다. 가동 메스(6b)의 기부는, 누름 발(52)의 외측으로 적절한 길이로 돌출되어, 장착대(74)의 하단의 메스 홀더(75)에 고정되어 있다. 장착대(74) 및 메스 홀더(75)는 후술하는 구동기구(7)의 일부를 구성한다. 가동 메스(6b)는 구동기구(7)를 통해 전달되는 메스 진동축(9)(도 4 참조)의 반복 회동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왕복 동작한다. 왕복 동작하는 가동 메스(6b)의 선단의 날은 상기 도입로 내에서 고정 메스(6a)의 날에 슬라이딩하며 접한다.
바늘(4, 4…)은 좌, 우의 누름 발(51, 52)의 후방에서 상승 및 하강한다. 하강하는 바늘(4, 4…)은 노루 발 본체(50)에 설치한 바늘구멍(미도시) 및 바늘판(10)에 설치한 바늘구멍(10b, 10b…)(도 3 참조)을 통해 재봉틀 베드(1)의 내부에 도달한다. 누름 발(51, 52)간의 도입로에는 2장의 봉제 천이, 가장자리를 맞춰 바늘판(10) 위에 수직하게 세워진 자세로 도입된다. 고정 메스(6a) 및 가동 메스(6b)는 슬라이딩하며 접하는 위치에 도달한 봉제 천의 가장자리를 가지런히 자른다. 가지런히 잘린 천은 노루 발 본체(50)의 작용에 의해 상하로 겹쳐지고, 바늘(4, 4…)의 하강 위치로 이송되어 박아 이어진다.
전술한 천 가이드(16)는 누름 발(51, 52)간의 도입로 내부에 달하고 있어, 이 도입로 내에서 봉제 천이 세워진 자세를 유지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천 가이드(16)의 위치는 누름나사(15)를 풀어 가이드 장착편(14)과 함께 조절할 수 있다. 작업자는 천 가이드(16)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봉제 천의 도입 자세를 조정하고, 고정 메스(6a) 및 가동 메스(6b)에 의해 양호하게 가지런히 자를 수 있다.
또한, 천 가이드(16)는 누름나사(15)를 풀어 가이드 장착편(14)과 함께 재봉틀 베드(1)의 전방으로 떼어낼 수 있다. 천 가이드(16)는 다른 맞춰 박기를 실시할 경우에 떼어낸다. 다른 맞춰 박기란, 예를 들면 2장의 천 중 어느 한쪽 천의 가장자리만을 고정 메스(6a) 및 가동 메스(6b)에 의해 절단하고, 다른 쪽 천 위에 겹쳐서 박아 잇는 형태의 맞춰 박기 등이다.
우측의 누름 발(52)의 상면에는 가이드판(55)이 장착된다. 가이드판(55)은 우측의 누름 발(52)의 앞 부분에 수직하게 세워져, 좌측의 누름 발(51)의 뒷 부분을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평판이다. 가이드판(55)은 앞쪽이 오목하게 만곡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착된 가이드판(55)은 고정 메스(6a) 및 가동 메스(6b)에 의해 가지런히 잘려 제거된 봉제 천의 절단편을 안내하여 좌측의 누름 발(51)의 바깥쪽으로 밀어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틀 암(3)의 좌단면 하부에는 장착 브래킷(57)을 통해 흡입관(56)이 장착된다. 흡입관(56)은 노루 발(5)의 좌측 뒷부분을 향해 개구된 흡입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술한 가이드판(55)이 밀어내는 봉제 천의 절단편을 흡입구에 흡인하여 제거한다. 흡입관(56)의 장착 브래킷(57)은 뒷부분에 설치한 상하 방향의 핀(58)을 중심으로 앞 부분이 개방되도록 요동 조작할 수 있다. 흡입관(56)은 장착 브래킷(57)을 개방 조작함으로써, 노루 발(5)로부터 떨어진 대기위치로 이동한다. 대기위치로 이동한 흡입관(56)은 재봉틀 베드(1) 상으로의 봉제 천의 착탈을 저해하지 않는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틀 베드(1)는 바늘판(10)의 좌우 양측에 평탄한 상면(20)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재봉틀 베드(1)의 상면(20)은 바늘판(10)의 상면보다 낮다. 바늘판(10)의 장착 위치 우측에는 바늘판(10)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비스듬하게 내려가는 단차부(21)가 설치된다. 또한, 바늘판(1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방향의 양측에 경사진 모따기부(18, 18)를 구비하고 있다. 우측의 모따기부(18)는 재봉틀 베드(1)에 장착하였을 때 상기 단차부(21)에 연속된다. 재봉틀 베드(1)의 상면(20)은, 바늘판(10)의 우측에서는 모따기부(18) 및 단차부(21)의 높이만큼 바늘판(10)의 상면보다 낮고, 바늘판(10)의 좌측에서는 모따기부(18)의 높이만큼 바늘판(10)의 상면보다 낮다.
도 3은, 바늘판(10)의 장착 위치 근방에서의 재봉틀 베드(1)의 정면 단면도이다. 재봉틀 베드(1)의 내부에는 바늘판(10)의 아래쪽에 루퍼(8)가 설치되어 있다. 루퍼(8)는 루퍼대(81)의 선단부에 장착된다. 루퍼대(81)의 기부는 루퍼축(80)에 고정되어 있다. 루퍼축(80)은 바늘판(10)의 아래쪽으로 떨어진 위치에 축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여 가설(架設)되어 있으며, 재봉틀 주축(미도시)으로부터의 전동에 의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 회동한다. 루퍼대(81) 및 루퍼(8)는 루퍼축(80)의 반복 회동에 따라, 이 루퍼축(80)을 중심으로 도면 중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와 파선으로 나타내는 위치 사이에서 요동한다.
이와 같이 요동하는 루퍼(8)는 바늘(4, 4…)의 상승 및 하강과 동기하여 바늘판(10)의 하면을 가로질러 바늘구멍(10b, 10b…)을 통하여 하강하는 바늘(4, 4…)이 유지하는 침실을 잡는다. 루퍼(8)가 잡은 침실은 루퍼(8)가 유지하는 루퍼실과 서로 얽혀서 바늘판(10) 상의 봉제 천에 스티치를 형성한다. 루퍼(8)의 요동은 바늘(4, 4…)이 하강하는 바늘판(10)의 중앙부를 정점으로 하여 좌우 양측에서 바늘판(1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일어난다. 재봉틀 베드(1)의 단차부(21)는 루퍼(8) 요동 영역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설치된다.
도 3에서는, 바늘판(10)의 우측에 단차부(21)가 설치되고, 우측의 재봉틀 베드(1)의 상면(20)은 바늘판(10)의 상면보다 충분히 낮아, 바늘판(10)의 상면과의 사이에 도면 중에 H로 나타내는 단차가 확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늘판(10)의 상면에는 노루 발(5)이 하강하고 이 바늘판(10)과의 사이에 봉제 천이 끼워진다. 노루 발(5)은 메스 기구를 구비하며, 우측의 누름 발(52)의 바깥쪽에는 이 누름 발(52)이 유지하는 가동 메스(6b)의 단부 및 이 단부에 연속한 메스 홀더(75)가 위치한다.
본 발명에서는, 바늘판(10)의 상면과 재봉틀 베드(1)의 상면(20) 사이에 단차(H)가 존재하고, 메스 홀더(75)와 재봉틀 베드(1)의 상면(20) 사이에는 상기 단차(H) 이상의 간격이 생긴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 간격을 이용하여 노루 발(5) 부근에서 봉제 천을 손으로 눌러 재봉틀 베드(1)의 상면(20)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하면서 후방으로 밀어 봉제 천의 이송을 보조할 수 있다.
재봉틀 베드(1)의 상면(20)은 도 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늘판(10)의 우측의 재봉틀 베드(1)의 상부를 앞쪽부터 덮도록 장착된 앞 커버(22)에 의해 형성된다. 단차부(2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 커버(22)의 가장자리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21)는 바늘판(10)의 좌측에도 마찬가지로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노루 발(5)의 좌측에서도, 누름 발(51)의 바깥쪽으로 돌출한 고정 메스(6a)의 존재에 방해 받지 않고 바늘판(10) 부근에서 봉제 천을 눌러 이 봉제 천의 이송을 보조할 수 있다. 전술한 맞춰 박기는 이러한 이송의 보조에 의해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의 효과는 재봉틀 베드(1)의 상면(20)을 바늘판(10)의 상면보다 낮게 하기만 하면 되는 간단한 구성으로 달성할 수 있다. 재봉틀 베드(1)의 상면(20)은 낮게 한 것뿐으로, 바늘판(10)의 양측으로 펼쳐지는 평탄부는 존재하며 대형 봉제 천을 밑에서부터 지지하는 작용은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에 있어서, 대형 봉제 천의 가장자리끼리 일정 폭으로 겹쳐서 맞춰 박기 할 수 있다.
도 4는, 가동 메스(6b)의 구동기구(7)의 사시도이다. 도 4중의 '9'는 메스 진동축이다. 메스 진동축(9)은 재봉틀 암(3)의 내부에 지지되며, 재봉틀 주축으로부터의 전동에 의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 회동한다. 메스 진동축(9)의 일단부에는 지름방향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요동 암(90)이 고정된다. 요동 암(90)은 메스 진동축(9)의 반복 회동에 따라 요동한다.
구동기구(7)는 원통형을 이루는 전동통(70)을 구비한다. 전동통(70)은 축길이방향의 일단부를 대경(大徑)으로 하고, 이 대경부에 지름방향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설치된 메스 장착 암(71)을 구비하고 있다. 전동통(70)의 타단부에는 지름방향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전동 암(72)이 장착된다. 전동통(70)은 메스 장착 암(71)측을 밑으로 하여 재봉틀 암(3)의 하벽을 관통하는 지지통(73)에 끼워 넣어 중심축 주위에서의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전동통(70)의 상부는 재봉틀 암(3)의 내부로 돌출한다. 전동 암(72)은 전동통(70)의 돌출 단부에 설치된다. 전동 암(72)의 선단은 메스 진동축(9)의 요동 암(90)에 전동 링크(91)를 통해서 연결된다. 전동 링크(91)는 메스 진동축(9)의 반복 회동에 의한 요동 암(90)의 요동을 전동 암(72)에 전달한다. 전동 암(72)은 요동 암(90)의 요동에 따라 요동하고, 이 전동 암(72)을 구비하는 전동통(70)은 메스 진동축(9)의 반복 회동에 대응하는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 회동한다.
전동 링크(91)는 요동 암(90) 및 전동 암(72)과의 연결단에 볼 조인트(92, 92)를 구비한다. 볼 조인트(92, 92)는 다른 축 주위로 요동하는 요동 암(90)과 전동 암(72)과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를 흡수한다.
전동통(70)의 하단부에 설치한 메스 장착 암(71)은 재봉틀 암(3)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선단부에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좌(固定座)(71a)를 가진다. 이 고정좌(71a)에는 장착대(74)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장착대(74)의 하부에 설치된 메스 홀더(75)에,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 메스(6b)의 기부가 장착된다. 가동 메스(6b)는 노루 발(5)의 우측 누름 발(52)에 왕복 동작 가능하게 유지된다. 가동 메스(6b)는 메스 장착 암(71)이 요동함으로써 왕복 동작한다. 메스 홀더(75)는 장착대(74)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76)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다. 코일 스프링(76)은 메스 홀더(75)에 장착한 가동 메스(6b)를 아래 방향으로 눌러, 노루 발(5)의 상기 도입로 내부에서 고정 메스(6a)로 밀어붙인다. 왕복 동작하는 가동 메스(6b)의 선단의 날은 코일 스프링(76)에 의해 밀어붙여진 상태에서 고정 메스(6a)의 선단의 날에 슬라이딩하며 접하여 봉제 천의 가장자리를 확실하게 절단한다.
도 4에서는, 가동 메스(6b)의 장착 상태를 명시하기 위해, 이 가동 메스(6b)의 장착 방향을 실제와 다른 방향으로 하였다. 가동 메스(6b)는 메스 진동축(9)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장착되며, 이 메스 진동축(9)을 지지하는 재봉틀 암(3)의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왕복 동작한다.
전동통(70)은 원통형의 지지 부시(32)가 안쪽에서 끼워져 유지되고 있으며, 이 지지 부시(32)에는 누름 봉(31)이 삽입 통과된다. 누름 봉(31)의 하단은 재봉틀 암(3)의 외부로 돌출하고, 이 돌출단에 전술한 바와 같이 노루 발(5)이 장착된다. 누름 봉(31)은 지지 부시(32) 내에서 슬라이딩하며 접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에 따라 노루 발(5)이 상승 및 하강한다.
메스 구동기구(7)는 재봉틀 암(3)의 하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전동통(70)을 구비한다. 이 전동통(70)은 메스 진동축(9)으로부터의 전동에 의해 반복 회동하며, 가동 메스(6b)는 전동통(70)의 반복 회동에 따라 왕복 동작한다. 전동통(70)은 누름 봉(31)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시(32)가 안쪽에서 끼워져 유지되고 있으며, 누름 봉(31)과 동축을 이루어 재봉틀 암(3)을 관통한다. 메스 구동기구(7)는 재봉틀 암(3)의 내부의 메스 진동축(9)에서 재봉틀 암(3) 외부의 노루 발(5)에 설치된 가동 메스(6b)로의 전동을, 누름 봉(31)의 지지 부재를 겸하는 전동통(70)을 이용한 간소한 구성에 의해 실현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재봉틀은 중통 타입의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이며, 도 1에 나타낸 재봉틀과 마찬가지로, 재봉틀 베드(1), 각주(2) 및 재봉틀 암(3)을 구비하고 있다. 재봉틀 암(3)의 선단부에는 바늘대(30) 및 누름 봉(31)이 지지되고 있다. 바늘대(30)의 하단에는 바늘(4, 4…)이 장착되고, 누름 봉(31)의 하단에는 노루 발(5)이 장착된다. 재봉틀 베드(1)의 상면에는 바늘(4, 4…) 및 노루 발(5)의 하강 위치에 대응하도록 바늘판(10)이 가설되어 있다.
재봉틀 베드(1)는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늘판(10)의 좌우 양측에서 다른 형상을 하고 있다. 바늘판(10)의 우측(기단측)은 바늘판(10)보다 뒤쪽에 적절한 길이로 연장되는 평탄한 상면(20)을 가진 상자형 부분(1a)인데 반해, 바늘판(10)의 좌측(선단측)은 바늘판(10)의 길이 범위 내에서 평탄한 상면(20)을 가진 통형상 부분(1b)이다.
상자형 부분(1a) 및 통형상 부분(1b)의 상면(20)은 모두 바늘판(10)의 상면보다 낮다. 상자형 부분(1a)의 상면(20)은 바늘판(10) 우측 가장자리의 모따기부(18)(도 2 참조)와, 바늘판(10)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비스듬하게 내려가는 단차부(21)에 의하여 바늘판(10)의 상면에 연속된다. 통형상 부분(1b)의 상면(20)은 바늘판(10)의 좌측 가장자리의 모따기부(18)(도 2 참조)에 의해 바늘판(10)의 상면에 연속된다.
노루 발(5)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 봉(31)의 하단에 장착된 노루 발 본체(50)와, 이 노루 발 본체(5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누름 발(51, 52)을 구비한다. 노루 발(5)에는 고정 메스(6a) 및 가동 메스(6b)를 구비하는 메스 기구가 더 장비되어 있다. 이 메스 기구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 메스 구동기구(7)의 구동에 의해 동작하고, 좌우의 누름 발(51, 52) 사이로 도입되는 봉제 천의 가장자리를 가지런히 자른다. 메스 기구 및 메스 구동기구(7)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 ~ 도 4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도, 바늘 낙하 위치로 이송되는 봉제 천의 가장자리는 노루 발(5)에 장비된 메스 기구의 동작에 의해 가지런히 잘려지므로, 거의 일정한 바느질 폭으로 맞춰 박기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재봉틀 베드(1)의 상면(20)은 바늘판(10)의 상면보다도 낮기 때문에, 작업자는 바늘판(10) 및 노루 발(5)의 양측 부근에서 봉제 천을 손으로 눌러 이 봉제 천의 이송을 보조 할 수 있어, 대형 봉제 천의 맞춰 박기를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형태에서는, 재봉틀 베드(1)의 선단측에 통형상 부분(1b)이 설치되어 있고, 이 통형상 부분(1b)에 삽입 통과 가능한 통형의 천의 봉제에 대응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명확히 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과 청구범위에 서술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 재봉틀 베드
2: 각주
3: 바늘대
4: 바늘
5: 노루 발
10: 바늘판
20: 상면
21: 단차부
22: 앞 커버
30: 바늘대
31: 누름 봉
40: 바늘잡이
56: 흡입관
57: 장착 브래킷
58: 핀

Claims (5)

  1. 바늘판의 폭방향의 양측에 봉제 천을 안착하기 위한 평탄한 상면을 가진 상자형의 재봉틀 베드와, 상기 재봉틀 베드의 윗쪽의 재봉틀 암에 수직하게 아래로 지지된 바늘대 및 누름 봉과, 상기 바늘대 및 상기 누름 봉의 하단에 각각 장착된 바늘 및 노루 발과, 상기 바늘판의 아래쪽의 상기 재봉틀 베드의 내부에 설치된 이송기구 및 루퍼를 구비하고, 상기 누름 봉과 함께 하강하는 상기 노루 발이 상기 바늘판 위를 누르며, 상기 이송기구가 상기 바늘판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봉제 천을, 상기 바늘대와 함께 상하로 움직이는 상기 바늘과 상기 이송 방향과 평행한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바늘판의 하면을 따라 요동하는 상기 루퍼로 봉제하는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노루 발은 상기 바늘판의 상면을 따라 상기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가동 메스와, 이 가동 메스와 슬라이딩하며 접하는 고정 메스를 가진 메스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재봉틀 베드의 상면은 상기 바늘판의 폭방향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이 바늘판의 상면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틀 베드의 상면과 상기 바늘판의 상면은 상기 바늘판의 양측에 상기 루퍼의 요동 영역과의 간섭을 피하여 설치한 단차부에 의해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틀 암의 내부에 설치한 메스 진동축과, 이 메스 진동축의 반복 회동을 상기 가동 메스에 전달하고, 상기 가동 메스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재봉틀 암의 하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지지하며, 상기 누름 봉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시를 안에서 끼워 유지하는 전동통과,
    상기 재봉틀 암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전동통의 상부에 상기 메스 진동축의 반복 회동을 전달하는 전동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재봉틀 암의 외부로 돌출하는 상기 전동통의 하부에, 상기 가동 메스의 장착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
KR1020100013809A 2009-03-06 2010-02-16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 KR1013196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53779 2009-03-06
JP2009053779 2009-03-06
JPJP-P-2009-108327 2009-04-27
JP2009108327A JP4822193B2 (ja) 2009-03-06 2009-04-27 箱形ベッド二重環縫い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609A KR20100100609A (ko) 2010-09-15
KR101319610B1 true KR101319610B1 (ko) 2013-10-23

Family

ID=42688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809A KR101319610B1 (ko) 2009-03-06 2010-02-16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19610B1 (ko)
CN (1) CN1018247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1255B2 (ja) * 2011-05-18 2016-11-24 Juki株式会社 ミシン
CN103374796B (zh) * 2012-04-19 2015-04-22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六研究所 毛毯自动绷缝台裁断行走箱机构
DE102015005298A1 (de) * 2015-04-27 2016-10-27 PFAFF lndustriesysteme und Maschinen GmbH Mehrnadelkettenstichnähmaschine
CN105088545B (zh) * 2015-09-02 2017-10-03 宁波三合鑫自动化有限公司 筒式电脑直驱高速自动切线平缝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4694A (en) * 1979-09-20 1981-08-20 Rockwell Rimoldi Spa Trimming device for workpiece for sewing machine
JPH078658A (ja) * 1993-06-11 1995-01-13 Union Special Corp 重ね縫いを行うための装置、重ね縫いを行う機構を備えたミシン、並びに重ね縫いを行う方法
JPH09192367A (ja) * 1996-01-19 1997-07-29 Pegasus Sewing Mach Mfg Co Ltd 布案内を備えたメスつき押えをもつミシン
JPH11300071A (ja) * 1998-04-16 1999-11-02 Yamato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帯状物切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99772B2 (ja) * 2001-07-17 2011-10-26 Juki株式会社 筒型ミシン
JP2003245486A (ja) * 2002-02-26 2003-09-02 Pegasus Sewing Mach Mfg Co Ltd 二重環縫いミシン
JP4004313B2 (ja) * 2002-03-05 2007-11-07 宝生ミシン製造株式会社 ミシンのスプレッダー駆動装置
ITMI20030896A1 (it) * 2003-04-30 2004-11-01 Lonati Spa Dispositivo per perfezionare il posizionamento della punta
JP2008161542A (ja) * 2006-12-28 2008-07-17 Yamato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押え金
JP4337063B2 (ja) * 2007-02-08 2009-09-30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糸切り装置付きミシ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4694A (en) * 1979-09-20 1981-08-20 Rockwell Rimoldi Spa Trimming device for workpiece for sewing machine
JPH078658A (ja) * 1993-06-11 1995-01-13 Union Special Corp 重ね縫いを行うための装置、重ね縫いを行う機構を備えたミシン、並びに重ね縫いを行う方法
JPH09192367A (ja) * 1996-01-19 1997-07-29 Pegasus Sewing Mach Mfg Co Ltd 布案内を備えたメスつき押えをもつミシン
JPH11300071A (ja) * 1998-04-16 1999-11-02 Yamato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帯状物切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24709B (zh) 2013-03-06
CN101824709A (zh) 2010-09-08
KR20100100609A (ko)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8773B1 (ko) 노루 발 및 재봉틀
KR101319610B1 (ko) 상자형 베드 이중환봉 재봉틀
JP4492385B2 (ja) 鳩目穴かがりミシン
JP4919111B2 (ja) ミシンの押え装置
KR100723025B1 (ko) 미싱
JP4769505B2 (ja) 玉縁縫いミシン
JP2001025592A (ja) ミシンの布切り装置
JP4822193B2 (ja) 箱形ベッド二重環縫いミシン
JP4799946B2 (ja) 玉縁縫いミシン
JP2007029433A (ja) 穴かがり縫いミシン
JP2006187522A (ja) 玉縁縫いミシン
JP2008220920A (ja) 玉縁縫いミシン
JP4913373B2 (ja) ミシンの針駆動機構
JP5374069B2 (ja) 送り出し腕型ミシン
CN102808295B (zh) 缝纫机
JP2008237658A (ja) 穴かがりミシン
JP2001198380A (ja) 玉縁縫い装置の上糸切断装置。
JP2008229082A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
JP2010057529A (ja) 単環縫いミシンの糸切断方法並びにその装置
JP2005278929A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
JP6692152B2 (ja) 布切メス付きミシン
JP2006218189A (ja) ミシン
JP2011212151A (ja) ミシン
JP2003305287A (ja) メス付きミシン
JP2002166083A (ja) ミシンの押え上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