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568B1 - 방습 시트 및 그것을 목질계 기재에 점착하여 얻어지는 화장판 - Google Patents

방습 시트 및 그것을 목질계 기재에 점착하여 얻어지는 화장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568B1
KR101311568B1 KR1020097008667A KR20097008667A KR101311568B1 KR 101311568 B1 KR101311568 B1 KR 101311568B1 KR 1020097008667 A KR1020097008667 A KR 1020097008667A KR 20097008667 A KR20097008667 A KR 20097008667A KR 101311568 B1 KR101311568 B1 KR 101311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oisture
proof sheet
synthetic resin
bas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8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1070A (ko
Inventor
고오끼 후지이
요오이찌 히로따
히로아끼 아오야마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84523A external-priority patent/JP49980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34971A external-priority patent/JP4998084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61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wood or with an outer layer of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의 온도ㆍ습도에 큰 차가 있는 도어, 미닫이 도어, 칸막이 등의 목질계 기재에 점착하여 사용하는 경우라도 목질계 기재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방습 시트이며, 장기간 사용된 경우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박리가 발생하기 어려운 방습 시트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합성 수지제 기재층에 증착층이 적층된 방습 시트이며, 상기 합성 수지제 기재층의 표출면에 접착용 프라이머층이 적층된 방습 시트를 제공한다.
방습 시트, 화장판, 합성 수지제 기재층, 증착층, 접착제층

Description

방습 시트 및 그것을 목질계 기재에 점착하여 얻어지는 화장판 {MOISTUREPROOF SHEET AND DECORATIVE SHEET PRODUCED BY APPLYING THE MOISTUREPROOF SHEET TO WOODY BASE MATERIAL}
본 발명은 방습 시트 및 그것을 목질계 기재에 점착하여 얻어지는 화장판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환경 온도ㆍ습도의 변화에 의한 목질계 기재의 흡습이나 방습(흡방습)에 의해 발생하는 목질계 기재의 휨을 방지하는 방습 시트, 및 당해 방습 시트를 목질계 기재에 점착하여 이루어지는 화장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합판, 중밀도 섬유판(MDF), 하드 보드, 파티클 보드 등의 목질계 기재의 표면에 화장 시트를 점착한 화장판이, 도어, 미닫이 도어, 칸막이 등의 표면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목질계 기재는, 그 함수율이 외기 조건하에 있어서의 목질계 기재의 평형 함수율보다 작은 경우에는, 화장판의 화장 시트를 점착하고 있지 않는 면으로부터 흡습ㆍ흡수하고, 이 면을 팽창시킨다. 또한, 목질계 기재의 함수율이, 외기 조건하에 있어서의 목질계 기재의 평형 함수율보다 큰 경우에는, 방습ㆍ방수하여 수축시킨다. 이에 반해, 화장 시트를 점착한 면은 흡방습이 거의 없기 때문에, 화장 시트를 점착한 면과 목질계 기재가 표출한 면과의 팽창률이나 수축률이 다르다. 그 결과, 화장판에 휨이 발생하여 상품 가치가 저하한다.
화장판의 휨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1) 화장판이 휘지 않도록 금속 등으로 충분히 보강하는 방법, 2) 표면에 화장 시트를 점착한 화장판의 이면에, 이면으로부터의 흡방습을 방지하기 위해 이면에 도료를 도포 장착하는 방법, 3) 표면에 화장 시트를 점착한 화장판의 이면에, 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제 시트를 점착하는 방법, 4) 종이/폴리에틸렌/종이로 이루어지는 방습 시트(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를 점착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1)의 화장판을 보강하는 방법은, 플래시 도어(중공 구조 도어)와 같은 보강을 충분히 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휨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2)의 도료를 도포 장착하는 방법은, 목질계 기재의 도료의 흡입이 강하기 때문에, 도포막의 평활도가 불균일하게 되어 균일한 방습, 방수층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플래시 도어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고, 휨 방지에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목질계 기재에 합성 수지제 시트나 방습 시트를 점착하는 방법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합성 수지제 시트나 방습 시트를 점착하는 종래법에는 다음의 문제가 있다. 즉, 양측의 온도ㆍ습도에 큰 차가 있는 도어, 미닫이 도어, 칸막이 등에 장기간 사용된 경우에는, 목질계 기재의 수분 분포에 한쪽의 면측과 다른 쪽의 면측에서 차가 발생하고, 그 결과, 양면의 신장이나 수축의 정도가 달라, 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다른 문제로서, 방습 시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양면이 종이층이고, 에멀전형 접착제로 목질계 기재에 용이하게 점착할 수 있다는 우수한 가 공 적성을 갖는 반면, 종이층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된 경우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종이층을 경계로 하여 박리될 우려가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9-29919호 공보
본 발명은 양측의 온도ㆍ습도가 큰 차가 있는 도어, 미닫이 도어, 칸막이 등의 목질계 기재에 점착하여 사용하는 경우라도 목질계 기재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방습 시트이며, 장기간 사용된 경우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박리가 발생하기 어려운 방습 시트, 및 당해 방습 시트를 목질계 기재에 점착하여 이루어지는 화장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의 방습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는 것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방습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화장판에 관한 것이다.
1. 합성 수지제 기재층에 증착층이 적층된 방습 시트이며, 상기 합성 수지제 기재층의 표출면(노출면과 동의, 이하 동일)에 접착용 프라이머층이 적층된 방습 시트.
2. 상기 증착층의 표출면에 접착용 프라이머층이 적층된, 상기 항1에 기재된 방습 시트.
3. 합성 수지제 기재층에 증착층이 적층된 방습 시트이며, 상기 합성 수지제 기재층의 표출면에 접착제층을 통해 화장 시트가 점착된 방습 시트.
4. 상기 증착층의 표출면에 접착용 프라이머층이 적층된, 상기 항3에 기재된 방습 시트.
5. 상기 항1 또는 항2에 기재된 방습 시트가 화장판용 기재의 한쪽의 면에 점착된 화장판.
6. 상기 항5에 기재된 화장판이며, 상기 화장판용 기재의 다른 쪽의 면에 상기 항3 또는 항4에 기재된 방습 시트가 점착된 화장판.
7. 합성 수지제 기재층에 증착층, 접착제층, 제1 합성 수지층이 차례로 적층된 방습 시트이며, 상기 합성 수지제 기재층 및 상기 제1 합성 수지층의 각각의 표출면에 접착용 프라이머층이 각각 적층된 방습 시트.
8. 상기 합성 수지제 기재층과 상기 접착용 프라이머층 사이에 제2 합성 수지층이 적층된, 상기 항7에 기재된 방습 시트.
9. 상기 제1 합성 수지층에 적층된 상기 접착용 프라이머층의 표출면에 도안 인쇄층, 표면 보호층이 차례로 적층된 상기 항7 또는 항8에 기재된 방습 시트.
10. 상기 항7 또는 항8에 기재된 방습 시트가 화장판용 기재의 한쪽의 면에 점착된 화장판.
11. 상기 항10에 기재된 화장판이며, 상기 화장판용 기재의 다른 쪽의 면에 상기 항9에 기재된 방습 시트가 점착된 화장판.
12. 착색한 합성 수지제 기재층에 증착층이 적층된 방습 시트이며, 상기 증착층의 표출면에 접착용 프라이머층이 적층된 방습 시트.
13. 상기 합성 수지제 기재층의 표출면에 인쇄층을 형성하고, 상기 인쇄층의 전체면에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층이 적층된, 상기 항12에 기재된 방습 시트.
14. 상기 합성 수지제 기재층의 표출면에 인쇄층을 형성하고, 상기 인쇄층의 전체면에 접착제층을 통해 합성 수지제 투명층을 형성하고, 상기 합성 수지제 투명층에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층이 적층된, 상기 항12에 기재된 방습 시트.
15. 상기 항13 또는 항14에 기재된 방습 시트가 화장판용 기재의 한쪽의 면에 점착된 화장판.
16. 상기 항15에 기재된 화장판이며, 상기 화장판용 기재의 다른 쪽의 면에 상기 항12에 기재된 방습 시트가 점착된 화장판.
본 발명의 방습 시트는, 투습도(JIS Z 0208)가 2.0 g/㎡ㆍ24 hr 이하이기 때문에, 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제 시트 및 종이/폴리에틸렌/종이로 이루어지는 방습 시트에 비해 각별히 우수한 방습 성능을 갖는다.
상기 방습 시트를 점착한 화장판(도어, 미닫이 도어, 칸막이 등)은, 양측의 환경 온도ㆍ습도에 큰 차가 있는 장소에서 사용한 경우라도 휨의 발생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당해 화장판은, 장기간 사용된 경우나 외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방습 시트의 박리가 방지되고 있다. 또한, 합성 수지제 착색 기재층을 갖는 방습 시트를 점착한 화장판의 경우에는, 화장판용 기재의 표면색이나 색 불균일을 은폐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장판용 기재의 표면색이나 색 불균일에 의한 화장판의 의장성 저하가 방지되고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방습 시트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층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방습 시트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층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방습 시트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층 구성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방습 시트의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층 구성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방습 시트의 제5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층 구성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방습 시트를 사용한 화장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층 구성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방습 시트를 사용한 화장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층 구성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방습 시트의 제6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층 구성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방습 시트의 제7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층 구성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방습 시트의 제8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층 구성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방습 시트를 사용한 화장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층 구성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방습 시트를 사용한 화장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층 모식도이다.
[부호의 설명]
1(a) 내지 1(e), 1, 2, 2' : 방습 시트
2(a), 2(b), 3 : 화장판
10 : 합성 수지제 기재층(또는 합성 수지제 착색 기재층)
11 : 증착층
12, 19 : 접착제층
13 : 제1 합성 수지층(또는 합성 수지제 투명층)
14 : 제2 합성 수지층
15, 16 : 접착용 프라이머층
17 : 도안 인쇄층(또는 인쇄층)
18 : 표면 보호층
20 : 화장판용 기재
30 : 화장 시트
본 발명의 방습 시트 및 화장판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1)
도1은 방습 시트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층 구성도이다. 방습 시트[1(a)]는 합성 수지제 기재층(10)의 한쪽의 면에 증착층(11)과 접착용 프라이머층(16)을 형성하고, 상기 합성 수지제 기재층(10)의 다른 쪽의 면에 접착용 프라이머층(15)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도1에 도시한 층 구성은, 가장 바람직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접착 강도에 있어서 요구 레벨이 낮은 경우에는, 증착층측에 형성하는 접착용 프라이머층(16)은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도2)
도2는 방습 시트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층 구성도이다. 방습 시트[1(b)]는 합성 수지제 기재층(10)의 한쪽의 면에 증착층(11)과 접착용 프라이머층(16)을 형성하고, 합성 수지제 기재층(10)의 다른 쪽의 면에 접착제층(12)을 통해 화장 시트(30)를 점착한 것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접착 강도에 있어서 요구 레벨이 낮은 경우에는, 증착층측에 형성하는 접착용 프라이머층(16)은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상기 화장 시트(30)로서는, 기재 시트가 종이로 이루어지는 사양,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사양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고 소63-52580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6-16832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207897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9972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276133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화장지나 화장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도3)
도3은 방습 시트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층 구성도이다. 방습 시트[1(c)]는 합성 수지제 기재층(10)의 한쪽의 면에 증착층(11)과 접착제층(12)과 제1 합성 수지층(13)과 접착용 프라이머층(16)을 형성하고, 상기 합성 수지제 기재층(10)의 다른 쪽의 면에 접착용 프라이머층(15)을 형성한 것이다.
(도4)
도4는 방습 시트의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층 구성도이다. 방습 시 트[1(d)]는 방습 시트[1(c)]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수지제 기재층(10)과 상기 접착용 프라이머층(15) 사이에 제2 합성 수지층(14)을 형성한 것이며, 이것 이외에는 도3에 도시한 방습 시트[1(c)]와 동일하다. 또한, 도시는 하고 있지 않으나, 상기 합성 수지제 기재층(10)의 상기 제2 합성 수지층(14)이 적층되는 면에는 필요에 따라서 접착용 프라이머층이 형성되어도 좋다.
(도5)
도5는 방습 시트의 제5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층 구성도이다. 방습 시트[1(e)]는 방습 시트[1(c)]에 있어서 상기 접착용 프라이머층(16)의 표출면에 도안 인쇄층(17)과 상기 도안 인쇄층(17)을 형성한 면 전체면에 표면 보호층(18)을 형성한 것이며, 이것 이외에는 도3에 도시한 방습 시트[1(c)]와 동일하다. 또한, 도시는 하고 있지 않으나, 도4에 도시한 방습 시트[1(d)]의 상기 접착용 프라이머층(16)의 표출면에 도5와 마찬가지로 도안 인쇄층(17)과 상기 도안 인쇄층(17)을 형성한 면 전체면에 표면 보호층(18)을 형성한 것이라도 좋다.
(도6)
도6은 방습 시트를 사용한 화장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층 구성도이다. 화장판[2(a)]은 화장판용 기재(20)의 한쪽의 면에 상기한 도2에 도시한 방습 시트[1(b)]가 화장 시트(30)가 표출되도록 접착제층(19)을 통해 점착하고, 다른 쪽의 면에 상기한 도1에 도시한 방습 시트[1(a)]가 상기 접착용 프라이머층(15)이 표출되도록 접착제층(19)을 통해 점착한 것이다.
(도7)
도7은 방습 시트를 사용한 화장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층 구성도이다. 화장판[2(b)]은 화장판용 기재(20)의 한쪽의 면에 상기한 도5에 도시한 방습 시트[1(e)]가 도안 인쇄층(17)이 표출되도록 접착제층(19)을 통해 점착하고, 다른 쪽의 면에 상기한 도3에 도시한 방습 시트[1(c)]가 상기 접착용 프라이머층(16)이 표출되도록 접착제층(19)을 통해 점착한 것이다.
(도8)
도8은 방습 시트의 제6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층 구성도이다. 방습 시트(1)는 착색된 합성 수지제 기재층(이하, 합성 수지제 착색 기재층이라 호칭함)(10)의 한쪽의 면에 증착층(11)과 접착용 프라이머층(15)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합성 수지제 착색 기재층(10)의 다른 쪽의 면에, 필요에 따라서 접착용 프라이머층(16)(도11, 도12 참조)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다른 쪽의 면에 접착용 프라이머층(16)을 형성하는 경우로서는, 예를 들어 화장판용 기재의 이면에 방습 시트(1)로서 본래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형성하는 것이고, 이 방습 시트(1)를 설치한 화장판을, 예를 들어 도어, 미닫이 도어, 칸막이 등의 코어재에 점착할 때에, 코어재와 화장판을 접착하는 접착제의 선택 사항이 확대되어, 점착 작업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9)
도9는 방습 시트의 제7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층 구성도이다. 화장 시트(2)는 상기 방습 시트(1)의 상기 합성 수지제 착색 기재층(10)의 표출면에 인쇄층(17)을 형성하고, 상기 인쇄층(17)면 전체면에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 층(18)을 형성한 것이다.
(도10)
도10은 방습 시트의 제8 실시 형태를 도해적으로 도시하는 층 구성도이다. 방습 시트(2')는 상기 방습 시트(1)의 상기 합성 수지제 착색 기재층(10)의 표출면에 인쇄층(17)을 형성하고, 상기 인쇄층(17)면 전체면에 접착제층(12)을 통해 합성 수지제 투명층(13)을 형성하고, 상기 합성 수지제 투명층(13)면 전체면에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층(18)을 형성한 것이다.
(도11)
도11은 방습 시트를 사용한 화장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층 구성도이다. 화장판(3)은 화장판용 기재(20)의 한쪽의 면에 도9에 도시한 방습 시트(2)를 표면 보호층(18)이 표출되도록 접착제층(19)을 통해 점착하고, 다른 쪽의 면에 도8에 도시한 방습 시트(1)를 증착층(11)이 화장판용 기재(20)측에 위치하도록 접착제층(19)을 통해 점착한 것이다.
(도12)
도12는 방습 시트를 사용한 화장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층 구성도이다. 화장판(3)은 화장판용 기재(20)의 한쪽의 면에 도10에 도시한 방습 시트(2')를 표면 보호층(18)이 표출되도록 접착제층(19)을 통해 점착하고, 다른 쪽의 면에 도8에 도시한 방습 시트(1)를 증착층(11)이 화장판용 기재(20)측에 위치하도록 접착제층(19)을 통해 점착한 것이다.
또한, 도11, 도12에 있어서, 방습 시트(1)의 표출면에 접착용 프라이머 층(16)을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냈으나, 이것은 상기와 같이, 예를 들어 도어, 미닫이 도어, 칸막이 등의 코어재에 점착할 때의 점착 작업을 용이한 것으로 하기 위해 형성한 것이다.
방습 시트[1(a) 내지 1(e)] 및 화장판[2(a), 2(b)]
다음에, 방습 시트[1(a) 내지 1(e)] 및 화장판[2(a), 2(b)]을 구성하는 제 재료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합성 수지제 기재층(10)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또는 이들 혼합물 등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알릴레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수지; 폴리메타아크릴산메틸, 폴리메타아크릴산에틸, 폴리아크릴산부틸 등의 아크릴계 열가소성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틸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등의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합성 수지제 기재층(10)은, 1축 내지 2축 방향으로 연신한 시트라도, 미연신이라도 좋으나, 후술하는 증착층이 적어도 한쪽의 면에 형성되는 기재이고, 기계적 강도가 강하고,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등의 이유로부터 2축 방향으로 연신한 시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 수지제 기재층(10)의 두께로서는, 대략 9 내지 25 ㎛가 적당하다.
상기 증착층(11)으로서는, 알루미늄이 대표되는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무기물의 증착층, 또는 산화규소,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에 대표되는 무기 산화물의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무기 산화물 증착층이다. 이 증착층(11)은 진공 증착법, 플라즈마 활성화 화학 반응 증착법 등의 공지된 증착법으로, 상기한 합성 수지제 기재층(10)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박막 형성된다. 또한, 상기 증착층(11)으로서는, 알루미늄이 대표되는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증착층은 금속 광택이 있기 때문에, 도안 인쇄층(17)을 형성할 필요가 있는 방습 시트[1(e)]에 대해서는, 의장성의 점으로부터 금속 광택을 은폐해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플래시 도어 가공시에 고주파를 사용하여 접착을 행하는 경우 등이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증착층이 투명한 무기 산화물 증착층이다.
또한, 상기 증착층(11)의 가스 배리어성을 한층 향상시키는 목적에서, 상기 증착층(11) 상에 폴리비닐알코올 혹은 폴리비닐알코올에 산화규소,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에 대표되는 무기 산화물을 첨가한 조성물을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등의 공지된 도포 방법으로 폴리비닐알코올층 혹은 상기 조성물층을 도포 형성해도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합성 수지층(13) 및 상기 제2 합성 수지층(14)으로서는, 상기 합성 수지제 기재층(10)에서 설명한 수지 내지 수지를 시트화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그 두께로서는, 대략 9 내지 30 ㎛이다.
다음에, 상기 접착제층(12) 및 상기 접착용 프라이머층(15, 16)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접착제층(12) 및 상기 접착용 프라이머층(15, 16)에 사용하는 수지로서는 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염 화비닐-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부티랄계 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 내지 혼합하여 접착 조성물로 하고, 롤 코트법이나 그라비아 인쇄법 등의 적당한 도포 수단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12) 및 상기 접착용 프라이머층(15, 16)은, (Ⅰ) 아크릴 수지와 우레탄 수지의 공중합체와, (Ⅱ) 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즉, (Ⅰ)의 아크릴 수지와 우레탄 수지의 공중합체는,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아크릴 중합체 성분(성분 A), 양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성분(성분 B), 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성분 C)을 배합하여 반응시켜 프리폴리머로 이루고, 상기 프리폴리머에 디아민 등의 쇄연장제(성분 D)를 더 첨가하여 쇄연장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반응에 의해 폴리에스테르우레탄이 형성되는 동시에 아크릴 중합체 성분이 분자 중에 도입되고,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아크릴-폴리에스테르우레탄 공중합체가 형성된다. 이 아크릴-폴리에스테르우레탄 공중합체의 말단의 수산기를 (Ⅱ)의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경화시켜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성분 A는,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직쇄 형상의 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직쇄 형상의 폴리메탈메타크릴레이트(PMMA)가 내후성(특히 광열화에 대한 특성)이 우수하고, 우레탄과 공중합시켜 상용화하는 것이 용이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A는, 공중합체에 있어서 아크릴 수지 성분으로 되는 것으로, 분자량 5000 내지 7000(중량 평균 분자량)의 것이 내후성, 접착성이 특히 양호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분 A 는, 양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것만을 사용해도 좋으나, 한쪽 말단에 공역 이중 결합이 남아 있는 것을 상기한 양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것과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상기 성분 B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여 폴리에스테르우레탄을 형성하고, 공중합체에 있어서 우레탄 수지 성분을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성분 B는, 양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디올이 사용된다. 이 폴리에스테르디올로서는, 방향족 내지 스피로환 골격을 갖는 디올 화합물과 락톤 화합물 또는 그 유도체, 또는 에폭시 화합물과의 부가 반응 생성물, 이염기산과 디올의 축합 생성물, 및 고리 형상 에스테르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디올로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부탄디올, 헥산디올, 메틸펜텐디올 등의 단쇄 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지환족 단쇄 디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염기산으로서는 아디핀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로서 바람직한 것은, 산 성분으로서 아디핀산 내지 아디핀산과 테레프탈산의 혼합물, 특히 아디핀산이 바람직하고, 디올 성분으로서 3-메틸펜텐디올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사용한 아디페이트계 폴리에스테르이다.
상기 접착제층(12) 및 상기 접착용 프라이머층(15, 16)에 있어서, 상기 성분 B와 상기 성분 C가 반응하여 형성되는 우레탄 수지 성분은, 상기 접착제층(12) 및 상기 접착용 프라이머층(15, 16)에 유연성을 부여하고, 접착성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아크릴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아크릴 수지 성분은, 상기 접착제층(12) 및 상 기 접착용 프라이머층(15, 16)에 있어서 내후성 및 내블로킹성에 기여한다. 우레탄 수지에 있어서, 상기 성분 B의 분자량은 상기 접착제층(12) 및 상기 접착용 프라이머층(15, 16)에 유연성을 충분히 발휘 가능한 우레탄 수지를 얻을 수 있는 범위이면 된다. 아디핀산 내지 아디핀산과 테레프탈산의 혼합물과, 3-메틸펜탄디올 및 1,4-시클로헥사디메타놀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디올의 경우, 500 내지 5000(중량 평균 분자량)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C는, 1분자 중에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지방족 내지 지환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사용된다. 이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4(2,4,4)-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가 물성 및 비용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한 성분 A 내지 C를 반응시키는 경우의 아크릴 중합체,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및 후술하는 쇄연장제의 합계의 수산기(아미노기의 경우도 있음)와,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당량비는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과잉으로 되도록 한다.
상기한 3성분 A, B, C를 60 내지 120 ℃에서 2 내지 10시간 정도 반응시키면,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말단의 수산기와 반응하여 폴리에스테르우레탄 수지 성분이 형성되는 동시에 아크릴 중합체 말단의 수산기에 디이소시아네이트가 부가한 화합물도 혼재하고, 과잉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수산기가 잔존한 상태의 프리폴리머가 형성된다. 이 프리폴리머에 쇄연장제로 서, 예를 들어 이소포론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등의 디아민을 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상기 쇄연장제와 반응시켜, 쇄연장함으로써 아크릴 중합체 성분이 폴리에스테르우레탄의 분자 중에 도입되고,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Ⅰ)의 아크릴-폴리에스테르우레탄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Ⅰ)의 아크릴-폴리에스테르우레탄 공중합체에, (Ⅱ)의 이소시아네이트를 가하는 동시에, 도포법, 건조 후의 도포량을 고려하여 필요한 점도로 조절한 도포액으로 이루고, 그라비아 코트법, 롤 코트법 등의 공지된 도포법으로 도포함으로써 상기 접착제층(12) 및 상기 접착용 프라이머층(15, 16)을 형성하면 좋은 것이다. 또한, (Ⅱ)의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Ⅰ)의 아크릴폴리에스테르우레탄 공중합체의 수산기와 반응하여 가교 경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면 좋고, 예를 들어 2가 이상의 지방족 내지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열변색 방지, 내후성의 점으로부터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진디이소시아네이트의 단량체, 또는 이들 2량체, 3량체 등의 다량체, 혹은 이들 이소시아네이트를 폴리올에 부가한 유도체(아덕트체)와 같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층(12) 및 상기 접착용 프라이머층(15, 16)의 건조 후의 도포량으로서는, 1 내지 20 g/㎡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g/㎡이다. 또한, 상기 접착제층(12) 및 상기 접착용 프라이머층(15, 16)은, 필요에 따라서 실리카 분말 등의 충전제, 광안정제, 착색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한 층으로 해도 되는 것이 다.
또한, 상기 도안 인쇄층(17)은, 그라비아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실크스크린 인쇄법 등의 공지된 인쇄법으로 잉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안 인쇄층(17)으로서는, 예를 들어 나무결 모양, 돌결 모양, 천의 결 모양, 가죽 무늬 모양, 기하학 모양, 문자, 기호, 선화, 각종 추상 모양 등의 도안이다. 상기 도안 인쇄층(17)을 형성하는 잉크로서는, 비히클로서 염소화폴리에틸렌, 염소화폴리프로필렌 등의 염소화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1종 내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고, 이것에 안료, 용제, 각종 보조제 등을 가하여 잉크화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보호층(18)으로서는, 내마찰 손상성, 내마모성, 내오염성, 내수성, 내후성 등의 표면 물성을 부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고, 이 표면 보호층(18)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공지된 열경화형 수지 또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등의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도2에 도시한 방습 시트[1(b)]에 점착하는 화장 시트(30)로서는, 예를 들어 나무결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도안 인쇄가 적어도 실시된 종이 기재나 합성 수지제 기재로 이루어지는 공지된 화장 시트를 적용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접착제층(19)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접착제층(19)은, 방습 시트[1(a) 내지 1(e)]와 화장판용 기재(20)를 점착하기 위해 사용하는 층이다. 상 기 접착제층(19)을 형성하는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계, 열경화형 수지계, 고무(엘라스토머)계 등의 어느 타입이라도 되는 것이다. 이들은 공지된 것, 내지 시판품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계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 비닐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폴리비닐포말, 폴리비닐부티랄 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알킬에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아미드,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니트로셀룰로오스, 아세트산셀룰로오스, 열가소성 에폭시, 폴리스티렌,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열경화형 수지계 접착제로서는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레졸시놀 수지, 푸란 수지, 에폭시 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벤츠이미다졸, 폴리벤조티아졸 등을 들 수 있다. 고무계 접착제로서는 천연 고무, 재생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부틸 고무, 폴리술피드 고무, 실리콘 고무, 폴리우레탄 고무, 스테레오 고무(합성 천연 고무), 에틸렌프로플렌 고무, 블록 코폴리머 고무(SBS, SIS, SEBS 등)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화장 시트가 설치되는 방습 시트[1(b)], 혹은 도안 인쇄층(17)이 형성되는 방습 시트[1(e)]와 화장판용 기재(20)를 점착하는 상기 접착제층(19)은 화장판용 기재(20)의 표면색을 은폐하여 의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안료 등에 의해 착색해도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화장판용 기재(20)로서는, 합판, 파티클 보드, 중밀도 섬유판(MDF), 고밀도 섬유판(HDF) 등의 목질계 기재나 플래시 구조로 이루어지는 기재 를 들 수 있다.
방습 시트(1, 2, 2') 및 화장판(3)
방습 시트(1, 2, 2') 및 화장판(3)을 구성하는 여러 재료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합성 수지제 착색 기재층(10)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또는 이들 혼합물 등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알릴레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수지; 폴리메타아크릴산메틸, 폴리메타아크릴산에틸, 폴리아크릴산부틸 등의 아크릴계 열가소성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등의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합성 수지제 착색 기재층(10)은, 1축 내지 2축 방향으로 연신한 시트라도, 미연신이라도 되는 것이다. 착색제로서는, 내후성이 우수한 공지된 안료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수지와 안료와의 혼합 방법은 드라이 블랜드라도, 마스터 뱃치의 어느 것이라도 좋으나, 불균일이 없는 균일한 착색 기재층을 얻는다는 의미에서는 마스터 뱃치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합성 수지제 착색 기재층(10)은, 착색한 투명, 반투명 혹은 불투명(은폐성이 있음)한 어느 것이라도 되는 것이다.
상기 증착층(11)으로서는, 알루미늄이 대표되는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무기물의 증착층, 혹은 산화규소,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에 대표되는 무기 산 화물의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무기 산화물 증착층이다.
증착층(11)은 진공 증착법, 플라즈마 활성화 화학 반응 증착법 등의 공지된 증착법으로, 상기한 합성 수지제 착색 기재층(10)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박막 형성된다. 또한, 상기 증착층(11)으로서는, 알루미늄이 대표되는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증착층은 금속 광택이 있기 때문에, 인쇄층(17)을 형성할 필요가 있는 방습 시트(2, 2')에 대해서는, 의장성의 점으로부터 금속 광택을 은폐해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플래시 도어 가공시에 고주파를 사용하여 접착을 행하는 경우 등이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증착층이 투명한 무기 산화물 증착층이다. 또한, 상기 증착층(11)의 가스 배리어성을 한층 향상시키는 목적에서, 상기 증착층(11) 상에 폴리비닐알코올 혹은 폴리비닐알코올에 산화규소,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에 대표되는 무기 산화물을 첨가한 조성물을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등의 공지된 도포 방법으로 폴리비닐알코올층 혹은 상기 조성물층을 도포 형성해도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합성 수지제 투명층(13)으로서는, 상기 합성 수지제 착색 기재층(10)에서 설명한 수지 내지 수지를 시트화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합성 수지제 착색 기재층(10)과 마찬가지로 미연신의 상태, 혹은 1축 내지 2축 방향으로 연신한 상태의 어느 상태라도 좋고, 또한 2층 이상 적층한 상태라도 좋다. 또한, 상기 합성 수지제 투명층(13)은 반투명해도 좋고, 또한 착색한 투명 혹은 반투명해도 되는 것이다.
상기 합성 수지제 착색 기재층(10) 및 상기 합성 수지제 투명층(13)의 두께 로서는, 대략 12 내지 300 ㎛가 적당하다. 또한, 이들 층(10, 13)은, 필요에 따라서 필요한 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오존 처리 등의 공지된 이접착(易接着) 처리를 실시해도 되는 것이다. 또한, 이들 층(2, 2')은, 적절하게,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 자외선 방지제 등의 공지된 첨가제를 첨가한 것이라도 되는 것이다.
상기 인쇄층(17)으로서는, 그라비아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실크스크린 인쇄법 등의 공지된 인쇄법으로 잉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17)으로서는, 예를 들어 나무결 모양, 돌결 모양, 천의 결 모양, 가죽 무늬 모양, 기하학 모양, 문자, 기호, 선화, 각종 추상 모양 도안 등의 모양 도안 인쇄층과, 은폐성을 갖는 민판 도안 인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어느 한쪽의 구성이라도 좋다.
상기 인쇄층(17)을 형성하는 잉크로서는, 비히클로서 염소화폴리에틸렌, 염소화폴리프로핀 등의 염소화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등을 1종 내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고, 이것에 안료, 용제, 각종 보조제 등을 가하여 잉크화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환경 문제를 고려하면, 폴리에스테르,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폴리아세트산비닐,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의 1종 내지 2종 이상 혼합한 비염소계의 비히클이 적당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로 이루어지는 폴리 우레탄, 폴리아크릴,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의 1종 내지 2종 이상 혼합한 것이다. 이것에 안료, 용제, 각종 보조제 등을 가하여 잉크화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12) 및 상기 접착용 프라이머층(15, 16)에 대해서는 방습 시트[1(a) 내지 1(e)] 및 화장판[2(a), 2(b)]에 있어서의 설명과 동일하다.
다음에, 상기 표면 보호층(18)에 대해 설명한다. 이 표면 보호층(18)은 방습 시트(2, 2')에 요구되는 내마찰 손상성, 내마모성, 내오염성, 내수성, 내후성 등의 표면 물성을 부여하기 위해 형성된다. 표면 보호층(18)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열경화형 수지 내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등의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적당하나, 더 바람직하게는 표면 경도가 단단하고, 생산성이 우수한 등으로부터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이다.
열경화형 수지로서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2액 경화형 폴리우레탄도 포함함), 에폭시 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멜라민 수지, 구아나민 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 수지, 규소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에는 필요에 따라서, 가교제, 중합 개시제 등의 경화제, 또는 중합 촉진제를 첨가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경화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유기 술폰산염 등이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나 폴리우레탄 수지 등에 첨가되고, 유기 아민 등이 에폭시 수지에 첨가되고,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등의 과산화물이나 아조이소부틸니트릴 등의 래디컬 개시제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첨가된다.
상기 열경화형 수지로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 기한 열경화형 수지를 용액화하고,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등의 공지된 도포법으로 소정의 면에 도포하고, 건조하는 동시에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표면 보호층(18)의 도포량으로서는, 고형분으로 대략 5 내지 200 g/㎡이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g/㎡이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분자 중에, (메타)아크릴로일기,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 등의 래디컬 중합성 불포화기, 또는 에폭시기 등의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 프리폴리머 또는 폴리머로 이루어진다. 이들 단량체, 프리폴리머 또는 폴리머는 단체로 사용하거나, 혹은 복수종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라 함은, 아크릴레이트 내지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의미로 사용한다. 또한, 전리 방사선이라 함은, 전자파 내지 하전 입자선 중 분자를 중합 혹은 가교할 수 있는 에너지 양자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은 자외선 내지 전자선이다.
래디컬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프리폴리머로서는,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멜라민(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아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이 프리폴리머는, 통상 분자량이 10000 정도 이하의 것이 사용된다.
분자량이 10000을 초과하면 경화한 수지층의 내마찰 손상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내열성 등의 표면 물성이 부족하다. 상기한 아크릴레이트와 메타아크릴레이트는 공용할 수 있으나, 전리 방사선에서의 가교 경화 속도라는 점에서는 아크릴레이트의 쪽이 빠르기 때문에, 고속도, 단시간에 능률 좋게 경화시킨다는 목적에서는 아크릴레이트의 쪽이 유리하다.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프리폴리머로서는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지환형 에폭시 수지 등의 에폭시계 수지, 지방족계 비닐에테르, 방향족계 비닐에테르, 우레탄계 비닐에테르, 에스테르계 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계 수지, 고리 형상 에테르 화합물, 스피로 화합물 등의 프리폴리머를 들 수 있다.
래디컬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단량체의 예로서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단관능 단량체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벤질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칼비톨(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풀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하이드로겐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래디컬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다관능 단량체로서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 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에틸렌옥사이드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폴리에틸렌옥사이드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는, 상기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프리폴리머의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증감제로서 광중합 개시제를 첨가한다. 래디컬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수지계의 경우의 광중합 개시제는,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티옥산톤류,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미히라벤조일벤조에이트, 미히라케톤, 디페닐술파이드, 디벤질디술파이드, 디에틸옥사이트, 트리페닐비이미다졸, 이소프로필-N,N-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등을 단독 내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수지계의 경우에는,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술포늄염, 메탈로센 화합물, 벤조인술폰산에스테르, 푸릴옥시퀴소늄디알릴요오드실염 등을 단독 내지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광중합 개시제의 첨가량은, 전리 방사선 경화 형 수지 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부 정도이다. 상기 표면 보호층(18)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상기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용액화하고, 그라비아 코트법이나 롤 코트법 등의 공지된 도포 방법으로 소정의 면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도포량으로서는, 고형분으로서 대략 5 내지 200 g/㎡가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g/㎡이다.
상기 표면 보호층(18)에는,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서, 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트리아진계 등의 공지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나 평균 입경이 5 내지 120 ㎚ 정도의 이산화티탄, 산화세륨, 산화아연 등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혹은 힌더드 아민계 등의 공지된 광안정제, 혹은 대전 방지제, 레벨링제 등의 공지된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19)은 방습 시트(1) 및 방습 시트(2, 2')와 화장판용 기재(20)를 점착하기 위해 사용하는 층이고, 상기 접착제층(19)을 형성하는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계, 열경화형 수지계, 고무(엘라스토머)계 등의 어느 타입의 접착제라도 좋다. 이들은 시판품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계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부티랄 등), 시아노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알킬에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아미드,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니트로셀룰로오스, 아세트산셀룰로오스, 열가소성 에폭시, 폴리스티렌,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열경화형 수지계 접착제로서는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레졸시 놀 수지, 푸란수지, 에폭시 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벤츠이미다졸, 폴리벤조티아졸 등을 들 수 있다. 고무계 접착제로서는 천연 고무, 재생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부틸 고무, 폴리술피드 고무, 실리콘 고무, 폴리우레탄 고무, 스테레오 고무(합성 천연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블록 코폴리머 고무(SBS, SIS, SEBS 등)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방습 시트(2, 2')와 화장판용 기재(20)를 점착하는 상기 접착제층(19)은 화장판용 기재(20)의 표면색을 은폐하여 의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안료 등에 의해 착색해도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화장판용 기재(20)로서는, 합판, 파티클 보드, 중밀도 섬유판(MDF), 고밀도 섬유판(HDF) 등의 목질계 기재를 사용한 플래시 구조로 이루어지는 기재를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한쪽의 면에 실리카 증착층을 형성한 12 ㎛ 두께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하, 12 ㎛ 두께의 증착 PET 필름이라 호칭함)의 증층 층면에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접착제를 고형분으로서 3 g/㎡ 도포ㆍ건조하고, 상기 도포면에 T 다이 압출기로 폴리에틸렌(이하, PE라 호칭함)을 15 ㎛ 두께로 되도록 가열 용융 압출하여 적층체(PET 12 ㎛/증착층/PE 15 ㎛)를 제작했다. 상기 적층체의 양 표출면을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후에, 주제로서의 우레탄 수지/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에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한 2액 경화형 수지를 그라비아 인쇄 법으로 각각 고형분으로서의 도포량이 5 g/㎡의 접착용 프라이머층을 양면에 형성한 방습 시트를 제작했다. 상기 방습 시트를 3 ㎜ 두께의 MDF에 아세트산 비닐계 접착제를 습식 상태에서 8 g/척2(87.1 g/m2)도포ㆍ건조한 후에, 상기 도포면에 상기 방습 시트의 PET 필름면측이 위치하도록 롤 라미네이트기로 점착한 화장판을 제작했다.
제2 실시예
12 ㎛ 두께의 증착 PET 필름의 증층 층면에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접착제를 고형분으로서 3 g/㎡ 도포ㆍ건조하고, 상기 도포면에 T 다이 압출기로 PE를 15 ㎛ 두께로 되도록 가열 용융 압출하여 적층체(PET 12 ㎛/증착층/PE 15 ㎛)를 제작했다. 상기 적층체의 양 표출면을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후에, 주제로서의 우레탄 수지/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에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한 2액 경화형 수지를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각각 고형분으로서의 도포량이 5 g/㎡의 접착용 프라이머층을 양면에 형성한 후, PE면에 형성한 상기 접착용 프라이머 층면에, 주제로서의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에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한 비히클로 이루어지는 2액 경화형 인쇄 잉크를 사용하여,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민판 도안 인쇄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를 비히클로 하는 인쇄 잉크를 사용하여 도안 인쇄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주제로서의 아크릴폴리올계 수지에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한 2액 경화형 수지를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상기 민판 인쇄층 및 도안 인쇄층을 형성한 면 전체면에 고형분으로서 16 g/㎡로 되도록 인쇄하여 표면 보호층을 형성한 방습 시트를 제작했다. 상기 방습 시트를 3 ㎜ 두께의 MDF에 아세트산 비닐계 접착제를 습식 상태에서 8 g/척2(87.1 g/m2) 도포ㆍ건조한 후에, 상기 도포면에 상기 방습 시트의 PET 필름면측이 위치하도록 롤 라미네이트기로 점착한 화장판을 제작했다.
제3 실시예
12 ㎛ 두께의 증착 PET 필름의 증착면에 폴리비닐알코올 용액을 건조 후에 0.2 g/㎡로 되도록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도포한 후에, PET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코로나 방전 처리면과 폴리비닐알코올 도포면의 각각의 면에 주제로서 우레탄 수지/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에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한 2액 경화형 수지를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고형분으로서의 도포량이 2 g/㎡의 접착용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방습 시트를 제작했다. 상기 방습 시트를 3 ㎜ 두께의 MDF에 아세트산 비닐계 접착제를 습식 상태에서 8 g/척2(87.1 g/m2) 도포ㆍ건조한 후에, 상기 도포면에 상기 방습 시트의 증착면측이 위치하도록 롤 라미네이트기로 점착한 화장판을 제작했다.
제1 비교예
한쪽의 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23 g/㎡의 지간(紙間) 강화지를 코로나 방전 처리면이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T 다이 압출기로 PE를 40 ㎛ 두께로 되도록 가열 용융 압출하고, 소위 샌드위치 라미네이션법으로 적층한 방습 시트(지간 강화지 23 g/㎡/PE 40 ㎛/지간 강화지 23 g/㎡)를 제작했다. 상기 방습 시트를 3 ㎜ 두께의 MDF에 아세트산 비닐계 접착제를 습식 상태에서 8 g/척2(87.1 g/m2) 도포ㆍ건조한 후에, 상기 도포면에 롤 라미네이트기로 점착한 화장판을 제작했다.
제2 비교예
한쪽의 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23 g/㎡의 지간 강화지와 30 g/㎡의 지간 강화지를 코로나 방전 처리면이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T 다이 압출기로 PE를 40 ㎛ 두께로 되도록 가열 용융 압출하고, 샌드위치 라미네이션법으로 적층한 적층체(지간 강화지 23 g/㎡/PE 40 ㎛/지간 강화지 30 g/㎡)를 제작했다. 이어서, 상기 적층체의 30 g/㎡의 지간 강화지의 표출면에, 주제(主劑)로서의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에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한 비히클로 이루어지는 2액 경화형 인쇄 잉크를 사용하여,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민판 도안 인쇄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를 비히클로 하는 인쇄 잉크를 사용하여 도안 인쇄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주제로서의 아크릴폴리올계 수지에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한 2액 경화형 수지를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상기 민판 인쇄층 및 도안 인쇄층을 형성한 면 전체면에 고형분으로서 16 g/㎡로 되도록 인쇄하여 표면 보호층을 형성한 방습 시트를 제작했다. 상기 방습 시트를 3 ㎜ 두께의 MDF에 아세트산 비닐계 접착제를 습식 상태에서 8 g/척2(87.1 g/m2) 도포ㆍ건조한 후에, 상기 도포면에 상기 방습 시트의 23 g/㎡의 지간 강화지의 표출면이 위치하도록 롤 라미네이트기로 점착한 화장판을 제작했다.
제4 실시예
한쪽의 면에 알루미나 증착층을 형성한 50 ㎛ 두께의 착색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하, 착색 PET 필름이라 호칭함)의 증착층면에 폴리비닐알코올 용액을 건조 후에 0.2 g/㎡로 되도록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도포한 후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착색 PET 필름면에 아세틸셀룰로오스 수지를 주체로 하고,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한 비히클로 이루어지는 2액 경화형 인쇄 잉크를 사용하여,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민판 도안 인쇄층을 형성하고, 계속하여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를 비히클로 하는 인쇄 잉크를 사용하여 모양 도안 인쇄층(나무결 모양)을 형성했다. 이어서, 주제로서의 아크릴폴리올계 수지에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한 2액 경화형 수지를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상기 민판 인쇄층 및 모양 도안 인쇄층을 형성한 면 전체면에 고형분으로서 16 g/㎡로 되도록 인쇄하여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고, 또한 폴리비닐알코올을 도포한 증착층면에, 주제로서의 우레탄 수지/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에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한 2액 경화형 수지를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고형분으로서의 도포량이 2 g/㎡의 접착용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방습 시트를 제작했다. 상기 방습 시트를 3 ㎜ 두께의 MDF에 아세트산 비닐계 접착제를 습식 상태에서 8 g/척2(87.1 g/m2) 도포ㆍ건조한 후에, 상기 도포면에 상기 방습 시트의 증착층면측이 위치하도록 롤 라미네이트기로 점착한 화장판을 제작했다,
제5 실시예
한쪽의 면에 알루미나 증착층을 형성한 60 ㎛ 두께의 착색 폴리프로필렌 필 름(이하, 착색 PP 필름이라 호칭함)의 증착층면에 폴리비닐알코올 용액을 건조 후에 0.2 g/㎡로 되도록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도포한 후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착색 PP 필름면에 폴리우레탄/아크릴폴리올계 수지를 주체로 하고,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한 비히클로 이루어지는 2액 경화형 인쇄 잉크를 사용하여,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민판 도안 인쇄층을 형성했다. 이어서 폴리우레탄/아크릴폴리올계 수지를 비히클로 하는 인쇄 잉크를 사용하여 모양 도안 인쇄층(나무결 모양)을 형성하고, 이어서, 폴리비닐알코올을 도포한 증착층면에, 주제로서의 우레탄 수지/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에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한 2액 경화형 수지를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고형분으로서의 도포량이 2 g/㎡의 접착용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중간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상기 중간 시트의 인쇄층면 전체면에,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고형분으로서 2 g/㎡)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제층면에 에틸렌/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고,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와 힌더드 아민계 래디컬 포착제를 첨가한 폴리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T 다이 압출기로 가열 용융 압출하고, 80 ㎛ 두께의 투명 수지층을 형성했다. 이어서 상기 투명 수지층면 전체면에 아크릴/우레탄 블록 공중합체를 주제로 하고,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한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수지를 도포하여 투명 프라이머층(고형분으로서 1 g/㎡)을 형성했다. 또한 상기 투명 프라이머층면 전체면에,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도포하는 동시에 전자선〔가속 전압 : 175 KeV, 조사량 : 5 Mrad〕을 조사하여 투명한 표면 보호층(고형분으로서 5 g/㎡)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표면 보호층측으로 부터 엠보스 가공하여 오목 모양을 형성한 방습 시트를 제작했다. 상기 방습 시트를 3 ㎜ 두께의 MDF에 아세트산 비닐계 접착제를 습식 상태에서 8 g/척2(87.1 g/m2) 도포ㆍ건조한 후에, 상기 도포면에 상기 방습 시트의 증착층면측이 위치하도록 롤 라미네이트기로 점착한 화장판을 제작했다.
제3 비교예
한쪽의 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23 g/㎡의 지간 강화지와 30 g/㎡의 지간 강화지를 코로나 방전 처리면이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T 다이 압출기로 PE를 40 ㎛ 두께로 되도록 가열 용융 압출하고, 샌드위치 라미네이션법으로 적층한 적층체(지간 강화지 23 g/㎡/PE 40 ㎛/지간 강화지 30 g/㎡)를 제작했다. 이어서, 상기 적층체의 30 g/㎡의 지간 강화지의 표출면에, 주제로서의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에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한 비히클로 이루어지는 2액 경화형 인쇄 잉크를 사용하여,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민판 도안 인쇄층을 형성했다. 이어서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를 비히클로 하는 인쇄 잉크를 사용하여 도안 인쇄층을 형성했다. 이어서, 주제로서의 아크릴폴리올계 수지에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한 2액 경화형 수지를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상기 민판 인쇄층 및 도안 인쇄층을 형성한 면 전체면에 고형분으로서 16 g/㎡로 되도록 인쇄하여 표면 보호층을 형성한 방습 시트를 제작했다. 상기 방습 시트를 3 ㎜ 두께의 MDF에 아세트산 비닐계 접착제를 습식 상태에서 8 g/척2(87.1 g/m2) 도포ㆍ건조한 후에, 상기 도포면에 상기 방습 시트의 23 g/㎡의 지간 강화지의 표출면이 위치하도록 롤 라미네이트기 로 점착한 화장판을 제작했다.
제4 비교예
한쪽의 면에 알루미나 증착층을 형성한 60 ㎛ 두께의 착색 PP 필름 대신에, 증착층이 없는 단순한 60 ㎛ 두께의 착색 PP 필름을 사용한 이외에는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화장판을 제작했다. 당연, 증착층이 없기 때문에 폴리비닐알코올 용액의 도포도 행하지 않았다.
상기에서 제작한 제1 내지 제5 실시예, 및 제1 내지 제4 비교예의 화장판에 대해, 투습도, 평면 인장 강도를 하기하는 평가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냈다.
Figure 112009025662284-pct00001
(투습도의 평가 방법)
JIS Z 0208「방습 포장 재료의 투습도 시험 방법(컵법)」에 준거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방습 시트를 측정하여 투습도를 산출.
(평면 인장 강도의 평가 방법)
JAS 합판 평면 인장 시험에 준거하여 측정하여 평면 인장 강도를 산출. 또한, 평가에 제공한 화장판은, 방습 시트와 MDF를 24시간 콜드 프레스한 것을 사용하고, 화장판을 한 변이 5 ㎝인 정사각형으로 컷트하고, 바닥이 한 변이 2 ㎝인 정사각형의 금속 지그를 방습 시트면에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로 부착하고, 24시간 상온(약 23 ℃) 양생한 후, 커터 나이프로 금속 지그를 따라 MDF에까지 도달하는 절입을 넣고, 측정 시험 기기에 의해 시험편에 대해 수직면 방향으로 인장하고, 그 때의 박리 계면을 눈으로 관찰하여 평가하는 동시에 인장 강도를 측정했다.
(참고)
표1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습 시트는 실리카 증착층 또는 알루미나 증착층을 형성한 것에 의해, 투습도 성능의 향상이 보여지고, 환경 온도, 습도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화장판의 휨을 종래품에 비해 각별히 적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평면 인장 강도에 있어서는, 종이층을 층 구성에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화장판용 기재의 층간 박리(재료 파괴 = 재파)로 되어, 지간 박리에 비해 박리 강도가 향상한다.

Claims (16)

  1. 합성 수지제 기재층에 증착층 및 폴리비닐알코올 혹은 폴리비닐알코올에 무기 산화물을 첨가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이 적층된 방습 시트이며, 상기 합성 수지제 기재층의 표출면에 접착용 프라이머층이 적층된 방습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층의 표출면에 접착용 프라이머층이 적층된 방습 시트.
  3. 합성 수지제 기재층에 증착층 및 폴리비닐알코올 혹은 폴리비닐알코올에 무기 산화물을 첨가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이 적층된 방습 시트이며, 상기 합성 수지제 기재층의 표출면에 접착제층을 통해 화장 시트가 점착된 방습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층의 표출면에 접착용 프라이머층이 적층된 방습 시트.
  5. 제1항에 기재된 방습 시트가 화장판용 기재의 한쪽의 면에 점착된 화장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판용 기재의 다른 쪽의 면에 제3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방습 시트가 점착된 화장판.
  7. 합성 수지제 기재층에 증착층 및 폴리비닐알코올 혹은 폴리비닐알코올에 무기 산화물을 첨가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 접착제층, 제1 합성 수지층이 차례로 적층된 방습 시트이며, 상기 합성 수지제 기재층 및 상기 제1 합성 수지층의 각각의 표출면에 접착용 프라이머층이 각각 적층된 방습 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수지제 기재층과 상기 접착용 프라이머층 사이에 제2 합성 수지층이 적층된 방습 시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합성 수지층에 적층된 상기 접착용 프라이머층의 표출면에 도안 인쇄층, 표면 보호층이 차례로 적층된 방습 시트.
  10. 제7항에 기재된 방습 시트가 화장판용 기재의 한쪽의 면에 점착된 화장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판용 기재의 다른 쪽의 면에 제9항에 기재된 방습 시트가 점착된 화장판.
  12. 착색한 합성 수지제 기재층에 증착층 및 폴리비닐알코올 혹은 폴리비닐알코올에 무기 산화물을 첨가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이 적층된 방습 시트이며,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혹은 폴리비닐알코올에 무기 산화물을 첨가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의 표출면에 접착용 프라이머층이 적층된 방습 시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수지제 기재층의 표출면에 인쇄층을 형성하고, 상기 인쇄층의 전체면에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층이 적층된 방습 시트.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수지제 기재층의 표출면에 인쇄층을 형성하고, 상기 인쇄층의 전체면에 접착제층을 통해 합성 수지제 투명층을 형성하고, 상기 합성 수지제 투명층에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층이 적층된 방습 시트.
  15. 제13항에 기재된 방습 시트가 화장판용 기재의 한쪽의 면에 점착된 화장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판용 기재의 다른 쪽의 면에 제12항에 기재된 방습 시트가 점착된 화장판.
KR1020097008667A 2006-09-29 2007-09-28 방습 시트 및 그것을 목질계 기재에 점착하여 얻어지는 화장판 KR101311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66645 2006-09-29
JP2006266645 2006-09-29
JPJP-P-2007-084523 2007-03-28
JP2007084523A JP4998043B2 (ja) 2007-03-28 2007-03-28 化粧板
JP2007134971A JP4998084B2 (ja) 2006-09-29 2007-05-22 化粧板用裏面防湿シートおよび化粧板
JPJP-P-2007-134971 2007-05-22
PCT/JP2007/069077 WO2008044505A1 (fr) 2006-09-29 2007-09-28 Feuille résistant à l'humidité et FEUILLE décorative fabriquée en appliquant la feuille résistant à l'humidité SUR un matériau à base de bo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070A KR20090061070A (ko) 2009-06-15
KR101311568B1 true KR101311568B1 (ko) 2013-09-26

Family

ID=39282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8667A KR101311568B1 (ko) 2006-09-29 2007-09-28 방습 시트 및 그것을 목질계 기재에 점착하여 얻어지는 화장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11568B1 (ko)
HK (1) HK1137700A1 (ko)
WO (1) WO20080445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4158A1 (ja) * 2009-03-11 2010-09-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床用化粧材
JP7062893B2 (ja) * 2016-07-27 2022-05-09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化粧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2343A (ja) * 2002-07-10 2004-02-12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0524A (ja) * 1996-05-17 1997-11-25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板
JP2000071373A (ja) * 1998-08-28 2000-03-07 Toppan Printing Co Ltd 防湿シート、化粧板およびフラッシュパネ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2343A (ja) * 2002-07-10 2004-02-12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070A (ko) 2009-06-15
WO2008044505A1 (fr) 2008-04-17
HK1137700A1 (en) 201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1282B2 (ja) 床用化粧材の製造方法
JP4998043B2 (ja) 化粧板
JP4998084B2 (ja) 化粧板用裏面防湿シートおよび化粧板
JP5145645B2 (ja) 化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化粧板
JP2006306020A (ja) 化粧シート
JP4605844B2 (ja) 床材用化粧材の製造方法
JP5904159B2 (ja) 床用化粧材の製造方法
KR101523889B1 (ko) 바닥용 장식재
JP2005264136A (ja) 水性塗料
JP2010229788A (ja) 床用化粧材
KR101311568B1 (ko) 방습 시트 및 그것을 목질계 기재에 점착하여 얻어지는 화장판
KR20130041091A (ko) 바닥용 화장재
JP5370459B2 (ja) 防湿シート及び化粧板
JP2005127124A (ja) 床材用積層体
JP4583059B2 (ja) 床材用化粧シート
KR20050031443A (ko) 수성 도료
JP6036044B2 (ja) 床用化粧材
JP2008240423A (ja) 床材
JP2017080907A (ja) 防湿化粧板および建具
JP4450338B2 (ja) 建材用化粧シート
JP5288218B2 (ja) 化粧材
JP5935585B2 (ja) 床用化粧材
JP2007090755A (ja) 化粧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80231B2 (ja) 建材用防湿シート
JP4412623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