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084B1 -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084B1
KR101307084B1 KR1020120059002A KR20120059002A KR101307084B1 KR 101307084 B1 KR101307084 B1 KR 101307084B1 KR 1020120059002 A KR1020120059002 A KR 1020120059002A KR 20120059002 A KR20120059002 A KR 20120059002A KR 101307084 B1 KR101307084 B1 KR 101307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inner housing
rear wall
holes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5477A (ko
Inventor
미츠노리 기타지마
유지로 하시모토
가즈오 나카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5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을 조립된 상태로 로킹하는 로킹 수단을 쉽게 해제시키는 것이다.
커넥터는, 내부 하우징(10)의 후면(11R)을 덮고 시일 구멍(31)이 캐비티(12)와 정렬되도록 배치된 일체형 고무 플러그(30); 내부 하우징(10)을 둘러싸는 관형부(21) 및 후벽부(24)를 갖추며, 일체형 고무 플러그(30)의 후면(30R)을 덮고 삽입 구멍(25)을 시일 구멍(31)과 정렬하도록 배치된 외부 하우징(20); 후벽부(24)의 후면(24R)에서 개방되도록 형성된 로킹 구멍(26A, 26B); 및 내부 하우징(10)에 형성되며, 로킹 구멍(26A, 26B)과 결합되어 두 하우징(10, 20)을 조립된 상태로 로킹시키는 로킹부(17A, 17B) 를 갖춘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CONNECTOR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커넥터 및 그 조립 또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부 하우징, 외부 하우징, 복수의 단자 피팅 및 일체형 고무 플러그를 조립하여 형성된 커넥터가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2010-153072호에 개시되어 있다. 복수의 캐비티가 내부 하우징 내에 형성되고, 단자 피팅이 후방으로부터 각각의 캐비티에 삽입된다. 외부 하우징은, 내부 하우징을 둘러싸는 관형부 및 각각의 캐비티에 대응하는 복수의 삽입 구멍이 형성된 후벽부를 구비한다. 일체형 고무 플러그는 복수의 시일 구멍을 구비하며, 내부 하우징의 후면을 덮고 각각의 시일 구멍이 캐비티와 정렬되도록 장착된다. 후벽부는 삽입 구멍이 시일 구멍과 정렬된 상태로, 일체형 고무 플러그의 후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전술한 커넥터에서,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은, 내부 하우징의 후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탄성 로킹 피스를 외부 하우징의 관형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로킹 리세스와 결합시킴으로써, 조립된 상태로 로킹된다. 이 로킹 구조에서, 탄성 로킹 피스는 외부 하우징의 관형부에 둘러싸여 있으므로, 탄성 로킹 피스를 외부 하우징의 바깥에서부터 변형시켜 로킹 리세스와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상태를 고려하여 완성되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을 조립된 상태로 로킹하는 로킹 수단을 용이하게 로킹 해제시킴에 의해서, 전체적인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면에서 개구된 하나 이상의 캐비티가 형성된 내부 하우징; 상기 각각의 캐비티에 뒤쪽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 상기 내부 하우징의 후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하나 이상의 시일 구멍이 상기 각각의 캐비티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된 탄성 플러그; 상기 내부 하우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관형부 및 상기 탄성 플러그의 후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하나 이상의 삽입 구멍이 상기 각각의 시일 구멍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된 후벽부를 갖추는 외부 하우징; 상기 후벽부의 후면에서 개구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로킹 구멍; 및 상기 내부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로킹 구멍과 결합하여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을 조립된 상태로 로킹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부를 구비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로킹부와 로킹 구멍 간의 로킹 상태를 해제시킴에 있어서, 로킹부는 뒤쪽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로킹 구멍으로부터 결합 해제될 수 있다. 로킹부와 결합하는 로킹 구멍이 후벽부의 후면에서 개구되므로, 로킹부와 로킹 구멍을 결합 해제시킴에 있어서의 작업성이 뛰어나다. 나아가, 로킹부와 로킹 구멍의 결합 상태가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면에서 개구된 복수의 캐비티가 형성된 내부 하우징; 캐비티에 뒤쪽으로부터 삽입된 단자 피팅; 내부 하우징의 후면을 덮고 복수의 시일 구멍이 복수의 캐비티와 정렬되도록 배치된 일체형 고무 플러그; 내부 하우징을 둘러싸는 관형부 및 일체형 고무 플러그의 후면을 덮고 복수의 삽입 구멍이 복수의 시일 구멍과 정렬되도록 배치된 후벽부를 갖추는 외부 하우징; 후벽부의 후면에서 개구되도록 형성된 로킹 구멍; 내부 하우징에 형성되고, 로킹 구멍과 결합하여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을 조립된 상태로 로킹시키는 로킹부를 구비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특히, 상기 삽입 구멍의 개구부와 후벽부의 후면의 로킹 구멍의 개구부는 실질적으로 서로 연속되며 동일한 평면을 이룬다.
삽입 구멍의 개구부와 후벽부의 후면의 로킹 구멍의 개구부가 서로 연속되며 평행하므로, 후벽부의 후면은 넓은 영역에 걸쳐서 평평하다. 따라서, 형상의 단순화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특히, 적어도 하나의 계단형 수용부가 상기 로킹 구멍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로킹부는 수용부와 결합되어 있거나 결합된다.
로킹부가 로킹 구멍의 내주면과 결합되므로, 로킹부의 후단부가 후벽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될 필요가 없다.
또한 특히, 상기 후벽부의 후면 및 내부 하우징의 후면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며, 한 쌍의 로킹 구멍이 후벽부의 외주면을 이루는 네 변 중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한 두 변 각각을 따라 구비된다.
또한 특히, 한 변을 따른 상기 한 쌍의 로킹 구멍 사이의 간격과, 다른 변을 따른 상기 한 쌍의 로킹 구멍 사이의 간격은 서로 다르다.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을 부적절하게 뒤집힌 자세로 조립하려고 시도하더라도, 로킹부와 로킹 구멍이 대응되지 않으므로, 부적절한 자세로 조립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특히, 상기 로킹부와 후벽부는 서로 다른 색으로 설정된다.
로킹부와 후벽부가 서로 다른 색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후벽부의 후면 상의 로킹부의 존재를 쉽게 볼 수 있다. 따라서, 로킹부 등의 결합 상태의 확인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특히, 상기 내부 하우징은 탄성 플러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관형 수용부를 갖춘다.
또한 특히, 상기 수용부의 수용면 앞에 있는 로킹 구멍의 영역의 반경 방향 치수가, 로킹부의 반경 방향 치수보다 작고, 및/또는 관형 수용부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그보다 약간 작다.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특히 상기 양상 또는 그 특정한 실시예에 따른,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커넥터의 조립 또는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후면에서 개구된 하나 이상의 캐비티가 형성된 내부 하우징을 준비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을 상기 각각의 캐비티에 뒤쪽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내부 하우징의 후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하나 이상의 시일 구멍이 상기 각각의 캐비티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탄성 플러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내부 하우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관형부 및 후벽부를 갖추는 외부 하우징을, 상기 탄성 플러그의 후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하나 이상의 삽입 구멍이 상기 각각의 시일 구멍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후벽부의 후면에서 개구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로킹 구멍을, 상기 내부 하우징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로킹부와 결합시켜,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을 조립된 상태로 로킹시키는 단계.
특정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 구멍의 개구부와 후벽부의 후면의 로킹구멍의 개구부가, 실질적으로 서로 연속되며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설정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계단형 수용부가 상기 로킹 구멍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로킹부가 수용부와 결합된다.
또한 특히, 상기 후벽부의 후면 및 내부 하우징의 후면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며; 한 쌍의 로킹 구멍이 후벽부의 외주면을 이루는 네 변 중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한 두 변 각각을 따라 구비된다.
또한 특히, 한 변을 따른 상기 한 쌍의 로킹 구멍 사이의 간격과, 다른 변을 따른 상기 한 쌍의 로킹 구멍 사이의 간격은 서로 다르다.
또한 특히, 상기 로킹부와 후벽부는 서로 다른 색으로 설정된다.
또한 특히, 상기 방법은 상기 내부 하우징의 관형 수용부에 탄성 플러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의 수용면 앞에 있는 로킹 구멍의 영역의 반경 방향 치수가, 바람직하게는 로킹부의 반경 방향 치수보다 작고, 및/또는 관형 수용부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그보다 약간 작은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를 개별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경우에도, 이들 실시예의 하나의 특징이 다른 실시예에 조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외부 하우징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내부 하우징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내부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내부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유한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는 내부 하우징(10),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단자 피팅(13), 외부 하우징(20) 및 적어도 하나의 실링 플러그, 특히 일체형 탄성 또는 고무 플러그(30)를 구비한다.
내부 하우징(10)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로 만들어지며, (특히 실질적으로 블록 형태의) 하우징 본체(11; 특히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후면 형태를 가짐)와,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은, 하우징 본체(11)의 후면(11R)으로부터, 특히 실질적으로 그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뒤쪽으로 돌출된, 실질적으로 (특히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관 형상을 갖는 관형 수용부(16)의 일체 또는 단일의 조립체이다.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캐비티(12)가 하우징 본체(11)에 형성된다. 단자 피팅(13)은 삽입측으로부터, 특히 실질적으로 뒤쪽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 캐비티(12)에 삽입된다. 단자 피팅(13)의 후단부에 전선(14)이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11)의 외주면에 시일 링(15)이 장착된다. 또한, 관형 수용부(16)의 내주면의 전단부가 실링 면(19)으로 기능한다. 전후 방향의 실링 면(19)의 형성 영역은, 특히 실질적으로 하우징 본체(11)의 후면(11R)으로부터 관형 수용부(16)의 후단 가장자리(개구 가장자리)의 바로 앞 위치까지 연장된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둘 이상의(특히 두 쌍의) 로킹부(17A, 17B)가 관형 수용부(16)의 후단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하나 이상의, 특히 한 쌍의 측부(좌측 및/또는 우측) 제1 로킹부(17A)가 관형 수용부(16)의 한 변(특히,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후단 가장자리를 이루는 네 변 중의 상측변(16A))에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특히 한 쌍의 측부(좌측 및/또는 우측) 제2 로킹부(17B)가 관형 수용부(16)의 다른 변(특히,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후단 가장자리를 이루는 네 변 중의 상측변과 평행한 하측변(16B))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1 로킹부(17A) 사이의 측방향(상측변(16A) 및 하측변(16B)과 평행한 방향)의 간격은, 한 쌍의 제2 로킹부(17B)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설정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 로킹부(17A)는 실질적으로 관형 수용부(16)로부터(특히 그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뒤쪽으로 돌출되며, 관형 수용부(16)의 상면(외면)으로부터 위쪽(바깥쪽)으로 돌출된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 로킹부(17A)의 하면(내면)은 특히 관형 수용부(16)의 내면과 실질적으로 연속되며 동일한 평면을 이룬다. 관형 수용부(16)의 상면 또는 외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1 로킹부(17A)의 일부의 전면(前面)은 전후 방향에 대해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직각의 제1 로킹면(18A)으로 기능한다. 제1 로킹부(17A)의 후단부는 특히, 후측을 향할수록 그 상하면 간의 간격(두께)을 줄이도록 쐐기형(테이퍼형)을 갖는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2 로킹부(17B)는 실질적으로 관형 수용부(16; 특히 그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뒤쪽으로 돌출되며, 관형 수용부(16)의 하면(외면)으로부터 아래쪽(바깥쪽)으로 돌출된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2 로킹부(17B)의 상면(내면)은 특히 관형 수용부(16)의 내면과 실질적으로 연속되며 동일한 평면을 이룬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관형 수용부(16)의 하면 또는 외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제2 로킹부(17B)의 일부의 전면(前面)은 전후 방향에 대해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의 제2 로킹면(18B)으로 기능한다. 제2 로킹부(17B)의 후단부는 특히, 후측을 향할수록 그 상하면 간의 간격(두께)을 줄이도록 쐐기형(테이퍼형)을 갖는다.
상기 외부 하우징(20)은, 예를 들어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며,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특히 실질적으로 전방측이 개방된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관 형태의) 관형부(21)와, 관형부(21)의 후단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후벽부(24)의 일체 또는 단일의 조립체이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후벽부(24)의 후면(24R)은 하우징 본체(21) 및/또는 관형 수용부(16)와 유사한 (특히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도시 생략)를 연결하는 특유의 조작 부재인 레버(23)는 관형부(21)를 이루는 (특히 좌우 양측의) 벽부 상의 하나 이상의 지지 샤프트(22) 상에 이동 가능하게(특히 회전 또는 피벗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후벽부(24)에는, 실질적으로 후벽부(24)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며, 각각의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캐비티(12)와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삽입 구멍(25)이 형성된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후벽부(24)에는 하나 이상의, 특히 두 쌍의 로킹 구멍(26A, 26B)이 형성된다. 하나 이상의(특히 좌우 한 쌍의) 제1 로킹 구멍(26A)이 (한 쌍의) 제1 로킹부(17A)와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특히 좌우 한 쌍의) 제2 로킹 구멍(26B)이 (한 쌍의) 제2 로킹부(17B)와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특히 한 쌍의) 제1 로킹 구멍(26A)은 실질적으로 후벽부(24)의 일측을 따라, 특히 실질적으로 후벽부(24)의 실질적인 직사각형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네 변 중 상측변(24A)을 따라 배치되고, 및/또는 후벽부(24)의 모든 삽입 구멍(25)의 형성 영역의 위에(또는 바깥에) 위치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특히 한 쌍의) 제2 로킹 구멍(26B)은 실질적으로 후벽부(24)의 다른 측을 따라, 특히 실질적으로 후벽부(24)의 실질적인 직사각형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네 변 중 상측변(24A)과 평행한 하측변(24B)을 따라 배치되며, 후벽부(24)의 모든 삽입 구멍(25)의 형성 영역의 아래에(또는 바깥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1 로킹 구멍(26A) 사이의 측방향(상측변(24A) 및 하측변(24B)과 평행한 방향)의 간격은, 한 쌍의 제2 로킹 구멍(26B)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설정된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나 이상의 수용부(27A, 27B)가 로킹 구멍(26A, 26B) 내에 각각 형성된다. 특히 후단부의 내주면을 계단형으로 위쪽으로 커팅함으로써, 제1 로킹 구멍(26A) 내에 제1 수용부(27A)가 형성된다. 제1 수용부(27A)의 후면은 전후 방향에 대해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직각의 수용면으로 기능한다. 제1 로킹 구멍(26A)의 후단부 중, 제1 수용부(27A; 수용면) 뒤의 공간은 실질적으로 후벽부(24)의 후면(24R)에서 개구된다. 제1 수용부(27A)의 수용면 앞에 있는 제1 로킹 구멍(26A)의 영역의 높이(수직 방향 또는 반경 방향 치수)는 특히 제1 로킹부(17A)의 두께(수직 방향 치수)보다 작고, 및/또는 관형 수용부(16)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그보다 약간 작다.
한편, 특히 후단부의 내주면을 계단형으로 아래쪽으로 커팅함으로써, 제2 로킹 구멍(26B)내에 제2 수용부(27B)가 형성된다. 제2 수용부(27B)의 후면도 전후 방향에 대해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의 수용면으로 기능한다. 제2 로킹 구멍(26B)의 후단부 중, 제2 수용부(27B; 수용면) 뒤의 공간은 실질적으로 후벽부(24)의 후면(24R)에서 개구된다. 제2 수용부(27B)의 수용면 앞에 있는 제2 로킹 구멍(26B)의 영역의 높이(수직 방향 또는 반경 방향 치수)는 특히 제2 로킹부(17B)의 두께(수직 방향 치수)보다 작고, 및/또는 관형 수용부(16)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그보다 약간 작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후벽부(24)의 후면(24R)상의 삽입 구멍(25)의 개구 영역과 후벽부(24)의 로킹 구멍(26A, 26B)의 개구 영역은, 특히 실질적으로 서로 연속되며 동일한 평면을 이룬다. 이 형태에 따르면, 후벽부(24)의 후면(24R)이 넓은 영역(특히 실질적으로 전체 영역)에 걸쳐서 특히 실질적으로 평평하기 때문에, 형상의 단순화가 실현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후벽부(24)에는, 특히 후면(24R)에 형성된, 측방향으로 길고 전방 방향으로 깊으며 특히 전단이 폐쇄되어 있는 슬릿인, 하나 이상의, 특히 두 쌍의 조작 구멍(28A, 28B)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1 조작 구멍(28A)이 한 쌍의 제1 로킹 구멍(26A)의 위에 가까이 배치되고, 제1 로킹 구멍(26A)과 제1 조작 구멍(28A)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격벽(29A; 제1 수용부(27A)를 포함함)은 특히 실질적으로 수평 판의 형태를 갖는다. 제1 조작 구멍(28A)의 후단부와 제1 로킹 구멍(26A)의 후단부는 제1 수용부(27A) 뒤쪽의 공간을 통해서 실질적으로 통해 있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 로킹 구멍(26A; 제1 수용부(27A) 뒤쪽의 공간을 포함함)과 제1 조작 구멍(28A)은 서로 통하는 상태로 후벽부(24)의 후면(24R)상에서 개구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조작 구멍(28B)이 한 쌍의 제2 로킹 구멍(26B)의 아래에 가까이 배치되고, 제2 로킹 구멍(26B)과 제2 조작 구멍(28B)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제2 격벽(29B; 제2 수용부(27B)를 포함함)은 특히 실질적으로 수평 판의 형태를 갖는다. 제2 조작 구멍(28B)의 후단부와 제2 로킹 구멍(26B)의 후단부는 제2 수용부(27B) 뒤쪽의 공간을 통해서 통해 있다. 따라서, 제2 로킹 구멍(26B; 제2 수용부(27B) 뒤쪽의 공간을 포함함)과 제2 조작 구멍(28B)은 서로 통하는 상태로 후벽부(24)의 후면(24R)상에서 실질적으로 개구되어 있다.
탄성 플러그(30; 특히 일체형 고무 플러그)의 후면(30R)은 특히 실질적으로 하우징 본체(11), 관형 수용부(16) 및/또는 후벽부(24)와 유사한 (특히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체형 고무 플러그(30)에는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시일 구멍(31)이 형성된다. 이 시일 구멍(31)은,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및/또는 각각의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캐비티(12) 및/또는 각각의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삽입 구멍(25)에 실질적으로 대응된다. 하나 이상의 립부(lip portion)가 각각의 시일 구멍(31)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나아가, 하나 이상의 립부가 일체형 고무 플러그(30)의 외주면에도 형성된다. (특수한 탄성 플러그로서의) 일체형 고무 플러그(30)가 관형 수용부(16) 내에 (특히 실질적으로 뒤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며, 또한 하우징 본체(11; 내부 하우징(10))의 후면(11R)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장착된다. 일체형 고무 플러그(30)가 내부 하우징(10)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일체형 고무 플러그(30)의 외주면 상의 립부는 관형 수용부(16)의 실링면(19)과 액밀식으로 실질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외부 하우징(20)과 내부 하우징(10)은, 내부 하우징(10)을, 특히 실질적으로 앞에서부터 외부 하우징(20)의 관형부(21)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함에 따라서 조립된다. 두 하우징(10, 20)이 조립된 상태에서, 관형부(21)의 후단부가 관형 수용부(16)에 감합되거나 장착되고, 이에 의해 두 하우징(10, 20)의 수직 방향 및 측방향(두 하우징(10, 20)의 조립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의 상대적 이동이 특히 방지된다. 나아가, 관형 수용부(16)의 후단 가장자리가 특히 후벽부(24)의 전면과 앞으로부터 접촉하거나 매우 가깝게 마주보는 상태로 유지되므로, 내부 하우징(10)의 특히 외부 하우징(20)에 대한 뒤쪽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나아가, 두 하우징(10, 20)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로킹부(17A, 17B)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로킹 구멍(26A, 26B)에 감합된다. 로킹부(17A, 17B)가 로킹 구멍(26A, 26B)에 감합될 때, 먼저 로킹부(17A, 17B)의 (특히 실질적으로 쐐기형인) 후단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로킹 구멍(26A, 26B)에 삽입된다. 로킹부(17A, 17B)가 삽입됨에 따라, 로킹 구멍(26A, 26B)과 조작 구멍(28A, 28B)을 구획하고 있는 격벽(29A, 29B)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조작 구멍(28A, 28B) 쪽으로 이탈한다. 로킹부(17A, 17B)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질적으로 적절한 삽입 위치로 감합되어 수용부(27A, 27B)와 결합될 때, 로킹부(17A, 17B)가 격벽(29A, 29B)을 통과한다. 그에 따라 격벽(29A, 29B)이 로킹 구멍(26A, 26B) 쪽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며, 로킹부(17A, 17B)의 로킹면(18A, 18B)이 로킹 구멍(26A, 26B)의 수용면과 뒤로부터 결합되거나 매우 가깝게 마주보게 된다.
로킹 구멍(26A, 26B)과 로킹부(17A, 17B)의 이러한 결합에 의해, 내부 하우징(10)의 외부 하우징(20)에 대한 앞쪽(분리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나아가, 로킹부(17A, 17B)에 의해 로킹되는 수용부(27A, 27B)는 특히 로킹 구멍(26A, 26B)의 내주면을 계단형으로 우묵하게 함으로써 형성되며, (특히 실질적으로 전체) 로킹부(17A, 17B)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로킹 구멍(26A, 26B) 내에 수용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로킹부(17A, 17B)의 후단부가 후벽부(24)의 후면(24R)으로부터 바깥으로(뒤로) 돌출될 필요가 없다. 상기에 의해, 두 하우징(10, 20)은 조립된 상태로 유지된다.
두 하우징(10, 20)이 조립된 때에, 후벽부(24)는 탄성 플러그(30; 특히, 일체형 고무 플러그)의 후면(30R)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위치되고,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삽입 구멍(25)은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시일 구멍(31)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위치된다. 단자 피팅(13)에서부터 실질적으로 뒤쪽으로 연장되는 상기 전선(14)은 시일 구멍(31)을 지나고, 전선(14)의 외주면과 시일 구멍(31)의 내주면 사이의 틈은 유밀식 또는 액밀식으로 밀봉된다. 단자 피팅(13)을 캐비티(12) 안으로 삽입함에 있어서, 단자 피팅(13)이 삽입 구멍(25)과 시일 구멍(31)을 연속적으로 통과한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두 하우징(10,20)을 조립된 상태로 로킹시키는 로킹부(17A, 17B)는, 특히 후벽부(24)의 후면(24R)에서 개구된 로킹 구멍(26A, 26B)에 수용된 상태에서, 후벽부(24)의 뒤쪽에서부터 볼 수 있다. 두 하우징(10, 20)이 조립되는 도중에, 격벽(29A, 29B)은 조작 구멍(28A, 28B) 쪽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하고, 격벽(29A, 29B; 수용부(27A, 27B))은 특히 실질적으로 전체 두께 영역에서 로킹부(17A, 17B)와 실질적으로 나란히 위치될 수 있고, 보여질 수 있다. 나아가, 두 하우징(10, 2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특히 격벽(29A, 29B)은 탄성적으로 복원되므로, 격벽(29A, 29B; 수용부(27A, 27B))의 일부는 로킹부(17A, 17B)의 뒤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격벽(29A, 29B)과 로킹부(17A, 17B)의 위치 관계 및/또는 격벽(29A, 29B) 전체가 보이는지 여부를 근거로, 두 하우징(10, 20)의 조립 상태(로킹부(17A, 17B)와 로킹 구멍(26A, 26B)의 결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두 하우징(10, 20)을 분리시킬 때에는, 지그(도시되지 않음)를 조작 구멍(28A, 28B) 안에, 예를 들어 뒤쪽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여 로킹부(17A, 17B)와 수용부(27A, 27B)의 결합을 해제시키게 된다. 특히 일자 스크류드라이버나 이와 유사한 형태를 지닌 것들이 지그로서 사용될 수 있다. 로킹 상태를 해제할 때에는, 지그의 끝단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작 구멍(28A, 28B)의 후단에 삽입하고, 지그를 조작 구멍(28A, 28B)의 후단을 중심으로 하여 로킹 구멍(26A, 26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인다. 이와 같이 하면, 지그에 의해 눌린 조작 구멍(28A, 28B)이 로킹 구멍(26A, 26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격벽(29A, 29B) 및 수용부(27A, 27B)도 조작 구멍(28A, 28B)을 따라서 로킹 구멍(26A, 26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수용부(27A, 27B)를 이동시킴에 의해서, 수용부(27A, 27B)가 로킹부(17A, 17B)로부터 해제되어 로킹 상태를 해제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킹부(17A, 17B)와 결합하는 로킹 구멍(26A, 26B)이 후벽부(24)의 후면(24R)에서 개구되므로, 로킹부(17A, 17B)와 로킹 구멍(26A, 26B)의 로킹 상태를 해제시킬 때의 작업성이 뛰어나다.
또한 특히, 후벽부(24)의 후면(24R)과 내부 하우징(10)의 후면(11R)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갖고, 한 쌍의 로킹 구멍(26A)과 한 쌍의 로킹 구멍(26B)은 후벽부(24)의 외주면을 이루는 네 변 중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한 상측변(24A) 및 하측변(24B)을 따라 각각 구비되고, 및/또는 상측변(24A)을 따른 한 쌍의 제1 로킹 구멍(26A) 사이의 간격과 하측변(24B)을 다른 한 쌍의 제2 로킹 구멍(26B)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다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외부 하우징(20)과 내부 하우징(10)을 부적절한(예를 들어, 뒤집힌) 자세로 조립하려 시도하더라도, 로킹부(17A, 17B)와 로킹 구멍(26A, 26B)이 대응되지 않고 결합될 수 없으므로, 부적절한 자세로 조립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특히 내부 하우징(10)과 외부 하우징(20)은 다른 색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내부 하우징(10)에 형성된 로킹부(17A, 17B)와 외부 하우징(20)에 형성된 후벽부(24)가 서로 다른 색을 가지므로, 후벽부(24)의 후면(24R) 상의 로킹부(17A, 17B)의 존재를 쉽고 확실하게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로킹부(17A, 17B) 등의 결합 상태의 확인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을 조립된 상태로 로킹하는 로킹 수단을 용이하게 해제시켜 전체적인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커넥터는 내부 하우징(10)의 후면(11R)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하나 이상의 시일 구멍(31)이 하나 이상의 각각의 캐비티(12)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된 탄성 플러그(30; 특히 일체형 고무 플러그); 상기 내부 하우징(1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관형부(21) 및 상기 탄성 플러그(30; 일체형 고무 플러그)의 후면(30R)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하나 이상의 삽입 구멍(25)이 상기 시일 구멍(31)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된 후벽부(24)를 갖추는 외부 하우징(20); 상기 후벽부(24)의 후면(24R)에서 개구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로킹 구멍(26A, 26B); 및 상기 내부 하우징(10)에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로킹 구멍(26A, 26B)과 결합하여 상기 두 하우징(10, 20)을 조립된 상태로 로킹시키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로킹부(17A, 17B)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하고 예시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
(1)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체형 고무 플러그가 내부 하우징에 형성된 관형 수용부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및/또는 로킹부가 관형 수용부의 후단 가장자리에 형성되지만, 상기 일체형 고무 플러그는 외부 하우징에 형성된 관형 수용부의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고, 내부 하우징의 관형부가 이 관형 수용부의 외주면에 감합될 수도 있으며, 로킹부는 관형부의 후단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도 있다.
(2)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로킹부가 로킹 구멍의 내주면 상의 수용부와 결합하지만, 로킹부는 후벽부의 후면 상의 로킹 구멍의 구멍 가장자리부와 결합할 수도 있다.
(3)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외부 하우징의 후벽부와 관형부가 일체 또는 단일로 형성되지만, 이들은 별개의 부품일 수도 있다.
(4)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삽입 구멍의 개구부와 후벽부의 후면 상의 로킹 구멍의 개구부가 서로 연속되고 동일한 평면을 이루지만, 이들은 하나 이상의 단차를 통해서 연결될 수도 있다.
(5)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 쌍의 로킹부가 후벽부의 외주면을 이루는 네 변 중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한 두 변 각각을 따라 구비되지만, 로킹 구멍의 수와 배치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설정할 수도 있다.
(6)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로킹부와 후벽부가 다른 색으로 설정되었지만, 이들은 같은 색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7)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로킹부와 로킹 구멍의 로킹 상태를 해제할 때에, 로킹 구멍을 형성하는 격벽을 탄성적으로 이동시켜 로킹 구멍을 로킹부로부터 로킹 해제시켰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로킹부가 로킹 구멍으로부터 로킹 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10: 내부 하우징
11R: 내부 하우징의 후면
12: 캐비티
13: 단자 피팅
17A: 제1 로킹부
17B: 제2 로킹부
20: 외부 하우징
21: 관형부
24: 후벽부
24A: 상측(측부 형성 후벽부)
24B: 하측(측부 형성 후벽부)
24R: 후벽부의 후면
25: 삽입 구멍
26A: 제1 로킹 구멍
26B: 제2 로킹 구멍
27A: 제1수용부
27B: 제2수용부
30: 일체형 고무 플러그(탄성 플러그)
30R: 일체형 고무 플러그(탄성 플러그)의 후면
31: 시일 구멍

Claims (15)

  1. 후면에서 개구된 하나 이상의 캐비티(12)가 형성된 내부 하우징(10);
    상기 각각의 캐비티(12)에 뒤쪽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13);
    상기 내부 하우징(10)의 후면(11R)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하나 이상의 시일 구멍(31)이 상기 각각의 캐비티(12)와 정렬되도록 배치된 탄성 플러그(30);
    상기 내부 하우징(1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관형부(21) 및 상기 탄성 플러그(30)의 후면(30R)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하나 이상의 삽입 구멍(25)이 상기 각각의 시일 구멍(31)과 정렬되도록 배치된 후벽부(24)를 갖추는 외부 하우징(20);
    상기 후벽부(24)의 후면(24R)에서 개구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로킹 구멍(26A; 26B); 및
    상기 내부 하우징(10)에 형성되고, 상기 로킹 구멍(26A; 26B)과 결합하여 상기 내부 하우징(10)과 상기 외부 하우징(20)을 조립된 상태로 로킹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부(17A; 17B)
    를 구비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구멍(25)의 개구부와 상기 후벽부(24)의 후면의 상기 로킹 구멍(26A; 26B)의 개구부가 서로 연속되며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것인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계단형 수용부(27A; 27B)가 상기 로킹 구멍(26A; 26B)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로킹부(17A; 17B)가 상기 수용부(27A; 27B)와 결합되는 것인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벽부(24)의 후면(24R) 및 상기 내부 하우징(10)의 후면(11R)이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며;
    한 쌍의 로킹 구멍(26A, 26B)이 상기 후벽부(24)의 외주면을 이루는 네 변 중 서로 평행한 두 변(24A, 24B) 각각을 따라 구비된 것인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한 변(24A)을 따른 상기 한 쌍의 로킹 구멍(26A) 사이의 간격과, 다른 변(24B)을 따른 상기 한 쌍의 로킹 구멍(26B)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다른 것인 커넥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17A; 17B)와 상기 후벽부(24)가 서로 다른 색으로 설정된 것인 커넥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10)은 상기 탄성 플러그(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관형 수용부(16)를 갖추는 것인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7A; 27B)의 수용면 앞에 있는 상기 로킹 구멍(26A; 26B)의 영역의 반경 방향 치수가, 상기 로킹부(17A; 17B)의 반경 방향 치수보다 작은 구성과, 상기 관형 수용부(16)의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작은 구성 중 하나 이상을 갖는 것인 커넥터.
  9. 후면에서 개구된 하나 이상의 캐비티(12)가 형성된 내부 하우징(10)을 준비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13)을 상기 각각의 캐비티(12)에 뒤쪽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내부 하우징(10)의 후면(11R)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하나 이상의 시일 구멍(31)이 상기 각각의 캐비티(12)와 정렬되도록, 탄성 플러그(30)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내부 하우징(1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관형부(21) 및 후벽부(24)를 갖추는 외부 하우징(20)을, 상기 탄성 플러그(30)의 후면(30R)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하나 이상의 삽입 구멍(25)이 상기 각각의 시일 구멍(31)과 정렬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후벽부(24)의 후면(24R)에서 개구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로킹 구멍(26A; 26B)을, 상기 내부 하우징(1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로킹부(17A; 17B)와 결합시켜, 상기 내부 하우징(10)과 상기 외부 하우징(20)을 조립된 상태로 로킹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구멍(25)의 개구부와 상기 후벽부(24)의 후면의 상기 로킹 구멍(26A; 26B)의 개구부가, 서로 연속되며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설정된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계단형 수용부(27A; 27B)가 상기 로킹 구멍(26A; 26B)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로킹부(17A; 17B)가 상기 수용부(27A; 27B)와 결합되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벽부(24)의 후면(24R) 및 상기 내부 하우징(10)의 후면(11R)이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며;
    한 쌍의 로킹 구멍(26A, 26B)이 상기 후벽부(24)의 외주면을 이루는 네 변 중 서로 평행한 두 변(24A, 24B) 각각을 따라 구비된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한 변(24A)을 따른 상기 한 쌍의 로킹 구멍(26A) 사이의 간격과, 다른 변(24B)을 따른 상기 한 쌍의 로킹 구멍(26B)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다른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14.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17A; 17B)와 상기 후벽부(24)가 서로 다른 색으로 설정된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10)의 관형 수용부(16)에 상기 탄성 플러그(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27A; 27B)의 수용면 앞에 있는 상기 로킹 구멍(26A; 26B)의 영역의 반경 방향 치수가, 상기 로킹부(17A; 17B)의 반경 방향 치수보다 작은 구성과, 상기 관형 수용부(16)의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작은 구성 중 하나 이상을 갖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KR1020120059002A 2011-06-06 2012-06-01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KR1013070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26371A JP5656122B2 (ja) 2011-06-06 2011-06-06 コネクタ
JPJP-P-2011-126371 2011-06-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477A KR20120135477A (ko) 2012-12-14
KR101307084B1 true KR101307084B1 (ko) 2013-09-11

Family

ID=46172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002A KR101307084B1 (ko) 2011-06-06 2012-06-01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77648B2 (ko)
EP (1) EP2533370A3 (ko)
JP (1) JP5656122B2 (ko)
KR (1) KR101307084B1 (ko)
CN (1) CN1028205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120905A1 (it) * 2012-10-16 2014-04-17 Tyco Electronics Amp Italia Srl Connettore elettrico con elemento di tenuta, e procedimento per l'assemblaggio
JP6106443B2 (ja) * 2013-01-28 2017-03-29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部材及びシール構造
JP2015111536A (ja) * 2013-11-01 2015-06-18 住友電装株式会社 識別表示付の電線
JP6036661B2 (ja) * 2013-11-19 2016-11-30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US9883566B1 (en) 2014-05-01 2018-01-30 Willis Electric Co., Ltd. Control of modular lighted artificial trees
CA2948705A1 (en) * 2015-11-18 2017-05-18 Willis Electric Co., Ltd. Combinatorial light string plug and receptacle
JP6477527B2 (ja) * 2016-01-29 2019-03-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92720B2 (ja) * 2016-08-24 2020-05-1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レバー式防水コネクタ
US10683974B1 (en) 2017-12-11 2020-06-16 Willis Electric Co., Ltd. Decorative lighting control
JP6638106B1 (ja) * 2019-06-05 2020-01-29 株式会社デルタプラス 電気コネクタ
JP7256155B2 (ja) * 2020-09-30 2023-04-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9161A (ja) * 1999-04-13 2000-10-24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3602987B2 (ja) * 1999-09-17 2004-12-15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2005183342A (ja) * 2003-12-24 2005-07-0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9110672A (ja) * 2007-10-26 2009-05-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0532B2 (ja) * 1999-09-17 2005-07-13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2002100433A (ja) * 2000-07-17 2002-04-05 Yazaki Corp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JP3752982B2 (ja) * 2000-08-29 2006-03-08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3646867B2 (ja) * 2000-09-29 2005-05-1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2203637A (ja) * 2000-12-28 2002-07-19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JP4103333B2 (ja) * 2000-12-28 2008-06-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における導通検査方法
JP3674774B2 (ja) * 2001-04-03 2005-07-2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2270282A (ja) * 2001-03-12 2002-09-20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及び防水コネクタの端子挿通方法
US6913486B2 (en) * 2002-11-07 2005-07-05 Sumitomo Wiring Systems, Ltd.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JP2005317385A (ja) * 2004-04-28 2005-11-10 Tyco Electronics Amp Kk 防水型コネクタ用シール部材及び防水型コネクタ
JP2006059595A (ja) * 2004-08-18 2006-03-02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JP4479595B2 (ja) * 2005-06-16 2010-06-09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DE102006017448A1 (de) * 2006-04-13 2007-10-18 Robert Bosch Gmbh Stecker mit Mattendichtung
US8100716B2 (en) * 2007-12-13 2012-01-24 Fci Automotive Holding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a sealing mat
JP5093088B2 (ja) 2008-12-24 2012-12-05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5608406B2 (ja) * 2010-04-20 2014-10-1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1233336A (ja) * 2010-04-27 2011-11-17 Yazaki Corp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9161A (ja) * 1999-04-13 2000-10-24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3602987B2 (ja) * 1999-09-17 2004-12-15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2005183342A (ja) * 2003-12-24 2005-07-0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9110672A (ja) * 2007-10-26 2009-05-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33370A8 (en) 2015-01-21
EP2533370A2 (en) 2012-12-12
CN102820576A (zh) 2012-12-12
KR20120135477A (ko) 2012-12-14
JP2012252947A (ja) 2012-12-20
EP2533370A3 (en) 2014-10-29
US8777648B2 (en) 2014-07-15
CN102820576B (zh) 2015-06-17
JP5656122B2 (ja) 2015-01-21
US20120309234A1 (en) 201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7084B1 (ko)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JP5637023B2 (ja) ダミー栓
US20120322305A1 (en) Waterproof connector
JP6680278B2 (ja) コネクタ装置及び雄側コネクタ
US8485838B2 (en) Lever-type connector with collective rubber stopper
US8998626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20140315426A1 (en) Vehicle-side connector
JP2018067378A (ja) コネクタ
US9300072B2 (en) Connector
WO2018105362A1 (ja) ゴムカバー付きコネクタ
WO2014167751A1 (ja) 防水コネクタ
CN111316507B (zh) 连接器
US10374351B2 (en) Connector
JP2020091964A (ja) コネクタ
US20140080340A1 (en) Connector
JP6015628B2 (ja) コネクタ
JP2023155644A (ja) コネクタ
JP6120175B2 (ja) コネクタ
WO2021145187A1 (ja) コネクタ
JP5594008B2 (ja) コネクタ
WO2024048554A1 (ja) 積層コネクタ
JP2008235087A (ja) コネクタ
JP2016115461A (ja) コネクタ
JP2012089297A (ja) 機器用コネクタ
JP2006351479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