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378B1 -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4378B1
KR101304378B1 KR1020110137037A KR20110137037A KR101304378B1 KR 101304378 B1 KR101304378 B1 KR 101304378B1 KR 1020110137037 A KR1020110137037 A KR 1020110137037A KR 20110137037 A KR20110137037 A KR 20110137037A KR 101304378 B1 KR101304378 B1 KR 101304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container
ocher
powder
kaol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9964A (ko
Inventor
이구원
Original Assignee
이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원 filed Critical 이구원
Priority to KR1020110137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378B1/ko
Publication of KR20130069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9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리적 효과가 있는 양석으로 알려진 거정석(Pegmatite, 일명 문경약돌)을 이용하여 구운소금을 제조할 수 있는 구운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거정석의 약리적 효능을 소금과 결합하여 소금을 섭취할 시 거정석의 유용한 성분을 함께 섭취할 수 있는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 소금 제조용기 및 거정석의 유용한 성분을 함께 섭취할 수 있는 구운소금 제조 시 공정이 간편하면서도 거정석의 약리적 성분을 효과적으로 소금에 담기 위한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의 제조방법{Method for cooking of salt using pegmatite}
본 발명은 구운소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약리적 효과가 있는 양석으로 알려진 거정석(Pegmatite, 일명 문경약돌)을 이용하여 구운소금을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면서 체내의 질병과 각종 생리 작용을 돕는 기능성 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기능성 식품 중 하나로 소금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소금은 바다와 소금호수, 소금광산 등에서 얻는 광물이다. 사람의 혈액 속에는 0.9% 정도의 염분이 포함되며, 몸의 각 부분을 돌면서 세포 속의 노폐물을 배출하고 신진대사를 촉진한다. 일반적으로, 세계에서 생산하는 소금의 70∼80%는 암염이고, 나머지 대부분은 천일염이다. 천일염 속에는 칼슘, 칼륨, 마그네슘 등 수십여 종이 넘는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어 있다. 바닷물을 증발하여 얻는 소금을 천일염이라 하고, 이 천일염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끓여서 얻는 소금을 재제염이라 한다.
재제염은 제조 과정에서 각종 미네랄이 없어지므로 천일염이 건강에 더 좋다. 그러나 천일염을 생산할 때의 함수(농축된 바닷물)와 염전의 위생 상태 등에 따라 그 천일염의 질이 제각각 이므로 천일염이 반드시 건강에 좋은 것은 아니다. 염판에서 거둔 소금은 창고에 쌓아 간수를 빼는데, 간수에는 염화마그네슘이 많이 들어 있어 쓴맛이 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간수를 충분히 뺀 묵은 천일염이 건강에도 좋고 맛도 좋은데, 천일염에 인위적으로 열을 가해 유해 성분을 없앤 구운소금이나 볶은소금도 많이 시판되고 있다.
구운소금은 천일염을 고온에서 볶거나 구워 만든 소금으로, 정확한 기준은 없으나 보통 400℃ 이하에서 만든 소금을 볶은소금이라 하고 400℃이상의 고온에서 만든 소금을 구운소금이라 한다. 천일염에 열을 가하면 햇빛으로 증발시키지 못한 간수나 유해 성분이 마저 제거되고 무기질은 그대로 남아있어 건강에 좋고, 쓴맛이 나는 간수 성분이 제거되어 부드러운 맛이 나며 다른 소금에 비해 짠맛이 덜해 무침이나 조림, 생채 등 모든 조리에 잘 어울린다.
구운소금이나 볶은소금을 만드는 과정에서 미네랄 등의 성분을 첨가하기도 하는데, 죽염과 같이 소금을 굽는 과정에서 소금을 담는 용기에서 유용한 성분이 소금에 스며들게 하기도 한다.
죽염은 인체의 피를 맑게 하고 체질을 개선시켜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위장강화 및 염증치료, 해독작용, 백혈구의 증강 및 살균효과, 소염작용, 악취제거 및 식욕촉진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죽염의 제조방법은 천일염을 대나무 통속에 다져 넣고 통 입구를 황토를 반죽하여 봉한 다음, 대나무 통들을 가마에 쌓아 800℃이상으로 가열하여 죽염덩어리를 만들고, 구워진 죽염덩어리를 가루로 만들어 다시 대나무 통속에 다져 넣고 동일 조건에서 가열하는 일을 3회에서 8회까지 반복한다. 죽염은 일반적으로 가열공정을 3번 이하로 반복한 생활죽염과, 8회 반복하여 생활죽염에 비해 고가에 판매되는 죽염과, 8회까지 구운 죽염을 9번째에는 송진가루를 장작 위에 뿌리고 1,300∼1,700℃로 가열하면 소금이 용융되어 용암처럼 흘러내리는데, 이것을 식혀서 굳은 후 분쇄한 완전용융소금인 자죽염으로 구분된다.
종래의 죽염은 죽염을 제조하기 위해 반복 가열하는 과정 중에 1회 가열이 끝날 때마다 죽염 덩어리를 대나무통에서 꺼내고 부수어 수작업으로 새로운 대나무 통에 일일이 다시 다져 넣어야 하므로, 재료비 및 인건비가 상당할 뿐 아니라 죽염이 완성되기까지 약 40일간의 긴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6622호(등록일: 2011. 03. 25,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 철분, 마그네슘(Mg), 나트륨(Na) 등이 포함되어 있고, 카타라제, 디페놀 옥시다아제, 사카라제, 프로테아제의 효소성분을 포함하며, 원적외선을 방출한다고 알려진 황토를 이용하여 구운소금을 제조하는 황토 분말을 포함한 황토 분말 소금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은 850℃ 내지 1050℃의 온도로 1차 가열한 황토 용기에 황토 분말과 섞은 천일염을 넣고, 상기 황토 용기를 700℃ 내지 800℃로 2차 가열하여 황토 분말 소금을 만든다. 선행기술은 구운소금을 만든 후에도 황토 용기에서 분리하지 않고 황토 용기를 일상 생활에서 그대로 상기 황토 분말 소금 용기로 사용하므로 황토 소금을 구운 후에 황토 용기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고, 황토 분말을 포함함으로 황토의 효능을 그대로 살릴 수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황토의 성분을 효능을 살리기 위해 소금과 분말을 혼합하기 때문에 맛과 식감이 좋지 못하고, 황토 용기의 특성상 1차 가열이 필요하기 때문에 공정이 길고 복잡하며 연료비 및 인건비가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약리적 효과가 있는 양석으로 알려진 거정석(일명 문경약돌)을 사료 첨가제로 가공하여 가축이나 양식장의 물고기에 급여하는 방법으로 비효소제, 비약품을 지향하는 자연 친화형 기능성 고기를 생산하는데 사용하는 예가 있다. 거정석을 급여하여 생산된 고기는 기름기가 적어 담백한 맛이 탁월하며 필수 아미노산 등이 월등하게 함유되어 있어 건강에 도움이 된다.
거정석(Pegmatite)은 약리적 효과가 있는 화강암으로서, 특히, 문경약돌은 거정질화강암으로서 화강암과 거의 같은 광물로 마그마의 분화 생성물이다. 거정석은 마그마가 관입해서 고결하는 과정 말기에 이르러 그 잔액으로 형성된 암맥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문경에서 유일하게 생산된다.
거정석은 보통의 물을 알칼리로 변하게 하는 특별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피부질환, 간암치료제, 체내에 산소공급, 혈압조절, 인체의 신경전달, 심장 맥박조절, 체내 산도유지, 골다공증, 골절, 알레르기 질환치료 등 각종 생리 작용을 돕는 효능을 가진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열거하면, 거정석은 홀뮴(Ho), 게르마늄(Ge), 셀레늄(Se), 세륨(Ce), 나트륨(Na), 칼륨(K), 칼슘(Ca), 마그네슘(Mg) 등 약리적 효능이 있는 성분들을 함유한다. 홀뮴은 피부질환 및 간암 치료제로 사용되고, 게르마늄은 체내에 산소공급, 항암작용을 하는 인터페론 생산과 독성오염물질 파괴, 암세포 파괴, 정액/정화 및 강력한 살균작용을 하며, 셀레늄은 체내에 축적된 수은, 납, 카드뮴 등 각종 중금속 흡착 제거 및 산소 결핍을 이온 용출작용으로 환원하고, 세륨은 인체에 필수적인 미네랄이며, 나트륨은 혈액이나 체액 등의 세포액 및 혈압을 조절, 인체의 신경전달, 심장맥박 등 각종 생리작용으로 생명유지 및 체내 산도를 유지하고, 칼륨은 심근 경색 방지 등 생리 필수 미네랄이며, 칼슘은 골다공증, 골절, 충치 등 및 알레르기 질환 치료에 사용되고, 마그네슘은 DNA(핵산)합성, 분해에 관여하며 효소의 활동 촉진 물질이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하고 특별한 약리적 효능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거정석을 분말로 만들어 물병에 넣어 혼합시킨 후, 하루정도 지나서 마시고 찌꺼기는 식물의 비료로 사용하는 형태나, 욕조에 거정석 분말 또는 원석조각을 넣고 온수에서 30분정도 반신/전신욕하는 형태, 또는 물에 타서 작물에 살포하거나 원석조각을 가열하고 그 위에 오징어 등을 구워먹는 형태 등 그 사용방법이나 형태에 있어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지 못하고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거정석의 약리적 효능을 소금과 결합하여 소금을 섭취할 시 거정석의 유용한 성분을 함께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망된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거정석의 약리적 효능을 소금과 결합하여 소금을 섭취할 시 거정석의 유용한 성분을 함께 섭취할 수 있는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정석의 유용한 성분을 함께 섭취할 수 있는 구운소금 제조 시 공정이 간편하면서도 거정석의 약리적 성분을 효과적으로 소금에 담기 위한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 제조 후 약돌소금의 보관 및 유통 용기로 활용할 수 있는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 제조용기는 거정석 분말 90%와 황토 10%, 거정석 분말 80%와 황토 20%, 거정석 분말 70%와 황토 30%, 거정석 분말 60%와 황토 40%, 거정석 분말 50%와 황토 50%, 거정석 분말 90%와 고령토 10%, 거정석 분말 80%와 고령토 20%, 거정석 분말 70%와 고령토 30%, 거정석 분말 60%와 고령토 40%, 거정석 분말 50%와 고령토 50% 중 어느 하나의 비율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고, 평평한 밑면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용기로서, 뚜껑과 결합되는 상단부의 외주면이 하단부의 외주면과 단차지게 형성된 용기본체; 거정석 분말 90%와 황토 10%, 거정석 분말 80%와 황토 20%, 거정석 분말 70%와 황토 30%, 거정석 분말 60%와 황토 40%, 거정석 분말 50%와 황토 50%, 거정석 분말 90%와 고령토 10%, 거정석 분말 80%와 고령토 20%, 거정석 분말 70%와 고령토 30%, 거정석 분말 60%와 고령토 40%, 거정석 분말 50%와 고령토 50% 중 어느 하나의 비율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고, 평평한 상면을 가지며,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서, 상기 용기본체 상단부에 결합되는 용기뚜껑; 및 수분을 25% 내지 35% 함유한 황토반죽을 둥글고 길게 형성하여, 상기 용기본체 상단부의 단차진 외주면에 둘러쳐져, 상기 용기뚜껑이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될 시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뚜껑을 밀봉하는 밀봉띠;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 제조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뚜껑은, 용기 성형 후 7일 내지 10일 동안 자연 건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 제조방법은, 거정석 분말 90%와 황토 10%, 거정석 분말 80%와 황토 20%, 거정석 분말 70%와 황토 30%, 거정석 분말 60%와 황토 40%, 거정석 분말 50%와 황토 50%, 거정석 분말 90%와 고령토 10%, 거정석 분말 80%와 고령토 20%, 거정석 분말 70%와 고령토 30%, 거정석 분말 60%와 고령토 40%, 거정석 분말 50%와 고령토 50% 중 어느 하나의 비율로 혼합하여 수비하는 과정; 상기 수비된 재료를 이용하여 용기본체 및 용기뚜껑으로 이루어진 용기를 성형하는 과정; 상기 성형된 용기를 7일 내지 10일 동안 자연 건조하는 과정; 상기 건조된 용기의 용기본체에 거정석 원석조각을 2 내지 5개 첨가시켜 천일염을 채우는 과정; 수분을 25% 내지 35% 함유한 황토반죽을 둥글고 길게 형성한 밀봉띠를 상기 용기본체 상단부의 단차진 외주면에 둘러치고, 상기 용기뚜껑을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시켜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뚜껑을 밀봉하는 과정; 상기 밀봉된 용기를 전통 장작가마를 이용하여 800℃ 내지 900℃ 로 4시간 내지 9시간 굽는 과정; 및 상기 용기뚜껑을 열고 구운소금으로부터 상기 거정석 원석조각들을 분리하고, 상기 구운소금을 분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기를 성형하는 과정은, 상기 수비된 재료를 성형틀에 넣어 찍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거정석의 약리적 효능을 소금과 결합하여 소금을 섭취할 시 거정석의 유용한 성분을 함께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정석의 유용한 성분을 함께 섭취할 수 있는 구운소금 제조 시 공정이 간편하면서도 거정석의 약리적 성분을 효과적으로 소금에 담을 수 있으므로 제조기간이 짧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제조용기는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 제조 후 약돌소금의 보관 및 유통 용기로 활용할 수 있어 간편하고 효율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용기는 구운소금을 제거한 후 계속해서 소금과 거정석 원석조각을 봉입하여 약돌소금을 굽는데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 제조용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 제조용기의 단면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이하 “약돌소금”이라 함) 제조용기(100)는 용기본체(110), 용기뚜껑(120) 및 밀봉띠(2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돌소금 제조용기(100)는 용기본체(110)의 내부에 소금(300) 및 거정석 원석조각(400)이 채워지고, 밀봉띠(200)가 둘러쳐진 후, 용기뚜껑(120)을 덮어 밀봉함으로써, 가마에서 구울 때 제조용기(100)에 포함된 거정석의 약리적 성분과 내부에 소금(300)과 함께 삽입된 거정석 원석조각(400)의 약리적 성분이 효과적으로 소금(300)에 스며들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돌소금 제조용기(10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용기본체(110) 및 용기뚜껑(120)은 거정석 분말 90%와 황토 10%, 거정석 분말 80%와 황토 20%, 거정석 분말 70%와 황토 30%, 거정석 분말 60%와 황토 40%, 거정석 분말 50%와 황토 50%, 거정석 분말 90%와 고령토 10%, 거정석 분말 80%와 고령토 20%, 거정석 분말 70%와 고령토 30%, 거정석 분말 60%와 고령토 40%, 거정석 분말 50%와 고령토 50% 중 어느 하나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다.
용기본체(110) 및 용기뚜껑(120)은 상하면 중 일면이 평평하고, 나머지 일면이 열려 있으며, 둘레는 원형인 원통형상을 이루며, 용기본체(110) 및 용기뚜껑(120)이 잘 결합될 수 있도록 용기본체(110)의 열려진 상단부는 하단부의 외주면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에서는 외주면 뿐만 아니라 내주면의 직경도 다르게 도시되었으나, 직경이 다른 외주면과는 달리 내주면은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
용기본체(110) 및 용기뚜껑(120)은 거정석 분말과 황토 또는 고령토와 혼합하여 수비한 후, 석고틀로 형성한 성형틀에 넣어 찍어낼 수도 있고 물레를 이용하여 손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용기본체(110) 내부에 소금(300) 및 거정석 원석조각(400)을 채우고 용기본체(110)에 용기뚜껑(120)을 덮어 밀봉할 때에는 밀봉띠(200)가 사용되는데, 밀봉띠(200)는 수분을 25% 내지 35% 함유한 황토반죽을 이용하여 둥글고 길게 형성한 것으로서, 용기본체(110) 상단부의 단차진 외주면에 둘러쳐져, 용기뚜껑(120)이 용기본체(110)에 결합될 시 용기본체(110) 및 용기뚜껑(120)의 틈을 완전히 밀봉시키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약돌소금 제조용기(100)의 용기본체(110) 및 용기뚜껑(1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성형된 후, 7일 내지 10일 동안 자연 건조만 시켜 내부에 소금(300) 및 거정석 원석조각(400)을 채우고 가마에서 굽게 되므로 거정석의 약리적 성분이 더욱 효과적으로 봉입된 소금에 스며들게 된다.
한편, 소금(300) 및 거정석 원석조각(400)이 채워진 본 발명에 따른 약돌소금 제조용기(100)는 전통 장작가마를 이용하여 800℃ 내지 900℃ 로 4시간 내지 9시간 동안 구워짐으로써 소나무 등의 장작불로부터 나오는 원적외선에 의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거정석의 약리적 성분을 소금에 함유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돌소금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210단계에서, 거정석 분말 90%와 황토 10%, 거정석 분말 80%와 황토 20%, 거정석 분말 70%와 황토 30%, 거정석 분말 60%와 황토 40%, 거정석 분말 50%와 황토 50%, 거정석 분말 90%와 고령토 10%, 거정석 분말 80%와 고령토 20%, 거정석 분말 70%와 고령토 30%, 거정석 분말 60%와 고령토 40%, 거정석 분말 50%와 고령토 50% 중 어느 하나의 비율로 혼합하여 재료를 수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어, 220단계에서 상기 수비된 재료를 이용하여 용기본체(110) 및 용기뚜껑(120)을 각각 성형하고(220), 230단계와 같이 성형된 용기본체(110) 및 용기뚜껑(120)을 7일 내지 10일 동안 자연 건조시킨다.
그리고 240단계에서 자연 건조가 완료된 용기본체(110)에 거정석 원석조각(400)을 2 내지 5개 첨가시켜 소금(300)을 채운다. 이때, 소금(300)은 일반적으로 천일염이 될 수 있다.
용기본체(110)에 거정석 원석조각(400)과 소금(300)을 채운 후에는 250단계의 굽기과정을 위하여 용기를 밀봉해야 하는데, 용기의 밀봉은 수분을 25% 내지 35% 함유한 황토반죽을 둥글고 길게 형성한 밀봉띠(200)를 용기본체(110) 상단부의 단차진 외주면에 둘러치고, 용기뚜껑(120)을 용기본체(110)에 눌러 결합시켜 상기 밀봉때(200)로 하여금 용기본체(110)와 용기뚜껑(120)의 틈을 완전히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어 250단계에서는 밀봉된 용기(100)를 전통 장작가마를 이용하여 800℃ 내지 900℃ 로 4시간 내지 9시간 굽는 과정을 수행한다.
굽기 과정이 완료되면 상온에서 식힌 후에, 260단계에서 용기뚜껑(110)을 열고 구워진 소금(300)으로부터 거정석 원석조각(400)들을 분리하고, 일부 덩어리진 구운소금을 분쇄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약돌소금이 완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 제조용기 및 구운소금의 제조방법은 거정석의 유용한 성분을 함께 섭취할 수 있는 구운소금 제조 시 공정이 간편하면서도 거정석의 약리적 성분을 효과적으로 소금에 담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 제조용기 및 구운소금의 제조방법은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 제조 후 약돌소금의 보관 및 유통 용기로 활용할 수 있고, 구운소금을 제거한 후 계속해서 소금과 거정석 원석조각을 봉입하여 약돌소금을 굽는데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거정석 분말 90%와 황토 10%, 거정석 분말 80%와 황토 20%, 거정석 분말 70%와 황토 30%, 거정석 분말 60%와 황토 40%, 거정석 분말 50%와 황토 50%, 거정석 분말 90%와 고령토 10%, 거정석 분말 80%와 고령토 20%, 거정석 분말 70%와 고령토 30%, 거정석 분말 60%와 고령토 40%, 거정석 분말 50%와 고령토 50% 중 어느 하나의 비율로 혼합하여 수비하는 과정;
    상기 수비된 재료를 이용하여 용기본체 및 용기뚜껑으로 이루어진 용기를 성형하는 과정;
    상기 성형된 용기를 7일 내지 10일 동안 자연 건조하는 과정;
    상기 건조된 용기의 용기본체에 거정석 원석조각을 2 내지 5개 첨가시켜 천일염을 채우는 과정;
    수분을 25% 내지 35% 함유한 황토반죽을 둥글고 길게 형성한 밀봉띠를 상기 용기본체 상단부의 단차진 외주면에 둘러치고, 상기 용기뚜껑을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시켜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뚜껑을 밀봉하는 과정;
    상기 밀봉된 용기를 전통 장작가마를 이용하여 800℃ 내지 900℃ 로 4시간 내지 9시간 굽는 과정; 및
    상기 용기뚜껑을 열고 구운소금으로부터 상기 거정석 원석조각들을 분리하고, 상기 구운소금을 분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를 성형하는 과정은,
    상기 수비된 재료를 성형틀에 넣어 찍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 제조방법.
KR1020110137037A 2011-12-19 2011-12-19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의 제조방법 KR101304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037A KR101304378B1 (ko) 2011-12-19 2011-12-19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037A KR101304378B1 (ko) 2011-12-19 2011-12-19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964A KR20130069964A (ko) 2013-06-27
KR101304378B1 true KR101304378B1 (ko) 2013-09-11

Family

ID=48864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037A KR101304378B1 (ko) 2011-12-19 2011-12-19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3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169A (ko) 2021-06-18 2022-12-27 박옥연 알칼리성 구운 소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705B1 (ko) * 2014-04-03 2016-02-24 이구원 훈제소금 제조용기 및 이를 이용한 훈제소금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843A (ko) * 2001-07-04 2001-09-03 이정석 원적외선방사용기
KR20010106603A (ko) * 2000-05-22 2001-12-07 김명곤 찜질 조성물
KR100780917B1 (ko) * 2006-12-01 2007-11-30 박종훈 금강약돌이 함유된 청자유약 제조방법
KR20110007902A (ko) * 2009-07-17 2011-01-25 김동배 황토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603A (ko) * 2000-05-22 2001-12-07 김명곤 찜질 조성물
KR20010083843A (ko) * 2001-07-04 2001-09-03 이정석 원적외선방사용기
KR100780917B1 (ko) * 2006-12-01 2007-11-30 박종훈 금강약돌이 함유된 청자유약 제조방법
KR20110007902A (ko) * 2009-07-17 2011-01-25 김동배 황토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169A (ko) 2021-06-18 2022-12-27 박옥연 알칼리성 구운 소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964A (ko)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9508B1 (ko) 기능성 소금 및 그 제조방법
CN109123582A (zh) 一种竹盐的制备方法
KR101552389B1 (ko) 죽염을 이용한 초마늘 환과 그 제조방법
CN101357774B (zh) 制造以钙为主的天然碱性原材料的方法
KR101304378B1 (ko) 거정석을 이용한 구운소금의 제조방법
KR20000007544A (ko) 죽염을 주제로 한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397677A (zh) 一种杏鲍菇晶的制作方法
KR102239662B1 (ko) 과립제형 건강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81237B1 (ko) 죽염지장수 및 그 제조방법
CN108651672A (zh) 一种桂花糕及其制备方法
KR101192572B1 (ko) 황토와 대나무성분이 함유된 황토대나무소금 제조방법
KR100655723B1 (ko) 황토소금의 제조방법
KR0163360B1 (ko) 선도유지용 세라믹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483197B1 (ko) 울금 소금의 제조 방법
KR101328771B1 (ko) 문경약돌을 사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CN101575223A (zh) 一种矽酸肥
KR100729406B1 (ko) 지장수를 이용한 황토 홍삼의 제조 방법
KR20000007545A (ko) 생소금을 주제로 한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93207B1 (ko) 칼슘 염 및 그 제조 방법
KR100603994B1 (ko) 버섯 및 약초 엑기스를 첨가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20140058233A (ko) 오디 뽕소금의 제조방법
KR102381935B1 (ko)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KR20180085620A (ko) 복사열을 이용한 간접가열 방식의 구운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101212988B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이 우수한 유황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102481753B1 (ko) 인삼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