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460B1 - 자외선 차폐제와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을 형성하는도장 방법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폐제와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을 형성하는도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460B1
KR101298460B1 KR1020077027850A KR20077027850A KR101298460B1 KR 101298460 B1 KR101298460 B1 KR 101298460B1 KR 1020077027850 A KR1020077027850 A KR 1020077027850A KR 20077027850 A KR20077027850 A KR 20077027850A KR 101298460 B1 KR101298460 B1 KR 101298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shielding agent
glass
infrared
ultravio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7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5091A (ko
Inventor
가츠오 야기사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민
Publication of KR20080015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4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2Radiation-absorbing pa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multicolour or other optical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aterials of composite character
    • C03C17/007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aterials of composite character containing a dispersed phase, e.g. particles, fibres or flakes, in a continuous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aterials of composite character
    • C03C17/00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aterials of composite character comprising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C03C17/02, C03C17/06, C03C17/22 and C03C17/28
    • C03C17/009Mixtures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e.g. ormosils and ormoc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8Stabilisers against degradation by oxygen, light or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4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gases
    • B05D3/04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gases the gas being air
    • B05D3/0413Heating with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4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gases
    • B05D3/04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gases the gas being air
    • B05D3/042Directing or stopping the fluid to be coated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40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 C03C2217/43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consisting of a dispersed phase in a continuous phase
    • C03C2217/46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consisting of a dispersed phase in a continuous phase characterized by the dispersed phase
    • C03C2217/48Coatings comprising at least one inhomogeneous layer consisting of a dispersed phase in a continuous phase characterized by the dispersed phase having a specific fun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2Five-membered rings
    • C08K5/3475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10T428/2651 mil or l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자외선 차폐성 도막 또는 적외선 차폐성 도막을 형성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원하는 도포량으로 하기 위해서는 몇 회의 재도장이 필요하고, 그 때문에 강도가 강한 도막을 얻기 어렵고, 또한 작업 환경에 따라서는 도포 불균일이나, 색 불균일이나, 반점, 백화, 결손,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자외선 차폐제 및/또는 적외선 차폐제와 바인더 성분과 다가 알코올계 용매를 배합하고, 다가 알코올의 배합량이 50∼95 중량%인 도포액을, 도포액 분출 노즐의 선단 구경이 0.5∼3.0 mm인 도장기, 또한 에어 커튼을 발생시키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도장기를 사용하여, 도포액 분출 노즐의 분출압을 0.01∼0.098 MPa로 하여, 기재에 도포하여 건조해서, 기재의 표면에 자외선 차폐제 및/또는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자외선 차폐제와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을 형성하는 도장 방법{COATING PROCESS FOR FORMING FILMS CONTAINING ULTRAVIOLET- OR INFRARED-SCREENING AGENTS}
본 발명은 자외선 차폐제 또는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塗膜)을 형성하는 도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그 도장 방법에 의해서 형성된 도막과, 그 도막을 표면에 형성한 물품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을 건축물의 창 유리나 플라스틱, 자동차의 유리 등의 표면에 형성하여, 자외선의 실내 또는 차내에의 진입을 억제하고, 그것에 의해서 물품의 햇볕에 의한 퇴색 및 변색을 방지하고, 또한 유해한 자외선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것이 실행되고 있다. 또한,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을 형성하여 적외선의 실내 또는 차내에의 진입을 억제해서, 실내나 차실 내의 온도의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실행되고 있다.
자외선 차폐제 또는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자외선 차폐제 또는 적외선 차폐제, 바인더(binder) 성분, 용매 등을 배합한 도포액을 솔질(brushing)이나, 스프레이 건(spray gun)을 이용한 스프레이 도장으로써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자외선 차폐제 또는 적외선 차폐제를 배합하고, 에폭시기 함유 알콕시실란과 활성 수소를 갖는 아미노기 함유 알콕시실란과의 반응 생성물을 바인더 성분으로 하는 도포액을 솔질, 스프레이 등으로써 도포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컴퓨터에 의한 노즐 제어 밸브로써, 스프레이 노즐의 개방 시간과 폐쇄 시간을 제어하는 스프레이 건을 사용하여 도장할 수 있는 것도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특개2003-64308호 공보(단락 0013)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상기의 특허문헌 1의 방법에서는, 특수한 바인더 성분을 사용할 필요가 있으므로 범용적이 아니다. 또한, 그 실시예에서는 부직포에 함침한 액을 도포하여 도포 불균일, 색 불균일이 생기지 않는 도막을 실온에서 경화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을 기재하였지만, 특허문헌 1에는 시간당 도장 면적이 넓은 스프레이 도장에 의한 도포 예가 없고, 어느 정도의 개선이 가능한지가 불분명하다. 따라서, 스프레이 도장기(塗裝機)를 사용하여 검토한 결과, 고압력 하에서 분출 노즐 직경을 작게 하여 도포액을 초미립자화해서 분무하는 통상의 도장 조건에서는 분출량이 작아져서, 원하는 도포량으로 하기 위해서는 몇 회의 재도장이 필요하고, 그 때문에 강도가 강한 도막을 얻을 수 없고, 또한, 작업 환경에 따라서는 도포 불균일, 색 불균일이 생기고, 반점, 백화(白化), 결손,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겼다. 이러한 도막에서는 막의 박리나 결락(缺落)이 일어나서, 자외선 차폐 성능이나 적외선 차폐 성능을 장기간에 걸쳐서 계속적으로 활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내구성,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더욱이 도포 불균일, 색 불균일이 생기기 어렵고, 또한 반점, 백화, 결손, 균열이 생기기 어려운, 자외선 차폐제 또는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을 어떤 작업 환경 하에서도 형성할 수 있는 도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집중적인 연구를 반복한 결과, 종래의 스프레이 도장 조건에서는 자외선 차폐제 또는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포액을 초미립자화해서 분무하기 때문에 몇 회의 재도장이 필요하고, 또한, 각각의 회의 도포면의 건조 조건이 미묘하게 상이하여, 원하는 도막을 얻을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도포액의 액적(液滴)을 초미립자화 하지 않고 도포하기 위하여, 스프레이 건 등의 도장기의 분출 노즐의 선단 구경을 비교적 크게 하는 동시에 분출 노즐의 분출압을 비교적 저압으로 하고, 또한 도포액의 점도를 비교적 높게 하기 위하여 특정량의 다가(多價) 알코올을 배합한 도포액을 도포함으로써, 도포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원하는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것, 또한, 도포 직후에 균일한 막화(膜化), 건조를 실행하기 위하여, 도포액 분출 노즐의 주변으로부터 피도면(被塗面)을 향하여 도포액을 둘러싸도록 에어 커튼(air curtain)을 발생시키는 송풍기를 구비한 도장기를 사용함으로써, 불어내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서 도포액의 액적을 눌러 찌부러뜨려서 액적끼리 서로 결합시켜서 막화, 건조하여, 원하는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것 등을 발견하고, 본 발명이 완성되었다.
즉, 본 발명은 적어도, 차폐제 및/또는 적외선 차폐제와, 바인더 성분과 다가 알코올계 용매를 배합하고, 다가 알코올의 배합량이 50∼95 중량%인 도포액을, 도포액 분출 노즐의 선단 구경이 0.5∼3.0 mm인 도장기를 사용하여, 도포액 분출 노즐의 분출압을 0.01∼0.098 MPa로 해서, 기재(基材)에 도포하여 건조해서, 기재의 표면에 자외선 차폐제 및/또는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을 형성하는 도장 방법이고, 또한 에어 커튼을 발생시키는 송풍기를 구비한, 도포액 분출 노즐의 선단 구경이 0.5∼3.0 mm인 도장기를 사용하여, 상기의 도포액을 기재에 도포하여 건조해서, 기재의 표면에 자외선 차폐제 및/또는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을 형성하는 도장 방법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도장 방법에서는, 모든 물품의 표면에 내구성,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더욱이 도포 불균일, 색 불균일이 생기기 어렵고, 또한 반점, 백화, 결손, 균열이 생기기 어려운, 자외선 차폐제 또는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고, 자외선 차폐 성능이나 적외선 차폐 성능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작업 환경 하에서도 1회 도포로 균질(均質)의 자외선 차폐성 도막이나 적외선 차폐성 도막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투명성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건축물의 신축·개축시에 창 유리에 간단히 시공할 수 있고, 또한 자동차에는 급유나 세차시에 간단히 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창 유리나 자동차의 전면 유리, 측면 유리, 후면 유리 등에 자외선 차폐성 도막을 형성하면 진입하는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물품의 햇볕에 의한 퇴색, 변색을 방지할 수 있고, 유해한 자외선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차폐성 도막을 형성하면, 실내나 차실 내의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고, 에너지 절감에 공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도장기는, 시판되고 있는 스프레이 건 등의 도장기를 사용할 수 있고, 자외선 차폐제 및/또는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상기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도포액을 불어내는 분출 노즐을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도포액 분출 노즐의 선단 구경은 0.5∼3.0 mm로 할 필요가 있고, 도포액 분출 노즐의 분출압을 0.01∼0.098 MPa로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도포액을 종래와 같이 초미립자화하지 않고, 노즐의 선단 구경에 대응하는 대략 0.5∼3.0 mm의 액적 직경을 갖는, 즉, 물방울에 가까운 액적 직경을 갖는 액적으로서 분출할 수 있다. 도포액 분출 노즐의 선단 구경은 1.0∼2.0 mm 정도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0∼1.5 mm 정도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선단 구경이 0.5 mm보다 작으면, 액적이 미세화하기 쉬운 것 이외에 원하는 도포량을 1회에 도포할 수 없고, 몇 회의 재도장을 하면 백화하기 쉽고, 도막 투명성이나 강도의 저하나 박리의 요인이 된다. 한편, 선단 구경이 3.0 mm보다 크면, 도포 중에 액 늘어짐 등이 발생하여 형성 막 두께에 현저한 부분 차가 생기고, 도막에는 무지개 색 등의 외관 불량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된다. 공급 수단으로서는 불어 올림(blowing-up) 방식, 중력 방식, 압송(壓送) 방식 등 종래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지만, 압송 방식의 공급 펌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도포액 분출 노즐의 분출압을 비교적 저압으로 실행하는 것이 좋으며, 0.01∼0.09 MPa의 분출압이 바람직하고, 0.01∼0.05 MPa 정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분출압이 0.01 MPa보다 작으면, 분출 도포액의 액적의 크기를 균일하게 유지한 채로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기 어려워서, 반점의 원인이 되고, 분출압이 0.098 MPa를 초과하면, 액적이 미세화하기 쉬운 것 이외에 도포액이 비산(飛散)하여 도착(塗着) 효율을 저하시켜서, 균일한 도막의 형성이 곤란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도포액 분출 노즐로부터의 분출량은 30∼200 ml/분(分)이 바람직하고, 50∼100 ml/분 정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분출량이 30 ml/분보다 작으면, 물방울에 가까운 액적 직경을 서로 결합시키는 것이 곤란하여 반점의 원인이 되어서 바람직하지 않고, 분출량이 200 ml/분을 초과하면, 도포 중에 액 늘어짐 등이 발생하여 형성 막 두께에 현저한 부분 차가 생기고, 도막에는 무지개 색 등의 외관 불량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공급 펌프 등의 공급 수단과 도포액 분출 노즐은 직접 혹은 호스나 관으로 연결되어서 도장기를 구성하고, 공급 수단에 의해서 공급되어서 도포액 분출 노즐로부터 불어 내어진 도포액은 피도면까지 운반되어서 부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람직한 도장기는, 자외선 차폐제 및/또는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와, 상기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도포액과 상기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함께 불어내는 건(gun)을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건은, 그 선단의 내측에 도포액 분출 노즐을, 그 도포액 분출 노즐의 외주측에 공기 취출구(吹出口)를 가지고 있으며, 분출한 도포액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에어 커튼을 발생시킨다. 공급 펌프 등의 공급 수단과 건(도포액 분출 노즐)은 직접 혹은 호스나 관으로 연결되고, 또한 송풍기와 건(공기 취출구)도 호스나 관으로 연결되어 도장기를 구성하고, 공급 수단에 의해서 공급되어서 도포액 분출 노즐로부터 불어 내어진 도포액은, 그 외측의 송풍기에 의해서 공급되어서 공기 취출구로부터 불어 내어지는 대량의 공기의 흐름(이것을 에어 커튼이라고 한다)에 의해서 둘러싸여서 피도면까지 운반되어서 부착된다. 이러한 에어 커튼을 발생시키는 송풍기를 구비한 도장기를 사용함으로써, 도포액 분출 노즐로부터 불어 내어진 도포액은, 그 외측이 공기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으므로 주변으로의 비산이 적고, 작업자의 건강 저해 요인이 격감하고, 도포액의 낭비가 감소하고, 대규모의 마스킹(masking)이 불필요하게 된다.
공기 취출구로부터 불어 내어지는 공기는, 저압으로 하고 풍량을 많게 하면 더욱 충분한 에어 커튼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에어 커튼을 발생시키기 위한 송풍기는, 송풍기 송풍 압력을 0.01∼0.098 MPa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0.05 MPa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또한 0.015∼0.04 MPa 정도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송풍기 송풍 압력이 상기 범위이면 충분한 풍량의 에어 커튼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고, 송풍기 송풍 압력이 0.01 MPa보다 낮으면 에어 커튼의 발생이 불충분하게 되어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또한 0.098 MPa보다 높으면 공기 풍량이 지나치게 커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공기 풍량은 500∼5000 리터/분 정도가 바람직하고, 1000∼3000 리터/분 정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공기의 온도는 도장 환경 온도보다 적어도 10℃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50℃ 정도 높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또한 10∼25℃ 정도 높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공기 온도를 도장 환경 온도보다 높게 설정함으로써 도막의 건조, 경화를 함께 실행할 수 있다. 도장 환경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고회전형 터빈을 구비한 송풍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회전 마찰열에 의해서 공기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고회전형 터빈의 회전수는 통상 매분 21000∼25000 회전 정도이지만, 그 회전수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공기 온도를 조정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하면 특별한 온풍 발생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이러한 도장기로서는 치론사(Chiron GmbH)제의 온풍 저압 도장기(SG-2500, SG-2000, SG-91 등), 와그너사(Wagner Co., Ltd.)제의 스프레이 건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공기 온도를 30℃ 이상 높게 하는 경우에 고회전형 터빈으로 불충분할 때에는 소정 온도의 온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온(加溫)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자외선 차폐제 및/또는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하는 도포액은, 적어도, 자외선 차폐제 및/또는 적외선 차폐제, 바인더 성분, 다가 알코올계 용매를 배합한 것이고, 도포액 중에 용매로서 다가 알코올을 50∼95 중량% 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가 알코올의 배합량이 적어도 상기 범위이면, 상기의 도장기로써 도포하면 원하는 도막을 얻을 수 있고, 60∼90 중량% 정도가 바람직하며, 70∼90 중량% 정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의 배합량이 50 중량%보다 적으면, 휘발 건조가 늦고 액이 늘어지기 쉬워서, 원하는 도막을 얻을 수 없다. 또한, 다가 알코올의 배합량이 95 중량%보다 많으면, 자외선 차폐제 또는 적외선 차폐제의 배합량이 적어지게 되어서, 그것들의 성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고, 원하는 도막을 얻을 수 없다.
도포액에 배합하는 용제는, 다가 알코올이 필수적이고, 그 배합량은 상기와 같이 도포액 중에 50∼95 중량%의 범위이다. 다가 알코올은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히드록실기를 갖는 알코올이며, 2개의 히드록실기를 갖는 2가 알코올인 글리콜, 3개의 히드록실기를 갖는 3가 알코올인 글리세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4가 이상의 알코올이라도 사용할 수 있지만, 저비점(低沸点)인 2가 알코올의 글리콜이 더욱 바람직하다. 글리콜로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7-헵탄디올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 프로필렌글리콜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의 이외에, 물 등의 무기계 용매, 1가 알코올, 에테르, 아미드 등의 유기계 용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배합할 수도 있고, 그 배합량은 도포액의 점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프로필알코올, 부틸 알코올 등의 1가 알코올을 다가 알코올과 함께 사용하면 건조 온도를 비교적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도포액에 배합하는 바인더 성분은 도막을 형성했을 때에 바인더로서 작용하는 것이며, 공지된 바인더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 알콕시실란, 알콕시실란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 알콕시실란의 가수분해 생성물, 플루오르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아세트산비닐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수지, 실리콘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요소 수지, 페놀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아크릴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물유리, 시멘트, 석고 등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 수지, 알콕시실란, 알콕시실란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 알콕시실란의 가수분해 생성물이 그 막의 경도(硬度)가 높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실리콘 수지는, 실록산 결합의 반복 (-Si-O-)n을 주쇄(主鎖; main chain)로 하고, 측쇄(側鎖; side chain)로서 알킬기, 아릴기 등을 갖는 중합체이며, 3차원 망목(網目) 구조를 갖는 실리콘이 바람직하고, 에폭시 변성, 폴리에스테르 변성, 알키드 변성, 아크릴 변성 등의 변성 실리콘이라도 좋다. 알콕시실란으로서는, 테트라알콕시실란, 모노알킬트리알콕시실란, 디알킬디알콕시실란, 트리알킬모노알콕시실란의 모노머를 들 수 있고, 그 알콕실기로서는 메톡실기, 에톡실기, 프로폭실기, 부톡실기 등의 탄소가 1∼8 정도의 알콕실기를 사용할 수 있고,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등의 탄소가 1∼8 정도의 알킬기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프로폭시실란, 모노메틸트리메톡시실란, 모노에틸트리에톡시실란, 모노프로필트리프로폭시실란, 디메틸디메톡시실란, 디에틸디에톡시실란, 디프로필디프로폭시실란, 트리메틸모노메톡시실란, 트리에틸모노에톡시실란, 트리프로필모노프로폭시실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인더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알콕시실란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은, 상기의 알콕시실란 모노머를 부분적으로 가수분해·축합한 이량체(二量體) 혹은 삼량체(三量體) 이상의 올리고머(oligomer)이고, 1 분자 중에 규소 원자를 2∼9개 정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콕시실란의 가수분해 생성물은 알콕시실란을 거의 완전한 정도까지 가수분해 축합하여 입자 형상을 형성한 것이고, 일반적으로 올가노실리카 졸(sol)이라고 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포액 중에 배합하는 바인더 성분의 배합량은 각각의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바인더 성분을 고형분으로 환산해서 도포액 중에 4∼49 중량%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35 중량% 정도가 더욱 바람직하며, 5∼20 중량% 정도가 또한 더욱 바람직하다. 5 중량%보다 적은 경우는, 기재 또는 미리 도포한 하도층(下塗層)과의 밀착성이나, 도막 강도가 저하하는 경향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고, 49 중량%를 초과하면, 형성되는 도막에 바인더 성분이 지나치게 많아서 자외선 차폐 성능이나 적외선 차폐 성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경향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자외선을 반사하는 재료나 자외선을 흡수하는 재료를 포함하고, 적외선 차폐제로서는 적외선을 반사하는 재료나 적외선을 흡수하는 재료를 포함하고, 또한 근적외선만을 반사 또는 흡수하는 재료도 포함된다. 자외선 차폐제는 공지된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등의 유기 화합물, 이산화티탄, 함수산화티탄, 수화산화티탄, 메타티탄산, 오르토티탄산, 수산화티탄, 산화아연, 규산아연, 산화세륨 등의 무기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이산화티탄 등의 티탄 화합물은 그것 자체에 강한 광 촉매 성능도 있으므로 그 성능이 바인더 성분의 분해 요인이 되는 경우, 그 입자 표면에 규소, 알루미늄, 지르코늄 등의 산화물, 수화산화물, 수산화물 중의 적어도 1종을 피복하면, 광 촉매 성능을 약화시켜서 바인더 성분을 분해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적외선 차폐제는 공지된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페릴렌계 화합물, 아닐린계 화합물, 시아닌계 화합물 등의 유기 화합물, 안티몬을 도핑(doping)한 산화주석, 인듐을 도핑한 산화주석, 주석을 도핑한 산화인듐, 알루미늄을 도핑한 산화아연, 운모(雲母) 티탄(산화티탄 피복 마이카), 산화철 피복 마이카, 염기성 탄산납,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셀렌,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산화로듐, 산화루테늄이나 구리, 은, 철, 망간의 금속 착체(錯體) 등의 무기 화합물, 알루미늄, 금, 은, 구리, 크롬, 니켈, 인듐, 팔라듐, 주석 등의 금속이나 그것들의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도포액 중의 자외선 차폐제 및/또는 적외선 차폐제의 배합량은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외선 차폐제 및/또는 적외선 차폐제를 고형분으로 환산해서 도포액 중에 1∼46 중량%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35 중량% 정도가 더욱 바람직하며, 5∼20 중량% 정도가 또한 더욱 바람직하다. 1 중량%보다 적은 경우는, 자외선 차폐 성능이나 적외선 차폐 성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46 중량%를 초과하면, 형성되는 도막에 바인더 성분이 지나치게 적어서, 도막 강도가 저하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자외선 차폐제 또는 적외선 차폐제를 고체로서 사용하는 경우, 그 입자경(粒子徑)이나 형상 등에는 특히 제한은 없고 어떠한 크기의 것이라도 어떠한 입자 형상의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지만, 투명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가시광을 투과하는 입자경이나 형상을 적절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100 nm 정도의 입자경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도포액에는, 자외선 차폐제 및/또는 적외선 차폐제, 바인더 성분, 다가 알코올계 용매 이외에, 분산제(分散劑), 증점제(增粘劑), 점도 조정제, 경화제, 가교제(架橋劑), 레벨링제, 계면 활성제, 안료, 충전제(充塡劑), 흡착제, 탈취제, 항균제, 도전제(導電劑), 대전 방지제, 전자파 차폐제 등의 첨가제를 적절하게 배합해도 좋다. 또한, 바인더 성분의 중합 촉매, 중합 개시제(開始劑)를 필요에 따라서 첨가해도 좋다. 상기의 자외선 차폐제 및/또는 적외선 차폐제, 바인더 성분, 다가 알코올계 용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첨가제를 각각 소정량 혼합해서 도포액으로 할 수 있고, 용매의 종류나 배합량 등에 의해서 도포액의 점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포액 중의 전체의 고형분의 농도는 5∼50 중량% 정도가 바람직하고, 10∼50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며, 20∼45 중량%가 또한 더욱 바람직하다. 도포액 중의 전체의 고형분의 농도가 5 중량% 미만이면, 형성되는 도막에 자외선 차폐 성능이나 적외선 차폐 성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경향이 되어서 바람직하지 않고, 50 중량%를 초과하면, 형성되는 도막에 균열이 생기기 쉽고, 또한 도막 투과율의 저하로 연결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전체의 고형분의 농도에 대한 자외선 차폐제 및/또는 적외선 차폐제의 배합량은 각각의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고, 2∼90 중량% 정도라도 충분한 성능을 얻을 수 있으므로 적당하고, 5∼80 중량% 정도가 더욱 좋다. 본 발명에서는, 도포액 중의 전체의 고형분의 농도가 5∼50 중량%로서, 그 도포액 중에 바인더 성분을 고형분으로 환산해서 4∼49 중량% 배합하고, 다가 알코올을 50∼95 중량%를 적어도 배합한 도포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도포액 분출 노즐의 선단 구경이 0.5∼3.0 mm인 도장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에어 커튼을 발생시키는 송풍기를 구비한, 도포액 분출 노즐의 선단 구경이 0.5∼3.0 mm인 도장기를 사용하고, 도포액 분출 노즐의 분출압을 0.01∼0.098 MPa로 하여, 적어도, 자외선 차폐제 및/또는 적외선 차폐제와 바인더 성분과 다가 알코올계 용매를 배합하고, 다가 알코올의 배합량이 50∼95 중량%인 도포액을 기재에 도포하여 건조해서, 기재의 표면에 자외선 차폐제 및/또는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을 형성한다. 도포액의 도포 속도, 도포 횟수, 분출 높이 등은 기재나 도포량 설정 조건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기재의 세로 폭 또는 가로 폭 1 m 당 0.3∼30초 정도의 단시간에 실행할 수 있고, 0.5∼10초가 더욱 바람직하다. 단시간에 도포해도 기재 1 ㎡ 당 0.01∼30 g의 건조 도포량을 얻을 수 있고, 0.01∼20 g이 바람직한 범위이다. 도막의 막 두께는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10 nm∼50 ㎛ 정도로 할 수 있으며, 10 nm∼10 ㎛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 nm∼1.0 ㎛ 정도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1회의 도포에서도 충분한 도포량을 얻을 수 있고, 1/3 정도를 반복해서 도포하는 정도로 충분한 경우가 많지만, 더욱 많은 도포량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 등에는 필요에 따라서 2회∼수회 재도장을 실행할 수도 있다. 도포한 후, 풍건(風乾) 또는 에어 커튼의 공기로써 도포면을 순차적으로 건조하여, 경화할 수 있다. 건조, 경화는 풍건 또는 공기로써 충분한 경우가 많지만, 더욱 높은 온도에서의 경화가 필요한 경우는 히터를 사용해서 도포면이 300℃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정도가 되도록 가열해도 좋다. 가열 시간은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15분 정도이다. 바인더 성분으로서 자외선 조사(照射)에 의해서 경화되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막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광택을 내는 경우, 도막 표면을 연마기로써 연마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재의 폭 1 m 당 0.3∼30초 동안에 1회 도포하고, 풍건 또는 에어 커튼의 공기로써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해서, 기재 1 ㎡ 당 0.01∼30 g의 건조 도포량을 얻을 수 있다.
기재로서는, 무기질의 물품, 유기질의 물품, 그것들을 복합한 물품 등 모든 물품을 대상으로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유리, 타일, 콘크리트, 모르타르, 도기(陶器) 등의 세라믹스나 금속의 재질의 것, 플라스틱, 종이, 나무 등의 재질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창 유리 등의 건축물의 유리 부재, 건축물의 외벽, 도어, 담, 대문, 건축물 실내의 벽, 천장, 도어, 바닥, 식기, 가구, 특히 욕실의 바닥이나 벽, 도어, 부엌의 천장, 레인지, 환풍기, 화장실의 변기나 벽, 자동차나 전차의 전면 유리, 후면 유리, 측면 유리 등 여러 가지의 것에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물품을 기재로서 사용하는 것 이외에, 기재의 표면에 미리 자외선 차폐성 도막이나 적외선 차폐성 도막을 형성한 후, 그것들을 가공하여 물품으로 할 수도 있다. 도막을 형성하는 기재는, 그 표면을 미리 유리 컴파운드로 연마하거나 샌더(sander)로써 연마하고, 물, 알코올, 산, 알칼리의 적어도 1종으로 세정한 후, 도포액을 도포하면 도막의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유리 기재의 경우, 그 표면을 유리 컴파운드로써 오염 물질, 오일 성분의 제거를 실행하고, 또한 알코올로 세정한 후, 도포액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에는 그대로의 상태로 도포할 수도 있지만, 기재의 표면에 미리 프라이머(primer) 처리나 실러(sealer) 처리를 실시하거나, 하도층, 중도층(中塗層)을 형성한 후, 도포액을 도포할 수도 있다. 또한, 자외선 차폐성 도막이나 적외선 차폐성 도막을 형성한 후, 그 위에 바인더 성분 등을 함유하는 보호층을 형성해도 좋다.
상기의 도포액을 선단 구경이 큰 도포액 분출 노즐을 사용하여 저압력으로 도포하여 형성한 본 발명의 도막은, 연필 경도 시험, 내구성 시험, 내마모성 시험 결과,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고, 육안 판정 결과, 도포 불균일, 색 불균일이 생기기 어렵고, 또한 반점, 백화, 결손, 균열이 거의 없는 도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을 90% 이상 차폐할 수 있거나, 근적외선을 40% 이상 차폐할 수 있는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자외선, 적외선의 투과율은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또한, 막 두께는 전체의 고형분의 농도를 조정함으로써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10 nm∼50 ㎛ 정도의 막 두께, 바람직하게는 10 nm∼10 ㎛의 막 두께를 얻을 수 있고, 또한 50 nm∼5 ㎛ 정도의 막 두께에서 투명성도 우수한 도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시광 투과율이 85% 이상인 바람직한 도막을 얻을 수도 있다. 또한, 도막의 헤이즈(haze) 값(담치;曇値)이 0.5% 이하, 더욱이 0.3% 이하인, 백화나 흐려짐이 적은 바람직한 도막을 얻을 수도 있다. 가시광 투과율과 헤이즈 값의 측정에는 일본전색공업사제의 헤이즈 미터 NDH 300A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하여, 10 nm∼10 ㎛의 막 두께의 자외선 차폐제 및/또는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을 표면에 형성한 물품으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한 형태로서, 자외선 차폐제 및/또는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을 표면에 형성한 유리 물품, 또는 자외선 차폐제 및/또는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을 전면 유리, 후면 유리 및 측면 유리의 적어도 일부에 도포한 자동차로 할 수 있다.
(실시예)
이어서,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하기의 도포액을 스프레이식 온풍 저압 도장기를 사용하여, 소다유리판(150×70×6 mm)에 대하여 스프레이 도포하고, 상온에서 건조하여 도막을 제작하였다. 건조 도포량은 2.8 g/㎡이었다. 취득된 도막은 투명한 연한 회색을 나타내며, 근적외선을 40% 차폐할 수 있고, 또한 자외선을 90% 차폐할 수 있었다.
도포액의 조성(組成)
(1) 바인더 성분: 실리콘 수지 5 중량%
(2) 적외선 차폐제: 안티몬을 도핑한 산화주석 3 중량%
(3) 적외선 차폐제: 산화루테늄 1 중량%
(4) 자외선 차폐제: 벤조트리아졸 1 중량%
(5) 용매: 프로필렌글리콜 90 중량%
도장기로서, 고회전형 터빈의 송풍기를 구비한 스프레이식 온풍 저압 도장기(치론사제의 SG-91)를 사용하여, 다음의 조건으로 운전하였다.
(1) 도포액 분출 노즐의 선단 구경: 1.2 mm
(2) 분출압: 0.018 MPa
(3) 분출량: 70 ml/분
(4) 송풍기 송풍 압력: 0.018 MPa
(5) 에어 커튼의 공기 풍량: 2200 리터/분
(6) 에어 커튼의 공기 온도: 도장 작업의 환경 온도보다 15℃ 높은 온도
(7) 도장 속도: 피도물의 폭 1 m에 대하여 도장기를 3초 동안에 이동시켰다.
기재로서 사용한 소다유리판의 전처리로서, 시판되는 유리 컴파운드를 사용하여 오염 물질, 오일 성분의 충분한 제거를 실행하고, 또한 이소프로필알코올로써 세정을 실행하였다.
실시예 2
하기의 도포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막을 제작하였다. 건조 도포량은 8.4 g/㎡이었다. 취득된 도막은 투명한 연한 회색을 나타내며, 근적외선을 40% 차폐할 수 있고, 또한 자외선을 90% 차폐할 수 있었다.
도포액의 조성
(1) 바인더 성분: 실리콘 수지 20 중량%
(2) 적외선 차폐제: 안티몬을 도핑한 산화주석 6 중량%
(3) 적외선 차폐제: 산화루테늄 1 중량%
(4) 자외선 차폐제: 벤조트리아졸 3 중량%
(5) 용매: 프로필렌글리콜 70 중량%
비교예 1
온풍 저압 도장기의 도포액 분출 노즐의 선단 구경을 0.3 mm로 하고, 하기 조건으로 운전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막을 제작하였다.
(1) 도포액 분출 노즐의 선단 구경: 0.3 mm
(2) 분출압: 0.018 MPa
(3) 분출량: 18 ml/분
(4) 송풍기 송풍 압력: 0.018 MPa
(5) 에어 커튼의 공기 풍량: 2200 리터/분
(6) 에어 커튼의 공기 온도: 도장 작업의 환경 온도보다 15℃ 높은 온도
(7) 도장 속도: 피도물의 폭 1 m에 대하여 도장기를 3초 동안에 이동시켰다. 취득된 도막의 건조 도포량은 0.7 g/㎡이고, 도포 불균일이 발생하였다. 제작한 도막은 근적외선 차폐율이 10%、자외선 차폐율이 20%이었다.
비교예 2
비교예 1의 온풍 저압 도장기를 사용하고, 3회 반복해서 도장하는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도막을 제작하였다. 취득된 도막의 건조 도포량은 2 g/㎡이었지만, 도포하지 않은 유리판에 비하여 반점이나 투명성의 저하가 확인되고, 도막 경도도 불충분하였다.
본 발명의 도장 방법에서는, 모든 물품의 표면에 내구성,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더욱이 도포 불균일, 색 불균일이 생기기 어렵고, 또한 반점, 백화, 결손, 균열이 생기기 어려운, 자외선 차폐성 도막 또는 적외선 차폐성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작업 환경 하에서도 1회 도포로 균질(均質)의 도막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투명성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자외선 차폐성 도막을 활용하여, 입사하는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물품의 햇볕에 의한 퇴색, 변색을 방지할 수 있고, 유해한 자외선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차폐성 도막을 활용하여, 실내나 차실 내의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38)

  1. 적어도, 1∼100 nm의 입자경(粒子徑)을 갖는 자외선 차폐제 및 적외선 차폐제와, 바인더 성분과,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7-헵탄디올로 이루어진 군(群)으로부터 선택된 다가(多價) 알코올계 용매를 배합하고, 다가 알코올의 배합량이 50∼95 중량%인 도포액을, 도포액 분출 노즐의 선단 구경이 1.0∼2.0 mm인 도장기(塗裝機)를 사용하여, 도포액 분출 노즐의 분출압을 0.01∼0.05 MPa로 해서, 유리 기재(基材)에 도포하여 건조해서, 유리 기재의 표면에 자외선 차폐제 및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가시광 투과율 85% 이상의 도막을 형성하는 도장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다가 알코올이 프로필렌글리콜인 도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다가 알코올을 70∼90 중량% 배합한 도포액을 사용하는 도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도포액 분출 노즐로부터의 분출량을 30∼200 ml/분(分)의 범위로 도포하는 도장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도포액 중의 전체의 고형분의 농도가 5∼50 중량%이고, 그 도포액 중에 바인더 성분을 4∼49 중량% 배합한 도포액을 사용하는 도장 방법.
  7.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어 커튼을 발생시키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도장기를 사용하는 도장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송풍기의 송풍 압력을 0.01∼0.098 MPa로 하는 도장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에어 커튼의 공기의 온도를 도장 환경 온도보다 적어도 10℃ 높게 하는 도장 방법.
  10.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 기재의 폭 1 m 당 0.3∼30초 동안에 1회 도포하고, 풍건(風乾) 또는 에어 커튼의 공기로써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해서, 기재 1㎡ 당 0.01∼30 g의 건조 도포량을 얻는 도장 방법.
  11.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 기재의 표면을 유리 컴파운드로써 오염 물질, 오일 성분의 제거를 실행하고, 또한 알코올로 세정한 후, 도포액을 도포하는 도장 방법.
  12.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 기재가 건축물의 유리 부재의 적어도 일부인 도장 방법.
  13.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 기재가 자동차의 전면 유리, 후면 유리 및 측면 유리의 적어도 일부인 도장 방법.
  14.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장 방법을 사용하여 유리 기재의 표면에 형성한, 10 nm∼10 ㎛의 막 두께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및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
  15. 제14항에 기재된 자외선 차폐제 및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을 표면에 형성한 물품.
  16. 제14항에 기재된 자외선 차폐제 및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을 표면에 형성한 유리 물품.
  17. 제14항에 기재된 자외선 차폐제 및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을 전면 유리, 후면 유리 및 측면 유리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한 자동차.
  18. 적어도, 1∼100 nm의 입자경을 갖는 자외선 차폐제 또는 적외선 차폐제와, 바인더 성분과,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7-헵탄디올로 이루어진 군(群)으로부터 선택된 다가(多價) 알코올계 용매를 배합하고, 다가 알코올의 배합량이 50∼95 중량%인 도포액을, 도포액 분출 노즐의 선단 구경이 1.0∼2.0 mm인 도장기(塗裝機)를 사용하여, 도포액 분출 노즐의 분출압을 0.01∼0.05 MPa로 해서, 유리 기재(基材)에 도포하여 건조해서, 유리 기재의 표면에 자외선 차폐제 또는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가시광 투과율 85% 이상의 도막을 형성하는 도장 방법.
  19. 삭제
  20. 제18항에 있어서,
    다가 알코올이 프로필렌글리콜인 도장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다가 알코올을 70∼90 중량% 배합한 도포액을 사용하는 도장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도포액 분출 노즐로부터의 분출량을 30∼200 ml/분(分)의 범위로 도포하는 도장 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도포액 중의 전체의 고형분의 농도가 5∼50 중량%이고, 그 도포액 중에 바인더 성분을 4∼49 중량% 배합한 도포액을 사용하는 도장 방법.
  24. 제18항,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어 커튼을 발생시키기 위한 송풍기를 구비한 도장기를 사용하는 도장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송풍기의 송풍 압력을 0.01∼0.098 MPa로 하는 도장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에어 커튼의 공기의 온도를 도장 환경 온도보다 적어도 10℃ 높게 하는 도장 방법.
  27. 제18항,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 기재의 폭 1 m 당 0.3∼30초 동안에 1회 도포하고, 풍건(風乾) 또는 에어 커튼의 공기로써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해서, 기재 1㎡ 당 0.01∼30 g의 건조 도포량을 얻는 도장 방법.
  28. 제18항,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 기재의 표면을 유리 컴파운드로써 오염 물질, 오일 성분의 제거를 실행하고, 또한 알코올로 세정한 후, 도포액을 도포하는 도장 방법.
  29. 제18항,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 기재가 건축물의 유리 부재의 적어도 일부인 도장 방법.
  30. 제18항,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 기재가 자동차의 전면 유리, 후면 유리 및 측면 유리의 적어도 일부인 도장 방법.
  31. 제18항,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장 방법을 사용하여 유리 기재의 표면에 형성한, 10 nm∼10 ㎛의 막 두께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또는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
  32. 제31항에 기재된 자외선 차폐제 또는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을 표면에 형성한 물품.
  33. 제31항에 기재된 자외선 차폐제 또는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을 표면에 형성한 유리 물품.
  34. 제31항에 기재된 자외선 차폐제 또는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을 전면 유리, 후면 유리 및 측면 유리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한 자동차.
  35. 제29항에 있어서,
    자외선 차폐제 또는 적외선 차폐제가 안티몬을 도핑(doping)한 산화주석, 알루미늄을 도핑한 산화아연, 산화아연, 산화로듐 및, 산화루테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장 방법.
  36. 제30항에 있어서,
    자외선 차폐제 또는 적외선 차폐제가 안티몬을 도핑(doping)한 산화주석, 알루미늄을 도핑한 산화아연, 산화아연, 산화로듐 및, 산화루테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장 방법.
  37. 제12항에 있어서,
    자외선 차폐제 및 적외선 차폐제가 안티몬을 도핑(doping)한 산화주석, 알루미늄을 도핑한 산화아연, 산화아연, 산화로듐 및, 산화루테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장 방법.
  38. 제13항에 있어서,
    자외선 차폐제 및 적외선 차폐제가 안티몬을 도핑(doping)한 산화주석, 알루미늄을 도핑한 산화아연, 산화아연, 산화로듐 및, 산화루테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장 방법.
KR1020077027850A 2005-06-03 2006-06-01 자외선 차폐제와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을 형성하는도장 방법 KR1012984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63518A JP3908252B2 (ja) 2005-06-03 2005-06-03 紫外線遮蔽剤や赤外線遮蔽剤を含有した塗膜を形成する塗装方法
JPJP-P-2005-00163518 2005-06-03
PCT/JP2006/311013 WO2006129764A1 (ja) 2005-06-03 2006-06-01 紫外線遮蔽剤や赤外線遮蔽剤を含有した塗膜を形成する塗装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091A KR20080015091A (ko) 2008-02-18
KR101298460B1 true KR101298460B1 (ko) 2013-08-23

Family

ID=37481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850A KR101298460B1 (ko) 2005-06-03 2006-06-01 자외선 차폐제와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을 형성하는도장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8287946B2 (ko)
EP (1) EP1886739B1 (ko)
JP (1) JP3908252B2 (ko)
KR (1) KR101298460B1 (ko)
CN (1) CN101189075B (ko)
AU (1) AU2006253332B2 (ko)
HK (1) HK1119622A1 (ko)
TW (1) TWI399350B (ko)
WO (1) WO20061297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4145A (ja) * 2007-07-24 2009-02-05 Asahi Glass Co Ltd 塗料用フッ素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物品
KR101222936B1 (ko) * 2010-09-29 2013-01-17 (주)디오 아미노실란을 이용한 수계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 코팅제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코팅막
KR101321691B1 (ko) * 2013-05-29 2013-10-23 씨큐브 주식회사 흑색, 청색 또는 녹색 적외선 차폐안료를 포함한 적외선 차폐 도료 및 그 제조방법
JP6410508B2 (ja) * 2014-05-20 2018-10-24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加飾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269532B2 (ja) * 2015-03-02 2018-01-3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炉操業方法
CN106883661A (zh) * 2017-03-17 2017-06-23 深圳市捷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海绵刷涂施工的红外线紫外线阻隔涂料及制备方法
CN106905843A (zh) * 2017-04-05 2017-06-30 沙河市湡久新材料有限公司 日照遮蔽膜形成用涂布液及相关的粘合剂、日照遮蔽膜和基材
KR101976666B1 (ko) * 2018-04-28 2019-05-10 주식회사 백산 적외선 차폐율이 향상된 자동차 내장재용 인조 피혁 및 그 제조방법
CN110590177A (zh) * 2019-08-30 2019-12-20 福建工程学院 一种在基板上由高分散的红外吸收纳米颗粒与两种二氧化硅颗粒组装薄膜的方法
WO2021168551A1 (en) * 2020-02-24 2021-09-02 Laboratoire Cir Inc. Method of coating a carbon surface
CN114768838B (zh) * 2022-04-25 2023-07-21 长沙学院 一种Fe掺杂的BiOCl@Fe-BiOCl核壳结构纳米片的制备方法及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1516A (ja) * 1998-02-10 1999-08-17 Kansai Paint Co Ltd 塗装方法
JP2002273327A (ja) * 2001-03-19 2002-09-24 Satoshi Sawamura 透明基材の表面に塗膜を形成する方法
JP2004308378A (ja) * 2003-02-20 2004-11-04 Sk Kaken Co Ltd 建築物の温度上昇抑制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796B2 (ja) * 1990-05-11 1995-03-22 岩田塗装機工業株式会社 低圧微粒化エアスプレーガン
KR100214428B1 (ko) * 1993-06-30 1999-08-02 후지무라 마사지카, 아키모토 유미 적외선차단재와 그것에 사용하는 적외선차단분말
JP3361180B2 (ja) * 1994-04-28 2003-01-07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撥水性紫外線赤外線吸収ガラス及びその製法
US6221436B1 (en) * 1995-08-21 2001-04-24 Xerox Corporation Coating method involving substrate cleaning
JP3275070B2 (ja) * 1996-10-11 2002-04-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模様塗装方法
US5863599A (en) * 1997-01-08 1999-01-26 Lew; Chel Wing Sun protector
US6060154A (en) * 1997-09-30 2000-05-09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Coating liquid for selective permeable membrane, selective permeable membrane and selective permeable multilayered membrane
JP3285082B2 (ja) 1998-04-15 2002-05-27 日本油脂ビーエーエスエフコーティングス株式会社 塗膜形成方法
JP2000140709A (ja) * 1998-09-08 2000-05-23 Freunt Ind Co Ltd コーティング装置
US6677047B2 (en) * 2000-02-04 2004-01-13 Shin-Etsu Chemical Co., Ltd. Coating composition, coating method, and coated article
DE10059886A1 (de) * 2000-12-01 2002-06-20 Basf Coatings Ag Verwendung von wässrigen, physikalisch härtbaren Beschichtungsstoffen auf Polyurethanbasis als Haftgrundierung von Lackierungen
JP2002182006A (ja) * 2000-12-19 2002-06-26 Nippon Sheet Glass Co Ltd 反射防止膜、それを備えた基材および光電変換装置
KR100905142B1 (ko) * 2001-01-15 2009-06-2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가시 파장 영역에서의 높고 평활한 투과율을 가진 다층적외선 반사 필름 및 그로부터 제조된 라미네이트 제품
US6733872B2 (en) * 2001-03-01 2004-05-11 Asahi Glass Company, Limited Laminated glass
DE10117786A1 (de) * 2001-04-10 2002-10-17 Bayer Ag Wärmeabsorbierendes Schichtsystem
JP3648183B2 (ja) * 2001-08-29 2005-05-18 聡 澤村 透明シリコーン系被膜形成組成物及びその硬化方法。
JP4069369B2 (ja) * 2002-09-25 2008-04-0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反射防止膜及び反射防止膜の製造方法
US7192484B2 (en) * 2002-09-27 2007-03-20 Surmodics, Inc. Advanced coating apparatus and method
US6933019B2 (en) * 2003-11-06 2005-08-23 Jds Uniphase Corporation Method of applying a uniform polymer coating
US20050129634A1 (en) * 2003-12-16 2005-06-16 Frerichs Scott R. Passivated nano-titanium dioxide p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4514445B2 (ja) 2003-12-18 2010-07-28 大日本塗料株式会社 高防食性亜鉛末含有塗料組成物
KR101466151B1 (ko) * 2010-12-31 2014-11-27 제일모직 주식회사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1516A (ja) * 1998-02-10 1999-08-17 Kansai Paint Co Ltd 塗装方法
JP2002273327A (ja) * 2001-03-19 2002-09-24 Satoshi Sawamura 透明基材の表面に塗膜を形成する方法
JP2004308378A (ja) * 2003-02-20 2004-11-04 Sk Kaken Co Ltd 建築物の温度上昇抑制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87946B2 (en) 2012-10-16
US20130011661A1 (en) 2013-01-10
TWI399350B (zh) 2013-06-21
CN101189075B (zh) 2011-05-04
EP1886739B1 (en) 2017-09-06
WO2006129764A1 (ja) 2006-12-07
KR20080015091A (ko) 2008-02-18
AU2006253332B2 (en) 2010-05-20
AU2006253332A1 (en) 2006-12-07
TW200712022A (en) 2007-04-01
EP1886739A4 (en) 2013-07-10
JP2006334530A (ja) 2006-12-14
US20090311517A1 (en) 2009-12-17
CN101189075A (zh) 2008-05-28
EP1886739A1 (en) 2008-02-13
HK1119622A1 (en) 2009-03-13
JP3908252B2 (ja)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8460B1 (ko) 자외선 차폐제와 적외선 차폐제를 함유한 도막을 형성하는도장 방법
JP2008100122A (ja) 光触媒を含有した塗膜を形成する塗装方法
CN102239222B (zh) 用于增强亲水性的二氧化硅涂层
CA2605575C (en) Coating compositions providing improved mar and scratch resistanc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EP2310145B1 (en) Process for coating a wood or wood composite article and article coated by the process
JP7092475B2 (ja) 化粧板
JP3794837B2 (ja) 遮熱性塗料及びその塗装方法
CN101675133A (zh) 可手工涂布的溶胶凝胶膜形成用涂布液
JP2010059431A (ja) パール光沢塗装
CN101857772B (zh) 抗划伤纳米水性陶瓷无机-有机聚合物涂料及其应用
JP2016515084A (ja) 赤外減衰コーティングを含む板ガラス配置
EP2970687B1 (en) Low gloss coatings
AU2015308354B2 (en) Multilayer radiation-curable coating for indoor and outdoor application
JP3346278B2 (ja) 有機系基材への光触媒膜の形成方法とその用途
EP3486227A1 (en) Process for the functionalization of natural or artificial stone
CN1238441C (zh) 防热涂料及其涂覆方法
JP7253831B2 (ja) 基材飛散防止塗膜用組成物、基材飛散防止塗膜、飛散防止性基材、飛散防止性基材の形成方法及び基材飛散防止塗膜の形成キット
KR20190078430A (ko) 불연성 도장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TW201009033A (en) Method for protecting object
JP3182424B2 (ja) つや消し塗装仕上げ法
JP2005068817A (ja) 二酸化チタン被覆された窓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296567A (ja) 自動車外板つや消し塗装仕上げ法
JP2003026960A (ja) 防汚・防曇コーティング剤と防汚・防曇性塗装品および防汚・防曇性建築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