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057B1 - 테이프 송출 장치 및 테이프 부착기 - Google Patents

테이프 송출 장치 및 테이프 부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057B1
KR101288057B1 KR1020127019076A KR20127019076A KR101288057B1 KR 101288057 B1 KR101288057 B1 KR 101288057B1 KR 1020127019076 A KR1020127019076 A KR 1020127019076A KR 20127019076 A KR20127019076 A KR 20127019076A KR 101288057 B1 KR101288057 B1 KR 101288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roller
claw
cutting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9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8904A (ko
Inventor
에이조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에이조 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조 연구소 filed Critical 에이조 연구소
Publication of KR20120098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B65H35/00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using movable cut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65H35/0033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affixing it to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4Housings
    • B65H2402/442Housings with openings for introducing material to be handled, e.g. for inserting web ro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2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cutting, punching, piercing, severing or tearing
    • Y10T156/1378Cutter actuated by or secured to bonding e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88Work traversing type and/or means applying work to wall or static structure
    • Y10T156/1795Implement carried web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8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handle or handgri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20Severing by manually forcing against fixed edge
    • Y10T225/205With feed-out of predetermined length from work supply
    • Y10T225/211Manually operated feed-out mechanism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의 유지, 테이프의 송출과 부착, 절단이라고 하는 일련의 동작을 한손으로 원활하면서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는 테이프 송출 장치를 이용한 테이프 부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부착기는, 테이프(40)와 함께 회전하는 대략 원통 형상의 인출 롤러(21)와, 인출 롤러(21)의 회전과 함께 테이프(40)를 박리시키면서 순서대로 보내기 위한 박리 롤러(23)와, 인출 롤러(21)와 박리 롤러(23)를 연결하는 벨트(26)를 구비하는 테이프 송출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테이프(40)를 유지함과 더불어, 테이프 송출 장치를 지지하는 테이프 유지체(42)와, 테이프 유지체(42)에 지지되어 테이프(40)를 피부착면(1a)에 접촉시키는 부착 유닛(3x)과, 테이프 유지체(42)에 지지되어 테이프(40)를 절단하는 절단 날(55)과, 테이프 유지체(42)를 수납하는 케이스(10)를 구비하고, 테이프(40)의 선단을 박리 상태로 남겨 두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테이프 송출 장치 및 테이프 부착기 {TAPE DELIVERY DEVICE AND TAPE APPLICATOR}
본 발명은, 한쪽 손으로 간단히 점착 테이프(이하, 특별하게 명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테이프라고 함.)을 붙일 수 있게 하는 테이프 부착기와 그 내부 기구인 테이프 송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롤 상에 감긴 테이프는 단독으로는 사용하기 어렵고, 그 때문에 테이프의 권심(winding core)을 보유하면서 테이프를 항상 어느 정도 인출한 상태로 유지하는 소위 테이프 홀더와 함께 이용되는 것이 많다. 테이프 홀더에는, 테이프 권심의 직경이나 용도에 따라서 포켓형(handheld type), 탁상형(desktop type) 또는 전동형(electrically operated type) 등이 있고, 여러 가지 형상의 것들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3 참조).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평9-19411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 2000-296966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특허공개 평10-330021호 공보
그러나 현재 널리 보급되고 있는 테이프 홀더의 대부분은 손가락으로 테이프를 인출해서 테이프 홀더에 부속된 절단 날(cutting blade)로 테이프를 절단하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된 것이 대부분이다. 이 종류의 테이프 홀더는, 테이프의 인출, 절단, 부착라고 하는 일련의 동작을 양손으로 실행해야만 한다. 게다가, 절단 날이 톱니형일 경우에는, 절단선이 들쭉날쭉하고, 또한 테이프의 교환도 번거로웠다.
오자를 수정하기 위한 소위 수정 테이프와 같이, 테이프의 인출, 절단, 부착이라고 하는 일련의 동작을, 한쪽 손으로 게다가 한 동작으로 간단히 할 수 있게 한 테이프 부착기를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면 대단히 편리할 것이다. 그런데, 수정 테이프와는 달리, 점착 테이프는 보통 필름 형태의 수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강도도 크다. 이 때문에 붙인 후에는 절단 날 등으로 절단해야만 하므로, 저렴하고 실용적인 것은 별로 알려져 있지 않다.
이러한 테이프 부착기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테이프의 유지, 테이프의 송출과 부착, 절단이라고 하는 일련의 동작을 한쪽 손으로 원활하게, 게다가 확실하게 실행하기 위한 특별한 테이프 송출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신규의 테이프 송출 장치와 이것을 이용한 테이프 부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출 장치는, 축심에 감긴 테이프(40)를 순방향으로 송출하기 위한 테이프 송출 장치로서, 상기 테이프(40)와 함께 회전하는 대략 원통 형상의 인출 롤러(21)와, 상기 인출 롤러(21)의 회전과 함께 상기 테이프(40)를 박리시키면서 순서대로 보내기 위한 박리 롤러(23)와, 상기 인출 롤러(21)와 상기 박리 롤러(23)를 연결하는 벨트(26)를 구비한다.
이 송출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부착기를 실현하기 위한 독립된 주요 구성 부품으로서, 사용할 경우에, 테이프 유지체의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간단히 테이프라고 할 때는, 축심에 롤 형태로 감긴 테이프를 의미하고, 두께나 재질 혹은 폭 등은 어떤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점착면은 편면에 한하지 않고, 표면 측에 박리지(剝離紙)가 붙은 양면 테이프 형태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부착기는, 상기 테이프 송출 장치와, 상기 테이프(40)를 회전 유지함과 더불어 상기 테이프 송출 장치를 지지하는 테이프 유지체(42)와, 상기 테이프 유지체(42)에 지지되어 상기 테이프(40)를 피부착면(1a)에 눌러서 접촉시키기 위한 부착 롤러(30)와 절단 날(55)을 갖는 부착 유닛(3x)과, 상기 테이프 유지체(42)를 수납하는 케이스(10)를 구비하고, 상기 테이프(40)의 선단을 박리 상태로 남겨 두도록 구성한다.
롤 상에 감긴 테이프(40)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인출력이 필요하다. 종래의 테이프 부착기는 부착 롤러 아래에 테이프가 끊임없이 돌출하고 있어 부착 롤러를 피부착면(1a)에 눌러 닿게 해서 테이프를 접착해도 피부착면(1a) 위에는 테이프의 그저 일부분밖에 접착되지 않기 때문에, 테이프의 접착 면적의 부족으로 인해 테이프 부착기(1h)를 테이프의 부착 방향으로 당겼을 때, 롤 형태의 테이프(40)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하는 힘을 견디지 못해 피부착면(1a) 위의 테이프(40)는 피부착면(1a) 위를 미끄러져 떼어져서 테이프를 인출할 수 없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부착기에 의하면, 미리 피부착면(1a) 위로 충분한 인출력을 구비한 예비의 테이프를 접착해 둘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송출 장치는, 인출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테이프를 인출하고, 이것에 이어지는 박리 롤러에 의해 테이프 선단의 일정 길이를 항상 박리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테이프 송출 장치를 이용하면, 테이프의 선단을 피부착면 위로 송출해서 남겨 두고, 테이프의 부착이 종료한 후 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는 테이프 부착기를 구성할 수 있다. 특히, 테이프를 붙이고 나서 절단할 때까지의 일련의 동작에 있어서 손끝이 테이프의 점착면에 접촉할 일이 없고, 간단한 한쪽 손의 조작만으로 테이프를 붙일 수 있다.
도 1은 테이프 부착기의 일례이며, 도 1a는 케이스와 부착 유닛과의 일부를 생략한 측면도, 도 1b는 도 1a의 A-A선의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테이프 부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도 1의 테이프 부착기를 전개한 사시도, 도 3b는 도 1의 테이프 부착기를 전개한 것 이외의 사시도.
도 4a는 테이프 송출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테이프 송출 장치의 중앙부를 단면으로 하는 측면도.
도 5a는 도 4의 테이프 송출 장치의 벨트와 벨트 홈의 단면도, 도 5b는 도 5 a의 벨트에 화살표 T의 힘을 가했을 때의 도면.
도 6a는 도 4a의 테이프 송출 장치의 래칫 휠(ratchet wheel)과 구동 전달 부재와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b는 도 6a를 전방에서 본 도면.
도 7a는 절단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b는 절단부와 테이프 송출 장치와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1의 전방에서 본 부분 단면도, 도 7c는 절단부와 리턴 스프링(return spring)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절단부의 판 스프링 암의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a는 구동 클로(claw)가 판 스프링 암을 통과하기 전의 측면도, 도 8b는 구동 클로가 판 스프링 암을 통과하는 중의 측면도, 도 8b1은 도 8b를 위쪽에서 본 도면, 도 8c는 구동 클로가 판 스프링 암을 통과한 후의 측면도, 도 8c1은 도 8c를 위쪽에서 본 도면, 도 8d는 구동 클로가 되돌아올 때의 측면도.
도 9는 도 1의 테이프 부착기의 전개도이며, 도 9a는 부착 유닛과 일부 생략한 케이스를 연 상태의 측면도, 도 9b는 도 9a의 부착 유닛을 닫은 상태의 측면도, 도 9c는 도 9b의 케이스를 닫은 상태의 측면도.
도 10은 도 1의 테이프 부착기의 작동 상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a는 케이스와 부착 유닛의 일부를 생략해서 전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b는 도 10a에서 테이프 송출 후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c는 도 10a에서 테이프를 부착할 때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d는 도 10a에서 테이프 절단 후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테이프 부착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a는 부착 유닛과 섀시와 누름 버턴의 일부를 생략해서 테이프 부착기 전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b는 도 11a에서 테이프 송출 후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c는 도 11a에서 테이프 절단 후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d는 도 11a의 B1-B1선의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11e는 도 11d의 B2-B2선의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구동 유닛의 한쪽과 절단부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f는 도 11d의 B3-B3선의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구동 유닛의 다른 쪽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1의 테이프 부착기의 전개도이며, 부착 유닛과 누름 버턴의 일부를 생략해서 테이프 부착기 전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3은 테이프 부착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a는 부착 유닛과 섀시와 레버의 일부를 생략해서 전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3b는 도 13a에서 테이프 송출 후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3c는 도 13a에서 테이프 절단 후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도 13의 테이프 부착기의 레버의 사시도.
도 15는 도 13의 테이프 부착기의 전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누름판을 갖춘 절단부와 구동 클로와 부착 롤러와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누름판을 갖춘 절단부를 구비하는 도 1의 테이프 부착기의 작동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7a는 케이스와 부착 유닛과 절단부의 일부를 생략해서 전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b는 도 17a에 있어서 테이프 송출 후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c는 도 17a에서 테이프 부착 후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d는 도 17a에서 송출한 테이프 고정 후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e는 도 17a에서 테이프 절단 후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우선, 일례로서 테이프 부착기의 전체 구성과 그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도 1은, 테이프 부착기(1h)를 나타내고 있다. 도 1a는 케이스와 부착 유닛의 일부를 생략한 측면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A-A선의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테이프 부착기(1h)는 크게 3 부분으로 나눌 수 있어, 롤 상의 테이프(40)와 테이프 송출 장치(2x)를 갖춘 섀시(4x)와, 구동 유닛(1x)을 갖춘 케이스(10)와, 부착 롤러(30)와 절단부(5x)를 갖춘 부착 유닛(3x)을 구비한다. 각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지만, 테이프 부착기(1h)에서는, 케이스(10)와 섀시(4x)가 작동 스프링(45)으로 힘이 가해져서 접속된다. 케이스(10)를 Y1의 방향, 즉 작동 스프링(45)이 가하는 힘에 저항해서 누르면, 테이프 송출 장치(2x)의 인출 롤러(21)가 회전해서 테이프(40)를 인출하고, 테이프(40)를 테이프 송출 장치(2x) 쪽의 부착 롤러(30)와 피부착면(1a)이 접하는 방향으로 송출한다. Y1의 누름을 해제하면, 케이스(10)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림과 동시에, 절단부(5x)로 테이프(40)를 절단한다. 구동 유닛(1x)은 적절한 구성이나 배치 장소를 변경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테이프 부착기의 분해 사시도다. 테이프 부착기(1h)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부재를 간단히 조립해서 제조할 수 있다.
도 3a는 도 1의 테이프 부착기를 전개한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1의 테이프 부착기를 전개한 것 이외의 사시도이다. 테이프 부착기(1h)는, 우선, 케이스(10)를 축(47)의 주변으로 회전시켜서 연 후, 부착 유닛(3x)을 C의 방향, 즉, 축(46)의 주변으로 회전시켜서 열 수 있다.
이 테이프 부착기에는, 테이프를 순방향으로 송출하기 위한 테이프 송출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에, 그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테이프 송출 장치]
도 4a는, 테이프 송출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테이프 송출 장치의 중앙부를 단면으로 하는 측면도이다. 테이프 송출 장치(2x)는 테이프(40)와 함께 회전하는 대략 원통 형상의 인출 롤러(21)와, 인출 롤러(21)의 회전과 상기 테이프(40)를 박리시키면서 순서대로 보내기 위한 박리 롤러(23)와, 인출 롤러(21)와 박리 롤러(23)를 연결하는 벨트(26)로 이루어지는 테이프 송출 장치를 주요 부품으로 한다. 이 테이프 송출 장치가 테이프 유지체(42)의 일부에 설치된 롤러 유지부(20), 테이프(40)를 인출 롤러(21)의 주위에 확실히 접착시키기 위한 텐션체(tension body)(28), 테이프(40)를 일정한 방향으로 추진시키는 추진 부재(27) 등과 함께 전체로서 테이프 송출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텐션체(28)는 인출 롤러(21)의 위쪽에, 테이프(40)를 통과시키는 간극(間隙)을 설치해서 배치된다. 추진 부재(27)는 박리 롤러(23)의 위쪽에, 테이프(40)를 통과시키는 간극을 설치해서 테이프(40)를 송출하는 방향에 따라 배치된다. 인출 롤러(21) 및 박리 롤러(23)는 벨트(26)에 의해 서로 연결 및 연동해서 동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인출 롤러(21)는 축(22)을 가지고, 박리 롤러(23)는 축(24)을 가진다. 롤러 유지부(20)는 인출 롤러(21)를 축(22)의 주변에, 박리 롤러(23)를 축(24)의 주변에 각각 회전 유지한다. 인출 롤러(21)는 외주부에 테이프(40)가 부착되는 면을 가진다. 인출 롤러(21)는 래칫 휠(ratchet wheel)(1b)을 가질 수도 있다. 래칫 휠(1b)은 다수의 톱니를 가지고, 축(22)을 중심으로 인출 롤러(21)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로써, 도 1을 참조해서 간단히 설명한 구동 유닛(1x)의 구동력을, 래칫 휠(1b)의 톱니에 걸리는 부재에 의해 인출 롤러(21)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래칫 휠(1b) 등의 구동 전달 부재는, 기어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것을 이용할 수 있고, 박리 롤러(23) 측에 설치해도 좋다.
박리 롤러(23)는 중앙의 직경이 짧은 대략 대칭 원추형, 중앙이 움푹 들어간 대략 원기둥형, 혹은 외주부에 요철의 산 모양의 형상 등을 설치한 형상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박리 롤러(23)와 테이프(40)와의 접촉 면적이 적어지고, 테이프(40)가 박리 롤러(23)로부터 박리되는 것이 쉬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박리 롤러(23)의 외주부에 붙여진 테이프(40)를 박리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외주부의 표면에 실리콘(silicon)층이나 플루오르(fluorine) 코팅층 등을 갖춘 부재로 구성해도 좋다.
텐션체(28)는 인출 롤러(21)의 외주부에 따라 배치되고, 텐션체(28)의 일단은 인출 롤러(21)와 롤 형상의 테이프(40) 사이에 배치된다. 이렇게 하면, 테이프(40)를 인출할 때에, 테이프(40)를 인출 롤러(21)의 아래쪽으로 밀어 누르고, 테이프(40)의 느슨함을 감소시키고, 인출 롤러(21)와 테이프(40)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추진 부재(27)는 테이프(40)를 송출하는 방향에 따라 중앙에 볼록부(凸部)를 가진다. 한편, 박리 롤러(23)는 원주 방향의 전 부분을 따라 오목부(凹部)를 가진다. 이 추진 부재(27)의 볼록부의 단면의 형상은, 그 일부가 박리 롤러(23)의 오목부에 들어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롤러(23)의 중앙부의 오목부와 추진 부재(27)의 볼록부는 일정한 간극을 갖도록 배치된다. 추진 부재(27)의 형상은, 예를 들어 삼각 기둥형이나 반원 기둥형 등, 여러 가지 것을 들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테이프(40)는 추진 부재(27)의 볼록부에 의해, 송출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폭 방향으로 만곡되어, 송출 방향에 대한 강성이 부여된다. 이 때문에, 추진 부재(27)로부터 송출되는 테이프(40)는 두께가 얇은 테이프나 찢어지기 쉬운 유연한 테이프라도, 빈 곳(中空)을 직진할 수 있다. 또한, 추진 부재(27)의 배치를 박리 롤러(23)의 축(24)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그 회전 각도만큼의 테이프가 추진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벨트(26)는 신축하는 부재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그 단면 형상은 V자형이나 원형 등의 여러 가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벨트(26)는, 예를 들어, 인출 롤러(21) 및 박리 롤러(23)에 타이밍 풀리를 구비하고, 다수의 기어 이빨을 갖는 타이밍 벨트를 이용해도 좋다. 인출 롤러(21) 및 박리 롤러(23)는 외주부에 벨트(26)를 감기위한 벨트 홈(25)을 가져도 좋다.
도 5(a)는 도 4의 테이프 송출 장치의 벨트와 벨트 홈의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벨트에 화살표 T의 힘을 가했을 때의 도면이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출 롤러(21) 및 박리 롤러(23)의 외주부에 형성된 벨트 홈(25)의 단면의 형상은, 각 롤러의 회전축의 중심을 향해서 폭을 좁게 한 대략 V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벨트 홈(25)에 벨트(26)를 감아서, 인출 롤러(21) 및 박리 롤러(23)에 동력을 전달하면,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26)에 화살표 T의 힘이 생기기 때문에, 벨트(26)는 압축되어 벨트 홈(25)의 폭의 좁은 부분에 들어가고, 벨트 홈(25)과 벨트(26)의 마찰을 크게 해서 서로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해서 동력의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로 설명한 테이프 송출 장치는, 인출 롤러 및 박리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롤 형상의 테이프로부터 확실하게 테이프를 송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구동 유닛을 케이스에 구비하는 테이프 부착기]
이어서, 구동 유닛을 케이스에 구비하는 테이프 부착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해서 전체의 구성을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부착기(1h)는, 테이프(40)와, 테이프 유지체(42)와, 제1 실시 형태의 테이프 송출 장치를 구비하는 섀시(4x)와, 피부착면(1a)에 테이프(40)를 붙이기 위한 부착 유닛(3x)과, 테이프(40)를 인출 및 송출하기 위한 구동 유닛(1x)과, 구동 유닛(1x)을 갖추고서 부착 유닛(3x) 및 섀시(4x)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케이스(10)를 구비한다. 그리고 테이프(40)는 내측에 점착면을 가짐과 더불어, 롤 형상으로 테이프 유지체(42)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다. 부착 유닛(3x)은 테이프(40)를 피부착면(1a)에 누르면서 붙이는 부착 롤러(30)를 갖추고 있고, 인출 롤러(21)는 구동 전달 부재를 갖추고 있다. 테이프 송출 장치는 케이스(10)의 구동 유닛(1x)에 의해 구동 전달 부재에 구동력이 전달되면, 테이프(40)를 테이프 유지체(42)로부터 인출하고, 부착 롤러(30)와 피부착면(1a)이 접하는 방향으로 송출하도록 배치된다.
[섀시]
섀시(4x)에는 바닥판(41)에 대하여 수직으로 테이프 유지체(42)가 배치된다. 테이프 유지체(42)는 점착면이 내측에 있는 롤 형상의 테이프(40)를 테이프 유지축(43)에 회전할 수 있게 유지한다. 또한, 섀시(4x)는 내부에 제1 실시 형태의 테이프 송출 장치를 구비한다. 이때, 롤러 유지부(20)를 섀시(4x)의 일부로 구성해도 좋다. 섀시(4x)의 후방부는, 케이스(10)를 원래의 위치에 되돌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작동 스프링(45)을 구비한다. 섀시(4x)에는 절단부(5x)의 요동 범위를 규정하는 개구부나 홈 등을 설치해도 좋다. 섀시(4x)의 아래쪽 부분에는, 축(46)의 주변으로 회전하는 보호 커버(49)를 구비해도 좋다. 보호 커버(49)는 테이프 부착기(1h)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부착 유닛의 개구부(32)와 부착 롤러(30)를 아래쪽으로부터 커버해서 보호하고, 테이프 부착기(1h)를 사용할 때에는 수납부(49a)에 수납된다.
[부착 유닛]
부착 유닛(3x)은 케이스(10)의 개폐 클로(claw)(4a)와 걸리거나 풀릴 수 있는 후킹 클로(hooking claw)(3a)를 갖추고 있으며, 섀시(4x)의 전방부에, 축(46)으로 요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부착 유닛(3x)의 아래쪽 부분은 축(31)의 주변으로 회전하는 부착 롤러(30)와 개구부(32)를 갖추고 있다. 테이프(40)는 개구부(32)로부터 외부로 송출되어서 부착 롤러(30)로 붙일 수 있다. 부착 유닛(3x)은 테이프 송출 장치(2x)의 테이프를 폭 방향으로 만곡시켜서 테이프를 추진 가능하게 하는 추진 부재(27)나 텐션체(28)를 갖추어도 좋다. 부착 롤러(30)는 우레탄이나 고무 등과 같은 탄성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 유닛(3x)은 후술하는 절단부(5x)를 구비해도 좋다. 부착 유닛(3x)에 절단부(5x)를 구비할 경우, 절단부(5x)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는 리턴 스프링(34)을 더 구비해도 좋다. 또한, 부착 유닛(3x)은 섀시(4x)와 일체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는, 부착 유닛(3x)은 좌우 2개의 부재 등과 같이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일체로 된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부착 롤러(30) 근방에 점착 테이프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개구부(32)가 형성되고, 구동 유닛(1x)에 의해 테이프 송출 장치(2x)를 구동시키도록 함으로써, 테이프 유지축(43)에 유지되는 롤 형상에 감긴 테이프를 인출하고, 개구부(32)로부터 테이프 송출 장치 측의 피부착면 위로 테이프의 선단을 송출할 수 있다.
[케이스]
케이스(10)는 롤 형상 테이프(40)의 테이프 유지축(43)에서의 변위를 억제하는 가이드(19)와, 부착 유닛(3x)의 후킹 클로(3a)에 걸리거나 풀릴 수 있는 개폐 클로(4a)와, 구동 유닛(1x)을 구비하고, 섀시(4x)의 뒤쪽 부분에 축(47)으로 요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가이드(19)는 테이프(40)의 변위를 억제하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케이스(10)나 부착 유닛(3x)은 좌우 2개의 부재나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어도 좋고, 일체로 된 부재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케이스(1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해도 좋고,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수지 등의 재질을 이용하면, 테이프(40)의 잔량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작동 스프링]
작동 스프링(45)은 부착 유닛(3x)과 섀시(4x) 중 어느 한쪽과, 구동 유닛(1x)을 서로 반발시켜, 구동 유닛(1x)을 원래의 위치에 되돌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테이프 부착기(1h)로는 이와 같이 힘을 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좋다. 작동 스프링(45)은 구동 유닛(1x), 부착 유닛(3x) 또는 섀시(4x) 중 어느 구성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작동 스프링(45)은 금속이나 수지 등과 같이 서로 반발해서 힘을 가하는 부재라면 좋고, 판 스프링 뿐만 아니라,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구동 유닛]
구동 유닛(1x)는, 작동 클로(17)와, 구동축(15)을 구비하는 구동 전달 부재(16)와, 구동 전달 부재(16)의 구동축(15)의 주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토퍼(18)와, 구동 전달 부재(16)를 원래의 위치에 되돌리는 리턴 스프링(14)을 구비한다. 구동 유닛(1x)은 구동력을 전달할 때에, 작동 클로(17)를 인출 롤러(21)의 래칫 휠(1b)의 톱니에 걸리게 해서 래칫 휠(1b)을 회전시킨다. 이와 함께, 구동 전달 부재(16)는 작동 클로(17)를 구동축(15)의 주변으로 회전시킨다. 구동력의 전달 후에, 작동 클로(17)와 래칫 휠(1b)의 톱니와의 걸림을 해제하면, 구동 전달 부재(16)는 리턴 스프링(14)에 의해 스토퍼(18)에 맞닿을 때까지 구동축(15)으로 회전하고,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진다. 또한, 구동 유닛(1x)은 절단부(5x)의 암 클로(50)에 걸리는 구동 클로(13)를 구비한다. 구동 유닛(1x)은 케이스(10)의 내측에, 테이프 송출 장치(2x)나 절단부(5x)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각각 설치된다.
도 6(a)는 도 4(a)의 테이프 송출 장치의 래칫 휠과 구동 전달 부재의 배치에 대한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6(b)는 도 6(a)를 위쪽에서 본 도면이다. 구동 유닛(1x)의 구동 전달 부재(16)는 구동축(15)으로 요동할 수 있게 부설되어, 구동력을 전달할 때에, 테이프 송출 장치(2x)의 래칫 휠(1b)의 톱니와 구동 전달 부재(16)의 작동 클로(17)가 걸릴 수 있도록, 구동 유닛(1x)과 테이프 송출 장치(2x)를 배치하고 있다. 이때,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유닛(1x)에 의해 구동 전달 부재(16)를 각도 b만큼 회전시키면, 작동 클로(17)는 래칫 휠(1b)의 톱니와 걸려서, 래칫 휠(1b)을 각도 b보다도 큰 각도 a만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구동 전달 부재(16)가 래칫 휠(1b)의 축 방향 옆쪽에 배치됨으로써, 구동 전달 부재(16)의 회전량보다도 래칫 휠(1b)의 회전량을 많게 하고, 이에 따라 테이프(40)의 송출량도 많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테이프 송출 장치(2x)가 소형이어도 충분한 송출량을 얻을 수 있다.
[절단부]
도 7(a)는 절단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b)는 절단부와 테이프 송출 장치에 대한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1의 전방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며, 도 7(c)는 절단부와 리턴 스프링의 배치에 대한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절단부(5x)는 요동할 수 있게 부착 유닛(3x)에 지지되는 요동 축(57)과, 테이프(40)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 날(55)과, 절단 날(55)을 유지하기 위한 암(33)을 구비한다. 암(33)은 예를 들어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strut)(58)와, 절단 날(55)을 유지하는 절단 날 유지 패널(cutting blade holding panel)(53)을 좌우 양측에 유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절단 날 유지 패널(53)은 절단 날(55)을 수동으로 누르기 위한 절단 버턴(54)을 구비해도 좋다. 암(33)은 한쪽의 일부에 구동 클로(13)와 걸리는 암 클로(50)와, 부착 유닛(3x)의 리턴 스프링(34)에 걸리는 걸림부를 갖추고 있다.
절단 날(55)은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40)를 절단할 때에 날끝에 걸리는 힘을 작게 하기 위해서, 중심 대칭축을 가지며, 날끝의 중앙을 절단 날(55)의 절단 방향으로 돌기시킨 삼각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하면, 테이프(40)를 절단할 때에 날끝이 테이프(40)의 중앙의 한 점을 찌르고, 중앙에서 양단에 걸쳐서 부분적으로 자르기 시작해서, 서서히 시간 지연을 가지고 절단을 해나간다. 그 때문에, 날끝에 걸리는 절단력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톱니로 된 절단 날로 절단했을 경우에 비해, 직선적인 절단선을 얻을 수 있다. 절단 날(55)은 전체가 상기와 같은 삼각형상이면, 하나의 날이든지 복수의 날을 조합한 것이든지 어떻게 구성해도 좋다. 절단 날(55)은 요동 축(57)의 주변의 요동에 의해, 부착 롤러(30)와 테이프 송출 장치(2x) 사이를 왕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절단부(5x)는,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 날(55)을 유지하는 절단 날 유지 패널(53)과 지주(58)를 암(33)의 양측에서 지지하고, 절단 날 유지 패널(53)과, 지주(58)와, 한 쌍의 암(33)으로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암(33)의 간격의 길이는 테이프 송출 장치(2x)의 폭의 길이보다도 크고, 절단 날 유지 패널(53)과 지주(58)와의 간격은 테이프 송출 장치(2x)의 높이보다도 크게 하고 있다. 절단부(5x)는 이 공간에 테이프 송출 장치(2x)를 통과시켜서, 테이프 송출 장치(2x)의 외측을 요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절단 날(55)은 요동의 스트로크를 충분하게 할 수 있고, 테이프(40)에 다소 느슨함이 있어도 절단 날(55)의 선단이 테이프(40)에 맞닿아서 테이프(40)에 장력을 부여하고, 테이프(40)를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다.
절단부(5x)는 테이프 송출 장치(2x)의 구동 후, 즉, 테이프 유지체(42)로부터 테이프(40)를 인출해서 피부착면(1a)에 송출 후, 구동 클로(13)를 암 클로(50)에 걸리게 해서 절단 날(55)을 구동하고, 테이프(40)를 절단한다. 그 후, 절단부(5x)는 리턴 스프링(34)에 의해 원래의 위치에 되돌려진다.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할 때에 암 클로(50)의 아래쪽에서 구동력을 가하면, 절단부(5x)는 요동 축(57)으로 회전함과 더불어, 암(33)의 걸림부가 리턴 스프링(34)에 걸리고, 리턴 스프링(34)을 누른다. 그리고 절단 후에 구동력을 해제하면, 절단부(5x)는 리턴 스프링(34)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암 클로(50)는 요동 축(57)의 방향으로 휘도록 힘을 가하는 판 스프링 암(51)과, 판 스프링 암(51)을 휘게 하는 캠(52)을 갖추어도 좋다. 암 클로(50)를 이렇게 구성하면, 구동 유닛(1x)에 의해, 테이프 송출 장치(2x)의 구동 후, 절단부(5x)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동 유닛(1x)이 절단부(5x)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구로서, 이하에 구동 유닛(1x)의 구동 클로(13)와 절단부(5x)의 판 스프링 암(51)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8은 절단부의 판 스프링 암의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a)는 구동 클로가 판 스프링 암을 통과하기 전의 측면도이며, 도 8(b)는 구동 클로가 판 스프링 암을 통과 중인 측면도이며, 도 8(b1)은 도 8(b)를 위쪽에서 본 도면이며, 도 8(c)는 구동 클로가 판 스프링 암을 통과한 후의 측면도이며, 도 8(c1)은 도 8(c)를 위쪽에서 본 도면이며, 도 8(d)는 구동 클로가 되돌아올 때의 측면도이다.
케이스(10)에 설치된 구동 유닛(1x)은 구동 클로(13)를 갖추고 있고, 구동 클로(13)는 구동 전, 즉 케이스(10)를 위쪽에서 누르기 전에,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 클로(50)의 선단부의 위쪽에 배치된다. 이때, 캠(52)은 암 클로(50)의 선단부의 반대쪽에 있고, 케이스(10)를 눌러서 구동 클로(13)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캠(52)의 경사부와 구동 클로(13)의 일부가 접하도록 배치된다. 캠(52)의 경사부는 구동 클로(13)에 설치해도 좋다. 케이스(10)를 위쪽에서 누르면, 도 8(b) 및 도 8(b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클로(13)는 화살표 D1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캠(52)의 경사부와 구동 클로(13)의 일부가 접하면, 구동 클로(13)는 판 스프링 암(51)을 화살표 D2의 방향으로 휘게 하면서 캠(52)의 경사부를 미끄러져서 이동한다. 구동 클로(13)가 화살표 D1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 테이프 송출 장치(2x)는 구동 유닛(1x)에 의해 구동하고, 테이프 유지체(42)로부터 테이프(40)를 인출해서 피부착면(1a)으로 송출한다. 그 후, 도 8(c) 및 도 8(c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클로(13)는 판 스프링 암(51)을 타넘어서, 판 스프링 암(51)의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판 스프링 암(51)은 구동 클로(13)와 접하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온다. 그 후, 케이스(10)의 누름을 해제하면, 도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클로(13)는 작동 스프링(45)에 의해 암 클로(50)와 걸리면서 화살표 D3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절단부(5x)가 요동 축(57)의 주변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절단 날(55)은 화살표 D4의 방향으로 이동해서 테이프를 절단한다.
[구동 유닛을 케이스에 구비하는 테이프 부착기의 전개]
도 9는 도 1의 테이프 부착기의 전개도이고, 도 9(a)는 부착 유닛과 일부 생략된 케이스를 연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9(b)는 도 9(a)의 부착 유닛을 닫은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9(c)는 도 9(b)의 케이스를 닫은 상태의 측면도이다. 테이프 부착기(1h)는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섀시(4x)를 중앙으로 해서, 후방에 케이스(10)를 전방에 부착 유닛(3x)을 회전시켜서 전개할 수 있다. 이렇게 전개한 상태에서, 롤 형상의 테이프(40)를 테이프 유지체(42)에 장착하고, 테이프(40)의 선단을 인출해서 인출 롤러(21)와 박리 롤러(23)의 외주부 위에 붙인다. 그 후, 화살표 R1의 방향으로 부착 유닛(3x)을 축(46)의 주변으로 회전시켜서 닫은 후,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 R2의 방향으로 케이스(10)를 축(47)의 주변으로 회전시켜서 닫는다. 그리고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 유닛(3x)의 후킹 클로(3a)를 케이스(10)의 개폐 클로(4a)에 건다. 또한, 케이스(10)는 섀시(4x)의 작동 스프링(45)의 반발력에 의해, 케이스(10)를 여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그 때문에, 개폐 클로(4a) 및 후킹 클로(3a)는 케이스(10)를 여는 방향으로 끌어당겨도 빠지지 않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테이프 부착기(1h)의 전개는 간단히 실시할 수 있고, 테이프(40)의 교환 및 테이프(40)의 초기 설정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테이프 부착기의 작동 상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a)는 케이스와 부착 유닛의 일부를 생략해서 전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0(b)는 도 10(a)에서 테이프 송출 후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0(c)는 도 10(a)에서 테이프를 부착했을 때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0(d)는 도 10(a)에서 테이프 절단 후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우선, 사용자는 케이스(10)를 파지해서 부착 롤러(30)를 피부착면(1a)에 누른다. 그리고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 스프링(45)이 가하는 힘에 대항하여 화살표 Y1 방향으로 케이스(10)를 누른다. 이때, 케이스(10)의 내측면에 설치된 구동 전달 부재(16)의 작동 클로(17)는 테이프 송출 장치(2x)의 래칫 휠(1b)의 톱니와 걸리고, 래칫 휠(1b)을 순방향(도 10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인출 롤러(21)는 래칫 휠(1b)과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테이프 유지체(42)로부터 롤 형상의 테이프(40)를 인출하고, 테이프(40)를 인출 롤러(21)의 외주부에 실어서, 박리 롤러(23)로 반송한다. 벨트(26)는 박리 롤러(23)에 동력을 전달함과 더불어, 테이프(40)를 인출 롤러(21)로부터 박리해서 박리 롤러(23)의 외주부로 반송한다. 박리 롤러(23)는 테이프(40)를 추진 부재(27)의 볼록부에 의해 폭 방향으로 만곡시키면서 부착 롤러(30)의 테이프 송출 장치(2x) 쪽의 배후의 피부착면(1a) 위로 송출한다. 그리고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40)는 선단을 부착 롤러(30)와 피부착면(1a)이 접하는 부분에 누를 수 있다. 갈 곳이 없어진 테이프(40)는 피부착면(1a)에 점착면이 접촉하도록 휘어지고, 남겨진다. 이때, 케이스(10)의 내측면에 설치된 구동 클로(13)는 절단부(5x)의 암 클로(50)를 미끄러져서 타넘어서, 암 클로(50)의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의 테이프(40)의 송출량은, 테이프 송출 장치(2x)를 나온 직후의 테이프(40)의 선단으로부터 부착 롤러(30)와 피부착면(1a)의 접하는 부분까지의 거리(N1)와, 테이프 유지체(42)로부터 테이프(40)를 인출하기 위해서 충분한 접착력을 가지는 테이프(40)의 길이(N2)를 더한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를 누른 상태에서 테이프 부착기(1h) 전체를 화살표 Y2 방향으로 당긴다. 이때, 먼저, 남겨둔 테이프(40)를 부착 롤러(30)로 위쪽에서 눌러서 피부착면(1a) 위로 길이 N2 이상 접착한다. 그리고 케이스(10)를 누른 상태에서 테이프 부착기(1h) 전체를 화살표 Y2 방향으로 당기고, 남겨둔 테이프를 피부착면(1a) 위로 접착해서 후속의 테이프(40)를 도 10(b)의 휜 상태로부터 도 10(c)의 당겨진 상태로 변화시킨다. 그 후에는 피부착면(1a) 위로 접착된 테이프(40)의 접착력에 의해 테이프(40)를 인출하면서 피부착면(1a) 위로 부착해간다. 피부착면(1a) 위에 접착하는 테이프(40)가 길이(N2)에 충족하지 않을 때에는, 테이프의 부착에 실패하지만 일단 케이스(10)의 누름을 해제하고, 다시 케이스(10)를 눌러서 추가의 테이프를 인출해도 좋다. 원하는 길이만큼 당겼을 때 부착을 종료한다.
그 후, 케이스(10)의 누름을 해제한다. 이때, 도 10(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는 작동 스프링(45)에 의해 화살표 Y3 방향으로 요동함과 더불어, 케이스(10)의 내측면에 설치된 구동 클로(13)는 아래쪽으로부터 절단부(5x)의 암 클로(50)에 걸리고, 암 클로(50)를 리턴 스프링(34)이 가하는 힘에 대항해서 위쪽으로 들어올린다. 절단부(5x)는 요동 축(57)의 주변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더불어, 절단 날(55)은 테이프(40)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부터, 부착 롤러(30)과 박리 롤러(23)의 사이의 테이프(40)에 맞닿아서 테이프(40)를 절단한다. 만일 테이프(40)의 절단에 실패했을 경우, 절단부(5x)의 절단 버턴(54)을 손으로 눌러서 절단부(5x)를 요동 축(57)의 주변으로 회전시켜, 테이프(40)를 절단할 수도 있다.
테이프(40)의 절단 후, 구동 클로(13)는 암 클로(50)의 말단 방향으로 이동하고, 구동 클로(13)와 암 클로(50)의 걸림이 없어지면, 절단부(5x)는 리턴 스프링(34)이 가하는 힘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진다. 구동 클로(13)는 작동 스프링(45)이 가하는 힘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다. 구동 전달 부재(16)의 작동 클로(17)는 리턴 스프링(14)에 의해, 래칫 휠(1b)의 톱니 위를 미끄러지면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다. 절단된 후속의 테이프(40)는 인출 롤러(21)와 박리 롤러(23)의 외주부 위에 남아있기 때문에, 다음 테이프(40)의 인출 및 송출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제2 실시 형태의 테이프 부착기는, 케이스를 위쪽에서 누르면, 테이프의 선단을 피부착면(1a) 위로 송출해서 남겨 두고, 테이프의 부착이 종료한 후 케이스의 누름을 해제하면, 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다. 최초의 롤 형상의 테이프를 장착하는 때 이외에는, 테이프에 접촉할 일이 없기 때문에, 청결한 테이프 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테이프의 인출, 송출, 부착, 절단의 각 처리가 빠르고 확실하기 때문에, 반복 및 연속해서 테이프의 부착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테이프 부착기는 구조도 간단하기 때문에, 소형,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누름 버턴에 구동 유닛을 구비하는 테이프 부착기]
이어서, 누름 버턴에 구동 유닛을 구비하는 테이프 부착기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누름 버턴에 구동 유닛을 구비하는 테이프 부착기는, 제2 실시 형태의 부착기의 구성을 일부 변경하고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부착기와 공통적인 곳은 동일 부호를 첨부해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테이프 부착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a)는 부착 유닛과 섀시와 누름 버턴의 일부를 생략해서 테이프 부착기 전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1(b)는 도 11(a)에서 테이프 송출 후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1(c)는 도 11(a)에서 테이프 절단 후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1(d)는 도 11(a)의 B1-B1선의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11(e)는 도 11(d)의 B2-B2선의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서 구동 유닛의 한쪽과 절단부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f)는 도 11(d)의 B3-B3선의 단면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서 구동 유닛의 다른 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테이프 부착기(2h)는 제2 실시 형태의 테이프 부착기의 케이스(10)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 케이스(10)의 역할을 부착 유닛(3x) 및 섀시(4x)에 분담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테이프 부착기(2h)는 크게 나누어져서, 부착 유닛(3x)과 섀시(4x)를 구비하고, 부착 유닛(3x)은, 구동 유닛(1x)을 갖추고 작동 스프링(45)으로 상하 움직일 수 있는 누름 버턴(11)과, 롤 형상의 테이프(40)의 변위를 억제하는 가이드(19)를 추가로 구비하고, 작동 스프링(45)을 제거한 섀시(4x)는 부착 유닛(3x)의 후킹 클로(3a)와 걸리고 풀릴 수 있는 개폐 클로(4a)를 추가로 구비한다. 그 밖에는, 주로 각 부분의 형태의 변경 이외에, 제2 실시 형태의 테이프 부착기와 같은 구성이다.
누름 버턴(11)은 도 1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부와 하방부에서 폭 방향으로 단차를 설치해서 구성되고, 그 상방부를 부착 유닛(3x)의 위쪽으로부터 돌출시켜 테이프 송출 장치(2x)의 위쪽에 배치된다. 그리고 누름 버턴(11)은 그 단차를 맞닿게 하는 부착 유닛(3x)을 위쪽 방향의 스토퍼로 하고, 그 하방부는 테이프 송출 장치(2x)의 양측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누름 버턴(11)의 하방부의 내측에는, 도 11(e) 및 도 11(f)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유닛(1x)으로서,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한쪽은 화살표 P2 아래 방향에서부터 절단부(5x)의 암 클로(50)에 걸리는 구동 클로(13)를 구비하고, 다른 쪽은 화살표 P1 위쪽 방향에서부터 테이프 송출 장치(2x)의 래칫 휠(1b)의 톱니에 걸리는 작동 클로(17)를 갖춘 구동 전달 부재(16)를 구비한다. 작동 스프링(45)은 누름 버턴(11)의 내부에 아래쪽 방향의 스토퍼에 맞닿게 설치된다. 이 아래쪽 방향의 스토퍼는 텐션체(28)로 겸용해도 좋다.
테이프 부착기(2h)는 기본적으로 제2 실시 형태의 테이프 부착기와 같은 동작을 실행하기 때문에, 테이프의 부착도 같은 순서로 실시할 수 있다. 이하, 테이프의 부착의 순서를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부착기(2h)의 테이프 부착 롤러(30)를 피부착면(1a)에 눌러 닿게 한다. 이어서,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 버턴(11)을 화살표 P1 방향으로 누르면, 구동 전달 부재(16)에 설치된 작동 클로(17)는, 제2 실시 형태의 테이프 부착기와 마찬가지로, 테이프 송출 장치(2x)를 구동시켜, 테이프(40)는 선단을 테이프 송출 장치(2) 측의 부착 롤러(30)와 피부착면(1a)이 접하는 부분에 눌러 닿게 할 수 있다. 갈 곳이 없어진 테이프(40)는 피부착면(1a)에 점착면이 접촉하도록 휘어져서, 남겨진다. 그 후, 누름 버턴(11)을 누른 상태에서, 테이프 부착기(2h) 전체를 원하는 방향으로 당겨서, 테이프(40)를 붙인다. 그 후,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 버턴(11)의 누름 압력을 해제하고, 누름 버턴(11)을 화살표 P2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도 11(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 버턴(11)의 한쪽 내측면에 설치된 구동 클로(13)는 아래쪽에서 절단부(5x)의 암 클로(50)에 걸리고, 암 클로(50)를 리턴 스프링(34)이 가하는 힘에 대항해서 위쪽으로 들어 올린다. 그리고 절단부(5x)는 요동 축 (57)의 주변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더불어, 절단 날(55)은 테이프(40)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에서부터, 부착 롤러(30)와 박리 롤러(23) 사이의 테이프(40)에 맞닿아서 테이프(40)를 절단한다. 테이프(40)의 절단에 실패했을 경우, 절단부(5x)의 절단 버턴(54)을 손으로 눌러서 절단부(5x)를 요동 축(57)의 주변으로 회전시켜, 테이프(40)를 절단한다.
테이프(40)의 절단 후, 구동 클로(13)는 암 클로(50)의 말단 방향으로 이동하고, 구동 클로(13)와 암 클로(50)의 걸림이 없어지면, 절단부(5x)는 리턴 스프링(34)이 가하는 힘에 의해 원래의 위치에 되돌려진다. 구동 클로(13)는 작동 스프링(45)이 가하는 힘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다. 구동 전달 부재(16)의 작동 클로(17)는 리턴 스프링(14)에 의해, 래칫 휠(1b)의 톱니 위를 미끄러지면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다. 절단된 후속의 테이프(40)는 인출 롤러(21)와 박리 롤러(23)의 외주부 위에 남아있기 때문에, 다음 테이프(40)의 인출 및 송출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누름 버턴에 구동 유닛을 구비하는 테이프 부착기의 전개]
도 12는 도 11의 테이프 부착기의 전개도이며, 부착 유닛과 누름 버턴의 일부를 생략해서 전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테이프 부착기(2h)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섀시(4x)의 전방에 부착 유닛(3x)을 회전시켜서 전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개한 상태에서, 롤 형상의 테이프(40)를 테이프 유지체(42)에 장착하고, 테이프(40)의 선단을 인출해서 인출 롤러(21)와 박리 롤러(23)의 외주부 위에 붙인다. 그 후, 화살표 R3의 방향으로, 부착 유닛(3x)을 축(46)의 주변에 회전시켜서 닫은 후, 부착 유닛(3x)의 후킹 클로(3a)를 섀시(4x)의 개폐 클로(4a)에 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테이프 부착기(2h)의 전개는 간단히 실시할 수 있고, 테이프(40)의 교환 및 테이프(40)의 초기 설정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테이프 부착기는, 누름 버턴을 위쪽에서 누르면, 테이프의 선단을 피부착면(1a) 위로 송출해서 남겨 두고, 테이프의 부착이 종료한 후 누름 버턴의 누름을 해제하면, 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다. 이로써 제2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레버에 구동 유닛을 구비하는 테이프 부착기]
다음으로, 레버에 구동 유닛을 구비하는 테이프 부착기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레버에 구동 유닛을 구비하는 테이프 부착기는 제2 실시 형태의 부착기의 구성을 일부 변경하고 있을 뿐이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부착기와 공통적인 곳은 동일 부호를 첨부해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테이프 부착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 (a)는 접착 유닛과 섀시와 레버의 일부를 생략해서 전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3(b)는 도 13(a)에서 테이프 송출 후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3(c)는 도 13(a)에서 테이프 절단 후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테이프 부착기의 레버의 사시도이다.
테이프 부착기(3h)는 제2 실시 형태의 테이프 부착기의 케이스(10)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 케이스(10)의 역할을 부착 유닛(3x) 및 섀시(4x)로 분담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테이프 부착기(3h)는 크게 나누어, 부착 유닛(3x)과 섀시(4x)를 구비하고, 부착 유닛(3x)은 롤 형상의 테이프(40)의 변위를 억제하는 가이드(19)를 추가로 구비하고, 섀시(4x)는 구동 유닛(1x)을 갖추어 작동 스프링(45)으로 개폐될 수 있는 레버(12)와, 레버(12)의 개폐에 이용되는 핸들(48)과, 부착 유닛(3x)의 후킹 클로(3a)에 걸리고 풀릴 수 있는 개폐 클로(4a)를 구비한다. 그 밖에는, 주로 각 부분의 형태의 변경 이외에, 제2 실시 형태의 테이프 부착기와 같은 구성이다.
레버(12)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49c)의 양단에 섀시(4x)로 회전할 수 있도록 유지되는 부분을 남겨서, 구동 유닛(1x)으로서,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한쪽에 화살표 G1의 아래 방향에서부터 절단부(5x)의 암 클로(50)에 걸리는 구동 클로(13)를 구비하고, 다른 쪽에 화살표 G2의 위쪽 방향에서부터 테이프 송출 장치(2x)의 래칫 휠(1b)의 톱니에 걸리는 작동 클로(17)를 갖춘 구동 전달 부재(16)를 구비한다. 레버(12)는 핸들(48)의 아래쪽에 설치된다. 작동 스프링(45)은 레버(12)와 핸들(48) 사이에 설치되고, 레버(12)를 핸들(48)과 반대인 방향으로 축(49)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가한다.
테이프 부착기(3h)는 기본적으로 제2 실시 형태의 테이프 부착기와 같은 동작을 실행하기 때문에, 테이프의 부착도 같은 순서로 실시할 수 있다. 이하, 테이프의 부착 순서를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부착기(3h)의 테이프 부착 롤러(30)를 피부착면(1a)에 눌러 닿게 한다. 이어서,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12)를 화살표 G1 방향으로 닫으면, 구동 전달 부재(16)에 설치된 작동 클로(17)는, 제2 실시 형태의 테이프 부착기와 마찬가지로, 테이프 송출 장치(2x)를 구동시켜, 테이프(40)는 선단을 테이프 송출 장치(2) 쪽의 부착 롤러(30)와 피부착면(1a)의 접하는 부분에 눌러 닿게 할 수 있다. 갈 곳이 없어진 테이프(40)는 피부착면(1a)에 점착면이 접촉하도록 휘어져서, 남겨진다. 그 후, 레버(12)를 닫은 상태에서, 테이프 부착기(3h) 전체를 원하는 방향으로 당겨서, 테이프(40)를 붙인다.
그 후,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12)의 힘을 해제하고, 레버(12)를 화살표 G2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레버(12)의 구동 클로(13)는 아래쪽에서부터 절단부(5x)의 암 클로(50)에 걸려서, 암 클로(50)를 리턴 스프링(34)이 가하는 힘에 대항해서 위쪽으로 들어 올린다. 절단부(5x)는 요동 축(57)의 주변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더불어, 절단 날(55)은 테이프(40)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에서부터, 부착 롤러(30)와 박리 롤러(23) 사이의 테이프(40)에 맞닿아서 테이프(40)를 절단한다. 테이프(40)의 절단에 실패했을 경우, 절단부(5x)의 절단 버턴(54)을 손으로 눌러서 절단부(5x)를 요동 축(57)의 주변으로 회전시켜, 테이프(40)를 절단한다. 테이프 부착기(3h)를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피부착면(1a) 위로의 부착 롤러(30)의 누르는 압력을 자유롭게 할 수 있고, 테이프 부착기(3h)를 피부착면(1a) 위에서부터 일시적으로 개방해도 상기 레버(12)를 설치한 상태라면 테이프(40)가 절단되지는 않는다.
테이프(40)의 절단 후, 구동 클로(13)는 암 클로(50)의 말단 방향으로 이동하고, 구동 클로(13)와 암 클로(50)의 걸림이 없어지면, 절단부(5x)는 리턴 스프링(34)이 가하는 힘에 의해 원래의 위치에 되돌려진다. 구동 클로(13)는 작동 스프링(45)이 가하는 힘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다. 구동 전달 부재(16)의 작동 클로(17)는 리턴 스프링(14)에 의해, 래칫 휠(1b)의 톱니 위를 미끄러지면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다. 절단된 후속의 테이프(40)는 인출 롤러(21)와 박리 롤러(23)의 외주부 위에 남아있기 때문에, 다음 테이프(40)의 인출 및 송출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레버에 구동 유닛을 구비하는 테이프 부착기의 전개]
도 15는 도 13의 테이프 부착기의 전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테이프 부착기(3h)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섀시(4x)의 전방에 부착 유닛(3x)을 회전시켜서 전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개한 상태에서, 롤 형상의 테이프(40)를 테이프 유지체(42)에 장착하고, 테이프(40)의 선단을 인출해서 인출 롤러(21)와 박리 롤러(23)의 외주부 위에 붙인다. 그 후, 화살표 R4 방향으로, 부착 유닛(3x)을 축(46)의 주변으로 회전시켜서 닫은 후, 부착 유닛(3x)의 후킹 클로(3a)를 섀시(4x)의 개폐 클로(4a)에 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테이프 부착기(3h)의 전개를 간단히 실시할 수 있고, 테이프(40)의 교환 및 테이프(40)의 초기 설정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의 테이프 부착기는, 레버를 닫으면 테이프의 선단을 피부착면(1a) 위로 송출해서 남겨 두고, 테이프의 부착이 종료한 후 레버의 힘을 해제해서 레버를 열면, 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다. 이로써 제2 실시 형태로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2 내지 제4 실시 형태의 이외에, 구동 유닛을 다이얼로 회전시키는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구동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압판(pressing plate)을 갖는 절단부]
제2 내지 제4 실시 형태의 테이프 부착기에서, 테이프(40)의 절단을 더욱 확실하게 실시하기 위해서, 절단부(5x)는 테이프(40)를 고정하는 압판(5b)을 더 구비해도 좋다. 이하, 제2 실시 형태의 테이프 부착기를 이용해서 압판을 갖는 절단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압판을 갖는 절단부와 구동 클로와 부착 롤러의 배치에 대한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절단부(5x)는 제2 실시 형태의 절단부(5x)에서, 부착 롤러(30)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체(5a)와, 스프링체(5a)의 선단부에 절단 날(55)보다도 먼저 테이프(40)에 맞닿는 압판(5b)을 더 구비한다. 스프링체(5a)는 부착 롤러(30)의 방향에서부터 암(33)의 뒤쪽으로 설치되고, 절단 날(55)은 절단 날(55)의 날끝 방향을 부착 롤러(30)의 방향으로 해서, 압판(5b)의 위쪽에 배치된다. 암 클로(50)는 구동 클로(13)를 아래쪽의 화살표 D5 방향에서부터 걸어서, 절단부(5x)를 요동 축(57)의 주변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절단 날(55)을 부착 롤러(30)와 박리 롤러(23) 사이로 이동하도록, 부착 롤러 쪽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부착 롤러(30)와 절단부(5x)의 압판(5b)이 테이프(40)를 압지해서 고정하고, 절단부(5x)의 절단 날(55)의 날끝을, 스프링체(5a)가 가하는 힘에 대항해서 테이프(40)에 맞닿게 함으로써, 테이프(40)에 장력을 부여해서 테이프(40)를 절단한다.
도 17은, 도 16의 압판을 갖는 절단부를 구비하는 도 1의 테이프 부착기의 작동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7 (a)는 케이스와 부착 유닛과 절단부의 일부를 생략해서 전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7(b)는 도 17(a)에서 테이프 송출 후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7(c)은 도 17 (a)에서 테이프 부착 후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7(d)는 도 17(a)에서 송출한 테이프 고정 후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7(e)는 도 17(a)에서 테이프 절단 후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테이프 부착기(4h)는, 기본적으로 제2 실시 형태의 테이프 부착기와 같은 동작을 실행하기 때문에, 테이프의 부착도 같은 순서로 실시할 수 있다. 이하, 테이프의 부착 순서를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부착기(4h)의 테이프 부착 롤러(30)를 피부착면(1a)에 눌러 닿게 한다. 이어서,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를 화살표 Y4 방향으로 누르면, 구동 전달 부재(16)에 설치된 작동 클로(17)는, 제2 실시 형태의 테이프 부착기와 마찬가지로, 테이프 송출 장치(2x)를 구동시켜 테이프(40)는 선단을 테이프 송출 장치(2) 쪽의 부착 롤러(30)와 피부착면(1a)의 접하는 부분에 눌러 닿게 할 수 있다. 갈 곳이 없어진 테이프(40)는 피부착면(1a)에 점착면이 접촉하도록 휘어져서, 남겨진다. 그 후, 도 1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를 누른 상태에서, 테이프 부착기(1h) 전체를 원하는 방향으로 당겨서, 테이프(40)를 붙인다. 그 후, 도 1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누름 압력을 해제하고, 케이스(10)를 화살표 Y5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도 17(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구동 클로(13)는 아래쪽에서부터 절단부(5x)의 암 클로(50)에 걸려서, 암 클로(50)를 리턴 스프링(34)이 가하는 힘에 대항해서 화살표 Y6 위쪽 방향으로 들어 올린다. 절단부(5x)는 요동 축(57)의 주변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더불어, 부착 롤러(30)와 절단부(5x)의 압판(5b)이 테이프(40)를 압지해서 테이프(40)에 장력을 부여하고, 절단 날(55)은 테이프(40)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서 테이프(40)의 아래쪽에서부터, 부착 롤러(30)와 박리 롤러(23) 사이의 테이프(40)에 맞닿아서 테이프(40)를 절단한다. 테이프(40)의 절단 후, 구동 클로(13)는 암 클로(50)의 말단 방향으로 이동하고, 구동 클로(13)와 암 클로(50)의 걸림이 없어지면, 절단부(5x)는 리턴 스프링(34)이 가하는 힘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진다.
제5 실시 형태의 절단부는 부착 롤러와 박리 롤러 사이의 테이프에 장력을 부여해서 테이프의 절단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송출 장치는, 여러 가지 테이프 부착기, 탁상식 테이프 홀더, 전동식 테이프 홀더, 봉함 기기, 포장이나 곤포 기기 등의 구성 부품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부착기는, 봉투의 밀봉, 포스터 등의 접착지의 부착, 카드의 부착이나 포장에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여러 가지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봇 등으로 테이프를 자동적으로 붙이는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에 의한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은 매우 크다.
1h, 2h, 3h, 4h 테이프 부착기 1a 피부착면
1x 구동 유닛 1b 래칫 휠
10 케이스 11 누름 버턴
12 레버 13 구동 클로
14 리턴 스프링 15 구동 축
16 구동 전달 부재 17 작동 클로
18 스토퍼 19 가이드
2x 테이프 송출 장치 20 롤러 유지부
21 인출 롤러 22 축
23 박리 롤러 24 축
25 벨트 홈 26 벨트
27 추진 부재 28 텐션체
3x 부착 유닛 3a 후킹 클로
30 부착 롤러 31 축
32 개구부 33 암
34 리턴 스프링 4x 섀시
4a 개폐 클로 40 테이프
41 바닥판 42 테이프 유지체
43 테이프 유지축 45 작동 스프링
46 축 47 축
48 핸들 49 보호 커버
49a 수납부 49c 축
5x 절단부 5a 스프링체
5b 압판 50 암 클로
51 판 스프링 암 52 캠
53 절단 날 유지 패널 54 절단 버턴
55 절단 날 57 요동 축
58 지주

Claims (14)

  1. 축심에 감긴 테이프(40)를 순방향으로 송출하기 위한 테이프 송출 장치로서,
    상기 테이프(40)와 함께 회전하는 대략 원통 형상의 인출 롤러(21)와;
    상기 인출 롤러(21)의 회전과 함께 상기 테이프(40)를 박리시키면서 순서대로 보내기 위한 박리 롤러(23)와;
    상기 인출 롤러(21)와 상기 박리 롤러(23)를 연결하는 벨트(26);를 구비하는 테이프 송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롤러(21)와 상기 박리 롤러(23)에 모두, 또는 상기 인출 롤러(21)와 상기 박리 롤러(23) 중 어느 하나의 외주에 상기 벨트(26)를 감기 위한 벨트 홈(25)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벨트 홈(25)의 단면 형상은 대략 V자 형상인 테이프 송출 장치.
  3. 제 1 항에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롤러(23)는 표면에 요철이 마련된 형상을 갖는 테이프 송출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테이프 송출 장치와;
    상기 테이프(40)를 회전 유지함과 더불어, 상기 테이프 송출 장치를 지지하는 테이프 유지체(42)와;
    상기 테이프 유지체(42)에 지지되어, 상기 테이프(40)를 피부착면(1a)에 누르면서 접촉시키기 위한 부착 롤러(30)와 절단 날(55)을 갖는 부착 유닛(3x)과;
    상기 테이프 유지체(42)를 수납하는 케이스(10);를 구비하고,
    상기 테이프(40)의 선단을 박리 상태로 남겨 두도록 한 테이프 부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롤러(21)는 상기 인출 롤러와 함께 순방향으로 회전하는 래칫 휠(1b)을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래칫 휠(1b)의 톱니와 걸리는 작동 클로(17)를 갖는 구동 전달 부재(16)와 상기 구동 전달 부재에 힘을 가해서 상기 래칫 휠(1b)과 작동 클로(17)의 걸림을 촉진시키는 리턴 스프링(14)을 포함하는 구동 유닛(1x)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 전달 부재(16)가 상기 래칫 휠(1b)의 축방향 옆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날(55)이 상기 부착 롤러(30)와 상기 인출 롤러(21) 사이를 요동할 수 있게 왕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 유닛(1x)이 복귀할 때에 상기 절단 날(55)이 상기 테이프(40)를 절단하도록 상기 구동 유닛(1x)에 상기 절단 날(55)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클로(13)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1x)은 구동 클로(13)를 가지며,
    상기 부착 유닛(3x)은 상기 테이프(40)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5x)를 가지며,
    상기 절단부(5x)는,
    요동할 수 있게 상기 부착 유닛(3x)에 지지되는 요동 축(57)과,
    상기 절단 날(55)과,
    상기 절단 날(55)을 유지하기 위한 암(33)을 가지며,
    상기 암(33)은 상기 구동 클로(13)와 걸리는 암 클로(50)를 가지며,
    상기 절단 날(55)은 상기 요동 축(57)의 주변의 요동에 의해 상기 부착 롤러(30)와 상기 테이프 송출 장치 사이를 왕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절단부(5x)는 상기 테이프 송출 장치의 구동 후, 상기 구동 유닛(1x)이 복귀할 때에 상기 구동 클로(13)를 상기 암 클로(50)에 걸어서, 상기 절단 날(55)에 의해 상기 테이프(40)를 절단하는 구동력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암 클로(50)는,
    상기 요동 축(57)의 방향으로 휘어서 힘을 가하는 판 스프링 암(51)과,
    상기 판 스프링 암(51)을 휘게 하는 캠(52)을 가지며,
    상기 구동 클로(13)는, 상기 테이프 송출 장치가 구동할 때에 상기 판 스프링 암(51)을 휘게 해서 상기 캠(52) 위를 미끄러져서 이동하고, 상기 테이프 송출 장치의 구동 후에 상기 암 클로(50)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암(33)은 상기 절단 날(55)을 양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암(33)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절단부(5x)는 상기 공간에 상기 테이프 송출 장치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테이프 송출 장치의 외측에 요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5x)는,
    상기 부착 롤러(30)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체(5a)와,
    상기 스프링체(5a)의 선단부에 상기 절단 날(55)보다도 먼저 상기 테이프(40)에 맞닿는 압판(5b)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체(5a)는 상기 부착 롤러(30)의 방향에서 본 상기 암(33)의 뒤쪽에 설치되고,
    상기 절단 날(55)은 상기 절단 날(55)의 날끝 방향을 상기 부착 롤러(30)의 방향으로 해서, 상기 압판(5b)의 위쪽으로 배치되며,
    상기 절단부(5x)는 상기 요동 축(57)의 주변의 요동에 의해 상기 압판(5b)이 상기 부착 롤러(30)의 외주에 맞닿을 수 있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기.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날(55)은, 중심 대칭축을 가지며, 날끝의 중앙을 상기 절단 날(55)의 절단 방향으로 돌기시킨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기.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유닛(3x)과 상기 섀시(4x) 중의 어느 한쪽과,
    상기 구동 유닛(1x)과의 사이에 서로 반발해서 상기 구동 유닛(1x)을 원래 위치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작동 스프링(4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기.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40)를 반송하는 상기 인출 롤러(21) 및 상기 박리 롤러(23)의 위쪽의 면과, 상기 테이프(40)의 롤을 제거하는 상기 테이프 유지체(42)의 상면을 노출할 수 있게 개폐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기.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송출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테이프(40)의 송출량은,
    상기 테이프 송출 장치를 나온 직후의 상기 테이프(40)의 선단으로부터 상기부착 롤러(30)와 상기 피부착면(1a)과의 접점까지의 거리와,
    상기 피부착면(1a)에 부착되는 테이프가 상기 테이프 유지체(42)로부터 상기 테이프(40)를 인출할 수 있는 접착력을 가질 때의 상기 피부착면(1a)에 부착되는 테이프의 길이를 더한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기.
KR1020127019076A 2009-12-28 2010-11-26 테이프 송출 장치 및 테이프 부착기 KR101288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98872 2009-12-28
JPJP-P-2009-298872 2009-12-28
PCT/JP2010/071157 WO2011080977A1 (ja) 2009-12-28 2010-11-26 テープ送出装置及びテープ貼付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904A KR20120098904A (ko) 2012-09-05
KR101288057B1 true KR101288057B1 (ko) 2013-07-22

Family

ID=44226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9076A KR101288057B1 (ko) 2009-12-28 2010-11-26 테이프 송출 장치 및 테이프 부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79001B2 (ko)
EP (1) EP2520528B1 (ko)
JP (1) JP4793608B2 (ko)
KR (1) KR101288057B1 (ko)
CN (1) CN102666331B (ko)
WO (1) WO20110809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36181A1 (en) * 2013-08-19 2016-06-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pplicators for adhesive tape, such as double-sided adhesive tape
JP6355447B2 (ja) * 2014-06-20 2018-07-11 プラス株式会社 回転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ケース体
CN105293155A (zh) * 2014-07-18 2016-02-03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拉胶布装置
CN105621142A (zh) * 2016-03-18 2016-06-01 上海交通大学 一种胶带自动传输切割装置
CN106315287B (zh) * 2016-11-01 2018-01-23 詹辉 湿水胶带机
CN106743947B (zh) * 2017-04-03 2018-11-06 郝士冲 自动式标签输出器
CN106743948B (zh) * 2017-04-03 2018-05-04 郝士冲 一种胶带使用工具
CN108146116A (zh) * 2017-12-22 2018-06-12 张东军 一种涂改笔
JP2021161405A (ja) 2020-03-31 2021-10-11 日東電工株式会社 糸状粘着剤貼付装置及び糸状粘着剤貼付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4116A (ja) * 1996-01-11 1997-07-29 Seiroku Okabe 接着テープに手を触れずに任意の長さに貼付切断 をする接着テープカッター
JPH10330021A (ja) * 1997-05-30 1998-12-15 Teruo Furukawa 粘着テ−プ貼付器
JP2000296966A (ja) * 1999-02-10 2000-10-24 Seiko Precision Inc テープカッター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436A (en) * 1883-02-20 Wall-paper-hanging machine
US2720262A (en) * 1950-02-04 1955-10-11 Minnesota Mining & Mf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dispenser
US3466963A (en) * 1966-10-03 1969-09-16 Milton Ind Inc Tape dispenser
GB1308154A (en) * 1969-02-27 1973-02-21 Hermann K D Hand held labelling apparatus
JPS4924880B1 (ko) * 1969-05-02 1974-06-26
US3935751A (en) * 1975-01-06 1976-02-03 Lee Kuang Chang Centrifugal stepless speed changing device
JPS6156361A (ja) * 1984-08-28 1986-03-22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像形成方法
JPS6156361U (ko) * 1984-09-18 1986-04-15
JPS62161140A (ja) * 1986-01-10 1987-07-17 Ricoh Co Ltd 露光照明装置
JPS62161140U (ko) * 1986-04-02 1987-10-13
JPH02129354A (ja) * 1988-11-08 1990-05-1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線材の溶融メッキ方法
DE3902552C1 (ko) * 1989-01-28 1990-04-26 Henkel Kgaa, 4000 Duesseldorf, De
JPH0331161U (ko) * 1989-08-01 1991-03-26
JPH0743351B2 (ja) * 1989-09-28 1995-05-15 株式会社島津製作所 電気泳動用緩衝液及びキャピラリー電気泳動法
JPH03113357U (ko) * 1990-03-02 1991-11-19
JPH0426966A (ja) * 1990-05-19 1992-01-30 Tokico Ltd 磁気ディスク装置
JPH0426966U (ko) * 1990-06-29 1992-03-03
US6098690A (en) * 1998-06-26 2000-08-08 Robichaud; Andre M. Tape dispensing system with automatic backing removal
US6165087A (en) * 1999-07-08 2000-12-26 I. F. Associates, Inc. Figure-eight shaped drive belt
JP3383247B2 (ja) * 1999-11-08 2003-03-04 本多金属工業株式会社 フィルム体の貼付け装置及び貼付け方法
JP4690607B2 (ja) * 2001-09-11 2011-06-01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及び塗布膜転写テープの交換方法
JP3092176U (ja) * 2002-08-19 2003-02-28 ▲諭▼雄 黄 粘着テープロール部の逆巻きを防止するテープカッター
TW556722U (en) * 2002-11-22 2003-10-01 Hung-Jie He Applying device for double-side adhesive tape
EP1740490B1 (en) * 2004-04-21 2009-08-12 Sang Chul Lee Double-faced adhesive tape dispenser
KR100614878B1 (ko) * 2004-04-21 2006-08-25 이상철 양면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KR100533838B1 (ko) * 2004-04-30 2005-12-07 이상철 접착테이프용 디스펜서
CN2818410Y (zh) * 2005-03-11 2006-09-20 桦进胶带股份有限公司 手持式胶带台结构改良
US7069972B1 (en) * 2005-07-21 2006-07-04 Chuck Edelstein Electronic tape dispenser
CN200943000Y (zh) * 2006-09-01 2007-09-05 江苏舜天国际集团苏迈克斯工具有限公司 胶带抽放切割器
US20080083487A1 (en) * 2006-10-05 2008-04-10 Global Access Corporation Automatic tape dispenser
JP4918368B2 (ja) * 2007-01-12 2012-04-18 プラス株式会社 塗膜転写具
CN201169464Y (zh) * 2008-02-01 2008-12-24 番禺通用文具制品厂有限公司 自动胶纸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4116A (ja) * 1996-01-11 1997-07-29 Seiroku Okabe 接着テープに手を触れずに任意の長さに貼付切断 をする接着テープカッター
JPH10330021A (ja) * 1997-05-30 1998-12-15 Teruo Furukawa 粘着テ−プ貼付器
JP2000296966A (ja) * 1999-02-10 2000-10-24 Seiko Precision Inc テープカッ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0977A1 (ja) 2011-07-07
CN102666331A (zh) 2012-09-12
US20120279664A1 (en) 2012-11-08
EP2520528A1 (en) 2012-11-07
JPWO2011080977A1 (ja) 2013-05-09
JP4793608B2 (ja) 2011-10-12
EP2520528A4 (en) 2013-12-25
EP2520528B1 (en) 2015-08-05
CN102666331B (zh) 2016-04-27
KR20120098904A (ko) 2012-09-05
US8579001B2 (en) 2013-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057B1 (ko) 테이프 송출 장치 및 테이프 부착기
US4718971A (en) Dispenser for a transfer adhesive
US20070193426A1 (en) Adhesive tape dispenser
JPH07252010A (ja) テープカッター
JP7341802B2 (ja) テープカッター
JP4099518B1 (ja) テープディスペンサ
JP6330191B2 (ja) 修正テープ貼付具
JP2014031234A (ja) カッターカバー付き粘着テープホルダー
JP2010275088A (ja) テープカッター
JP2583745B2 (ja) 粘着テープ貼付器
JP2015124055A (ja) 両面粘着テープ貼付装置
JP2007238243A (ja) 両面テープ・スタンパ
JP2014005136A (ja) 粘着テープ保持切断具
JP4779140B2 (ja) 転写補助製品
JP7330496B2 (ja) 塗膜転写具
JP4420953B2 (ja) 粘着テープの折返部形成装置
WO2007099744A1 (ja) 転写補助製品
JP2007197116A (ja) テープカッター装置
CN108025879B (zh) 带分配器
JP3112299U (ja) 否粘着紙テープ送り出し機能付き粘着テープカッター
JP3034153U (ja) セロテープ貼付容器
JP3602064B2 (ja) 補強シールの貼り付け装置
US20100101734A1 (en) Tape Dispenser
JP2015209307A (ja) テープディスペンサ
JP2011073703A (ja) ラベル貼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