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037B1 - 차량용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037B1
KR101283037B1 KR1020110101150A KR20110101150A KR101283037B1 KR 101283037 B1 KR101283037 B1 KR 101283037B1 KR 1020110101150 A KR1020110101150 A KR 1020110101150A KR 20110101150 A KR20110101150 A KR 20110101150A KR 101283037 B1 KR101283037 B1 KR 101283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ack beam
pair
plat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6913A (ko
Inventor
차동은
이승목
김헌수
조후택
이정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1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037B1/ko
Priority to JP2011254188A priority patent/JP5964034B2/ja
Priority to US13/323,460 priority patent/US8678461B2/en
Priority to DE102011057186A priority patent/DE102011057186A1/de
Priority to CN201110455161.6A priority patent/CN103029662B/zh
Publication of KR20130036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6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at vehicle front or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수납장치는, 차량의 여유 공간에 해당하는 리어범퍼(21)속의 내부공간(22)에 설치된 구조로 차량의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고, 인출된 수납함(40)의 좌우방향 확장을 통해 길이가 긴 물품의 보관이 용이하며, 수납함(40) 개방시에는 트레이커버(45)를 스텝(step) 또는 벤치(bench)로서 활용하거나 또는 개방된 상기 트레이커버(45)위에 물품을 얹어놓고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수납장치{STORAGE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범퍼의 내부공간을 활용해서 수화물을 보관하거나 또는 스텝 및 벤치로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된 차량용 수납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도 1에는 트렁크 룸(1)의 공간에 수납함(2)이 마련된 차량이 도시되어 있는 바, 도 1의 종래 구조는 트렁크리드(3)를 개방하고 수납함(2)을 인출하는 구조로서 트렁크리드(3)의 개방 및 밀폐 작동에 따른 불편함이 있고, 또한 트렁크 룸(1)의 공간이 수분 등에 의해 오염이 될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여유 공간에 해당하는 리어범퍼의 내부공간을 수납구조로 활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수납구조는 리어범퍼(11)를 수납공간(12)의 도어로서 활용한 구조인 바, 리어범퍼(11)를 개방한 후 차량 하부에 마련된 수납공간(12)으로 물품(13)을 보관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런데, 도 2의 종래 구조는 리어범퍼(11)가 수납공간(12)의 도어로서 활용된 구조로 도 1의 종래 구조와 같이 여유 공간에 해당하는 리어범퍼(11)의 내부공간을 수납구조로 활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여유 공간에 해당하는 리어범퍼의 내부공간을 수납구조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여유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인출된 수납함의 확장을 통해 길이가 긴 물품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며, 더 나아가 개방된 수납함을 스텝 및 벤치로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된 차량용 수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수납장치는, 차량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리어범퍼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된 리어백빔; 및 상기 리어백빔상에 안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리어백빔이 차량 후방으로 인출될 때에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서로 간에 간격이 넓어지도록 작동하는 좌우 한 쌍의 수납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백빔과 연결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리어플로어패널 및 리어사이드멤버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리어백빔의 전후방향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백빔이동장치와; 상기 백빔이동장치 및 상기 한 쌍의 수납함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한 쌍의 수납함의 좌우방향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수납함이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백빔이동장치는 차량의 좌우측에서 상기 리어플로어패널의 밑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양단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게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양단이 연결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바; 상기 이동바에 일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수납함에 타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 상기 리어사이드멤버의 후방 끝단에 상기 리어사이드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결합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을 감싸고 상기 리어백빔의 좌우 양단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프레임케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납함이동장치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프레임케이스의 후방이동을 제한하는 후방스토퍼; 및 상기 리어백빔상에 안착되는 형태로 고정 설치되고 양쪽 측면에는 상기 한 쌍의 수납함의 일측면이 각각 끼워지는 플레이트홈이 형성되어서 상기 이동바가 후방으로 이동시에 상기 한 쌍의 수납함의 후방이동을 가이드함과 더불어 상기 수납함의 좌우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백빔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방 끝단에는 상기 프레임케이스의 전방이동을 제한하는 전방스토퍼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는 링크부재사이의 간격이 상기 이동바와 힌지 결합된 일단보다 상기 수납함과 힌지 결합된 타단이 더 넓은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 한 쌍의 수납함은 각각 상기 리어백빔상에 차체의 좌우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하부챤넬; 상기 하부챤넬상에 하부챤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리어백빔과 하부챤넬을 관통한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플레이트홈에 끼워지는 플레이트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하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상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는 물품 보관을 위한 공간이 구비된 하부트레이; 상기 하부트레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하부트레이를 개폐시키는 상부트레이; 상기 상부트레이에 일체로 결합된 트레이커버; 및 상기 하부트레이와 상기 상부트레이의 양쪽 측면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된 다수개의 링크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홈은 상기 플레이트돌기의 전후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측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백빔플레이트의 전방쪽에서부터 후방을 향해 형성된 1차홈; 및 상기 플레이트돌기의 측방향 이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1차홈보다 상하방향 폭이 더 넓게 형성된 2차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의 후방으로 회전된 상기 트레이커버를 스텝(step) 또는 벤치(bench)로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여유 공간에 해당하는 리어범퍼속의 내부공간을 활용해서 수납장치가 설치된 구조로 차량의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인출된 수납함의 좌우방향 확장을 통해 길이가 긴 물품의 보관이 용이하며, 더 나아가 수납함 개방시에는 트레이커버를 스텝(step) 또는 벤치(bench)로서 활용하거나 또는 개방된 상기 트레이커버위에 물품을 얹어놓고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차량 수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치의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도 3의 평면도 및 저면도,
도 6은 도 3의 단면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치의 구성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치가 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수납함이 좌우 방향으로 확장된 상태의 사시도 및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치에서 수납함의 트레이커버가 후방으로 회전한 상태의 작동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수납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수납장치는 도 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유 공간에 해당하는 차량 리어범퍼(21)의 내부공간(22)을 활용한 구조로서, 차량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리어범퍼(21)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된 리어백빔(30)과, 상기 리어백빔(30)상에 안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리어백빔(30)이 차량 후방으로 인출될 때에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확장되는 좌우 한 쌍의 수납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여기서 한 쌍의 수납함(40)이 확장된다는 의미는 수납함의 부피(수납공간)가 확장된다는 의미가 아니라, 한 쌍의 수납함(40) 간의 간격이 넓어진다는 의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치는 상기 리어백빔(30)과 연결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리어플로어패널(23) 및 리어사이드멤버(24)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리어백빔(30)의 전후방향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백빔이동장치(50)와, 상기 백빔이동장치(50) 및 상기 한 쌍의 수납함(4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한 쌍의 수납함(40)의 좌우방향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수납함이동장치(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백빔이동장치(50)는 차량의 좌우측에서 상기 리어플로어패널(23)의 밑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양단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게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51)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51)에 양단이 연결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5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바(52)와, 상기 이동바(52)에 일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수납함(40)에 타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53)와, 상기 리어사이드멤버(24)의 후방 끝단에 상기 리어사이드멤버(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결합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54)과, 상기 고정프레임(54)을 감싸고 상기 리어백빔(30)의 좌우 양단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고정프레임(54)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프레임케이스(5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함이동장치(60)는 상기 고정프레임(54)의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프레임케이스(55)의 후방이동을 제한하는 후방스토퍼(61)와, 상기 리어백빔(30)상에 안착되는 형태로 고정 설치되고 양쪽 측면에는 상기 한 쌍의 수납함(40)의 일측면이 각각 끼워지는 플레이트홈(62)이 형성되어서 상기 이동바(52)가 후방으로 이동시에 상기 한 쌍의 수납함(40)의 후방이동을 가이드함과 더불어 상기 수납함(40)의 좌우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백빔플레이트(63)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프레임(54)의 전방 끝단에는 상기 프레임케이스(55)의 전방이동을 제한하는 전방스토퍼(56)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즉, 리어백빔(30)과 결합된 프레임케이스(55)가 고정프레임(54)에 대해 차량 후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후방스토퍼(61)가 프레임케이스(55)의 후방 이동을 구속하게 되고, 상기 프레임케이스(55)가 차량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전방스토퍼(56)가 전방 이동을 구속하는 구조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53)는 링크부재(53)사이의 간격이 상기 이동바(52)와 힌지 결합된 일단보다 상기 수납함(40)과 힌지 결합된 타단이 더 넓은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 구조가 특징이다.
즉, 한 쌍의 링크부재(53)의 일단은 이동바(52)의 중간 지점에서 힌지 결합된 구조이고, 한 쌍의 링크부재(53)의 타단은 상기 일단보다 넓은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각 상기 수납함(40)과 힌지 결합된 구조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링크부재(53)의 결합구조로 인해 이동바(52)가 후방으로 이동시에 좌우 한 쌍의 수납함(40)은 차체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확장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좌우 한 쌍의 수납함(40)은 각각 상기 리어백빔(30)상에 차체의 좌우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하부챤넬(41)과, 상기 하부챤넬(41)상에 하부챤넬(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리어백빔(30)과 하부챤넬(41)을 관통한 상기 링크부재(53)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플레이트홈(62)에 끼워지는 플레이트돌기(42a)가 일체로 형성된 하부플레이트(42)와, 상기 하부플레이트(42)상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는 물품 보관을 위한 공간이 구비된 하부트레이(43)와, 상기 하부트레이(4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하부트레이(43)를 개폐시키는 상부트레이(44)와, 상기 상부트레이(44)에 일체로 결합된 트레이커버(45)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42)는 하부트레이(43)의 강성을 보완하기 위해 적용된 것이고, 특히 상기 하부플레이트(42)와 하부트레이(43)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이면 상기 하부트레이(43)의 수리 및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부트레이(44)의 회전 작동을 위해 다수개의 링크부재(46)가 적용된 구성인 바, 상기 링크부재(46)의 양단은 하부트레이(43)와 상부트레이(44)의 양쪽 측면에 각각 힌지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플레이트돌기(42a)는 하부플레이트(42)의 측방으로 티(T)자형 단면으로 돌출된 형상이고, 상기 플레이트홈(62)은 상기 플레이트돌기(42a)에 대응하는 티(T)자형 단면 형상의 홈이다.
상기 플레이트홈(62)은 상기 플레이트돌기(42a)의 전후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측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백빔플레이트(63)의 전방쪽에서부터 후방을 향해 형성된 1차홈(62a)과, 상기 플레이트돌기(42a)의 측방향 이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1차홈(62a)보다 상하방향 폭이 더 넓게 형성된 2차홈(62b)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부트레이(44) 및 트레이커버(45)가 도 14와 같이 후방으로 회전해서 하부트레이(43)를 개방시킨 상태일 때, 상기 트레이커버(45)를 스텝(step) 또는 벤치(bench) 등으로 활용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미설명 도면번호 25는 트렁크리드 또는 테일게이트이고, 26은 리어엔드패널이다.
이하, 본 발명 수납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의 좌측 도면과 도 6의 도면은 수납함(40)이 차량의 여유 공간에 해당하는 리어범퍼(21)속의 내부공간(22)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로서, 상부트레이(44)가 하부트레이(43)를 밀폐시키고 있는 상태이며, 이때에는 필요한 물품을 하부트레이(43)의 내부 공간속으로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상부트레이(44)와 트레이커버(45)는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잠금장치에 의해 회전동작이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또한, 도 6과 같이 수납함(40)이 리어범퍼(21)속의 내부공간(22)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일 때, 이동바(52)는 도 3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A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프레임케이스(55)는 전방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여서 전방스토퍼(56)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후방 추돌 사고로 인해 외력이 리어범퍼(21)에 작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40)이 외력에 의해 붕괴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바,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40)은 승객 보호를 위한 충격흡수 기능도 갖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3의 우측 도면과 도 4 및 도 5는 리어백빔(30)과 수납함(40)이 리어범퍼(21)로부터 차량의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하여 인출된 상태로서, 이동바(52)는 가이드레일(51)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해서 도 3 B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프레임케이스(55)는 후방으로 이동해서 후방스토퍼(61)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잠금장치를 해제한 후 리어범퍼(21)속의 내부공간(22)에 수납되어 있는 수납함(40)을 차량 후방으로 당겨주면, 도 3의 A위치에 있던 이동바(52)는 가이드레일(51)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해서 도 3의 B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동시에 전방스토퍼(56)에 접촉하고 있던 프레임케이스(55)는 후방으로 이동해서 후방스토퍼(61)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이동바(52)가 후방이동을 하면 링크부재(53)가 이때의 힘을 수납함(40)에 전달해서 수납함(40)이 함께 후방 이동하고, 상기 수납함(40)이 후방 이동하면 링크부재(53)가 리어백빔(30) 및 하부챤넬(42)을 관통한 구조이므로 링크부재(53)의 후방 이동에 의해 상기 리어백빔(3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리어백빔(30)의 후방 이동에 의해 리어백빔(30)과 결합된 프레임케이스(55)가 후방으로 이동을 해서 후방스토퍼(61)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동바(52)가 도 3의 A위치에서 B위치로 후방 이동을 하고, 동시에 프레임케이스(55)가 후방 이동해서 후방스토퍼(61)와 접촉한 상태가 되면, 리어범퍼(21)속의 내부공간(22)에 수납되어 있던 리어백빔(30)과 수납함(40)은 모두 후방으로 이동해서 리어범퍼(21)로부터 인출된 상태가 된다.
한편, 리어백빔(30)과 수납함(40)이 도 6과 같이 리어범퍼(21)속의 내부공간(22)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일 때 하부플레이트(42)에 형성된 플레이트돌기(42a)는 도 10과 같이 백빔플레이트(63)에 형성된 플레이트홈(62)중에서 1차홈(62a)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때에는 플레이트돌기(42a)가 1차홈(62a)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는 구조가 됨에 따라 하부플레이트(42)는 백빔플레이트(63)의 측방으로 이동을 하지 못하게 되며, 이로 인해 좌우 한 쌍의 수납함(40)은 차량의 좌우 측방으로 이동할 수 없어서 확장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리어범퍼(21)속의 내부공간(22)에 수납되어 있던 리어백빔(30)과 수납함(40)이 모두 후방으로 이동해서 리어범퍼(21)로부터 인출된 상태가 되었을 때 하부플레이트(42)에 형성된 플레이트돌기(42a)는 1차홈(62a)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을 해서 도 11과 같이 플레이트홈(62)의 2차홈(62b)에 끼워진 상태가 되고, 이때부터는 플레이트돌기(42a)가 2차홈(62b)으로부터 원활히 이탈될 수 있는 상태가 됨에 따라 하부플레이트(42)는 백빔플레이트(63)의 측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는 준비상태가 되며, 이로 인해 좌우 한 쌍의 수납함(40)도 차량 좌우의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준비상태가 된다.
도 3의 우측 도면과 같이 리어백빔(30)과 수납함(40)이 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계속해서 이동바(52)가 후방으로 더 이동을 하게 되면, 링크부재(53)가 이동바(52)의 이동력을 수납함(40)에 전달해서 상기 수납함(40)과 리어백빔(3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려고 하지만, 이때 프레임케이스(55)는 후방스토퍼(61)에 걸려진 상태이므로 상기 수납함(40)과 리어백빔(30)은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을 하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이동바(52)의 후방 이동력에 의해 한 쌍의 링크부재(53)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더 벌어지는 움직임을 갖게 되는 바, 이로 인해 상기 링크부재(53)와 결합된 좌우 한 쌍의 수납함(40)은 도 12 및 도 13과 같이 각각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해서 확장된 상태가 된다.
즉, 리어백빔(30)에는 도 5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절개된 한 쌍의 슬롯(31)이 좌우측부에 형성된 구조이고, 한 쌍의 하부챤넬(41)에도 도 7과 같이 상기 슬롯(31)과 연결된 슬롯(41a)이 동일한 모양으로 각각 형성된 구조이며, 상기 링크부재(53)는 상기 슬롯(31,41a)을 관통해서 수납함(40)을 구성하는 하부플레이트(42)와 힌지 결합된 구조인 바, 상기 프레임케이스(55)가 후방스토퍼(61)에 걸려진 상태에서 이동바(52)의 계속된 후방 이동에 의해 한 쌍의 링크부재(53)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면, 상기 링크부재(53)의 끝단이 슬롯(31,41a)을 따라 각각 차량의 측방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이 결과 상기 링크부재(53)와 결합된 좌우 한 쌍의 수납함(40)도 각각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하게 되어서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상기 좌우 한 쌍의 수납함(40)은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확장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리어백빔(30)과 수납함(40)이 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함(40)만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하게 될 때에, 하부플레이트(42)에 형성된 플레이트돌기(42a)는 2차홈(62b)으로부터 이탈되면서 빠지게 된다.
그리고, 좌우 방향으로 확장된 수납함(40)에서 트레이커버(45) 및 상부트레이(44)를 도 14와 같이 후방으로 회전시켜서 하부트레이(43)를 개방시켜주게 되면, 하부트레이(43)속에 보관된 물품을 꺼내서 사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물품을 상기 하부트레이(43)속으로 수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좌우 방향으로 확장된 한 쌍의 수납함(40)에서 서로 마주 대하는 측면을 개방시켜 주게 되면, 우산이나 골프채 등과 같이 길이가 긴 물품도 확장된 한 쌍의 수납함(40)을 이용해서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4와 같이 트레이커버(45)가 후방으로 회전해서 하부트레이(43)를 개방시킨 상태일 때, 상기 트레이커버(45)를 스텝(step) 또는 벤치(bench)로서 활용하거나 또는 상기 트레이커버(45)위에 물품을 얹어놓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차량의 여유 공간에 해당하는 리어범퍼(21)속의 내부공간(22)을 활용해서 수납장치는 설치한 구조로 차량의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한 장점이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치는 차량 후방으로 인출된 좌우 한 쌍의 수납함(40)을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확장한 후 확장된 한 쌍의 수납함(40)을 이용해 길이가 긴 물품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수납함(40)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함(40) 개방시 트레이커버(45)를 스텝(step) 또는 벤치(bench)로서 활용하거나 또는 개방된 상기 트레이커버(45)위에 물품을 얹어놓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21 - 리어범퍼 23 - 리어플로어패널
24 - 리어사이드멤버 30 - 리어백빔
40 - 수납함 50 - 백빔이동장치
60 - 수납함이동장치

Claims (11)

  1. 차량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리어범퍼(21)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된 리어백빔(30); 및
    상기 리어백빔(30)상에 안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리어백빔(30)이 차량 후방으로 인출될 때에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서로 간에 간격이 넓어지도록 작동하는 좌우 한 쌍의 수납함(40);을 포함하는 차량용 수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백빔(30)과 연결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리어플로어패널(23) 및 리어사이드멤버(24)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리어백빔(30)의 전후방향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백빔이동장치(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백빔이동장치(50) 및 상기 한 쌍의 수납함(4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한 쌍의 수납함(40)의 좌우방향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수납함이동장치(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백빔이동장치(50)는 차량의 좌우측에서 상기 리어플로어패널(23)의 밑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양단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게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51);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51)에 양단이 연결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5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바(52);
    상기 이동바(52)에 일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수납함(40)에 타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53);
    상기 리어사이드멤버(24)의 후방 끝단에 상기 리어사이드멤버(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결합된 한 쌍의 고정프레임(54); 및
    상기 고정프레임(54)을 감싸고 상기 리어백빔(30)의 좌우 양단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고정프레임(54)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프레임케이스(5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이동장치(60)는 상기 고정프레임(54)의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프레임케이스(55)의 후방이동을 제한하는 후방스토퍼(61); 및
    상기 리어백빔(30)상에 안착되는 형태로 고정 설치되고 양쪽 측면에는 상기 한 쌍의 수납함(40)의 일측면이 각각 끼워지는 플레이트홈(62)이 형성되어서 상기 이동바(52)가 후방으로 이동시에 상기 한 쌍의 수납함(40)의 후방이동을 가이드함과 더불어 상기 수납함(40)의 좌우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백빔플레이트(6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54)의 전방 끝단에는 상기 프레임케이스(55)의 전방이동을 제한하는 전방스토퍼(56)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53)는 링크부재(53)사이의 간격이 상기 이동바(52)와 힌지 결합된 일단보다 상기 수납함(40)과 힌지 결합된 타단이 더 넓은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수납함(40)은 각각 상기 리어백빔(30)상에 차체의 좌우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하부챤넬(41);
    상기 하부챤넬(41)상에 하부챤넬(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리어백빔(30)과 하부챤넬(41)을 관통한 상기 링크부재(53)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플레이트홈(62)에 끼워지는 플레이트돌기(42a)가 일체로 형성된 하부플레이트(42);
    상기 하부플레이트(42)상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는 물품 보관을 위한 공간이 구비된 하부트레이(43);
    상기 하부트레이(4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하부트레이(43)를 개폐시키는 상부트레이(44); 및
    상기 상부트레이(44)에 일체로 결합된 트레이커버(4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부트레이(43)와 상기 상부트레이(44)의 양쪽 측면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된 다수개의 링크부재(4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홈(62)은 상기 플레이트돌기(42a)의 전후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측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백빔플레이트(63)의 전방쪽에서부터 후방을 향해 형성된 1차홈(62a); 및
    상기 플레이트돌기(42a)의 측방향 이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1차홈(62a)보다 상하방향 폭이 더 넓게 형성된 2차홈(62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차량의 후방으로 회전된 상기 트레이커버(45)를 스텝(step) 또는 벤치(bench)로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장치.
KR1020110101150A 2011-10-05 2011-10-05 차량용 수납장치 KR101283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150A KR101283037B1 (ko) 2011-10-05 2011-10-05 차량용 수납장치
JP2011254188A JP5964034B2 (ja) 2011-10-05 2011-11-21 車両用収納装置
US13/323,460 US8678461B2 (en) 2011-10-05 2011-12-12 Storage apparatus for vehicle
DE102011057186A DE102011057186A1 (de) 2011-10-05 2011-12-30 Stauraumvorrichtung für Fahrzeuge
CN201110455161.6A CN103029662B (zh) 2011-10-05 2011-12-30 用于车辆的存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150A KR101283037B1 (ko) 2011-10-05 2011-10-05 차량용 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913A KR20130036913A (ko) 2013-04-15
KR101283037B1 true KR101283037B1 (ko) 2013-07-08

Family

ID=47908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150A KR101283037B1 (ko) 2011-10-05 2011-10-05 차량용 수납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78461B2 (ko)
JP (1) JP5964034B2 (ko)
KR (1) KR101283037B1 (ko)
CN (1) CN103029662B (ko)
DE (1) DE1020110571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307B1 (ko) * 2011-10-05 2013-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수납장치
KR20140023048A (ko) * 2012-08-16 2014-0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후드 시스템의 충격감지센서
KR101558799B1 (ko) 2014-08-19 2015-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캐리어 장치
KR101567723B1 (ko) 2014-08-19 2015-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캐리어 장치
KR101620225B1 (ko) * 2014-12-01 2016-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의 언더커버 장치
KR101684088B1 (ko) * 2015-04-07 2016-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장치
KR101673792B1 (ko) 2015-07-14 2016-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캐리어 장치
US10449920B2 (en) * 2016-12-09 2019-10-2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Rear bumper snow and ice shield
CN110914111A (zh) * 2017-02-21 2020-03-24 库伦特莱克斯有限责任公司以卡高格里德名义营业 用于车辆搁架和顶盖的轨道系统
US10562456B2 (en) * 2018-06-29 2020-02-1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Front bumper slide-out step
KR102621549B1 (ko) * 2018-12-14 2024-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실내 시크릿 수납구조
AU2020202311A1 (en) * 2019-04-02 2020-10-22 The Raymond Corporation Material handling vehicle having a multi-piece bumper assembly
CN114475499A (zh) * 2020-10-23 2022-05-13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后保总成及汽车
CN117657054A (zh) * 2022-08-26 2024-03-08 安徽沃霖汽车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多功能车辆保险杠及汽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8914B1 (en) * 2002-09-19 2003-07-29 Jere Dixon Aerodynamic storage bumper
JP2004122903A (ja) * 2002-10-01 2004-04-22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バンパ装置
KR20110080874A (ko) * 2010-01-07 2011-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용 도어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90014A (en) 1947-01-14 1949-12-06 Brand Daniel Tobias D Villiers Trailer for motor vehicles
US2545269A (en) 1947-12-20 1951-03-13 Roscoe L Ford Multiple sliding drawer display device
US2953287A (en) 1958-02-11 1960-09-20 Schofield Mfg Company Retractable package carrier for automobile trunks
US4089554A (en) * 1976-10-04 1978-05-16 Myers Donald R Camper cooking and dining unit
US4138152A (en) * 1977-10-25 1979-02-06 Oscar Prue Storage box bumper assembly for vehicles
US4312620A (en) 1979-11-06 1982-01-26 Muschalek Jr Ben E Spare tire rack
US4570986A (en) 1984-12-03 1986-02-18 Sams Jimmie L Combined pickup bumper and tool box
US4676415A (en) 1985-12-16 1987-06-30 Kennedy Albert B Slide-out bumper and tire carrier
US4901895A (en) * 1988-02-26 1990-02-20 Gancarz Norman M Truck rear bumper-storage compartment assembly with facility for sheet material storage and dispensing, such as truck bed cover tarpaulins, tents and the like
US5135274A (en) 1991-06-04 1992-08-04 Dodd Russell H Storage bumper and drawer
DE19538734A1 (de) 1994-11-03 1996-05-09 Volkswagen Ag Kraftfahrzeug-Stoßfänger
US5823585A (en) 1996-11-18 1998-10-20 Tanguay; Richard R. Sports truck storage bumper set
US6293616B1 (en) * 2000-01-10 2001-09-25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odular rail for roof and windshield
FR2806361B1 (fr) * 2000-03-20 2002-08-09 Plastic Omnium Cie Tiroir pour vehicule automobile, ferme a l'arriere par une facade formant un element de carrosserie
EP1155912B1 (en) 2000-05-16 2005-10-12 Mazda Motor Corporation Rear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for vehicle bodies
JP4332827B2 (ja) 2000-05-16 2009-09-1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後部荷室構造
JP2001334879A (ja) 2000-05-30 2001-12-04 Inoac Corp 車両の物品収納構造
US20020105201A1 (en) 2001-02-07 2002-08-08 Melotik Joseph John Integrated extendable load floor assembly for vehicles
DE10124375C1 (de) 2001-05-18 2002-11-28 Audi Ag Kraftfahrzeug mit einem Laderaum
US6575509B1 (en) 2002-03-27 2003-06-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Extendable bumper for external vehicle transportation and storage
US6644707B2 (en) 2002-08-01 2003-11-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cklid and luggage compartment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US7121597B2 (en) 2004-08-06 2006-10-17 Louis Chuang Bicycle-holding apparatus concealable in bumper shell
JP4804731B2 (ja) * 2004-09-16 2011-11-02 Sabicイノベーティブプラスチッ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車体のバンパ構造
US7281745B1 (en) 2004-10-25 2007-10-16 Adac Plastics, Inc. Vehicular rear-mounted cargo extender
US7347474B2 (en) 2005-10-26 2008-03-25 Armen Shagbazyan Truck bed extension
DE102005054059B3 (de) 2005-11-10 2007-06-21 Magna Car Top Systems Gmbh Lastenträger für Kraftfahrzeuge
JP2007245959A (ja) 2006-03-16 2007-09-27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車両用扉装置
DE102006031693A1 (de) 2006-07-08 2008-01-17 Magna Car Top Systems Gmbh Tragvorrichtung für ein Fahrrad
KR101154257B1 (ko) 2009-11-06 2012-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US8256807B2 (en) 2010-08-23 2012-09-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bumper storage tray for automotive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8914B1 (en) * 2002-09-19 2003-07-29 Jere Dixon Aerodynamic storage bumper
JP2004122903A (ja) * 2002-10-01 2004-04-22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バンパ装置
KR20110080874A (ko) * 2010-01-07 2011-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용 도어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82414A (ja) 2013-05-09
US20130088034A1 (en) 2013-04-11
US8678461B2 (en) 2014-03-25
JP5964034B2 (ja) 2016-08-03
CN103029662B (zh) 2016-08-10
DE102011057186A1 (de) 2013-04-11
KR20130036913A (ko) 2013-04-15
CN103029662A (zh) 201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3037B1 (ko) 차량용 수납장치
KR101284307B1 (ko) 차량용 수납장치
KR101252217B1 (ko) 차량용 수납장치
CN101963433B (zh) 冰箱抽屉以及具有这种抽屉的冰箱
US10252675B2 (en) Height adjustable load compartment floor system
KR101284308B1 (ko) 차량용 수납장치
JP6342864B2 (ja) 自動車用収納ボックス
KR101218439B1 (ko) 큰 바퀴가 구비된 바퀴가방
KR20100032549A (ko) 냉장고의 선반
KR200486241Y1 (ko) 인출식 밥통장
JP7253059B2 (ja) カスケードバスケットシステムを装備した電気器具
KR20150094857A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록킹장치
EP3705350A1 (en) Movable bulkheads for motor vehicles
KR20140068666A (ko) 차량용 시트의 수납장치
JP6294100B2 (ja) 冷蔵庫
CN220363202U (zh) 车辆
KR101371472B1 (ko) 트럭의 사이드 수납장치
JP2014004330A (ja) 引出しキャビネット
CN109562712B (zh) 用于机动车辆的具有便利的转换性的可转换为台面的托座
JP4306569B2 (ja) 引き出し装置
JPH11189099A (ja) 車両用収納ボックス装置
KR20130071011A (ko) 서랍식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
JP6738495B2 (ja) 自動車用トノカバー装置
CN115468368A (zh) 抽屉组件及具有该抽屉组件的冰箱
JP6857008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