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514B1 - 반송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반송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514B1
KR101280514B1 KR1020100021647A KR20100021647A KR101280514B1 KR 101280514 B1 KR101280514 B1 KR 101280514B1 KR 1020100021647 A KR1020100021647 A KR 1020100021647A KR 20100021647 A KR20100021647 A KR 20100021647A KR 101280514 B1 KR101280514 B1 KR 101280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ed
conveyed material
conveyance
discharge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583A (ko
Inventor
사토루 도리마루
아츠유키 기타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6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4Simultaneously, alternately, or selectively separating articles from two or more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4Pile receivers multiple or compartmented, e.d. for alternate, programmed, or selective fill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220/00Function indicators
    • B65H2220/09Function indicators indicating that several of an entity are pres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3Compartmented support
    • B65H2405/332Superposed compartments
    • B65H2405/3321Feed tray superposed to discharge t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5Means for moving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40Movement
    • B65H2513/42Rout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919Special copy medium handling apparatus
    • G03G2215/00928Copies and originals use a common part of the copy medium handl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Pile Receiv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반송 기구는 제 1 및 제 2 피반송재가 각각 수용되는 제 1 및 제 2 피반송재 수용부와, 제 1 및 제 2 피반송재가 각각 배출되는 제 1 및 제 2 피반송재 배출부를 구비한다. 제 1 피반송재가 반송되는 피반송 위치에 제 1 피반송재 수용부가 위치 변경되면, 배출처 전환 부재는 배출 부재의 배출처를 제 1 피반송재 배출부로 전환하고, 피반송 위치로부터 퇴피(退避)한 퇴피 위치에 제 1 피반송재 수용부가 위치 변경되면 배출 부재의 배출처를 제 2 피반송재 배출부로 전환한다.

Description

반송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CONVEYANCE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반송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개평7-267413호 공보(도 1)에 개시되는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용지(3)를 설치하기 위한 카세트식의 호퍼(hopper)(4)에 원고 공급 트레이(10)가 대략 평행 상태로 일체로 형성되고,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1)의 상면부에 설치된다.
원고 공급 트레이(10)는 하방(下方)의 단부(端部)가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어, 경사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급지 롤러(5)는, 원고 급지 트레이(10)의 각도 변경에 따라, 용지(3)의 단부 및 용지 반송 가이드(a, b, c)(12)에 대한 위치를 변경한다. 또한, 원고 급지 트레이(10)의 각도 변경은, 트레이 포지션 센서(tray position sensor)에 의해 검출된다.
인자(印字)의 경우에는, 용지(3)가 반송 경로(A)를 거쳐 스태커(stacker)(9)로 배출된다. FAX 송신의 경우에는, 원고가 원고 급지 트레이(10)로부터 용지 반송 가이드(a, b, c)(12)를 따라 급지 롤러(5)에 의해 180도 회전되고, 이미지 센서에 의해 원고가 판독되며, 원고 배지(俳紙) 트레이(11) 상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피반송재(被搬送材)를 수용하는 제 1 피반송재 수용부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제 1 피반송재 및 제 2 피반송재의 양방(兩方)을 배출 가능한 배출 부재는 피반송재의 배출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반송 기구는, 제 1 피반송재가 수용되는, 위치 변경 가능한 제 1 피반송재 수용부와, 제 2 피반송재가 수용되는 제 2 피반송재 수용부와, 상기 제 1 피반송재가 배출되는 제 1 피반송재 배출부와, 상기 제 2 피반송재가 배출되는 제 2 피반송재 배출부와, 상기 제 1 피반송재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 1 피반송재 배출부를 향해 상기 제 1 피반송재를 반송하고, 상기 제 2 피반송재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 2 피반송재 배출부를 향해 상기 제 2 피반송재를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에서의 상기 제 1 피반송재 및 상기 제 2 피반송재의 공통의 반송로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반송부가 반송한 상기 제 1 피반송재 및 상기 제 2 피반송재를 상기 제 1 피반송재 배출부 또는 상기 제 2 피반송재 배출부로 배출 가능한 배출 부재와, 상기 반송부에 의해 상기 제 1 피반송재가 반송되는 피반송 위치에 상기 제 1 피반송재 수용부가 위치 변경되면 상기 배출 부재의 배출처를 상기 제 1 피반송재 배출부로 전환하고, 상기 피반송 위치로부터 퇴피(退避)한 퇴피 위치에 상기 제 1 피반송재 수용부가 위치 변경되면 상기 배출 부재의 배출처를 상기 제 2 피반송재 배출부로 전환하는 배출처 전환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반송 기구에 의하면, 제 1 피반송재를 수용하는 제 1 피반송재 수용부가 변경되는 위치에 의해, 제 1 피반송재 및 제 2 피반송재를 배출 가능한 배출 부재가 배출하는 배출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반송 기구는, 상기 제 1 피반송재 수용부, 상기 제 2 피반송재 수용부, 상기 제 1 피반송재 배출부 및 상기 제 2 피반송재 배출부가 상기 반송부에 대한 일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피반송 위치에 상기 제 1 피반송재 수용부가 위치 변경되면, 상기 제 1 피반송재가 상기 제 2 피반송재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서 반환되도록 상기 반송부의 반송 경로를 전환하는 반송 경로 전환 부재를 구비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피반송재를 수용하는 제 1 피반송재 수용부가 변경되는 위치에 의해, 제 1 피반송재가 반송되는 거리를, 제 2 피반송재가 반송되는 거리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반송 기구는, 상기 제 1 피반송재 수용부의 위치를 검지하는 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처 전환 부재는 상기 검지 부재의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배출 부재의 배출처를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위치 변경된 제 1 피반송재 수용부의 이동력을 배출처 전환 부재로 전달해서 연동시키는 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배출처의 전환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반송 기구는, 상기 제 1 피반송재 수용부의 위치를 검지하는 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경로 전환 부재는 상기 검지 부재의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반송부의 반송 경로를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위치 변경된 제 1 피반송재 수용부의 이동력을 반송 경로 전환 부재로 전달해서 연동시키는 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반송 경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반송 기구는, 제 1 피반송재가 수용되는, 위치 변경 가능한 제 1 피반송재 수용부와, 제 2 피반송재가 수용되는 제 2 피반송재 수용부와, 상기 제 1 피반송재가 배출되는 제 1 피반송재 배출부와, 상기 제 2 피반송재가 배출되는 제 2 피반송재 배출부와, 상기 제 1 피반송재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 1 피반송재 배출부를 향해 상기 제 1 피반송재를 반송하고, 상기 제 2 피반송재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 2 피반송재 배출부를 향해 상기 제 2 피반송재를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의 상기 제 1 피반송재 및 상기 제 2 피반송재의 공통의 반송로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반송부가 반송한 상기 제 1 피반송재 및 상기 제 2 피반송재를 상기 제 1 피반송재 배출부 또는 상기 제 2 피반송재 배출부로 배출 가능한 배출 부재와, 상기 피반송재의 종류에 의거해서, 상기 반송부에 의해 상기 제 1 피반송재가 반송되는 피반송 위치에 상기 제 1 피반송재 수용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와, 상기 피반송재의 종류에 의거해서, 상기 배출 부재의 배출처를 상기 제 2 피반송재 배출부로부터 상기 제 1 피반송재 배출부로 전환하는 배출처 전환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반송 기구에 의하면, 제 1 피반송재 수용부에 수용되는 피반송재의 종류에 따라, 제 1 피반송재 및 제 2 피반송재를 배출 가능한 배출 부재가 배출하는 배출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반송 기구는, 상기 제 1 피반송재 수용부, 상기 제 2 피반송재 수용부, 상기 제 1 피반송재 배출부 및 상기 제 2 피반송재 배출부가 상기 반송부에 대한 일방 측에 배치되고, 반송재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 1 피반송재가 상기 제 2 피반송재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서 반환되도록 상기 반송부의 반송 경로를 전환하는 반송 경로 전환 부재를 구비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피반송재 수용부에 수용되는 피반송재의 종류에 따라, 제 1 피반송재가 반송되는 거리를, 제 2 피반송재가 반송되는 거리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제 1 피반송재로서의 원고를 반송하고, 상기 제 2 피반송재로서의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양태의 반송 기구와,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부와, 상기 화상 판독부가 판독한 화상에 의거해서,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원고를 수용하는 원고 수용부가 변경되는 위치에 의해, 원고 및 기록 매체를 배출 가능한 배출 부재가 그것들의 배출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양태의 반송 기구는, 제 1 피반송재가 수용되고, 그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피반송재 수용부와, 제 2 피반송재가 수용되는 제 2 피반송재 수용부와, 상기 제 1 피반송재가 배출되는 제 1 피반송재 배출부와, 상기 제 2 피반송재가 배출되는 제 2 피반송재 배출부와, 상기 제 1 피반송재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 1 피반송재 배출부를 향해 상기 제 1 피반송재를 반송하고, 상기 제 2 피반송재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 2 피반송재 배출부를 향해 상기 제 2 피반송재를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의 상기 제 1 피반송재 및 상기 제 2 피반송재의 공통의 반송로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반송부가 반송한 상기 제 1 피반송재 및 상기 제 2 피반송재를 상기 제 1 피반송재 배출부 또는 상기 제 2 피반송재 배출부로 배출 가능한 배출 부재와, 상기 반송부에 의한 상기 제 1 피반송재의 반송이 가능한 제 1 위치와, 상기 반송부에 의한 상기 제 1 피반송재의 반송이 불가능한 제 2 위치 사이를, 상기 제 1 피반송재 수용부를 이동하는 이동 기구와, 상기 배출 부재에 의한 상기 제 1 피반송재 및 제 2 피반송재의 배출처를 상기 제 1 피반송재 배출부 또는 상기 제 2 피반송재 배출부로 전환하는 배출처 전환 부재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이며, 위치 변경된 원고 수용부의 이동력을 반송 경로 전환 부재 및 배출처 전환 부재로 전달해서 반송 경로 전환 부재 및 배출처 전환 부재를 이동시키는 구성에서, 기록 매체를 반송할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구성에서, 원고를 반송할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원고를 반송할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기록 매체를 반송할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
우선,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에는, 화살표 A에 의해 장치의 상하 방향(천지(天地) 방향)이 지시되고, 화살표 B에 의해 장치의 횡 방향이 지시되어 있다. 또한, 이 방향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설치 방향에 의해 상대적으로 변경 가능하여, 화살표 A 및 화살표 B로 지시되는 방향을 상하 방향 및 횡 방향으로 해서 화상 형성 장치가 설치될 경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는,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11)와, 장치 본체(11)를 지지하는 지지체(13)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 본체(11)는, 제 1 피반송재의 일례로서의 원고(G) 및 제 2 피반송재의 일례로서의 기록 매체(P)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15)를 가지고 있다. 원고(G) 및 기록 매체(P)로서는, 용지나, 플라스틱·금속 등의 필름 등이 있다.
또한, 제 1 피반송재로서는, 원고(G)인 경우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기록 매체(P)여도 되고, 반송 기구(15)에 의해 반송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또한, 제 2 피반송재로서는, 기록 매체(P)인 경우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고(G)여도 되고, 반송 기구(15)에 의해 반송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반송 기구(15)는, 위치 변경 가능하게 되고 원고(G)가 수용되는 제 1 피반송재 수용부의 일례로서의 원고 수용부(16)와, 기록 매체(P)가 수용되는 제 2 피반송재 수용부의 일례로서의 기록 매체 수용부(50)와, 원고(G)가 배출되는 제 1 피반송재 배출부의 일례로서의 원고 배출부(32)와, 기록 매체(P)가 배출되는 제 2 피반송재 배출부의 일례로서의 기록 매체 배출부(56)와, 원고 수용부(16)로부터 원고 배출부(32)를 향해 원고(G)를 반송하고, 기록 매체 수용부(50)로부터 기록 매체 배출부(56)를 향해 기록 매체(P)를 반송하는 반송부(18)를 구비하고 있다.
원고 수용부(16), 원고 배출부(32), 기록 매체 수용부(50) 및 기록 매체 배출부(56)는, 장치 본체(11)의 일방(一方) 측(도 1에서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원고 수용부(16), 원고 배출부(32), 기록 매체 수용부(50) 및 기록 매체 배출부(56)는, 장치 본체(11)의 일방 측(도 1에서의 우측)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어, 상하 방향으로 겹쳐 있다. 또한, 원고 수용부(16), 기록 매체 수용부(50), 원고 배출부(32) 및 기록 매체 배출부(56)는, 위에서부터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원고 수용부(16), 기록 매체 수용부(50), 원고 배출부(32) 및 기록 매체 배출부(56)는, 일방 측(도 1에서의 우측)에 집약되어 배치되어 있다.
원고 수용부(16)는, 송출 롤(24)에 의해 송출되는 원고(G)를 놓아두기 위한 배치대(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치대(22)에는, 판독 대상으로 되는 판독면을 위로 향하게 해서 원고(G)가 그 송출 방향을 따라 놓여서, 원고(G)가 원고 수용부(16)에 수용된다. 또한, 배치대(22)는, 원고(G)의 송출 방향측으로 하향 구배로 되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원고 수용부(16)는, 원고(G)의 송출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치 본체(11)에 부착되어 있다. 송출 롤(2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원고 수용부(16)는, 송출 롤(24)의 이동 궤도 상에 원고(G)를 위치시켜, 원고(G)로의 송출 롤(24)의 접촉이 가능해지는 접촉 가능 위치(도 4 및 도 5 참조)와, 송출 롤(24)의 이동 궤도 상에서 벗어난 위치에 퇴피(退避)하는 퇴피 위치(도 3 및 도 6 참조)와의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하여 위치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접촉 가능 위치는, 반송부(18)에 의해 원고(G)가 반송되는 피반송 위치이고, 퇴피 위치는 접촉 가능 위치로부터 퇴피한 위치로 된다.
또한, 원고 수용부(16)에는, 원고 수용부(16)에 원고(G)가 수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부(47)가 설치되어 있다. 검지부(47)로서는, 예를 들면 원고 수용부(16)의 원고(G)가 수용되는 위치에 광을 조사하여, 원고(G)가 원고 수용부(16)에 수용되었을 경우에 그 원고(G)에서 반사하는 반사광을 검지함으로써, 원고 수용부(16)에 원고(G)가 수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반사형의 광 센서(근접 스위치)가 이용된다. 또한, 검지부(47)로서는, 다른 구성의 센서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원고 수용부(16)(구체적으로는, 배치대(22))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지부(47)의 검지 결과에 의거해서, 원고 수용부(16)를 접촉 가능 위치 및 퇴피 위치에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49)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 기구(49)는, 예를 들면 원고 수용부(16)의 배치대(22)에 형성된 래크(rack)(49A)와, 래크(49A)와 맞물리는 피니언(pinion)(49B)과, 피니언(49B)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49C)로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검지부(47)가 원고 수용부(16)로의 원고(G)의 수용을 검지하면, 그 검지 결과에 의거해서 이동 기구(49)는, 구동 모터(49C)에 의해 피니언(49B)을 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래크(49A)가 형성된 배치대(22)를 원고(G)의 송출 방향을 따라 접촉 가능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검지부(47)가 원고 수용부(16)로의 원고(G)의 비(非)수용을 검지하면, 그 검지 결과에 의거해서 이동 기구(49)는, 구동 모터(49C)에 의해 피니언(49B)을 타방(他方)으로 회전 구동시켜, 래크(49A)가 형성된 배치대(22)를 원고(G)의 송출 방향 후방에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동 기구(49)로서는, 상기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를 이용해도 되고, 원고 수용부(16)를 접촉 가능 위치 및 퇴피 위치에 이동시키는 기구이면, 상기 구성 이외의 액추에이터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원고 수용부(16)의 이동 방향은, 상기의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송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원고 수용부(16)의 이동은, 슬라이드 이동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회전 이동이어도 된다. 이 회전 이동하는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원고(G)의 송출 방향측의 원고 수용부(16)의 단부(端部)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단부를 회전 중심으로 해서, 송출 방향 후방측의 원고 수용부(16)의 단부를 들어올리도록 회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원고 수용부(16)는, 상기와 같은 2 개소의 위치만이 아니라, 3 개소 이상의 위치에 위치 변경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기록 매체 수용부(50)는, 송출 롤(24)에 의해 송출되는 기록 매체(P)를 놓아두기 위한 배치대(58)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치대(58)에는, 기록 매체(P)가 그 송출 방향을 따라 놓여서, 기록 매체(P)가 기록 매체 수용부(50)에 수용된다. 또한, 배치대(58)는, 기록 매체(P)의 송출 방향측으로 하향 구배로 되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기록 매체 수용부(50)는 원고 수용부(16)와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원고 배출부(32)는 배출 롤(39)에 의해 배출된 원고(G)가 놓이는 배치대(4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치대(42)에는, 판독면이 아래로 향하게 되어 원고(G)가 그 배출 방향을 따라 놓여서, 원고(G)가 원고 배출부(32)에 수용된다.
기록 매체 배출부(56)는, 배출 롤(39)에 의해 배출된 기록 매체(P)가 놓이는 배치대(7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치대(72)에는, 기록 매체(P)가 배출 방향을 따라 놓여서, 기록 매체(P)가 기록 매체 배출부(56)에 수용된다. 또한, 기록 매체 배출부(56)는, 원고 배출부(32)와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기록 매체 배출부(56)의 상측에 배치된 배출부가 원고 배출부(32)로 되어 있었지만, 원고 배출부(32)를 기록 매체 배출부로서 이용하고, 기록 매체 배출부(56)를 원고 배출부로서 이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후술하는 배출처 전환 부재(70)의 배출처의 전환 동작이 반대가 되어, 원고(G)가 하측의 원고 배출부에 배출되고, 기록 매체(P)가 상측의 기록 매체 배출부에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기록 매체 수용부(50)의 상측에 배치된 수용부가 원고 수용부(16)로 되어 있었지만, 원고 수용부(16)를 기록 매체 수용부로서 이용하고, 기록 매체 수용부(50)를 원고 수용부로서 이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검지부(47)는, 기록 매체 수용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원고 수용부에 대해 설치되며, 검지부(47)가 원고 수용부로의 원고(G)의 수용을 검지하면, 송출 롤(24)의 이동 궤도 상에서 벗어난 퇴피 위치에 기록 매체 수용부가 이동 기구(49)에 의해 이동하고, 검지부(47)가 원고 수용부(16)로의 원고(G)의 비수용을 검지하면, 기록 매체(P)로의 송출 롤(24)의 접촉이 가능해지는 접촉 가능 위치에 기록 매체 수용부가 이동 기구(49)에 의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원고 수용부(16)가 기록 매체(P)를 수용하는 기록 매체 수용부로 되고, 원고 배출부(32)가 기록 매체(P)를 배출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배출부로 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기록 매체 수용부(50)는, 다른 사이즈나 다른 종류의 기록 매체를 수용해서 반송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후술하는 원고 반송로(34C) 및 화상 판독부(20)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기록 매체 수용부(50)가 원고(G)를 수용하는 원고 수용부로 되고, 기록 매체 배출부(56)가 원고(G)를 배출하기 위한 원고 배출부로 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원고 수용부(16)는 다른 사이즈나 다른 종류의 원고(G)를 수용해서 반송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후술하는 기록 매체 반송로(34B) 및 화상 형성부(54)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기록 매체 수용부(50)는, 원고 수용부(16)에 대해 시프트되어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원고 배출부(32)는, 기록 매체 수용부(50)에 대하여 시프트되어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기록 매체 배출부(56)는, 원고 배출부(32)에 대해 시프트되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시프트되는 방향으로서는, 송출 방향에 따른 방향과 송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이 있다.
따라서, 기록 매체 수용부(50), 원고 배출부(32) 및 기록 매체 배출부(56)의 각각이, 상측에 배치된 원고 수용부(16), 기록 매체 수용부(50) 및 원고 배출부(32)의 각각에 대해, 일 방향으로 시프트됨으로써, 원고 수용부(16), 기록 매체 수용부(50), 원고 배출부(32) 및 기록 매체 배출부(56)가, 계단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에 따라, 원고(G)의 수용이나 기록 매체(P)의 보급, 배출 후의 원고(G) 및 배출 후의 기록 매체(P)의 취출(取出) 등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반송부(18)는, 예를 들면 원고 수용부(16)에 수용된 원고(G)를 원고 수용부(16)로부터 송출 가능한 동시에 기록 매체 수용부(50)에 수용된 기록 매체(P)를 기록 매체 수용부(50)로부터 송출 가능한 송출 롤(24)과, 송출 롤(24)에 의해 송출된 원고(G) 또는 기록 매체(P)를 1 매씩 분리하는 분리 기구(30)와, 분리 기구(30)에 의해 분리된 원고(G) 또는 기록 매체(P)를 원고 배출부(32) 또는 기록 매체 배출부(56)를 향해 반송하는 복수의 반송 롤(36)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송출 롤(24)은, 분리 기구(30)의 일부를 구성하는 반송 롤(26)의 회전축에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 부재(19)의 타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송출 롤(24)은, 연결 부재(19)의 일 단부를 회전 중심으로 타 단부가 회전함으로써, 원고 수용부(16)가 접촉 가능 위치에 위치할 경우에 있어서, 원고 수용부(16)에 수용된 원고(G)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와, 그 원고(G)로부터 멀어지는 이간 위치와의 사이를 회전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송출 롤(24)은, 원고 수용부(16)가 퇴피 위치에 위치할 경우에는, 기록 매체 수용부(50)에 수용된 기록 매체(P)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와, 그 기록 매체(P)로부터 이간하는 이간 위치와의 사이를 회전 이동 가능해진다.
또한, 송출 롤(24)은, 예를 들면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도시 생략)의 탄성력에 의해 이간 위치를 향하는 힘이 항시 부여되고, 반송 롤(26)의 회전력에 의해,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연결 부재(19)가 일 단부를 회전 중심으로 타 단부가 회전함으로써 송출 롤(24)을 접촉 위치에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반송 롤(26)과는 독립한 구동부의 구동력을 이용해서 송출 롤(24)을 접촉 위치 또는 이간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성, 송출 롤(24)의 자중(自重)이나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해서 접촉 위치에 이동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송출 롤(24)에 의해 송출된 원고(G) 및 기록 매체(P)가 반송되는 반송로(34)가, 장치 본체(11)에 형성되어 있다. 반송로(3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출 롤(24)에 의해 송출된 원고(G) 및 기록 매체(P)가 공통으로 반송되는 제 1 공통로(34A)와, 제 1 공통로(34A)를 반송된 기록 매체(P)가 반송되는 기록 매체 반송로(34B)와, 제 1 공통로(34A)를 반송된 원고(G)가 반송되는 원고 반송로(34C)와, 기록 매체 반송로(34B)를 반송된 기록 매체(P)와 원고 반송로(34C)를 반송된 원고(G)가 공통으로 반송되는 제 2 공통로(34D)와, 제 2 공통로(34D)를 반송된 원고(G) 및 기록 매체(P)를 반전시켜 제 1 공통로(34A)에 되돌려 보내기 위한 반전로(34E)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기록 매체 반송로(34B) 및 원고 반송로(34C)는, 적어도 일부가 U자 형상으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반송되는 원고(G) 또는 기록 매체(P)가 반환되도록, 하류단(下流端)측의 반송 방향이 상류단(上流端)측의 반송 방향에 대해 반대측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기록 매체(P)가 기록 매체 수용부(50)로부터 기록 매체 배출부(56)까지 반송되는 반송 경로는, 제 1 공통로(34A)와 기록 매체 반송로(34B)와 제 2 공통로(34D)에 의해 구성되고, 전체로서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원고(G)가 원고 수용부(16)로부터 원고 배출부(32)까지 반송되는 반송 경로는, 제 1 공통로(34A)와 원고 반송로(34C)와 제 2 공통로(34D)에 의해 구성되고, 전체로서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원고 반송로(34C)는, 기록 매체 반송로(34B)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원고(G)의 반송 경로는, 기록 매체(P)의 반송 경로보다 거리가 짧고, 기록 매체(P)의 반송 경로보다 앞쪽에서 반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원고(G)가 원고 수용부(16)로부터 원고 배출부(32)까지 반송되는 반송 경로를 제 1 공통로(34A)와 기록 매체 반송로(34B)와 제 2 공통로(34D)로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원고(G) 및 기록 매체(P)가 반송되는 반송 경로의 전부가 공통화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후술하는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는 불필요해진다.
제 1 공통로(34A)에는, 분리 기구(30)가 송출 롤(24)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분리 기구(30)는, 송출 롤(24)에 송출된 원고(G) 및 기록 매체(P)에 그 표면측으로부터 반송력을 부여하는 반송 롤(26)과, 송출 롤(24)에 의해 송출된 원고(G) 및 기록 매체(P)에 그 이면측으로부터 반송 저항(마찰 저항)을 부여하는 분리 패드(28)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송출 롤(24)에 의해 복수의 원고(G) 또는 기록 매체(P)가 겹쳐 송출되었을 경우에는, 반송 롤(26)이 상측의 원고(G) 또는 기록 매체(P)(1매째의 원고(G) 또는 기록 매체(P))로 반송력을 부여하는 한편, 하측의 원고(G) 또는 기록 매체(P)(2매째 이후의 원고(G) 또는 기록 매체(P))는, 분리 패드(28)에 의해, 반송 저항이 부여되므로, 겹쳐서 송출된 원고(G) 또는 기록 매체(P)가 분리된다. 이렇게, 송출 롤(24)과 분리 패드(28)에 의해, 겹친 원고(G) 또는 기록 매체(P)가 분리되어 한 매씩 반송된다.
또한, 제 1 공통로(34A)에는, 반송 롤(36)이, 분리 기구(30)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반송 롤(36)은, 원고(G) 및 기록 매체(P)를 사이에 끼워 반송하는 한 쌍의 롤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공통로(34A)로부터 기록 매체 반송로(34B)와 원고 반송로(34C)로 분기되는 부분에는, 원고(G)가 기록 매체(P)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서 반환되도록 반송부(18)의 반송 경로를 전환하는 반송 경로 전환 부재의 일례로서의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 반송로(34C)의 외주측의 반송 노면을 이루는 측면(67A)과, 기록 매체 반송로(34B)의 하측의 반송 노면을 이루는 상면(67B)과, 기록 매체 반송로(34B)의 상측의 반송 노면을 이루는 저면(67C)을 가지고 있다.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는, 그 하부가, 축부(66)에 의해 장치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는, 축부(66)를 회전 중심으로 측면(67A)이 대향하는 대향면(69)측에 회전 이동하여, 원고 반송로(34C)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도 1 참조)와, 측면(67A)이 대향면(69)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회전 이동하여, 원고 반송로(34C)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도 2 참조)에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가 폐쇄 위치에 위치할 경우에 있어서, 기록 매체 반송로(34B)가 개방되어, 제 1 공통로(34A), 기록 매체 반송로(34B) 및 제 2 공통로(34D)에 의한 반송 경로가 형성된다.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가 개방 위치에 위치할 경우에 있어서, 원고 반송로(34C)가 개방되어, 제 1 공통로(34A), 원고 반송로(34C) 및 제 2 공통로(34D)에 의한 반송 경로가 형성된다. 이 때,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의 측면(67A)의 상단(上端)은, 기록 매체 반송로(34B)의 하측 노면보다 상측으로 돌출해 있다. 이에 따라, 제 1 공통로(34A)를 반송된 원고(G)는, 측면(67A)에 맞닿아서 원고 반송로(34C)에 인도된다.
또한,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는, 원고 수용부(16)의 위치 변경에 연동하여, 반송 경로를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연동 기구는, 원고 수용부(16)에 설치되어 원고 수용부(16)의 위치를 검지하는 검지 부재로서의 검지부(45)와, 검지부(45)의 검지 결과에 의거해서,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를 회전 이동시키는 구동부로서의 구동 모터(48)를 구비하고 있다.
검지부(45)로서는, 예를 들면 접촉 가능 위치에 위치하는 원고 수용부(16)의 배치대(22)의 측면에 눌려서 온으로 되고, 퇴피 위치에 원고 수용부(16)가 위치할 경우에는 오프로 되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가 사용된다. 또한, 검지부(45)로서는,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광 센서 등의 센서를 이용해도 되고, 원고 수용부(16)의 위치를 검지하는 것이면 된다.
이 연동 기구에서는, 원고 수용부(16)가 접촉 가능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지부(45)가 검지하면,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는, 구동 모터(48)에 의해, 원고 반송로(34C)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회전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원고 수용부(16)가 퇴피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지부(45)가 검지하면,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는, 구동 모터(48)에 의해, 원고 반송로(34C)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 회전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기록 매체 반송로(34B)에는, 후술하는 화상 판독부(20)가 판독한 화상에 의거해서, 반송부(18)에 의해 반송되는 기록 매체(P)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54)가 설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부(54)는, 노즐로부터 잉크 액적을 토출해서 기록 매체(P)에 화상을 형성하는 잉크젯 기록 헤드(53)를 구비하고 있다. 잉크젯 기록 헤드(53)는, 잉크젯 기록 헤드(53) 아래의 화상 형성 위치에 반송된 기록 매체(P)로 잉크 액적을 토출해서 화상을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잉크젯 기록 헤드(53)에 인접하며, 잉크젯 기록 헤드(53)에 공급되는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 저장부(55)가 설치되어 있다.
잉크젯 기록 헤드(53)의 하방에는, 토출면에 대향하여, 잉크젯 기록 헤드(53)의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메인터넌스 부재(57)가 설치되어 있다. 메인터넌스 부재(57)는, 토출면을 덮는 캡, 잉크젯 기록 헤드(53)의 토출면을 청소하는 청소 부재, 노즐 내의 잉크를 흡인(吸引)하기 위한 흡인 장치 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화상 형성부(54)로서는, 잉크젯 기록 헤드(53)를 구비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54)여도 되고,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면, 잉크젯 기록 헤드 이외의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기록 매체 반송로(34B)에는, 반송 롤(36)이, 화상 형성부(54)를 사이에 두고, 화상 형성부(54)의 반송 방향 상류측 및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반송 롤(36)은, 원고(G) 및 기록 매체(P)를 사이에 끼워 반송하는 한 쌍의 롤로 구성되어 있고, 화상 형성부(54)의 화상 형성 위치를 통과하는 기록 매체(P)의 반송 방향 상류측과 하류측를 사이에 두고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원고 반송로(34C)에는, 반송부(18)에 의해 반송되는 원고(G)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부(20)가 설치되어 있다. 화상 판독부(20)는, 예를 들면 광원(도시 생략)과, 미러(mirror)나 결상 렌즈 등의 광학계(도시 생략)와, CCD 등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판독 소자(도시 생략)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화상 판독부(20)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통과시키는 글래스 판(板) 등의 투명 부재(38)가, 원고 반송로(34C)에 설치되어 있다. 이 투명 부재(38)는, 원고 반송로(34C)의 반송 노면을 이루고 있고, 투명 부재(38)가 배치된 위치가, 원고 반송로(34C)를 반송되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위치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원고 반송로(34C)를 반송되는 원고(G)에, 화상 판독부(20)의 광원으로부터 광이 조사되고, 원고에서 반사한 반사광이 광학계를 통해 화상 판독 소자에 인도되고, 화상 판독 소자에 의해 화상이 판독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화상 판독부(20)는, 투명 부재(38)의 하방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 결정 고정된 상태에 있다. 이렇게, 원고(G)가 반송부(18)에 의해 반송됨으로써, 화상 판독부(20)에 대해 원고(G)가 부(副)주사되어서 원고(G)의 화상이 판독되도록 되어 있다.
화상 판독부(20)에는, 도시 생략한 제어부가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는, 화상 판독부(20)가 판독한 화상을 화상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한 화상 신호를 화상 형성부(54)에 보내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화상 판독부(20)로서는, 상기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 등의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원고에 조사하고, 반사한 광을 수광함으로써 원고의 화상을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여도 되고, 화상을 판독 가능한 것이면 된다.
또한, 제 2 공통로(34D)에는, 반송 롤(36)이, 화상 판독부(20)를 사이에 두고, 화상 판독부(20)의 반송 방향 상류측 및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반송 롤(36)은, 원고(G) 및 기록 매체(P)를 사이에 끼워 반송하는 한 쌍의 롤로 구성되어 있고, 화상 판독 위치를 통과하는 기록 매체(P)의 반송 방향 상류측과 하류측을 사이에 두고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화상 판독부(20)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 배치된 반송 롤(36)은, 원고 반송로(34C)와 기록 매체 반송로(34B)가 합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공통로(34D)에는, 반송부(18)가 반송한 원고(G) 및 기록 매체(P)를 원고 배출부(32) 및 기록 매체 배출부(56)로 배출 가능한 배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배출 롤(39)이, 하류측의 반송 롤(36)보다 반송부(18)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배출 롤(39)의 배출 방향측에는, 배출 롤(39)이 배출하는 배출처를 원고 배출부(32) 및 기록 매체 배출부(56) 중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전환하는 배출처 전환 부재의 일례로서의 배출처 전환 부재(70)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처 전환 부재(70)는, 원고 배출부(32)의 배치대(42)의 일부를 이루고, 그 상면(上面)에 원고(G)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배출처 전환 부재(70)는, 배출 방향 하류측이, 축부(73)에 의해 장치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배출처 전환 부재(70)는, 축부(73)를 회전 중심으로 상류측 단부가 상방측으로 회전 이동하여, 원고 배출부(32)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류측 단부가 하방측으로 회전 이동하여, 원고 배출부(32)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배출처 전환 부재(70)가 폐쇄 위치에 위치할 경우에 있어서, 기록 매체 배출부(56)가 개방되어, 배출 롤(39)이 배출하는 원고(G) 또는 기록 매체(P)가 기록 매체 배출부(56)에 배출 가능해진다.
배출처 전환 부재(70)가 개방 위치에 위치할 경우에 있어서, 원고 배출부(32)가 개방되어, 배출 롤(39)이 배출하는 원고(G) 또는 기록 매체(P)가 원고 배출부(32)에 배출 가능해진다.
또한, 원고 수용부(16)의 위치 변경에 연동해서, 배출 롤(39)의 배출처를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연동 기구는, 상술한 검지부(45)와, 검지부(45)의 검지 결과에 의거해서, 배출처 전환 부재(70)를 회전 이동시키는 구동부로서의 구동 모터(4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연동 기구에 의하면, 원고 수용부(16)가 접촉 가능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지부(45)가 검지하면, 배출처 전환 부재(70)는, 구동 모터(46)에 의해, 원고 배출부(32)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회전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원고 수용부(16)가 퇴피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지부(45)가 검지하면,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는, 구동 모터(46)에 의해, 원고 배출부(32)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 회전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반전로(34E)는, 양면의 화상을 판독할 경우에 화상 판독부(20)에 의해 한 면의 화상이 판독된 원고(G)가, 배출 롤(39)에 의해 반전되어 반전로(34E)에 도입되고, 제 1 공통로(34A) 및 원고 반송로(34C)를 통과해서 다시 화상 판독 위치로 되돌려 보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반전로(34E)는, 양면에 화상 형성할 경우에 화상 형성부(54)에 의해 한 면에 화상이 형성된 기록 매체(P)가, 배출 롤(39)에 의해 반전되어 반전로(34E)에 도입되고, 제 1 공통로(34A) 및 기록 매체 반송로(34B)를 통과해서 다시 화상 형성 위치로 되돌려 보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작용)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원고(G)의 화상을 기록 매체(P)에 복사할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우선, 화상 형성 장치(10)를 조작하는 조작자는, 기록 매체(P)를 기록 매체 수용부(50)에 수용하는 동시에, 원고 수용부(16)에 원고(G)를 수용한다. 원고 수용부(16)에 원고(G)가 수용되면, 검지부(47)가 원고(G)를 검지한다.
한편, 검지부(45)가 원고 수용부(16)의 위치를 검지한다. 검지부(45)가, 수용된 원고(G)에 송출 롤(24)이 접촉할 수 없는 퇴피 위치에 원고 수용부(16)가 위치하는 것을 검지하는 동시에, 검지부(47)가 원고(G)의 수용을 검지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 수용부(16)는, 수용된 원고(G)에 송출 롤(24)이 접촉 가능한 접촉 가능 위치에 이동 기구(49)에 의해 이동된다.
원고 수용부(16)가 접촉 가능 위치에 이동되면, 원고 수용부(16)가 접촉 가능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지부(45)가 검지하고, 그 검지 결과에 의거해서, 구동 모터(48)에 의해,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가, 원고 반송로(34C)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이동하여, 제 1 공통로(34A), 원고 반송로(34C) 및 제 2 공통로(34D)에 의한 반송 경로가 형성된다. 또한, 원고 수용부(16)가 접촉 가능 위치에 위치해 있다는 검지부(45)의 검지 결과에 의거해서, 구동 모터(46)에 의해, 배출처 전환 부재(70)가, 원고 배출부(32)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이동하여, 배출 롤(39)에 의한 원고(G)의 배출처가 원고 배출부(32)로 된다.
조작자가, 조작부를 조작하는 등에 의해, 복사 동작이 개시되면, 우선 송출 롤(24)이, 원고 수용부(16)에 수용된 원고(G)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에 회전 이동한다. 송출 롤(24)이 접촉한 원고(G)는, 그 송출 롤(24)에 의해 원고 수용부(16)로부터 송출된다.
원고 수용부(16)로부터 송출된 원고(G)는, 제 1 공통로(34A)를 반송되고, 분리 기구(30)를 통과하여, 원고 반송로(34C)에 도입된다. 원고 반송로(34C)에 도입된 원고(G)는, 원고 반송로(34C)를 통과한 후, 제 2 공통로(34D)를 반송된다. 제 2 공통로(34D)를 반송되는 원고(G)는, 화상 판독부(20)에 의해 화상이 판독된 후, 배출 롤(39)에 의해 원고 배출부(32)에 배출된다.
원고 수용부(16)에 수용된 원고(G)가 송출되면, 검지부(47)가 원고 수용부(16)에 원고(G)가 없는 것을 검지한다. 이에 따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 수용부(16)는 이동 기구(49)에 의해 퇴피 위치에 이동한다.
원고 수용부(16)가 퇴피 위치에 이동하면, 원고 수용부(16)가 퇴피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지부(45)가 검지하고, 그 검지 결과에 의거해서, 구동 모터(48)에 의해,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가, 원고 반송로(34C)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 이동하여, 제 1 공통로(34A), 기록 매체 반송로(34B) 및 제 2 공통로(34D)에 의한 반송 경로가 형성된다. 또한, 원고 수용부(16)가 퇴피 위치에 위치해 있다는 검지부(45)의 검지 결과에 의거해서, 구동 모터(46)에 의해, 배출처 전환 부재(70)가 원고 배출부(32)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 이동하여, 배출 롤(39)에 의한 기록 매체(P)의 배출처가 기록 매체 배출부(56)로 된다.
또한, 송출 롤(24)은, 반송 롤(26)의 회전에 의해, 기록 매체 수용부(50)에 수용된 기록 매체(P)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에 회전 이동한다. 송출 롤(24)이 접촉한 기록 매체(P)는, 그 송출 롤(24)에 의해 기록 매체 수용부(50)로부터 송출된다.
기록 매체 수용부(50)로부터 송출된 기록 매체(P)는, 제 1 공통로(34A)를 반송되고, 분리 기구(30)를 통과하여, 기록 매체 반송로(34B)에 도입된다. 기록 매체 반송로(34B)에 도입된 기록 매체(P)에는, 화상 판독부(20)가 판독한 화상에 의거하는 화상이, 화상 형성부(54)에 의해 형성된다.
화상이 형성된 기록 매체(P)는, 기록 매체 반송로(34B), 제 2 공통로(34D)를 반송되어, 배출 롤(39)에 의해 기록 매체 배출부(56)에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고 수용부(16)의 위치에 의해, 원고(G) 및 기록 매체(P)가 반송되는 반송 경로 및, 원고(G) 및 기록 매체(P)가 배출되는 배출처가 결정되어, 별도로, 반송 경로 및 배출처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원고 수용부(16)의 위치 변경에 연동해서 반송 경로를 전환하는 연동 기구 및 원고 수용부(16)의 위치 변경에 연동해서 배출 롤(39)의 배출처를 전환하는 연동 기구로서는, 상기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반송 경로를 전환하는 연동 기구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대(22)의 송출 방향 선단측의 양측의 측면에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제 1 연결 부재(74)와, 제 1 연결 부재(74)의 타 단부에 축부(76)에 의해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타 단부가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에 부착된 제 2 연결 부재(78)와, 축부(76)가 안내되는 긴 홀(80)을 가지는 안내 부재(도시 생략)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축부(76)는, 긴 홀(80)의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에 걸쳐 이동 가능해지고, 원고 수용부(16)가 퇴피 위치에 이동함으로써,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연결 부재(74)가 당겨져서 축부(76)가 긴 홀(80)의 일 단부(상단부)에 이동하고, 원고 수용부(16)가 접촉 가능 위치에 이동함으로써,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연결 부재(74)가 눌려서 축부(76)가 긴 홀(80)의 타 단부(하단부)에 이동하도록, 긴 홀(80)의 형성 위치가 조정되어 있다.
축부(76)가 긴 홀(80)의 일 단부(상단부)에 이동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연결 부재(78)가 당겨져서,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가 폐쇄 위치에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축부(76)가 긴 홀(80)의 타 단부(하단부)에 이동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연결 부재(78)가 눌려서,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가 개방 위치에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 롤(39)의 배출처를 전환하는 연동 기구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대(22)의 송출 방향 선단측의 양측의 측면에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제 3 연결 부재(82)와, 제 3 연결 부재(82)의 타 단부에 축부(84)에 의해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타 단부가 배출처 전환 부재(70)의 상류측 단부에 부착된 제 4 연결 부재(86)와, 축부(84)가 안내되는 긴 홀(88)을 가지는 안내 부재(도시 생략)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축부(84)는, 긴 홀(88)의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에 걸쳐 이동 가능해지고, 원고 수용부(16)가 퇴피 위치에 이동함으로써,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연결 부재(82)가 당겨져서 축부(84)가 긴 홀(88)의 일 단부(도 3에서의 우 단부)에 이동하고, 원고 수용부(16)가 접촉 가능 위치에 이동함으로써,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연결 부재(82)가 눌려서 축부(84)가 긴 홀(88)의 타 단부(도 4에서의 좌 단부)에 이동하도록, 긴 홀(88)의 형성 위치가 조정되어 있다.
축부(84)가 긴 홀(88)의 일 단부(도 3에서의 우 단부)에 이동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4 연결 부재(86)가 당겨져서, 배출처 전환 부재(70)가 폐쇄 위치에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축부(84)가 긴 홀(88)의 타 단부(도 3에서의 좌 단부)에 이동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4 연결 부재(86)가 눌려서, 배출처 전환 부재(70)가 개방 위치에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위치 변경된 원고 수용부(16)의 이동력을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 및 배출처 전환 부재(70)로 전달해서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 및 배출처 전환 부재(70)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서는, 상기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캠 등의 다른 기계 요소를 이용하여 연동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서는, 검지부(47)가 원고(G)의 수용을 검지한 결과에 의거해서, 이동 기구(49)에 의해 원고 수용부(16)를 접촉 가능 위치에 이동시키고, 원고 수용부(16)가 접촉 가능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지부(45)가 검지하고, 그 검지 결과에 의거해서, 구동 모터(48)에 의해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를 개방 위치에 이동시키고, 또한 구동 모터(46)에 의해 배출처 전환 부재(70)를 개방 위치에 이동시키는 구성이었지만, 검지부(47)가 원고(G)의 수용을 검지한 결과에 의거해서, 이동 기구(49)에 의해 원고 수용부(16)를 접촉 가능 위치에 이동시키는 동시에, 구동 모터(48)에 의해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를 개방 위치에 이동시키고, 또한 구동 모터(46)에 의해 배출처 전환 부재(70)를 개방 위치에 이동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즉, 이 구성에서는, 원고 수용부(16)의 위치 변경에 연동하여,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 및 배출처 전환 부재(70)를 개방 위치에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원고(G)를 원고 수용부(16)에 수용한다는, 원고(G)를 반송할 의사(意思)에 의거해서, 원고 수용부(16)의 위치 변경과는 독립하여, (즉, 원고(G)의 검출에 의해, 즉시)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 및 배출처 전환 부재(70)를 개방 위치에 이동시킨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검지부(45)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서는, 검지부(47)가 원고(G)의 비수용을 검지한 결과에 의거해서, 이동 기구(49)에 의해 원고 수용부(16)를 퇴피 위치에 이동시키고, 원고 수용부(16)가 퇴피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지부(45)가 검지하고, 그 검지 결과에 의거해서, 구동 모터(48)에 의해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를 폐쇄 위치에 이동시키고, 또한 구동 모터(46)에 의해 배출처 전환 부재(70)를 폐쇄 위치에 이동시키는 구성이었지만, 검지부(47)가 원고(G)의 비수용을 검지한 결과에 의거해서, 이동 기구(49)에 의해 원고 수용부(16)를 퇴피 위치에 이동시키는 동시에, 구동 모터(48)에 의해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를 폐쇄 위치에 이동시키고, 또한 구동 모터(46)에 의해 배출처 전환 부재(70)를 폐쇄 위치에 이동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즉, 이 구성에서는, 원고 수용부(16)의 위치 변경에 연동하여,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 및 배출처 전환 부재(70)를 폐쇄 위치에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원고(G)를 원고 수용부(16)에 수용하지 않는다는, 조작자의 의사에 의거해서, 원고 수용부(16)의 위치 변경과는 독립하여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 및 배출처 전환 부재(70)를 폐쇄 위치에 이동시킨다.
또한, 원고 수용부(16)는, 조작자가 조작부 등을 조작함으로써 생성되는, 원고(G)의 화상을 기록 매체(P)에 복사하는 복사 지령(화상 판독 지령이나 화상 형성 지령도 마찬가지)에 의거해서, 이동 기구(49)에 의해 이동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복사 지령에 의거해서 이동 기구(49)에 의해 원고 수용부(16)를 이동하는 구성에서도, 원고 수용부(16)의 위치를 검지부(45)에 의해 검지하고, 그 검지 결과에 의거해서, 구동 모터(48)에 의해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구동 모터(46)에 의해 배출처 전환 부재(70)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복사 지령에 의거해서 이동 기구(49)에 의해 원고 수용부(16)를 이동하는 구성에서도, 복사 지령에 의거해서, 이동 기구(49)에 의해 원고 수용부(16)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구동 모터(48)에 의해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를 이동시키고, 또한 구동 모터(46)에 의해 배출처 전환 부재(70)를 이동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즉, 이 구성에서는, 원고 수용부(16)의 위치 변경에 연동하여,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 및 배출처 전환 부재(70)를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조작부 등의 조작에 의거해서, 원고 수용부(16)의 위치 변경과는 독립하여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 및 배출처 전환 부재(70)를 이동시킨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검지부(45)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복사 지령에 의거해 이동 기구(49)에 의해 원고 수용부(16)를 이동하는 구성에서도, 위치 변경된 원고 수용부(16)의 이동력을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 및 배출처 전환 부재(70)로 전달해서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 및 배출처 전환 부재(70)를 이동시키는 상기의 연동 기구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원고 수용부(16)는, 수동에 의해 위치 변경이 이루어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도, 원고 수용부(16)의 위치를 검지부(45)에 의해 검지하고, 그 검지 결과에 의거해서, 구동 모터(48)에 의해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구동 모터(46)에 의해 배출처 전환 부재(70)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원고 수용부(16)가 수동에 의해 위치 변경이 이루어지는 구성에서도, 위치 변경된 원고 수용부(16)의 이동력을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 및 배출처 전환 부재(70)로 전달해서 반송 경로 전환 부재(67) 및 배출처 전환 부재(70)를 이동시키는 상기의 연동 기구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이동 기구(49) 및 검지부(47)는 불필요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 변경, 개량이 가능하다.
10 : 화상 형성 장치 11 : 장치 본체
13 : 지지체 15 : 반송 기구
16 : 원고 수용부 19 : 연결 부재
20 : 화상 판독부 22 : 배치대
24 : 송출 롤 26 : 반송 롤
30 : 분리 기구 32 : 원고 배출부
36 : 반송 롤 38 : 투명 부재
39 : 배출 롤 42 : 배치대
45 : 검지부 46 : 구동 모터
47 : 검지부 48 : 구동 모터
49 : 이동 기구 50 : 기록 매체 수용부
53 : 잉크젯 기록 헤드 54 : 화상 형성부
55 : 잉크 저장부 56 : 기록 매체 배출부
57 : 메인터넌스 부재 58 : 배치대
66 : 축부 67 : 반송 경로 전환 부재
69 : 대향면 70 : 배출처 전환 부재
72 : 배치대 73 : 축부
74 : 제 1 연결 부재 76 : 축부
78 : 제 2 연결 부재 80 : 긴 홀
82 : 제 3 연결 부재 84 : 축부
86 : 제 4 연결 부재 88 : 긴 홀

Claims (14)

  1. 제 1 피반송재(被搬送材)가 수용되는, 위치 변경 가능한 제 1 피반송재 수용부와,
    제 2 피반송재가 수용되는 제 2 피반송재 수용부와,
    상기 제 1 피반송재가 배출되는 제 1 피반송재 배출부와,
    상기 제 2 피반송재가 배출되는 제 2 피반송재 배출부와,
    상기 제 1 피반송재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 1 피반송재 배출부를 향해 상기 제 1 피반송재를 반송하고, 상기 제 2 피반송재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 2 피반송재 배출부를 향해 상기 제 2 피반송재를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에서의 상기 제 1 피반송재 및 상기 제 2 피반송재의 공통의 반송로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반송부가 반송한 상기 제 1 피반송재 및 상기 제 2 피반송재를 상기 제 1 피반송재 배출부 또는 상기 제 2 피반송재 배출부로 배출 가능한 배출 부재와,
    상기 반송부에 의해 상기 제 1 피반송재가 반송되는 피반송 위치에 상기 제 1 피반송재 수용부가 위치 변경되면 상기 배출 부재의 배출처를 상기 제 1 피반송재 배출부로 전환하고, 상기 피반송 위치로부터 퇴피(退避)한 퇴피 위치에 상기 제 1 피반송재 수용부가 위치 변경되면 상기 배출 부재의 배출처를 상기 제 2 피반송재 배출부로 전환하는 배출처 전환 부재를 구비하는 반송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반송재 수용부, 상기 제 2 피반송재 수용부, 상기 제 1 피반송재 배출부 및 상기 제 2 피반송재 배출부가 상기 반송부에 대한 일방(一方) 측에 배치되고, 상기 피반송 위치에 상기 제 1 피반송재 수용부가 위치 변경되면, 상기 제 1 피반송재가 상기 제 2 피반송재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서 반환되도록, 상기 반송부의 반송 경로를 전환하는 반송 경로 전환 부재를 구비하는 반송 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반송재 수용부의 위치를 검지하는 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처 전환 부재는 상기 검지 부재의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배출 부재의 배출처를 전환하는 반송 기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반송재 수용부의 위치를 검지하는 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경로 전환 부재는, 상기 검지 부재의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반송부의 반송 경로를 전환하는 반송 기구.
  5. 제 1 피반송재가 수용되는, 위치 변경 가능한 제 1 피반송재 수용부와,
    제 2 피반송재가 수용되는 제 2 피반송재 수용부와,
    상기 제 1 피반송재가 배출되는 제 1 피반송재 배출부와,
    상기 제 2 피반송재가 배출되는 제 2 피반송재 배출부와,
    상기 제 1 피반송재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 1 피반송재 배출부를 향해 상기 제 1 피반송재를 반송하고, 상기 제 2 피반송재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 2 피반송재 배출부를 향해 상기 제 2 피반송재를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의 상기 제 1 피반송재 및 상기 제 2 피반송재의 공통의 반송로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반송부가 반송한 상기 제 1 피반송재 및 상기 제 2 피반송재를 상기 제 1 피반송재 배출부 또는 상기 제 2 피반송재 배출부로 배출 가능한 배출 부재와,
    상기 피반송재의 종류에 의거해서, 상기 반송부에 의해 상기 제 1 피반송재가 반송되는 피반송 위치에 상기 제 1 피반송재 수용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와,
    상기 피반송재의 종류에 의거해서, 상기 배출 부재의 배출처를 상기 제 2 피반송재 배출부로부터 상기 제 1 피반송재 배출부로 전환하는 배출처 전환 부재를 구비하는 반송 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반송재 수용부, 상기 제 2 피반송재 수용부, 상기 제 1 피반송재 배출부 및 상기 제 2 피반송재 배출부가 상기 반송부에 대한 일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피반송재의 종류에 의거해서, 상기 제 1 피반송재가 상기 제 2 피반송재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서 반환되도록, 상기 반송부의 반송 경로를 전환하는 반송 경로 전환 부재를 구비하는 반송 기구.
  7. 상기 제 1 피반송재로서의 원고를 반송하고, 상기 제 2 피반송재로서의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송 기구와,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부와,
    상기 화상 판독부가 판독한 화상에 의거해서,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1 피반송재가 수용되고, 그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피반송재 수용부와,
    제 2 피반송재가 수용되는 제 2 피반송재 수용부와,
    상기 제 1 피반송재가 배출되는 제 1 피반송재 배출부와,
    상기 제 2 피반송재가 배출되는 제 2 피반송재 배출부와,
    상기 제 1 피반송재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 1 피반송재 배출부를 향해 상기 제 1 피반송재를 반송하고, 상기 제 2 피반송재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 2 피반송재 배출부를 향해 상기 제 2 피반송재를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반송부의 상기 제 1 피반송재 및 상기 제 2 피반송재의 공통의 반송로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반송부가 반송한 상기 제 1 피반송재 및 상기 제 2 피반송재를 상기 제 1 피반송재 배출부 또는 상기 제 2 피반송재 배출부로 배출 가능한 배출 부재와,
    상기 반송부에 의한 상기 제 1 피반송재의 반송이 가능한 제 1 위치와, 상기 반송부에 의한 상기 제 1 피반송재의 반송이 불가능한 제 2 위치 사이를, 상기 제 1 피반송재 수용부를 이동하는 이동 기구와,
    상기 배출 부재에 의한 상기 제 1 피반송재 및 제 2 피반송재의 배출처를 상기 제 1 피반송재 배출부 또는 상기 제 2 피반송재 배출부로 전환하는 배출처 전환 부재를 구비하는 반송 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제 1 피반송재 수용부의 위치에 따라, 제 1 피반송재 수용부 내의 제 1 피반송재 또는 제 2 피반송재 수용부 내의 제 2 피반송재를 상기 공통 반송로로 선택적으로 송출 가능한 송출 부재를 구비하는 반송 기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제 1 피반송재 수용부 내의 제 1 피반송재의 유무에 따라, 상기 피반송재 수용부를 상기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반송 기구.
  11.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피반송재 수용부 내의 제 1 피반송재의 유무에 따라, 상기 제 1 피반송재의 경로를 상기 제 2 피반송재의 경로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서 반환하도록, 상기 반송부의 반송 경로를 전환하는 반송 경로 전환 부재를 더 구비하는 반송 기구.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처 전환 부재는, 제 1 피반송재 수용부 내의 제 1 피반송재의 유무에 따라, 상기 제 1 피반송재 및 제 2 피반송재의 배출처를 전환하는 반송 기구.
  13.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피반송재 수용부의 제 1 또는 제 2 위치에 따라, 상기 제 1 피반송재의 경로를 상기 제 2 피반송재의 경로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서 반환하도록, 상기 반송부의 반송 경로를 전환하는 반송 경로 전환 부재를 더 구비하는 반송 기구.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처 전환 부재는, 제 1 피반송재 수용부의 제 1 또는 제 2 위치에 따라, 상기 제 1 피반송재 및 제 2 피반송재의 배출처를 전환하는 반송 기구.
KR1020100021647A 2009-07-14 2010-03-11 반송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2805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65665A JP5568909B2 (ja) 2009-07-14 2009-07-14 搬送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9-165665 2009-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583A KR20110006583A (ko) 2011-01-20
KR101280514B1 true KR101280514B1 (ko) 2013-07-01

Family

ID=43465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647A KR101280514B1 (ko) 2009-07-14 2010-03-11 반송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14848B2 (ko)
JP (1) JP5568909B2 (ko)
KR (1) KR101280514B1 (ko)
CN (1) CN1019550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66812B (zh) * 2012-07-20 2015-01-01 Primax Electronics Ltd 雙面饋紙裝置
US9139392B2 (en) * 2013-10-02 2015-09-22 Seiko Epson Corporation Medium transporting device and recording apparatus
JP6738188B2 (ja) * 2016-04-21 2020-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CN111183104B (zh) * 2017-10-05 2022-07-29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自动送稿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7413A (ja) * 1994-03-25 1995-10-17 Nec Corp 電子写真式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2351A (ja) * 1987-04-17 1988-10-28 Fujitsu Ltd 自動給紙機構
JPH06303373A (ja) * 1993-04-14 1994-10-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キャナプリンタ
JPH07143279A (ja) * 1993-11-19 1995-06-02 Ricoh Co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7330182A (ja) * 1994-06-13 1995-1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合プリンタ
US5567068A (en) * 1994-06-30 1996-10-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function printer
JPH08268620A (ja) 1995-03-30 1996-10-15 Shinko Seisakusho Co Ltd 紙葉類の搬送方向切替装置
US5790279A (en) * 1995-09-13 1998-08-04 Sakellaropoulos; Spiro Combined scanner, printer and facsimile apparatus
JPH1035049A (ja) 1996-07-25 1998-02-10 Brother Ind Ltd 情報記録装置
JPH11187194A (ja) * 1997-12-24 1999-07-09 Murata Mach Ltd 画像処理装置
TW200533523A (en) * 2004-04-08 2005-10-16 Avision Inc Multi-function peripheral with a single sheet-feeding mechanism
JP2006016201A (ja) * 2004-07-05 2006-01-19 Ricoh Co Ltd スキャナ機能およびプリンタ機能を備えたシートフィーダタイプの画像処理装置
US7403739B2 (en) * 2004-10-15 2008-07-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ing device
JP2008063086A (ja) * 2006-09-07 2008-03-21 Seiko Epson Corp 給紙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記録装置
KR101116614B1 (ko) * 2007-03-19 201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독취방법
US20090074490A1 (en) * 2007-09-14 2009-03-19 Kabushiki Kaisha Toshiba Automatic scanning apparatus
TWI334828B (en) * 2008-01-31 2010-12-21 Kinpo Elect Inc A method for commonly using scanning/printing path of a multifunction office machine and a device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7413A (ja) * 1994-03-25 1995-10-17 Nec Corp 電子写真式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583A (ko) 2011-01-20
US8714848B2 (en) 2014-05-06
JP2011020767A (ja) 2011-02-03
US20110013961A1 (en) 2011-01-20
JP5568909B2 (ja) 2014-08-13
CN101955073B (zh) 2014-09-03
CN101955073A (zh) 201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3886B2 (ja) 両面記録装置
CN101301823B (zh) 记录装置
JP4935564B2 (ja) 画像記録装置
JP4835532B2 (ja) 画像記録装置
KR101280514B1 (ko) 반송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08247495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両面記録装置
JP7491331B2 (ja) 媒体搬送装置、記録装置
JP4260059B2 (ja) 画像形成装置
US6045127A (en) Ejected paper sorting device and its use in image recording apparatus
JP4618309B2 (ja) 画像形成装置
JP481680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27159A (ja) 画像形成装置
KR100532908B1 (ko) 화상 판독 및 기록 장치
JP5370012B2 (ja) 画像記録装置
JP4779751B2 (ja) 画像記録装置
TWI674234B (zh) 媒體排出裝置、記錄裝置
JP7171242B2 (ja) 画像記録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701785B2 (ja) 画像記録装置
JP6759747B2 (ja) 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1057354A (ja) 記録媒体搬送装置
JP5472016B2 (ja) 画像記録装置
JP2005219903A (ja) 被記録媒体給送装置、記録装置、液体噴射装置
JP200415502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6246169A (ja) 画像読取記録装置
JP2006211354A (ja) 画像読取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