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839B1 -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839B1
KR101273839B1 KR1020127026241A KR20127026241A KR101273839B1 KR 101273839 B1 KR101273839 B1 KR 101273839B1 KR 1020127026241 A KR1020127026241 A KR 1020127026241A KR 20127026241 A KR20127026241 A KR 20127026241A KR 101273839 B1 KR101273839 B1 KR 101273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
seal
elevat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6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7002A (ko
Inventor
전필웅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7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슈(3)가 각기 설치된 승강장문(1)과, 상기 슈(3)가 안내되는 홈이 형성된 씰(2)이 구비된 것이며, 상기 승강장문(1)의 하부 측면에는 선단에 "┘"자 형상의 걸림턱(160)을 갖는 제 9브라켓(16)이 설치되고, 상기 제 9브라켓(16)의 걸림턱(17)이 걸리도록 씰(2)의 측면에는 홈(170)이 형성된 걸림브라켓(17)이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승강장문(1)이 닫히면 상기 제 9브라켓(16)의 걸림턱(160)이 걸림브라켓(17)의 홈(170)에 삽입되어 걸림상태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ELEVATOR HOISTWAY DOOR SEPARATION PREVENTIVE STRUCTUR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닫힌 상태의 도어 결합력을 증강시켜 외력에 의해 승장 도어의 개방 및 이로 인한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장도어는 엘리베이터의 어느 부분보다 사람의 직접적인 접촉이 가능한 장소에 설치되어 있으며, 승객의 장난 및 비정상적인 사고에 노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엘리베이터는 승장에 승강장문(LD,RD)가 설치되고, 승강장문(LD,RD)는 상부는 연결판(400)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승강장문(LD,RD)의 하부에는 슈(100)가 형성되고, 상기 슈(100)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하는 씰(200)이 승장 하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승장도어장치의 구동에 의해 승강장문(LD,RD)의 개폐시 연결판(400)의 작동과 슈(100)와 씰(200)의 가이드작동에 의해 개폐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연결판(400)은 승장도어장치 내에서 서로 와이어(300) 등으로 연결되어 한쪽 도어(LD)를 이동시키면 다른 쪽 도어(RD)가 연결된 와이어(300)로 힘을 전달받아서 열리거나 닫히는 구조 또는 각각의 연결판이 각각 구동되어 동작하는 구조이며, 닫힘시에 상부에는 도어 연결판(400)으로 고정되고 이 도어 연결판(400)이 와이어(300)로 연결되어 있지만 좌우 움직임에 대해서만 서로 연동할 뿐, 한쪽 도어(LD) 하단 전면에 충격을 가했을 경우 이러한 미는 힘과 들리는 힘에 지탱해 주는 강성 또는 질량에 대해서는 다른쪽 도어(RD)는 서로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장문(LD,RD)에 부득이한 사고로 인하여 비정상적인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화살표 표시)에 충격 받은 도어가 충분한 강성을 가지고 있지 못한 경우에는 휨이 크게 발생하며, 하부의 가이드 역할을 해주는 슈(100)가 씰(200)에서 이탈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장문(LD,RD)에 부득이한 사고로 인하여 비정상적인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화살표 표시)에 충격 받은 도어가 충분한 강성을 가지고 있지 못한 경우에는 휨이 크게 발생하며, 하부의 가이드 역할을 해주는 슈(100)가 씰(200)의 홈(210)에서 이탈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어, 씰 또는 문틀의 측면에 추가로 부착물을 설치하여, 승강장문에 휨이 발생하면서 슈가 씰의 홈에서 이탈되려고 할 때 또는 도어가 뒤로 밀리려고 할 때, 추가로 설치된 부착물에 의하여 도어가 씰 또는 문틀과의 걸림이 발생하도록 하여, 이탈을 억제 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문틀에 배치되는 승강장문의 일측단에 제 1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제 1브라켓에 대응되도록 상기 문틀의 일측단에 제 2브라켓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 1브라켓의 단부는 문틀을 향해 절곡되어 제 1걸쇠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브라켓의 단부에는 상기 제 1걸쇠와 대향되게 절곡되어 제 2걸쇠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승강장문가 닫힐때 상기 제 1 및 제 2걸쇠가 상호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 1걸쇠에는 상기 제 1걸쇠가 삽입되는 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문틀에 배치되는 승강장문의 일측단에 제 3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제 3브라켓의 단부는 문틀을 향해 절곡된 제 3걸쇠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문틀에는 제 3걸쇠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승강장문가 닫힐때 상기 제 3걸쇠가 홈에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문틀에 배치되는 승강장문의 일측단에 제 4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제 4브라켓 보다 상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문틀의 일측단에 제 5브라켓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 4브라켓의 선단에는 상기 제 5브라켓의 하단에 위치되는 일정 길이의 돌출편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에 슈가 각기 설치된 승강장문와, 상기 슈가 안내되는 홈이 형성된 씰이 구비된 것이며, 상기 승강장문의 하부 측면에는 선단에 절곡부를 갖는 제 6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제 6브라켓의 절곡부가 걸리도록 씰의 측면에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절곡부는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때 "U"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에 슈가 각기 설치된 승강장문와, 상기 슈가 안내되는 홈이 형성된 씰이 구비된 것이며, 상기 승강장문의 하부 측면에는 선단에 절곡부를 갖는 제 7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제 7브라켓의 절곡부가 걸리도록 씰의 측면에 장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절곡부는 측면에서 보았을때 "⊃"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에 슈가 각기 설치된 승강장문와, 상기 슈가 안내되는 홈이 형성된 씰이 구비된 것이며, 상기 씰의 하부에는 상기 승강장문의 하부 외면에 지지되는 선단부를 갖는 제 8브라켓이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 8브라켓은 씰의 하부면에 볼트로 결합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 이어지며 씰의 측면에 접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선단에 절곡형성된 선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한 충격이나 힘이 승강장문에 가해질지라도 승강장문의 이탈을 방해하는 부착물을 SILL에 적용함으로써, 승강기의 사용자 또는 거주자가 승강로에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의 이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제 1실시예에 대한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제 5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제 6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제 7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제 7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제 7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제 8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제 8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제 8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A1)는, 문틀(4)에 배치되는 승강장문(1)의 일측단에 제 1브라켓(5)이 형성되고, 상기 제 1브라켓(5)에 대응되도록 상기 문틀(4)의 일측단에 제 2브라켓(6)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 1브라켓(5)의 단부는 문틀(4)을 향해 절곡되어 제 1걸쇠(51)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브라켓(6)의 단부에는 상기 제 1걸쇠(51)와 대향되게 절곡되어 제 2걸쇠(6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승강장문(1)가 닫힐때 상기 제 1 및 제 2걸쇠(51,62)가 상호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충격으로 승강장문(1)에 휨 및 밀림이 발생하려 할 때, 승강장문(1)과 문틀(4) 측면에 부착된 제 1 및 제 2브라켓(5,6) 간의 걸림에 의해 승강장문(1)의 휨 및 밀림을 억제하여 슈(3)가 씰(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제 1실시예에 대한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에 대한 변형 실시예(A1')는, 문틀(4)에 배치되는 승강장문(1)의 일측단에 제 1브라켓(5)이 형성되고, 상기 제 1브라켓(5)에 대응되도록 상기 문틀(4)의 일측단에 제 2브라켓(6)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 1브라켓(5)의 단부는 문틀(4)을 향해 절곡되어 제 1걸쇠(51)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브라켓(6)의 단부에는 상기 제 1걸쇠(51)와 대향되게 절곡되어 제 2걸쇠(62)가 형성되고, 상기 제 2걸쇠(62)에는 상기 제 1걸쇠(51)가 삽입되는 홈(80)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충격으로 승강장문(1)에 휨 및 밀림이 발생하려 할 때, 승강장문(1)과 문틀(4) 측면에 부착된 제 2브라켓(6) 간의 걸림에 의해 승강장문(1)의 휨과 밀림 및 상승을 억제하여 슈(3)가 씰(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A2)는, 문틀(4)에 배치되는 승강장문(1)의 일측단에 제 3브라켓(9)이 형성되고, 상기 제 3브라켓(9)의 단부는 문틀(4)을 향해 절곡된 제 3걸쇠(93)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문틀(4)에는 제 3걸쇠(93)가 삽입되는 홈(4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문(1)이 닫힐때 상기 제 3걸쇠(93)가 홈(40)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충격으로 승강장문(1)에 휨 및 밀림이 발생하려 할 때, 승강장문(1) 측면에 설치된 제 3걸쇠(93)와 문틀(4) 측면 홈(40) 간의 걸림에 의해 승강장문(1)의 휨과 밀림 및 상승을 억제하여 슈(3)가 씰(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A3)는, 문틀(4)에 배치되는 승강장문(1)의 일측단에 제 4브라켓(10)이 형성되고, 상기 제 4브라켓(10) 보다 상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문틀(4)의 일측단에 제 5브라켓(11)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 4브라켓(10)의 선단에는 상기 제 5브라켓(11)의 하단에 위치되는 일정 길이의 돌출편(10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충격으로 승강장문(1)에 휨이 발생하여 승강장문(1) 하단의 슈(3)가 씰(2)에서 위로 이탈되려 할 때, 승강장문(1)과 문틀(4)의 측면에 설치된 제 4브라켓(10)과 제 5브라켓(11) 간의 걸림에 의해 승강장문(1)의 상승을 억제하여 슈(3)가 씰(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A4)는, 하부에 슈(3)가 각기 설치된 승강장문(1)과, 상기 슈(3)가 안내되는 홈이 형성된 씰(2)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부 문틀(20)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승강장문(1)의 하부 측면에는 선단에 절곡부(122)를 갖는 제 6브라켓(12)이 설치되고, 상기 제 6브라켓(12)의 절곡부(122)가 걸리도록 상기 씰(2)의 측면에 플레이트(13)가 설치된다.
상기 절곡부(122)는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때 "U" 형태이다.
또한, 상기 상부 문틀(20)에는 하방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승강장문(1)의 상부 외면을 지지하는 제 6-1브라켓(30)이 설치된다.
상기 제 6-1브라켓(30)은, 상기 상부 문틀(20)의 외면에 볼트로 결합되며 하단이 절곡되어 승강장문(1)의 외면에 접촉되는 선단부(33)로 구성된다.
따라서, 충격으로 승강장문(1)에 휨 및 밀림이 발생하려 할 때, 승강장문(1) 측면에 설치된 제 6브라켓(12)과 씰(2) 측면의 플레이트(13) 간의 걸림작용과, 상기 제 6-1브라켓(30)의 선단부(33)가 승강장문(1)의 상면에 지지됨에 의해 승강장문(1)의 밀림을 억제하여 슈(3)가 씰(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제 5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A5)는, 하부에 슈(3)가 각기 설치된 승강장문(1)과, 상기 슈(3)가 안내되는 홈이 형성된 씰(2)이 구비된 것이며, 상기 승강장문(1)의 하부 측면에는 선단에 절곡부(142)를 갖는 제 7브라켓(14)이 설치되고, 상기 제 7브라켓(14)의 절곡부(142)가 걸리도록 씰(2)의 측면에 장홈(28)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절곡부(142)는 측면에서 보았을때 "⊃" 형상이다.
따라서, 충격으로 승강장문(1)에 휨 및 밀림이 발생 할 때, 승강장문(1) 측면에 설치된 제 7브라켓(14)과 씰(2) 측면의 장홈(28) 간의 걸림에 의해 승강장문(1)의 밀림 및 상승을 억제하여 슈(3)가 씰(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제 6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실시예(A6)는, 하부에 슈(3)가 각기 설치된 승강장문(1)과, 상기 슈(3)가 안내되는 홈이 형성된 씰(2)이 구비된 것이며, 상기 씰(2)의 하부에는 상기 승강장문(1)의 하부 외면에 지지되는 선단부(154)를 갖는 제 8브라켓(15)이 부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 8브라켓(15)은 씰(2)의 하부면에 볼트로 결합되는 수평부(152)와, 상기 수평부(152)에 이어지며 씰(2)의 측면에 접하는 수직부(153)와, 상기 수직부(153)의 선단에 절곡형성된 선단부(154)로 구성된다.
따라서, 충격으로 승강장문(1)에 밀림이 발생하려 할 때, 씰(2) 측면에 설치된 제 8브라켓(15)과 승강장문(1)의 걸림에 의하여 슈(3)가 씰(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제 7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제 7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제 7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7실시예(A7)는, 하부에 슈(3)가 각기 설치된 승강장문(1)과, 상기 슈(3)가 안내되는 홈이 형성된 씰(2)이 구비된 것이며, 상기 승강장문(1)의 하부 측면에는 선단에 "┘"자 형상의 걸림턱(160)을 갖는 제 9브라켓(16)이 설치되고, 상기 제 9브라켓(16)의 걸림턱(17)이 걸리도록 씰(2)의 측면에는 홈(170)이 형성된 걸림브라켓(17)이 부착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승강장문(1)이 닫히면 상기 제 9브라켓(16)의 걸림턱(160)이 걸림브라켓(17)의 홈(170)에 삽입됨으로써 걸림상태가 된다.
첨부된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제 8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제 8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제 8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8실시예(A8)는, 승강장문(1)과, 상기 승강장문(1)을 안내하는 상부 문틀(20)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승강장문(1)의 상부 측면에는 선단에 단턱부(191)를 갖는 제 11걸림브라켓(19)이 설치되고, 상기 제 11걸림브라켓(19)과 걸리도록 "┏"자 형태로 절곡되어 선단에 수직단부(212)가 형성된 제 10브라켓(21)이 상기 상부 문틀(20)에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승강장문(1)이 닫히면 상기 제 11걸림브라켓(19)의 상단에 형성된 단턱부(191)가 상기 제 10브라켓(21)의 수직단부(212)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걸림상태가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승강장문 2 : 씰
3 : 슈 4 : 문틀
5 : 제 1브라켓 6 : 제 2브라켓
9 : 제 3브라켓 10 : 제 4브라켓
11 : 제 5브라켓 12 : 제 6브라켓
13 : 플레이트 14 :제 7브라켓
15 : 제 8브라켓 16 : 제 9브라켓
17 : 걸림브라켓 19 : 제 11브라켓
21 : 제 10브라켓

Claims (1)

  1. 하부에 슈(3)가 각기 설치된 승강장문(1)과, 상기 슈(3)가 안내되는 홈이 형성된 씰(2)이 구비된 것이며,
    상기 승강장문(1)의 하부 측면에는 선단에 "┘"자 형상으로 절곡된 걸림턱(160)을 갖는 제 9브라켓(16)이 설치되고,
    상기 제 9브라켓(16)의 걸림턱(160)이 걸리도록 씰(2)의 측면에는 홈(170)이 형성된 걸림브라켓(17)이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승강장문(1)이 닫히면 상기 제 9브라켓(16)의 걸림턱(160)이 걸림브라켓(17)의 홈(170)에 삽입되어 걸림상태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
KR1020127026241A 2008-04-18 2009-04-20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101273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954 2008-04-18
KR20080035954 2008-04-18
PCT/KR2009/002044 WO2009128688A2 (ko) 2008-04-18 2009-04-20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5633A Division KR20110009677A (ko) 2008-04-18 2009-04-20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002A KR20120117002A (ko) 2012-10-23
KR101273839B1 true KR101273839B1 (ko) 2013-06-11

Family

ID=4119960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6239A KR101231280B1 (ko) 2008-04-18 2009-04-20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1020127026241A KR101273839B1 (ko) 2008-04-18 2009-04-20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1020107025633A KR20110009677A (ko) 2008-04-18 2009-04-20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1020127026240A KR101231391B1 (ko) 2008-04-18 2009-04-20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6239A KR101231280B1 (ko) 2008-04-18 2009-04-20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5633A KR20110009677A (ko) 2008-04-18 2009-04-20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1020127026240A KR101231391B1 (ko) 2008-04-18 2009-04-20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269935B1 (ko)
JP (2) JP2011516368A (ko)
KR (4) KR101231280B1 (ko)
CN (1) CN102007064B (ko)
WO (1) WO200912868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777Y1 (ko) 2015-05-14 2016-11-09 주식회사 스타리프트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 무빙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95871B1 (it) 2009-10-09 2012-10-26 Wittur Spa Dispositivo antideragliamento per ante di porte di ascensori o elevatori
KR101984312B1 (ko) * 2012-12-20 2019-09-03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보조 안전장치가 더 부설된 공작기계의 개폐도어
CN103171955A (zh) * 2013-04-08 2013-06-26 沈阳博林特电梯股份有限公司 电梯层门组合挂接防脱装置
CN103482457A (zh) * 2013-09-26 2014-01-01 四川科莱电梯有限责任公司 一种电梯层门防撞装置
KR101617209B1 (ko) * 2015-08-12 2016-05-02 (주)서울승강기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용 이탈방지장치
ITUB20155634A1 (it) * 2015-11-17 2017-05-17 Sematic S P A Assieme di guida e pattino
KR101810404B1 (ko) * 2016-06-24 2017-12-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
JP6528925B1 (ja) * 2017-09-19 2019-06-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戸装置
CN109956389A (zh) * 2017-12-14 2019-07-02 丹阳市延陵镇弘理木材厂 一种电梯轿厢地坎装置
CN109850733A (zh) * 2019-02-17 2019-06-07 杭州辛辰科技有限公司 一种带移动封板的防尘地坎组件
JP6721132B1 (ja) * 2019-03-28 2020-07-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6956923B2 (ja) * 2019-06-24 2021-11-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
KR102424529B1 (ko) 2022-03-21 2022-07-25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0391A (ja) * 1992-05-11 1993-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出入口扉下端部の支持機構
JP2003012258A (ja) 2001-07-05 2003-01-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乗場の引き戸装置
KR100754284B1 (ko) 2007-05-04 2007-09-03 이영길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이탈 방지장치
KR20080113860A (ko) * 2007-06-26 2008-12-31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도어 이탈방지용 브라켓이 장착된 엘리베이터의 도어실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557B2 (ja) * 1978-04-05 1985-04-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の乗場出入口装置
JPH0312150Y2 (ko) * 1985-10-23 1991-03-22
JPH02282182A (ja) * 1989-04-21 1990-11-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引き戸装置
JP2585466B2 (ja) * 1990-11-28 1997-02-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乗場出入口装置
JP2729181B2 (ja) * 1993-04-16 1998-03-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H08143250A (ja) * 1994-11-18 1996-06-04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
JP3816215B2 (ja) * 1997-10-28 2006-08-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02104758A (ja) * 2000-09-29 2002-04-10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乗場のドア装置
JP4825377B2 (ja) * 2001-09-17 2011-11-3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JP4280605B2 (ja) * 2003-11-06 2009-06-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防犯用引き戸構造
KR20060084156A (ko) * 2005-01-19 2006-07-24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장도어 조립체
KR101451293B1 (ko) 2006-10-20 2014-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조도 조절 방법과 백라이트 조도 조절 회로 및백라이트 조도 조절 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0742315B1 (ko) * 2007-01-25 2007-07-24 (주)두성엔티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0391A (ja) * 1992-05-11 1993-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出入口扉下端部の支持機構
JP2003012258A (ja) 2001-07-05 2003-01-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乗場の引き戸装置
KR100754284B1 (ko) 2007-05-04 2007-09-03 이영길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이탈 방지장치
KR20080113860A (ko) * 2007-06-26 2008-12-31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도어 이탈방지용 브라켓이 장착된 엘리베이터의 도어실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777Y1 (ko) 2015-05-14 2016-11-09 주식회사 스타리프트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 무빙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69935B1 (en) 2017-08-16
KR20120118084A (ko) 2012-10-25
KR101231391B1 (ko) 2013-02-07
JP2013047146A (ja) 2013-03-07
JP2011516368A (ja) 2011-05-26
EP2269935A4 (en) 2015-03-18
CN102007064B (zh) 2014-03-26
KR101231280B1 (ko) 2013-02-07
KR20120118085A (ko) 2012-10-25
KR20120117002A (ko) 2012-10-23
WO2009128688A2 (ko) 2009-10-22
JP5620455B2 (ja) 2014-11-05
KR20110009677A (ko) 2011-01-28
EP2269935A2 (en) 2011-01-05
WO2009128688A3 (ko) 2010-02-18
CN102007064A (zh)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3839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100956924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100899955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101062083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 및 이물질 끼임방지구조
JP5028378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30003972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090110445A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100943458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구조
KR101784701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장치
KR200457792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0995018B1 (ko)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잠금장치 및 스크린 도어장치
KR101009872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장치
KR20080084104A (ko) 도어가이드슈 이탈방지용 도어실 구조
JP6528925B1 (ja) エレベータの戸装置
KR102424529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
JP2015168493A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KR20110046898A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용 이탈방지장치
JP5344428B2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KR20100084243A (ko) 엘리베이터용 도어 장치
KR20100021295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 방지 장치
JP6229944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KR20090114640A (ko) 대규모 충돌로 인한 도어의 탄성변화시에도 도어의 이탈로인한 사람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이탈방지장치
KR20110033642A (ko) 이탈방지용 래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승강장 도어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