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404B1 -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404B1
KR101810404B1 KR1020160079385A KR20160079385A KR101810404B1 KR 101810404 B1 KR101810404 B1 KR 101810404B1 KR 1020160079385 A KR1020160079385 A KR 1020160079385A KR 20160079385 A KR20160079385 A KR 20160079385A KR 101810404 B1 KR101810404 B1 KR 101810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elevator door
slot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영철
황윤용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주) 삼성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주) 삼성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79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 카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좌우로 개폐되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지지하고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폭 방향으로 고정되며 가이드고정홈, 하부고정홈 및 측면고정홈이 이격되게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고정홈에는 하방으로 개구된 가이드설치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고정홈의 하부에는 수직체결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고정홈은 측방으로 개구된 수평체결슬롯이 형성된 설치플레이트; 상기 가이드설치슬롯에 이격되게 결합된 다수의 레일설치유닛; 상기 레일설치유닛에 고정된 봉 형상의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되게 설치된 가이드부재; 및 일측은 상기 가이드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이 엘리베이터 도어에 결합된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엘리베이터 도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를 안내하되, 가이드 수단측으로 이물질이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A lower guide device of elevator door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 카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좌우로 개폐되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지지하고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를 안내하되, 가이드 수단측으로 이물질이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사람이나 화물을 실어나르는 장치로서, 보통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도어는 이용자를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카에서 열리고 닫히는 카 도어와 승강장에서 열리고 닫히는 승강장 도어로 구성되고, 엘리베이터 카가 특정 층에 도달하면 카 도어가 개폐되며, 승강장 도어는 카 도어에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엘리베이터의 도어는 일반적으로 좌·우로 슬라이딩 되면서 개폐되도록 구성되는데, 엘리베이터 도어가 슬라이딩되는 궤도를 벗어나지 않고 안전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30)의 상부에 행거롤러부(40)가 고정되어 승강장(10)의 출입구 상단에 고정된 행거플레이트(50)의 돌출레일(51)에 결합되고,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에는 도어 슈(25)가 고정되어 바닥에 고정된 안내플레이트(20)의 가이드홈(21)에 삽입되어 도어가 개폐되는 궤도를 안내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엘리베이터 도어의 상부가 매달린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에 설치된 도어 슈와 같은 가이드부재가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좌우로 개폐되는 것이 엘리베이터 도어의 일반적인 구조이며,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 슈(25)가 엘리베이터 도어(30)의 개폐동작시 가이드홈(21) 내를 왕복 이동하면서 엘리베이터 도어(30)가 엘리베이터 통로쪽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지지하므로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도어(30)에 기대거나 압력을 가하더라도 엘리베이터 도어(30)가 엘리베이터 통로측으로 밀려 이탈되지 않으므로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통로 바닥으로 추락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사람들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신발에 묻은 흙이나 모래, 크기가 작은 소지품이나 장신구 또는 장난감 부품 등이 가이드홈 내부에 삽입되어 점점 쌓이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홈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엘리베이터 도어가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마찰과 소음이 발생하게 되며, 엘리베이터 도어가 개폐되면서 가이드홈에 쌓인 이물질들이 가이드홈의 중앙 부분으로 모이면서 엘리베이터 도어가 닫히지 않거나 고장이 발생하므로, 관리자가 가이드홈 내부를 수시로 청소를 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이드홈(21)은 입구가 협소하고, 내측으로 확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물질이 가이드홈(21)의 입구로는 잘 빠지지 않기 때문에 가이드홈(21)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도어 슈(25)를 가이드홈(21)에서 분리해야 하는 일이 발생되어 관리자가 내부를 청소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가 제안되었으며, 그 일례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7532호에 개시된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홈의 이물질 인입 방지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30)의 하부에 결합된 도어 슈(25)가 안내플레이트(20)의 가이드홈(21)에 삽입되되, 가이드홈(21)의 개구부에 브러쉬 고정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브러쉬 고정부에 결합된 한 쌍의 브러쉬(23) 사이로 엘리베이터 도어(30)가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가이드홈(21)의 입구가 윗 방향을 향하고 있어 이물질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는 없을 뿐 아니라, 브러쉬에 막힌 이물질들이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 과정에서 가이드홈에 그대로 낙하되어 쌓이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일례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2083호에 개시된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 및 이물질 끼임방지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30)의 하부 양측에 각각 도어 슈(25)가 고정되어 안내 역할을 하고, 상기 도어 슈(25) 사이에 걸림브라켓(26)이 고정되어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기술 또한, 안내플레이트(20)에 형성된 가이드홈(21)의 개구가 위쪽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형태이며, 이를 차단하기 위해 걸림브라켓(26)에 중간절곡부(27)가 형성되어 있긴 하나, 중간절곡부(27)와 가이드홈(21)의 입구 사이에 틈이 존재하여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중간절곡부의 두께를 키운다 하더라도 틈을 완전히 메우지 못하고, 오히려 걸림브라켓(26)과 안내플레이트(2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과 소음만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위 종래기술 모두 안내플레이트(20)의 가이드홈(21)이 노출되어 있어 사람들이 엘리베이터에 출입하는 도중 가이드홈(21)에 발이 걸리거나 가이드홈(21)에 쌓인 이물질이 드러나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753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2083호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를 안내할 수 있게 엘리베이터 도어에 설치되되, 가이드 수단으로 이물질이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이드 수단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과 소음을 줄이는 것을 주요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폭 방향으로 고정되며 가이드고정홈, 하부고정홈 및 측면고정홈이 이격되게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고정홈에는 하방으로 개구된 가이드설치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고정홈의 하부에는 수직체결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고정홈은 측방으로 개구된 수평체결슬롯이 형성된 설치플레이트; 상기 가이드설치슬롯에 이격되게 결합된 다수의 레일설치유닛; 상기 레일설치유닛에 고정된 봉 형상의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되게 설치된 가이드부재; 및 일측은 상기 가이드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이 엘리베이터 도어에 결합된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설치유닛은 상기 가이드설치슬롯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가이드레일이 관통되어 설치되도록 형성된 레일설치구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레일설치구에 결합된 레일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설치슬롯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가이드설치슬롯에 설치된 체결볼트와, 상기 가이드설치슬롯에 상기 체결볼트가 고정되도록 체결된 체결너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플레이트는 승강로 방향의 일측이 내측으로 인입된 구조의 인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측면을 타고 흐르는 액체가 상기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측면을 따라 구름접촉하도록 결합된 마찰저감롤러를 더 포함하여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시 발생되는 마찰과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결합을 매개하는 힌지결합수단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는 가이드 수단이 설치플레이트의 하방으로 설치되고, 설치플레이트의 상부에 엘리베이터 도어가 놓이게 되어 가이드 수단으로 이물질이 직접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가이드에 유입된 이물질의 누적에 따른 고장없이 엘리베이터 도어가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자가 수시로 가이드 수단을 청소할 필요가 없게 되으므로 엘리베이터의 관리작업이 용이하며, 가이드 수단이 은폐된 구조로 형성되므로 승강장 바닥의 미관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마찰저감용 롤러가 결합된 구성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과 소음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으며, 액체가 바닥에 떨어져 설치플레이트 측으로 흐르더라도 설치플레이트의 단부가 내측으로 인입된 구조에 의해 가이드 수단으로 액체가 유입되지 않고 아래로 떨어지게 되어 가이드 수단이 청결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도어의 상하부 결합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7532호의 측단면도.
도 3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2083호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승강로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의 측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의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의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승강장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은 명확한 이해를 위해 승강장에 설치된 도어를 기준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되는 도어까지 포함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100); 고정플레이트(100)에 고정되며, 가이드고정홈(210), 하부고정홈(220) 및 측면고정홈(230)이 형성된 설치플레이트(200); 가이드고정홈(210)에 구비된 가이드설치슬롯(211)에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레일설치유닛(300); 레일설치유닛(300)에 고정된 봉 형상의 가이드레일(400); 가이드레일(400)을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설치된 가이드부재(500); 및 일측이 가이드부재(500)에 결합되고, 타측이 엘리베이터 도어(30)에 결합된 지지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플레이트(100)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구성들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두께와 크기로 형성되어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 카 바닥에 설치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플레이트(100)의 경우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 바닥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설치되었으나, 다른 설치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설치플레이트(200)는 고정플레이트(100)에 폭 방향으로 고정되며 가이드고정홈(210), 하부고정홈(220) 및 측면고정홈(230)이 이격되게 형성된 구성이다. 이때, 설체플레이트의 가이드고정홈(210)에는 하방으로 개구된 가이드설치슬롯(211)이 구비되고, 하부고정홈(220)의 하부에는 수직체결슬롯(221)이 형성되며, 측면고정홈(230)은 측방으로 개구된 수평체결슬롯(231)이 형성된다. 이때, 설치플레이트(200)의 너비와 두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행거플레이트(50)의 위치 및 상기한 고정플레이트(100)의 크기에 따라 형성되되, 재질은 강도가 우수하고 부식에 강한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치플레이트(20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승강장 바닥의 단부에는 보강부재를 포함한 받침프레임(70)이 앵커볼트로 고정되고, 설치플레이트(200)의 고정은 측면고정홈(230)에 삽입된 볼트가 수평체결슬롯(231)을 통해 고정플레이트(100)에 체결되며, 하부고정홈(220)에 삽입된 볼트가 수직체결슬롯(221)을 통해 받침프레임(70)에 체결될 수 있으며,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서로 더 견고하게 결합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비나 눈이 오거나, 승강장 물청소를 할 경우 등에는 승강장 바닥에 액체가 고여 이물질과 함께 설치플레이트 측으로 흐를 수 있는데 설치플레이트(200)는 승강로(1) 방향의 일측이 내측으로 인입된 구조의 인입부(250)가 형성되어 설치플레이트(200)의 측으로 흐른 액체가 아래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후술할 가이드 수단 측으로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레일설치유닛(300)은 후술할 가이드레일(400)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레일설치유닛(300)은 다수가 가이드설치슬롯(211)에 이격되게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레일설치유닛(300)은 가이드설치슬롯(211)에 체결되는 체결부재(310)와, 가이드레일(400)이 관통되어 설치되도록 형성된 레일설치구(320) 및 레일설치구(320)에 설치된 가이드레일(400)의 일측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레일설치구(320)에 구비된 레일고정수단(3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가이드설치슬롯(211)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가이드 수단의 설치 및 유지보수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부재(310)는 가이드설치슬롯(211)에 설치되는 체결볼트(311)와, 가이드설치슬롯(211)에 체결볼트(311)가 고정되도록 체결볼트(311)에 체결되어 조여주는 체결너트(3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체결너트(312)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체결너트(312)의 결합시 와셔 등이 더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체결볼트(311)의 단부는 레일설치구(320)와 볼트결합되고 결합부가 용접되어 체결부재와 레일설치구(320)의 결합이 보다 견고해지도록 할 수도 있다.
가이드레일(400)은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레일설치유닛(300)에 고정되며, 엘리베이터 도어가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가이드레일(400)은 다각형상의 봉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레일(400)은 엘리베이터 도어에 승강로 방향으로 미는 힘 등의 외력을 견딜 수 있는 크기와 강도를 가진 환봉으로 형성되었다.
가이드부재(500)는 가이드레일(400)을 따라 왕복 이동되게 설치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부재(500)는 가이드레일(400)에 끼워져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될 수 있게 형성되었으나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부재(500)의 슬라이딩 이동시 가이드부재(500)와 가이드레일(40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가이드레일(400)의 외부에는 윤활제층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지지부재(600)는 일측이 가이드부재(500)에 결합되고 타측이 엘리베이터 도어(30)에 결합된 구성으로, 엘리베이터 도어(30)와 가이드부재(500)를 연결하면서 엘리베이터 도어(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재(6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단면이 '
Figure 112016061320092-pat00001
'형상인 강판으로서 가이드부재(500)와 엘리베이터 도어(30)를 연결하며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되었으나, 지지부재(600)가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지지부재(600)는 가이드부재(500)에 일측이 결합된 가이드결합부재(610); 가이드결합부재(610)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되 타측이 엘리베이터 도어(3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된 연결부재(620); 및 연결부재(620)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엘리베이터 도어(3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받침부재(6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부재(620)가 엘리베이터 도어(30)의 하부와 결합되고, 받침부재(630)가 엘리베이터 도어(30)의 하단부에 결합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도어(30)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600)에는 승강로 측으로 유입되어 설치플레이트(200)를 타고 흐른 액체가 가이드부재(500)와 지지부재(600)를 포함한 가이드수단에 고여있지 않고 아래로 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출공(640)이 구비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울러, 가이드부재(500)와 지지부재(600)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도 결합될 수도 있으나 가이드부재(500)와 지지부재(600)의 결합을 매개하는 힌지결합수단(550)이 더 포함되어 가이드부재(500)와 지지부재(600)가 힌지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재(500)와 지지부재(600)가 힌지결합되면 가이드레일(300)을 기준점으로 보았을 때 가이드부재(500)와 지지부재(600)의 결합위치가 가변될 수 있어 설치플레이트(200)와 가이드레일(300)의 평행도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결합위치가 조절되면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힌지결합수단(55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500)와 결합되는 제1힌지부재(551)와 지지부재(600)와 결합되는 제2힌지부재(552)로 구성되었으나,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에서 지지부재(600)의 일측에는 설치플레이트(200)의 측면을 따라 구름접촉하도록 결합된 마찰저감롤러(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마찰저감롤러 지지부재(600)의 일측에 형성된 장공(650)에 구비된 힌지축을 매개로 지지부재(6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설치플레이트(200)에서 내측으로 인입된 인입부(250)를 따라 구르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도어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과 소음을 줄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는 종래와 다르게 이물질이 침투하여 쌓이기 쉬운 가이드홈이 형성되지 않고, 이물질이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이물질 유입에 의한 엘리베이터 오작동 등 고장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청소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이 절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홈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승객의 발이 가이드홈에 걸리거나 끼이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도어를 가이드하는 수단이 승객의 시야에 보이지 않아 시각적으로 깨끗하게 처리되며, 엘리베이터 출입구 바닥을 편평하게 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지부재에 마찰저감롤러가 결합되어 도어 개폐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과 소음이 줄어드는 장점과 설치플레이트의 승강로 측면부가 내측으로 인입되어 있어 설치플레이트의 측면을 타고 흐르는 액체들이 가이드 수단 측으로 흐르지 않고, 지지부재의 배출공을 통해 아래로 떨어지게 되므로 가이드 수단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 승강로 10 : 승강장
20 : 안내플레이트 21 : 가이드홈
30 : 엘리베이터 도어 40 : 행거롤러부
50 : 행거플레이트 51 : 돌출레일
70 : 받침프레임
100 : 고정플레이트 200 : 설치플레이트
210 : 가이드고정홈 211 : 가이드설치슬롯
220 : 하부고정홈 221 : 수직체결슬롯
230 : 측면고정홈 231 : 수평체결슬롯
250 : 인입부 300 : 레일설치유닛
310 : 체결부재 311 : 체결볼트
312 : 체결너트 320 : 레일설치구
330 : 레일고정수단 400 : 가이드레일
500 : 가이드부재 550 : 힌지결합수단
600 : 지지부재 610 : 가이드결합부재
620 : 연결부재 630 : 받침부재
640 : 배출공 650 : 장공
700 : 마찰저감롤러

Claims (6)

  1. 엘리베이터 출입구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폭 방향으로 고정되며 가이드고정홈, 하부고정홈 및 측면고정홈이 이격되게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고정홈에는 하방으로 개구된 가이드설치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고정홈의 하부에는 수직체결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고정홈은 측방으로 개구된 수평체결슬롯이 형성된 설치플레이트;
    상기 가이드설치슬롯에 이격되게 결합된 다수의 레일설치유닛;
    상기 레일설치유닛에 고정된 봉 형상의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되게 설치된 가이드부재; 및
    일측은 상기 가이드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이 엘리베이터 도어에 결합된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설치유닛은 상기 가이드설치슬롯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가이드레일이 관통되어 설치되도록 형성된 레일설치구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레일설치구에 결합된 레일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설치슬롯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가이드설치슬롯에 설치된 체결볼트와, 상기 가이드설치슬롯에 상기 체결볼트가 고정되도록 체결된 체결너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플레이트는 승강로 방향의 일측이 내측으로 인입된 구조의 인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측면을 타고 흐르는 액체가 상기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
  5.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측면을 따라 구름접촉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된 마찰저감롤러를 더 포함하여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시 발생되는 마찰과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결합을 매개하는 힌지결합수단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
KR1020160079385A 2016-06-24 2016-06-24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 KR101810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385A KR101810404B1 (ko) 2016-06-24 2016-06-24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385A KR101810404B1 (ko) 2016-06-24 2016-06-24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404B1 true KR101810404B1 (ko) 2017-12-20

Family

ID=60931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385A KR101810404B1 (ko) 2016-06-24 2016-06-24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4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0455B2 (ja) * 2008-04-18 2014-11-05 韓国三菱エレベータ株式会社Mitsubishi Elevator Korea Co.,Ltd.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離脱防止構造
JP5774088B2 (ja) * 2013-12-27 2015-09-0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ド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0455B2 (ja) * 2008-04-18 2014-11-05 韓国三菱エレベータ株式会社Mitsubishi Elevator Korea Co.,Ltd.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離脱防止構造
JP5774088B2 (ja) * 2013-12-27 2015-09-0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ド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1107B1 (ko) 스크린 도어 밀림 방지장치, 밀림 방지장치와 결합되는가이드 레일 및 밀림 방지장치가 설치된 스크린 도어
JP2010520132A (ja) スライドドアの押圧保護装置、ロック装置及びスクリーンドアシステム
US8800226B2 (en) Elevator system having a shaft-side extinguishing water drain system
KR20170012354A (ko) 엘리베이터의 문턱
EP0771755A2 (en) Guide assembly for an elevator door
KR101810404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
KR100898507B1 (ko) 이물질 배출장치 및 이물질 배출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JP200924203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その出入口装置
KR101781803B1 (ko)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
JP2011148623A (ja) エレベータのドア
KR20100033204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 방지용 도어 가이드 장치
KR20140000861U (ko) 창틀
KR101732171B1 (ko) 엘리베이터용 도어판넬의 슬라이딩시스템
KR20180000978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 가이드 장치
ITMI991147A1 (it) Dispositivo di guida e scorrimento per porte di ascensori
KR102184683B1 (ko) 인터록 어셈블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시스템
KR100873165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용 이탈방지장치, 잠금부재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및 걸림부재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JP5697166B2 (ja) エレベータのホールドア装置
KR20100006592U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1021961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0942530B1 (ko) 이탈방지장치,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및 잠금장치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CN113844990B (zh) 窄槽电梯门槛
KR20190123526A (ko) 엘리베이터 승장문조립체의 이중걸림구조식 이탈방지장치
JP695692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
KR101285591B1 (ko) 승강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