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537B1 - 탈곡 장치 - Google Patents

탈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537B1
KR101269537B1 KR1020100129628A KR20100129628A KR101269537B1 KR 101269537 B1 KR101269537 B1 KR 101269537B1 KR 1020100129628 A KR1020100129628 A KR 1020100129628A KR 20100129628 A KR20100129628 A KR 20100129628A KR 101269537 B1 KR101269537 B1 KR 101269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sorting
wind direction
direction guide
upp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8237A (ko
Inventor
히사유키 사토지
준지 도이하라
케이 쿠기미야
히데노리 오카자키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7117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20017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71180A external-priority patent/JP50568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93383A external-priority patent/JP504614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71663A external-priority patent/JP5573463B2/ja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8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22Threshing cylinders with tee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30Straw separators, i.e. straw walkers, for separating residual grain from the straw
    • A01F12/32Straw separators, i.e. straw walkers, for separating residual grain from the straw with shaker screens or sie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01F12/444Fan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8Air conduits or blowers for grain

Abstract

[과제] 선별풍의 송풍량과 송풍 방향을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선별 정밀도, 탈곡 작업 능률, 곡립 회수율을 높인다.
[해결수단] 요동 선별 선반(20)의 하측에 선별풍을 송풍하는 풍량 조절 가능한 풍구(16)와, 1번물을 회수하는 1번물 회수부(19A)와, 2번물을 회수하는 2번물 회수부(19B)를 전방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구비하고, 풍구(16)에는 상벽(67)과 하벽(68) 사이에 형성되는 송풍구(65)를 구비하고, 상벽(67)과 하벽(68) 사이에 풍향 안내 부재(66)를 설치하고, 이 풍향 안내 부재(66)에 의해 송풍구(65)를 상측 풍로(74)와 하측 풍로(75)로 구획하고, 상기 상벽(67)은 그 후방측의 부위가 상하 이동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풍향 안내 부재(66)는 그 전방측의 부위와 후방측의 부위가 상반해서 상하 이동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Description

탈곡 장치{THRESHING MACHINE}
본 발명은 콤바인 등에 구비되는 탈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콤바인 등에 구비되는 탈곡 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풍구의 송풍구에 있어서 그 상벽과 하벽 사이에 풍향 안내 부재를 설치하고, 상벽과 풍향 안내 부재 사이에 상측 풍로를 형성하고, 풍향 안내 부재와 하벽 사이에 하측 풍로를 형성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 풍향 안내 부재를 상하로 회전시킴으로써 풍구로부터의 선별풍의 송풍 방향이 상하로 조절되는 구성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7-274696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상측 풍로 및 하측 풍로의 풍향을 변화시킬 수는 있어도 상측 풍로 및 하측 풍로의 개구 면적은 변화되지 않으므로 상측 풍로 및 하측 풍로에 있어서의 풍량의 배분 비율은 변화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천변만화되는 탈곡 조건(처리물량이나 작물 상태 등)에 대해서 적절한 송풍을 행할 수 없어 선별 성능을 높게 유지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풍구의 송풍구에 있어서의 상측 풍로 및 하측 풍로의 풍향뿐만 아니라 풍량도 조정 가능하게 해서 선별 성능을 높게 유지하고, 이것에 의해서 곡립의 회수 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의 기술적 수단을 강구한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곡간을 탈곡하는 다수개의 급치(扱齒)(10a)를 구비한 급동(10)을 탈곡실(11) 내에 설치하고, 이 탈곡실(11)의 하측에 배치한 선별실(18) 내에는 요동 선별 선반(20)을 설치하고, 이 요동 선별 선반(20)의 하측에 선별풍을 송풍하는 풍량 조절 가능한 풍구(16)와, 1번물을 회수하는 1번물 회수부(19A)와, 2번물을 회수하는 2번물 회수부(19B)를 전방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구비한 탈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풍구(16)에는 상벽(67)과 하벽(68) 사이에 형성되는 송풍구(65)를 구비하고, 상기 상벽(67)과 하벽(68) 사이에 풍향 안내 부재(66)를 설치하고, 이 풍향 안내 부재(66)에 의해 송풍구(65)를 상측 풍로(74)와 하측 풍로(75)로 구획하고, 상기 상벽(67)은 그 후방측의 부위가 상하 이동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상기 풍향 안내 부재(66)는 그 전방측의 부위와 후방측의 부위가 상반해서 상하 이동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로 하였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상벽(67) 및 풍향 안내 부재(66)를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해서 회전시키는 연동 기구(S)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탈곡 장치로 하였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의 층의 두께를 검출하는 층 두께 검출 센서(95)를 설치하고, 이 층 두께 검출 센서(95)의 검출 결과에 의거해서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의 층의 두께가 증가했을 때에 상기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후방 상향 경사 각도를 감소시키고,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의 층의 두께가 감소했을 때에 상기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후방 상향 경사 각도를 증가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탈곡 장치로 하였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예컨대, 탈곡실(11)로부터 낙하된 곡립이나 짚 부스러기에 의해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이 증가했을 경우에는 풍구(16)의 송풍구(65)에 구비한 상벽(67)과 풍향 안내 부재(66)를 하향으로 회전시키고, 하측 풍로(75)를 개방함으로써 하측 풍로(75)로부터 송풍되는 선별풍의 풍량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상측 풍로(74)로부터 송풍되는 선별풍의 송풍 방향을 하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이 선별풍이 1번물 회수부(19A)의 상방을 통과해서 후방으로 흐르기 때문에 요동 선별 선반(20)으로부터 누하되는 짚 부스러기가 1번물 회수부(19A)에 회수되기 어려워져 선별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후방으로 흐르는 선별풍에 의해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의 이송이 촉진되고, 요동 선별 선반(20)의 후단부로부터의 짚 부스러기의 배출이 촉진됨으로써 요동 선별 선반(20)에서의 선별 부하가 경감되어 탈곡 작업의 능률이 높아진다. 또한,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이 감소했을 경우에는 상벽(67)과 풍향 안내 부재(66)를 상향으로 회전시키고, 하측 풍로(75)를 폐쇄함으로써 이 하측 풍로(75)로부터 송풍되는 선별풍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상측 풍로(74)로부터 송풍되는 선별풍의 송풍 방향을 상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요동 선별 선반(20) 상에 있어서의 처리물의 이송이 촉진되지 않게 되고, 짚 부스러기와 함께 곡립이 요동 선별 선반(20)의 후단으로부터 외부로 비산되기 어려워져 곡립의 회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를 발휘함과 아울러, 연동 기구(S)에 의해 상벽(67)과 풍향 안내 부재(66)를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해서 회전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를 발휘함과 아울러,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의 층의 두께에 따라 상벽(67)과 풍향 안내 부재(66)의 후방 상향 경사 자세를 제어함으로써 선별 정밀도, 탈곡 작업 능률, 곡립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콤바인의 배면도이다.
도 5는 탈곡 장치를 종단면해서 나타내는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탈곡 장치를 수평 단면해서 나타내는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8은 탈곡 장치를 다른 위치에서 수평 단면해서 나타내는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일부를 파단해서 나타내는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A-A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B-B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C-C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벽과 풍향 안내 부재의 연동 기구부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상벽과 풍향 안내 부재의 경사각을 최대로 한 상태에서의 탈곡 장치를 종단면해서 나타내는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15는 상벽과 풍향 안내 부재의 경사각을 최소로 한 상태에서의 탈곡 장치를 종단면해서 나타내는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16은 조작 패널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편의적으로 방향을 나타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들에 의해 구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도 4에 있어서 부호 1은 콤바인의 기체 프레임, 부호 2는 좌우 1쌍의 크롤러를 갖는 주행 장치, 부호 3은 기체 프레임(1)의 상방에 설치한 탈곡 장치, 부호 4는 탈곡 장치(3)의 전방측에 설치한 예취부, 부호 5는 탈곡 장치(3)의 측부에 설치한 곡물 탱크, 부호 6은 곡물 탱크(5)의 전방에 설치한 조종부, 부호 7은 곡물 탱크의 저류 곡립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5,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3)는 상부에 탈곡실(11)을 구비함과 아울러, 탈곡실(11)의 일방측(기체 주행 방향의 예컨대 좌측)에는 곡간 공급 반송 장치(12)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장치(2)에 의해 기체를 주행시키고, 예취부(4)에 의해 예취된 곡간은 곡간 공급 반송 장치(12)에 인계되고, 곡간 공급 반송 장치(12)의 홀딩 로드(holding rod)(12A) 및 공급 반송 체인(13B) 사이에서 협지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반송된 후, 탈곡 완료된 배출 짚을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14)에 인계된다.
(탈곡실과 회수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실(11)에는 급동(10)이 대략 수평으로 피벗 장착되어 있고, 이 급동(10)의 주로서 하방측은 급망(15)에 의해 포위되어 있고, 급망(15)의 하방에는 풍구(16)의 풍구 케이싱(17)이 설치되어 있다. 급동(10)의 외주면 상에는 다수개의 급치(10a)가 설치되어 있다.
도 5, 도 8, 도 9,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실(11)의 하류측의 부위(후방부)에는 급동(10)의 후방부 외주에 근접해서 배치한 중간 격벽(칸막이판)(11K)을 설치하고, 이 중간 격벽(11K)의 전방측에 이 중간 격벽(11K)에 의해 분할된 배진 처리실 도입부(11E)를 형성한다. 이 배진 처리실 도입부(11E)의 저면은 격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하방의 요동 선별 선반(20)에 낙하시키는 배진구(11H)를 형성한다. 급동(10)의 하류측 단부(후단부)는 중간 격벽(11K)을 관통해서 이 중간 격벽(11K)의 후방측에 형성된 회수실(11F) 내까지 연장된다. 이 중간 격벽(11K)은 탈곡실(11)의 기기 프레임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이 회수실(11F) 내에 있어서의 급동(10)의 외주면 상에는 탈곡 후의 곡간(배출 짚)에 달라붙은 곡립을 긁어 떨어뜨려서(또는 털어내서) 분리하는 판형상의 다수개의 분리 톱니(10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급동(10)의 후단의 후방측에 배치한 후 측벽(11L)에 의해 급동(10)의 회전축(10S)의 후단부가 축받이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회수실(11F)에 있어서의 급동(10)의 하측 외주를 따라 원호상으로 형성한 수용판(지지 부재)(10c)을 배치한다. 이 수용판(10c)에 의해 탈곡 후의 곡간을 지지하고, 이 곡간을 분리 톱니(10b)의 회전 궤적(작용역) 내로 안내하는 것이다. 이 수용판(10c)은 곡간의 밑동측의 부위를 지지하는 범위에만 설치하고, 곡간의 이삭끝측에는 설치하지 않는다. 즉, 이 수용판(10c)은 곡간 공급 반송 장치(12)측으로부터 급동(10)의 회전축(10S)의 축심(10P)의 대략 바로밑의 위치까지의 범위에 설치하고, 이 축심(10P)보다 탈곡실(11)의 안쪽측이 되는 부위에는 수용판(10c)을 설치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수용판(10c)의 안쪽측 단부와 배진 처리실(30) 사이의 부위는 개방 폭(T)에 걸쳐 하방으로 개방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수용판(10c)에는 평면으로 바라봐서 급동(10)의 축심(10P) 방향에 대해서 각도(θ)만큼 경사진 다수개의 긴 구멍(10d)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수용판(10c)은 탈곡 후의 곡간을 지지할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풍구(16)로부터 송풍되는 선별풍을 차단함으로써 긴 구멍(10d)으로부터의 곡립의 누하를 촉진한다.
그리고, 예취부(4)에서 예취된 곡간은 급심(扱深)이 조절되어 곡간 공급 반송 장치(12)로 협지 반송되면서 그 이삭끝측이 탈곡실(11)에 삽입된다. 탈곡실(11)에 공급된 곡간은 회전하는 급동(10)의 급치(10a)의 작용에 의해 탈곡되고, 탈곡된 곡립은 급망(15)으로부터 낙하되어 선별실(18)에 공급되고, 요동 선별 장치(21)에 의해 선별된다. 탈곡실(11)에서 탈곡된 처리물 중 급망(15)으로부터 누하되지 않은 처리물은 탈곡실(11) 후방부의 배진 처리실 도입부(11E)에 이른 후, 연통구(35)로부터 배진 처리실(30)로 공급되고, 이 배진 처리실(30)에 내장된 배진 처리 몸통(31)에서 처리된다.
또한, 탈곡실(11) 내에 있어서의 회수실(11F)보다 전방측의 부위에서 탈곡 처리된 곡간 중에는 탈곡실(11) 내에서 탈립(脫粒)된 곡립이나 이삭가지가 부착된 알맹이가 들어가 있고, 이 곡립이나 이삭가지가 부착된 알맹이는 탈곡 후의 곡간과 함께 중간 격벽(11K)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부를 통과한다. 그리고, 회수실(11F) 내에 이른 탈곡 후의 곡간은 수용판(10c)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급동(10)의 외주면 상에 설치한 다수개의 분리 톱니(10b)의 작용을 받고, 이 곡간 중에 들어가 있었던 곡립이나 이삭가지가 부착된 알맹이가 탈락되어 분리된다. 또한, 이 때, 회수실(11F)의 전방측은 칸막이판(11K)에 의해 분할되어 있으므로 이 칸막이판(11K)보다 전방측의 탈곡실(11)에서 탈곡된 처리물이 배진 처리실 도입부(11E) 내로부터 회수실(11F) 내로 침입하기 어려워 이 회수실(11F) 내에서의 곡립의 회수 효율이 높아진다.
이 탈락된 곡립이나 이삭가지가 부착된 알맹이는 상기 개방 폭(T)의 부위, 수용판(10c)의 후단부, 및 긴 구멍(10d)으로부터 하방의 요동 선별 선반(20) 상으로 낙하되고, 선별된 후에, 곡립은 1번물 회수부(19A)에 받아들여져 곡물 탱크(5)에 저류된다.
(선별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실(11)의 하방에는 풍구(16)의 송풍에 의해 곡립과 이물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실(18)이 형성되어 있고, 선별실(18) 내의 상부에는 풍구(16)의 송풍 방향(전후 방향)으로 왕복 요동하는 요동 선별 선반(20)에 의해 구성한 요동 선별 장치(21)가 설치되어 있다.
(요동 선별 선반, 풍구, 선반판 등)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 선반(20)의 시단부(전단부)는 풍구 케이싱(17)의 상방에 위치하는 이송 선반부(22)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송 선반부(22)의 구성은 임의이고, 이송 방향 하류측을 낮게 경사지게 하거나 또는 이송 선반부(22)의 상면에 돌기나 요철을 형성하거나 해서 요동 선별 장치(21)의 이송 방향 하류측의 그레인 시브(grain sieve)(23)를 향해서 급망(15)으로부터의 누하물을 이송할 수 있으면 좋다.
그레인 시브(23)는 급망(15)으로부터 누하된 곡립과 짚 부스러기 등의 이물을 선별하는 체이며, 도시예에서는 이송 방향 하류측(후방측)이 높게 되도록 경사진 얇은 판형상체를 요동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병설한 것이다. 그레인 시브(23)의 이송 방향 하류측(후방측)에는 곡립과 채프(chaff)(짚 부스러기)를 선별하는 채프 시브(chaff sieve)(24)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예의 채프 시브(24)는 경사각 조절 가능한 얇은 판형상체를 요동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병설한 것이다. 또한, 채프 시브(24)의 하류측에는 탈곡실을 통과한 배출 짚에 달라붙은 곡립(부착 알맹이) 등을 선별하기 위한 조 선별 수단으로서 스트로 랙(straw rack)(25)이 설치되어 있다.
선별실(18)의 하부에는 풍구(16), 홈 형상의 1번 선반판(19A)(1번물 회수부), 및 홈 형상의 2번 선반판(19B)(2번물 회수부)이 요동 선별 선반(20)의 이송 방향으로(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이 순서로 설치되어 있다. 풍구(16)는 요동 선별 선반(20)과 1번물 선반판(19A) 사이에 면하는 송풍구를 구비하고 있다. 1번 선반판(19A)의 홈부에는 곡물 탱크(5)로 연통하는 1번 컨베이어(26)가 연통되고, 2번 선반판(19B)의 홈부에는 2번 처리실(30)로 연통하는 2번 컨베이어(27)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요동 선별 선반(20)과 1번 선반판(19A) 사이에는 그레인 시브(23)와 채프 시브(24)의 경계 근방으로부터 1번 선반판(19A)의 선반끝(19C) 근방까지의 범위에 걸치도록 선별 망(28)이 설치되어 있다.
요동 선별 선반(20)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해 상하 전후 방향으로 요동하므로 처리물은 후방측으로 이동하면서 풍구(16)로부터의 송풍을 받아 풍력 선별되고, 비중이 무거운 곡립은 그레인 시브(23) 및 채프 시브(24)를 누하해서 선별 망(28) 상에 공급되고, 선별 망(28) 상의 처리물은 또한 풍구(16)로부터의 선별풍을 하측으로부터 받아서 가느다란 짚 부스러기가 불어 날려지면서 후방으로 이송되고, 이 이송 중에 선별 망(28)으로부터 누하된 것이 1번 선반판(19A)에 의해 회수되고, 1번 컨베이어(26)를 타서 곡물 탱크(5)로 투입된다. 곡물 탱크(5)에 저류된 곡립은 배출관(7)을 통해서 콤바인의 외부로 반출된다. 이와 같이, 선별 망(28)으로부터 누하되어 1번 선반판(19A)에 의해 회수되는 처리물은 이삭가지 부착이 적은 곡립[청립(淸粒)]이 주이다.
한편, 선별 망(28)으로부터 누하되지 않은 것은 이 선별 망(28) 상을 후방으로 이송되어서 선별 망(28)의 후단부로부터 2번 선반판(19B)에 이르고, 회수된다. 선별 망(28)으로부터 누하되지 않고 2번 선반판(19B)에 공급되는 처리물은 이삭가지가 부착된 알맹이나 작은 짚 부스러기 등이 주이다.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 중 경량의 것은 시브(23,24)를 누하하지 않고, 요동 선별 선반(20)의 요동 작용과 풍구(16)에 의한 송풍에 의해 불어 날려져서 시브(23,24) 상을 후방으로 이동하고, 스트로 랙(25) 상에서 크기가 작은 2번물은 누하되어 2번 선반판(19B)에 의해 회수된다. 시브(23,24)의 후방부나 스트로 랙(25)으로부터 누하되어 2번 컨베이어(27)에 의해 2번 처리실(40)로 공급된다. 2번 컨베이어(27)에 받아들여지는 것은 정상의 곡립, 이삭가지가 부착된 알맹이, 짚 부스러기 및 짚 부스러기 중에 정상인 곡립이 달라붙어 있는 부착 알맹이 등의 혼합물이다. 이들 이삭가지가 부착된 알맹이나 짚 부스러기를 2번 환원물로서 재처리한다. 또한, 시브(23,24) 및 스트로 랙(25)으로부터 누하되지 않은 처리물은 더욱 후방으로 이송되어 요동 선별 선반(20)의 후단부 상에 형성된 3번 배진구(56)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 중에는 약간의 곡립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있고, 이 양(비율)에 따라 탈곡 장치의 선별 정밀도가 평가된다.
(배진 처리실)
도 8, 도 9,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통구(35)를 통해서 탈곡실(11)과 연통된 배진 처리실(30)의 내부에는 급동(10)의 축심과 대략 평행한 배진 처리 몸통(31)이 피벗 장착되어 있다. 배진 처리 몸통(31)의 요동 선별 선반(20)과 반대측(정면을 향해서 좌측)은 측판(32)에 의해 포위되고, 배진 처리 몸통(31)의 요동 선별 선반(20)측(정면을 향해서 우측)은 처리물 배출구(33)가 설치되어 있다. 배진 처리 몸통(31)의 외주면 중 처리물의 이송 방향의 종단부(후단부)에는 날개체(34)가 설치되고, 이보다 시단측에는 배진 처리 톱니(36)가 설치되어 있다.
배진 처리실(30)에 공급된 처리물은 회전하는 배진 처리 몸통(31)에 의해 해쇄(解碎) 처리되면서 종단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처리물 배출구(33)로부터 요동 선별 선반(20) 상에 배출되고, 또한, 배진 처리실(30)의 종단은 폐색되어 있고, 여기에 이른 처리물은 날개체(34)에 의해 요동 선별 선반(20)의 스트로 랙(25) 상에 배출되고, 이들 배출 처리물은 요동 선별 선반(20)에 의해 선별되어 곡립은 회수되고, 짚 부스러기 등은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배진 처리실(30)에 공급되는 처리물 중에는 소량이면서 이삭가지가 부착된 곡립이 포함되어 있고, 이 이삭가지가 부착된 알맹이 및 작은 짚 부스러기는 처리물 배출구(33)로부터 요동 선별 선반(20)에 낙하된다.
(2번 처리실)
도 8,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진 처리실(30)의 전방측에는 2번 컨베이어(27)에 의해 회수된 2번물을 처리하는 2번 처리실(40)이 설치되어 있다. 2번 처리실(40) 내에는 외주면에 간헐 나선 날개를 갖는 2번 처리 몸통(41)이 배진 처리 몸통(31)과 동심적으로 또한 직렬적으로 피벗 장착되어 있다. 2번 처리 몸통(41)의 하방은 그 종단부를 제외하고 홈 형상의 수용판(42)에 의해 포위되어 있고, 2번 처리 몸통(41)의 종단부(전단부)의 하방은 2번 처리물 환원구(43a)로서 요동 선별 선반(20)의 상류측에 있어서의 2번 처리실(40)측의 측부의 상방에 개구되어 있다. 또한, 2번 처리 몸통(41)의 시단측(후단측) 상방에는 2번 컨베이어(27)로부터 공급되는 2번물의 공급구(44a)가 개구되어 있다.
2번 처리실(40)에서는 2번물이 2번 처리 몸통(41)에 의해 반송되는 동안에 곡립의 분리와 이삭가지가 부착된 알맹이로부터의 이삭가지의 제거가 행해진 후, 2번 처리물 환원구(43a)로부터 요동 선별 선반(20)으로 낙하되고, 급실(40)로부터의 처리물과 합류해서 재선별된다.
(흡인 배진 팬)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 선반(20)의 종단부(후단부)의 상방에는 흡인 배진 팬(43)의 흡진구(44)가 개구되어 있다. 흡인 배진 팬(43)은 배풍구(46)를 갖는 케이싱(45)에 의해 덮여져 있다. 도시예에서는 요동 선별 선반(20)의 상방 공간의 양 측벽 중 배진 처리실(30)과 반대측의 측벽에 배진 처리실(30)과 대치하도록 흡인 배진 팬(43)이 부착되고, 그 설치 부위에 흡진구(44)가 개구되어 있지만 이들의 설치 위치는 도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출 짚 처리 장치)
도 8,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3)의 후방측에서는 탈곡실을 통해 탈곡이 끝난 곡간, 즉 배출 짚은 배출 짚 반송 장치(14)에 인계되고, 배출 짚 반송 장치(14)의 종단부로부터 배출 짚 처리 장치로서의 커터 장치(48)에 배출된다. 이 배출 짚 반송 장치(14)에 구비하는 밑동측 반송 장치(14K)의 중간부에는 급동(10)의 회전축(10S)의 후단부에 부착된 풀리(10T)로부터 전동 벨트(10U), 입력 풀리(10V), 베벨 기어 케이스(10W) 내의 전동 기구, 및 상기 밑동측 반송 장치(14K)와 평행한 이삭끝측 반송 장치(14H)를 관통해서 설치한 출력축(10X)을 통해서 동력이 전달된다. 그리고, 이 밑동측 반송 장치(14K)의 후단부로부터 전동축(10Y)을 통해서 이삭끝측 반송 장치(14H)의 후단부에 동력이 전동된다.
커터 장치(48)는 상방으로부터 낙하 공급되는 배출 짚을 1쌍의 로터리 커터 칼날(49) 사이에 통과시켜 절단하는 구조의 것이다. 로터리 커터 칼날(49)의 외부측은 후드에 의해 덮여져 있고, 또한 로터리 커터 칼날(49)의 전방측에는 절단된 배출 짚의 절단 짚 부스러기가 후방으로 낙하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절단 짚 안내판(50)이 설치되어 있다. 절단 짚 안내판(50)은 상부가 상측 커터 칼날(49)의 하부와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고, 하방에 이름에 따라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고, 절단 짚 안내판(50)의 하부는 하측 커터 칼날(49)의 하부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커터 장치(48) 대신에 다른 배출 짚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3번 배진구)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3)의 후방측벽(55)에는 3번 배진구(56)가 개구되어 있고, 요동 선별 선반(20)의 후방부가 이 3번 배진구(56)에 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3번 배진구(56)를 개폐하는 3번 배진구 셔터(57)가 설치되어 있고, 배진 처리실(30)의 처리물 배출구(33)로부터 배출되는 배진 처리물에 포함되는 곡립을 3번 배진구(56)로부터 배출시키지 않고 요동 선별 선반(20)의 채프 시브(24) 또는 스트로 랙(25)에 공급하여 체에 의한 선별에 의해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3번 손실의 발생을 방지해서 탈곡 효율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진 처리실(30)과 흡인 배진 팬(43)의 흡진구(44)는 요동 선별 선반(20)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3번 배진구 셔터(57)를 폐쇄하면 배진 처리실(30)로부터 배출되는 배진 처리물이 흡인 배진 팬(43)의 흡진구(44)측을 향해서 광범하게 확산되기 때문에 곡립의 회수 효율이 한층 향상한다.
(상벽ㆍ풍향 안내 부재)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구 케이싱(17)의 송풍구(65)는 상방에 위치하는 상벽(67)과 하방에 위치하는 하벽(68) 사이에 개구되어 있고, 이들 상벽(67)과 하벽(68)의 상하 중간에 풍향 안내 부재(66)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송풍구(65)는 풍향 안내 부재(66)와 상벽(67) 사이의 상측 풍로(74)와, 풍향 안내 부재(66)와 하벽(68) 사이의 하측 풍로(75)로 구획되어 있다. 상벽(67) 및 하벽(68)은 도시예에서는 판형상을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안내 부재(66)는 하방에 정점(70)을 갖는 역삼각형상의 종단면을 갖는 형상을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도시예의 풍향 안내 부재(66)에 있어서의 상면(69)은 풍구 케이싱(17)의 상벽(67)과 거의 동일한 경사의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풍향 안내 부재(66)의 하면은 하측 전방부 경사면(71)과 하측 후방부 경사면(72)을 갖는 굴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풍향 안내 부재(66)가 이러한 형상을 갖고 있으면 상측 풍로(74)로부터 송출되는 바람은 풍향 안내 부재(66)의 상면을 따라 하방으로는 그다지 확산되지 않고 요동 선별 선반(20)을 향해서 흐르고, 하측 풍로(75)로부터 송출되는 바람은 풍향 안내 부재(66)의 하측 후방부 경사면(72)을 따라 상방으로도 확산되면서 요동 선별 선반(20)의 더욱 하류측의 범위까지 향해서 흐르게 된다.
풍향 안내 부재(66)는 송풍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의 회전축(66x)을 회전 중심으로 하고, 또한 상면(69) 및 하면(71,72)이 송풍 방향 하류측을 향해서 비스듬히 상향이 되는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또한, 풍향 안내 부재(66)의 회전축(66x)은 풍향 안내 부재의 송풍 방향 중간에 위치하고 있고, 회전축(66x)의 상류측 및 하류측이 상하 이동하도록 회전하게 되어 있다. 풍향 안내 부재(66)의 회전축(66x)은 그 양단부가 선별실(18)의 양 측벽(18S)에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풍향 안내 부재(66)의 회전에 의해 풍향 안내 부재(66)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이하 단지 경사각, 또는 경사 자세라고도 함)을 최대까지 증가시켰을 때, 풍향 안내 부재(66)에 있어서의 풍구(16)측의 단부가 송풍구(65)의 하벽(68)과 근접 또는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벽(67)도 송풍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의 회전축(67x)을 회전 중심으로 하고, 또한 하면이 송풍 방향 하류측을 향해서 비스듬히 상향이 되는 각도 범위 내에서 풍향 안내 부재(66)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벽(67)의 후방부 하면과 풍향 안내 부재(66)의 후방부 상면 사이를 연동 로드(88)로 접속하고, 상벽(67)과 풍향 안내 부재(66)가 대략 일정한 상대 자세를 유지한 채 상하로 각도 변경할 수 있는 연동 기구(S)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벽(67)의 회전축(67x)은 도시예에서는 상벽(67)의 풍구(16)측 단부에 위치하고 있지만 송풍 방향 중간이나 송풍 방향 하류측 단부에 위치시킬 수도 있고, 어떻든 상벽(67)의 하류측이 상하 이동하도록 회전되면 된다. 상벽(67)의 회전축(67x)도 그 양단부가 선별실(18)의 양 측벽(18S)에 축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풍구(16)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의 상측 풍로(74) 및 하측 풍로(75)에 대한 배분 비율은 상측 풍로(74) 및 하측 풍로(75)의 개구도의 비율에 의해 정해진다. 따라서, 하측 풍로(75)의 개구도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상벽(67) 및 풍향 안내 부재(66)가 동일 방향으로 연동해서 회전하면, 하측 풍로(75)의 풍량은 감소되고, 반대로 상측 풍로(74)의 풍량은 증가함과 아울러, 하측 풍로(75)의 풍향은 풍향 안내 부재(66)의 하면의 각도 변화에 따라 변화되고, 상측 풍로(74)의 풍향은 풍향 안내 부재(66)의 하면의 각도 변화에 따라 변화된다. 한편, 하측 풍로(75)의 개구도가 증가되는 방향으로 상벽(67) 및 풍향 안내 부재(66)가 동일 방향으로 연동해서 회전하면, 하측 풍로(75)의 풍량은 증가되고, 반대로 상측 풍로(74)의 풍량은 감소된다. 하측 풍로(75)의 풍향은 풍향 안내 부재(66)의 하면의 각도 변화에 따라 변화되고, 상측 풍로(74)의 풍향은 풍향 안내 부재(66)의 하면의 각도 변화에 따라 변화된다. 즉, 상측 풍로(74) 및 하측 풍로(75)의 풍향 및 풍량을 동시에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은 양 풍향 안내 부재(66,67)를 연동해서 회전시키는 것이면 적절하게 선택해서 설계할 수 있고, 수동이여도 모터 등의 동력원을 이용해도 좋다.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풍향 안내 부재(66)의 회전축(66x)의 일단부가 선별실(18)의 측벽(18S)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 부분에 주 요동 레버(81)의 선단부가 부착되고, 이 주 요동 레버(81) 및 풍향 안내 부재(66)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선별실(18)의 측벽(18S) 외면에 스테이(82)가 부착되고, 이 스테이(82)에 탑재된 모터(83)의 구동축(83x)에 피니언 기어(83g)가 부착되며, 이 피니언 기어(83g)와 맞물리는 부채꼴 기어(84)가 스테이(82)에 축지지되고, 이 부채꼴 기어(84)의 일방측의 원주 단부(제 1 편심 위치)와 주 요동 레버(81)의 기단부가 연동 로드(85)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고, 각 연결 부분은 핀(85p)에 의해 회전 가능한 연결로 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82)에는 포텐셔미터(potentiometer) 등의 회전량 검출 장치(86)가 탑재되고, 이 회전량 검출 장치(86)의 검출 축(86x)에 부 요동 레버(87)의 선단부가 부착되고, 부 요동 레버(87)의 회전량이 검출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부채꼴 기어(84)의 반대측의 원주 단부(제 2 편심 위치)에는 핀(87p)이 돌출되고, 이 핀(87p)이 부 요동 레버(87)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홈(87d) 내를 미끄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풍향 안내 부재(66)에 있어서의 회전축(66x)보다 송풍 방향 하류측의 부위와, 상벽(67)에 있어서의 회전축(67x)보다 송풍 방향 하류측의 부위가 선별실(18) 내의 양측부에 있어서 연동 로드(88)를 통해서 각각 연결되어 있고, 각 연결 부분은 핀(88p)에 의해 회전 가능한 연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83)의 정역 구동에 의해 부채꼴 기어(84), 연동 로드(85), 주 요동 레버(81)를 통해서 풍향 안내 부재(66)가 정역 회전됨과 아울러, 그 회전량이 부채꼴 기어(84) 및 부 요동 레버(87)를 통해서 회전량 검출 장치(86)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풍향 안내 부재(66)의 회전에 따라 이것과 연동 로드(88)를 통해 연결된 상벽(67)도 연동해서 회전된다. 따라서, 풍향 안내 부재(66)와 상벽(67)을 동시에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각각 소정의 각도로 조정할 수 있어 조정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단지 경사각, 또는 경사 자세라고도 함)은 각각 상술한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지만, 상측 풍로(74)의 선별풍의 과반은 요동 선별 선반(20) 중 시브[도시예에서는 채프 시브(24). 선별 망(28)이여도 좋음] 하류측(후방측) 끝보다 상류측으로 향하고, 또한 하측 풍로(75)로부터의 선별풍의 과반은 시브[채프 시브(24)] 하류측(후방측) 끝보다 하류측을 향하도록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경사각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에서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경사각을 변화시킴으로써 처리물의 유량이 저유량인 상태(저유량시)이여도 고유량인 상태(고유량시)이여도 보다 적절한 선별을 행할 수 있어 곡립 손실의 저감과 선별의 양호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풍로(74), 하측 풍로(75)의 선별풍은 풍향 안내 부재(66)의 경사각을 크게 할수록 양 풍로(74,75)의 선별풍 모두 요동 선별 선반(20)의 상류측(전방측)으로의 풍량이 증가되고, 또한 하류측(후방측)으로의 풍량은 저감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안내 부재(66)의 경사각을 최대로 했을 때, 하측 풍로(75)의 풍량보다 상측 풍로(74)의 풍량이 많아지도록 구성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풍향 안내 부재(66)의 경사각을 최대로 했을 때, 측면으로 바라봐서 풍향 안내 부재(66)의 상면의 송풍 방향 연장선(66L)은 1번 선반판(19A)의 선반끝(19C)보다 상방에 위치시켜 1번 선반판(19A)의 선반끝(19C)보다 요동 선별 선반(20)의 상류측(전방)을 향하는 선별풍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것에 의해, 풍구(16)로부터 송풍된 선별풍이 회수실(11F)의 하방에 면하는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부위보다 후방측의 부위로부터 상측으로 뿜어 올려진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저유량시나 저속 작업시에는 요동 선별 선반(20)의 하류측의 선별풍을 저감함으로써 기기 밖으로의 비산이 저감되고, 요동 선별 선반(20)의 상류측으로의 선별풍을 증가시킴으로써 짚 조각이나 이삭가지가 부착된 알맹이 등의 누하를 제한하여 선별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회수실(11F)로부터 낙하되는 곡립이 요동 선별 선반(20) 상으로부터 뿜어 올려지는 선별풍에 의해 후방으로 날려지는 일이 적어지고, 이 곡립이 요동 선별 선반(20)의 후단으로부터 외부로 비산되기 어려워져 곡립의 회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풍향 안내 부재(66)의 경사각을 어느 정도 이상 크게 했을 때, 예컨대 최대로 했을 때에 측면으로 바라봐서 풍향 안내 부재(66)의 상면의 송풍 방향 연장선(66L) 상에 배진 팬(43)의 흡진구(45)가 개구되면[환언하면 연장선(66L)이 흡진구(45)와 교차하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전방에서 뿜어 올려진 진개(塵芥)를 효율 좋게 배진 팬(43)에 의해 흡진할 수 있고, 선별풍이 기체 후방으로 빠지기 어려운 구조[특히 도시예와 같은 3번 배진구 셔터(57)를 가지는 경우]이여도 선별 능력을 손상시키지 않고 효과적으로 진개를 기기 밖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풍로(74), 하측 풍로(75)의 선별풍은 풍향 안내 부재(66)의 경사각을 작게 할수록 양 풍로(74,75)의 선별풍 모두 요동 선별 선반(20)의 하류측으로 풍향을 변경하여 상측 풍로(74)의 풍량을 저감하고, 또한 하측 풍로(75)의 풍량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경사각을 최소로 했을 때에는 상측 풍로(74)의 풍량보다 하측 풍로(75)의 풍량이 많아지도록 구성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각을 최소로 했을 때에는 풍향 안내 부재(66)의 상면의 송풍 방향 연장선(66L)은 1번 선반판(19A)의 선반끝(19C) 및 그 근방에 위치시키고, 1번 선반판(19A)의 선반끝(19C)을 향하는 선별풍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고속 작업시나 고유량시에 있어서 선별실로부터 기기 밖으로의 선별풍의 빠짐을 촉진하고 환원량을 억제하여 고속 작업에의 적응성을 높일 수 있다.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경사각의 변화량은 동일해도 좋지만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4,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안내 부재(66)의 경사각이 최대인 상태로부터 최소인 상태까지 회전했을 때, 상벽(67)의 전단[풍구(16)측]의 회전량에 대해서 풍향 안내 부재(66)의 전단의 회전량이 커지도록 구성하면, 상벽(67)의 전단[풍구(16)측]의 회전량이 상대적으로 작아짐으로써 상측 풍로(74)의 풍량을 손상시키지 않고 풍향의 변경이 가능할뿐만 아니라 풍향 안내 부재(66)의 전단의 회전량이 상대적으로 커짐으로써 상측 풍로(74) 및 하측 풍로(75)에 대한 선별풍의 분배 비를 크게 변경할 수 있고, 또한 양 풍로의 풍향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경사각의 상한(상한각) 및 하한(하한각)은 고정해도 좋지만 풍향 안내 부재(66)의 적절한 경사각 범위는 작물 조건이나 작물종에 따라 다르므로 연속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변경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각 및 하한각을 변경 가능하게 할 경우, 그 상한각 및 하한각은 임의의 각도로 수동 조정 가능하게 하는 것 외에 작물종 등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각도로 자동 변경 가능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양자를 전환 가능하게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수동 조정의 경우, 콤바인의 사용에 있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한각 및 하한각이 작물 조건(예컨대 작물의 수분량의 많고 적음, 작물의 도복의 정도, 처리물량의 증감)에 합치하지 않을 경우, 임의로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자동 변경의 경우, 상한각 및 하한각을 벼, 보리 등 미리 작물종에 따라 전환 가능하게 구성해 둠으로써 작물종에 따라 상한각 및 하한각을 간단하게 전환해서 적절한 선별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보리는 벼보다 처리물량 중의 곡립 비율이 작고, 동일 유량이여도 기기 밖으로의 배출 효율을 높이도록 풍향 안내 부재(66)의 경사각의 상한을 낮게 해서 처리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은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상한각 및 하한각의 변경을 행하기 위한 조작 패널의 예를 나타내고 있고, 시브의 개구도 조절의 근방에 전환 로터리 스위치(91)와 개구도 조정 로터리 스위치(92)가 병설되어 있고, 전환 로터리 스위치(91)를 「벼」또는 「보리」에 맞춤으로써 각각의 작물종에 따라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상한각 및 하한각이 자동 변경되고, 전환 로터리 스위치(91)를 「수동」에 맞추면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상한각 및 하한각이 개구도 조정 로터리 스위치(92)의 회전 위치에 따라 정해지는 임의의 각도로 변경된다.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상한각 및 하한각의 설정은 기계적으로 행해도 좋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회전을 모터 등의 구동원에 의해 행할 경우에는 그 구동 제어에 의해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층 두께 검출 센서)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경사각은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량에 관계없이 고정으로 해도 좋다. 그러나, 풍력 선별에 있어서의 적절한 풍향 및 풍량은 처리물량에 따라 다르다. 예컨대 저유량시나 저속 작업시에는 요동 선별 선반(20)의 하류측의 선별풍을 저감함으로써 기기 밖으로의 비산을 저감하고, 요동 선별 선반(20)의 상류측으로의 선별풍을 증가시킴으로써 짚 조각이나 이삭가지가 부착된 알맹이 등의 누하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속 작업시나 고유량시에 있어서 선별실로부터 기기 밖으로의 선별풍의 빠짐을 촉진하고 환원량을 억제하여 고속 작업에의 적응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경사각은 처리물량에 관계없이 고정으로 했을 경우, 처리물량의 증감에 의해 선별 능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도 7, 도 10,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의 층의 두께를 검출하는 층 두께 검출 센서(95)를 설치하고, 이 층 두께 검출 센서(95)의 검출 결과에 의거해서 처리물의 층의 두께가 증가했을 때에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을 증가시키고, 처리물의 층의 두께가 감소했을 때에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을 감소시키는 제어 장치(도시 생략)를 설치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처리물의 층의 두께에 증감이 있어도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의 층 두께의 검출 결과에 따라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경사각이 적절하게 자동 조정되어 최적의 곡립 손실과 선별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층 두께 검출 센서(95)는 공지의 접촉 또는 비접촉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도시예에서는 2번 처리실(40)의 수용판(42)에 있어서의 종단측(2번 처리물 환원구측 또는 전단측) 부분과, 배진 처리실 도입부(11E)의 중간 격벽(11K)의 하단부가 센서 스테이(95S)에 의해 연결되고, 이 센서 스테이(95S)에 포텐셔미터 등의 회전량 검출 장치(96)가 부착됨과 아울러, 이 회전량 검출 센서(96)의 검출 축(96x)에 플로트(97)가 매달린 상태로 부착되고, 이 플로트(97)가 요동 선별 선반(20)의 이송 선반부(22) 상을 이동하는 처리물에 접촉해서 처리물의 이동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올려지고, 그 회전량이 이송 선반부(22) 상을 이동하는 처리물의 층 두께로서 회전량 검출 장치(96)에 의해 검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센서 스테이(95S)에 의해 2번 처리실(40)의 수용판(42)에 있어서의 종단측(2번 처리물 환원구측 또는 전단측) 부분과, 배진 처리실 도입부(11E)의 중간 격벽(11K)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구조를 채용하면, 2번 처리물 환원구(43a)로부터의 2번 처리물의 배출 및 그 이송의 방해가 되는 위치를 피해서 플로트(97)를 공중에 매달은 상태로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번 처리실(40)의 수용판(42), 중간 격벽(11K) 및 센서 스테이(95S)가 삼각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기기 프레임(1)의 강화로도 이어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시예와 같이 플로트(97)가 회전하는 타입인 경우, 플로트(97)의 회전 중심[즉 도시예에서는 검출 축(96x)]이 2번 환원물의 흐름 또는 처리물 전체의 흐름에 대해서 대략 직각이 되고, 평면으로 봐서 요동 선별 선반(20)의 요동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처리물의 흐름 방향과 이것에 접촉하는 플로트(97)의 회전 방향이 일치하거나 또는 근접하게 되므로 플로트(97)가 원활하게 동작되고, 처리물량의 변화에 대해서 정확하고 또한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된다.
이 경우, 플로트(97)의 작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플로트(97)에 있어서의 회전 중심 방향 일방측, 특히 도시예와 같이 이동 선반부(22)의 이송 방향 하류측에 플로트(97)의 회전 중심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센서 플로트(97)의 회전 방향과 대략 평행]으로 연장되는 끌어모음 판(98)을 세워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것에 의해, 이동 선반부(22)에 의한 요동 작용에 의해 처리물의 이동 방향이 어긋나더라도 그 플로트(97) 근방에서는 끌어모음 판(98)에 의해 이동 방향이 규제되기 때문에 처리물의 흐름 방향과 이것에 접촉하는 플로트(97)의 회전 방향이 대략 일치되어 플로트(97)가 보다 한층 원활하게 동작하게 된다.
또한, 플로트(97)의 형상은 적절하게 설계하면 좋지만, 도시예와 같이, 적어도 처리물과 접촉하는 부분(도시예에서는 처리물이 없는 비접촉 상태에서 처리물의 이동 방향 상류측의 면)이 처리물의 슬라이딩 방향의 중간부 정도 돌출되는 호형상 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반적으로 이동 선반(22) 상에 있어서는 처리물량이 편재되고, 특히 2번 처리물 환원구(43)의 하방 근방에 있어서의 처리물량이 가장 많아진다. 따라서, 층 두께 검출 센서(95)는 2번 처리물 환원구(43)의 근방에 있어서의 요동 선별 선반(20)의 처리물의 층의 두께를 검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도시예에서는 플로트(97)를 2번 처리물 환원구(43a)의 근방에 배치하고 있다.
10 : 급동 10a : 급치
11 : 탈곡실 16 : 풍구
18 : 선별실 19A : 1번물 회수부
19B : 2번물 회수부 20 : 요동 선별 선반
65 : 송풍구 66 : 풍향 안내 부재
67 : 상벽 68 : 하벽
74 : 상측 풍로 75 : 하측 풍로
95 : 층 두께 검출 센서 S : 연동 기구

Claims (3)

  1. 곡간을 탈곡하는 다수개의 급치(10a)를 구비한 급동(10)을 탈곡실(11) 내에 설치하고, 상기 탈곡실(11)의 하측에 배치한 선별실(18) 내에는 요동 선별 선반(20)을 설치하고, 이 요동 선별 선반(20)의 하측에 선별풍을 송풍하는 풍량 조절 가능한 풍구(16)와, 1번물을 회수하는 1번물 회수부(19A)와, 2번물을 회수하는 2번물 회수부(19B)를 전방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구비한 탈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풍구(16)에는 상벽(67)과 하벽(68) 사이에 형성되는 송풍구(65)를 구비하고, 상기 상벽(67)과 상기 하벽(68) 사이에 풍향 안내 부재(66)를 설치하고, 이 풍향 안내 부재(66)에 의해 상기 송풍구(65)를 상측 풍로(74)와 하측 풍로(75)로 구획하고, 상기 상벽(67)은 그 후방측의 부위가 상하 이동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상기 풍향 안내 부재(66)는 그 전방측의 부위와 후방측의 부위가 상반해서 상하 이동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상기 상벽(67) 및 상기 풍향 안내 부재(66)를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해서 회전시키는 연동 기구(S)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의 층의 두께를 검출하는 층 두께 검출 센서(95)를 설치하고, 이 층 두께 검출 센서(95)의 검출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의 층의 두께가 증가했을 때에 상기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기 상벽(67)의 후방 상향 경사 각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의 층의 두께가 감소했을 때에 상기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기 상벽(67)의 후방 상향 경사 각도를 증가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3. 삭제
KR1020100129628A 2010-03-26 2010-12-17 탈곡 장치 KR1012695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71180 2010-03-26
JP2010071179A JP2011200173A (ja) 2010-03-26 2010-03-26 脱穀装置
JP2010071180A JP5056882B2 (ja) 2010-03-26 2010-03-26 脱穀装置の選別制御装置
JPJP-P-2010-071179 2010-03-26
JP2010093383A JP5046140B2 (ja) 2010-04-14 2010-04-14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JP-P-2010-093383 2010-04-14
JPJP-P-2010-171663 2010-07-30
JP2010171663A JP5573463B2 (ja) 2010-07-30 2010-07-30 脱穀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395A Division KR101131821B1 (ko) 2010-03-26 2010-08-23 탈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237A KR20110108237A (ko) 2011-10-05
KR101269537B1 true KR101269537B1 (ko) 2013-06-04

Family

ID=446589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395A KR101131821B1 (ko) 2010-03-26 2010-08-23 탈곡 장치
KR1020100129628A KR101269537B1 (ko) 2010-03-26 2010-12-17 탈곡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395A KR101131821B1 (ko) 2010-03-26 2010-08-23 탈곡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1131821B1 (ko)
CN (2) CN102197749B (ko)
TW (2) TWI3965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03629B (zh) * 2012-06-18 2017-09-15 井关农机株式会社 联合收割机
KR101780662B1 (ko) * 2014-07-29 2017-09-21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곡립 배출장치
CN104737721B (zh) * 2015-03-04 2016-08-31 江苏大学 一种联合收获机自适应清选控制装置及其自适应清选方法
DE102017120674A1 (de) * 2017-09-07 2019-03-07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Mähdrescher
US11944040B2 (en) * 2021-02-02 2024-04-02 Cnh Industrial America Llc Closed loop combine cleaning fan control
DE102022104770A1 (de) * 2022-03-01 2023-09-07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Selbstfahrender Mähdrescher sowie Verfahren zu dessen Betrieb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634A (ja) * 1993-02-24 1994-09-06 Kubota Corp 脱穀装置における揺動選別装置
JP2001078537A (ja) * 1999-09-08 2001-03-27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穀粒水分測定装置
JP2002065040A (ja) * 2000-08-24 2002-03-05 Kubota Corp 選別装置
JP2010057430A (ja) * 2008-09-04 2010-03-18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脱穀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9022B2 (ja) * 1994-04-06 1999-09-13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における揺動選別装置
KR0127876B1 (ko) * 1994-07-28 1998-04-04 미츠이 고헤이 콤바인의 탈곡선별장치
TW396017B (en) * 1997-04-30 2000-07-01 Yanmar Agricult Equip Thresh sieve device of united harvest machine
JP2001275470A (ja) * 2000-03-30 2001-10-09 Kubota Corp 脱穀装置
JP2002186343A (ja) * 2000-12-20 2002-07-02 Iseki & Co Ltd 脱穀機の選別装置
JP2003111513A (ja) * 2001-10-02 2003-04-15 Iseki & Co Ltd 脱穀機の二番物選別装置
JP3777335B2 (ja) * 2002-03-07 2006-05-24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
CN2537917Y (zh) * 2002-03-29 2003-02-26 春兰(集团)公司 空调器室内机出风口框架闭合紧密的结构
CN2553612Y (zh) * 2002-07-12 2003-06-04 吴文珍 轴流式脱粒机
JP4316296B2 (ja) * 2003-05-30 2009-08-19 三菱農機株式会社 脱穀装置における選別風の案内部
JP2005253316A (ja) * 2004-03-09 2005-09-22 Iseki & Co Ltd 脱穀部の揺動選別棚
JP2005333892A (ja) * 2004-05-27 2005-12-08 Iseki & Co Ltd 脱穀部の揺動選別装置
JP4815793B2 (ja) * 2004-11-30 2011-11-16 井関農機株式会社 脱穀装置
JP2008237107A (ja) * 2007-03-27 2008-10-09 Iseki & Co Ltd 脱穀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634A (ja) * 1993-02-24 1994-09-06 Kubota Corp 脱穀装置における揺動選別装置
JP2001078537A (ja) * 1999-09-08 2001-03-27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穀粒水分測定装置
JP2002065040A (ja) * 2000-08-24 2002-03-05 Kubota Corp 選別装置
JP2010057430A (ja) * 2008-09-04 2010-03-18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脱穀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32280A (en) 2011-10-01
CN102197749B (zh) 2014-01-29
TWI396501B (zh) 2013-05-21
KR20110108227A (ko) 2011-10-05
KR101131821B1 (ko) 2012-04-12
CN102197748B (zh) 2014-01-08
TWI396500B (zh) 2013-05-21
CN102197748A (zh) 2011-09-28
KR20110108237A (ko) 2011-10-05
CN102197749A (zh) 2011-09-28
TW201132279A (en) 201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9537B1 (ko) 탈곡 장치
JP2015012877A (ja) 脱穀装置
JP5621628B2 (ja) 脱穀装置
JP5573463B2 (ja) 脱穀装置
JP4548454B2 (ja) コンバイン
JP5046140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5668335B2 (ja) 脱穀装置
JP2011244727A (ja) コンバイン
JP5712795B2 (ja) 脱穀装置
JP5240252B2 (ja) 脱穀装置
JP2013074858A (ja) コンバイン
JP2008283919A (ja) コンバイン
JP2011217707A5 (ko)
JP2016140281A (ja) コンバイン
JP2012115189A (ja) コンバイン
JP2008289455A (ja) コンバイン
JP2013070670A (ja) コンバイン
JP4009768B2 (ja) コンバイン
JP2012249548A5 (ko)
JP6048605B2 (ja) 脱穀装置
JP5617527B2 (ja) 脱穀装置
JP2005218309A (ja) 脱穀装置
JP2016158537A (ja)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5742001B2 (ja) 脱穀装置
JP2008271788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