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662B1 - 곡립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곡립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662B1
KR101780662B1 KR1020150097930A KR20150097930A KR101780662B1 KR 101780662 B1 KR101780662 B1 KR 101780662B1 KR 1020150097930 A KR1020150097930 A KR 1020150097930A KR 20150097930 A KR20150097930 A KR 20150097930A KR 101780662 B1 KR101780662 B1 KR 101780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onveying
conveying cylinder
curved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4526A (ko
Inventor
카즈시 오하라
지로 야마모토
타카토 무라세
쇼지 나카이
신 후타가미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54063A external-priority patent/JP633055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6483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618208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3124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7012060A/ja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4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8Air conduits or blowers for grain

Landscapes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의 과제는 신축 가능한 반송통을 구비한 곡립 배출장치에 있어서, 곡립을 보다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배출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신축 가능한 제 2 반송통(30)에, 제 1 반송통(20)의 선단부(20b)에 접속된 내측통(32)과, 이 내측통(32)의 외주에 신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진 외측통(31)을 구비하고, 내측통(32)의 기단부(32a)를 제 1 반송통(20)의 선단부(20b)에 삽입해서 고정하고, 내측통(32)의 내경을 제 1 반송통(20)의 내경 및 외측통(31)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설정하며, 내측통(32)에 있어서의 기단부(32a)의 내주면에 제 1 반송통(20)의 내주면과의 단차를 감소시키는 테이퍼(35)를 형성한다.

Description

곡립 배출장치{GRAIN DISCHARGE DEVICE}
본 발명은 곡립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콤바인 등에 사용되는 곡립 배출장치로서 송풍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반송풍에 의해, 그레인 탱크 내의 곡립을 배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콤바인은 주행장치를 구비한 차대 앞측에 예취장치를 설치하고, 차대의 상측에 조종부와 탈곡장치와 그레인 탱크를 설치하고, 이 그레인 탱크의 저부에 그레인 탱크 내의 곡립을 하방의 반송통 내로 반출하는 반출장치를 설치하고, 반송통의 입구측에 송풍장치를 설치하고, 반송통의 출구측에는 곡립 배출 안내용의 배출통을 설치한 구성이다.
또한, 이러한 배출통을 곡립의 반송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11-15589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9-201426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곡립 배출 안내용의 배출통은 길이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곡립의 배출처와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는 배출 작업에 시간을 요할 경우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배출통은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지만, 배출통을 신장시켰을 경우에 배출통 내의 반송풍의 풍속이 저하하여 반송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배출 작업에 요하는 시간이 길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곡립을 보다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배출 가능한 곡립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다음 기술수단에 의해 해결된다.
청구항 1에 의한 발명은, 곡립 반송용의 송풍장치(60)에 접속된 제 1 반송통(20)과, 이 제 1 반송통(20)의 선단부(20b)에 접속된 신축 가능한 제 2 반송통(30)을 구비하고, 곡립 저류장치(7)의 하부에 이 곡립 저류장치(7) 내의 곡립을 상기 제 1 반송통(20) 측으로 반출하는 반출장치(62)를 구비한 곡립 배출장치로서, 상기 제 2 반송통(30)에는 제 1 반송통(20)의 선단부(20b)에 접속된 내측통(32)과, 이 내측통(32)의 외주에 신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진 외측통(31)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통(32)의 기단부(32a)를 제 1 반송통(20)의 선단부(20b)에 삽입해서 고정하고, 상기 내측통(32)의 내경을 상기 제 1 반송통(20)의 내경 및 외측통(31)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설정하고, 상기 내측통(32)에 있어서의 기단부(32a)의 내주면에 제 1 반송통(20)의 내주면과의 단차를 감소시키는 테이퍼(35)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반송통(20)의 상부를 만곡시켜서 만곡부(20A)를 형성하고, 이 만곡부(20A)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롤러 형상의 제 1 지지 부재(22)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반송통(20)에 상기 제 1 지지 부재(22)와의 접촉 위치로부터 선단부(20b)에 걸쳐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직선부(20B)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립 배출장치이다.
청구항 2에 의한 발명은, 상기 만곡부(20A)를 덮는 만곡부 커버(23)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반송통(20)에 있어서의 만곡부(20A)의 하측의 직선 부분을 덮는 원통 형상의 수직부 커버(24)를 설치하고, 이 수직부 커버(24)의 상단부로부터 만곡부 커버 지지부(24a)를 상방을 향해 연장 돌출시켜서, 이 만곡부 커버 지지부(24a)에 상기 만곡부 커버(23)의 후방부를 좌우 방향의 승강축(23a)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켜서, 상기 만곡부 커버(23)가 승강축(23a)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회동함으로써, 상기 제 1 반송통(20)과 제 2 반송통(30)이 승강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곡립 배출장치이다.
청구항 3에 의한 발명은, 곡립의 배출을 정지 조작하는 정지 스위치(90)가 조작되었을 경우에 상기 반출장치(62)가 정지한 후에 상기 송풍장치(60)가 정지하는 구성으로 한 청구항 2에 기재된 곡립 배출장치이다.
청구항 4에 의한 발명은, 상기 제 2 반송통(30)을 수납 위치에 지지하는 제 2 지지 부재(33)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반송통(30)의 외측통(31)의 외주에 이 제 2 반송통(30)을 가장 단축해서 제 2 지지 부재(33)에 지지할 때에, 이 제 2 지지 부재(33)와 접촉하는 보강 부재(31A)를 구비한 청구항 3에 기재된 곡립 배출장치이다.
청구항 5에 의한 발명은, 상기 제 2 반송통(30)을 신축시키는 신축 구동장치(40)를 상기 내측통(32)의 기단부(32a)에 배치하고, 이 신축 구동장치(40)의 커버(44)의 기부에 가진 플랜지부(44a)를, 고정구(44b)를 통해서 상기 내측통(32)의 기단부(32a)에 고정한 청구항 4에 기재된 곡립 배출장치이다.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제 2 반송통(30)에는 제 1 반송통(20)의 선단부(20b)에 접속된 내측통(32)과, 이 내측통(32)의 외주에 신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진 외측통(31)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내측통(32)에 대하여 외측통(31)을 이동시켜서 제 2 반송통(30)을 신축시킬 수 있어 배출처와의 위치 관계 에 의하지 않고 곡립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내측통(32)의 내경을 제 1 반송통(20)의 내경 및 외측통(31)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내측통(32)에 있어서의 반송풍의 풍속이 제 1 반송통(20)에 있어서의 반송풍의 풍속보다 빨라지고, 내측통(32)에서의 곡립의 정체나 막힘을 방지하여 곡립을 스무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내측통(32)에 있어서의 기단부(32a)의 내주면에 제 1 반송통(20)의 내주면과의 단차를 감소시키는 테이퍼(35)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제 1 반송통(20)과 내측통(32)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단차에 의해서, 반송되는 곡립이 손상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송풍장치(6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의 유로인 제 1 반송통(20)과 제 2 반송통(30)에 있어서의 단차가 저감되므로, 공기의 압력손실이 저감된다.
또한, 제 1 반송통(20)의 상부를 만곡시켜서 만곡부(20A)를 형성하고, 이 만곡부(20A)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롤러 형상의 제 1 지지 부재(22)를 설치하고, 제 1 반송통(20)에 제 1 지지 부재(22)와의 접촉 위치로부터 선단부(20b)에 걸쳐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직선부(20B)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의 선회 방향(돌출 방향)에 관계 없이, 제 1 반송통(20)의 선단부(20b)가 내측통(32)의 기단부(32a)에 대하여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제 1 반송통(20)의 내측통(32)으로부터의 분리나, 절곡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송풍장치(60)로부터의 풍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22)에 의해서 제 1 반송통(20)의 만곡된 부위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함으로써 이 만곡된 부위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만곡부(20A)를 덮는 만곡부 커버(23)를 설치하였으므로, 제 1 반송통(20)의 만곡부(20A) 근방의 부위가 만곡부 커버(23)에 의해 덮혀져 보호된다.
또한, 제 1 반송통(20)에 있어서의 만곡부(20A)의 하측의 직선 부분을 덮는 원통 형상의 수직부 커버(24)를 설치하고, 이 수직부 커버(24)의 상단부로부터 만곡부 커버 지지부(24a)를 상방을 향해 연장 돌출시켜서, 이 만곡부 커버 지지부(24a)에 만곡부 커버(23)의 후방부를 좌우 방향의 승강축(23a)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켜서, 만곡부 커버(23)가 승강축(23a)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회동함으로써, 상기 제 1 반송통(20)과 제 2 반송통(30)을 승강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곡립의 배출을 정지 조작하는 정지 스위치(90)가 조작되었을 경우에 반출장치(62)가 정지한 후에 송풍장치(60)가 정지하므로, 정지 스위치(90)가 조작되었을 때에 반송 도중의 곡립이 제 1 반송통(20)이나 제 2 반송통(30)에 잔류하고 있어도 송풍장치(60)로부터 공기의 분출이 계속됨으로써 잔류하고 있는 곡립을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제 2 반송통(30)을 수납 위치에 지지하는 제 2 지지 부재(33)를 구비하고, 제 2 반송통(30)의 외측통(31)의 외주에 이 제 2 반송통(30)을 가장 단축해서 제 2 지지 부재(33)에 지지할 때에 이 제 2 지지 부재(33)와 접촉하는 보강 부재(31A)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지지 부재(33)와 제 2 반송통(30)의 접촉에 의한 제 2 반송통(30)의 변형을 억제하여 제 2 반송통(30)의 신축 동작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제 2 반송통(30)을 신축시키는 신축 구동장치(40)를 내측통(32)의 기단부(32a)에 배치하고, 이 신축 구동장치(40)의 커버(44)의 기부에 가진 플랜지부(44a)를 고정구(44b)를 통해서 내측통(32)의 기단부(32a)에 고정하고 있으므로, 제 2 반송통(30)을 원활하게 신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곡립 배출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곡립 배출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제 1 반송통과 제 2 반송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제 1 반송통과 제 2 반송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제어용의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제어장치에 있어서의 정보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곡립 배출장치를, 콤바인의 기체에 대하여 선회 및 신장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용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곡립 배출장치에 있어서의 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곡립 배출장치에 있어서의 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곡립 배출장치에 있어서의 요부의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곡립 배출장치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실시형태 1에 의한 곡립 배출장치를 구비한 콤바인(1)을 도 1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시와 같이 서로 직교하는 3가지 방향을 각각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이라 정의하고, 이 정의에 따라 각 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전후 방향은 콤바인(기체)(1)의 기체 길이 방향이며, 좌우 방향은 기체 폭 방향, 상하 방향은 기체의 높이 방향이다. 이들 방향은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편의상 정의한 것이며, 이들 방향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콤바인(1)은,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2)의 하방에 배치된 주행장치(3)와, 기체 프레임(2)의 전단부에 부착된 예취장치(4)와, 기체 프레임(2)의 상방 좌측(일측)에 탑재된 탈곡장치(5)와, 기체 프레임(2)상의 오른쪽 앞측에 배치된 운전부(6)와, 기체 프레임(2)의 상방 우측(타측)이며 운전부(6)의 후방에 배치된 그레인 탱크(곡립 저류장치)(7)와, 기체 프레임(2) 상이며 운전부(6)의 뒷쪽 하방에 배치된 디젤엔진(이하, 엔진이라고 한다)(8)이 탑재되어 있다. 콤바인(1)의 그레인 탱크(7)의 저부에는 송풍통(61)이 접속되고, 송풍통(61)에는 제 1 반송통(20)(배출통의 일부)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콤바인(1)은 제 1 반송통(20)의 입구측에 송풍장치(60)를 설치하고, 제 2 반송통(30)(배출통의 일부)의 출구측에는 곡립 배출 안내용의 배출장치(70)를 설치한 것이다. 여기에서, 배출통은, 주로 제 1 반송통(20)과 제 2 반송통(30)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곡립 배출장치는 이 배출통과, 배출장치(70) 및 송풍통(61) 등을 포함한다.
주행장치(3)는 기체 프레임(2)의 하방에 설치된다. 주행장치(3)는 엔진(8)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좌우 한쌍의 크롤러(3a)에 전달하여 콤바인(1)을 주행시킨다.
예취장치(4)는 기체 프레임(2)의 전방에 설치된다. 예취장치(4)는 엔진(8)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해서 곡간(穀桿)을 예취하고, 예취한 곡간을 탈곡장치(5)에 반송하는 것이다. 예취장치(4)는 후술하는 조작 패널 스위치(80)(도 5 참조)를 통해서 조작된다. 예취장치(4)는, 주로 예취부(4a)와 반송장치(4e)를 구비한다. 예취 동력 전달기구는 엔진(8)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예취부(4a) 및 반송장치(4e)에 전달하는 것이다.
예취부(4a)는 오거 프레임(4b)과, 오거(도시생략)와, 곡간 예취용의 주절단장치(4c)와, 레이킹 릴(4d)을 구비한다. 예취부(4a)는 제어장치(100)(도 5 참조)에 의해 제어되는 예취부 승강 유압실린더(예취부 승강 구동장치, 도시생략)에 의해 기체에 대한 상하 방향의 높이가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오거 프레임(4b)은 저판(4b1)과, 차폭 방향 좌우 한쌍의 좌우 측판(4b2)과, 뒷판(4b3)을 갖는다. 오거는 오거 프레임(4b) 내에 차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주절단장치(4c)는 왕복 이동하는 가동날(도시생략)이 고정날(도시생략)에 형성된 전후 방향의 간극을 통과함으로써 곡간을 절단한다. 주절단장치(4c)는 승강 실린더(도시생략)에 의해 승강된다. 주절단장치(4c)는 엔진(8)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해서 곡간을 예취하고, 이 곡간을 오거의 구동에 의해 거두어 들인다. 레이킹 릴(4d)은 식립 곡간을 일으켜 세우면서 주절단장치(4c) 및 오거측으로 레이킹하는 것이다. 레이킹 릴(4d)은 제어장치(100)에 의해 제어되는 레이킹 릴 승강 실린더(레이킹 릴 승강 구동장치, 도시생략)에 의해 예취부(4a)에 대한 상하 방향의 높이가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반송장치(4e)는 예취부(4a)의 뒷측, 보다 상세하게는 예취부(4a)와 탈곡장치(5) 사이에 설치된다. 반송장치(4e)는 주절단장치(4c)로 예취한 곡간을 엔진(8)의 구동력에 의해 예취부(4a)로부터 탈곡장치(5)로 반송하는 것이다.
탈곡장치(5)는 예취장치(4)의 뒷측이며 또한 그레인 탱크(7)의 측방에 설치되고, 상부의 탈곡부(도시생략)와 하부의 선별부(도시생략)를 갖는다. 탈곡부는 엔진(8)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반송된 곡간을 탈곡하는 것이다. 선별부는 엔진(8)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탈곡부에 의해 탈곡된 곡간의 짚 등의 협잡물과 곡립을 분리하는 장치이다.
운전부(6)는 작업자가 착좌한 상태에서 운전 조작이나 예취 조작 등을 행하기 위한 운전 좌석을 포함하는 것이다. 운전부(6)는 기체 프레임(2)의 앞측이며 또한 엔진(8)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부(6) 주위의 작업자가 착좌한 상태에서 조작 가능한 위치에는, 예를 들면 조작 패널 스위치(80), 표시 패널(도시생략), 예취장치(4)의 승강 조작을 행하기 위한 예취 승강 레버나, 배출통의 승강 조작이나 선회 조작, 신장 조작을 행하기 위한 배출 조작 레버(도시생략)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7)는 탈곡장치(5)에 의해서 선별된 곡립을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곡립 저류장치이다. 그레인 탱크(7)는 운전부(6)의 후방이며 또한 기체 프레임(2)의 차폭 방향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7)에는 배출통이 접속된다. 배출통은 엔진(8)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그레인 탱크(7) 내의 곡립을 반송하여 그레인 탱크(7)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그레인 탱크(7) 내의 곡립은 배출통 내, 구체적으로는 그레인 탱크(7)의 후방에 세워서 설치한 제 1 반송통(20) 내 및 그 제 1 반송통(20)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반송통(30) 내를 송풍장치(60)로부터의 풍력에 의해서 반송되어서 배출장치(70)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엔진(8)은 운전부(6)의 하방에 형성된 엔진 룸(도시생략)에 탑재되어 있다.
제 1 반송통(20)은 콤바인(1)의 뒷측에 설치된 탄성체(예를 들면, 합성 수지재)로 형성된 원통 부재(내경 d1)이며, 일단부(20a)가 후술하는 송풍장치(60)의 송풍통(61)에 접속되어 있다. 일단부(20a)와 송풍통(61)은 둘레면에 간극 없이 밀착된 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송풍통(61)의 입구측에는 후술하는 송풍장치(60)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반송통(20)에 있어서 송풍통(61)을 통해서 유입된 곡립은 풍력에 의해 제 1 반송통(20) 내를 반송되어서 제 2 반송통(30)으로 유입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반송통(20)에는 콤바인(1)의 뒷측의 상측에서 만곡된 만곡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반송통(20)의 타단부(20b)에는 제 2 반송통(30)의 내측통(32)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반송통(20)은 기체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다. 또한, 제 1 반송통(20)은 기체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다.
유압실린더 작용축(21)은 후술하는 선회 구동장치(50)의 유압실린더(51)와 접속되는 것이다. 유압실린더 작용축(21)은 좌우 방향이 축 방향과 일치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유압실린더 작용축(21)을 작용점(선회축)으로 해서 만곡부 커버(23)가 수직부 커버(24)에 대하여 승강축(23a)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반송통(20)과 접속된 제 2 반송통(30)은 기체에 대하여 승강한다.
또한, 수직부 커버(24)는 기체 프레임(2)의 상면 근방으로부터 만곡부 커버(23)의 하단부 근방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부재이며, 제 1 반송통(20)에 있어서의 만곡부(20A) 하측의 직선 부분을 피복하고 있다. 또한, 수직부 커버(24)는 선회 구동장치(50)의 전동 모터(도시생략)의 작동에 의해 원통 모양의 수직부 커버(24)의 중심 축선 둘레로 회전한다. 또한, 수직부 커버(24)의 상단부에는 만곡부 커버(23)의 후방부를 좌우 방향의 승강축(23a)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만곡부 커버 지지부(24a)가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지지 부재(제 1 지지 부재)(2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곡부(20A)에 있어서 제 1 반송통(20)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지지 부재(22)는 롤러 형상이며, 그 외주면 상측이 제 1 반송통(20)의 외주면 하측과 접촉해서 지지한다. 지지 부재(22)에 의해 제 1 반송통(20)은 지지 부재(22)와의 접촉 위치로부터 타단부(20b)에 걸쳐서 수평 형상으로 유지된, 즉 축방향이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직선부(20B)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의 선회 방향(돌출 방향)에 의하지 않고 제 1 반송통(20)의 타단부(20b)가 제 2 반송통(30)의 일단부(30a)에 대하여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제 1 반송통(20)은 만곡부(20A) 근방, 즉 콤바인(1)의 전후 방향의 후방 상부가 만곡부 커버(23)에 의해 덮여져 보호되어 있다.
제 2 반송통(30)은,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1)의 상측에 설치되고, 축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것이다. 제 2 반송통(30)은,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통(31)에 내측통(32)이 삽입된 2중 통구조의 강관이다. 이 외측통(31)은 내측통(32)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통(31)의 내경(d1)은 제 1 반송통(20)의 내경(d1)과 동일한 직경이다. 또한, 내측통(32)의 외경은 외측통(31)의 내경(d1)과 대략 동일한 직경이며, 내경 d1보다 조금 작게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동일한 직경이란 대략 동일한 직경(동일한 직경보다 약간 작거나, 동일한 직경보다 약간 크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내측통(32)의 일단부(기단부)(32a)[제 2 반송통(30)의 일단부(30a)]는 제 1 반송통(20)의 타단부(선단부)(20b)에 삽입되어 접속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외측통(31)의 타단부(선단부)(31b)[제 2 반송통(30)의 타단부(30b)]에는 후술하는 배출장치(70)가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제 2 반송통(30)은, 후술하는 조작 패널 스위치(80)를 통해서 후술하는 신축 구동장치(40)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선회 구동장치(50)에 의해 돌출 방향이 조절 가능하다. 예를 들면, 주행시를 포함하는 곡립의 비배출시 등에 있어서 제 2 반송통(30)은 내측통(32)에 대하여 외측통(31)을 후퇴 위치까지 후퇴시켜서[외측통(31) 내에 내측통(32)을 수용해서] 제 2 반송통(30)의 축 방향의 길이를 단축하고, 또한 선회 구동장치(50)를 제어해서 제 1 반송통(20)을 기체 상의 선회 수납 위치까지 선회 및 하강시켜서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을 수납 상태로 한다. 이 때, 제 2 반송통(30)은 후술하는 지지 부재(제 2 지지 부재) (33)(도 1 참조)에 적재되어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곡립의 배출 장소까지 이동했을 때 등에 있어서, 제 2 반송통(30)은 외측통(31)을 내측통(32)에 대하여 진출 위치까지 진출시켜서 제 2 반송통(30)의 길이를 신장하고, 또한 제 1 반송통(20)을 기체 상의 선회 돌출 위치까지 선회시켜서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을 돌출 상태로 한다. 이 때, 제 2 반송통(30)은 지지 부재(33)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후퇴 위치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측통(31)을 내측통(32)에 대하여 가장 후퇴시켜서 제 2 반송통(30)의 길이를 최단으로 한 위치이다.
선회 수납 위치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반송통(30)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 최하위[제 2 반송통(30)이 지지 부재(33)에 적재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제 2 반송통(30)의 배출장치(70)가 유압실린더 작용축(21)에 대하여 좌전방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의 위치이다. 또한,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이 선회 수납 위치에 위치할 경우에 있어서의, 제 1 반송통(20)의 기체에 대한 선회 각도를 선회 수납 각도라고 한다.
진출 위치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측통(31)을 내측통(32)에 대한 축 방향에 있어서의 진퇴 가능범위의 중간 위치까지 진출시킨 위치이;다.
선회 돌출 위치란 작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의 위치이다.
또한, 제 2 반송통(30)은 외측통(31)의 외주에 있어서 수납 상태에서 후술하는 지지 부재(33)와 접촉하는 위치에 보강 부재(31A)가 설치되어 있다. 보강 부재(31A)는 외측통(31)의 외주에 있어서 수납 상태에서 후술하는 지지 부재(33)와 접촉하는 위치를 보강하는 것이다. 보강 부재(31A)는 외측통(31)의 외주의 하측을 덮는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강 부재(31A)는 외측통(31)에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보강 부재(31A)의 축 방향의 길이는 외측통(31)보다 짧고, 지지 부재(33)와 접촉하는 위치를 덮을 수 있는 길이가 있으면 된다.
지지 부재(33)는 기체 상에 설치되고, 수납 상태에 있어서 외측통(31)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33)는 다리부(33a)와, 외측통 받침부(33b)를 갖는다. 다리부(33a)는 기체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 부재이다. 다리부(33a)의 상단부에는 외측통 받침부(33b)가 설치되어 있다. 외측통 받침부(33b)는 외측통(31)을 적재하는 것이다. 외측통 받침부(33b)는 외측통(31)의 외주부를 따르는 하측으로 볼록 형상의 곡면을 갖는다.
신축 구동장치(40)는 제어장치(100)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내측통(32)에 대하여 외측통(31)을 진퇴시켜서 제 2 반송통(30)을 신축시키는 것이다. 여기에서, 제 2 반송통(30)의 신축 방향은 내측통(32)의 축선 방향이다. 신축 구동장치(40)는 제 2 반송통(30)의 내측통(32)의 일단부(32a)에 고정된다. 신축 구동장치(40)는 주로, 축 부재(44c)와, 가동 부재(44d)와, 모터(43)와, 이것들을 수용하는 신축 구동장치 커버(44)를 구비한다. 또한, 신축 구동장치(40)는 만곡부 커버(23)에 고정할 수도 있다.
축 부재(44c)는 내측통(32), 외측통(31)으로부터 이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축 부재(44c)의 외주면에는 나선 형상의 맞물림 홈(도시생략)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가동 부재(44d)는 외측통(31)에 끼워맞춰지고, 모터(43)에 의해 축 부재(44c)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맞물림 홈과 맞물리면서 축 부재(44c)를 따라서 슬라이딩한다. 이 가동 부재(44d)는 외측통(31)의 외주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즉, 가동 부재(44d)가 맞물림 홈과 맞물리면서 축 부재(44c)를 따라서 슬라이딩하면, 외측통(31)이 내측통(32)에 대하여 이동해서 제 2 반송통(30)이 신축한다. 모터(43)는 가동 부재(44d)에 대하여,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모터(43)는 제어장치(100)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구동, 정지가 제어된다.
신축 구동장치 커버(44)는 외측통(31)과 내측통(32)의 외주면과 마찬가지로 만곡된 만곡면을 갖고 있고, 외측통(31)과 내측통(32)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신축 구동장치 커버(44)의 기부에 가진 플랜지부(44a)는 내측통(32)의 일단부(32a)에 고정구(44b)를 통해서 고정되어 있다. 외측통(31)은 신축 구동장치 커버(44)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다.
이러한 신축 구동장치(40)에 의해서, 제 2 반송통(30)의 외측통(31)은 내측통(32)에 대하여 내측통(32)의 일단부(32a)와 타단부(32b) 사이(진퇴 가능 범위)를 이동한다. 제 2 반송통(30)은 외측통(31)을 내측통(32)에 대하여 가장 후퇴시켰을 때에 최단으로 된다. 또한, 제 2 반송통(30)은 외측통(31)을 내측통(32)에 대하여 가장 진출시켰을 때에 최장으로 된다. 신축 구동장치(40)는 이러한 제 2 반송통(30)의 길이를 검출하는 배출통 위치 센서(40s)(도 5 참조)를 갖는다.
배출통 위치 센서(40s)는 제 2 반송통(30)의 길이를 검출해서 제어신호로서 제어장치(100)에 출력한다.
선회 구동장치(50)는 제어장치(100)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제 1 반송통(20)을 기체에 대하여 선회시키거나, 제 2 반송통(30)을 기체에 대하여 승강시키거나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제 1 반송통(20)의 기체에 대한 선회 방향은 제 1 반송통(20)의 기체 후방에 있어서의 수직부의 축선 주위로 선회하는 방향이다. 구체적으로, 제 1 반송통(20)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에 대하여 선회한다. 선회 구동장치(50)는 전동 모터(도시생략)와 유압실린더(51)를 갖고 있다. 전동 모터는 기체에 대하여 수직부 커버(24)를 수직부의 축선 주위로 선회시키고, 이것에 의해 만곡부 커버(23) 및 제 2 반송통(30)은 기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선회한다. 유압실린더(51)는 만곡부 커버(23)의 유압실린더 작용축(21)과 후술하는 수직부 커버(24)를 접속하고 있다. 유압실린더(51)는 수직부 커버(24)에 대하여 만곡부 커버(23)를 승강시키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유압실린더(51)는 제 2 반송통(30)을 기체에 대하여 승강시킨다. 유압실린더(51)는 제어장치(100)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구동, 정지가 제어된다. 선회 구동장치(50)는 이러한 제 1 반송통(20)의 기체 에 대한 수평 방향의 선회 각도를 검출하는 선회 각도 센서(50s)(도 5 참조)와 제 1 반송통(20)의 기체에 대한 승강 위치를 검출하는 승강 센서(도시생략)를 갖는다.
선회 각도 센서(50s)는 제 1 반송통(20)의 기체에 대한 선회 각도를 검출해서 제어신호로서 제어장치(100)에 출력한다. 선회 각도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반송통(20)이 기체 후방에 있어서의 수직부의 축선 주위로 선회한 각도이다.
승강 센서는 제 2 반송통(30)의 기체에 대한 승강 위치를 검출해서 제어신호로서 제어장치(100)에 출력한다.
송풍장치(6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7)에 저류된 곡립을 풍력으로 제 1 반송통(20)과 제 2 반송통(30)을 통해서 반송하기 위한 것이다. 송풍장치(60)는 회전체가 회전함으로써 외기를 흡입하여 송풍구(도시생략)로부터 공기를 분출한다. 송풍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는 송풍통(61)을 통과해서 제 1 반송통(20)의 입구측으로 유입된다. 송풍장치(60)로부터 분출된 공기에 의해서 곡립은 제 1 반송통(20), 제 2 반송통(30) 내를 반송되어서 출구측[배출장치(70)측]까지 반송된다.
배출장치(7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반송통(30)의 외측통(31)의 타단부(31b)에 설치되어 있다. 배출장치(70)는 제 2 반송통(30)의 축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개구된 배출구(71)를 갖는 것이며, 도전성 재료인 강판을 가공해서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71)는 하방을 향해서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배출구(71)까지 반송된 곡립은 하방으로 낙하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배출장치(70)는 곡립을, 예를 들면 가까이에 정차한 트럭의 짐받이 등의 배출처에 배출한다. 배출장치(70)의 배출구(71)는 제 2 반송통(30)의 외측통(31)의 타단부(31b)와 둘레면에 있어서 간극 없이 밀착된 상태에서 접속되어 있다.
조작 패널 스위치(8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립의 배출에 관계되는 조작을 행하는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고, 주로 자동 돌출 스위치(81), 자동 수납 스위치(82), 수동 상승 스위치(83), 수동 하강 스위치(84), 수동 우선회 스위치(85), 수동 좌선회 스위치(86), 수동 신장 스위치(87), 수동 단축 스위치(88)를 포함하는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 스위치(80)는 각 스위치의 ON, OFF를 제어신호로서 제어장치(100)에 출력한다.
또한, 조작 패널 스위치(80)는 곡립의 배출에 관계되는 조작을 행하는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고, 주로 배출 스위치(89)나, 정지 스위치(90)를 포함하는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 스위치(80)는 스위치의 ON, OFF를 제어신호로서 제어장치(100)에 전송한다.
배출 스위치(89)는 콤바인(1)으로부터 곡립의 배출을 개시하는 스위치이다. 배출 스위치(89)는 작업자에 의해 「ON(배출)」으로 되면, 그 취지의 제어신호를 제어장치(1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장치(100)에 의해 반출장치(62) 및 송풍장치(60)가 구동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배출 스위치(89)가 「ON(배출)」으로 되면, 그레인 탱크(7)로부터의 곡립의 배출이 개시된다.
정지 스위치(90)는 콤바인(1)으로부터의 곡립의 배출을 정지하는 스위치이다. 정지 스위치(90)는 작업자에 의해 「ON(정지)」으로 되면, 그 취지의 제어신호를 제어장치(1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장치(100)에 의해 반출장치(62)가 정지된 후에 송풍장치(60)가 정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정지 스위치(90)가 「ON(정지)」으로 되면 그레인 탱크(7)로부터의 곡립의 배출이 정지된다.
자동 돌출 스위치(81)는 외측통(31)을 내측통(32)에 대하여 진출 위치까지 진출시켜서 제 2 반송통(30)의 길이를 신장하고, 또한 제 1 반송통(20)을 기체 상의 선회 돌출 위치까지 선회시켜서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을 자동으로 돌출 상태로 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자동 돌출 스위치(81)는 작업자에 의해 온 조작(눌림)되면 그 취지의 제어신호를 제어장치(100)에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장치(100)에 의해 신축 구동장치(40) 및 선회 구동장치(50)가 구동된다.
자동 수납 스위치(82)는 외측통(31)을 내측통(32)에 대하여 후퇴 위치까지 후퇴시켜서 제 2 반송통(30)의 길이를 단축하고, 또한 제 1 반송통(20)을 기체 상의 선회 수납 위치까지 선회 및 하강시켜서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을 자동으로 수납 상태로 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자동 수납 스위치(82)는 작업자에 의해 온 조작(눌림)되면 그 취지의 제어신호를 제어장치(100)에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장치(100)에 의해 신축 구동장치(40) 및 선회 구동장치(50)가 구동된다.
수동 상승 스위치(83) 및 수동 하강 스위치(84)는 선회 구동장치(50)를 구동해서 제 1 반송통(20)을 승강시키기 위한 스위치이다.
수동 우선회 스위치(85) 및 수동 좌선회 스위치(86)는 선회 구동장치(50)를 구동해서 제 1 반송통(20)을 좌우 선회시키기 위한 스위치이다.
수동 신장 스위치(87) 및 수동 단축 스위치(88)는 신축 구동장치(40)를 구동해서 제 2 반송통(30)의 길이를 신축시키기 위한 스위치이다.
제어장치(100)는 조작 패널 스위치(80)의 각 스위치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어서 신축 구동장치(40)나 선회 구동장치(50)에 대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어장치(100)는 예취 승강 레버(90)의 조작에 의거하여 예취장치(4)의 예취부 승강 모터, 레이킹 릴 승강 모터에 대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장치(100)는 배출통 위치 센서(40s)나 선회 각도 센서(50s), 승강 센서 등으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된다.
제어장치(100)는 자동 돌출 스위치(81)의 온 조작(눌림)에 의거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신축 구동장치(40) 및 선회 구동장치(5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우선, 제 1 반송통(20)을 기체로부터 상승시켜서 제 2 반송통(30)이 지지 부재(33)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하고나서 외측통(31)을 내측통(32)에 대하여 진출 위치까지 진출시켜서 제 2 반송통(30)의 길이를 신장하고, 또한 제 1 반송통(20)을 기체 상의 선회 돌출 위치까지 선회시켜서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을 돌출 상태로 하는 제어를 행한다.
제어장치(100)는 자동 수납 스위치(82)의 온 조작(눌림)에 의거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신축 구동장치(40) 및 선회 구동장치(5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외측통(31)을 내측통(32)에 대하여 후퇴 위치까지 후퇴시켜서 제 2 반송통(30)의 길이를 단축하고, 또한 제 1 반송통(20)을 기체 상의 선회 수납 위치까지 선회 및 하강시켜서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을 수납 상태로 하는 제어를 행한다.
제어장치(100)는 수동 상승 스위치(83)의 온 조작(눌림)에 의거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선회 구동장치(5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 1 반송통(20)을 상승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어장치(100)는 수동 상승 스위치(83)의 오프 조작에 의거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선회 구동장치(50)를 정지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어장치(100)는 수동 하강 스위치(84)의 온 조작(눌림)에 의거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선회 구동장치(5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 1 반송통(20)을 하강시키는 제어를 도 6에 나타내는 플로우에 따라서 행한다(수동 하강시 처리). 또한, 제어장치(100)는 수동 하강 스위치(84)의 오프 조작에 의거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선회 구동장치(50)를 정지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수동 하강시 처리는 제 1 반송통(20)이 선회 수납 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외측통(31)이 내측통(32)에 대하여 후퇴 위치보다 진출되어 있을 경우, 선회 구동장치(50)에 의한 제 1 반송통(20)을 기체에 대하여 하강시키는 제어를 규제하는 처리이다. 이 수동 하강시 처리에 있어서, 제어장치(100)는 수동 하강 스위치(84)의 「ON」조작을 대기한다(스텝 S11). 구체적으로는, 제어장치(100)는 수동 하강 스위치(84)의 온 조작(눌림)에 의거하는 제어신호의 입력을 대기한다. 제어장치(100)는 수동 하강 스위치(84)의 온 조작이 없다고 판정했을 경우 (「No」의 경우), 제어장치(100)는 스텝 S11에 있어서 대기를 계속한다. 제어장치(100)는 수동 하강 스위치(84)의 온 조작이 있었다고 판정했을 경우 (「Yes」의 경우), 스텝 S12로 진행된다.
그리고, 제어장치(100)는 제 1 반송통(20)이 선회 수납 각도(선회 수납 위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2). 구체적으로, 제어장치(100)는 선회 각도 센서(50s)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제 1 반송통(20)이 선회 수납 각도(선회 수납 위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장치(100)는 선회 수납 각도(선회 수납 위치)라고 판정했을 경우 (「Yes」의 경우), 스텝 S13으로 진행된다. 제어장치(100)는 선회 수납 각도(선회 수납 위치)가 아니라고 판정했을 경우(「No」의 경우), 스텝 S14로 진행된다.
그리고, 제어장치(100)는 제 2 반송통(30)이 최단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3). 구체적으로, 제어장치(100)는 배출통 위치 센서(40s)로부터의 제어신호 에 의거하여 제 2 반송통(30)의 길이가 최단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장치(100)는 최단이라고 판정했을 경우(「Yes」의 경우), 스텝 S14로 진행된다. 제어장치(100)는 최단이 아니라고 판정했을 경우(「No」의 경우), 스텝 S15로 진행된다.
그리고, 제어장치(100)는 수동 하강 스위치(84)의 온 조작(눌림)에 의거하여 선회 구동장치(5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 1 반송통(20)을 하강시킨다(스텝 S14). 그리고, 제어장치(100)는 이 수동 하강시 처리에 있어서의 정보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제어장치(100)는 경보를 출력한다(스텝 S15). 구체적으로, 경보는 조작 패널 스위치(80)의 근방에 설치된 스피커를 포함하는 경보 출력장치로부터 음성을 출력해서 통지하거나, 조작 패널 스위치(80)의 근방에 설치된 모니터를 포함하는 경보 표시장치에 문자를 출력해서 통지하거나 한다.
그리고, 제어장치(100)는 경보의 해제를 대기한다(스텝 S16). 구체적으로, 제어장치(100)는 작업자에 의해 경보가 확인되어서 제 1 반송통(20)의 하강 조작을 계속하는 취지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한다. 제어장치(100)는 입력이 없다고 판정했을 경우(「No」의 경우), 스텝 S16에 있어서 대기를 계속한다. 제어장치(100)는 입력이 있었다고 판정했을 경우(「Yes」의 경우), 스텝 S14로 진행된다.
또한, 제어장치(100)는 배출 스위치(89)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근거해서 행하는 다음과 같은 처리가, 그 기능의 일부로서 실장되어 있다. 제어장치(100)는 배출 스위치(89)가 「ON(배출)」으로 된 것을 검출하면, 제어장치(100)는 반출장치(62)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함과 아울러 송풍장치(60)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어장치(100)로부터의 제어신호로 그레인 탱크(7) 내의 곡립이 풍력에 의해 제 1 반송통(20), 제 2 반송통(30)을 반송되어서 배출장치(70)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제어장치(100)는 정지 스위치(9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근거해서 행하는 다음과 같은 처리가, 그 기능의 일부로서 실장되어 있다. 제어장치(100)는 정지 스위치(90)로부터의 「ON(정지)」신호를 검출하면, 반출장치(62)를 정지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한 후에 송풍장치(60)를 정지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어장치(100)로부터의 제어신호로 그레인 탱크(7)로부터의 곡립의 배출이 정지된다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된 콤바인(1)의 곡립 반송시의 동작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탈곡장치(5)에 있어서 분리된 곡립은 그레인 탱크(7)에 저류된다. 작업자는 운전부(6)의 표시 패널을 확인해서 그레인 탱크(7)에 저류된 곡립이 가득차거나 또는 소정량 이상으로 된 것이 확인되면 콤바인(1)을 정차하고 트럭을 가까이에 정차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조작 패널 스위치(80)를 조작하여 트럭의 짐받이에 맞추어서 제 2 반송통(30)의 돌출 방향이나 길이를 조절하는 조작을 한다. 제어장치(100)는 조작 패널 스위치(80)로부터의 돌출 방향 조절의 제어신호를 검출하면, 제 2 반송통(30)의 회동 구동장치에 대하여 돌출 방향을 소정 각도로 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2 반송통(30)의 돌출 방향이 조절된다. 또한, 제어장치(100)는 조작 패널 스위치(80)로부터의 길이 조절의 제어신호를 검출하면, 제 2 반송통(30)의 신축 구동장치에 대하여 외측통(31)을 전후 방향의 전방으로 인출하여 소정의 길이로 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콤바인(1)의 배출장치(70)의 배출구(71)가 트럭의 짐받이의 상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조작 패널 스위치(80)의 배출 스위치(89)를 누른다. 제어장치(100)는 배출 스위치(89)로부터의 「온(배출)」신호를 검출하면, 반출장치(62)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함과 아울러 송풍장치(60)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콤바인(1)은 그레인 탱크(7) 내의 곡립을, 풍력에 의해 제 1 반송통(20), 제 2 반송통(30)을 반송하여 배출장치(70)로부터 외부로 배출한다.
여기에서, 곡립이 제 1 반송통(20), 제 2 반송통(30)의 내측통(32), 외측통(31)을 반송될 때의 반송풍의 풍속과, 곡립의 유속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반송통(20)의 내경(d1)과 외측통(31)의 내경(d1)은 동일한 직경이며, 내측통(32)의 내경(d2)은 d1보다 조금 작은 직경으로 설정되어 있다. 내경 d2는 d1보다 작은 직경이기 때문에, 내측통(32)에 있어서의 반송풍의 풍속 및 곡립의 유속은 제 1 반송통(20)에 있어서의 반송풍의 풍속 및 곡립의 유속보다 빨라진다. 또한, 내경 d1이 d2보다 큰 직경이기 때문에, 외측통(31)에 있어서의 반송풍의 풍속 및 곡립의 유속은 내측통(32)에 있어서의 반송풍의 풍속 및 곡립의 유속보다 느려지고, 제 1 반송통(20)에 있어서의 반송풍의 풍속 및 곡립의 유속과 동등해진다.
작업자는 운전부(6)의 표시 패널을 확인해서 그레인 탱크(7)에 저류된 곡립이 없어진(배출이 완료된) 것을 알면, 조작 패널 스위치(80)의 정지 스위치(90)를 누른다. 제어장치(100)는 정지 스위치(90)로부터의 「ON(정지)」신호를 검출하면 반출장치(62)를 정지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제 1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송풍장치(60)를 정지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그레인 탱크(7)로부터의 곡립의 배출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원하는 범위의 예취 작업이 종료할 때까지 콤바인(1)을 주행하면서 예취장치(4)에 의해 곡간을 예취하고, 탈곡장치(5)에 의해서 탈곡하여 배출장치(70)로부터 곡립을 트럭에 배출하는 것이 반복된다.
이어서, 콤바인(1)의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의 자동 돌출시의 동작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작업자는, 예를 들면 포장에 있어서 곡립의 배출 장소까지 콤바인(1)을 이동시킬 때에, 운전부(6)의 조작 패널 스위치(80)의 자동 돌출 스위치(81)를 조작하여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의 자동 돌출 조작을 한다.
제어장치(100)는 자동 돌출 스위치(81)의 온 조작(눌림)에 의거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신축 구동장치(40) 및 선회 구동장치(5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외측통(31)을 내측통(32)에 대하여 진출 위치까지 진출시켜서 제 2 반송통(30)의 길이를 신장하고, 또한 제 1 반송통(20)을 기체 상의 선회 돌출 위치까지 선회시켜서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을 돌출 상태로 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 때, 제 2 반송통(30)은 제 1 반송통(20)과 함께 선회하고 있으므로 지지 부재(33)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작업자는 콤바인(1)이 배출 장소에 도착하면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을, 예를 들면 가까이에 정차한 트럭의 짐받이 등의 배출처의 위치에 맞추어서 제 2 반송통(30)을 선회 돌출 위치로부터 신장시키거나, 제 1 반송통(20)을 선회 돌출 위치로부터 선회시키거나 한다.
계속해서, 콤바인(1)의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의 자동 수납시의 동작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작업자는, 예를 들면 포장을 주행해서 이랑을 통과하는 것이 상정될 때에, 운전부(6)의 조작 패널 스위치(80)의 자동 수납 스위치(82)를 조작하여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의 자동 수납 조작을 한다.
제어장치(100)는 자동 수납 스위치(82)의 온 조작(눌림)에 의거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신축 구동장치(40) 및 선회 구동장치(5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외측통(31)을 내측통(32)에 대하여 후퇴 위치까지 후퇴시켜서 제 2 반송통(30)의 길이를 단축하고, 또한 제 1 반송통(20)을 기체 상의 선회 수납 위치까지 선회 및 하강시켜서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을 수납 상태로 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 때, 제 2 반송통(30)은 지지 부재(33)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 2 반송통(30)의 지지 부재(33)와의 접촉 위치에는 보강 부재(31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콤바인(1)은 포장을 주행해서 이랑을 통과했을 때 등에 기체가 크게 상하로 진동해서 기체 상의 지지 부재(33)와 반송통의 제 2 반송통(30)이 접촉했다고 해도, 보강 부재(31A)에 의해 변형이 억제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1에 의한 곡립 배출장치에 있어서 곡립 배출장치가 제 1 반송통(20)과 신축하는 제 2 반송통(30)을 갖고 있으므로, 제 2 반송통(30)을 신축시킴으로써 곡립 배출장치의 길이를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반송통(30)을 신축시킴으로써 배출처로서의 트럭의 짐받이나 컨테이너와의 위치 관계에 의하지 않고, 곡립을 보다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제 1 반송통(20)의 타단부(20b)에 제 2 반송통(30)의 일단부(30a)가 삽입되어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반송통(30)의 신축시에도 제 1 반송통(20)에 마찰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제 1 반송통(20)의 내경(d1)과 제 2 반송통(30)의 외측통(31)의 내경(d1)은 동일한 직경이며, 제 1 반송통(20)과 제 2 반송통(30)에 있어서 내압[송풍장치(6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의 압력]이 저하할 일도 없다. 이것에 의해, 곡립 배출장치는 반송풍에 의한 곡립의 반송시에 제 1 반송통(20)과 제 2 반송통(30)에 있어서의 반송풍의 풍속 및 곡립의 유속이 저하하지 않으므로, 충분한 풍력에 의해 곡립의 막힘을 방지하여 곡립을 스무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반송통(30)의 내측통(32)의 내경(d2)을 제 1 반송통(20) 및 외측통(31)의 내경(d1)보다 작은 직경으로 하고 있으므로, 내측통(32)에 있어서의 반송풍의 풍속 및 곡립의 유속을 증가시켜서 반송 경로의 중간부이며 곡립의 정체가 발생하기 쉬운 내측통(32) 내에서의 곡립의 정체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측통(31)의 내경(d1)이 제 1 반송통(20)의 내경(d1)과 동등하고, 또한 내측통(32)의 내경(d2)보다 작은 직경이므로, 외측통(31)에 있어서의 반송풍의 풍속이 내측통(32)에 있어서의 풍속보다 작아진다. 그 때문에, 외측통(31)의 타단부(31b)로부터 배출장치(70)를 향해서 고속으로 곡립이 송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출장치(70)의 내벽에 곡립이 충돌해서 손상되는 것이나, 배출장치(70)의 배출구(71)로부터 다량의 진애가 날아 올라가서 작업환경이 악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반송통(20)의 내경(d1)과 제 2 반송통(30)의 외측통(31)의 내경(d1)은 종래의 콤바인의 배출 오거와 동등하여 배출통을 대형화하지 않아도 되므로 콤바인(1)의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다.
또한, 지지 부재(22)에 의해서 제 1 반송통(20)의 만곡부(20A)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지지 부재(22)와의 접촉 위치로부터 타단부(20b)에 걸쳐서 제 1 반송통(20)이 수평 상태로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반송통(30)의 돌출 방향에 의하지 않고 제 1 반송통(20)의 타단부(20b)가 제 2 반송통(30)의 일단부(30a)에 대하여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므로, 제 1 반송통(20)의 분리, 절곡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송풍장치(60)로부터의 풍력을 안정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22)에 의해서 제 1 반송통(20)의 만곡부(20A)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함으로써 만곡부(20A)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정지 스위치(90)가 눌렸을 때에는 반출장치(62)를 정지한 후에 송풍장치(60)가 정지된다. 이 때문에, 정지 스위치(90)가 눌린 타이밍에서 반송 도중의 곡립이 제 1 반송통(20)이나 제 2 반송통(30)에 잔류하고 있어도, 송풍장치(60)로부터 공기의 분출이 계속됨으로써 잔류하고 있는 곡립도 배출장치(70)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33)는 기체(1) 상에 설치되고,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의 수납 상태에 있어서 외측통(31)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또한, 보강 부재(31A)는 외측통(31)의 외주에 있어서 수납 상태에서 지지 부재(33)와 접촉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에 의해, 곡립 배출장치는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이 수납 상태로 되었을 때에, 지지 부재(33)에 의해 외측통(31)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어 외측통(31)의 외주에 있어서 지지 부재(33)와 접촉하는 위치에 보강 부재(31A)가 설치되어서 보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콤바인(1)이 포장을 주행해서 이랑을 통과했을 때 등에 기체가 크게 상하로 진동하여 기체 상의 지지 부재(33)와 반송통의 제 2 반송통(30)이 접촉했다고 해도, 제 2 반송통(30)은 보강 부재(31A)에 의해서 보강되어 있으므로 변형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콤바인(1)은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의 수납 상태에 있어서 제 2 반송통(30)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콤바인(1)이 포장을 주행해서 이랑을 통과하는 것이 상정될 때에는, 작업자는 자동 수납 스위치(82)를 온 조작(누름)해서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을 자동 수납 상태로 해 두면 좋다. 작업자가 자동 수납 스위치(82)를 온 조작(누름)하면, 제어장치(100)는 신축 구동장치(40)를 제어해서 외측통(31)을 내측통(32)에 대하여 후퇴 위치까지 후퇴시켜서 제 2 반송통(30)의 길이를 단축하고, 또한 선회 구동장치(50)를 제어해서 제 1 반송통(20)을 기체 상의 선회 수납 위치까지 선회 및 하강시켜서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을 수납 상태로 한다. 즉, 작업자는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을 수납 상태로 하기 위해서 자동 수납 스위치(82)를 사용하면 되고, 수동으로 신축 구동장치(40)이나 선회 구동장치(50)를 조작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자동 수납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 의한 곡립 배출장치는 제 2 반송통(30)의 손상을 억제해서 변형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 2 반송통(30)의 신축시에 동작을 방해할 수 있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 의한 곡립 배출장치는 자동 돌출 스위치(81)가 온 조작(눌림)되면, 외측통(31)을 내측통(32)에 대하여 진출 위치까지 진출시켜서 제 2 반송통(30)의 길이를 신장하고, 또한 제 1 반송통(20)을 기체 상의 선회 돌출 위치까지 선회시켜서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을 돌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포장에 있어서 곡립의 배출 장소까지 콤바인(1)을 이동시킬 때에, 작업자는 자동 돌출 스위치(81)를 온 조작(누름)해서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을 돌출 상태로 해 두면 좋다. 콤바인(1)이 배출 장소에 도착하면 제 1 반송통(20) 및 제 2 반송통(30)을, 예를 들면 가까이에 정차한 트럭의 짐받이 등의 배출처의 위치에 맞추어서 제 2 반송통(30)을 선회 돌출 위치로부터 신장시키거나, 제 1 반송통(20)을 선회 돌출 위치로부터 선회시키거나 할 수 있다. 이 때, 제 2 반송통(30)의 길이가 신장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제 2 반송통(30)을 더욱 신장할 때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제 2 반송통(30)의 길이를 최단으로 한 상태로부터 신장할 때에 요하는 시간보다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반송통(30)을 수축할 때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제 2 반송통(30)의 길이를 최장으로 한 상태로부터 단축할 때에 요하는 시간보다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 의한 곡립 배출장치는 수동 하강 스위치(84)가 온 조작(눌림)되면, 제어장치(100)에 의해 수동 하강시 처리가 실행된다. 즉, 제어장치(100)는 제 1 반송통(20)이 선회 수납 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외측통(31)이 내측통(32)에 대하여 후퇴 위치보다 진출하고 있을 경우, 선회 구동장치(50)에 의한 제 1 반송통(20)을 기체에 대하여 하강시키는 제어를 규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곡립 배출장치는 제 2 반송통(30)이 지지 부재(33)와 접촉해서 손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이어서, 도 9를 참조하여 실시형태 2에 의한 곡립 배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2에 의한 콤바인(1)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콤바인(1)과, 제 2 반송통(30)의 내측통(32)의 일단부(32a) 내주면에 테이퍼(35)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해서 설명을 생략한다.
테이퍼(35)는 제 2 반송통(30)의 내측통(32)의 일단부(32a) 내주면의 내경이 선단측(도 9 중의 좌측 방향)을 향해서 서서히 커지도록 가공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내측통(32)의 일단부(32a)와 제 1 반송통(20)의 단차가 작아져, 제 1 반송통(20)의 내경(d1)과 내측통(32)의 내경(d2)의 차가 연속적으로 변화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2에 의한 곡립 배출장치에 의하면 제 2 반송통(30)의 내측통(32)의 일단부(32a)와 제 1 반송통(20)의 단차가 작아져, 제 1 반송통(20)의 내경(d1)과 내측통(32)의 내경(d2)의 차가 연속적으로 변화된다. 이 때문에, 제 1 반송통(20)과 내측통(32)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단차에 의해서, 반송되는 곡립이 손상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송풍장치(6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의 유로인 제 1 반송통(20)과 제 2 반송통(30)에 있어서의 단차가 저감되므로 공기의 압력손실이 저감된다.
[실시형태 3]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3에 의한 곡립 배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3에 의한 콤바인(1)은, 실시형태 1, 실시형태 2에 의한 곡립 배출장치와, 테이퍼(36)가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해서 설명을 생략한다.
테이퍼(36)는 링 형상의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고, 내측통(32)의 일단부(32a)에 설치되어 있다. 테이퍼(36)의 외주면은 제 1 반송통(20)의 타단부(20b)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테이퍼(36)는 그 내경이 선단측(도 10 중의 좌측 방향)을 향해서 서서히 커지도록 가공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3에 의한 곡립 배출장치에 의하면, 테이퍼(36)는 내측통(32)과는 별개의 부재의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고, 내측통(32)의 일단부(32a) 내주면을 테이퍼 형상으로 가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공이 용이하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에 의한 곡립 배출장치는, 상술한 실시형태 1 내지 3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7 : 곡립 저류장치 20 : 제 1 반송통
20b : 타단부(선단부) 22 : 지지 부재(제 1 지지 부재)
30 : 제 2 반송통 31 : 외측통
31A : 보강 부재 32 : 내측통
32a : 일단부(기단부) 33 : 지지 부재(제 2 지지 부재)
35 : 테이퍼 40 : 신축 구동장치
44 : 커버 44a : 플랜지부
44b : 고정구 60 : 송풍장치
62 : 반출장치 90 : 정지 스위치

Claims (5)

  1. 곡립 반송용의 송풍장치(60)에 접속된 제 1 반송통(20)과, 이 제 1 반송통(20)의 선단부(20b)에 접속된 신축 가능한 제 2 반송통(30)을 구비하고, 곡립 저류장치(7)의 하부에 이 곡립 저류장치(7) 내의 곡립을 상기 제 1 반송통(20) 측으로 반출하는 반출장치(62)를 구비한 곡립 배출장치로서,
    상기 제 2 반송통(30)에는 제 1 반송통(20)의 선단부(20b)에 접속된 내측통(32)과, 이 내측통(32)의 외주에 신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진 외측통(31)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통(32)의 기단부(32a)를 제 1 반송통(20)의 선단부(20b)에 삽입해서 고정하고,
    상기 내측통(32)의 내경을 상기 제 1 반송통(20)의 내경 및 외측통(31)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설정하고,
    상기 내측통(32)에 있어서의 기단부(32a)의 내주면에 제 1 반송통(20)의 내주면과의 단차를 감소시키는 테이퍼(35)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반송통(20)의 상부를 만곡시켜서 만곡부(20A)를 형성하고,
    이 만곡부(20A)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롤러 형상의 제 1 지지 부재(22)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반송통(20)에 상기 제 1 지지 부재(22)와의 접촉 위치로부터 선단부(20b)에 걸쳐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직선부(20B)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립 배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20A)를 덮는 만곡부 커버(23)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반송통(20)에 있어서의 만곡부(20A)의 하측의 직선 부분을 덮는 원통 형상의 수직부 커버(24)를 설치하고,
    이 수직부 커버(24)의 상단부로부터 만곡부 커버 지지부(24a)를 상방을 향해 연장 돌출시켜서, 이 만곡부 커버 지지부(24a)에 상기 만곡부 커버(23)의 후방부를 좌우 방향의 승강축(23a)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켜서, 상기 만곡부 커버(23)가 승강축(23a)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회동함으로써, 상기 제 1 반송통(20)과 제 2 반송통(30)이 승강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립 배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곡립의 배출을 정지 조작하는 정지 스위치(90)가 조작되었을 경우에 상기 반출장치(62)가 정지한 후에 상기 송풍장치(60)가 정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립 배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송통(30)을 수납 위치에 지지하는 제 2 지지 부재(33)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반송통(30)의 외측통(31)의 외주에 이 제 2 반송통(30)을 가장 단축해서 제 2 지지 부재(33)에 지지시킬 때에, 이 제 2 지지 부재(33)와 접촉하는 보강 부재(31A)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립 배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송통(30)을 신축시키는 신축 구동장치(40)를 상기 내측통(32)의 기단부(32a)에 배치하고, 이 신축 구동장치(40)의 커버(44)의 기부에 가진 플랜지부(44a)를, 고정구(44b)를 통해서 상기 내측통(32)의 기단부(32a)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립 배출장치.
KR1020150097930A 2014-07-29 2015-07-09 곡립 배출장치 KR1017806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54063A JP6330551B2 (ja) 2014-07-29 2014-07-29 コンバイン
JPJP-P-2014-154063 2014-07-29
JPJP-P-2015-064835 2015-03-26
JP2015064835A JP2016182088A (ja) 2015-03-26 2015-03-26 コンバイン
JPJP-P-2015-131245 2015-06-30
JP2015131245A JP2017012060A (ja) 2015-06-30 2015-06-30 穀粒排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526A KR20160014526A (ko) 2016-02-11
KR101780662B1 true KR101780662B1 (ko) 2017-09-21

Family

ID=55043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930A KR101780662B1 (ko) 2014-07-29 2015-07-09 곡립 배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80662B1 (ko)
CN (1) CN204948829U (ko)
TW (1) TWI61061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68688A1 (en) * 2020-05-29 2021-12-02 Deere & Company Crop flow nozz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4347B (zh) * 2017-02-16 2018-10-12 马玉荣 一种用于农业稻谷剥壳机的谷粒下料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5855A (ja) * 1999-08-03 2001-02-20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伸縮式穀粒移送装置
JP2005210943A (ja) 2004-01-28 2005-08-11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等の穀粒伸縮排出装置
JP4126480B2 (ja) * 2000-06-09 2008-07-30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排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8551B2 (ja) 2008-02-28 2012-09-05 井関農機株式会社 穀粒排出装置
JP5353737B2 (ja) 2010-01-30 2013-11-27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N201504415U (zh) * 2009-04-03 2010-06-16 富振林 一种谷物留种专用联合收割机
TWI396500B (zh) * 2010-03-26 2013-05-21 Iseki Agricult Mach Deforest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5855A (ja) * 1999-08-03 2001-02-20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伸縮式穀粒移送装置
JP4126480B2 (ja) * 2000-06-09 2008-07-30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排出装置
JP2005210943A (ja) 2004-01-28 2005-08-11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等の穀粒伸縮排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68688A1 (en) * 2020-05-29 2021-12-02 Deere & Company Crop flow nozzle
US11737394B2 (en) * 2020-05-29 2023-08-29 Deere & Company Crop flow nozz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4948829U (zh) 2016-01-13
TW201607422A (zh) 2016-03-01
KR20160014526A (ko) 2016-02-11
TWI610616B (zh)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337B1 (ko) 파이프 가공 장치용의 가변적 언로딩 장치
JP5968249B2 (ja) タイヤ加硫機のアンローディング装置、及び、タイヤ加硫機
KR101780662B1 (ko) 곡립 배출장치
CN106120517A (zh) 具有用于装料过程的提升装置的建筑机械
KR101997576B1 (ko) 조관기용 멀티 커팅 시스템
JP6342316B2 (ja) コンバイン
JP2017012060A (ja) 穀粒排出装置
JPH09271255A (ja)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装置
KR200346077Y1 (ko) 타이어 벨트 공급장치
JP3757593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搬出装置
JP2001038569A (ja) クロップ処理装置及びクロップ処理方法
US11745952B1 (en) Multi-sectioned boom conveyor assembly having hinged telescoping boom section
JP2005343110A (ja) 溶融合成樹脂供給装置
JP5060140B2 (ja) コンバイン
WO2020021805A1 (ja) ゴム材料供給装置、及びゴム押出装置
JP3852220B2 (ja) 穀粒排出装置
JP3653974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搬出装置
JP2005329687A (ja) ミキサー車のシュート装置
JP2004268523A (ja) プリフォームのゲートカット装置
JP2009142192A (ja) コンバイン
JP3849303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搬出オーガ制御装置
KR101545140B1 (ko) 강관 내면 용접설비의 붐 얼라인먼트 장치
JP5066939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装置
JP2016182088A (ja) コンバイン
JP4125457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