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179B1 -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179B1
KR101267179B1 KR1020100113857A KR20100113857A KR101267179B1 KR 101267179 B1 KR101267179 B1 KR 101267179B1 KR 1020100113857 A KR1020100113857 A KR 1020100113857A KR 20100113857 A KR20100113857 A KR 20100113857A KR 101267179 B1 KR101267179 B1 KR 101267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k
liver function
hangover
composition
bar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2614A (ko
Inventor
강연주
Original Assignee
강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연주 filed Critical 강연주
Priority to KR1020100113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179B1/ko
Publication of KR20120052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1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5Ericaceae or Vacciniaceae (Heath or Blueberry family), e.g. blueberry, cranberry or bilber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만병초, 지구목, 엄나무, 보릿잎, 도토리, 조릿대, 오리목, 창출, 두릅피, 다래목, 가래나무, 산앵도 및 노나무를 일정성분비로 배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식품조성물은 생약제를 사용하여 안전하며, 특정한 비율로 혼합된 생약제 추출물이 간기능 개선 효과의 상승작용을 유발함으로써 우수한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효과를 나타내므로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reducing alcoholic hangup and improving liver function containing herbal extracts}
본 발명은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만병초, 지구목, 엄나무, 보릿잎, 도토리, 조릿대, 오리목, 창출, 두릅피, 다래목, 가래나무, 산앵도 및 노나무를 일정성분비로 배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은 인체에서 혈액 저장 및 순환, 해독작용을 하는 중요한 장기이다. 우리 몸이 각종 공해물질, 유독 물질에 노출됨에 따라 간에 과부하가 걸리게되고, 더욱이 정신적인 스트레스, 과음 및 흡연 등은 심각한 간 손상을 유발하고 있다. 간은 완충능력이 큰 기관으로 질환의 초기단계에서는 그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고 상당히 악화되어서야 질환을 발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간독성을 일으키는 유발물질에는 사염화탄소, D-갈락토사민 등이 있는데, 지방족 할로겐 탄화수소인 사염화탄소는 생체막의 손상을 초래하여 간과 신장에 독성 작용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문헌 1; 한국특허공개 제2002-81995호 문헌 2; 한국특허공개 제2002-64151호 문헌 3; 한국특허공개 제2002-86963호 최근에는 이러한 간 독성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천연물 유래의 식품이나 약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일예로서 특허문헌 1에는 감껍질, 미나리, 인진, 오미자, 녹두, 칡, 밤, 감초를 각각 1종 또는 2종 이상의 원료로 배합을 달리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숙취 해소와 간 기능의 개선 효과가 있는 배합식품이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문헌 2에는 헛개나무로부터 분리된 간독성 및 숙취해소 활성을 갖는 저급알코올 불용성 추출 분획, 다당체 물질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지구자 열매의 활성 성분인 호베노둘리놀을 함유하는 알코올 분해제 또는 숙취 해소제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는 임상적으로 간 독성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생약제들의 탐색 및 배합비 연구를 통하여 간기능 개선, 간 독성치료 및 숙취해소 효능이 우수한 한방복합제제에 관하여 연구하였으며, 이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생약제들을 특정의 비율로 혼합 추출함으로써 안전하고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 효과가 우수한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약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만병초, 지구목, 엄나무, 보릿잎, 도토리, 조릿대, 오리목, 창출, 두릅피, 다래목, 가래나무, 산앵도 및 노나무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만병초, 지구목, 엄나무, 보릿잎, 도토리, 조릿대, 오리목, 창출, 두릅피, 다래목, 가래나무, 산앵도 및 노나무를 3~5 : 15~20 : 15~25 : 25~30 : 15~30 : 6~15 : 25~30 : 10~15 : 23~30 : 4~9 : 3~9 : 5~9 : 15~30의 중량비로 혼합한 복합생약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복합생약에 3~5 배 부피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6~10시간 끓이는 단계; 상기 생약재를 건져내고 남은 추출액을 졸이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에 전분을 섞어 환이나 과립으로 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만병초, 지구목, 엄나무, 보릿잎, 도토리, 조릿대, 오리목, 창출, 두릅피, 다래목, 가래나무, 산앵도 및 노나무를 3:15:15:25:30:6:30:10:30:9:9:9: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전분은 감자전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식품조성물은 생약제를 사용하여 안전하며, 특정한 비율로 혼합된 생약제 추출물이 간기능 개선 효과의 상승작용을 유발함으로써 우수한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효과를 나타내므로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생약제인 만병초(Rhododendorn brachycarpum D. Don var. brachycarpum)는 진달래과 진달래속에 속하는 고산지대에 많이 자라는 늘 푸른 나무이다. 만병초의 잎은 고혈압을 비롯하여 강장제, 이뇨제, 신장약으로 주로 쓰이며 감기, 두통, 불임증, 발기부전, 관절통 등에도 처방되기도 한다.
지구목(헛개나무; Hovenia dulcis)은 전통적으로 과병(果柄)을 달여서 복용하면 주독을 해독하고, 구토를 멎게 하는 작용이 있다고 전해지고 있다. 고대 한방에서는 이 지구자 나무가 술을 썩히는 작용이 있다고 하며, 생즙은 술독을 풀고 구역질을 멎게 한다고 하였다. 전통적으로 종자는 주정중독(酒精中毒), 소변불리(小便不利) 및 구토에, 과경은 건위(健胃), 자양보혈(慈養補血)에 효과가 있다고 전해진다. 지구목의 잎, 줄기, 열매 등의 추출물들이 숙취 해소 및 혈중 알코올 분해 촉진 기능 및 간 기능 활성에 효과가 있다는 결과들이 생체외 실험, 생체내 실험 및 임상 실험 등을 통해 발표되고 있다.
엄나무 수피는 한방에서 해동피(海桐皮)라 불리며 간과 신경통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잎과 수피에는 탄닌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심재에는 폴리아세틸렌 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오리목(Alnus japonica Steud.)은 자작나무과에 딸린 낙엽큰키나무로서 유리목(楡里木) 또는 적양(赤楊)이라고도 하며 중국에서는 다조(茶條)라고 한다. 반드시 깊은 산속에 있는 토종 조선오리나무라야 술독을 풀고 간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주요 성분은 탄닌, 트리테르페노이드인 타락세롤, 베툴린산, 정유 등이다. 이 나무는 간염, 간경화, 지방간 등 갖가지 간질환에 치료효과가 뛰어난 약목(藥木)으로 알려져 있다.
다래(Actinidia arguta)는 다래나무과( Actinidiaceae )에 속하며 시베리아, 중국 북부, 한국이 원산지이다. 이와 유사한 종으로는 30종 이상이 보고되어 있고, 그 중 대표적인 것은 취다래(A. kolomikta), 개다래(A. polygama), 섬다래(A. rupa)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키위로 알려진 참다래(A. chinensis or A. deliciosa) 역시 다래나무과에 속하는 식물이다. 다래는 미후도라는 한약재로 사용되는데, 다래나무 및 동속근연식물의 과실을 포함하고, 성질이 차고 독성이 없으며 간장질환과 위장질환의 치료 또는 비뇨기결석 치료에 처방되어 왔다.
산앵도(이스라지)는 낙엽 관목이며 높이는 1m 정도이다. 종자 안에 들어 있는 알맹이를 약용하고 과육은 떫지만 먹을 수 있다. 산앵도의 종자를 욱리인(郁李仁)이라 하며 약용한다.
노나무(Catalpa ovata)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능소화과 낙엽활엽 교목으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뿌리 껍질 또는 줄기 껍질을 재백피라고 하며, 청열, 해독, 살충의 효능이 있고, 황달, 번위, 피부소양, 창개를 치료한다. 열매를 재실이라고 하며, 이뇨, 소종, 살충의 효능이 있고, 만성 신염, 부종, 단백뇨를 치료한다.
하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간기능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생약제들을 특정비율로 배합하는 경우에 우수한 간 기능 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만병초, 지구목, 엄나무, 보릿잎, 도토리, 조릿대, 오리목, 창출, 두릅피, 다래목, 가래나무, 산앵도 및 노나무를 세척 및 건조하여 준비하였으며, 이를 잘게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약재들은 잎, 열매, 줄기, 뿌리 또는 수피 등을 사용하여 추출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만병초는 잎부분, 지구목의 껍질부분, 엄나무의 껍질부분, 도토리의 알부분, 조릿대의 전초부분, 오리목의 껍질부분, 창출의 뿌리부분, 두릅피의 껍질부분, 다래목의 껍질부분, 가래나무의 껍질부분, 산앵도의 전초부분, 노나무의 껍질부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생약제들은 건조중량비를 기준으로 할 때, 3~5 : 15~20 : 15~25 : 25~30 : 15~30 : 6~15 : 25~30 : 10~15 : 23~30 : 4~9 : 3~9 : 5~9 : 15~30의 비율로 혼합한다. 수차례의 시험결과 상기 배합비는 3:15:15:25:30:6:30:10:30:9:9:9:15인 경우에 가장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생약재들을 용기에 넣고 3~5배 부피의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을 가하여 6~10시간 끓인다. 끓인 후에는 상기 생약재를 건져내고 남은 추출액의 점도를 확인하며 졸인다. 약한 불로 2~3일정도 졸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후 상기 추출액에 전분을 섞어 환이나 과립으로 조제한다. 상기의 환이나 과립 외에 다른 형상을 가지는 제재로 성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감자전분을 첨가하는 경우에 가장 우수한 효능을 발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고 통상적인 담체나 부형제 등을 첨가하여 각종 기능성 음료나 발효유 식품, 건강보조식품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임상시험결과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식품조성물을 복용하는 경우에 우수한 숙취해소능력을 나타내며, 간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꾸준히 복용시킨 결과 간 기능의 개선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 조성물을 환이나 과립으로 만들어 1일 2~3회, 1회 2~3g씩 40일 정도 간염환자에게 식전에 복용시킨 결과 간수치가 60~80%정도 회복되어 우수한 간기능 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간경변 환자에게 식전 3g 씩 3회 복용 시켜 40일간의 기간을 지켜본 결과, 복수가 차고 온몸이 어두운 색을 띄었던 환자의 복수가 제거되고, 어두운 피부색이 밝아짐은 물론 간수치도 크게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이하, 하기의 실시예와 시험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 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복합생약추출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과 같이 만병초잎, 지구목피, 엄나무피, 어린 보릿잎, 도토리(상수리 제외), 조릿대전초, 오리목피, 창출(백출 제외), 두릅피, 다래목피, 가래목피, 산앵두 전초, 노나무피를 혼합하였다.
생약제 실시예 1(g) 실시예 2(g) 실시예 3(g)
만병초 잎 3 3 5
지구목피 15 15 20
엄나무피 15 15 25
어린 보릿잎 25 30 30
도토리 30 20 30
조릿대 전초 6 10 15
오리목피 30 30 30
창출 10 10 15
두릅피 30 23 30
다래목피 9 4 9
가래목피 9 3 9
산앵도 전초 9 5 9
노나무피 15 15 30
상기 복합생약시료에 추출용매로서 물을 5배 부피로 가하여 6시간 동안 끓였다. 이 후 상기 생약재들을 건져내고 남은 추출액을 다시 2일 동안 약한 불로 졸였다. 여기에 감자전분을 부형제로 넣어 환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숙취해소시험
성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음주 후 실시예 1~3의 조성물을 섭취하게 한 후, 숙취 개선 효능을 설문 조사하였다. 성인 남녀 10인에게 소주 1병 반에 해당하는 알코올을 섭취하게 한 후, 상기 실시예 1~3의 조성물을 10g 섭취하게 하였다. 섭취 후 5시간이 경과한 다음,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설문에 대하여 조사한 후, 7점 척도에서 6~7점이면 효과 매우 좋음, 4~5점이면 효과 좋음, 2~3점이면 보통, 1점이면 효과 없음으로 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효과 매우좋음 효과 좋음 보통 효과없음
실시예 1 4 5 1 0
실시예 2 3 4 3 0
실시예 3 3 3 4 0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3의 조성물은 숙취해소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간 기능 개선임상 효능 실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간 기능 개선 조성물을 45-50세의 남성, 간 기능 이상 환자 10명에게 1일 3g씩 3회, 40일간 복용시킨 후 섭취 전후의 간 기능 관련 지수인 AST, ALT, γ-GTP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AST, ALT, γ-GTP의 정상범위는 각각 5 ~ 40, 10 ~ 40, 0 ~ 60이다.
섭취 전 20일 후 40일 후
AST(U/L) 120 60 40
ALT(U/L) 88 57 33
γ-GTP(U/L) 90 50 32
위와 같이 40일 복용 후 간 기능 이상 환자의 간 기능 지수를 현저히 저하시킴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간 기능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만병초 잎, 지구목 껍질, 엄나무 껍질, 보릿잎, 도토리, 조릿대 전초, 오리목 껍질, 창출, 두릅피, 다래목 껍질, 가래나무 껍질, 산앵도 전초 및 노나무 껍질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만병초 잎, 지구목 껍질, 엄나무 껍질, 보릿잎, 도토리, 조릿대 전초, 오리목 껍질, 창출, 두릅피, 다래목 껍질, 가래나무 껍질, 산앵도 전초 및 노나무 껍질을 3~5 : 15~20 : 15~25 : 25~30 : 15~30 : 6~15 : 25~30 : 10~15 : 23~30 : 4~9 : 3~9 : 5~9 : 15~3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간염 및 간경변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4. 만병초 잎, 지구목 껍질, 엄나무 껍질, 보릿잎, 도토리, 조릿대 전초, 오리목 껍질, 창출, 두릅피, 다래목 껍질, 가래나무 껍질, 산앵도 전초 및 노나무 껍질을 3~5 : 15~20 : 15~25 : 25~30 : 15~30 : 6~15 : 25~30 : 10~15 : 23~30 : 4~9 : 3~9 : 5~9 : 15~30의 중량비로 혼합한 복합생약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복합생약에 3~5배 부피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6~10시간 끓이는 단계; 상기 생약재를 건져내고 남은 추출액을 졸이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에 전분을 섞어 환이나 과립으로 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물이고, 상기 전분은 감자전분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00113857A 2010-11-16 2010-11-16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267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857A KR101267179B1 (ko) 2010-11-16 2010-11-16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857A KR101267179B1 (ko) 2010-11-16 2010-11-16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614A KR20120052614A (ko) 2012-05-24
KR101267179B1 true KR101267179B1 (ko) 2013-05-27

Family

ID=46269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857A KR101267179B1 (ko) 2010-11-16 2010-11-16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1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936B1 (ko) * 2012-09-26 2014-06-03 한국 한의학 연구원 죽엽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723022B1 (ko) * 2015-12-21 2017-04-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개오동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101989006B1 (ko) 2017-11-22 2019-06-13 이경수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 및 그 제조방법
KR102039623B1 (ko) 2017-11-29 2019-11-0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장수식품 간세포 보호용 엉겅퀴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5011B1 (ko) 2018-08-01 2020-12-0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장수식품 엉겅퀴를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82839B1 (ko) * 2019-04-30 2021-07-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숙취해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195483B1 (ko) * 2020-02-27 2020-12-29 주식회사 보주방 숙취 해소 기능을 갖는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614A (ko)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179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404979B1 (ko)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US20090263514A1 (en) Cold and flu tonic
JP2002275077A (ja) リパーゼ阻害剤
Killedar et al. Preparation of herbal tea from mulberry leaves
Akintola et al. Nutritional and medicinal importance of Tetrapleura tetraptera fruits (Aridan)
KR101166882B1 (ko)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6901A (ko) 인진쑥, 헛개열매, 오리나무, 감초, 갈근 및 구기자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02829B1 (ko) 편백 차의 제조방법
KR20110080817A (ko) 건강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6908A (ko)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47917B1 (ko) 초석잠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재 추출액과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
KR101376794B1 (ko) 백하수오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KR101145106B1 (ko)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2309486B1 (ko) 여주 및 뽕잎을 포함하는 당뇨병, 고혈압 예방 및 개선 작용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KR20090083032A (ko) 싸리나무를 주재료로 한 기능성 음료,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050554B1 (ko)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20130130149A (ko) 탐라오가피를 이용한 인스턴트커피 및 그 제조방법
CN113180243A (zh) 一种人参葛根膏植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10088900A (ko) 대상포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CN105012727B (zh) 一种全天然男性性促进剂及其生产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