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006B1 -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9006B1 KR101989006B1 KR1020170156092A KR20170156092A KR101989006B1 KR 101989006 B1 KR101989006 B1 KR 101989006B1 KR 1020170156092 A KR1020170156092 A KR 1020170156092A KR 20170156092 A KR20170156092 A KR 20170156092A KR 101989006 B1 KR101989006 B1 KR 1019890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anut
- extract
- stem
- sprout
- bud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7060 Arachis glabrat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1
- 235000010777 Arachis hypogae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1
- 235000018262 Arachis monticol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1
- 235000020232 peanut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1
- 241001553178 Arachis glabrat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28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6
- 206010019133 Hangover Diseas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8202 granule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8000022309 Alcoholic Liver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1
- 244000105624 Arachis hypogaea Species 0.000 description 133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IKHGUXGNUITLKF-UHFFFAOYSA-N Acetaldehyde Chemical compound CC=O IKHGUXGNUITLK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908 liv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1299 aldehy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304 hepato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12 mixed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4804 poly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641 posi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2470 Amphicarpaea bractea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0073 Amphicarpaea bracte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511 Diospyro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19851 Hepatotoxic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86 hepato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642 nega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WEGMIWEEQEYGQ-UHFFFAOYSA-N 100676-05-9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OC(O)C(O)C2O)CO)O1 OWEGMIWEEQEYG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HBKXEKEPDILRR-UHFFFAOYSA-N 2,3-bis(butanoylsulfanyl)propyl butanoate Chemical compound CCCC(=O)OCC(SC(=O)CCC)CSC(=O)CCC NHBKXEKEPDILR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8020002663 Aldehyde Dehydroge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1485 Aspartam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4000163122 Curcuma domest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392 Curcuma domest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58 Cycl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23267 Diospyro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36655 Diospyros kak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86 Erythr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NXHWFMMPAWVPI-UHFFFAOYSA-N Erythr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 UNXHWFMMPAWVP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9123 Fibr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3385 Fibr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BWGVNKXGVNDBDI-UHFFFAOYSA-N Fibrin monomer Chemical compound CNC(=O)CNC(=O)CN BWGVNKXGVNDB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86 Hoven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405398 Hoven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7125 Liver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PICCSMPS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132 Osteopo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30 Pe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9164 Petroselinum crisp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6790 Productive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84734 Pyrus japon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QNVSXXGDAPORNA-UHFFFAOYSA-N Resveratrol Natural products OC1=CC=CC(C=CC=2C=C(O)C(O)=CC=2)=C1 QNVSXXGDAPORN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83 Steviol glycos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6 Sucra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949 Taraxacum officina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187 Taraxacum officinale ssp.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UKBXSAWLPMMSZ-OWOJBTEDSA-N Trans-resveratrol Chemical compound C1=CC(O)=CC=C1\C=C\C1=CC(O)=CC(O)=C1 LUKBXSAWLPMMSZ-OWOJBTED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922 Vigna radi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21 Vigna radiata var radi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69 Vigna radiata var sublob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87 abdom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4 alcoholic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3 alg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26 alg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81 algi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71 animal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5 asparta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7 aspartam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IAOZJIPTCAWIRG-QWRGUYRKSA-N aspartame Chemical compound OC(=O)C[C@H](N)C(=O)N[C@H](C(=O)OC)CC1=CC=CC=C1 IAOZJIPTCAWIRG-QWRGUYRK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38 aspartam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49 assay ki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UYVBRFLSA-N beta-mal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UYVBRFL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4 colloidal syste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373 curcuma long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016 di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4 erythr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UNXHWFMMPAWVPI-ZXZARUISSA-N 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O UNXHWFMMPAWVPI-ZXZARUIS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09714 erythr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50003499 fib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05 formulat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08 freeze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34 hepatic damag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18 liver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423 live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976 liver dys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56 liver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6601 medicinal produ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72 mon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989 no adverse 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957 no side 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02 pH adjus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LCLHHZYHLXDRQG-ZNKJPWOQSA-N pect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O[C@H](C(O)=O)[C@@H]1OC1[C@H](O)[C@@H](O)[C@@H](OC2[C@@H]([C@@H](O)[C@@H](O)[C@H](O2)C(O)=O)O)[C@@H](C(O)=O)O1 LCLHHZYHLXDRQG-ZNKJPWOQ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7 perej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989 phen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318 polygalacturo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180 public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97 quillaja saponaria molina bar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83 resverat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16667 resverat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4 sacch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1974 sacch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01 saccharin and its Na,K and Ca s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020 s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490 sapon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949 sapo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HFHDHCJBZVLPGP-UHFFFAOYSA-N schardinger α-dextrin Chemical compound O1C(C(C2O)O)C(CO)OC2OC(C(C2O)O)C(CO)OC2OC(C(C2O)O)C(CO)OC2OC(C(O)C2O)C(CO)OC2OC(C(C2O)O)C(CO)OC2OC2C(O)C(O)C1OC2CO HFHDHCJBZVLP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EFOAORQXAOVJQ-RZFZLAGVSA-N schisandrol a Chemical compound C1[C@H](C)[C@@](C)(O)CC2=CC(OC)=C(OC)C(OC)=C2C2=C1C=C(OC)C(OC)=C2OC YEFOAORQXAOVJQ-RZFZLAGV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91 smo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20 sorb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02 sput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794 sputu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1 steviol glycos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488 steviol glycosid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44 steviol glycos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2 steviosi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08 sucra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BAQAVOSOZGMPRM-QBMZZYIRSA-N sucral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l)[C@@H](CO)O[C@@H]1O[C@@]1(CCl)[C@@H](O)[C@H](O)[C@@H](CCl)O1 BAQAVOSOZGMPRM-QBMZZYIR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76 turmer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62 ve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땅콩새싹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땅콩새싹의 머리 부분과 줄기 및 뿌리 부분의 혼합비율을 조절함으로써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효과가 더욱 증진된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에 관한 것이고, 과립 형태로 제조되어 섭취하기 편리하고,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은 물론 나아가 알콜성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에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간은 인체에서 혈액 저장 및 순환 해독작용을 하는 중요한 장기이다. 우리 몸이 각종 공해물질, 유독 물질에 노출됨에 따라 간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고 더욱이 정신적인 스트레스, 과음 및 흡연 등은 심각한 간 손상을 유발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술에 관대한 문화로 인하여 음주 인구가 매우 많다. 많은 양의 알코올을 섭취하면 간 기능 장애 등 건강을 잃을 수 있어서 국민 건강 문제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손실이 크다. 음주로 인한 사회 경제적 손실 비용은 GDP의 2.86%인 약 14조 9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어 사회경제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숙취해소 음료는 술자리가 잦은 직장인들과 음주 전후 건강을 챙기려는 사람들의 증가로 슈퍼나 편의점에서 바로 섭취할 수 있는 간편함과 편의성 때문에 숙취해소 음료 시장의 규모가 2006년 700억 원에서 2014년도에는 2500억원 규모로 급성장하였다.
현재까지 알코올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으로 몇몇 의약품이 보고되고 있으나 이는 화학적 합성제제로 독성 및 부작용이 나타남으로 인해 부작용 이 없는 천연물질을 이용하려는 추세에 있으며 최근 헛개나무, 참나물, 갈근, 대나무, 콩나물, 솔잎, 민들레즙, 강황, 마름 등 천연물질의 숙취해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81995호 '배합 식품에 의한 숙취 해소 및 간기능 개선제와 그 제조방법'에서는 감껍질, 미나리, 인진, 오미자, 녹두, 칡, 밤, 감초를 각각 1종 또는 2종 이상의 원료로 배합을 달리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숙취 해소와 간 기능의 개선효과가 있는 배합식품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64151호 '헛개나무로부터 분리된 간 독성 및 숙취 해소 활성을 갖는 저급 알코올 불용성 추출 분획 및 다당체 물질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에는 헛개나무로부터 분리된 간독성 및 숙취해소 활성을 갖는 저급 알코올 불용성 추출 분획, 다당체 물질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52614호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에서는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만병초, 지구목, 엄나무, 보릿잎, 도토리, 조릿대, 오리목, 창출, 두릅피, 다래목, 가래나무, 산앵도 및 노나무를 일정 성분비로 배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식품 조성물은 생약재를 사용하여 안전하며, 특정한 비율로 혼합된 생약재 추출물이 간기능 개선 효과의 상승작용을 유발함으로써 우수한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효과를 나타냄을 설명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땅콩새싹의 머리 부분과 줄기 및 뿌리 부분의 혼합비율을 조절함으로써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효과가 증진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땅콩새싹의 머리 추출물과 땅콩새싹 줄기 및 뿌리 부분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 조성물은 고형분 기준으로, 땅콩새싹의 머리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을 40 내지 8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 조성물에는 땅콩새싹의 머리 추출 잔사의 건조 및 분쇄물을 5 내지 30 중량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의 제조방법은, (A) 땅콩새싹의 머리 부분과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부분을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분리된 땅콩새싹의 머리와 상기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를 각각 80 내지 100 ℃에서 중탕 추출하여 각각 땅콩새싹 머리 추출물과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을 얻는 단계; (C) 상기 땅콩새싹 머리 추출물과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을 각각 동결건조하는 단계; (D) 상기 동결건조된 땅콩새싹 머리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동결건조된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을 40 내지 80 중량부 고형분 기준으로 혼합하는 단계; 및 (E) 상기 혼합물을 과립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땅콩새싹의 머리 추출물 추출 후 남은 잔사를 건조하여 분쇄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땅콩새싹의 머리 추출물 잔사 분쇄물을 상기 (D) 단계에 추가로 5 내지 30 중량부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의 제조방법은, (A) 땅콩새싹의 머리 부분과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부분을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땅콩새싹 머리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을 40 내지 80 중량부 고형분 기준으로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혼합물을 80 내지 100 ℃에서 중탕 추출하여 땅콩새싹 추출물을 얻는 단계; (D) 상기 땅콩새싹 추출물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및 (E) 상기 혼합물을 과립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은 알코올에 의해 유도된 간 독성에 대한 간 보호 효과가 우수하므로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은 물론 나아가 알콜성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에 활용될 수 있고, 과립 형태로 제조되어 섭취하기 편리하다.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땅콩새싹이란 땅콩을 물 또는 배양액을 이용하여 발아시킨 후, 적절한 기간, 예를 들어 4 내지 12일 사이에 수확한 작물을 의미한다. 상기 땅콩새싹에는 항산화 물질인 레스베라트롤 성분을 비롯하여 페놀류, 섬유소, 무기질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또한 땅콩새싹에는 사포닌 함량이 풍부하여 골다공증 개선에 효과가 있다. 상기 땅콩새싹은 2개로 갈라진 땅콩 배유와 그 사이에 위로 자란 새싹을 포함하는 머리 부분, 그리고 배유 아래로 자란 하얀 몸통의 줄기 및 줄기 아래의 뿌리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통상의 땅콩새싹 머리 부분과 땅콩새싹 줄기 및 뿌리 부분은 고형분 기준으로 10 : 15 - 30 중량비 범위이다.
본 발명에서는 머리, 줄기 및 뿌리 부분이 포함된 땅콩새싹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땅콩새싹의 머리 부분과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부분을 10 : 4 내지 8 중량비로 혼합비율을 달리함으로써 땅콩새싹의 숙취해소 효과가 현저히 증진된 땅콩새싹 과립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 조성물은, 고형분 기준으로, 땅콩새싹의 머리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을 40 내지 8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0 중량부 포함한다.
상기 땅콩새싹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숙취해소 효과가 통상의 땅콩새싹을 그대로 추출한 땅콩새싹 추출물에 비해 현저히 개선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땅콩새싹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더 이상 숙취해소 효과의 증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관능적으로 이미 이취가 강해질 수 있다.
상기 땅콩새싹의 머리 추출물과 상기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의 혼합물에 땅콩새싹의 머리 추출 잔사의 건조 및 분쇄물을 5 내지 30 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땅콩새싹의 머리 추출 잔사의 건조 및 분쇄물을 상기 범위로 더 포함시킬 경우 땅콩새싹 과립의 생산수율이 증진됨과 동시에 숙취해소 효과가 더욱 증진된다.
본 발명의 상기 혼합 추출물은 80 내지 100 ℃에서 20 내지 30 시간, 바람직하게는 24 내지 28시간 동안 중탕 추출한 추출물이다. 중탕 추출 온도 및 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유효성분이 추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탄맛이 강하고 영양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또한, 중탕 추출 외에 용매 추출 등의 다른 방식으로 추출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숙취해소 효과가 미미하며 쓴맛이 강하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의 제조방법은, (A) 땅콩새싹의 머리 부분과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부분을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분리된 땅콩새싹의 머리와 상기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를 각각 80 내지 100 ℃에서 중탕 추출하여 각각 땅콩새싹 머리 추출물과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을 얻는 단계; (C) 상기 땅콩새싹 머리 추출물과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을 각각 동결건조하는 단계; (D) 상기 동결건조된 땅콩새싹 머리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동결건조된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을 40 내지 80 중량부 고형분 기준으로 혼합하는 단계; 및 (E) 상기 혼합물을 과립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과 같이 각각 땅콩새싹 머리 추출물과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을 얻는 경우에는, 상기 (B) 단계에서 땅콩새싹의 머리 추출물 추출 후 남은 잔사를 건조하여 분쇄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땅콩새싹의 머리 추출물 잔사 분쇄물을 상기 (D) 단계에 추가로 10 내지 30 중량부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땅콩새싹 과립의 생산수율이 증진됨과 동시에 숙취해소 효과가 더욱 증진된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의 다른 제조방법은, (A) 땅콩새싹의 머리 부분과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부분을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땅콩새싹 머리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을 40 내지 80 중량부 고형분 기준으로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혼합물을 80 내지 100 ℃에서 중탕 추출하여 땅콩새싹 추출물을 얻는 단계; (D) 상기 땅콩새싹 추출물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및 (E) 상기 혼합물을 과립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과 같이 각각 땅콩새싹 머리와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부분을 먼저 본 발명의 혼합비율로 혼합한 후, 그 혼합물을 추출 및 동결건조하는 경우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A)단계에서 땅콩새싹의 머리 부분과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부분을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 단계 수행 전 땅콩새싹을 미리 건조한 후 수행하거나, 또는 분리한 후 상기 (B) 단계에서 추출하기 전에 건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땅콩새싹을 머리 부분,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으로 3가지 부분으로 구분하여 열풍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건조는 머리 부분은 50 내지 70 ℃에서 6 내지 18 시간 수행하고, 줄기 부분은 40 내지 60 ℃에서 4 내지 12 시간 수행하며, 뿌리 부분은 35 내지 45 ℃에서 3 내지 8 시간 수행하는 것이 각 부분이 열풍에 건조된 후 탄화되어 기능성 성분이 소멸되거나 탄맛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의 중탕 추출은 상기 분리된 땅콩새싹의 머리와 상기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는 건조된 고형분 기준으로 2 내지 10 배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배 중량의 물을 넣고, 80 내지 100 ℃에서 12 내지 48 시간 중탕 추출할 수 있다.
땅콩새싹 머리 추출물,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추출물 또는 그 혼합물은 천연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상기 추출물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과립 형태로 제조되며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예컨대,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땅콩새싹 과립 조성물은 다량 섭취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식품 조성물 또는 알코올성 간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경구 투여용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 조성물에는 고형분을 기준으로 땅콩새싹 머리 추출물,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추출물 또는 그 혼합물이 100 중량% 함유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1 내지 99 중량%, 10 내지 9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유효 성분으로 상기 땅콩새싹 머리 추출물,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추출물 또는 그 혼합물을 함유하는 외에 추가로 포함되는 성분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식품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성분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컨대 여러가지 영양제,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향료 등의 보조성분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아울러, 감미료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도 추가될 수 있는바, 감미료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타우마틴, 사카린, 수쿠랄로스, 아스파탐, 결정과당, 스테비올배당체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단당류(예컨대, 포도당, 과당 등), 이당류(예컨대, 말토스 등), 다당류(예컨대,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땅콩새싹 머리와 줄기 및 뿌리를 먼저 추출한 후 10 : 6로 혼합한 과립
통상의 배양액에서 10일 동안 재배한 땅콩새싹 18 kg을 수확하여 머리 부분, 줄기 부분 및 뿌리 부분으로 분리하였다. 머리 부분 10 kg, 줄기 부분 15 kg, 뿌리 부분 3 kg이었다. 상기 머리 부분은 65 ℃에서 12 시간 열풍 건조하고, 줄기 부분은 50 ℃에서 8 시간 열풍 건조하며, 뿌리 부분은 40 ℃에서 6 시간 열풍 건조하여 각각의 건조물 1000 g, 1500 g 및 300 g을 얻었다. 상기 건조물의 수분 함량은 약 5 중량% 이었다.
상기 땅콩새싹 머리 부분 건조물 1000 g에 4 배 중량의 물을 넣고, 95 ℃에서 24시간 동안 중탕 추출하여 땅콩새싹 머리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땅콩새싹 줄기 건조물 1500 g 및 뿌리 건조물 300 g을 혼합한 후 4 배 중량의 물을 넣고, 95 ℃에서 24시간 동안 중탕 추출하여 땅콩새싹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땅콩새싹 머리 추출물과 땅콩새싹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을 각각 동결건조한 후 이를 100 메쉬 체를 통과하도록 분쇄하였다.
상기 동결건조 후 분쇄된 땅콩새싹 머리 추출물과 땅콩새싹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을 10 : 6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 분말을 유동층 과립기에 넣고 5 중량% 포도당 용액을 분무하면서 평균 입경이 1 내지 2 mm가 되도록 땅콩새싹 과립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땅콩새싹 머리와 줄기 및 뿌리를 먼저 추출한 후 10 : 6로 혼합한 과립_머리 잔사 첨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땅콩새싹 머리 추출물 제조 후 남은 잔사를 건조하고 100 메쉬 체를 통과하도록 분쇄하였다.
이후 상기 동결건조 후 분쇄된 땅콩새싹 머리 추출물, 땅콩새싹 줄기 및 뿌리 추출물, 및 상기 땅콩새싹 머리 추출물 잔사 건조물을 10 : 6 : 2 중량비로 혼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땅콩새싹 과립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땅콩새싹 머리와 줄기 및 뿌리를 먼저 10 : 6로 혼합한 후 추출한 과립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땅콩새싹 머리, 줄기 및 뿌리 부분을 분리하여 각각의 건조물 1000 g, 1500 g 및 300 g을 얻었다. 상기 건조물의 수분 함량은 약 5 중량% 이었다.
상기 땅콩새싹 줄기 및 뿌리는 먼저 혼합하였다. 이후 땅콩새싹 머리 건조물과 땅콩새싹 줄기 및 뿌리 건조물을 10 : 6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 1600 g에 4 배 중량의 물을 넣고, 95 ℃에서 24시간 동안 중탕 추출하여 땅콩새싹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땅콩새싹 혼합 추출물을 각각 동결건조한 후 이를 100 메쉬 체를 통과하도록 분쇄하였다.
상기 혼합 분말을 유동층 과립기에 넣고 5 중량% 포도당 용액을 분무하면서 평균 입경이 1 내지 2 mm가 되도록 땅콩새싹 과립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땅콩새싹 과립
상기 실시예 1과 달리 땅콩새싹 머리, 줄기 및 뿌리를 분리하지 않고, 땅콩새싹을 50 ℃에서 8 시간 열풍 건조하여 땅콩 새싹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땅콩새싹의 머리, 줄기 및 뿌리의 비율을 10 : 15 : 3 중량비 이었다.
상기 땅콩새싹 건조물 2800 g에 4 배 중량의 물을 넣고, 95 ℃에서 24시간 동안 중탕 추출하여 땅콩새싹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땅콩새싹 추출물을 각각 동결건조한 후 이를 100 메쉬 체를 통과하도록 분쇄하였다.
상기 혼합 분말을 유동층 과립기에 넣고 5 중량% 포도당 용액을 분무하면서 평균 입경이 1 내지 2 mm가 되도록 땅콩새싹 과립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땅콩새싹 머리 과립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땅콩새싹 머리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동일하게 동결건조 및 분쇄하되, 땅콩새싹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을 혼합하지 않고, 동결건조 후 분쇄된 땅콩새싹 머리 추출물을 유동층 과립기에 넣고 5 중량% 포도당 용액을 분무하면서 평균 입경이 1 내지 2 mm가 되도록 땅콩새싹 머리 과립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동물실험
실험동물은 생후 10주령 된 웅성 BALB/c mouse를 2주간 온도: 22±2℃, 습도: 50~55%, 명암주기: 12시간에서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전 실험기간 동안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acetaldehyde) 정량은 마우스를 6개 군 (군당 10마리)으로 나누어 5개 군은 ethanol을 2 ㎖/㎏ 용량으로 경구투여하고 30분이 지난 후에 물 (양성대조군) 또는 5가지 시료를 각각 경구투여 (4 g/㎏)하여 120분이 경과한 후에 마우스들을 희생시켜 복대정맥에서 혈액을 채혈한 후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정량하였다. 음성대조군의 경우 물을 30분 간격으로 경구투여 (4 ㎖/㎏)하였다. 채혈한 혈액은 상온에서 방치한 후 600 x g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70℃에 보관하여 향후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측정에 사용하였다. 아세트알데히드의 정량은 acetaldehyde quantification assay kit (Megazyme, Wicklow, Ireland)를 사용하여 Megazyme protocol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혈중 알코올 농도는 ALDH 대신 ADH를 사용하여 상기 방법과 동일하게 산출하였다.
구분 | 알코올 농도(㎍/mL) | 알데하이드 농도(㎍/mL) |
음성대조군 | 20.1±3.8 | 1.2±0.4 |
양성대조군 | 142.5±3.1 | 5.0±0.6 |
실시예 1 | 32.0±2.5** | 3.4±0.8** |
실시예 2 | 24.5±2.6*** | 2.8±0.5*** |
실시예 3 | 33.5±1.9** | 3.5±0.6** |
비교예 1 | 62.8±3.9* | 4.8±1.1 |
비교예 2 | 55.6±1.4* | 3.5±0.8** |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땅콩새싹의 머리, 줄기 및 뿌리 부분을 그대로 추출하여 제조한 비교예 1의 과립은 양성대조군에 비해 혈중 알코올 농도를 낮추는 효과는 있으나 혈중 알데히드 농도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땅콩새싹 머리 추출물의 혼합 비율을 본 발명의 수치범위로 높인 실시예 1 내지 3의 과립은 비교예 1에 비해 혈중 알코올 농도를 더욱 더 현저히 낮출 뿐만 아니라 혈중 알데하이드의 농도 또한 현저히 낮추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나아가 실시예 1 및 3은 제조방법의 차이에도 혈중 알코올 농도 및 알데하이드 저감 효과는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땅콩새싹 머리 추출 잔사가 더 포함된 실시예 2에서는 혈중 알코올 농도 및 알데하이드 저감 효과가 더욱더 증진되었다.
Claims (5)
- 고형분 기준으로, 땅콩새싹의 머리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을 40 내지 80 중량부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땅콩새싹의 머리 잔사의 건조 및 분쇄물을 5 내지 30 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 조성물.
- (A) 땅콩새싹의 머리 부분과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부분을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분리된 땅콩새싹의 머리와 상기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를 각각 80 내지 100 ℃에서 중탕 추출하여 땅콩새싹 머리 추출물과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을 각각 얻는 단계;
(C) 상기 땅콩새싹 머리 추출물과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을 각각 동결건조하는 단계;
(D) 상기 동결건조된 땅콩새싹 머리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동결건조된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을 40 내지 80 중량부 고형분 기준으로 혼합하는 단계; 및
(E) 상기 혼합물을 과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의 제조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땅콩새싹의 머리 추출물 추출 후 남은 잔사를 건조하여 분쇄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땅콩새싹의 머리 추출물 잔사 분쇄물을 상기 (D) 단계에 추가로 5 내지 30 중량부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의 제조방법.
- (A) 땅콩새싹의 머리 부분과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부분을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땅콩새싹 머리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땅콩새싹의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을 40 내지 80 중량부 고형분 기준으로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80 내지 100 ℃에서 중탕 추출하여 땅콩새싹 추출물을 얻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얻어진 땅콩새싹 추출물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에서 얻어진 동결건조물을 과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6092A KR101989006B1 (ko) | 2017-11-22 | 2017-11-22 |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6092A KR101989006B1 (ko) | 2017-11-22 | 2017-11-22 |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8801A KR20190058801A (ko) | 2019-05-30 |
KR101989006B1 true KR101989006B1 (ko) | 2019-06-13 |
Family
ID=66675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6092A KR101989006B1 (ko) | 2017-11-22 | 2017-11-22 |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9006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1947B1 (ko) * | 2015-06-03 | 2016-03-09 | 주식회사 한생바이오 | 땅콩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3721B1 (ko) | 2001-01-31 | 2003-11-05 | (주)생명의나무 | 헛개나무로부터 분리된 간독성 및 숙취 해소 활성을 갖는저급알콜 불용성 추출 분획 및 다당체 물질 및 이를함유한 조성물 |
KR20020081995A (ko) | 2001-04-23 | 2002-10-30 | (주)드리고 | 배합 식품에 의한 숙취 해소 및 간기능 개선제와 그제조방법. |
KR101267179B1 (ko) | 2010-11-16 | 2013-05-27 | 강연주 |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
KR101316806B1 (ko) | 2011-08-02 | 2013-10-10 | (주)이뮤노텍 | 글루타치온과 실리마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간보호용 조성물 |
KR101373120B1 (ko) | 2012-03-22 | 2014-03-13 | 임실생약영농조합법인 |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성상세포 활성 억제용 조성물 |
KR101402289B1 (ko) * | 2012-06-22 | 2014-06-02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새싹땅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KR101703276B1 (ko) * | 2014-12-12 | 2017-02-06 | 삼성웰스토리 주식회사 | 땅콩새싹 추출물의 농축액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음료 |
KR20170078915A (ko) * | 2015-12-29 | 2017-07-10 |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 땅콩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음료 및 그 제조방법 |
-
2017
- 2017-11-22 KR KR1020170156092A patent/KR1019890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1947B1 (ko) * | 2015-06-03 | 2016-03-09 | 주식회사 한생바이오 | 땅콩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8801A (ko) | 2019-05-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30203054A1 (en) | Cranberry based dietary supplement and dental hygiene product | |
KR101817055B1 (ko) | 항산화 및 면역기능 증진 활성을 갖는 덖음차 조성물 | |
JP2006045212A (ja) | 特定のキナ酸誘導体を含有する経口用組成物 | |
KR20180010427A (ko) |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지니는 식물복합추출물 | |
KR101899443B1 (ko) | 간 보호용 음료조성물 | |
Ferrara | Nutrition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Tamarindus indica L | |
WO2005112665A1 (ja) | 甘藷茎葉加工物含有組成物 | |
KR101598395B1 (ko) | 어성초, 삼백초 및 여주가 함유된 산야초 김치의 제조방법 | |
KR101461165B1 (ko) |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 |
KR101182824B1 (ko) |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 |
JP2006045213A (ja) | 特定のキナ酸誘導体を含有する経口用組成物 | |
JP2006006318A (ja) | 味覚修飾剤 | |
KR102006551B1 (ko) | 가시파래 추출물, 새싹인삼 등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 |
KR101768612B1 (ko) |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 |
KR101989006B1 (ko) | 숙취해소용 땅콩새싹 과립 및 그 제조방법 | |
CN114631632B (zh) | 一种护肝解酒的刺梨组合物及其制剂与应用 | |
KR101829810B1 (ko) | 청보리잎과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988102B1 (ko) | 백삼 및 짚신나물, 단삼, 미역취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 |
KR102604237B1 (ko) | 지용성 비타민 흡수 강화용 조성물 | |
KR102531295B1 (ko) | 곤드레 착즙액을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진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면역기능 증진용 식품 조성물 | |
KR20090059270A (ko) | 상황버섯을 포함하는 과립차 및 그 제조방법 | |
KR102185011B1 (ko) | 엉겅퀴를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636608B1 (ko) |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 |
KR101872937B1 (ko) | 비타민 조성물의 제조방법 | |
KR20170003153A (ko) |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