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135B1 - 피복 제거 유닛 및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피복 제거 유닛 및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135B1
KR101264135B1 KR1020117019638A KR20117019638A KR101264135B1 KR 101264135 B1 KR101264135 B1 KR 101264135B1 KR 1020117019638 A KR1020117019638 A KR 1020117019638A KR 20117019638 A KR20117019638 A KR 20117019638A KR 101264135 B1 KR101264135 B1 KR 101264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optical fiber
guide body
position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9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7398A (ko
Inventor
요시노리 이와시타
노리유키 가와니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ublication of KR2011010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45Removing protective coverings of light guides before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8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removal of insu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피복 제거 유닛은, 대향하여 배치된 한쌍의 날체(刃體)로 이루어지는 피복 제거날과, 제1 가이드체와 제2 가이드체를 가진 광섬유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체는, 한쪽의 상기 날체와 중첩되어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날체로부터 다른 쪽의 상기 날체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제2 가이드체는, 상기 제2 날체와 중첩되어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2 날체로부터 상기 제1 날체측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가이드체와의 대향면에, 그 돌출 방향을 향해 외측으로 경사진 하부 경사부를 가지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가이드체와의 대향면에, 그 돌출 방향을 향해 외측으로 경사진 상부 경사부를 가진다.

Description

피복 제거 유닛 및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COATING REMOVAL UNIT AND OPTICAL FIBER COATING REMOVAL APPARATUS}
본 발명은, 광섬유 소선(素線), 광섬유 심선(心線) 등의 피복(被服)된 광섬유의 피복을 제거하는 피복 제거 유닛 및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9년 3월 3일자, 일본특허출원 제2009―049819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광섬유를 기기(機器)나 커넥터 등과 접속시키는 데 있어서, 이 광섬유의 선단(先端) 부근의 피복을 제거하여 광섬유 나선(裸線)을 노출시킬 필요가 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참조).
이 피복을 제거하는 기구로서, 도 10~도 12에, 종래의 피복 제거 유닛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피복 제거 유닛(20)은, 피복된 광섬유(21)의 피복(21b)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피복 제거날(28)을 구비하고 있다. 이 피복 제거날(28)은, 날 가압판(22), 반원날(23), 평날(平刃)(24) 및 날 받이판(25)을 가지고, 이들이 상기 순서로 적층되어 일체로 되어 이루어진다.
날 가압판(22)에는, 피복된 광섬유(21)를 수용 가능한 절결부(切缺部)(22a)가 형성되어 있다.
반원날(23)은, 반원형의 날부(23a)를 가진다. 이 날부(23a)의 내경(內徑)은, 피복된 광섬유(21)의 피복(21b)의 외경보다 작고, 피복된 광섬유(21)의 광섬유 나선(21a)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 받이판(25)은, 피복된 광섬유(21)가 수용되는 V자형의 절결부(26a)를 가지는 테이블부(26)와 가압부(27)를 가진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된 광섬유(21)를 절결부(22a, 26a) 내에 수용한 상태로, 도 11 중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으로 피복 제거 유닛(20)을 이동시킨다. 이로써, 반원날(23)의 날부(23a)가 피복된 광섬유(21)의 피복(21b)을 제거한다.
일본공개특허 제1997―113732호 공보 국제공개 제2002/4998호 팜플렛
최근, 상기와 같은 피복 제거 유닛을 구비한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는, 수동 방식이 주류이다. 이 방식은 간편하지만, 피복 제거 성공율이 작업자에 따라 상이한 경우가 있고, 그 작업 효율의 점에서도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그래서,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 장치의 자동 방식화가 검토되고 있다. 이 검토에 있어서, 광섬유를 피복 제거날에 안내하는 V홈 구조의 형상이 문제로 되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참조). 즉, V홈 구조를 가진 피복 제거 장치에서는, 직선 형태의 광섬유를 V홈에 안내하는 경우라도, 광섬유와 피복 제거날과의 사이에서 위치어긋남이 생기고, 광섬유를 피복 제거날의 적절한 위치에 세팅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최근의 광섬유 앰프는 장치가 매우 소형화되어 있다. 그러므로, 그 광섬유 앰프에 수용되어 있는 광섬유는, 곡률 반경이 작은 휨 성질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또한, 광섬유는, 보빈에 감겨져 보관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마찬가지의 휨 성질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휨 성질이 생긴 피복된 광섬유(21)를 피복 제거 유닛(20)으로 처리하는 경우에는, 피복된 광섬유(21)가 절결부(22a, 26a)에 들어가지 않고,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그 결과, 피복(21b)을 제거할 때, 반원날(23) 등에 의해 광섬유 나선(21a)이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자동 방식 등의 장치의 사양에 적합하고, 광섬유의 정확한 위치결정이 가능한 가이드를 가지는 피복 제거 유닛, 및 이 피복 제거 유닛을 구비한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휨 성질이 생긴 피복된 광섬유에 적용한 경우라도, 그 피복 제거 시에, 광섬유의 위치 어긋남이 생기지 않아, 광섬유 나선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피복 제거 유닛 및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1) 본 발명의 피복 제거 유닛은, 대향하여 배치된 한쌍의 날체(刃體)로 이루어지고, 이들 날체의 대향면 각각에 오목형 날부가 형성된 피복 제거날; 상기 피복 제거날에 중첩시켜 배치된 광섬유 가이드를 포함하고, 피복된 광섬유의 피복을 제거한다. 상기 광섬유 가이드는, 대향하여 배치된 제1 가이드체와 제2 가이드체를 가진다. 상기 제1 가이드체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날체와 중첩되어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날체의 상기 대향면으로부터 제2 날체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를 가진다. 상기 제2 가이드체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날체와 중첩되어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2 날체의 상기 대향면으로부터 상기 제1 날체측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를 가진다. 상기 제1 돌출부의 상기 제2 가이드체와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제1 돌출부의 돌출 방향을 향해 외측으로 경사진 하부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돌출부의 상기 제1 가이드체와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제2 돌출부의 돌출 방향을 향해 외측으로 경사진 상부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2) 상기 (1)의 경우, 상기 제1 돌출부의 상기 돌출 방향에 대한 상기 하부 경사부의 경사 각도(θ1)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상기 돌출 방향에 대한 상기 상부 경사부의 경사 각도(θ2)는, 15~45°라도 된다.
(3) 상기 (1)의 경우, 상기 광섬유 가이드의 피복 제거날이 있는 면측과는 반대의 면 측에, 상기 피복된 광섬유를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판은, 대향하여 배치된 한쌍의 위치결정부를 가지고, 제1 위치결정부가 상기 제1 가이드체와 일체로 동작하도록 배치되고, 제2 위치결정부가 상기 제2 가이드체와 일체로 동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위치결정부와 상기 제2 위치결정부와의 대향면에는, 상기 피복 제거날의 상기 오목형 날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상기 피복된 광섬유를 그 직경 방향으로 수용하는 수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4) 상기 (3)의 경우, 상기 위치결정판에는, 상기 제1 가이드체와 상기 제2 가이드체와의 사이의 공간에 개구된 가스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5) 상기 (3)의 경우, 상기 위치결정판에는, 상기 제1 가이드체와 상기 제2 가이드체와의 사이의 공간에 개구된 액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6) 상기 (3)의 경우, 상기 제1 위치결정부에는, 상기 제1 가이드체와 상기 제2 가이드체와의 사이의 공간에 개구된 액 도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위치결정판에는, 상기 공간에 개구된 가스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7) 상기 (1)의 경우, 상기 한쌍의 날체에는, 위치결정 기구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8) 상기 (3)의 경우, 상기 한쌍의 위치결정부에는, 위치결정 기구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9) 본 발명의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는, 상기 (1)에 기재된 피복 제거 유닛을 가진다.
상기 (1)에 기재된 피복 제거 유닛에서는, 광섬유 가이드를 구성하는 제1 가이드체의 제1 돌출부에 하부 경사부가 형성되고, 제2 가이드체의 제2 돌출부에 상부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들 제1 가이드체와 제2 가이드체를 서로 근접시킴으로써, 상부 경사부 또는 하부 경사부에 의해 휨 성질이 생긴 피복된 광섬유라도, 이 피복된 광섬유를 피복 제거날의 오목형 날부에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위치에 이 광섬유를 유지한 상태로 피복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피복 제거 시에 광섬유 나선에 파손이 생겨, 그 파단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1)에 기재된 피복 제거 유닛에 의하면, 장기간에 이동 사용이 가능한, 광섬유 나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에 기재된 구성은, 사양이 상이한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에도 적용이 용이하다. 즉, 기존의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피복 제거날 대신에 상기 (1)에 기재된 피복 제거 유닛을 장착하면, 본원과 동등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피복 제거 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피복 제거 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피복 제거 유닛의 동작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피복 제거 유닛의 동작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날체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광섬유 가이드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피복 제거 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피복 제거 유닛의 동작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피복 제거 유닛의 일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피복 제거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피복 제거 유닛에 사용되어 있는 날 받이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피복 제거 유닛(10)[10A)]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피복 제거 유닛(10A)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피복 제거 유닛(10A)의 동작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피복 제거 유닛(10A)의 동작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피복 제거 유닛(10A)은, 피복된 광섬유(21)의 피복(21b)을 광섬유 나선(21a)으로부터 제거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피복 제거 유닛(10A)은, 피복 제거날(1)과, 광섬유 가이드(2)와, 위치결정판(3)을 가진다. 피복 제거날(1), 광섬유 가이드(2), 및 위치결정판(3)은, 이들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순서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피복 제거날(1), 광섬유 가이드(2), 및 위치결정판(3)은, 서로 이격(離隔)시켜 배치해도 되고, 서로 적층시켜 배치해도 된다.
피복된 광섬유(21)는, 예를 들면, 광섬유 심선, 광섬유 소선이다.
피복 제거날(1)은, 박판형으로 형성된 한쌍의 대략 직사각형의 날체(4, 4)로 이루어진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 날체(4)를 부호 "4A"로 나타내고, 제2 날체(4)를 부호 "4B"로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이들 날체(4)[4A, 4B]는, 각각의 대향면(대향 에지부)(4a, 4a)이 마주보도록 동일한 면 내에 배치된다.
대향 에지부(4a, 4a)의 대략 중앙에는, 반원형의 오목형 날부(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형 날부(5)의 양측의 대향 에지부(4a, 4a)는, 직선형으로 형성된 스트레이트부(6)로 되어 있다. 이들 대향 에지부(4a, 4a)를 서로 마주 보게 하여 각각의 날체(4)[4A, 4B]를 접촉시킴으로써, 오목형 날부(5, 5)가 원형의 개구부(제1 개구부)를 이루고, 각 스트레이트부(6, 6)가 동일 면 내에서 접촉한다.
오목형 날부(5, 5)는, 상기 제1 개구부의 직경이 피복된 광섬유(21)의 피복(21b)의 외경보다 작고, 광섬유 나선(21a)의 외경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오목형 날부(5, 5)가 광섬유 나선(21a)을 손상시키지 않고, 피복(21b)만을 제거한다.
날체(4)[4A, 4B]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스트레이트부(6)에 위치결정 기구(4b, 4c)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위치결정 기구(4b, 4c)는, 이들 날체(4A, 4B)가 서로 접촉하여 피복된 광섬유(21)의 피복(21b)의 제거를 행할 때, 날체(4A, 4B)[피복 제거 유닛(10A)]의 높이 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이 위치결정 기구로서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날체(4A)에 설치된 돌기부(4b); 제2 날체(4B)에 설치되고, 이 돌기부(4b)에 끼워맞추어지는 형상의 오목부(4c)를 들 수 있다. 피복(21b)을 제거할 때, 이들 돌기부(4b)와 오목부(4c)가 끼워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날체(4)[4A, 4B]의 높이 방향의 위치결정이 행해진다. 이로써, 피복(21b)의 제거 시에, 날체(4)[4A, 4B]의 위치가 어긋나, 광섬유 나선(21a)에 파손이 생기는 것이나, 피복(21b)이 제거되어 있지 않고 남는 문제점이 억제된다. 그러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피복(21b)의 제거된 광섬유 나선(21a)의 제공을 행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1 날체(4A)에 돌기부(4b), 제2 날체(4B)에 오목부(4c)가 설치된 경우를 나타냈으나, 예를 들면, 제1 날체(4A)의 위쪽에 돌기부(4b)가 형성되고, 아래쪽에 오목부(4c)가 형성된 형상이라도 된다. 또한, 돌기부(4b)나 오목부(4c)의 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피복된 광섬유(21)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싱글 모드 파이버(ITU―T G.652 B 준거)이며, 후지쿠라 Future Guide(R)―SM 등을 들 수 있다.
광섬유 가이드(2)는, 박판형으로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체(7, 8)[제1 가이드체(7) 및 제2 가이드체(8)]를 가진다. 이들 한쌍의 가이드체(7, 8)는, 피복된 광섬유(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피복 제거날(1)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때, 피복 제거날(1)과 한쌍의 가이드체(7, 8)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 가이드체(7)와 제2 가이드체(8)는, 동일 면 내에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 명세서 중, 이들 제1 가이드체(7)와 제2 가이드체(8)와의 대향면을 대향 에지부(7a, 8a)(내측 에지)라고 한다. 제2 가이드체의 대향 에지부(8a)는, 제1 가이드체(7)의 대향 에지부(7a)에 들어맞는 형상을 가진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가이드체(7)는, 그 상측 에지부(7b)와 하부 에지부(7c)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이드체(7)의 대향 에지부(7a)는, 제1 가이드체(7)의 일단(7d) 측으로부터 타단(7e) 측을 향해 상측 에지부(7b)로부터 일정 각도로 하강한 상부 경사부(11)와, 상부 경사부(11)의 하단으로부터 상측 에지부(7b)와 평행하게 연장된 중간부(12)와, 중간부(12)로부터 일정 각도로 하강한 하부 경사부(13)를 가진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경사부(13)의 하부 에지부(7c)에 대한 경사 각도 θ1은, 15~4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35°가 보다 바람직하다. 경사 각도 θ1이 15° 보다 작으면, 피복된 광섬유(21)를 적절한 위치[오목형 날부(5) 내]로 안내할 수 있는 범위 R가 좁아진다. 한편, 경사 각도 θ1가 45°보다 크면, 피복된 광섬유(21)를 적절한 위치로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어려워진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가이드체(7)의 하부 경사부(13)가 형성되는 위치는, 피복 제거날(1)의 하부측의 스트레이트부(6)에 상당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가이드체(7)의 중간부(12)가 형성되는 위치는, 제1 날체(4A)의 오목형 날부(5)의 하단 근방에 상당하는 위치가 바람직하다. 즉, 제1 가이드체(7)의 중간부(12)가 형성되는 위치가, 오목형 날부(5)의 하단에 상당하는 위치이거나, 이 위치보다 약간 낮은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구성에 의해, 피복된 광섬유(21)가, 제1 가이드체(7)의 하부 경사부(13)에 의해 피복 제거날(1)의 오목형 날부(5)에 도입되도록, 가이드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가이드체(7)의 중간부(12)와 하부 경사부(13)를 포함하는 부분은, 본체부(33)[상부 경사부(11)를 가지는 부분]의 하부로부터 도 2에서의 우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34)로 되어 있다. 즉, 제1 돌출부(34)는, 그 중간부(12)를 따라 제2 날체(4B)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러므로, 하부 경사부(13)는 제1 돌출부(34)의 돌출 방향을 향해 서서히 하강하도록(즉,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가이드체(8)는, 그 상측 에지부(8b)와 하부 에지부(8c)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 가이드체(8)의 대향 에지부(8a)는, 일단(8d) 측으로부터 타단(8e) 측을 향해 일정 각도로 하강한 상부 경사부(14)와, 상부 경사부(14)의 하단으로부터 상측 에지부(8b)와 평행하게 연장된 중간부(15)와, 중간부(15)로부터 일정 각도로 하강한 하부 경사부(16)를 가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체(8)의 대향 에지부(8a)는, 제1 가이드체(7)의 대향 에지부(7a)에 들어맞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제2 가이드체(8)의 상부 경사부(14)가, 제1 가이드체(7)의 상부 경사부(11)와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 가이드체(8)의 중간부(15)가, 제1 가이드체(7)의 중간부(12)와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 가이드체(8)의 하부 경사부(16)가, 제1 가이드체(7)의 하부 경사부(13)와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가이드체(7)의 대향 에지부(7a)와 제2 가이드체(8)의 대향 에지부(8a)를 서로 마주 보게 했을 때, 제2 가이드체(8)의 상부 경사부(14), 중간부(15) 및 하부 경사부(16)가, 각각 제1 가이드체(7)의 상부 경사부(11), 중간부(12) 및 하부 경사부(13)와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가이드체(8)의 상부 경사부(14)의 상측 에지부(8b)에 대한 경사 각도 θ2는, 제1 가이드체(7)의 하부 경사부(13)의 경사 각도 θ1과 동일한 이유로, 15~4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35°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가이드체(8)의 상부 경사부(14)가 형성되는 위치는, 피복 제거날(1)의 상부측의 스트레이트부(6)에 상당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가이드체(8)의 중간부(15)가 형성되는 위치는, 제2 날체(4B)의 오목형 날부(5)의 상단 근방에 상당하는 위치가 바람직하다. 즉, 제2 가이드체(8)의 중간부(15)가 형성되는 위치가, 오목형 날부(5)의 상단에 상당하는 위치이거나, 이 위치보다 약간 높은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구성에 의해, 피복된 광섬유(21)가, 제2 가이드체(8)의 상부 경사부(14)에 의해 피복 제거날(1)의 오목형 날부(5)에 도입되도록, 가이드된다.
제1 가이드체(7)의 중간부(12)와 제2 가이드체(8)의 중간부(15)와의 고저차는, 피복된 광섬유(21)의 외경(外徑)과 거의 같거나, 또는 피복된 광섬유(21)의 외경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들의 중간부(12, 15) 사이에서 피복된 광섬유(21)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규제한 상태로, 피복된 광섬유(21)를 오목형 날부(5)에 안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가이드체(8)의 상부 경사부(14)와 중간부(15)를 포함하는 부분은, 본체부(35)[하부 경사부(16)를 포함하는 부분]의 상부로부터 도 2에서의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36)로 되어 있다. 즉, 제2 돌출부(36)는, 그 중간부(15)를 따라 제1 날체(4A)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부 경사부(14)는 제2 돌출부(36)의 돌출 방향을 향해 서서히 상승하도록(즉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위치결정판(3)은, 피복된 광섬유(21)를 광섬유 가이드(2)의 제1 가이드체(7)와 제2 가이드체(8)와의 사이, 특히 도 2에 나타낸 범위 R 내로 인도하고, 피복된 광섬유(21)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이 위치결정판(3)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위치결정부(18)[제1 위치결정부(18A), 및 제2 위치결정부(18B)]로 이루어지고, 이들이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 명세서 중, 이들 위치결정부(18)[18A, 18B]의 대향면을, 대향 에지부(18a)라고 한다. 이들 위치결정부(18)[18A, 18B]는, 피복된 광섬유(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광섬유 가이드(2)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들 위치결정부(18)[18A, 18B]의 대향 에지부(18a, 18a)의 대략 중앙에는, 피복된 광섬유(21)를 수용하여 위치결정하는 반원형의 오목형 수용부(19, 19)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형 수용부(19, 19)는, 위치결정부(18)[18A, 18B]끼리를 서로 마주 보게 하여 접촉시켰을 때, 원형의 개구부(제2 개구부)를 이룬다.
오목형 수용부(19, 19)는, 상기 제2 개구부의 직경이 피복된 광섬유(21)의 외경보다 약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오목형 수용부(19, 19)는 피복된 광섬유(21)가 문제 없이 들어가는 크기로 되어 있다. 오목형 수용부(19, 19)는, 피복 제거날(1)과 광섬유 가이드(2)와 위치결정판(3)을 중첩시켜 배치했을 때, 피복 제거날(1)의 오목형 날부(5)에 상당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부(18)[18A, 18B]의 대향 에지부(18a, 18a)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결정 기구(18b, 18c)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위치결정 기구(18b, 18c)는, 피복(21b)의 제거를 행할 때, 위치결정판(3)[피복 제거 유닛(10A)]의 두께 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이 위치결정 기구로서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위치결정부(18A)에 형성된 오목부(18b)와, 제2 위치결정부(18B)에 설치되고, 이 오목부(18b)에 끼워맞추어지는 형상의 볼록부(18c)를 들 수 있다. 피복(21b)을 제거할 때, 제1 위치결정부(18A)와 제2 위치결정부(18B)와의 대향 에지부(18a)가 접촉하면, 이들 오목부(18b)와 볼록부(18c)가 끼워맞추어져, 위치결정판(3)의 두께 방향의 위치결정이 행해진다. 이로써, 제1 날체(4A)의 오목형 날부(5)와 제2 날체(4B)의 오목형 날부(5)가, 그 두께 방향으로 어긋나지 않고 피복된 광섬유(21)의 피복(21b)에 맞닿으므로, 균등하게 피복(21b)의 제거가 행해진다.
본 실시예의 피복 제거 유닛(10A)은, 피복 제거날(1)과 광섬유 가이드(2)로 이루어지는 기본 구성[즉, 위치결정판(3)이 없는 구성]이라도, 휨 성질이 생긴 피복된 광섬유(21)를 피복 제거날(1)의 중앙의 오목형 날부(5)에 가이드하여, 피복(21b)의 제거를 행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더하여, 상기한 위치결정판(3)을 추가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피복된 광섬유(21)를 피복 제거날(1)의 중앙의 오목형 날부(5)에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피복(21b)의 제거 시에, 피복된 광섬유(21)에 손상이 생기지 않아, 피복을 제거한 후의 광섬유의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피복 제거 유닛(10A)에 있어서, 제1 날체(4A)와, 제1 가이드체(7)와, 제1 위치결정부(18A)가, 제1 유닛체(31)로서 일체로 동작한다. 또한, 제2 날체(4B)와, 제2 가이드체(8)와, 제2 위치결정부(18B)가, 제2 유닛체(32)로서 일체로 동작한다.
제1 유닛체(31)와 제2 유닛체(32)의 한쪽 또는 양쪽은,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이동 기구에 의해 서로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유닛체(31)에 있어서, 제1 가이드체(7)의 제1 돌출부(34)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날체(4A)의 대향 에지부(4a)로부터 제2 유닛체(32)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유닛체(32)에 있어서, 제2 가이드체(8)의 제2 돌출부(36)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2 날체(4B)의 대향 에지부(4a)로부터 제1 유닛체(31)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피복 제거 유닛(10A)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유닛체(31)와 제2 유닛체(32)를 서로 이격시키고, 이들의 사이에 피복된 광섬유(21)를 배치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피복된 광섬유(21)의 높이 위치가, 제2 가이드체(8)의 상부 경사부(14)에 상당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유닛체(31)와 제2 유닛체(32)를 서로 근접시키면, 피복된 광섬유(21)는 제2 가이드체(8)의 상부 경사부(14)에 맞닿는다.
이들 제1 유닛체(31)와 제2 유닛체(32)를, 서로 더욱 근접시키면 피복된 광섬유(21)는, 제2 유닛체(32)의 상부 경사부(14)에 의해 가압되고, 제1 유닛체(31)의 날체(4)의 스트레이트부(6)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도 3에 나타낸 상태로 평면에서 보았을 때, 피복된 광섬유(21)는, 제1 돌출부(34)와 제1 날체(4A)와 제2 날체(4B)와 제2 돌출부(36)에 에워싸인 공간(37) 내에 있다.
상기 제1 유닛체(31)와 제2 유닛체(32)와의 이동은, 양쪽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되고, 어느 한쪽을 다른 쪽으로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된다. 도시한 예에 있어서, 이 이동 방향은, 제1 돌출부(34) 또는 제2 돌출부(36)의 돌출 방향과 대략 같은 방향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유닛체(31)와 제2 유닛체(32)를 더욱 근접시키면, 피복된 광섬유(21)는, 제2 유닛체(32)의 상부 경사부(14)에 가압되고, 또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 피복된 광섬유(21)는, 제1 유닛체(31)[제1 가이드체(7)]의 중간부(12)와 제2 유닛체(32)[제2 가이드체(8)]의 중간부(15)와의 사이에서, 그 상하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제1 유닛체(31) 및 제2 유닛체(32)를 근접시키고, 이들 날체(4A, 4B)의 대향 에지부(4a, 4a)끼리를 근접시키면, 피복된 광섬유(21)가 제1 날체(4A)의 오목형 날부(5)와 제2 날체(4B)의 오목형 날부(5)에 끼워진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된 광섬유(21)는, 제1 유닛체(31) 및 제2 유닛체(32)의 이동에 의해 각 위치결정판(3)의 오목형 수용부(19, 19) 내에 안내되어, 위치결정된다.
이 상태에서, 피복된 광섬유(21)를, 피복 제거 유닛(10)에 대하여, 피복 제거날(1)의 두께 방향, 즉 도 2~도 4에서의 지면(紙面)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이 조작에 의해, 오목형 날부(5, 5)에 의해 피복(21b)에는 피복된 광섬유(21)의 길이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피복(21b)이 광섬유 나선(21a)으로부터 제거된다.
피복된 광섬유(21)가 공간(37) 내에 있어서 낮은 위치, 예를 들면, 제1 가이드체(7)의 하부 경사부(13)에 상당하는 높이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피복된 광섬유(21)가 이 하부 경사부(13)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하고, 오목형 날부(5)로 안내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피복 제거 유닛(10A)에서는, 도 3에 나타낸 제1 돌출부(34)와 제1 날체(4A)와 제2 날체(4B)와 제2 돌출부(36)에 에워싸인 공간(37) 내에서, 제2 가이드체(8)의 상부 경사부(14) 또는 제1 가이드체(7)의 하부 경사부(13)에 의해, 피복된 광섬유(21)가 오목형 날부(5) 및 오목형 수용부(19)에 안내된다. 따라서, 휨 성질이 생긴 피복된 광섬유(21)라도, 제1 가이드체(7) 또는 제2 가이드체(8)에 의해, 이 피복된 광섬유(21)가 오목형 날부(5) 및 오목형 수용부(19)에 안내되고, 정확한 위치에서 그 피복(21b)이 제거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피복 제거 유닛(10A)은, 사양이 상이한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에도 적용이 용이하다. 즉, 기존의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피복 제거날 대신에, 본 실시예의 피복 제거 유닛(10A)을 장착하면, 상기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피복 제거 유닛(10)[10B]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예의 피복 제거 유닛(10A)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피복 제거 유닛(10B)이 제1 실시예의 피복 제거 유닛(10A)과 다른 점은, 제1 위치결정부(18A)에 액 도입구(41)가 형성되어 있는 점과, 제2 위치결정부(18B)에 가스 도입구(43)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또한, 제1 가이드체(7)의 상측 에지부(7b)가 제1 위치결정부(18A)의 상단 근방에 상당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점과, 제2 가이드체(8)의 하부 에지부(8c)가 제2 위치결정부(18B)의 하단 근방에 상당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 도입구(41)와 가스 도입구(43)와의 양쪽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어느 한쪽만이 위치결정부(18)[18A, 18B]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7, 도 8에서는, 피복 제거날(1)을 생략하여 기재하고 있지만, 그 구성은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 도입구(43)는, 제1 유닛체(31)와 제2 유닛체(32)를 맞추었을 때, 제1 가이드체(7)와 제2 가이드체(8)와의 사이의 공간(42)에 개구되도록, 제2 위치결정부(18B)에 형성되어 있다. 이 가스 도입구(43)로부터, 공간(42)에 공기 등의 가스가 도입된다.
도 8은 피복된 광섬유(21)가 위치결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상태에서, 피복 제거날(1)(도 7, 도 8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피복(21b)이 제거된다. 그러면, 제1 가이드체(7)와 제2 가이드체(8)와의 사이의 공간(42)에, 제거된 피복(21b)인 제거 부스러기가 발생한다. 여기서, 가스 도입구(43)로부터 이 공간(42)에 상기 가스를 도입하면, 이 가스 도입구(43)로부터 공간(42)의 밖으로 가스의 흐름이 발생한다. 이 결과, 이 가스의 흐름에 따라 제거 부스러기가 공간(42)으로부터 배출된다. 가스는, 피복(21b)의 제거를 행하고 있는 동안, 수시 도입해도 되고, 소정량의 피복(21b)을 제거한 후에 도입해도 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 도입구(41)는, 공간(42)에 개구되도록, 제1 위치결정부(18A)에 형성되어 있다. 이 액 도입구(41)로부터, 공간(42)에 액체가 도입된다. 이 액체로서는, 예를 들면, 에탄올 등의 알코올이나 물 등을 들 수 있다. 액 도입구(41)로부터 공간(42)에 상기 액체를 도입하면 이 액 도입구(41)로부터 공간(42)의 밖으로 액체의 흐름이 발생한다. 이 결과, 이 액체의 흐름에 따라 제거 부스러기가 공간(42)으로부터 배출된다. 가스에 더하여 액체도 공간(42)에 도입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 부스러기를 공간(42)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공간(42)에 도입된 액체는 오목형 날부(5)에도 공급된다. 그러므로, 이 액체로서 알코올을 사용한 경우, 이 알코올에 의해 오목형 날부(5)와 피복(21b)과의 사이의 마찰을 저감하면서, 오목형 날부(5)에 의한 피복(21b)의 제거가 행해진다. 이 때, 알코올에 의한 오목형 날부(5)의 클리닝도 동시에 가능해진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피복(21b)의 제거가 행해지므로, 마찰이나 제거 부스러기 등에 의한 오목형 날부(5)의 날마모가 억제되어, 장기간에 걸쳐 오목형 날부(5)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액 도입구(41)는, 오목형 날부(5)[오목형 수용부(19)]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액체에 가해지는 중력에 의해, 공간(42)에 도입된 액체가, 보다 적극적으로 피복(21b)의 제거를 행하고 있는 부위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액 도입구(41)가 오목형 수용부(19)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 비하여, 액체를 안정적으로 피복(21b)의 제거를 행하고 있는 부위에 공급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공간(42)으로부터의 제거 부스러기의 제거, 오목형 날부(5)의 클리닝, 및 오목형 날부(5)와 피복(21b) 사이의 저마찰화가 행해진다.
액체는, 소정량의 피복(21b)을 제거한 후에 도입해도 되지만, 오목형 날부(5)에 대한 상기한 작용을 고려하면, 피복(21b)의 제거를 행하고 있는 동안, 수시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피복 제거 유닛(10B)에서는, 가스 도입구(43)로부터 공간(42)에 도입되는 가스나, 액 도입구(41)에 의해 공간(42)에 도입되는 액체에 의해, 공간(42)으로부터 제거 부스러기가 배출된다. 이로써, 이 제거 부스러기의 잔류물이 피복 제거 시의 피복 제거날(1)에 간섭하여 광섬유 나선에 파손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피복 제거한 후의 광섬유 나선 상의 제거 부스러기를 적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피복 제거 유닛(10B)에서는, 제1 가이드체(7)의 상측 에지부(7b)가 제1 위치결정부(18A)[및 제1 날체(4A)]의 상단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가이드체(8)의 하부 에지부(8c)가, 제2 위치결정부(18B)[및 제2 날체(4B)]의 하단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공간(42)에 도입된 액체나 가스의 유로가, 공간(42)의 외측으로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피복 제거 유닛(10B)에서는, 제1 가이드체(7)와 제2 가이드체(8)가, 피복된 광섬유(21)의 가이드뿐아니라, 공간(42)에 도입되는 가스 및 액체의 유로로도 되어 있다. 이 결과, 공간(42)에 도입된 가스나 액체가 불필요하게 분산되지 않고, 효율적으로 피복(21b)의 제거를 행하고 있는 부위에 도입된다. 또한, 부품수가 증가하지 않고 상기한 효과가 얻어지므로, 본 실시예의 피복 제거 유닛(10B)을 구비한 장치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피복 제거날(1)[날체(4)]이나 위치결정판(3)[위치결정부(18)]에, 위치결정 기구(4b, 4c, 18b, 18c)를 각각 설치해도 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50)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50)는, 전술한 피복 제거 유닛(10)[10A, 10B]과, 이 피복 제거 유닛(10)의 제1 유닛체(31) 및 제2 유닛체(32), 또는 어느 한쪽을 구동시키는 구동 기구(도시하지 않음)와, 이들을 내포하는 하우징(51)을 구비한 자동 방식의 장치이다. 구동 기구는, 예를 들면, 피복 제거날(1)의 날체(4)[4A, 4B], 광섬유 가이드(2)의 제1 가이드체(7)와 제2 가이드체(8), 및 위치결정판(3)의 위치결정부(18)[18A, 18B]를 각각 자동 개폐 동작(수평 이동 동작)시키거나, 또는 제1 유닛(31)과 제2 유닛을 자동 수평 이동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50)에서는, 피복된 광섬유(21)가 이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50) 내에 도입되면 구동 기구에 의해 제1 유닛체(31) 및 제2 유닛체(32) 또는 어느 한쪽만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적절한 위치에 피복된 광섬유(21)가 가이드·유지된다. 제1 유닛(31) 및 제2 유닛(32), 또는 어느 한쪽이, 더욱 가까워지도록 이동함으로써, 피복된 광섬유(21)의 피복(21b)이 피복 제거날(1)에 의해 절단, 제거된다. 이 때, 제2 실시예의 피복 제거 유닛(10B)이 탑재된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50)에서는, 액 도입구(41)로부터 액체가 공간(42)에 도입되어 가스 도입구(43)로부터 가스가 공간(42)에 도입된다. 이로써, 피복 제거 작업 중에 발생하는 제거 부스러기를, 피복(21b)의 제거를 행하고 있는 부위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이로써, 이 제거 부스러기의 잔류물이 피복 제거 시의 피복 제거날(1)에 간섭하여 광섬유 나선에 파손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피복 제거한 후의 광섬유 나선 상의 제거 부스러기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자동 방식의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50)로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기술에 의한 피복 제거 정밀도의 불균일이 없어, 안정된 광섬유 나선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또한, 얻어지는 광섬유 나선에 파손이 쉽게 생기지 않기 때문에, 그 파단 강도의 저하가 억제된다. 그러므로, 장기간의 사용에 적절한 광섬유 나선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피복 제거 유닛에 의하면, 휨 성질이 생긴 피복된 광섬유라도, 이 피복된 광섬유를 피복 제거날의 오목형 날부에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위치에 이 광섬유를 유지한 상태로 피복을 제거할 수 있어, 피복 제거 시에 광섬유 나선에 파손이 생겨, 그 파단 강도의 저하 등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에 의하면, 작업자의 기술에 의한 피복 제거 정밀도의 불균일이 없어, 안정된 광섬유 나선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또한, 얻어지는 광섬유 나선에 파손이 쉽게 생기지 않기 때문에, 그 파단 강도의 저하가 억제된다. 그러므로, 장기간의 사용에 적절한 광섬유 나선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1: 피복 제거날
2: 광섬유 가이드
3: 위치결정판
4[4A, 4B]: 날체
4a: 대향 에지부
4b: 돌기부
4c: 오목부
5: 오목형 날부
7: 제1 가이드체
7a: 대향 에지부(내측 에지)
8: 제2 가이드체
8a: 대향 에지부(내측 에지)
10[10A, 10B]: 피복 제거 유닛
12: 제1 가이드체의 중간부
13: 제1 가이드체의 하부 경사부
14: 제2 가이드체의 상부 경사부
15: 제2 가이드체의 중간부
18: 위치결정부
18a: 위치결정부의 대향 에지부
18b: 오목부
18c: 볼록부
19: 오목형 수용부
21: 피복된 광섬유
21a: 광섬유 나선
21b: 피복
37: 제1 돌출부와 한쌍의 날체와 제2 돌출부에 에워싸인 공간
42: 제1 가이드체와 제2 가이드체와의 사이의 공간
41: 액 도입구
43: 가스 도입구

Claims (9)

  1. 대향하여 배치된 한쌍의 날체(刃體)로 이루어지고, 이들 날체의 대향면 각각에 피복을 제거하는 오목형 날부가 형성된 피복(被服) 제거날,
    상기 피복 제거날에 중첩시켜 배치된 광섬유 가이드,
    상기 광섬유 가이드의 상기 피복 제거날이 있는 면 측과는 반대의 면 측에, 피복된 광섬유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결정판;
    을 포함하고, 피복된 광섬유의 피복을 제거하는 피복 제거 유닛으로서,
    상기 광섬유 가이드는, 대향하여 배치된 제1 가이드체와 제2 가이드체를 가지고,
    상기 제1 가이드체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날체와 중첩되어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날체의 상기 대향면으로부터 제2 날체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제2 가이드체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날체와 중첩되어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2 날체의 상기 대향면으로부터 상기 제1 날체측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돌출부의 상기 제2 가이드체와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제1 돌출부의 돌출 방향을 향해 외측으로 경사진 하부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돌출부의 상기 제1 가이드체와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제2 돌출부의 돌출 방향을 향해 외측으로 경사진 상부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날체에는, 높이 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제1 위치결정 기구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위치결정판은, 대향하여 배치된 한쌍의 위치결정부를 포함하고,
    제1 위치결정부는 상기 제1 가이드체와 일체로 동작하도록 배치되고,
    제2 위치결정부는 상기 제2 가이드체와 일체로 동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위치결정부와 상기 제2 위치결정부와의 대향면에는, 상기 피복 제거날의 상기 오목형 날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상기 피복된 광섬유를 그 직경 방향으로 수용하는 수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한쌍의 상기 위치결정판에는, 두께 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제2 위치결정 기구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피복 제거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상기 돌출 방향에 대한 상기 하부 경사부의 경사 각도(θ1)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상기 돌출 방향에 대한 상기 상부 경사부의 경사 각도(θ2)는, 15~45°인, 피복 제거 유닛.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판에는, 상기 제1 가이드체와 상기 제2 가이드체와의 사이의 공간에 개구된 가스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피복 제거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판에는, 상기 제1 가이드체와 상기 제2 가이드체와의 사이의 공간에 개구된 액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피복 제거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결정부에는, 상기 제1 가이드체와 상기 제2 가이드체와의 사이의 공간에 개구된 액 도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위치결정부에는, 상기 공간에 개구된 가스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피복 제거 유닛.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기재된 피복 제거 유닛을 포함하는,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
KR1020117019638A 2009-03-03 2010-03-03 피복 제거 유닛 및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 KR101264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49819 2009-03-03
JP2009049819 2009-03-03
PCT/JP2010/001449 WO2010100912A1 (ja) 2009-03-03 2010-03-03 被覆除去ユニットおよび光ファイバ被覆除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398A KR20110107398A (ko) 2011-09-30
KR101264135B1 true KR101264135B1 (ko) 2013-05-14

Family

ID=42709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638A KR101264135B1 (ko) 2009-03-03 2010-03-03 피복 제거 유닛 및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22648B2 (ko)
EP (1) EP2405289B1 (ko)
JP (1) JP5216911B2 (ko)
KR (1) KR101264135B1 (ko)
CN (1) CN102334051B (ko)
WO (1) WO20101009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04590A (zh) * 2012-12-26 2014-07-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剥线装置
BR112017006723A2 (pt) 2014-10-02 2017-12-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 ferramenta de remoção de revestimento de fibra óptica descartável
JP6431740B2 (ja) * 2014-10-14 2018-11-28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用被覆除去具及び光ファイバの被覆除去方法
RS59451B1 (sr) * 2015-04-30 2019-11-29 Komax Holding Ag Uređaj i postupak za obradu kabla za uklanjanje zaštitne folije sa zaštićenog okruglog višežilnog kabla
JP6201072B1 (ja) 2017-02-20 2017-09-20 株式会社フジクラ 被覆除去刃、除去刃ユニット及び光ファイバ被覆除去装置
JP6474851B2 (ja) * 2017-04-14 2019-02-27 株式会社フジクラ 被覆除去具及び被覆除去方法
WO2019202663A1 (ja) * 2018-04-17 2019-10-24 株式会社フジクラ 被覆除去具及び被覆除去方法
US11493722B2 (en) * 2020-10-16 2022-11-08 Metra Electronics Corporation Cable stripping tool
CN116594113B (zh) * 2023-07-18 2023-09-19 国网吉林省电力有限公司信息通信公司 一种光缆安装工程的光缆绝缘层剥除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0811A (ja) 2000-05-10 2001-11-16 Japan Automat Mach Co Ltd 同軸ケーブルの端末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004077909A (ja) 2002-08-20 2004-03-1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の被覆除去処理方法、被覆除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10997Y1 (ko) * 1967-07-31 1971-04-16
US4117749A (en) * 1976-08-09 1978-10-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Wire stripper
JPH0529443Y2 (ko) * 1985-01-25 1993-07-28
JPS6141207U (ja) * 1985-04-18 1986-03-1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学繊維の切断装置
JPH0224806U (ko) * 1988-08-03 1990-02-19
JPH07118855B2 (ja) * 1991-05-22 1995-12-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被覆剥離装置
JPH0529443A (ja) * 1991-07-25 1993-02-05 Fujitsu Ltd ウエーハ冷却装置及び冷却方法
JPH0757058B2 (ja) * 1992-03-10 1995-06-14 日本オートマチックマシン株式会社 二重被覆電線のストリップ成形装置
JPH06276637A (ja) * 1993-03-19 1994-09-30 Toyo Tanshi Kk 電線の被覆切断剥離装置
JPH09113732A (ja) 1995-10-18 1997-05-02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の被覆除去工具
JP2001311831A (ja) * 2000-04-28 2001-11-09 Fujikura Ltd 光ファイバ被覆除去器
JP2002004998A (ja) 2000-06-20 2002-01-09 Komatsu Ltd 斜軸式固定容量型油圧モータ
KR20020032576A (ko) 2000-07-10 2002-05-03 오카야마 노리오 광 파이버 소선 홀더, 융착 접속 장치, 절단 장치 및 광파이버의 접속 방법
JP4535219B2 (ja) 2001-06-12 2010-09-0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被覆除去装置
JP2009049819A (ja) 2007-08-21 2009-03-05 Aruze Corp Ip電話システム
KR100971071B1 (ko) * 2009-10-26 2010-07-20 지성훈 전선 피복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0811A (ja) 2000-05-10 2001-11-16 Japan Automat Mach Co Ltd 同軸ケーブルの端末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004077909A (ja) 2002-08-20 2004-03-1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の被覆除去処理方法、被覆除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22648B2 (en) 2013-09-03
KR20110107398A (ko) 2011-09-30
JPWO2010100912A1 (ja) 2012-09-06
EP2405289A1 (en) 2012-01-11
CN102334051A (zh) 2012-01-25
WO2010100912A1 (ja) 2010-09-10
EP2405289B1 (en) 2019-05-15
JP5216911B2 (ja) 2013-06-19
CN102334051B (zh) 2013-07-24
EP2405289A4 (en) 2015-10-28
US20110308358A1 (en)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135B1 (ko) 피복 제거 유닛 및 광섬유 피복 제거 장치
EP0569981A1 (en) Optical switch, optical fiber arranging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ptical fiber arranging member
TWI475272B (zh) 光纖連接器
WO2011129229A1 (ja) 光コリメ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光コネクタ、並びに、光コリメータ用保持部材
US1035315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connector,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fiber insertion device
EP3287824A1 (en) Multi-core optical connector
JP5074806B2 (ja) メカニカルスプライスの組立方法
JP2007121878A (ja) 光コネクタの接続工具
JP2019159057A (ja) 光ファイバ保持部材及び光ファイバ保持部材への光ファイバの配置方法
US9841562B2 (en) Fiber devices with displaceable fiber guide
US10663664B2 (en) Coating removal tool
JP4791918B2 (ja) 光ファイバ接続用部品および接続方法
JP3824963B2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分割工具及び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分割方法
WO2021235028A1 (en) Optical fiber cutter and method of cutting optical fiber
TWI675729B (zh) 覆皮除去具以及覆皮除去方法
JP2011059137A (ja) 光コネクタ用取付補助具及び光コネクタ
JP3802828B2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分離工具
JP6474851B2 (ja) 被覆除去具及び被覆除去方法
JP2021021768A (ja) 光ファイバ挿入用治具、光ファイバの挿入方法、光ファイバ接続器の製造方法
WO2019202663A1 (ja) 被覆除去具及び被覆除去方法
CN107615122B (zh) 光纤保持构件以及熔接机
US11662528B2 (en) Optical assembly with cassette
JP2021184082A (ja) 光ファイバ切断装置及び光ファイバ切断方法
CN115885202A (zh) 插芯、光连接器以及制造光连接器的方法
JP2022084076A (ja) ファイバ接続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