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983B1 -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983B1
KR101257983B1 KR1020107003650A KR20107003650A KR101257983B1 KR 101257983 B1 KR101257983 B1 KR 101257983B1 KR 1020107003650 A KR1020107003650 A KR 1020107003650A KR 20107003650 A KR20107003650 A KR 20107003650A KR 101257983 B1 KR101257983 B1 KR 101257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haracter
function
key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6369A (ko
Inventor
아츠히토 이에무라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6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Abstract

효율적인 문자 입력과 기능 실행을 가능하게 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누른 문자 입력 키(14)에 할당된 다른 복수의 문자 종류에 대응하는 각각의 문자 코드를 주 제어부(121)가 생성하고, 이 생성된 상이한 복수의 문자 종류의 문자 코드를 RAM(121b)에 기억해 두고, RAM(121b)으로부터 판독한 각각의 문자 코드를 캐릭터 생성기 ROM(117a)에 의해 각각의 문자 캐릭터 코드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상이한 복수의 문자 종류의 문자 캐릭터 코드를 디스플레이부(21)의 동일한 화면에 표시한다.

Description

입력 장치{INPUT DEVICE}
본 발명은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며, 예컨대, 분할 화면으로의 효율적인 문자 입력과 기능 실행을 제공할 수 있는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메일(mail) 기능 등을 실행하고, 메모 등의 문장을 문자 입력 기능을 이용하여 메모장에 써서 보존하는 기술이나, 문장을 본문에 기재하여 메일을 송신하는 기술 등이 공지의 기술로서 알려져 있다.
종래의 문자 입력 기능에서는, 우선 유저가, 예컨대 메모장 기능 등의 문자 입력을 행하기 위한 기능을 실행하고 나서, 문자 입력을 행하도록 기능 구성되어 있었다. 종래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예컨대, 메모장 기능을 호출하는 경우, 「수신 대기 화면」 ⇒ 「메인 메뉴」 ⇒ 「편리한 기능」 ⇒ 「메모장」 ⇒ 「신규 작성」의 5 단계의 호출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는, 기존의 문장을 2개 판독하고, 화면상에서 분할 표시하고, 하나의 문장으로서 편집하기 위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화면의 영역을 구분하여 선택하게 함으로써 화면상의 포인터의 이동을 쉽게 하기 위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 5-342206 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2-14773 호
그러나 종래의 문자 입력 기능에서는, 우선 유저가 문자 입력을 행하기 위한 기능을 개시하고 나서, 문자 입력을 행하도록 기능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화중에 바로 메모를 하고 싶은 경우, 우선 메모장 기능을 호출할 필요가 있고, 다단계의 호출 조작을 하는 동안에 메모하고자 했던 것을 잊어 버린다는 것도 생각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소정의 기능(예컨대 메모 작성이나 메일 작성 등)을 행하기 위해서 문자를 입력할 때, 사전에 소망하는 기능을 실행해 두고, 그 다음에 문자 입력(문장, 수신인 주소나 성명 등)을 행하기 때문에, 번잡한 키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유저의 조작성을 나쁘게 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서는, 효율적인 문자 입력과 기능 실행을 가능하게 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조작된 키에 할당된 적어도 2 이상의 입력 종별의 각각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를 각각 생성하는 제 1 생성 수단과, 상기 각각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제 2 생성 수단과, 상기 각각 화상 정보에 근거하는 화상을 동일한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입력 장치에서는, 상기 표시되는 화상에 대응하는 기능 키로서, 소정의 기능의 실행을 지시하는 기능 키가 조작된 것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기능 키의 조작의 검지에 근거하여, 상기 화상의 입력 정보에 근거한 상기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제 1 실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력 장치에서는, 상기 기능 키의 조작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의 기능을 변경하는 제 1 변경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력 장치에서는, 상기 화면에 표시된 문자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문자 종류 선택 키를 구비하고, 상기 문자 종류 선택 키의 조작에 의해 문자 종류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선택된 문자 종류에 대응한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제 2 실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력 장치에서는, 상기 화면에 표시된 문자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커서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문자 종류와 함께 상기 문자 종류를 선택한 경우에 실행되는 기능을 표시하고, 상기 커서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상기 문자 종류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문자 종류와 함께 실행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제 3 실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 중 어느 하나의 화상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소프트 키의 표시를 변경하는 제 2 변경 수단과, 상기 소프트 키의 표시에 대응하는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의해, 상기 선택된 화상의 입력 정보에 근거한 상기 소프트 키의 기능을 실행하는 제 3 실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력 장치에서는, 상기 입력 종별이, 히라가나, 숫자, 영자, 가타카나 및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 종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력 장치에서는, 상기 입력 종별 중에서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입력 종별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력 장치에서는, 상기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 또는 상기 화상이 표시되기 직전의 화면은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수신 대기하는 수신 대기 화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효율적인 문자 입력과 기능 실행을 가능하게 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일례인 휴대 전화 장치(1)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휴대 전화 장치(1)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조작부측 하우징(2)에 내장되는 부재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표시부측 하우징(3)에 내장되는 부재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조작부측 하우징(2)의 전면(前面) 패널(2a)에 마련된 키의 배치도(배치도 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조작부측 하우징(2)의 전면 패널(2a)에 마련된 키의 텐 키(ten key) 부분의 확대 배치도(배치도 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휴대 전화 장치(1)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ROM(121a)에 기억되는 숫자 코드, 히라가나 코드, 영자 코드, 가타카나 코드, 기호 코드, 그 외의 코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디스플레이부(21)의 표시 영역(21a)에 표시되는 다른 문자 캐릭터(character)의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휴대 전화 장치(1)의 기능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서브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휴대 전화 장치(1)의 기능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서브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디스플레이부(21)의 표시 영역(21a)에 표시되는 다른 문자 캐릭터의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휴대 전화 장치(1)의 기능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서브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휴대 전화 장치(1)의 기능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서브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디스플레이부(21)의 수신 대기 화면에 표시되는 다른 문자 종류의 문자 캐릭터의 화상과 문자 종류에 대응하는 기능 소프트 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주 제어부(121)에 의해 참조되는 기능 소프트 키 테이블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설명한다. 한편, 이하, 휴대 단말 장치의 일례로서 휴대 전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PHS(Personal Handy 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 가능 네비게이션(portability navigation) 장치, 노트북 컴퓨터 등의 다른 휴대 단말 장치이더라도 좋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일례인 휴대 전화 장치(1)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다.
휴대 전화 장치(1)는, 표면이 전면 패널(2a)과 전면 케이스(2b)와 후면 케이스(2c)와 도시하지 않는 후면 패널(2d)에 의해 구성되는 조작부측 하우징(2)(제 1 하우징)과, 표면이 전면 패널(3a)과 전면 케이스(3b)와 후면 케이스(3c)(도 2)와 후면 패널(3d)(도 2)에 의해 구성되는 표시부측 하우징(3)(제 2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측 하우징(2)은, 조작 키 군(11)과, 휴대 전화 장치(1)의 사용자가 통화시에 말한 음성이 입력되는 음성 입력부(12)가 전면 패널(2a)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조작 키 군(11)은, 각종 설정이나 전화 번호부 기능이나 메일 기능 등의 각종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기능 설정 조작 키(13)와, 전화 번호의 숫자나 메일 등의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 키(14)와, 각종 조작에 있어서의 결정이나 스크롤 등을 행하는 결정 조작 키(15)로 구성되어 있다. 조작부측 하우징(2)의 측면에는, 외부 기기(예컨대, 호스트 장치)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덮는 캡(cap)이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측 하우징(3)은, 전면 패널(3a)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1)와, 통화 상대측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22)가 노출되어 있다.
조작부측 하우징(2)의 상단부와 표시부측 하우징(3)의 하단부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hinge) 기구(4)(연결부)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즉, 힌지 기구(4)는 조작부측 하우징(2)의 일단부측(상단부)과 표시부측 하우징(3)의 일단부측(하단부)을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또한, 휴대 전화 장치(1)는, 힌지 기구(4)를 통해서 연결된 조작부측 하우징(2)과 표시부측 하우징(3)을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조작부측 하우징(2)과 표시부측 하우징(3)이 접힌 상태(서로 겹치는 제 1 상태, 접힌 상태)로 하거나, 조작부측 하우징(2)과 표시부측 하우징(3)을 서로 열린 상태(겹치는 정도가 접힌 상태보다도 낮은 제 2 상태, 열린 상태)로 하거나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힌지 기구(4)에 의한 접이식의 휴대 전화 장치(1)의 설명을 하고 있지만, 접이식이 아니라, 하우징부(2, 3) 양쪽을 겹친 상태로부터 한쪽의 하우징부를 1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한 슬라이드식이나, 겹친 방향을 따르는 축선을 중심으로 한쪽의 하우징부를 회전시키도록 한 회전식이나, 하우징(2, 3) 양쪽을 2축 힌지를 통해서 연결한 것이나, 접을 수 없는 스트레이트 식이라도 좋다.
도 2는 휴대 전화 장치(1)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조작부측 하우징(2)은, 한쪽의 측면에, 소정의 기능이 할당되는 사이드 키(30)와, 외부 메모리의 삽입 및 착탈이 행하여지는 인터페이스용의 캡(31)을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측 하우징(3)은, 한쪽의 측면에 슬라이드 키(32)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측 하우징(3)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카메라(33)와, 피사체에 빛을 조사하는 라이트(light)(34)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33)와 라이트(34)는 전면 케이스(3b)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도 3은 조작부측 하우징(2)에 내장되는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측 하우징(2)은, 전면 패널(2a)와, 전면 케이스(2b)와(본 도면에서는 전면 패널(2a)과 전면 케이스(2b)는 결합되어 있다), 상술한 조작 키 군(11)을 구성하는 키 시트(40)와, 가요성 배선 기판(45)과, 기준 전위 패턴층 및 휴대 전화 장치(1)용의 RF(Radio Frequency) 모듈 등의 각종 전자 부품을 구비하는 프린트 기판(50)(제 1 회로 기판)과, 힌지 기구(4)(4a, 4b)와, 안테나 소자(element)(55)와,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 소자(56)와, 후면 케이스(2c)와, 배터리(60)를 보호하는 후면 패널(2d)을 구비한다.
조작부측 하우징(2)에 있어서, 전면 케이스(2b)와, 키 시트(40)와, 프린트 기판(50)과, 후면 케이스(2c)가 적층되어 배치된다. 배터리(60)는 후면 패널(2d)의 외측으로부터 탈착가능하게 수납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 케이스(2b)와 후면 케이스(2c)는, 서로의 오목부 형상의 내측면이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서로의 외주 가장자리가 겹치도록 하여 결합된다. 또한, 전면 케이스(2b)와 후면 케이스(2c) 사이에는, 키 시트(40)와 프린트 기판(50)이 끼이도록 하여 내장된다. 즉, 프린트 기판(50)의 상면에 키 시트(40)가 적층 배치된다.
프린트 기판(50)에는 도시하지 않은 각종 전자 부품이 배치된다. 각종 전자 부품은 소정의 조합에 의해 복수의 회로 블록을 형성한다. 예컨대, 무선 회로, 전원 회로, 디지털 회로 등을 포함하는 각종 회로 블록이 형성된다.
전면 패널(2a)에는, 휴대 전화 장치(1)를 접은 상태로 표시부측 하우징(3)의 디스플레이부(21)와 대향하는 내측면에, 키 구멍이 복수 형성된다. 복수의 키 구멍 각각으로부터는, 키 시트(40) 상에 형성되는 기능 설정 조작 키(13), 및 문자 입력 키(14) 및 결정 조작 키(15)의 누름면이 노출된다. 이 노출된 조작 키 군(11)을 구성하는 기능 설정 조작 키(13), 및 문자 입력 키(14) 및 결정 조작 키(15)를 조작(이하, 누름이라고 함)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키 스위치 각각에 있어서의 메탈 돔(metal dome)(그릇 형상)의 정점(頂点)이 눌러진다. 이것에 의해, 메탈 돔이 스위치 단자에 접촉하여 메탈 돔과 스위치 단자가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후면 케이스(2c)의 하나의 단부측에는 힌지 기구(4)가 배치되어 있다. 후면 케이스(2c)의 하나의 단부측과는 반대측인 다른 한쪽의 단부측에는, 베이스에 수납된 안테나 소자(55)(안테나)가 배치된다. 또한, 안테나 소자(55)는 띠 형상의 판금으로 형성된다.
안테나 소자(55)는 통화나 전자 메일 등에 관한 전자파의 송수신을 행하는 안테나이며, 도시하지 않은 급전 단자를 통해서 프린트 기판(50)으로부터 급전된다. 안테나 소자(55)는, 상기 급전 단자를 통해서, 프린트 기판(50)에 마련된 RF 모듈 등과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테나 소자(55)의 위치를 후면 케이스(2c)의 일단부에 마련하도록 했지만, 조작부측 하우징(2)의 내부의 어느 한 장소에 배치할 수도 있다. 안테나 소자(55)의 위치를 표시부측 하우징(3)의 내부의 어느 한 장소에 배치할 수도 있다.
도 4는 표시부측 하우징(3)에 내장되는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측 하우징(3)은, 전면 패널(3a)과, 전면 케이스(3b)와, 힌지 기구(4)와, 스피커(70a, 70b)와, 모터(75)와, 디스플레이부(21)와, 디스플레이부(21)가 접속된 프린트 기판(80)(제 2 회로 기판)과, 후면 케이스(3c)와, 후면 패널(3d)을 구비한다. 표시부측 하우징(3)에서, 전면 패널(3a)과, 전면 케이스(3b)와, 디스플레이부(21)와, 프린트 기판(80)과, 후면 케이스(3c)와, 후면 패널(3d)이 적층되어 배치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 케이스(3b)와 후면 케이스(3c)는, 서로의 오목부 형상의 내측면이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서로의 외주 가장자리가 겹치도록 하여 결합된다. 디스플레이부(21)와 프린트 기판(80)은 전면 케이스(3b)와 후면 케이스(3c) 사이에 내장된다. 스피커(70a, 70b)와 모터(75)는 프린트 기판(80)에 접속된다.
도 5a는 조작부측 하우징(2)의 전면 패널(2a)에 마련된 키의 배치도(배치도 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조작부측 하우징(2)의 전면 패널(2a)에 마련된 키의 텐 키 부분의 확대 배치도(배치도 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면 패널(2a)에 형성된 복수의 키 구멍으로부터는, 키 시트(40) 상에 형성되는 기능 설정 조작 키(13), 문자 입력 키(14) 및 결정 조작 키(15)가 노출된다.
기능 설정 조작 키(13)에는, 문자 종류 선택 키(13a), 「WEB」 키(13b), 「메일」 키(13c), 「전화 번호부」 키(13d)가 마련되어 있다.
문자 입력 키(14)에는, 「통화 종료」 키(14a), 「3」 키(14b), 「6」 키(14c), 「9」 키(14d), 「#」 키(14e), 「클리어」 키(14f), 「2」 키(14g), 「5」 키(14h), 「8」 키(14i), 「0」 키(14j), 「발신」 키(14k), 「1」 키(14m), 「4」 키(14n), 「7」 키(14p), 「*」 키(14q)가 마련되어 있다.
이 노출된 조작 키 군(11)을 구성하는 기능 설정 조작 키(13), 문자 입력 키(14), 소프트 키로서 커서 키와 결정 키로 이루어지는 결정 조작 키(15)를 누름으로써, 대응하는 키 스위치 각각에서의 메탈 돔(그릇 형상)이 눌러진다. 이것에 의해, 메탈 돔이 스위치 단자에 접촉하여 메탈 돔과 스위치 단자가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조작 키 군(11)을 구성하는 각 키 각각에는 소정의 기능이 할당된다. 소정의 기능은, 조작부측 하우징(2)과 표시부측 하우징(3)의 개폐 상태나 표리(表裏) 상태 등의 변형 상태나, 기동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할당된다(키·할당). 휴대 전화 장치(1)에서, 조작 키 군(11)을 구성하는 각 키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짐으로써, 각 키에 할당되는 기능에 따른 동작이 실행된다.
도 6은 휴대 전화 장치(1)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에, 도 6에 나타내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휴대 전화 장치(1)의 각부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설명하는 휴대 전화 장치(1)의 기능 중 임의의 기능을 CPU 및 ROM이나 RAM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함께 동작하여 실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 장치(1)는, 전화 수신부(103)와, 전화 발신부(105)와, 메일 수신부(107)와, 메일 송신부(109)와, 브라우저부(111)를 구비한다. 전화 수신부(103)는, 안테나부(101)로부터 수신하는 전파를 복조하여 소정의 통신 방식(이동 통신망, 예컨대, CDMA(Code Division Mulitiple Access) 2000_1x 등에 준거)에 근거하여, 기지국을 통해서 다른 통신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전화에 의한 수신이나 메일에 의한 수신이나, 인터넷상으로부터 소정의 URL을 갖는 웹 페이지의 다운로드 등을 행한다. 전화 발신부(105)는, 상기 소정의 통신 방식에 근거하여, 기지국을 통해서 다른 통신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전화에 의한 발신이나 메일에 의한 송신이나, 인터넷상에 소정의 URL을 송신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변조하여 안테나부(101)로부터 전파를 송신한다. 메일 수신부(107)는 상기 소정의 통신 방식에 근거하여 전화 수신부(103)를 통해서 메일을 수신하는 메일러(mailer) 기능을 갖는다. 메일 송신부(109)는 상기 소정의 통신 방식에 근거하여 전화 발신부(105)를 통해서 메일을 송신하는 메일러 기능을 갖는다. 브라우저부(111)는 상기 소정의 통신 방식에 근거하여 전화 발신부(105)를 통해서 인터넷상에 소정의 URL을 송신하는 것과 아울러, 전화 수신부(103)를 통해서 인터넷상으로부터 소정의 URL을 갖는 웹 페이지를 다운로드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 장치(1)는, 조작 입력부(113)와, 입력 데이터 취득부(115)와, 표시 제어부(117)와, 디스플레이부(21)를 구비한다. 조작 입력부(113)는, 조작 키 군(11)에 마련된 어느 하나의 키가 눌러진 것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 데이터 취득부(115)는 조작 입력부(113)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여 조작 키 군(11)에 마련된 각각의 키에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를 취득한다. 표시 제어부(117)는, 캐릭터 코드를 VRAM(119)에 기입해 두고, VRAM(119)로부터 판독한 캐릭터 코드를 캐릭터 생성기 ROM(117a)에 의해 캐릭터 데이터로 변환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본 발명의 표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디스플레이부(21)는 표시 제어부(117)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 장치(1)는 ROM(121a)와, RAM(121b)와, 주 제어부(121)를 구비한다. ROM(121a)는 휴대 전화 장치(1)의 각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나 기능 모듈을 기억한다. RAM(121b)는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시에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기억 영역으로 되는 워크용의 RAM이다. 주 제어부(121)는 ROM(121a)으로부터 판독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휴대 전화 장치(1)의 각부를 제어하는 CPU(121c)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각 실시예의 구성은 동일(설명 완료)하기 때문에, 도 7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휴대 전화 장치(1)는, 유저가 가지고 다닐 때의 대기 상태, 환언하면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수신 대기하는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21)에 수신 대기 화면을 표시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수신 대기 화면이 표시된 상태로부터, 하나의 키를 누른 경우에, 그 키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히라가나, 가타카나, 영자, 숫자 등의 문자 외, 기호, 도형 등을 포함한다)를 분할된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기까지의 동작을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키에 할당된 문자의 종별을 입력 종별로 한다.
우선, 단계 S5에서, 주 제어부(121)는 RAM(121b) 및 VRAM(19)의 복수의 기억 영역에 대응하는 포인터 주소를 각각 소정의 개시값으로 초기화하고, 단계 S10으로 진행한다.
이어서, 단계 S10에서, 주 제어부(121)는 문자 입력 키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단계 S20에서, 문자 입력 키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문자 입력 키가 눌러진 경우에는 단계 S30으로 진행한다. 문자 입력 키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0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S30에서, 주 제어부(121)는, 조작 입력부(113)에 의해 눌러진 키의 키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 취득부(115)를 통해서 취득한다. 다음에, 주 제어부(121)는, 이 키 데이터에 할당된 문자 코드를 ROM(121a)으로부터 판독하는 것으로 문자 코드를 생성한다. ROM(121a)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되는 하나의 키 데이터에 대하여, 숫자 코드, 히라가나 코드, 영자 코드, 가타카나 코드, 기호 코드, 그 밖의 코드 등의 복수의 문자 종류마다의 문자 코드가 입력 정보로서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주 제어부(121)는, 입력되는 하나의 키 데이터에 대하여 ROM(121a)으로부터 다른 문자 종류마다의 문자 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복수의 키 데이터에 대하여, 다른 문자 종류마다 대응하는 복수의 문자 코드를 ROM(121a)으로부터 판독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40에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ROM(121a)으로부터 판독한 복수의 문자 종류마다의 문자 코드가 RAM(121b)의 각각의 문자 종류마다의 기억 영역에 기억된다.
단계 S50에서, 주 제어부(121)는, 우선, RAM(121b)의 각각의 기억 영역에 기억되는 다른 문자 코드를 판독한다. 다음에, 주 제어부(121)는 판독한 문자 코드를 표시 제어부(117)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표시 제어부(117)에 접속되는 VRAM(119)에 RAM(121b)으로부터 판독한 다른 문자 코드가 기억되어, 전송이 완료된다. 이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VRAM(119)의 각각의 기억 영역에 다른 문자 캐릭터 코드가 기억된다.
표시 제어부(117)는 소정의 표시 레이트로 VRAM(119)로부터 문자 캐릭터 코드를 판독하고 있다. 표시 제어부(117)는, VRAM(119)으로부터 판독한 문자 캐릭터 코드에 대응하는 캐릭터 데이터를, 캐릭터 생성기 ROM(117a)으로부터 판독한다. 표시 제어부(117)는 판독한 캐릭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1)에 표시한다. 이 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1)의 표시 영역(21a)에 각각 다른 문자 캐릭터의 화상이 표시된다. 한편, 도 9에 나타내는 표시는 수신 대기 화면의 직후에 표시되는 화면이지만, 수신 대기 화면에 문자 캐릭터의 화상을 겹쳐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단계 S60에서, 주 제어부(121)는 문자 입력 키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단계 S70에서, 문자 입력 키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문자 입력 키가 눌러진 경우에는 단계 S80으로 진행한다. 문자 입력 키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90으로 진행한다.
단계 S80에서, 주 제어부(121)는, RAM(121b) 및 VRAM(19)의 기억 영역에 대응하는 포인터 주소를 증감(+1)시키고, 단계 S30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S90에서, 주 제어부(121)는 본 발명의 검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주 제어부(121)는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키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기능 키가 눌러진 경우에는 단계 S100으로 진행한다. 기능 키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70으로 되돌아가, 문자 입력 키 또는 기능 키가 입력될 때까지, 단계 S70 및 단계 S90에서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90에서, 주 제어부(121)는 본 발명의 제 1 실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주 제어부(121)는,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키가 눌러졌다고 검출한 경우, 단계 S10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00는 기능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서브루틴이며, 이 서브루틴의 흐름도를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으로 이동하여, 단계 S105에서, 주 제어부(121)는 기능 키로서 「메일」 키(13d)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입력 데이터 취득부(115)로부터 입력되는 키 데이터에 근거하여, 「메일」 키(13d)가 눌러졌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1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10에서, 이 기능 키에 대응하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하나의 문자 종류의 문자 코드를 RAM(121b)의 기억 영역으로부터 선택하여 판독하고, RAM(121b)의 워크 영역에 기억한다. 「메일」 키(13d)가 눌러진 경우, 주 제어부(121)는 RAM(121b)에 마련된 「히라가나 코드」의 기억 영역을 선택하고, 이 기억 영역으로부터 문자 코드를 판독하고, RAM(121b)의 워크 영역에 기억한다.
이어서, 단계 S115에서, 주 제어부(121)는, 이 선택된 문자 종류의 문자 코드에 근거하여 메일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ROM(121a)에 기억되는 메일 기능 모듈을 판독하여 실행한다. 이 경우, 히라가나 입력에 의한 메일 본문의 입력 조작을 계속하여 행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05에서, 「메일」 키(13d)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 단계 S12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20에서, 주 제어부(121)는 기능 키로서 「전화 번호부」 키(13c)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주 제어부(121)는, 입력 데이터 취득부(115)로부터 입력되는 키 데이터에 근거하여, 「전화 번호부」 키(13c)가 눌러졌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125로 진행한다. 단계 S125에서, 주 제어부(121)는 이 기능 키에 대응하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하나의 문자 종류의 문자 코드를 RAM(121b)의 기억 영역으로부터 선택하여 판독하고, RAM(121b)의 워크 영역에 기억한다. 「전화 번호부」 키(13c)가 눌러진 경우, 주 제어부(121)는 RAM(121b)에 마련된 「가타카나 코드」의 기억 영역을 선택하고, 이 기억 영역으로부터 문자 코드를 판독하고, RAM(121b)의 워크 영역에 기억한다.
이어서, 단계 S130에서, 주 제어부(121)는, 이 선택된 문자 종류의 문자 코드에 근거하여 전화 번호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전화 번호부 기능 모듈을 실행한다. 이 경우, 가타카나 입력에 의한 이름의 입력 조작에 근거하여, 전화 번호부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120에서, 「전화 번호부」 키(13c)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 단계 S135로 진행하고, 주 제어부(121)는 기능 키로서 「웹」 키(13b)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주 제어부(121)는, 입력 데이터 취득부(115)로부터 입력되는 키 데이터에 근거하여, 「웹」 키(13b)가 눌러졌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14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40에서, 주 제어부(121)는 이 기능 키에 대응하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하나의 문자 종류의 문자 코드를 RAM(121b)의 기억 영역으로부터 선택하여 판독하고, RAM(121b)의 워크 영역에 기억한다. 「웹」 키(13b)가 눌러진 경우, 주 제어부(121)는 RAM(121b)에 마련된 「영자 코드」의 기억 영역을 선택하고, 이 기억 영역으로부터 문자 코드를 판독하고, RAM(121b)의 워크 영역에 기억한다.
이어서, 단계 S145에서, 주 제어부(121)는 이 선택된 문자 종류의 문자 코드에 근거하여 웹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웹 기능 모듈을 실행하고, 브라우저부(111)를 기동한다. 이 경우, 브라우저부는, 「영자 코드」의 기억 영역에 기억된 영자 입력에 의한 URL 주소에 액세스하고, 유저는 웹 사이트를 열람할 수 있다.
단계 S135에서, 「웹」 키(13b)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 단계 S150으로 진행하고, 주 제어부(121)는 기능 키로서 「발신」 키(14k)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입력 데이터 취득부(115)로부터 입력되는 키 데이터에 근거하여, 「발신」 키(14k)가 눌러졌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155로 진행한다. 단계 S155에서, 주 제어부(121)는 이 기능 키에 대응하는 화면에 표시되는 하나의 문자 종류의 문자 코드를 RAM(121b)의 기억 영역으로부터 선택하여 판독하고, RAM(121b)의 워크 영역에 기억한다. 「발신」 키(14k)가 눌러진 경우, 주 제어부(121)는 RAM(121b)에 마련된 「숫자 코드」의 기억 영역을 선택하고, 이 기억 영역으로부터 문자 코드를 판독하고, RAM(121b)의 워크 영역에 기억한다.
이어서, 단계 S160에서, 주 제어부(121)는, 이 선택된 문자 종류의 문자 코드에 근거하여 발신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전화 기능 모듈을 실행하고, 전화 발신부(105)를 기동한다. 이 경우, 유저는, 「숫자 코드」의 기억 영역에 저장된 문자 코드의 숫자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에 근거하여, 상대방의 전화에 발신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150에서, 「발신」 키(14k)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 단계 S170으로 진행하고, 주 제어부(121)는 상기 이외의 기능 키를 접수하기 위해서 예외 처리를 행하고, 메인 루틴으로 복귀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제 1 실시예에서는, 휴대 전화 장치(1)가 수신 대기 화면으로부터 문자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에, 그 키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문자 외, 기호, 도형 등을 포함한다)를 분할된 화면에 동시에 표시한다. 따라서, 용이하게 효율적인 입력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기능 키가 눌러진 경우에, 미리 입력된 문자 코드 중 상기 기능 키에 적절한 문자 코드를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제 1 실시예에서, 기능 키의 누름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보다도 짧은지를 검출하도록 해 두고, 기능 키의 누름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보다도 긴 경우에는, 특정한 문자 종류의 문자 코드에 근거하여 기능을 실행하고, 이 누름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보다도 짧은 경우에는, 이 특정의 문자 종류와 다른 문자 종류의 문자 코드에 근거하여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주 제어부(121)가 기능 키의 누름 시간에 근거하여 기능을 변경하는 제 1 변경 수단으로서 기능을 한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웹 기능에 대한 기능 호출의 간략화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웹 기능 키의 누름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길게 눌러졌는지 짧게 눌러졌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길게 눌러졌을 때에는, 「영자」의 문자 코드를 이용하여 URL 주소를 지정하여 웹에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짧게 눌러졌을 때에는 「영자」의 문자 코드를 이용하여 검색 사이트에 접속하여 검색 처리를 행하게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 1 실시예에서는, 메일 기능에 대한 기능 호출의 간략화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메일 기능 키의 누름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길게 눌러졌는지 짧게 눌러졌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길게 눌러졌을 때에는 「영자」의 문자 코드를 이용하여 주소를 지정하여 메일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한편, 짧게 눌러졌을 때에는 「히라가나」의 문자 코드를 이용하여 메일 기능의 본문 작성 화면을 기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전화 번호부 기능에 대한 기능 호출의 간략화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화 번호부 기능 키의 누름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길게 눌러졌는지 짧게 눌러졌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길게 눌러졌을 때에는 「히라가나」의 문자 코드를 이용하여 이름을 지정하여 전화 번호부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한편, 짧게 눌러졌을 때에는 「숫자」의 문자 코드를 이용하여 전화 번호부 기능을 기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각 기능 키와 선택되는 문자 코드와의 조합은 상기 제 1 실시예에 나타내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적절한 조합도 좋다.
<제 2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 2 실시예에서는, 문자 종류 선택 키의 누름 검출에 따라, 선택된 문자 종류에 근거하는 기능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도 11에 나타내는 흐름도는, 도 7에 나타내는 흐름도와 기본적인 단계에서 공통이고, 상이한 단계에만 다른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단계 S200에서, 주 제어부(121)는 문자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문자 종류 선택 키(13a)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문자 종류 선택 키(13a)에는, 히라가나를 입력하여 한자로 변환하기 위한 「히라가나」 모드, 가타카나를 입력하기 위한 「가타카나」 모드, 영자를 입력하기 위한 「영자」 모드,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모드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문자 종류 선택 키(13a)를 누른 회수에 따라, 예컨대 「히라가나」 →「가타카나」 →「영자」 → 「숫자」 → 「히라가나」로 되도록 전환 선택된 현재의 모드 상태를 문자 종류로서 RAM(121b)의 워크 영역에 기입 출력하는 문자 종류 출력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문자 종류 선택 키(13a)로부터 입력이 있은 후, 소정 시간(예컨대 2초간) 문자 종류 선택 키(13a)로부터 입력이 없으면, 최후에 선택되는 문자 종류가 결정된 것으로 한다. 그래서, 문자 종류 선택 키(13a)가 눌러진 경우에는 단계 S210으로 진행한다. 문자 종류 선택 키(13a)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70으로 되돌아가, 문자 입력 키 또는 문자 종류 선택 키(13a)가 입력될 때까지, 단계 S70 및 단계 S200에서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
주 제어부(121)는, 문자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문자 종류 선택 키(13a)가 눌러진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단계 S210에서, 기능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서브루틴을 실행한다.
도 12로 이동하여, 단계 S215에서, 주 제어부(121)는 문자 종류 선택 키(13a)가 눌러진 것에 의해 문자 종류로서 「히라가나」 문자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주 제어부(121)는, RAM(121b)의 워크 영역으로부터 판독한 「문자 종류」 데이터에 근거하여, 「히라가나」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220으로 진행한다. 단계 S220에서, 주 제어부(121)는 이 문자 종류에 대응하는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 종류의 문자 코드를 RAM(121b)의 기억 영역으로부터 선택하여 판독하고, RAM(121b)의 워크 영역에 기억한다. 「히라가나」가 선택된 경우, 주 제어부(121)는, RAM(121b)에 마련된 「히라가나 코드」의 기억 영역을 선택하고, 이 기억 영역으로부터 문자 코드를 판독하고, RAM(121b)의 워크 영역에 기억한다.
이어서, 단계 S225에서, 주 제어부(121)는 본 발명의 제 2 실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주 제어부(121)는, 이 선택된 문자 종류의 문자 코드에 근거하여 메일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메일 기능 모듈을 실행한다. 이 경우, 히라가나 입력에 의한 메일 본문의 입력 조작을 계속하여 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 S215에서, 문자 종류로서 「히라가나」 문자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단계 S230으로 진행하고, 주 제어부(121)는 문자 종류로서 「가타카나」 문자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주 제어부(121)는, RAM(121b)의 워크 영역으로부터 판독한 「문자 종류」 데이터에 근거하여, 「가타카나」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235로 진행한다. 단계 S235에서, 이 문자 종류에 대응하는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 종류의 문자 코드를 RAM(121b)의 기억 영역으로부터 선택하여 판독하고, RAM(121b)의 워크 영역에 기억한다. 「가타카나」가 선택된 경우, 주 제어부(121)는 RAM(121b)에 마련된 「가타카나 코드」의 기억 영역을 선택하고, 이 기억 영역으로부터 문자 코드를 판독하고, RAM(121b)의 워크 영역에 기억한다.
이어서, 단계 S240에서, 주 제어부(121)는, 이 선택된 문자 종류의 문자 코드에 근거하여 전화 번호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전화 번호부 기능 모듈을 실행한다. 이 경우, 가타카나 입력에 의한 이름의 입력 조작에 근거하여, 전화 번호부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230에서, 문자 종류로서 「가타카나」 문자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단계 S245로 진행한다. 주 제어부(121)는 문자 종류 선택 키(13a)가 눌러진 것에 의해 문자 종류로서 「영자」 문자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주 제어부(121)는, RAM(121b)의 워크 영역으로부터 판독한 「문자 종류」 데이터에 근거하여, 「영자」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250으로 진행한다. 단계 S250에서, 주 제어부(121)는 이 문자 종류에 대응하는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 종류의 문자 코드를 RAM(121b)의 기억 영역으로부터 선택하여 판독하고, RAM(121b)의 워크 영역에 기억한다. 「영자」가 선택된 경우, 주 제어부(121)는 RAM(121b)에 마련된 「영자 코드」의 기억 영역을 선택하고, 이 기억 영역으로부터 문자 코드를 판독하고, RAM(121b)의 워크 영역에 기억한다.
이어서, 단계 S255에서, 주 제어부(121)는, 이 선택된 문자 종류의 문자 코드에 근거하여 웹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웹 기능 모듈을 실행하고, 브라우저부(111)를 기동한다. 이 경우, 영자 입력에 의한 URL 주소의 입력 조작에 근거하여, 웹 사이트를 열람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245에서, 문자 종류로서 「영자」 문자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단계 S260으로 진행한다. 주 제어부(121)는 문자 종류 선택 키(13a)가 눌러진 것에 의해 문자 종류로서 「숫자」 문자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주 제어부(121)는, RAM(121b)의 워크 영역으로부터 판독한 「문자 종류」 데이터에 근거하여, 「숫자」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265로 진행한다. 단계 S265에서, 주 제어부(121)는 이 문자 종류에 대응하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 종류의 문자 코드를 RAM(121b)의 기억 영역으로부터 선택하여 판독하고, RAM(121b)의 워크 영역에 기억한다. 「숫자」가 선택된 경우, 주 제어부(121)는 RAM(121b)에 마련된 「숫자 코드」의 기억 영역을 선택하고, 이 기억 영역으로부터 문자 코드를 판독하고, RAM(121b)의 워크 영역에 기억한다.
이어서, 단계 S270에서, 주 제어부(121)는, 이 선택된 문자 종류의 문자 코드에 근거하여 발신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전화 기능 모듈을 실행하고, 전화 발신부(105)를 기동한다. 이 경우, 「숫자 코드」의 기억 영역에 저장된 문자 코드의 숫자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에 근거하여, 상대방의 전화에 발신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260에서, 문자 종류로서 「숫자」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단계 S280으로 진행하고, 주 제어부(121)는, 상기 이외의 문자 종류를 접수하기 위해서 예외 처리를 행하고, 메인 루틴으로 복귀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제 2 실시예에서는, 휴대 전화 장치(1)가 수신 대기 화면으로부터 문자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에, 그 키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문자 외, 기호, 도형 등을 포함한다)를 분할된 화면에 동시에 표시한다. 따라서, 용이하게 효율적인 입력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문자 종류 키가 눌러진 경우에, 미리 입력된 문자 코드 중 상기 문자 종류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를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문자 종류에 대응하는 기능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선택되는 문자 종류와 실행되는 기능의 조합은 상기 제 2 실시예로 되는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적절한 조합이여도 좋다.
<제 3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 3 실시예에서는, 문자 종류마다 화면상에 마련한 소 영역마다 기능명을 각각 표시해 두고, 결정 조작 키(15)의 커서 이동에 따라 유효한 문자 종류와 기능을 동시에 선택하여 기능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도 13에 나타내는 흐름도는 도 7에 나타내는 흐름도와 기본적인 단계에서 공통이고, 상이한 단계에만 다른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단계 S7에서, 주 제어부(121)는 ROM(121a)로부터 다른 기능명을 나타내는 문자 코드를 판독한다. 다음에 이것을 표시 제어부(117)에 출력하는 것으로, 표시 제어부(117)에 접속되는 VRAM(119)에 기능명을 나타내는 다른 문자 코드를 기억하고, 전송을 완료한다. 이 결과, VRAM(119)의 각각의 기억 영역에 다른 기능명을 나타내는 문자 캐릭터 코드가 기억된다.
여기서, 표시 제어부(117)는 소정의 표시 레이트로 VRAM(119)로부터 문자 캐릭터 코드를 판독하고, VRAM(119)로부터 판독한 문자 캐릭터 코드에 대응하는 캐릭터 데이터를 캐릭터 생성기 ROM(117a)로부터 판독한다. 표시 제어부(117)는 판독한 캐릭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1)에 표시한다. 이 결과,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1)의 표시 영역(21a)에, 문자 종류마다의 문자와 기능이 각각 표시된다.
도 13에 나타내는 단계 S300에서, 주 제어부(121)는 본 발명의 제 3 실행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문자 종류와 이 문자 종류에 대응하는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결정 조작 키(15)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결정 조작 키(15)가 눌러진 경우에는 단계 S310으로 진행한다. 결정 조작 키(15)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70으로 되돌아가, 문자 입력 키 또는 결정 조작 키(15)가 입력될 때까지, 단계 S70 및 단계 S300에서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
문자 종류와 이 문자 종류에 대응하는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결정 조작 키(15)가 눌러진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단계 S310에서, 도 15에 나타내는 기능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서브루틴을 실행한다.
도 15로 이동하여, 단계 S313에서, 주 제어부(121)는, 커서 이동에 따라 표시 영역의 색 강조를 행한다. 즉, 주 제어부(121)는, 입력 데이터 취득부(115)로부터 입력되는 키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정 조작 키(15)의 커서가 눌러진 경우에, 표시 제어부(117)에 의해 관리되는 VRAM(119)의 표시 영역의 하나를 색 강조한다. 이 결과,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컨대, 「히라가나」 문자로 「さかな」라고 표시되고, 또한 해당 기능이 「메일」로 표시되는 표시 영역(21b)이 다른 영역보다도 색 강조되어 표시된다. 또한, 도 14에서는 화살표 22로 나타내고 있는 범위의 표시 영역(21a, 21b, 21c)이 디스플레이부(21) 상에 유효하게 표시되어 있지만, 커서의 이동량에 따라 표시중인 표시 영역과 강조 영역을 세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커서의 이동량에 따라 표시 영역의 화면이 스크롤되고, 예컨대 표시 영역(21a, 21b, 21c) 대신에 순차적으로, 표시 영역(21d, 21e …, 21z)이 표시되어도 좋다. 한편, 도 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표시 영역은 표시 영역(21a)부터 표시 영역(21z)까지의 26개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표시 영역의 개수로서 26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개수이어도 좋다.
이어서, 단계 S315에서, 주 제어부(121)는, 결정 조작 키(15)의 커서가 눌러진 것에 의해, 색 강조 영역으로서 「메일」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주 제어부(121)는, VRAM(119)의 색 강조 영역으로부터 「메일」을 나타내는 캐릭터 코드를 판독한 경우에는 단계 S220으로 진행하고, 상기 단계 S220, 상기 단계 S225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메일 기능 모듈을 실행한다. 이 경우, 히라가나 입력에 의한 메일 본문의 입력 조작을 계속하여 행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330에서, 주 제어부(121)는, 결정 조작 키(15)의 커서가 눌러진 것에 의해, 색 강조 영역으로서 「전화 번호부」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주 제어부(121)는, VRAM(119)의 색 강조 영역으로부터 「전화 번호부」를 나타내는 캐릭터 코드를 판독한 경우에는 단계 S235로 진행한다. 주 제어부(121)는, 상기 단계 S235, 상기 단계 S240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전화 번호부 기능 모듈을 실행한다. 이 경우, 가타카나 입력에 의한 이름의 입력 조작에 근거하여, 전화 번호부를 검색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345에서, 주 제어부(121)는, 결정 조작 키(15)의 커서가 눌러진 것에 의해, 색 강조 영역으로서 「웹」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주 제어부(121)는 VRAM(119)의 색 강조 영역으로부터 「웹」을 나타내는 캐릭터 코드를 판독한 경우에는 단계 S250으로 진행한다. 주 제어부(121)는, 상기 단계 S250,상기 단계 S255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웹 기능 모듈을 실행하고, 브라우저부(111)를 기동한다. 이 경우, 영자 입력에 의한 URL 주소의 입력 조작에 근거하여, 웹 사이트를 열람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360에서, 주 제어부(121)는, 결정 조작 키(15)의 커서가 눌러진 것에 의해, 색 강조 영역으로서 「전화」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주 제어부(121)는 VRAM(119)의 색 강조 영역으로부터 「전화」를 나타내는 캐릭터 코드를 판독한 경우에는 단계 S265로 진행한다. 주 제어부(121)는, 상기 단계 S265, 상기 단계 S270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전화 기능 모듈을 실행하고, 전화 발신부(105)를 기동한다. 이 경우, 「숫자 코드」의 기억 영역에 저장된 문자 코드의 숫자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에 근거하여, 상대방의 전화에 발신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360에서, 결정 조작 키(15)의 커서가 눌러진 것에 의해, 색 강조 영역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단계 S380으로 진행하고, 주 제어부(121)는 상기 이외의 문자 종류를 접수하기 위해서 예외 처리를 행하고, 메인 루틴으로 복귀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제 3 실시예에서는, 휴대 전화 장치(1)가 수신 대기 화면으로부터 문자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에, 그 키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문자 외, 기호, 도형 등을 포함한다)를 분할된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효율적인 입력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결정 조작 키(15)의 커서가 눌러진 경우에, 미리 입력된 문자 코드 중 색 강조 영역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문자 종류에 대응하는 기능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기능과 선택되는 문자 종류의 관계는 상기 제 3 실시예에 나타내는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적당한 조합이어도 좋다.
<제 4 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 4 실시예에서는, 주 제어부(121)는 화면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문자 종류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문자 종류에 따른 동일 또는 다른 기능 소프트 키를 복수로 표시시켜 놓는다. 다음에, 주 제어부(121)는 선택된 기능 소프트 키에 근거하여 원하는 기능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도 16에 나타내는 흐름도는 도 7에 나타내는 흐름도와 기본적인 단계에서 공통이고, 상이한 단계에만 다른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19는 주 제어부(121)에 의해서 참조되는 기능 소프트 키 테이블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19에 나타내는 기능 소프트 키 테이블(24)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능 소프트 키 테이블(24)은, 복수의 상이한 문자 종류와, 이들 복수의 문자 종류에 대응하는 예컨대 3 종류의 기능을 각각의 표시 위치에 연관시켜 [A], [B], [C]로서 구별하여 할당한 기능명의 문자 코드를 ROM(121a)에 기억하고 있다. 주 제어부(121)로부터 문자 종류가 지정되면, 기능 소프트 키 테이블(24)은, 지정된 문자 종류에 대응하는 기능 소프트 키의 기능명을 나타내는 문자 코드에 표시 위치를 부가하여 주 제어부(121)에 돌려주는 역할을 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단계 S403에서, 주 제어부(121)는 기능 소프트 키의 초기 화면을 표시한다. 즉, 주 제어부(121)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ROM(121a)에 기억되는 기능 소프트 키 테이블(24)로부터 예컨대 문자 종류 「숫자」에 관한 다른 기능명을 나타내는 문자 코드를 판독한다. 다음에, 판독한 문자 코드를 표시 제어부(117)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표시 제어부(117)에 접속되는 VRAM(119)에 기능명을 나타내는 다른 문자 코드가 기억되고, 전송을 완료한다. 이 결과, VRAM(119)의 각각의 기억 영역에 다른 기능명을 나타내는 문자 캐릭터 코드가 기억된다.
여기서, 표시 제어부(117)에서는, 소정의 표시 레이트로 VRAM(119)로부터 문자 캐릭터 코드를 판독해 두고, VRAM(119)로부터 판독한 문자 캐릭터 코드에 대응하는 캐릭터 데이터를 캐릭터 생성기 ROM(117a)으로부터 판독한다. 표시 제어부(117)는 판독한 캐릭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1)에 표시한다. 이 결과, 디스플레이부(21)의 표시 영역(21)의 최하단에,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 종류 「숫자」에 대한 기능 소프트 키의 초기 화면으로서, 화면(21)의 최하단에 기능 소프트 키 「메모」(23a), 기능 소프트 키 「발신」(23b), 기능 소프트 키 「메일」(23c)이 표시된다.
도 16에 나타내는 단계 S473에서, 주 제어부(121)는, 입력 데이터 취득부(115)로부터 입력되는 키 데이터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선택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결정 조작 키(15)의 커서가 세로 방향으로 눌러진 경우, 문자 종류 선택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문자 종류 선택이 있는 경우에는 RAM(121b)의 워크 영역에 선택된 「문자 종류」 데이터가 기억되고 나서 단계 S475로 진행한다. 한편, 문자 종류 선택이 없는 경우에는 단계 S70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단계 S473에서, 화면(21) 상에 표시되는 문자 종류를 선택하기 위해서 커서를 세로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주 제어부(121)는 커서 이동에 따라 표시 영역의 색 강조를 행한다. 즉, 입력 데이터 취득부(115)로부터 입력되는 키 데이터에 근거하여, 주 제어부(121)는, 결정 조작 키(15)의 커서가 눌러진 경우에, 표시 제어부(117)에 의해 관리되는 VRAM(119)의 표시 영역의 하나를 색 강조한다. 이 결과,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컨대, 「숫자」 문자로 「325」라고 표시되고, 또한 「325」라고 표시되는 표시 영역(21a)이 다른 영역보다도 색 강조되어 표시된다. 커서의 이동량에 따라 표시중인 표시 영역과 강조 영역이 세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고 있는 기능 소프트 키(23a, 23b, 23c)는, 커서의 가로 방향의 이동량에 따라 유효하게 되는 기능 소프트 키의 강조 영역을 가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475에서, 주 제어부(121)는 본 발명의 제 2 변경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색 강조하여 선택된 문자 종류에 따라 기능 소프트 키의 표시를 변경한다. 즉, 주 제어부(121)는 단계 S473에서 선택된 문자 종류 데이터를 RAM(121b)의 워크 영역으로부터 판독해 두고, 이 문자 종류에 따라 기능 소프트 키의 표시 내용을 변경한다.
여기서, 주 제어부(121)는 선택된 문자 종류에 근거하여 ROM(121a)에 기억되는 기능 소프트 키 테이블(24)(도 19에 도시)로부터 다른 기능명을 나타내는 문자 코드와 표시 위치를 판독하고, 이것을 표시 제어부(117)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서 주 제어부(121)는 표시 제어부(117)에 접속되는 VRAM(119)에 기능명을 나타내는 다른 문자 코드를 기억하고, 전송을 완료한다. 이 결과, VRAM(119)의 각각의 기억 영역에 다른 기능명을 나타내는 문자 캐릭터 코드가 기억된다. 이어서, 디스플레이부(21)의 표시 영역(21)에, 예컨대, 문자 종류 「히라가나」에 대한 기능 소프트 키의 화면으로서, 화면(21)의 최하단에 기능 소프트 키 「전화 번호부 등록」(23a), 기능 소프트 키 「메모」(23b), 기능 소프트 키 「메일」(23c)이 갱신 표시된다.
이어서, 단계 S490에서, 주 제어부(121)는 화면상의 기능 소프트 키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주 제어부(121)는, 색 강조되는 문자 종류에 대응하는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서 결정 조작 키(15)의 가로 방향 커서가 눌러지고, 또한, 결정 키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결정 조작 키(15)의 결정 키가 눌러진 경우에는 단계 S500으로 진행한다. 결정 조작 키(15)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70으로 되돌아가, 결정 조작 키(15)의 결정 키가 입력될 때까지, 단계 S70, 단계 S475 및 단계 S490에서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
주 제어부(121)는, 결정 조작 키(15)의 누름에 따라 기능 소프트 키가 선택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단계 S500에서, 주 제어부(121)는 커서 이동에 따라 선택된 기능 키의 표시 영역의 색 강조를 행한다. 즉, 주 제어부(121)는, 입력 데이터 취득부(115)로부터 입력되는 키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정 조작 키(15)의 커서가 눌러진 경우에, 표시 제어부(117)에 의해 관리되는 VRAM(119)의 기능 소프트 키의 표시 영역(23a, 23b, 23c) 중의 하나를 색 강조한다. 이어서, 단계 S500에서, 주 제어부(121)는 기능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서브루틴을 실행한다.
도 17로 이동하여, 단계 S510에서, 주 제어부(121)는 문자 종류로서 「숫자」 문자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주 제어부(121)는, RAM(121b)의 워크 영역으로부터 판독한 「문자 종류」 데이터에 근거하여, 「숫자」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512로 진행한다. 단계 S512에서, 주 제어부(121)는 이 문자 종류에 대응하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숫자」 문자 종류의 문자 코드를 RAM(121b)의 기억 영역으로부터 선택하여 판독하고, RAM(121b)의 워크 영역에 기억한다.
이어서, 단계 S514에서, 주 제어부(121)는 본 발명의 제 3 실행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기능 소프트 키에 의한 선택에 따라 표시 영역(23a)을 나타내는 표시 위치 [A]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표시 위치 [A]가 선택된 경우에는, 단계 S516으로 진행하고, 주 제어부(121)는 메모 기능 모듈을 실행한다. 이 경우, 문자 종류로서 선택된 숫자에 대하여 숫자 입력에 의한 메모 본문의 입력 조작을 계속하여 행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512에서, 표시 위치 [A]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518로 진행하고, 주 제어부(121)는 기능 소프트 키에 의한 선택에 따라 표시 영역(23b)을 나타내는 표시 위치 [B]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표시 위치 [B]가 선택된 경우에는, 단계 S522로 진행하고, 주 제어부(121)는 전화 발신 기능 모듈을 실행한다. 이 경우, 문자 종류로서 선택된 숫자를 전화 번호로서 이용하는 것으로 전화 발신 조작을 계속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518에서, 표시 위치 [B]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524로 진행하고, 주 제어부(121)는 기능 소프트 키에 의한 선택에 따라 표시 영역(23c)을 나타내는 표시 위치 [C]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표시 위치 [C]가 선택된 경우에는, 단계 S528로 진행하고, 주 제어부(121)는 메일 기능 모듈을 실행한다. 이 경우, 유저는 문자 종류로서 선택된 숫자를 이용하여 메일 본문의 입력 조작을 계속하여 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510에서, 주 제어부(121)는 문자 종류로서 「숫자」 문자가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530으로 진행하고, 주 제어부(121)는 문자 종류로서 「히라가나」 문자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주 제어부(121)는, RAM(121b)의 워크 영역으로부터 판독한 「문자 종류」 데이터에 근거하여, 「히라가나」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532로 진행한다.
단계 S532에서, 주 제어부(121)는 이 문자 종류에 대응하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히라가나」 문자 종류의 문자 코드를 RAM(121b)의 기억 영역으로부터 선택하여 판독하고, RAM(121b)의 워크 영역에 기억한다.
이어서, 단계 S534에서, 주 제어부(121)는 기능 소프트 키에 의한 선택에 따라 표시 영역(23a)을 나타내는 표시 위치 [A]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표시 위치 [A]가 선택된 경우에는, 단계 S536으로 진행하고, 주 제어부(121)는 전화 번호부 등록 기능 모듈을 실행한다. 이 경우, 유저는 문자 종류로서 선택된 「히라가나」에 대하여 「히라가나」 입력에 의한 전화 번호부의 등록 조작을 계속하여 행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534에서, 표시 위치 [A]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538로 진행하고, 주 제어부(121)는 기능 소프트 키에 의한 선택에 따라 표시 영역(23b)을 나타내는 표시 위치 [B]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표시 위치 [B]가 선택된 경우에는, 단계 S542로 진행하고, 주 제어부(121)는 메모 기능 모듈을 실행한다. 이 경우, 유저는 문자 종류로서 선택된 「히라가나」에 대하여 「히라가나」 입력에 의한 메모 본문의 입력 조작을 계속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538에서, 표시 위치 [B]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544로 진행하고, 주 제어부(121)는 기능 소프트 키에 의한 선택에 따라 표시 영역(23c)을 나타내는 표시 위치 [C]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표시 위치 [C]가 선택된 경우에는, 단계 S548로 진행하고, 주 제어부(121)는 메일 기능 모듈을 실행한다. 이 경우, 문자 종류로서 선택된 「히라가나」를 이용하여 메일 본문의 입력 조작을 계속하여 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530에서, 주 제어부(121)는 문자 종류로서 「히라가나」 문자가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550으로 진행하고, 주 제어부(121)는 문자 종류로서 「영자」 문자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주 제어부(121)는, RAM(121b)의 워크 영역으로부터 판독한 「문자 종류」 데이터에 근거하여, 「영자」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552로 진행한다.
단계 S552에서, 주 제어부(121)는 이 문자 종류에 대응하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영자」 문자 종류의 문자 코드를 RAM(121b)의 기억 영역으로부터 선택하여 판독하고, RAM(121b)의 워크 영역에 기억한다.
이어서, 단계 S554에서, 주 제어부(121)는 기능 소프트 키에 의한 선택에 따라 표시 영역(23a)을 나타내는 표시 위치 [A]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표시 위치 [A]가 선택된 경우에는, 단계 S556으로 진행하고, 주 제어부(121)는 전화 번호부 등록 기능 모듈을 실행한다. 이 경우, 유저는 문자 종류로서 선택된 「영자」에 대하여 「영자」 입력에 의한 전화 번호부의 등록 조작을 계속하여 행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554에서, 표시 위치 [A]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558로 진행하고, 주 제어부(121)는 기능 소프트 키에 의한 선택에 따라 표시 영역(23b)을 나타내는 표시 위치 [B]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표시 위치 [B]가 선택된 경우에는, 단계 S562로 진행하고, 주 제어부(121)는 메일 기능 모듈을 실행한다. 이 경우, 유저는 문자 종류로서 선택된 「영자」에 대하여 「영자」 입력에 의한 메일 주소의 입력 조작을 계속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558에서, 표시 위치 [B]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564로 진행하고, 주 제어부(121)는 기능 소프트 키에 의한 선택에 따라 표시 영역(23c)을 나타내는 표시 위치 [C]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표시 위치 [C]가 선택된 경우에는, 단계 S568로 진행하고, 주 제어부(121)는 웹 기능 모듈을 실행한다. 이 경우, 문자 종류로서 선택된 「영자」를 이용하여 브라우저에 대한 URL 주소의 입력 조작을 계속하여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 4 실시예에서는, 휴대 전화 장치(1)의 수신 대기 화면에 대하여, 우선, 화면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문자 종류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문자 종류에 따른 다른 기능 소프트 키를 복수로 표시해 둔다. 다음에, 선택된 기능 소프트 키에 근거하여 원하는 기능 처리를 실행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효율적인 입력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결정 조작 키(15)의 결정 키가 눌러진 경우에, 미리 입력된 문자 코드 중 색 강조 영역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를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문자 종류에 대응하는 기능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의 효과에 더하여, 유저가 목적으로 하는 기능을 실행하기까지의 소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예컨대, 지나가는 차의 번호를 유저가 본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채용한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 하는 것으로, 차의 번호를 용이하게 기억해 둘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문자 종류와 기능 소프트 키의 조합은 상기 제 4 실시예에 나타내는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적절한 조합도 좋다.
<다른 실시예>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21) 상에 표시되는 수신 대기 화면을, 예컨대 3 분할하여 문자 캐릭터를 표시하도록 구성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수신 대기 화면을 2 분할, 4 분할 등의 복수 분할이 가능하도록 표시 제어부(117)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분할 화면에 대하여 효율적인 문자 입력과 기능 실행을 가능하게 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21) 상에 표시되는 수신 대기 화면에, 예컨대 3 분할하여 3 종류의 문자 종류에 대응한 캐릭터를 표시하도록 구성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수신 대기 화면에 표시 가능한 문자 종류를 「가타카나」, 「영자」만으로 「숫자」는 표시하지 않는 등, 문자 종류를 한정 설정할 수도 있고, 분할 화면에 대하여 효율적인 문자 입력과 기능 실행을 가능하게 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주 제어부(121)가 이 설정을 행하고, 본 발명의 설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서는, 조작부측 하우징(2)에 마련된 기능 키를 이용하도록 구성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유저가 목적으로 하는 기능으로 설정 가능한 키를 조작부측 하우징(2) 또는 표시부측 하우징(3)의 케이스에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서는, 목적 기능에 관련되는 문자 정보를 선택하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웹」 키가 눌러진 때에는 표시되는 「영자」의 문자 코드를 이용하여 URL 주소를 지정하여 웹에 접속하도록 구성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영자」의 문자 코드를 이용하여 검색 사이트에 접속하여 검색 처리를 행하게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서는, 메일 기능, 전화 번호부 기능, 웹 기능, 전화 발신 기능에 대한 기능 호출의 간략화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휴대 단말 장치에 「메모」 키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메모장 기능을 호출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좋다.
21 : 디스플레이부 101 : 안테나부
103 : 전화 수신부 105 : 전화 발신부
107 : 메일 수신부 109 : 메일 송신부
111 : 브라우저부 113 : 조작 입력부
115 : 입력 데이터 취득부 117 : 표시 제어부
117a : 캐릭터 생성기 ROM 119 : VRAM
121 : 주 제어부 121a : ROM
121b : RAM 121c : CPU

Claims (11)

  1. 복수의 입력 종별의 각각에 대응하는 문자가 함께 할당되는 입력 수단과,
    전화 발신을 행하기 위한 발신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의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 수단에 함께 할당된 복수의 입력 종별의 문자를 각각 표시 수단에 표시시킨 상태에서, 상기 발신 수단이 조작된 경우에, 상기 입력 수단의 조작에 근거하여 표시된 숫자를 이용하여 전화 발신의 처리를 행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입력 장치.
  2. 복수의 입력 종별의 각각에 대응하는 문자가 함께 할당되는 입력 수단과,
    전화 발신의 처리와는 다른 기능의 기동을 지시하는 기능 기동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의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 수단에 함께 할당된 복수의 입력 종별의 문자를 각각 표시 수단에 표시시킨 상태에서, 상기 기능 기동 수단이 조작된 경우에, 상기 입력 수단의 조작에 근거하여 표시된 복수의 입력 종별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입력 종별의 문자를 입력시킨 뒤에 조작된 상기 기능 기동 수단에 할당되는 기능을 기동시키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입력 장치.
  3. 복수의 입력 종별의 각각에 대응하는 문자가 함께 할당되는 입력 수단과,
    전화 발신을 행하기 위한 발신 수단과,
    상기 전화 발신의 처리와는 다른 기능의 기동을 지시하는 기능 기동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의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 수단에 함께 할당된 복수의 입력 종별의 문자를 각각 표시 수단에 표시시킨 상태에서,
    상기 발신 수단이 조작된 경우에, 상기 입력 수단의 조작에 근거하여 표시된 숫자를 이용하여 전화 발신의 처리를 행하고,
    상기 기능 기동 수단이 조작된 경우에, 상기 입력 수단의 조작에 근거하여 표시된 복수의 입력 종별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입력 종별의 문자를 입력시킨 뒤에 조작된 상기 기능 기동 수단에 할당되는 기능을 기동시키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입력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복수의 입력 종별의 문자를, 각각 분할된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는 입력 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기동 수단은 복수의 기능이 할당되어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조작된 상기 기능 기동 수단의 선택 또는 누름의 시간에 따라 상기 기능 기동 수단에 할당되는 기능을 변경시키는
    입력 장치.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기동 수단은 상기 복수의 입력 종별 중 2이상의 입력 종별이 대응지어져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조작된 상기 기능 기동 수단의 선택 또는 누름의 시간에 따라 상기 기능 기동 수단에 대응지어진 입력 종별을 변경시키는
    입력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된 문자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커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표시 수단은 문자 종류와 함께 상기 문자 종류를 선택한 경우에 실행되는 기능을 표시하고,
    상기 커서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상기 문자 종류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문자 종류와 함께 실행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입력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 중 어느 하나의 화상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적어도 1 이상의 소프트 키의 표시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과,
    상기 소프트 키의 표시에 대응하는 키가 조작되는 것에 의해, 상기 선택된 화상의 입력 정보에 근거한 상기 소프트 키의 기능을 실행하는 실행 수단
    을 더 구비하는 입력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종별은 히라가나, 숫자, 영자, 가타카나 및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 종별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종별 중에서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입력 종별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는 입력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에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 또는 상기 화상이 표시되기 직전의 화면은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대기하는 대기 화면인 입력 장치.
KR1020107003650A 2007-07-30 2008-07-30 입력 장치 KR1012579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98203 2007-07-30
JP2007198203A JP4657265B2 (ja) 2007-07-30 2007-07-30 文字入力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PCT/JP2008/063707 WO2009017176A1 (ja) 2007-07-30 2008-07-30 入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369A KR20100036369A (ko) 2010-04-07
KR101257983B1 true KR101257983B1 (ko) 2013-04-24

Family

ID=40304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650A KR101257983B1 (ko) 2007-07-30 2008-07-30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006986A1 (ko)
JP (1) JP4657265B2 (ko)
KR (1) KR101257983B1 (ko)
CN (1) CN101779181B (ko)
WO (1) WO20090171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09311A (zh) * 2009-06-08 2010-12-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测试手机无线上网功能的方法
JP5197531B2 (ja) * 2009-08-27 2013-05-1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及び携帯電子機器の表示方法
US8390583B2 (en) * 2009-08-31 2013-03-05 Qualcomm Incorporated Pressure sensitive user interface for mobile devices
JP5306973B2 (ja) * 2009-11-27 2013-10-02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認証システム及び携帯電子機器の制御方法
US8860662B2 (en) 2010-02-15 2014-10-14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JP5475580B2 (ja) * 2010-07-15 2014-04-1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5812304B2 (ja) * 2010-12-20 2015-11-11 シャンハイ・シュール・(クーテック)・インフォメ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Shanghai Chule (Cootek)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自動的なビジネスダイヤリング方法及びシステム
US9690532B2 (en) 2011-05-27 2017-06-27 Kyocera Corporation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US9383959B2 (en) 2011-05-27 2016-07-05 Kyocera Corporation Rotatable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soft key input method
KR101921161B1 (ko) * 2012-05-15 2018-1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메모 기능 수행을 위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2106A (ja) * 1999-02-02 2000-08-11 Toshiba Corp データ入力装置、データ入力方法、及び記録媒体
JP3448193B2 (ja) * 1997-10-23 2003-09-16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電話帳及びそれを備えた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9674B2 (ja) * 1993-12-29 2003-10-20 ノーテル・ネットワークス・リミテッド コードレス電話機端末およびその操作方法
JPH0923261A (ja) * 1995-07-07 1997-01-21 Kokusai Electric Co Ltd 携帯電話装置及びそれにおける文字入力方法
US6489976B1 (en) * 1998-12-15 2002-1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pop-up symbols for indicating accelerator keys for implementing computer software options
US7551899B1 (en) * 2000-12-04 2009-06-23 Palmsource, Inc. Intelligent dialing scheme for telephony application
JP2002199080A (ja) * 2000-12-22 2002-07-12 Toshiba Corp 移動無線端末装置
US6847310B1 (en) * 2002-06-21 2005-01-25 Bsquare Corporation Keyboard
US7256769B2 (en) * 2003-02-24 2007-08-14 Zi Corporation Of Canada, Inc. System and method for text entry on a reduced keyboard
EP1760993A4 (en) * 2004-05-31 2009-08-05 Sharp Kk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6025326A (ja) * 2004-07-09 2006-01-26 Toshiyuki Tani 電話番号の入力方法及び電話機
JP4932167B2 (ja) * 2004-07-21 2012-05-16 株式会社ジェイデータ 携帯電話
CN1604018A (zh) * 2004-08-02 2005-04-06 魏新成 基于全字母键盘的手机操作方法
JP2006128990A (ja) * 2004-10-28 2006-05-18 Chisato Ishii 電話番号置換言葉伝達システム及び伝達方法
JP2006261726A (ja) * 2005-03-15 2006-09-28 Iwatsu Electric Co Ltd 電話機能検索方式
JP4503516B2 (ja) * 2005-09-09 2010-07-14 株式会社ジェイデータ 携帯電話
JP2007081951A (ja) * 2005-09-15 2007-03-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および起動方法
JP4130458B2 (ja) * 2005-11-25 2008-08-06 ウン イクス モバイル機器の日本語入力方法
US7539795B2 (en) * 2006-01-30 2009-05-26 Noki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dynamic shortcuts both for rapidly accessing web content and application program windows and for establishing context-based user environments
JP4189004B2 (ja) * 2007-01-10 2008-12-03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8193B2 (ja) * 1997-10-23 2003-09-16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電話帳及びそれを備えた通信装置
JP2000222106A (ja) * 1999-02-02 2000-08-11 Toshiba Corp データ入力装置、データ入力方法、及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57265B2 (ja) 2011-03-23
JP2009032209A (ja) 2009-02-12
KR20100036369A (ko) 2010-04-07
US20110006986A1 (en) 2011-01-13
WO2009017176A1 (ja) 2009-02-05
CN101779181B (zh) 2012-09-26
CN101779181A (zh) 201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983B1 (ko) 입력 장치
JP5030564B2 (ja) 携帯電話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0183616A (ja) 携帯通信装置
KR101376244B1 (ko) 전자기기
WO2009156589A1 (en) Text input
US20160240171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s and text in accordance with a selected pattern
JP2012008866A (ja) 携帯端末、キー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キー表示方法
US8600449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isplay method, and display program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992808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ctivating application
JP2009075815A (ja) 携帯端末装置
JP2008065674A (ja) 携帯電話機
JP4980164B2 (ja) 文字入力装置、携帯電子機器及び文字入力方法
JP5021067B2 (ja) 電話機及び表示制御方法
JP5280429B2 (ja) 文字入力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5227366B2 (ja) 携帯電話装置、文字入力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5537198B2 (ja) 携帯電子機器
JP5385744B2 (ja) 電子機器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の起動方法
JP4856001B2 (ja) 情報通信端末
JP2010026909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231976B2 (ja) 携帯電子機器
JP5352417B2 (ja) 電子機器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の起動方法
JP5551357B2 (ja) 携帯電子機器
WO2011037230A1 (ja) 電子機器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の起動方法
JP5843741B2 (ja) 携帯電子機器、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KR2005002256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변환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