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244B1 -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6244B1
KR101376244B1 KR1020117007848A KR20117007848A KR101376244B1 KR 101376244 B1 KR101376244 B1 KR 101376244B1 KR 1020117007848 A KR1020117007848 A KR 1020117007848A KR 20117007848 A KR20117007848 A KR 20117007848A KR 101376244 B1 KR101376244 B1 KR 101376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me
character
application
input
candi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7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280A (ko
Inventor
슈지 이시카와
야스마사 세키가미
다카후미 오카
히로유키 밤바
미치코 다케이
나유 노우마치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76701A external-priority patent/JP55078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74694A external-priority patent/JP5320199B2/ja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09/066620 external-priority patent/WO2010035774A1/ja
Publication of KR20110051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4Converting codes to words; Guess-ahead of partial word inpu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4Multi-language systems; Localisation; International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MS or e-ma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45/00Computer graphics processing and selective visual display systems
    • Y10S345/901Electronic book with display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휴대 전화기(1)는, 문자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21)와,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11)와, 조작부(11)에 의해 입력된 문자의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를 표시부(21)에 표시하는 제어부(45)를 구비하고, 제어부(45)는,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로서,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혹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처리의 명칭을 표시시키고, 당해 명칭 중 어느 명칭이 선택되면, 당해 선택된 명칭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처리를 실행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조작 입력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처리를 실행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기기에 대한 커맨드 입력의 방법으로서, 리스트에서 선택시키는 방법이 많이 채용된다. 이 때, 커맨드의 조작 이력으로부터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커맨드를 예측 리스트로서 표시하여 선택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텍스트 커맨드를 입력 가능한 시스템에 있어서는, 예측적 키보드 입력의 방법으로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장 가능성이 높은 엔트리를 선택하여 예측 문자열을 표시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1702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28804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방법은, 문장 입력용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입력 가능한 커맨드를 기억하고, 커맨드의 발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술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열에 대응한 기능을 실행시킬 수는 없다. 또한, 특허문헌 2의 방법은, 커맨드 입력을 접수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입력 보조로서, 입력하는 문자열을 예측하여 단어를 완성시키는 기술에 불과하다.
또한, 이들 기술은,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입력이나 선택을 한 커맨드를 넘겨 처리를 시키므로,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열에 대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는 어려웠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전자기기는, 문자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문자의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로서,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혹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처리의 명칭을 표시시키고, 당해 명칭 중 어느 명칭이 선택되면, 당해 선택된 명칭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칭 중 어느 명칭이 선택되면, 당해 선택된 명칭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처리를 실행하거나, 혹은 당해 선택된 명칭을 문자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전자기기는, 문자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문자의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이 입력된 문자로서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당해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에 관한 예측 후보로서, 당해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처리의 명칭을 표시시키고, 당해 처리의 명칭이 선택되면, 당해 명칭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의 명칭이 선택되면, 당해 명칭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거나, 혹은 당해 처리의 명칭을 문자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전자기기는, 동작을 검지하는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검지된 동작의 종류에 따라, 상기 처리의 명칭 중 어느 것의 선택을 접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측 후보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에 의해 소정의 동작이 검지된 경우에, 상기 처리의 명칭을 표시시키거나, 혹은, 상기 처리의 명칭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에 의해 소정의 동작이 검지된 경우에, 상기 예측 후보를 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측 후보 중에 상기 처리의 명칭을 혼재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에 의해 소정의 동작이 검지된 경우에, 상기 처리의 명칭을 상위에 정렬하여 표시시키거나, 혹은, 상기 처리의 명칭이 정렬되어 상위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에 의해 소정의 동작이 검지된 경우에, 상기 혼재 표시를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초기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에 의한 문자의 입력을 접수한 것에 따라, 당해 입력된 문자를 표시시키는 상기 문자 입력 화면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전자기기는, 문자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문자의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로서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을, 상이한 양태로 복수 표시시킴과 함께, 당해 복수의 표시 중 하나의 양태로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이 선택되면, 당해 선택된 명칭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당해 복수의 표시 중 하나의 양태로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이 선택되면, 당해 선택된 명칭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고, 당해 복수의 표시 중 다른 양태로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이 선택되면, 당해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을 문자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휴대 전화기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휴대 전화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키 할당에 대한 설명에 이용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부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부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실행의 화면 천이(遷移)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능 설정의 화면 천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 2∼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휴대 전화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9는 제 2∼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부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부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실행의 화면 천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실행의 화면 천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부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4는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능 실행 테이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능 실행 테이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측 변환 후보 테이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부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8은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예측 변환 후보 추가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9는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부가 동작할 때의 화면 천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부에 표시되는 변환 후보의 구체예에 대해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전자기기의 일례인 휴대 전화기(1)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은, 이른바 접힘형 휴대 전화기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전화기의 형태로서는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양 박스체를 중첩한 상태로부터 일방의 박스체를 일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한 슬라이드식이나, 중첩 방향을 따른 축선을 중심으로 일방의 박스체를 회전시키도록 한 회전식(턴 타입)이나, 조작부와 표시부가 하나의 박스체에 배치되어, 연결부를 갖지 않는 형식(스트레이트 타입)이어도 된다.
휴대 전화기(1)는, 조작부측 박스체부(2)와, 표시부측 박스체부(3)를 구비한다. 조작부측 박스체부(2)는, 표면부(10)에, 조작부(11)와, 휴대 전화기(1)의 사용자가 통화시에 낸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12)를 구비한다. 조작부(11)는, 각종 설정이나 전화번호부 기능이나 메일 기능 등의 각종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기능 설정 조작키(13)와, 전화번호의 숫자나 메일의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조작키(14)와, 각종 조작에 있어서의 결정이나 스크롤 등을 행하는 결정 조작키(1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측 박스체부(3)는, 표면부(20)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1)와, 통화의 상대측 음성을 출력하는 리시버(22)를 구비한다.
또한, 조작부측 박스체부(2)의 상단부와 표시부측 박스체부(3)의 하단부는, 힌지 기구(4)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1)는, 힌지 기구(4)를 통해 연결된 조작부측 박스체부(2)와 표시부측 박스체부(3)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작부측 박스체부(2)와 표시부측 박스체부(3)를 서로 펼친 상태(개방 상태)로 하거나, 조작부측 박스체부(2)와 표시부측 박스체부(3)를 접은 상태(접힘 상태)로 할 수 있다.
도 2는, 휴대 전화기(1)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휴대 전화기(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11)(입력부)와, 마이크(12)와, 메인 안테나(40)와, RF 회로부(41)와, 표시 제어부(42)와, 음성 처리부(43)와, 메모리(44)와, 제어부(45)가 조작부측 박스체부(2)에 구비된다. 휴대 전화기(1)는, 표시부(21)와, 리시버(22)와, 드라이버 IC(23)가 표시부측 박스체부(3)에 구비되어 있다.
메인 안테나(40)는, 제 1 사용 주파수대(예를 들어, 800MHz)에서 기지국 등과 통신을 행하고, GPS 통신을 위한 제 2 사용 주파수대(예를 들어, 1.5GHz)에 대응할 수 있는 듀얼 밴드 대응 구성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사용 주파수대로서 800MHz로 하였으나, 그 이외의 주파수대여도 된다. 또한, 메인 안테나(40)는, 제 1 사용 주파수대에서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고, GPS 통신을 위한 제 2 사용 주파수대에 대응할 수 있는 안테나를 별도 설치해도 된다.
RF 회로부(41)는, 메인 안테나(40)에 의해 수신한 신호를 복조(復調) 처리하고, 처리 후의 신호를 제어부(45)에 공급한다. 그리고, RF 회로부(41)는, 제어부(45)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변조 처리하고, 메인 안테나(40)를 통해 외부 장치(기지국)에 송신한다. 또한, 그 한편으로, RF 회로부(41)는, 메인 안테나(40)에 의해 수신하고 있는 신호의 강도를 제어부(45)에 통지한다.
표시 제어부(42)는, 제어부(45)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화상 처리를 행하고,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를 드라이버 IC(23)에 출력한다. 드라이버 IC(23)는, 표시 제어부(42)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에 축적하고, 소정의 타이밍으로 표시부(21)에 출력한다.
음성 처리부(43)는, 제어부(45)의 제어에 따라, RF 회로부(41)로부터 공급된 신호에 대해 소정의 음성 처리를 행하고, 처리 후의 신호를 리시버(22) 또는 스피커(도시 생략)에 출력한다. 리시버(22) 또는 스피커는, 음성 처리부(43)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외부에 출력한다.
또한, 음성 처리부(43)는, 제어부(45)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12)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 후의 신호를 RF 회로부(41)에 출력한다. RF 회로부(41)는, 음성 처리부(43)로부터 공급된 신호에 소정의 처리를 행하고, 처리 후의 신호를 메인 안테나(40)에 출력한다.
메모리(44)는, 예를 들어, 워킹 메모리를 포함하고, 제어부(45)에 의한 연산 처리에 이용된다. 또한, 메모리(44)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나 당해 애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각종 테이블 등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44)는, 착탈 가능한 외부 메모리를 겸하고 있어도 된다.
제어부(45)는, 휴대 전화기(1)의 전체를 제어하고 있고, 중앙 처리 장치(CPU) 등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조작부(11)에 의한 키 조작에 따른 제어부(45)의 제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45)는, 원칙적으로 현재 액티브하게 기동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조작부(11)를 구성하는 각 키(기능 설정 조작키(13), 입력 조작키(14), 결정 조작키(15))에 할당하는 기호나 기능을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11)는, 어느 키가 눌렸을 때에, 당해 키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 조작키(14)의 제 2행 좌열의 키(「1」과 「あ」가 표면에 인쇄되어 있는 키)가 눌린 경우에는, (X2, Y1)인 위치 정보)를 제어부(45)에 송신한다. 제어부(45)는, 메모리(44)에 액세스하여, 현재 액티브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키 할당 테이블을 참조하여, 조작부(11)로부터 송신되어 온 위치 정보로부터 할당되어 있는 기호나 기능의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44)에는, 도 3(b)∼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키 할당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도 3(b)는, 전화 발신을 행할 때에 이용되는 테이블이고, 도 3(c)는, 메모장 애플리케이션이나 메일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이용되는 테이블이며, 도 3(d)는, 텔레비전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채널을 변경할 때에 이용되는 테이블이다.
또한, 기호 처리의 실행이란, 예를 들어, 현재 액티브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메모장인 경우에는, 「1」이나 「あ」를 표시부(21)에 표시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기능 처리의 실행이란, 예를 들어, 현재 액티브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텔레비전인 경우에, 표시 채널을 1ch로 설정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메모리(44)에는, 복수의 키 할당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45)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참조하는 키 할당 테이블을 전환하고, 조작부(1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키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키 할당 테이블을 참조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 전화기(1)에서는, 통신의 대기 상태에서, 키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당해 키에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기호(예를 들어, 숫자나 문자) 각각을, 예를 들어, 별개의 화면 영역에 병렬적으로 표시하고, 소정의 키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일방의 기호가 표시되어 있는 화면을 유효하게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1)는, 조작부(11)에 의해 입력된 문자의 변환 후보 혹은, 다음에 이어지는 예측 후보를 표시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휴대 전화기(1)는, 이들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가 선택됨으로써, 애플리케이션명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문자열이 입력된 경우에는, 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휴대 전화기(1)의 제어부(4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자 입력부(50)와, 애플리케이션 실행부(51)와, 설정 제어부(52)를 구비한다.
문자 입력부(50)는, 사용자에 의해 키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당해 키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를 표시시키도록, 표시 제어부(42)를 제어한다. 또한, 문자 입력부(50)는, 입력된 문자에 대한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를 메모리(44)로부터 추출하고, 표시 제어부(42)를 통해 표시부(21)에 표시시킨다.
또한, 메모리(44)에는, 변환 후보나 예측 후보가 기억되고, 또한, 관리되고 있는 예측 DB(도시 생략)가 저장되어 있다. 문자 입력부(50)는, 입력된 문자에 기초하여 이 예측 DB를 검색하고, 변환되는 한자 등의 변환 후보나, 뒤에 이어지는 문자의 예측 후보를 추출한다.
또한, 문자 입력부(50)는, 휴대 전화기(1)가 갖는 애플리케이션의 후보,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동작(처리)을, 입력 문자에 기초하여 메모리(44)로부터 추출하고,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 중에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문자 입력부(50)는, 예를 들어, 「か」라고 입력된 경우에, 「か」로 시작되는 애플리케이션인 「カメラ」를 예측 후보로서 표시시킨다. 다음으로 「カメラ」가 입력된 경우나, 「カメラ」가 예측 후보로서 선택된 경우에,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처리 내용으로서, 「起動する」나 「使い方」과 같은 처리명을 예측 후보로서 표시시킨다.
또한, 메모리(44)에는, 휴대 전화기(1)가 갖는 액티비티(애플리케이션명 및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처리명, 나아가서는 휴대 전화기(1)의 상태를 설정하는 기능명 등)가, 액티비티 후보 DB로서 저장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이들 애플리케이션명이나 처리명이 선택된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 실행부(51)는, 해당의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카메라, 메일, 텔레비전 등) 혹은, 애플리케이션의 특정한 동작(처리)을 실행한다.
또한, 문자 입력부(50)는, 휴대 전화기(1)가 갖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한정하지 않고, 휴대 전화기(1)의 상태(예를 들어, 매너 모드나 전파 OFF 모드 등)를 설정하는 기능명을 메모리(44)로부터 추출하여,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로서 표시한다. 그리고, 설정 제어부(52)는, 이들 기능명이 선택됨에 따라, 휴대 전화기(1)의 상태 설정을 행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의 제어부(45)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처리는, 문자 입력부(50)에 있어서의 문자 입력 화면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해서 실행된다.
단계 S1에서는, 제어부(45)는, 조작부(11)로부터 키 입력을 접수한다.
단계 S2에서는, 제어부(45)는, 단계 S1에서 접수한 키 입력이 문자의 입력인지,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의 선택에 관련된 입력인지를 판정한다. 문자의 입력인 경우에는 단계 S5로 이동하고, 후보의 선택에 관련된 입력인 경우에는 단계 S3으로 이동한다.
단계 S3에서는, 제어부(45)는, 단계 S1에서 선택된 후보가 통상적인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인지, 액티비티 후보(애플리케이션 기동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처리 실행, 혹은 휴대 전화기(1)의 설정 변경)인지를 판정한다. 통상적인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의 선택인 경우에는, 문자 입력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단계 S5로 이동하고, 액티비티 후보의 선택인 경우에는 단계 S4로 이동한다.
단계 S4에서는, 제어부(45)는, 단계 S3에서 선택된 것으로 판정된 액티비티 후보를 실행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으로 입력한 문자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이나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단계 S5에서는, 제어부(45)는, 단계 S1에서 접수한 키 입력이 문자 입력에 관련된 것이므로, 키 입력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선택된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를, 문자 입력 버퍼에 추가한다.
단계 S6에서는, 제어부(45)는, 메모리(44)에 저장되어 있는 예측 DB를 검색하여, 문자 입력 버퍼에 유지되어 있는 문자열에 대해, 변환 후보 및 예측 후보를 추출한다.
단계 S7에서는, 제어부(45)는, 메모리(44)에 저장되어 있는 액티비티 후보 DB를 검색하여, 문자 입력 버퍼에 유지되어 있는 문자열에 대해, 액티비티 후보를 추출한다.
단계 S8에서는, 제어부(45)는, 단계 S6에서 추출된 변환 후보 및 예측 후보와, 단계 S7에서 추출된 액티비티 후보를, 문자 입력 화면에 선택 가능하게 표시시킨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의 화면 천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제어부(45)는, 입력 문자에 기초하여 카메라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조작부(11)는, 제 1 키(예를 들어, 도 1 중 A에 나타내는, 입력 조작키(14)의 제 2행째 내지 제 5행째에 위치하는 키)와, 제 2 키(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내는, 결정 조작키(15)의 상하키(15a, 15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키는, 제 1종 기호(예를 들어, 「あ」, 「い」, 「う」등의 히라가나)와 제 2종 기호(예를 들어, 「1」, 「2」, 「3」등의 숫자)가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키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키는, 제 1종 기호 및 제 2종 기호가 할당되어 있지 않고, 단일 또는 복수의 기능(예를 들어, 가나를 한자로 변환하는 기능 등)이 할당되어 있는 키이다.
먼저, 제어부(45)는, 착신을 대기하는 초기 화면(100)을 표시부(21)에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에서(도 6(a)), 제 1 키 중 어느 키가 눌렸을 때에는, 눌린 당해 키에 할당되어 있는 제 1종 기호와, 눌린 당해 키에 할당되어 있는 제 2종 기호를 표시부(21)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도 6(b)).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5)는, 제 1종 기호를 표시 영역(101)에 표시하고, 제 2종 기호를 표시 영역(102)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 1종 기호란, 예를 들어, 「あ」, 「い」, 「う」등의 히라가나나, 「A」, 「B」, 「C」등의 로마자에 상당하는 기호이다. 제 2종 기호란, 예를 들어, 「1」, 「2」, 「3」등의 숫자에 상당하는 기호이다.
이 때, 제어부(45)는, 표시 영역(101)에 있어서,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와 함께, 입력 문자(제 1종 기호)로 시작되는 애플리케이션명(「カメラ」)을 아울러 표시시키고, 선택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 애플리케이션명은, 표시 폰트 또는 표시색이나 장식 등을 구별하여 표시시킨다. 이로써, 사용자는, 휴대 전화기(1)의 기능 실행에 관련된 선택 항목인 것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5)는, 표시부(21)에 제 1종 기호 및 제 2종 기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있을 때에, 제 2 키가 눌린 경우에는, 표시 영역(101)에 입력되어 있는 제 1종 기호에 대한 변환 처리(예를 들어, 가나를 한자로 변환하는 처리나, 예측 후보의 문자열로 변환하는 처리 등)를 실행한다(도 6(c)). 이 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명인 「カメラ」가 선택되어 표시된다. 또한, 제어부(45)는, 변환 처리를 접수함으로써, 숫자(제 2종 기호)의 입력은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 영역(102)을 소거한다.
여기서, 제어부(45)는, 「カメラ」에 이어지는 예측 후보의 표시를 행함과 함께, 카메라에 관한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액티비티 후보(「起動する」 및 「使い方」)를 표시시킨다. 또한, 액티비티 후보는, 도 6(b)의 애플리케이션명과 마찬가지로, 표시 폰트 또는 표시색이나 장식 등을 구별하여 표시시킨다.
그리고, 제어부(45)는, 액티비티 후보의 선택 입력을 접수하면, 선택에 대응한 애플리케이션의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起動する」가 선택된 경우에는, 카메라의 모니터링 화면이 표시되고(도 6(d)), 「使い方」이 선택된 경우에는, 카메라의 사용 방법에 관한 헬프(설명서) 화면이 표시된다(도 6(e)).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의 기능 설정의 화면 천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제어부(45)는, 입력 문자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1)의 동작 모드를 설정한다.
제어부(45)는, 도 6의 예와 마찬가지로, 초기 화면(100)을 표시부(21)에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도 7(a))에서, 제 1 키가 눌림으로써, 제 1종 기호를 표시 영역(101)에 표시하고, 제 2종 기호를 표시 영역(102)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도 7(b)). 구체적으로는, 표시 영역(101)에는 「で」가 표시되고, 표시 영역(102)에는 「4444*」이 표시되어 있다.
이 때, 제어부(45)는, 표시 영역(101)에 있어서,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와 함께, 입력 문자(「で」)로 시작되는 기능명(「電波OFFモ―ド」)을 아울러 표시시키고, 선택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제어부(45)는, 표시부(21)에 제 1종 기호 및 제 2종 기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있을 때에, 제 2 키가 눌린 경우에는, 표시 영역(101)에 입력되어 있는 제 1종 기호에 대한 변환 처리(예를 들어, 가나를 한자로 변환하는 처리나, 예측 후보의 문자열로 변환하는 처리 등)를 실행한다(도 7(c)). 이 예에서는, 기능명「電波OFFモ―ド」가 선택되어 표시된다. 또한, 제어부(45)는, 변환 처리를 접수함으로써, 숫자(제 2종 기호)의 입력은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표시 영역(102)을 소거한다.
여기서, 제어부(45)는, 문자열 「電波OFFモ―ド」에 이어지는 예측 후보의 표시를 행함과 함께, 액티비티 후보(「設定する」)를 표시시킨다.
그리고, 제어부(45)는, 액티비티 후보의 선택 입력을 접수하면, 선택에 대응한 설정 화면으로 표시를 천이시킨다. 구체적으로는, 「電波OFFモ―ド」에 대해 「設定する」가 선택되었으므로, 전파 OFF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도 7(d)).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휴대 전화기(1)는, 입력된 문자열에 대응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이나 휴대 전화기(1)의 상태의 설정 변경을 할 수 있다. 특히, 휴대 전화기(1)는, 초기 화면(대기 화면)에 있어서의 키 입력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문자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간편하게 목적의 동작(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이나 설정 변경 등)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휴대 전화기(1)는, 변환 후보나 예측 후보 중에, 애플리케이션명이나 처리명이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열에 관련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처리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휴대 전화기(1)는, 사용자가 모르는 기능의 존재나, 기능의 상세(처리 내용)를 알릴 수 있으므로, 휴대 전화기(1)가 갖는 기능이 유효 활용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휴대 전화기(1)는, 애플리케이션명의 선택 후, 처리명이 선택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휴대 전화기(1)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명이 선택된 것에 따라, 이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구체적인 처리 내용은, 애플리케이션 내의 메뉴로부터 실행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휴대 전화기(1)는, 액티비티 후보(애플리케이션명 또는 처리명)가 선택됨으로써 해당의 처리를 실행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휴대 전화기(1)는, 후보로부터의 선택이 아니라, 애플리케이션명 또는 처리명이 직접 입력됨으로써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이 때, 처리를 실행할지, 문자를 표시하는 것만으로 할지의 선택을 접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휴대 전화기(1)는, 조작부(11)의 키 입력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이나 예측 후보의 선택 등을 행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부(21)와 중첩하는 위치에 터치 패널을 배치하여, 선택 입력을 접수해도 되고, 마이크(12)에 의해 접수한 음성을 해석하여, 표시되어 있는 액티비티 후보와 대응시켜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45)는, 표시 영역(102)에 애플리케이션명「カメラ」를 표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45)는, 표시 영역(102)에, 문자열에 밑줄을 첨부한 애플리케이션명「カメラ」(도 6(b)의 표시 영역(102) 참조)과, 문자열에 밑줄을 첨부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명「カメラ」(도시 생략)를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45)는, 문자열에 밑줄을 첨부한 애플리케이션명「カメラ」가 선택된 경우에는, 문자로서의 「カメラ」를 표시 영역(101)에 표시하고, 문자열에 밑줄을 첨부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명「カメラ」가 선택된 경우에는, 카메라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도록 제어해도 된다. 즉, 제어부(45)는, 표시 양태가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명을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고, 선택된 표시 양태가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명에 따라, 문자열의 표시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처리를 선택 가능하게 제어해도 된다.
또한, 휴대 전화기(1)는, 휴대 전화기(1)의 동작을 검지함으로써, 이 동작의 종류를 선택 입력으로서 접수해도 된다. 이것을 위한 구성으로서 동작을 검지하는 센서를 구비한 제 2 실시형태∼제 4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휴대 전화기(1a)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휴대 전화기(1a)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휴대 전화기(1)와 달리, 동작을 검지하는 센서로서의 가속도 센서(46)를 더 구비한다.
가속도 센서(46)는, 휴대 전화기(1a)의 동작을 가속도값으로서 검지하여, 제어부(45a)에 제공한다. 제어부(45a)는, 이 가속도값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1a)의 동작의 종류(동작의 방향이나 횟수 등)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45a)는, 판단한 동작의 종류에 따라,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항목 선택 등의 조작 입력으로서 처리한다.
도 9는, 제어부(45a)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제어부(45a)는, 문자 입력부(50a)와, 애플리케이션 실행부(51)와, 설정 제어부(52)와, 센서 제어부(53)를 구비한다.
센서 제어부(53)는, 가속도 센서(46)에 의해 검지된 가속도값에 기초하여, 미리 기억되어 있는 가속도 패턴과 대조함으로써, 동작의 종류를 판단한다. 이 판단 결과는, 문자 입력부(50a)에 의해 접수되어,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조작 입력이 된다. 즉, 도 6(c)에 있어서 표시되어 있는 액티비티 후보는, 서로 문자색이나 장식 등에 의해 구별되고, 판단된 동작의 종류에 대응시켜 선택된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1a)를 세로로 흔든 경우에는 적색 문자의 후보가 선택되고, 가로로 흔든 경우에는 청색 문자의 후보가 선택된다. 혹은, 휴대 전화기(1a)를 연속으로 흔든 횟수에 따른 순서의 후보가 선택되어도 된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휴대 전화기(1a)에 있어서의 제어부(45a)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처리는, 문자 입력부(50a)에 있어서의 문자 입력 화면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하여 실행된다.
단계 S11에서는, 제어부(45a)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으로서, 조작부(11)로부터 키 입력, 또는 가속도 센서(46)로부터 모션 입력(예를 들어, 세로로 흔든다, 가로로 흔든다 등)을 접수한다.
단계 S12에서는, 제어부(45a)는, 단계 S11에서 접수한 조작 입력이 키 입력인지, 모션 입력인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키 입력인 경우에는 단계 S2로 이동하고, 모션 입력인 경우에는 단계 S13으로 이동한다.
단계 S13에서는, 제어부(45a)는, 청색 문자의 후보나 2번째의 후보 등, 접수한 모션 입력의 종류에 대응하는 액티비티 후보가 있는지(표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이 YES인 경우에는 단계 S4로 이동하여, 액티비티를 실행한다. 한편, 판정이 NO인 경우에는, 단계 S11로 되돌아와 조작 입력의 접수를 계속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6(c)와 같이 예측 후보 중에 액티비티 후보(「起動する」 및 「使い方」)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휴대 전화기(1a)가 세로로 흔들리면, 제어부(45a)는 「起動する」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카메라의 모니터링 화면을 표시한다(도 6(d)). 한편, 휴대 전화기(1a)가 가로로 흔들리면, 제어부(45a)는 「使い方」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카메라 사용 방법에 관한 헬프(설명서) 화면을 표시한다(도 6(e)).
또한, 단계 S2∼S8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키 입력의 내용에 따라 예측 후보의 표시, 혹은 액티비티의 실행을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휴대 전화기(1a)는, 모션 입력에 기초하는 선택에 의해 액티비티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각종 기능의 실행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1b)는, 제 2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1a)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지만, 제어부(45a), 특히 문자 입력부(50a)의 기능이 확장되어, 각각 제어부(45b), 문자 입력부(50b)가 된다(도 8 및 도 9 참조).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부(45b)의 처리 내용을 설명하는 화면 천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カメラ」가 키 입력되면, 제어부(45b)는, 「カメラ」에 이어지는 예측 후보를 표시시킨다(도 11(a)).
여기서, 제어부(45b)는, 가속도 센서(46)가 검지한 가속도값에 기초하여, 소정의 모션 입력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カメラ」에 관한 액티비티 후보의 표시로 전환한다(도 11(b)). 또한, 제어부(45b)는, 액티비티 후보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소정의 모션 입력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예측 후보의 표시로 전환한다(도 11(a)).
제어부(45b)는, 액티비티 후보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선택 입력(예를 들어, 세로 흔듦, 가로 흔듦 등의 모션 입력 등)을 접수하면, 이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액티비티를 실행한다(도 11(c) 또는 도 11(d)).
또한, 복수의 액티비티 후보는, 문자색이나 장식을 구별하여 표시함과 함께, 혹은, 이 구별 대신에, 모션 입력에 의한 선택 방법을 나타내는 표시(예를 들어, 「세로 흔듦」이나 「1회 흔듦」등)를 행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휴대 전화기(1b)는, 예측 후보와 액티비티 후보를 간편하게 전환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있어서 보기 쉬워,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예측 후보가 다수이기 때문에 액티비티 후보를 동시에 표시시키기가 곤란한 경우에 바람직하다.
[제 4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1c)는, 제 2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1a)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지만, 제어부(45a), 특히 문자 입력부(50a)의 기능이 확장되어, 각각 제어부(45c), 문자 입력부(50c)가 된다(도 8 및 도 9 참조).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어부(45c)의 처리 내용을 설명하는 화면 천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カメラ」가 키 입력되면, 제어부(45c)는, 「カメラ」에 이어지는 예측 후보와 함께, 「カメラ」에 관한 액티비티 후보를 표시시킨다(도 12(a)).
여기서, 제어부(45c)는, 가속도 센서(46)가 검지한 가속도값에 기초하여, 소정의 모션 입력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액티비티 후보를 상위에 정렬한 표시로 전환한다(도 12(b)). 또한, 제어부(45c)는, 액티비티 후보가 상위에 정렬된 상태에서, 소정의 모션 입력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예측 후보와 액티비티 후보가 혼재한 표시로 전환한다(도 12(a)).
제어부(45c)는, 액티비티 후보의 표시 순서에 상관없이(도 12(a) 또는 도 12(b)), 키 입력이나 모션 입력에 의해 어느 것이 선택되면, 이 선택에 대응하는 액티비티를 실행한다(도 12(c) 또는 도 12(d)).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휴대 전화기(1c)는, 액티비티 후보를 간편하게 발출하여 상위에 표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키 입력에 있어서도 선택이 용이해지므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1c)는, 예측 후보가 다수이기 때문에 액티비티 후보를 동시에 표시시키기가 곤란한 경우에, 상위에 알기 쉽게 표시할 수 있으므로, 액티비티의 선택이 용이해진다.
[제 5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1d)는, 조작 검출부(54) 및 문자열 제어부(55)를 구비하는 점이 제 1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1)와는 상이하다(도 2 및 도 13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 전화기(1d)에서는, 통신의 대기 상태에서, 키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당해 키에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기호(예를 들어, 숫자나 문자) 각각을, 예를 들어, 별개의 화면 영역에 병렬적으로 표시하고, 소정의 키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일방의 기호가 표시되어 있는 화면을 유효하게 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갖고 있다. 이하, 이 기능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애플리케이션 A라고 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A는, 조작부(11)에 의해 입력된 문자의 변환 후보 혹은, 다음에 이어지는 예측 후보를 표시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A는, 이들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가 선택됨으로써, 애플리케이션명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문자열이 입력된 경우에는, 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제어부(45d)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의 제어부(45d)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45d)는, 조작 검출부(54)와, 문자열 제어부(55)와, 애플리케이션 실행부(51)를 구비한다.
조작 검출부(54)는, 조작부(11)에 있어서의 조작을 검출하고, 검출한 조작을 문자열 제어부(55)에 통지한다.
문자열 제어부(55)는, 예를 들어, 초기 화면으로서의 대기 화면의 상태에서 조작 검출부(54)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이 조작에 따라, 소정의 문자, 후술하는 메모리(44)의 기능 실행 테이블에 기억된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대응하는) 문자열 중 소정의 문자에 관련되는 문자열,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에 대한 제 1 조작에 관련된 정보 및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에 대한 제 2 조작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부(21)에 표시한다.
문자열 제어부(55)는,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에 대해 제 1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표시부(21)에 표시되어 있는 조작에 따른 소정의 문자 대신에,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을 표시부(21)에 표시한다.
애플리케이션 실행부(51)는, 표시부(21)에 표시된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에 대해 제 2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에 대응된 기능을 기동한다.
한편, 문자열 제어부(55)는, 예를 들어 다른 애플리케이션(메모장이나 메일 등)을 기동하고 있는 등의 초기 화면과는 상이한 상태에서, 조작 검출부(54)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이 조작에 따라 소정의 문자를 표시부(21)에 표시하고, 메모리(44)에 기억된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 중, 소정의 문자에 관련되는 문자열은 표시부(21)에 표시하지 않는다.
또한, 메모리(44)에는, 기능 실행 테이블과, 예측 후보 테이블이 저장된다. 기능 실행 테이블에는, 소정의 기능과, 이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이 대응되어 있다. 예측 후보 테이블에는,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과, 이 문자열에 관련된 예측 후보가 대응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는, 기능 실행 테이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기능 실행 테이블에는,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로서의 입력 문자(예를 들어, 着メロディ 등)와, 소정의 기능으로서의 후보 기능(예를 들어, 착신 설정, 착신 멜로디 다운로드, 음량 설정, 의사(疑似) 착신 등)이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기능 실행 테이블에는,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로서의 입력 문자(예를 들어, 「ま」, 「め」등)와, 소정의 기능으로서의 후보 기능(예를 들어, 매너 모드(マナ―モ―ド), 대기 화면(
Figure 112011024542441-pct00001
), 대기 노래 설정(待ち受け歌設定) 등)이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기능 실행 테이블에서는, 단어로서의 입력 문자(예를 들어, 着メロディ)에 관련된 기능(예를 들어, 착신 설정)이 후보 기능으로서 기억되어 있다. 한편, 도 15에 나타내는 기능 실행 테이블에서는, 머리글자로서의 입력 문자(예를 들어, 「ま」)를 포함하는 기능(예를 들어, マナ―モ―ド 등)이 후보 기능으로서 기억되어 있다.
도 16은, 예측 후보 테이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입력 문자 「ま」에 관련된 예측 후보에 대해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에 나타내는 예측 후보 테이블은, 입력 문자 「ま」에 관련된 예측 후보를 사용 빈도가 높은 순으로 배열한 것이다. 예측 후보 테이블이 도 16(a)의 상태인 경우, 단순히 입력 문자 「ま」를 포함하는 예측 후보가 저장되어 있고,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이 포함되지 않는 반면, 도 16(b)와 같은 상태인 경우, 입력 문자 「ま」를 포함하고, 입력 문자 「ま」에 관련된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인 「マナ―モ―ド」가 예측 후보로서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가 예측 후보를 사용하는 빈도에 따라, 예측 후보 테이블은, 도 16(a)의 상태로부터 도 16(b)의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나, 반대로 도 16(b)의 상태로부터 도 16(a)의 상태로 갱신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측 후보를 기억한 예측 후보 테이블에 대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예측 후보 테이블 대신에 변환 후보를 기억한 변환 후보 테이블을 사용해도 된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의 제어부(45d)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S21에 있어서, 조작 검출부(54)는, 조작부(11)에 있어서의 조작을 검출하고, 검출한 조작을 문자열 제어부(55)에 통지한다.
단계 S22에 있어서, 문자열 제어부(55)는, 예측 후보 추가 처리를 실행한다. 예측 후보 추가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단계 S23에 있어서, 문자열 제어부(55)는, 예측 후보 추가 처리에 의해 표시부(21)에 표시된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이 선택된(예를 들어,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소정의 문자 대신에 문자열의 표시부(21)에 대한 표시에 관련된 조작이 이루어졌는지, 또는 소정의 기능 실행에 관련된 조작이 이루어졌는지를 판정한다. 표시부(21)의 표시에 관련된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단계 S24로 이동하고,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단계 S27로 이동한다.
단계 S24에 있어서, 문자열 제어부(55)는,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을 표시부(21)에 표시시키도록 표시 제어부(42)를 제어한다.
단계 S25에 있어서, 문자열 제어부(55)는, 소정의 조작이 이루어졌는지를 판정한다. 소정의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Yes)에는, 단계 S26으로 이동하고, 소정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No)에는, 다시 단계 S25로 이동한다.
단계 S26에 있어서, 문자열 제어부(55)는, 입력 문자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후보,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동작(처리)을 일람 표시하기 위한 메뉴 리스트를 표시부(21)에 표시하도록 표시 제어부(42)를 제어한다.
단계 S27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실행부(51)는, 단계 S23에 있어서 선택된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에 대응된 기능을 기동한다.
도 18은, 상기 서술한 단계 S22의 공정에 있어서 실행되는 예측 후보 추가 처리의 흐름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S31에 있어서, 문자열 제어부(55)는, 단계 S21에 있어서의 조작 검출부(54)에 의한 조작의 검출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화면에 있어서 문자가 입력되지 않은 미입력 상태로부터였는지 판정한다. 미입력 상태로부터인 경우(Yes)에는 단계 S33으로 이동하고, 미입력 상태로부터가 아닌 경우, 즉 이미 문자가 입력되어 있는 상태로부터인 경우(No)에는 단계 S32로 이동한다.
단계 S32에 있어서, 문자열 제어부(55)는, 통상적인 문자 입력 처리를 실행한다. 통상적인 문자 입력 처리란, 예를 들어, 메모장의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조작부(11)에서의 조작에 따른 문자의 입력 처리를 말한다.
단계 S33에 있어서, 문자열 제어부(55)는, 전술한 문자 입력 화면이, 애플리케이션 A가 기동됨으로써 표시되어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애플리케이션 A가 기동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Yes)에는 단계 S35로 이동하고, 애플리케이션 A가 기동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No)에는 단계 S34로 이동한다.
단계 S34에 있어서, 문자열 제어부(55)는, 예측 후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예측 후보를 취득한다. 이 때, 문자열 제어부(55)는, 도 16(a) 또는 도 16(b)에 나타내는 예측 후보 테이블을 참조한다.
단계 S35에 있어서, 문자열 제어부(55)는, 도 16(a) 또는 도 16(b)에 나타내는 예측 후보 테이블과 도 14 또는 도 15에 나타내는 기능 실행 테이블을 참조하여, 조작이 검출된 입력 문자에 대응된 예측 후보 및 기능명을 판독하고, 기능명을 의사 예측 후보로서 예측 후보의 선두에 배치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36에 있어서, 문자열 제어부(55)는, 예측 후보 테이블로부터 취득한 예측 후보 중에서 기능 실행 테이블로부터 취득한 기능명(의사 예측 후보)과 중복되는 예측 후보가 있는 경우에는, 그 예측 후보를 표시부(21)에 표시하지 않는 제어를 행한다.
단계 S37에 있어서, 문자열 제어부(55)는, 단계 S34 또는 단계 S36에 의해 얻어진 예측 후보를 표시부(21)에 표시하도록 표시 제어부(42)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도 19를 참조하면서, 제어부(45d)가 동작할 때의 구체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본 실시형태의 제어부(45d)가 동작할 때의 화면 천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조작 검출부(54)는, 대기 화면의 상태에서 조작부(11)의 어느 키의 눌림을 검출하고, 검출한 키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도 3(a)의 (X4, Y1))를 문자열 제어부(55)에 송신한다.
도 1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21)에는, 표시 영역(201), 표시 영역(202), 표시 영역(203) 및 표시 영역(204)이 마련된다. 조작 검출부(54)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고, 검출된 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표시 영역(201)에는, 문자열 제어부(55)에 의해 소정의 문자로서의 「ま」가 표시된다. 표시 영역(202)에는, 문자열 제어부(55)에 의해 소정의 문자에 관련된 예측 후보로서의 「また」, 「まだ」, 「每日」등 및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 중 소정의 문자에 관련된 문자열로서의 「マナ―モ―ド」, 「
Figure 112011024542441-pct00002
」 및 「待ちうた設定」이 표시된다. 표시 영역(203)에는, 숫자 「7」이 표시된다. 이 숫자 「7」은, 통화 기능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용된다. 표시 영역(204)에는, 도 1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에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에 대한 제 1 조작에 관련된 정보로서의 「소프트키(F1)」,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에 대한 제 2 조작에 관련된 정보로서의 「소프트키(F2)」 및 「소프트키(F3)」가 표시된다. 또한, 소프트키(F1)에는 「OK」의 문자가 표시되고, 소프트키(F2)에는 「기능 실행」의 문자가 표시되고, 소프트키(F3)에는 「영수(英數)가나」의 문자가 표시된다. 또한, 소정의 문자에 관련된 예측 후보인 「また」, 「まだ」등에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소프트키(F2)는, 도 19(b)와 동일하게 「통상 변환」의 문자가 표시된다. 소프트키(F1)는, 상기 서술한 경우와 동일하게 「OK」의 문자가 표시된다.
그리고, 조작 검출부(54)에 의해 소프트키(F1)에 대한 조작이 검출되면, 문자열 제어부(55)는, 표시 영역(201)에 「ま」 대신에 문자열 「マナ―モ―ド」를 표시한다(도 19(b)). 그 후, 필요에 따라, 조작부(11)에서의 소정의 조작(예를 들어, 도 1의 결정 조작키(15)에 대한 누름 조작에 의한 「OK」의 선택)이 이루어지면, 「マナ―モ―ド」를 입력 문자로서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후보,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동작(처리)을 일람 표시하는 메뉴 리스트를 표시부(21)에 표시한다(도 19(c)).
한편, 조작 검출부(54)에 의해 소프트키(F2)에 대한 조작이 검출되면, 애플리케이션 실행부(51)에 의해 「매너 모드」기능이 기동되고, 이어지는 처리가 일람 표시된다(도 19(d)).
다음으로, 표시부(21)에 표시되는 예측 후보의 표시 양태에 대해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0은,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표시부(21)에 표시되는 예측 후보의 구체예에 대해 나타내는 도면이다.
메모리(44)는, 제 1 기능과, 이 제 1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을 대응시키고, 제 1 기능 아래의 계층에 있는 제 2 기능과, 이 제 2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을 대응시켜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모리(44)는, 제 1 기능으로서 메일 기능 전반을 제어하는 메일 애플리케이션(D1)과, 메일 애플리케이션(D1)에 관련된 문자열 「メ―ル」을 대응시켜 기억한다. 또한, 메모리(44)는, 메일 애플리케이션(D1)의 각종 기능으로서, 메일 애플리케이션(D1)을 기동하면 표시부(21)에 표시되는, 즉 아래의 계층에 있는 신규 메일 작성 기능(D11), 메일 수신 기능(D12), 메일 송신 기능(D13) 등의 제 2 기능과, 이들 신규 메일 작성 기능(D11), 메일 수신 기능(D12), 메일 송신 기능(D13)에 관련된 문자열 「新規メ―ル作成」, 「メ―ル受信」, 「
Figure 112011024542441-pct00003
」을 대응시켜 기억한다.
그리고, 문자열 제어부(55)는, 조작 검출부(54)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고, 이 조작에 따른 소정의 문자, 제 1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 중 소정의 문자에 관련된 것 및 제 2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 중 소정의 문자에 관련된 것을 표시부(21)에 표시하는 경우에, 제 1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 「メ―ル」의 표시부(21)에 대한 표시 양태와, 제 2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의 표시부(21)에 대한 표시 양태를 다르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문자열 제어부(55)는, 조작 검출부(54)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고, 이 조작에 따른 소정의 문자 「め」 및 메일 애플리케이션(D1)에 관련된 문자열 「メ―ル」 및 신규 메일 작성 기능(D11), 메일 수신 기능(D12), 메일 송신 기능(D13)에 관련된 문자열 「メ―ル作成」, 「メ―ル受信」, 「
Figure 112011024542441-pct00004
」을 표시부(21)에 표시하는 경우에, 문자열 「メ―ル」의 표시부(21)에 대한 표시 양태와, 문자열 「メ―ル作成」, 「メ―ル受信」, 「
Figure 112011024542441-pct00005
」의 표시부(21)에 대한 표시 양태를 다르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자열 제어부(55)는, 제어부(45d)에 있어서 각종 파일을 관리하는 파일 시스템(도시 생략)으로부터 메일 애플리케이션(D1)에 있어서의 데이터 구조를 취득한다. 그리고, 문자열 제어부(55)는, 취득한 데이터 구조에 기초하여, 메일 애플리케이션(D1)에 관련된 문자열 「メ―ル」을 다른 문자열과 상이한 폰트로 표시하고, 문자열 「メ―ル作成」, 「メ―ル受信」, 「
Figure 112011024542441-pct00006
」에 밑줄을 첨부하여 표시한다.
또한, 메모리(44)는, 예를 들어, 소정의 문자 「め」와, 이 소정의 문자 「め」에 관련된 문자열 「メ―ル」을 대응시켜 기억한다. 그리고,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자열 제어부(55)는, 조작 검출부(54)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이 조작에 따라 소정의 문자 「め」를 표시부(21)에 표시하고, 소정의 문자 「め」에 관련된 예측 후보(예를 들어, 目, 目新しい, メカジキ)와 함께, 제 1 기능 및 제 2 기능을 포함하는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 중 소정의 문자 「め」에 관련된 것인 문자열 「メ―ル」, 「メ―ル作成」, 「メ―ル受信」, 「
Figure 112011024542441-pct00007
」을 표시부(21)에 표시해도 된다.
또한,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자열 제어부(55)는,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 「メ―ル」, 「メ―ル作成」, 「メ―ル受信」, 「
Figure 112011024542441-pct00008
」의 표시부(21)에 대한 표시 양태와, 조작부(11)에서의 조작에 따른 소정의 문자 「め」에 관련된 예측 후보 「目」, 「目新しい」, 「メカジキ」의 표시 양태를 다르게 해도 된다.
또한, 문자열 제어부(55)는,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 「メ―ル」, 「メ―ル作成」, 「メ―ル受信」, 「
Figure 112011024542441-pct00009
」을 소정의 문자 「め」에 관련된 예측 후보 「目」, 「目新しい」, 「メカジキ」에 대해 상위에 표시해도 된다. 여기서, 「상위」란, 예측 후보를 표시하는 순번이 보다 선두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것을 말한다.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1d)에 의하면, 문자열 제어부(55)는, 조작 검출부(54)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이 조작에 따라, 소정의 문자, 메모리(44)에 기억된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 중 소정의 문자에 관련되는 문자열,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에 대한 제 1 조작에 관련된 정보 및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에 대한 제 2 조작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부(21)에 표시한다. 그리고, 문자열 제어부(55)는,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에 대해 제 1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표시부(21)에 표시되어 있는 조작에 따른 소정의 문자 대신에,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을 표시부(21)에 표시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실행부(51)는, 표시부(21)에 표시된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에 대해 제 2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에 대응된 기능을 기동한다.
이로써, 휴대 전화기(1d)는, 표시부(21)에 표시된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에 대한 조작에 따라,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에 대응된 기능을 기동할지, 소정의 문자 대신에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을 표시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21)에 표시된 문자열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1d)에 의하면, 문자열 제어부(55)는, 대기 화면의 상태에서 조작 검출부(54)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이 조작에 따라, 소정의 문자, 메모리(44)에 기억된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 중 소정의 문자에 관련된 문자열,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에 대한 제 1 조작에 관련된 정보 및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에 대한 제 2 조작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부(21)에 표시한다. 그리고, 문자열 제어부(55)는,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에 대해 제 1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표시부(21)에 표시되어 있는 조작에 따른 소정의 문자 대신에,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을 표시부(21)에 표시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실행부(51)는, 표시부(21)에 표시된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에 대해 제 2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에 대응된 기능을 기동한다.
이로써, 휴대 전화기(1d)는, 대기 화면으로부터 문자를 입력하여, 문자열에 대응된 기능을 기동할지, 소정의 문자 대신에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을 표시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대기 화면으로부터 표시부(21)에 표시된 문자열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1d)에 의하면, 문자열 제어부(55)는, 예를 들어 다른 애플리케이션(메모장이나 메일 등)을 기동하고 있는 등 대기 화면과는 상이한 상태에서, 조작 검출부(54)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이 조작에 따라 소정의 문자를 표시부(21)에 표시하고, 메모리(44)에 기억된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 중, 소정의 문자에 관련되는 것은 표시부(21)에 표시하지 않는다.
이로써, 휴대 전화기(1d)는, 메모장이나 메일의 입력 화면 등의 다른 문자 입력 화면에 있어서도 메모리(44)의 기능 실행 테이블에 기억된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을 표시하면 사용 편리성이 저해될 우려가 있으나, 그러한 경우에는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을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1d)에 의하면, 문자열 제어부(55)는, 조작 검출부(54)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고, 이 조작에 따른 소정의 문자, 제 1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 중 소정의 문자에 관련되는 문자열 및 제 2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 중 소정의 문자에 관련되는 문자열을 표시부(21)에 표시하는 경우에, 제 1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의 표시부(21)에 대한 표시 양태와, 제 2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의 표시부(21)에 대한 표시 양태를 다르게 한다.
이로써, 휴대 전화기(1d)는, 제 1 기능 아래의 계층에 있는 제 2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도 표시부에 표시하는 경우, 제 1 기능과 제 2 기능으로 표시 양태를 다르게 함으로써, 양자를 구별하기 쉬워져,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1d)에 의하면, 문자열 제어부(55)는, 조작 검출부(54)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이 조작에 따라 소정의 문자를 표시부(21)에 표시하고, 소정의 문자에 관련된 예측 후보와 함께,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 중 소정의 문자에 관련되는 것을 표시부(21)에 표시한다.
이로써, 휴대 전화기(1d)는, 소정의 문자에 관련된 예측 후보를 표시하고,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을 그 하나로서 표시함으로써,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뿐만 아니라 소정의 문자에 관련된 예측 후보도 이용할 수 있어, 휴대 전화기(1d)의 전자기기로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1d)에 의하면, 문자열 제어부(55)는,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의 표시부(21)에 대한 표시 양태와, 조작부(11)에서의 조작에 따른 소정의 문자에 관련된 예측 후보의 표시 양태를 다르게 한다.
이로써, 휴대 전화기(1d)는,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과, 통상적인 예측 후보를 함께 표시하는 경우에 각각의 표시 양태를 다르게 함으로써, 양자를 구별하기 쉬워져,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1d)에 의하면, 문자열 제어부(55)는,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을 소정의 문자에 관련된 예측 후보에 대해 상위에 표시한다.
이로써, 휴대 전화기(1d)는, 입력 확정 및 기능을 기동할 수 있는 문자열을 우선적으로 상위에 표시함으로써, 조작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애플리케이션 A가 기동 중인지 판정하고, 기동 중인 경우에만 기능 실행 테이블 및 예측 후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을 표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메모장이나 메일의 작성 화면 등의 다른 입력 화면에 있어서도 기능 실행 테이블을 참조하여,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을 표시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애플리케이션 A가 기동 중이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예측 후보 테이블만을 참조하여 소정의 문자에 관련된 예측 후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데, 이 때, 참조한 예측 후보 테이블의 내용에 따라서는, 소정의 문자에 관련된 예측 후보로서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 중 소정의 문자에 관련된 문자열이 표시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그 예측 후보에 대한 조작에 따라 소정의 문자 대신에 그 예측 후보를 표시할지 소정의 기능을 기동할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 중 소정의 문자에 관련된 문자열에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이 선택된 경우)에, 제 1 조작에 관련된 정보 및 제 2 조작에 관련된 정보를 각각 표시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이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으면, 커서가 위치하고 있지 않더라도 제 1 조작에 관련된 정보 및 제 2 조작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를 행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 검출부에 의해 조작이 검출되면, 그 조작에 따라, 소정의 문자,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 중 소정의 문자에 관련되는 문자열, 및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에 대한 제 1 조작에 관련된 정보 및 제 2 조작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데, 제 1 조작에 관련된 정보 및 제 2 조작에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지 않더라도,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에 대해, 제 1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소정의 문자 대신에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을 표시하고, 제 2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소정의 기능을 기동하는 제어를 행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 중 소정의 문자에 관련되는 문자열을 소정의 문자에 관련된 예측 후보와 함께 표시부에 있어서 예측 후보가 표시되는 영역에 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이 표시부에 표시되는 장소는 예측 후보가 표시되는 영역이 아니어도 된다. 또한, 조작에 따라, 소정의 문자 및 소정의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 중 소정의 문자에 관련된 문자열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소정의 문자에 관련된 예측 후보를 표시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기능 실행 테이블에 있어서, 소정의 문자가 머리글자인 기능명을 저장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소정의 문자와 기능에 관련된 문자열이 대응되어 있는 것이면 된다. 또한, 대응되어 있으면, 테이블 형식이 아니어도 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키 할당의 방법은 일례이며, 이 방법에 한정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기기로서의 휴대 전화기(1)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PHS(등록상표 ; Personal Handy 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포터블 네비게이션 장치, 노트북, 휴대 게임 장치 등이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효과는, 본 발명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장 바람직한 효과를 열거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1a, 1b, 1c, 1d 휴대 전화기(전자기기)
11 조작부(입력부)
21 표시부
22 리시버
23 드라이버 IC
40 메인 안테나
41 RF 회로부
42 표시 제어부
43 음성 처리부
44 메모리(기억부)
45, 45a, 45b, 45c 제어부
46 가속도 센서(센서)
50, 50a, 50b, 50c 문자 입력부
51 애플리케이션 실행부
52 설정 제어부
53 센서 제어부

Claims (10)

  1. 문자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문자의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로서,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혹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처리의 명칭을, 문자 입력의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와 상이한 표시 양태로 표시시키고, 당해 명칭 중 어느 명칭이 선택되면, 당해 선택된 명칭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처리를 실행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로서, 휴대 전화기의 상태를 설정하는 기능명이 있는 경우, 상기 기능명을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명칭 혹은 처리의 명칭과 함께, 문자 입력의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와 상이한 표시 양태로 표시시키고, 당해 기능명이 선택되면, 당해 선택된 기능명에 대응하는 휴대 전화기의 상태 설정을 행하는 전자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칭 중 어느 명칭이 선택되면, 당해 선택된 명칭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처리를 실행하거나, 혹은 당해 선택된 명칭을 문자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전자기기.
  3. 문자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문자의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문자의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와 상이한 표시 양태로 상기 표시부에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이 입력된 문자로서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당해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에 관한 예측 후보로서, 당해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처리의 명칭을 표시시키고, 당해 처리의 명칭이 선택되면, 당해 명칭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로서, 휴대 전화기의 상태를 설정하는 기능명이 있는 경우, 상기 기능명을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명칭 혹은 처리의 명칭과 함께, 입력된 문자의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와 상이한 표시 양태로 표시시키고, 당해 기능명이 선택되면, 당해 선택된 기능명에 대응하는 휴대 전화기의 상태 설정을 행하는 전자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의 명칭이 선택되면, 당해 명칭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거나, 혹은 당해 처리의 명칭을 문자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전자기기.
  5. 제 3항에 있어서,
    동작을 검지하는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검지된 동작의 종류에 따라, 상기 처리의 명칭 중 어느 것의 선택을 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측 후보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에 의해 소정의 동작이 검지된 경우에, 상기 처리의 명칭을 표시시키거나,
    혹은, 상기 처리의 명칭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에 의해 소정의 동작이 검지된 경우에, 상기 예측 후보를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측 후보 중에 상기 처리의 명칭을 혼재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에 의해 소정의 동작이 검지된 경우에, 상기 처리의 명칭을 상위에 정렬하여 표시시키거나,
    혹은, 상기 처리의 명칭이 정렬되어 상위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에 의해 소정의 동작이 검지된 경우에, 상기 혼재 표시를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초기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에 의한 문자의 입력을 접수한 것에 따라, 당해 입력된 문자를 표시시키는 상기 문자 입력 화면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문자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문자 입력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문자의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로서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을, 문자 입력의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와 상이한 표시 양태로 복수 표시시킴과 함께,
    당해 복수의 표시 중 하나의 양태로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이 선택되면, 당해 선택된 명칭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로서, 휴대 전화기의 상태를 설정하는 기능명이 있는 경우, 상기 기능명을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명칭 혹은 처리의 명칭과 함께, 문자 입력의 변환 후보 혹은 예측 후보와 상이한 표시 양태로 표시시키고, 당해 기능명이 선택되면, 당해 선택된 기능명에 대응하는 휴대 전화기의 상태 설정을 행하는 전자기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당해 복수의 표시 중 하나의 양태로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이 선택되면, 당해 선택된 명칭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고,
    당해 복수의 표시 중 다른 양태로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이 선택되면, 당해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을 문자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전자기기.
KR1020117007848A 2008-09-26 2009-09-25 전자기기 KR1013762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48438 2008-09-26
JPJP-P-2008-248438 2008-09-26
JPJP-P-2008-276701 2008-10-28
JP2008276701A JP5507829B2 (ja) 2008-09-26 2008-10-28 電子機器
JPJP-P-2009-174694 2009-07-27
JP2009174694A JP5320199B2 (ja) 2009-07-27 2009-07-27 表示機器
PCT/JP2009/066620 WO2010035774A1 (ja) 2008-09-26 2009-09-25 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280A KR20110051280A (ko) 2011-05-17
KR101376244B1 true KR101376244B1 (ko) 2014-03-24

Family

ID=44269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7848A KR101376244B1 (ko) 2008-09-26 2009-09-25 전자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30173B2 (ko)
KR (1) KR101376244B1 (ko)
CN (1) CN1021322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4803B2 (ja) * 2010-05-10 2013-06-0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データ処理装置、入力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35850B2 (ja) * 2010-09-16 2014-12-03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722696B2 (ja) * 2011-05-10 2015-05-2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5911732B2 (ja) * 2012-02-21 2016-04-2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制御方法
US9639174B2 (en) * 2012-03-09 2017-05-02 Paypal, Inc. Mobile device display content based on shaking the device
US9310999B2 (en) * 2013-06-04 2016-04-12 Google Inc. Inputting tone and diacritic marks by gesture
CN107918497A (zh) * 2017-11-14 2018-04-17 厦门攸信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器的预测方法及系统
JP2019139592A (ja) * 2018-02-13 2019-08-22 シャープ株式会社 文字認識装置、文字認識方法
KR102186626B1 (ko) 2020-02-07 2020-12-08 (주)지리산황토예술촌 발광 조명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18859A1 (en) 2002-07-29 2004-01-29 Michael Vines System and method for menu selection in telephone
JP2006345337A (ja) 2005-06-10 2006-12-21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端末、被制御装置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003671A (ja) 2006-06-20 2008-01-10 Sharp Corp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動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0845A (en) * 1979-12-31 1982-05-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uess-ahead feature for a keyboard-display terminal data input system
JP3234633B2 (ja) * 1992-06-19 2001-12-04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H07334625A (ja) * 1994-06-06 1995-12-22 Nec Corp 文字列入力装置
US5797098A (en) 1995-07-19 1998-08-18 Pacific Communication Sciences, Inc. User interface for cellular telephone
JP2002117024A (ja) 2000-10-11 2002-04-19 Allied Brains Inc 文章入力方法
US20030060238A1 (en) * 2001-09-25 2003-03-27 Mccarthy Kevin Selection function in a communication terminal
WO2004079556A1 (ja) * 2003-03-06 2004-09-16 Fujitsu Limited 携帯型電子機器
US20060015822A1 (en) * 2004-07-15 2006-01-19 Imran Baig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a user interface display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588623B1 (ko) 2004-11-12 2006-06-1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숫자 및 문자열의 동시 입력을 통한 선택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JP2006222622A (ja) 2005-02-09 2006-08-24 Ntt Comware Corp 入力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装置、制御プログラム
JP4619882B2 (ja) * 2005-07-12 2011-01-26 株式会社東芝 携帯電話およびその遠隔操作方法
US7882435B2 (en) * 2005-12-20 2011-02-0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equipment with shuffle operation
US20080162971A1 (en) * 2006-12-29 2008-07-03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Searches
US20100169830A1 (en) * 2007-04-26 2010-07-01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Comman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18859A1 (en) 2002-07-29 2004-01-29 Michael Vines System and method for menu selection in telephone
JP2006345337A (ja) 2005-06-10 2006-12-21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端末、被制御装置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003671A (ja) 2006-06-20 2008-01-10 Sharp Corp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動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32240A (zh) 2011-07-20
US20110181504A1 (en) 2011-07-28
US8730173B2 (en) 2014-05-20
KR20110051280A (ko) 2011-05-17
CN102132240B (zh)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6244B1 (ko) 전자기기
US20100302164A1 (en) Method and Device For Character Input
JP5602413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5507829B2 (ja) 電子機器
JP2008305294A (ja) フルキーボードを搭載した携帯型端末装置及びフルキーボード表示方法
US992808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ctivating application
WO2010035774A1 (ja) 電子機器
JP5537198B2 (ja) 携帯電子機器
JP5385744B2 (ja) 電子機器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の起動方法
JP5337913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6350777A (ja) 文字入力装置、携帯電話端末、文字入力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2011987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for the same
JP5551357B2 (ja) 携帯電子機器
JP2002297291A (ja) キー入力装置、キー入力方法及び携帯型電子機器
JP5623066B2 (ja) 携帯電子機器
JP5320199B2 (ja) 表示機器
WO2011037230A1 (ja) 電子機器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の起動方法
JP5352417B2 (ja) 電子機器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の起動方法
US9690532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JP5231976B2 (ja) 携帯電子機器
JP5238671B2 (ja) 携帯電子機器及び携帯電子機器の制御方法
US8860662B2 (en) Electronic device
JP5843741B2 (ja) 携帯電子機器、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2005130180A (ja) 通信端末装置及びキー入力表示プログラム
JP5475580B2 (ja) 携帯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