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833B1 - 산양삼을 함유하는 선식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양삼을 함유하는 선식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833B1
KR101252833B1 KR1020100122378A KR20100122378A KR101252833B1 KR 101252833 B1 KR101252833 B1 KR 101252833B1 KR 1020100122378 A KR1020100122378 A KR 1020100122378A KR 20100122378 A KR20100122378 A KR 20100122378A KR 101252833 B1 KR101252833 B1 KR 101252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ginseng
hours
soyb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1190A (ko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이재호
천지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호, 천지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이재호
Priority to KR1020100122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833B1/ko
Publication of KR20120061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양삼을 함유하는 선식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양삼과 함께 각종 곡류, 과채류 및 해조류를 최적의 구성성분으로 배합함으로써 현대 소비자들의 기호적 특성에 맞도록 선식의 맛과 향을 향상시키고, 선식을 액체와 혼합하여 현탁 시 응집현상을 개선시켜 분산성을 높인 산양삼 선식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식조성물은 멥쌀 100 중량부에 대해 산양삼 13~18 중량부, 보리 80~95 중량부, 통보리 80~95 중량부, 흑대두 55~70 중량부, 황대두 55~70 중량부, 참깨 13~18 중량부, 율무 13~18 중량부, 옥수수 30~45 중량부, 찹쌀 95~100 중량부, 들깨 13~18 중량부, 미역 6~9 중량부, 양파 13~18 중량부, 호박 13~18 중량부, 밤 6~9 중량부, 표고버섯 6~9 중량부, 다시마 3~5 중량부, 멸치 3~5 중량부, 고구마 13~18 중량부, 감자 6~9 중량부, 해바라기씨 6~9 중량부, 건바나나 13~18 중량부, 당근 6~9 중량부, 쑥 6~9 중량부, 양배추 6~9 중량부, 더덕 6~9 중량부, 사과 20~25 중량부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산양삼을 함유하는 선식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Sunsik compositions containing wood-cultivated ginse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산양삼을 함유하는 선식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양삼과 함께 각종 곡류, 과채류 및 해조류를 최적의 구성성분으로 배합함으로써 현대 소비자들의 기호적 특성에 맞도록 선식의 맛과 향을 향상시키고, 선식을 액체와 혼합하여 현탁 시 응집현상을 개선시켜 분산성을 높인 산양삼 선식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선식(禪食)은 원래 신라의 화랑도가 명산(名山)과 대천(大川) 을 찾아다니며 수련할 때 간편하게 가지고 다니기 위해 7가지 곡식인 현미, 찹쌀, 보리쌀, 검정콩, 검정깨, 들깨 및 율무를 혼합하여 섭취하였던 데에서 유래되었는데, 추후 불가(佛家)에서 승려나 수도자들이 오랜 기간 동안 참선할 때 머리를 맑게 하고 위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영양가도 높으면서, 섭취하기도 간편한 자연건강식품으로 애용되었다.
최근에는 선식이 위에 부담이 적으면서, 체중조절에 효과적일 뿐 아니라 각종 영양소가 고루 갖추어 기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음식으로 각광받으면서 곡식 이외에 채소나 해조류 등을 첨가하여 소비자의 기호성을 높인 다양한 형태의 선식이 개발되고 있다.
그 실례로, 1)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844080호(2008.06.30)에서는 곡류 및 야채류를 증자하여 과립화한 선식에 대해 개시되어 있고, 2)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798645호(2008.01.22)에서는 검은콩 및 검은깨를 주원료로 하여 여러 곡류 및 채소를 혼합하여 제조한 선식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며, 3)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611791호(2006.08.04)에서는 현미멥쌀 및 보리 등의 곡물 및 해산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선식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 외에도 여러 약리효능이 있는 식물을 주재료로 하여 여러 곡류나 채소류등을 혼합한 선식에 대해서 개시한 문헌도 있는데, 4)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110608호(2004.12.31)에서는 백년초를 분말화하여 통상의 선식용 곡류 분말과 함께 혼합한 선식에 대해 개시되어 있어 기존의 단순한 곡물 위주의 선식에서 벗어나 기능성을 강조한 선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5)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602281호(2006.07.10)에서는 인삼가공절편을 주원료로 하여 차전자피, 대두, 진피, 녹차 등을 혼합하여 제조한 선식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선식의 경우 인심가공절편이 포함되어 있어 소비자가 인삼절편을 씹었을 시 인삼 자체의 쓴맛과 자극적인 향으로 일부 소비자들에게는 기호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선식은 분말형태로 제조하여 물, 우유 또는 두유와 혼합하여 음용하게 되는데 혼합 시 잘 풀어지지 않아 응집현상이 발생하거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현탁액이 분리되어 상품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산양삼과 함께 각종 곡류, 과채류 및 해조류를 혼합하여 영양소를 고루 갖춘 선식을 제조함에 있어서, 최적의 구성성분으로 배합함으로써 선식을 액체와 혼합하여 현탁 시 선식의 응집현상을 개선시켜 분산성을 높일 수 있는 산양삼 선식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현대 소비자들의 기호적 특성에 맞도록 선식의 맛과 향을 향상시킨 산양삼 선식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선식조성물은 산양삼과 보리, 멥쌀, 통보리, 흑대두, 황대두, 참깨, 율무, 옥수수, 찹쌀, 들깨, 미역, 양파, 호박, 밤, 표고버섯, 다시마, 멸치, 고구마, 감자, 해바라기씨, 건바나나, 당근, 쑥, 양배추, 더덕 및 사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식조성물은 멥쌀 100 중량부에 대해 산양삼 10~18 중량부와 보리 80~95 중량부, 통보리 80~95 중량부, 흑대두 55~70 중량부, 황대두 55~70 중량부, 참깨 13~18 중량부, 율무 13~18 중량부, 옥수수 30~45 중량부, 찹쌀 95~100 중량부, 들깨 13~18 중량부, 미역 6~9 중량부, 양파 13~18 중량부, 호박 13~18 중량부, 밤 6~9 중량부, 표고버섯 6~9 중량부, 다시마 3~5 중량부, 멸치 3~5 중량부, 고구마 13~18 중량부, 감자 6~9 중량부, 해바라기씨 6~9 중량부, 건바나나 13~18 중량부, 당근 6~9 중량부, 쑥 6~9 중량부, 양배추 6~9 중량부, 더덕 6~9 중량부 및 사과 20~25 중량부로 조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멥쌀과 보리, 통보리, 흑대두, 황대두, 참깨, 율무, 찹쌀 및 들깨를 모두 혼합한 혼합물을 2시간 수침한 후 탈수하여 15 내지 30분간 가열 및 호화시키고, 호화시킨 상기 재료들을 자연광에서 5시간 내지 8시간 건조시켜 교반가열기에 투입하여 90~110℃의 온도에서 40~65분간 볶는다. 상기 볶음공정을 마치면 충격형 분쇄기(Impact mill)에 투입하여 7,500~10,000rpm에서 분쇄함으로써 미세한 입도로 분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단 선식가루가 침강하여 용해된 후에는 균일하고 안정화된 분산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옥수수는 생옥수수의 껍질과 씨눈을 제거한 후 교반가열기에 투입하여90~110℃의 온도에서 15~30분간 볶으며, 상기 볶음공정을 마치면 충격형 분쇄기에 투입하여 7,500~10,000rpm에서 분쇄하여 제조한다.
상기 미역, 양파, 호박, 밤, 표고버섯, 다시마, 멸치, 고구마, 감자, 당근,쑥, 양배추 및 더덕은 각각 8~10배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120℃의 온도에서 4시간 내지 8시간 가열하여 여과하고, 상기 각각의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동결건조 후 충격형 분쇄기에 투입하여 7,500~10,000rpm에서 분쇄하여 제조한다.
특히 해조류인 미역, 다시마 및 멸치는 건조한 상태로 그냥 분쇄하여 분말화 할 경우 전체적인 선식의 저장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일반 곡류 및 과채만 혼합된 선식보다 풍미가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하여 동결건조한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바라기씨 및 건바나나는 교반가열기에 투입하여 60~80℃의 온도에서 30~40분간 볶으며, 상기 볶음공정 후 충격형 분쇄기에 투입하여 7,500~10,000rpm에서 분쇄하여 제조한다.
상기 사과는 사과에 포함된 폴리페놀옥시다아제(polyphenol oxidase)에 의한 폴리페놀류의 산화에 의해 갈변현상이 일어나 선식의 상품성을 떨어뜨릴 수 있기에 고온에서 열처리하거나 아황산염 등을 첨가하여 가공할 수 있으나 고온에서 열처리할 경우 사과에 포함된 영양소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열처리 과정 없이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내부의 씨를 제거하고 2~10mm의 두께로 세절한 사과를 자몽즙에 30분간 침지시켜 수분을 제거한 후, 45~60℃ 온도의 열풍건조기에서 3시간 내지 5시간 건조하여 충격형 분쇄기에 투입하여 7,500~10,000rpm에서 분쇄하여 제조한다.
상기 산양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해 산양삼 5 내지 30 중량부를 첨가하여 95~110℃ 온도에서 5시간 내지 10시간 가열하여 여과 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충격형 분쇄기에 투입하여 7,500~10,000rpm에서 분쇄하여 제조한다.
특히 산양삼의 경우 사포닌 및 폴리아세틸렌 성분이 일반 인삼보다 훨씬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상기 성분의 경우 식품 첨가 시 항균작용을 높이고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ole soybean curd with added ginseng powder』Korean J.Food preserv. Vol.16, No.2 pp.192-197, Lee외 2명, 2009년”, “『Effect of ginseng on the presrvability and quality of Chinese cabbage kimchi』J.Korean Soc. Food Nutr.24(2), pp.313-322, Chang외 2명, 1995년”)
본 발명에 따른 산양삼을 함유하는 선식조성물은 산양삼과 함께 각종 곡류, 과채류 및 해조류를 최적의 구성성분으로 배합함으로써 현대 소비자들의 기호적 특성에 맞도록 선식의 맛과 향을 향상시키고, 선식을 액체와 혼합하여 현탁 시 응집현상을 개선시켜 분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인 당업자 수준에서의 응용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하기 [표1]과 같이 배합하여 산양삼을 함유한 선식을 완성하였다.
재료명 재료량(g) 열량(kcal) 단백질(g) 지질(g) 당질(g) 섬유질(g)
산양삼
보리
멥쌀
통보리
흑대두
황대두
참깨
율무
옥수수
찹쌀
들깨
미역
양파
호박

표고버섯
다시마
멸치
고구마
감자
해바라기씨
건바나나
당근

양배추
더덕
사과
2.00
12.00
13.00
12.00
8.00
8.00
2.00
2.00
5.00
13.00
2.00
1.00
2.00
2.00
1.00
1.00
0.50
0.50
2.00
1.00
1.00
2.00
1.00
1.00
1.00
1.00
3.00
10.112
40.680
45.240
40.080
32.400
32.000
11.600
7.580
18.600
46.800
10.460
1.900
6.780
5.200
3.770
2.820
0.945
1.350
6.160
2.661
6.110
9.660
2.914
0.577
4.292
1.650
8.250
0.504
1.524
0.845
1.272
2.776
2.896
0.386
0.302
0.445
0.949
0.364
0.135
0.234
0.236
0.067
0.185
0.037
0.264
0.046
0.121
0.199
0.034
0.086
0.160
0.194
0.114
0.030
0.016
0.312
0.143
0.216
1.272
1.424
1.076
0.128
0.195
0.364
0.944
0.017
0.020
0.028
0.041
0.032
0.006
0.025
0.002
0.005
0.564
0.620
0.017
0.016
0.028
0.009
0.048
2.067
8.280
9.906
8.184
2.584
2.056
0.306
1.298
3.825
9.737
0.318
0.401
1.552
1.230
0.761
0.588
0.206
0.002
1.494
0.561
0.144
1.208
0.669
0.016
1.011
0.342
2.043
0.166
0.612
0.026
0.348
0.488
0.400
0.106
0.056
0.090
0.104
0.172
0.025
0.008
0.082
0.025
0.052
0.021
0.000
0.020
0.029
0.027
0.016
0.069
0.106
0.111
0.045
0.111
합계 100.00 360.591 14.405 7.568 60.789 3.315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이에 대한 대조구로 시중에 현재 판매되고 있는 국내 J사 제품의 인삼 선식을 선정하여 현탁액 안정화도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예1: 현탁액 안정도
실시예 및 대조구의 시료를 물과 우유에 각각 1:5의 비율로 배합하여 선식현탁액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징액이 분리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는데, 상기 현탁액 제조시 원용액의 부피 100㎖에 대한 상징액분리층의 부피값을 감한 값을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하기 [표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물 및 우유에 혼합한 현탁액 모두 높은 안정도를 나타내었다.
With Water With Milk
실시예 대조구 실시예 대조구
Stability(%) 99 94 98 94

실험예 2 :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및 대조구에 대한 색(color), 맛(flavor), 점도(viscosity), 향(aroma) 및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nce)에 대한 관능평가를 위해 안동시 20인의 평가원을 대상으로 하여 각 검사항목이 매우 좋으면 5점, 좋으면 4점, 보통이면 3점, 좋지 않으면 2점, 매우 좋지 않으면 1점으로 표현하여 수치화하였으며, 측정된 결과는 평균치와 표준오차로 계산하고, 각 군의 평균치 비교는 분산분석을 한 후 처리구간의 유의성을 Student’s t-test(p<0.05)로 검정하였다. 하기 [표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색(color)에서는 거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맛(flavor), 점도(viscosity), 향(aroma) 및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nce)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With Water With Milk
실시예 대조구 실시예 대조구
Color
Flavor
Viscosity
Aroma
Overall acceptance
3.6
3.8
3.6
4.1
3.7
3.5
2.6
2.8
2.6
2.8
3.4
3.9
3.5
4.4
3.8
3.4
2.8
2.6
2.9
3.0

Claims (6)

  1. 멥쌀 100 중량부에 대해 산양삼 10~18 중량부와 보리 80~95 중량부, 통보리 80~95 중량부, 흑대두 55~70 중량부, 황대두 55~70 중량부, 참깨 13~18 중량부, 율무 13~18 중량부, 옥수수 30~45 중량부, 찹쌀 95~100 중량부, 들깨 13~18 중량부, 미역 6~9 중량부, 양파 13~18 중량부, 호박 13~18 중량부, 밤 6~9 중량부, 표고버섯 6~9 중량부, 다시마 3~5 중량부, 멸치 3~5 중량부, 고구마 13~18 중량부, 감자 6~9 중량부, 해바라기씨 6~9 중량부, 건바나나 13~18 중량부, 당근 6~9 중량부, 쑥 6~9 중량부, 양배추 6~9 중량부, 더덕 6~9 중량부 및 사과 20~25 중량부로 조성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식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양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해 산양삼 5 내지 30 중량부를 첨가하여 95~110℃ 온도에서 5시간 내지 10시간 가열하여 여과 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충격형 분쇄기에 투입하여 7,500~10,000rpm에서 분쇄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식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멥쌀, 보리, 통보리, 흑대두, 황대두, 참깨, 율무, 찹쌀 및 들깨는 2시간을 수침한 후 탈수하여 15 내지 30분간 가열 및 호화시키고, 상기의 호화시킨 재료들을 자연광에서 5시간 내지 8시간 건조시켜 교반가열기에 투입하여 90~110℃의 온도에서 40~65분간 볶는 볶음공정과 상기 볶음공정을 마친 재료들을 충격형 분쇄기에 투입하여 7,500~10,000rpm에서 분쇄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식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과는 내부의 씨를 제거하고 2~10mm의 두께로 세절하여 자몽즙에 30분간 침지시켜 수분을 제거한 후, 45~60℃ 온도의 열풍건조기에서 3시간 내지 5시간 건조하여 충격형 분쇄기에 투입하여 7,500~10,000rpm에서 분쇄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식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역, 양파, 호박, 밤, 표고버섯, 다시마, 멸치, 고구마, 감자, 당근, 쑥, 양배추 및 더덕은 각각 8~10배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120℃의 온도에서 4시간 내지 8시간 가열하여 여과하고, 상기 각각의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동결건조 후 충격형 분쇄기에 투입하여 7,500~10,000rpm에서 분쇄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식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식조성물.
KR1020100122378A 2010-12-03 2010-12-03 산양삼을 함유하는 선식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52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378A KR101252833B1 (ko) 2010-12-03 2010-12-03 산양삼을 함유하는 선식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378A KR101252833B1 (ko) 2010-12-03 2010-12-03 산양삼을 함유하는 선식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190A KR20120061190A (ko) 2012-06-13
KR101252833B1 true KR101252833B1 (ko) 2013-04-08

Family

ID=46611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378A KR101252833B1 (ko) 2010-12-03 2010-12-03 산양삼을 함유하는 선식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8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476B1 (ko) * 2021-03-15 2023-11-10 농업회사법인(주)가고파힐링푸드 팽화 방법을 이용한 뿌리채소를 포함하는 발아밀 선식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310A (ko) * 2003-01-22 2004-07-30 주식회사 퓨전비티 한약재가 혼합된 기능성 생식분말
KR20040070112A (ko) * 2004-06-10 2004-08-06 풍기특산물영농조합법인 인삼가공절편이 포함된 선식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다이어트 선식 조성물
KR20050112158A (ko) * 2004-05-24 2005-11-29 이용진 와인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생식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310A (ko) * 2003-01-22 2004-07-30 주식회사 퓨전비티 한약재가 혼합된 기능성 생식분말
KR20050112158A (ko) * 2004-05-24 2005-11-29 이용진 와인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생식 조성물
KR20040070112A (ko) * 2004-06-10 2004-08-06 풍기특산물영농조합법인 인삼가공절편이 포함된 선식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다이어트 선식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190A (ko)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917B1 (ko)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46148B1 (ko) 타락죽의 제조방법
KR102020959B1 (ko) 느타리 버섯 및 볶은 곡물 가루를 포함하는 김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57573B1 (ko) 마카, 꾸지뽕, 와송 및 개복숭아를 이용한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추출물
KR101313248B1 (ko) 동결건조 브로콜리 분말을 이용한 브로콜리 라떼 제조방법
KR101259600B1 (ko) 발아현미를 이용한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24944A (ko) 천연물을 이용한 고품질 식혜의 제조방법
KR101252833B1 (ko) 산양삼을 함유하는 선식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7589B1 (ko) 연근 잼 제조방법
KR102407197B1 (ko) 겉절이 양념 제조방법
KR101183247B1 (ko) 마늘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0296869B1 (ko) 생약재를함유한볶음분말식품및그의제조방법
KR102366088B1 (ko) 자색 옥수수 침출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29211B1 (ko) 단호박을 포함하는 찹쌀떡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단호박을 포함하는 찹쌀떡
KR102246366B1 (ko) 쌀메주를 이용한 살구 고추장의 제조 방법
KR20120067513A (ko) 쓴메밀싹을 함유하는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쓴메밀싹을 함유하는 김치
KR102054123B1 (ko) 소화율이 향상된 현미가루 및 흑미가루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죽 제조방법
KR102022677B1 (ko) 천연 저염소스의 제조 방법
KR101668010B1 (ko) 아마란스 종실 함유 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25960B1 (ko) 고구마순 김치 제조방법
KR102342705B1 (ko) 참다래 분말 제조 방법 및 참다래 분말
KR102289113B1 (ko) 올리브 잎 김치의 제조방법
KR101712026B1 (ko) 커피나무잎 숙성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커피나무잎 숙성차
KR102623769B1 (ko) 두부 설기의 제조방법
KR102368037B1 (ko) 새싹보리를 이용한 메밀검정콩국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