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222B1 - 연료탱크의 배관 구조체 - Google Patents

연료탱크의 배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222B1
KR101249222B1 KR1020110063017A KR20110063017A KR101249222B1 KR 101249222 B1 KR101249222 B1 KR 101249222B1 KR 1020110063017 A KR1020110063017 A KR 1020110063017A KR 20110063017 A KR20110063017 A KR 20110063017A KR 101249222 B1 KR101249222 B1 KR 101249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lock member
pipe
fuel tank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669A (ko
Inventor
이츠오 혼다
도시오 핫토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20001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17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related to fuel pipes or their connections, e.g. joints or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76Details of the fuel feeding system related to the fuel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 B60K2015/0346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 B60K2015/03467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by clip or snap fit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61Details of the tank inlet comprising a filler pipe shutter, e.g. trap, door or flap for fuel in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77Details of the filler neck tank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과제) 접속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조립작업이 용이한 연료탱크의 배관 구조체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연료탱크(11)의 관통구멍(13)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 도통관(15)과, 도통관(15)의 내측 단부(23)에 접속되는 접속관(16)을 가지는 연료탱크의 배관 구조체(10)로서, 접속관(16)에 돌출 형성되며 그 돌출단부가 접속관(16)의 지름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요성의 걸림편(34)과, 도통관(15)에 형성되며 도통관(15)과 접속관(16)이 연이어 통한 상태에서 걸림편(34)을 거는 제 1 걸림돌조(29)와, 환형상으로 형성되며 접속관(16)의 외주면에 소정의 제 1 위치(Ⅰ) 및 제 2 위치(Ⅱ)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끼워진 로크부재(17)를 가지며, 로크부재(17)는 도통관(15) 및 접속관(16)이 연이어 통한 상태에 있어서, 제 1 위치(Ⅰ)에서 걸림편(34)으로부터 떨어져서 걸림편(34)과 제 1 걸림돌조(29)의 걸림/걸림해제를 허용하는 한편, 제 2 위치(Ⅱ)에서 걸림편(34)에 맞닿아서 걸림편(34)의 제 1 걸림돌조(29)로부터의 이탈을 금지하게 하고,
상기 로크부재(17)의 내주면에는 상기 로크부재(17)가 상기 제 1 위치(Ⅰ)에 위치할 때에 상기 걸림편(34)에 대향하는 도피홈(53)과, 상기 로크부재(17)가 상기 제 2 위치(Ⅱ)에 위치할 때에 상기 걸림편(34)에 맞닿는 규제벽(5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료탱크의 배관 구조체{PIPING STRUCTURAL BODY OF FUEL TANK}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배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연료탱크 내에 배치되는 배관의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 등의 연료탱크에서는 그 상측 벽부 등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이 관통구멍에 도통관을 삽입한 상태로 고정하여 연료의 유통구로 한 것이 있다. 도통관의 연료탱크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단부에는 필터장치나 밸브장치 등이 접속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에 관한 발명에서는 밸브장치의 케이싱을 이루는 접속관을 도통관의 내측 단부 내에 끼워맞춤과 아울러, 도통관의 내측 단부의 외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편과 접속관의 외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조를 걸어맞춤으로써 도통관과 접속관을 접속하고 있다. 또, 접속관의 외면에 돌출 형성된 L자 형상의 유지편에 의해서 접속관의 외면과의 사이에서 걸림편을 협지(挾持)하여 걸림편과 걸림돌조의 걸어맞춤상태가 해제되기 어렵게 하고 있다. 그러나, 도통관 및 접속관이 수지제인 경우에는 각각이 연료를 흡수하여 팽윤(변형)되기 때문에, 유지편과 접속관 외면의 상대위치가 변위하여 걸림편과 걸림돌조의 걸어맞춤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에 대해서, 도통관과 접속관과는 다른 별도의 부재로 된 링 부재를 이용하여 걸림편을 접속관의 외면과의 사이에서 협지하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링 부재는 그 형상에 있어서 팽윤하더라도 비교적 변형되기 어렵기 때문에, 걸림편과 걸림돌조의 걸어맞춤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 제3506034호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허 제3988671호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관한 발명에서는 링 부재가 도통관 또는 접속관과는 다른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도통관과 접속관을 조합한 후에 조립되기 때문에, 부품수가 증가함과 아울러 조립시의 작업부하가 증대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연료탱크 내에 배치되는 배관에 대해서 접속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조립작업이 용이한 배관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료탱크(11)의 벽부(12)에 형성된 관통구멍(13)에 삽입되되 내측 단부(23)가 상기 연료탱크(11)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측 단부(24)가 상기 연료탱크(11)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료탱크(11)에 부착된 제 1 관(15)과, 상기 제 1 관(15)의 상기 내측 단부(23)에 동일 축선상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관(15)과 연이어 통하는 제 2 관(16)을 가지는 연료탱크의 배관 구조체(10)로서, 상기 제 1 관(15) 및 상기 제 2 관(16) 중 일방에 돌출 형성되며, 그 돌출단부가 상기 제 1 관(15) 또는 상기 제 2 관(16)의 지름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요성의 걸림편(34)과; 상기 제 1 관(15) 및 상기 제 2 관(16) 중 타방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관(15) 및 상기 제 2 관(16)이 연이어 통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편(34)을 거는 걸림부(29)와; 환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관(15) 또는 상기 제 2 관(16)의 외주면에 소정의 제 1 위치(Ⅰ) 및 제 2 위치(Ⅱ)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끼워진 로크부재(17)를; 가지며, 상기 로크부재(17)는 상기 제 1 관(15) 및 상기 제 2 관(16)이 연이어 통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Ⅰ)에서 상기 걸림편(34)으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걸림편(34)과 상기 걸림부(29)의 걸림/걸림해제를 허용하는 한편, 상기 제 2 위치(Ⅱ)에서 상기 걸림편(34)에 맞닿아서 상기 걸림편(34)의 상기 걸림부(29)로부터의 이탈을 금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로크부재(17)는 제 1 관(15) 또는 제 2 관(16)에 미리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관(15)과 제 2 관(16)의 조립 작업시에 로크부재(17)를 제 1 관(15) 및 제 2 관(16)에 장착할 필요가 없어 조립 작업성이 좋다.
여기에 더해서, 상기 로크부재(17)의 내주면에는 상기 로크부재(17)가 상기 제 1 위치(Ⅰ)에 위치할 때에 상기 걸림편(34)에 대향하는 도피홈(53)과, 상기 로크부재(17)가 상기 제 2 위치(Ⅱ)에 위치할 때에 상기 걸림편(34)에 맞닿는 규제벽(5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로크부재(17)는 제 1 위치(Ⅰ)에서 걸림편(34)을 둘러싸면서 걸림편(34)의 변위를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로크부재(17)는 탄성돌조(48)를 가지며, 상기 제 1 관(15) 및 상기 제 2 관(16) 중 적어도 일방은 상기 로크부재(17)가 상기 제 2 위치(Ⅱ)에 위치할 때에 상기 탄성돌조(48)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30)를 가지는 것을 특징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로크부재(17)가 제 2 위치(Ⅱ)에 유지됨으로써 제 1 관(15)과 제 2 관(16)의 접속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탄성돌조(48)는 상기 로크부재(17)가 상기 제 1 위치(Ⅰ)에 위치할 때에 상기 제 1 관(15) 및 상기 제 2 관(16) 중 상기 로크부재(17)를 지지한 관의 단면(65)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탄성돌조(48)는 로크부재(17)의 제 1 위치(Ⅰ)를 규정하는 기능을 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제 1 관(15) 및 상기 제 2 관(16) 중 일방의 단부는 상기 제 1 관(15) 및 상기 제 2 관(16) 중 타방의 단부 내에 끼워맞쳐지고, 상기 로크부재(17)는 당해 로크부재(17)가 외측에 끼워진 상기 제 1 관(15) 또는 상기 제 2 관(16)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 1 위치(Ⅰ)와 상기 제 2 위치(Ⅱ)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관(15)과 제 2 관(16)의 접속방향과 로크부재(17)의 변위방향이 일치하기 때문에 접속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접속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조립작업이 용이한 배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배관 구조체를 연료탱크 및 퓨얼 호스에 부착한 상태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배관 구조체의 사시도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배관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배관 구조체를 축선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 단면도로서, 로크부재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4의 Ⅵ-Ⅵ선 단면도로서, 로크부재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4의 Ⅶ-Ⅶ선 단면도로서, 로크부재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4의 Ⅷ-Ⅷ선 단면도로서, 로크부재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배관 구조체를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 유입구에 적용한 일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관 구조체(10)는 연료탱크(11)의 상측 벽부(12)에 형성된 관통구멍(13)에 삽입된 상태에서 관통구멍(13)의 주연부에 결합되고, 그 외측 단부(24)에는 퓨얼 호스(14)가 접속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배관 구조체(10)는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통관(제 1 관)(15)과 접속관(제 2 관)(16)과 로크부재(17)를 주요 구성요소로 한다.
도통관(15)은 양 단부가 개구된 원통부(21)와, 원통부(2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의 외주면에서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원판형상의 플랜지부(22)를 가지고 있다. 원통부(21)의 일단부{즉, 도통관(15)이 연료탱크(11)에 부착된 상태에서 연료탱크(11) 내에 위치하는 측의 단부}를 내측 단부(23)로 하고, 타단부를 외측 단부(24)로 한다.
도통관(15)은 성질이 다른 2종류의 수지재료를 2색 성형함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도통관(15)은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나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재료로 형성되며, 폴리아미드는 원통부(21) 및 플랜지부(22)의 기부(基部)를 구성하고, 폴리에틸렌은 원통부(21)의 외측 단부(24)에서 플랜지부(22)까지의 외주부와 플랜지부(22)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원통부(21)의 외측 단부(24) 근방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상의 돌조(26)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돌조(26)는 원통부(21)의 외측 단부(24)에 가요성을 가진 퓨얼 호스(14)가 장착될 때에 퓨얼 호스(14)의 내면에 물려서 밀착성을 높임과 아울러 빠짐방지로서 작용한다. 각 돌조(26)는 외측 단부(24) 측에서 내측 단부(23) 측으로 감에 따라서 돌출량이 점차 커지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어도 좋고, 그 내측 단부(23) 측의 부분에 역지면(逆止面)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퓨얼 호스(14)는 원통부(21)의 외측 단부(24)에 장착된 후, 호스 밴드(18)에 의해서 체결되어도 좋다.
원통부(21)의 내측 단부(23) 근방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상의 O링 홈(27)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O링 홈(27)에는 예를 들면 고무로 형성된 가요성을 가지는 O링(28)이 장착된다(도 5∼도 8참조).
원통부(21)의 내측 단부(23) 측의 외주면에 있어서, O링 홈(27)과 플랜지부(22)의 사이의 부분에는 4개의 제 1 걸림돌조(걸림부)(29)와 4개의 제 2 걸림돌조(걸어맞춤부)(3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4개의 제 1 걸림돌조(29)는 원통부(21)의 동일 원주상에 90도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고, 4개의 제 2 걸림돌조(30)는 4개의 제 1 걸림돌조(29)보다도 플랜지부(22) 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각각 동일 원주상에 90도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각 제 2 걸림돌조(30)는 근접하는 제 1 걸림돌조(29)에 대해서 원통부(21)의 둘레방향으로 45도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으며, 원통부(21)의 축선방향에서 보았을 때, 각 제 1 걸림돌조(29)와 각 제 2 걸림돌조(30)는 교호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 1 걸림돌조(29) 및 제 2 걸림돌조(30)의 각각은 플랜지부(22) 측을 향하는 역지면을 구비하고 있다.
플랜지부(22)의 주연부(돌출단부)에는 그 주연부를 따라서 내측 단부(23) 측으로 돌출된 환형상 리브(31)가 형성되어 있다. 환형상 리브(31)의 돌출단부는 원통부(21)의 축선에 대해서 수직인 접합면(32)으로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관 구조체(10)는 접합면(32)이 연료탱크(11)의 상측 벽부(12)의 관통구멍(13)의 주연부에 용착됨으로써 연료탱크(11)에 결합되어 있다.
접속관(16)은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등의 수지재료로 형성되며, 양 단부가 개구된 원통부재이다. 접속관(16)의 일단부인 접속단부(33)는 원통부(21)의 내측 단부(23)가 끼워맞춰질 수 있는 내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속관(16)의 접속단부(33)의 단면(65)에는 접속관(16)의 축선과 평행하게 돌출되는 4개의 박편형상의 걸림편(34)이 형성되어 있다. 각 걸림편(34)은 접속관(16)의 둘레방향으로 90도 간격을 두고서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인접하는 걸림편(34)끼리의 사이에는 공극(35)이 형성되어 있다. 각 걸림편(34)은 접속관(16)의 축선방향에서 보았을 때 접속관(16)의 두께와 같은 두께로 형성되며, 접속관(16)의 외주면 및 내주면을 따라서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 각 걸림편(34)에는 접속관(16)의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는 걸림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각 걸림편(34)은 박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정의 가요성을 가지며, 탄성변형함에 의해서 접속관(16)의 지름방향으로 약간 경동(傾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접속관(16)의 접속단부(33) 근방의 외주면에는 4개의 가이드 볼록부(3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4개의 가이드 볼록부(37)는 접속관(16)의 동일 원주상에 90도 간격을 두고서 배치됨과 아울러, 접속관(16)의 축선방향(상하방향)에 있어서 공극(35)에 대응하는 부분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볼록부(37)는 그 단면이 직각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접속단부(33) 측의 부분에 경사면을 가지고 있고, 상반되는 측의 부분에 외주면에 대해서 거의 직교하는 규제면을 가지고 있다. 또, 가이드 볼록부(37)는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단부에 접속관(16)의 외주면에 대해서 거의 직교한 측단면을 가지고 있다.
접속관(16)의 접속단부(33)와 상반되는 측의 단부인 개방단부(38)는 플랩 판(39)에 의해서 개폐 가능하게 폐색되어 있다. 접속관(16)의 개방단부(38)의 외주부에는 접속관(16)의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40)을 구비한 지지대(4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플랩 판(39)은 2개의 암부(42)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암부(42)의 선단이 지지축(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40)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43)의 코일부가 지지되어 있다. 비들림 코일 스프링(43)은 그 일단부가 접속관(16)의 외주면에 맞닿음과 아울러 타단부가 플랩 판(39)에 맞닿음으로써 플랩 판(39)이 개방단부(38)의 단면에 맞닿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연료 유체(액체 또는 기체)가 접속관(16)의 내부에서 개방단부(38)를 통과하는 경우에만 플랩 판(39)이 개방되고, 접속관(16)의 외부에서 개방단부(38)를 통과하려고 하는 연료 유체의 역류가 방지된다.
로크부재(17)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단부(상하단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부재이며, 그 내부에 접속관(16)의 접속단부(33)가 끼워맞춰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로크부재(17)는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등의 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로크부재(17)의 하단면에는 로크부재(17)의 축선과 평행하게 돌출되는 4개의 박편부(45)가 형성되어 있다. 각 박편부(45)는 로크부재(17)의 둘레방향으로 90도 간격을 두고서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인접하는 박편부(45)끼리의 사이에는 공극(46)이 형성되어 있다. 각 박편부(45)는 로크부재(17)의 축선방향에서 보았을 때 로크부재(17)의 두께와 같은 두께로 형성되며, 로크부재(17)의 외주면 및 내주면을 따라서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각 박편부(45)는 박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정의 가요성을 가지며, 탄성변형함에 의해서 접속관(16)의 지름방향으로 약간 경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박편부(45)의 중앙부분에서부터 로크부재(17)의 하단부 부분에 걸쳐서 로크부재(17)의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이드 구멍(47)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47)은 로크부재(17)의 축선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직사각형을 이루며, 그 단변(短邊)은 가이드 볼록부(37)가 끼워맞춰질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그 장변(長邊)은 가이드 볼록부(37)보다도 충분히 길게 형성되어 있다.
로크부재(17)의 상반(上半)부분에는 4개의 탄성돌조(48)가 동일 원주상에 90도 간격을 두고서 또한 각 가이드 구멍(47)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탄성돌조(48)는 로크부재(17)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관통됨과 아울러 로크부재(17)의 지름방향에서 보았을 때 대략 'U'자 형상을 이루는 슬릿(49)에 의해서 형성된 캔틸레버식 탄성편(50)과, 캔틸레버식 탄성편(50)의 선단부에 로크부재(17)의 지름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조부(51)를 가지고 있다(도 1 및 도 7 참조). 돌조부(51)는 하측{캔틸레버식 탄성편(50)의 선단측}으로 감에 따라서 돌출량이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된 경사면과, 경사면의 하단에 형성되되 로크부재(17)의 외주면과 거의 직교하는 역지면을 가지고 있으며, 로크부재(17)의 축선방향에서 보았을 때 로크부재(17)의 내주면보다도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로크부재(17)의 상반부분의 내주면에 있어서, 각 탄성돌조(48)의 사이에는 오목 홈인 도피홈(5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즉, 도피홈(53)은 로크부재(17)의 둘레방향으로 90도 간격을 두고서 4개 형성되어 있다. 각 도피홈(53)은 로크부재(17)의 상단면으로 연속하여 있다. 각 도피홈(53)의 하측은 로크부재(17)의 내주면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으며, 이 부분을 규제벽(54)으로 한다.
로크부재(17)는 접속관(16)의 접속단부(33)에 미리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된다(도 5 참조). 로크부재(17)의 접속관(16)에 대한 장착은 접속관(16)의 접속단부(33)를 로크부재(17)의 하단부의 개구에 끼워넣음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때, 접속관(16)의 각 가이드 볼록부(37)와 로크부재(17)의 각 가이드 구멍(47)을 상하방향에서 대응시킨 후, 각 가이드 볼록부(37)의 경사면에 의해서 로크부재(17)의 각 박편부(45)를 탄성변형시키면서 각 가이드 볼록부(37)를 각 가이드 구멍(47) 내에 배치한다. 각 가이드 볼록부(37)가 각 가이드 구멍(47) 내를 상하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각 가이드 구멍(47)에 걸림으로써, 로크부재(17)는 접속관(16)에 대해서 상하방향{접속관(16)의 축선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다. 각 가이드 볼록부(37)가 각 가이드 구멍(47) 내의 상단에 위치할 때의 로크부재(17)의 접속관(16)에 대한 위치를 제 1 위치로 하고(도 5 및 도 6 참조), 각 가이드 볼록부(37)가 각 가이드 구멍(47) 내의 하단에 위치할 때의 로크부재(17)의 접속관(16)에 대한 위치를 제 2 위치로 한다(도 7 및 도 8 참조). 도 5 및 도 6에 있어서는 제 1 위치를 'I'로 나타내고, 제 2 위치를 'Ⅱ'로 나타낸다.
제 1 위치(I)에서는 로크부재(17)의 각 탄성돌조(48)의 역지면이 접속관(16)의 접속단부(33)의 단면(65)에 맞닿음으로써, 로크부재(17)의 접속관(16)에 대한 상대위치가 규제되어 있다. 또한, 각 가이드 볼록부(37)가 각 가이드 구멍(47) 내의 상단에 맞닿음으로써, 로크부재(17)의 접속관(16)에 대한 상대위치가 규제되어도 좋다. 제 2 위치(Ⅱ)에서는 각 가이드 볼록부(37)의 규제면이 각 가이드 구멍(47) 내의 하단에 맞닿음으로써, 로크부재(17)의 접속관(16)에 대한 상대위치가 규제되어 있다.
또한, 각 가이드 볼록부(37)의 측단면이 각 가이드 구멍(47) 내의 좌우단{로크부재(17)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맞닿음으로써, 로크부재(17)의 접속관(16)에 대한 둘레방향의 변위{접속관(16)의 둘레방향으로의 회전}가 규제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재(17)가 제 1 위치(I)에 있을 때, 접속관(16)의 각 걸림편(34)은 접속관(16)의 지름방향에 있어서 로크부재(17)의 도피홈(53)에 대향한다. 이것에 의해서, 각 걸림편(34)은 도피홈(53) 내로 경도(傾倒)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통관(15)과 접속관(16)의 접속 순서 및 접속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최초에 로크부재(17)를 접속관(16)의 제 1 위치(I)에 배치하고, 도통관(15)과 접속관(16)을 동일 축선상에 배치하되 도통관(15)의 내측 단부(23)와 접속관(16)의 접속단부(33)가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이 때, 도통관(15)의 축선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통관(15)의 제 1 걸림돌조(29)와 접속관(16)의 걸림구멍(36)이 정합되도록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도통관(15)의 내측 단부(23)를 접속관(16)의 접속단부(33) 내로 끼워넣어서 각 제 1 걸림돌조(29)를 각 걸림구멍(36)에 걸어맞춘다(도 6 참조). 이 때, 로크부재(17)가 제 1 위치(I)에 있기 때문에, 즉 각 걸림편(34)이 각 도피홈(53)에 대향하여 접속관(16)의 지름방향 외측으로의 경도(傾倒)가 허용되어 있기 때문에, 각 제 1 걸림돌조(29)는 각 걸림편(34)을 지름방향 외측으로 눌러 후퇴시키면서 각 걸림구멍(36) 내에 도달한다. 이와 동시에, 도통관(15)의 제 2 걸림돌조(30)는 걸림편(34) 사이에 형성된 공극(35) 내에 있어서, 로크부재(17)의 탄성돌조(48)의 돌조부(51)보다 상측에 배치된다(도 5 참조).
그리고, 로크부재(17)를 제 1 위치(I)에서 제 2 위치(Ⅱ)로 변위시킨다(도 5 및 도 6의 화살표 참조). 이 때, 탄성돌조(48)의 돌조부(51)는 로크부재(17)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경도되면서 제 2 걸림돌조(30)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타고넘게 된다. 그리고, 탄성돌조(48)의 돌조부(51)의 역지면이 제 2 걸림돌조(30)의 역지면과 맞닿음으로써, 즉 탄성돌조(48)가 제 2 걸림돌조(30)에 걸림으로써 로크부재(17)가 제 2 위치(Ⅱ)에 고정된다(도 7 참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부재(17)가 제 2 위치(Ⅱ)로 변위함으로써, 접속관(16)의 각 걸림편(34)은 로크부재(17)의 각 도피홈(53)과는 대향하지 않고 로크부재(17)의 내주면인 규제벽(54)과 대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각 걸림편(34)의 경도가 금지됨으로써 각 걸림구멍(36)과 각 제 1 걸림돌조(29)의 걸어맞춤상태가 유지된다.
이상의 배관 구조체(10)는 도통관(15)과 접속관(16)을 끼워맞춘 후에, 접속관(16)에 지지되어 있는 로크부재(17)를 접속관(16)에 대해서 축선방향으로 변위시킴에 의해서 도통관(15)과 접속관(16)의 접속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각 걸림편(34)을 박편형상으로 하여 가요성을 가지도록 하였기 때문에, 각 제 1 걸림돌조(29)를 각 걸림구멍(36)에 걸어맞출 때에 각 걸림편(34)이 용이하게 경도된다. 따라서, 각 제 1 걸림돌조(29)를 각 걸림구멍(36)에 걸어맞출 때에는 비교적 작은 힘으로 원활하게 걸어맞춤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로크부재(17)가 제 2 위치(Ⅱ)에 있을 때에는 각 걸림편(34)이 도통관(15)의 외주면과 로크부재(17)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협지되어 경도가 저지되기 때문에, 각 걸림편(34)은 가요성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각 제 1 걸림돌조(29)와의 걸어맞춤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로크부재(17)는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즉 연료를 흡수하여 팽윤되더라도 환형상이 유지되기 때문에(즉, 비교적 변형되기 어렵기 때문에), 각 걸림편(34)을 도통관(15)과의 사이에 협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로크부재(17)는 미리 접속관(16)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어셈블리로서 취급할 수 있으며, 도통관(15)과 접속관(16)을 접속하는 현장에서 조립할 필요가 없어 조립작업의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로크부재(17)의 접속관(16)에 대한 변위방향을 접속관(16)의 축선방향과 평행하게 하였기 때문에, 접속관(16)과 도통관(15)의 접속방향과 일치하여 접속작업이 용이하다. 예를 들면, 작업자는 로크부재(17)를 파지하고서 접속관(16)의 접속단부(33)를 도통관(15)의 내측 단부(23)에 끼워넣는 것만으로도 접속관(16)과 도통관(15)의 접속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폭넓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로크부재(17)를 제 1 위치(I)에서 제 2 위치(Ⅱ)로 접속관(16)의 축선방향과 평행하게 슬라이드 이동시켰으나, 접속관(16)의 둘레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로크부재(17)를 도통관(15)에 지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접속관(16)을 도통관(15)의 외측에서 끼워지도록 하였으나, 도통관(15)의 내측에서 끼워지도록 하여도 좋다. 또, 제 1 걸림돌조(29) 및 제 2 걸림돌조(30)를 접속관(16)에 형성하고, 걸림편(34) 및 걸림구멍(36), 가이드 볼록부(37)를 도통관(15)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 제 1 걸림돌조(29) 및 걸림구멍(36), 제 2 걸림돌조(30) 및 탄성돌조(48), 가이드 볼록부(37) 및 가이드 구멍(47)은 각각 걸어맞춤의 관계에 있으면 좋고, 볼록부와 오목부(돌조와 구멍)가 역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접속관(16)의 개방단부(38)에 플랩 밸브를 형성하였으나, 이것 대신에 여러 가지 밸브장치나 필터장치 등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 접속관(16)의 내부에 밸브장치를 형성하여도 좋다.
10 - 배관 구조체 11 - 연료탱크
12 - 상측 벽부 13 - 관통구멍
14 - 퓨얼 호스 15 - 도통관(제 1 관)
16 - 접속관(제 2 관) 17 - 로크부재
23 - 내측 단부 24 - 외측 단부
29 - 제 1 걸림돌조(걸림부) 30 - 제 2 걸림돌조(걸어맞춤부)
33 - 접속단부 34 - 걸림편
36 - 걸림구멍 37 - 가이드 볼록부
38 - 개방단부 45 - 박편부
47 - 가이드 구멍 48 - 탄성돌조
53 - 도피홈 54 - 규제벽
65 - 단면

Claims (6)

  1. 연료탱크(11)의 벽부(12)에 형성된 관통구멍(13)에 삽입되되 내측 단부(23)가 상기 연료탱크(11)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측 단부(24)가 상기 연료탱크(11)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료탱크(11)에 부착된 제 1 관(15)과, 상기 제 1 관(15)의 상기 내측 단부(23)에 동일 축선상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관(15)과 연이어 통하는 제 2 관(16)을 가지는 연료탱크의 배관 구조체(10)로서,
    상기 제 1 관(15) 및 상기 제 2 관(16) 중 일방에 돌출 형성되며, 그 돌출단부가 상기 제 1 관(15) 또는 상기 제 2 관(16)의 지름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가요성의 걸림편(34)과,
    상기 제 1 관(15) 및 상기 제 2 관(16) 중 타방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관(15) 및 상기 제 2 관(16)이 연이어 통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편(34)을 거는 걸림부(29)와,
    환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관(15) 또는 상기 제 2 관(16)의 외주면에 소정의 제 1 위치(Ⅰ) 및 제 2 위치(Ⅱ)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끼워진 로크부재(17)를 가지며,
    상기 로크부재(17)는 상기 제 1 관(15) 및 상기 제 2 관(16)이 연이어 통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Ⅰ)에서 상기 걸림편(34)으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걸림편(34)과 상기 걸림부(29)의 걸림/걸림해제를 허용하는 한편, 상기 제 2 위치(Ⅱ)에서 상기 걸림편(34)에 맞닿아서 상기 걸림편(34)의 상기 걸림부(29)로부터의 이탈을 금지하게 하고,
    상기 로크부재(17)의 내주면에는 상기 로크부재(17)가 상기 제 1 위치(Ⅰ)에 위치할 때에 상기 걸림편(34)에 대향하는 도피홈(53)과, 상기 로크부재(17)가 상기 제 2 위치(Ⅱ)에 위치할 때에 상기 걸림편(34)에 맞닿는 규제벽(5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배관 구조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17)는 탄성돌조(48)를 가지며, 상기 제 1 관(15) 및 상기 제 2 관(16) 중 적어도 일방은 상기 로크부재(17)가 상기 제 2 위치(Ⅱ)에 위치할 때에 상기 탄성돌조(48)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3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배관 구조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조(48)는 상기 로크부재(17)가 상기 제 1 위치(Ⅰ)에 위치할 때에 상기 제 1 관(15) 및 상기 제 2 관(16) 중 상기 로크부재(17)를 지지한 관의 단면(65)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배관 구조체.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15) 및 상기 제 2 관(16) 중 일방의 단부는 상기 제 1 관(15) 및 상기 제 2 관(16) 중 타방의 단부 내에 끼워맞쳐지고,
    상기 로크부재(17)는 당해 로크부재(17)가 외측에 끼워진 상기 제 1 관(15) 또는 상기 제 2 관(16)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 1 위치(Ⅰ)와 상기 제 2 위치(Ⅱ)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배관 구조체.

  6. 삭제
KR1020110063017A 2010-06-29 2011-06-28 연료탱크의 배관 구조체 KR101249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47216A JP5570320B2 (ja) 2010-06-29 2010-06-29 燃料タンクの配管構造体
JPJP-P-2010-147216 2010-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669A KR20120001669A (ko) 2012-01-04
KR101249222B1 true KR101249222B1 (ko) 2013-04-03

Family

ID=4540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017A KR101249222B1 (ko) 2010-06-29 2011-06-28 연료탱크의 배관 구조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82389B2 (ko)
JP (1) JP5570320B2 (ko)
KR (1) KR101249222B1 (ko)
CN (1) CN103068613B (ko)
GB (1) GB2495061B (ko)
WO (1) WO20120018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2142B1 (fr) * 2009-10-29 2016-01-22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 Corps creux comportant un module accessoire fixe sur sa paroi, et module adapte pour un tel corps creux
JP6025491B2 (ja) * 2012-10-12 2016-11-16 株式会社ニフコ 逆止弁装置
JP6054131B2 (ja) * 2012-10-16 2016-12-27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用管継手
KR101256040B1 (ko) * 2013-01-24 2013-04-18 리연산업개발(주) 슬라이딩 도어 핸들
JP5797690B2 (ja) * 2013-05-29 2015-10-21 八千代工業株式会社 フィラーパイプの取付方法及びフィラーパイプの取付構造
JP6216210B2 (ja) * 2013-10-25 2017-10-18 株式会社ニフコ ホースコネクタ
JP6173900B2 (ja) * 2013-10-28 2017-08-02 日本テクニカ株式会社 ガソリン注入部のソケット構造
CN104295837B (zh) * 2014-11-06 2016-04-27 重庆溯联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管路系统带防错、确认功能的快换接头
KR101795235B1 (ko) 2016-04-08 2017-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US10006577B2 (en) 2016-07-15 2018-06-26 Miniature Precision Components, Inc. Permanent quick connector and assembly therewith
JP6689762B2 (ja) * 2017-01-11 2020-04-28 愛三工業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
US10865922B2 (en) 2017-10-05 2020-12-15 Novares Us Engine Components, Inc. Anti-tamper permanent quick connect coupling device
JP2020041479A (ja) * 2018-09-11 2020-03-19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DE102018219932A1 (de) 2018-11-21 2020-05-28 Fränkische Industrial Pipes GmbH & Co. KG Kopplung
DE102018220521A1 (de) * 2018-11-28 2020-05-28 Fränkische Industrial Pipes GmbH & Co. KG Fluidverbindung
EP3854618B1 (de) * 2020-01-21 2022-03-09 Magna Energy Storage Systems GesmbH Kraftstofftank umfassend ein verbindungsstück
US11708924B2 (en) * 2020-06-26 2023-07-25 Carefusion 303, Inc. Connector coupling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8667A (ja) 2007-09-18 2009-04-02 Toyoda Gosei Co Ltd 燃料遮断弁
JP4276727B2 (ja) * 1999-03-03 2009-06-10 株式会社ニフコ バルブ
KR20100051542A (ko) * 2008-11-07 2010-05-17 파이오락스(주 ) 연료 탱크용 파이프 조인트
US20100126603A1 (en) 2008-11-26 2010-05-27 Piolax Inc. Fuel tank check valv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2491A (en) * 1987-09-24 1989-03-28 Tokyo Electric Co Ltd Adapter starter socket
JPH1082491A (ja) * 1996-09-09 1998-03-31 Nifco Inc パイプコネクター
GB2327741B (en) 1997-07-14 2000-08-09 Piolax Inc Fuel tank fuel supply check valve
JP2004136885A (ja) * 1997-07-14 2004-05-13 Piolax Inc 燃料逆流防止バルブ
JP3506034B2 (ja) 1999-03-15 2004-03-15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遮断弁
JP3988671B2 (ja) 2003-03-28 2007-10-10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タンク用バルブ
JP2005083395A (ja) 2003-09-04 2005-03-31 Nifco Inc 圧力開閉弁
JP4504772B2 (ja) 2004-09-27 2010-07-14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の給油管
CN100404300C (zh) 2005-03-03 2008-07-23 八千代工业株式会社 树脂制燃料箱中部件的连接结构
JP4769600B2 (ja) * 2006-03-09 2011-09-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給油口装置
JP4937236B2 (ja) * 2008-11-26 2012-05-23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及び逆止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6727B2 (ja) * 1999-03-03 2009-06-10 株式会社ニフコ バルブ
JP2009068667A (ja) 2007-09-18 2009-04-02 Toyoda Gosei Co Ltd 燃料遮断弁
KR20100051542A (ko) * 2008-11-07 2010-05-17 파이오락스(주 ) 연료 탱크용 파이프 조인트
US20100126603A1 (en) 2008-11-26 2010-05-27 Piolax Inc. Fuel tank check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95061B (en) 2017-05-24
CN103068613A (zh) 2013-04-24
JP5570320B2 (ja) 2014-08-13
GB2495061A (en) 2013-03-27
JP2012011797A (ja) 2012-01-19
GB201301514D0 (en) 2013-03-13
CN103068613B (zh) 2016-08-03
US20130127159A1 (en) 2013-05-23
KR20120001669A (ko) 2012-01-04
US9482389B2 (en) 2016-11-01
WO2012001894A1 (ja)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222B1 (ko) 연료탱크의 배관 구조체
US7401820B2 (en)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US7547048B2 (en) Fluid quick connector with integral pivotal retainer
US5520151A (en) Fuel injection device
US9523454B2 (en) Anti-rotation gripper ring
US10371299B2 (en) Quick connector with anti-rotate feature
CN108953025B (zh) 燃料喷射装置用喷嘴板的安装构造
US20060099839A1 (en)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JP5367465B2 (ja) フラップ弁装置
JP6025491B2 (ja) 逆止弁装置
JP3440689B2 (ja) 管体接続構造
US20090026758A1 (en) Tube fitting with indication of fit
JP5613483B2 (ja) 燃料タンクのニップル装置
KR101180871B1 (ko) 유체 라인용 커넥터
KR101493438B1 (ko) 연료 탱크용 파이프 조인트
JP2008230578A (ja) 燃料タンク装着部品
JP4854473B2 (ja) 逆止弁
JP2008106807A (ja) 逆止弁
JP2000280764A (ja) 燃料タンクの給油装置
JP2012016983A (ja) コネクタ構造
EP0794369B1 (en) Cock with rotatable truncated coneshaped plug
JP2008215602A (ja) ホース接続装置
JP2004232828A (ja) コネクタ用半嵌合防止クリップ
JP2007032813A (ja) 管接続構造
JP6812195B2 (ja) フラップ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