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502B1 - 배합원료에 함유된 프리-카본의 함량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배합원료에 함유된 프리-카본의 함량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502B1
KR101246502B1 KR1020110098138A KR20110098138A KR101246502B1 KR 101246502 B1 KR101246502 B1 KR 101246502B1 KR 1020110098138 A KR1020110098138 A KR 1020110098138A KR 20110098138 A KR20110098138 A KR 20110098138A KR 101246502 B1 KR101246502 B1 KR 101246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arbon
raw material
measuring
carbo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천교
조영준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8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08Composition or distribution of the 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5/00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배합 비율을 알 수 없는 배합원료 중 분 코크스의 함량을 간단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배합원료에 함유된 프리-카본의 함량 측정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합원료에 함유된 프리-카본의 함량 측정 방법은 (a) 철광석, 석회석 및 코크스를 함유하는 배합원료 중에서 각 물질의 탄소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각 물질에 대한 온도 구간에 따른 감량율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각 물질의 탄소 함량을 합산한 합산 함량에서 상기 석회석에 대한 감량율을 환산한 탄소 함량을 감산하여 프리-카본의 함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합원료에 함유된 프리-카본의 함량 측정 방법{MEASURING METHOD OF FREE-CARBON CONTENT WHICH IS CONTAINED IN MIXED RAW MATERIAL}
본 발명은 배합원료에 함유된 프리-카본의 함량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합 비율을 알 수 없는 배합원료의 프리-카본 함량을 간단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배합원료에 함유된 프리-카본의 함량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합원료는 일반적으로 철광석(약 70 중량%), 석회석(약 25 중량%) 및 코크스(약 5 중량%)로 이루어지며, 이를 고온에서 소결하여 고로 조업의 원료인 소결광을 제조한다. 소결을 위한 배합원료의 대차 장입 시, 각 원료의 입도 차이에 의한 코크스의 편중현상이 발생한다. 이때, 코크스는 연소 과정의 열원으로써 고체 화합물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코크스의 편중도는 소결광의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작용한다.
따라서, 코크스의 편중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배합원료의 장입 조건을 변화시켜 최적화된 소결 조건을 도출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한 상황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01703호(2001.01.05 공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합 비율을 알 수 없는 배합원료의 프리-카본 함량을 간단히 분석함으로써, 소결 조건을 최적화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배합원료에 함유된 프리-카본의 함량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합원료에 함유된 프리-카본의 함량 측정 방법은 (a) 철광석, 석회석 및 코크스를 함유하는 배합원료 중에서 각 물질의 탄소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각 물질에 대한 온도 구간에 따른 감량율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각 물질의 탄소 함량을 합산한 합산 함량에서 상기 석회석에 대한 감량율을 환산한 탄소 함량을 감산하여 프리-카본의 함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물질의 탄소 함량은 탄소/황 전용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감량율은 열중량 분석기(Thermo Gravimetric Analyzer : TGA)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석회석의 감량 온도 구간은 800 ± 5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합원료에 함유된 프리-카본의 함량 측정 방법은 배합 비율을 알 수 없는 배합원료에 대하여 탄소/황 전용 분석기(C/S) 및 열중량 분석기(TGA)를 사용하여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배합원료내에 함유된 프리-카본의 함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로 내에 장입된 배합원료의 코크스 편중도를 확인하여 소결 조건을 최적화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확보함으로써 소결광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합원료에 함유된 프리-카본의 함량 측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합원료에 대한 열중량 분석기를 이용한 감량율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광석과 석회석에 대한 감량율에 대한 측정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합원료에 대한 열중량 분석기를 이용한 감량율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크스에 대한 감량율에 대한 측정 결과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합원료에 함유된 프리-카본의 함량 측정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합원료에 함유된 프리-카본의 함량 측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배합원료에 함유된 프리-카본의 함량 측정 방법은 탄소 함량 측정 단계(S110), 배합원료의 감량율 측정 단계(S120) 및 프리-카본 함량 산출 단계(S130)를 포함한다.
탄소 함량 측정
탄소 함량 측정 단계(S110)에서는 철광석, 석회석 및 코크스를 함유하는 배합원료 중에서 각 물질의 탄소 함량을 측정한다.
상기 탄소 함량 측정 단계(S110)에서 탄소 함량 측정은 탄소/황 전용분석기(C/S)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탄소/황 전용분석기(C/S)를 이용하여 배합원료에 함유된 철광석, 석회석 및 코크스 각각에 대한 탄소 함량과, 철광석, 석회석 및 코크스를 함유한 배합원료 전체에 대한 탄소 함량을 측정한다.
배합원료의 감량율 측정
배합원료의 감량율 측정 단계(S120)에서는 배합원료의 각 물질에 대한 온도 구간에 따른 감량율을 측정한다.
이때, 각 물질에 대한 온도 구간별 감량율은 열중량 분석기(Thermo Gravimetric Analyzer : TGA)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중량 분석기(TGA)는 배합원료의 각 물질에 대한 질량변화를 시간이나 온도의 함수로써 측정한다. 열중량 분석기(TGA)에 의한 온도-무게 변화량의 곡선으로부터 배합원료의 각 물질에 대한 열 변화 상태를 알 수 있다. 이때, 배합원료의 각 물질의 질량손실은 증발이나 가스상 산물을 생성하는 화학반응에 의해 발생하게 되며, 이때 나타나는 질량변화는 물질마다 온도변화에 따라 감소하는 무게가 달라진다.
즉, 상기 배합원료의 감량율 측정 단계(S120)시, 배합원료를 퍼니스(furnace)에서 250 ~ 350℃로 가열하게 되면, 철광석이 화학반응에 의해 연소되어 감량이 일어나게 된다. 이후, 퍼니스의 온도를 750 ~ 850℃까지 상승시키게 되면, 석회석이 화학반응에 의해 연소되어 감량이 일어나게 된다. 이후, 1000 ~ 1100℃까지 퍼니스의 온도를 올리게 되면, 코크스가 화학반응에 의해 연소되어 감량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다수의 실험을 실시한 결과, 코크스의 감량율은 석회석의 감량율에 비하여 극히 미미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배합원료의 배합비에서 극 미량의 함량을 차지하는 것을 감안할 때 무시할 수준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프리-카본 함량 산출
프리-카본 함량 산출 단계(S130)에서는 각 물질의 탄소 합산량에서 석회석에 대한 감량율을 환산한 탄소 함량을 감산하여 프리-카본(free-carbon)의 함량을 산출한다. 여기서, 프리-카본의 함량은 배합원료의 전체 함량에서 순수 카본이 차지하는 함량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석회석에 대한 감량율을 환산한 탄소 함량은 석회석 감량 구간에서 석회석의 CO2 감량으로부터 측정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합원료에 함유된 프리-카본의 함량 측정 방법은 배합 비율을 알 수 없는 배합원료에 대하여 탄소/황 전용 분석기(C/S) 및 열중량 분석기(TGA)를 사용하여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배합원료내에 함유된 프리-카본의 함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로 내에 장입된 배합원료의 코크스 편중도를 확인하여 소결 조건을 최적화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확보함으로써 소결광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배합원료내 프리-카본 함량 검증
배합원료내 프리-카본 함량을 검증하기 위해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비율로 배합원료를 제조한 후, 각 구성 물질의 탄소 함량과 전체 배합원료에 대한 탄소 함량을 측정하였다. 이후, 배합원료의 전체 탄소 함량의 이론값과 실측값을 비교하고, 실측값에서 코크스를 제외한 나머지 물질의 탄소 함량을 감산하여 프리-카본의 함량을 산출하여 초기에 설정한 배합 비율과 비교 검증하였다.
표 1은 탄소/황 분석기를 이용하여 배합원료의 탄소 합산량에 대한 측정값과 이론값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표 1]
Figure 112011075688134-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배합원료내 탄소 합산량의 경우, 탄소/황 전용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실측값(7.96%)이 이론값(8.05%)과 상당히 유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2는 열중량 분석기(TGA)를 이용하여 배합원료의 각 물질에 대한 감량율을 측정한 값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합원료에 대한 열중량 분석기를 이용한 감량율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광석과 석회석에 대한 감량율에 대한 측정 결과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합원료에 대한 열중량 분석기를 이용한 감량율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크스에 대한 감량율에 대한 측정 결과이다.
[표 2]
Figure 112011075688134-pat00002
표 2 및 도 2를 참조하면, 250 ~ 350℃의 구간에서 철광석의 감량이 일어나고, 750 ~ 850℃의 구간에서 석회석의 감량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석회석의 감량율은 42.09%, 그리고 철광석의 감량율은 9.64%로 각각 측정되었다.
한편, 표 2 및 도 3을 참조하면, 1000 ~ 1100℃의 구간에서 코크스의 감량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코크스의 감량율은 석회석의 감량율에 비하여 극히 미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배합원료의 배합비에서 극 미량의 함량을 차지하는 것을 감안할 때, 무시할 수준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표 3은 표 1 및 표 2의 측정 결과를 종합하여 나타낸 것이다.
[표 3]
Figure 112011075688134-pat00003
표 3을 참조하면, 석회석의 배합비율로 환산한 C 함량은 2.69%이고, 철광석의 배합비율로 환산한 C 함량은 0.29%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개별 C/S 측정값과 배합비를 통한 이론적 프리-카본의 함량은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식 1 : 8.05% - 2.69% - 0.29% = 5.07%
한편, TGA 측정을 통한 석회석 감량구간 C 함량에 대한 환산값은 2.84%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배합원료의 C/S 측정값과 TGA 측정을 통한 석회석 감량구간 C 함량에 대한 환산값을 통한 실제 측정된 프리-카본의 함량은 하기 식 2를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식 2 : 7.96 - 2.84% = 5.12%
여기서, 석회석 감량구간 C 함량에 대한 환산값은 하기 식 3을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식 3 : 10.41% CO2 x C/CO2 = 2.84
위 식 1 및 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카본의 함량 측정값에 대한 이론치와 실측치가 상당히 유사한 값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실험 결과를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합원료에 함유된 프리-카본의 함량 산출 방법은 배합 비율을 알 수 없는 배합원료에 적용할 경우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프리-카본의 함량을 산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S110 : 탄소 함량 측정 단계
S120 : 배합원료의 감량율 측정 단계
S130 : 프리-카본 함량 산출 단계

Claims (4)

  1. (a) 철광석, 석회석 및 코크스를 함유하는 배합원료 중에서 각 물질의 탄소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각 물질에 대한 온도 구간에 따른 감량율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각 물질의 탄소 함량을 합산한 합산 함량에서 상기 석회석에 대한 감량율을 환산한 탄소 함량을 감산하여 프리-카본의 함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합원료에 함유된 프리-카본의 함량 산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각 물질의 탄소 함량은
    탄소/황 전용 분석기(C/S)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합원료에 함유된 분 코크스의 함량 측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감량율은
    열중량 분석기(Thermo Gravimetric Analyzer : TGA)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합원료에 함유된 분 코크스의 함량 측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석회석의 감량 온도 구간은
    800 ±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합원료에 함유된 분 코크스의 함량 측정 방법.
KR1020110098138A 2011-09-28 2011-09-28 배합원료에 함유된 프리-카본의 함량 측정 방법 KR101246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138A KR101246502B1 (ko) 2011-09-28 2011-09-28 배합원료에 함유된 프리-카본의 함량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138A KR101246502B1 (ko) 2011-09-28 2011-09-28 배합원료에 함유된 프리-카본의 함량 측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6502B1 true KR101246502B1 (ko) 2013-03-25

Family

ID=48182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138A KR101246502B1 (ko) 2011-09-28 2011-09-28 배합원료에 함유된 프리-카본의 함량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5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28199A (zh) * 2014-01-26 2014-04-16 上海新阳半导体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高纯铜中碳硫元素分析方法
KR101542001B1 (ko) 2014-04-04 2015-08-1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회수 공정
CN112082897A (zh) * 2020-10-23 2020-12-15 鑫联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次氧化锌粉浸出渣中碳含量的测定方法
CN113567293A (zh) * 2021-07-21 2021-10-29 湖北亿纬动力有限公司 一种碳纳米管导电浆料中的碳纳米管含量的测试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1950A (ja) 1985-02-21 1986-08-26 Mitsubishi Heavy Ind Ltd 石炭類及びコ−クス類の工業分析方法
JPH11281556A (ja) 1998-03-26 1999-10-15 Sony Corp カーボンブラックの定量分析法
KR20040032565A (ko) * 2002-10-10 2004-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오일 내 미연소 탄소 함량 측정방법
JP2005257596A (ja) 2004-03-15 2005-09-22 Shimadzu Corp 炭素等の結晶化度測定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1950A (ja) 1985-02-21 1986-08-26 Mitsubishi Heavy Ind Ltd 石炭類及びコ−クス類の工業分析方法
JPH11281556A (ja) 1998-03-26 1999-10-15 Sony Corp カーボンブラックの定量分析法
KR20040032565A (ko) * 2002-10-10 2004-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오일 내 미연소 탄소 함량 측정방법
JP2005257596A (ja) 2004-03-15 2005-09-22 Shimadzu Corp 炭素等の結晶化度測定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28199A (zh) * 2014-01-26 2014-04-16 上海新阳半导体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高纯铜中碳硫元素分析方法
CN103728199B (zh) * 2014-01-26 2016-02-03 上海新阳半导体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高纯铜中碳硫元素分析方法
KR101542001B1 (ko) 2014-04-04 2015-08-1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회수 공정
CN112082897A (zh) * 2020-10-23 2020-12-15 鑫联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次氧化锌粉浸出渣中碳含量的测定方法
CN113567293A (zh) * 2021-07-21 2021-10-29 湖北亿纬动力有限公司 一种碳纳米管导电浆料中的碳纳米管含量的测试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502B1 (ko) 배합원료에 함유된 프리-카본의 함량 측정 방법
JP4691212B2 (ja) 石炭の膨張率の測定方法、石炭の比容積の推定方法、空隙充填度の測定方法及び石炭配合方法
BRPI0818372B1 (pt) Self-funding high-oven pellet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104062254B (zh) 一种测定白云石中硫含量的方法
JP5742495B2 (ja) 焼結実験装置
US201900769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intering process
JP6048087B2 (ja) コークス中の有機硫黄割合の推定方法、コークス中の全硫黄割合の推定方法、コークス製造用石炭の配合方法、ならびに、コークスの製造方法
Findorák et al. The study of saw-dust addition on iron-ore sintering performance
JP4464835B2 (ja) コークスの製造方法
JP5673441B2 (ja) 固体燃料評価方法
JP6665738B2 (ja) 焼結用無煙炭の評価方法
JP2017171718A (ja) コークスの強度推定方法、及び、コークスの製造方法
JP2010174335A (ja) 焼結鉱の低温還元粉化評価方法
KR20110022326A (ko) 코크스의 고온 강도 예측방법
JP4888452B2 (ja) 高炉用コークスの製造方法
JP2010168631A (ja) 焼結鉱の低温還元粉化評価方法
JP4933925B2 (ja) 粉体複合吹き込み高炉操業方法
JP5521353B2 (ja) 高炉熱保存帯温度の推定方法
JP2015214593A (ja) 配合炭の比容積の推定方法
WO2023100600A1 (ja) コークスの反応後強度推定モデル作成方法、コークスの反応後強度推定方法及びコークスの製造方法
EP3255122B1 (en) Ferrocoke manufacturing method
JP7226676B1 (ja) コークスの反応後強度推定方法およびコークスの製造方法
WO2023079837A1 (ja) コークスの反応後強度推定方法およびコークスの製造方法
JP2010168630A (ja) 焼結鉱の低温還元粉化評価方法
KR102144195B1 (ko) 배합탄의 반사율 분포지수 도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