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001B1 -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회수 공정 - Google Patents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회수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001B1
KR101542001B1 KR1020140040624A KR20140040624A KR101542001B1 KR 101542001 B1 KR101542001 B1 KR 101542001B1 KR 1020140040624 A KR1020140040624 A KR 1020140040624A KR 20140040624 A KR20140040624 A KR 20140040624A KR 101542001 B1 KR101542001 B1 KR 101542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rcury
waste
recovery
wastes
hea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칠
백승기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40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43/00Obtaining mercury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005Preliminary treatment of scrap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22B7/005Separation by a physical processing technique only, e.g. by mechanical brea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5/00Muffle furnaces; Retort furnaces; Othe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is held completely isolated
    • F27B5/04Muffle furnaces; Retort furnaces; Othe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is held completely isolated adapted for treating the charge in vacuum or special atmosp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5/00Muffle furnaces; Retort furnaces; Othe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is held completely isolated
    • F27B5/06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5/18Arrangement of controlling, monitoring, alarm or lik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회수 공정은 수은이 함유된 폐기물을 고상 또는 액상 폐기물로 분리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 단계를 거친 폐기물에 대하여 열처리를 통해 수은을 회수하는 단계; 상기 수은 회수 단계에서 발생된 중간 폐기물에 대하여 기설정된 기준 수은 함유 농도의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은 회수 단계에서 발생한 수은 함유 배가스에 대한 정제를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수은 정제 단계를 거친 배가스에 대해서 미량의 수은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수은을 안정적으로 회수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고상 및 반고상 폐기물을 액상 수은 함유 폐기물로부터 분리하여 전처리 공정을 진행하고 수은 회수 공정도 폐기물의 형태에 따라 별개적으로 진행함으로서 결과적으로 고순도의 수은을 회수하게 한다.

Description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회수 공정{Mercury Collecting Method from Waste}
본 발명은 고수은을 함유한 폐기물로부터 수은을 회수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수은을 함유한 폐기물에 대하여 전처리, 열처리, 정제, 증류 등의 과정을 통해 수은을 안정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공정에 대한 것이다.
수은함유 제품이나 산업 공정으로부터 발생된 수은 폐기물이 인간의 건강이나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환경친화적인 방식을 통하여 처리하여야 한다. 적절한 수은함유폐기물 및 부산물의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환경으로 노출될 가능성이 크게 존재한다.
우리나라는 유엔환경계획(UNEP)이 발표한 세계 9위의 수은 배출국으로 수은에 의한 국민건강 위해 우려가 높아지고 있으나 가정이나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수은 함유 폐기물은 일반 생활 폐기물과 대부분 섞여 배출처리되는 등 체계적인 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특히, 수은 사용 및 배출을 줄이기 위한 국제수은협약을 거쳐 ‘수은에 관한 미나마타 협약’이라는 명칭으로 체결된 후에, 국내 폐기물 분야에서는 수은 함유 폐기물 분류부터 전반적인 관리체계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한 상태다.
국내 폐기물관리법에서 용출시험 결과 수은 농도 0.005 mg/L 이상일 경우 지정폐기물로 지정해 관리하지만, 관리기준이 세분화되어 있지는 않은 실정으로서, 결과적으로 형광등, 온도계, 혈압계 등을 포함한 수은 함유 폐기물이 일반 폐기물과 동일하게 배출되는 과정에서 파손으로 수은 유출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폐형광등의 경우는 우리사회에 필수적인 조명제품으로 연간 1억8,000만개 이상이 배출되고 있고, 상기 폐형광등에는 인체에 치명적인 수은이 함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거 우리나라는 형광등이 1950년대부터 도입된 이래 적정한 처리방법이 없어 쓰레기봉투에 깨어서 버리도록 방치해왔다.
이는 우리의 하천과 토양을 심각하게 오염시켜 과거 일본의 큐슈 미나마타시에서 발생한 수은 오염으로 인한 약 50명의 사망사건과 같은 환경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한 지경이었다. 따라서 한국조명재활용협회는 생산자책임재활용(EPR)제도에 의해 설립된 생산자단체로써 2001년 환경부와 폐형광등의 전국적적인 시스템 구축을 위한 자발적협약을 체결한 이후 우리사회에서 폐형광등의 무단폐기로 인한 수은오염에 대한 위험을 방지해왔습니다. 이후, 2001년 당시 200만개의 처리량이 이제는 3,000만개를 초과해 폐형광등을 재활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한편, 폐형광등을 비롯한 수은 함류 폐기물로부터 수은을 회수 처리하는 방안과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0417473호 및 제1244749호를 들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폐 형광등의 교체작업에서 현장에서 파쇄하여 그 파쇄처리된 형광등 잔해들을 수거하는 폐 형광등 파쇄기 또는 수은증기가스의 분리추출 효율이 증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폐형광등 처리시스템의 수은증기가스 분리추출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수은이 함유된 폐기물의 단순한 파쇄 과정 또는 복합혼합가스로부터 수은가스만을 선택적으로 포집하는 방안을 제공하지만, 수은 함유 폐기물에 대한 파쇄, 열처리, 전기분해, 집진, 증류, 배가스 처리 등을 포함하는 전체적으로 일원화된 처리 공정 방안에 대해서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은 함유 폐기물을 고상 내지 액상으로 구분하여 전처리 공정을 진행하고, 열처리 내지 전기분해를 통해 폐기물로부터 수은을 분리하며, 분리된 수은을 집진 내지 증류 과정을 통해 정제하는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고순도의 수은을 회수하는 방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회수 공정은 수은이 함유된 폐기물을 고상 또는 액상 폐기물로 분리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 단계를 거친 폐기물에 대하여 열처리를 통해 수은을 회수하는 단계; 상기 수은 회수 단계에서 발생된 중간 폐기물에 대하여 기설정된 기준 수은 함유 농도의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은 회수 단계에서 발생한 수은 함유 배가스에 대한 정제를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수은 정제 단계를 거친 배가스에 대해서 미량의 수은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수은을 안정적으로 회수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은 회수 단계는, 등온 조건을 이용하여 폐기물로부터 수은을 회수하는 열적 감량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등온 조건은 700 ℃ 또는 750 ℃ 에서 기준 시간 동안 열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미량의 수은을 제거하는 단계는, ACI Bed 또는 황첨착 Carbon Bed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은 회수 단계는, 등속 승온 조건을 이용한 열적 감량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등속 승온 조건은 승온율이 7 ℃/min 이다.
상기 열처리를 통해 수은을 회수하는 단계는 머플 전기로를 이용하여 공기 조건에서 진행된다.
상기 열처리를 통해 수은을 회수하는 단계는, 600 ℃ 내지 800 ℃ 온도 조건에서 진행되며, 상기 열처리 시에는 외부로 수은 증기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음압 조건에서 진행된다.
상기 중간 폐기물의 기준 수은 함유 농도는 5(mg-Hg/kg)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은 수은 함유 폐기물 전처리, 열처리를 통한 수은 회수, 회수된 중간 폐기물의 수은 함량도 측정, 정제, 증류 및 배가스 처리 공정 등을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효율적인 수은 회수 방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상 및 반고상 폐기물을 액상 수은 함유 폐기물로부터 분리하여 전처리 공정을 진행하고 수은 회수 공정도 폐기물의 형태에 따라 별개적으로 진행함으로서 결과적으로 고순도의 수은을 회수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수은을 함유한 폐기물에서 전처리, 회수, 정제, 배가스 처리 등을 포함하는 다단계의 처리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수은 제품이 획득되는 전체적인 과정을 보이는 공정 모식도이다.
도 2는 승온 과정 동안 고수은 함유 부산물의 수은 함유농도 변화 실험결과에 평균값을 취하여 온도 상승에 따른 슬러지내 수은 함량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및
도 3은 온도 조건 별 체류시간 변화에 따른 수은 함유농도 변화의 평균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회수 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제1 단계로서 수은 폐기물 전처리 공정을 설명한다.
상기 공정은 수은 함유 폐기물의 투입이나 전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고상 및 반고상 수은 함유 폐기물의 경우는 파쇄, 분쇄 등의 공정을 진행하며, 액상 수은 함유 폐기물의 경우는 혼합, 중화, 침전 등의 공정을 진행한다.
고상 및 반고상 수은함유 폐기물은 주로 폐슬러지 및 비산재 등과 같은 산업시설 배출 부산물에서 획득되거나 또는 형광등, 전지, 혈압계 등과 같은 수은 함유 제품 폐기물에서 획득되며, 액상 수은함유 폐기물은 주로 산업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수에서 획득된다.
제2 단계로서 수은 회수 공정을 설명한다.
고상 및 반고상 수은 함유 폐기물은 수은을 회수하기 위한 수은 증기 회수 기술을 갖춘 로터리 킬른이나 다단로 공정을 통해서 로스팅 및 레토르팅 공정을 진행한다. 수은 함유 폐기물을 열적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600 ℃ 내지 800 ℃ 온도 조건의 열처리로에서 진행되며, 상기 열처리로 시설은 외부로 수은 증기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음압조건에서 운영된다.
본 발명에서는 국내 산업시설에서 배출된 고수은 함유 폐슬러지를 머플 전기로를 이용하여 공기조건에서 실험한 바 있다.
TGA(열중량 분석기)은 자동적으로 열적 무게감량 데이터가 출력되는 용이함이 있지만 일정 온도를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하는 반면에, 머플 전기로의 경우에는 수동으로 운전되며 원하는 온도조건에서의 시료채취가 용이하다.
따라서 머플 전기로 및 TGA를 이용하여 시료의 열적 무게감량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두가지 경우의 슬러지의 열적 무게 감량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두가지 실험에서 동일하게 약 250 ℃에서 약 400 ℃에서 주된 감량을 보였고, 450 ℃ 이후에는 슬러지의 무게 감량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온에서는 TGA를 사용하는 것이 한계가 있으므로, 상기 결과를 토대로 할때, 450℃ 이후의 모든 온도에서 머플 전기로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액상 수은 함유 폐기물은 전기분해 공정을 진행하여 수은을 회수하는 공정을 진행한다.
이하, 등속 승온조건 및 등온조건을 이용하여 폐기물로부터 수은을 회수하는 열적 감량 실험을 설명한다.
먼저, 등속 승온조건을 이용한 열적 감량 실험에 대해 설명한다.
승온 과정 동안 고수은 함유 부산물의 수은 함유농도 변화 실험결과에 평균값을 취하여 온도 상승에 따른 슬러지내 수은 함량 곡선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본 열적처리 실험은 국내 산업시설에서 배출되는 수은 함유농도 2,000 mg-Hg/kg 이상의 고농도 수은함유 폐기물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시료 1 g을 세라믹 크러시블에 담아 전기회화로에 투입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승온율을 7 ℃/min으로 설정하여 650 ℃의 온도조건까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200 ℃부터 25 ℃가 상승할 때 마다 시료의 무게와 수은함유 농도를 측정하였다.
슬러지 내 수은 함량의 경우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기화되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고, 300 ℃부터 감소가 시작되었으며, 약 400 ℃ 에서 500 ℃ 온도 범위의 경우, 급격한 수은 함량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500 ℃ 에서 600 ℃ 온도 범위의 경우, 수은의 감소 경향이 적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600 ℃ 이후에는 슬러지 내 존재하는 수은은 대부분 증기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험에 사용된 시료의 경우는 575 ℃에서 초기 수은 함량의 약 96%가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휘발 후반부에 휘발 지연 현상을 보였으며 이는 재성분에 의하여 나타나는 특성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350 ℃ 이상의 온도 조건에서, 조건별 체류시간에 따른 시료의 열적반응 특성을 실험하였다.
다음으로, 등온 조건을 이용한 열적 감량 실험에 대해 설명한다.
온도 조건 별 체류시간 변화에 따른 수은 함유농도 변화의 평균값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열적처리를 진행하기 전 폐슬러지의 초기 수은함유 농도는 평균 2,000 mg-Hg/kg로 분석되었다. 350 ℃와 400 ℃ 조건에서는 로내 체류시간이 증가함에 따른 시료 수은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적었다. 350 ℃ 조건의 경우 900 초의 체류시간동안 반응하여도 초기 수은 함유량의 약 80%가 잔류하였고, 400 ℃조건의 경우 약 67%가 잔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두 조건의 경우, 고수은 함유 폐기물의 열적처리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450 ℃조건의 경우 900 초의 체류시간 동안 반응한 후 잔류물의 수은 함유 농도가 초기농도 대비 약 90%가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500 ℃조건의 경우 600 초 반응 후 초기 농도 대비 약 93%가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550 ℃조건의 경우 300 초 반응 후 약 92%가 제거되며, 600 ℃조건의 경우 180 초 반응 후 약 88%가 제거되며, 650 ℃ 조건의 경우 60 초 반응 후 약 88%가 제거되며, 700 ℃ 와 750 ℃ 조건의 경우 30 초 반응 후에 초기 수은함유 농도에 대하여 각각 약 97%와 99%가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3 단계로서 분해된 폐기물의 수은 함량 판단 공정을 설명한다.
수은 회수 공정에서 로터리 킬른 같은 가열로를 이용한 열적처리를 통한 경우에, 수은 뿐만 아니라 유기성 물질들이 포함된 휘발성이 강한 금속이 로스팅 및 다른 열적처리 공정을 거치는 동안 대기로 누출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물질들은 투입폐기물로부터 배가스나 비산재로 이동하게 된다.
액상 수은 함유 폐기물로부터 1차적으로 분해된 수은 함유물질의 경우는 전기분해를 통하여 수은 회수공정이 진행되는데, 액상 폐기물에서 회수한 수은 이외의 잔류물이 발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수은 이외의 잔류물인 고형 부산물은 로터리 킬른 같은 가열로에 투입된다.
고상 및 반고상 수은 함유 폐기물에서 입수된 수은 함유물질 및 액상 수은 함유 폐기물에서 입수된 고형 부산물은 모두 열처리 과정을 거치면서 수은이 제거된 배산재 및 잔류물 등의 중간 폐기물이 발생하고, 상기 배산재 및 잔류물 등의 중간 폐기물은 수은 함량 기준 초과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중간 폐기물은 기설정된 수은 함유 기준치를 초과하였을 경우 열적처리를 통한 수은회수 공정에 재투입하게 되며 기준치를 만족하였을 경우 무수은 폐기물로써 분류되어 처분하게 된다.
여기에서, 수은 함유 기준치는 열적 처리후 잔류물의 수은 농도 함량 5 (mg-Hg/kg) 기준을 적용하여, 상기 기준 수치 이하로 수은 화합물을 포함하는 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여 처분하게 한다.
최종적으로 국내 폐기물관리법 별표 1에 해당하는 하기 표 1 에 따라 잔류물의 용출시험 결과 용출액의 수은 함유 농도 0.005 (mg-Hg/L) 이하를 달성하는지 확인하여 배출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폐수처리 슬러지의 기준 수은 함유 농도인 목표 감소 농도를 5(mg-Hg/kg)으로 설정하였는바, 상기 목표 감소 농도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살펴보면 450 ℃ 및 550 ℃의 온도 조건에서는 약 40 분과 25 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00 ℃ 온도 조건의 경우 목표 감소 농도까지 도달하는데 약 10 분의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650 ℃ 온도 조건의 경우 약 5 분의 체류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700 ℃ 온도 조건의 경우 약 3 분의 체류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750 ℃ 온도 조건의 경우에는 약 2 분의 체류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내용을 보면 수은의 열적처리를 위한 실험 결과, 700 ℃와 750 ℃ 조건의 실험 조건에서 반응 초기에 수은 휘발반응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조건 모두 반응 후 3분 이내에 초기 수은함유 농도의 약 99% 이상이 제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4 단계로서 수은 정제 공정을 설명한다.
열적 처리를 통한 수은 회수 공정에서 발생한 수은을 함유한 배가스와 비산재는 백필터와 사이클론 등을 포함한 집진 설비를 통과하게 된다. 백필터에서 제어된 비산재 중 입자상 물질을 샘플로 포집하여 수은함량기준 초과여부를 판단한 뒤 수은 회수공정으로의 재투입 또는 처분을 결정하게 되며, 배가스의 경우 응축공정을 거쳐 증류공정으로 투입된다.
집진 설비에서 제어된 입자상 물질인 비산재는 수은 함량기준인 5 (mg-Hg/kg), 용출시험기준인 (0.005 mg-Hg/L)의 초과 여부를 판단한 뒤 공정으로의 재투입 또는 처분이 결정된다.
집진 설비를 통과한 가스상 물질인 배가스의 경우는 응축 공정을 거쳐 증류 공정으로 투입된다.
응축 공정의 경우 수은 증기는 직접적으로 응축기로 보내지며 냉각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열교환기의 10℃ 이하의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다.
한편, 전기분해를 통한 수은 회수 공정에서 회수된 수은의 경우도 증류 공정으로 투입된다.
수은의 정제를 위하여 증류 공정을 진행하게 되며, 수은이 외부 환경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종가스를 배출하기 이전에 배가스 처리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수은 정제 공정을 통하여 생성된 수은 제품의 경우 안전한 이송을 위하여 안정성이 확보된 이송용기에 주입하게 된다.
수은 이송용기는 주위 온도에서 수은과 반응하지 않는 재질이어야 하는데, 상기 수은 이송용기의 제작을 위해 사용되는 적절한 물질은 강철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5 단계로서 배가스 처리 공정을 설명한다.
제4 단계인 수은 정제 공정을 통해 발생된 가스의 환경적으로 안전한 최종배출을 위하여 배가스 처리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ACI(활성탄 분무 여과,Activated Carbon Injection) 및 황첨착 Carbon Bed 공정은 파우더 형태의 활성탄을 주입한 상태에서 수은 등 기타 오염물질을 흡착시키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황첨착 활성탄 및 요오드첨착 활성탄은 일반 활성탄에 비하여 가스상 수은의 흡착에 고효율을 갖는다.
증류 공정에서 발생된 배가스는 ACI Bed 또는 황첨착 Carbon Bed에 통과시켜 잔류할 가능성이 있는 미량의 수은을 제거하는 공정을 진행한다.
배출되는 미량 수은 증기의 제어를 위하여 사용된 활성탄은 수은 함유 폐기물로써 분류된다. 이를 지정 폐기물로써 처분하는 것이 아니라 본 특허에서 기술한 열적처리공정으로 투입하여 수은을 탈착시킨 후, 수은을 제거하여 처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회수 공정은 고상 및 반고상 폐기물을 액상 수은 함유 폐기물로부터 분리하여 전처리 공정을 진행하고 수은 회수 공정도 폐기물의 형태에 따라 별개적으로 진행함으로서 결과적으로 고순도의 수은을 회수하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수은이 함유된 폐기물을 고상 또는 액상 폐기물로 분리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 단계를 거친 폐기물에 대하여 열처리를 통해 수은을 회수하는 단계;
    상기 수은 회수 단계에서 발생된 중간 폐기물에 대하여 기설정된 기준 수은 함유 농도의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은 회수 단계에서 발생한 수은 함유 배가스에 대한 정제를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수은 정제 단계를 거친 배가스에 대해서 수은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은을 제거하는 단계는,
    ACI Bed 또는 황첨착 Carbon Bed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회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은 회수 단계는,
    등온 조건을 이용하여 폐기물로부터 수은을 회수하는 열적 감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회수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등온 조건은 700 ℃ 또는 750 ℃ 에서 기설정된 기준 시간 동안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회수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은 회수 단계는,
    등속 승온 조건을 이용한 열적 감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회수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등속 승온 조건은 승온율이 7 ℃/mi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회수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를 통해 수은을 회수하는 단계는,
    머플 전기로를 이용하여 공기 조건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회수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를 통해 수은을 회수하는 단계는,
    600 ℃ 내지 800 ℃ 온도 조건에서 진행되며, 상기 열처리 시에는 외부로 수은 증기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음압 조건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회수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폐기물의 기준 수은 함유 농도는 5(mg-Hg/kg)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회수 방법.
KR1020140040624A 2014-04-04 2014-04-04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회수 공정 KR101542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624A KR101542001B1 (ko) 2014-04-04 2014-04-04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회수 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624A KR101542001B1 (ko) 2014-04-04 2014-04-04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회수 공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001B1 true KR101542001B1 (ko) 2015-08-12

Family

ID=5406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624A KR101542001B1 (ko) 2014-04-04 2014-04-04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회수 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0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356B1 (ko) * 2017-03-16 2018-06-28 (주)에코리사이클링 액상 및 고상 폐기물의 수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은 회수 방법
KR101885757B1 (ko) * 2017-07-28 2018-09-10 (주)에코리사이클링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회수 공정에 사용되는 활성탄 재생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3354A (ja) 2006-12-04 2008-07-17 Hitachi Zosen Corp 排ガスからの水銀回収方法および装置
KR101246502B1 (ko) 2011-09-28 2013-03-25 현대제철 주식회사 배합원료에 함유된 프리-카본의 함량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3354A (ja) 2006-12-04 2008-07-17 Hitachi Zosen Corp 排ガスからの水銀回収方法および装置
KR101246502B1 (ko) 2011-09-28 2013-03-25 현대제철 주식회사 배합원료에 함유된 프리-카본의 함량 측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356B1 (ko) * 2017-03-16 2018-06-28 (주)에코리사이클링 액상 및 고상 폐기물의 수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은 회수 방법
KR101885757B1 (ko) * 2017-07-28 2018-09-10 (주)에코리사이클링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회수 공정에 사용되는 활성탄 재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0137A (en) Method for removing mercury from contaminated soils and industrial wastes and related apparatus
Mattenberger et al. Sewage sludge ash to phosphorus fertiliser: variables influencing heavy metal removal during thermochemical treatment
KR101721614B1 (ko) 시멘트 킬른 배기가스의 처리장치 및 처리 방법
Chang et al. Treating high-mercury-containing lamps using full-scale thermal desorption technology
KR101542001B1 (ko)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회수 공정
JP4398206B2 (ja) セメントの製造方法
Lin et al. Fate of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and dibenzofurans during the thermal treatment of electric arc furnace fly ash
KR102092693B1 (ko) 염분함유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US20130330266A1 (en) Recovery of sulfur from sulfur-containing waste
US10758860B2 (en) Apparatus for treating mercury-containing waste and method for recovering high purity elemental mercury using same apparatus
JP2008272536A (ja) 有機ハロゲン化合物等の有害物質を含有する固体の処理装置
KR101885757B1 (ko) 폐기물로부터의 수은 회수 공정에 사용되는 활성탄 재생장치
JP6119256B2 (ja) セメント焼成排ガス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2000288527A (ja) 廃棄物の処理方法
Lin et al. Emissions of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during the thermal treatment for electric arc furnace fly ash
IL123068A (en) High efficiency recovery process for treatment of multi-element waste
KR101287990B1 (ko) 오염토양 정화방법
EP0857520A1 (en) Treatment of contaminated soil
Wijesekara et al. Removal and recovery of mercury from used fluorescent lamp glass by pyrolysis
JP2007331967A (ja) セメントの製造方法
JPH0938618A (ja) シュレッダーダスト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4825714B2 (ja) 高含水率pcb汚染物の加熱処理方法
WO2009110071A1 (ja) 有機ハロゲン化合物等の有害物質を含有する固体の処理装置
JP6024465B2 (ja) セメント焼成排ガス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H11158319A (ja) ポリ塩化ビニル含有廃プラスチック処理装置およびその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