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812B1 - 뽑이식 장대 - Google Patents

뽑이식 장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812B1
KR101232812B1 KR1020050096856A KR20050096856A KR101232812B1 KR 101232812 B1 KR101232812 B1 KR 101232812B1 KR 1020050096856 A KR1020050096856 A KR 1020050096856A KR 20050096856 A KR20050096856 A KR 20050096856A KR 101232812 B1 KR101232812 B1 KR 101232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prepreg
pattern
reinforcing fiber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9679A (ko
Inventor
쇼타로 타니가와
이사무 토쿠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60119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01K87/025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8Impreg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1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fibres or filaments of different layers, e.g. the fibres or filaments being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 B29L2031/7002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for fis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shing Rod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과제] 프리프레그(prepreg)를 주름이 잡히는 일이 없고 또한 꺾여 구부러지는 일이 없이 맨드릴(mandrel)에 권회(卷回)하여 소성(燒成) 후에 보이드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장대 구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해결 수단] 내외측층을, 강화 섬유(c)를 원주(圓周) 방향으로 배치한 프리프레그를 세폭(細幅)의 테이프상으로 재단한 슬릿 테이프(1, 3)를 장대의 전체 길이에 걸쳐 나선상(螺旋狀)으로 권회하는 것에 의하여 구성하는 것과 함께, 내측층의 한층 더 내측으로 장대 선단부에 입구 감기 보강 패턴(5)을 배치하는 것과 함께, 외측층의 한층 더 외측으로 장대 기단부에 장대 기단 보강 패턴(6)을 배치하고 있다. 그들 보강 패턴(5, 6)을, 장대축선(X)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θ)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c)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c)군과 장대축선(X)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c)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다.
낚싯대용 장대, 강화 섬유, 메인 패턴, 보강 패턴, 프리프레그

Description

뽑이식 장대{DRAWING TYPE ROD}
도 1의 (a)는 입구 감기 보강 패턴을 권회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제1 슬릿 테이프를 권회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c)는 제1, 제2 메인 패턴을 권회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d)는 제2 슬릿 테이프를 권회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장대 기단부에 장대 기단 보강 패턴을 시행하여 소경측의 장대를 뽑아낸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3의 (a)는 입구 감기 보강 패턴과 제1 장대 기단 보강 패턴을 권회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제1 슬릿 테이프를 권회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c)는 제1, 제2 메인 패턴과 제2 장대 기단 보강 패턴을 권회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d)는 제2 슬릿 테이프를 권회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장대 기단부에 수지 돌기를 시행하여 소경측의 장대를 뽑아낸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5의 (a)는 보조 패턴인 크로스 조합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의 크로스 조합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b)는(a)의 종단면도, (c)는 보조 패턴을 권회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장대 기단부에 보조 패턴을 시행하여 소경측 장대를 뽑아낸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부호의 설명>
1 : 제1 슬릿 테이프 2A : 제1 메인 패턴
2B : 제2 메인 패턴 3 : 제2 슬릿 테이프
4 : 맨드릴 5 : 입구 감기 보강 패턴
6 : 제3 장대 기단 보강 패턴 7 : 제1 장대 기단 보강 패턴
8 : 제2 장대 기단 보강 패턴 9 : 돌기
A : 장대 Aa : 내측층
Ab : 중간층 Ac : 외측층
θ1 : 제1 경사각 θ2 : 제2 경사각
θ3 : 제3 경사각 θ4 : 제4 경사각
c : 강화 섬유 X : 장대축선
본 발명은 프리프레그(prepreg)를 권회(卷回)하여 통상체(筒狀體)로 형성하고 있는 낚싯대용 장대에 관한 것이다.
낚싯대용 장대는,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를 혼합하고, 그 혼합 강화 섬유 에 에폭시 등의 수지를 함침(含浸)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 시트를 소정의 테이퍼 형상을 한 맨드릴(mandrel)에 감아 권회하고, 그 권회한 통상의 것을 소성(燒成)하여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프리프레그 시트를 이용하여 장대를 형성하는 것에 대하여, 강화 섬유를 원주(圓周) 방향으로 혼합하여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를 세폭(細幅)의 테이프상으로 재단하여 슬릿 테이프를 작성하고, 이 슬릿 테이프를 장대의 전체 길이에 걸치는 범위에서 나선상(螺旋狀)으로 권회하여 장대를 형성하는 것도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198154호 (단락 번호 〔0020〕 및 도 1, 도 2)
상기한 종래 구성은, 내측층으로서 강화 섬유군을 장대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혼합한 프리프레그를 시트상으로 재단하여 구성한 제1 메인 패턴을 권회하여 구성하고, 중간층으로서 강화 섬유군을 장대의 축선 방향을 따라 혼합한 프리프레그를 시트상으로 재단하여 구성한 3매의 메인 패턴을 권회하여 구성하며, 외측층으로서 강화 섬유군을 원주 방향으로 혼합한 프리프레그를 테이프상으로 재단하여 구성한 슬릿 테이프를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에 걸쳐 나선상으로 권회하여 구성하여, 이들 내측층, 중간층, 외측층에 의하여 낚싯대를 구성하는 것이 있었다.
그러나 이것으로는 강화 섬유의 방향이 축선 방향, 혹은 원주 방향으로만 배치어 있을 뿐이기 때문에, 이들 장대를 뽑이식 장대로 형성한 경우에 이음매부에서 강도 부족을 생기게 하는 것이 있었다.
즉, 뽑이식 장대에서는 장대 선단측 장대를 장대 기단측 장대에서 뽑아낸 상태에서, 장대 선단측 장대의 장대 기단부의 외주면(外周面)을 장대 기단측 장대의 장대 선단부의 내주면(內周面)에 압접(壓接)시켜, 장대 선단측 장대의 신장(伸張)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 경우에, 서로 압접 상태로 되는 장대 선단측 장대의 장대 기단부의 외주면과 장대 기단측 장대의 장대 선단부의 내주면을 이음매부라고 칭한다.
여기에, 이음매부가, 그 이음매부에 배치된 강화 섬유가 축심 방향, 혹은 원주 방향으로만 배치되어 있을 뿐의 프리프레그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장대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는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전단력(剪斷力)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어, 이음매부에서의 수지의 박리(剝離)나, 갈라짐, 균열의 발생이 보여지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점을 해소하고, 장대의 외주면이 소정의 원추상(圓錐狀)을 나타낼 수 있는 낚싯대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구성〕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장대 선단측 장대를 장대 기단측 장대에서 뽑아낸 상태로, 장대 선단측 장대의 장대 기단부의 외주면을 기단측 장대의 장대 선단부의 내주면에 압접시키는 것과 함께, 서로 압접 상태로 되는 장대 선단측 장대의 장대 기단부의 외주면과 장대 기단측 장대의 장대 선단부의 내주면으로 이음매부를 구성하는 뽑이식 장대이고,
상기 장대 선단측 장대에, 강화 섬유군을 장대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혼합한 프리프레그제의 슬릿 테이프를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에 걸쳐 맨드릴에 나선상으로 권회하여 내측층과 외측층을 각각 구성하고, 상기 내측층과 상기 외측층 간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장대의 축선 방향을 따라 강화 섬유를 혼합한 프리프레그를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재단한 메인 패턴으로 구성하며,
상기 내측층의 장대 선단부보다도 한층 더 내측에 최내층으로서 입구 감기용 보강 패턴을 배치하고, 상기 입구 감기용 보강 패턴을, 상기 메인 패턴보다도 축선 방향을 따른 길이가 짧고 또한 강화 섬유군을 장대축선에 대하여 제4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한 프리프레그와, 상기 메인 패턴보다도 축선 방향을 따른 길이가 짧고 또한 강화 섬유군을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한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며,
상기 외측층의 장대 기단부의 외측에 최외층으로서 장대 기단 보강 패턴을 배치하고, 상기 장대 기단 보강 패턴을, 상기 메인 패턴보다도 축선 방향을 따른 길이가 짧고 또한 강화 섬유군을 장대축선에 대하여 제3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한 프리프레그와, 상기 메인 패턴보다도 축선 방향을 따른 길이가 짧고 또한 강화 섬유군을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한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즉, 메인 패턴보다도 축선 방향을 따른 길이가 짧고 또한 강화 섬유군을 장대축선에 대하여 경사하는 상태로 혼합 배치한 프리프레그와, 상기 메인 패턴보다도 축선 방향을 따른 길이가 짧고 또한 강화 섬유군을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한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한 입구 감기 보강 패턴과 장대 기단 보강 패턴을 장대의 장대 선단부와 장대 기단부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양 보강 패턴이 장대 선단측 장대를 장대 기단측 장대에서 뽑아낸 상태에서, 장대의 축선에 경사하는 상태로 작용하는 전단력에 대하여 대항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되어 이음매부에서의 수지의 박리 현상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더하여, 본원 발명에서는 강화 섬유군을 원주 방향으로 배치하고, 장대축선 방향에 대한 폭을 좁게 한 슬릿 테이프를 내외측층으로서 시행하는 것에 의하여, 테이프에 대하여 충분한 긴장력을 부여하여 맨드릴에 그 슬릿 테이프를 권회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슬릿 테이프를 구성하는 강화 섬유는 장대의 장대 선단에서 장대 기단까지 나선상으로 연속하는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섬유의 강도가 충분히 발휘되고, 또한 테이프 자체는 세폭이기 때문에 프리프레그 시트를 권회하는 경우에 비하여 주름이 잡히는 일 없이 권회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원주 방향으로 섬유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장대의 단면이 가로로 넓어지는 타원상으로 변형하려고 하는 것을 원주 방향으로 혼합된 강화 섬유가 대항력을 발휘하여 장대의 단면의 보형성(保形性)을 양호하게 한다.
한편, 중간층으로서 장대축선을 따라 강화 섬유를 혼합하고 있는 프리프레그 시트로 이루어지는 메인 패턴을 상기한 슬릿 테이프 상에서 권회하고 있기 때문에, 수선(穗先)에 작용한 하향의 하중에 의하여 장대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에 기인하는 장대축선 방향을 따른 인장력 등에 대한 대항력을 높이고 있어, 구부러짐에 의한 장대의 꺾임 등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슬릿 테이프가 장대의 축선 방향을 따른 폭을 짧은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시트상의 프리프레그와 같이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감아 가는 것이 어렵지는 않고, 그와 같은 테이프 특성을 이용하여 내측층을 구축할 수 있다.
〔효과〕
이 결과, 소기의 원추상을 따른 낚싯대를 작성할 수 있어 보이드의 발생이나 수지의 박리 등도 억제할 수 있는 장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에 이르렀다.
청구항 2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중간층을, 장대의 축선 방향을 따라 강화 섬유를 혼합한 프리프레그를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재단한 제1 메인 패턴과, 장대의 축선 방향을 따라 강화 섬유를 혼합한 프리프레그를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재단한 제2 메인 패턴을 중합시킨 상태로 구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발명에 대한 작용 효과를 이루는 것과 함께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룬다.
즉, 중간층으로서 2매 겹친 메인 패턴을 배치하고, 그 메인 패턴의 강화 섬유의 혼합 방향을 장대축선 방향을 따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물고기가 바늘에 걸렸을 경우에 낚싯대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에 의하여 장대축선 방향을 따른 인장력이 발생하지만, 그 인장력에 대하여 상기한 장대축선 방향으로 배치한 강화 섬유가 대항력을 발휘하여 장대의 파손 등을 저지할 때에 2매의 프리프레그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대항력을 크게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굽힘 모멘트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를 크게 할 수 있어 구부러짐에 대한 강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중간층과 상기 외측층 간에서 상기 중간층의 장대 기단부의 외측에 중간 장대 기단 보강 패턴을 배치하고, 상기 중간 장대 기단 보강 패턴을, 장대축선에 대하여 제2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며 상기 메인 패턴보다도 축선 방향을 따른 길이가 짧은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며 상기 메인 패턴보다도 축선 방향을 따른 길이가 짧은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즉, 외측층의 내측에도 중간 장대 기단 보강 패턴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외측층의 장대 기단부로부터 전파(傳播)하는 전단력에 대하여 그 중간 장대 기단 보강 패턴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는 방향으로 혼합된 강화 섬유가 대항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강화 섬유의 박리나 수지의 열화 등을 저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내측층의 장대 기단부의 내측에 내측 장대 기단 보강 패턴을 배치하고, 상기 내측 장대 기단 보강 패턴을, 상기 메인 패턴보다도 축선 방향을 따른 길이가 짧고 또한 강화 섬유군을 장대축선에 대하여 제1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하고 있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메인 패턴보다도 축선 방향을 따른 길이가 짧고 또한 강화 섬유군을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 유군과 상기 장대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하고 있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이와 같이, 장대의 장대 기단부 위치에서 내측층의 한층 더 내측에도 내측 장대 기단 보강 패턴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장대의 장대 기단부 위치에는 내측 장대 기단 보강 패턴, 중간 장대 기단 보강 패턴, 외측 장대 기단 보강 패턴을 배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측 압접면에 접촉하는 외측면뿐만 아니라, 각 층마다 보강 패턴을 설치할 수 있었기 때문에, 전단력에 대한 대항력을 높일 수 있어 장대의 변형 등을 유효하게 저지할 수 있다.
<실시예>
〔제1 실시예〕
낚싯대를 구성하는 장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대용 장대(A)는 프리프레그를 권회하여 구성한 내측층(Aa), 중간층(Ab), 외측층(Ac)를 배치한 3층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장대(A)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단으로서 맨드릴(4)에 입구 감기 보강 패턴(5)를 권회하는 것과 함께, 맨드릴(4)에 권회한 입구 감기 보강 패턴(5) 상에서 내측층(Aa)으로서의 제1 슬릿 테이프(1)를 권회한다. 제2단으로서, 권회된 제1 슬릿 테이프(1) 상에서 중간층(Ab)으로서 제1 메인 패턴(2A)과 제2 메인 패턴(2B)을 겹쳐 맞추어 권회하고, 나아가 제3단으로서 제2 메인 패턴(2B) 상에서 외측층(Ac)으로서의 제2 슬릿 테이프(3)를 권회하며, 제 2 슬릿 테이프(3) 상에서 제3 장대 기단 보강 패턴(6)을 권회하도록 하고 있다.
제3 장대 기단 보강 패턴(6)을 권회한 후에는,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셀로판 테이프 등의 성형 테이프를 장대의 전체 길이에 걸쳐 나선상으로 권회하여 감고, 그 후 소성하여 성형 테이프를 박리하고 소정 길이로 재단하여 원추대상(圓錐臺狀)의 장대 소재를 형성하며, 센터레스(centerless) 연마기 등으로 상기 장대 소재의 외주면을 소정의 테이퍼 형상으로 되도록, 또한 이음매부를 소정 치수로 마무리 가공을 시행하여 장대로 한다.
상기한 메인 패턴 및 보강 패턴으로서 사용되는 프리프레그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프리프레그로서는 강화 섬유(c)로서 탄소 섬유를 사용하고, 강화 섬유(c)에 함침시키는 열경화성 수지로서 에폭시 수지가 사용된다. 단, 강화 섬유(c)로서는 유리 섬유 및 보론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페놀 수지 등이 사용 가능하다. 함침시키는 수지로서는, 열가소성 수지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그들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c)로서는, 탄소 섬유로 메인 패턴에 20 ~ 60톤/mm2의 탄성률인 것, 보강 패턴에 10 ~ 20톤/mm2의 탄성률인 것을 사용하게 된다.
입구 감기 보강 패턴(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구 감기 보강 패턴(5)은, 장대축선(X)에 대하여 제4 경사각(θ4)을 따라 혼합 배치된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c)군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c)군과 상기 장대축선(X)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c)군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고, 장대의 장대 선단부의 축선 방향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재단하여 구성하고 있다.
내측층(Aa)으로서의 제1 슬릿 테이프(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슬릿 테이프(1)는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c)를 원주 방향으로 혼합한 것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를, 장대의 축선 방향을 따른 폭을 세폭 (5mm ~ 10mm 정도)으로 재단하여 테이프상으로 연결한 것이다. 이 제1 슬릿 테이프(1)를 입구 감기 보강 패턴(5)을 권회한 맨드릴(4)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나선상으로 권회하여 내측층(Aa)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중간층(Ab)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간층(Ab)을 구성하는 제1 메인 패턴(2A)과 제2 메인 패턴(2B)은, 강화 섬유(c)를 축선 방향을 따라 혼합한 프리프레그를 장대의 대략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또한 1프라이에서 2프라이의 길이에 상당하는 폭을 가지는 것으로 재단되어 있다. 이 2매의 메인 패턴(2A, 2B)을 차례로 제1 슬릿 테이프(1) 상에서 권회하는 것에 의하여 중간층(Ab)을 형성한다.
외측층(Ac)으로서의 제2 슬릿 테이프(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슬릿 테이프(3)는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c)를 원주 방향으로 혼합한 것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를, 장대의 축선 방향을 따른 폭을 세폭 (5mm ~ 10mm 정도)으로 재단하여 연결한 것이다. 이 제2 슬릿 테이프(3)를 제2 메인 패턴(2B)을 권회한 맨드릴(4)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나선상으로 권회하여 외측층(Ac)을 형성한다.
장대 기단 보강 패턴으로서의 제3 장대 기단 보강 패턴(6)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장대 기단 보강 패턴(6)은, 장대축선(X)에 대하여 제3 경사각(θ3)을 따라 혼합 배치된 탄소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강화 섬유(c)군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c)군과 상기 장대축선(X)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c)군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고, 장대의 장대 기단부의 축선 방향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재단되어 구성하고 있다.
이상 기재한 바와 같이, 각 패턴을 순차로 맨드릴(4)에 권회하는 것에 의하여 장대(A)를 구성한다. 또한, 각 보강 패턴에서의 강화 섬유의 경사각(θ)은 0°에서 90°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지만, 바람직하지는 45°에서 80°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나아가, 제1 경사각(θ1) ~ 제4 경사각(θ4)까지의 경사각을 동일각으로 설정해도 무방하고, 각 경사각을 다른 각도로 설정해도 무방하다.
〔제2 실시예〕
장대(A)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제2단으로서 제1, 제2 메인 패턴(2A, 2B)을 겹쳐 감은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 제2 실시예에서는 중간층(Ab)으로서 제1 메인 패턴(2A)만을 권회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이 이외의 내측층(Aa), 외측층(Ac), 입구 감기 보강 패턴(5), 제3 장대 기단 보강 패턴(6)은 동일하다.
즉, 이 제2 실시예에서는 중간층(Ab)으로서 제1 메인 패턴(2A)만을 시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중간층(Ab)에서의 인장력에 대한 대항력은 저하하는 것으로 되지만, 그 대신에 장대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는, 제1 실시예에서 도시한 장대에 비하여 소형의 물고기를 대상으로 한 약간 작은 장대에 이용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장대(A)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단으로서 맨드릴(4)에 입구 감기 보강 패턴(5)과 제1 장대 기단 보강 패턴(7)을 권회하는 것과 함께, 맨드릴(4)에 권회한 상기 입구 감기 보강 패턴(5) 및 제1 장대 기단 보강 패턴(7) 상에서 내측층(Aa)으로서의 제1 슬릿 테이프(1)를 권회한다. 제2단으로서, 권회된 제1 슬릿 테이프(1) 상에서 중간층(Ab)으로서 제1 메인 패턴(2A)과 제2 메인 패턴(2B)을 겹쳐 권회한다. 제2 메인 패턴(2B) 상에서 제2 장대 기단 보강 패턴(8)을 권회한다. 나아가, 제3단으로서 제2 메인 패턴(2B) 및 제2 장대 기단 보강 패턴(8) 상에서 외측층으로서의 제2 슬릿 테이프(3)를 권회하고, 제2 슬릿 테이프(3) 상에서 제3 장대 기단 보강 패턴(6)을 권회하도록 하고 있다.
즉, 이 제3 실시예에서는 장대 기단 보강 패턴으로서 제1 장대 기단 보강 패턴(7)을 제1 슬릿 테이프(1)의 내측에 배치하는 것과 함께, 제2 장대 기단 보강 패턴(8)을 제2 메인 패턴(2B)의 외측에 배치하는 점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이것에 의하여, 장대 기단 보강 패턴을 각 층마다 설치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상대측 압접면에 접촉하는 외측면뿐만 아니라, 각 층마다 보강 패턴을 설치 할 수 있고, 전단력에 대한 대항력을 높일 수 있어, 장대의 변형 등을 유효하게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제3 실시예가 적용되는 장대로서는, 제2 실시예의 것에 비하여 대형 물고기를 낚아 올릴 때에 적용 가능하고, 비교적 큰 하중이 작용하여도 이음매부(B)에서 3개의 장대 기단 보강 패턴이 전단력에 대하여 대항력을 발휘하여 이음매부(B)에서의 변형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이 제3 실시예에서 제2 장대 기단 보강 패턴(8)을 제2 메인 패턴(2B) 상에 시행하는 형태를 도시하였지만, 제2 장대 기단 보강 패턴(8)을 설치하는 위치로서는, 제1 메인 패턴(2A)과 제2 메인 패턴(2B) 간이라도 무방하고, 또한 제1 메인 패턴(2A)의 내측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한 제1 메인 패턴(2A)의 내측, 제1 메인 패턴(2A)과 제2 메인 패턴(2B) 간, 제2 메인 패턴(2B)의 외측의 3개소에 설치해도 무방하다.
〔다른 실시 구조〕
(1) 제3 장대 기단 보강 패턴(6)의 구성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한 제3 장대 기단 보강 패턴(6)으로서는 강화 섬유(c)군을 장대축선(X)에 대하여 경사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를 그 강화 섬유(c)군이 서로 교차하는 상태로 되도록 겹쳐 맞춘 중합체(6A)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중합체(6A)를 권회한 후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중합체(6A) 상에서 수지의 돌기(9)를 복수 개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 수지의 돌기(9)를 형성하는 방법은 도시하지 는 않지만, 수지의 돌기(9)를 형성하는 중합체(6A)의 표면에 다수의 관통공을 형성한 마스크 부재를 덮고, 그 마스크 부재 상에서 돌기 형성 도료를 분무식 도장 방법을 이용하여 분사하는 것에 의하여 마스크 부재의 관통공을 통하여 도료를 중합체(6A)의 표면에 부착시켜 돌기(9)를 형성한다. 돌기(9)의 형성 부위는 장대 선단측 장대를 장대 기단측 장대에서 뽑아낸 상태에서 장대 기단측 장대의 장대 선단보다 돌출하지 않는 가장 안쪽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미관을 해치는 일이 적다.
이와 같이 돌기(9)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장대 선단측 장대의 장대 기단부의 표면이 장대 기단측 장대의 장대 선단부의 내주면에 전면적으로 밀착하는 일이 없고, 돌기(9)끼리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이 틈새 부분에 수분을 보류할 수 있다.
따라서, 장대 선단측 장대의 장대 기단부의 표면이 장대 기단측 장대의 장대 선단부의 내주면에 전면적으로 밀착하는 경우와 같이, 그 밀착 부위에 수분이 깊숙히 들어가 그 수분이 개재(介在)하는 것에 의하여 밀착도가 보다 강력하게 되는 고착 현상이 일어나는 일이 있다. 이 고착 현상이 일어나는 것에 의하여, 일단 뽑아낸 장대 선단측 장대를 장대 기단측 장대 내로 되돌릴 수 없는 상태가 되지만, 여기에서는 돌기(9)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돌기(9)만이 장대 기단측 장대의 장대 선단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전면 접착 상태로는 되지 않고, 수분도 인접하는 돌기(9)의 사이에 개재하게 되어, 장대 선단측 장대의 장대 기단부의 표면이 장대 기단측 장대의 장대 선단부의 내주면과의 밀착도를 높이는 방향으로는 작용하지 않는다.
덧붙여, 돌기(9)를 제3 장대 기단 보강 패턴(6)을 대신하여 단독으로 형성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2) 제3 장대 기단 보강 패턴(6)의 구성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한 제3 장대 기단 보강 패턴(6)으로서는 강화 섬유(c)를 장대축선(X)에 대하여 경사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를 그 강화 섬유(c)가 서로 교차하는 상태로 되도록 겹쳐 맞춘 중합체(6A)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 중합체(6A)와 함께 다음과 같은 보조 패턴(6B)을 겹쳐 맞추어 사용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즉,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패턴(6B)은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c)를 원주 방향으로 혼합한 것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6a)에,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유연성이 높은 섬유(c)를 크로스 조합한 것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6b)를 겹쳐 맞추고, 탄소 섬유 등을 원주 방향으로 혼합한 프리프레그(6a)가 내측으로 되도록 중합체(6A) 상에서 권회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패턴(6B)의 축선 방향을 따른 길이는 중합체(6A)보다는 짧고, 중합체(6A)의 장대 선단 측에 위치하도록 보조 패턴(6B)을 권회한다.
여기에, 중합체(6A)와 보조 패턴(6B)의 배치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내측에 위치하는 중합체(6A)는 이음매부(B)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배치된다. 이것에 대하여, 보조 패턴(6B)에 대해서는 중합체(6A)보다 짧고, 또한 장대 선단 측으로 접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합체(6A)를 이음매부(B)에 상당하는 길이로 설치하고 있어도, 이음매부(B)의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장대 선단측 장대를 장대 기단측 장대에서 뽑아내는 조작을 한 경우에 중합체(6A)와 보조 패턴(6B)의 장대 선단이 장대 기단측 장대의 장대 선단보다는 돌출하는 일은 없어 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중합체(6A)를 이음매부(B)의 장대 선단측의 어깨 부분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장대 선단측 장대의 이음매부(B)에서의 장대 선단측단 근방에 발생하는 「가장자리 꺾임」이라고 불리고 있는 장대의 파손을 회피할 수 있다.
보조 패턴(6B)에서의 장대의 표측에 위치하는 프리프레그(6b)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하면,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프레그(6b)에서는 유연성이 높은 섬유(c)를 크로스망(網)하여, 섬유(c)를 거북이 등상(狀)으로 배치하는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섬유(c)에 함침시킨 수지는 연마 가공을 시행하여 깎아내기 때문에 섬유만이 표면에 표출한 상태로 되어 있고, 거북이 등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되고 있는 유연성이 높은 섬유로서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의 수지 섬유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 프리프레그(6b)가 이음매부(B)의 표면에 위치하여 상대측의 이음매부(B)를 구성하는 프리프레그와 압접하는 상태로 되어도, 거북이 등상의 오목부의 존재에 의하여 수분이 개재하여도 수분은 거북이 등상의 오목부에 모일 뿐으로 압접 상태를 강화하는 방향으로는 작용하지 않아 이음매부의 고착 상태가 완화된 다.
(3) 본 발명의 구성은 뽑이식 장대의 계류대, 은어 장대 등뿐만 아니라, 병계식(竝繼式), 또는 인롱(印籠, 접합부의 재(材)의 한쪽 단의 일부를 돌출시키고, 다른쪽 단의 일부를 움푹 패게 하여 연결하는 것) 이음식 낚싯대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결점을 해소하고, 장대의 외주면이 소정의 원추상을 나타낼 수 있는 낚싯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장대 선단측 장대를 장대 기단측 장대에서 뽑아낸 상태로, 장대 선단측 장대의 장대 기단부의 외주면을 기단측 장대의 장대 선단부의 내주면에 압접시키는 것과 함께, 서로 압접 상태로 되는 장대 선단측 장대의 장대 기단부의 외주면과 장대 기단측 장대의 장대 선단부의 내주면으로 이음매부를 구성하는 뽑이식 장대이고,
    상기 장대 선단측 장대에, 강화 섬유군을 장대의 원주(圓周) 방향을 따라 혼합한 프리프레그(prepreg)제의 슬릿 테이프를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에 걸쳐 맨드릴(mandrel)에 나선상(螺旋狀)으로 권회(卷回)하여 내측층과 외측층을 각각 구성하고, 상기 내측층과 상기 외측층 간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장대의 축선 방향을 따라 강화 섬유를 혼합한 프리프레그를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재단한 메인 패턴으로 구성하며,
    상기 내측층의 장대 선단부보다도 한층 더 내측에 최내층으로서 입구 감기용 보강 패턴을 배치하고, 상기 입구 감기용 보강 패턴을, 상기 메인 패턴보다도 축선 방향을 따른 길이가 짧고 또한 강화 섬유군을 장대축선에 대하여 제4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한 프리프레그와, 상기 메인 패턴보다도 축선 방향을 따른 길이가 짧고 또한 강화 섬유군을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한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며,
    상기 외측층의 장대 기단부의 외측에 최외층으로서 장대 기단 보강 패턴을 배치하고, 상기 장대 기단 보강 패턴을, 상기 메인 패턴보다도 축선 방향을 따른 길이가 짧고 또한 강화 섬유군을 장대축선에 대하여 제3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한 프리프레그와, 상기 메인 패턴보다도 축선 방향을 따른 길이가 짧고 또한 강화 섬유군을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한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는 뽑이식 장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을, 장대의 축선 방향을 따라 강화 섬유를 혼합한 프리프레그를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재단한 제1 메인 패턴과, 장대의 축선 방향을 따라 강화 섬유를 혼합한 프리프레그를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재단한 제2 메인 패턴을 중합시킨 상태로 구성하고 있는 뽑이식 장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과 상기 외측층 간에서 상기 중간층의 장대 기단부의 외측에 중간 장대 기단 보강 패턴을 배치하고, 상기 중간 장대 기단 보강 패턴을, 장대축선에 대하여 제2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며 상기 메인 패턴보다도 축선 방향을 따른 길이가 짧은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며 상기 메인 패턴보다도 축선 방향을 따른 길이가 짧은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는 뽑이식 장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층의 장대 기단부의 내측에 내측 장대 기단 보강 패턴을 배치하고, 상기 내측 장대 기단 보강 패턴을, 상기 메인 패턴보다도 축선 방향을 따른 길이가 짧고 또한 강화 섬유군을 장대축선에 대하여 제1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하고 있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메인 패턴보다도 축선 방향을 따른 길이가 짧고 또한 강화 섬유군을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하고 있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는 뽑이식 장대.
KR1020050096856A 2005-05-18 2005-10-14 뽑이식 장대 KR101232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45589 2005-05-18
JP2005145589A JP4614277B2 (ja) 2005-05-18 2005-05-18 振出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679A KR20060119679A (ko) 2006-11-24
KR101232812B1 true KR101232812B1 (ko) 2013-02-13

Family

ID=37423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856A KR101232812B1 (ko) 2005-05-18 2005-10-14 뽑이식 장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614277B2 (ko)
KR (1) KR101232812B1 (ko)
CN (1) CN1864481B (ko)
TW (1) TW20064036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3437B2 (ja) * 2007-04-18 2011-08-2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用の竿体
KR100967654B1 (ko) * 2008-03-19 2010-07-07 주식회사은성사 낚싯대
CN102802408B (zh) * 2009-06-23 2014-12-03 株式会社岛野 钓竿用竿体及钓竿
JP5522990B2 (ja) * 2009-07-08 2014-06-18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用竿体及び釣り竿用竿体を備えた釣り竿
JP5626747B2 (ja) * 2009-06-23 2014-11-19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用竿体及び釣り竿
JP5832221B2 (ja) * 2011-09-30 2015-12-16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
JP6095309B2 (ja) * 2012-09-26 2017-03-15 株式会社シマノ 並継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8573A (ja) * 2000-02-29 2001-09-04 Daiwa Seiko Inc 釣 竿
JP2003009722A (ja) * 2001-06-29 2003-01-14 Shimano Inc 竿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2862A (ja) * 2000-06-12 2001-12-25 Shimano Inc 竿 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8573A (ja) * 2000-02-29 2001-09-04 Daiwa Seiko Inc 釣 竿
JP2003009722A (ja) * 2001-06-29 2003-01-14 Shimano Inc 竿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14277B2 (ja) 2011-01-19
KR20060119679A (ko) 2006-11-24
TW200640362A (en) 2006-12-01
TWI343783B (ko) 2011-06-21
JP2006320235A (ja) 2006-11-30
CN1864481A (zh) 2006-11-22
CN1864481B (zh)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812B1 (ko) 뽑이식 장대
KR100201359B1 (ko) 낚싯대재및그제조방법
KR102436772B1 (ko) 낚싯대
KR100879904B1 (ko) 장대의 제조 방법
KR101181251B1 (ko) 낚싯대용 장대 및 낚싯대용 장대의 제조 방법
US20040200123A1 (en) Two piece bonded fishing rod blank and fishing rod
WO2006071465A2 (en) Spliceable fabric
CN105994205A (zh) 卷线器脚固定装置
US10864697B2 (en) Composite membe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KR101198119B1 (ko) 초릿대
KR20200034609A (ko) 낚싯대 및 장대
KR20000015809A (ko) 압축성 주축에서 불균형직물을 감아 얻어지는 복합재료의 튜브형 기구
JPH05168375A (ja) 釣り竿用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05710A (ja) 非接着frp継構造体
JP4947611B2 (ja) 釣り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140562A (ja) 繊維集成材及び繊維集成材の製造方法
KR20200034610A (ko) 낚싯대 및 장대
JP3027295B2 (ja) 釣 竿
JP2010154780A (ja) 釣り用スプ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515891B2 (ja) 釣 竿
JP3553365B2 (ja) 釣竿
JP2008011816A (ja) 振出竿の合わせ部構造
KR100211305B1 (ko) 낚싯대 및 그 제조방법
JP5112284B2 (ja) 釣り用スプール
JPH0549372A (ja) 釣り竿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