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5809A - 압축성 주축에서 불균형직물을 감아 얻어지는 복합재료의 튜브형 기구 - Google Patents

압축성 주축에서 불균형직물을 감아 얻어지는 복합재료의 튜브형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5809A
KR20000015809A KR1019980709358A KR19980709358A KR20000015809A KR 20000015809 A KR20000015809 A KR 20000015809A KR 1019980709358 A KR1019980709358 A KR 1019980709358A KR 19980709358 A KR19980709358 A KR 19980709358A KR 20000015809 A KR20000015809 A KR 20000015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material
tube
winding
fabric
we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르나르 까스타네르
Original Assignee
베르나르 까스타네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르나르 까스타네르 filed Critical 베르나르 까스타네르
Publication of KR20000015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80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60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internal forming surfaces, e.g. mand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581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sheets or strips consisting principally of plastics material
    • B29C53/582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sheets or strips consisting principally of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e.g. wires, 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2Cores or mandrels
    • B29C53/821Mandrels especially adapted for winding and jo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B29C70/22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orient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forming a two dimensional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08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continuous length, e.g. cords, rovings, mats, fabrics, strands or yarns
    • B29K2105/0809Fabrics
    • B29K2105/0845Woven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2Tubes or pipes, i.e.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oven Fabric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압축성 주축에서 불균형직물을 나선형으로 감아 이루어지는 복합재료로 구성된 튜브는 그 직물의 섬유비율에서 씨실이 날실에 대해 불균형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며, 나선형 와인딩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직물을 경사지게 하여 구성된다. 튜브의 나선형 와인딩은 연속적인 선회부들이 부분적으로 겹쳐 이루어지며, 각각의 폭들은 맞대이음 또는 서로 엇갈리게 하며 각각의 폭들에 의한 불연속성을 상쇄하기 위하여 연속층들은 오프셋된다. 사용되는 직물은 단일 형식의 섬유 또는 혼방섬유도 되고, 튜브의 종단면은 원통형이나 장방형이며 튜브간의 고압축력을 가지는 재료를 포함하는 샌드위치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Description

압축성 주축에서 불균형직물을 감아 얻어지는 복합재료의 튜브형 기구
파일, 포스트, 또는 마스트 따위의 다양한 구조물들은 철강으로 만들어져서 그 결과로, 첫째, 무거운 중량 및 그 구조물들을 설치함에 따른 결과적인 문제들과, 둘째, 공기나 물 또는 토양의 영향에 의해 부식하기 쉬운 문제, 셋째 적잖은 유지비용 등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하려는 시도로써, 이러한 구조물들은 알루미늄이나 복합재료로 제조되어 왔다. 복합재료로 된 이러한 구조물들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에는 조방(組紡) 필라멘트를 감는 것이 포함된다. 파일, 포스트 또는 마스트 같은 구조물들은 파괴강도특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이 구조물들을 만곡시키려는 움직임이 가해졌을 때, 매우 견고한 특성을 지녀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복합구조로서는 첫째, 직물의 인장파괴 및 압축강도, 둘째, 보강직물의 굽힘계수 (flexural modulus) 등, 전반적인 장점을 지녀야 한다. 따라서, 후자의 주요부분은 파일, 포스트 또는 마스트의 축을 따라 위치되어야 한다.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압축성 주축에서 불균형직물을 감아 이루어지는 개선된 복합재료의 튜브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된, 주축에서 불균형직물을 나선형으로 감아 이루어지는 복합재료로 구성된 튜브는, 그 직물의 씨실 비율이 날실의 비율에 대해 불균형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며, 나선형 와인딩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직물을 경사지게 하여 구성된다. 튜브의 나선형 와인딩은 연속적인 선회부들이 부분적으로 겹쳐 이루어지며, 각각의 폭들은 맞대이음 또는 서로 엇갈리게 하며 각각의 폭들에 의한 불연속성을 상쇄하기 위하여 연속층들은 오프셋된다. 사용되는 직물은 단일 형식의 섬유 또는 혼방섬유도 되고, 튜브의 종단면은 원통형이나 장방형이며 샌드위치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압축성 주축에서 불균형직물을 감아 얻어지는 복합재료의 튜브형 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튜브에 감기는 직물의 날실 및 씨실의 각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연속적인 선회부 (4) 및 (5)를 부분적으로 겹치게 한 부위(6)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각각의 폭들이 맞대이음하는 부위 (7)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각각의 폭들이 엇갈리는 부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각각의 폭 (14, 15, 16)들이 첫 번째 외향주행에 대한 것이고, 각각의 폭 (17, 18, 19)들은 제 2 외향주행에 대한 것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장방형 튜브들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샌드위치구조로 된 튜브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일, 포스트, 마스트, 빔 등과 같은 연장구조물들은 에폭시, 폴리에스텔 또는 비닐에스텔 수지 등과 같은 히트 세팅 수지가 주입된 열경화성 수지주입 유리섬유를 바람직하게는 나선형으로 감아서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직물들은 불균형직으로서, 다시 말하면 날실보다는 씨실에 더높은 비율의 섬유가 짜여진다. 그 직조는 각도변형가능한 상태여서 구조물의 X-X' 축 방향과 평행하게 씨실필라멘트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높은 만곡강도 복합튜브가 지니는 디자인의 고유성은 다음 설명 및 해당하는 기술적 증명으로써 명확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튜브는, 날실/씨실 비율이 c>t로 불균형인 유리섬유를 나선형으로 감아서 형성시킨다. (여기서, c는 날실상의 섬유비율; t는 씨실상의 섬유비율; 바람직한 수치는 c가 10 내지 25%사이이고 t는 90내지 75%사이임; 이 비율수치는 직경/두께 비율의 기능으로서, 방사상좌굴에 대해 양호한 저항을 갖도록 함)
본 발명에 따르면, 튜브는 전진 및 귀환 나선형 와인딩으로 제공되는 일련의 연속적인 층들로 구성된다. 전진 방사형 와인딩은 종축에 대해 B1 = (90。 - α )의 각도로 이루어지고, 귀환와인딩은 B2 = (90。 + α) 의 각도로 이뤄진다.
나선형와인딩은, 바람직하게는, 직물에다 각도α (도1 참조)의 경사면을 이루면서 행해져서, 씨실(1)이 튜브의 종축에 평행하고 씨실(2)은 원주면 (3)에 대해 각도 α를 갖게 되며 이러한 구성은 굽힘계수를 개선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층은 연속적인 선회부 (4) 및 (5) (도 2 참조)를 부분적으로 겹치게하여 (부재번호 6) 감는다. 부분적으로 너무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 개의 연속선회부 간의 오프셋(1)의 폭은 다음과 같다:
λ = L/n (여기서, L은 층의 폭이고 n은 정수 > 1임)
본 발명에서 벗어남 없이, 나선형으로 감는 것은 도 3의 부재번호 7로 표시된대로 각각의 폭들이 맞대이음하거나 또는 (도 4 참조) 각각의 폭들을 엇갈리게하여 실시된다. 각각의 폭(8) 및 (9)은 제 1 외향주행중에 놓여지고, 폭 (10) 및 (11)은 제 1 귀환주행동안 그리고 폭 (12) 및 (13)은 제 2 외향주행동안 놓여진다. 후자의 와인딩방식은 층간전단응력에 대해 저항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회부가 인접하도록 와인딩되면,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폭들로 인해 야기되는 불연속현상을 감소하기 위해 연속층들이 상쇄된다. 예를 들어, 폭 (L)의 각각의 폭들과 다수개의 층들(q)이 인접하는 나선형 와인딩의 경우, 각 층 (외향 + 귀환주행하는)의 위치는 다음과 같이 폭 K의 공간만큼 오프셋된다: K = L/m (여기서, m은 1보다 큰 정수이고 만약 m = q/r이면 r은 정수이다 (도 5 참조).
각각의 폭(14, 15, 16)들은 첫 번째 외향주행에 대한 폭들이고, 각각의 폭 (17, 18, 19)들은 제 2 외향주행에 대한 폭들이다.
바람직한 섬유가 유리섬유라고 해도,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카본, 아라마이드 또는, 고강도 폴리에틸렌으로 된 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혼방섬유 (예를 들면 유리 플러스 카본)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벗어남 없이, 섬유는 히트셋팅수지가 미리 주입된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섬유는 열가소성수지가 미리 주입된 것이어도 되고, 섬유는 동시에 열가소성필름 및 멜팅 플러스 압축 주입된 것이어도 된다. 상당한 두께로 구성되고, 원통형부위를 가지며 또한 구조물의 X - X'축 방향을 따라 불균형직조된 섬유보강물을 지니는 파일, 포스트 또는 마스트같은 구조물들을 제조할 경우, 중합 후에, 주축에 대해 복합구조물을 고정시키려는 상당한 힘이 있음을 알게 되었는데, 이러한 현상은 주축으로부터 구조물을 제거하기 어렵게 하며 구조물에 미세한 균열을 초래한다.
이러한 주요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압축가능한 재질의 유연층을 주축위에 위치시키고, 이후 유리섬유가 이 압축가능한 주축 위에 감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 재료의 압축가능한 특징은 섬유를 와인딩하는 한정적인 힘이 가해질 때 약간의 변형만을 보일 뿐, 복합구조물의 수축을 흡수하며 주축에다 약간의 고정력을 인가할 뿐이며 주축에서 그것을 제거하기가 용이해진다. 선택된 재료는 마찰계수가 낮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 재료로는 유연하게 연마된 표면을 가진 밀폐셀 폴리에틸렌 폼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특징을 가진 다른 재료도 사용가능한데, 예를 들면, 가요성 폴리우레탄 폼도 사용가능하다. 본발명에 따르면, 주축에서 쉽게 제거하고 튜브의 내부표면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폼은 테르펜필름으로 코팅되어야 한다.
특정한 방사상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굽힘력의 존재에 있어서, 장방형 튜브들이 있는데 (도 6), 이러한 유형의 튜브들은 예를 들면 방파제 건축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 없이, 튜브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두 개의 동축선상의 튜브들 (20), (21)로 구성되고 압축성이 견고한 예를 들면 강성폼, 벌집구조, 발사 등의 재료로 된 벽(21)으로 분리되는 샌드위치구조 (도 7)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튜브들이 보다 가볍고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한 축을 따라 작용하는 굽힘력이 있는 상태에서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내부튜브는 원통형이 될 수 있고 외부튜브는 장방형이 될 수 있다.

Claims (10)

  1. 씨실의 비율이 날실에 대해 불균형을 이루는 직물을 나선형으로 감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의 튜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나선형 와인딩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직물을 경사지게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의 튜브.
  3. 상기한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튜브의 나선형 와인딩은 연속적인 선회부들이 부분적으로 겹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의 튜브.
  4. 상기한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각각의 폭들은 맞대이음 또는 서로 엇갈리게 하며 각각의 폭들에 의한 불연속성을 상쇄하기 위하여 연속층들은 오프셋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의 튜브.
  5. 상기한 제 1, 2, 3 또는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직물은 단일 형식의 섬유 또는 혼방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의 튜브.
  6. 상기한 제 1, 2, 3, 4 또는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종단면은 원통형이나 장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의 튜브.
  7. 상기한 제 1, 2, 3, 4, 5 또는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일한 벽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의 튜브.
  8. 상기한 제 1, 2, 3, 4, 5, 6 또는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튜브간의 고압축력을 가지는 재료를 포함하는 샌드위치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의 튜브.
  9. 상기한 제 1, 2, 3, 4, 5, 6, 7 또는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주축은 압축가능한 재료로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의 튜브.
  10. 상기한 제 9항에 있어서,
    압축가능한 재료는 밀폐셀 폴리에틸렌 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의 튜브.
KR1019980709358A 1996-05-23 1997-05-23 압축성 주축에서 불균형직물을 감아 얻어지는 복합재료의 튜브형 기구 KR200000158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06537A FR2748964B1 (fr) 1996-05-23 1996-05-23 Equipement tubulaire en materiaux composites realises par enroulement de tissus desequilibres en trame sur un mandrin compressible
FR96/06537 1996-05-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809A true KR20000015809A (ko) 2000-03-15

Family

ID=9492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358A KR20000015809A (ko) 1996-05-23 1997-05-23 압축성 주축에서 불균형직물을 감아 얻어지는 복합재료의 튜브형 기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0907494A1 (ko)
JP (1) JP2000510779A (ko)
KR (1) KR20000015809A (ko)
CN (1) CN1219903A (ko)
AU (1) AU3037497A (ko)
BR (1) BR9709357A (ko)
CA (1) CA2255860A1 (ko)
FR (1) FR2748964B1 (ko)
NO (1) NO985411L (ko)
PL (1) PL330186A1 (ko)
TR (1) TR199802381T2 (ko)
WO (1) WO199704418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448B1 (ko) * 2009-07-01 2012-01-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저를 이용한 차선 이탈 경고 장치
CN110815873A (zh) * 2019-11-15 2020-02-21 核工业理化工程研究院 用于复合材料圆筒表面的处理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8523A (ja) * 2009-11-06 2011-05-19 Ihi Corp ケースの製造方法、及びケース
RU2445523C1 (ru) * 2010-09-28 2012-03-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Тихооке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дшипника скольжения
RU2445521C1 (ru) * 2010-10-05 2012-03-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Тихооке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дшипника скольжения
RU2445522C1 (ru) * 2010-11-26 2012-03-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Тихооке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дшипника скольжения
RU2485367C1 (ru) * 2012-03-26 2013-06-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Тихооке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дшипника скольжения
EP3043992B1 (en) * 2013-09-11 2017-11-29 Tata Steel UK Ltd. Tubular containment part for a flywheel containment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RU2540894C1 (ru) * 2013-11-28 2015-02-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Тихооке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дшипника скольжения
DE102017009839A1 (de) * 2017-07-12 2019-01-17 Oke Kunststofftechnik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profils und Verbundprofil
CN113232328B (zh) * 2021-03-31 2022-05-06 成都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2.5d编织的复合材料s型进气道筒体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1052A (en) * 1960-09-19 1964-07-14 Jr Peter Labash Method of forming seamless hollow plastic shapes
DE1704632A1 (de) * 1967-02-24 1971-05-19 Bayer Ag Wickeldorn und Verfahren fuer die Herstellung von Rohren aus glasfaserverstaerkten Duroplasten
DE2423223C3 (de) * 1974-05-14 1978-11-02 Troisdorfer Bau- Und Kunststoff Gmbh, 5210 Troisdorf Aufheizbare Wickeltrommel aus Stahl zum Herstellen von Rohren und Behältern
US3969557A (en) * 1975-02-27 1976-07-13 Amf Incorporated Fiberglass vaulting pole
US3989562A (en) * 1975-03-10 1976-11-02 Pikaz, Inzenyrsky Podnik Container body
US4273601A (en) * 1977-10-31 1981-06-16 Structural Composites Industries, Inc.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elongated resin impregnated filament composite structures
DE3929473A1 (de) * 1989-09-05 1991-03-07 Ch Polt I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herstellung von glasfaserkunststoffhuell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448B1 (ko) * 2009-07-01 2012-01-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저를 이용한 차선 이탈 경고 장치
CN110815873A (zh) * 2019-11-15 2020-02-21 核工业理化工程研究院 用于复合材料圆筒表面的处理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48964A1 (fr) 1997-11-28
AU3037497A (en) 1997-12-09
TR199802381T2 (xx) 1999-06-21
FR2748964B1 (fr) 1998-08-07
CA2255860A1 (en) 1997-11-27
WO1997044181A1 (fr) 1997-11-27
PL330186A1 (en) 1999-04-26
JP2000510779A (ja) 2000-08-22
NO985411D0 (no) 1998-11-20
BR9709357A (pt) 1999-08-10
NO985411L (no) 1998-11-23
EP0907494A1 (fr) 1999-04-14
CN1219903A (zh) 1999-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8713A (en) Fishing rod made of fiber reinforced synthetic resin
US5688571A (en) Composite tubular member with internal reinforcement and method
US4119748A (en) Steel cord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JP3369554B2 (ja) 側壁に隣接した軸線方向の繊維を有する複合管状部材
US6811877B2 (en) Reinforcing structure
US3449199A (en) Helical reinforced materials and method of making same
WO1989002821A1 (en) Lining material of pipeline
US4328272A (en) Reinforced laminated structure
KR20000015809A (ko) 압축성 주축에서 불균형직물을 감아 얻어지는 복합재료의 튜브형 기구
EP0524206A1 (en) Composite tubular member with multiple cells
KR20180111035A (ko) 나선형 리브를 가진 복합소재 리바의 제조방법
US4786536A (en) Composite deflectable spring structure
US4757658A (en) Panel structure with composite coupling
EP1444458B1 (en) High-strength butt-wrap joint for reinforced plastic pipes
WO1994026501A1 (en) Support pole for electricity power transmission line
GB2104996A (en) Hose
EP1446603B1 (en) A flexible pipe with a tensile reinforcement
EP0214835A2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ubular woven fabrics and hoses incorporating such fabrics
JP5132326B2 (ja) コンクリート補修・補強用炭素繊維テープ材
EP0912325B1 (en) Fiber-reinforced resin pipe having improved impact resistance and production method
US4775563A (en) Composite spring-lock coupling
JP4496656B2 (ja) 内張り材用基材、内張り材、及び管のライニング方法
GB1565605A (en) Fishing rod made of fibre reinforced synthetic resin
CN210722596U (zh) 复编高强绝缘管
RU2096678C1 (ru) Защитная оболочка из компози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