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922B1 - 파파야 퓌레 조제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파파야 퓌레 조제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922B1
KR101227922B1 KR1020057009381A KR20057009381A KR101227922B1 KR 101227922 B1 KR101227922 B1 KR 101227922B1 KR 1020057009381 A KR1020057009381 A KR 1020057009381A KR 20057009381 A KR20057009381 A KR 20057009381A KR 101227922 B1 KR101227922 B1 KR 101227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puree
preparation
carica papaya
puree pr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6788A (ko
Inventor
다네트 바네사 최
Original Assignee
지광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광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지광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86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9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7Chemical peeling or cleaning of harvested fruits, vegetables or othe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0Lax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2Antidiarrho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4Prodigestives, e.g. acids, enzymes, appetite stimulants, antidyspeptics, tonics, antiflatul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4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ncreatic hormones
    • A61P5/5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ncreatic hormones for increasing or potentiating the activity of insul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Diabet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Obesit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sych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리카 파파야(Carica papaya) 과실로부터 퓌레 조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과실 또는 특히 체에 거른 형태의 분쇄된 과실을 보통 압력에서 30분 이상, 경우에 따라 상기 과실 부피의 2배 이상의 수용액에 넣고 삶는 단계, 삶아낸 상기 과실 또는 분쇄 과실을 산소를 함유한 대기 중에서 30분 이상의 시간동안 식히는 단계, 및 경우에 따라 식힌 상기 과실 또는 분쇄 과실을 균질의 퓌레 상태가 될 때까지 분쇄하고, 혼합하고 걸러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파야 퓌레 및 그의 용도{PAPAYA PUREE AND THE USE OF THE SAME}
본 발명은 카리카 파파야(Carica papaya) 과실로부터 퓌레 조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리카 파파야(멜론 나무)는 제비꽃 목, 카리카 과에 속하며, 크고 즙이 많고 맛이 좋은 열매(파파야)를 맺는다.
파파야는 열대 지방에서 유래하며, 거기서 경작되었다. 스리랑카, 인도, 호주, 동아프리카 및 브라질에 대규모 농장이 있다. 멕시코와 중앙 아메리카에도 많은 농장이 있으나, 규모는 훨씬 더 작다. 카리카 파파야 나무는 6m까지 자라고, 그 열매의 무게는 7kg까지 나갈 수 있다.
전통 의료 문화에서 파파야(껍질, 과육, 씨, 드물게는 잎과 유액)는 특히 천식, 기생충 질환, 창상 치유 장애 및 설사나 변비와 같은 위장 문제를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파파야의 성분은 소화 활동을 자극 및 조절하고, 위산 과다증을 완화하며, 과도한 가스성 팽만을 완화하고, 단백질 분해를 촉진한다.
파파야의 치료 효과는 Oviedo(1526)라는 스페인 사람에 의해 최초로 기록되었다. 멕시코 전통 의료 연구소의 소장인 Mario Rojas Alba 박사는 1996년부터 파파야 열매의 치료 효과를 연구하는데 전념해 왔다.
지금까지 아래의 6가지 효소를 분리하였다.
- 파파인(papain)
- 키모파파인 A, B
- 리소자임
- 리파아제
- 글루타민 사이클로페라아제
- 칼로스
또한, 파파야에는 하기의 성분들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 펙틴
- 비타민 A, B, C
- 필수 지방산
- 바이오플라보노이드
- 칼륨
- 칼슘
- 마그네슘
- 포스포타이드
- 펩티드
- 아미노산(예: 아르기닌)
글리코사이드 카르파인(carpain)은 강심 효과를 갖는다고 한다.
카리카 파파야는 식품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인 파파인을 제조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파파인은 화상에 의한 감염을 막고, 창상에서 섬유소를 제거(defibrination)하고, 곤충 교상을 치료하고, 부종 및 염증 과정을 치료하고, 창상 치료를 촉진하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배탈이 났을 때 소량으로 사용된다. 그 밖에도 파파야는 완화(laxative) 및 원기 회복 효과가 있다고 한다.
파파인(파파야 펩티다아제 I, EC 3.4.22.2)은 익지 않은 파파야의 유액(latex)으로부터 얻어지며, 상기 유액은 건조되어 분말 처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화 장애 치료용 제제 및 소화 조절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리카 파파야 과실로 퓌레 조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련되며, 상기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특징으로 한다.
- 과실 또는 특히 체에 거른 형태의 분쇄된 과실을 보통 압력에서 30분 이상, 경우에 따라 상기 과실 부피의 2배 이상의 수용액에 넣고 삶는 단계,
- 삶아낸 상기 과실 또는 분쇄 과실을 산소를 함유한 대기 중에서 30분 이상의 시간동안 식히는 단계, 및
- 경우에 따라, 식힌 상기 과실 또는 분쇄 과실을 균질의 퓌레 상태가 될 때까지 분쇄하고, 혼합하고 걸러내는 단계.
삶기 시간 및 식힘 시간이 적절하게 고려된 상태에서 상기 방식으로 제조된 퓌레는 놀랍게도 소화 장애를 치료하는데 매우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특성은 상기 삶기 시간 및 식힘 시간이 준수되지 않는 경우에는 결코 얻어지지 않거나 극히 미세하게 나타난다.
30분이라는 최소 시간은 보통 압력에서의 가열 조건을 말하나, 원료가 가압 하에서 가열되는 경우에는 최소 삶기 시간이 상응하게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실 삶기는 - 사용된 과실의 수분 함량에 따라 - 바람직하게 과실의 2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약 4배 부피의 수용액을 사용하여 실시된다. 이러한 구현은 과실 전체를 삶거나 수분 함량이 적은 분쇄 과실이 사용되는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이 경우에도 역시, 밀폐 용기에서(가압 하에) 삶아지는 경우 필요 수분 함량이 소량으로 감소되는 원리가 적용되는데, 그 이유는 그렇지 않으면 물의 양이 적어도 2배일 때 최종 생산물이 너무 묽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삶기 과정은 보통 아무것도 첨가되지 않은 기존의 수돗물을 사용하여 실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시간,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시간, 특히 적어도 5시간 동안 삶기가 실시된다. 식힘 과정은 예컨대 열 에너지의 추가 도입을 막음으로써 또는 가열한 장소로부터 삶은 과실이 들어 있는 용기를 실온의 장소로 옮김으로써 구현된다. 앞에서 지적하였듯이, 이러한 식힘 과정 역시 본 발명에 따른 퓌레의 소화 조절 특성을 발현시키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며, 적어도 30분 동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시간 동안,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시간(또는 5시간 내지 7시간) 동안 실시되어야 한다. 물론 10시간 이상도 가능하다. 식힘 과정에서는 산소 공급이 중요하며, 모든 조작은 바람직하게는 공기 공급 중에 실시한다.
퓌레 제조시, 특히 분쇄 단계, 혼합 단계 및 거르기(straining) 단계에서 보관 품질을 높이기 위해 시트르산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어서 그렇게 하여 얻은 퓌레를 통상의 식품 공학적 조건에서 저온살균하는(pasteurization) 것도 역시 바람직하다.
농도 및 형태에 있어서 맛있어 보이면서, 더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최종 생산물을 얻기 위해, 조리하기 전에 과실의 껍질을 벗기고 씨를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조리 과정 직전에 예컨대 체질(sieving)을 통해 과실을 분쇄할 수도 있다.
반쯤 익은 내지는 완전히 익은 카리카 파파야 과실을 사용할 때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파파야의 숙성 상태는 껍질의 색상으로 규정할 수 있다. 익지 않은 과실의 껍질은 100% 녹색이고, 반쯤 익은 경우에는 50 내지 75%가 황색이며, 완전히 익은 과실은 80% 내지 100% 황색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는, 카리카 파파야 과실로 만든 퓌레 조제품을 소화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제제를 제조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제품은 놀랍게도 소화 장애, 특히 만성 변비, 가스성 팽만 및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치료에 특히 적합하며, 더욱 놀라운 것은 이러한 적합성이 카리카 파파야 과실의 성질에서 주로 유래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퓌레의 특별한 조제 방법에서 기인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중요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퓌레를 비치료 분야에서, 예컨대 소화 장애가 없는 본래 건강한 사람의 소화 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용도로 예컨대 식품 첨가물 또는 보충물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한 특별한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통해 카리카 파파야 과실로 만들어진 퓌레 조제품 자체와 관련이 있다. 상기 조제품은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특히 삶기 시간 및 식힘 시간과 같은 특수한 제조 유형으로 인해 매우 효과적이고,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라 기술한 적응증들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제품의 수분 함량은 9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며, 수분 함량의 조절은 각각의 적응증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때 수분 함량이 60 내지 85%, 특히 70 내지 80%일 것이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되었는데, 그 이유는 그러한 수분 함량이 높은 효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투여시 중요한 장점들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무에서 익은 상태로 딴 과실은 예컨대 88%의 수분 함량 및 8 내지 12%의 당도를 갖는다. 상기 과실들로부터 1:1 제품이 생산된다면, 예컨대 하기에 기술된 투여량 도수에서 변비의 개선을 위해 2배의 양이 투여되어야 할 것이다. 즉, 실제로 2 테이블스푼을 2회 또는 20ml를 2회 투여하는 대신, 4 테이블스푼을 2회 또는 40ml를 2회 투여해야 한다. 나무에서 익은 상태로 딴 과실을 기준으로 매우 바람직한 약 2:1의 농도에서는 약 77%의 수분 함량 및 16 내지 24%의 당도를 가진 최종 생산물이 얻어진다.
당 함량은 명백히 본 발명에 따른 퓌레의 필수적인 제조 파라미터이다. 이러한 당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특히 12 내지 26%이다. 예컨대 노인 의학에서 당뇨 환자 또는 당뇨 위험이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경우, 당연히 당 함량의 조절에 있어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조제품의 효능이 무엇보다 놀라운 것은 특히 제조 방법이 오래 지속되는 조리 과정을 수반한다는 사실 때문이다. 이는 특히 만성 변비의 경우 소화 과정을 개선하는 작용의 관점에서 주로 두드러지는데, 그 이유는 파파야 조제품의 긍정적인(명백한) 소화 촉진 작용에 관하여 공지되어 있는 모든 출판물이 파파인 효소의 일반적인 소화 촉진 작용 또는 파파인의 작용에 기초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증명된 바에 의하면 85℃ 이상의 열처리 온도에서는 파파인이 분해되어 효능이 없어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식은 전술한 종래 기술과 완전히 모순된다. 따라서 명백하게 파파인이 분해되는 유형의 제조 방식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예에서 지적한, 특히 만성 변비 및 만성 설사에 효과를 나타낸 임상 연구의 결과들은 그만큼 더 놀라운 것이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조제품은 예방 및 치료 특성을 보이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조제품을 이용한 임상 연구와 관련하여 특별한 면역력 강화 효과 및 특히 발 궤양(ulcus cruris)의 창상 치료 촉진 효과, 당뇨병 환자의 인슐린 요구량 감소 효과, 파킨슨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활력 증가 및 상태 개선 효과가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소화 장애의 치료 외에 이러한 적응증들도 명백히 본 발명의 매우 중요한 특징에 속한다.
치료될 질병의 개개의 임상적 특성에 따라 복용량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즉, 예컨대 만성 설사 치료에서는 충분한 효능을 유도하기 위해 변비 치료의 경우보다 실제로 더 낮은 복용량이 요구되고, 그렇기 때문에 예컨대 만성 변비의 치료에서는 수분 함량도 더 낮은 범위로 조절되는(예: 70 내지 85%) 반면, 설사 치료에 사용되는 제제의 경우에는 더 높은 수분 함량 및 더 적은 복용량이 적용된다.
수분 함량의 조절은 삶기 과정과 관련하여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 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서는 사용된 과실의 수분 함량에 따라 물이 첨가될 수 있고, 또는 예컨대 파파야가 이미 분쇄된(으깨어진, 체에 걸러진 등) 형태로 삶기 과정을 거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물이 첨가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제조 유형은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파파야 퓌레를 현지에서 제조하는 경우에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는데, 그 이유는 상기 과실은 일반적으로 수확시에 더 높은 수분 함량을 갖기 때문이다.
실시예
1. 카리카 파파야 과실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퓌레를 제조
껍질의 적어도 20%가 황색인 100kg의 파파야 과실의 껍질을 벗기고 씨를 제거하여, 500ℓ 짜리 조리 용기에 넣고 300ℓ의 수돗물을 보충하였다. 이어서 용기를 개방한 상태에서 과실을 물과 함께 3시간 동안 끓인 다음, 개방 상태로 실온에서 6시간 동안 식혔다.
식히고 난 다음 끓인 재료에 pH 값이 약 3.8%(약 600g)로 감소할 때까지 시트르산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식힌 재료를 고운 퓌레 상태가 될 때까지 혼합하거나 체에 걸러서, 1ℓ 짜리 유리 용기에 담아 밀폐하여 저온살균하였다.
2. 본 발명에 따른 퓌레를 대량 제조
대량 제조, 특히 현지(파파야 원산국) 제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예비 처리가 바람직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과실을 씻은 다음 기계로 껍질을 벗기고 씨를 제거하였다(씨를 제거하기 위해 이 단계에서 미리 과실을 체에 거름으로써 삶은 후 체질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런 다음, pH 값이 3.5 내지 5.0, 특히 3.8 내지 4.4로 조절되도록 시트르산을 첨가하고, 상기 퓌레를 저온살균하여 무균 상태로 통에 채운다. 그렇게 하여 항공 화물 또는 해상 화물로 운송될 수 있다.
반쯤 익은 것에서부터 완전히 익은 파파야로 만든 반제품이 예컨대 유럽 시장에서 판매되는 과실보다 더 높은 수분 함량, 예컨대 약 88%의 수분 함량을 갖는 경우에는, 삶을 때 - 특히 삶기 전에 이미 분쇄를 거쳤다면- 물을 첨가하지 않아도 된다. 제품-기술적 이유에서 바람직한 밀도 및 농도를 얻기 위해, 심지어 반제품도 수분 함량이 약 77%로 감소하고 당 함량이 약 16%(익지 않은 상태에서 딴 과실의 경우에는 약 5%, 반쯤 익은 내지는 완전히 익은 상태에서 딴 과실의 경우에는 약 8 내지 12%)로 증가할 정도로 농축시킬 수 있다. 실제로, 이는 통상 1ℓ의 "미정제 퓌레(crude puree)"를 약 1/2ℓ의 "기성 퓌레(ready-made puree)"로 농축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효능을 유발하는 데 있어 필수적이며 변하지 않는 삶기 과정 및 식힘 과정 이후, 2가지의 바람직한 포장 방법이 있다.
A) 유리 표장
농축 퓌레(식품법에 따라 2:1의 농도를 가진 퓌레부터 농축 퓌레라고 함)를 유리병에 채운 다음 저온살균한다.
B) 필로우 백(pillow bag) 또는 스틱팩(stickpack) 포장
농축 퓌레를 스틱팩에 분할 주입(각 20 ㎖)하여 밀착시킨 다음 마찬가지로 저온살균하거나, 또는 균이 들어가지 않게 뜨거운 상태에서 즉시 넣는다.
3. 만성 변비를 앓고 있는 노인 환자에서 본 발명에 따른 파파야 조제품의 효능에 관한 연구
3.1. 연구 조제품의 설명
나무에서 익은 상태로 딴 파파야 과실의 껍질을 벗기고 씨를 제거한 다음, 적어도 2배 부피의 수용액에 넣고 30분 내지 5시간 동안 삶았다. 그런 다음 상기 삶은 과실을 산소 함유 대기 중에서 적어도 30분동안 식히고, 걸러내어 시트르산을 첨가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상기 조제품을 유리 용기에 채워 저온살균하였으며, 개봉 후에는 상기 유리 용기를 냉장고 안에 보관하였다.
3.2. 연구 설계
본 연구는 대부분 거동이 불편한, 노인 센터의 4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환자들은 모두 만성 변비라는 의학적 진단을 받았으며, 매일 내지는 적어도 주 3회 완하제를 복용하였다. 이들 중 95% 이상이 매크로골(Movicol?)을 복용하였다.
아래의 기준들을 하나 이상 만족시키는 환자들은 제외하였다.
- 공지된 악성 종양
- 스토마(stoma)
- 혈변
- 높은 단계의 심장 기능 부전
- 모르핀 치료 경험
연구의 진행은 19일의 준비 기간, 35일의 1차 조사 기간 및 19일의 2차 조사 기간으로 나누어 수행하였으며, 1차 조사 기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제품을 매일 2회 투여하였고(조식 및 중식 전에 소량의 물과 함께 2 테이블스푼 투여), 2차 조사 기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제품을 아침에만 투여하였다(조식 전에 소량의 물과 함께 2 테이블스푼 투여).
전체 조사 기간 동안 환자들의 대변(stool) 양상을 특수 기록표에 아주 정확하게 기록하였다.
이스케이프 치료(escape therapy)로서, 즉 연구 조제품의 투여에도 불구하고 배변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배변이 되지 않은 3일째에 2정의 Mikroklist?를 투여하고, 4일째에 1정의 Relaxyl?을 투여하였다.
3.3. 연구 과정
본 연구는 전술한 기준들을 충족하는 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준비 단계에서 8명의 환자는 제외시켰다. 그 이유는 적응이 부족했거나, 본 발명에 따른 제조품의 맛에 거부감을 가졌거나, 또는 그들 중 일부가 이동 제한에도 불구하고 마음대로 화장실을 사용함으로써 배변 조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1차 조사 단계에서 (남은 32명 중) 13명의 환자에게서 변비도(배변이 없었던 날의 수를 배변이 있었던 날의 수로 나눈 몫)의 개선이 나타났다. 0은 매일 배변을 하였음을 의미하고, 1은 배변하지 않은 날이 50%임을 뜻한다.
5명의 환자는 준비 단계에 비해 무배변일이 약간 증가하였으나, 2차 조사 단계에서는 준비 단계에 비해 명백히 개선을 보였다. 11명의 환자는 변비도가 저화 되었다. 4명의 환자는 준비 단계와 정확히 동일한 변비도를 보였다(즉, 개선되지도 악화되지도 않았다).
2차 조사 단계에서는 총 18명의 환자를 계속 관찰하였다. 이들 중 13명의 환자는 투여량을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변비율이 계속해서 감소하였다. 3명의 환자는 준비 단계에 비해 변비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이 환자들은 다수의 향정신제를 복용하였기 때문에, 약물 상호 작용도 최대한 고려하였다). 이러한 경우들에서는 연구 조제품의 투여량을 더 높여서 별도로 조사하는 것도 권장할 만하다. 1명의 환자는 전체 연구 기간 동안 매일 배변을 하였다. 또 1명의 환자는 2차 조사 단계(투여량 감소)에서 1차 조사 단계에 비해 상태가 악화되었으나, 준비 단계보다는 확실히 개선되었다.
3.4. 요약
노인 진료과의 4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상기 추적 연구를 통해, 본 발명에 따라 조제한 파파야 과육 형태의 소위 영양 보조제(=CARICOL?)를 사용하면 완하제의 중재적 치료 없이도 배변 습관의 개선에 상당한 효과가 나타난다는 사실이 증명되었다. PEG 프로브를 부착한 한 여성 환자에게 소위 알렉산더 주사기(Alexander syringe)로 상기 제제를 투여한 후(상기 주사기를 사용하여 투여량을 아주 정확하게 지킬 수 있었다) 관찰한 변비도의 변화를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즉, 준비 단계에서는 1.38, 1차 조사 단계에서는 0.4, 2차 조사 단계에서는 0으로 나타났다.
4. 본 발명에 따른 파파야 퓌레의 만성 변비 치료를 위한 용도
본 발명에 따른 파파야 퓌레는 특히 설사, 변비(만성 변비), 가스성 팽만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경우에 소화 과정을 조절 또는 개선한다.
이를 위해 조식 및 중식 시간에 각각 2 테이블스푼의 파파야 퓌레를 섭취한다. 대부분의 경우, 하루 또는 이틀 후에 소화 조절 효과가 나타난다.
5. 만성 설사를 앓고 있는 노인 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본 발명에 따른 파파야 조제품의 효능에 대한 연구
연구 설계
본 관찰 연구는 연금 수혜자 주택의 간호소에 있는, 대부분 설사를 앓는 1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래의 기준들을 하나 이상 만족시키는 환자들은 제외하였다.
- 공지된 악성 종양
- 스토마(stoma)
- 혈변
4명의 환자에게는 2주의 준비 단계 이후에, 6명의 환자에게는 3.5주의 예비단계 이후에, 제 2단계 치료를 통해 CARICOL?(본 발명에 따른 파파야 조제품)를 투여하였다. 제 1단계에서는, 3.5주(6명의 환자) 및 5주(4명의 환자) 동안 하루 두 번씩 같은 농도로 CARICOL?을 투여하였다. 환자들의 배변 양상을 매우 정확하게 기록하였다.
그 후, 3주간 치료를 중단하였다.
이어서 제 2단계에서는 6주에 걸쳐서 2배의 농도로 역시 하루 두 번 CARICOL?을 투여하였다.
투여량:
제 1단계: 같은 농도의 CARICOL?을 하루에 40㎖(2x2 테이블스푼의 양에 해당) 투여함. 각각 조식 및 중식 직전에 투여.
제 2단계: 2배 농도의 CARICOL?을 하루에 40㎖(2x2 테이블스푼의 양에 해당) 투여함. 각각 조식 및 중식 직전에 투여.
관찰 기록:
이름, 연령, 성별, 수술, 진단 및 현재 복용중인 약제 등과 같은 각 관찰 대상자의 병력(anamnestic) 데이터를 특수 데이터 표에 열거하였다.
CARICOL?의 매일 투여 상황 및 배변 형태를 소위 배변표(stool sheet)에 기록하였다.
기록에서 각각의 기호는 아래와 같은 배변 형태를 의미한다.
0 = 무변
I = 정상변
+ = 미량의 변흔
~ = 물변
§= 묽은변
H = 된변
결과:
준비 단계 초기에는 묽은변/물변의 평균 비율이 주 4일이었고, 정상변의 비율이 주 2.5일이었다.
치료 단계가 시작된 직후에 이미 묽은변/물변과 정상변의 비율이 평형을 이룰 수 있었다.
제 1단계의 마지막 주에는 평균적으로 대략 주 5일은 정상변이 나타났고, 묽은변/물변의 평균 비율은 대략 주 1일로 감소될 수 있었다.
이러한 제 1단계의 관찰 기간에서는 10명의 환자 모두에게서 거의 매일 묽은변/물변을 보였던 것이 거의 매일 정상 배변을 하는 것으로 바뀌는 양상이 나타났다.
3주간 치료를 중단한 후, 제 2단계에서 치료 초기에 정상변의 평균 비율은 대략 주 3.8일(제 1단계의 끝 부분에서 5일 후)이었고, 묽은변/물변의 평균 비율은 주 2.7일이었다.
제 2단계의 마지막 주에는 정상변의 평균 비율이 대략 주 3.1일, 그리고 묽은변/물변의 평균비는 대략 주 1.8일로 감소될 수 있었다.
제 1단계와 제 2단계의 비교를 통해 하기의 사실이 증명된다.
노인 환자들은 치료 중단 이후 변이 다시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는 경향을 보인다.
만성 설사의 경우, 같은 농도의 CARICOL?을 사용한 제 1단계에서의 치료가 2배 농도의 CARICOL?을 사용한 제 2단계에서의 치료보다 더 나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제 1단계에서는 치료 시작에서 반응까지 걸리는 시간이 제 2단계에서보다 훨씬 더 짧았고, 제 1단계에서의 정상변이 제 2단계에서의 정상변보다 더 높은 값에 도달하였다(정상변과 묽은변/물변 사이의 격차는 제 2단계에서보다 제 1단계에서 훨씬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2배 농도의 CARICOL을 사용한 제 2단계의 관찰 기간에서는 거의 매일 묽은변/물변을 보였던 상태가 10명의 환자 중 8명에게서만 거의 매일 정상변을 배출하는 양상으로 바뀌었다.
요약:
노인 진료과의 1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상기 관찰 연구를 통해, 본 발명에 따라 조제한 파파야 과육 형태의 소위 영양 보조제(CARICOL)가 만성 설사 환자의 배변 습관의 개선에 상당한 효능이 있다는 사실이 증명되었다.
상기 약제의 투여 과정 동안 관찰 대상 환자들 중 1명은 놀랍게도 수 년간 앓았던 발 궤양이 크게 호전되었다.
6. 만성 변비를 앓고 있는 노인 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본 발명에 따른 파파야 조제품의 효능에 대한 추가 연구
연구 설계
본 연구는 대부분 거동이 불편한, 노인 센터의 18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환자들은 변비라는 의학적 진단을 받았으며, 매일 내지는 주 수회 완하제를 복용하였다.
아래의 기준들을 하나 이상 만족시키는 환자들은 제외하였다.
- 공지된 악성 종양
- 스토마(stoma)
- 혈변
- 높은 단계의 심장 기능 부전
- 모르핀 치료 경험
연구의 진행은 25일의 준비 기간, 35일의 1차 조사 기간 및 21-28일의 2차 조사 기간으로 나누어 수행하였으며, 1차 조사 기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제품을 매일 2회 투여하였고(각각 조식 및 중식 전에 소량의 물과 함께 3 테이블스푼 투여), 2차 조사 기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제품을 아침에만 투여하였다(조식 전에 소량의 물과 함께 2 테이블스푼 투여).
전체 조사 기간 동안 환자들의 변 양상을 특수 기록표에 아주 정확하게 기록하였다.
이스케이프 치료로서, 즉 연구 조제품의 투여에도 불구하고 배변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배변이 되지 않은 3일째에 2정의 Lecicarbon?를 투여하고, 4일째에 2정의 Mikroklist?를 투여하였다.
연구 과정
본 연구는 전술한 기준들을 만족시키는 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차 조사 단계에서 (총 18명 중) 12명의 환자에게서 준비 단계에 비해 변비도(배변이 없었던 날의 수를 배변이 있었던 날의 수로 나눈 몫. 0은 매일 배변을 하였음을 의미하고, 1은 배변하지 않은 날이 50%임을 뜻함)의 개선이 나타났다. 2명의 환자는 준비 단계에 비해 무배변일이 약간 증가하였으나, 2차 조사 단계에서는 준비 단계에 비해 명백히 개선을 보였다.
4명의 환자는 변비도가 저화되었다.
2차 조사 단계에서는 총 14명의 환자를 계속 관찰하였다. 이들 중 5명의 환자는 투여량을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변비율이 계속해서 감소하였다. 3명의 환자는 2차 조사 단계에서 투여량을 조식 전 1회 2 테이블스푼(처음의 1/3)으로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1차 조사 단계에 비해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3명의 환자는 2차 조사 단계(투여량 감소)에서 1차 조사 단계에 비해 상태가 악화되었으나, 준비 단계보다는 확실히 개선되었다. 3명의 환자는 준비 단계에 비해 변비도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경우들에서는 연구 조제품의 투여량을 더 높여서 별도로 조사하는 것도 권장할 만하다.
변비도의 개선 외에 중재적 치료(intervention)의 과정도 주목할 만하다. 준비 단계 첫 주에도 여전히 21회 "이스케이프 약제"를 투여해야 한다면, 중재 치료는 1차 조사 단계의 마지막 주에는 9회로, 2차 조사 단계(투여량 감소)의 마지막 주에는 5회 또는 3회까지 감소될 수 있다.
요약
노인 진료과의 18명의 환자들(부동 상태, 다중 질병 상태)을 대상으로 실시한 상기 추적 연구를 통해, 본 발명에 따라 조제한 파파야 과육 형태의 소위 영양 보조제(=CARICOL?)를 사용하면 완하제의 중재적 치료 없이도 배변 습관의 개선에 상당한 효과가 나타난다는 사실이 증명되었다.
7. 실시한 검사들과 관련한 추가의 임상 관찰
위의 3번에서 6번까지의 연구들 중 하나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임상 관찰을 기록하였다.
이미 오랜 시간 동안 더 이상 일어설 의지가 없었고 정신 이상 증세가 있었던 한 환자가 본 발명에 따른 제제를 며칠 복용하고 난 후 새로운 활력을 얻었으며, 침상에서 다시 일어나려는 의지를 보였고, 언어 전달이 다시 명확해졌다.
1년 이상 개방성 발 궤양으로 고생하던 한 여성의 경우, 피부 이식을 포함한 다양한 치료를 받아왔으나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 이 여성은 소화 장애가 있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제제를 무조건 복용하길 원했고, 3개월에 걸쳐서 매우 꾸준하게 상기 제제를 복용한 결과 발 궤양이 치유되었다.
한 여성 당뇨 환자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제제를 복용하고 난 몇 주 후에 개방성 발 염증이 상당히 호전되었고, 인슐린 주사량을 줄여도 되었다.
파킨슨병을 앓고 있던 환자들의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파파야 추출물을 이용한 치료 후에 운동 기능이 눈에 띄게 개선되었다.
"만성 변비" 및 "만성 설사"의 적응증들에 대하여 실시한 연구들과 관련한 상기 관찰들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제제가 신진 대사, 신체 저항력, 파킨슨병 환자의 상태, 창상 치료 및 심지어 혈액 순환에도 확실히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Claims (25)

  1. 카리카 파파야(Carica papaya) 과실로 퓌레 조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과실 또는 분쇄된 과실을 보통 압력에서 30분 이상 삶는 단계, 및
    삶아낸 상기 과실 또는 분쇄 과실을 산소를 함유한 대기 중에서 30분 이상의 시간동안 식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카 파파야 과실로 퓌레 조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삶기 과정은 적어도 2시간 동안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카 파파야 과실로 퓌레 조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힘 과정은 적어도 5시간 동안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카 파파야 과실로 퓌레 조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퓌레의 제조시, 상기 퓌레의 pH 값이 3.5 내지 5.0이 될 정도의 양으로 시트르산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카 파파야 과실로 퓌레 조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삶기 단계 이전에 상기 카리카 파파야 과실의 껍질을 벗기고 씨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카 파파야 과실로 퓌레 조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을 통해 얻은 퓌레를 저온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카 파파야 과실로 퓌레 조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리카 파파야 과실은 반쯤 익은 과실부터 완전히 익은 과실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카 파파야 과실로 퓌레 조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된 카리카 파파야 과실로부터의 퓌레 조제품을 포함하는 소화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 장애는 만성 변비, 가스성 팽만 및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카리카 파파야 과실로부터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방법으로 만든 퓌레 조제품.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퓌레 조제품이 9 내지 90%의 수분 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퓌레 조제품.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퓌레 조제품이 5 내지 40%의 당 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퓌레 조제품.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실 또는 분쇄된 과실을 삶는 단계에서, 상기 과실 또는 분쇄된 과실이 체에 거른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카 파파야 과실로 퓌레 조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실 또는 분쇄된 과실을 상기 과실 부피의 2배 이상의 수용액에 넣고 삶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카 파파야 과실로 퓌레 조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20. 제 1항에 있어서,
    식힌 상기 과실 또는 분쇄된 과실을 균질의 퓌레 상태가 될 때까지 분쇄하고, 혼합하고 걸러내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카 파파야 과실로 퓌레 조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2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퓌레의 제조시, 상기 퓌레의 pH 값이 3.8 내지 4.4가 될 정도의 양으로 시트르산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리카 파파야 과실로 퓌레 조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22.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퓌레 조제품이 60 내지 85%의 수분 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퓌레 조제품.
  23.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퓌레 조제품이 70 내지 80%의 수분 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퓌레 조제품.
  24.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퓌레 조제품이 10 내지 30%의 당 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퓌레 조제품.
  25.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퓌레 조제품이 12 내지 26%의 당 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퓌레 조제품.
KR1020057009381A 2002-11-26 2003-11-26 파파야 퓌레 조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2279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1771/2002 2002-11-26
AT0177102A AT502588B1 (de) 2002-11-26 2002-11-26 Papaya-mus
PCT/IB2003/005476 WO2004047850A1 (de) 2002-11-26 2003-11-26 Papaya-mus und dessen verwend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788A KR20050086788A (ko) 2005-08-30
KR101227922B1 true KR101227922B1 (ko) 2013-01-31

Family

ID=32330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381A KR101227922B1 (ko) 2002-11-26 2003-11-26 파파야 퓌레 조제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2) US8097289B2 (ko)
EP (1) EP1565197B1 (ko)
JP (1) JP5099973B2 (ko)
KR (1) KR101227922B1 (ko)
CN (1) CN1717243B (ko)
AT (2) AT502588B1 (ko)
AU (1) AU2003283639B2 (ko)
BR (1) BR0316497A (ko)
CA (1) CA2505538C (ko)
DE (1) DE50313191D1 (ko)
DK (1) DK1565197T3 (ko)
EA (1) EA011008B1 (ko)
ES (1) ES2353499T3 (ko)
HR (1) HRP20050587B1 (ko)
IL (1) IL168694A (ko)
MA (1) MA27537A1 (ko)
MX (1) MXPA05005021A (ko)
NO (1) NO329950B1 (ko)
NZ (1) NZ539789A (ko)
PL (1) PL208040B1 (ko)
PT (1) PT1565197E (ko)
RS (1) RS51889B (ko)
TN (1) TNSN05132A1 (ko)
UA (1) UA88134C2 (ko)
WO (1) WO2004047850A1 (ko)
ZA (1) ZA2005036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401302C2 (pt) * 2004-05-07 2009-11-24 Sandra Maria Salles Hanszmann processo de fabricação de purês de frutas e formulações de produtos reguladores intestinais correspondentes
PL2391382T3 (pl) * 2009-01-29 2014-11-28 Nordmark Arzneimittel Gmbh & Co Kg Preparat farmaceutyczny zawierający lipazę pochodzenia bakteryjnego
ES2731588T3 (es) 2014-04-18 2019-11-18 Caricol Digestive & Immune Health Gmbh Preparado de harina de levadura y procedimiento para su uso
ES2576785B1 (es) * 2015-01-09 2017-04-28 Luz Marina ORTIZ ROJAS Procedimiento para la elaboración de un batido natural a base de papaya, batido obtenido y uso del mismo para el tratamiento de la diabetes
RU2640285C1 (ru) * 2016-12-29 2017-12-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Орен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арбузов
CN112335858A (zh) * 2020-10-27 2021-02-09 武汉轻工大学 一种资木瓜加工品及其加工工艺与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9985A (en) * 1974-11-11 1978-05-16 Wolff H Ezra Papaya juice product and process
US5840356A (en) * 1997-08-14 1998-11-24 The Network Group, Inc. Shelf-stable fruit puree and method of prepa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0841A (en) * 1974-11-11 1976-06-18 Ezura Uorufu Eichi Papaiyajuususeihin oyobi seizohoho
JPS6244138A (ja) * 1985-08-23 1987-02-26 Takasago Corp フル−ツソ−ス
JPH0755141B2 (ja) * 1987-05-15 1995-06-14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果実、野菜ジュースの製造法
JP2722670B2 (ja) * 1989-05-30 1998-03-04 ライオン株式会社 高血圧症予防用飲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5411755A (en) 1993-02-16 1995-05-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and composition for sweet juice from cucurbitaceae fruit
CN1084033A (zh) 1993-08-13 1994-03-23 广西亚热带作物研究所 具有特殊风味的番木瓜果茶、果酱及其制备方法
JPH0767576A (ja) * 1993-09-01 1995-03-14 Eiko Suteeshiyon:Kk 菌糸体健康食材
JPH0856562A (ja) 1994-08-16 1996-03-05 Akira Nakayama パパイヤの梅シロップ煮
JPH1014549A (ja) * 1996-06-28 1998-01-20 Kokichi Gushiken パパイヤ茶、パパイヤ加工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7451C (zh) 2000-09-28 2003-05-07 宋桃森 低糖野生木瓜果脯的生产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9985A (en) * 1974-11-11 1978-05-16 Wolff H Ezra Papaya juice product and process
US5840356A (en) * 1997-08-14 1998-11-24 The Network Group, Inc. Shelf-stable fruit puree and method of prepa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RP20050587B1 (hr) 2014-04-11
RS51889B (sr) 2012-02-29
AT502588A1 (de) 2007-04-15
EP1565197A1 (de) 2005-08-24
PL208040B1 (pl) 2011-03-31
AU2003283639B2 (en) 2009-08-27
ES2353499T3 (es) 2011-03-02
NO329950B1 (no) 2011-01-31
KR20050086788A (ko) 2005-08-30
DE50313191D1 (de) 2010-11-25
PT1565197E (pt) 2010-11-30
TNSN05132A1 (en) 2007-05-14
IL168694A (en) 2011-04-28
NO20051843L (no) 2005-04-15
US20060188636A1 (en) 2006-08-24
US8501264B2 (en) 2013-08-06
EP1565197B1 (de) 2010-10-13
AT502588B1 (de) 2010-05-15
PL375604A1 (en) 2005-12-12
BR0316497A (pt) 2006-01-17
HRP20050587A2 (en) 2006-04-30
DK1565197T3 (da) 2011-01-03
AU2003283639A1 (en) 2004-06-18
CN1717243A (zh) 2006-01-04
RS20050389A (en) 2007-08-03
US20120100235A1 (en) 2012-04-26
MA27537A1 (fr) 2005-09-01
WO2004047850A1 (de) 2004-06-10
ATE484318T1 (de) 2010-10-15
ZA200503647B (en) 2006-08-30
NZ539789A (en) 2008-04-30
US8097289B2 (en) 2012-01-17
JP2006510624A (ja) 2006-03-30
CA2505538A1 (en) 2004-06-10
UA88134C2 (uk) 2009-09-25
EA200500872A1 (ru) 2005-12-29
MXPA05005021A (es) 2005-11-04
JP5099973B2 (ja) 2012-12-19
EA011008B1 (ru) 2008-12-30
CA2505538C (en) 2011-10-25
CN1717243B (zh) 201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284B1 (ko)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39864B1 (ko) 숙취해소 음료
US8501264B2 (en) Papaya puree and uses thereof
CN105533574A (zh) 一种排毒纤体青梅果及其制作工艺
JP2016532446A (ja) 円武扇発酵物含有食品または飲料組成物
CN106070626A (zh) 酸马奶水果饮料及其制备方法
CN105707876B (zh) 一种具有稳定和溶解斑块的饮食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6387900A (zh) 一种调节血脂、血压及血糖的组合物及其应用
CN107557204B (zh) 一种混酿荔枝玫瑰酒及其制备方法
CN101955874B (zh) 一种苦杏酒的酿造方法
KR100977849B1 (ko) 유산균이 함유된 김치를 포함하는 녹즙 조성물
KR100512322B1 (ko) 변비에 개선 효과를 갖는 식물 복발효 효소액 및 이를사용한 기능성 음료
CN109673994B (zh) 酸木瓜辣椒果酱及其制备方法
KR101327802B1 (ko) 장어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32274A (ko) 생강을 이용한 건강식품 제조방법
KR20150018167A (ko) 천년초 발효물 함유 의약 조성물
KR102195980B1 (ko) 발효 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64877A (ko) 다이어트 매실정과의 제조방법
JP6681496B1 (ja) 健康増進食品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食品
Shukla et al. Papaya (Carica papaya L.): Indispensable fruit of human being and prosperity
CN115444082A (zh) 一种降压降脂的椰子饮料
CN113261668A (zh) 一种大蒜全粉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20168725A (ko)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저하시키는 강력한 약리작용을 하는 재료인 매실을 이용한 건강기능성 식품
JP2019196330A (ja) 糖質吸収抑制剤
CN110150517A (zh) 一种清热解毒的植物饮品配方及生产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