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239B1 - 녹두 유산균 배양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녹두 유산균 배양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239B1
KR101221239B1 KR1020050061136A KR20050061136A KR101221239B1 KR 101221239 B1 KR101221239 B1 KR 101221239B1 KR 1020050061136 A KR1020050061136 A KR 1020050061136A KR 20050061136 A KR20050061136 A KR 20050061136A KR 101221239 B1 KR101221239 B1 KR 101221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ng bean
lactic acid
acid bacteria
cosmetic composition
bacteria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1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6960A (ko
Inventor
박장서
남상준
최왕근
변유량
조형용
조석철
국무창
이창우
정소영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벤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벤,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바이오벤
Priority to KR1020050061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239B1/ko
Priority to PCT/KR2006/002663 priority patent/WO2007007989A1/en
Priority to JP2008520189A priority patent/JP2009501160A/ja
Priority to US11/994,866 priority patent/US20090068150A1/en
Publication of KR20070006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239B1/ko
Priority to US14/525,661 priority patent/US2015004431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두 추출물 함유 배지에 유산균을 배양하여 얻은 녹두 유산균 배양물로서, 녹두 추출물 및 가바(γ-Aminobutyric acid; GABA)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 및 상기 배양물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녹두 유산균 배양물은 녹두 추출물과 MSG를 포함하는 배지에, 글루타메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를 발현하여 MSG를 가바로 전환시킬 수 있는 유산균을 접종한 후 배양하여 녹두 추출물과 가바가 함유된 녹두 유산균 배양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상기 배양물로부터 균체 및 불용성 성분을 제거하여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녹두 유산균 배양물은 콜라젠 합성 촉진 효과 및 염증 완화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생합성 촉진용,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항염증용, 및 피부 손상 방지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콜라젠, 합성, 염증, 완화, 녹두, 유산균, 배양물, 가바, 노화, 항염증

Description

녹두 유산균 배양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Lactic acid bacteria culture of Mung bean and the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and th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녹두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녹두 유산균 배양물을 제조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하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녹두 유산균 배양물 중의 가바 함량을 HPLC로 측정한 결과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녹두 유산균 배양물의 콜라젠 합성 촉진 효능을 측정한 결과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녹두 유산균 배양물의 TPA(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에 의한 염증 완화 효능을 측정한 결과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녹두 유산균 배양물의 염증 완화 효능을 측정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녹두 유산균 배양물이 항염증 및 과면역 반응과 관련된 인터루킨-6(IL-6)의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 결과도이다.
본 발명은 녹두 추출물 함유 배지에 유산균을 배양하여 얻은 녹두 유산균 배양물로서,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 및 상기 배양물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바(γ-Aminobutyric acid; GABA)는 비단백태 아미노산으로 동물의 경우 중추신경계의 주된 억제성 신경전달물질(Inhibitory Neurotransmitter)로서 잘 알려져 있다. 가바(GABA)는 많은 생리학적 메카니즘에 관여하여 동물의 경우 뇌의 혈류를 활발하게 하고, 산소공급량을 증가시켜 뇌세포의 대사기능을 항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프로락틴(prolactin)의 분비와 성장호르몬의 분비 조절에도 관여하며 혈압강하 및 통증완화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약리적으로 매우 관심이 높은 물질이다.
가바는 이러한 기능에 의하여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품 원료로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최근 들어 피부 구성 세포에 전반적으로 존재하는 PPAR(Peroxisome proliferators activated receptors)이 알려져 있는데, PPAR은 피부의 상처치유 및 염증치유 과정의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PPAR은 에너지 항상성을 조절하는 인자로, 특히 PPAR이 다양한 기전을 통 해 피부장벽의 투과성 조절, 표피층 증식억제, 표피층의 분화유도 등과 같은 피부 상태 조절에 관여한다는 것이 알려지게 되었다. 이러한 특징으로 PPAR은 염증관련 피부질병뿐만 아니라 표피층의 과증식으로 인한 건선, 상처치유, 여드름 등 다양한 피부질환의 핵심조절자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피부의 항상성에 기여하는 물질의 구체적인 신호 전달이 많이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최근 알려진 PPAR과 관련한 인지질(phospholipid)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도모되고 있다. PPAR은 3개의 서브타입(subtype)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중 PPAR α(alpha)가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의 수용체(receptor)로서의 가능성이 밝혀졌다[Michalik et al., The journal of Cell Biology, 154, pp799-814, 2001].
실제로 이미 알려진 PPAR α의 아고니스트(agonist)인 클로파이브레이트(clofibrate), WY14643 등을 피부에 도포하였을때, 자극물질에 의한 염증이 감소됨이 확인된 바 있다[Sheu et al., The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18, pp94-101, 2002].
현재까지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와 같은 물질들이 항염증제로 사용되어 왔으나, 이는 지속적인 투여나 처리를 하게 되면 만성적인 부효과를 보이게 되며, 주로 면역반응의 저하를 가져와, 결과적으로 치료의 한계를 나타내게 된다. 이에 PPAR α의 아고니스트(agonist)가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에 비해 국소적이면서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라 여겨지게 되었다.
한편,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6(IL-6)는 외부항원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TNF-α(alpha)에 의해 그 분비가 증가되며, 증가된 인터루킨-6는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인터루킨-6의 발현의 감소는 항염증 및 과면역반응을 억제시키는 지표라고 볼 수 있다.
녹두(Phaseolus aureus, Phaseolus radiatus, Mung bean)는 동의보감 등의 문헌에 나타난 피부 미용과 관련된 처방을 보면 피부 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특히 녹두 단백질과 녹두 후라보노이드 성분은 세안에 효과적이며, 생리활성 성분인 비텍신과 이소비텍신은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다는 등의 사실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유산균을 이용하여 가바를 고농도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다양한 배지 조성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배지의 주원료로 녹두를 이용하여 유산균을 배양하는 경우 녹두로부터 유래되는 우수한 성분을 다량으로 포함할 뿐만 아니라 가바-고함량 배양물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녹두를 이용한 녹두 추출물 및 가바-고함량 배양물의 여러 효능을 조사하던 중, 상기 배양물이 피부의 콜라젠 합성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피부내 조직세포의 PPAR α의 리간드(ligand)로서 작용하는 물질을 포함하여 외부자극에 의한 피부의 염증반응을 완화시키며, 항염증과 과면역반응에 관련된 인터루킨-6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 및 상기 배양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로서 콜라겐 생합성 촉진용,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항염증, 및 피부 손상 방지 또는 피부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녹두 함유 배지에 유산균을 배양하여 얻은 녹두 유산균 배양물로서, 녹두 추출물 및 가바(γ-Aminobutyric acid; GABA)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을 제공한다.
상기 녹두 유산균 배양물은 녹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배양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녹두 유산균 배양물은 녹두 추출물 및 MSG(Monosodium Glutamate)를 포함하는 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배양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녹두 추출물은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산균은 글루타메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를 발현하여 MSG를 가바로 전환시킬 수 있는 유산균임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또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인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녹두 함유 배지에 유산균을 배양하여 얻은 녹두 유산균 배양물의 제조방법으로서, 녹두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제 1단계에서 수득한 녹두 추출물과 MSG(Monosodium Glutamate)를 포함한 배지를 제조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제조된 배지에 글루타메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에 의해 MSG를 가바(γ-Aminobutyric acid; GABA)로 전환시킬 수 있는 유산균을 접종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접종된 유산균을 배양하여 녹두 추출물 및 가바가 함유된 녹두 유산균 배양물을 제조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 2 단계의 MSG 첨가량은 녹두 추출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녹두 함유 배지에 유산균을 배양하여 얻은 녹두 유산균 배양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녹두 유산균 배양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로부터 균체 및 불용성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수득한 균체 및 불용성 성분이 제거된 배양물에 부재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녹두 유산균 배양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녹두 유산균 배양물은 상기 녹두 유산균 배양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 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산균은 글루타메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를 발현하여 MSG를 가바로 전환시키는 유산균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녹두 유산균 배양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생합성 촉진용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증용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손상 방지 또는 피부 손상 개선용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유산균을 이용하여 가바를 고농도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 녹두 추출물을 배지의 원료로 하여 가바를 생산하는 유산균을 접종하여 배양할 경우 녹두의 유용성분은 물론 가바 및 유산균이 생산하는 각종 펩타이드 성분들이 포함된 배양물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렇게 생산된 배양물을 화장품 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고형분 및 색소 성분을 제거하고 부재료 등을 첨가하게 되면 콜라겐 합성 촉진 및 염증 완화 등의 효과를 나타내므로, 노화 방지용 및 항염증용 등의 화장품 원료로 사용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유산균으로서 김치로부터 스크리닝한 가바(GABA) 생산이 가능한 유산균주인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B2-16(기탁번호 KFCC-11321)(국내특허출원 제2003-5828호 참조)를 녹두 원료의 배지성분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배양함으로써, 기존의 녹두 추출물 및 유산균 배양물의 장점을 보유하는 천연소재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의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녹두 함유 배지에 유산균을 배양하여 얻은 녹두 유산균 배양물은, 녹두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제 1단계에서 수득한 녹두 추출물과 MSG(Monosodium Glutamate)를 포함한 배지를 제조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제조된 배지에 글루타메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에 의해 MSG를 가바(γ-Aminobutyric acid; GABA)로 전환시킬 수 있는 유산균을 접종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접종된 유산균을 배양하여 녹두 추출물과 가바가 함유된 배양물을 제조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녹두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녹두는 동일한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공급받는 것이 유리하나, 녹두의 산지에 따라서 가바의 생산수율에 약간의 차이가 존재할 뿐 발효물의 최종품질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녹두는 배지의 성분으로 이용하기 전에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세척공정은 30 ℃ 이하의 냉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용성 영양성분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능한 30분 이내의 짧은 시간에 처리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세척수의 온도가 30 ℃를 넘고 세척에 소요되는 시간이 30분을 넘을 경우는 녹두의 영양성분이 손실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배지로 사용하는 녹두는 탈피한 것을 사용하거나 탈피하지 않은 것을 사용하거나, 어느 경우든 최종제품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세척이 끝난 녹두는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추출공정에 유리하나 본 발명의 추출조건에서는 분쇄하지 않는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배지에 포함되는 녹두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 때, 이용 가능한 추출용매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프로판올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및 상기 저급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최종 산물의 안전성 및 유산균 배양을 고려하면, 물이 가장 좋으며, 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적합한 추출물을 충분히 수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녹두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추출용매의 사용량은 녹두의 2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배이다. 이는 추출용매의 양이 너무 적을 경우 추출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반대로 추출용매의 양이 너무 많은 경우는 추출 후 유효성분의 농도가 낮아 발효원으로 사용될 경우 가바 전환율이 낮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녹두 추출물의 추출온도는 40 내지 70 ℃가 바람직하며, 이는 추 출온도가 낮을 경우는 수용성 영양 성분의 추출시간이 오래 걸리고, 추출온도가 70 ℃ 이상일 경우는 녹두의 전분질이 호화되어 유용성분의 분리에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녹두 추출물의 추출시간은 3 내지 24시간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8 시간이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 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6 내지 18시간 동안 추출한다. 이는 추출시간이 부족한 경우 영양성분의 농도가 부족하며, 추출시간이 너무 길 경우에는 공정상에 많은 부담이 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수득된 녹두 추출물은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상등액을 얻은 후 가바 생산을 위한 배지의 영양성분으로 첨가한다. 이때 고형분의 제거는 배양 후에 진행해도 별 문제가 없다.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배지는 녹두 추출물 및 MS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배지는 상기 녹두 추출물 및 MSG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탄소원, 질소원, 미량원소,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원 및 질소원을 포함하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탄소원 및 질소원을 포함하고, 여기에 미량원소 또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지에서 상기 탄소원으로 이용 가능한 것은,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말토오스, 프럭토오스, 락토오스, 자일로오스, 갈락토오스, 아라비노오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수크로스, 프럭토스, 글루코스, 갈락토스, 아라비노스 및 락토오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크로오스, 프럭토오스 및 글루코오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탄소원의 사용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녹두 추출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중량%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 중량%이다.
본 발명의 배지에서 상기 질소원으로 이용 가능한 것은, 효모 추출물, 소이톤 (soytone), 펩톤, 비프 추출물(beef extract), 트립톤, 카시톤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효모 추출물, 펩톤, 트립톤 및 소이톤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효모 추출물 또는 소이톤이다.
질소원의 사용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녹두 추출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중량%이다.
본 발명의 배지에서 상기 미량원소로 이용 가능한 것은, 마그네슘 설페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망가닉 설페이트, 페릭 설페이트, 칼슘 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미량원소의 사용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녹두 추출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 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이며, 보다 더 바람 직하게는 0.03 내지 0.3 중량%이다.
본 발명의 배지의 특징 중 하나는 계면활성제를 미량성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배지에서 상기 미량원소의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지에 이용되는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모노스테아리신글리세신과 같은 폴리알코올 지방산, 스테아린산 폴리옥실과 같은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라울마크로골과 같은 폴리옥시에틸렌 알코올, 올레인산소르비탄과 같은 소르비탄 지방산, 폴리솔베이트와 같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솔베이트이다.
상기와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배지를 조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미량원소가 첨가되지 않아도 유산균의 배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배지에서 상기 미량원소의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미량성분으로서의 상기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녹두 추출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3 중량%이다.
또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MSG의 첨가량은 바람직하게는 녹두 추출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중량%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중량%이다. 이는 첨가되는 MSG의 양이 너무 많을 경우 가바로 전환되지 않는 MSG가 최종제품에 잔류하는 문제점이 있고, MSG의 양이 너무 적은 경우는 최종제품의 가바 함량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모든 성분(녹두 추출물, MSG 및 기타 배지성분)이 혼합된 배지는 이어 살균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살균처리 온도는 60 내지 121 ℃의 온도에서 15 내지 30분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살균처리 온도가 너무 낮거나 시간이 짧으면 살균효과가 감소하고, 살균처리 온도가 너무 높거나 살균 시간이 길면 영양소의 파괴가 심해지기 때문이다.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살균처리가 종료된 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기 MSG(monosodium glutamate) 기질을 가바로 전환하는 데에는 글루타메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glutamate decarboxylase)가 관여하며, 이 효소는 유산균에서 발현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유산균은 글루타메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를 발현하는 한 제한은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또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국내특허출원 제2003-5828호에서 가바 생산 균주로 동정된 바 있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B2-16(기탁번호 KFCC-11321),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1-14,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B1-31,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2-22,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2-27,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2-29,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3-18,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3-25,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3-30,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A128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상기 유산균의 접종량은 접종 후의 초기 균수가 105 내지 108 cfu/㎖이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그 이하의 균수에서는 가바의 생산을 위한 배양시간이 길어지며, 그 이상의 균수를 접종하기 위해서는 종균의 생산에 부담이 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 4 단계에서는, 상기 제 3 단계에서 유산균 접종이 끝난 녹두 추출물함유 배지를 골고루 혼합하여 20 내지 35 ℃에서 발효를 진행시킨다. 이는 그 이하의 온도에서는 발효가 쉽게 일어나지 않으며,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열에 약한 유산균이 사멸하여 가바를 생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유산균을 배양하는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시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8 내지 72시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상기 녹두 유산균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녹두 유산균 배양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로부터 균체 및 불용성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수득한 균체 및 불용성 성분이 제거된 녹두 유산균 배양물에 부재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녹두 유산균 배양물로부터 균체 및 불용성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에서, 활성탄으로 처리하거나 통상의 여과방법(예를 들면, 필터 프레스(filter press),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등을 이용)을 이용하여 균체 및 불용성 성분을 제거하며, 바람직하게는 활성탄 처리 후 통상의 여과방법을 이용한다.
특히 상기 균체 및 불용성 성분은 활성탄 처리로 탈색 공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양물을 활성탄이 충진(packing)되어 있는 칼럼(column)을 통과시키거나 직접 상기 배양물과 활성탄을 혼합 처리하는 공정 등을 거치게 되는데, 본 발명의 목적달성을 위해서 특별한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공정의 단순화를 위하여 배양 후 배양물에 활성탄 분말을 직접 첨가하는 공정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활성탄은 형태에 따라 분말 및 입상으로 분류되는데, 액체에 첨가하여 탈색하는 용도로는 분말형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활성탄의 첨가량은 바람직하게는 배양물의 0.1 내지 10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이다. 이는 활성탄의 양이 너무 많을 경우 활성탄을 제거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고, 활성탄의 양이 너무 적은 경우는 탈색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활성탄의 첨가 후, 바로 가열공정을 진행하게 되며, 가열공정은 미생물의 발효를 중단시키고 활성탄의 반응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가열하는 경우 최종온도가 40 내지 100℃가 되도록 하는데, 이는 최종온도가 40 ℃ 이하인 경우는 발효에 사용된 미생물이 사멸하지 않고 반응시간이 길어지며, 최종온도가 100℃ 이 상일 경우는 역반응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가열이 끝난 배양물은 활성탄이 가라앉지 않도록 교반하면서 3 내지 24시간 방치하게 되는데, 이는 3시간 미만으로 방치시간이 너무 짧으면 충분한 탈색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24시간 초과로 방치시간이 너무 길 경우에는 공정에서 오는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이후 통상의 여과방법(예를 들면, 필터 프레스,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을 이용하여 균체 및 불용성 성분을 제거한다.
또한, 상기 균체 및 불용성 성분이 제거된 녹두 유산균 배양물에 부재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각 제형으로 포장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수득한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은 기존에 화장품용으로 사용되던 녹두 제품에 비하여 콜라젠 합성 촉진 효과 및 피부 염증 완화 효과가 월등하게 높을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노화방지 및 항염증 등에 적용되는 화장품의 소재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개발된 녹두 추출물 또는 유산균 배양물을 함유한 제품과 비교한다면, 본 발명에 의해 개발된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은 많은 장점을 갖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녹두를 이용하여 수득한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이 실제 콜라젠 분비에 유용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써콜어세이 방법(Sircol Assay method)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을 0.01 %처리했을 때 양성대조구로 사용한 제니스테인(genistein, Sigma, USA)을 10 uM 처리했을때 유도되는 콜라젠 분비와 거의 같은 정도로 콜라젠 분비가 촉진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무처리구에 비해 30 %이상의 콜라젠 분비 촉진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녹두를 이용하여 수득한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이 실제 염증 완화에 유용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동물에 염증을 유발한 후 상기 배양물을 처리하였고, 그 결과 본 발명의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을 0.5%처리했을 때 염증이 완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함유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유액, 화장수, 크림, 로션, 에센스, 팩, 젤과 같은 피부 점착타입의 화장료, 파우더, 립스틱,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과 같은 제형을 갖는 화장료, 샴푸, 린스, 바디크렌저, 미용액, 클렌징 폼, 클렌징크림, 클렌징 워터, 비누와 같은 세정 화장료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의 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3 중량%로 배합된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4.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의 제조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는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을 제조하고,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었다(도 1 참조).
실시예 1. 녹두 추출물의 제조
녹두를 30 ℃ 이하의 냉수로 세척하여 분쇄한 다음, 상기 녹두 100g에 추출용매인 물을 10 배 가하고 60 ℃의 온도에서 12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원심분리(6000rpm, 15분)하여 상등액을 분리하여 녹두 추출물 800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녹두 유산균 배양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녹두 추출물 500g을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의 배지 500g에 가하여 혼합한 다음, 80 ℃에서, 30 분간 가열하여 살균처리하여 녹두를 함유한 유산균 배양용 배지를 제조한 후 유산균으로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B2-16(기탁번호 KFCC-11321)(특허출원 제2003-5828호 참조)을 초기 균수가 107 내지 108 cfu/㎖가 되도록 접종한 후, 50 rpm으로 교반하면서 30 ℃에서, 60 시간 배양하여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을 수득하였다.
성분 함량(w/w)
탄소원(Sucrose) 4%
질소원(효모추출물) 2%
미량원소(소디움아세테이트) 0.1%
계면활성제(폴리솔베이트) 0.1%
MSG 5%
정제수 88.8%
실시예 3. 녹두 유산균 배양물의 처리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에 활성탄(신기화학)을 배양물의 2.5 중량% 첨가한 다음, 최종온도가 70 ℃가 되도록 가열처리한 후, 가열을 종료하고 활성탄이 가라앉지 않도록 10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방치한 후 필터 프레스(filter press)를 이용하여 균체 및 불용성 성분을 제거한 다음, 균체 및 불용성 성분이 제거된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을 회수하였다.
실시예 4. 녹두 유산균 배양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3에서 수득한 균체 및 불용성 성분이 제거된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에 원하는 제형에 따라 각각 하기 제제예에 기재된 부재료를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가바의 함유 여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녹두 유산균 배양물이 실제 가바를 함유하는지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배양물을 시료로 하여 그 가바 함량을 역상 HPLC(Waters)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역상 HPLC를 이용한 분석 조건은 아이볼야(Ibolya) 등이 보고한 것을 참조로 하여 확립하였다. 우선, 시료를 8000 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한 후 상등액을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고 적당한 농도로 3차 증류수에 희석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시료를 o-프탈디알데히드 (o-phthaldialdehyde: OPA)를 이용한 프리-컬럼 반응의 유도체화 과정 후 역상 HPLC를 수행하였다. OPA 용액 (pH 9.3)은 5.0 ㎖의 메탄올성 OPA, 20 ㎖ 보레이트 완충액 (pH 9.9) 및 50 ㎕ 2-머르캅토에탄올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메탄올성 OPA는 2.56 g의 OPA를 50 ㎖의 메탄올에 용해하여 제조하였고, 보레이트 완충액은 0.2 M 보르산 및 0.2 M 수산화 나트륨을 50:50(v/v)을 혼합한 후 0.2 M 포타슘 클로라이드를 넣어 사용하였다. OPA 용액은 2시간 지나서 사용하였고 제조한 후 일주일정도 까지는 안정하였다. 제조한 OPA 용액 380 ㎕와 120 ㎕의 시료를 잘 혼합한 후 8분 정도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이때 너무 오랜 시간 상온에서 방치하면 유도체의 불안정성 때문에 역상 HPLC의 피크 모양이나 면적값이 다르게 나올 수 있으므로 상온에서 1-2시간 이상 방치하지 않고 역상 HPLC를 수행하였고, 유도체화된 시료 20 ㎕를 컬럼에 주입하였다.
HPLC 컬럼으로는 엑스테라(XTerra) 컬럼(Waters: RP18 5 m, 4.6 mm ㅧ 150 mm)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으로는 0.05 M 소듐 아세테이트(pH 7.2)를 용매 A로, 그리고 0.1 M 소듐 아세테이트, 아세토니트릴(HPLC 등급) 및 메탄올(HPLC 등급)이 각각 46:44:10(v/v)으로 혼합된 것(pH 7.2)을 용매 B로 사용하였다. 이동상의 농도 구배는 용매 A를 100%로 하여 분석을 시작해서 30분 경과 후에는 용매 B가 100%가 되고, 40분 경과 후까지 용매 B가 100%, 45분 경과 후까지는 다시 용매 A가 100%가 되게 하였으며, 60분 후까지 용매 A가 100%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이동상의 유속은 1 ㎖/분으로 고정하였고, 358 ㎚의 U.V. 검출기로 가바를 검출하였다. 이런 조건에서 가바와 글루타메이트의 보유 시간은 각각 21.01 및 9.89 분이었고, 검출 한계농도는 0.1 mM이었다. 또한, 가바의 농도가 10 mM이 넘으면 검출기의 검출 상한선을 넘으므로 이에 맞게 희석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물질로는 시약용으로 판매되는 시그마사의 99% 가바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바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녹두 유산균 배양물의 콜라젠 합성 촉진 효과>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의 콜라젠 합성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써콜어세이 방법(Sircol Assay method)을 사용하였다. 모든 콜라젠은 [Gly-X-Y]n의 구조인데, 상기 써콜어세이 방법은 그러한 부위에 특이하게 결합되는 염색약을 사용하여, 콜라젠과 염색액의 결합체를 정량하는 방법으로 콜라젠을 측정하는 것이다.
먼저, 콜라젠 측정을 위해 사용한 세포주는 파이브로브라스트 NIH 3T3 세포주로서(ATCC, USA), DMEM 배지(FBS 10 %)에서 배양하면서 유지하였으며, 실험시 DMEM배지(FBS 2 %)에서 24-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각각 4 ×104개의 세포를 분주하였다. 각 웰은 전부 1 ml의 세포 배양물을 채웠는데, 최초 물질 처리 전, 세포의 접착을 위해서 500 ul의 세포 배양물을 분주하여 12시간 배양하였다.
또한, 각 처리구에 사용될 배양물을 만들기 위해서, 양성대조군으로는 콜라젠 합성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이미 알려져 있는 제니스테인(genistein, Sigma, USA)을 DMSO에 녹여 준비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2의 녹두 유산균 배양물 및 제니스테인의 처리 농도는 각각 0.005 %, 0.01 %, 0.10%와 0.5uM, 1uM, 10uM로 처리하였다.
12시간 배양한 24-웰 플레이트에 상기 실시예 2의 녹두 유산균 배양물 및 제니스테인을 각각 500 ul씩 분주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상층액 800 ul를 얻은 후 12000 g에서 원심 분리하여, 세포를 제외한 배양물을 얻었다.
전체 수용성 콜라젠의 정량을 위해 상기 배양물을 원심 분리한 후 상층액을 수득하여 측정시료로 하였다. 먼저 정량적 표준 커브를 얻기 위해 제공되는 수용성 콜라젠을 농도별로 표준용액을 분주하여 두고, 실험할 배양물을 1.5 ml 튜브에 500 ul씩 4군으로 나누어 분주하였다. 상기 상층액을 써콜어세이(Sircol assay, Biocolor, N. Ireland)에서 제공하는 시러스 레드 염색액 1 ml와 섞은 후, 30분 동안 상온에 방치하였다. 이 중 콜라젠과 염색액의 화합물을 얻기 위해 16,000 g로서 5분간 원심 분리하고, 에탄올로 2회 반복하여 세척한 후, 5 N의 NaOH 1 ml에 다시 녹였다. 이를 96-웰 플레이트에 적당량 옮긴 후, 가시광선/자외선 흡광 측정기로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녹두 유산균 배양물(도 3에서 녹두로 표기)을 0.005 % 처리했을 때, 양성대조구로 사용한 제니스테인(genistein, Sigma, USA)을 10 uM 처리했을 때 보다 유도되는 콜라젠 분비가 더 촉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TPA에 의한 염증 완화 효과>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한 녹두 유산균 배양물의 염증(피부자극) 완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유 등(Sheu 등, The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18, pp94-101, 2002)이 사용한 방법에 따라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실험대상으로는 CD-1 마우스(mouse) (male & female,6-8 weeks, Charles River, USA)를 사용하고, 자극 물질로는 TPA(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0.03 %(wt/vol. in acetone)액 10 ㎕를 상기 실험동물 양귀의 안쪽 바깥쪽에 처리하였다. 처리 물질로 인해 귀가 두꺼워 지면서 염증반응이 일어난 이후에, 이미 알려진 양성대조군으로 PPAR α 아고니스트(agonist)인 클로파이브레이트(clofibrate)(1mM), Wy14643[Sheu et al., The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18, pp94-101, 2002](1mM)을, 시험물질로서 상기 실시예 2의 녹두 유산균 배양물을 각각 염증 유발 후 45분, 4시간째에 귀의 양쪽면에 평방센티당 30 ul를 처리하였다. 이후 귀의 처리부위를 생검한 다음, 조직의 부풀어오름(swelling)에 의한 조직무게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TPA만 처리한 대조군(Blank)에 비해, TPA 및 WY14643 처리군(도 4에서 TPA+WY14643으로 표기)과 TPA 및 상기 실시예 2의 녹두 유산균 배양물 0.5 % 처리군(도 4에서 TPA+녹두 0.5%로 표기)에서 부풀어오름이 감소하였고, 후자의 경우 감소 효과가 더 우세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보다 자세한 세포학적 소견을 얻기위하여 4 % 포름알데하이드(formaldehyde)에 고정하고, 이후, H&E 염색을 한 다음, H&E 염색한 조직 슬라이드를 100배 확대한 사진으로서 염증완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TPA만을 처리한 대조군(Blank) A에서 조직이 상당히 비대해져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 2의 녹두 유산균 배양물 0.5 % 처리군인 D에서 염증이 뛰어나게 완화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인 PPAR α의 아고니스트인 Wy14643 처리군 C 및 클로파이브레이트(clofibrate) 처리군 B에서도 염증이 완화된 것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4. 피부각질세포에서 자외선 조사 후 인터루킨-6 분비에 미치는 효과>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한 녹두 유산균 배양물이 피부각질세포에서 자외선 조사 후 항염증 및 과면역반응에 관련된 인터루킨-6(IL-6)의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24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5×104 세포/웰(cells/well)의 피부각질세포(HaCaT, ATCC, USA)를 접종(seeding)한 후, 다음날 배지를 제거하고 500 ㎕의 PBS를 첨가한 후 25 mJ/cm2 UVB를 조사한 다음 PBS를 제거한 다음, 상기 실시예 2의 녹두 유산균 배양물을 각각 0.01%(이하, pGB 0.01 이라 함) 및 0.1%(이하, pGB 0.1이라 함) 함유한 경우와 비교물질로 각각 가바 0.01%(이하, GB 0.01이라 함) 및 0.1%(GB 0.1이라 함) 함유한 경우, 기존 항염증효과가 입증된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 Kippenberger et al., J. Invest Dermaltol., 117, pp1430-1436, 2001)으로서 WY14643 200 uM을 첨가한 배지에 투여하고 24시간 추가적으로 배양을 시행하였다.
이후 IL-6의 감소량을 측정하기 위해, 엘라이자 키트(CytElisa Human IL-6 ELISA kit, USA]를 사용하였다. 실험방법은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24시간 배양을 마친 배양액 100 ul을 채취하여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후, 항인터루킨-6을 25 ul 넣고 아세테이트 플레이트 실러로 잘 막은 다음 상온에서 3시간 반응시킨 후, PBS로 다섯 차례 세척을 한 다음, 염소 항-토끼(Goat anti-rabbit) 알카라인 포스파테이즈를 각 웰에 넣고 다시 실링한 후, 상온에서 45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색상발생시약을 200 ul씩 분주하고, 색변화가 나타날 때까지 상온에서 반응시킨 다음, 색변화가 나타나면 반응 종료액을 50 ul 분주하고,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IL-6함량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는 UVB 조사이후 비히클(vehicle)만 처리한 구이며, 노말(nomal)은 UVB 조사 전 상태이고, 각각은 UVB 조사 후 상기와 같이 물질을 처리한 것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녹두 유산균 배양물을 처리한 경우, 농도에 비례하여 전형적인 항염증 효과를 보이는 wy14643 보다도 높은 IL-6감소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GABA 기준물질보다도 높은 IL-6 감소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본 발명의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한 녹두 유산균 배양물의 뛰어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에 상기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비누 제조
실시예 3의 녹두 유산균 배양물...............1.00 (중량%)
유지........................................적당량
수산화나트륨................................적당량
염화나트륨..................................적당량
향료........................................소 량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에 의해 비누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로션 제조
실시예 3의 녹두 유산균 배양물...............3.00 (중량%)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1.00
수용성 콜라겐 (1 % 수용액)..................1.00
시트르산나트륨..............................0.10
시트르산....................................0.05
감초 엑기스.................................0.20
1,3-부틸렌글리콜............................3.00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에 의해 로션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3. 크림 제조
실시예 3의 녹두 유산균 배양물...............1.00(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알레이트............2.0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5.00
세틸알코올..................................4.00
스쿠알렌....................................6.00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6.00
스핑고당지질................................1.00
1.3-부틸렌글리콜............................7.00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4. 팩 제조
실시예 3의 녹두 유산균 배양물...............5.00(중량%)
폴리비닐알코올..............................1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1.00
라우로일히드록시프롤린.......................1.00
수용성 콜라겐 (1 % 수용액)...................2.00
1,3-부틸렌글리콜.............................3.00
에탄올.......................................5.00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로 팩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5. 미용액 제조
실시예 3의 녹두 유산균 배양물................2.00(중량%)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2 % 수용액).........12.00
크산탄검(2 % 수용액)..........................2.00
1,3-부틸렌글리콜..............................6.00
진한 글리세린.................................4.00
히알루론산나트륨 (1 % 수용액).................5.00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로 미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은 콜라젠 합성 촉진 효과를 통해,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노화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염증 완화 효과를 통해 항염증, 및 피부자극 완화 또는 피부 자극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은 콜라젠 생합성 촉진용,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항염증용, 및 피부자극 완화 또는 피부 자극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7)

  1. 녹두 함유 배지에 유산균을 배양하여 얻은 녹두 유산균 배양물로서, 녹두 추출물 및 가바(γ-Aminobutyric acid; GABA)를 함유하며,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또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두 유산균 배양물은 녹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배양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녹두 유산균 배양물은 녹두 추출물 및 MSG(Monosodium Glutamate)를 포함하는 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한 후 배양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녹두 추출물은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글루타메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를 발현하여 MSG를 가바로 전환시킬 수 있는 유산균임을 특징으로 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
  6. 삭제
  7. 녹두 함유 배지에 유산균을 배양하여 얻은 녹두 유산균 배양물의 제조방법으로서,
    녹두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제 1단계에서 수득한 녹두 추출물과 MSG(Monosodium Glutamate)를 포함한 배지를 제조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제조된 배지에 글루타메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에 의해 MSG를 가바(γ-Aminobutyric acid; GABA)로 전환시킬 수 있는 유산균을 접종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접종된 유산균을 배양하여 녹두 추출물 및 가바가 함유된 녹두 유산균 배양물을 제조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또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MSG 의 첨가량은 녹두 추출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의 제조방법.
  9. 녹두 함유 배지에 유산균을 배양하여 얻은 녹두 유산균 배양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제 7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로부터 균체 및 불용성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수득한 균체 및 불용성 성분이 제거된 녹두 유산균 배양물에 부재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또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녹두 추출물 및 가바를 함유하는 녹두 유산균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또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녹두 유산균 배양물은 제 7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글루타메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를 발현하여 MSG(Monosodium Glutamate)를 가바로 전환시키는 유산균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 12항의 녹두 유산균 배양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생합성 촉진용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증용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손상 방지 또는 피부 손상 개선용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50061136A 2005-07-07 2005-07-07 녹두 유산균 배양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21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136A KR101221239B1 (ko) 2005-07-07 2005-07-07 녹두 유산균 배양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CT/KR2006/002663 WO2007007989A1 (en) 2005-07-07 2006-07-07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of mung bean and the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and th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JP2008520189A JP2009501160A (ja) 2005-07-07 2006-07-07 ヤエナリ乳酸菌培養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培養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US11/994,866 US20090068150A1 (en) 2005-07-07 2006-07-07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of mung bean and the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and th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14/525,661 US20150044313A1 (en) 2005-07-07 2014-10-28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of mung bean and the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and th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136A KR101221239B1 (ko) 2005-07-07 2005-07-07 녹두 유산균 배양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960A KR20070006960A (ko) 2007-01-12
KR101221239B1 true KR101221239B1 (ko) 2013-01-11

Family

ID=37637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1136A KR101221239B1 (ko) 2005-07-07 2005-07-07 녹두 유산균 배양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090068150A1 (ko)
JP (1) JP2009501160A (ko)
KR (1) KR101221239B1 (ko)
WO (1) WO20070079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573B1 (ko) * 2007-07-02 2014-07-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86109B1 (ko) * 2007-12-27 2009-02-27 장흥군 생약재 발효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비누의 조성물
JP5467106B2 (ja) * 2008-07-31 2014-04-09 コリアナ・コズメティック・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緑豆発酵−酵素抽出液を含む皮膚老化防止用化粧料組成物
KR101040508B1 (ko) * 2008-07-31 2011-06-1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녹두 발효-효소 추출액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5791009B2 (ja) * 2008-12-22 2015-10-07 アサヒ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乳酸菌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飲食物又は化粧品
TWI380822B (zh) * 2009-08-11 2013-01-01 Food Industry Res & Dev Inst 綠豆皮發酵組成物的形成方法、其所形成之綠豆皮發酵組成物與抗氧化與抗發炎組合物
CN103748211B (zh) * 2011-07-13 2016-05-18 食品安全测试系统公司 用于李斯特菌的培养基和培养方法以及检测李斯特菌的方法
DE102011110996A1 (de) * 2011-08-18 2013-02-21 Evonik Goldschmid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4-Aminobuttersäure aus Algen
KR101501328B1 (ko) * 2011-12-28 2015-03-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개선용 조성물
CN103897998B (zh) * 2012-12-25 2016-06-29 北京中天神舟航天食品技术研究院 唾液乳杆菌及其应用以及功能食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17063909A1 (en) * 2015-10-13 2017-04-20 Unilever N.V. A process for preparing metabolites by reaction of a prebiotic component with a probiotic component
AU2017240069B2 (en) 2016-03-31 2024-03-07 Gojo Industries, Inc. Sanitizer composition with probiotic/prebiotic active ingredient
WO2017173240A1 (en) 2016-03-31 2017-10-05 Gojo Industries, Inc. Antimicrobial peptide stimulating cleansing composition
JP2020500860A (ja) 2016-11-23 2020-01-16 ゴジョ・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プロバイオティック/プレバイオティックな有効成分を含む消毒薬組成物
CN110522684A (zh) * 2019-07-22 2019-12-03 北京京瑜科技有限公司 一种蛹虫草-绿豆双向液体发酵工艺
CN110484526A (zh) * 2019-09-17 2019-11-22 黑龙江八一农垦大学 一种绿豆中谷氨酸脱羧酶的提取纯化方法
KR102325947B1 (ko) 2020-02-05 2021-11-15 주식회사 에이치이엠파마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hem224 균주, 및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염증 또는 천식의 치료용 조성물
KR102664144B1 (ko) * 2021-08-05 2024-05-10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신규한 곡류 발효물, 그 곡류 발효물의 피부 보호 용도, 피부 유용 물질 스크리닝 방법 및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손상 예측 방법
CN114304514B (zh) * 2021-12-08 2023-10-13 北京工商大学 富含gaba与akg的绿豆乳及其制备方法
WO2024008597A1 (en) * 2022-07-04 2024-01-11 Alfasigma S.P.A. Fermentation product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CN115006310B (zh) * 2022-07-05 2023-10-24 菏泽市亿鑫生物科技有限公司 绿豆萌芽发酵物,含其皮肤外用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040449B (zh) * 2022-07-08 2023-03-24 广州悦荟化妆品有限公司 一种具有抗炎、舒缓、修护功效的绿豆发酵液、混合发酵液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089529B (zh) * 2022-08-03 2023-07-25 肽源(广州)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祛痘功效的绿豆皮发酵产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7679354B (zh) * 2024-02-04 2024-05-28 知想(山东)医疗科技有限公司 金花茶外泌体制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710A (ko) * 2001-04-06 2003-11-22 가부시키가이샤 도요학코 미용화장품 소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4215529A (ja) 2003-01-10 2004-08-05 Kirin Brewery Co Ltd 風味の良いgaba高含有乳酸菌発酵飲食品及び調味食品の製造法
KR20040094489A (ko) * 2003-05-02 2004-11-10 주식회사 바름인 유산균에 의해 감마-아미노부틸산이 강화된 발효물의생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 감마-아미노부틸산이강화된 발효물 및 그의 이용
KR20050063244A (ko) * 2003-12-22 2005-06-2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피부자극 완화 효과의 녹두 추출물 개발 및 이를 응용한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6726B2 (ja) * 1975-06-13 1983-06-04 カネボウ株式会社 ケシヨウリヨウ
JPH0517363A (ja) * 1991-07-11 1993-01-26 Yakult Honsha Co Ltd 抗炎症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EP0595209A3 (en) * 1992-10-23 1996-07-17 R I T A Corp An Illinois Corp Cosmetic composition
JP2704493B2 (ja) * 1994-02-18 1998-01-26 京都府 発酵食品の製造方法
JP3963972B2 (ja) * 1995-11-17 2007-08-22 三省製薬株式会社 皮膚外用剤
US5958976A (en) * 1997-09-19 1999-09-28 E-L Management Corp.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ducing stinging in skin
FR2779058B1 (fr) * 1998-05-29 2003-02-21 Dior Christian Parfums Utilisation d'au moins une saponine ou un sapogenol cosmetiquement acceptable, comme agent cosmetique destine a augmenter la quantite de collagene iv dans la jonction dermo-epidermique
JP4332247B2 (ja) * 1999-01-21 2009-09-16 大洋香料株式会社 γ−アミノ酪酸高生産能を有する乳酸菌、及びその乳酸菌を使用したγ−アミノ酪酸高含有発酵食品とその製造法。
JP2001107286A (ja) * 1999-09-30 2001-04-17 Nkk Corp 溶接缶用錫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52047A (ja) * 2000-03-13 2001-09-18 Biox:Kk 発酵食品
BR0109856B1 (pt) * 2000-04-07 2014-04-29 Givaudan Sa Processo para preparação de uma base saborosa cultivada e uso de uma cepa isolada da bactéria do ácido láctico
JP2002015499A (ja) * 2000-06-30 2002-01-18 Ricoh Co Ltd 光ディスクドライブ、光ディスク作成システ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4612180B2 (ja) * 2000-12-19 2011-01-12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皮膚外用剤
JP2002300862A (ja) * 2001-02-05 2002-10-15 Kikkoman Corp γ−アミノ酪酸含有天然食品素材の製造方法
JP2002265343A (ja) * 2001-03-07 2002-09-18 Ichimaru Pharcos Co Ltd 化粧料組成物
JP2003137768A (ja) * 2001-08-21 2003-05-14 Shiseido Co Ltd 抗老化剤
JP2003113066A (ja) * 2001-10-01 2003-04-18 Ai Corporation:Kk 化粧料
KR100549094B1 (ko) * 2003-01-29 2006-02-06 변유량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의 제조방법
JP4596304B2 (ja) * 2003-03-04 2010-12-08 株式会社ファーマフーズ 成長ホルモン分泌促進組成物
JP4073358B2 (ja) * 2003-04-28 2008-04-09 株式会社武蔵野免疫研究所 化粧品
JP4027858B2 (ja) * 2003-07-02 2007-12-26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超短光パルス信号の分散補償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560407B1 (ko) * 2004-03-11 2006-03-13 주식회사 태평양 호상 요구르트의 질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710A (ko) * 2001-04-06 2003-11-22 가부시키가이샤 도요학코 미용화장품 소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4215529A (ja) 2003-01-10 2004-08-05 Kirin Brewery Co Ltd 風味の良いgaba高含有乳酸菌発酵飲食品及び調味食品の製造法
KR20040094489A (ko) * 2003-05-02 2004-11-10 주식회사 바름인 유산균에 의해 감마-아미노부틸산이 강화된 발효물의생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 감마-아미노부틸산이강화된 발효물 및 그의 이용
KR20050063244A (ko) * 2003-12-22 2005-06-2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피부자극 완화 효과의 녹두 추출물 개발 및 이를 응용한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07989A1 (en) 2007-01-18
JP2009501160A (ja) 2009-01-15
KR20070006960A (ko) 2007-01-12
US20090068150A1 (en) 2009-03-12
US20150044313A1 (en) 2015-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1239B1 (ko) 녹두 유산균 배양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55373A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1848671B1 (ko) 식물세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및 발모 개선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KR101452770B1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4100911B2 (ja) グルタミン酸デカルボキシラーゼ活性化剤
JPWO2018123828A1 (ja) 発酵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37153A (ko) 새싹삼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8026B1 (ko) 노니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5245A (ko) 락토바실러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인삼 열매 발효 추출물 및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43745B1 (ko) 스피루리나 발효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98311B1 (ko) 두유 복합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3073225A (ja) 化粧料
KR20190063549A (ko) 대나무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6688A (ko) 포도, 오렌지, 사과, 레몬 및 라임을 발효하여 만든 과일 발효액 콤플렉스를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12130A (ko) 참당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1137B1 (ko) 주름개선,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위도 상사화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951646B1 (ko) 스피룰리나 마리노박터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8635A (ko) 피부 생리활성을 가지는 백년초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40333B1 (ko) 높은 피부미백효과를 지닌 고농도 유리 감마-리놀렌산을 포함하는 효소처리 식물성 오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06595B1 (ko)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메셈브리안테뭄속 아이스플랜트와 콜라겐의 혼합 발효물, 발효 용해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TW202102239A (zh) 抗老化劑、抗氧化劑、抗炎症劑、及美白劑、以及化妝品
KR20160122379A (ko) 동치미 원료를 이용한 복합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1885994B1 (ko) 발효 홍화 추출액을 이용한 샴푸 제조방법
KR20160087507A (ko) 녹두·강낭콩·흑콩 발효-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08954B1 (ko) 앗싸이 베리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약학조성물 및 앗싸이 베리의 발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