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9094B1 -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9094B1
KR100549094B1 KR1020030005828A KR20030005828A KR100549094B1 KR 100549094 B1 KR100549094 B1 KR 100549094B1 KR 1020030005828 A KR1020030005828 A KR 1020030005828A KR 20030005828 A KR20030005828 A KR 20030005828A KR 100549094 B1 KR100549094 B1 KR 100549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ba
lactobacillus
medium
strain
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9437A (ko
Inventor
강민수
조석철
국무창
변유량
최찬익
Original Assignee
변유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유량 filed Critical 변유량
Priority to KR1020030005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9094B1/ko
Publication of KR20040069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마-아미노부티르산 (γ-Aminobutyric acid: GABA) 생성능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GABA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글루타메이트로부터 GABA을 생성하는 능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 균주, 그리고 이를 배양하여 GABA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감마-아미노부티르산, GABA,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김치

Description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의 제조방법{Novel Strains of Lactobacillus spp. and Method for Preparing γ-Aminobutyric Aci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GABA-생성 젖산균의 분리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GABA 검출을 나타내는 TLC 크로마토그램.
도 3은 브로스 배지에서 0 시간 (패널 A) 및 48 시간 (패널 B) 배양 시에 글루타메이트 및 GABA 검출을 나타내는 역상 HPLC 크로마토그램.
도 4는 김치 시료의 인리치먼트 배양물에서의 GABA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GABA-생성 젖산 균주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MRS 브로스 (1% MSG 함유)에서 본 발명의 Lactobacillus sakei B2-16 균주의 증식 및 GABA 생성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 클로즈드 및 오픈 기호는 각각 세포 증식 및 GABA 생성을 나타내며, ■와 □는 23℃, ●와 ○는 30℃ 그리고 ▲와 △는 37℃에서의 결과를 각각 나타낸다.
도 7은 30℃, MRS 브로스 (1% MSG 함유) 및 비조절 pH의 조건 하에서 정치 플라스크 배양 (1 ℓ)을 한 Lactobacillus sakei B2-16 균주의 회분 배양 프로필을 보여주는 그래프. ●: 세포 밀도, ▲: pH, ■:GABA 생성량, ◆:GABA 생성 수율.
도 8a-8d는 MRS 브로스 내 30℃에서 Lactobacillus sakei B2-16 균주를 배양할 때 GABA 생성량 (8a), GABA 생성 수율 (8b), 세포 증식 (8c) 및 pH (8d)에 대한 MSG 농도의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 ◆, ●, ▲, ■, ○, △ 및 □는 각각 0%, 0.5%, 1%, 2%, 3%, 5% 및 10% MSG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9a-9d는 비조절 pH (9a), pH 5.0 (9b), pH 6.0 (9c) 또는 pH 7.0 (9d)의 조건 하에서 Lactobacillus sakei B2-16 균주를 회분 배양을 할 때 세포 증식 및 GABA 생성에 대한 pH의 영향을 보여 주는 그래프. ●: 세포 밀도, ■:GABA 생성량.
본 발명은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감마-아미노부티르산 (γ-Aminobutyric acid: GABA)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GABA 생성능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GABA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감마-아미노부티르산 (γ-Aminobutyric acid: GABA)은 비단백질 구성 아미노산으로서 사람에 있어서는 신경계 및 혈액에 함유되어 있고, 이의 대부분은 뇌의 골수에 존재하여 아세틸 콜린이라 불리우는 신경전달 물질을 증가시키고, 뇌 기능 을 촉진시키는 등의 생리작용을 한다(1,2,3). GABA는 글루타메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 (GAD)에 의해 글루타메이트가 비가역적으로 탈탄산화 되어 생성되는데, GAD와 GABA는 미생물에서부터 고등생물까지 널리 발견되고 있다.
고등생물의 중추신경계에서 GABA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 잘 알려져 있는데, GAD에 의해 흥분성 신경 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와 GABA의 농도가 조절된다(4). 인간의 GAD는 PLP (pyridoxal phosphate)를 조효소로 필요로 하며, 65 kDa (GAD65)과 67 kDa(GAD67) 두 개의 이소폼이 존재한다(5). 특히, GAD65는 당뇨병 발병 전에 자가항원으로 작용하여, 자가항체의 목표물이 되는데, 이는 당뇨병의 초기 발견에 대한 가능성과 당뇨병에 대한 이해의 목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6).
한편, 미생물에서 GABA와 GAD의 역할은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못했지만, 산성 pH 내성에 관련되어 있으며 부수적으로 ATP 합성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8,9,10,11,12). 즉, 글루타메이트가 세포 내에서 GABA로 전환되는 탈탄산화 과정에서 H+를 한 분자 소모함으로써 세포 내의 pH를 높여 준다. 따라서, 세포 주변의 환경이 산성화되어도, 세포 내의 pH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GABA는 앞서 전술한 신경전달물질, 뇌기능 촉진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데, 오래 전부터 혈압저하작용, 이뇨작용 등을 가진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특히 뇌졸중 치료제로서 의약품에도 등록되어 있다. 한편, GABA는 각종 야채, 과일, 쌀, 콩 등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함량이 낮아 생리작용을 나타내는 농도를 얻기는 힘들다. 하지만, 최근 GABA가 함유된 차의 혈압강하 또는 혈압상승 억제 효과에 대한 보고가 계속되고 있다(2,3).
고혈압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로는 보통 약품과 더불어 식사, 운동요법이 이용되고 있는데, 수축기 혈압이 160 mmHg 이상일 경우는 혈압 강하제를 지속적으로 복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차 잎을 혐기 처리하여 생성시킨 GABA가 다량 함유된 차를 음용하면 혈압을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체내에 축적되지 않고 분해되기 때문에 부작용이 전혀 없는 자연 건강음료다. 일본에서 병원에 입원한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한 GABA차의 임상실험에서 3 g 티백을 200 ㎖ 열탕에서 1분 이상 우려낸 뒤 1일 3회 이상 자유롭게 음용토록 하고 음용 전후의 혈압을 측정한 결과, 13명 환자 중 7명이 효과가 있었고, 6명은 큰 변화가 없었다고 한다. 또한, 통원 치료를 하고 있는 15명 환자에 대한 실험에서도 8명에 대한 효과가 인정되었다. 고혈압 발생증 쥐에 1.5% 식염수 투여 시 물 투여군에 비해 10-20% 혈압이 상승되는 반면 GABA차에 1.5% 식염수 투여 시는 전혀 혈압 상승이 일어나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3).
이런 GABA 함유 차의 연구 외에, 쌀 및 콩 발효 식품, 김치 등에서 분리한 유산균들이 GABA를 고농도로 생산한다는 연구 보고가 있는데, 실제 일본에서는 김치에서 분리한 젖산균을 이용하여 GABA를 고농도 생산함으로써 식품에 실제 응용하 고 있다. 또한, 일본 소주에서부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를 배양하여 직접 GABA를 만드는 방법까지 보고되고 있다. 이런 고혈압 예방, 뇌기능 촉진 등의 효과는 계속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GABA의 산업적 응용을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GABA 생성능을 갖는 신규한 균주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대한민국의 전통 음식인 김치로부터 GABA 생성능이 매우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를 동정하고 이의 최적 배양 조건을 수립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GABA 생성능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균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GABA 생성능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 균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GABA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글루타메이트로부터 감마-아미노부티르산 (이하, "GABA"라 한다)을 생성하는 능력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GABA를 생성하는 능력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를 동정하고자 다양한 해비태트 (habitat)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대한민국의 전통 음식인 김치에서 플로라 (flora)를 형성하는 락토바실러스 균주 가운데, GABA 생성능이 우수하고 종전에 규명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와는 상이한 신규한 균주가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동정하였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또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에 속하며, GABA 생성 수율을 고려하면,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에 속하는 균주이다.
GABA 생성능을 갖는 다양한 균주가 여러 논문에 공지되어 있으나,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에 속하는 균주는 아직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는 GABA-생성능을 갖는 최초의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이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는 다음의 특성을 갖는다: (ⅰ) 김치에서 분리됨; (ⅱ) 최적 배지가 MRS (deMan Rogosa Sharpe) 브로스 배지; (ⅲ) 최적 배양 온도 및 최적 GABA 생성 온도가 30℃; (ⅳ) 최적 MSG (monosodium glutamate) 농도가 3%; (ⅴ) 최적 탄소원이 수크로스; (ⅵ) 최적 유기 질소원이 이스트 추출물; 및 (ⅶ) 1% CaCl2에서 최대의 증식 및 GABA 생성 수율을 나타냄.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는 서열목록 제 1 서열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라이보좀 DNA로부터 전사되는 16S rRNA를 갖는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B2-16 (KFCC-11321)이다.
본 발명의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는 GABA 생성능이 매우 우수하여, 이를 적합한 배지 및 배양 조건에서 배양하면 GABA의 대량 생산을 경제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김치로부터 분리되고 글루타메이트로부터 감마-아미노부티르산 (GABA)을 생성하는 능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 균주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는 서열목록 제 2 서열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라이보좀 DNA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1-14 균주; 서열목록 제 3 서열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라이보좀 DNA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1-31 균주; 서열목록 제 4 서열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라이보좀 DNA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2-22 균주; 서열목록 제 5 서열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라이보좀 DNA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2-27 균주; 서열목록 제 6 서열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라이보좀 DNA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2-39 균주; 서열목록 제 7 서열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라이보좀 DNA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3-18 균주; 서열목록 제 8 서열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라이보좀 DNA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3-25 균주; 또는 서열목록 제 9 서열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라이보좀 DNA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3-30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는 상술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 보다는 GABA 생성 능력이 다소 떨어지지만, 공지의 다른 GABA 생성 균주와 비교하여 높은 GABA 생성 능력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상술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를 글루타메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 (이하, "GAD"라 한다)의 기질이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b) 상기 배지에서 GABA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마-아미노부티르산 (GABA)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이용 가능한 배지는 락토바실러스 균주의 배양에 이용되는 어떠한 배지도 포함하나, 바람직하게는 MRS (deMan Rogosa Sharpe) 브로스 배지, APT (All Purpose with Tween) 배지 또는 BHI (Brain Heart Infusion) 배지이며, 가장 바람 직하게는 MRS 브로스 배지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배양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0-3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3-3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략 30℃이다.
본 명세서에서, GABA 생성의 출발물질 또는 GAD의 기질로서 표현되는 "글루타메이트"는 특별한 다른 언급 (특히, 한정어구)이 없는 한, 글루타메이트 그 자체 뿐만 아니라 글루타메이트의 다양한 무기염 형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배지에 첨가되는 GAD의 기질은 글루타메이트 또는 글루타메이트의 소듐염이 이용될 수 있으며, 소듐염 중에서, MSG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본 발명의 방법이 산업적인 스케일로 실시되는 경우에 MSG가 비용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기 때문이다. MSG가 기질로서 이용되는 경우, MSG의 바람직한 농도는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2-4%, 가장 바람직하게는 3%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본 발명의 방법의 배지에 있어서, 이용되는 탄소원은 다양한 탄수화물이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크로스, 글루코스, 프럭토스, 갈락토스, 아라비노스 및 락토스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크로스, 글루코스 및 프럭토스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크로스이다.
본 발명의 방법이 배지에 이용되는 질소원은 유기 질소원이 이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이스트 추출물, 프로테오스 펩톤 No.3 및 펩톤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스트 추출물이다. 질소원으로서 이스트 추출물이 이용되는 경우, 그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5-3%, 보다 바람직하게는 0.5-2%,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략 1%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배지에는 GABA의 생산 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클로라이드 이온을 추가적으로 첨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로라이드 이온의 공급원으로서 다양한 무기 염화물이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aCl2 또는 NaCl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CaCl2이다. 클로라이드 이온의 공급원으로서 CaCl2가 이용되는 경우, 그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5-2%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5%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략 1%이다.
GAD 기질이 함유된 배지에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를 배양하면, 세포 내에서 생성된 GABA가 상기 균주의 세포막에 있는 글루타메이트 트랜스퍼라아제에 의해 세포 외로 운반이 되어 배지에 축적이 된다.
이렇게 배지에 축적된 GABA는 다양한 방법으로 회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양액을 분무 건조하면 저농도의 GABA-함유 분말을 대량으로 얻을 수 있으며, GABA의 함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배양액을 감압 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를 진행하면 가능하다. 또한, 고순도의 GABA를 얻기 위해서는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정제방법을 사용한 후 농축 및 건조 공정을 수행하면 된다. GABA는 온도 및 pH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공정 안정성이 있기 때문에, 회수 공정상의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GABA 생성능이 매우 우수한 신규한 균주를 이용하며, 상술한 바람직한 배양 조건 및 배지 조성을 따르는 경우에는 GABA를 저가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단일 콜로니 분리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인 김치로부터 젖산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락토바실러스 MRS (deMan Rogosa Sharpe) 브로스 (Difco)에 3% MSG (monosodium glutamate)가 첨가된 배지를 사용하였다. 시료는 재래시장, 가정집, 그리고 기업에서 제조 판매하는 김치를 수집하여 4℃에 보존하면서 분리실험에 사용하였다. 김치에서 GABA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찾기 위한 탐색 과정은 도 1에 간략하게 기재되어 있다. 우선, 시료를 잘게 분쇄한 후에 일정량을 3% MSG가 첨가된 락토바실러스 MRS 배지에 첨가하여 30℃에서 4일간 인리치먼트 배양한 다음, 배양 상등액의 GABA의 양을 역상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중 GABA의 함량이 높은 시료 4 종류에서 인리치먼트 배양액을 MRS 고체 배지에 도말하고 30℃에서 2일간 방치하여 단일 콜로니 분리를 하였다.
실시예 2: GABA 생산 균주의 탐색
GABA 생산 균주의 탐색은 앞서 단일 콜로니 분리한 균주들을 TLC 및 HPLC를 이용하여 탐색하였다. 1차 탐색을 위해 분리한 균주들을 1% MSG가 첨가된 5 ㎖ MRS 액체 배지에 접종하고, 30℃에서 4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에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 회수하고, 이를 TLC에 전개하여 GABA 스팟을 확인한 균주를 2차 탐색으로 역상 HPLC를 이용해서 GABA를 정량 측정하여 정확한 GABA 생산 수율[GABA 생산 수율: (생산된 GABA 농도/초기 배지에 넣어준 MSG 농도) x 100(%)]을 구하였다.
실시예 3: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GABA의 정성 분석
본 실시예에서 TLC를 이용한 GABA의 정성 분석 조건은 Mack(13)가 보고한 방법을 참조로 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TLC 플레이트(Merck)를 세로 7 ㎝, 가로는 적당한 크기로 자른 후에 하단에서 1 ㎝ 높이에 시료를 1 ㎕ 점적한 후에 TLC 전개 통에 넣고 전개용액을 약 40분간 5 ㎝ 전개시켰다. 전개용액의 조성은 n-부탄올: 아세트산:물 4:1:5(v/v) 이었다. 전개시킨 TLC 플레이트를 꺼내고 닌하이드린 용액에 담근 후에 가열하면서 GABA의 붉은 보라색 스팟을 확인하였다 (참조: 도 2). GABA의 Rf값은 0.16이었고 MSG의 Rf값은 0.06이었다.
실시예 4: 역상 HPLC를 이용한 GABA의 정량 분석
본 실시예에서 GABA의 정량적 분석은 다음과 같이 역상 HPLC (HPLC Water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역상 HPLC를 이용한 분석 조건은 Ibolya(14), Tcherkas(15) 등이(16,17,18,19) 보고한 것을 참조로 하여 확립하였다. 우선, 시료를 8000 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한 후 상등액을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고 적당한 농도로 3차 증류수에 희석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시료를 o-프탈디알데히드 (o-phthaldialdehyde: OPA)를 이용한 프리-컬럼 반응의 유도체화 과정 후 역상 HPLC를 수행하였다. OPA 용액 (pH 9.3)은 5.0 ㎖의 메탄올성 OPA, 20 ㎖ 보레이트 완충액 (pH 9.9) 및 50 ㎕ 2-머르캅토에탄올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메탄올성 OPA는 2.56 g의 OPA를 50 ㎖의 메탄올에 용해하여 제조하였고, 보레이트 완충액은 0.2 M 보르산 및 0.2 M 수산화 나트륨을 50:50(v/v)을 혼합한 후 0.2 M 포타슘 클로라이드를 넣어 사용하였다. OPA 용액은 2시간 지나서 사용하고 제조한 후 일주일정도 까지는 안정하였다. 제조한 OPA 용액 380 ㎕와 120 ㎕의 시료를 잘 혼합한 후 8분 정도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너무 오랜 시간 상온에서 방치하면 유도체의 불안정성 때문에 역상 HPLC의 피크 모양이나 면적값이 다르게 나올 수 있으므로 상온에서 1-2시간 이상 방치하지 않고 역상 HPLC를 수행하였고, 유도체화된 시료 20 ㎕를 컬럼에 주입하였다.
HPLC 컬럼으로는 XTerra 컬럼 (Waters, : RP18 5 m, 4.6 mm 150 mm)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으로는 0.05 M 소듐 아세테이트 (pH 7.2)을 용매 A로, 그리고 0.1 M 소듐 아세테이트, 아세토니트릴 (HPLC 등급) 및 메탄올 (HPLC 등급)이 각각 46:44:10(v/v)으로 혼합된 것 (pH 7.2)을 용매 B로 사용하였다. 이동상의 농도 구배는 용매 A를 100%로 하여 분석을 시작해서 30분 경과 후에는 용매 B가 100%가 되고, 40분 경과 후까지 용매 B가 100%, 45분 경과 후까지는 다시 용매 A가 100%가 되게 하였으며, 60분 후까지 용매 A가 100%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이동상의 유속은 1 ㎖/min로 고정하였고, 358 ㎚의 U.V. 검출기로 GABA를 검출하였다. 이런 조건에서 GABA와 글루타메이트의 보유 시간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 21.01 및 9.89 분이었고, 검출 한계농도는 0.1 mM이었다. 또한, GABA의 농도가 10 mM이 넘으면 검출기의 검출 상한선을 넘으므로 이에 맞게 희석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5: 배지 및 배양
본 발명의 GABA 생산 균주인 Lactobacillus sakei B2-16의 배양에는 GAD (glutamate decarboxylase)의 기질로 1% 또는 3% MSG가 첨가된 락토바실러스 MRS 브로스 (Difco)를 사용하였다. GABA 생산 균주의 전배양은 1% 수준으로 살균 배지에 접종하여 약 10시간 동안 30℃에서 정치 배양을 통해 수행하였다. L. sakei B2-16의 본배양은 플라스크 배양 및 발효조 배양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먼저 플라스크 배양은 250 ㎖ 삼각 플라스크에 100 ㎖ 배지를 넣고, 앞서 언급한 L. sakei B2-16 균주의 전 배양액 1%를 접종한 후, 30℃ 인큐베이터에서 48-60시간 동안 정치배양 하였다.
발효조 배양은 5 ℓ 자르 발효기에 L. sakei B2-16의 전배양액 1%를 접종한 후, 배양 온도 30℃, 교반 속도 80 rpm에서 공기를 공급하지 않고 약 48시간 동안 회분 배양하여 수행하였다. 이때 배양 배지의 초기 pH는 6.5로 조절하였으며, 배양 중의 pH는 조절하지 않았으나, pH의 영향을 검토할 때는 pH 조절기로 자동 조절하였다.
균체 농도는 2-3시간 간격으로 채취된 시료를 8000 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 한 후, 침전된 균체를 생리 식염수로 세척하고 일정한 배수로 생리 식염수에 희석하여 스펙트로포토미터 (Beckman)를 이용해서 600 ㎚에서 O.D.로 측정하였다. 또한, 배지의 pH는 플라스크 배양 시에는 pH 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발효조의 배양시에는 발효조의 pH 미터를 이용하여 측정가능 하였다.
실시예 6: GABA 생산 균주의 동정
2차 탐색으로 최종적으로 높은 농도의 GABA를 생산한다고 판단되어지는 10 균주를 16S 라이보좀 DNA 서열 결정을 통하여 동정하였다. 먼저 각 균주의 지놈DNA를 Quiagen 지놈 DNA 분리 키트을 이용하여 제조자의 매뉴얼에 따라 분리하였다. 분리한 각 균주의 지놈 DNA를 주형으로, 박테리아의 16S 라이보좀 DNA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였다. 이용된 프라이머의 서열은 5'-GAGTTTGATCCTGGCTCAG-3' (전방향 프라이머-19 mer) 및 5'-AAGGAGGTGATCCAACC-3' (역방향 프라이머-17 mer)이다. PCR은 Hybaid (Serial No. HBPX 220) 기기를 사용하였으며 Taq (TAKARA Cat No. R001A) 중합효소를 이용하여 95℃, 60sec; 55℃, 60sec; 및 72℃, 60sec; 총 35 사이클을 수행하였 다.
이어, 1.5 kb 정도의 크기를 지닌 PCR의 결과물들을 pGEM-T easy 벡터 (Promega)에 라이게이션하고, E. coli(DH5α)에 형질전환시켜서 클로닝을 수행하였다. LB 고체 배지에서 형질전환 되었다고 추정되는 E. coli (흰색 콜로니)를 분리하여 LB에서 배양한 후 Quiagen mini-prep 키트를 이용하여 T-벡터를 분리한 후에 서열결정 (ABI PRISM 310 Genetic Analyzer, Perkin-Elmer)을 하였다.
16S rDNA 서열결정 결과를 genbank (http://www.ncbi.nlm.nih.gov/Genbank/)에서 블라스트를 수행하여 본 발명의 GABA 생산 균주를 동정하였다.
실험 결과
I. GABA 생산 균주의 분리 및 동정
1. GABA 생산 균주의 분리
인리치먼트 배양하여 높은 GABA의 농도를 가진 김치 시료 4 종류 (참조: 도 4)에서 총 224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균주들은 20% 글리세롤이 함유된 MRS 액체 배지에 접종하여 -70℃에서 보관하면서 GABA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이들 균주와 젖산균 계열의 13 균주를 1% MSG가 포함된 MRS 배지에서 배양한 후 TLC로 1차 탐색하였다 (참조: 표 1). 그 결과 김치에서 분리한 16 균주가 높은 농도의 GABA를 생산하였고, 젖산균 계열의 6 균주가 높은 농도의 GABA를 생산한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이들의 GABA 생산량을 정량하기 위해 역상 HPLC로 2차 탐색하였다. 최종적으로 높은 농도의 GABA를 생산하는 것으로 규명된 것은 10개의 균주이다.
탐색 단계 김치로부터 분리된 균주 수 젖산균 계열의 균주 수
MRS 아가 플레이트 상에서의 단일 콜로니 분리 224 13
TLC에 의한 1차 탐색 16 6
역상 HPLC에 의한 2차 탐색 10 3
2. GABA 생산 균주의 동정
높은 농도의 GABA를 생산한다고 판단되는 균주들을 동정하기 위해서, 16S 라이보좀 DNA 서열을 이용하였다. 결정된 염기 서열은 첨부한 서열목록 제 1 서열 내지 제 9 서열에 나타나 있다. 서열 중에서, 제 2, 3, 6, 7, 8 및 9 서열은 부분 서열 (partial sequence)이다. 서열 상동성 비교를 위한 공지의 서열은 진뱅크 (GenBank) 접근번호 (accession number) AF515220 및 AF401673에 기재된 서열이다.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총 10 균주 중에서, B1-14, B1-31, B2-22, B2-27, B2-39, B3-18, B3-25, B3-30 및 A128은 모두 Lactobacillus brevis로 동정되었으며, B2-16 균주는 Lactobacillus sakei와 98%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동정되었다. 이 중 Lactobacillus sakei B2-16이 GABA 생성 수율이 가장 우수하기 때문에, 이를 집중적인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B2-16을 Lactobacillus sakei B2-16이라 명명하고, 기탁기관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03년 1월 16일자로 기탁하고, 기탁번호 KFCC-11321을 부여받았다.
최종 분리된 GABA 생산 균주 GABA 생산 수율 (%)- 1% MSG 서열 상동성 (%) 동정
B1-14 72.8 99.0 Lactobacillus brevis
B1-31 92.1 99.0 Lactobacillus brevis
B2-16 99.3 98.0 Lactobacillus sakei
B2-22 91.6 97.0 Lactobacillus brevis
B2-27 97.5 97.0 Lactobacillus brevis
B2-39 98.1 97.0 Lactobacillus brevis
B3-18 84.6 97.0 Lactobacillus brevis
B3-25 90.7 97.0 Lactobacillus brevis
B3-30 98.4 98.0 Lactobacillus brevis
이하의, 실험 결과는 Lactobacillus sakei B2-16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Ⅱ. GABA 생산에 미치는 배양 조건의 영향
1. 생육 배지의 영향
GABA 생산에 미치는 생육 배지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총 8 가지의 배지(Difco)를 조사하였다.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L. sakei B2-16 균주의 증식에 가장 효과적인 배지는 락토바실러스 MRS 브로스였으며, 다음으로는 APT 브로스, 0.5% 글루코오스가 첨가된 M17 브로스 순서였다.
L. sakei B2-16 균주에 의한 GABA 생산은 락토바실러스 MRS 브로스에서 다른 배지들에 비하여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배지 배양 시간 (h)
16 h 48 h 16 h 48 h 16 h 48 h
pH O.D.(600 nm) GABA (mM)
MRS 4.48 4.36 6.16 6.04 22.6 53.1
APT 5.43 5.39 3.52 3.48 9.8 15.4
BHI 6.18 6.13 1.86 1.72 0.9 4.1
TSB 5.60 5.56 1.41 1.30 0.0 0.8
LB 4.98 4.97 0.69 0.62 0.0 0.0
NB 6.33 6.31 0.25 0.24 0.0 0.0
M17 + 0.5% 글루코오스 5.51 5.47 2.48 2.35 0.6 1.6
M17 + 0.5% 글루코오스 6.47 6.47 1.18 1.21 0.0 0.0
2. 배양 온도의 영향
L. sakei B2-16 균주의 증식 및 GABA 생산에 대한 배양 온도의 영향을 플라스크 정치 배양으로 검토한 결과, 23℃, 30℃ 및 37℃의 각 배양 온도에서 균체 증식은 23℃와 30℃에서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았으나, 37℃에서는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ABA의 생산에 대한 배양 온도의 영향은 30℃에서 최고의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참조: 도 6).
전술한 실험에서 얻어진 최적 배지 MRS에 1% MSG를 넣고 최적 온도인 30℃에서 L. sakei B2-16을 회분 배양하면서 균체의 증식, pH, GABA의 생산량과 생산 효율 경향을 살펴보았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B2-16의 균체양은 16-18시간에서 최대가 되었고, 그 이후 정지기로 들어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Aasen(20), Marie 등(21)이 보고한 Lactobacillus sakei의 생육 곡선과 유사하였다. 생육 배지의 pH 6.25에서 24시간 후에 4.41로 감소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GABA의 생산은 9시간부터 뚜렷이 생산되기 시작해서 24시간까지 급격히 증가하고 48시간에서 53.3 mM로 최고에 도달할 때까지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첨가한 MSG의 농도와 비교하여, GABA 생산 효율을 계산하면 48시간에서 약 99.3%로 대부분의 MSG를 GABA로 전환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배양 후기, 즉 정지기에서 GABA의 생산량이 늘어나는 것은 글루타메이트에서 GABA로 전환되는 데 핵심이 되는 효소인 GAD의 활성이 정지기에서 최고가 된다는 Kiyoshi 등(22)의 보고와 일치한다. 이런 GABA의 생산 증가 곡선은 GAD의 활성과 pH의 하락에 기인한 것이며, 상술한 낮은 pH에서 균체가 성장하기 위한 항산성의 능력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예측된다.
3. MSG 농도의 영향
L. sakei B2-16 균주의 균체 증식, pH 변화 및 GABA 생산에 대한 MSG 농도의 영향을 플라스크 정치 배양으로 검토하였다.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MSG의 농도가 3%까지는 GABA 생산량이 증가하였으며, 균체의 증식 또한 증가하였다. 그러나, 5%의 농도부터 GABA의 생산량은 증가하지 않고, MSG에서 GABA로의 생산 수율은 감소하며, 균체 증식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GABA 생산을 위한 최적의 MSG 농도는 3%인 것으로 알 수 있다.
한편, pH의 변화를 보면 젖산균의 배양에서 pH의 감소는 일반적이다. 그러나, GABA의 생산은 배지의 pH 상승을 일으키는데, 이는 GABA가 글루타메이트 보다 좀 더 염기성을 띄기 때문이다. 즉 산성을 띄는 글루타메이트가 상대적으로 염기성을 띄는 GABA로 다량 전환되어 배지로 유입되어서 배지의 pH 상승을 일으키게 되는 것으로 짐작된다. 따라서, 균체의 증식과 GABA의 생산량의 관계가 배지의 pH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측된다.
4. pH의 영향
대부분의 젖산균은 pH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면 균체 증식이 좋아지고, 원하는 물질의 생산량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따라서, L. sakei B2-16의 균체 증식과 GABA 생산에 미치는 pH 영향을 자르 발효기에서 pH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검토하였다 (참조: 도 9). 그러나, pH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었을 때, pH 5.0에서 균체의 증식은 조금 개선되었으나, 48시간 배양 시에 GABA 생산 수율은 3.9% 정도였다. 이것은 pH를 일정하게 조절하지 않은 대조군의 GABA 생산 수율이 약 70%에 비하여 매우 큰 감소를 보였다. 또한, pH 6.0 및 7.0에서는 GABA 생산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GABA의 생산량은 균체의 증식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Ⅲ. GABA 생산 배지의 최적화
1. 탄소원의 영향
앞선 배지 실험에서 MRS 배지의 영향이 가장 좋게 나타났으므로, MRS를 기본 배지로 하여서, 배지의 최적화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B2-16 균주에 의한 GABA 생산을 위한 최적 탄소원을 선정하기 위하여 총 8가지 탄소원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앞서 MSG 농도가 5%일 때 더 이상 GABA 생산량이 증가하지 않았으므로 최적 탄소원 실험을 위해서 5% MSG를 배지에 첨가했다. 표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균체 증식에 가장 큰 효과가 있었던 탄소원은 수크로스, 프럭토스, 그리고 글루코스의 순서였으며, GABA 생산량 또한 수크로스, 프럭토스 및 글루토스의 순서였다. 특히, 수크로스의 경우 2% 농도에서 MSG를 GABA로 81.2% 전환시키는데, 이는 MRS의 원래 탄소원인 2% 글루코스가 55.9% 전환시키는 것에 비해 월등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최적 탄소원으로 수크로스를 결정하였고, 최적의 수크로스의 농도를 결정하였다. 표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4%에서 GABA의 생산량이 최대를 나타냈고, 균체량도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4% 수크로스농도에서 MSG를 GABA로 99.6% 전환시켜 대부분의 MSG가 GABA로 전환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10% 수크로스의 경우에는 오히려 GABA 생산이 저해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탄소원a 최종 pH O.D. (600 nm) GABA (mM) GABA 생산 수율 (%)
대조군b 6.34 0.87 0.0 0.0
글루코스 6.27 5.64 149.13 55.9
락토스 5.64 3.63 46.7 17.5
수크로스 6.37 6.47 216.89 81.2
자일로스 6.18 0.83 0.0 0.0
프럭토스 6.17 5.94 155.96 58.4
말토스 6.08 1.02 0.0 0.0
갈락토스 6.26 4.01 136.12 51.0
아라비노스 5.92 4.12 122.4 45.8
a탄소원은 대조군에 2%로 첨가되었다. bMRS 브로스에서 탄소원이 결핍된 것이다.
수크로스 농도 최종 pH O.D. (600 nm) GABA (mM) GABA 생산 수율(%)
1% 6.33 4.87 156.48 58.6
2% 6.27 6.67 222.49 83.3
3% 5.59 6.75 247.93 92.9
4% 5.15 7.33 265.01 99.3
5% 5.14 7.17 261.76 98.1
10% 5.01 6.63 225.91 84.6
2. 유기 질소원의 영향
B2-16의 GABA 생산에 미치는 유기 질소원의 영향은 표 6에 요약되어 있다. 탄소원으로는 앞서 최적 탄소원으로 결정된 수크로스를 4%로 첨가하였고, MRS의 질소원 (비프 추출물 1%, 프로테오스 펩톤 No.3 1% 및 이스트 추출물 0.5%)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다른 질소원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각 질소원을 2.5% 농도로 MRS의 질소원 대신 첨가해 주었다. B2-16 균주의 균체 증식에 가장 효과가 있었던 질소원은 이스트 추출물, 프로테오스 펩톤 No.3, 그리고 펩톤 순서였다. 또한, 이스트 추출물의 농도가 1%에서 GABA 생산량이 최대를 나타냈다 (참조: 표 7). 이스트 추출물 농도가 2% 농도까지는 5% MSG 대부분을 GABA로 전환시키고 3%부터는 생산량이 조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감소량이 크지 않은 것으로 보아, 탄소원인 수크로스의 영향이 GABA의 생산량에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질소원a 최종 pH O.D. (600 nm) GABA (mM) GABA 생산 수율 (%)
대조군b 5.03 7.53 265.86 99.6
비프 추출물 4.78 1.61 4.38 1.6
트립톤 4.50 3.23 12.67 4.7
소이톤 4.51 3.08 11.95 4.5
이스트 추출물 4.98 8.16 255.11 95.5
펩톤 4.51 4.27 34.18 12.8
카시톤 4.52 2.92 9.31 3.5
카사미노산 5.43 0.17 0.0 0.0
프로테오스 펩톤 No.3 5.03 6.97 161.53 60.5
a탄소원 (수크로스)은 4% 첨가되고 질소원은 2.5% 첨가된다. b대조군은 MRS 브로스 내 질소원 (비프 추출물 1%, 프로테오스 펩톤 No. 3 1% 및 이스트 추출물 0.5%)이 첨가된 것이다.
이스트 추출물 농도 최종 pH O.D. (600 nm) GABA (mM) GABA 생산 수율(%)
1% 5.04 7.38 265.01 99.3
2% 4.99 8.27 254.64 95.4
3% 4.92 7.81 255.11 95.5
4% 5.00 7.58 230.12 86.2
5% 5.05 7.95 235.01 88.1
10% 5.23 7.81 240.87 90.2
3. 클로라이드 이온의 영향
Sanders 등(8)이 젖산균의 일종인 락토코커스 락티스 (Lactococcus lactis)의 GAD가 클로라이드에 의해 유도된다고 보고했다. 따라서, 배지에 NaCl 또는 CaCl2의 클로라이드 이온을 첨가해서 GABA의 생산량을 관찰하였다 (표 8a 및 8b). CaCl2를 1%의 농도로 10% MSG가 함유된 배지에 첨가하였을 때는 넣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생육이 좋아졌으며, 특히 GABA 생산량이 33%이상 상승하였다. 그러나, 2% 이상의 농도에서는 오히려 균체 증식과 GABA 생산량 모두 저해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클로라이드 이온의 공급원으로서 NaCl을 배지에 첨가하였을 때는 넣어준 NaCl의 농도에 비례하여 균체의 증식과 GABA의 생산량이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CaCl2 농도 O.D. (600 nm) 최종 pH 생성된 GABA (mM) 상대적 GABA 생성량
대조군 7.93 5.44 282.8 100
1% 8.60 5.46 377.4 133.5
2% 7.81 5.12 281.4 99.7
3% 7.15 4.89 233.5 82.6
4% 6.58 4.77 203.6 72.0
5% 6.06 4.72 204.7 72.4
NaCl 농도 O.D. (600 nm) 최종 pH 생성된 GABA (mM) 상대적 GABA 생성량
대조군 7.93 5.44 282.8 100
1% 7.71 5.14 191.2 67.6
2% 6.70 5.00 146.4 51.8
3% 5.72 4.92 73.1 25.8
4% 4.38 4.85 39.7 14.0
5% 3.45 4.85 14.2 5.0
상술한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GABA 생산 균주인 본 발명의 Lactobacillus sakei B2-16의 최적 상용 배지는 락토바실러스 MRS 브로스이며, 1% MSG를 넣어 주었을 때 99.3%의 GABA 생산 효율을 나타낸다.
2. Lactobacillus sakei B2-16의 최적 생육 온도와 GABA 생산 온도는 모두 30℃이다.
3. MRS 배지에서 Lactobacillus sakei B2-16의 GABA 생산의 최적 MSG 농도는 3%이며, 균체의 증식 또한 최고를 나타낸다. 또한, MSG의 농도가 5%가 넘으면 균체의 증식과 GABA생산 모두 저해 받는다.
4. MRS 배지를 기본 배지로 하는 경우, 최적 탄소원은 수크로스 4%, 최적 질 소원은 이스트 추출물 1%이며, 5% MSG를 함유한 배지에서 MSG →GABA 전환율이 95% 정도이다.
5. Lactobacillus sakei B2-16의 GABA 생산은 배지의 pH에 매우 민감한 영향을 받으며, pH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에는 GABA의 생산량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특히 pH 6.0 및 7.0에서는 GABA의 생산이 전혀 관찰되지 않는다. 또한, pH 5.0에서 GABA의 생산량은 pH를 조절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10% 미만의 GABA 생산을 나타낸다. 그러나, 균체의 증식은 pH 6.0에서 최대를 나타내는 것을 보아 균체의 증식과 GABA의 생산은 비례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6. Lactobacillus sakei B2-16의 GABA 생산에 미치는 chloride 이온의 효과는, 1% CaCl2를 10% MSG가 함유된 배지에 첨가하는 경우, 70% 정도의 GABA 생산 효율을 나타내며, 이는 CaCl2를 전혀 첨가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33% 정도의 GABA 생산 증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은 GABA 생성능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actobacillus brevis)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GABA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균주, 특히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는 종래의 GABA-생성 균주와 비교하여 개선된 GABA 생성능을 갖고 있으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채택하고 있는 바람직한 배양 조건 및 배지 조성을 따르는 경우에는 GABA를 저가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참 고 문 헌
1. Barry J. Shelp, et al. (1999) Metabolism and functions of gamma-aminobutyric acid, Trends Plant Sci. Vol. 4, No. 11, 446-452.
2. Ji-Shin Chang, et al. (1992) Changes in γ-Aminobutyric acid(GABA) and the main constituents by a treatment conditions and of anaerobically treated green tea leaves,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24, No. 4, 315-319
3. Jang Hyun Park, et al. (2002) Effect of hypertention falling of functional GABA green te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0(1), 37-40
4. Hiroshi Ueno (2000) Enzymatic and structural aspects on glutamate decarboxylase, Journal of Molecular Catalysis B : Enzymatic10, 67-69
5. Mark Namchuk, et al. (1997) Phosphorylation of Serine Residues 3, 6, 10, and 13 distinguishes membrane anchored from soluble glutamic acid decarboxylase 65 and is restricted to glutamic acid decarboxylase α6,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272, No. 3, 1548-1557
6. Ji-Won Yoon, et al. (1999) Control of autoimmune diabetes in NOD mice by GAD expression or suppression in β cells, Science Vol. 284, 1183-1187
7. Takeshi Higuchi, et al. (1997) Exchang of glutamate and γ-aminobutyrate in a Lactobacillus Strain, Journal of Bacteriology Vol. 179, No. 10, 3362-3364
8. Jan Willem Sanders, et al. (1998) A chloride-inducible acid resistance mechanism in Lactococcus lactis and its regulation, Molecular Microbiology Vol. 27, No. 2, 299-310-
9. Yoshie Ueno, et al. (1997)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lutamate decarboxylase from Lactobacillus brevis IFO 12005, Biosci. Biotech. Biochem Vol 61, No. 7, 1168-1171
10. R.J. Rowbury, et al. (1999) Properties of L-glutamate-induced acid tolerance response which involves the functioning of extracellular induction components,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Vol. 86, 325-330
11. Daniela De Biase, et al. (1999) The response to stationary-phase stress conditions in Escherichia coli : role and regulation of the glutamic acid decarboxylase system, Molecular Microbiology Vol. 32, No. 6, 1198-1211
12. Marie-Pierre Castanie-Cornet, et al. (1999) Control of acid resistance in Escherichia coli, Journal of Bacteriology Vol.. 181, No. 11, 3525-3535
13. Mack R. Holdiness (1983) Chromatographic analysis of glutamic acid decarboxylase in biological samples, Journal of Chromatography Vol. 277, 1-24
14. Ibolya Molnar-Perl and Aniko Vasanits (1999) Sta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o-phthaldialdehyde / 3-mercaptopropionic acid and o-phthaldialdehyde / N-acetyl-L-cysteine reagents and their amino acid derivatives measur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ournal of chromatography A Vol. 835, 73-91
15. Y. V. Tcherkas, et al. (2001) Analysis of amino acids in human serum by isocratic reversed 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Journal of Chromatography A, Vol.913, 303-308
16. T. Petteri Piepponen and Arnis Skujins (2001) Rapid and sensitive step gradient assays of glutamate, glycine, taurine and γ-aminobutyric aci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fluorescence detection with o-phthalaldehyde-mercaptoethanol derivatization with an emphasis on microdialysis samples, Journalof Chromatography B Vol. 757, 277-283
17. Helen L. Rowlwy, et al. (1995) Determination of in vivo amino acid neurotransmitter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o-phthalaldehyde-sulphite derivatisation, Journal of Neuroscience Methods Vol. 57, 93-99
18. Valeria Rossetti and Anna Lombard (1996) Determination of glutamate decarboxylase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ournal of Chromatography B Vol. 681, 63-67
19. E. Kwong, et al. (1990) HPLC analysis of an amino bisphosphonate i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using postcolumn derivatization and fluorescence detection, Journal of Chromatographic Science Vol. 28, 563-566
20. I. M. Aasen, et al. (2000) Influence of complex nutrients, temperature and pH on bacteriocin production by Lactobacillus sakei CCUG 42687, Appl. Microbiol. Biotechnol. Vol. 53, 159-166
21. Marie-Christine Champomier-Verges, et al. (2002) Erratum to Lactobacillus sakei : recent development and future prospects, Research in Microbiology Vol. 153, 115-123
22. Kiyoshi Hayakawa, et al. (1997) Production of γ-Aminobutyric acid by lactic acid bacteria, Seibutsu Kogaku Vol. 75, No.4, 239-244
<110> PYUN, Yu-Ryang <120> Novel Strains of Lactobacillus spp. and Method for Preparing gamma-Aminobutyric Acid Using the Same <130> Pyun-2 <160> 9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623 <212> DNA <213> Lactobacillus sakei B2-16 <400> 1 gggaattcga ttgagtttga tcctggctca ggacgaacgc tggcggcgtg cctaatacat 60 gcaagtcgaa cgcactctcg tttagattga aggagcttgc tcctgattga taaacatttg 120 agtgagtggc ggacgggtga gtaacacgtg ggtaacctgc cctaaagtgg gggataacat 180 ttggaaacag atgctaatac cgcataaaac ctaacaccgc atggtgtagg gttgaaagat 240 ggtttcggct atcactttag gatggacccg cggtgcatta gttagttggt gaggtaaagg 300 ctcaccaaga ccgtgatgca tagccgacct gagagggtaa tcggccacac tgggactgag 360 acacggccca gactcctacg ggaggcagca gtagggaatc ttccacaatg gacgaaagtc 420 tgatggagca acgccgcgtg agtgaagaag gttttcggat cgtaaaactc tgttgttgga 480 gaagaatgta tctgatagta actgaccagg tagtgacggt atccaaccag aaagccacgg 540 ctaactacgt gccagcagcc gcggtaatac gtaggtggca agcgttgtcc ggatttattg 600 ggcgtaaagc gagcgcaggc ggtttcttaa gtctgatgtg aaagccttcg gctcaaccga 660 agaagtgcat cggaaactgg gaaacttgag tgcagaagag gacagtggaa ctccatgtgt 720 agcggtgaaa tgcgtagata tatggaagaa caccagtggc gaaggcggct gtctggtctg 780 taactgacgc tgaggctcga aagcatgggt agcaaacagg attagatacc ctggtagtcc 840 atgccgtaaa cgatgagtgc taggtgttgg agggtttccg cccttcagtg ccgcagctaa 900 cgcattaagc actccgcctg gggagtacga ccgcaaggtt gaaactcaaa ggaattgacg 960 ggggcccgca caagcggtgg agcatgtggt ttaattcgaa gcaacgcgaa gaaccttacc 1020 aggtcttgac atcctttgac cactctagag atagagcttt cccttcgggg acaaagtgac 1080 aggtggtgca tggttgtcgt cagctcgtgt cgtgagatgt tgggttaagt cccgcaacga 1140 gcgcaaccct tattactagt tgccagcatt tagttgggca ctctagtgag actgccggtg 1200 acaaaccgga ggaaggtggg gacgacgtca aatcatcatg ccccttatga cctgggctac 1260 acacgtgcta caatggatgg tacaacgagt tgcgagaccg cgaggtttag ctaatctctt 1320 aaaaccattc tcagttcgga ttgtaggctg caactcgcct acatgaagcc ggaatcgcta 1380 gtaatcgcgg atcagcatgc cgcggtgaat acgttcccgg gccttgtaca caccgcccgt 1440 cacaccatga gagtttgtaa cacccaaagc cggtgaggta accttcgggg agccagccgt 1500 ctaaggtggg acagatgatt agggtgaagt cgtaacaagg tagccgtagg agaacctgcg 1560 gctggatcac ctcctttcta atcactagtg aattcgcggc cgcctgcagg tcgaccatat 1620 ggg 1623 <210> 2 <211> 420 <212> DNA <213> Lactobacillus brevis B1-14 <400> 2 cgggaattcg attagaaagg aggtgatcca gccgcagttc tcctacggct accttgttac 60 gacttcaccc taatcatctg tcccacctta gacggctgac tcccgaagtt atctcaccgg 120 ctttgggtgt tacaaactct catggtgtga cgggcggtgt gtacaaggcc cgggaacgta 180 ttcaccgcgg catgctgatc cgcgattact agcgattcca acttcatgta ggcgagttgc 240 agcctacaat ccgaactgag aacggcttta agagattagc ttagcctcac gacttcgcaa 300 ctcgttgtac cgtccattgt agcacgtgtg tagcccaggt cataaggggc atgatgattt 360 gacgtcatcc ccaccttcct ccggtttgtc accggcagtc tcaccagagt gcccaactta 420 420 <210> 3 <211> 420 <212> DNA <213> Lactobacillus brevis B1-31 <400> 3 cgggaattcg attagaaagg aggtgatcca gccgcagttc tcctacggct accttgttac 60 gacttcaccc taatcatctg tcccacctta gacggctgac tcccgaaggt tatctcaccg 120 gctttgggtg ttacaaactc tcatggtgtg acgggcggtg tgtacaaggc ccgggaacgt 180 attcaccgcg gcatgctgat ccgcgattac tagcgattcc aacttcatgt aggcgagttg 240 cagcctacaa tccgaactga gaacggcttt aagagattag cttagcctca cgacttcgca 300 actcgttgta ccgtccattg tagcacgtgt gtagcccagg tcataagggg catgatgatt 360 tgacgtcatc cccatcttcc tccggtttgt caccggcagt ctcaccagag tgcccaactt 420 420 <210> 4 <211> 1614 <212> DNA <213> Lactobacillus brevis B2-22 <400> 4 gggaattcga ttagaaagga ggtgatccag ccgcagttct cctacggcta ccttgttacg 60 acttcaccct aatcatctgt cccaccttag acggctgact cccgaagtta tctcaccggc 120 tttgggtgtt acaaactctc atggtgtgac gggcggtgtg tacaaggccc gggaacgtat 180 tcaccgcggc atgctgatcc gcgattacta gcgattccaa cttcatgtag gcgagttgca 240 gcctacaatc cgaactgaga acggctttaa gagattagct tagcctcacg acttcgcgac 300 tcgttgttcc gtccattgta gcacgtgtgt agcccaggtc ataaggggca tgatgatttg 360 acgtcatccc caccttcctc cggtttgtca ccggcagtct caccagagtg cccaacttaa 420 tgctggcaac tgataataag ggttgcgctc gttgcgggac ttaacccaac atctcacgac 480 acgagctgac gacaaccatg caccacctgt atccatgtcc ccgaagggaa cgtcctatct 540 ctaggatttg catagtatgt caagacctgg taaggttctt cgcgtagctt cgaattaaac 600 cacatgctcc accgcttgtg cgggcccccg tcaattcctt tgagtttcaa ccttgcggtc 660 gtactcccca ggcggagtgc ttaatgcgtt agctgcggca ctgaagggcg gaaaccctcc 720 aacacctagc actcatcgtt tacggcatgg actaccaggg tatctaatcc tgttcgctac 780 ccatgctttc gagcctcagc gtcagttaca gactagacag ccgccttcgc cactggtgtt 840 cttccatata tctacgcatt ccaccgctac acatggagtt ccactgtcct cttctgcact 900 caagtttccc agtttccgat gcacttctcc ggttaagccg aaggctttca catcagactt 960 aaaaaaccgc ctgcgctcgc tttacgccca ataaatccgg acaacgcttg ccacctacgt 1020 attaccgcgg ctgctggcac gtagttagcc gtggctttct ggttaaatac cgtcaacttc 1080 tgaacagtta ctctcagaag tgttcttctt taacaacaga gttttacgag ccgaaaccct 1140 tctttactca cgcggcattg ctccatcaga ctttcgtcca ttgtggaaga ttccctactg 1200 ctgcctcccg taggagtttg ggccgtgtct cagtcccaat gtggccgatt accctctcag 1260 gtcggctacg tatcattgtc ttggtgggcc tttacctcac caactaacta atacgccgcg 1320 ggatcatcca gaagtgatag ccgaagccac ctttcaaaca agaaccatgc ggctcttgtt 1380 gttatgcggt attagcacct gtttccaagt gttatcccct gcttctgtgc agatttccca 1440 cgtgttactc accagttcgc cactcgcttc agtgttgaaa tcagtgcaag cacctcaatc 1500 aacggaagct cgttcgactt gcatgtatta ggcatgccac cagcgttcgt cctgagccag 1560 gatcaaactc aatcactagt gaattcgcgg ccgcctgcag gtcgaccata tggg 1614 <210> 5 <211> 1615 <212> DNA <213> Lactobacillus brevis B2-27 <400> 5 gggaattcga ttgagtttga tcctggctca ggacgaacgc tggcggcatg cctaatacat 60 gcaagtcgaa cgagcttccg ttgaatgacg tgcttgcact gattttaaca ttgaagcgag 120 tggcgaactg gtgagtaaca cgtgggaaat ctgcccagaa gcaggggata acacttggaa 180 acaggtgcta ataccgtata acaacaagaa ccgcatggtt cttgtttgaa aggtggcttc 240 ggctatcact tctggatgat cccgcggcgt attagttagt tggtgaggta aaggcccacc 300 aagacaatga tacgtagccg acctgagagg gtaatcggcc acattgggac tgagacacgg 360 cccaaactcc tacgggaggc agcagtaggg aatcttccac aatggacgaa agtctgatgg 420 agcaatgccg cgtgagtkaa gaagggtttc ggctcgtaaa actctgttgt taaagaagaa 480 cacttctgag agtaactgct cagaagttga cggtatttaa ccagaaagcc acggctaact 540 acgtgccagc agccgcggta atacgtaggt ggcaagcgtt gtccggattt attgggcgta 600 aagcgagcgc aggcggtttc ttaagtctga tgtgaaagcc ttcggcttaa ccggagaagt 660 gcatcggaaa ctgggtaact tgagtgcaga agaggacagt ggaactccat gtgtagcggt 720 ggaatgcgta gatatatgga agaacaccag tggcgaaggc ggctgtctag tctgtaactg 780 acgctgaggc tcgaaagcat gggtagcgaa caggattaga taccctggta gtccatgccg 840 taaacgatga gtgctaggtg ttggagggtt tccgcccttc agtgccgcag ctaacgcatt 900 aagcactccg cctggggagt acgaccgcaa ggttgaaact caaaggaatt gacgggggcc 960 cgcacaagcg gtggagcatg tggtttaatt cgaagctacg cgaagaacct taccaggtct 1020 tgacatacta tgcaaatcct agagatagga cgttccttcg gggacatgga tacaggtggt 1080 gcatggttgt cgtcagctcg tgtcgtgaga tgttgggtta agtcccgcaa cgagcgcaac 1140 ccttattatc agttgccagc attaagttgg gcactctggt gagactgccg gtgacaaacc 1200 ggaggaaggt ggggatgacg tcaaatcatc atgcccctta tgacctgggc tacacacgtg 1260 ctacaatggt cggtacaacg tgctgcgaac tcgtgagggc aagcaaatca cttaaaaccg 1320 atctcagttc ggattgtagg ctgcaactcg cctacatgaa gctggaatcg ctagtaatcg 1380 cggatcagca tgccgcggtg aatacgttcc cgggccttgt acacaccgcc cgtcacacca 1440 tgagagtttg taacacccaa agccggtggg gtaaccttcg gggagctagc cgtctaaggt 1500 gggacaaatg attagggtga agtcgtaaca aggtagccgt aggagaactg cggctggatc 1560 acctcctttc taatcactag tgaattcgcg gccgcctgca ggtcgaccat atggg 1615 <210> 6 <211> 1615 <212> DNA <213> Lactobacillus brevis B2-39 <400> 6 gggaattcga ttgagtttga tcctggctca ggacgaacgc tggcggcatg cctaatacat 60 gcaagtcgaa cgagcttccg ttgaatgacg tgcttgcact gattttaaca ttgaagcgag 120 tggcgaactg gtgagtaaca cgtgggaaat ctgcccagaa gcaggggata acacttggaa 180 acaggtgcta ataccgtata acaacaagaa ccgcatggtt cttgtttgaa aggtggcttc 240 ggctatcact tctggatgat cccgcggcgt attagttagt tggtgaggta aaggcccacc 300 aagacaatga tacgtagccg acctgagagg gtaatcggcc acattgggac tgagacacgg 360 cccaaactcc tacgggaggc agcagtaggg aatcttccac aatggacgaa agtctgatgg 420 agcaatgccg cgtgagtkaa gaagggtttc ggctcgtaaa actctgttgt taaagaagaa 480 cacttctgag agtaactgct cagaagttga cggtatttaa ccagaaagcc acggctaact 540 acgtgccagc agccgcggta atacgtaggt ggcaagcgtt gtccggattt attgggcgta 600 aagcgagcgc aggcggtttc ttaagtctga tgtgaaagcc ttcggcttaa ccggagaagt 660 gcatcggaaa ctgggtaact tgagtgcaga agaggacagt ggaactccat gtgtagcggt 720 ggaatgcgta gatatatgga agaacaccag tggcgaaggc ggctgtctag tctgtaactg 780 acgctgaggc tcgaaagcat gggtagcgaa caggattaga taccctggta gtccatgccg 840 taaacgatga gtgctaggtg ttggagggtt tccgcccttc agtgccgcag ctaacgcatt 900 aagcactccg cctggggagt acgaccgcaa ggttgaaact caaaggaatt gacgggggcc 960 cgcacaagcg gtggagcatg tggtttaatt cgaagctacg cgaagaacct taccaggtct 1020 tgacatacta tgcaaatcct agagatagga cgttccttcg gggacatgga tacaggtggt 1080 gcatggttgt cgtcagctcg tgtcgtgaga tgttgggtta agtcccgcaa cgagcgcaac 1140 ccttattatc agttgccagc attaagttgg gcactctggt gagactgccg gtgacaaacc 1200 ggaggaaggt ggggatgacg tcaaatcatc atgcccctta tgacctgggc tacacacgtg 1260 ctacaatggt cggtacaacg tgctgcgaac tcgtgagggc aagcaaatca cttaaaaccg 1320 atctcagttc ggattgtagg ctgcaactcg cctacatgaa gctggaatcg ctagtaatcg 1380 cggatcagca tgccgcggtg aatacgttcc cgggccttgt acacaccgcc cgtcacacca 1440 tgagagtttg taacacccaa agccggtggg gtaaccttcg gggagctagc cgtctaaggt 1500 gggacaaatg attagggtga agtcgtaaca aggtagccgt aggagaactg cggctggatc 1560 acctcctttc taatcactag tgaattcgcg gccgcctgca ggtcgaccat atggg 1615 <210> 7 <211> 420 <212> DNA <213> Lactobacillus brevis B3-18 <400> 7 cgggaattcg attagaaagg aggtgatcha gccgcagttc tcntacggct acmttgttac 60 gacttcaccm taatcatctg tcccacctta gacggctgac tcccgaagtt atctcaccgg 120 ctttgggtgt wacaaactct catggtgtga cgggcggtgt gtacaaggcc cgggaacgta 180 ttcaccgcgg catgctgatc cgcgattact agcgattcca acttcatgta ggcgagttgc 240 agcntacaat ccgaactgag agcggcttta agagattagc ttagcctcac gacttcgcaa 300 ctcgttgtac cgcccattgt agcacgtgtg tagcccaggt cataaggggc atgatgattt 360 gacgtcatcc ccaccttcct ccggtttgtc accggcagtc tcaccagagt gcccaactta 420 420 <210> 8 <211> 1021 <212> DNA <213> Lactobacillus brevis B3-25 <400> 8 cgggaattcg attgartttg atcctggctc aggacgaacg ctggcggcat gcctaataca 60 tgcaagtcga acgagcttcc gttgattgaa gtgcttgcac tgatttcaac actgaagcga 120 gtggcgaact ggtgagtaac acgtgggtaa cttgcccaga agcaggggat aacacttgga 180 aacaggtgct aataccgtat aacaacagaa accgcatggt ttctgtttga aagatggttt 240 cggctatcac ttctggatgg acccgcggcg tattagttag ttagtgaggt aaaggcccac 300 caagacaatg atacgtagcc gacctgagag ggtaatcggc cacattggga ctgagacgcg 360 gcccaaactc ctacgggagg cagcagtagg gaatcttcca caatggacga aagtctgatg 420 gagcaatgcc acgtgagtaa gaagggtttc ggctcgtaaa actctgttgt taaagaagaa 480 cactcttgag agtaactgtt caggagttga cggtatttaa ccagaaagcc acggctaact 540 acgtgccagc agccgcggta atacgtaggt ggcaagcgtt gtccggattt attgggcgta 600 aagcgagcgc aggcggtttt ttaagtctga tgtgaaagcc ttcggcttaa ccggagaagt 660 gcatcggaaa ctgggagact tgagtgcaga agaggacagt ggaactccat gtgtagcggt 720 ggaatgcgta gatatatgga agaacaccag tggcgaaggc ggctgtctag tctgtaaccg 780 acgctgaggc tcgaaagcat gggtagcaaa caggattaga taccctggta gtccatgccg 840 taaacgatga gtgctaggtg ttggagggtt tccgcccttc agtgccgcag ctaacgcatt 900 aagcactccg cctggggagt acgaccgcaa ggttgaaact caaaggaatt gacgggggcc 960 cgcacaagcg gtggagcatg tggtttaatt cgaagctacg cgaagaacct taccaggtct 1020 t 1021 <210> 9 <211> 1020 <212> DNA <213> Lactobacillus brevis B3-30 <400> 9 cgggaattcg attgagtttg atcctggctc aggacgaacg ctggcggcat gcctaataca 60 tgcaagtcga acgagcttcc gttgattgaa gtgcttgcac tgatttcaac actgaagcga 120 gtggcgaact ggtgagtaac acgtgggtaa cttgcccaga agcaggggat aacacttgga 180 aacaggtgct aataccgtat aacaacagaa accgcatggt ttctgtntga aagatggttt 240 cggctatcac ttctggatgg acccgcggcg tattagttag ttggtgaggt aaaggcccac 300 caagacaatg atacgtagcc gacctgagag ggtaatcggc cacattggga ctgagacacg 360 gcccaaactc ctacgggagg cagcagtagg gaatcttcca caatggacga aagtctgatg 420 gagcaatgcc gcgtgagtta agaagggttt cggctcgtaa aactctgttg ttaaagaaga 480 acactcttga gagtaactgt tcaggagttg acggtattta accagaaagc cacggctaac 540 tacgtgccag cagccgcggt aatacgtagg tggcaagcgt tgtccggatt tattgggcgt 600 aaagcgagcg caggcggttt tttaagtctg atgtgaaagc cttcggctta accggagaag 660 tgcatcggaa actgggagac ttgagtgcag aagaggacag tggaactcca tgtgtagcgg 720 tggaatgcgt agatatatgg aagaacacca gtggcgaagg cggctgtcta gtctgtaact 780 gacgctgagg ctcgaaagca tgggtagcaa acaggattag ataccctggt agtccatgcc 840 gtaaacgatg agtgctaggt gttggagggt ttccgccctt cagtgccgca gctaacgcat 900 taagcactcc gcctggggag tacgaccgca aggttgaaac tcaaaggaat tgacaggggc 960 ccgcacaagc ggtggagcat gtggtttaat tcgaagctac gcgaagaacc ttaccaggtc 1020 1020

Claims (13)

  1. 서열목록 제 1 서열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16S 라이보좀 DNA를 갖으며, 감마-아미노부티르산 (GABA)을 생성하는 능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Lactobacillus sakei) 균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는 다음의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
    (ⅰ) 김치에서 분리됨;
    (ⅱ) 최적 배지가 MRS (deMan Rogosa Sharpe) 브로스 배지;
    (ⅲ) 최적 배양 온도 및 최적 GABA 생성 온도가 30℃;
    (ⅳ) 최적 MSG (monosodium glutamate) 농도가 3%;
    (ⅴ) 최적 탄소원이 수크로스;
    (ⅵ) 최적 유기 질소원이 이스트 추출물; 및
    (ⅶ) 1% CaCl2에서 최대의 증식 및 GABA 생성 수율을 나타냄.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B2-16 (KFCC-113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
  5. 삭제
  6.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감마-아미노부티르산 (GABA)의 제조방법:
    (a) 상기 제 1 항, 제 2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를 글루타메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의 기질이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b) 상기 배지에서 GABA를 회수하는 단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는 MRS (deMan Rogosa Sharpe) 브로스 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ABA의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의 온도는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ABA의 제조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에 첨가되는 글루타메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의 기질은 MSG (monosodium glutam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ABA의 제조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에 이용되는 탄소원은 수크로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ABA의 제조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에 이용되는 유기 질소원은 이스트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ABA의 제조방법.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는 CaCl2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ABA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되는 CaCl2의 농도는 0.5-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ABA의 제조방법.
KR1020030005828A 2003-01-29 2003-01-29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의 제조방법 KR100549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828A KR100549094B1 (ko) 2003-01-29 2003-01-29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828A KR100549094B1 (ko) 2003-01-29 2003-01-29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437A KR20040069437A (ko) 2004-08-06
KR100549094B1 true KR100549094B1 (ko) 2006-02-06

Family

ID=37358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828A KR100549094B1 (ko) 2003-01-29 2003-01-29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90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003B1 (ko) 2005-07-29 2007-08-31 (주)바이오벤 절단형 글루타메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 변이체
KR100910657B1 (ko) 2007-02-23 2009-08-05 박현진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브츠네리 및 이의 용도
KR100945310B1 (ko) 2006-05-24 2010-03-03 장해춘 신경세포사 보호기작을 지니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부취너리 ms와 이를 이용한 감마아미노부틸산의 생산방법
WO2018062914A1 (ko) * 2016-09-30 2018-04-05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719B1 (ko) * 2005-01-29 2005-03-31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유해 병원성 미생물 생육 억제능 및 항알레르기성을 갖는 신규 내산성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
KR100675955B1 (ko) * 2005-06-29 2007-02-0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오피케이-3 유산균으로부터 분리한글루타메이트 디카르복시라제 유전자
KR101221239B1 (ko) * 2005-07-07 2013-01-11 (주)바이오벤 녹두 유산균 배양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53864B1 (ko) * 2005-11-18 2007-08-31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을 다량 생산하는 균주, 이를 포함하는발효 출발 물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식품 및 기능성 식품
KR100755508B1 (ko) * 2006-05-09 2007-09-04 한국식품연구원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터스 rmk56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의 생산방법
KR20080045320A (ko) * 2006-11-20 2008-05-2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감마-아미노부틸산 함량이 증가된 유산균 발효물과 그의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
KR101305800B1 (ko) * 2009-11-30 2013-09-0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글루타메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 활성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아미노부틸산 제조방법
KR101402028B1 (ko) * 2012-08-08 2014-06-02 한국식품연구원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 rmk85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의 생산방법
KR101402031B1 (ko) * 2012-10-23 2014-06-0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154를 이용한 gaba 증진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
KR20150000372A (ko) * 2013-06-24 2015-01-02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감마아미노부틸산 고생산성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및 그의 용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7245A (ja) * 1994-02-18 1995-08-29 Kyoto Pref Gov 発酵食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7245A (ja) * 1994-02-18 1995-08-29 Kyoto Pref Gov 発酵食品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003B1 (ko) 2005-07-29 2007-08-31 (주)바이오벤 절단형 글루타메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 변이체
KR100945310B1 (ko) 2006-05-24 2010-03-03 장해춘 신경세포사 보호기작을 지니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부취너리 ms와 이를 이용한 감마아미노부틸산의 생산방법
KR100910657B1 (ko) 2007-02-23 2009-08-05 박현진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브츠네리 및 이의 용도
WO2018062914A1 (ko) * 2016-09-30 2018-04-05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437A (ko) 200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9094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의 제조방법
Cho et al. Production of ${\gamma}-Aminobutyric $ Acid (GABA) by Lactobacillus buchneri isolated from Kimchi and its neuroprotective effect on neuronal cells
Li et al. A high γ-aminobutyric acid-producing Lactobacillus brevis isolated from Chinese traditional paocai
JP7156594B2 (ja) 1ステップ発酵による(r)-3-ヒドロキシ酪酸またはその塩の調製
Kim et al. Cloning and expression of a full-length glutamate decarboxylase gene from Lactobacillus brevis BH2
AU620807B2 (en) Antibiotic reuterin
EP3816293B1 (en) Strains and processes for single cell protein or biomass production
KR20060061785A (ko) L-글루탐산을 생산하는 박테리아 및 이를 생산하는 방법
CN112251383B (zh) 一株产苯乳酸的干酪乳杆菌及其应用
CA2030529C (en) Production of amino acids by methylotrophic bacillus
KR100799796B1 (ko) 미생물에 의한 엘-아스코르브산 및 디-에리토르브산의제조방법
Vo et al. Characteristics of potential gamma-aminobutyric acid-producing bacteria isolated from Korean and Vietnamese fermented fish products
DE10032350A1 (de) Neue für das mdhA-Gen kodierende Nukleotidsequenzen
US7371557B2 (en)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s for hyper-producing glutathione and γ-glutamylcysteine and processes of use
JP2006314207A (ja) 乳酸菌および茶飲料の製造方法
WO2006013736A1 (ja) 酵母変異株、グルタチオン高含有酵母の製造方法、その培養物、その分画物、酵母エキスおよびグルタチオン含有飲食品
Buckel et al. Clostridium viride sp. nov., a strictly anaerobic bacterium using 5-aminovalerate as growth substrate, previously assigned to Clostridium aminovalericum
IBE et al. Bacteriological properties of and amine-production conditions for tyramine-and histamine-producing bacterial strains isolated from soybean paste (miso) starting materials
KR100945310B1 (ko) 신경세포사 보호기작을 지니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부취너리 ms와 이를 이용한 감마아미노부틸산의 생산방법
KR101481791B1 (ko) 오르니틴 생산력이 우수한 페디오코커스 에시디락티시 dm-9 균주를 이용하여 오르니틴을 함유하는 청국장의 제조방법
Fiβler et al. Hydrogen production from aromatic acids by Rhodopseudomonas palustris
KR20060016115A (ko) 신규 니트릴 히드라타아제
KR100793215B1 (ko) L-리신 생산용 돌연변이 박테리아 균주
KR20110101868A (ko) 인삼 사포닌의 생물 전환을 위한 락토바실러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사포닌 생물 전환 방법
Schmitz et al. Compatible solutes in luminescent bacteria of the genera Vibrio, Photobacterium and Photorhabdus (Xenorhabdus): occurrence of ectoine, betaine and glutam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