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719B1 - 벽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벽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719B1
KR101220719B1 KR1020100091529A KR20100091529A KR101220719B1 KR 101220719 B1 KR101220719 B1 KR 101220719B1 KR 1020100091529 A KR1020100091529 A KR 1020100091529A KR 20100091529 A KR20100091529 A KR 20100091529A KR 101220719 B1 KR101220719 B1 KR 101220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iring
touch sensor
air layer
senso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4138A (ko
Inventor
유키오 이시다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4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74Actuation by finger touc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2017/9602Touch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shape of the sens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55Constructional details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Abstract

[과제] 두께를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하지 않고 터치 센서용 전극에서의 오검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벽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서포트(21)의 앞면에 판 형상의 조작부(23)를 배치하고, 서포트 (21)의 뒷면에 제어 기판을 배치한다. 조작부(23)는, 부착구멍(29)을 포함한 서포트(21)의 앞쪽을 덮는 크기로 하여, 서포트(21)의 앞쪽에 대해서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한다. 조작부(23)는, 터치 조작을 검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용 전극(51)을 가진다. 제어 기판은, 터치 센서용 전극(51)으로 검지한 조작부(23)의 터치 조작에 대응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조작부(23)의 뒤쪽에는, 조작부(23)를 서포트(21)에 대해서 닫은 상태로 나사(S)의 머리부(Sb)측과 터치 센서용 전극(51)측의 사이에 공기층(A)을 구획하는 공기층 구획 오목부(60)를 가진다.

Description

벽스위치 장치{Wall switch device}
본 발명은, 터치 조작을 검지하는 터치 센서용 전극을 구비한 벽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예를 들면, 오피스나 점포 등의 시설에서는, 그 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조명장치를 플로어마다, 에어리어마다 등의 복수의 조명 그룹에 할당하여, 각 조명 그룹내의 조명장치를 일괄적으로 제어, 감시 및 관리하도록 한 조명 제어 시스템이 있었다.
이러한 조명 제어 시스템에서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주조작반에, 전송선을 통하여, 주조작반으로부터의 지령으로 복수의 조명장치의 온 오프나 조광(調光) 등의 조명 제어 상태를 제어하는 복수의 단말기, 조명장치의 조명 제어 상태를 수동 조작하는 벽스위치 장치 등이 접속되어 있다.
벽스위치 장치는, 벽부착용의 서포트, 이 서포트에 부착된 스위치 본체 등을 구비하고 있다. 서포트는, 일반적인 배선 기구의 부착에 이용되는 것으로, 상하에 벽부착용의 한 쌍의 부착구멍이 형성되고, 이들 한 쌍의 부착구멍의 사이에서 중앙에 배선 기구의 3모듈 사이즈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착구멍의 각각에는, 고정구로서의 나사가 삽입되어, 이들 나사가 단단히 조여지는 것에 의해 서포트가 벽에 고정된다. 또한, 스위치 본체에는, 서포트의 중앙의 개구부에 끼워맞춤하여 부착되는 조작부가 설치되고, 이 조작부의 앞면인 조작면에 복수의 기계식 스위치로 구성된 복수의 스위치부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미리, 벽스위치 장치의 스위치부마다 대응하여 조명장치의 조명 그룹의 단말기가 할당 설정되어 있으며, 그 스위치부를 조작함으로써, 스위치부의 조작에 따른 신호가 스위치 본체로부터 주조작반에 전송되어, 그 신호를 수신한 주조작반에 의해 미리 할당 설정되어 있는 조명 그룹의 단말기를 통하여 조명장치의 조명 제어 상태가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3047333호 공보(제3~4페이지, 제1~5도)
그러나, 상술한 스위치 장치에서는, 스위치 본체의 조작부의 크기가, 서포트의 중앙의 개구부의 크기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에 배치되는 스위치부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각 스위치부의 면적이 작아져, 스위치부를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조작부에는 기계적 스위치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고장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도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용 전극을 스위치부 대신에 이용하여, 이 터치 센서용 전극을 앞면쪽에 가진 판 형상의 조작부를 서포트에 대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구성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조작면을 크게 취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양호하고, 또한, 고장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경우, 조작부를 서포트에 대하여 닫은 상태에서, 이 조작부의 배면쪽이 서포트의 앞면에 근접, 혹은 접촉하기 때문에, 이 서포트를 부착하기 위한 나사 등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를 터치 센서용 전극이 터치 조작으로 오검지할 우려가 있다고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예를 들면 조작부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터치 센서용 전극과 나사를 멀어지게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으로 할 경우, 스위치 장치의 두께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여 벽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커지기 때문에, 의장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두께를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하지 않고 터치 센서용 전극에서의 오검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벽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벽스위치 장치는, 피고정부에 대하여 고정구에 의해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멍을 구비한 서포트와; 부착구멍을 포함한 서포트 앞쪽을 덮는 크기로, 서포트 앞쪽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터치 조작을 검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용 전극을 앞쪽에서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한 판 형상의 조작부와; 서포트에 설치되어, 터치 센서용 전극에서 검지한 조작부의 터치 조작에 대응한 신호를 외부로 전송 가능한 제어회로부와; 조작부의 뒤쪽에 설치되어, 조작부를 서포트에 대하여 닫은 상태로 고정구의 단부측과 터치 센서용 전극측 사이에 공기층을 구획하는 공기층 구획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서포트는, 예를 들면 벽면에 설치되는 피부착부로서의 배선 박스 등에 부착할 수 있게 하고, 통상적으로는 상하에 한 쌍의 부착구멍이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구로서는, 예를 들면 단부가 평탄 형상인 접시 나사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되지만, 단부가 구면 형상으로 돌출한 둥근 접시 나사나 트랜스 나사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조작부는, 예를 들면 한 쌍의 판체 사이에 박막 형상의 플렉시블 배선 기판 등의 터치 센서용 전극을 끼워 두는 것 등에 의해, 전체적으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의 개폐에는, 서포트에 대하여 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개폐하는 구조 외에, 서포트에 대하여 탈착함으로써 개폐하는 구조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제어회로부에는, 예를 들면 조작부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노출하는 설정기 접속용의 커넥터를 배치해도 좋다. 이 설정기와 커넥터를 접속함으로써, 조작부와 기능과의 관계 등을 설정할 수 있게 한다.
공기층 구획 오목부는, 조작부의 뒤쪽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조작부의 뒤쪽으로부터 앞쪽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공기층 구획 오목부는, 적어도 일부가 조작부의 뒤쪽에 공동부(空洞部)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벽스위치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벽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공기층 구획 오목부는, 조작부를 서포트에 대하여 닫은 상태에서의 고정구의 단부측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릴리프 오목부와, 이 릴리프 오목부에 고정구의 단부측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 복수의 공기층용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릴리프 오목부는, 예를 들면 서포트의 부착구멍보다 큰 폭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공기층용 오목부는, 예를 들면 릴리프 오목부의 바닥부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층용 오목부의 폭치수는, 상대적으로 크게 하면 공기층이 상대적으로 커지므로 바람직하다.
한편, 공기층용 오목부와 릴리프 오목부는, 서로 연이어 통하고 있어도 좋고, 벽부를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있어도 좋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벽스위치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벽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제어회로부는, 구동시에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용량 변화부를 구비하고, 제어회로부와 조작부의 터치 센서용 전극을 서포트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과, 이 배선의 위치를 규제하여 이 배선과 제어회로부의 용량 변화부를 떨어뜨리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용량 변화부는, 예를 들면 점등/소등의 전환시에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표시용의 LED 등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어회로부 중에서, 구동시에 고전압이 되는 부분, 혹은 고주파 신호가 흐르는 부분 등이어도 좋다.
배선은, 예를 들면 필름 상태의 FPC 등이 이용된다.
규제부는, 배선을 용량 변화부에 대하여 떨어뜨릴 수 있으면, 어떠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벽스위치 장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벽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규제부는, 제어회로부의 일부에 삽입통과되어 돌출하여 배선에 접촉하는 리브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규제부가 리브를 가진다는 것은, 예를 들면 규제부가 리브 그 자체인 구성이라도 좋고, 규제부의 일부가 리브인 구성이라도 좋은 것을 말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벽스위치 장치는, 청구항 3 또는 4에 기재된 벽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규제부는, 배선을 서포트 내부에 소정의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규제부가 고정 부재를 가진다는 것은, 예를 들면 규제부가 고정 부재 그 자체인 구성이라도 좋고, 규제부의 일부가 고정 부재인 구성이라도 좋은 것을 말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벽스위치 장치는, 청구항 3 내지 5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벽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제어회로부는, 용량 변화부의 한쪽에 위치하여 배선을 통하여 조작부의 터치 센서용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 터치 센서용 전극을 통하여 검지한 터치 조작에 대응한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계 회로와, 용량 변화부의 다른쪽에 위치하여 신호계 회로에서 생성된 조작 신호를 처리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전송계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신호계 회로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비교적 저전압으로 용량 변화가 상대적으로 적은 회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송계 회로는, 예를 들면 복극(±24V)의 시분할 다중 신호로 나타난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이더넷(등록상표)이나 전력선통신 등을 행하거나 하는 전송선에 접속되어, 비교적 고전압으로 용량 변화가 상대적으로 큰 회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벽스위치 장치에 의하면, 조작부를 서포트에 대하여 닫은 상태에서 고정구의 단부측과 터치 센서용 전극측의 사이에 공기층 구획 오목부에 의해서 공기층을 구획함으로써, 조작부를 서포트에 대하여 닫은 상태에서의 고정구에 대한 터치 센서용 전극의 감도를 저하시켜, 조작부 등의 두께를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하지 않고, 고정구에 기인한 터치 센서용 전극에서의 오검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벽스위치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벽스위치 장치의 효과에 더하여, 조작부를 서포트에 대하여 닫은 상태에서의 고정구의 단부측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릴리프 오목부를 고정구의 단부측보다 폭이 넓게 형성하고, 이 릴리프 오목부에, 고정구의 단부측보다 폭이 좁게 복수의 공기층용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고정구의 단부측이 서포트의 부착구멍에 대하여 다소 떠 있는 상태 등에서도, 릴리프 오목부에 의해서 고정구의 단부측과의 간섭을 피하는 동시에, 공기층용 오목부에 의해서 고정구의 단부측과 터치 센서용 전극측의 사이에 확실하게 공기층을 구획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벽스위치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벽스위치 장치의 효과에 더하여, 배선의 위치를 규제하여 이 배선과 제어회로부의 용량 변화부를 떨어뜨리는 규제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용량 변화부의 구동에 따른 정전 용량의 변화를, 배선을 통하여 터치 센서용 전극이 검지하기 어렵게 하여, 용량 변화부에서의 정전 용량 변화에 기인하는 터치 센서용 전극에서의 오검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벽스위치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3에 기재된 벽스위치 장치의 효과에 더하여, 제어회로부의 일부에 삽입통과되어 돌출하는 리브를 배선에 접촉시키고, 이 리브로 배선을 용량 변화부에 대하여 확실히 떨어뜨릴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벽스위치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3 또는 4에 기재된 벽스위치 장치의 효과에 더하여, 배선을 고정 부재에 의해 서포트 내부에 소정의 상태로 고정하고, 배선을 용량 변화부에 대하여 확실히 떨어뜨릴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벽스위치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3 내지 5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벽스위치 장치의 효과에 더하여, 제어회로부의 용량 변화부의 한쪽에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신호계 회로를 배치하고, 제어회로부의 용량 변화부의 다른 쪽에 전송계 회로를 배치함으로써, 신호계 회로보다 용량 변화가 큰 전송계 회로에 대해서 배선을 떨어뜨려, 이 전송계 회로에서의 정전 용량 변화에 기인하는 터치 센서용 전극에서의 오검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벽스위치 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벽스위치 장치의 조작부의 배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벽스위치 장치의 분해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벽스위치 장치의 조작부를 닫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벽스위치 장치의 조작부를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벽스위치 장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벽스위치 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벽스위치 장치의 조작부를 닫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1은 벽스위치 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벽스위치 장치의 조작부의 배면도, 도 3은 벽스위치 장치의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벽스위치 장치의 조작부를 닫은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벽스위치 장치의 조작부를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벽스위치 장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하 제어 시스템으로서의 조명 제어 시스템(11)은, 예를 들면 오피스나 점포 등의 시설에서 플로어마다나 에어리어마다 등의 복수의 조명 그룹마다 조명을 제어하는 것으로, 시설의 관리실 등에 설치되어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인 주조작반(12)을 가지며, 이 주조작반(12)에, 2선의 전송선(13)을 통하여, 주조작반(12)으로부터의 지령으로 복수의 부하인 조명장치(14)의 온 오프나 조광(調光) 등의 조명 제어 상태를 제어하는 복수의 단말기(15), 조명장치(14)의 조명 제어 상태를 수동 조작하는 복수의 벽스위치 장치 (16) 등이 서로 신호전송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전송선(13)은, 예를 들면 복극(±24V)의 시분할 다중 신호로 나타난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이더넷(등록상표)이나 전력선통신 등을 행하거나 하는 것이다.
각 단말기(15)는, 각각 고유의 어드레스를 가지며, 이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주조작반(12)과의 사이에서 전송하는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미리, 복수의 조명 그룹마다 복수의 조명장치(14)가 각 단말기(15)를 통하여 할당되어, 주조작반(12)에 설정 등록되어 있다. 이 조명 그룹의 할당 등은, 예를 들면 벽스위치 장치(16)에 접속되는 설정기(17)에 의해서 임의로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벽스위치 장치(16)는, 고유의 어드레스를 가지며, 조명 그룹마다의 조명장치(14)의 조명 제어 상태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하에서, 상하 좌우 방향은,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벽스위치 장치(16)의 정면측에서 보았을 경우의 방향으로 한다.
그리고, 벽스위치 장치(16)는, 도시하지 않지만, 벽면재에 형성되는 설치구멍을 통해서, 벽면재의 뒤편에 설치되어 있는 피부착부로서의 배선 박스에 나사 고정하여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벽스위치 장치(16)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 박스에 나사 고정하는 벽부착용의 서포트(21), 이 서포트(21)의 뒷면쪽에 부착되는 커버(22), 서포트(21)의 앞면쪽에 배치되는 조작부(23), 커버(22)의 안쪽에 배치되는 제어회로부로서의 제어 기판(24), 설치구멍을 덮어 서포트(21)에 부착되는 도시하지 않은 어댑터 및 화장틀인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다.
서포트(21)는, 예를 들면 절연성을 가진 합성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되어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긴 평판 형상의 앞면부(28)가 형성되고, 이 앞면부(28)의 상하 단부에는 배선 박스에 고정구로서의 나사(S)에 의해 나사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부착구멍(29)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들 부착구멍(29)보다 바깥쪽에 어댑터를 나사 고정하는 한 쌍의 나사구멍(30)이 형성되고, 이 어댑터에 플레이트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나사(S)는, 직사각형상의 수나사부인 축부(Sa)와, 이 축부(Sa)의 단부에 형성되어 이 축부(Sa)보다 폭치수가 큰 머리부(Sb)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이 나사(S)로서는, 머리부(Sb)가 평탄 형상인 접시 나사가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면 머리부(Sb)가 구면 형상으로 돌출한 둥근 접시 나사 혹은 트랜스 나사 등이어도 좋다.
앞면부(28)의 한쪽인 오른쪽의 상하 단부에는, 서포트(21)의 앞면에 대해서 개폐하는 조작부(23)를 회동할 수 있게 축지지하는 지지구멍(31)을 가진 지지부 (32)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앞면부(28)의 오른쪽 가장자리부에는, 회동하는 조작부(23)의 오른쪽 가장자리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회피하는 오목곡면 형상의 회동 허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상하의 지지부(32)의 위치는, 상하의 부착구멍(29)의 위치(구멍 중심 위치)보다 상하 방향 바깥쪽에 있다.
또한, 앞면부(28)에는, 중앙보다 약간 왼쪽의 위치에 복수의 표시용 구멍 (34)이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어 형성되고, 왼쪽 아래 위치에 차입 구멍(35)이 형성되고, 왼쪽 가장자리부에 조작부(23)의 걸어멈춤용의 걸어멈춤 오목부(36)가 형성되고, 또한, 회동 허용부(33)의 상하 방향 중앙 위치에 배선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배선구멍(37)의 가장자리부에는, 이 배선구멍(37)의 앞면쪽에 돌출하는 배선 누름부(38)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배선구멍(37)의 후방 영역으로 돌출하는 배선 지지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서포트(21)의 뒷면에는 커버(22)가 조합되는 사각형 형상의 틀부(40)가 돌출 형성되어, 이 틀부(40)로부터 조합된 커버(22)를 걸어멈춤하는 복수의 걸어멈춤조 (41)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서포트(21)의 뒷면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보강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서포트(21)는, 나사(S)의 단단한 조임에 의해 변형하지 않도록, 소정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22)는, 보디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절연성을 가진 합성수지 재료로 앞면이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일체 성형되고, 주변부에는, 서포트 (21)의 틀부(40)의 안쪽에 끼워 넣어지는 복수의 걸어맞춤편(43), 및, 서포트(21)의 각 걸어멈춤조(41)가 끼워 넣어져 걸어멈춤하는 복수의 피걸어멈춤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22)의 뒷면에는, 전송선(13)을 접속하는 도시하지 않은 단자가 배치되는 한 쌍의 단자 배치구멍(45)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규제부로서의 리브 (46)가 전방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23)는, 서포트(21)의 상하의 부착구멍(29)을 포함한 앞면부 (28)의 대략 전체를 덮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판체인 뒷면판(49), 판체인 앞면판(50), 및, 이들 뒷면판(49)과 앞면판(50)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 터치 센서용 전극(51)을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뒷면판(49)은, 예를 들면 절연성을 가진 합성수지 재료로 상하 방향으로 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오른쪽 상하 단면에 서포트(21)의 상하의 지지부(32)가 끼워넣어지는 절결부(53)가 형성되며, 이들 절결부(53)에 지지부(32)의 지지구멍 (31)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 넣는 축부(5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뒷면판 (49)의 앞면 오른쪽 영역에는 터치 센서용 전극(51)이 도시하지 않은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해서 붙이는 전극부착면(55)이 형성되고, 이 전극부착면(55)의 우측방에는, 배선 구멍부(56)가 상하 방향으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뒷면판 (49)의 앞면 왼쪽 영역에는, 서포트(21)의 각 표시용 구멍(34)에 대응하여 복수의 표시용 구멍(57)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네임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네임 플레이트 부착 홈(58)이 형성되어 있다. 네임 플레이트 부착 홈(58)은 뒷면판(49)의 왼쪽 측면에 개구하고 있으며, 좌방향으로부터 뒷면판(49)의 네임 플레이트 부착 홈(58)과 앞면판(50)의 사이에 네임 플레이트를 탈착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조작부(23)의 뒤쪽이 되는 뒷면판(49)의 뒷면의 왼쪽(도 2중의 오른쪽)의 상하 방향 중앙 위치에는, 서포트(21)의 걸어멈춤 오목부(36)에 끼워 넣어 조작부(23)를 서포트(21)에 걸어멈춤하기 위한 걸어멈춤조부(59)가 후방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뒷면판(49)의 뒷면의 상하 단부 근방에는 공기층 구획 오목부(6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하의 공기층 구획 오목부(60)는, 조작부(23)를 서포트(21)에 대해서 닫은 상태에서 상하의 부착구멍(29)에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공기층 구획 오목부(60)는, 정면에서 보아 사각형 형상의 릴리프 오목부(60a)와, 이 릴리프 오목부(60a)의 바닥부에 형성된 정면에서 보아 원형상의 복수의 공기층용 오목부(60b)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릴리프 오목부(60a)는, 정면에서 보아 부착구멍(29) 및 나사(S)의 머리부 (Sb)보다도 폭 치수 및 상하 치수가 크게 형성되어 있다. 즉, 이 릴리프 오목부 (60a)는, 도 1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S)를 충분히 단단히 죄어 머리부(Sb)가 부착구멍(29)에 끼워맞춤한 상태에서는, 이 머리부(Sb)측과의 사이에 공기층(A)을 형성하고, 도 1의 상상선 L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S)의 조임이 불충분한 경우 등에 머리부(Sb)가 부착구멍(29)으로부터 뜬 상태에서는, 이 머리부 (Sb)측이 내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공기층용 오목부(60b)는, 서로 대략 등간격으로 떨어져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폭치수가 나사(S)의 머리부(Sb)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즉, 이들 공기층용 오목부(60b)에는, 나사(S)의 머리부(Sb)가 삽입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공기층용 오목부(60b)는, 나사(S)의 머리부(Sb)측과 터치 센서용 전극(51)측과의 사이에 공기층(A)을 구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 공기층(A)이 클수록, 터치 센서용 전극(51)측의 감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공기층용 오목부(60b)는, 공기층(A)의 폭치수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도록, 폭치수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기층용 오목부(60b)는, 나사(S)의 머리부(Sb)보다 폭이 좁으면서 폭치수를 가능한 한 크게 취하는 형상이면,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지만, 나사(S)의 머리부(Sb)의 대향 위치에 따라 공기층(A)의 폭이 달라지지 않도록, 규칙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공기층용 오목부(60b)는, 릴리프 오목부(60a)의 바닥부를 관통하여 형성해도 좋다.
또한, 앞면판(50)은, 투명하고 절연성을 가진 합성수지 재료로 상하 방향으로 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뒷면 오른쪽 영역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로서 예를 들면 4개의 스위치부(61)의 영역이, 뒷면 왼쪽 영역에는 각 스위치부(61)의 측부 위치에 네임부(62)의 영역이, 각각 예를 들면 실크 인쇄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각 네임부(62)에는, 뒷면판(49)의 사이에 배치되는 네임 플레이트, 및 뒷면판 (49)의 각 표시용 구멍(57)의 위치에, 실크 인쇄가 실시되지 않아 투명하고, 네임 플레이트 등을 투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터치 센서용 전극(51)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방식이 이용되고 있으며, 박막 형상의 플렉시블 배선 기판(FPC)(63)으로 구성되고, 뒷면판(49)의 전극 부착면(55)에 배치되는 전극부(64), 이 전극부(64)의 오른쪽 가장자리 중앙으로부터 연이어 설치되어 제어 기판(24)에 접속되는 플렉시블 배선체인 배선으로서의 배선부(65)를 가지고 있다.
전극부(64)에는, 터치 조작 검지용의 복수의 전극(66)이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전극(66)의 수는, 예를 들면 12개이며, 스위치부(61)가 4개이면, 스위치부(61)마다 3개씩의 전극(66)을 할당할 수 있다. 이들 전극(66)으로, 앞면판(50)의 앞쪽으로부터의 터치 조작을 검지한다. 따라서, 앞면판(50)의 앞면이 앞면 조작면(67)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극부(64)는 뒷면판(49) 및 앞면판 (50)에 대해서 각각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해서 부착되고, 이들 전극부(64) 및 양면 접착 테이프를 개재하여 뒷면판(49)과 앞면판(50)이 일체화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배선부(65)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63)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 배선부 (65)의 선단에는 제어 기판(24)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69)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선부(65)는 뒷면판(49)의 배선 구멍부(56)에 배치되는 동시에, 커넥터 (69) 및 배선부(65)가 서포트(21)의 배선구멍(37)에 삽입통과되어, 커넥터(69)가 제어 기판(24)에 접속되고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립 상태에서는, 배선부(65)는, 서포트(21)와 제어 기판(24)과의 사이에 굴곡하도록 수납되어 조작부(23)의 개폐에 대응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이 굴곡한 부분 (65a)이 리브(46)에 접촉함으로써 도 4 및 도 5 중의 왼쪽에의 이동(변형)이 규제되고 있다.
또한, 제어 기판(24)은, 커버(22) 내에 수용 가능하도록 하여, 앞면에는 터치 센서용 전극(51)의 커넥터(69)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73), 서포트(21)의 차입구멍(35)으로부터 삽입되는 설정기(17)의 플러그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설정기 접속용의 커넥터(74), 상하 방향을 따라서 일직선 형상으로 차례로 배치되어 서포트(21)의 각 표시용 구멍(34)에 삽입 배치되는 용량 변화부로서의 표시용의 복수의 LED(75), 및, 제어·처리용의 연산부인 마이크로 컴퓨터(76) 등이 배치되고, 제어 기판(24)의 뒷면에는 전송선(13)을 접속하는 도시하지 않은 단자가 배치되어 있다. 그 외의 전자기기는 편의적으로 생략하고 있다. 또한, 제어 기판(24)에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중심 위치에 커버(22)의 리브(46)의 선단측이 뒤쪽으로부터 삽입통과되어 앞쪽으로 돌출하는 삽입통과 구멍(77)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기판(24)은, 커넥터(73)를 통하여 터치 센서용 전극(51)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신호계 회로(78)가 LED(75)의 한쪽인 오른쪽으로 치우쳐 형성되고, 단자를 통하여 전송선(13)(도 6)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송계 회로(79)가 LED(75)의 다른 쪽인 왼쪽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다.
신호계 회로(78)는, 커넥터(73) 및 마이크로컴퓨터(76) 등을 가지며, 터치 센서용 전극(51)으로 검지하는 조작부(23)의 터치 조작에 대응한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동시에 주조작반(12)(도 6)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자기(自己)의 어드레스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하거나 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전송계 회로(79)는, 커넥터(74) 등을 가지며, 신호계 회로(78)에서 생성되는 조작 신호를 어드레스와 함께 전송선(13)을 통하여 주조작반(12)에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LED(75)는, 구동시에, 즉 점등/소등의 변경시 등에 정전 용량이 변화한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은 플레이트는, 사각형 틀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 영역에는 조작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렇게 해서, 벽스위치 장치(16)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벽면재에 설치된 배선 박스에 끌려 들어가는 전송선(13)을 커버(22)의 뒷면쪽에 배치되는 단자에 접속하고, 커버(22)를 벽면재의 설치구멍으로부터 배선 박스에 삽입하여, 서포트(21)의 상하부를 벽면재의 앞면에 접촉시켜, 조작부(23)를 개방함으로써 노출하고 있는 부착구멍(29,29)을 통해서 나사(S,S)의 축부(Sa,Sa)를 배선 박스에 돌려 넣어 고정한다. 플레이트를 서포트(21)에 피착하여 부착한다.
조작부(23)를 개방함으로써 노출하는 서포트(21)의 차입 구멍(35)으로부터 설정기(17)의 플러그를 제어 기판(24)의 커넥터(74)에 접속하고, 설정기(17)로 각종 설정을 행한다. 설정 항목으로서는, 예를 들면, 각 스위치부(61)에 대한 플렉시블 배선 기판(63)의 전극(66)의 할당수, 각 스위치부(61)의 어드레스 설정, 조명 그룹과 각 스위치부(61)의 할당 등이 포함된다.
설정기(17)에 의한 설정 완료 후에는, 조작부(23)를 닫아 통상적인 사용 상태로 한다.
그리고, 벽스위치 장치(16)의 조작부(23)가 있는 스위치부(61)를 터치 조작함으로써, 그 터치 조작을 터치 센서용 전극(51)으로 검지하고, 그 조작 신호를 제어 기판(24)의 신호계 회로(78)에 의해서 처리한 후, 전송계 회로(79)를 통하여 스위치부(61)의 어드레스와 함께 주조작반(12)에 전송한다. 주조작반(12)은, 벽스위치 장치(16)로부터의 각종 신호를 받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그룹의 단말기(15)에 대해서 어드레스와 함께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하는 그룹의 단말기(15)에 의해서 조명장치(14)의 예를 들면, 점등, 소등 혹은 조광 등의 조명 제어 상태를 제어한다. 즉, 벽스위치 장치(16)의 수동 조작으로 선택한 그룹의 조명장치(14)의 조명 제어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벽스위치 장치(16)의 수동 조작 상태, 혹은 그룹의 조명장치(14)의 조명 제어 상태는, LED(75)의 점등 또는 소등 등에 의해서 표시한다.
또한, 예를 들면 설정 조작을 위해서 조작부(23)를 개폐했을 때 등에, 이 조작부(23)를 서포트(21)에 대해서 닫았을 때, 터치 센서용 전극(51)이 다른 구조 부품에 근접하는 것에 의해서, 터치 조작되었다고 오검출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오검지를 줄이기 위해서, 신호계 회로(78)는, 예를 들면 매우 짧은 소정의 일정시간, 혹은 대략 동시에 복수의 입력 조작을 터치 센서용 전극(51)에 의해 검지했을 때에, 이상(異常)(오검지)이라고 인식하여 검지 상태를 해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벽스위치 장치(16)는, 조작부(23)를, 앞면 조작면(67)의 터치 조작을 검지하는 터치 센서용 전극(51)을 가진 터치 센서 방식으로 하기 때문에, 기계식 스위치에 비해, 고장의 발생도 적게 할 수 있고, 게다가 조작부(23)를, 상하 한 쌍의 부착구멍(29)을 포함한 서포트(21)의 앞면을 덮는 크기로 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앞면 조작면(67)의 면적을 크게 하여, 이 앞면 조작면(67)에 배치되는 각 스위치부(61)를 크게 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조작부(23)의 앞면 조작면(67)의 면적을 크게 해도, 조작부(23)를 서포트(21)의 앞면에 대해서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서포트(21)의 부착구멍(29)이나, 설정기(17)를 접속하는 제어 기판(24)의 커넥터(74)에 대한 액세스가 가능해진다.
또한, 터치 센서용 전극(51)을 배선부(65)에 의해서 제어 기판(24)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부(23)를 개방한 위치에서도 앞면 조작면(67)을 터치 조작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23)의 터치 조작시에,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용 전극(51)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 터치 센서용 전극(51)에 근접하는 물체에 의한 정전 용량 변화에 의해 터치 조작을 검지하므로, 나사(S) 등의 유전체가 터치 센서용 전극(51)에 필요 이상으로 접근하면, 오검지의 우려가 있다. 또한, 한편으로, 조작부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에 의해 터치 센서용 전극과 나사를 떨어뜨리려고 하면, 벽스위치 장치(16)의 두께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여 벽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커지기 때문에, 의장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 때문에, 조작부(23)를 서포트(21)에 대해서 닫은 상태로 나사(S)의 머리부(Sb)측과 터치 센서용 전극 (51)측 사이에 공기층 구획 오목부(60)에 의해서 공기층(A)을 구획함으로써, 이 공기층(A)에 의해서 조작부(23)를 서포트(21)에 대해서 닫은 상태에서의 나사(S)에 대한 터치 센서용 전극(51)의 감도를 의도적으로 저하시키고, 조작부(23) 등의 두께를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하지 않고, 나사(S)에 기인하는 터치 센서용 전극(51)에서의 오검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23)를 서포트(21)에 대해서 닫은 상태에서의 나사(S)의 머리부 (Sb)측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릴리프 오목부(60a)를 나사(S)의 머리부(Sb)측보다 폭이 넓게 마련하고, 이 릴리프 오목부(60a)에, 나사(S)의 머리부(Sb)측보다 폭이 좁게 복수의 공기층용 오목부(60b)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도 1의 상상선 L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포트(21)를 고정한 상태에서 나사(S)의 머리부(Sb)측이 서포트(21)의 부착구멍(29)에 대해서 다소 떠 있는 상태, 혹은 나사로서 머리부가 구면 형상으로 돌출한 둥근 접시 나사나 트랜스 나사 등을 이용한 경우에도, 릴리프 오목부(60a)에 의해서 나사(S)의 머리부(Sb)측과의 간섭을 피하는 동시에, 공기층용 오목부(60b)에 의해서 나사(S)의 머리부(Sb)측과 터치 센서용 전극(51)측의 사이에 확실히 공기층(A)을 구획할 수 있다.
또한, 배선부(65)는, 터치 센서용 전극(5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 터치 센서용 전극(51)의 일부로서 작용한다. 또한, 배선부(65)는, 벽스위치 장치(16)의 조립성을 고려하면, 필요 이상으로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고, 어느 정도의 여유가 생겨, 그 여유가 되는 굴곡한 부분(65a) 등이 조작부 (23)의 개폐 등에 의해서 서포트(21)나 커버(22)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LED(75)에 필요 이상으로 접근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배선부(65)의 위치(이동)를 규제하여 이 배선부(65)와 제어 기판(24)의 LED(75)를 소정 거리로 떨어뜨리는 리브(46)를 커버(22)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LED(75)의 구동(점등/소등)에 따른 정전 용량의 변화를, 배선부(65)를 통하여 터치 센서용 전극(51)이 검지하기 어렵게 하고, LED(75)에서의 정전 용량 변화에 기인하는 터치 센서용 전극(51)에서의 오검지를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기판(24)의 삽입통과 구멍(77)에 삽입통과되어 돌출하는 리브(46)를 배선부(65)에 접촉시켜, 이 리브(46)로 배선부(65)를 LED(75)에 대해서 확실히 떨어뜨릴 수 있는 동시에, 벽스위치 장치(16)의 조립시에, 배선부(65)를 고정하는 등의 공정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제조 작업성이 저하하는 경우도 없다.
또한, 신호계 회로(78)는, 마이크로컴퓨터(76) 등을 구비하여 상대적으로 저전압으로 구동하고, 또한, 처리하는 주파수도 상대적으로 저주파인 한편으로, 전송계 회로(79)는, 상대적으로 고전압으로 구동하고, 또한, 처리하는 주파수도 상대적으로 고주파이므로, 전송계 회로(79)는, 신호계 회로(78)보다 용량 변화가 커진다. 이 때문에, 제어 기판(24)의 LED(75)의 한쪽에 신호계 회로(78)를 배치하고, 제어 기판(24)의 LED(75)의 다른 쪽에 전송계 회로(79)를 배치함으로써, 신호계 회로 (78)보다도 용량 변화가 큰 전송계 회로(79)에 대해서 배선부(65)를 떨어뜨려, 이 전송계 회로(79)에서의 정전 용량 변화에 기인하는 터치 센서용 전극(51)에서의 오검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 도 7에 나타내는 제2 실시형태와 같이, 공기층용 오목부(60b)를, 뒷면판(49)의 뒤쪽의 내부에 공동부로서 형성하고, 이 공기층용 오목부(60b)의 후방에 릴리프 오목부(60a)를 형성하여, 이들 오목부(60a,60b)를, 벽부(60c)를 사이에 두고 분리시켜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같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도 8에 나타내는 제3 실시형태와 같이, 배선부 (65)를 규제부로서의 고정 부재인 점착재(81)에 의해 서포트(21), 혹은 커버(22) 등에 고정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조작부(23)의 개폐 등에 따른 배선부(65)의 굴곡한 부분(65a) 등의 움직임을 억제하여, 배선부(65)의 위치를 보다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서포트(21)는, 상하 이외의 개소에 부착구멍을 가진 구성 등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이 부착구멍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조작부 (23)에 공기층 구획 오목부(6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23)의 개폐에는, 서포트(21)에 대해서 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개폐하는 구조 외에, 서포트(21)에 대해서 탈착하는 것에 의해 개폐하는 구조 등을 이용하여도 된다.
그리고, 용량 변화부는, LED(75)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어 기판(24) 중에서, 구동시에 고전압이 되는 부분, 혹은 고주파 신호가 흐르는 부분 등이어도 된다.
또한, 규제부는, 배선부(65)의 위치를 규제하여 용량 변화부에 대하여 떨어뜨릴 수 있으면, 어떠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조작부(23)의 스위치부(61)는, 4개에 한정하지 않고, 3개, 2개, 1개로 한 벽스위치 장치(16)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부(61)의 수에 대응한 앞면판(50)에 대신하여, 설정기(17)에 의해서 각 스위치부(61)에 대한 플렉시블 배선 기판(63)의 전극(66)의 할당수를 설정할 뿐이고, 다른 구성은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설정에 대해서는, 스위치부(61)가 4개인 경우에는 전극(66)을 3개씩 할당했지만, 스위치부(61)가 3개인 경우에는 전극(66)을 4개씩 할당하고, 스위치부(61)가 2개의 경우에는 전극(66)을 6개씩 할당하며, 스위치부(61)가 1개인 경우에는 전극(66)을 12개 할당하도록 한다.
16 벽스위치 장치
21 서포트
23 조작부
24 제어회로부로서의 제어 기판
29 부착구멍
46 규제부로서의 리브
51 터치 센서용 전극
60 공기층 구획 오목부
60a 릴리프 오목부
60b 공기층용 오목부
65 배선으로서의 배선부
75 용량 변화부로서의 LED
78 신호계 회로
79 전송계 회로
81 규제부로서의 고정 부재인 점착재
A 공기층
S 고정구로서의 나사

Claims (6)

  1. 피고정부에 대해서 고정구에 의해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멍을 구비한 서포트와;
    부착구멍을 포함한 서포트의 앞쪽을 덮는 크기로, 서포트의 앞쪽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터치 조작을 검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용 전극을 앞쪽에서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된 판 형상의 조작부와;
    서포트에 설치되어, 터치 센서용 전극으로 검지한 조작부의 터치 조작에 대응한 신호를 외부로 전송 가능한 제어회로부와;
    조작부의 뒤쪽에 설치되어, 조작부를 서포트에 대하여 닫은 상태에서 고정구의 단부측과 터치 센서용 전극측의 사이에 공기층을 구획하는 공기층 구획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층 구획 오목부는,
    조작부를 서포트에 대하여 닫은 상태에서의 고정구의 단부측의 간섭을 방지하는 릴리프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스위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층 구획 오목부는,
    상기 릴리프 오목부에 고정구의 단부측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 복수의 공기층용 오목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스위치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어회로부는, 구동시에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용량 변화부를 구비하고,
    제어회로부와 조작부의 터치 센서용 전극을 서포트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과,
    이 배선의 위치를 규제하여 이 배선과 제어회로부의 용량 변화부를 떨어뜨리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스위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규제부는, 제어회로부의 일부에 삽입통과되어 돌출하여 배선에 접촉하는 리브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스위치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규제부는, 배선을 서포트 내부에 소정의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스위치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제어회로부는,
    용량 변화부의 한쪽에 위치하여 배선을 통하여 조작부의 터치 센서용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 터치 센서용 전극을 통하여 검지한 터치 조작에 대응한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계 회로와,
    용량 변화부의 다른 쪽에 위치하여 신호계 회로에서 생성된 조작 신호를 처리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전송계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스위치 장치.
KR1020100091529A 2009-10-22 2010-09-17 벽스위치 장치 KR101220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43708 2009-10-22
JP2009243708A JP5282904B2 (ja) 2009-10-22 2009-10-22 壁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138A KR20110044138A (ko) 2011-04-28
KR101220719B1 true KR101220719B1 (ko) 2013-01-09

Family

ID=43910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529A KR101220719B1 (ko) 2009-10-22 2010-09-17 벽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282904B2 (ko)
KR (1) KR101220719B1 (ko)
CN (1) CN102045052A (ko)
TW (1) TWI4490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4168B2 (ja) * 2011-12-06 2014-06-18 リンナイ株式会社 タッチスイッチ装置
KR101677334B1 (ko) 2014-10-24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CN105588400B (zh) 2014-11-07 2018-04-13 Lg电子株式会社 冰箱及冰箱控制方法
WO2016072802A1 (en) 2014-11-07 2016-05-12 Lg Electronics Inc. Metal touch sensing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having metal touch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59181B1 (ko) 2014-12-22 2016-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59180B1 (ko) 2014-12-22 201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68922B1 (ko) 2014-12-24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668921B1 (ko) 2014-12-24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59184B1 (ko) 2014-12-24 201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101736608B1 (ko) 2015-11-27 2017-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7285456B2 (ja) * 2016-12-27 2023-06-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制御装置
JP6868815B2 (ja) * 2016-12-27 2021-05-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負荷制御装置
CN111356311B (zh) * 2018-12-20 2021-06-18 英觉消防安全科技股份有限公司 易快速拆装的探测器
CN112017876B (zh) * 2019-05-28 2023-07-25 松下信息仪器(上海)有限公司 盖及配线器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6174A (ja) 2002-10-24 2004-05-20 Alps Electric Co Ltd 入力パネル装置
KR20070108879A (ko) * 2005-03-08 2007-11-13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 유닛
JP2008192336A (ja) 2007-01-31 2008-08-21 Pentel Corp 静電容量型タッチスイッチ装置
KR20090101860A (ko) * 2008-03-24 2009-09-29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7718A (ja) * 1988-01-20 1989-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両面キーボードスイッチ
JPH0993674A (ja) * 1995-09-26 1997-04-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操作用端末器
JP2003007162A (ja) * 2001-06-20 2003-01-10 Inax Corp 操作パネル
WO2003019538A1 (en) * 2001-08-22 2003-03-06 Seagate Technology Llc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static fly height control
CN100367428C (zh) * 2002-09-03 2008-02-06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附有粘接层的触摸屏
JP4584210B2 (ja) * 2006-08-25 2010-11-1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JP5044348B2 (ja) * 2007-09-26 2012-10-10 株式会社東芝 センサ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センサシステムと電子機器
JP5435703B2 (ja) * 2009-03-24 2014-03-05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壁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6174A (ja) 2002-10-24 2004-05-20 Alps Electric Co Ltd 入力パネル装置
KR20070108879A (ko) * 2005-03-08 2007-11-13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 유닛
JP2008192336A (ja) 2007-01-31 2008-08-21 Pentel Corp 静電容量型タッチスイッチ装置
KR20090101860A (ko) * 2008-03-24 2009-09-29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82904B2 (ja) 2013-09-04
TW201115611A (en) 2011-05-01
KR20110044138A (ko) 2011-04-28
TWI449073B (zh) 2014-08-11
JP2011090897A (ja) 2011-05-06
CN102045052A (zh)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719B1 (ko) 벽스위치 장치
WO2017073954A1 (ko) 터치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실내 조명 장치
US20210061054A1 (en) Air Conditioning Unit
CN100576945C (zh) 操作开关布线器具
US20110013111A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US20190227527A1 (en) Numerical control device and numerical control system
JP5435703B2 (ja) 壁スイッチ装置
US7893370B2 (en) Module front for a switchgear assembly module, switchgear assembly module and electrical switchgear assembly
US10790651B2 (en) Operation device
JP4743302B2 (ja) 監視制御装置
US6916192B2 (en) Control device
CN218495482U (zh) 制冷设备
JP5234343B2 (ja) 遠隔制御用監視端末器及び照明制御システム
KR100299911B1 (ko) 원격제어또는감시용단말기,원격제어또는감시장치,원격제어장치
US20140140687A1 (en) Cover for photographing lens device
KR102492836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JPH03252017A (ja) 遠隔制御用スイッチ装置および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CN106488337B (zh) 操作终端器
WO2019103474A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7450759B2 (ja) 特に多軌道型の秤のためのモジュール形式の測定技術装置
JP2013151106A (ja) ラベルプリンタ
CN215897523U (zh) 一体化电机以及驱动控制系统
US20120146883A1 (en) Display apparatus
JP2004293678A (ja) アクチュエータ
JP2000003207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