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9911B1 - 원격제어또는감시용단말기,원격제어또는감시장치,원격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제어또는감시용단말기,원격제어또는감시장치,원격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9911B1
KR100299911B1 KR1019980006926A KR19980006926A KR100299911B1 KR 100299911 B1 KR100299911 B1 KR 100299911B1 KR 1019980006926 A KR1019980006926 A KR 1019980006926A KR 19980006926 A KR19980006926 A KR 19980006926A KR 100299911 B1 KR100299911 B1 KR 100299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terminal
remote control
cov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9832A (ko
Inventor
마사유키 모리타
Original Assignee
가노 다다오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노 다다오,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노 다다오
Publication of KR19980079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9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3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d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원격제어 또는 감시용 단말기, 원격제어 또는 감시장치, 원격제어장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어드레스 설정, 변경이 용이하며, 부품의 제조, 관리 및 조립도 용이하고, 정전기의 문제점을 해소 또는 경감할 수 있으며, 입력단자 등으로 먼지나 물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호전송선을 통하여 급전하는 것이 가능하며, 밧데리를 생략 내지는 소용량화할 수 있게 한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단말기는, 조작부(4) 및 스위치커버(3)가 일체로 성형된다. 조작부 및 입력단자를 덮어 커버(12)가 자유롭게 개폐 또는 착탈되도록 설치한다. 이 단말기의 어드레스 설정, 변경시에는 커버를 열거나 떼어내어 입력단자(8)에 어드레스 설정기(9)의 출력단자(11)를 접속한다. 어드레스 설정기의 조작에 의해 단말기에 대하여 어드레스신호가 공급되고, 어드레스 기억부(52)에 기억한다. 커버를 장착한 통상의 사용시에는 입력단자가 노출되지 않아 먼지나 물이 들어가지 않는다. 또한, 커버가 조작부 및 입력단자를 덮는 것에 의해, 조작부 및 스위치 커버의 틈으로 먼지나 물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회로와의 인접면 거리가 커지는 것에 의해 정전기의 영향을 해소 내지는 감소한다.
<발명의 중요한 용도>
광신호송신기등에 사용함.

Description

원격제어 또는 감시용 단말기, 원격제어 또는 감시장치, 원격제어장치
본 발명은, 전송신호에 의한 원격제어장치, 원격감시장치등에 이용되는 단말기와, 이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또는 감시장치,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1)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 2-94897호에는 원격제어장치의 단말기에 대한 어드레스 설정, 변경을 외부의 어드레스설정, 변경장치에서 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 1에 있어서의 단말기는, 전면에 어드레스 설정용의 입력단자를 가지며, 외부의 어드레스설정, 변경장치의 출력단자는 어드레스 설정용의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어드레스설정, 변경신호를 입력한다.
(종래기술 2)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소화 62-24440호에는, 내측면에 가동 접점이 되는 도전재를 고정한 조작부를 변위·복원 가능하게 스위치커버와 일체로 성형하고, 조작부를 밀어누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는 스위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 3)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 4-250796호에는 어드레스설정 등을 광신호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 1은, 단말기의 스위치를 스위치본체와 조작부를 다른 부품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제작 및 관리가 번거로운 것은 물론 조립작업도 번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어드레스설정용 입력단자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나 물이 들어갈 우려가 있고, 그것에 의해 고장이 날 염려도 있다.
종래기술 2는 어드레스설정용 입력단자에 대해서는 아무런 개시도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어드레스를 설정 또는 변경하는데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딥스위치에 의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딥스위치는 잘못하여 사용되지 않도록 스위치의 안쪽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며, 이 경우 어드레스의 설정, 변경작업은 스위치를 그때마다 떼내어 행해야 한다.
또, 종래기술 2는 조작부가 노출되어 있거나 조작부보다 조금 작은 커버를 설치한 것이다(도 3). 이 때문에, 종래기술 1과 같이 정전기의 문제가 있고, 또한 조작부와 스위치커버 사이의 절개홈에서 먼지나 물이 들어올 우려가 있다.
종래기술 3은 광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종래기술 1과 같은 기계적인 입력단자를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입력단자로부터 먼지나 물이 들어오지 않는다. 그러나, 종래기술 3은 이어져 설치된 다른 단말기에 광신호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설정대상 단말기와 광신호 송신기를 근접시키면서 어드레스 등의 설정작업을 행해야 하며, 설정작업을 행하기 어렵게 될 수 있다.
또, 광신호 송신기는 스스로를 위한 소정 용량의 밧데리가 필수 불가결하며, 소형, 경량화를 저해한다. 그리고, 밧데리의 전력이 소모되면, 설정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어드레스설정, 변경이 용이하며, 부품제조, 관리 및 조립도 용이하며, 정전기의 문제를 해소 내지는 경감할 수 있고, 입력단자 등으로의 먼지나 물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호전송선을 통하여 급전할 수 있고, 밧데리를 생략 내지는 소용량화할 수 있는 원격제어 또는 감시용 단말기, 원격제어 및/ 또는 감시장치, 원격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일실시형태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커버를 떼어낸 평면도.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에 있어서의 기능을 나타낸 블럭도.
도 6은, 어드레스 설정기의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원격제어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8은, 단말기의 다른 실시형태를 커버를 떼어내어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베이스
3 : 스위치커버 4 : 조작부
5,6 : 절개홈 7 : 발광부
8 : 입력단자 9 : 어드레스 설정기
10 : 신호선 11 : 출려단자
12 : 커버 13 : 표시카드
14 : 부착틀 15 : 화장플레이트
16 : 요홈부 51 : 제어부
52 : 어드레스 기억부 53 : 표시부
54 : 조작부 55 : 전원회로
56 : 전송인터페이스 57 : 평활부
58 : 전원생성부 60 : 제어부
61 : 전원공급 전환부 62 : 전원공급 온오프부
63 : 스위치 조작부 64 : LCD 표시부
70 : 중앙제어장치 71 : 신호전송선
72 : 제어용 단말기 73 : 감시용 단말기
74 : 부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은, 자기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부하를 제어하거나 또는 감시입력신호를 자기 어드레스와 함께 송출하는 원격제어 또는 감시용 단말기에 있어서, 밀어누름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본체, 상기 스위치본체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변위·복원 가능하게 일체로 성형하여 스위치본체의 전면을 덮는 스위치커버, 자기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어드레스기억부, 전면측에 설치되고 어드레스 설정기의 신호선에 접속되는 입력단자, 및 적어도 조작부에 대향하는 부분은 조작부를 조작 가능한 유연재로 형성하여 조작부 및 입력단자를 덮는 개폐 또는 착탈이 자유로운 커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및 또는 감시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위치본체는 예를 들어 택트스위치와 같은 것이든, 종래기술 2와 같이 조작부와 함께 스위치를 구성하는 것이든 상관없다.
또, 스위치커버는 예를 들어 연결부를 남겨두고, 조작부 주위에 절개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조작부를 변위·복원할 수 있게 일체로 성형할 수 있으며, 유연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수단은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단말기의 전면측의 외형치수를 배선기구의 규격화된 부착틀에 설치할 수 있는 수치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선기구와 같이 1개 모듈치수, 2개 모듈치수, 3개 모듈치수 등 임의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2개 모듈치수, 3개 모듈치수로 할 경우, 조작부에 대한 커버부와 입력단자에 대한 커버부를 각각 형성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단말기는, 조작부 및 스위치커버가 일체로 성형된다. 이 때문에, 조작부 및 스위치커버 사이의 치수정밀도가 향상된다. 이 스위치커버를 스위치본체를 덮도록 설치한다. 스위치커버는 입력단자를 덮지 않는 치수로 형성되거나 또는 입력단자에 대향한 개구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 및 입력단자를 덮어 커버가 개폐 또는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이 단말기의 어드레스의 설정, 변경시에는 커버를 열거나 떼어내어 입력단자에 종래기술 1과 같은 어드레스 설정기의 출력단자를 접속한다. 어드레스 설정기의 조작에 의해, 단말기에 대하여 어드레스신호가 공급되고, 어드레스 기억부에 기억된다. 어드레스 설정, 변경이 종료되면, 출력단자를 입력단자로부터 떼어내고, 커버를 닫거나 장착한다. 커버가 닫히거나 장착된 통상의 사용시에는, 입력단자가 노출되지 않아 먼지나 물이 들어가지 않는다. 따라서, 장기간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커버가 조작부 및 입력단자를 덮는 것에 의해, 종래기술 2와 같이 조작부 및 스위치커버의 틈으로 먼지나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회로와의 인접면거리가 커짐에 따라서 정전기의 영향을 해소하거나 감소한다.
제 2 실시형태의 발명은, 제 1 실시형태에 기재된 원격제어 또는 감시용 단말기에 있어서, 스위치본체가 상하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됨과 동시에 공통 입력단자가 최하부에 설치되고, 공통 스위치커버에 복수개의 조작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어드레스 기억부는 각 스위치본체마다 설치하여도 되지만, 각 스위치에 공통으로 하는 것이 실장상 유리하다.
본 발명은, 공통 입력단자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스위치본체에 대향한 복수개분의(구조적으로는 1개) 단말기의 어드레스 설정,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제 3 실시형태의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실시형태에 기재된 원격제어 또는 감시용 단말기에 있어서, 스위치커버의 조작부 근방에 발광부를 가짐과 동시에 커버는 발광부를 덮는 치수로, 그리고 적어도 발광부에 대향하는 부분을 투광성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광부는 예를 들어 원격제어되는 부하의 작동중, 정지중을 표시하거나, 통전을 표시한다. 또, 다른 용도로 이용하여도 된다.
또, 발광체는 스위치본체와 함께 배선판 등에 설치되고, 스위치커버에는 발광체를 노출시키는 구멍을 설치하게 하든, 스위치커버에 발광체로부터의 빛을 도출하는 렌즈등의 수단을 설치하게 하든 혹은 발광체를 스위치커버에 설치하여도 된다.
본 발명은, 커버의 투광부를 통하여 부하의 작동상태 등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가 변위하는 조작부 부근에 있기 때문에 발광부는 조작부의 변위력의 영향을 받지 않아 고장이 발생하기 어렵다.
아울러, 제 3 실시형태의 발명에 따르지 않을 경우는 조작부에 발광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 4 실시형태의 발명은,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3 실시형태의 어느 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원격제어 또는 감시용 단말기에 있어서, 스위치커버의 조작부에 대향하는 부분이 투광성으로 형성되고, 조작부 및 커버 사이에 표시커버를 개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표시카드에 단말기의 명칭, 원격제어하는 부하명칭 등을 기입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제 5 실시형태의 발명은, 신호전송선과, 이 신호전송선에 접속된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4 실시형태의 어느 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원격제어 또는 감시용 단말기와, 단말기에 신호선을 통하여 어드레스신호를 입력하여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어드레스 설정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또는 감시장치이다.
본 발명 및 제 6 실시형태의 발명에 있어서, 단말기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신호전송선으로부터 자기작동용 전력을 급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전지를 불필요하게 하거나 내장된 전지의 용량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2차 전지를 내장하고, 신호전송선으로부터 급전되어 상기 2차 전지를 충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서, 전지의 교환을 불필요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어드레스 설정기에 의해 어드레스가 설정, 변경되는 단말기는 감시용 단말기 및 제어용 단말기 양측 모두이든 어느 한쪽이든 상관없다. 혹은, 감시용 및 제어용 양쪽 기능을 각지는 단말기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단말기 및 중앙제어장치간에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든 단말기끼리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든 상관없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어드레스의 설정, 변경시에는 입력단자에 종래기술 1과 같은 어드레스 설정기의 출력단자를 접속한다. 어드레스 설정기의 조작에 의해 단말기에 대하여 어드레스신호가 공급되고, 어드레스 기억부에 기억한다.
제 6 실시형태의 발명은, 신호전송선과, 상기 신호전송선에 접속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격제어용 단말기와, 상기 원격제어용 단말기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부하와, 상기 신호전송선에 접속되고, 조작되는 것에 의해 원격제어용 단말기에 대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4 실시형태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격감시용 단말기와, 상기 신호전송선에 접속되고, 원격제어용 단말기 및원격감시용 단말기와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중앙제어장치와, 상기 원격감시용 단말기에 신호선을 통하여 어드레스신호를 입력하여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어드레스 설정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감시용 단말기의 조작부가 조작되면, 이 조작부에 대응한 어드레스와 함께 감시신호가 중앙제어장치에 송출된다. 중앙제어장치는 감시신호를 대응하는 어드레스의 제어용 단말기에 제어신호로서 어드레스와 함께 송출한다. 제어용 단말기는 자기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받고, 부하를 제어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단말기의 일실시형태의 평면도, 그리고 상기 도 1에 의한 단말기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는 측면도, 도 3은 커버를 떼어낸 평면도, 도 4는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5는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어드레스 설정기의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원격제어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1)은 케이스로 베이스(2)와 스위치커버(3)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스(1) 내에는 상세구조의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어드레스 기억부가 되는 불휘발성메모리나 RAM, 스위치본체가 되는 택트스위치 등을 탑재한 배선판이 수납되어 있다. 베이스(2)와 스위치커버(3)는 각각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 및 걸림구멍에 의한 것, 별개의 체결금속기구 등 주지의 고착수단을 적절히 이용하여 일체화된다. 스위치커버(3)는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본체에 대향하는 조작부(4)를 일체로 성형하였다. 이 조작부(4)는 변위 및 복원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는 4개의 조작부(4)를 가지는 예로, 각 조작부(4)의 좌우 양측부(도 3)의 중앙부를 남기고 주위에 절개홈(5)을 설치함과 동시에, 좌우 양측부로부터 거의 L자형의 절개홈(6)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절개홈(5, 6)은, 스위치커버(3)의 성형시에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절개홈(5, 6) 사이의 연결부의 휨에 의해, 조작부(4)를 밀어누르면 변위되고, 밀어누름력을 해제하면 복원된다. 또한, 절개홈의 설치방법으로서는 여러 가지의 적절한 방법을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각 조작부(4)의 근방에 발광부(7)가 한쌍 설치되어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부하동작 중에는 적색발광(도 3의 우측)하고, 부하 정지중에는 녹색발광(도 3의 좌측)하도록 되어 있다.
(8)은 입력단자로, 도 6에 도시한 어드레스 설정기(9)의 신호선(10)에 접속된 출력단자(11)에 접속되는 것이다. (12)는 커버로, 상기 조작부(4) 및 입력단자(8)를 덮는다. 커버(12)는 예를 들어 조작부(4)에 대향하는 부분을 조작부(4)보다 큰 개구로 하고, 이 개구를 덮도록 유연시트를 부착한다. 그리고, 조작부(4)에 대향하는 부분, 발광부(7)에 대향하는 부분을 투광성으로 한다. 또한, 조작부(4)와 커버(12) 사이에 표시카드(13)를 개재시킨다. 이 커버(12)는 걸림턱 등의 수단에 의해 스위치커버(3)에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전면의 치수가 배선기구의 3모듈치수로 형성되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격화된 부착틀(14)에 설치되고, 벽면내의 배선박스 등에 장착된다. 또한, 화장플레이트(15)를 장치한다. 따라서, 단말기의 측면에는 부착틀(14)에 설치하기 위한 요홈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단말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단말기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51), 어드레스 기억부(52), 표시부(53), 조작부(54), 전원회로(55), 전송인터페이스(56)를 가진다. 어드레스 기억부(52)는 설정된 자기 어드레스를 기억한다. 표시부(53)는 상기 발광부(7)의 발광상태를 감시신호에 따라서 제어한다. 조작부(54)는 상기 조작부(4)에 대응된다. 전원회로(55)는 자기의 작동용 전력을 예를 들어 전송신호를 정류 평활하여 얻으며, 또한 어드레스 설정기(9)로부터도 공급을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어드레스 설정기(9)는 신호전송선으로부터의 신호를 정류 평활하는 평활부(57), 이 평활부(57)의 출력을 받는 전원생성부(58)를 가진다. 또, 밧데리(59)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전원생성부(58)로부터 출력을 구할 수 없거나 부족한 경우에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제어부(60)에 공급하는 전원공급 전환부(61)를 가진다. 그리고, 신호전송선에 신호가 송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예를 들면 시스템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단말기에 대하여 전원공급 온오프부(62)를 통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또, 어드레스 설정기(9)는 어드레스 설정을 위한 스위치 조작부(63), LCD 표시부(64)를 가진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원격제어장치로서 구성된 시스템의 개략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70)은 중앙제어장치로, 신호전송선(71)에 접속되어 있다. (72)는 제어용 단말기, (73)은 감시용 단말기로 각각 신호전송선(71)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단말기(72)에는 부하(74)로서의 예를 들면 조명기구가 하나 또는 복수개 접속되어 있다. (9)는 어드레스 설정기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감시용 단말기(73)의 어드레스를 설정, 변경하게 한다. 또한, 도 7에 있어서는 부하(74)용의 전력선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우선, 시스템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감시용 단말기(73)를 적절히 벽면내 등에 설치한다. 또한, 중앙제어장치(70), 제어용 단말기(72)도 설치하고, 이들을 신호전송선(71)에 접속한다. 그 후, 감시용 단말기(73) 및 제어용 단말기(부하(74))의 관계를 대응짓기 위하여 어드레스를 설정하는데, 그때, 감시용 단말기(73)의 커버(12)를 떼어내고 입력단자(8)에 어드레스 설정기(9)의 출력단자(11)를 접속한다. 그리고, 어드레스 설정기(9)의 스위치조작부(63)를 조작한다. 제어용 단말기(72)의 어드레스 설정도 마찬가지로 어드레스설정기(9)를 이용하여 행하게 하여도 되지만, 제어용 단말기(72)가 예를 들어 분전반 등에 집중 배치되는 경우에는 딥스위치 등으로 설정하게 하여도 된다.
원격제어장치의 작용으로서는, 감시용 단말기(73)의 조작부(4)의 조작에 의해 예를 들면 부하(74)의 온신호가 입력되면, 이 신호가 감시단말기(73)의 어드레스와 함께 중앙제어장치(70)에 송출된다. 중앙제어장치(70)는 이 어드레스에 대응된 제어용 단말기(72)에 제어신호로서 어드레스신호와 함께 송출한다. 따라서, 제어용 단말기(73)는 자기 어드레스에 대응된 제어신호에 의해 부하(74)를 온 제어한다.
또한, 레이아웃 변경 등에 의해 어드레스를 변경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감시용 단말기(73)의 커버(12)를 떼어내고, 입력단자(8)에 어드레스설정기(9)의 출력단자(11)를 접속한다. 그리고, 어드레스 설정기(9)의 스위치조작부(63)를 조작한다.
도 8은 단말기의 다른 실시형태를 커버를 떼어내어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는 외형치수를 배선기구의 1개 모듈치수로 형성한 것이다. 제1 실시형태와 대응되는 부분은 같은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의 발명은, 조작부 및 스위치커버가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조작부 및 스위치커버간의 치수정도가 향상된다. 또, 커버가 닫히거나 장착된 통상의 사용시에는 입력단자가 노출되지 않아 먼지나 물이 들어가지 않는다. 그리고, 커버가 조작부 및 입력단자를 덮는 것에 의해 조작부 및 스위치커버의 틈으로 먼지나 물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고, 내부회로와의 인접면 거리가 커지는 것에 의해 정전기의 영향을 해소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발명은, 제 1 실시형태에 기재된 발명에 더하여 공통 입력단자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스위치본체에 대응된 복수개분의(구조적으로는 1개) 단말기의 어드레스 설정,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의 발명은, 커버의 투광부를 통하여 부하의 작동상태 등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발광부가 변위하는 조작부 근방에 있기 때문에 발광부는 조작부의 변위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제 4 실시형태의 발명은, 조작부 및 커버간에 표시카드를 개재시키고 있기 때문에, 표시카드에 단말기의 명칭, 원격제어하는 부하명칭 등을 기입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의 발명은,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4 실시형태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격제어 또는 감시용 단말기의 효과를 가지는 원격제어 또는 감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의 발명은,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4 실시형태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격제어용 단말기 및 원격감시용 단말기의 효과가 있는 원격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자기(自己)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부하를 제어하거나 또는 감시입력신호를 자기 어드레스와 함께 송출하는 원격제어 또는 감시용 단말기로서,
    밀어누름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본체와, 전면측에 설치되고 어드레스 설정기의 신호선에 접속되는 입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가 노출가능한 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스위치본체를 조작하는 조작부가 변위·복원 가능하게 되도록 또한 전면이 평면이 되도록 일체로 성형하여 스위치본체의 전면을 덮는 스위치커버와, 자기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어드레스기억부, 및 조작부에 대향하는 부분은 조작부를 조작 가능한 투광성 유연재로 형성됨과 함께 입력단자에 대향하는 부분은 비투광성 재료로 형성되고, 조작부 및 입력단자를 덮는 개폐 또는 착탈이 자유로운 커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또는 감시용 단말기.
  2. 전기신호가 송신되는 신호전송선과,
    상기 신호전송선에 접속된 청구항 1에 기재된 원격제어 또는 감시용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에 신호선을 통하여 어드레스신호를 입력하여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어드레스 설정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또는 감시장치.
  3. 신호전송선과,
    상기 신호전송선에 접속된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제어용 원격제어용 단말기와,
    상기 제어용 원격제어용 단말기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부하와,
    상기 신호전송선에 접속되고, 조작되는 것에 의해 제어용 원격제어용 단말기에 대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감시용 원격감시용 단말기와,
    감시용 원격감시용 단말기에 신호선을 통하여 어드레스신호를 입력하여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어드레스 설정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KR1019980006926A 1997-03-04 1998-03-03 원격제어또는감시용단말기,원격제어또는감시장치,원격제어장치 KR100299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49466A JPH118950A (ja) 1997-03-04 1997-03-04 遠隔制御および/または監視用端末器、遠隔制御および/または監視装置、遠隔制御装置
JP49466 1997-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832A KR19980079832A (ko) 1998-11-25
KR100299911B1 true KR100299911B1 (ko) 2001-10-27

Family

ID=12831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926A KR100299911B1 (ko) 1997-03-04 1998-03-03 원격제어또는감시용단말기,원격제어또는감시장치,원격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18950A (ko)
KR (1) KR1002999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8669A (ja) * 2001-07-02 2003-01-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分散制御装置のシステム設定方法、及び制御端末器
TWI403214B (zh) * 2008-04-24 2013-07-21 Panasonic Corp 操作終端
JP4535165B2 (ja) * 2008-04-24 2010-09-0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操作端末器
JP4530072B2 (ja) * 2008-04-24 2010-08-2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操作端末器
JP5435703B2 (ja) * 2009-03-24 2014-03-05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壁スイッチ装置
JP5853193B2 (ja) * 2011-10-31 2016-02-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ワイヤレス受信器
JP6347360B2 (ja) * 2014-03-13 2018-06-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イッチ用カバー、操作端末器
CN107027252A (zh) * 2017-05-05 2017-08-08 东莞昭和电子有限公司 一种紧凑型遥控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0575A (ja) * 1992-04-23 1993-11-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監視用端末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0575A (ja) * 1992-04-23 1993-11-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監視用端末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8950A (ja) 1999-01-12
KR19980079832A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49485B1 (en) Communication station
KR100299911B1 (ko) 원격제어또는감시용단말기,원격제어또는감시장치,원격제어장치
ES2321672T3 (es) Dispositivo de interrupcion electrica que comprende un modulo de comunicacion.
US4835670A (en) Microcomputer fuel burner control having safety interlock means
ITMI20081579A1 (it) Un dispositivo d&#39;interfaccia utente per dispositivi di commutazione in bassa tensione.
CN100362608C (zh) 模式电开关和包括至少这样一种开关的电开关设备
CN210225044U (zh) 一种快递柜供电装置
US20100237699A1 (en) pluggable power management module for a power distribution panel
CN101322209A (zh) 监测连接在开关设备上游的保护装置的方法
ITTO20000129U1 (it) Batteria per telefono cellulare.
IT202100002492A1 (it) Dispositivo interruttore migliorato
RU2313200C2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плата с модульным интегрированием программируемого контроллера и расширением
EP0823981B1 (en) Bus powered manually actuatable integrated pilot light/contact/communications module
CN100520644C (zh)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转接器以及这两个元件之间的传输系统
US5525846A (en) Manually actuatable integrated control modul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3661758B2 (ja) 信号伝送装置
EP1085638A3 (de) Batterie-Trennvorrichtung
EP0962979B1 (en) Programmable electronic circuit with an identification number and external connections for control, actuation and display
EP3399534B1 (en) Assembly for mounting led and/or contact units and led units for electrical control circuits of industrial plants
KR20140126576A (ko)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
CN220190404U (zh) 一种集成控制盒及强弱电一体箱
KR101977751B1 (ko) 제어기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제어 장치
EP3248255B1 (en) Interface module for powering wireless user interface through light switch
CN218782508U (zh) 激光投影设备
EP4195884A1 (en) Power supply with detachable communication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