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6576A -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6576A
KR20140126576A KR20130044921A KR20130044921A KR20140126576A KR 20140126576 A KR20140126576 A KR 20140126576A KR 20130044921 A KR20130044921 A KR 20130044921A KR 20130044921 A KR20130044921 A KR 20130044921A KR 20140126576 A KR20140126576 A KR 20140126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wer
function
mobile phon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4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조
Original Assignee
김영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조 filed Critical 김영조
Priority to KR20130044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6576A/ko
Publication of KR20140126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6Charger exchanging data with batte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4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dapted for charging from various sources, e.g. AC, DC or multi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완구, 도어락, 가전기기 등과 같은 비리모콘 방식의 각종 기기나 장치에 소모품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건전지를 모형건전지로 대체하며, 다양한 휴대폰 배터리를 활용하여 반영구적으로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리모콘 방식으로 무선구동이 가능하도록 전환시키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종 비리모콘 방식의 기기나 장치에 장착되는 전원용 건전지를 대체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있어서, DC전원이 입력되는 입력DC잭단자, DC전원이 출력되는 출력DC잭단자 및 상기 출력DC잭단자로의 DC전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원출력제어부가 포함된 본체부; 상기 전원출력제어부에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리모콘; 및 상기 무선리모콘의 동작신호에 따라 본체부의 출력DC잭단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출력하는 모형건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인 연결장치의 무선리모콘과 모형건전지를 이용하여 건전지나 축전지를 구동전원으로 하는 기기나 장치에 건전지를 대체하는 구동전압을 공급함과 함께 비리모콘 방식의 기기나 장치를 무선리모콘으로 on/off 제어할 수 있도록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을뿐 아니라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The connection device having multi adapter function and multi charge function and remote control changing function about non-remot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작동완구, 도어락, 가전기기 등과 같은 리모콘을 사용하지 않는 각종 기기나 장치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건전지를 모형건전지로 대체하면서 무선으로 이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작동완구, 도어락, 가전기기 등과 같은 비리모콘 방식의 각종 기기나 장치에 소모품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건전지를 모형건전지로 대체하며, 다양한 휴대폰 배터리를 활용하여 반영구적으로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리모콘 방식으로 무선구동이 가능하도록 전환시키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에 있어, 작동완구, 도어락, 가전기기, 학습기기 등과 같은 많은 기기나 장치 등이 주변에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기기나 장치를 구동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전원은 대부분 일정 전압을 갖도록 소모용 건전지 또는 충전지를 2개 내지 8개 등이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모용 건전지나 충전지의 경우 용량의 한계로 주기적으로 교체를 함에 따라 발생되는 비용이 상당할 뿐 아니라, 건전지나 충전지 등의 수명이 다하는 경우에 폐기시에 발생될 수 있는 환경문제도 역시 또 다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계적으로 살펴보면, 전 세계적으로 1년에 사용되는 건전지는 약 30만 톤으로 전지 1개 무게를 40그램으로 가정하면 1년에 약 75억 개의 건전지가 쓰이고 있는 셈이다. 이 중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약 1만 5,000톤, 약 10억 개의 건전지가 판매되거나 사용되고 있다.
건전지는 한번 사용 후 폐기되는 1차 건전지와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2차 건전지로 나뉘는데, 1차 전지에는 전체 전지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망간 건전지와 알카라인 건전지, 2차 건전지에는 니켈카드뮴 전지와 니켈수소 전지, 리튬 전지, 산화은 전지, 수은 전지 등이 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1차 건전지의 경우 납과 수은 등의 유해물질은 거의 없지만 망간·아연·철·니켈 등을 포함하고 있어 그대로 매립하게 되면 토양과 지하수가 오염될 수 있다.
또한 소각시 망간과 아연 등을 함유한 배기가스로 인하여 대기가 심각하게 오염되기도 하는데, 이보다 더 큰 문제는 1차 건전지와 2차 충전지를 구분하지 못하고 수은과 카드뮴 등의 유해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2차 충전지까지 생활쓰레기로 버리고 있다는 점이다. 토양과 지하수, 공기 등이 오염될 경우 오염된 환경은 인간에게도 고스란히 영향을 미쳐 망간폐렴, 카드뮴 중독, 수은중독 등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시킬 수도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수은 전지의 경우 생산과 수입이 금지돼 있으나 중국과 동남아산 건전지가 아이들 장난감 등에 내장되어 들어와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전지의 폐기시 환경문제는 더욱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의 작동완구, 도어락, 가전기기, 학습기기 등과 같은 많은 기기나 장치 등의 경우 작동에 필요한 전압이 각각 다르며, 이를 테면, 3V ~ 12V등의 다양한 구동전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기나 장치의 전원 구동용으로 일반적인 건전지를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기기나 장치의 구동전압을 맞추기 위해 필요한 건전지의 개수를 기기별로 맞게 교환해야만 하므로, 실제적으로 불편하고 번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야외에서 사용중인 휴대폰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 실제로 충전이 가능한 편의점에서 일정시간 배터리를 맡겨서 충전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도 시간, 비용적인 부담이 있으며, 더우기 편의점 등이 없는 산이나 바다 등의 캠핑장소이거나 편의점 등이 문을 닫는 시간에 콘센트 전원이 없는 장소라면 배터리의 충전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태이다.
또한, 상기의 작동완구, 도어락, 가전기기, 학습기기 등과 같은 많은 기기나 장치 등의 상당수는 비리모콘방식으로 구성되어 수동으로 직접 기기나 장치를 제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형건전지와 주변에서 회수가능하며 충전가능한 고가의 휴대폰 폐배터리를 재활용하여 건전지나 축전지를 구동전원으로 하는 기기나 장치에 건전지를 대체하는 구동전압을 공급하여, 기존 전원인 소모용 건전지 등을 대체시켜 기기나 장치에 전원을 반영구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건전지 대체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 폐배터리를 재활용함에 있어, 폐배터리의 크기와 폐배터리에 형성된 접촉핀의 위치에 상관없이 모든 폐배터리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전지나 축전지를 구동전원으로 하는 기기나 장치에 필요한 각각의 구동전압을 DC아답타 등으로 자체생성하여 선택적으로 필요한 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콘센트 전원이 없는 장소에서도 사용중인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보조배터리를 활용한 아답타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비리모콘 방식의 기기나 장치를 리모콘을 이용하여 무선 on/ff 방식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비리모콘 방식의 기기나 장치에 장착되는 전원용 건전지를 대체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있어서, DC전원이 입력되는 입력DC잭단자, DC전원이 출력되는 출력DC잭단자 및 상기 출력DC잭단자로의 DC전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원출력제어부가 포함된 본체부; 상기 전원출력제어부에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리모콘; 및 상기 무선리모콘의 동작신호에 따라 본체부의 출력DC잭단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출력하는 모형건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비리모콘 방식의 기기나 장치에 장착되는 전원용 건전지를 대체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있어서, 전원연결용 접촉핀을 갖는 휴대폰 배터리;
상기 휴대폰배터리를 위치시키는 위치대, 상기 접촉핀에 접촉되는 전원접촉단부를 포함하는 핀조절부, 상기 휴대폰배터리의 충전/출력을 제어하는 배터리제어부, DC전원이 입력되는 입력DC잭단자, DC전원이 출력되는 출력DC잭단자 및 상기 출력DC잭단자로의 DC전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원출력제어부가 포함된 본체부; 상기 전원출력제어부에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리모콘; 및 상기 무선리모콘의 동작신호에 따라 본체부의 출력DC잭단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출력하는 모형건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를 제시한다.
상기 위치대에는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로 DC전압을 공급하도록 건전지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다수로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폰배터리의 접촉핀에 접촉되는 핀조절부의 전원접촉단부는 휴대폰배터리에 형성되는 접촉핀의 위치에 상관없이 통전가능하도록 듀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조절부에는 상기 휴대폰배터리에서 사용되는 접촉핀의 극성에 따라 접촉핀과 접촉하는 전원접촉단부의 극성을 조절하는 슬라이드스위치가 포함되며,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는 듀얼로 구성된 전원접촉단부의 극성을 동시에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대에 다양한 길이의 휴대폰배터리를 안착시키도록 상기 위치대에 일정간격으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홀에 끼워지는 끼움대와 휴대폰배터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포함된 길이조절부;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형건전지는, DC잭단자와 상기 DC잭단자와 연결되는 +/- 극으로 이루어진 두가닥 전선라인을 갖는 라인부; 중공의 건전지 형상을 갖고 상기 두가닥 전선라인이 인입되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며, 관통구로 인입된 두가닥의 전선라인이 양측단에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된 모형건전지본체;가 포함되며, 상기 두가닥 전선라인 중에 +극성을 갖는 전선라인이 건전지 형상을 갖는 모형건전지본체의 볼록형상 측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제어부는 상기 휴대폰배터리의 충전모드 또는 출력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 상기 입력DC잭단자에서 입력되는 DC전원을 +5V전압으로 레귤레이터 시키는 정전압조절부; 및 상기 모드선택부가 충전모드일때 상기 정전압조절부에서 인가된 전압으로 구동되어 핀조절부를 통해 휴대폰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충전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조절부는 휴대폰배터리가 위치대에 정상적으로 장착되는 경우에 발광하는 LED를 구성하고, 상기 LED가 발광되는 경우에 활성화되는 포토커플러를 상기 모드선택부와 접지사이에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포토커플러가 동작해야 상기 모드선택부가 통전되도록 구성하여, 휴대폰배터리가 역방향전압을 형성하는 경우는 모드선택부를 통해 휴대폰배터리의 충전 및 출력이 되지 않도록 역전압 방지 기능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제어부에는 상기 정전압조절부의 +5V 전압을 인가받아 외부출력으로 사용하는 USB단자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출력제어부는, 입력되는 DC전원을 +5V전압으로 레귤레이터 시키는 정전압조절부; 상기 정전압조절부의 +5V전압이 인가되면서 구동되어 상기 무선리모콘의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IR부; 상기 정전압조절부의 +5V전압이 인가되면서 구동되어 상기 IR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마이컴; 및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구동되면서 상기 출력DC잭단자를 통해 전원을 출력하는 감압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압조절부에서 상기 출력DC잭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전압셀렉터 및 상기 전압셀렉터의 전압선택범위를 고/저 전압으로 선택하기 위한 고/저전압 선택부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 번째로, 본 발명인 연결장치의 무선리모콘과 모형건전지를 이용하여 건전지나 축전지를 구동전원으로 하는 기기나 장치에 건전지를 대체하는 구동전압을 공급함과 함께 비리모콘 방식의 기기나 장치를 무선리모콘으로 on/off 제어할 수 있도록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두 번째로, 본 발명의 연결장치의 핀조절부, 길이조절부를 통해 휴대폰 폐배터리를 활용하여 건전지나 축전지를 구동전원으로 하는 기기나 장치의 소모용 건전지 등을 대체시켜 전원을 반영구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과 함께, 휴대폰 폐배터리의 길이나 크기 및 접촉핀의 위치에 무관하게 모든 휴대폰 폐배터리를 재활용할 수 있는 만능 충전지의 효과를 갖게 된다.
세 번째로, 본 발명의 연결장치에서 다양한 전압을 생성 및 선택할 수 있도록하여 모형건전지를 통해 기기나 장치에 필요한 각각의 구동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기기나 장치에 범용으로 연결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네 번째로, 본 발명의 연결장치에 구성된 건전지 장착부에 1.5V 일반 건전지를 4개 장착하여 +6V의 전원을 연결장치 내부로 공급하여 다양한 전압을 출력전압으로 생성하게 할 수 있도록 일반 콘센트 전원이외에 별도로 멀티 아답타 기능을 구성하여, 단지 4개의 일반 건전지로 +6V 이상의 출력을 생성하여 모형건전지를 통해 +6V 이상의 구동전압을 필요로 하는 기기나 장치를 작동시킬수 있으며, 휴대용배터리의 충전용 전압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 번째로, 본 발명의 연결장치에 구성된 건전지 장착부에 1.5V 일반 건전지를 4개를 보조배터리로 장착하여 +6V의 전원을 연결장치 내부로 공급하여 +5V 전압을 생성하여 USB단자를 통해 사용중인 휴대폰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전압인 3.7~4.2V의 출력전압을 공급하도록 구성하여, 야외에서 비상시에 콘센트 전원이 없는 장소에서도 휴대폰 배터리를 직접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여섯 번째로, 본 발명인 연결장치의 핀조절부에 휴대폰배터리가 위치대에 정상적으로 장착되는 경우에 발광하는 LED를 구성하고, 상기 LED가 발광되는 경우에 활성화되는 포토커플러를 상기 모드선택부와 접지사이에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포토커플러가 동작해야 모드선택부가 통전되도록 구성하여 휴대폰배터리가 역방향전압을 형성하는 경우는 모드선택부를 통해 휴대폰배터리의 충전 및 출력이 되지 않도록 역전압 방지 기능이 구성하여 연결장치 내부의 충전회로부를 포함한 배터리제어부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 번째로, 본 발명의 연결장치에 구성된 모형건전지는, 일반적인 건전지형상을 그대로 본떠, 모형건전지본체의 볼록형상 측으로 +극성을 갖는 전선라인이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형건전지의 극성을 쉽게 찾을 수 있어 기기나 장치에 쉽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결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형건전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연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연결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인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결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결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모형건전지를 통한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구동방식 전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결장치의 본체부(30)는 두개의 PCB기판이 내부에 포함되는데, 다시 말해, 핀조절부(300)가 구성되는 기판과 전원출력조절부(480) 및 배터리 제어부(430) 등이 포함된 메인기판(400)으로 구성된다.
즉, 본체부(30)는 DC전원이 입력되는 입력DC잭단자(410), DC전원이 출력되는 출력DC잭단자(450) 및 상기 출력DC잭단자(450)로의 DC전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원출력제어부(480)가 포함된다.
또한, 본체부(30)의 외부에는 휴대폰 배터리(20)를 위치시키는 위치대(500)가 구성된다.
상기 휴대폰 배터리(20)는 스마트폰이나 기존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나 폐배터리 등이 활용될 수 있으며 배터리는 종류별로 다양한 길이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4핀으로 구성된 전원연결용 접촉핀을 갖는다.
상기 전원연결용 접촉핀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처럼 상단부 우측 또는 좌측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접촉핀이 배터리 상단 우측에 위치하며 맨 우측이 (-)단자이며 나머지 3개의 단자가 (+)단자로 이루어진 타입(20a)과 접촉핀이 배터리 상단 좌측에 위치하며 접촉핀의 맨 좌측이 (+)단자이며 나머지 3개의 단자가 (-)단자로 이루어진 타입(20b)으로 분류된다.
이에, 본 발명의 본체부(30)의 상기 핀조절부(300)에는 상기 배터리의 접촉핀에 접촉되는 전원접촉단부(320)가 구성되는데, 이러한 휴대폰배터리의 접촉핀의 타입을 고려하여 어떤 타입을 갖는 배터리라도 휴대폰배터리에 형성되는 접촉핀의 위치가 좌측이던 우측에 상관없이 접촉핀이 핀조절부(300)의 전원접촉단부(320)에 접촉되어 통전가능하도록 듀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본체부(30)의 좌측에 형성된 전원접촉단부(320a)는 배터리타입(20b)에 매칭되는 극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본체부(30)의 우측에 형성된 전원접촉단부(320b)는 배터리타입(20a)에 매칭되는 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타입(20a)을 자세히 보면 4개의 접촉핀에서 (-)단자는 1개지만, 3개의 핀은 (+)단자로 구성되며, 배터리에 따라 3개의 (+)핀 중에 어느 하나의 핀을 (+)단자로 사용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배터리 타입(20b)을 보면, 4개의 접촉핀에서 (+)단자는 1개지만, 3개의 핀은 (-)단자로 구성되며, 배터리에 따라 3 개의 (-)핀 중에 어느 하나의 핀을 (-)단자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상기 핀조절부(300)에는 상기 휴대폰배터리에서 사용되고 있는 접촉핀의 극성에 따라 접촉핀과 접촉하는 전원접촉단부(320)의 극성을 조절하는 슬라이드스위치(310)가 포함되며, 상기 슬라이드스위치(310)는 하나로 구성되지만, 하나의 슬라이드스위치(310)로써 듀얼로 구성된 전원접촉단부(320)의 극성을 함께 동시에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핀조절부(300)에 슬라이드스위치(310)를 단지 하나만 구성해도 듀얼의 전원접촉단부(320)를 모두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위치대(500)에는 일정간격으로 길이방향으로 홀(500a)이 형성되며, 상기 홀(500a)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로 다양한 길이의 휴대폰배터리(20)를 안착시키도록 길이조절부(10)가 더 구성된다.
상기 길이조절부(10)는 상기 일정간격으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홀(500a)에 끼워지는 끼움대(11)와 휴대폰배터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2)가 포함된다.
상기 고정부(12)는 나사타입으로 구성되어 위치대(500)에 위치한 휴대폰배터리에게 힘을 가해 안정적으로 휴대폰배터리를 위치대(5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길이조절부(10)는 휴대폰배터리의 크기에 따라 끼움대(12)가 끼워지는 홀(500a)의 위치를 선택하면서 고정부(12)로 휴대폰배터리에게 힘을 가해 안정적으로 휴대폰배터리를 위치대(500)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본체부(30)에는 상기 휴대폰배터리(20)의 충전/출력을 제어하는 배터리제어부(430)가 구성된다. 이에 대해서 자세한 작동원리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연결장치의 본체부(30)의 핀조절부(300), 길이조절부(10)를 통해 휴대폰 폐배터리를 활용하여 건전지나 축전지를 구동전원으로 하는 기기나 장치의 소모용 건전지 등을 대체시켜 전원을 반영구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과 함께, 휴대폰 폐배터리의 길이나 크기 및 접촉핀의 위치에 무관하게 모든 휴대폰 폐배터리를 재활용할 수 있는 만능 충전지의 효과를 갖게 된다.
도 2,3을 중심적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연결장치의 작동원리에 대해 이하 기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연결장치의 본체부(30)에 DC아답타를 연결하고 전원스위치(420)을 온(on)하면 입력DC잭단자(410)에서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입력DC잭단자(410)에서 입력되는 3~12V의 전압은 승압조절부(440)에 의해 원하는 전압으로 승압되고, 도시된 LED(490)에 전압이 인가되어 발광하면서 연결장치의 상태가 전원온(on)상태임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승압조절부(440)에 의해 승압된 전압은 감압조절부(481)에 인가하게 됨과 동시에 전원출력제어부(480)에 인가되며, 전원출력제어부(480)의 정전압조절부(482)에 의해 승압조절부(440)를 통해 입력되는 DC전원에서 +5V전압을 생성하여 마이컴(484)과 IR부(483)에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이때, 무선리모콘(60)에서 동작신호를 송신하게 되면, 상기 IR부(483)는 동작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또한 상기 IR부(483)로부터의 마이컴(484)이 동작신호를 수신하고 제어신호를 감압조절부(481)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무선리모콘(60)은 일반적인 일정주파수를 갖는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는 리모콘을 의미한다.
상기 무선리모콘(60)을 동작하여 상기 IR부(483)로부터의 마이컴(484)이 동작신호를 수신하면, LED(485)는 마이컴(484)으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아 발광하게 된다.
상기 감압조절부(481)는 마이컴(484)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구동되면서 상기 출력DC잭단자(450)를 통해 전원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부(30)에는 상기 감압조절부(481)에서 상기 출력DC잭단자(450)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전압셀렉터(460)가 구성되며, 또한, 전압셀렉터(460)의 전압선택범위를 고/저 전압으로 선택하기 위한 고/저전압 선택부(470)가 구성된다.
이를테면, 상기 전압셀렉터(460)는 고/저전압 선택부(470)가 고전압을 선택했을 경우에 출력전압이 5V, 6V, 9V의 출력전압을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고/저전압 선택부(470)가 저전압을 선택하는 경우는 1.5V, 3V, 4.5V의 출력전압을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체부(30)에 입력DC잭단자(410)에서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이 3V의 전압일지라도 승압조절부(440)를 통해 승압된 전압을 사용하면서 출력DC잭단자(450)를 통해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을 다양하게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기기나 장치에는 구동시키기 위한 필요한 각각의 구동전압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건전지나 축전지 등을 전압원으로 공급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소모용 건전지를 대체하여 연결장치에 장착되는 모형건전지(70, 80)를 이용하여 각종 기기나 장치에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연결장치의 출력DC잭단자(450)를 통해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을 다양하게 출력조절하여 모형건전지(80)를 통해 기기나 장치에 공급하게 되면서 수동으로 직접 기기나 장치의 온/오프를 동작시켜야 했던 비리모콘 방식을 무선리모콘(60)의 동작신호에 따라 본체부의 출력DC잭단자(450)와 연결되어 전원을 출력하는 모형건전지(80)을 이용하여 리모콘 방식으로 바꾸어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연결장치에서 다양한 전압을 생성 및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모형건전지를 통해 기기나 장치에 필요한 각각의 구동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기기나 장치에 범용으로 연결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인 연결장치의 무선리모콘과 모형건전지를 이용하여 건전지나 축전지를 구동전원으로 하는 기기나 장치에 건전지를 대체하는 구동전압을 공급함과 함께 비리모콘 방식의 기기나 장치를 무선리모콘으로 on/off 제어하도록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입력DC잭단자(410)에서 입력되는 전원이 배터리제어부(430)의 정전압조절부(433)에 인가되면서 정전압조절부(433)에 의해 레귤레이터시켜 +5V전압을 생성하여 충전회로부(434)에 인가하게 된다.
상기 배터리제어부(430)는 본체부(30)에는 핀조절부(300)에 장착되는 상기 휴대폰배터리(20)의 충전/출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터리제어부(430)에 도시된 모드선택부(432)에서 핀조절부(300)에 장착되는 휴대폰 배터리(20)를 충전 또는 출력모드로 선택하게 된다.
상기 모드선택부(432)를 충전모드로 설정하고 전원스위치(420)을 온(on)하면 충전회로부(434)와 모드선택부(420)는 전원연결되면서 모드선택부(432)를 통해 핀조절부(300)에 4,2V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핀조절부(300)에 장착된 휴대용 배터리(20)는 충전되며, 충전된 휴대용 배터리(20)는 모드선택부(420)가 출력모드인 경우에 전원을 승압조절부(440)로 공급하게 된다.
한가지 고려할 점은, 휴대폰 배터리(20)를 충전 또는 출력하는 경우에 휴대폰배터리의 장착상태가 반대로 되는 장착이 되는 경우에 역전압이 걸려 연결장치의 배터리 제어부(430)가 소실될 수 위험성이 있게 된다.
이에, 휴대폰 배터리(20)를 핀조절부(300)에 장착하는 경우에 휴대폰 배터리가 위치대(500)에서 정상적인 방향으로 극성에 맞게 장착이 되는 경우에 휴대폰 배터리(20)의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LED(330)를 구성하면서, 상기 LED(330)가 발광되는 경우에 활성화되는 포토커플러(435)를 구성한다.
즉, 상기 포토커플러(435)가 작동하는 경우에만 상기 모드선택부(432)가 접지와 연결되어 통전되도록 구성하여, 휴대폰배터리가 역방향전압을 형성하는 경우는 모드선택부(432)를 통해 휴대폰배터리의 충전 및 출력이 되지 않도록 하여 역전압 방지 기능을 갖추게 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인 연결장치의 핀조절부에 휴대폰배터리가 위치대에 정상적으로 장착되는 경우에 발광하는 LED(330)를 구성하고, 상기 LED가 발광되는 경우에 활성화되는 포토커플러(435)를 상기 모드선택부(432)와 접지사이에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포토커플러(435)가 동작해야 모드선택부(432)가 접지로 통전되도록 구성하여, 휴대폰배터리(20)가 역방향전압을 형성하는 경우는 모드선택부(432)를 통해 휴대폰배터리의 충전 및 출력이 되지 않도록 역전압 방지 기능이 구성하여 연결장치 내부 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제어부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입력DC잭단자(410)에서 입력되는 전원이 배터리제어부(430)의 정전압조절부(433)에 인가되면서 정전압조절부(433)에 의해 +5V전압을 생성하여 충전외부출력용으로 USB(436)단자에 인가하게 되며, 상기 USB(436)단자를 통해 스마트폰 등을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형건전지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형건전지(70, 80)는 두가지 타입으로 구성된다.
도시된 모형건전지(70)는 중공의 건전지 형상을 갖고 내부의 중공에 전선라인이 장착되어 +/- 극을 통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타입의 모형건전지(80)는 DC잭단자(80d)와 상기 DC잭단자와 연결되는 +/- 극으로 이루어진 두가닥 전선라인을 갖는 라인부(80c)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 일반적으로 DC잭단자는 가운데 중심부분이 +극성을 가지며 측면이 -극성을 가지도록 설계가 되는데, 이에 본 발명의 연결장치의 출력DC잭단자(450)와 연결이 되는 상기 DC잭단자(80d)의 경우도 가운데 중심부분이 +극성을 가지며 측면이 -극성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이에 라인부(80c)의 두가닥 전선라인도 마찬가지로 중심부분과 연결된 전선라인이 +극성을 가지며, 측면과 연결된 전선라인이 -극성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모형건전지(80)에는 중공의 건전지 형상을 갖고 상기 두가닥의 전선라인이 인입되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며, 관통구로 인입된 두가닥의 전선라인이 양측단에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된 모형건전지본체(80a, 80b)가 포함된다.
이러한 모형건전지(80)의 특징은 도시된 바처럼, 상기 두가닥 전선라인 중에 +극성을 갖는 전선라인이 건전지 형상을 갖는 모형건전지본체의 볼록부를 갖는 볼록형상 측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연결장치에 구성된 모형건전지(80)는, 일반적인 건전지형상을 그대로 본떠, 모형건전지본체의 볼록형상 측으로 +극성을 갖는 전선라인이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형건전지의 극성을 쉽게 찾을 수 있어 기기나 장치에 쉽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연결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연결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위치대(500)에는 상기 본체부(30)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로 DC전압을 공급하도록 건전지가 장착되는 장착부(500b)를 다수로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건전지 장착부(500b)에 1.5V 일반 건전지를 4개 장착하여 +6V의 전원을 연결장치 내부로 공급하여 다양한 전압을 출력전압으로 생성하게 할 수 있도록 일반 콘센트 DC 전원 이외에 별도로 보조 멀티 아답타 기능을 구성하여, 단지 4개의 일반 건전지로 +6V 이상의 출력을 생성하여 모형건전지(80)를 통해 +6V 이상의 구동전압을 필요로 하는 기기나 장치를 작동시킬수 있으며, 휴대용배터리(20)의 충전용 전압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DC아답타가 없어도 연결장치를 건전지 장착부(500b)에에 장착된 건전지 4개를 통해 구현할 수 있는 멀티 아답타기능을 갖게 된다.
도 6을 참조할 때, 또한, 본 발명의 연결장치에 구성된 건전지 장착부(500b)에 1.5V 일반 건전지를 4개를 보조배터리로 장착하여 +6V의 전원을 연결장치 내부로 공급하여 정전압조절부(433)을 통해 +5V 전압을 생성하여 USB단자(436)를 통해 현재 사용중인 사용자의 휴대폰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전압인 3.7~4.2V의 출력전압을 공급하도록 구성하여, 야외에서나 운전하는 경우 및 비상시에 콘센트 전원이 없는 장소에서도 스마트폰 등의 휴대폰 배터리를 직접 충전할 수 있도록 하여 아답타가 없이 단지 4개의 건전지로 스마트폰등의 충전기능을 갖도록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첨부된 도면 및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전술한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들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이 전술한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10: 길이조절부 11: 끼움대
12: 고정부
20, 20a, 20b: 휴대폰 배터리
30: 본체부
300: 핀조절부 310: 슬라이드스위치
320, 320a, 320b: 전원접촉단부 330: LED
400: 메인기판 410: 입력DC잭단자
420: 전원스위치 430: 배터리 제어부
432: 모드서택부 433: 정전압조절부
434: 충전회로부 435: 포토커플러
436: USB단자
440: 승압조절부 450: 출력DC잭단자
460: 전압셀렉터 470: 고/저전압 선택부
480: 전원출력제어부 481: 감압조절부
482: 정전압조절부 483: IR부
484: 마이컴 485: LED
490: LED
500: 고정대 500a: 홀
500b: 건전지 장착부

Claims (12)

  1. 각종 비리모콘 방식의 기기나 장치에 장착되는 전원용 건전지를 대체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있어서,
    DC전원이 입력되는 입력DC잭단자, DC전원이 출력되는 출력DC잭단자 및 상기 출력DC잭단자로의 DC전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원출력제어부가 포함된 본체부;
    상기 전원출력제어부에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리모콘; 및
    상기 무선리모콘의 동작신호에 따라 본체부의 출력DC잭단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출력하는 모형건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
  2. 각종 비리모콘 방식의 기기나 장치에 장착되는 전원용 건전지를 대체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있어서,
    전원연결용 접촉핀을 갖는 휴대폰 배터리;
    상기 휴대폰배터리를 위치시키는 위치대,
    상기 접촉핀에 접촉되는 전원접촉단부를 포함하는 핀조절부,
    상기 휴대폰배터리의 충전/출력을 제어하는 배터리제어부,
    DC전원이 입력되는 입력DC잭단자, DC전원이 출력되는 출력DC잭단자 및 상기 출력DC잭단자로의 DC전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원출력제어부가 포함된 본체부;
    상기 전원출력제어부에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리모콘; 및
    상기 무선리모콘의 동작신호에 따라 본체부의 출력DC잭단자와 연결되어 전원을 출력하는 모형건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대에는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로 DC전압을 공급하도록 건전지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다수로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배터리의 접촉핀에 접촉되는 핀조절부의 전원접촉단부는 휴대폰배터리에 형성되는 접촉핀의 위치에 상관없이 통전가능하도록 듀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핀조절부에는 상기 휴대폰배터리에서 사용되는 접촉핀의 극성에 따라 접촉핀과 접촉하는 전원접촉단부의 극성을 조절하는 슬라이드스위치가 포함되며,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는 듀얼로 구성된 전원접촉단부의 극성을 동시에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대에 다양한 길이의 휴대폰배터리를 안착시키도록 상기 위치대에 일정간격으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홀에 끼워지는 끼움대와 휴대폰배터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포함된 길이조절부;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건전지는,
    상기 모형건전지는, DC잭단자와 상기 DC잭단자와 연결되는 +/- 극으로 이루어진 두가닥 전선라인을 갖는 라인부;
    중공의 건전지 형상을 갖고 상기 두가닥 전선라인이 인입되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며, 관통구로 인입된 두가닥의 전선라인이 양측단에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된 모형건전지본체;가 포함되며,
    상기 두가닥 전선라인 중에 +극성을 갖는 전선라인이 건전지 형상을 갖는 모형건전지본체의 볼록형상 측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제어부는,
    상기 휴대폰배터리의 충전모드 또는 출력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
    상기 입력DC잭단자에서 입력되는 DC전원을 +5V전압으로 레귤레이터 시키는 정전압조절부; 및
    상기 모드선택부가 충전모드일때 상기 정전압조절부에서 인가된 전압으로 구동되어 핀조절부를 통해 휴대폰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충전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핀조절부는 휴대폰배터리가 위치대에 정상적으로 장착되는 경우에 발광하는 LED를 구성하고, 상기 LED가 발광되는 경우에 활성화되는 포토커플러를 상기 모드선택부와 접지사이에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포토커플러가 동작해야 상기 모드선택부가 통전되도록 구성하여,
    휴대폰배터리가 역방향전압을 형성하는 경우는 모드선택부를 통해 휴대폰배터리의 충전 및 출력이 되지 않도록 역전압 방지 기능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제어부에는 상기 정전압조절부의 +5V 전압을 인가받아 외부출력으로 사용하는 USB단자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출력제어부는,
    입력되는 DC전원을 +5V전압으로 레귤레이터 시키는 정전압조절부;
    상기 정전압조절부의 +5V전압이 인가되면서 구동되어 상기 무선리모콘의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IR부;
    상기 정전압조절부의 +5V전압이 인가되면서 구동되어 상기 IR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마이컴; 및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구동되면서 상기 출력DC잭단자를 통해 전원을 출력하는 감압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조절부에서 상기 출력DC잭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전압셀렉터 및 상기 전압셀렉터의 전압선택범위를 고/저 전압으로 선택하기 위한 고/저전압 선택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


KR20130044921A 2013-04-23 2013-04-23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 KR201401265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4921A KR20140126576A (ko) 2013-04-23 2013-04-23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4921A KR20140126576A (ko) 2013-04-23 2013-04-23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576A true KR20140126576A (ko) 2014-10-31

Family

ID=51995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4921A KR20140126576A (ko) 2013-04-23 2013-04-23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657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58975A (zh) * 2016-06-15 2016-10-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防护电路、方法及移动终端
KR20180130053A (ko) 2017-05-26 2018-12-06 김영조 건전지 대용 무선배터리팩 장치
KR20200049941A (ko) 2018-10-29 2020-05-11 김영조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58975A (zh) * 2016-06-15 2016-10-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防护电路、方法及移动终端
CN106058975B (zh) * 2016-06-15 2019-01-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防护电路、方法及移动终端
KR20180130053A (ko) 2017-05-26 2018-12-06 김영조 건전지 대용 무선배터리팩 장치
KR20200049941A (ko) 2018-10-29 2020-05-11 김영조 휴대형 다목적 배터리충전 플랫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7104B2 (en) Battery powered charger
KR200469779Y1 (ko) 휴대폰용 보조배터리 충전기
JP2008131707A (ja) 携帯電話機用充電装置
EP1337025A3 (en) Battery charger with standby mode
EP2654170A1 (en) Charger
JP2016052186A (ja) 充電式電気機器
KR20140126576A (ko) 멀티 아답타기능과 다양한 휴대폰배터리를 활용한 멀티 충전기능 및 비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방식 변환기능을 갖는 연결장치
US20100097032A1 (en) Charging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US20110169341A1 (en) Power saving circuit
KR20170088689A (ko) Ldc의 전력효율 개선을 위해 병렬 구성을 이용한 제어방법 및 장치
TW200735450A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itiating auxiliary fuel cell system operation
JP4180001B2 (ja) バッテリーベースより双方向に入出力可能な充電装置
CN103339818B (zh) 充电器
JP6046672B2 (ja) 自動車のldc制御装置
KR20080086735A (ko) 휴대용 충전기를 이용한 직류전원 공급장치
WO2014050152A1 (en) Battery charger and battery pack
KR102039662B1 (ko) 건전지 대용 무선배터리팩 장치
KR20180054306A (ko) 자동차용 긴급 충전 시스템
WO2005122360A1 (ja) 携帯電源装置
KR100468126B1 (ko) 이동 통신기기용 밧데리 충전기
KR200399141Y1 (ko) 휴대용 충전장치
KR20200142234A (ko) 휴대형 태양광 발전전력 저장장치
CN205453198U (zh) 一种充电枪
CN218850430U (zh) 一种电子设备供电电路
KR102178398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무선충전 마우스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