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141Y1 - 휴대용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충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9141Y1 KR200399141Y1 KR20-2005-0023058U KR20050023058U KR200399141Y1 KR 200399141 Y1 KR200399141 Y1 KR 200399141Y1 KR 20050023058 U KR20050023058 U KR 20050023058U KR 200399141 Y1 KR200399141 Y1 KR 20039914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voltage
- unit
- battery
- outpu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8—Overvoltage protec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an auxiliary distribution system and its associated lamps are brought into servic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4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dapted for charging from various sources, e.g. AC, DC or multi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충전장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저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되, 외부전원을 입력 받도록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입력단자를 구비하는 전원입력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되, 전원입력부를 통해 불규칙하게 공급되는 전압을 규정된 전압으로 일정하게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부; 상기 전원제어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일정용량 충전하도록 된 배터리 충전부; 상기 몸체의 상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충전부의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도록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전원공급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부의 전원을 이용해 자체 구동되도록 하는 하나이상의 구동장치로 구성된 전원출력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은 다양한 전원입력단자와 전원출력단자를 구성함으로서,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고, 배터리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휴대폰 뿐만 아니라 MP3 및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외부기기와 호환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전원을 이용해 비상 점등이 가능한 발광장치나, 위험상황에서 고성능 경보음 송출이 가능한 경보장치 및 담뱃불 점화가 가능한 온도로 발열하는 히팅장치 등을 구동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입력부의 전원입력단자들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수단의 발달로 많은 사람들이 휴대용 전화기를 사용하고, 휴대용 전화기의 배면에는 배터리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대다수의 사람들은 고가의 보조 배터리를 별도로 더 구비하여 휴대용 전화기와 별도로 휴대하면서 사용하거나, 휴대용 전화기에 장착된 배터리를 다 사용하였을 때 보조 배터리로 교체하여 휴대용 전화기를 계속해서 사용하거나, 휴대용 전화기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외부기기인 충전기나, 차량에 설치하여 사용을 하는 충전기 또는 핸즈프리에 수시로 결합시켜 배터리를 충전시켜 사용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배터리는 휴대하기가 불편하여 대다수의 사람들은 그냥 휴대용 전화기에 결합되어 있는 배터리만을 사용하고 있으 며, 이는 휴대용 전화기의 잦은 사용에 따라 배터리가 다 소모되었을 경우에 다시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까지는 휴대용 전화기를 사용할 수 없거나, 충전기를 이용할 때 기존 휴대용 전화기의 충전방식은 가정이나 직장에서 교류전원(110V, 220V)을 이용하기 때문에 교류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곳에서의 이용이 매우 제한되어 있고, 또 핸즈프리로 사용시 차량 운전자의 경우에는 역시 운행중 차량의 전원(12V, 24V)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 또한 배터리 소모시 차량에 시동을 걸고 충전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차량의 공회전이 필요하여 그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휴대용 충전장치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대부분은 재충전이 불가능한 일회용이거나, 재충전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입력전원이 단일함에 따라, 가정용 충전기, 및 차량용 충전기, 일반 배터리의 상호 간에 호환되지 못하는 불편함으로 인해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휴대용 충전장치들은 대부분이 휴대폰 충전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어서, MP3 및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전자제품의 충전에는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원입력부의 전원입력단자 들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휴대폰 뿐만 아니라 MP3 및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외부기기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해 비상 점등이 가능한 발광장치나, 위험상황에서 고성능 경보음 송출이 가능한 경보장치 및 담뱃불 점화가 가능한 온도로 발열하는 히팅장치와 같은 장치들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충전장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저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되, 외부전원을 입력 받도록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입력단자를 구비하는 전원입력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되, 전원입력부를 통해 불규칙하게 공급되는 전압을 규정된 전압으로 일정하게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부; 상기 전원제어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일정용량 충전하도록 된 배터리 충전부; 상기 몸체의 상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충전부의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도록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전원공급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부의 전원을 이용해 자체 구동되도록 하는 하나이상의 구동장치로 구성된 전원출력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충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충전장치의 동작개념을 설명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충전장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저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되, 외부전원을 입력 받도록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입력단자(111),(113),(115)를 구비하는 전원입력부(110)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입력부(110)를 통해 불규칙하게 공급되는 전압을 규정된 전압으로 일정하게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부(120)를 몸체(100)의 내부에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전원제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은 일정용량 배터리 충전부(130)에 충전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충전부(130)의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전원공급단자(141),(143)와, 상기 배터리 충전부(130)의 전원을 이용해 자체 구동되도록 하는 하나이상의 구동장치(145),(147),(149)를 상기 몸체(100)의 상면 또는 측면에 구비하도록 된 전원출력부(140)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입력부(110)는 몸체(100)의 저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어 가정용 또는 차량용으로 사용되는 DC전압 충전기의 DC전원을 입력받도록 된 DC전원입력단자(111)와, 상기 DC전원입력단자(111)의 일측에 형성되어 가정용 또는 차량용으로 사용되는 휴대폰 충전기의 전원을 입력받도록 된 핀형 전원입력단자(113)와, 상기 핀형 전원입력단자(113)의 일측에 형성되어 9V의 일회용 배터리의 전원을 입력받도록 된 9V배터리 입력단자(11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제어부(120)는 전원입력부(110)를 통해 불규칙한 형태로 입력되는 직류(DC)전압을 일정한 직류전압으로 출력하는 DC/DC컨버터제어기(123)와, 상기 DC/DC컨버터제어기(123)의 입력전압이 규정된 범위 안에 있도록 과전압 및 과충전을 제한하는 전압제어회로(125)와, 상기 DC/DC컨버터제어기(123)의 출력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타이밍 캐패시터(127)와, 상기 DC/DC컨버터제어기(123)의 출력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시켜 규정된 직류전압이 배터리 충전부(130)에 공급되도록 하는 피드백전압회로(129)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원제어부(120)에 입력되는 전원입력부(110)의 불규칙한 전압이 리플회로(121)를 거쳐 펄스폭 변경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리플이 작은 전압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제어부(120)는 배터리 충전부(130)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구동장치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전원스위치(126)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는데, 상기 전원스위치는 몸체(100)의 측면 일측에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충전부(130)는 DC 4.2V의 정격 전압이 충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원출력부(140)는 몸체(100)의 상면 또는 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배터리 충전부(130)의 전원을 휴대폰에 공급하도록 된 휴대폰 전원공급단자(141)와, 몸체(100)의 상면 또는 측면 일측에 MP3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외부기기의 전원 연결잭(미도시)과 접속되도록 형성되어 배터리 충전부(130)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된 외부기기 전원공급단자(143)와, 몸체(100)의 상면 또는 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배터리 충전부(130)의 전원을 공급받고, 사용자의 전원스위치(126) 조작에 의해 온/오프 작동되는 발광장치(145) 및 고성능 경보음 송출이 가능한 경보장치(147), 담뱃불 점화가 가능한 히팅장치(149)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전원스위치(126)는 동시에 여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환스위치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 상면 또는 측면에 전원출력부(140)를 보호하기 위한 상부커버(150)가 씌워지도록 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휴대폰 전원공급단자(141)를 씌울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몸체(100) 상면 또는 측면에 전원입력부(110)를 보호하기 위한 하부커버(160)가 씌워지도록 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9V 배터리 입력단자(115)를 씌울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다양한 전원입력단자와 전원출력단자를 구성함으로서,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고, 배터리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휴대폰 뿐만 아니라 MP3 및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외부기기와 호환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전원을 이용해 비상 점등이 가능한 발광장치나, 위험상황에서 고성능 경보음 송출이 가능한 경보장치 및 담뱃불 점화가 가능한 온도로 발열하는 히팅장치 등을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게 되면, 전원입력부의 전원입력단자 들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할 수 있게 됨으로서,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휴대폰 뿐만 아니라 MP3 및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외부기기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환성 및 사용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해 비상 점등이 가능한 발광장치나, 위험상황에서 고성능 경보음 송출이 가능한 경보장치 및 담뱃불 점화가 가능한 온도로 발열하는 히팅장치와 같은 장치들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성을 갖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충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충전장치의 동작개념을 설명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몸체 110: 전원입력부
111: DC전원입력단자 113: 핀형 전원입력단자
115: 9V배터리 입력단자 120: 전원제어부
121: 리플회로 123: DC/DC컨버터제어기
125: 전압제어회로 126: 전원스위치
127: 타이밍 캐패시터 129: 피드백전압회로
130: 배터리 충전부 140: 전원출력부
141: 휴대폰 전원공급단자 143: 외부기기 전원공급단자
145: 발광장치 147: 경보장치
149: 히팅장치 150: 상부커버
160: 하부커버
Claims (6)
- 몸체;상기 몸체의 저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되, 외부전원을 입력 받도록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입력단자를 구비하는 전원입력부;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되, 전원입력부를 통해 불규칙하게 공급되는 전압을 규정된 전압으로 일정하게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부;상기 전원제어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일정용량 충전하도록 된 배터리 충전부;상기 배터리 충전부의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이루어진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배터리 충전부의 전원을 이용해 자체 구동되도록 하는 하나이상의 구동장치를 상기 몸체의 상면 또는 측면에 구비하도록 된 전원출력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전원 입력부는 몸체의 저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어 가정용 또는 차량용으로 사용되는 DC전압 충전기의 DC전원을 입력받도록 된 DC전원입력단자와,상기 DC입력단자의 일측에 형성되어 가정용 또는 차량용으로 사용되는 휴대폰 충전기의 전원을 입력받도록 된 핀형 전원입력단자와,상기 핀형 전원입력단자의 일측에 형성되어 9V 배터리의 전원을 입력받도록 된 9V배터리 입력단자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전원제어부는, 전원입력부를 통해 불규칙한 형태로 입력되는 직류전압을 일정한 직류전압으로 출력하는 DC/DC컨버터제어기와,상기 DC/DC컨버터제어기의 입력전압이 규정된 범위 안에 있도록 과전압 및 과충전을 제한하는 전압제어회로와,상기 DC/DC컨버터제어기의 출력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타이밍 캐패시터와,상기 DC/DC컨버터제어기의 출력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시켜 규정된 직류전압이 배터리 충전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피드백전압회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장치.
-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전원제어부에 입력되는 전원입력부의 불규칙한 전압이 리플회로를 거쳐 펄스폭 변경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리플이 작은 전압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전원제어부는 배터리 충전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구동장치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전원스위치의 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전원 출력부는, 몸체의 상면 또는 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배터리 충전부의 전원을 휴대폰에 공급하도록 된 휴대폰전원공급단자와,몸체의 상면 또는 측면 일측에 MP3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외부기기의 전원 연결잭과 접속되도록 형성되어 배터리 충전부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된 외부기기전원공급단자와,몸체의 상면 또는 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배터리 충전부의 전원을 공급받고, 사용자의 전원스위치 조작에 의해 온/오프 작동되는 발광장치 및 고성능 경보음 송출이 가능한 경보장치, 담뱃불 점화가 가능한 히팅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충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3058U KR200399141Y1 (ko) | 2005-08-09 | 2005-08-09 | 휴대용 충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3058U KR200399141Y1 (ko) | 2005-08-09 | 2005-08-09 | 휴대용 충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9141Y1 true KR200399141Y1 (ko) | 2005-10-19 |
Family
ID=43700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23058U KR200399141Y1 (ko) | 2005-08-09 | 2005-08-09 | 휴대용 충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9141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7058402A1 (en) * | 2005-11-16 | 2007-05-24 | Smart Power Solutions Inc. | Portable apparatus of emergency power supply and battery charger |
KR20190135759A (ko) * | 2018-05-29 | 2019-12-09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보조배터리 겸용 담배가열장치, 이를 이용한 담배 가열 및 보조 전력 공급 방법 |
-
2005
- 2005-08-09 KR KR20-2005-0023058U patent/KR20039914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7058402A1 (en) * | 2005-11-16 | 2007-05-24 | Smart Power Solutions Inc. | Portable apparatus of emergency power supply and battery charger |
US7859133B2 (en) | 2005-11-16 | 2010-12-28 | Smart Power Solutions Inc. | Portable apparatus of emergency power supply and battery charger |
KR20190135759A (ko) * | 2018-05-29 | 2019-12-09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보조배터리 겸용 담배가열장치, 이를 이용한 담배 가열 및 보조 전력 공급 방법 |
KR102104935B1 (ko) * | 2018-05-29 | 2020-04-27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보조배터리 겸용 담배가열장치, 이를 이용한 담배 가열 및 보조 전력 공급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31595B1 (ko) | 휴대용 배터리 충전 및 비상 전원공급장치 | |
US20080061739A1 (en) | Portable charging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voltage | |
EP1337025A3 (en) | Battery charger with standby mode | |
KR200399141Y1 (ko) | 휴대용 충전장치 | |
CN102810894A (zh) | 一种移动充电电源 | |
KR101567048B1 (ko) |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 |
CN101106282A (zh) | 便携式大容量电源装置 | |
US20050170866A1 (en) | Multi-mode power supply device of wireless earphone | |
JP3204420U (ja) | 多機能懐中電灯 | |
WO2019148578A1 (zh) | 充电设备及充电方法 | |
JP2001309562A (ja) | 携帯通信機器用充電器 | |
KR20080004844U (ko) | 이동기기에 대한 휴대용 크레들 충전기 | |
KR200210704Y1 (ko) | 휴대폰용 비상 충전기 | |
KR200247576Y1 (ko) | 휴대용 멀티 배터리 백업 장치 | |
KR200350310Y1 (ko) | 유에스비 다기능 장치 | |
KR20020019494A (ko) | 유에스비포트를 내장한 다기능 멀티차저 장치 | |
KR200227802Y1 (ko) | 휴대용 충전 장치 | |
KR19990013629U (ko) | 충전장치를 채용한 사진기 원거리조작용 휴대용 무선리모컨 | |
KR19990037412U (ko) | 휴대형 전화기용 전원 공급 장치 | |
KR200264135Y1 (ko) | 휴대전화기용 충전장치 | |
KR200394470Y1 (ko) | 표준 유에스비 커넥터와 축전지 잔량 표시기를 부착한충전장치 분리형 휴대용 충전장치 | |
KR19990013630U (ko) | 충전장치를 채용한 냉방지 시스템 원격조작용 무선리모컨 | |
KR19990013109U (ko) | 충전장치를 채용한 휴대용 다기능 전기 전자레인지 | |
KR20040044773A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기 | |
GB2385724A (en) | Battery charger incorporating illumination mea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1013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