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1860A -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 - Google Patents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1860A
KR20090101860A KR1020090025009A KR20090025009A KR20090101860A KR 20090101860 A KR20090101860 A KR 20090101860A KR 1020090025009 A KR1020090025009 A KR 1020090025009A KR 20090025009 A KR20090025009 A KR 20090025009A KR 20090101860 A KR20090101860 A KR 20090101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unit
detection
detection level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9903B1 (ko
Inventor
유키오 이시다
야스시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1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9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32Remote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기구의 복수의 조작 패턴을 선택하여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부품을 공통화하여,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한다.
본 발명의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10)는, 케이스 본체(11)와, 복수의 조작부(22)를 구비한 조작 패널(14)과, 케이스 본체(11)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조작 패널(14)의 이면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 패널(14)을 사이에 끼워 누름 검지 가능한 복수의 터치 조작부(20)를 가지며, 상기 조작부(22)의 위치에 대응시켜 상기 복수의 터치 조작부(20)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조작부(20)로부터 이루어진 검출 에어리어를 설정 가능한 기판(13a)과, 상기 기판(13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터치 조작부(20)가 누름 검지했을 때에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전송부인 전송 기판(12)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MONITORING TERMINAL FOR REMOTE CONTROL}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건물내의 천정면에 배치된 복수의 조명기구에 조작신호를 출력하여 원격 조작하는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건물내의 천정면에 배치된 복수의 조명기구는, 원격 조작이 가능한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의 수동 조작에 따라 조작신호가 출력되고, 이 조작신호를 수신한 중앙처리장치에 의해서 온/오프가 제어된다.
이러한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는, 벽 등에 배치된 고정틀에 부착되는 케이스 본체와, 이 케이스 본체에 부착되는 원격 조작용의 조작부를 가지며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조작부는, 복수의 조명기구중, 소정의 조명기구를 원격 조작하는 조작 패턴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그룹마다의 조명기구를 각각 원격 조작하기 위한 복수종의 조작 스위치나, 조명기구의 조명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조광용 조작 스위치 등을 가지며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작부에는 소정의 조작 패턴에 따라서 복수 종류인 것이 있기 때문에, 이 조작부가 부착되는 케이스 본체는, 부착되는 조작부의 종류에 맞추어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케이스 본체에 대해서도 복수종인 것이 있으며, 부착되는 조작부에 맞춘 형상의 케이스 본체가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를 가진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는, 중앙처리장치로부터의 전송선을 통하여 조명 부하의 조명 상태를 제어함과 함께 조명 부하를 감시하는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 센서 단말기, 무선 수신기, 인감(人感) 센서 등이 접속되고,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 센서 단말기, 무선 송신기로부터의 송신 데이터(송신 신호)를 수신한 무선 수신기, 인감 센서로부터의 송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명 부하의 조명 상태를 제어하는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일본특허공개공보 평성5-91568호
그러나, 종래의 원격제어용 단말 기기에서는, 케이스 본체는 조작부의 종류마다에 따른 형상의 것이 필요하므로, 케이스 본체의 종류마다 성형하기 위한 금형이 필요하거나, 조작부의 종류마다 재고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이 고가가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작부가 접점의 개폐기구가 설치된 텀블러 스위치나 회동 기구를 가진 조광용 스위치 등의 경우에는, 사용 빈도에 따라서는 접점의 개폐기구나 회동 기구가 마모해 버려 내구성 면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의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은, 이러한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의 저비용화, 및 내구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대해서는, 아무런 개시도 시사도 되어 있지 않고, 문제 해결에는 이르지 않은 것이 현재의 상항이다.
또한, 조작부가 터치 패널 등인 경우에는, 통상의 조광용 스위치와는 달리, 접촉을 검지하여 온오프 조작 등을 행하기 때문에, 조작 감각을 얻을 수 없고, 사용자가 원하는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없어, 재조작하여 온오프 조작을 반복하는 등의 오조작이 생겨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을 이용한 스위치는, 인접한 조작부가 오류 검출하기 쉬워, 의도하지 않은 조명 에어리어의 조명을 제어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를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조명기구의 복수의 조작 패턴을 선택하여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부품을 공통화하여,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내구성이 높은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조작부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는, 케이스 본체와; 복수의 조작부를 구비한 조작 패널과, 케이스 본체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조작 패널의 이면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 패널을 사이에 끼워 누름 검지 가능한 복수의 터치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조작부의 위치에 대응시켜 상기 복수의 터치 조작부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조작부로 이루어진 검출 에어리어를 설정 가능한 터치 기판과; 상기 터치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터치 조작부가 누름 검지했을 때에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전송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누름 검지 가능한 터치 조작부란, 예를 들면 사람이 접촉한 것을 전기적으로 검지 가능하면 되고, 예를 들면, 조작 패널은, 유전율과 두께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에 의해서 터치 조작부에 의한 누름 검지가 가능해져, 예를 들면 아크릴, 종이, 나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조작 패널의 조작부는 예를 들면, 종이에 프린트하여 표시한 것이라도 좋고, 아크릴판의 이면측에 프린트해도 좋으며, 사용자가 시각적 또는 감촉 등으로 판별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된다.
검출 에어리어란, 예를 들면 동일한 검출 에어리어에 설정된 터치 조작부중의 어느 하나가 누름 검지했을 때에 동일한 조작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관련지어진 터치 조작부의 그룹이며, 조작 패널의 하나의 조작부에 대해서, 하나의 검출 에어리어가 설정된다.
또한, 검출 에어리어의 설정은 2회로용, 3회로용, 4회로용 등 복수 패턴의 조작 패널에 대응하여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
전송부는, 예를 들면 전용의 기판상에 설치한 것이어도 좋고, 터치 기판에 설치해도 좋다.
터치 조작부의 설정은, 설정기를 이용하여 설정해도 좋고, 설정기에 한정하지 않고,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가 전송선을 통하여 접속되는 중앙처리장치로부터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을 행하도록 제어해도 좋다. 또한, 터치 조작부의 설정에 의해서 복수의 스위치에 의한 검출 에어리어의 선택, 및 이들 스위치에 조명 부하의 조명 상태를 가변시키기 위한 가변 스위치 기능의 할당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는, 중앙처리장치에 대해, 전송선을 통하여, 각종 단말기, 센서 단말기, 인감 센서 등이 접속되는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지만, 이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 실내에 설치된 조명 부하를 점등 제어 또는 소등 제어하기 위한 벽 스위치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른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는 청구항 1에 기재의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조작부는, 소정의 누름 조작되는 것에 의해서 조명 부하의 출력을 가변시키기 위한 가변 스위치 기능을 할당하여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정의 누름 조작이란, 예를 들면 인접한 복수의 터치 조작부가 소정의 순번으로 차례로 누름을 검지한 경우에는 조명 부하의 출력을 변화시키도록 설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따른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는, 케이스 본체와; 복수의 조작부를 구비한 조작 패널과; 케이스 본체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조작 패널의 이면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 패널을 사이에 끼워 누름 검지 가능한 복수의 터치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조작부의 위치에 대응시켜 상기 복수의 터치 조작부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조작부로 이루어진 검출 에어리어 및 각 조작부의 검출 에어리어간의 위치에 대응시켜 복수의 터치 조작부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조작부로 이루어진 오조작 검출 에어리어를 설정 가능한 터치 기판과; 상기 터치 조작부의 누름 검지 레벨을 검출하는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와; 상기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에서 검출한 누름 검지 레벨과 미리 설정한 역치를 비교하는 제어부와; 상기 터치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검출 에어리어의 누름 검지 레벨이 역치 이상일 때에, 이 검출 에어리어에 인접하는 오조작 검출 에어리어의 누름 검지 레벨이 역치 미만일 때에 조작신호를 출력하고, 오조작 검출 에어리어의 누름 검지 레벨이 역치 이상일 때에는, 이 오조작 검출 에어리어에 인접하는 검출 에어리어의 조작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전송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는, 예를 들면 터치 조작부에 설치해도 좋고 터치 조작부가 배치되는 기판에 설치해도 좋다.
제어부는, 상기 터치 기판 또는 상기 전송부에 설치하여 구성해도 좋고, 상기 터치 기판과 상기 전송부가 일체적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이 일체적으로 구성한 기판에 설치하여 구성해도 좋다.
역치는, 미리 설정된 수치뿐만 아니라, 적절히 변경 가능해도 좋고, 상한치 및 하한치를 가진 소정 범위의 역치여도 좋다. 터치 조작부의 조작신호의 생성은, 상기 터치 기판, 또는 상기 전송부에서 행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따른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는, 케이스 본체와; 복수의 조작부를 구비한 조작 패널과; 케이스 본체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조작 패널의 이면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 패널을 사이에 끼워 누름 검지 가능한 복수의 터치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조작부의 위치에 대응시켜 상기 복수의 터치 조작부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조작부로 이루어진 검출 에어리어 및 각 조작부의 검출 에어리어간의 위치에 대응시켜 복수의 터치 조작부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조작부로 이루어진 오조작 검출 에어리어를 설정 가능한 터치 기판과; 상기 터치 조작부의 누름 검지 레벨을 검출하는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와; 상기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에서 검출한 누름 검지 레벨끼리를 비교하는 제어부와; 상기 터치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검출 에어리어의 터치 조작부의 누름 검지 레벨이, 인접하는 오조작 검출 에어리어의 터치 조작부의 누름 검지 레벨보다 클 때에 검출 에어리어에 대응하는 조작신호를 출력하고, 검출 에어리어의 터치 조작부의 누름 검지 레벨이 인접하는 오조작 검출 에어리어의 터치 조작부의 누름 검지 레벨보다 작을 때는 조작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전송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따른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는,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터치 조작부중, 소정의 터치 조작부의 조작을 검출했을 때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내에, 재차 터치 조작부의 조작을 검출했을 때에는, 재차 조작한 터치 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은,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터치 조작부의 오조작을 신속히 사용자에게 고지하기 위해서는, 짧은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따른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에 있어서, 터치 조작부가 조작된 것을 고지하는 고지 수단을 가지며, 상기 터치 조작부의 조작시부터 고지가 완료할 때까지의 시간내에, 조작된 상기 터치 조작부가 재차 조작된 경우에는, 재차 조작된 터치 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터치 조작부가 조작된 것이란, 터치 조작부가 누름 검지했을 때여도 좋고, 조작신호 출력후, 어떠한 답신을 수신했을 때여도 좋다.
고지 수단은, 예를 들면, 표시부에 의한 표시 또는 음성에 의해서 행해도 좋다. 표시부만의 구성이면, 저비용으로, 터치 조작부의 조작 표시 및 터치 조작부의 오조작을 고지하기 위한 표시를 행하는 고지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표시 또는 음성에 의해서 행하는 고지는, 다른 동작 상태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서 터치 조작부의 조작을 고지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표시부의 표시를 반전 표시시키거나, 2개의 표시부를 선택적으로 표시시키거나, 또는, 음성 재생부의 음성 재생을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재생하거나 하는 동작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따른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터치 조작부의 누름 검지 레벨을 검출하는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를 가지며, 상기 전송부는, 상기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에 의해서 상기 터치 조작부가 누름 검지한 상태로부터 누름 검지하고 있지 않는 상태로 바뀌었을 때에, 상기 터치 조작부가 누름 검지하고 있지 않는 상태로 바뀌었을 때에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터치 조작부가 누름 검지한 상태로부터 누름 검지하지 않는 상태로 바뀌었을 때란,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조작부로부터 떨어졌을 때를 의미하고 있다.
한편, 터치 조작부의 조작이 미리 결정된 소정의 시간내에 이루어진 경우만을 유효하게 해도 좋고, 소정의 시간을 지나고 나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조작부로부터 떨어진 경우에는 상기 조작을 캔슬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따른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터치 조작부가 누름 검지한 상태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고 나서 누름 검지하고 있지 않는 상태로 바뀌어도 상기 터치 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터치 조작부의 누름 검지 시간이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여란,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기 터치 조작부를 아래로 누르는 것을 계속하여 행하는 길게 누르는 조작을 의미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길게 누르는 조작을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터치 조작부에 의한 조작을 취소한다고 하는 조작 방법을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따른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는,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기재된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복수의 터치 조작부중, 적어도 2개의 터치 조작부를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조작하면서 이동하는 슬라이드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드 조작된 터치 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 조작의 검출은, 예를 들면 적어도 2개의 터치 조작부의 누름 검지 레벨이 상기 역치 이상이고, 또한 계속해서 검출한 경우에 슬라이드 조작이 이루어진 것으로서 검출한다. 혹은 적어도 2개의 터치 조작부의 누름 검지 시간을 보아, 슬라이드 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검출해도 좋다.
또한, 슬라이드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적어도 최초로 조작된 터치 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따른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는,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격제어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누름 검지 레벨의 역치를 보정하여 설정하는 자동 보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자동 보정이 이루어지고 있을 때에, 상기 터치 조작부의 조작이 있었던 경우에는, 상기 터치 조작부의 조작을 받아들이지 않고 상기 자동 보정을 행하는 보정 우선 모드, 또는 상기 자동 보정을 취소하고 상기 터치 조작부의 조작을 우선하는 조작 우선 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 보정은,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가 설치된 경우에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해도 좋고, 설치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따른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는,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격제어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터치 기판은, 상기 복수의 터치 조작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전극을, 한방향으로만 병설하고, 사용 상태에서 상기 전극이 가로 방향에 병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전극수는, 예를 들면 12개, 또는 24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복수의 전극은, 조작 패널의 조작부의 패턴에 따라 할당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청구항 1의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부에 맞추어 검출 에어리어를 설정할 수 있는 터치 기판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부품을 공통화하여,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의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 외에, 상기 복수의 터치 조작부는, 소정의 누름 조작되는 것에 의해서 조명 부하의 출력을 가변시키기 위한 가변 스위치 기능을 할당하여 설정이 가능하므로, 소모하는 가변 구동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가변 스위치로서 구성할 수 있고, 따라서, 내구성이 높은 원격 감시제어 단말기를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터치 조작부의 정상적인 조작 또는 오조작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조작 또는 오조작에 기초한 조작신호의 출력의 유무를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된 검출 에어리어의 터치 조작부에 인접하는 다른 검출 에어리어의 터치 조작부에 의한 오조작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본 발명에 의하면, 단시간내에서의 터치 조작부의 오조작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터치 조작부의 조작시로부터 고지 수단에 의한 고지의 전환 완료시까지의 시간내에, 조작된 터치 조작부가 재차 조작된 경우의 오조작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터치 조작부의 정상적인 조작 또는 오조작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터치 조작부의 정상적인 조작 또는 오조작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조작 또는 오조작에 기초한 조작신호의 출력의 유무를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의도에 기초하여 오조작을 용이하게 캔슬할 수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의하면, 설치 환경에 따라서 노이즈가 발생해도, 역치를 최적화하도록 자동 보정함으로써, 기기 동작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보정 우선 모드 및 조작 우선 모드를 마련한 것에 의해, 자동 보정에 의한 설정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의하면, 조작 패널의 조작부의 패턴에 맞추어, 터치 기판의 검출 에어리어의 설정을 행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전극을 터치 기판에 대해서 가로방향에 병설한 것에 의해, 구조적으로 터치 조작부의 오조작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를 가지는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의 전체적 구성도.
도 2는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3으로부터 도 6은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의 조립공정을 설명하는 것으로, 케이스 본체에 전송 기판을 부착한 후, 이 전송 기판에 접속부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4는 도 3의 공정후에 터치 기판을 부착하여 터치 기판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도 4의 공정후에 있어서 터치 기판의 관통구멍으로부터 LED가 노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도 5의 공정후에 아크릴 부재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조작 패널상에 배치되는 플레이트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플레이트와 터치 기판의 사이에 개재한 조작 패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조작 패널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조작 패널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조작 패널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의 전기적인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터치 처리부 및 그 주변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5는 도 14의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의 구체적인 구성, 및 검출된 각 조작부에 따른 누름 검지 레벨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6은 재조작의 오조작을 판단하기 위한 에러 검지 시간 범위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7은 도 16의 에러 검지 시간 범위를 넘었을 때에 재조작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8은 제어부에 의한 조작부의 오조작 방지를 위한 기본 제어 동작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19는 제어 동작예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동일한 조작부가 재조작된 경우에 대응하는 플로우차트.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의, 복수의 전극을 세로방향에 설치한 종형의 터치 기판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1은 복수의 전극을 가로방향에 설치한 횡형의 터치 기판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2는 4개의 조작부를 구비한 횡형의 조작 패널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3은 2개의 조작부를 구비한 횡형의 조작 패널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4는 3개의 조작부를 구비한 횡형의 조작 패널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5는 1개의 조작부를 구비한 횡형의 조작 패널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6은 6개의 조작부를 구비한 횡형의 조작 패널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7은 상하 4개씩 배치하여 8개의 조작부를 구비한 횡형의 조작 패널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한 조작부의 오조작에 대처하기 위한 기본 제어 동작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29는 제어부에 의한 조작부의 오조작 방지를 위한 기본 제어 동작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부호의 설명]
10…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 11…케이스 본체
12…전송부로서의 전송 기판 13…터치 기판
14, 14A∼14C…조작 패널 17…접속부
19, 24, 45…고지 수단 20…터치 조작부
22…조작부 40…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
41…조작신호 생성부 42…누름 검지 처리부
43…제어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로부터 도 13은 본 발명의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를 가진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의 전체적 구성도, 도 2는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으로부터 도 6은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의 조립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도 3은 케이스 본체에 전송 기판을 부착한 후, 이 전송 기판에 접속부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3의 공정후에 터치 기판을 부착하여 터치 기판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를 도시하며, 도 5는 도 4의 공정후에 있어서 터치 기판의 관통구멍으로부터 LED가 노출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6은 도 5의 공정후에 아크릴 부재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7은 조작 패널상에 배치되는 플레이트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플레이트와 터치 기판의 사이에 개재하는 조작 패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조작 패널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조작 패널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조작 패널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의 전기적인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1)를 가지고 있다. 이 중앙처리장치(1)에는, 2선 전송선(2)를 통하여 제어 단말기(3), 후술하는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10), 센서 단말기(4), 무선 수신기(5,6), 인감 센서(7)가 접속된다. 또한, 무선 수신기(5)에 대해서 적외선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기(8)와 무선 수신기(6)에 대해서 적외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기(9)가 설치되어 있다.
중앙처리장치(1)는, 본 시스템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중앙처리장치(1)는,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10)와 제어 단말기(3)에 접속되어 있는 조명 부하와의 대응 관계(할당)를 기억하는 메모리(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또한, 중앙처리장치(1)는, 각 단말기의 고유의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어드레스 설정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장치(1)는,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어드레스 설정 수단 및 그 어드레스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가지고 있다.
제어 단말기(3)는, 예를 들면 4회로의 조명 부하가 접속 가능하고, 이러한 제어 단말기(3)가 전송선(2)에 복수 접속되어 있다. 한편, 조명 부하는, 예를 들면 조명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센서 단말기(4)는, 예를 들면 주위가 어두워지면 조명 부하를 점등시키기 위한 단말기이다. 이 센서 단말기(4)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가지며 구성되어 있으며,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송선(2)에 접속된다. 또한, 센서 단말기(4)는, 빛을 검출하는 센서부, 표시부, 센서 단말기(4)의 어드레스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가지고 있다.
무선 송신기(8)는, 조명 부하의 점등/소등 정보를 예를 들면 적외선으로 무선 수신기(5)에 송신한다. 이 무선 송신기(8)는, 마이크로 컴퓨터, 전송선(2)에 접속 가능하게 하는 전송 인터페이스, 조명 제어 정보를 적외선으로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부, 무선 송신기(8)의 어드레스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가지며 구성되어 있다.
무선 송수신기(9)는, 조명 부하의 점등/소등 정보 등을 무선 수신기(6)간에 적외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단말기이다. 이 무선 송수신기(9)는, 마이크로컴퓨터, 적외선을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부, 적외선을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 조명 부하를 점등/소등 제어하기 위한 조작 버튼, 무선 송신기(9)의 어드레스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가지며 구성되어 있다.
인감 센서(7)는, 사람의 존재를 검지하여 조명 부하를 점등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이다. 이 인감 센서(7)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송선(2)에 접속된다. 또한, 이 인감 센서(7)는, 사람의 존재를 사람으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검지하는 적외선 검출부, 인감 센서(7)의 어드레스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75)를 가지며 구성되어 있다.
무선 수신기(5)는, 무선 송신기(8)로부터 송신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한다. 이 무선 수신기(5)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전송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송선(2)에 접속된다. 또한, 이 무선 수신기(5)에는, 무선 수신기(6)의 어드레스 데이터를 기억하는 어드레스 설정부, 적외선을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 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무선 수신기(6)는, 적외선을 송신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 유닛을 가지고 있다.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10)는, 예를 들면 벽스위치와 같이 조명 부하를 원격 조작으로 점등/소등 제어 및 감시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원격제어 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1)에 의해서, 제어 단말기(3), 센서 단말기(4),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10) 등의 어드레스 설정이나, 중앙처리장치 (1)내의 메모리(도시하지 않음) 내에 격납하는 데이터의 설정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10)에 의해서 조명 부하의 점등/소등 제어가 가능하다.
다음에, 이러한 본 실시형태의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조립 순서를, 도 2로부터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10)는, 터치 패널 방식을 이용하여 구성된 것으로, 기존의 사이즈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된 케이스 본체(11)와, 이 케이스 본체(11)내에 배치되는 전송부로서의 전송 기판(12)과, 이 전송 기판(12)과 접속부(17)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터치 기판(13)과, 이 터치 기판(13)의 상면에 적층되는 조작 패널(14)과, 이 조작 패널(14)의 소정 영역을 노출하도록 조작 패널(14)의 바깥틀 부재인 플레이트(15)를 가지며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전송 기판(12)과 터치 기판(13)을 하나의 기판으로서 구성하여도 좋다.
케이스 본체(11)는, 예를 들면 벽내에 매설되는 것으로, 설정 기기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부(16)가 설치되고, 전송 기판(12), 터치 기판(13) 및 조작 패널(14)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넥터부(16)는, 예를 들면 4개의 접속 핀(16a)을 가지며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커넥터부(16)에는, 터치 기판(13)의 후술하는 터치 조작부(20)의 검출 에어리어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설정을 위한 설정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 본체(11)의 소정 개소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 기판(12)이 배치된다. 이 전송 기판(12)에는, 조작신호 등을 전송선(2)에 전송하는데 필요한 각종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송 기판(12)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표시 상태가 바뀌는 고지 수단으로서의 표시용 발광소자(LED)(19)가 예를 들면 4조 설치되어 있다.
한편, 표시용 발광소자(19)는, 2개로 1조로서 구성하여, 조명 부하의 점등 상태 및 소등 상태를 각각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표시용 발광소자(19)는, 도 2에 도시한 배치 위치 및 개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판(13A) 및 조작 패널(14)의 조작부(22)의 구성에 맞추어 배치 위치 및 개수가 설정된다. 게다가 전송 기판(12)은, 이러한 표시용 발광소자(19)를 마련하지 않고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전송 기판(12)에는, 조작신호 등을 전송선(2)에 전송하기 위한 접속선을 접속하는 전송 단자(1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송 기판(12)에는 접속부(17)가 세워 설치되고, 이 접속부(17)의 상부에 겹치도록 기판(13a)이 배치된다(도 4 및 도 5 참조). 이렇게 해서, 전송 기판(12)과 터치 기판(13)이, 접속부(17)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접속부(17)는, 예를 들면 기판 형상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전송 기판(12)과 터치 기판(13)을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 것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플렉서블 기판이나 접속선 등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해도 좋다.
터치 기판(1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조작부(20)가 기판(13A)상에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 터치 조작부(20)는, 조작 패널(14)의 조작부(22)의 패턴에 따라서, 복수의 검출 에어리어의 할당이나 스위치 기능을 자유로이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검출 에어리어의 할당이나 스위치 기능의 변경 및 설정은, 커넥터부(16)에 접속된 설정기에 의해 입력함으로써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스위치 기능이란, 예를 들면 단순히 조명 부하의 점등 지시 또는 소등 지시의 스위치 작용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소정의 누름 조작되는 것에 의해서 지정한 조명 부하의 출력을 가변시키기 위한 가변 스위치로서의 기능이다. 그 때문에, 터치 조작부(20)는, 가변 스위치로서의 기능도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터치 기판(13)의 기판(13A)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21)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관통 구멍(21)은, 전송 기판(12)의 복수의 표시용 발광소자(19)에 배치 위치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립후에는 이들 관통 구멍(21)에 표시용 발광소자(19)가 삽입통과되는 것에 의해, 터치 기판(13)의 표면에 노출하도록 되어 있다(도 5 참조).
이러한 터치 기판(13)의 표면상에는, 조작 패널(14)이 배치된다. 이 조작 패널(14)은, 터치 기판(13)의 터치 조작부(20)의 배치 위치에 맞추어 조작부(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 패널(14)의 조작부(22)의 근방에는, 조작부(22)에 할당된 그룹 스위치나 개별 스위치 등의 명칭을 나타내는 식별부(2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14)은, 예를 들면 투명한 아크릴판을 이용하여 구성된 것으로, 이 아크릴판의 이면에 조작부(22)가 프린트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식별부(23)는, 동일하게 아크릴판에 프린트하여 설치해도 좋고, 혹은 아크릴판의 이면에 시일이나 종이를 붙여 설치해도 좋다.
이 조작 패널(14)은,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터치 기판(13)의 표면에 붙여진다(도 6 참조).
그리고, 조작 패널(14)의 위로부터 플레이트(15)가 배치되어 케이스 본체 (11)에 고정된다. 이 플레이트(15)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14)의 조작부(22) 및 식별부(23)가 노출하도록 개구부(15a)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15)가 케이스 본체(11)에 고정되면, 개구부(15a)를 사이에 두고 조작 패널 (14)의 조작부(22) 및 식별부(23)가 노출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판(13A)의 터치 조작부(20)는, 조작부(22)의 패턴에 따라 복수의 터치 조작부(20)의 검출 에어리어의 할당을 자유로이 변경하여 설정이 가능하므로, 조작부(22)의 패턴이 다른 조작 패널(14)로도 이 조작 패널(14)의 조작부(22)에 기초한 조작신호를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종의 조작 패널(14)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어떤 종류의 조작 패널(14)로도 1종류의 케이스 본체(11)로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10)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 패널(14)의 구체적인 구성예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4개의 그룹의 조명 부하를 원격조작제어 및 감시제어하도록 설정기에 의해서 터치 조작부(20)의 검출 에어리어를 할당한 경우에는, 조작 패널(14)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패널(14)은, 제1∼제4 그룹명을 각각 나타내는 제1∼제4 식별부(23a∼23d)를 가진 식별부(23)와, 제1∼제4 그룹에 대응하는 스위치인 제1∼제4 조작부(22a∼22d)를 가진 조작부(22)와, 각 표시용 발광소자(19)마다 설치되어 각 표시용 발광소자(19)로부터의 빛을 투과하여 인식시키는 LED 표시부(2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제1∼제4 조작부(22a∼22d)는, 케이스 본체(11)의 도 8중의 상하 방향{터치 조작부(20)의 배치 방향에 맞춘 방향}에 병설되고, 이들 조작부(22a∼22d)의 옆에는, 제1∼제4 식별부(23a∼23d)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한편, LED 표시부(24)에 대해서도, 이들 조작부(22a∼22d)와 식별부(23a∼23d)의 각각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22)의 패턴을 바꾼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조작 패널(14)에 있어서, 조작부(22)의 수를, 조명 부하의 그룹수에 맞추어 줄이거나, 혹은 늘리거나 하여 구성된다. 물론, 식별부(23) 및 LED 표시부(24)는, 조작부(22)의 수에 맞추도록 설치하여 구성된다.
한편, 조작 패널(14)은, 도 8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도 9∼도 11의 변형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조작 패널(14)의 변형예를 도 9∼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 9∼도 11에 도시한 변형예에서는, 전송 기판(12)상의 표시용 발광소자(19)의 배치 위치가 도 2에 도시한 본 실시형태의 것과 다른 것으로서 설명한다.
도 9의 제1 변형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14A)은, 도 8에 도시한 조작 패널(14)과 마찬가지로 제1∼제4 조작부(22a∼22d)를 가진 조작부(22)를 가지고 있지만, 제1∼ 제4 식별부(23)에 대해서는 설치하지 않고 구성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경우에는, 제1∼제4 식별부(23a∼23d)를 시일로서 구성하고, 조작 패널(14a) 상의 소정 개소, 혹은 제1∼제4 조작부(22a∼22d)상에 붙여 식별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또한, 도 10의 제2 변형예에 도시한 조작 패널(14B)은, 예를 들면 3개의 그룹의 조명 부하를 원격조작제어 및 감시제어하도록 설정기에 의해서 터치 조작부 (20)의 복수의 스위치군을 할당한 경우에 대응한 3회로용인 것으로, 제1∼제3 조작부(22a∼22c)를 가지며 구성하고 있다.
한편, 이 제2 변형예에서도, 상기 마찬가지로 제1∼제3 식별부(23a∼23c)를 시일로서 구성하고, 조작 패널(14B)상의 소정 개소, 혹은 제1∼제3 조작부(22a∼22c)상에 붙여 식별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또한, 도 11의 제3 변형예에 도시한 조작 패널(14C)는, 예를 들면 2개의 그룹의 조명 부하를 원격조작제어 및 감시제어하도록 설정기에 의해서 터치 조작부 (20)의 복수의 스위치군을 할당한 경우에 대응한 2회로용인 것으로, 제1 및 제2 조작부(22a,22b)를 가지며 구성하고 있다.
한편, 이 제3 변형예에서도, 상기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식별부(23a,23b)를 시일로서 구성하고, 조작 패널(14C)상의 소정 개소, 혹은 제1 및 제2 조작부 (22a,22b) 상에 붙여 식별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또한, 도 9∼도 11에 도시한 변형예의 조작 패널(14A∼14C)은, 조작부(22)를 증감했다고 해도, 그 조작부(22)에 대응하는 표시용 발광소자(19)의 표시를 대응시켜 표시하기 위한 예비의 LED 표시부(24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10)는, 예를 들면 도 12의 변형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부(16)를 하부(도 12 중하측)에 설치한 케이스 본체(11A)로 바꾸어, 이 케이스 본체(11A) 내부에 수용되도록 전송 기판(12), 기판 (13A), 조작 패널(14)을 구성하여도 좋다. 즉, 본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가지고 있으면 되고, 커넥터부(16), 표시용 발광소자(19), 전송 기판(12), 터치 기판(13), 조작 패널(14)의 레이아웃에 대해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이러한 구성의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10)의 주요부가 되는 전기적인 회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10)는, 터치 기판(13)상에 설치된 터치 조작부(20) 및 터치 처리부(30)와, 전송 기판(12)상에 설치된 전송 처리부(31), 표시부를 구성하는 표시용 발광소자(19)와, 설정 단자를 구성하는 커넥터부(16)의 접속 핀(16a)과, 전송 기판(12)상에 설치된 전원부(32)를 가지며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전원부(32)는, 도 1의 중앙처리장치(1)로부터 전송선(2)을 통하여 전송된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10)가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얻어, 도 13중의 각 블록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터치 조작부(20)는, 조작 패널(14)의 조작부(22)가 누름 조작되는 것에 의해, 이 누름 조작된 터치 조작부(20)의 검출 신호를 터치 처리부(30)에 출력한다. 터치 처리부(30)는, 이 검출신호를 수신하면 조작신호를 생성하여 전송 처리부(31)에 출력한다.
전송 처리부(31)는, 조작신호를 전송선(2)상에 접속되는 중앙제어장치(1), 제어 단말기(3), 또는 각 조명 부하에 대해서 출력한다.
여기서, 작업자는, 조작부(22)의 패턴이 다른 조작 패널(14)의 교체 작업을 행했다고 한다.
이 경우, 작업자는, 케이스 본체(11)의 커넥터부(16)에 설정기를 접속하고, 이 설정기를 이용하여, 바꿔 넣은 패턴의 조작부(22)에 맞추도록, 복수의 터치 조작부(20)의 검출 에어리어의 할당을 변경하여 설정한다.
이에 따라, 터치 조작부(20)의 패턴이 다른 조작 패널(14)을 바꿔 넣어 구성한 경우에도, 터치 조작부(20)가, 바꿔 넣어진 조작부(22)의 패턴에 대응하여 설정되므로, 조작부(22)의 누름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를 전송선(2)에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터치 조작부(20)를, 가변 스위치로서의 스위치 기능을 할당한 경우에는,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10)는, 조명 부하의 출력을 가변시키기 위한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부(22)의 패턴이 다른 조작 패널(14)을 바꿔 넣어 구성한 경우에도, 패턴에 따른 조작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 본체(11)를 공통하여 이용할 수 있고,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10)의 비용 저감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터치 조작부(20)를 가변 스위치로서의 스위치 기능을 할당할 수도 있으므로, 소모품인 가변 스위치 등을 이용하지 않고 가변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고, 따라서, 내구성이 높은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10)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10)는, 중앙처리장치(1)로부터의 전송선(2)에, 각종 단말기(3), 센서 단말기(4), 인감 센서(7) 등이 접속되는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지만, 이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 실내에 설치된 조명 부하를 점등 제어 또는 소등 제어하기 위한 벽스위치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런데, 본 발명의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10)는, 간단한 구성으로, 조작부 (22)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를 도 14∼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
도 14로부터 도 19는 본 발명의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것으로, 도 14는 제2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터치 처리부 및 그 주변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5는 도 14의 터치 기판의 구체적인 구성, 및 검출된 각 조작부에 따른 누름 검지 레벨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6은 재조작의 오조작을 판단하기 위한 에러 검지 시간 범위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7은 도 16의 에러 검지 시간 범위를 넘었을 때에 재조작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8의 제어부에 의한 조작부의 오조작방지를 위한 기본 제어 동작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19는 제어 동작예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동일한 조작부가 재조작된 경우에 대응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제2 실시형태의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는, 제1 실시형태와 대략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지만, 조작부(22)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고지 수단,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 및 제어부 등)이 부가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처리부(30)는, 조작신호 생성부(41)와, 누름 검지 처리부(42)와, 제어부(43)와, 메모리(44)를 가지며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43)에는, 고지 수단을 구성하는 LED 표시부(24)와 음성 재생부(45)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LED 표시부(24)는, 제1 실시형태의 2개로 1조로 하여 구성되는 표시용 발광소자(19)(도 3 및 도 4 참조)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LED 표시부(24)의 배치 위치는,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에서의 도 8 또는 도 9에 도시한 배치 위치로 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LED 표시부(24)는, 제어부(43)에 의한 제어에 의해서, 조작부(22){제1∼제4 조작부(22a∼22d)}를 사이에 두고 터치 조작부(20)가 누름 검지했을 때에, 대응하는 표시용 발광소자(19)가 점등함으로써, 터치 조작부(20)가 조작된 것을 표시한다.
또한, 음성 재생부(45)는, 음성을 재생하는 것에 의해서, LED 표시부(24)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사용자에게 고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43)의 제어에 의해서 제어된다.
한편, 상기 고지 수단은, 시각, 청각, 촉각의 어느 하나로 인식이 가능한 구성이면 좋고, 적어도 이들 중의 하나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LED 표시부(24) 및 음성 재생부(45)를 구비하여 구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는, LED 표시부(24) 만을 설치하여 고지 수단으로서 구성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또한 저비용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터치 처리부(30) 및 터치 조작부(2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처리부(30)의 조작신호 생성부(41)는, 터치 조작부(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터치 조작부(20)의 조작에 기초한 조작신호를 생성하여, 전송 처리부(31)에 출력한다.
한편, 이 조작신호 생성부(41)는, 제어부(43)에 의해서, 조작신호를 생성 처리하거나 또는 조작신호의 생성 처리를 정지하거나 제어되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혹은, 단순히 조작신호를 생성하여, 전송 처리부(31)에 출력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터치 조작부(20)에, 이 터치 조작부(20)의 누름 검지 레벨을 검지하는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40)는, 조작부(22){터치 조작부(20)}의 누름 검지 레벨을 각각 검출하여, 터치 처리부(30)의 누름 검지 처리부(42)에 출력한다.
누름 검지 처리부(42)는, 공급된 누름 검지 레벨에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제어부(43)에 출력한다.
제어부(43)는, 누름 검지 처리부(42)로부터 공급되는 누름 검지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신호 생성부(41) 및 고지 수단을 구성하는 LED 표시부(24), 음성 재생부(45)를 제어한다.
이 경우, 제어부(43)은, 메모리(44)에 격납되어 있다, 미리 설정된 누름 검지 레벨의 역치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검출한 누름 검지 레벨의 비교나, 누름 검지 레벨의 검출 시간의 비교 등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3)는, 누름 검지 처리부(42)로부터의 누름 검지 레벨과 미리 설정된 역치 SL로 비교를 행하여, 누름 검지 레벨이 상기 역치 SL를 넘을 경우에는 조작신호를 출력시키고, 또한, 누름 검지 레벨이 상기 역치 SL를 넘지 않는 경우에는 조작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전송 처리부(31)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역치 SL는, 미리 설정된 수치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적절히 변경 가능한 상한치 SLH 및 하한치 SLL를 가진 소정 범위의 역치 SL여도 좋다. 또한, 이 역치 SL는, 사용자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 외에, 예를 들면 설치 위치의 환경조건이나 사용 조건 등에 따라서 그 소정 범위의 역치 SL가 자동적으로 가변되는 주지의 기능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43)는, 터치 조작부(20)가 누름 검지한 후에, LED 표시부(24)와 음성 재생부(45)의 적어도 한쪽의 동작 상태를 변화시키도록 제어한다.
표시 또는 음성 재생의 동작 상태를 변화시킨다는 것은, 예를 들면 표시부의 표시를 반전 표시시키거나, 2개의 LED 표시부(24)를 선택적으로 표시시키거나 또는, 음성 재생부(45)의 음성 재생을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재생하거나 하는 동작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즉, 조작부(20)는 터치 패널이 채용되고 있으므로 실제의 조작감각을 얻지 못하고, 재조작해 버리거나 등, 오조작이 생겨 버릴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터치 조작부(20)가 누름 검지한 뒤에, LED 표시부(24)와 음성 재생부(45)의 적어도 한쪽의 동작 상태를, 표시 또는 음성 재생과는 다른 동작 상태로 변환되므로, 조작부(22)를 조작한 것을 확실하게 사용자에게 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조작부(22)의 오조작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터치 기판(13)의 구성에 대하여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a)는 기판(13A)상에 터치 조작부(20)가 설치된 터치 기판(13)의 구성을 도시한 간략한 단면도, 도 15(b)는 제3 조작부 및 근방을 조작한 경우에 검출된 누름 검지 레벨의 특성도, 도 15(c)는 제4 조작부 및 근방을 조작한 경우에 검출된 누름 검지 레벨의 특성도, 도 15(d)는 제3 조작부 및 제4 조작부를 조작한 경우에 검출된 누름 검지 레벨의 특성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40)는, 조작 패널(14)의 이면과 기판(13A)의 터치 조작부(20)의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터치 조작부(20)는, 복수의 검출 에어리어{구체적으로는 제1∼제4 조작부 (22a∼22d)}에 대응한 복수의 조작 검출용 전극(41a∼41d)과, 터치 조작부(20)가 인접한 검출 에어리어 사이에 설치된 오조작 검출 에어리어{구체적으로는 제1∼제4 조작부(22∼22d)의 사이}에 배치되는 오조작 검출용 전극(40a∼40c)을 가지며 구성되어 있다.
즉,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40)는, 조작부(22)의 조작시에, 제1∼제4 조작부 (22a∼22d)에 대응한 복수의 전극에 의해서, 검출 에어리어에 대응하는 제1∼제4 조작부(22a∼22d)의 각각의 누름 검지 레벨을 검출한다.
또한,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40)는, 제1∼제4 조작부(22a∼22d)의 사이에 배치되는 오조작 검출용 전극(40a∼40c)에 의해서, 제1∼제4 조작부(22a∼22d)의 각각의 사이 및 주변부에 있어서의 오조작 검출 에어리어의 누름 검지 레벨의 검출이 가능하다.
한편,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40)는, 터치 조작부(20)와는 별도로 마련하여 구성하여도 좋지만, 터치 조작부(20)와 일체적으로 구성하면, 제조 공정 간이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점에서 유효하다.
또한, 도 15(a)는 오조작 검출 에어리어에 대응하는 조작 패널의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그런데, 소정의 조작부(22)를 조작한 후, 또는 동시에 의도하지 않고 동일한 조작부(22) 또는 다른 조작부(22)나 근방을 재조작해 버린다고 하는 오조작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는, 이러한 조작부(22)의 오조작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어부(43)는, 조작부(22)의 조작시로부터 LED 표시부(24)와 음성 재생부(45)의 적어도 한쪽의 전환 완료시까지의 시간내에, 조작된 조작부(22)가 재차 조작된 경우에는, 이 재차 조작된 조작부(22)의 조작신호의 생성 및 출력을 취소하도록 조작신호 생성부(41) 및 전송 처리부(31)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3)는, 복수의 제1∼제4 조작부(22a∼22d)중, 예를 들면 제3 조작부(22c)의 조작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제3 조작부(22c)에 인접하는 기타 조작부(예를 들면 제2 조작부(22b) 또는 제4 조작부(22d)를 잘못하여 조작했을 때에는, 기타 조작부{예를 들면 제2 조작부(22b) 또는 제 4 조작부(22d)}의 조작신호의 생성 및 출력을 취소하도록 조작신호 생성부(41) 및 전송 처리부(31)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도 15(b)에서는 조작검출용 전극(41c,41d) 및 오조작 검출용 전극(40c)에 대응하는 누름 검지 레벨이 역치 SL를 넘고 있다. 여기서, 각각의 누름 검지 레벨을 비교하면 사용자가 조작한 조작부(22c)에 대응하는 조작검출용 전극 (41c)의 누름 검지 레벨이 가장 크고, 다음에 오조작 검출용 전극(40c)의 누름 검지 레벨이 크고, 사용자가 조작한 위치로부터 가장 먼 조작검출용 전극(41d)의 누름 검지 레벨이 가장 작다.
따라서, 가장 큰 누름 검지 레벨의 검출 에어리어에 대응하는 조작신호만을 출력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의도한 조작부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2개소의 조작부를 동시에 조작하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지만 상기 방법에서는 어느 한쪽의 조작이 캔슬되게 된다.
따라서, 오조작 검출용 전극(40c)보다 작은 누름 검지 레벨의 조작검출용 전극(41d)의 조작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오조작 검출용 전극(40c)보다 큰 누름 검지 레벨의 조작검출용 전극(41c)은 조작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15(d)는, 조작검출용 전극(41c,41d), 오조작 검출용 전극 (40c)은 모두 역치 SL를 넘고 있다. 그러나, 조작검출용 전극(41c,41d)의 누름 검지 레벨은 오조작 검출용 전극(40c)의 누름 검지 레벨보다 크기 때문에, 제3 조작부 및 제4 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조작부의 조작을 캔슬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인접한 검출 에어리어를 조작했을 때는, 인접한 검출 에어리어간의 오조작 검출 에어리어의 누름 검지 레벨이 가장 작아지므로, 양방의 검출 에어리어에 대응하는 조작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물론, 검출한 누름 검지 레벨과 역치 SL와의 비교를 행하여,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조작신호의 생성 및 출력의 유무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5(c)에서는 각 검출 에어리어중에서 조작검출용 전극(41d)의 누름 검지 레벨만이 역치를 넘고 있으며, 조작검출용 전극(41d)에 대응하는 조작신호만을 출력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 15(c)에 있어서, 오조작 검출용 전극(40c)의 누름 검지 레벨이 역치를 넘을 경우에는, 조작검출용 전극(41d)의 조작신호를 캔슬해도 좋다.
한편, 복수의 조작부가 조작된 경우에, 조작부의 재조작이 소정의 시간 범위내에서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소정의 시간내인 경우에는 나중에 조작된 조작부의 조작을 캔슬하도록 해도 좋다.
소정의 시간 범위는, 예를 들면 메모리(44)에 격납된 시간 정보이다. 즉,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제3 조작부(22c)의 조작후, 소정의 시간 범위로서의 에러 검지 시간 범위 t0내에, 제4 조작부(22d)가 조작된 경우에는, 제어부 (43)는, 이 제4 조작부(22d)에 의한 조작을 오조작으로서 판단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조작신호의 생성 및 출력을 취소하도록 제어한다.
반대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조작부(22d)의 조작이 에러 검지 시간 범위 t0이후에 행해졌을 경우에는, 제어부(43)는, 이 제4 조작부(22d)에 의한 조작을 유효(정상)인 조작으로 판단하여, 이 제4 조작부(22d)에 의한 조작신호의 생성 및 출력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에러 검지 시간 범위 t0은, 물론 적절히 변경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에러 검지 시간 범위 t0의 시간 정보는, 메모리(44)에 격납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제어부(43)내에 에러 검지 시간 범위 t0을 계측하는 타이머 카운터를 설치하여 시간을 계측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제어부(43)는,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40)로부터의 검출 결과가 오조작 검출용 누름 검지 레벨을 포함한 누름 검지 레벨일 경우에, 최초로 조작한 조작부 이외에 조작된 다른 조작부의 오조작으로서 판단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조작신호의 생성 및 출력을 취소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43)는, 소정의 조작부(예를 들면 같은 조작부)가 두 번 눌러져, 어느 누름 검지 레벨도 역치 SL를 넘을 경우에는 유효하다고 판단하여, 이 조작부의 조작신호의 생성 및 출력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부(22)의 조작신호의 생성은, 터치 처리부 (30)측에 행하도록 구성했지만, 전송 처리부(31)내에서 행하여도 좋다. 또한, 제어부(43)에 대해서도, 전송 처리부(31)에 설치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여기서, 제조 공정의 간이화 및 비용 저감화를 고려하면, 도 14에 도시한 터치 처리부(30)와 전송 처리부(31)를 일체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이러한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의 제어부의 특징이 되는 제어예에 대해서,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지금, 사용자가 예를 들어 도 8 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의 조작 패널(14)을 가진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를 조작하는 것으로 한다. 그렇게 하면, 제어부(43)는,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로부터 도 18에 도시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기동시키고, 스텝 S1에서, 원격제어용 단말 기기의 초기화 및 교정 처리를 행하고, 스텝 S2로 이행한다.
한편, 초기화 및 교정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복수의 조작부(22)에 따른 터치 조작부(20)의 검출 에어리어의 설정이나, 역치 SL 및 에러 검지 시간 범위 t0의 설정(예를 들면 타이머 카운터 리세트) 등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어부(43)는, 스텝 S2의 처리에서, 터치 조작부(20)의 입력 대기 및 LED 표시부(24)의 표시 대기{음성 재생부(54)의 동작 대기}가 되도록 각 블록을 스탠바이시켜, 처리를 스텝 S3으로 이행한다.
스텝 S3의 판단 처리에서는, 제어부(43)는,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40)에 의해 검출한 누름 검지 레벨로부터, 복수의 조작부(22)가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복수의 조작부(22)가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4로 이행하고, 반대로 복수의 조작부(22)가 눌러졌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5로 이행한다.
복수의 조작부(22)가 눌러진 경우, 제어부(43)는, 스텝 S5의 판단 처리에서, 누름 검지 처리부(42)로부터의 누름 검지 레벨내에, 오조작 검출용 전극(40a∼40c)에 의해 검출된 오조작 검출용 누름 검지 레벨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6으로 처리를 이행하고,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4로 이행한다.
스텝 S6에서는, 제어부(43)는, 누름 검지 처리부(42)로부터의 각 누름 검지 레벨끼리로 비교를 행한다. 이 경우, 조작검출용 전극(41a∼41d)의 누름 검지 레벨이 오조작 검출용 누름 검지 레벨보다 클 때에 조작부(22)에 의한 조작을 유효하다고 판단하여 처리를 스텝 S4로 이행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스텝 S5의 판단 처리에서, 오조작 검출용 전극(40a∼40c)에 의해 검출된 오조작 검출용 누름 검지 레벨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스텝 S16으로 이행하여 처리를 행해도 좋다.
이 경우, 스텝 S16의 처리에서는, 제어부(43)는, 각 누름 검지 레벨의 검출 시간을 비교하여,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에러 검지 시간 범위 t0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나중에 검출한 누름 검지 레벨의 검출이 에러 검지 시간 범위 t0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먼저 눌러진 조작부(22)에 의한 조작을 유효하다고 판단하여(먼저 누른 검지 처리), 처리를 스텝 S4로 이행한다.
그리고, 스텝 S4의 처리에 의해, 제어부(43)는, LED 표시부(24)와 음성 재생부(45)의 적어도 한쪽의 동작 상태를, 예를 들면 LED 표시부(24)의 표시를 반전 표시시키거나, 2개의 LED 표시부(24)를 선택적으로 표시시키거나, 또는, 음성 재생부 (45)의 음성 재생을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재생하거나 하는 동작 상태로 전환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43)는, 계속되는 스텝 S7의 처리에 의해, 먼저 누름 검지한 조작부(22)의 조작을 유효(정상)로 판단하여, 이 조작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도록 조작신호 생성부(41) 및 전송 처리부(31)를 제어한다.
그 후, 제어부(43)는, 계속되는 스텝 S8의 판단 처리에서, LED 표시부(24)와 음성 재생부(45)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여, 동작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2로 되돌리고, 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계속되는 스텝 S9에 의한 처리로, 재차, LED 표시부(24)와 음성 재생부(45)의 적어도 한쪽의 동작 상태를, 예를 들면 LED 표시부(24)의 표시를 반전 표시시키거나, 2개의 LED 표시부 (24)를 선택적으로 표시시키거나, 또는, 음성 재생부(45)의 음성 재생을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재생하거나 하는 동작 상태로 전환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고지한다. 그리고, 처리를 스텝 S2로 되돌린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제어부(43)는, 도 19에 도시한 변형예의 플로우차트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이 변형예는, 복수의 조작부중, 동일한 조작부의 재조작이 있는 경우에 적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예를 들면 도 8 또는 도 9에 도시한 구성의 조작 패널(14)을 가진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를 조작하는 것으로 한다. 그렇게 하면, 제어부(43)는, 도 18에 도시한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로부터 도 19에 도시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기동시키고, 스텝 S1에서, 원격제어용 단말 기기의 초기화 및 교정 처리를 행하여, 스텝 S2로 이행한다.
그리고, 제어부(43)는, 스텝 S2의 처리에서, 터치 조작부(20)의 입력 대기 및 LED 표시부(24)의 표시 대기{음성 재생부(54)의 동작 대기}가 되도록 각 블록을 스탠바이시켜, 처리를 스텝 S20으로 이행한다.
스텝 S20의 판단 처리에서는, 제어부(43)는,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40)에 의해 검출한 누름 검지 레벨로부터, 동일한 조작부(22)가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한 조작부(22)가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21로 이행하고, 반대로 동일한 조작부(22)가 눌러졌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22로 이행한다.
동일한 조작부(22)가 눌러진 경우, 즉, 두 번 눌러진 경우에는, 제어부(43)는, 스텝 S22의 처리에서, 조작부(22)의 조작후, 에러 검지 시간 범위 t0내에, 동일한 조작부(22)가 조작된 것이면, 이 두 번 누른 조작부(22)에 의한 조작을 오조작으로서 판단하고, 이 두 번 누른 조작부(22)에 의한 조작신호의 생성 및 출력을 취소하도록 조작신호 생성부(41) 및 전송 처리부(31)를 제어한다. 그리고, 처리를 스텝 S21로 이행한다.
스텝 S21의 처리에서는, 제어부(43)는, 먼저 누름 검지한 조작부(22)의 조작을 유효(정상)로 판단하여, 이 조작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도록 조작신호 생성부 (41) 및 전송 처리부(31)를 제어한다.
그 후, 제어부(43)는, 계속되는 스텝 S8의 판단 처리에서, LED 표시부(24)와 음성 재생부(45)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여, 동작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21에 되돌리고, 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계속되는 스텝 S9에 의한 처리에서, LED 표시부(24)와 음성 재생부(45)의 적어도 한쪽의 동작 상태를, 예를 들면 LED 표시부(24)의 표시를 반전 표시시키거나, 2개의 LED 표시부(24)를 선택적으로 표시시키거나, 또는, 음성 재생부(45)의 음성 재생을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재생하거나 하는 동작 상태로 전환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고지한다. 그리고, 처리를 스텝 S2로 되돌린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43)에 의해 고지 수단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간단한 구성으로, 조작부(22)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타 효과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3 실시형태)
도 20으로부터 도 27은 본 발명의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것으로, 도 20은 복수의 전극을 세로방향에 설치한 종형의 터치 기판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1은 복수의 전극을 가로방향에 설치한 횡형의 터치 기판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2로부터 도 27은 횡형의 터치 기판에 대응하는 횡형의 조작 패널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로서, 도 22는 4개의 조작부를 구비한 것, 도 23은 2개의 조작부를 구비한 것, 도 24는 3개의 조작부를 구비한 것, 도 25는 1개의 조작부를 구비한 것, 도 26은 6개의 조작부를 구비한 것, 도 27은 상하 4개씩 배치하여 8개의 조작부를 구비한 것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에서는, 터치 기판(13)은, 복수의 터치 조작부(20)를 구성하는 복수의 전극을, 터치 기판(13)에 대해서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에 병설하여 구성된다.
먼저, 복수의 전극을 터치 기판(13)에 대해서 세로방향에 병설한 종형의 터치 기판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형의 터치 기판(13)은, 터치 조작부(20)를 가지며, 이 터치 조작부(20)는, 복수의 검출 에어리어의 할당 및 스위치 기능을 자유로이 변경하여 설정하는 데에 필요한 복수의 전극(20a∼20l)이 터치 기판(13)에 대해서 세로방향에 병설되어 있다.
이 경우, 도 20에 도시한 구성예에서는, 12개의 전극(20a∼20l)이 터치 조작부(20)에 배치되어 있다. 물론, 전극의 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12개의 전극(20a∼20l)을 좌우에 각각 2분할함으로써 24개의 전극을 배치해도 좋다.
즉, 전극의 수는, 조작 패널(14)의 조작부(22)의 패턴에 따라 설정된다. 예를 들면, 1개, 2개, 3개, 또는 4개의 조작부(22)를 가진 각각의 조작 패널(14)에 대하여, 하나의 공통의 터치 조작부로 대응시키고자 하면, 전극의 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12개, 24개와 같이 조작부(22)의 수가 공약수가 되는 수로 설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터치 조작부(20)에 복수의 전극(12개, 또는 24개)을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조작부(22)의 패턴에 대응하는 검출 에어리어의 그룹화가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1개의 조작부(22)를 가진 조작 패널(14)인 경우, 터치 조작부 (20)는, 12개의 전극(20a∼20l)을 1개의 그룹으로서 할당하는 것에 의해 1개의 검출 에어리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조작부(22)를 가진 조작 패널(14)인 경우, 터치 조작부(20)는, 6개씩의 전극(20a∼20f,20g∼20l)을 2개의 그룹으로서 할당하는 것에 의해 2개의 검출 에어리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조작부 (22)를 가진 조작 패널(14)인 경우, 터치 조작부(20)는, 4개씩의 전극(20a∼20d,20e∼h,20i∼20l)을 3개의 그룹으로서 할당하는 것에 의해 3개의 검출 에어리어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부(22)의 패턴에 대응하는 검출 에어리어의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복수의 전극을 터치 기판(13)에 대해서 가로방향에 병설한 횡형의 터치 기판(1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횡형의 터치 기판(13)은, 도 20에서 설명한 종형의 터치 기판(13)을 그대로 가로방향에 배치한 상태에서 이용된다. 즉, 횡형의 터치 기판(13)은, 종형의 터치 기판(13)과 마찬가지로, 터치 조작부(20)를 가지며, 이 터치 조작부(20)는, 복수의 검출 에어리어의 할당 및 스위치 기능을 자유로이 변경하여 설정하는 데에 필요한 복수의 전극(20a∼20l)이 터치 기판(12)에 대해서 가로방향에 병설되어 있다.
이 경우, 횡형의 터치 기판(13)은, 종형의 터치 기판(13)과 마찬가지로, 12개의 전극(20a∼20l)이 터치 조작부(20)에 배치된다. 물론, 전극의 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2개의 전극(20a∼20l)을 좌우에 각각 2분할함으로써 24개의 전극(20a1∼20l1,20a2∼20l2)를 배치해도 좋다.
한편, 전극의 수는, 상술한 종형의 터치 기판(13)과 같이, 조작 패널(14)의 조작부(22)의 패턴에 따라 설정된다. 예를 들면, 1개, 2개, 3개, 또는 4개의 조작부(22)를 가진 조작 패널(14)로 하면, 전극의 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12개, 24개와 같이 공약수가 되는 수로 설정된다.
또한, 횡형의 터치 기판(13)은, 종형의 터치 기판과 마찬가지로, 터치 조작부(20)에 복수의 전극(12개, 또는 24개)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에 의해, 조작부 (22)의 패턴에 대응하는 검출 에어리어의 그룹화가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횡형의 터치 기판(13)에 대응하여, 조작 패널(14)에 대해서도 횡형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조작 패널(14)의 각종 조작 패턴에 따른 구성이 도 22∼도 27에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12개의 전극(20a∼20l)을 가진 횡형의 터치 기판(13)인 것으로 하면, 4개의 조작부(50a∼50d)를 가진 조작 패널(14)인 경우, 터치 조작부(20)는, 3개씩의 전극(20a∼20c,20d∼20f,20g∼20i,20j∼20l)을 4개의 그룹으로서 할당하는 것에 의해 4개의 검출 에어리어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14)은, 4개의 조작부(50a∼50d)를 가진 조작부(5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조작부(51a,51b)를 가진 조작 패널(14)인 경우, 터치 조작부 (20)는, 6개씩의 전극(20a∼20f,20g∼20l)를 2개의 그룹으로서 할당하는 것에 의해 2개의 검출 에어리어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 (14)은, 2개의 조작부(51a,51b)를 가진 조작부(5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조작부(52a∼52c)를 가진 조작 패널(14)인 경우, 터치 조작부 (20)는, 4개씩의 전극(20a∼20d,20e∼h,20i∼20l)을 3개의 그룹으로서 할당하는 것에 의해 3개의 검출 에어리어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14)은, 3개의 조작부(52a∼52c)를 가진 조작부(5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조작부(53a)를 가지는 조작 패널(14)인 경우, 터치 조작부(20)는, 12개의 전극(20a∼20l)을 1개의 그룹으로서 할당하는 것에 의해 1개의 검출 에어리어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14)은, 1개의 조작부(53a)를 가진 조작부(53)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6개의 조작부(54a∼54f)를 가진 조작 패널(14)인 경우, 터치 조작부 (20)는, 2개씩의 전극(20a 및 20b,20c 및 20d,20e 및 20f,20g 및 20h,20i 및 20j, 20k 및 20l)을 6개의 그룹으로서 할당하는 것에 의해 6개의 검출 에어리어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14)은, 6개의 조작부(54a∼54f)를 가진 조작부(54)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하 4개씩 배치된 8개의 조작부(55a∼55h)를 가진 조작 패널(14)인 경우, 터치 조작부(20)는, 도 21에 도시한 터치 기판(13)을 이용하는 것과 함께, 3개씩의 전극(20a1∼20c1,20d1∼20f1,20g1∼20il,20j1∼20l1,20a2∼20c2,20d2∼20f2,20g2∼20i2, 20j2∼20l2)를 상하 8개의 그룹으로서 할당하는 것에 의해 상하 8개의 검출 에어리어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 (14)은, 8개의 조작부(55a∼55h)를 가진 조작부(55)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조작부(50∼55)는, 예를 들면, 접속되는 조명기구의 밝기를 변경하기 위한 계조마다 조작 가능한 조작면이 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1개의 조작부의 조작면은, 조명기구의 밝기의 계조마다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색을 나누어 구성한다. 그리고, 제어부(43)(도 14 참조)는, 이 조작부에 대응하는 터치 기판(13)의 전극에 의해서 계조마다 조작된 것을 검지함과 함께, 이 계조 변경의 조작에 기초한 조작신호를 전송 처리부(31)에 의해 중앙처리장치(1)에 출력시킨다. 이에 따라, 조명기구의 밝기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에 있어서는, 터치 기판 (13)은, 복수의 터치 조작부(20)를 구성하는 복수의 전극을, 터치 기판(13)에 대해서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에 병설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작부(22)의 패턴에 대응하는 검출 에어리어의 그룹화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원격제어용 단말기의 설치 상황에 맞추어, 터치 기판(13)의 검출 에어리어의 조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횡형의 터치 기판(13) 및 조작 패널(14)을 이용하여 횡형의 원격제어용 단말기로서 구성함으로써, 종형의 원격제어용 단말기보다, 인접한 2개소의 조작부의 동시 조작 혹은 슬라이드 조작 등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종형의 조작 패널(14)인 경우, 사용자는, 세로방향에 인접하는 2개의 조작부를 잘못하여 동시 조작 혹은 슬라이드 조작해 버릴 우려가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패널(14)의 조작부(50∼55)를 횡형으로 한 것에 의해, 구조적으로 상기 오조작을 방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확실하게 조작하고 싶은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기판(13)의 복수의 전극을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에 병설한 것에 의해, 원격제어용 단말기의 설치 상황에 맞추어, 터치 기판(13)의 검출 에어리어의 조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터치 기판(13)의 복수의 전극을 가로방향에 병설하여 횡형의 터치 기판(13) 및 조작 패널(14)로 구성한 것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조작부(22)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타 효과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4 실시형태)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것으로, 도 28은 도 14의 제어부에 의한 조작부의 오조작에 대처하기 위한 기본 제어 동작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29는 도 14의 제어부에 의한 조작부의 오조작방지를 위한 기본 제어 동작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한편, 제4 실시형태의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는, 제2 실시형태의 도 14에 도시한 회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 도 14에 도시한 회로 구성을 이용하여 제4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형태에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10)는, 오조작 검출 에어리어를 설정하지 않고 조작부(22)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량되어 있다.
조작부(22)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일례로서는,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 (10)는, 조작부(22)의 먼저 누름 조작 우선 모드와, 조작부(22)중의 복수의 조작부의 조작을 받아들임 가능한 복수 조작 가능 모드중의 어느 한쪽을 설정할 수 있다.
먼저 누름 우선 모드를 설정한 경우, 도 14에 도시한 제어부(43)는, 먼저 누름 조작된 조작부(22)를 우선으로 하고, 그 후에 조작된 조작부(22)의 조작을 캔슬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43)는, 먼저 누름된 조작부(22)에 기초한 조작신호를 전송 처리부(31)를 통하여 출력시킴과 함께, 그 후에 조작된 조작부(22)의 조작에 의한 입력을 취소하고, 즉, 조작신호를 출력시키지 않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먼저 누름 조작된 조작부(22)의 누름 검지 레벨이 역치를 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 또는 먼저 누름 조작된 조작부(22)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이 떨어질 때까지의 동안에는 다른 조작부(22)의 조작을 캔슬하도록 해도 좋고, 먼저 누름 조작된 조작부(22)의 조작신호를 출력한 시점에서 누름 검지 레벨이 역치를 넘는 다른 모든 조작부(22)의 조작을 캔슬하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단시간에 여러 차례 조작부(22)가 오조작된 경우에, 가장 앞선 조작만을 유효하게 하고, 다른 조작을 캔슬할 수 있다.
한편, 복수 조작 가능 모드를 설정한 경우, 제어부(43)는, 복수의 조작부 (22)에 의한 조작에 기초한 각각의 조작신호를 전송 처리부(31)를 통하여 출력시킨다. 또한, 제어부(43)는, 복수의 조작부(22)의 동시 조작 방법, 예를 들면, 시간 및 패턴의 차이를 인식하여 특정의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에 의해, 조작부(22)의 잠금 기능의 온/오프 등의 중요 조작, 또는 장난 방지가 가능해지고, 또한, 시큐리티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유효하다.
이에 따라, 먼저 누름 우선 모드와 복수 조작 가능 모드의 2개의 모드를 전환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에 의해, 조작부(22)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먼저 누름 우선 모드와 복수 조작 가능 모드의 전환 방법은, 예를 들면 조작부(22)를 소정 시간 계속하여 조작하는 길게 누르는 조작, 또는 조작 패턴, 또는 조작 범위 등을 이용하여 바꾸도록 구성하면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8에 도시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조작부(22)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어부(43)의 제어 동작예에 대하여 도 2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예를 들면 도 8 또는 도 9에 도시한 구성의 조작 패널(14)을 가진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를 조작하는 것으로 한다.
제어부(43)는, 기동시에 도 19에 도시한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로부터 도 28에 도시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스텝 S1에서, 원격제어용 단말 기기의 초기화 및 교정 처리를 행하여, 스텝 S2로 이행한다.
그리고, 제어부(43)는, 스텝 S2의 처리로, 터치 조작부(20)의 입력 대기 및 LED 표시부(24)의 표시 대기{음성 재생부(54)의 동작 대기}가 되도록 각 블록을 스탠바이시켜, 처리를 스텝 S30으로 이행한다.
스텝 S30의 판단 처리에서는, 제어부(43)는,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40)에 의해 검출한 누름 검지 레벨로부터 조작부(22)가 눌러진 것을 판단하면, 이 때의 누름 시간을 검지하여, 이 검지한 누름 검지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내인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이 경우, 누름 검지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31으로 이행하고, 반대로 시간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32로 이행한다.
누름 검지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부(43)는, 스텝 S31의 처리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조작부(22)로부터 떨어졌다고 판단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조작부(22)로부터 떨어진 순간에 이 조작부(22)에 의한 조작을 온시킨다.
즉, 제어부(43)는, 계속되는 스텝 S21의 처리에서, 조작부(22)의 조작을 유효(정상)로 판단하여, 이 조작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도록 조작신호 생성부(41) 및 전송 처리부(31)를 제어하여 처리를 스텝 S8로 이행한다.
한편, 누름 검지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부(43)는, 스텝 S32의 처리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사용자의 손가락이 조작부(22)를 아래로 누른 상태, 즉, 길게 눌렀다고 판단하여, 이 조작부(22)에 의한 조작의 입력을 취소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43)는, 계속되는 스텝 S21의 처리에서, 조작부(22)의 조작을 무효(취소)로 판단하여, 이 조작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지 않도록 조작신호 생성부 (41) 및 전송 처리부(31)를 제어하여 처리를 스텝 S8로 이행한다. 한편, 이 경우의 길게 누르는 조작 방법 및 미리 설정된 시간 등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미리 인식해 둘 필요가 있다.
그 후, 제어부(43)는, 계속되는 스텝 S8의 판단 처리에서, LED 표시부(24)와 음성 재생부(45)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여, 동작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21에 되돌리고, 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계속되는 스텝 S9에 의한 처리에서, LED 표시부(24)와 음성 재생부(45)의 적어도 한쪽의 동작 상태를, 예를 들면 LED 표시부(24)의 표시를 반전 표시시키거나, 2개의 LED 표시부(24)를 선택적으로 표시시키거나, 또는, 음성 재생부(45)의 음성 재생을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재생하거나 하는 동작 상태로 전환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고지한다. 그리고, 처리를 스텝 S2로 되돌린다.
따라서, 이러한 제어를 행하는 것에 의해, 조작부(22)의 정상적인 조작 및 오조작을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조작부(22)의 오조작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오조작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상술한 먼저 누름 우선 모드와 조합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먼저 누름된 조작부(22)로부터 소정 시간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떨어진 경우, 상기 먼저 누름된 조작을 유효하게 함과 함께 그 시점까지 조작된 다른 조작을 모두 캔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확실하게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부(22)의 복수의 터치 조작부(20)에 의한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후술하는 변형예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본 변형예에서는, 조작 패널(14)의 복수의 터치 조작부(20)중, 적어도 2개의 터치 조작부(20)를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조작하면서 이동하는 슬라이드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오조작이라고 판단하여, 조작된 터치 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43)에 의한 제어예에 대하여 도 2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지금, 사용자가 예를 들면 도 8 또는 도 9에 도시한 구성의 조작 패널(14)을 가진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를 조작하는 것으로 한다.
그렇게 하면, 제어부(43)는,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로부터 도 29에 도시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기동시켜, 스텝 S1에서, 원격제어용 단말 기기의 초기화 및 교정 처리를 행하고, 스텝 S2로 이행한다.
그리고, 제어부(43)는, 스텝 S2의 처리에서, 터치 조작부(20)의 입력 대기 및 LED 표시부(24)의 표시 대기{음성 재생부(54)의 동작 대기}가 되도록 각 블록을 스탠바이시켜, 처리를 스텝 S30으로 이행한다.
스텝 S30의 판단 처리에서는, 제어부(43)는,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40)에 의해 검출한 누름 검지 레벨로부터, 복수의 조작부(22)가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복수의 조작부(22)가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4로 이행하고, 반대로 복수의 조작부(22)가 눌러졌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40으로 이행한다.
복수의 조작부(22)가 눌러진 경우, 제어부(43)는, 스텝 S40의 처리에서, 누름 검지 처리부(43)로부터의 각 누름 검지 레벨과 미리 설정된 누름 검지 레벨과의 비교를 행한다.
이 경우, 2개의 누름 검지 레벨이 미리 설정된 누름 검지 레벨 이상이고, 이 값이 유지된 상태로 연속적으로 검출되면, 제어부(43)는, 2개의 터치 조작부(20)를 조작하면서 이동하는 슬라이드 조작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이들 2개의 조작부(22)에 의한 조작의 입력을 취소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43)는, 조작부(22)의 조작을 오조작이라고 판단하여, 이들 조작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지 않도록 조작신호 생성부(41) 및 전송 처리부(31)를 제어하여 처리를 스텝 S4로 이행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스텝 S30의 판단 처리에서, 복수의 조작부가 눌러졌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스텝 S41로 이행하여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이 경우, 스텝 S41의 처리에서는, 제어부(43)는, 각 누름 검지 레벨의 검지 시간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검지 시간 범위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각 누름 검지 레벨의 검지 시간이 미리 설정된 검지 시간 범위내에 존재하는 경우는, 2개의 터치 조작부(20)를 조작하면서 이동하는 슬라이드 조작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이들 2개의 조작부(22)에 의한 조작의 입력을 취소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43)는, 조작부(22)의 조작을 오조작이라고 판단하여, 이러한 조작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지 않도록 조작신호 생성부(41) 및 전송 처리부(31)를 제어하여 처리를 스텝 S4로 이행한다.
한편, 제어부(43)는, 스텝 S41의 처리에서, 각 누름 검지 레벨의 검지 시간에 기초하여, 2개의 터치 조작부(20) 사이를 조작하면서 이동하는 슬라이드 조작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해도 좋다. 즉, 2개의 누름 검지 레벨의 검지 시간이 도중에 끊어지지 않고 계속한 상태인 경우, 혹은 누름 검지 레벨이 검지되지 않은 검지 시간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드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텝 S4의 처리에 의해, 제어부(43)는, LED 표시부(24)와 음성 재생부(45)의 적어도 한쪽의 동작 상태를, 예를 들면 LED 표시부(24)의 표시를 반전 표시시키거나, 2개의 LED 표시부(24)를 선택적으로 표시시키거나, 또는, 음성 재생부(45)의 음성 재생을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재생하거나 하는 동작 상태로 전환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43)는, 계속되는 스텝 S7의 처리에 의해, 복수의 조작부(22)가 아래로 눌러지지 않고, 먼저 누름 검지한 조작부(22)의 조작을 유효(정상)로 판단하여, 이 조작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도록 조작신호 생성부(41) 및 전송 처리부(31)를 제어한다.
그 후, 제어부(43)는, 계속되는 스텝 S8의 판단 처리에서, LED 표시부(24)와 음성 재생부(45)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여, 동작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2로 되돌리고, 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계속되는 스텝 S9에 의한 처리로, 재차, LED 표시부(24)와 음성 재생부(45)의 적어도 한쪽의 동작 상태를, 예를 들면 LED 표시부(24)의 표시를 반전 표시시키거나, 2개의 LED 표시부 (24)를 선택적으로 표시시키거나, 또는, 음성 재생부(45)의 음성 재생을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재생하거나 하는 동작 상태로 전환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고지한다. 그리고, 처리를 스텝 S2로 되돌린다.
한편, 상기 변형예에서는 슬라이드 조작한 경우에, 슬라이드 조작된 모든 조작부(22)의 조작을 캔슬할 수 있는 것이지만, 슬라이드 조작되었을 때에 먼저 조작된 조작부(22)의 조작만을 캔슬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예를 들면, 잘못하여 다른 조작부(22)를 조작한 경우, 의도한 조작부(22)까지 슬라이드 조작하면, 잘못하여 먼저 조작한 조작부(22)만을 캔슬하고, 원하는 조작부(22)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조작부(22)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10)를 건물내에 설치하는 경우, 벽내부에 배치된 철근 혹은 금속관 등의 부재, 혹은 환경조건에 의해서, 제어부(43)내의 클록 주파수(역치)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10)는, 건물내에 설치한 경우에, 그 설치 상태에 따라서, 제어부(43)내의 클록 주파수를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보정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형태를 후술한다.
(제5 실시형태)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10)를 건물내에 설치하면, 벽 내부에 배치된 철근 혹은 금속관 등의 부재 등의 영향에 의해서,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40)가 항상 노이즈를 검지하여, 잘못 검출해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10)의 기동시에는 조작부(22)가 조작되고 있지 않을 때의 검출치가 0이 되도록 보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단 검출치의 0보정을 행하여도, 사용에 따라서 습도나 온도 변화 등, 전원이나 주위에 설치되는 전자기기 등에 의해서, 다소의 노이즈를 검출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소정의 역치를 넘는지의 여부로 누름 검지하고 있는 경우, 이 노이즈의 영향에 의해서, 조작되었을 때의 검출 레벨과 노이즈 레벨의 비(S/N비)가 변화해 버려, 정확한 검출을 할 수 없다고 하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10)는, 이러한 환경조건의 변화에 따라 정확하게 누름 검지할 수 있도록 누름 검지 레벨 및 역치를 보정할 수 있는 보정 수단을 가지고 있다.
이 보정 수단은, 도시는 하지 않지만 제어부(43)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터치 기판(13)을 건물내의 소정 위치에 설치하여 기동했을 때에, 누름 검지 레벨의 0보정을 행하여, 기동중에는 노이즈의 검출 레벨에 따라 적절히 역치를 설정하는 것이다.
즉, 제어부(43)는, 이러한 자동 보정 모드의 실행이 가능하고,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10)의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43)는, 상기 자동 보정 모드의 실행중에, 조작부(22)에 의한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 이 자동 보정 모드의 실행을 우선하여 행하여 상기 조작부(22)에 의한 조작을 무효로 하는 보정 우선 모드와, 상기 자동 보정 모드의 실행을 중단하고 조작부(22)에 의한 조작을 우선하는 제어를 행하는 조작 우선 모드의 2개의 모드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미리 조작부(22)를 조작함으로써, 보정 우선 모드인지, 혹은 조작 우선 모드인지를 미리 설정해 둔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미리 보정 우선 모드를 설정했다고 하면, 제어부(43)는, 상기 자동 보정 모드의 실행중에, 조작부(22)에 의한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2 실시형태의 고지 수단으로부터, 예를 들면 "자동 보정 모드 실행중이기 때문에 조작을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등을 사용자에게 고지함과 함께, 계속 자동 보정 모드를 실행시켜 보정을 행한다.
또한, 사용자가 미리 조작 우선 모드를 설정했다고 하면, 제어부(43)는, 상기 자동 보정 모드의 실행중에, 조작부(22)에 의한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2 실시형태의 고지 수단으로부터, 예를 들면 "자동 보정 모드를 취소하고 조작을 받아들입니다" 등을 사용자에게 고지함과 함께, 자동 보정 모드를 중지시키고, 그리고, 조작부(22)의 조작에 기초한 조작신호를 생성하여 출력시킨다.
따라서, 제5 실시형태에 의하면, 자동 보정 모드를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에 의해,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10)의 동작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2개의 조작 우선 모드 및 보정 우선 모드의 실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동 보정 모드를 사용자에 따라 자유로이 실행하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기재한 발명은, 그 실시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기타 실시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상기 실시형태에는, 여러 가지 단계의 발명이 포함되어 있으며, 개시되는 복수의 구성 요건에 있어서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여러 가지 발명이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에 나타나는 전체 구성 요건으로부터 몇가지 구성 요건이 삭제되어도,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란에서 설명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발명의 효과에서 기술되어 있는 효과가 얻어지는 경우에는, 이 구성 요건이 삭제된 구성이 발명으로서 추출될 수 있다.

Claims (11)

  1. 케이스 본체와;
    복수의 조작부를 구비한 조작 패널과;
    케이스 본체에 배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조작 패널의 이면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 패널을 사이에 끼워 누름 검지 가능한 복수의 터치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조작부의 위치에 대응시켜 상기 복수의 터치 조작부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조작부로 이루어진 검출 에어리어를 설정 가능한 터치 기판과;
    상기 터치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터치 조작부가 누름 검지했을 때에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전송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조작부는, 소정의 누름 조작되는 것에 의해서 조명 부하의 출력을 가변시키기 위한 가변 스위치 기능을 할당하여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
  3. 케이스 본체와;
    복수의 조작부를 구비한 조작 패널과;
    케이스 본체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조작 패널의 이면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 패널을 사이에 끼워 누름 검지 가능한 복수의 터치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조작부의 위치에 대응시켜 상기 복수의 터치 조작부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조작부로 이루어진 검출 에어리어 및 각 조작부의 검출 에어리어간의 위치에 대응시켜 복수의 터치 조작부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조작부로 이루어진 오조작 검출 에어리어를 설정 가능한 터치 기판과;
    상기 터치 조작부의 누름 검지 레벨을 검출하는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와;
    상기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에서 검출한 누름 검지 레벨과 미리 설정한 역치를 비교하는 제어부와;
    상기 터치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검출 에어리어의 누름 검지 레벨이 역치 이상일 때에, 이 검출 에어리어에 인접하는 오조작 검출 에어리어의 누름 검지 레벨이 역치 미만일 때에 조작신호를 출력하고, 오조작 검출 에어리어의 누름 검지 레벨이 역치 이상일 때는, 이 오조작 검출 에어리어에 인접하는 검출 에어리어의 조작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전송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
  4. 케이스 본체와;
    복수의 조작부를 구비한 조작 패널과;
    케이스 본체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조작 패널의 이면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 패널을 사이에 끼워 누름 검지 가능한 복수의 터치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조작부의 위치에 대응시켜 상기 복수의 터치 조작부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조작부로 이루어진 검출 에어리어 및 각 조작부의 검출 에어리어사이의 위치에 대응시켜 복수의 터치 조작부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조작부로 이루어진 오조작 검출 에어리어를 설정 가능한 터치 기판과;
    상기 터치 조작부의 누름 검지 레벨을 검출하는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와;
    상기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에서 검출한 누름 검지 레벨끼리를 비교하는 제어부와;
    상기 터치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검출 에어리어의 터치 조작부의 누름 검지 레벨이,
    인접하는 오조작 검출 에어리어의 터치 조작부의 누름 검지 레벨보다 클 때에 검출 에어리어에 대응하는 조작신호를 출력하고, 검출 에어리어의 터치 조작부의 누름 검지 레벨이 인접하는 오조작 검출 에어리어의 터치 조작부의 누름 검지 레벨보다 작을 때는 조작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전송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터치 조작부중, 소정의 터치 조작부의 조작을 검출했을 때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내에, 재차 터치 조작부의 조작을 검출했을 때에는, 재차 조작한 터치 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치 조작부가 조작된 것을 고지하는 고지 수단을 가지며, 상기 터치 조작부의 조작시부터 고지가 완료할 때까지의 시간내에, 조작된 상기 터치 조작부가 재차 조작된 경우에는, 재차 조작된 터치 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조작부의 누름 검지 레벨을 검출하는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를 가지며,
    상기 전송부는, 상기 누름 검지 레벨 검출부에 의해서 상기 터치 조작부가 누름 검지한 상태로부터 누름 검지하고 있지 않는 상태로 바뀌었을 때에, 상기 터치 조작부가 누름 검지하고 있지 않는 상태로 바뀌었을 때에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터치 조작부가 누름 검지한 상태를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고 나서 누름 검지하고 있지 않는 상태로 바뀌어도 상기 터치 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복수의 터치 조작부중, 적어도 2개의 터치 조작부를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조작하면서 이동하는 슬라이드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드 조작된 터치 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검지 레벨의 역치를 자동적으로 보정하여 설정하는 자동 보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자동 보정이 이루어지고 있을 때에, 상기 터치 조작부의 조작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터치 조작부의 조작을 받아들이지 않고 상기 자동 보정을 행하는 보정 우선 모드, 또는 상기 자동 보정을 취소하고 상기 터치 조작부의 조작을 우선하는 조작 우선 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기판은, 상기 복수의 터치 조작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전극을, 상기 터치 기판에 대해서 한방향에만 병설하고, 사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가로방향에 병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
KR1020090025009A 2008-03-24 2009-03-24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 KR101039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76131 2008-03-24
JP2008076131 2008-03-24
JPJP-P-2008-152126 2008-06-10
JP2008152126 2008-06-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860A true KR20090101860A (ko) 2009-09-29
KR101039903B1 KR101039903B1 (ko) 2011-06-09

Family

ID=41359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009A KR101039903B1 (ko) 2008-03-24 2009-03-24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5195556B2 (ko)
KR (1) KR101039903B1 (ko)
CN (1) CN101553067B (ko)
TW (1) TWI416293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719B1 (ko) * 2009-10-22 2013-01-09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벽스위치 장치
KR101222993B1 (ko) * 2009-12-16 2013-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장치 및 터치패널의 터치 검출방법
KR20150106354A (ko) * 2014-03-11 2015-09-21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0189B2 (ja) * 2010-12-17 2015-08-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度センサスイッチ
JP5323226B1 (ja) * 2012-05-15 2013-10-23 ▲チョ▼錦雄 インテリジェント型壁面スイッチモジュール
JP5670498B2 (ja) * 2013-03-08 2015-02-18 シャープ株式会社 機能管理装置、遠隔制御システム、機能管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145930B2 (ja) * 2013-06-05 2017-06-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壁取付用スイッチ
JP6173563B2 (ja) * 2014-03-19 2017-08-02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JP6516220B2 (ja) * 2015-06-25 2019-05-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器具及び照明システム
JP6369728B2 (ja) * 2017-01-05 2018-08-08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監視端末器及びこの監視端末器を用いた照明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1568A (ja) * 1991-09-30 1993-04-09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H07212851A (ja) * 1994-01-14 1995-08-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表示操作端末器
US5459780A (en) * 1994-01-31 1995-10-17 At&T Ipm Corp. Work at home agent ACD call distribution
US5546452A (en) * 1995-03-02 1996-08-13 Geotel Communications Corp. Communications system using a central controller to control at least one network and agent system
JPH09244810A (ja) * 1996-03-07 1997-09-19 Toshiba Corp タッチパネルコントローラおよびプロセス監視制御装置
JP2002318664A (ja) * 2001-04-18 2002-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制御装置、タッチパネル制御方法、およびタッチパネル制御プログラム
TWI282225B (en) * 2002-12-31 2007-06-01 Inventec Corp Distant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05031786A (ja) * 2003-07-08 2005-02-03 Fujitsu Ten Ltd 文字入力装置
CN1615062A (zh) * 2003-11-04 2005-05-11 河村电器产业株式会社 用于控制照明的系统
JP2006137282A (ja) * 2004-11-11 2006-06-01 Denso Corp リモコン装置および車両用表示装置
KR101168987B1 (ko) * 2006-07-25 2012-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719B1 (ko) * 2009-10-22 2013-01-09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벽스위치 장치
KR101222993B1 (ko) * 2009-12-16 2013-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장치 및 터치패널의 터치 검출방법
KR20150106354A (ko) * 2014-03-11 2015-09-21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53067B (zh) 2014-01-29
TW201001113A (en) 2010-01-01
KR101039903B1 (ko) 2011-06-09
JP2013051738A (ja) 2013-03-14
TWI416293B (zh) 2013-11-21
JP2010021987A (ja) 2010-01-28
CN101553067A (zh) 2009-10-07
JP5195556B2 (ja)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903B1 (ko) 원격제어용 감시 단말기
KR20100094382A (ko) 조명을 받는 지문센서와 그 방법
JP2011523494A (ja) 局所的な照明装置の制御を含む、エリア・ベースの照明制御システム
US20100214317A1 (en)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JP4727965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2002297317A (ja) 操作パネル入力装置
AU2013100505A4 (en) Power Outlet Socket Sensor Switch
JP4683186B2 (ja) スイッチ装置
TW201436640A (zh) 開關系統及使用於該開關系統之牆壁開關
JP6037651B2 (ja) 照明制御装置及び照明制御システム
JP5234343B2 (ja) 遠隔制御用監視端末器及び照明制御システム
JP5645298B2 (ja) 監視端末器及び照明制御システム
JP2000100287A (ja) 操作パネル入力装置
JP7061032B2 (ja) 警報操作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警報器
JP2016218632A (ja) 警報システム
JP2012009265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2004147026A (ja) 操作パネル入力装置
JP4094402B2 (ja) 操作パネル入力装置
RU2797066C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дверного проема лифтов на основе фотозавесы
JP2005050774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101068502B1 (ko) 홈 네트워크 단말장치
JP6906198B2 (ja) ドアホン子機、親機、およ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WO2011096618A1 (ko) 전환형 아이콘표시모듈을 갖춘 리모콘
JP2016224833A (ja) 警報器
JPH11215575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