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112B1 - 전자 책 - Google Patents

전자 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112B1
KR101217112B1 KR1020110011944A KR20110011944A KR101217112B1 KR 101217112 B1 KR101217112 B1 KR 101217112B1 KR 1020110011944 A KR1020110011944 A KR 1020110011944A KR 20110011944 A KR20110011944 A KR 20110011944A KR 101217112 B1 KR101217112 B1 KR 101217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display
electrode
doubl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6015A (ko
Inventor
순페이 야마자키
요시하루 히라카타
테쓰지 이시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110036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8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omprising two independent displays, e.g. for emitting information from two major sides of the 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31Two-side emission, e.g. transparent OLEDs [TOLED]

Abstract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에 관하여, 광은, 발광 소자로부터 반대방향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발광소자에 대향하여 제공되는 양 전극들은, 투명하다. 따라서, 블랙 표시에 있어서 문제점이 생성되고, 콘트라스트는 감소된다. 양 전극들이 투명하기 때문에, 그것은 표시장치의 뒷면이, OFF상태에서 블랙 표시를 통하여 보여질 수 있는 것으로부터 기인한다. 두께의 감소와 가벼운 중량을 달성하는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등에 관하여, 블랙 표시에 문제점을 제기할 때, 깨끗한 블랙 표시가, 편광판 또는 원 편광판을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에 제공함에 의하여 G행해진다. 또한, 콘트라스트는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책{ELECTRONIC BOOK}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제 1 표시면과 제 2 표시면을 갖고, 플렉시블 기판 위에 설치된 양면 표시 패널을 구비한 전자 책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기 EL 소자를 갖는 유기 EL 패널에 있어서 편광판 또는 원 편광판이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참조 1: 일본 특허 No.2761453). 이것은, 표시부에 형성되는 전극에 외부 광이 반사하여 화상의 가시성이 저하하기 때문이다. 특히, 아무런 화상도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극이 거울면이 되어, 배경이 반사된다. 또한 화상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라도, 콘트라스트가 저하하거나, 검은색을 표시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1/2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1/2 파장의 위상차를 일으키는 막의 적층과, 전체적으로 1/4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1/4 파장의 위상차를 일으키는 막의 적층 등의 적층된 파장판 및 그 적층된 파장판과 같은 것을 포함하는 원 편광판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참조 2: 일본 특허 No. 3174367).
EL 소자를 표시부에 갖는 전자장치의 일례로서, 셀룰러 폰을 들 수 있다. 최근의 셀룰러 폰은, 정보와 기능의 증가에 따라, EL 소자를 갖는 패널과 액정소자를 갖는 패널을 포개거나, 액정소자를 갖는 패널끼리를 포개거나 하여, 주화면과, 부화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왔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패널을 포개어 주화면과, 부화면의 표시를 행하는 경우, 전자장치가 무겁고, 두껍게 되어 버렸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표시면을 가지며, 또한 경량, 박형화를 달성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래서, 이러한 새로운 구성을 갖는 표시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할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광소자에 대하여 양면에 발광이 행하여지는 표시장치(양면 출사형 표시장치로 표기한다)를 제공한다.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는, 셀룰러 폰에서, 발광소자를 갖는 표시부를 각각 중복하여 2 화면표시를 행하고 있는 구성과는 기술적으로 다르다. 하나의 발광소자로부터의 발광을, 반도체소자가 설치되어 있는 측과, 그것에 대향하는 측으로부터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를 탑재한 전자장치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는, 발광소자에 대하여 양면에 발광이 행해지기 때문에, 발광소자를 대향하여 설치되는 양전극은 투광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전극에 의한 외부 광반사의 문제는 감소되지만, 검은색의 표시(블랙 표시)가 곤란하다고 하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이것은, 양전극이 투광성을 가지기 때문에, 블랙표시, 즉 표시를 행하지 않은 오프 상태에서는 맞은편이 들여다보이기 때문이다. 블랙표시가 곤란하게 됨에 따라, 콘트라스트도 감소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에서 새로운 문제가 생겼다. 그래서 본 발명은, 깨끗한 블랙표시를 행하는 수 있고, 콘트라스트가 높은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출사면에 편광판, 또는 원 편광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편광판은 90°를 이루는 투과축 및 흡수축(이하, 투과축 또는 흡수축의 각도 편차를 축의 각도 편차로 표기한다)을 갖는다. 더욱이, 편광판의 투과축과 흡수축은 90°를 이루고, 투과축끼리, 또는 흡수축끼리는 각도 편차를 가져도 된다. 허용가능한 각도 편차는, ±45°이하(-45° 내지 +45°범위), 바람직하게는 ±30° 이하(-30°내지 +30°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이하(-10°내지 +10°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5°이하(-5°내지 +5°범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편광판을 사용하면, 비발광상태가 되는 블랙표시를 깨끗하게 행할 수 있고,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다.
다음에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각도 편차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편광판의 흡수축에서 보면, 편광판 A의 흡수축 A와, 편광판 B의 흡수축 B가 90°를 이루는 상태를 크로스니콜(crossed nicol) 상태라고 한다. 또한, 편광판 A의 투과축과, 편광판 B의 투과축이 90°를 이루는 상태도 크로스니콜 상태가 된다.
또한, 흡수축 A와, 흡수축 B가 평행하게 되는 상태를 패러렐 니콜상태라고 한다. 또, 편광판 A의 투과축과, 편광판 B의 투과축이 평행하게 되는 상태도 패러렐 니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각도 편차란, 최초의 각도로부터의 편차를 가리키고,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크로스니콜 상태가 되는 90°로부터의 편차와, 패러렐 니콜 상태일 경우에서는, 흡수축 A와, 흡수축 B가 서로 평행이 되는 상태(0°)로부터의 편차를 가리킨다. 또 투과축을 사용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각도 편차는, 편차 방향(회전방향)에 의해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값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편광판 또는 원 편광판은,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의 구조에 따라서, 출사면에 배치된다. 편광판과 원 편광판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더욱이, 편광판 또는 원 편광판에 반사방지막을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표면의 요철에 의해 반사광을 확산하여, 반사를 저감할 수 있는 안티-글레어(anti-glare)처리를 시행할 수 있다. 또한 편광판, 또는 원 편광판에 가열처리를 시행하는 안티-리플렉션(reflection) 처리를 시행해도 된다. 그 후,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하드코트 처리를 시행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발광소자에 대하여 양면에 발광이 행하여지는 양면출사형 표시장치라는 새로운 구성에서의, 블랙표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콘트라스트를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발광소자로부터의 발광을, 반도체소자가 설치되어 있는 측과, 그것에 대향하는 측으로부터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를 탑재한 전자장치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에서의 블랙표시가 곤란한 점을 해결한다. 깨끗한 블랙표시가 실행되고, 콘트라스트가 편광판 또는 원 편광판을 사용하여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의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실험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실험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를 탑재한 전자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를 탑재한 전자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원 편광판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원 편광판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면에 있어서, 동일부분 또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착하고, 그 반복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에서는,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에 편광판, 또는 원 편광판을 설치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a에는,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의 전체 도면을 나타낸다.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의 패널(100)에, 제 1 편광판(101)이 배치되고, 제 2 편광판(102)은 제 1 편광판과 광축이 90°를 이루는 크로스니콜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편광판의 광축은 크로스니콜 상태로부터 각도 편차를 가져도 되고, 각도 편차는, ±45° 이하, 바람직하게는 ±30°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이하로 한다. 실시형태 2에서, 크로스니콜 상태로부터의 각도 편차가 ±45°이하면, 패러렐니콜 상태의 투과광과 비교하여, 50%의 투과광이 감소된다. 또한, 각도 편차가 ±10°이하의 경우 90% 이상의 투과광이 감소되고, 각도 편차 ±5°이하의 경우 투과광은 99%이상의 투과광이 감소되어, 실용적이다.
패널(100)에는, 발광소자와 반도체소자가 설치되는 표시부(103)와, 구동회로부(104)가 설치되어 있고, 구동회로부(104)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 이방도전성 필름(ACF) 등을 통해 외부회로(105)와 접속하고 있다. 외부회로(105)는, 전원회로 또는 콘트롤러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소자가 설치된 패널의 양면에서 발광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발광소자의 발광색은 모노칼라라도 되고 R, G, B 톤의 풀칼라라도 된다. 예를 들면, 백색 발광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칼라필터 또는, 칼라필터 및 색변환층을 사용하며, 또한 청색 발광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색 변환층을 사용하여 풀칼라 표시 또는 에어리어 칼라표시를 행할 수 있다.
도 1c에는, 패널단면의 확대도면을 나타낸다. 또 본 실시형태의 구동 트랜지스터는, 다결정 실리콘막을 갖는 박막트랜지스터(TFT)를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비정질 실리콘막을 갖는 박막트랜지스터, 단결정을 갖는 MOS형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구동 TFT는 p 채널형의 도전성을 갖지만, n 채널형이어도 가능하다.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표면에 설치된 구동 TFT(110)는, 붕소 등의 불순물원소를 반도체막에 첨가하여 형성된, 소스영역 및 드레인영역이 되는 불순물영역을 가진다. 반도체막에는, 레이저조사, 가열 및/또는 니켈 등의 금속원소를 사용한 결정화 처리가 행하여지고 있다. 반도체막의 채널형성영역상에는, 게이트 절연막을 통해 게이트전극이 설치되어 있다. 게이트전극과 같은 레이아웃으로 주사선(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된다. 게이트전극을 덮도록 제 1 절연막이 설치되어 있고, 제 1 절연막에는 불순물영역상에 콘택홀이 개구된다. 콘택홀에 형성되는 배선은, 소스배선 및 드레인배선으로서 기능하고, 같은 레이아웃으로 신호선(도시하지 않는다)이 설치된다. 드레인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제 1 전극(111)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 1 전극(111)을 덮도록 제 2 절연막이 설치되고, 제 1 전극상에 개구부를 형성한다. 개구부에는, 유기 화합물을 갖는 층(이하, 유기 화합물층(EL 층)으로 표기한다) (112)이 설치되고, 유기 화합물층과 제 2 절연막을 덮도록 제 2 전극(113)이 제공된다. 또한, 유기 물질(저 분자 질량 화합물 또는 고 분자 질량 화합물) 또는 유기 물질과 무기 물질의 합성물질은, 유기 화합물층으로 사용되어도 된다.
더욱이, 단일 여기 상태 또는 삼중 여기 상태는 유기 화합물층에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저 상태는 단일 상태이고, 단일 여기 상태로부터의 발광은 형광이라고 불린다. 삼중 여기 상태로부터의 발광은 인광이라고 불린다. 유기 화합물 층으로부터의 발광은 여기된 상태들을 사용하는 광 방출을 포함한다. 더욱이, 형광 및 인광이 둘 다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형광 또는 인광이 각 RGB의 발광 성질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유기 화합물층(112)은, 양극측으로부터 순차로, HIL(정공주입층), HTL(정공수송층), EML(발광층), ETL(전자수송층), EIL(전자주입층)의 순차로 적층되어 있다. 대표적으로는, HIL으로서 CuPc, HTL로서 α-NPD, ETL로서 BCP, EIL로서 BCP:Li를 각각 사용되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유기 화합물층(112)으로서, 풀칼라표시로 하는 경우, 적색(R), 녹색(G), 청색(B)의 발광을 나타내는 재료를, 각각 증착마스크를 사용한 증착법, 또는 잉크젯법 등에 의해서 적절히 선택적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HIL로서 CuPc 또는 PEDOT, HTL로서 α-NPD, ETL로서 BCP 또는 Alq3, EIL로서 BCP:Li 또는 CaF2를 각각 사용한다. 또한 예를 들면 EML은, R, G, B의 각각의 발광색에 대응한 도펀트(R의 경우 DCM 등, G의 경우 DMQD 등)를 도프한 Alq3을 사용하여도 된다. 이때, 상기 유기 화합물층의 적층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인 유기 화합물층의 적층구조는, 적색의 발광을 나타내는 유기 화합물층(112)을 형성하는 경우, 예를 들면, CuPc를 30nm 형성하고, α-NPD를 60nm 형성한 후, 동일한 마스크를 사용하여, 적색의 발광층으로서 DCM2 및 루부렌이 첨가된 Alq3을 40nm 형성하고, 전자수송층으로서 BCP를 40nm 형성하고, 전자주입층으로서 Li가 첨가된 BCP를 1nm 형성한다. 또한, 녹색의 발광을 나타내는 유기 화합물층(112)을 형성하는 경우, α-NPD를 60nm 막형성한 후, 동일한 증착마스크를 사용하여, 녹색의 발광층으로서 쿠마린 545T가 첨가된 Alq3을 40nm 형성하고, 전자수송층으로서 BCP를 40nm 형성하여, 전자주입층으로서 Li가 첨가된 BCP를 1nm 형성한다. 또한, 청색의 발광을 나타내는 유기 화합물층(112)을 형성하는 경우, 예를 들면, CuPc를 30nm 형성하고, α-NPD를 60nm 형성한 후, 비스[2-(2-하이드록시페닐)벤조옥사졸레이트]아연:Zn(PB0)2을 10nm 형성하고, 전자수송층으로서 BCP를 40nm 막형성하고, 한개 및 같은 마스크를 사용하여 전자주입층으로서 Li가 도핑된 BCP를 1nm 형성하여, 발광층을 형성한다.
이상, 각각의 색의 유기 화합물층 중, 공통하고 있는 CuPc와 α-NPD는, 화소부 전체면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는, 각 색으로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단일 마스크를 적절히 활주시킴으로써 적색의 유기 화합물층, 녹색의 유기 화합물층, 및 청색의 유기 화합물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유기 화합물층의 형성 순서는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백색발광의 경우, 칼라필터, 또는 칼라필터 및 색 변환층 등을 별도 설치하는 것에 따라 풀칼라표시를 행해도 된다. 칼라필터 또는 색 변환층은, 제 2 기판에 설치한 후, 접착하여도 된다. 또한, 아래쪽으로 발광하는 백색광에 대한 칼라필터 또는 색 변환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쪽의 표시면을 풀칼라로 하고, 다른쪽 면을 모노칼라로 하는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도 가능하다.
그리고 질소를 포함하는 패시베이션막(114)을 스퍼터링법 또는 CVD 법에 의해 형성하고, 습기와 산소의 침입을 방지한다. 이 때 형성되는 공간에는, 질소를 봉입하고, 건조제를 배치해도 된다. 또한, 제 1 전극, 제 2 전극, 그 밖의 전극에 의해, 표시부의 측면을 덮어도 된다. 그 후, 밀봉기판을 상기 기판에 접착하고, 기판 및 밀봉기판의 각각에 제 1 편광판(115a) 및 제 2 편광판(115b)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는, 제 1 전극(111) 및 제 2 전극(113)이 투광성을 가지고 있다. 그 결과, 광은 제 1 전극(111)을 통해 발광층으로부터 제 1 표시면으로 방출되고, 광은 제 2 전극(113)을 통해 방광층으로부터 제 2 표시면으로 방출된다. 즉, 발광소자로부터의 발광은, 구동 TFT가 형성되는 기판측과, 그것과 대향하는 밀봉기판측을 통해 출사한다(빛의 출사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참조).
그리고,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에, 크로스니콜 상태가 되도록 제 1 및 제 2 편광판을 배치함에 의해, 발광하고, 표시를 행하고 있는 부분 이외에는, 블랙표시가 되어 어느쪽의 측에서도 보더라도 배경이 들여다보이는 일이 없다. 즉 본 발명에 의해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편광판을 사용하는 것으로 깨끗한 블랙표시를 행할 수 있고, 콘트라스트가 향상된다.
또한,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원 편광판을 사용해도 된다. 또 원 편광판의 광축은, 느린 축과 빠른 축이 있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느린 축을 사용하고, 또한 편광판의 광축은, 흡수축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제 1 편광판(115a)과 제 1 파장판(116a)을 포개고, 제 2 편광판(115b)과 제 2 파장판(116b)을 포개어, 각각 제 1 및 제 2 원 편광판으로서 설치한다. 제 1 및 제 2 파장판은, 한 쌍의 1/4 파장판, 한 쌍의 1/2 파장판, 또는 그 판들의 조합이어도 된다.
이하의 실시예 1에서, 원 편광판과 비교하여 편광판을 사용하는 뛰어난 효과를 보여주는 실험 결과가 설명될 것이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상기 파장판의 조합의 결과를 나타내지만, 제 1 및 제 2 파장판에 1/4파장판과 1/2파장판을 적층한 조합, 또는 1/4파장판을 사용한 조합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에 나타내는 조건 ii와 같이 제 1 편광판의 투과축(제 1 투과축)및 제 1의 1/4파장판의 느린 축(제 1 느린 축)과, 제 2 편광판의 투과축(제 2 투과축)및 제 2의 1/4파장판의 느린 축(제 2 느린 축)이 각각 45°를 이루고, 제 1 및 제 2 투과축끼리는 평행, 즉 패러렐 니콜 상태로 하며, 또한 제 1 및 제 2 느린 축끼리는 평행이 되도록 한다(도 11a 참조). 또한 제 1 및 제 2 흡수축끼리는 수직, 즉 크로스니콜 상태로 하며, 또한 제 1 및 제 2 느린 축끼리는 수직이 되도록 배치해도 된다. 요컨대, 제 1 투과축으로 대하여 제 1 느린 축은 45°를 이루고, 해당 제 1 느린 축으로부터 제 2의 1/4파장판의 느린 축이 90°를 이루며, 또한 편광판의 투과축은 크로스니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들의 구성인 경우, 편광판, 1/4파장판, 패널(발광소자), 1/4파장판, 편광판의 순차로 설치한다.
또한, 실시예 1에 나타내는 조건 iv를 참조하여, 제 1 편광판의 투과축(제 1 투과축) 및 제 1의 1/2파장판의 느린 축과, 제 2 편광판의 투과축(제2 투과축) 및 제 2의 1/2파장판의 느린 축은 각각 17.5°를 이룬다. 제 1 투과축 및 1/4파장판의 제 1 느린 축과, 제 2 투과축 및 1/4파장판의 제 2 느린 축은 각각 80°를 이루고, 평행으로 배치된 제 1 및 제 2 투과축은 즉, 패러렐 니콜이고, 제 1 및 제 2 1/2파장판의 느린 축과, 1/4파장판의 제 1 및 제 2 느린 축은 평행으로 배치된다(도 12참조). 또한 도 11b와 같이, 제 1의 1/4파장판의 느린 축, 제 2의 1/4파장판의 느린 축은, 90°를 이루어도 된다. 이들 구성의 경우, 편광판, 1/2파장판, 1/4파장판, 패널(발광소자), 1/4파장판, 1/2파장판, 편광판의 순차로 설치한다.
실시예 3에서는, 편광판과 비교하여, 원 편광판은 반사광을 방지하는 효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그 때문에, 발광소자의 전극 및 배선 등으로부터의 반사, 요컨대 외부 광의 반사가 문제로 될 때는, 상기한 바와 같이 원 편광판을 설치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의 구성에 따라서, 편광판, 원 편광판, 또는 그것들을 조합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 결과, 깨끗한 블랙표시를 행하여 콘트라스트가 향상된다. 게다가, 원 편광판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반사광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a 내지 도 1d와 다른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원 편광판, 또는 편광판을 구비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c와 다른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란, 빛의 출사방향이 제 1 영역에서는 제 2 전극측으로부터이며, 제 2 영역에서는 제 1 전극측으로부터이다. 그 때문에, 하나의 화소에 복수의 발광소자와, 복수의 구동용 TFT를 가지고, 제 1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1 전극은 비투광성(불투명성)을 가지고, 그에 대향하는 제 2 전극은 투광성(투명성)을 가진다. 제 2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1 전극은 투광성을 가지며, 그에 대향하는 제 2 전극은 비투광성을 가진다. 비투광성을 가지기 위해서, 투광성/반투광성 전극상에, 금속 또는 유색 수지를 갖는 막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비투광성의 재료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블랙표시는 깨끗하게 행할 수는 있다. 그러나, 특히 비투광성을 갖는 전극에 반사성이 높은 금속재료를 사용하면, 외부 광의 반사가 문제가 된다. 그 때문에 편광판이 아니라, 원 편광판을 설치하여도 된다. 원 편광판이 갖는 파장판으로서는, 1/4파장판, 1/2파장판, 또는 그것들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영역측과 제 2 영역측에 설치되는 원 편광판에 있어서, 파장판을 다르게 해도 된다.
도 2a에는, 패널단면의 확대도면을 나타내고, 제 1 영역에는, 제 1 구동 TFT(201), 제 1 구동 TFT(201)에 접속되고, 비투광성재료를 갖는 제 1 전극(203)이 제공된다. 제 2 영역에는, 제 2 구동 TFT(202), 제 2 구동 TFT(202)에 접속되고, 투광성재료를 갖는 제 2 전극(204)이 제공된다.
제 1 전극(203) 및 제 2 전극(204) 상에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층(205)이 설치되고, 발광층상에 제 3 전극(206)이 설치되며, 또한 제 2 영역에서는 제 3 전극(206) 상에 비투광성재료를 갖는 막(207)이 설치된다. 비투광성을 갖는 제 1 전극(203)과 제 2 전극(204)상에 설치되는 막(207)에는, 알루미늄, 티타늄등 금속재료가 사용된다. 투광성을 갖는 제 2 전극(204)과 제 3 전극(206)은, ITO 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반도체막과 접속하는 제 2 전극(204)은, 티타늄을 포함하는 제 1 금속층과, 질화티타늄 또는 질화텅스텐을 포함하는 제 2 금속층과,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제 3 금속층과, 질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제 4 금속층이 적층한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그리고, 질소를 포함하는 패시베이션막(207)을 스퍼터링법 또는 CVD 법에 의해 형성하여, 습기와 산소의 침입을 방지한다. 이 때 형성되는 공간에는, 질소를 봉입하고, 건조제를 배치해도 된다. 또한 제 1 전극, 제 2 전극, 그 밖의 전극에 의해, 표시부의 측면을 덮어도 된다. 그 후, 밀봉기판을 접착하여, 제 1 편광판(208a)과 제 1 파장판(209a)을 포개고, 제 2 편광판(208b)과 제 2 파장판(209b)을 포개어, 각각 제 1 및 제 2 원 편광판을 설치한다.
제 1 및 제 2 파장판은 1/4파장판의 조합이든, 1/2파장판의 조합이든, 또는 그것들을 적층한 파장판의 조합이든 어느 쪽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원 편광판의 광축은 느린 축과, 빠른 축이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느린 축을 사용하며, 또한 편광판의 축은, 흡수축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실시예 1에서, 제 1 및 제 2 파장판에 각각 1/4파장판을 사용하면, 제 1 및 제 2 편광판의 흡수축(투과축으로 대치될 수 있음)(제 1 및 제 2 흡수축)과, 제 1 및 제 2의 1/4파장판의 느린 축(제 1 및 제 2 느린 축)은 각각 45°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제 1 원 편광판이 갖는 제 1 편광판과, 제 2 원 편광판이 갖는 제 2 편광판은 패러렐 니콜 상태, 즉 제 1 편광판의 흡수축과, 제 2 편광판의 흡수축을 평행(0°)으로 하고, 또한 제 1 및 제 2 느린 축끼리가 평행이 되도록 배치하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원 편광판의 구성을 조합해도 되고, 자세한 구성은,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2에 나타낸 제 1 및 제 2 파장판에 각각 1/4파장판, 및 1/2파장판을 사용한 원 편광판의 구성을 조합해도 된다.
게다가 별도의 조합으로서, 제 1의 원 편광판의 파장판에는 1/4파장판을 사용하고, 제 2의 원 편광판의 파장판에는 1/2파장판과 1/4파장판을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 1의 1/2파장판의 느린 축은, 제 1 편광판의 흡수축(투과축으로 대치될 수있음)(제 1 흡수축)과 17.5°를 이루고, 제 1의 1/4파장판의 느린 축은 제 1 편광판의 흡수축과 2×(17.5)+ 45=80°를 이루도록 배치하여도 된다. 이때 제 2 원 편광판에 대해서도, 제 2의 1/4파장판의 느린 축은 제 2 편광판의 흡수축(제 2 흡수축)과 80°를 이루도록 배치하여도 된다. 그리고 제 1 원 편광판이 갖는 제 1 편광판의 흡수축과, 제 2 원 편광판이 갖는 제 2 편광판의 흡수축은 215°를 이루도록 배치하여도 된다.
또한, 편광판의 축은 각도 편차를 가져도 되고, 각도 편차는 ±45°이하, 바람직하게는 ±30°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이하로 한다.
제 1 전극(203) 또는 제 2 전극(204)과, 제 3 전극(206)과의 사이에 전류가 흐르고, 유기 화합물층(205)으로부터 발광한다. 이때, 금속재료를 갖는 제 1 전극(203)은 빛을 반사하고, 제 2 전극(206)은 빛을 투과하기 때문에, 제 1 영역에서는 제 3 전극방향으로 빛이 출사되고, 제 2 영역에서는 제 2 전극방향으로 빛이 출사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구동 TFT를 제공하는 경우가 설명되었지만, 그러나 구동 TFT는 제 1 영역의 발광 소자와 제 2 영역의 발광소자에 의해서 공유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시형태 1에 기재된 유기 화합물층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b에는, 원 편광판으로 바꿔 편광판을 배치하고, 제 1 편광판(208a)과, 제 2 편광판(208b)을 설치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제 2 영역에서의 비투광성을 갖는 제 3 전극의 면적과, 제 1 영역에서의 비투광성을 갖는 제 1 전극의 면적과 크기나, 제 1 영역에서의 표시와, 제 2 영역에서의 표시의 용도를 고려하여, 편광판을 설치하여도 된다.
도 3에는, 도 2에 나타내는 하나의 화소의 회로를 나타낸다. 화소회로에는, 하나의 화소에 유기 화합물층(회로에서는 발광소자로서 기재한다)(205)이 각각 배치되도록 기재하지만, 단면도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듯이 발광층은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서 공유할 수 있다.
도 3a에 나타내는 화소회로는, 제 1 신호선(301a) 및 제 2 신호선(301b)에 각각 접속되고, 주사선(303)에 접속되는 스위칭 TFT(304, 305)를 가진다. 스위칭 TFT(304, 305)에 용량소자(306a, 306b)를 통해 각각 접속되는 전류공급선(302a, 302b)을 가진다. 용량소자(306a, 306b)는 각각 구동 TFT(201, 202)의 게이트·소스 사이의 전압을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렇지만, 구동 TFT(201, 202)의 게이트용량 등에 의해 대용 가능한 경우는, 용량소자(306a, 306b)를 설치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구동 TFT(201, 202)는, 각각 제 1 전극을 통해 발광소자(205)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화소회로에서는, 전류공급선을 각각 배치함에 의해, 제 1 영역만으로 표시하는 경우는, 제 2 영역을 OFF로 할 수 있다. 게다가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에서 다른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표시를 행하는 경우, 주사선(303)이 선택될 때, 제 1 신호선(301a), 제 2 신호선(301b)에서 각각의 표시의 비디오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용량소자(306a, 306b)에 소정의 전하가 유지되고, 구동 TFT(201, 202)가 ON으로 되면, 발광소자로 전류가 공급되어 발광한다.
한쪽의 영역, 예를 들면 제 1 영역을 OFF로 하면, 용량소자(306a)에 전하가 축적되지 않도록, 신호선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이 상대적으로 0이 되는 전압을, 전류공급선(302a)에 입력하여도 된다.
도 3a에서는, 스위칭 TFT(304, 305)로 주사선(303)을 공유하고, 신호선(301a, 301b)이 각각 접속하고 있는 회로도를 나타내지만, 주사선을 각각의 스위칭 TFT에 배치함에 의해, 신호선을 공유할 수 있다.
전류공급선을 공통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이 경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이 같은 표시를 행하게 된다.
용량소자(306a, 306b)의 양단에, 소거 TFT를 설치하고, 시분할 계조표시가 수행된다.
이어서, 도 3b에 나타내는 화소회로는, 구동 TFT(307, 310)에 덧붙여, 발광소자(205)에의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류제어 TFT(308, 309)를 가진다.
구동 TFT(307, 310)와 전류제어 TFT(308, 309)는 같은 전도성을 갖는다. 구동 TFT(307, 310)에는 공핍형 TFT가 사용되고, 나머지 TFT는, 통상의 인핸스먼트(enhancement)형 TFT로 한다. 본 발명에서, 구동 TFT(307, 310)를 포화영역, 전류제어 TFT(308, 309)를 선형영역에서 동작시킨다. 또한, 구동 TFT(307, 310)의 게이트길이(L)를, 게이트폭(W) 보다 길게, 전류제어 TFT(308, 309)의 L을 W와 같게 하든지, 그것보다 짧아도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구동용 TFT(307, 310)의 W에 대한 L의 비(L/W)가 5이상으로 하여도 된다.
다음에, 도 3b에 나타낸 화소의 구동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b에 나타내는 화소는, 그 동작을 기록기간과 저장기간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우선 기록기간에 있어서 주사선(303b)이 선택되면, 게이트가 주사선(303b)에 접속되어 있는 스위칭 TFT(304, 305)가 ON이 된다. 그리고, 신호선(301a, 301b)에 입력된 비디오신호가, 스위칭 TFT(304, 305)를 통해 전류제어용 TFT(308, 309)의 게이트에 입력된다. 또한, 구동 TFT(307, 310)는 게이트가 전류공급선(302a, 302b)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ON 상태이다.
비디오신호에 의해서 전류제어 TFT(308, 309)가 ON이 되는 경우, 전류공급선(302a, 302b)을 통해, 발광소자(205)에 전류가 흐른다. 이때 전류제어 TFT(308, 309)는 선형영역에서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발광소자(205)에 흐르는 전류는, 포화영역에서 동작하는 구동 TFT(307, 310)와 발광소자(205)의 전압전류특성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리고 발광소자(205)는, 공급되는 전류 크기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한다.
또한, 비디오신호에 의해서 전류제어 TFT(308, 309)가 OFF가 되는 경우는, 발광소자(205)에의 전류의 공급은 행해지지 않고, 발광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에서는, 구동 TFT(307, 310)가 공핍형이어도, 전류제어 TFT(308, 309)가 인핸스먼트형이기 때문에, 발광소자(205)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저장기간에서는, 주사선(303b)의 전위를 제어함으로써 스위칭 TFT(304, 305)로 OFF로 하고, 기록기간에 있어서 기록된 비디오신호의 전위를 저장한다. 기록기간에 있어서 전류제어 TFT(308, 309)를 ON으로 한 경우, 비디오신호의 전위는 용량소자(306a, 306b)에 의해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발광소자(205)에의 전류의 공급은 유지되고 있다. 반대로, 기록기간에 있어서 전류제어 TFT(308, 309)를 OFF로 한 경우, 비디오신호의 전위는 용량소자(306a, 306b)에 의해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발광소자(205)에의 전류의 공급은 행해지고 있지 않다.
또한, 시분할 계조표시를 행하는 경우, 소거 TFT(311, 312)에 접속되는 소거 주사선(303a)과 소거 TFT(311, 312)에 의해 소거 기간이 설정될 수 있고, 고계조표시에 바람직하다.
또한, 도 3c에는, 구동 TFT(307, 310)가 주사선(303c)에 접속되는 경우의 화소회로를 나타낸다. 구동 TFT(307, 310)의 게이트전극이 새롭게 배치된 주사선(303c)에 접속된 것 이외는, 도 3b에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기록기간에 있어서 주사선(303b)이 선택되면, 게이트가 주사선 (303b)에 접속되어 있는 스위칭 TFT(304, 305)가 ON이 된다. 그리고, 신호선(301a, 301b)에 입력된 비디오신호가, 스위칭 TFT(304, 305)를 통해 전류제어 TFT(308, 309)의 게이트에 입력된다. 동시에, 비디오신호의 전위는 용량소자(306a, 306b)에 의해서 유지된다.
점등기간에서는 주사선(303c)이 선택되고, 제 2 주사선에 게이트가 접속되어 있는 구동 TFT(307, 310)가 ON이 된다. 이때 용량소자(306a, 306b)에 의해서 유지된 비디오신호의 전위에 의해, 전류제어 TFT(308, 309)가 ON이 되는 경우는, 전류공급선(302a, 302b)을 통해 전류가 발광소자(205)에 공급된다. 이때 전류제어 TFT(308, 309)는 선형영역에서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발광소자(205)에 흐르는 전류는, 포화영역에서 동작하는 구동 TFT(307, 310)와 발광소자(205)의 전압전류특성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리고 발광소자(205)는,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한다.
또한, 용량소자(306a, 306b)에 의해서 유지된 비디오신호의 전위에 의해서 전류제어 TFT(308, 309)가 OFF가 되는 경우는, 발광소자(205)에의 전류의 공급은 행하여지지 않고, 발광소자(205)는 발광하지 않는다.
비점등기간에서는, 제 2 주사선(303c)에 의해, 스위칭 TFT(304, 305)를 OFF로 한다. 이에 따라, 발광소자(205)에의 전류의 공급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때, 비점등기간에 있어서는, 제 2 주사선(303c)을 선택해도, 선택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시간비율 계조표시를 행하는 경우, 소거 TFT(311, 312)에 접속되는 소거주사선(303a) 및 소거 TFT(311, 312)에 의해 소거기간을 설정할 수 있고, 고계조표시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소구성에서는, 다양한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이상, 원 편광판 또는 편광판을 투과율이 가장 낮아지는 상태로 배치함에 의해, 깨끗한 블랙표시를 행하는 수 있고, 또한 반사광도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다.
[실시형태 3]
본 발명의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는, 하나의 표시부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자장치의 표시부의 부분으로서(양면 표시형 패널)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특히, 플라스틱기판 등의 유연성 기판에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양면 표시형 패널)를 설치하는 경우, 섀시의 두께를 제어하거나, 유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우선, 본 발명의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양면 표시형 패널)를, 접는 형의 휴대전화기에, 양면 표시형 패널(1003)을 배치한 예를 도 9a에 나타낸다. 접는 형의 휴대전화기는, 제 1 섀시(1001), 제 2 섀시(1002), 양면표시형패널(1003)을 갖는다. 제 1 섀시(1001)는, 음성출력부(1004), 제 1 표시부(1005)를 갖는다. 제 2 섀시(1002)는, 조작버튼(1006), 음성입력부(1007)를 갖는다. 양면 표시형 패널(1003)은, 제 1 표시면(1008) 및 제 2 표시면을 가진다. 본 발명의 셀룰러 폰은, 제 1 섀시(1001)와 제 2 섀시(1002)의 사이에, 양면 표시형 패널(1003)을 삽입한 구성을 갖는다.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면 표시형 패널(1003)을 제 1 섀시(1001)에 포갠 때에는, 양면 표시형 패널(1003)의 제 1 표시면(1008), 요컨대 하나의 표시면만 화면으로서 사용된다. 이때 양면 출사형 패널에는, 실시형태 1 또는 2에 기재된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를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편광판(1101)을 배치한다. 제 1 표시부(1005)는, 발광소자 또는 액정소자를 갖는 표시패널을 사용할 수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광소자를 갖는 표시패널에 원 편광판(1102)을 배치한다.
또한,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면 표시형 패널(1003)을 제 2 섀시(1002)에 포갠 때에는, 양면 표시형 패널(1003)의 제 2 표시면과 제 1 표시부(1005), 요컨대 2개의 면을 화면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면 출사형 패널을 데이터 입력부로서 사용할 수도 있고, 이때 터치펜(1103)을 사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도 10a는, 노트북 컴퓨터에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413)을 탑재한 예이다. 제 1 섀시(4105)는 제 1 표시부(4101)를 가지고, 제 2 섀시(4106)는 조작버튼(4104) 등을 가지고, 양면 표시형 패널(4103)은 제 1 표시면(4102), 및 제 2 표시면을 갖는다. 양면 표시형 패널(4103)은 제 1 섀시(4105)와 제 2 섀시(4106)의 사이에 삽입된다.
통상의 사용에 있어서는, 하나의 면이 표시부로서 역할하고, 양면 표시형 패널(4103)을 제 1 섀시에 포갠다. 또한, 제 1 표시부(4101)는 제 1 표시면(4102)을 OFF한 채로 제 1 섀시(4105)에 양면 표시 장치를 포개어 표시될 수 있다. 더욱이, 큰 화면이 필요한 때에는 양면표시형 패널을 제 2 섀시에 포개어, 제 2 표시면, 및 제 1 표시부(4101)를 사용하는 2개의 화면을 표시시킨다.
도 10b는, PDA에 양면 표시형 패널(4203)을 탑재한 예이다. 제 1 섀시(4205)는 제 1 표시부(4201)를 가지고, 제 2 섀시(4206)는 조작버튼(4204) 등을 가지고, 양면 표시형 패널(4203)은 제 1 표시면(4202), 및 제 2 표시면을 갖는다. 양면 표시형 패널(4203)은 제 1 섀시(4205)와 제 2 섀시(4206)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통상의 사용에 있어서는, 하나의 면이 표시면으로서 역할하고, 양면 표시형패널(4203)을 제 1 섀시에 포갠다. 또한, 제 1 표시부(4101)는 제 1 표시면(4102)을 OFF한 채로 제 1 섀시(4105)에 양면 표시 장치를 포개어 표시될 수 있다. 더욱이, 큰 화면이 필요한 때에는 양면 표시형 패널을 제 2 섀시에 포개고, 제 2 표시면, 및 제 1 표시부(4201)를 사용하는 2면을 표시시킨다.
도 10c는, 전자 책에 양면 표시형 패널(4303)을 탑재한 예이다. 제 1 섀시(4305)는 제 1 표시부(4301)를 가지고, 제 2 섀시(4306)는 조작버튼(4304) 및 제 2 표시부(4307)를 가지고, 양면 표시형 패널(4303)은, 제 1 표시면, 및 제 2 표시면(4302)을 갖는다. 양면 표시형 패널(4303)은, 제 1 섀시와 제 2 섀시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양면 표시형 패널(4303)을 삽입한 전자 책의 사용방법의 예로서는, 제 1 표시부(4301) 및 제 2 표시면(4302)에서 문장을 읽고, 제 2 표시부(4307) 및 제 1 표시면에서 그림을 참조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때, 양면표시형패널(4303)은, 제 1 표시면과 제 2 표시면(4302)을 동시에 표시할 수는 없기 때문에, 페이지를 넘기기 시작했을 때에, 제 1 표시면의 표시로부터 제 2 표시면의 표시로 바뀔 수 있다.
또한, 제 1 표시부(4301)로부터 제 1 표시면을 읽어, 다음 페이지, 양면 표시형 패널을 넘기기 시작했을 때에, 특정 각도에서 제 2 표시면 및 제 2 표시부는 다음 페이지를 표시한다. 또한, 제 2 표시면(4302) 및 제 2 표시부(4307)가 다 읽혀져서, 양면 표시형 패널을 넘기기 시작하면, 어떤 각도에서 제 1 표시면 및 제 1 표시부(4301)가 다음페이지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화면의 전환이 눈에 보이지 않도록 하고, 시각적인 위화감 등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위화감을 감소하기 위해서, 유연성기판에 양면 출사형 패널을 설치하여도 된다.
<실시예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에 메탈 핼라이드 램프(SIGMA KOKI 제조) IMH-250을 사용하여 편광판 및 파장판의 조합에 의한 투과율의 평가를 행했다.
편광판 또는 파장판(위상차판이라고도 부름, 1/4파장의 위상차를 주는 것, 1/2파장의 위상차를 주는 것을 사용)의 배치조건은 이하와 같다. 배치조건은 광원으로부터의 순서와, 편광판의 투과축과 파장판의 느린 축이 이루는 각도를 나타내고 있다.
i. 편광판 A / 편광판 B
ii. 편광판 A / 1/4파장판(45°) / 편광판 B
iii. 편광판 A / 1/2파장판(45°) / 1/2파장판(45°) / 편광판 B
iv. 편광판 A / 1/4파장판(80°) / 1/4파장판(80°) / 1/2파장판(17.5°) / 편광판 B
조건 iii, iv에서는 파장판의 위상의 합계가 1λ로 되어있다.
도 5a에는, 조건 ii일 경우의 측정 시스템을 나타낸다. 광원(51)과, 투과율측정기 BM5A(수광장치)(52)와의 사이에, 1/4파장판의 느린 축이, 편광판의 투과축에 대하여 45°를 이루도록(도 5b), 편광판(Pol)(53), 1/4파장판(54)을 배치하고 있다.
조건 최대치 최소치 규격치
(최소치/최대치)
i 526.8(0도) 0.352(90도) 7.E-04
ii 397(90도) 15(0도) 3.E-02
iii 375.2(0도) 36.37(90도) 9.E-02
iv 374.5(305도) 7.49(215도) 2.E-02
표 1에, 배치조건 i부터 iv에서의 투과광(cd/m2)의 최대치와 최소치, 및 규격치(최소치/최대치)의 값을 나타낸다.
표 1에서, 편광판만의 조합이, 광유출이 가장 작고, 블랙레벨이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파장판을 포함하는 조합 중, 조건 iv의 블랙레벨이 가장 좋지만, 그러나 편광판하고만 비교하면 블랙레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조건 iii의 1/2파장판을 2장 사용하는 경우, 본 실험에 있어서 가장 블랙레벨이 나빴다.
파장판을 사용한 경우, 블랙레벨이 나빠지는 것은, 중앙파장이외의 파장성분이 타원편광 등이 되고, 따라서 편광판의 흡수축으로부터 오차가 생긴다. 더욱이, 중앙 파장의 파장을 갖는 광이더라도 파장판에 입사하는 각 때문에 그러한 오차가 생길 수 있다. 1/2 파장판을 포함하는 구성인 조건 iii에 대하여, 타원 성분은 증가하고, 1/4 파장판을 포함하는 구성에서 보다 더 오차가 생긴다. 더욱이, 1/2파장판 및, 1/4파장판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건 iv에서는, 오차는 광 대역 범위를 커버하기 위하여 파장판을 구성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특히, 오차는 조건 ii의 1/4파장판의 연결 구성시의 반만큼, 조건 iii의 1/2파장판의 연결구성의 1/4정도로 감소된다. 그러나, 타원성분은 완전히 억제되지 않는다. 편광판만을 갖는 구조의 경우와 비교하면, 블랙표시가 퇴화된다.
그 결과, 전극부에서의 반사가 적은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의 경우는, 편광판의 조합만이 블랙표시의 질을 증가할 수 있고, 콘트라스트를 개선하기 위해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
양면 출사형 표시장치가 실시형태 2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조를 갖는 경우는, 원 편광판을 사용해도 되는 것은 상술한 것과 같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조건 i과 같이 배치한 편광판 A, B의 각도 의존성을 측정하였다. 이하에 결과를 나타낸다.
우선, 편광판 A 및 B는 크로스니콜로서 90°로 배치된다. 도 5a의 측정계를 사용하여 크로스니콜로부터 편광판 A의 축의 각도를 비키어 놓았을 때의 투과광과, 각도 편차의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표 2에서, 투과된 광의 세기는 크로스니콜의 값으로 규격화된다. 따라서, 규격화된 세기는 투과율과 동등하다. 흡수축은 여기서 편광판의 축으로 사용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편광판 A, B의 허용가능한 각도 편차는, 세기가 50% 정도 감소하는 ±45°이하, 바람직하게는 세기가 30% 정도 저하하는 ±30°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세기가 99% 정도 저하하는 ±10°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이하가 생각된다.
각도(°) 세기(규격화) 각도(°) 세기(규격화)
0 0.000668185 0 0.000662273
5 0.005187927 -5 0.012926457
10 0.025873197 -10 0.040802292
15 0.065451784 -15 0.087277937
20 0.118033409 -20 0.140687679
25 0.183921792 -25 0.214708691
30 0.233295368 -30 0.262082139
40 0.392179195 -35 0.344794651
45 0.47911921 -40 0.430563515
50 0.576689446 -45 0.519579752
60 0.731017464 -50 0.601337154
70 0.871298405 -60 0.757402101
80 0.958807897 -70 0.89321872
90 1 -80 0.977459408
-90 1
또한, 표 2에 근거한 그래프를 도 7에 나타낸다.
이때, 본 실험에서는 광원에 메탈 핼라이드 램프를 사용하고 있고, 발광소자를 실제로 갖는 패널을 사용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발광소자의 발광휘도가 높으면 허용할 수 있는 각도 편차의 허용범위는 커지고, 콘트라스트가 충분히 얻어진다고 생각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에 메탈 핼라이드 램프(SIGMA KOKI 제조) IMH-250을 사용하여 편광판, 또는 각종 원 편광판을 사용하여 반사광 세기를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이 실험으로, 편광판 또는 다양한 원 편광판에 의하여 감소될 수 있는 외부 광의 반사양은 측정될 수 있다.
우선,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제작한 시료를 준비하였다.
i. 유리기판 / 금속막
ii. 유리기판 / 금속막 / 편광판
iii. 유리기판 / 금속막 / 1/4파장판(45°) / 편광판
iv. 유리기판 / 금속막 / 1/4파장판(80°) / 1/2파장판(17.5°) / 편광판
v. 유리기판 / 금속막 / 1/4파장판(45°) / 1/2파장판(45°) / 편광판
vi. 유리기판 / 금속막 / 1/2파장판(45°) / 편광판
본 실험에서, 금속막은 스퍼터링법에 의해 Al-Ti 막을 1000Å 막형성하였다.
(실시예 3)
도 6에는, 시료 iii일 경우의 측정계를 나타낸다. 반사광(cd/m2)의 세기는 다음과 같은 조건하에서 측정되었다: 금속막(63)은 유리판(62) 위에 형성되었다. 광은 광원(60)으로부터 방출되고, θ=30°의 각에서 원 편광판 또는 편광판(64)을 포함하는 시료로 들어간다. 반사광 측정장치 BM-5A(수광장치, TOPCON에서 제작되었음)(61)를 시료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하였다.
시료 반사광의 세기
i 28
ii 13
iii 5.4
iv 5
v 5.8
vi 20
표 3에는, 시료 i~vi의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반사광의 방지효과가 높은 것은 시료 iii, iv, v이다.
또한, 시료 i~vi에 대하여, 자기분광 광도계 U4000(히타치 제작소 제조)에 의해 반사광을 400nm~800nm의 범위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낸다.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특히, 시료 iii, iv에서는, 넓은 범위에서 바람직한 저반사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표 3과 비교하면, 편광판, 또는 파장판을 설치하는 경우, 반사광을 상당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보여지듯이, 편광판 또는 다양한 원 편광판은 적용에 따라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100: 패널 101: 제 1 편광판
102: 제 2 편광판 111, 203: 제 1 전극
112, 205: 유기 화합물층 113, 204: 제 2 전극
114, 207: 패시베이션막 115a, 115b, 208a, 208b: 편광판
201: 제 1 구동 TFT 202: 제 2 구동 TFT
206: 제 3 전극 209a, 209b: 파장판

Claims (11)

  1. 삭제
  2. 제 1 표시면과 제 2 표시면을 갖고, 플렉시블 기판 위에 설치된 양면 표시 패널을 구비한 전자 책으로서,
    상기 양면 표시패널은 한 쌍의 편광판, 상기 한 쌍의 편광판 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투명전극, 및 상기 한 쌍의 투명전극 사이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편광판은 크로스니콜 상태로 배치되고,
    페이지를 넘길 때, 상기 제 1 표시면의 표시가 상기 제 2 표시면의 표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책.
  3. 제 1 표시면과 제 2 표시면을 갖고, 플렉시블 기판 위에 설치된 양면 표시 패널을 구비한 전자 책으로서,
    상기 양면 표시패널은 한 쌍의 편광판, 상기 한 쌍의 편광판 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투명전극, 및 상기 한 쌍의 투명전극 사이에 설치된 발광층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편광판 중 하나의 축과 상기 한 쌍의 편광판 중 다른 하나의 축이 45°내지 135°를 이루고,
    페이지를 넘길 때, 상기 제 1 표시면의 표시가 상기 제 2 표시면의 표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책.
  4. 삭제
  5. 제 1 표시면과 제 2 표시면을 갖고, 플렉시블 기판 위에 설치된 양면 표시 패널을 구비한 전자 책으로서,
    상기 양면 표시패널은 제 1 영역에 설치된 투명한 제 1 전극과,
    제 2 영역에 설치된 불투명한 제 2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위에 설치된 발광층과,
    상기 발광층 위에 설치된 제 3 전극과,
    상기 제 3 전극 위에 설치된 불투명한 재료를 포함하는 막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전극은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과 중첩하고,
    페이지를 넘길 때, 상기 제 1 표시면의 표시가 상기 제 2 표시면의 표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책.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편광판과 제 2 편광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전극, 상기 제 2 전극, 상기 발광층, 상기 불투명한 재료를 포함하는 막, 및 상기 제 3 전극은 상기 제 1 편광판과 상기 제 2 편광판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편광판과 상기 제 2 편광판은 크로스니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책.
  7.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편광판과 제 2 편광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전극, 상기 제 2 전극, 상기 발광층, 상기 불투명한 재료를 포함하는 막, 및 상기 제 3 전극은 상기 제 1 편광판과 상기 제 2 편광판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편광판의 축과 상기 제 2 편광판의 축은 45°내지 135°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책.
  8.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원 편광판과 제 2 원 편광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전극, 상기 제 2 전극, 상기 발광층, 상기 불투명한 재료를 포함하는 막, 및 상기 제 3 전극은 상기 제 1 원 편광판과 상기 제 2 원 편광판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책.
  9.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책은 상기 양면 표시패널을 넘기는 동안 미리 결정된 각도에서 다음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책.
  10.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표시 영역을 갖는 제 1 섀시; 및
    제 2 표시 영역을 갖는 제 2 섀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양면 표시 패널은 상기 제 1 섀시와 상기 제 2 섀시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책.
  11. 제 10 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제 1 표시면에서 그림을 보면서 상기 제 1 표시 영역에서 문장을 읽을 수 있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 2 표시 영역에서 그림을 보면서 상기 제 2 표시면에서 문장을 읽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책.
KR1020110011944A 2003-05-16 2011-02-10 전자 책 KR1012171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39546 2003-05-16
JPJP-P-2003-139546 2003-05-16
JPJP-P-2003-188990 2003-06-30
JP2003188990A JP4131838B2 (ja) 2003-05-16 2003-06-30 表示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087A Division KR101086799B1 (ko) 2003-05-16 2004-05-14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015A KR20110036015A (ko) 2011-04-06
KR101217112B1 true KR101217112B1 (ko) 2012-12-31

Family

ID=330324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087A KR101086799B1 (ko) 2003-05-16 2004-05-14 표시장치
KR1020110011944A KR101217112B1 (ko) 2003-05-16 2011-02-10 전자 책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087A KR101086799B1 (ko) 2003-05-16 2004-05-14 표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95382B2 (ko)
EP (1) EP1478033A3 (ko)
JP (1) JP4131838B2 (ko)
KR (2) KR101086799B1 (ko)
CN (1) CN100505369C (ko)
SG (1) SG115685A1 (ko)
TW (1) TWI35996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3762A (ko) * 2016-03-24 2017-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6776B2 (ja) * 2003-04-02 2010-08-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JP4614633B2 (ja) * 2003-04-09 2011-01-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子機器
JP5178625B2 (ja) * 2003-05-16 2013-04-1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子ブック
US7161185B2 (en) * 2003-06-27 2007-01-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7772756B2 (en) 2003-08-01 2010-08-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a dual emission panel
JP4316960B2 (ja) 2003-08-22 2009-08-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装置
JP3938126B2 (ja) 2003-09-24 2007-06-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8884845B2 (en) * 2003-10-28 2014-11-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JP4485184B2 (ja) * 2003-12-15 2010-06-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8681140B2 (en) 2004-05-21 2014-03-2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565674B1 (ko) * 2004-05-21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7420324B2 (en) * 2004-06-03 2008-09-02 Lg Display Co., Ltd. Organic EL display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0637164B1 (ko) * 2004-06-26 2006-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능동 구동형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092908A (ja) * 2004-09-24 2006-04-06 Tohoku Pioneer Corp 両面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電子機器
JP4692986B2 (ja) * 2004-12-17 2011-06-01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JP4586560B2 (ja) * 2005-02-15 2010-1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印刷装置
KR100714010B1 (ko) 2005-04-07 2007-05-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
TWI295144B (en) 2005-06-10 2008-03-21 Au Optronics Corp Dual emitting device
US20060289879A1 (en) * 2005-06-27 2006-12-28 Intel Corporation Dual-face display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8217572B2 (en) * 2005-10-18 2012-07-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with prism layer
KR100722115B1 (ko) * 2005-11-03 2007-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TWI398705B (zh) * 2005-11-04 2013-06-11 Semiconductor Energy Lab 顯示裝置
KR100722116B1 (ko) * 2005-11-07 2007-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양면발광형 유기 발광표시장치
JP2007180024A (ja) * 2005-11-30 2007-07-1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
WO2007063782A1 (en) 2005-11-30 2007-06-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EP1793264A1 (en) * 2005-12-05 2007-06-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07072766A1 (en) * 2005-12-22 2007-06-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JP5201827B2 (ja) * 2005-12-22 2013-06-0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
EP1804114B1 (en) * 2005-12-28 2014-03-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EP1804115A1 (en) * 2005-12-28 2007-07-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EP1826604B1 (en) * 2006-01-31 2015-12-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EP1832915B1 (en) * 2006-01-31 2012-04-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contrast
EP1816508A1 (en) 2006-02-02 2007-08-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WO2007088954A1 (en) * 2006-02-02 2007-08-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JP5386063B2 (ja) * 2006-02-02 2014-01-1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EP1826606B1 (en) 2006-02-24 2012-12-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EP1826605A1 (en) 2006-02-24 2007-08-2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US20070267057A1 (en) * 2006-05-17 2007-11-22 Haluzak Charles C Optical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20080006833A1 (en) * 2006-06-02 2008-01-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189141B2 (en) 2006-06-02 2012-05-2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DE102007014287B4 (de) * 2007-03-19 2012-03-29 Felicitas Kobus Mobile Anzeigevorrichtung und Betriebsverfahren hierfür
JP5270120B2 (ja) * 2007-07-25 2013-08-21 グローバル・オーエルイーディー・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デュアル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965258B1 (ko) * 2008-08-27 2010-06-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5228805B2 (ja) * 2008-10-31 2013-07-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積層1/4波長板
KR102012160B1 (ko) 2009-05-02 2019-08-1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패널
KR101084188B1 (ko) 2010-01-21 2011-11-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2011203726A (ja) * 2010-03-05 2011-10-13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
KR20110108697A (ko) * 2010-03-29 2011-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에 채용되는 편광 구조 장치
JP2011221070A (ja) * 2010-04-05 2011-11-04 Seiko Epson Corp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発光装置の駆動方法
KR101880184B1 (ko) * 2011-02-14 2018-07-1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장치
KR101885698B1 (ko) * 2011-06-27 2018-08-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US9721998B2 (en) 2011-11-04 2017-08-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12118552A (ja) * 2012-01-16 2012-06-21 Global Oled Technology Llc デュアル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40061610A1 (en) * 2012-08-31 2014-03-06 Hyo-Young MU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50843B1 (ko) * 2012-11-26 2019-0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면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127207A (ko) 2013-03-11 2015-11-16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투명 디스플레이
JP6429102B2 (ja) * 2014-04-22 2018-11-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20230057673A1 (en) * 2020-01-06 2023-02-23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CN111430414A (zh) * 2020-03-31 2020-07-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制备方法、显示装置
CN112786668A (zh) * 2021-01-08 2021-05-1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双面显示面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9706A (ja) 2000-10-04 2002-08-16 Masanobu Kujirada 見開きページ情報を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3058081A (ja) 2001-08-09 2003-02-28 Casio Comput Co Ltd 電子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4367B2 (ja) 1991-10-07 2001-06-11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波長板及び円偏光板
US6067082A (en) 1992-11-09 2000-05-23 Enmei; Toshiharu Portable communicator
JP2761453B2 (ja) 1993-11-17 1998-06-04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el素子および有機elパネル
WO1997007653A1 (en) 1995-08-11 1997-02-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oluminescent lamp using multilayer optical film
CN1310930A (zh) 1999-03-29 2001-08-29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组合物及膜的制造方法以及功能元件及其制造方法
JP2002040428A (ja) 1999-09-28 2002-02-06 Stanley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
ATE287114T1 (de) * 2000-04-14 2005-01-15 C 360 Inc Leuchtsichtvorrichtung ,anzeigesystem mit derselben und verfahren zur visualisierung dafür
JP2003005710A (ja) 2001-06-25 2003-01-08 Nec Corp 電流駆動回路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3029039A (ja) 2001-07-17 2003-01-29 Nitto Denko Corp 円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3895952B2 (ja) 2001-08-06 2007-03-22 日本電気株式会社 半透過型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941561B2 (ja) * 2001-09-14 2007-07-04 三菱電機株式会社 両面表示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情報機器
JP4166455B2 (ja) * 2001-10-01 2008-10-1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偏光フィルム及び発光装置
JP2004095340A (ja) * 2002-08-30 2004-03-25 Seiko Instruments Inc 自発光型表示装置
JP2004205702A (ja) 2002-12-24 2004-07-22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表示装置およびモバイル装置
EP1598796B1 (en) * 2003-02-28 2013-10-1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and folding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9706A (ja) 2000-10-04 2002-08-16 Masanobu Kujirada 見開きページ情報を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3058081A (ja) 2001-08-09 2003-02-28 Casio Comput Co Ltd 電子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3762A (ko) * 2016-03-24 2017-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51055B1 (ko) * 2016-03-24 2024-03-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95382B2 (en) 2009-02-24
KR101086799B1 (ko) 2011-11-25
TW200500722A (en) 2005-01-01
CN1551701A (zh) 2004-12-01
EP1478033A3 (en) 2005-09-14
EP1478033A2 (en) 2004-11-17
TWI359967B (en) 2012-03-11
KR20110036015A (ko) 2011-04-06
US20040227698A1 (en) 2004-11-18
SG115685A1 (en) 2005-10-28
CN100505369C (zh) 2009-06-24
JP4131838B2 (ja) 2008-08-13
KR20040099140A (ko) 2004-11-26
JP2005038608A (ja) 2005-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112B1 (ko) 전자 책
US9448437B2 (en) Display apparatus for controlling optical transmissivity
KR101114890B1 (ko) 발광 장치 및 전자 장치들
KR101407586B1 (ko) 모드에 따라 광반사율을 변화시키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TWI425460B (zh) 顯示裝置
TWI439171B (zh) 顯示裝置
US7573191B2 (en) Organic EL device having a transflective layer and a light-reflective electrode constituting an optical resonator
EP261837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JP4887585B2 (ja) 表示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情報表示装置
US9436053B2 (en) Display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US873679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ith liquid crystal layer
KR10109429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050112920A (ko) 광차단막을 구비한 양면 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장치 및 정보 기기
JP5764185B2 (ja) El表示装置
JP4749004B2 (ja) 表示装置
JP5178625B2 (ja) 電子ブック
JP5316590B2 (ja) El表示装置
JP2002196705A (ja) 画像表示装置
KR20040042249A (ko) 액정 표시부를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JP2013068964A (ja) El表示装置
JP2005038838A (ja)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230217771A1 (en) Display device
JP2018146730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動作方法
JP2007180024A (ja) 表示装置
JP5201827B2 (ja) 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