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2920A - 광차단막을 구비한 양면 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장치 및 정보 기기 - Google Patents

광차단막을 구비한 양면 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장치 및 정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2920A
KR20050112920A KR1020040038362A KR20040038362A KR20050112920A KR 20050112920 A KR20050112920 A KR 20050112920A KR 1020040038362 A KR1020040038362 A KR 1020040038362A KR 20040038362 A KR20040038362 A KR 20040038362A KR 20050112920 A KR20050112920 A KR 20050112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locking
blocking film
light
liquid crystal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3516B1 (ko
Inventor
박영종
송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8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3516B1/ko
Priority to US11/124,395 priority patent/US7772765B2/en
Publication of KR20050112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2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5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42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for double-sid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31Two-side emission, e.g. transparent OLEDs [TOLED]

Abstract

본 발명은 광차단막을 구비한 양면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정보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 및 선택 신호에 상응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부를 구비하는 양면표시 유기 전계발광 화상표시부와, 화상표시부 상에 배치되며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빛을 차단 또는 투과시키는 광차단막, 그리고 복수의 화소부에 데이터 전압 및 선택 신호를 각각 공급하며 광차단막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드라이버 회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차단막을 구비한 양면 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정보 기기{Double sid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information terminal having a shutter}
본 발명은 광차단막을 구비한 양면 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정보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계발광(electro-luminescent; EL)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의 무기물 층 또는 유기물 층에 음극과 양극을 통하여 주입된 전자와 정공에 의해 여기자가 형성되고, 형성된 여기자로부터 특정한 파장의 빛이 방출되는 현상을 말하며, 재료에 따라 무기 EL과 유기 EL로 나누어진다.
무기 EL은 기본적으로 형광체 층을 중심으로 상부 절연층 및 하부 절연층으로 구성된 박막형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절연 재료를 포함한 반사층과 형광체를 포함한 절연 바인더로 구성된 후막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무기 EL을 이용한 전계발광 소자는 낮은 휘도 특성 및 낮은 효율 특성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응용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디바이스 특성의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유기 EL은 전자를 주입하는 전극과 전공을 주입하는 전극으로부터 각각 전자와 정공을 발광층 내부로 주입시켜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한 여기자가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천이할 때 빛이 발생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기 EL 현상을 이용한 유기 EL 소자는 광범위한 연구 노력의 결과, 저 전압 구동, 저 소비전력, 고휘도의 자체발광, 수 마이크로 세컨드의 빠른 응답속도, 광시야각, 경량, 박형, 저 생산비용 등의 장점을 가진 평판 디스플레이로서 관련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유기 EL 소자를 설명한다. 도 1은 유기 EL 소자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기 EL 소자(100)는 기본적으로 유리 기판(102), 애노드 전극(104), 발광층(108) 및 캐소드 전극(112)을 포함한다. 또한 유기 EL 소자(100)는 애노드 전극(104)과 캐소드 전극(112)으로부터 전자와 전공의 주입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공 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HIL; 106)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 EIL; 110)을 포함한다. 양면 발광 구조인 경우, 애노드 전극(104)과 캐소드 전극(112)은 ITO(Indium Tin Oxide) 전극과 같은 투명 전극으로 각각 형성된다. 또한, 유기 EL 소자(100)에는 소자 특성의 개선을 위해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또는 정공 저지층(hole blocking layer; HBL) 등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유기 EL 소자(100)는 소자 내부로 유입되는 전류에 비례하여 발광한다. 또한, 상술한 양면 발광 구조의 유기 EL 소자(100)는 적어도 전면 방향과 배면 방향으로 발광한다.
도 2는 종래의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유기 EL 화상표시부(204), 주사 구동부(206) 및 데이터 구동부(208)를 포함한다. 유기 EL 화상표시부(204)는 주사 구동부(206)로부터 예를 들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주사선(S1-Sn)과, 데이터 구동부(208)로부터 예를 들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데이터선(D1-Dm), 그리고 복수의 화소부(202)를 포함한다. 각 화소부(202)는 복수의 주사선(S1-Sn)과 복수의 데이터선(D1-Dm)으로 정의되는 화소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주사 구동부(206)는 각 화소부(202) 내의 유기 EL 소자(미도시)를 구동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제어하고, 제어된 선택 신호를 주사선(S1-Sn)에 공급한다. 선택 신호는 주사선을 통해 각 화소부(202) 내의 스위칭 소자(미도시)에 전달되어 스위칭 소자가 턴온 또는 턴오프되도록 기능한다. 데이터 구동부(208)는 각 화소부(202)의 화상 신호를 나타내는 데이터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하고, 제어된 데이터 전압 또는 전류를 각 데이터선(D1-Dm)에 공급한다. 화소부(202)는 적색(R), 녹색(G), 청색(B)의 부화소(미도시)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종래의 양면표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는 양쪽면으로 빛을 발광하여 화상을 화면을 표시한다.
그러나, 종래의 양면표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유기 EL 소자의 양쪽 전극으로 투명 전극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한쪽 화면에 표시된 화상을 볼 때 반대쪽 화면을 통해 빛이 투과되어 화면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정확하게 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양면표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가 탑재된 휴대 단말등의 정보 기기에서는 주위 환경의 조도에 따라 정보 기기의 화상 표시에 대한 시인성이 크게 악화된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주위 환경의 조도가 높은 경우에 휴대 단말의 화상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를 잘 볼 수 없게 된다.
또한, 종래의 정보 기기에서는 사용자가 주위 환경의 조도에 따라 화상표시부의 조도를 높여도 시인성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예를 들면, 낮에 외부에서나 밝은 곳에서 양면표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가 탑재된 종래의 폴더형 휴대 단말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화상표시부의 휘도를 높여도 화상표시부의 양쪽면이 주위의 밝은 조도에 노출되어 있어 현재 보고 있는 화면의 정보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종래의 양면표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 등의 정보 기기에서는 주위 환경의 조도 변화에 따라 화면의 시인성이 크게 악화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양면이 표시되는 화상표시부에서 뒤쪽 배경이 앞쪽 화면에 투영되지 않도록 기능하는 광차단막을 구비한 양면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차단막을 구비한 양면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주위 환경의 밝은 조도에서도 시인성 확보가 매우 용이한 정보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 및 선택 신호에 상응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부를 구비하는 양면표시형 화상표시부와, 화상표시부 상에 배치되며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빛을 차단 또는 투과시키는 광차단막, 그리고 복수의 화소부에 데이터 전압 및 선택 신호를 각각 공급하며, 광차단막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드라이버 회로부를 포함하는 양면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 및 선택 신호에 상응하여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화소부를 구비하는 양면표시형 화상표시부와, 화상표시부 상에 배치되며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빛을 차단 또는 투과시키는 광차단막과, 복수의 화소부에 데이터 전압 및 선택 신호를 각각 공급하며, 광차단막에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드라이버 회로부와,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이 메모리에 결합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기저대역 처리부, 그리고 기저대역 처리부와 안테나 사이에 연결되는 고주파 처리부를 포함하는 정보 기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양면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드라이버 회로부에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화면상태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면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표시부, 광차단막 및 드라이버 회로부를 고정적으로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또한, 화면상태 감지부는 하우징에 배치되며 화상표시부의 회전 상태 또는 개방 상태에 따라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슬라이드 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면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차단막의 광차단 또는 광투과 상태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한다.
또한, 광차단막은 편광변조형 액정, 산란형 액정, 흡수형 액정, 강유전성 액정 및 반강유전성 액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또한, 광차단막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제1 및 제2 유리 기판과, 제1 및 제2 유리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투명 전극과, 제1 및 제2 투명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배향막, 그리고 제1 및 제2 배향막 사이의 셀에 주입되어 봉입되는 액정을 포함한다.
또한, 광차단막은 화상표시부의 양면에 각각 배치된 제1 광차단막 및 제2 광차단막으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면표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절연 기판(302) 상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340), 스토리지 커패시터(350), 유기 EL 소자(360), 유리캔실링(glass can sealing; 334), 및 광차단막(550)을 포함한다.
TFT(340)는 절연 기판(302) 상의 버퍼층(304)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층(320)과, 반도체층(320)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 전극(322), 소스 전극(324), 및 드레인 전극(326)으로 이루어진다. 소스 전극(324) 및 드레인 전극(326)은 반도체층(320)에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TFT(340)는 PMOS형 TFT가 된다. 버퍼층(304)은 절연 기판(302) 상에 형성되는 구조로부터 절연 기판(302)을 보호하고, 상술한 구조가 절연 기판(302) 상에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완충작용을 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350)는 버퍼층(304) 위에 형성되어 있는 커패시터 전극(306)과, 제1 절연층(308)을 사이에 두고 커패시터 전극(306)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전압공급전극(310)으로 이루어진다.
유기 EL 소자(360)는 버퍼층(304)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제1 내지 제3 절연층(308, 312, 314) 상에 형성되는 애노드 전극(330)과, 애노드 전극(330) 위에 형성되는 유기 EL 층(332), 그리고 유기 EL 층(332) 위에 형성되는 캐소드 전극(318)으로 이루어진다.
제1 내지 제3 절연층(308, 312, 314)은 각 층간의 연결을 위한 콘택홀을 포함한다. 애노드 전극(330)과 캐소드 전극(318)은 적어도 유기 EL 층(332)과 마주하는 영역에서 유기 EL 층(332)에서 발광된 빛이 투과되는 광 투과성 재료로 구성된다. 캐소드 전극(318)은 유기 EL 층(332)으로 전자 주입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일함수(work function) 값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에서, 유기 EL 소자(360)의 애노드 전극(330)은 박막 트랜지스터(340)의 드레인 전극(326)에 연결되며, 박막 트랜지스터(340)의 소스 전극(324)은 스토리지 커패시터(350)의 전압공급전극(310)에 연결되고, 캐소드 전극(318)과 제3 절연층(314)과의 사이에는 보호층(3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유기 EL 소자(360)는 유리캔실링(334)에 의해 밀봉된다.
유리캔 실링(334)으로 제한되는 내부 공간에는 N2 또는 Ar 등의 기체가 주입된다. 또한, 상술한 내부 공간에는 바륨옥사이드 또는 칼슘옥사이드 등으로 이루어진 테이퍼 또는 파우더 타입의 흡습제가 부가될 수 있다.
광차단막(550)은 유리캔 실링(512) 상에 형성된다. 광차단막(550)은 양면표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드라이버 회로부(드라이버 I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광차단막(550)의 양단에 공급되는 전압에 따라 유기 EL 소자(360)에서 발생되는 빛을 투과하거나 차단하도록 동작한다. 도 3에서 광차단막(550)은 유리캔 실링(512) 상에 배치되어 있지만, 광차단막(550)은 기판(502)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차단막(550)은 광 투과율, 반사율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두께 또는 구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광차단막(550)에 대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면표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차단막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에서 광차단막은 강유전성 액정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광차단막(550)은 서로 대향하는 상부 및 하부의 유리기판(552, 554)과, 이 유리기판들(552, 554)의 내측면 상에 각각 형성되는 투명 전극들(556, 558), 그리고 투명 전극들(556, 558)의 내측면 상에 각각 형성되어 액정 재료(566)를 정렬시키는 정렬층 또는 배향막(560, 562)을 포함한다. 액정 재료(566)는 배향막(560, 562) 사이에 삽입된다.
한 쌍의 유리기판(552, 554), 투명전극(556, 558) 및 배향막(560, 562)은 스페이서(564)에 의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된다. 투명 전극(556, 558)은 공통전압이 인가되는 제1 투명 전극(558)과, 액정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하여 소정의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제2 투명 전극(556)으로 이루어진다.
액정 재료(566)는 강유전성 액정(ferroelectric liquid crystal) 또는 반강유전성 액정으로 이루어지며, 투명 전극(556, 558)이 덮여져 있는 투명한 유리기판들(552, 554) 사이에 밀폐된다. 액정 재료(566)는 액정소자(550)의 여러 물성을 특성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혼합 액정으로 이루어진다. 광차단막(550)에 사용되는 강유전성 액정은 전기적, 자기적 성질이 같은 영역의 층구조를 이루는 스메틱층을 따라, 즉 가상 콘(cone)의 외곽선을 그리면서 회전한다.
강유전성 액정은 외부 전기장에 상관없이 자발분극(spontaneous polarization)하는 특성을 가지는 액정으로서 다른 모드의 액정에 비하여 응답속도가 매우 빠르며, 특별한 전극 구조나 보상 필름이 없이도 넓은 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강유전성 액정은 외부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으면, 현재의 모드를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액정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 소모가 매우 작다는 특징이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광차단막(550)은 양단의 투명 전극(556, 558)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유기 EL 소자의 빛을 투과하거나 차단하도록 기능한다.
상술한 광차단막(550)은 액정소자로 이루어진 광차단막의 일례를 설명한 것이다. 이러한 광차단막(550)에 사용되는 액정소자로는 빛의 이용 성질에 따라 편광변조형, 산란형, 및 흡수형으로 분류되는 다양한 액정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변조형 액정소자는 90도 TN(twisted nematic)형, STN형, HTP(homeotropic to twisted planar)형, ASM(axially symmetric aligned microcell)형을 포함하는 TN형 액정소자와, SSF형, AF형, DHF형 등의 강유전성 액정소자, 그리고 OCB(optical controlled birefringence)형, DAP(deformation of vertical aligned phases)형, IPS(in plane switch)형 등의 ECB(electrical controlled birefringence)형 액정소자를 포함한다. 산란형 액정소자는 PD형, DS(dynamic scattering)형, PSCT(polymer stabilized cholesteric texture)형 등의 액정소자를 포함한다. 흡수형 액정소자는 GH(gust host)형 등의 액정소자를 포함한다.
또한, 광차단막(550)은 전압이 걸리지 않으면 유기 EL 소자의 빛을 차단하고, 문턱치 이상의 전압이 걸리면 유기 EL 소자의 빛을 통과시키는 액정소자의 NB(normally black) 모드와, 전압이 걸리지 않으면 유기 EL 소자의 빛을 통과시키고, 문턱치 이상의 전압이 걸리면 유기 EL 소자의 빛을 차단하는 액정소자의 NW(normally white)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기본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면표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면표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양면표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제1 면에 제1 광차단막(550)을 구비한 양면표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이 양면표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제2면에 배치되는 제2 광차단막(580)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 광차단막(58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면표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포함된 제1 광차단막(5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제2 광차단막(580)은 양면표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빛이 제2 면을 통해 방출되거나 제2 면상에서 차단되도록 제1 광차단막(550)과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양면표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제1 광차단막(550)이 개방된 상태에서 제1 화면을 볼 때, 제2 광차단막(580)이 유기 EL 소자의 빛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동시에 제2 화면측의 외부 입사광이 제1 화면측에 투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선명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동작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인성이 크게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면표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한면이나 그 양면에 제1 광차단막 또는/및 제2 광차단막을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계적인 강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얇은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T)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면표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양면표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양면 유기 EL 화상표시부(710)(이하 '화상표시부'라고 함)와, 화상표시부(710)의 양면에 배치되어 화상표시부(710) 내의 유기 EL 소자의 빛을 투과시키거나 차단하는 광차단막(712)과, 화면상태 감지부(720)와, 드라이버 IC(730), 그리고 주사 구동부(736)를 포함한다. 물론 양면표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화상표시부(710)의 제어를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미도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DC-DC 컨버터와 같은 전원공급부 등을 포함한다.
화상표시부(710)는 양면표시를 위한 제1 화면표시창 및 제2 화면표시창을 포함한다. 화상표시부(710)의 빛은 제1 화면표시창과 제2 화면표시창을 통해 동시에 방출된다. 광차단막(712)은 제1 화면표시창 및 제2 화면표시창 상에 각각 배치된 제1 광차단막과 제2 광차단막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광차단막과 제2 광차단막은 도 3 및 도 5의 제1 광차단막(550)과 제2 광차단막(580)이 된다.
화면상태 감지부(720)는 제1 및 제2 광차단막(712)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제1 화면표시창 및 제2 화면표시창의 회전 또는 개방 상태를 각각 감지하는 감지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회전 구조의 하우징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감지 수단은 회전 구조의 힌지부에 탑재된 슬라이드 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화면상태 감지부(720)는 제1 및 제2 광차단막(712)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메뉴로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하여는 도 9를 참조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드라이버 IC(730)는 기본적으로 화상표시부(710)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와 이 화상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드라이버 IC(730)는 화상표시부(710)에 화상을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734)를 포함한다. 또한, 드라이버 IC(730)는 화상표시부(710) 내에서 화상을 표시할 화소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공급하는 주사 구동부(7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주사 구동부(736)는 드라이버 IC(730) 내에 탑재되지 않고 화상표시부(710)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드라이버 IC(73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에서 화상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732)를 포함한다. 또한, 드라이버 IC(730)는 광차단막(712)을 제어하기 위한 광차단막 제어부(738)를 포함한다.
광차단막 제어부(738)는 화면상태 감지부(720)의 신호에 따라 제1 광차단막 및/또는 제2 광차단막에 소정 전압을 인가하여 제1 및 제2 광차단막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광차단막 제어부(738)는 아래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상태 감지부(720)에서 감지하여 전달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제1 광차단막 또는 제2 광차단막을 광투과 상태 또는 광차단 상태로 제어한다.
우선순위 제1 광차단막 제2 광차단막
사용자 인터페이스 1 ON/OFF ON/OFF
슬라이드 스위치 2 ON/OFF ON/OFF
표 1에서, 광차단막 제어부(738)는 슬라이더 스위치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광차단막을 제어한다. 여기서, 슬라이더 스위치는 양면표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의 덮개(미도시)나 회전부(미도시) 등에 탑재된 화면상태 감지 수단을 말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양면표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에 탑재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광차단막 설정 수단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양면표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절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회전식 받침대, 커버, 여닫이 구조 등의 회전 구조를 가진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화면상태 감지부는 하우징의 회전가능한 연결부에 탑재되는 슬라이드식 스위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양면표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차단막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광차단막이 광투과 상태 및 광차단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 설정 메뉴의 하나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도 9 참조).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양면표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표시부, 광차단막, 드라이버 IC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 및 그 연결관계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표시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정보 기기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보 기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정보 기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보 기기의 광차단막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정보 기기는 폴더형 휴대 단말로 형성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정보 기기(900)는 몸체(902), 덮개(904), 화상표시부(710), 광차단막(712), 드라이버 IC(730), 슬라이더 스위치(910), 고주파(RF) 처리부(960), 안테나(962), 기저대역 처리부(970), 및 전원공급부(980)를 포함한다. 기저대역 처리부(970)는 정보 기기(900)가 제공하는 각종 기능에 관련된 프로그램 및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974)와, 이 메모리(974)에 연결되어 메모리(974)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거나 주변장치(976)을 통해 메모리(974)에 입출력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97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972)는 키 패드 등의 기타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주변 장치(976)를 제어하고, 안테나(962)에 연결된 고주파 처리부(960)를 통해 무선으로 송수신되는 정보를 제어한다.
몸체(902) 및 덮개(904)의 힌지 연결부에는 슬라이드 스위치(S/W)(910)가 탑재된다. 슬라이드 스위치(910)는 몸체(902)와 덮개(904)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드라이버 IC(730)에 전달한다. 이 정보에 기초하여 드라이버 IC(730)는 광차단막 제어부(738)를 통해 제1 또는 제2 광차단막을 광투과 상태 또는 광차단 상태로 제어한다. 드라이버 IC(730)는 예를 들어 COG(chip on glass) 구조로 화상표시부(710)의 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화상표시부(710)는 그 내측창에 배치되는 제1 광차단막(712)과 외측창에 배치되는 제2 광차단막(미도시)을 포함한다. 도 7에서 제2 광차단막은 덮개(904)의 뒤쪽에 위치하여 도면의 앞쪽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광차단막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덮개(904)가 몸체(902)를 덮고 닫혀 있는 경우, 제1 광차단막(712)은 광차단 상태가 되고, 제2 광차단막은 광투과 상태가 된다. 다음, 덮개(904)가 몸체(902)에서 떨어져 도 7과 같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 제1 광차단막(712)은 광투과 상태가 되고, 제2 광차단막은 광차단 상태가 된다. 또한, 제2 광차단막이 휴대 단말의 외측창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2 광차단막은 액정 소자의 NW(normal white) 모드를 이용하여 광투과 상태를 기본 모드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정보 기기(900)는 주변 조도가 높은 밝은 곳에서도 화상표시부(710)의 시인성을 매우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정보 기기(90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99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90)는 휴대 단말 등의 정보 기기에 탑재되는 사용자 설정 메뉴 항목의 하나로서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정보 기기의 키 패드를 조작하여 간단하게 제1 및 제2 광차단막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과 함께 화면의 시인성이 매우 우수한 정보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정보 기기로서 폴더형 휴대 단말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을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폰,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 등의 정보 기기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양면이 표시되는 화상표시부에 뒤쪽 배경이 앞쪽 화면에 투영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광차단막을 구비한 양면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차단막을 구비한 양면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주위의 밝은 조도에서도 시인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정보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유기 전계발광 소자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면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면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차단막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면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면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보 기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정보 기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보 기기의 광차단막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부호의 설명>
300, 700: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
302: 기판 304: 버퍼층
306: 커패시터 전극 308: 제1 절연층
310: 전압공급전극 312: 제2 절연층
314: 제3 절연층 316: 보호층
318: 캐소드 전극 320: 반도체층
322: 게이트 전극 324: 소스 전극
326: 드레인 전극 330: 애노드 전극
332: 유기 EL 층 334: 유기캔실링
340: 박막 트랜지스터 360: 유기 EL 소자
550, 712: 광차단막 710: 유기 EL 화상표시부
720: 화면상태 감지부 730: 드라이버 IC
732: 인터페이스 734: 데이터 구동부
736: 주사 구동부 738: 광차단막 제어부
900: 휴대 단말 910: 슬라이드 스위치
990: 사용자 인터페이스

Claims (9)

  1.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 및 선택 신호에 상응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부를 구비하는 양면표시형 화상표시부;
    상기 화상표시부 상에 배치되며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빛을 차단 또는 투과시키는 광차단막; 및
    상기 복수의 화소부에 상기 데이터 전압 및 상기 선택 신호를 각각 공급하며, 상기 광차단막에 상기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드라이버 회로부를 포함하는 양면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회로부에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화면상태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양면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부, 상기 광차단막 및 상기 드라이버 회로부를 고정적으로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양면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상태 감지부는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화상표시부의 회전 상태 또는 개방 상태에 따라 상기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슬라이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양면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막의 광차단 또는 광투과 상태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양면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막은 편광변조형 액정, 산란형 액정, 흡수형 액정, 강유전성 액정 및 반강유전성 액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양면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막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제1 및 제2 유리 기판;
    상기 제1 및 제2 유리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투명 전극;
    상기 제1 및 제2 투명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배향막; 및
    상기 제1 및 제2 배향막 사이의 셀에 주입되어 봉입되는 상기 액정을 포함하는 양면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단막은 상기 화상표시부의 양면에 각각 배치된 제1 광차단막 및 제2 광차단막을 포함하는 양면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9.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 및 선택 신호에 상응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부를 구비하는 양면표시 유기 전계발광 화상표시부;
    상기 화상표시부 상에 배치되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빛을 차단 또는 투과시키는 광차단막;
    상기 복수의 화소부에 상기 데이터 전압 및 상기 선택 신호를 각각 공급하며, 상기 광차단막에 상기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드라이버 회로부;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기저대역 처리부; 및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와 안테나 사이에 연결되는 고주파 처리부를 포함하는 정보 기기.
KR1020040038362A 2004-05-28 2004-05-28 광차단막을 구비한 양면 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장치 및 정보 기기 KR100583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362A KR100583516B1 (ko) 2004-05-28 2004-05-28 광차단막을 구비한 양면 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장치 및 정보 기기
US11/124,395 US7772765B2 (en) 2004-05-28 2005-05-09 Double-sid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having optical shutter and inform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362A KR100583516B1 (ko) 2004-05-28 2004-05-28 광차단막을 구비한 양면 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장치 및 정보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920A true KR20050112920A (ko) 2005-12-01
KR100583516B1 KR100583516B1 (ko) 2006-05-25

Family

ID=35424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362A KR100583516B1 (ko) 2004-05-28 2004-05-28 광차단막을 구비한 양면 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장치 및 정보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72765B2 (ko)
KR (1) KR1005835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116B1 (ko) * 2005-11-07 2007-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양면발광형 유기 발광표시장치
KR100722115B1 (ko) * 2005-11-03 2007-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0732849B1 (ko) * 2005-12-21 2007-06-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0815773B1 (ko) * 2007-06-07 2008-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925060B2 (en) 2019-12-30 2024-03-05 Lg Display Co., Ltd. Display with movable reflective mem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72124C (zh) * 2006-02-10 2008-02-27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双面发光有机电激发光装置及电子装置
CA2564461A1 (en) * 2006-10-17 2008-04-17 Ibm Canada Limited - Ibm Canada Limitee Double-sided lcd panel
US20080204463A1 (en) * 2007-02-27 2008-08-28 Adam Cybart Adaptable User Interface and Mechanism for a Tit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902152B2 (en) * 2007-04-30 2014-12-02 Motorola Mobility Llc Dual sided electrophoretic display
US9122092B2 (en) 2007-06-22 2015-09-0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Colored morphing apparatus for an electronic device
US8077154B2 (en) * 2007-08-13 2011-12-13 Motorola Mobility, Inc. Electrically non-interfering printing for electronic devices having capacitive touch sensors
US8139195B2 (en) * 2007-12-19 2012-03-20 Motorola Mobility, Inc. Field effect mode electro-optical device having a quasi-random photospacer arrangement
US8059232B2 (en) 2008-02-08 2011-11-15 Motorola Mobility, Inc. Electronic device and LC shutter for polarization-sensitive switching between transparent and diffusive states
US8643691B2 (en) * 2008-05-12 2014-02-04 Microsoft Corporation Gaze accurate video conferencing
KR101064442B1 (ko) * 2009-08-21 2011-09-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
CN102881229B (zh) * 2011-07-12 2015-01-28 联想(北京)有限公司 显示模组及电子终端
KR102080007B1 (ko) * 2012-05-25 2020-0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CN103988246B (zh) * 2012-11-09 2016-08-17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一种双面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TWI612689B (zh) * 2013-04-15 2018-01-2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發光裝置
KR102031648B1 (ko) * 2013-04-18 2019-10-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E102013106944A1 (de) * 2013-07-02 2015-01-08 Osram Oled Gmbh Optoelektronische Bauelementevorrichtun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evorrichtung
KR20150047337A (ko) * 2013-10-24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102283456B1 (ko) * 2013-12-18 2021-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 장치
CN104765157B (zh) * 2015-05-06 2017-12-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显示方法、显示装置
US10520782B2 (en) 2017-02-02 2019-12-31 James David Busch Displa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apable of single-sided, dual-sided, and transparent mixed reality applications
US20180373092A1 (en) * 2017-06-22 2018-12-27 Intel Corporation Multi-side viewable stacked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4472B1 (en) * 1995-09-08 2002-06-11 Alejandro Andreatta Film containing oriented dy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unit utilizing the same
US6788953B1 (en) * 2000-06-05 2004-09-07 Uniden America Corporation Wireless local loop communication system using SLIC module
JP3760900B2 (ja) * 2001-09-06 2006-03-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導光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395612B2 (ja) 2001-09-26 2010-01-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
US7034799B2 (en) * 2001-12-14 2006-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ing device for dual liquid crystal display and folder-type mobile phone therewith
KR100834343B1 (ko) 2001-12-29 2008-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기발광소자
CN1662842B (zh) * 2002-06-20 2010-05-12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US7280346B2 (en) * 2003-09-29 2007-10-09 Danger, Inc. Adjustable display for a data processing apparatu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115B1 (ko) * 2005-11-03 2007-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0722116B1 (ko) * 2005-11-07 2007-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양면발광형 유기 발광표시장치
KR100732849B1 (ko) * 2005-12-21 2007-06-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US7719185B2 (en) 2005-12-21 2010-05-18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Flat panel display and driv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815773B1 (ko) * 2007-06-07 2008-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7639341B2 (en) 2007-06-07 2009-12-29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particular light emitting diodes
US11925060B2 (en) 2019-12-30 2024-03-05 Lg Display Co., Ltd. Display with movable reflective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3516B1 (ko) 2006-05-25
US7772765B2 (en) 2010-08-10
US20050264190A1 (en) 200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3516B1 (ko) 광차단막을 구비한 양면 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장치 및 정보 기기
US8760375B2 (en) Display device and an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TWI359967B (en) Display device
US8698137B2 (en) Semiconductor device
KR101700772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7714500B2 (en) Display device
US9494833B2 (en) Display device
EP1510994A1 (en) Display system and electronic appliance including the display
US20100302194A1 (en) Display apparatus
JPWO2004053819A1 (ja) 液晶表示装置
JP2003322850A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180047512A (ko)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EP1519545B1 (en) Folder type mobile terminal us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panel and display method thereof
JP4749004B2 (ja) 表示装置
CN116434705B (zh) 驱动电路、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JP2003316302A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