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785B1 -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785B1
KR101210785B1 KR1020110040077A KR20110040077A KR101210785B1 KR 101210785 B1 KR101210785 B1 KR 101210785B1 KR 1020110040077 A KR1020110040077 A KR 1020110040077A KR 20110040077 A KR20110040077 A KR 20110040077A KR 101210785 B1 KR101210785 B1 KR 101210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orce amplifying
movement
force
amplify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3664A (ko
Inventor
마사요시 다카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3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77Pivoting levers actuating linearly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 공간이 제한된 경우에도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힘 증폭 부재(30)는, 제1 하우징(10)의 돌기부(14)(지지부)와 힘 증폭 부재(30)의 지지 구멍(35)(지지부)에 의해 제1 하우징(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힘 증폭 부재(30)는, 제1 하우징(10)의 돌기부(14)와 힘 증폭 부재(30)의 안내 홈(36)에 의해 제1 하우징(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두 하우징(10, 20)의 연결 공정에 있어서, 힘 증폭 부재(30)는, 회전 이동용 트랙부(39)와 캠 팔로워(23)[회전 이동용 캠 팔로워, 슬라이드 이동용 캠 팔로워]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힘 증폭 작용을 발생시키는 회전 이동과,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40)와 캠 팔로워(23)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힘 증폭 작용을 발생시키는 슬라이드 이동을 계속해서 실행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CONNECTOR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44473호 공보(특허문헌 1)는, 레버가 제1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제2 하우징의 캠 팔로워가 레버의 트랙부의 입구부에 도입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이 제2 하우징에 약간 끼워지며, 이 상태에서 레버를 회전시키고 트랙부와 캠 팔로워를 결합시킴으로써 발생하는 힘 증폭 동작에 의해 두 하우징을 연결하고 있는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34421호 공보(특허문헌 2)는, 슬라이더가 제1 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제2 하우징의 캠 팔로워가 슬라이더의 트랙부의 입구부에 도입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이 제2 하우징에 약간 끼워지며, 이 상태에서 슬라이더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트랙부와 캠 팔로워를 결합시킴으로써 발생하는 힘 증폭 동작에 의해 두 하우징을 연결하고 있는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44473호 공보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레버의 회전에 따라 레버의 조작부가 제1 하우징의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조작부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아치형의 동작 공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커넥터에서 힘 증폭 효과를 개선하여 조작력을 줄이고자 할 경우에는, 레버의 회전 각도를 크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넓은 범위에 걸쳐 조작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34421호 공보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슬라이더의 조작부가 제1 하우징의 측면에서 전후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1 하우징의 측면에서 조작부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선형 동작 공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커넥터에서 힘 증폭 효과를 개선하여 조작력을 줄이고자 할 경우에는,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를 크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넓은 범위에 걸쳐 조작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44473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34421호 공보
상기 양 커넥터에 있어서는, 조작 공간이 제한되는 경우, 레버 또는 슬라이더의 변위량을 크게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조작력이 증가하여 조작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상황을 고려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 공간이 제한된 경우라도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힘 증폭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또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연결하도록 설계된 커넥터]로서, 상기 제1 하우징과 힘 증폭 부재는, 힘 증폭 부재를 제1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또는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힘 증폭 부재는, 두 하우징의 연결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제1 하우징에 대한 힘 증폭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실질적으로 가능하게 하면서 힘 증폭 부재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힘 증폭 부재는 회전하거나 피벗 이동할 때에, 제2 하우징의 회전 이동 또는 피벗 이동용 캠 팔로워와 슬라이드 접촉할 있는 회전 이동 또는 피벗 이동용 트랙부와, 실질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제2 하우징의 슬라이드 이동용 캠 팔로워와 실질적으로 슬라이드 접촉할 수 있는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연결하는 공정에서, 상기 힘 증폭 부재는, 회전 이동용 트랙부와 회전 이동용 캠 팔로워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힘 증폭 작용을 발생시키는 회전 이동 또는 피벗 이동과,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와 슬라이드 이동용 캠 팔로워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힘 증폭 작용을 발생시키는 실질적인 슬라이드 이동을 계속해서 또는 번갈아서 실행하는 것인 커넥터가 제공된다.
두 하우징의 연결 공정의 일부는 힘 증폭 부재의 회전 또는 피벗 이동에 의해 실행되고, 연결 공정의 다른 부분은 힘 증폭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실행된다. 특히 힘 증폭 부재의 회전 각도는, 힘 증폭 부재가 전체 공정에서 회전 또는 피벗 이동만 하는 경우에 비하여 작은 각도로 억제되거나 작아진다. 마찬가지로, 힘 증폭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는, 힘 증폭 부재가 전체 공정에서 슬라이드 이동만 하는 경우에 비하여 짧은 거리로 억제되거나 작아진다. 따라서 힘 증폭 부재의 회전 이동 및 슬라이드 이동의 변위 범위를 변경함으로써, 힘 증폭 부재의 조작을 위하여 확보할 수 있는 공간에 한계가 있는 경우에도, 힘 증폭 부재의 변위를 크게 확보함으로써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다.
특정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 이동용 트랙부와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는 서로 연통하고, 공통의 캠 팔로워가 회전 이동용 캠 팔로워 및 슬라이드 이동용 캠 팔로워로서 기능한다.
제2 하우징에 설치되는 공통의 캠 팔로워가 회전 이동용 캠 팔로워 및 슬라이드 이동용 캠 팔로워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제2 하우징의 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다.
특정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힘 증폭 부재의 지지부는 지지 구멍이고, 상기 힘 증폭 부재의 안내부는 안내 홈이며, 상기 안내 홈과 지지 구멍은 서로 연통한다.
보다 특별하게는, 공통의 돌기부가 제1 하우징의 지지부 및 제1 하우징의 안내부로서 기능한다.
공통의 돌기부가 제1 하우징의 지지부 및 안내부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제1 하우징의 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다.
특정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힘 증폭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연결 작업에 있어서 초기 스테이지로부터 중간 스테이지까지 회전 이동을 실행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연결 작업에 있어서 중간 스테이지로부터 종료까지 슬라이드 이동을 실행한다.
특정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힘 증폭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연결 작업에 있어서 초기 스테이지로부터 중간 스테이지까지 슬라이드 이동을 실행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연결 작업에 있어서 중간 스테이지로부터 종료까지 회전 이동을 실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힘 증폭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 특히 상기 발명 또는 상기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조립하는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힘 증폭 부재를 제1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단계와,
두 하우징의 연결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제1 하우징에 대한 힘 증폭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힘 증폭 부재를 안내하는 단계와,
상기 힘 증폭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연결을 실행하거나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연결하는 공정에서, 상기 힘 증폭 부재는,
- 상기 힘 증폭 부재의 회전 이동용 트랙부와 제2 하우징의 회전 이동용 캠 팔로워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힘 증폭 작용을 발생시키는 회전 이동과,
- 상기 힘 증폭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와 제2 하우징의 슬라이드 이동용 캠 팔로워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힘 증폭 작용을 발생시키는 슬라이드 이동을 계속해서 또는 번갈아서 실행하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이 제공된다.
특정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 이동용 트랙부와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는 서로 연통하고, 공통의 캠 팔로워가 회전 이동용 캠 팔로워 및 슬라이드 이동용 캠 팔로워로서 기능한다.
특정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힘 증폭 부재의 지지부는 지지 구멍이고, 상기 힘 증폭 부재의 안내부는 안내 홈이며, 상기 안내 홈과 지지 구멍은 서로 연통한다.
특정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통의 돌기부가 제1 하우징의 지지부 및 제1 하우징의 안내부로서 기능한다.
특정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힘 증폭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연결 작업에 있어서 초기 스테이지로부터 중간 스테이지까지 회전 이동을 실행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연결 작업에 있어서 중간 스테이지로부터 종료까지 슬라이드 이동을 실행한다.
특정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힘 증폭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연결 작업에 있어서 초기 스테이지로부터 중간 스테이지까지 슬라이드 이동을 실행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연결 작업에 있어서 중간 스테이지로부터 종료까지 회전 이동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를 개별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경우에도, 이들 실시예의 하나의 특징이 다른 실시예에 조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 공간이 제한된 경우라도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 힘 증폭 부재가 초기 위치에 있고 두 하우징의 연결 조작이 개시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두 하우징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힘 증폭 부재가 전환 위치로 변위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힘 증폭 부재가 연결 위치로 변위되어 있고, 두 하우징의 연결 동작이 완료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 힘 증폭 부재가 초기 위치에 있고 두 하우징의 연결 조작이 개시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두 하우징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힘 증폭 부재가 전환 위치로 변위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힘 증폭 부재가 연결 위치로 변위되어 있고, 두 하우징의 연결 동작이 완료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특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제1 실시예의 커넥터(A)는,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이 힘 증폭 부재(30)에 의해 연결되도록(또는 이들 하우징의 연결이 지원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힘 증폭 부재(30)는 제1 하우징(10)에 장착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방향과 동일하며, 도 1 내지 도 3의 평면에 도시된 측을 전후 방향(FBD)과 관련하여 전방측으로 지칭한다.
제1 하우징(10)은 공지의 형상을 갖고, 단자 유지부(11)와, 이 단자 유지부(11)로부터 실질적으로 위를 향하여[제1 하우징(10)의 후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리셉터클(12)을 구비한다. 선단에 탭을 갖는 공지의 형태의 하나 이상, 특히 복수의 수형 단자 피팅(도시 생략)이 단자 유지부(11)에 유지되어 있고, 리셉터클(12)이 상기 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리셉터클(12)에는, 특히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하향으로 그 전후 벽을 절결함으로써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전후)의 거의 대칭인 도피 홈(13; escaping groove)이 형성된다. 이들 도피 홈(13)은, 좌우 방향으로[두 하우징(10, 20)의 연결 방향(CD) 및/또는(바람직하게는 및) 힘 증폭 부재(30)의 회전 중심축의 방향에 대하여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으로] 제1 하우징(10)의 좌우 방향 중간 위치(특히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치되어 있다. 후방 벽의 도피 홈(13)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점에 주목한다.
리셉터클(12)에 하나 이상의 돌기부(14)가 배치되어 있다. [특히 제1 하우징의 지지부 및 안내부 모두로서 기능하는] 전후 대략 대칭이거나 및/또는 대략 원통형인 특히 한 쌍의 돌기부(14)는, 그 축선이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연장되도록 특히 리셉터클(12)의 전후 벽(도시 생략)의 외면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좌우 방향에 있어서, 돌기부(14)는 제1 하우징의 중앙 위치[도피 홈(13)]로부터 (예컨대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후방 벽의 돌기부(14)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점에 주목한다.
제2 하우징(20)은, 위로부터 리셉터클(12) 내로 끼워지는 하우징 본체(21)와, 이 하우징 본체(21)의 상측(후측)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와이어 커버(22)로 형성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수형 단자 피팅에 각각 연결될 수 있는 공지의 형태의 하나 이상의 암형 단자 피팅(도시 생략)이, 하우징 본체(2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각각의 암형 단자 피팅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와이어(도시 생략)는, 와이어 커버(22)에 있어서 (예컨대 우측으로) 구부러지거나 회전된 하우징 본체(21)의 상면으로부터 인출되고, 와이어 커버(22)로부터 외측으로 실질적으로 좌우 방향으로(예컨대 우측으로) 인출된다.
하우징 본체(21)에는 하나 이상의 캠 팔로워(23)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특히 회전 이동용의 캠 팔로워 및 슬라이드 이동용의 캠 팔로워 모두로서 기능하는] 대략 대칭이거나 및/또는 원통형인 한 쌍(좌우)의 캠 팔로워(23)는, 그 축선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우징 본체(21)의 좌우(전후) 외면에 서로 실질적으로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좌우 방향 위치에 있어서, 캠 팔로워(23)는 제2 하우징(20)의 중심 위치[도피 홈(13)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힘 증폭 부재(30)는, 제1 하우징(10)의 좌우(전후) 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전후 대칭의 한 쌍의 판형 아암부(31)와, 길이 방향(LD)으로 일측에서 양 아암부(31)(특히 단부)를 연결하는 조작부(32)의 단일 또는 일체의 조립체이다. 힘 증폭 부재(30)의 하나 이상의 아암부(31)에 하나 이상의 홈부(33)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아암부(31)의 전후 면(내외 면) 사이를 연통시키는 전후 대략 대칭의 홈부(33)가 양 아암부(31)에 형성되어 있다. 각 홈부(33)의 일단은, 길이 방향(LD)으로 조작부(32)와는 실질적으로 반대측의 아암부(31)의 단부의 둘레 가장자리에서 조립용 개구(34)로서 개방되어 있다. 각 홈부(33)의 타단(후단)은 폐쇄되어 있다. 조립용 개구(34)보다 약간 더 후방에 있는 각 홈부(33)의 부분은 지지 구멍(35)(힘 증폭 부재의 특정의 지지부)으로서 기능한다. 지지 구멍(35)은 조립용 개구(34)와 실질적으로 연통한다. 지지 구멍(35)으로부터 후단에 이르는 각 홈부(33)의 긴 영역은, 아암부(31)의 길이 방향(LD)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는 안내 홈(36)(힘 증폭 부재의 특정의 안내부)으로서 기능한다. 안내 홈(36)의 시작 단부는 지지 구멍(35)과 연통한다.
아암부(31)에는, 아암부(31)의 전후(내외) 면 사이를 연통시키는 (특히 대략 대칭의) 전후 캠 홈(37)이 형성되어 있다. 각 캠 홈(37)은 도입 개구(38), 회전 이동용의 트랙부(39) 및 슬라이드 이동용의 트랙부(40)로 구성되거나, 이들을 포함한다. 도입 개구(38)는 캠 홈(37)의 시작 단부에 위치되어 있고, 조작부(32)와 조립용 개구(34) 사이의 영역에서 조립용 개구(34)에 근접하는 아암부(31)의 외주 가장자리의 위치에서 개방되어 있다. 회전 이동용의 각 트랙부(39)는, 지지 구멍(35)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중심을 갖는 구부러진 형상이나 나선형 또는 대략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회전 또는 피벗 이동용의 트랙부(39)의 시작 단부(일 단부)는 도입 개구(38)와 연통한다. 슬라이드 이동용의 각 트랙부(40)는, 특히 대략 안내 홈(36)에 대하여 기울어진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된다. 슬라이드 이동용의 트랙부(40)의 시작 단부는 회전 또는 피벗 이동용의 트랙부(39)의 후단과 연통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을 연결할 때에, 힘 증폭 부재(30)는 제1 하우징(10) 상의 초기 위치(IP)에 미리 장착되어 있다. 장착 시에, 조립용 개구(34)는, 제1 하우징(10)이 특히 전후 측면으로부터 양 아암부(31) 사이에 끼워지거나 또는 이들 아암부를 가교하는 상태로 돌기부(14)와 맞물린다. 힘 증폭 부재(30)가 초기 위치(IP)에 위치된 상태에서, 돌기부(14)는 지지 구멍(35)과 맞물리고, 캠 홈(37)의 도입 개구(38)는 상측[두 하우징(10, 20)을 연결할 때에 제2 하우징(20)이 근접하는 측]에 위치되어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도피 홈(13)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힘 증폭 부재(30)가 초기 위치(IP)에 유지된 상태에서, 아암부(31)는, 전반적으로 그 길이 방향(LD)이 실질적으로 좌우 방향[두 하우징(10, 20)의 연결 방향(CD)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있다. 조립용 개구(34)는 좌우 방향(예컨대 우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조작부(32)는 제1 하우징(10)의 측부(예컨대 좌측)에 위치되어 있고, 조작부(32)와 제1 하우징(10)의 측면(좌측면)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길다. 안내 홈(36)과 슬라이드 이동용의 트랙부(40)는 상하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및/또는 그 후단은 시작 단부의 좌측 후방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다.
힘 증폭 부재(30)가 초기 위치(IP)에 유지된 상태에서 제2 하우징(20)이 위로부터 제1 하우징(10)에 더 근접하여 리셉터클(12)에 약간 끼워지면, 캠 팔로워(23)는, 도피 홈(13)으로 들어가면서 도입 개구(38)를 통과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또는 피벗 이동용 트랙부(39)의 시작 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 후에, 조작부(32)는 이 상태에서 파지나 조작이 가능하게 되고, 힘 증폭 부재(30)는 돌기부(14)를 중심으로 하여 (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전환 위치(SW)로 회전되거나 피벗 이동된다. 그 동안에, 돌기부(14)와 지지 구멍(35)은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유지되고, 조작부(32)는 실질적으로 제1 하우징(10)의 좌우 방향(좌측) 면을 따른 원호형 경로를 따라 [예컨대 실질적으로 위로] 변위된다. 또한, 조작부(32)와 제1 하우징(10)의 좌우 방향(좌측) 면 사이의 거리는 크게 변경되지 않고, 조작부(32)는 제1 하우징(10)의 좌우 방향(좌측) 면으로부터 비교적 떨어져 유지되어 있다.
힘 증폭 부재(30)가 회전하거나 피벗 이동함에 따라, 캠 팔로워(23)와 회전 또는 피벗 이동용 트랙부(39)는 슬라이드 접촉하여 힘 증폭 작용을 나타내며, 두 하우징(10, 20)은 서로 더 밀착되게 된다. 회전된 힘 증폭 부재(30)가 도 2에 도시된 전환 위치(SW)에 도달하면, 캠 팔로워(23)는 회전 또는 피벗 이동용 트랙부(39)의 후단에 도달한다. 힘 증폭 부재(30)가 전환 위치(SW)에 도달한 때에, 두 하우징(10, 20)의 연결 작업은 아직 종료되지 않는다. 전환 위치(SW)에서, 안내 홈(36)은 특히 실질적으로 좌우 방향[두 하우징(10, 20)의 연결 방향(CD)에 대하여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및/또는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40)는 좌우 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음으로, 조작부(32)를 조작하거나 조작 가능한데, 예컨대 좌측으로부터 파지하거나 좌우 방향으로 미는 등의 조작을 행한다. 이어서, 힘 증폭 부재(30)는 돌기부(14)와 안내 홈(36)의 슬라이드 접촉에 의해 안내되어, 두 하우징(10, 20)의 연결 방향(CD)에 대하여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으로 우측으로 실질적으로 평행 이동(슬라이드 이동)한다. 힘 증폭 부재(30)가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조작부(32)는, 제1 하우징(10)의 측면(좌측면)에 근접하여 이들 사이의 거리가 협소하게 된다. 힘 증폭 부재(30)가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40)와 캠 팔로워(23)의 슬라이드 접촉에 의해 힘 증폭 작용이 발생하고, 두 하우징(10, 20)은 서로 밀착되게 된다. 힘 증폭 부재(30)가 도 3에 도시된 연결 위치(CP)에 도달하면, 캠 팔로워(23)는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40)의 후단에 도달하고, 돌기부(14)는 안내 홈(36)의 후단에 도달하며, 두 하우징(10, 20)은 적절하게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힘 증폭 부재(30)를 회전 또는 피벗 이동시킨 후에 힘 증폭 부재(30)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두 하우징(10, 20)을 연결할 수 있다. 그 동안에, 작업자는 조작부(32)로부터 손을 떼거나 조작부(32)를 다른 방식으로 잡을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성이 양호하다. 두 하우징(10, 20)을 분리할 때에는, 연결 동작과는 달리, 먼저 연결 위치(CP)의 힘 증폭 부재(30)를 (예컨대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전환 위치(SW)에 도달한 후에는, (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또는 피벗 이동시켜 초기 위치(IP)로 복귀시킨다.
제1 실시예의 커넥터(A)에 있어서, 제1 하우징(10)과 힘 증폭 부재(30)는, 힘 증폭 부재(30)를 제1 하우징(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또는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로서의 돌기부(14) 및 지지 구멍(35)과, 두 하우징(10, 20)의 연결 방향(CD)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제1 하우징(10)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힘 증폭 부재를 안내하는 안내부로서의 안내 홈(36) 및 돌기부(14)를 구비하고, 힘 증폭 부재(30)는, 회전하거나 피벗 이동할 때에 제2 하우징(20)의 캠 팔로워(23)와 슬라이드 접촉할 수 있는 회전 이동용의 트랙부(39)와,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캠 팔로워(23)와 슬라이드 접촉할 수 있는 슬라이드 이동용의 트랙부(40)를 구비한다. 두 하우징(10, 20)의 연결 공정에서, 연결 공정의 일부는, 힘 증폭 부재(30)를 회전 또는 피벗 이동시킴으로써 생기는 캠 팔로워(23) 및 회전 이동용 트랙부(39)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힘 증폭 작용에 의해 실행되고, 연결 공정의 다른 부분은, 힘 증폭 부재(30)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생기는 캠 팔로워(23) 및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4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힘 증폭 작용에 의해 실행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연결 과정에 있어서 힘 증폭 부재(30)의 회전 각도는, 힘 증폭 부재가 전체 공정에서 회전만 하는 경우에 비하여 작은 각도로 억제되거나 작아진다. 마찬가지로, 연결 과정에 있어서 힘 증폭 부재(30)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는, 힘 증폭 부재가 전체 공정에서 슬라이드 이동만 하는 경우에 비하여 짧은 거리로 억제되거나 작아진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A)에 있어서, 힘 증폭 부재(30)의 회전 이동 및 슬라이드 이동의 변위 범위는, 커넥터(A)의 둘레에서 확보할 수 있는 조작 공간[연결 작업 중에 힘 증폭 부재(30)의 변위를 허용하는 공간과, 힘 증폭 부재(30)의 변위 시에 작업자의 손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힘 증폭 부재(30)의 조작을 위하여 확보할 수 있는 공간에 한계가 있는 경우에도, 힘 증폭 부재(30)의 변위를 크게 확보함으로써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이동용 트랙부(39)와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40)는 서로 연통하고, (특히 공통의) 캠 팔로워(23)는, 회전 이동용 트랙부(39)와 슬라이드 접촉하는 회전 이동용 캠 팔로워와,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40)와 슬라이드 접촉하는 슬라이드 이동용 캠 팔로워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캠 팔로워(23)를 구비한 제2 하우징(20)의 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다.
힘 증폭 부재(30)의 지지부는 하나 이상의 지지 구멍(35)이고, 그 안내부는 하나 이상의 안내 홈(36)이며, 하나 이상의 안내 홈(36)과 하나 이상의 지지 구멍(35)은 서로 연통하고, 하나 이상의 공통 돌기부(14)는 제1 하우징(10)의 지지부 및 안내로부서 기능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하우징(10)의 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공간이 제한된 경우에도 조작성의 개선을 도모하기 위하여, 힘 증폭 부재(30)는, 제1 하우징(10)의 하나 이상의 돌기부(14; 지지부) 및 힘 증폭 부재(30)의 하나 이상의 지지 구멍(35; 지지부)에 의해 제1 하우징(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힘 증폭 부재(30)는, 제1 하우징(10)의 하나 이상의 돌기부(14)와 힘 증폭 부재(30)의 하나 이상의 안내 홈(36)에 의해 제1 하우징(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두 하우징(10, 20)의 연결 공정에 있어서, 힘 증폭 부재(30)는, 회전 이동용의 하나 이상의 트랙부(39)와 하나 이상의 캠 팔로워(23)[회전 이동용 캠 팔로워, 슬라이드 이동용 캠 팔로워]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힘 증폭 작용을 발생시키는 회전 이동과, 슬라이드 이동용의 하나 이상의 트랙부(40)와 하나 이상의 캠 팔로워(23)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힘 증폭 작용을 발생시키는 슬라이드 이동을 계속해서 또는 번갈아서 실행한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을 참고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의 커넥터(B)는, 제1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1 하우징(10)과 제1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2 하우징(20)이 힘 증폭 부재(50)의 조작에 의해 연결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힘 증폭 부재(50)는 제1 하우징(10)에 장착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방향과 동일하며, 도 4 내지 도 6의 평면에 도시된 측을 전후 방향(FBD)과 관련하여 전방측으로 지칭한다.
힘 증폭 부재(50)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부(51)와 조작부(52)를 구비한다. 특히, 힘 증폭 부재(50)는, 제1 하우징(10)의 전후 면에 평행한 한 쌍의 전후 대칭의 판형 아암부(51)와, 길이 방향으로 일측에서 양 아암부(51)[특히 단부]를 연결하는 조작부(52)의 일체의 또는 단일의 조립체이다. 아암부(51)의 전후면(내외면) 사이를 연통시키는 전후 대칭의 홈부(53)가 양 아암부(51)에 형성되어 있다. 각 홈부(53)의 일단은, 길이 방향으로 조작부(52)와는 반대측에 있는 아암부(51)의 단부의 외주 가장자리에서 조립용 개구(54)로서 개방되어 있다. 특히 각 홈부(53)의 타단(후단)은 폐쇄되어 있고, 홈부(53)의 후단은 지지 구멍(55)[힘 증폭 부재의 특정의 지지부]으로서 기능한다. 조립용 개구(54)와 지지 구멍(55) 사이의 각 홈부(53)의 긴 영역은, 특히 아암부(51)의 길이 방향(LD)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는 안내 홈(56)[힘 증폭 부재의 특정의 안내부]으로서 기능한다. 안내 홈(56)의 시작 단부는 조립용 개구(54)와 실질적으로 연통하고, 안내 홈(56)의 후단은 지지 구멍(55)과 실질적으로 연통한다.
아암부(51)에는 특히, 아암부(51)의 전후 면(내외 면) 사이를 연통시키는 전후 대칭의 캠 홈(57)이 형성되어 있다. 각 캠 홈(57)은 도입 개구(58), 슬라이드이동용 트랙부(59) 및 회전 이동용 트랙부(60)로 구성되거나 이들을 포함한다. 도입 개구(58)는 캠 홈(58)의 시작 단부에 위치되어 있고, 조작부(52)와 조립용 개구(54) 사이의 영역에서 조립용 개구(54)에 근접하여 있는 아암부(51)의 외주 가장자리의 위치에서 개방되어 있다. 슬라이드 이동용의 각 트랙부(59)는 안내 홈(56)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된다.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59)의 시작 단부는 도입 개구(58)와 실질적으로 연통한다. 회전 이동용의 각 트랙부(60)는 지지 구멍(55)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중심을 갖는 구부러진 형상이나 나선형 또는 대략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회전 이동용 트랙부(60)의 시작 단부는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59)의 후단과 실질적으로 연통한다.
다음으로, 제2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을 연결할 때에, 힘 증폭 부재(50)는 미리 제1 하우징(10) 상의 초기 위치(IP)에 장착되어 있다. 장착 시에, 상기 하나 이상의 조립용 개구(54)는, 특히 제1 하우징(10)이 특히 전후 측면으로부터 양 아암부(51) 사이에 끼워지거나 또는 이들 아암부를 가교하는 상태로 [특히 제1 하우징의 지지부 및 안내부 모두로서 기능하는] 돌기부(14)와 맞물린다. 힘 증폭 부재(50)가 초기 위치(IP)에 유지된 상태에서, 돌기부(14)는 안내 홈(56)의 시작 단부와 맞물리고, 캠 홈(57)의 도입 개구(58)는 상측[두 하우징(10, 20)을 연결할 때에 제2 하우징(20)이 근접하는 측]에 위치되어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도피 홈(13)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힘 증폭 부재(50)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아암부(51)는, 전반적으로 그 길이 방향(LD)이 실질적으로 좌우 방향[두 하우징(10, 20)의 연결 방향(CD)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있다. 조립용 개구(54)는 좌우 방향(예컨대 우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조작부(52)는 제1 하우징(10)의 측부(예컨대 좌측)에 위치되어 있고, 조작부(52)가 초기 위치(IP)에 있을 때, 조작부(52)와 제1 하우징(10)의 측면(좌측면) 사이의 거리는, 두 하우징(10, 20)의 연결 동작을 수반하는 힘 증폭 부재(50)의 변위 과정에서 가장 길다. 안내 홈(56)은 두 하우징(10, 20)의 연결 방향(CD)에 대하여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인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편,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59)는 좌우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다.
힘 증폭 부재(50)가 초기 위치(IP)에 있는 상태에서 제2 하우징(20)이 위로부터 제1 하우징(10)에 더 밀착되어 리셉터클(12) 내에 약간 끼워지게 되면, [특히 회전 이동용 캠 팔로워 및 슬라이드 이동용 캠 팔로워 모두로서 기능하는] 캠 팔로워(23)는, 도피 홈(1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면서 도입 개구(58)를 통과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59)의 시작 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 상태에서 조작부(52)를 조작하는데, 예컨대 좌측으로부터 파지하거나 좌우 방향으로 미는 등의 조작을 행한다. 이어서, 힘 증폭 부재(50)는, 돌기부(14)와 안내 홈(56)의 슬라이드 접촉에 의해 안내되면서, 두 하우징(10, 20)의 연결 방향(CD)에 대하여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으로 좌우 방향(예컨대 우측)으로 평행 이동(슬라이드 이동)한다. 조작부(52)는, 힘 증폭 부재(50)가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제1 하우징(10)의 측면(좌측면)에 근접하여 이들 사이의 거리가 협소하게 된다. 힘 증폭 부재(50)가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59)와 캠 팔로워(23)의 슬라이드 접촉에 의해 힘 증폭 작용이 발생하고, 두 하우징(10, 20)은 서로 밀착되게 된다.
힘 증폭 부재(50)가 도 5에 도시된 전환 위치(SW)에 도달하면, 캠 팔로워(23)는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59)의 후단[회전 이동용 트랙부(60)의 시작 단부]에 도달하고, 돌기부(14)는 안내 홈(56)의 후단의 지지 구멍(55)에 도달한다. 힘 증폭 부재(50)가 전환 위치(SW)에 도달한 때에, 두 하우징(10, 20)의 연결 동작은 아직 종료되지 않는다.
그 후, 힘 증폭 부재(50)를 돌기부(14)를 중심으로 하여 (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전환 위치(SW)로부터 연결 위치(CP)로 회전시키거나 피벗 이동시킨다. 그 동안에, 돌기부(14)와 지지 구멍(55)은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유지되며, 제1 하우징(10)의 좌측면에 마주하여 위치된 조작부(52)는, 제2 하우징(20)의 와이어 커버(22)의 좌측면을 따른 아치형 경로 또는 만곡된 경로를 따라 실질적으로 상향으로 변위된다. 그 동안에, 조작부(52)는 와이어 커버(22)의 좌측면에 근접하게 유지된다. 힘 증폭 부재(50)가 회전하거나 또는 피벗 이동하면, 캠 팔로워(23) 및 회전 이동용 트랙부(60)는 접촉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힘 증폭 작용을 발생시키며, 두 하우징(10, 20)은 서로 근접하게 된다. 회전된 힘 증폭 부재(50)가 도 6에 도시된 연결 위치(CP)에 도달하면, 캠 팔로워(23)가 회전 이동용 트랙부(60)의 후단에 도달하고, 두 하우징(10, 20)은 적절하게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힘 증폭 부재(50)의 슬라이드 이동 후에 힘 증폭 부재(50)를 회전시킴으로써 두 하우징(10, 20)을 연결할 수 있다. 그 동안에, 작업자는 조작부(52)로부터 손을 떼거나 조작부(52)를 다른 방식으로 잡을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성이 양호하다. 두 하우징(10, 20)을 분리할 때에는, 연결 동작과는 달리, 먼저 연결 위치(CP)의 힘 증폭 부재(50)를 (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전환 위치(SW)에 도달한 후에는,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초기 위치(IP)로 복귀시킨다.
제2 실시예의 커넥터(B)에 있어서, 제1 하우징(10)과 힘 증폭 부재(50)는, 두 하우징(10, 20)의 연결 방향(CD)을 가로지는 방향(SD)으로의 제1 하우징(10)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제1 하우징(10) 상에 힘 증폭 부재(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로서의 돌기부(14) 및 지지 구멍(55)과, 힘 증폭 부재(50)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로서의 안내 홈(56) 및 돌기부(14)를 구비하고, 힘 증폭 부재(50)는, 회전하거나 피벗 이동할 때에 제2 하우징(20)의 캠 팔로워(23)와 슬라이드 접촉할 수 있는 회전 이동용의 트랙부(60)와,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캠 팔로워(23)와 슬라이드 접촉할 수 있는 슬라이드 이동용의 트랙부(59)를 구비한다. 두 하우징(10, 20)의 연결 공정에서, 연결 공정의 일부는, 힘 증폭 부재(50)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생기는 캠 팔로워(23) 및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59)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힘 증폭 작용에 의해 실행되고, 연결 공정의 다른 부분은, 힘 증폭 부재(50)를 회전시키거나 피벗 이동시킴으로써 생기는 캠 팔로워(23) 및 회전 이동용 트랙부(6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힘 증폭 작용에 의해 실행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연결 과정에 있어서의 힘 증폭 부재(50)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는, 힘 증폭 부재가 전체 공정에서 슬라이드 이동만 하는 경우에 비하여 더 짧은 거리로 억제되거나 작아진다. 마찬가지로, 연결 과정에 있어서의 힘 증폭 부재(50)의 회전 각도는, 힘 증폭 부재가 전체 공정에서 회전만 하는 경우에 비하여 작은 각도로 억제되거나 작아진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B)에 있어서, 힘 증폭 부재(50)의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이동의 변위 범위는, 커넥터(B) 둘레에서 확보할 수 있는 조작 공간[연결 작업 중에 힘 증폭 부재(50)의 변위를 허용하는 공간과, 힘 증폭 부재(50)의 변위 시에 작업자의 손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에 따라 변경되거나 적합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힘 증폭 부재(50)의 조작을 위하여 확보할 수 있는 공간에 한계가 있는 경우에도, 힘 증폭 부재(50)의 변위를 크게 확보함으로써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59)와 회전 이동용 트랙부(60)는 실질적으로 서로 연통하거나, 및/또는 공통의 캠 팔로워(23)는 특히, 회전 이동용 트랙부(60)와 슬라이드 접촉하고 있는 회전 이동용 캠 팔로워와,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59)와 슬라이드 접촉하고 있는 슬라이드 이동용 캠 팔로워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캠 팔로워(23)를 구비한 제2 하우징(20)의 형상을 단순화 할 수 있다.
힘 증폭 부재(50)의 지지부는 지지 구멍(55)이고, 그 안내부는 안내 홈(56)이고, 안내 홈(56)과 지지 구멍(55)은 서로 연통하거나 및/또는 공통의 돌기부(14)가 제1 하우징(10)의 지지부 및 안내부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하우징(10)의 형상을 단순화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하고 예시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공통의 캠 팔로워가 회전 이동용의 캠 팔로워 및 슬라이드 이동용의 캠 팔로워로서 기능하고 있지만, 회전 이동용의 캠 팔로워와 슬라이드 이동용의 캠 팔로워를 별도로 제공할 수도 있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회전 이동용 트랙부와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가 서로 연통하고 있지만, 이들 트랙부는 연통하지 않을 수도 있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돌기부가 제1 하우징의 지지부 및 안내부로서 기능하고 있지만, 제1 하우징의 지지부와 안내부가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
(4) 상기 실시예에서는, 힘 증폭 부재의 지지부(지지 구멍) 및 안내부(안내 홈)가 서로 연통하고 있지만, 이들 지지부와 안내부가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
(5)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아암부에 대하여 단지 하나의 캠 팔로워가 설치되어 있지만, 하나의 아암부에 대하여 복수의 캠 팔로워를 설치할 수도 있다.
(6)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하우징의 지지부(돌기부)가 돌기의 형태이고 힘 증폭 부재가 구멍의 형태이지만, 제1 하우징의 지지부가 구멍의 형태이고 힘 증폭 부재가 돌기의 형태일 수도 있다.
(7)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하우징의 안내부가 돌기의 형태이고 힘 증폭 부재가 홈(안내 홈)의 형태이지만, 제1 하우징의 안내부가 홈의 형태이고 힘 증폭 부재가 돌기의 형태일 수도 있다.
(8) 상기 실시예에서는, 두 하우징의 연결 과정에서 힘 증폭 부재가 1회의 회전 이동 및 1회의 슬라이드 이동을 실행하고 있지만, 두 하우징의 연결 과정에서 회전 이동과 슬라이드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복수 회 실행할 수도 있다.
(9) 상기 실시예에서는, 힘 증폭 부재가 한 쌍의 아암부를 구비하고 있지만, (특히 대략 판형의) 하나의 아암부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A : 커넥터, 10 : 제1 하우징, 14 : 돌기부(제1 하우징의 지지부, 제1 하우징의 가이드부), 20 : 제2 하우징, 23 : 캠 팔로워(회전 이동용 캠 팔로워, 슬라이드 이동용 캠 팔로워), 30 : 힘 증폭 부재, 35 : 지지 구멍(힘 증폭 부재의 지지부), 36 : 안내 홈(힘 증폭 부재의 안내부), 39 : 회전 이동용 트랙부, 40 :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 B : 커넥터, 50 : 힘 증폭 부재, 55 : 지지 구멍(힘 증폭 부재의 지지부), 56 : 안내 홈(힘 증폭 부재의 안내부), 59 :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 60 : 회전 이동용 트랙부

Claims (12)

  1. 힘 증폭 부재(30; 50)를 조작함으로써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이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A; B)로서,
    상기 제1 하우징(10)과 힘 증폭 부재(30; 50)는, 힘 증폭 부재(30; 50)를 제1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4, 35; 55)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우징(10)과 힘 증폭 부재(30; 50)는, 초기 스테이지(IP)에서 두 하우징(10, 20)의 연결 방향(CD)을 가로지르는 방향(SD)으로 제1 하우징(10)에 대한 힘 증폭 부재(30; 5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힘 증폭 부재(30; 50)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14, 36; 56)를 구비하고,
    상기 힘 증폭 부재(30; 50)는 힘 증폭 부재(30; 50)의 하나 이상의 아암부(31)의 단부의 외측 둘레 가장자리에 조립용 개구(34; 54)를 더 포함하고, 하나의 안내부(14; 36; 56), 하나의 지지부(14; 35; 55) 및 하나의 조립용 개구(34; 54)가 서로 연통하며,
    상기 힘 증폭 부재(30; 50)는, 상기 힘 증폭 부재(30; 50)가 회전할 때에, 제2 하우징(20)의 이동을 위해 캠 팔로워(23)와 슬라이드 접촉할 있는 회전 이동용 트랙부(39; 60)와, 상기 힘 증폭 부재(30; 50)가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제2 하우징(20)의 이동을 위해 캠 팔로워(23)와 슬라이드 접촉할 수 있는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40; 59)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을 연결하는 공정에서, 상기 힘 증폭 부재(30; 50)는, 회전 이동용 트랙부(39; 60)와 회전 이동용 캠 팔로워(23)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힘 증폭 작용을 발생시키는 회전 이동과,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40; 59)와 슬라이드 이동용 캠 팔로워(23)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힘 증폭 작용을 발생시키는 슬라이드 이동을 계속해서 또는 번갈아서 실행하는 것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이동용 트랙부(39; 60)와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40; 59)는 서로 연통하고,
    공통의 캠 팔로워(23)가 회전 이동용 캠 팔로워(23) 및 슬라이드 이동용 캠 팔로워(23)로서 기능하는 것인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힘 증폭 부재(30; 50)의 지지부(35; 55)는 지지 구멍(35; 55)이고,
    상기 힘 증폭 부재(30; 50)의 안내부(36; 56)는 안내 홈(36; 56)이며,
    상기 안내 홈(36; 56)과 지지 구멍(35; 55)은 서로 연통하는 것인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통의 돌기부(14)가 제1 하우징(10)의 지지부(14) 및 제1 하우징(10)의 안내부(14)로서 기능하는 것인 커넥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힘 증폭 부재(30; 50)는, 상기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의 연결 작업에 있어서 초기 스테이지(IP)로부터 중간 스테이지(SW)까지 회전 이동을 실행하고, 상기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의 연결 작업에 있어서 중간 스테이지(SW)로부터 종료(CP)까지 슬라이드 이동을 실행하는 것인 커넥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힘 증폭 부재(30; 50)는, 상기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의 연결 작업에 있어서 초기 스테이지(IP)로부터 중간 스테이지(SW)까지 슬라이드 이동을 실행하고, 상기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의 연결 작업에 있어서 중간 스테이지(SW)로부터 종료(CP)까지 회전 이동을 실행하는 것인 커넥터.
  7. 힘 증폭 부재(30; 50)를 조작함으로써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이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A; B)를 조립하는 조립 방법으로서,
    힘 증폭 부재(30; 50)의 조립용 개구(34; 54)를 공통의 돌기부(14)에 결합하는 단계로서, 조립용 개구(34; 54)는 힘 증폭 부재(30)의 아암부(31)의 단부의 외측 둘레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안내부(36; 56), 지지부(35; 55) 및 조립용 개구(34; 54)가 서로 연통하며,
    상기 힘 증폭 부재(30; 50)를 제1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단계와,
    초기 스테이지(IP)에서, 두 하우징(10, 20)의 연결 방향(CD)을 가로지르는 방향(SD)으로 제1 하우징(10)에 대한 힘 증폭 부재(30; 5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힘 증폭 부재(30; 50)를 안내하는 단계와,
    상기 힘 증폭 부재(30; 50)를 조작함으로써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의 연결을 실행하거나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을 연결하는 공정에서, 상기 힘 증폭 부재(30; 50)는,
    - 상기 힘 증폭 부재(30; 50)의 회전 이동용 트랙부(39; 60)와 제2 하우징(20)의 이동을 위해 캠 팔로워(23)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힘 증폭 작용을 발생시키는 회전 이동과,
    - 상기 힘 증폭 부재(30; 50)의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40; 59)와 제2 하우징(20)의 이동을 위해 캠 팔로워(23)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힘 증폭 작용을 발생시키는 슬라이드 이동을
    계속해서 또는 번갈아서 실행하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이동용 트랙부(39; 60)와 슬라이드 이동용 트랙부(40; 59)는 서로 연통하고, 공통의 캠 팔로워(23)가 회전 이동용 캠 팔로워(23) 및 슬라이드 이동용 캠 팔로워(23)로서 기능하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힘 증폭 부재(30; 50)의 지지부(35; 55)는 지지 구멍(35; 55)이고,
    상기 힘 증폭 부재(30; 50)의 안내부(36; 56)는 안내 홈(36; 56)이며,
    상기 안내 홈(36; 56)과 지지 구멍(35; 55)은 서로 연통하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공통의 돌기부(14)가 제1 하우징(10)의 지지부(14) 및 제1 하우징(10)의 안내부(14)로서 기능하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힘 증폭 부재(30; 50)는, 상기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의 연결 작업에 있어서 초기 스테이지(IP)로부터 중간 스테이지(SW)까지 회전 이동을 실행하고, 상기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의 연결 작업에 있어서 중간 스테이지(SW)로부터 종료(CP)까지 슬라이드 이동을 실행하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12.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힘 증폭 부재(30; 50)는, 상기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의 연결 작업에 있어서 초기 스테이지(IP)로부터 중간 스테이지(SW)까지 슬라이드 이동을 실행하고, 상기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의 연결 작업에 있어서 중간 스테이지(SW)로부터 종료(CP)까지 회전 이동을 실행하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KR1020110040077A 2010-05-07 2011-04-28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KR101210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07552A JP2011238407A (ja) 2010-05-07 2010-05-07 コネクタ
JPJP-P-2010-107552 2010-05-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664A KR20110123664A (ko) 2011-11-15
KR101210785B1 true KR101210785B1 (ko) 2012-12-10

Family

ID=4426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077A KR101210785B1 (ko) 2010-05-07 2011-04-28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96489B2 (ko)
EP (1) EP2385586A1 (ko)
JP (1) JP2011238407A (ko)
KR (1) KR101210785B1 (ko)
CN (1) CN10228076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30405B2 (ja) * 2012-02-20 2015-12-09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US9423579B2 (en) * 2013-03-05 2016-08-23 Finisar Corporation Latch mechanism for communication module
EP3012922B8 (de) * 2014-10-20 2017-11-01 Stäubli Electrical Connectors AG Schwenkhebelanordnung für Gehäuseanordnung
US10950970B2 (en) 2018-04-04 2021-03-16 Commscope Technologies Llc Ganged coaxial connector assembly
US11527846B2 (en) 2016-02-12 2022-12-13 Commscope Technologies Llc Ganged coaxial connector assembly
JP6607088B2 (ja) * 2016-03-04 2019-11-2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7225391B (zh) * 2016-03-25 2019-11-08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用于多壳体产品的机器人组装系统和组装方法及机器人
LU93033B1 (de) * 2016-04-20 2017-11-30 Phoenix Contact Gmbh & Co Kg Intellectual Property Licenses & Standards Elektrische Anschlussklemme und Verfahren
JP6668950B2 (ja) * 2016-05-30 2020-03-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6120929B4 (de) * 2016-11-03 2018-10-31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Verriegelungsbügel für ein Steckverbindergehäuse
CN109149264B (zh) * 2017-06-28 2021-01-29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器组件及其连接器
EP3776754A4 (en) 2018-04-04 2021-12-22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UPLING COAXIAL CONNECTOR ASSEMBLY
JP7417202B2 (ja) 2020-09-07 2024-01-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レバー式コネク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8397A (ja) 2001-08-29 2003-03-07 Molex Japan Co Ltd レバー結合式コネクタ
JP2003100382A (ja) * 2001-09-25 2003-04-04 Yazaki Corp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JP2005203252A (ja) 2004-01-16 2005-07-28 Yazaki Corp 回路遮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0129B2 (ja) * 1994-09-06 2000-01-17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3503731B2 (ja) * 1997-06-11 2004-03-08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3867500B2 (ja) * 2001-02-01 2007-01-1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3820354B2 (ja) * 2001-05-16 2006-09-13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JP3798280B2 (ja) * 2001-09-25 2006-07-19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JP3958544B2 (ja) * 2001-09-25 2007-08-15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JP2003100385A (ja) * 2001-09-25 2003-04-04 Yazaki Corp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JP4272037B2 (ja) * 2003-11-10 2009-06-03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DE102005050625B4 (de) * 2004-10-22 2011-07-2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Mie Verbinder und Verbinderanordnung
JP2006344473A (ja) 2005-06-08 2006-12-21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US7361036B2 (en) 2005-10-06 2008-04-22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lever and latch
JP4442576B2 (ja) 2006-03-01 2010-03-3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7347704B2 (en) 2006-03-01 2008-03-25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JP4622930B2 (ja) * 2006-04-20 2011-02-02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9158151A (ja) * 2007-12-25 2009-07-1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12109174A (ja) * 2010-11-19 2012-06-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8397A (ja) 2001-08-29 2003-03-07 Molex Japan Co Ltd レバー結合式コネクタ
JP2003100382A (ja) * 2001-09-25 2003-04-04 Yazaki Corp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JP2005203252A (ja) 2004-01-16 2005-07-28 Yazaki Corp 回路遮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71507A1 (en) 2011-11-10
JP2011238407A (ja) 2011-11-24
CN102280762A (zh) 2011-12-14
EP2385586A1 (en) 2011-11-09
KR20110123664A (ko) 2011-11-15
US8496489B2 (en) 2013-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785B1 (ko)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JP4622930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3804553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7275943B2 (en) Connector fitting structure
CN108879218B (zh) 杆式连接器
JP2009170160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20100311258A1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cover
JP6222588B1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8004287A (ja) コネクタ
JP2009158151A (ja) コネクタ
EP1693932A1 (en) A shielded connector, mating shielded connector and shielded connector assembly
WO2012176480A1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7775815B2 (en) LIF connector
JP5358462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5217994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3812732B2 (ja) コネクタ
JP6930502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5830408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7456397B2 (ja) コネクタ
JP5163583B2 (ja) コネクタ
JP5278571B2 (ja) コネクタ
JP2002164117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7476816B2 (ja) コネクタ
WO2024004672A1 (ja) コネクタ
JP7001031B2 (ja) 充電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