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144B1 - 스핀들 모터 및 그것을 이용한 디스크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스핀들 모터 및 그것을 이용한 디스크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144B1
KR101208144B1 KR1020110045082A KR20110045082A KR101208144B1 KR 101208144 B1 KR101208144 B1 KR 101208144B1 KR 1020110045082 A KR1020110045082 A KR 1020110045082A KR 20110045082 A KR20110045082 A KR 20110045082A KR 101208144 B1 KR101208144 B1 KR 101208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spindle motor
axial direction
adhesiv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3402A (ko
Inventor
야스히로 사카타
유야 사이토
다케히토 다마오카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73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2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around the armatures, e.g. flywheel magnet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 Rotational Drive Of Disk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핀들 모터는 중심축으로서 상하 방향에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중심축의 주위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를 갖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와, 정지부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자성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자성부재는 상기 마그네트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고 상기 마그네트와의 사이에 축 방향으로 자기적인 흡인력이 발생하는 대향부와, 상기 대향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다.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자성부재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내에 고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스핀들 모터 및 그것을 이용한 디스크 구동 장치{SPINDLE MOTOR AND DISK DRIVE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해서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 및 이 스핀들 모터를 구비한 디스크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드 디스크 장치나 광디스크 장치에는 디스크를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가 탑재되어 있다. 스핀들 모터는 장치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정지부와, 디스크를 장착해서 회전하는 회전부를 갖는다.
종래의 스핀들 모터는 정지부의 상면에 자기 흡인판이 부착된 것이 있다. 자기 흡인판은 회전부에 고정된 로터 마그네트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적인 흡인력에 의해, 회전부를 정지부측으로 끌어 당긴다.
자기 흡인판을 갖는 종래의 스핀들 모터가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5-003115호에 개시되어 있다.
자기 흡인판을 갖는 종래의 스핀들 모터에서는 자기 흡인판의 평면부위를 베이스 프레임의 평탄면에 접착하고 있었다. 한편, 자기 흡인판과 로터 마그네트의 사이에는 자기적인 흡인력이 강하게 작용한다. 이 때문에, 자기적인 흡인력에 의해서, 자기 흡인판이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벗겨져 버릴 우려가 있다. 자기 흡인판의 평면 부위와 베이스 프레임의 평탄면끼리의 접착력은 충분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가일층의 접착 강도의 향상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스핀들 모터는 중심축으로서 상하 방향에 배치되는 샤프트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와, 정지부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고 마그네트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자성부재를 구비한다. 회전부는 로터 마그네트를 구비한다.
자성부재는 마그네트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고 마그네트와의 사이에 축 방향으로 자기적인 흡인력이 발생하는 대향부와, 대향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는 오목부를 갖고, 오목부내에 자성부재의 돌출부가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스핀들 모터에 따르면, 오목부내에 돌출부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 부재에 대한 자성부재의 고정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디스크 구동 장치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스핀들 모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흡인 요크 및 그 근방의 구성을 나타낸 스핀들 모터의 부분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흡인 요크와 베이스 부재의 오목부의 관계를 나타낸 스핀들 모터의 부분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변형예에 관한 스핀들 모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절단한 주요부 단면도로서, 도 5a는 흡인 요크 및 그 근방의 구성을 나타낸 스핀들 모터의 부분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흡인 요크와 베이스 부재의 오목부의 관계를 나타낸 스핀들 모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절단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다른 변형예에 관한 스핀들 모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절단한 주요부 단면도로서. 도 6a는 대향부의 직경 방향 중앙영역으로부터 돌출부를 돌출시킨 도면이고, 도 6b는 대향부의 직경 방향 외연부 및 직경 방향 내연부로부터 돌출부를 돌출시킨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변형예에 관한 스핀들 모터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절단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중심축 A를 따른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고, 상대적으로 회전부(4)측을 「상」, 정지부(3)측을 「하」로 해서, 각 부재의 형상이나 위치 관계를 설명한다. 단, 이것은 어디까지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하 방향을 정의한 것이며, 본 발명의 스핀들 모터나 디스크 구동 장치가 실제의 기기에 탑재되었을 때의 설치 자세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디스크 구동 장치(2)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디스크 구동 장치(2)는 2개의 자기 디스크(22)를 회전시키면서, 자기 디스크(22)로부터의 정보의 읽기 및/또는 쓰기를 실행하는 하드 디스크 장치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 구동 장치(2)는 장치 하우징(21), 2개의 자기 디스크(이하, 단지 「디스크」라 함)(22), 액세스부(23), 및 스핀들 모터(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스핀들 모터(1)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스핀들 모터(1)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핀들 모터(1)는 디스크 구동 장치(2)의 장치 하우징(21)에 고정되는 정지부(3)와, 디스크(22)를 장착해서 중심축 A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는 회전부(4)를 구비하고 있다.
우선, 정지부(3)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정지부(3)는 베이스 부재(31), 스테이터(32), 코일(33), 슬리브(34), 및 흡인 요크(35)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인 요크(3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리 형상의 자성부재를 나타낸다.
베이스 부재(31)는 장치 하우징(21)(도 1 참조)의 일부이며, 베이스 부재(31)에는 스테이터(32)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터(32)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된 복수개의 티스부(322)를 갖고, 각 티스부(322)에는 도선이 감겨져 코일(33)이 구성되어 있다.
슬리브(34)는 샤프트(41)의 외주측에 배치된 대략 원통형상의 부재이다. 슬리브(34)는 베이스 부재(31)에 고정되어 있다.
슬리브(34)의 내주면(34a)과 샤프트(41)의 외주면(41a) 사이의 미소한(예를 들면, 수 ㎛ 정도의) 간극에는 연속적으로 윤활 오일(51)이 충전되어 있다.
흡인 요크(35)는 베이스 부재(31)의 상면의, 후술하는 로터 마그네트(43)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흡인 요크(35)는 로터 마그네트(43)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적인 흡인력에 의해, 회전부(4)를 정지부(3)측으로 끌어 당기고, 회전부(4)의 회전 자세를 안정시킨다.
흡인 요크(35)는 전자 강판(예를 들면 규소강판), 강자성 스테인리스강(예를 들면 SUS430), 냉간 압연 강판(예를 들면 SPCC, SPCE) 등의 자성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흡인 요크(35)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녹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무전해 니켈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계속해서, 스핀들 모터(1)의 회전부(4)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회전부(4)는 샤프트(41), 허브(42), 및 로터 마그네트(43)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41)는 중심축 A를 따라 배치된 부재이며, 슬리브(34)의 내측(축받이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리브(3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허브(42)는 샤프트(41)에 고정되고, 샤프트(41)와 함께 중심축 A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는 부재이다.
허브(42)는 몸통부(421)와, 원통부(422)와, 플랜지부(423)를 갖는다. 몸통부(421)는 샤프트(41)의 상부 근방의 외주면에 접합되어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넓어진다. 원통부(422)는 몸통부(421)의 외연 부분에서 아래쪽을 향해 연장한다. 플랜지부(423)는 원통부(422)의 하단부에서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한다. 플랜지부(423)의 상면(42a)은 디스크(22)를 탑재하는 탑재면으로 된다.
이 중, 로터 마그네트(43)는 허브(42)의 원통부(422)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있다. 로터 마그네트(43)는 중심축 A를 둘러싸도록 둥근 고리 형상을 이루고 있다. 로터 마그네트(43)의 내주면은 N극과 S극이 교대로 배열된 자극면으로 되어 있고, 스테이터(32)의 복수의 티스부(322)의 외주면과 직경 방향으로 대향한다. 또한, 로터 마그네트(43)의 하면은 베이스 부재(31)의 상면에 고정된 흡인 요크(35)의 상면과 축 방향으로 대향한다.
이와 같은 스핀들 모터(1)에 있어서, 정지부(3)의 코일(33)에 구동 전류를 인가하면, 스테이터(32)의 복수의 티스부(322)에 직경 방향의 자속이 발생한다. 그리고, 티스부(322)와 로터 마그네트(43)의 사이의 자속의 작용에 의해 둘레 방향의 토크가 발생하고, 정지부(3)에 대해 회전부(4)가 중심축 A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한다. 허브(42)에 장착된 2개의 디스크(22)는 샤프트(41) 및 허브(42)와 함께 중심축 A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베이스 부재(31)로의 흡인 요크(35)의 고정 수단에 대해, 도 3 및 도 4에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흡인 요크(35) 및 그 근방의 구성을 나타낸 스핀들 모터(1)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절단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흡인 요크(35)와 베이스 부재(31)의 오목부(312)의 관계를 나타낸 스핀들 모터(1)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절단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인 요크(35)는 상술한 자성체의 강판을 버링 가공 등의 소성 변형 가공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소성 변형 가공에 의해, 흡인 요크(35)에는 대향부(351)와 돌출부(352)가 형성된다. 대향부(351)는 로터 마그네트(43)와 축 방향으로 대향한다. 대향부(351)와 로터 마그네트(43)의 사이에는 축 방향으로 자기적인 흡인력이 발생한다. 돌출부(352)는 대향부(351)의 직경 방향 외연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352)도 로터 마그네트(43)와 축 방향으로 대향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평판 형상뿐이었던 종래의 흡인 요크에 비해, 흡인 요크(35) 자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흡인 요크(35)의 판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52)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 작업자가 판두께가 얇은 흡인 요크(35)의 취급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돌출부(352)를 손잡이부로 해서 쥐고 작업자가 흡인 요크(35)를 들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흡인 요크(35)의 스핀들 모터의 제조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31)의 상면에는 오목부(312)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312)는 로터 마그네트(43)를 축 방향으로 투영한 베이스 부재(31)의 영역 S(도 3 참조)에 마련되어 있다. 영역 S는 로터 마그네트(43)의 자력이 특히 크게 작용하는 영역이다. 영역 S에서의 흡인 요크(35)의 베이스 부재(31)에의 접착 강도가 약하면, 로터 마그네트(43)의 자기적인 흡인력에 의해 흡인 요크(35)가 벗겨져 버릴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영역 S에 오목부(312)를 마련한다. 오목부(312)에는 접착제가 개재하므로 오목부(312)는 접착 고임으로서 기능한다. 흡인 요크(35)의 돌출부(352)를 오목부(312)내에서 고정시키면 높은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오목부(312)내에 있어서, 흡인 요크(35)의 돌출부(352)를 축 방향 뿐만 아니라 직경 방향으로도 접착 고정시킴으로써, 종래에 비해 로터 마그네트(43)의 자기적인 흡인력에 대항하는데 충분한 접착 강도를 얻고 있다.
또한, 흡인 요크(35)의 돌출부(352)를 베이스 부재(31)의 오목부(312)내에 고정시켰을 때에, 흡인 요크(35)의 대향부(351)의 직경 방향 내측 단부(351a)가, 로터 마그네트(43)와 스테이터(32)의 직경 방향의 간극을 축 방향으로 투영한 영역 T로까지 연장하고 있다. 로터 마그네트(43)와 스테이터(32)의 직경 방향의 간극에 무엇보다도 자력이 발생한다. 영역 T로까지 흡인 요크(35)의 대향부(351)를 연장시키는 것에 의해, 흡인 요크(35)의 판두께를 얇게 했다고 해도, 로터 마그네트(43)로부터 하측에 흐르는 자속을 흡인 요크(35)에서 포착하여 자속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접착제(36)로서는 예를 들면, 열 경화성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접착제(36)로서, 자외선 경화성 및 열 경화성을 갖는 접착제나, 염기성, 자외선 경화성, 및 열 경화성 중 1 또는 2 이상의 성질을 갖는 접착제가 사용되어도 좋다.
자외선 경화성 및 열 경화성을 갖는 접착제를 사용하면,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접착제를 가경화시킨 후 시간을 들여 접착제를 본경화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핀들 모터(1)의 생산 시간을 저하시키지 않고 흡인 요크(35)의 고정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36)로서 에폭시 성분이 많은 것을 사용하면, 베이스 부재(31)와 흡인 요크(35)의 접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오목부(312)의 축 방향 및 직경 방향의 치수로서는 각종 치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목부(312)내에 돌출부(352)를 삽입해서 오목부(312) 근방의 베이스 부재(31)의 상면에 흡인 요크(35)의 대향부(351)가 접했을 때에, 오목부(312)내에 돌출부(352)를 수용해서 약간 여유가 있을 정도의 치수이면 좋다. 또한, 오목부(312)를 구성하는 벽면과 해당 벽면과 대향하는 돌출부(352)의 면이, 또는 오목부(312)를 구성하는 벽면과 오목부(312)의 저면과 돌출부(352)의 저면이, 각각 접착제(36)를 거쳐서 접착할 수 있을 정도의 치수이면 좋다.
그리고, 접착제(36)가 도포된 오목부(312)내에 흡인 요크(35)의 돌출부(352)를 삽입하고, 접착제(36)를 가열이나 자외선을 조사해서 경화시켜, 흡인 요크(35)를 베이스 부재(31)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베이스 부재(31)에 대한 흡인 요크(35)의 접착력이 흡인 요크(35)의 돌출부(352)의 주위에 작용한다. 이 때문에, 베이스 부재(31)에 대한 흡인 요크(35)의 위치 결정 및 접착 고정은 흡인 요크(35)의 대향부(351)에 의한 면 접착 뿐만 아니라 돌출부(352)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따라서, 베이스 부재(31)에 대한 흡인 요크(35)의 접착 강도 및 직경 방향의 충격이나 진동에 대한 강도가 종래에 비해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흡인 요크(35)가 베이스 부재(31)로부터 벗겨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베이스 프레임과 자기 흡인판의 평면끼리의 접착으로 접착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자기 흡인판의 면적을 넓게 취하고 있었지만, 면적이 넓기 때문에 자기 흡인판을 박형화하고자 하면 강성이 부족하여 박형화는 곤란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인 요크(35)는 강성을 확보하면서 박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부재(31)를 종래보다 두껍게 할 수 있고, 베이스 부재(31)의 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흡인 요크(35)의 돌출부(352)의 직경 방향 외측의 면인 외측면(352a)을, 베이스 부재(31)의 오목부(312)를 구성하는 외벽면(312a)에 접착제(36)를 거쳐서 접착시킨다. 이 때의 외측면(352a)과 외벽면(312a)의 사이에 개재하는 접착제(36)의 직경 방향의 치수는 1㎜ 이하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외측면(352a)과 내측면(352b) 중, 흡인 요크(35)의 직경 방향의 위치 결정에 기여하는 것은 외측면(352a)인 것에 의해, 베이스 부재(31)에 대한 흡인 요크(35)의 직경 방향의 위치 결정을 더욱 정밀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흡인 요크(35)의 대향부(351)와 베이스 부재(31)의 상면이, 직접 혹은 접착제(36)를 거쳐서 축 방향으로 접하는 것에 의해, 흡인 요크(35)를 베이스 부재(31)에 대해 기울이지 않고 부착할 수 있다.
다음에, 접착제(36)에 대해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오목부(312) 상부 개구부 가장자리부 근방에는 모따기부(313)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 방향 외측의 모따기부를 ‘313a’, 직경 방향 내측의 모따기부를 ‘313b’로 한다. 또, 직경 방향 내측의 모따기부(313b)에 인접하는 베이스 부재(31)의 상면에는 흡인 요크(35)의 대향부(351)의 하면이 직접 혹은 접착제(36)를 거쳐서 접하고 있다.
우선, 직경 방향 외측의 모따기부(313a)에 대해 설명한다. 접착제(36)가 도포 또는 충전된 오목부(312)내에 흡인 요크(35)의 돌출부(352)를 삽입했을 때, 돌출부(352)를 삽입하는 힘에 눌려 접착제(36)가, 돌출부(352)의 외측면(352a)과 오목부(312)를 구성하는 외벽면(312a)의 간극, 및 돌출부(352)의 내측면(352b)과 오목부(312)를 구성하는 내벽면(312b)의 간극 각각에 개재하는 동시에, 해당 간극내를 위쪽으로 밀려 나온다.
이 때, 돌출부(352)의 외측면(352a)과 오목부(312)를 구성하는 외벽면(312a)의 간극으로부터 밀려 나온 접착제(36)는 돌출부(352)의 외측면(352a)과 오목부(312)의 모따기부(313a)의 간극에 개재하게 된다. 돌출부(352)의 외측면(352a)과 오목부(312)의 모따기부(313a)의 간극에는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점차 넓어지는 내부 테이퍼부(60)가 마련되어 있다. 내부 테이퍼부(60)에 들어온 접착제(36)는 모세관력(표면장력)의 작용에 의해서, 내부 테이퍼부(60)에 있어서 메니스커스형상을 이루고 유지된다. 이렇게 해서, 내부 테이퍼부(60)에 있어서 접착제(36)가 유지되기 때문에, 접착제(36)의 누설이 방지된다. 또한, 내부 테이퍼부(60)에 있어서 접착제(36)가 경화하는 것에 의해, 베이스 부재(31)에 대한 흡인 요크(35)의 접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높은 스핀들 모터(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흡인 요크(35)는 소성 변형 가공에 의해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대향부(351)와 돌출부(352)가 이루는 내각부(內角部)(35a)는 직각형상이 아닌, 대략 곡면형상을 이룬다. 오목부(312)의 상부 개구부 근방이 직각형상이면 그 내각부(35a)에 접촉해 버린다.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오목부(312)의 상부 개구부 가장자리부 근방에 모따기부(313b)가 마련되어 있다. 또, 내각부(35a)와 내측 모따기부(313b)가 이루는 공간에 접착제(36)가 유지되고, 해당 공간이 접착제의 고임부로 기능한다.
또한, 흡인 요크(35)의 대향부(351)를 축 방향으로 투영한 베이스 부재(31)의 영역에는 제 2 오목부(314)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오목부(314)는 대향부(351)의 하면과 베이스 부재(31)의 상면의 사이에 개재하는 접착제(36)의 일부를 유지한다.
제 2 오목부(314)는 베이스 부재(31)의 상면과 흡인 요크(35)의 대향부(351)의 하면이 접근한 상태에 있어서도, 양자의 사이에 접착제(36)가 유지되는 공간이다. 제 2 오목부(314)에 의해, 베이스 부재(31)와 흡인 요크(35)의 사이에 종래보다 다량의 접착제(36)가 유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스핀들 모터(1)에 있어서는 베이스 부재(31)와 흡인 요크(35)는 높은 접착 강도를 갖고 고정되며, 흡인 요크(35)가 베이스 부재(31)로부터 벗겨져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 2 오목부(314)는 오목부(312)내에 돌출부(352)를 삽입했을 때에 넘친 접착제(36)가 고이는 부위로서도 기능하고, 넘친 접착제(36)가 외부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오목부(314)는 대향부(351)와 베이스 부재(31)의 사이의 접착제(36)의 두께를 필요 최저한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대향부(351)와 베이스 부재(31)의 사이에 접착제(36)를 개재시키지 않는 경우에도, 제 2 오목부(314)내에 접착제(36)를 충전시켜 둠으로써 대향부(351)와 베이스 부재(31)를 접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스핀들 모터(1)에 있어서는 베이스 부재(31)와 흡인 요크(35)는 높은 접착 강도를 갖고 고정되고, 흡인 요크(35)가 베이스 부재(31)로부터 벗겨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인 요크(35)를 펀칭 가공에 의해 작성한 경우에는 흡인 요크(35)의 대향부(351)의 한쪽의 면의 단가장자리부에는 펀칭 가공에 기인하는 돌출부(353)(소위 「버르」)가 형성되고, 흡인 요크(35)의 대향부(351)의 다른쪽의 면의 단가장자리부에는 펀칭 가공에 기인하는 곡면부(354)(소위 「늘어짐」)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353)가 상면측에 위치하고, 곡면부(354)가 하면측에 위치하도록, 흡인 요크(35)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흡인 요크(35)의 대향부(351)의 곡면부(354)와 베이스 부재(31)의 상면의 사이에 외부 테이퍼부(61)가 형성되고, 비어져 나온 접착제(36)가 모세관력(표면장력)에 의해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베이스 부재(31)와 흡인 요크(35)의 접착 강도가 더욱 향상한다.
베이스 부재(31)의 오목부(312)에는 접착제(36)가 도포 또는 충전되어 있고, 오목부(312)내에 흡인 요크(35)의 돌출부(352)를 삽입하면, 돌출부(352)의 체적분만큼 접착제(36)가 넘치려고 하지만, 내부 테이퍼부(60) 및 외부 테이퍼부(61)에서 접착제가 유지되고 외부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오목부(312)내에 도포하는 접착제(36)는 가령 넘쳤다고 해도 내부 테이퍼부(60) 및 외부 테이퍼부(61)에서 유지되는 정도의 분량을 이용한다. 또한, 내부 테이퍼부(60) 및 외부 테이퍼부(61)에서 접착제(36)를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더욱 접착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의 변형예에 대해, 도 5a 또는 도 5b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대향부(351)의 직경 방향 내연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부(352)를 돌출시킨다. 그리고, 돌출부(352)의 직경 방향 내측의 면인 내측면(352b)을, 베이스 부재(31)의 오목부(312)를 구성하는 내벽면(312b)에, 접착제(36)를 거쳐서 접착시켜도 좋다.
*또한 다른 변형예로서, 예를 들면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부(351)의 직경 방향 중앙영역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부(352)를 돌출시켜도 좋다.
또한,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부(351)의 직경 방향 외연부 및 직경 방향 내연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부(352)를 2개 돌출시켜도 좋다. 이 경우, 베이스 부재(31)에는 오목부(312)가 2개 마련된다. 또, 돌출부(352)의 수나 오목부(312)의 수는 특히 한정하지 않는다. 어느 경우도, 돌출부(352)의 직경 방향 외측의 면(352a) 또는 직경 방향 내측의 면(352b)을, 오목부(312)를 구성하는 외벽면(312a) 또는 내벽면(312b)에 접착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흡인 요크(35)의 직경 방향의 위치 결정을 더욱 정밀도 좋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312)에 인접하는 베이스 부재(31)의 부위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베이스 볼록부(315)를 형성해도 좋다. 베이스 볼록부(315)의 상면은 흡인 요크(35)의 대향부(351)의 하면을 지지한다. 또한, 베이스 볼록부(315)의 상면의 직경 방향 외연부 및 직경 방향 내연부에는 경사면부(31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직경 방향 외측의 경사면부를 ‘316a’, 직경 방향 내측의 경사면부를 ‘316b’로 한다.
또, 베이스 볼록부(315)의 직경 방향 외측의 경사면부(316a)와,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오목부(312)의 내측 모따기부(313b)를 동일 평면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볼록부(315)의 상면상에 지지되어 있는 흡인 요크(35)의 대향부(351)는 베이스 볼록부(315)의 상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하고 있고, 연장한 직경 방향 내측 단부(351a)(또는 곡면부(354))와 베이스 볼록부(315)의 내측 경사면부(316b)로 테이퍼부(62)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대향부(351)의 하면과 베이스 볼록부(315)의 상면의 간극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에 누설된 접착제(36)는 테이퍼부(62)에 있어서 모세관력에 의해서 유지된다. 또한, 테이퍼부(62)에 있어서 접착제(36)가 경화하는 것에 의해, 베이스 부재(31)에 대한 흡인 요크(35)의 접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오목부(312)를 구성하는 외벽면(312a)을 위쪽으로 연장시킴으로써, 돌출부(352)의 외측면(352a)과의 접착 면적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돌출부(352)가 돌출되어 있는 대향부(351)의 직경 방향 외연부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제 2 곡면부(355)가 마련된다. 또, 제 2 곡면부는 상술한 펀칭 가공에 기인하는 곡면부(354)와 구별하기 위해, 제 2 곡면부(355)로 한다. 제 2 곡면부(355)와 오목부(312)의 모따기부(313a)의 간극은 간극이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점차 넓어지는 테이퍼부(63)를 형성하고 있고, 해당 간극에 들어온 접착제(36)는 모세관력(표면장력)의 작용에 의해서 테이퍼부(63)에 있어서 메니스커스 형상을 이루고 유지된다. 테이퍼부(63)에 있어서 접착제(36)가 유지되기 때문에 접착제(36)의 누출이 방지된다. 또한, 테이퍼부(63)에 있어서 접착제(36)가 경화하는 것에 의해, 베이스 부재(31)에 대한 흡인 요크(35)의 접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높은 스핀들 모터(1)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본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할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이 첨부된 청구항이나 그와 상당하는 것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오목부(314)를 접착제(36)의 일부를 유지하기 위한 고임부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흡인 요크(35)의 돌출부(352)를 제 2 오목부(314)내에 고정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접착제(36)를 거쳐서 흡인 요크(35)를 베이스 부재(31)에, 특히, 흡인 요크(35)의 돌출부(352)를 베이스 부재(31)의 오목부(312)내에 부착하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압입, 코킹이나 수축끼워맞춤(shrinkage fitting)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흡인 요크(35)를 베이스 부재(31)에 고정시켜도 좋고, 또한 전술한 고정 수단과 접착제를 병용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돌출부의 외측면을 오목부의 내벽면에 압입해도 좋다. 압입의 경우, 돌출부의 외측면과 오목부의 내측면은 직접적으로 접한다. 또, 돌출부의 직경 방향의 치수가 오목부의 직경 방향의 내경보다도 약간 크거나, 또는 대략 동등한 크기로 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베이스 부재(31)는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자성부재의 돌출부를 로터 마그네트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의 스핀들 모터(1)는 허브(42)와 함께 샤프트(41)가 회전하는 소위 「축 회전」타입의 스핀들 모터(1)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스핀들 모터는 베이스 부재에 고정된 샤프트에 대해 슬리브 및 버르가 회전하는 소위 「축 고정」타입의 스핀들 모터라도 좋다.
1: 스핀들모터
2: 디스크 구동 장치
3: 정지부
4: 회전부
21: 장치 하우징
22: 디스크
23: 액세스부
31: 베이스부재
32: 스테이터
33: 코일
34: 슬리브
35: 흡인요크
36: 접착제
41: 샤프트
42: 허브
43: 로터 마그네트
51: 윤활오일
60: 테이퍼부

Claims (10)

  1. 중심축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중심축의 주위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를 갖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자성부재를 갖는 정지부(靜止部)
    를 구비하고,
    상기 자성부재는 상기 마그네트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고, 상기 마그네트와의 사이에는 축 방향으로 자기적인 흡인력이 발생하는 대향부와, 상기 대향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오목부 내의 접착제를 통해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스핀들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측면과 대향하는 벽면을 갖고,
    상기 자성부재의 상기 돌출부의 측면과 상기 벽면이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어 있는
    스핀들 모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대향부의 하면에 대향하는 상면에 인접하는 직경 방향 내측의 모따기부를 갖는 스핀들 모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부와 상기 돌출부가 이루는 내각부는 곡면 형상인 스핀들 모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제 1 오목부로 하고, 상기 대향부를 축 방향으로 투영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영역에는 제 2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오목부는 상기 대향부의 하면과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의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제를 유지하는
    스핀들 모터.
  6. 중심축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중심축의 주위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를 갖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자성부재를 갖는 정지부
    를 구비하고,
    상기 자성부재는 상기 마그네트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고, 상기 마그네트와의 사이에는 축 방향으로 자기적인 흡인력이 발생하는 대향부와, 상기 대향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돌출부의 측면과 대향하는 벽면을 갖고,
    상기 돌출부의 측면과 상기 벽면의 사이에 접착제가 개재되어 있는
    스핀들 모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대향부의 하면에 대향하는 상면에 인접하는 모따기부를 갖고,
    상기 모따기부는 상기 대향부와 상기 돌출부가 이루는 내각부와 대향하고, 상기 내각부와 상기 모따기부의 사이에는 접착제가 개재되는
    스핀들 모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각부는 곡면 형상인 스핀들 모터.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부를 축 방향으로 투영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영역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대향부의 하면과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의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제를 유지하는
    스핀들 모터.
  10. 삭제
KR1020110045082A 2008-12-08 2011-05-13 스핀들 모터 및 그것을 이용한 디스크 구동 장치 KR1012081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12288 2008-12-08
JP2008312288A JP5343543B2 (ja) 2008-12-08 2008-12-08 スピンドルモ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ク駆動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860A Division KR101089007B1 (ko) 2008-12-08 2009-11-30 스핀들 모터 및 그것을 이용한 디스크 구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402A KR20110073402A (ko) 2011-06-29
KR101208144B1 true KR101208144B1 (ko) 2012-12-04

Family

ID=422309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860A KR101089007B1 (ko) 2008-12-08 2009-11-30 스핀들 모터 및 그것을 이용한 디스크 구동 장치
KR1020110045082A KR101208144B1 (ko) 2008-12-08 2011-05-13 스핀들 모터 및 그것을 이용한 디스크 구동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860A KR101089007B1 (ko) 2008-12-08 2009-11-30 스핀들 모터 및 그것을 이용한 디스크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89290B2 (ko)
JP (1) JP5343543B2 (ko)
KR (2) KR1010890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317B1 (ko) * 2009-09-22 2011-08-01 삼성전기주식회사 스핀들 모터
KR101141483B1 (ko) * 2010-10-04 2012-05-04 삼성전기주식회사 모터 및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KR101171614B1 (ko) 2010-12-21 2012-08-06 삼성전기주식회사 모터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130032033A (ko) * 2011-09-22 2013-04-01 삼성전기주식회사 스핀들 모터
KR101367949B1 (ko) 2011-11-04 2014-02-26 삼성전기주식회사 모터용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스핀들 모터
JP5958037B2 (ja) * 2012-04-13 2016-07-27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ピンドル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CN204992804U (zh) * 2014-07-09 2016-01-20 苹果公司 风扇装置和计算系统
KR101535393B1 (ko) * 2014-12-01 2015-07-08 주식회사 태양전기 하우징과 샤프트가 일체형인 bldc모터
JP2017184533A (ja) * 2016-03-31 2017-10-05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スピンドルモータ
US9704521B1 (en) * 2016-06-30 2017-07-11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Actuator limiters for multiple disk-stack, shared actuator hard disk drive
JP6851177B2 (ja) 2016-10-31 2021-03-31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スピンドルモータ、ハードディスク駆動装置及びスピンドルモータ製造方法
JP7046351B2 (ja) 2018-01-31 2022-04-04 三国電子有限会社 接続構造体の作製方法
JP7185252B2 (ja) 2018-01-31 2022-12-07 三国電子有限会社 接続構造体の作製方法
JP7160302B2 (ja) * 2018-01-31 2022-10-25 三国電子有限会社 接続構造体および接続構造体の作製方法
US11850804B2 (en) * 2020-07-28 2023-12-26 Divergent Technologies, Inc. Radiation-enabled retention features for fixtureless assembly of node-based structures
US11806941B2 (en) 2020-08-21 2023-11-07 Divergent Technologies, Inc. Mechanical part retention features for additively manufactured structur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2517A (ja) 2000-09-29 2002-04-12 Sankyo Seiki Mfg Co Ltd モータ
JP2005155685A (ja) 2003-11-20 2005-06-16 Nippon Densan Corp スピンドルモ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8187854A (ja) 2007-01-31 2008-08-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
JP2009005561A (ja) 2007-06-25 2009-01-08 Nippon Densan Corp 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5476A (en) 1989-04-20 1990-10-23 Conner Peripherals, Inc. Stabilized disk drive spin motor
JP2813890B2 (ja) 1989-06-15 1998-10-22 日本電産株式会社 デイスク用モータの振動防止構造
JPH0360355A (ja) 1989-07-25 1991-03-15 Toshiba Corp モータ
JPH08115562A (ja) 1994-10-18 1996-05-07 Sankyo Seiki Mfg Co Ltd 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1309605A (ja) * 2000-04-20 2001-11-02 Nippon Densan Corp モータ
JP3723048B2 (ja) 2000-05-17 2005-12-0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ディスク回転駆動装置
JP2002262523A (ja) 2001-03-02 2002-09-13 Sumitomo Special Metals Co Ltd ヨーク部材の製造方法、ボイスコイルモータ用磁気回路および磁気ディスク装置
JP2003259596A (ja) * 2002-03-06 2003-09-12 Sankyo Seiki Mfg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
US20030168923A1 (en) 2002-03-08 2003-09-11 Sankyo Seiki Mfg. Co., Ltd. Motor with magnetic attraction member
JP2003274602A (ja) * 2002-03-14 2003-09-26 Sankyo Seiki Mfg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
JP3955944B2 (ja) * 2002-03-11 2007-08-08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装置
JP2003299302A (ja) 2002-03-29 2003-10-17 Tokyo Parts Ind Co Ltd ロータ部の軸方向振動防止機構を備えたスピンドルモータ
JP3828457B2 (ja) * 2002-06-13 2006-10-04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ピンドルモータ及びこれを備えた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4248344A (ja) * 2003-02-10 2004-09-02 Nippon Densan Corp 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4263863A (ja) 2003-02-10 2004-09-24 Sankyo Seiki Mfg Co Ltd 動圧軸受装置
US7265939B2 (en) 2003-03-31 2007-09-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pindle motor and disk drive unit
JP4084843B2 (ja) 2003-06-12 2008-04-30 日本電産株式会社 動圧軸受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306684C (zh) * 2003-11-07 2007-03-21 日本电产株式会社 主轴马达和包括该主轴马达的记录磁盘驱动装置
US6920013B2 (en) 2003-11-07 2005-07-19 Nidec Corporation Disk drive spindle motor with radial inward thrust area annular protruding portion and bearing member communicating passage
JP4639833B2 (ja) * 2004-06-23 2011-02-23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ピンドルモータ及びこのスピンドルモータを備えた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US7692343B2 (en) 2004-10-20 2010-04-06 Seagate Technology Llc High magnetic reluctance motor assembly
JP2006194400A (ja) 2005-01-17 2006-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および回転装置
US7088023B1 (en) * 2005-04-22 2006-08-08 Nidec Corporation Motor unit,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disk driv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2517A (ja) 2000-09-29 2002-04-12 Sankyo Seiki Mfg Co Ltd モータ
JP2005155685A (ja) 2003-11-20 2005-06-16 Nippon Densan Corp スピンドルモ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8187854A (ja) 2007-01-31 2008-08-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
JP2009005561A (ja) 2007-06-25 2009-01-08 Nippon Densan Corp 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402A (ko) 2011-06-29
KR20100066369A (ko) 2010-06-17
US20100142359A1 (en) 2010-06-10
KR101089007B1 (ko) 2011-12-01
US8189290B2 (en) 2012-05-29
JP2010136575A (ja) 2010-06-17
JP5343543B2 (ja)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144B1 (ko) 스핀들 모터 및 그것을 이용한 디스크 구동 장치
JP5490868B2 (ja) 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9007717B2 (en) Top cover having a patterned gasket fixing region, disk drive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op cover
JP2015112016A (ja) ディスク駆動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23172A (ko) 척킹장치 및 이 척킹장치를 탑재한 브러시리스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JP2010252622A (ja) 記録ディスク駆動用モータの製造方法、記録ディスク駆動用モ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JP2011114896A (ja) スピンドルモータ、ディスク駆動装置、及びスピンドルモータの製造方法
JP2011091969A (ja) モータ、ディスク駆動装置、ロータヨークの製造方法、およびモータの製造方法
US8099746B2 (en) Motor, storage disk drive apparatus and motor manufacturing method
JP2011024351A (ja) スピンドルモータ、ディスク駆動装置、及びスピンドルモータの製造方法
JP2013187976A (ja) モータ、ディスク駆動装置およびモータの製造方法
US8156513B2 (en) Motor and storage disk drive apparatus
US8243384B2 (en) Motor and disk drive apparatus
KR101159464B1 (ko) 모터, 디스크 구동 장치, 회전자 요크의 제조 방법 및 모터의 제조 방법
JP3529971B2 (ja) スピンドルモータ
KR20110136724A (ko)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JP5916995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CN111628602B (zh) 马达
KR101196583B1 (ko) 스핀들 모터
JPH0655113U (ja) 多面鏡固定機構
US8976486B2 (en) Rotating device with hub and yoke having radial extension portion
JP2011067083A (ja) モータおよび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並びに、モータの製造方法
JP2006005974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KR101153602B1 (ko) 스핀들 모터용 스토퍼 링 및 이를 구비하는 모터
JP2002272039A (ja) 磁石式発電機のロ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