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067B1 - 스테이지 장치 - Google Patents

스테이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067B1
KR101204067B1 KR1020107004167A KR20107004167A KR101204067B1 KR 101204067 B1 KR101204067 B1 KR 101204067B1 KR 1020107004167 A KR1020107004167 A KR 1020107004167A KR 20107004167 A KR20107004167 A KR 20107004167A KR 101204067 B1 KR101204067 B1 KR 101204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ase plate
subbase
main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0520A (ko
Inventor
야스조 다나카
준페이 유야마
미츠루 야하기
히로후미 미나미
마코토 타카하시
신야 이토
Original Assignee
울박,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박, 인크 filed Critical 울박, 인크
Publication of KR20100050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6Flat page-size platens or smaller flat platens having a greater size than line-size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1Supports for sheets fu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 B65H2405/312Trolley, cart, i.e. support movable on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1Dimensional aspect of article or web
    • B65H2701/113Size
    • B65H2701/1131Size of sheets
    • B65H2701/11312Size of sheets large formats, i.e. above A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15Digital prin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Details Of Measuring And Other Instrument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설치 장소에서의 조립 정밀도가 높고, 작업이 용이한 스테이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테이지 장치(5)에서는, 주베이스판(11) 상의 제 1, 제 2 주레일(17a, 17b)에 각각 접속되어 제 1, 제 2 주레일(17a, 17b)을 연장시키는 부레일(18)이 각기 다른 부베이스판(21) 상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부베이스판(21)을 위치 맞춤하여 주베이스판(11)에 고정할 때, 이미 주베이스판(11)에 고정되어 있는 부베이스판(21)의 위치 맞춤 정밀도에 영향이 미치지 않는다.

Description

스테이지 장치{STAGE APPARATUS}
본 발명은 스테이지 장치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해 가능한 스테이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9의 부호 105는 종래 기술의 스테이지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스테이지 장치(105)는 베이스판(111)을 가지고 있으며, 베이스판(111)은 이면의 네 모서리에 배치된 다리부(112a~112d)에 의해 바닥면 위에 놓여 있다.
베이스판(111)의 표면 상에는 레일(117, 118)이 깔려 있고, 그 위에는 갠트리(113)가 실려 있다. 갠트리(113)의 베이스판(111)에 대면하는 면에는 인쇄 헤드가 배치되어 있다. 인쇄 헤드는 탱크(114)에 접속되어 있으며, 탱크(114)로부터 인쇄 헤드에 토출액을 공급하여, 베이스판(111) 위에 기판(107)을 실어 인쇄 헤드로부터 토출액을 토출하면, 토출액은 기판(107) 상에 착탄한다.
갠트리(113)는 레일(117, 118) 위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107)의 상방에서 토출액을 토출하면, 기판(107) 표면의 원하는 위치에 토출액을 착탄시킬 수 있다.
이 토출액은 예를 들면 액정 배향막용의 유기 박막의 원료나, 액정 표시 장치의 스페이서의 분해액, 유기 EL 소자의 발광층의 원료 등이며, 스테이지 장치(105)는 큰 기판에 토출액을 토출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토출 대상인 기판은 대형의 일로를 걷고 있으며, 그에 대응하여 스테이지 장치도 대형화하여, 비용의 문제나 법규상의 문제로 인해, 공장에서 제조한 스테이지 장치를 설치 장소까지 운반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있다.
그런 점에서 종래 기술에서도 그 대책으로서, 베이스판을 분할하여 운반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7-73688호 공보
그러나 일단 분할한 베이스판을 설치 장소에서 조립하는 경우, 위치 맞춤에 과도한 수고를 요하고, 또한 레일을 접속할 때, 레일의 조립 정밀도가 나쁘면 인쇄 헤드의 주행이 안정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변형 형상의 주베이스판과, 상기 주베이스판의 한 변에 고정되며, 서로 분리 가능한 두 장의 부베이스판과, 상기 주베이스판의 상방 위치와, 상기 주베이스판에 고정된 상기 두 장의 부베이스판 사이의 상방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이동 부재를포함하고, 상기 두 장의 부베이스판은 상기 주베이스판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스테이지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베이스판 상에서 직선상으로 길게 설치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 1, 제 2 주레일과, 상기 두 장의 부베이스판 상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 1, 제 2 주레일의 단부에 각각 접속되는 부레일을 가지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제 1, 제 2 주레일 상과 상기 두 장의 부베이스판의 상기 부레일 상을 주행하여, 상기 주베이스판의 상방 위치와, 상기 두 장의 부베이스판 사이의 상방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스테이지 장치이다.
주베이스판에 대하여, 제 1, 제 2 부베이스판을 독립적으로 위치 맞춤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설치 장소에서의 위치 맞춤 작업이 간단하며, 위치 맞춤 정밀도가 향상한다.
도 1(a)는 가설치 장소의 주재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b)는 그 측면도.
도 2(a)는 가설치 장소의 부재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b)는 그 측면도.
도 3은 가설치 장소에서 주재치대에 대하여 부재치대를 연결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평면도.
도 4는 가설치 장소 또는 본 설치 장소에서 연결된 주재치대와 부재치대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평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례의 스테이지 장치의 평면도, (b)는 그 측면도.
도 6(a)는 그 스테이지 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b)는 그 측면도.
도 7은 본 설치 장소에서 부재치대를 주재치대에 연결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예의 스테이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b)는 그 측면도.
도 9(a)는 종래 기술의 스테이지 장치의 평면도(1), (b)는 그 측면도(1).
도 10(a)는 종래 기술의 스테이지 장치의 평면도(2), (b)는 그 측면도(2).
도 5(a), (b)의 부호 5는 본 발명의 스테이지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5(a)는 평면도, 도 5(b)는 측면도이다.
이 스테이지 장치(5)는 한 대의 주재치대(10)와, 두 대 또는 네 대(여기에서는 네 대)의 부재치대(20a~20d)를 가지고 있다.
주재치대(10)와 부재치대(20a~20d)의 상부에는 각각 표면이 평탄하고 사변형 형상인 주베이스판(11)과 부베이스판(21)이 설치되어 있다.
주베이스판(11)의 표면 상에는 서로 평행한 제 1, 제 2 주레일(17a, 17b)이 배치되어 있고, 부베이스판(21)의 표면 상에는 한 줄의 부레일(18)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제 2 주레일(17a, 17b)은 주베이스판(11)의 네 변 중 두 변에 평행하고 다른 두 변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 1, 제 2 주레일(17a, 17b)의 적어도 일단은, 주베이스판(11)의 네 변 중, 제 1, 제 2 주레일(17a, 17b)과는 수직인 동일한 변까지 연장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 1, 제 2 주레일(17a, 17b)의 양단이, 제 1, 제 2 주레일(17a, 17b)과는 수직인 두 변까지 각각 연장되어 있다.
부레일(18)도 부베이스판(21)의 네 변 중 두 변에 평행하고, 다른 두 변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은 부레일(18)과는 수직인 한 변까지 연장되어 있다.
주베이스판(11)과 부베이스판(21)의 표면은 각각 같은 높이로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주베이스판(11)의 네 변 중, 제 1, 제 2 주레일(17a, 17b)의 단부가 위치하는 두 변을 주접속변(F)이라 하고, 부레일(18)의 일단이 위치하는 변을 부접속변(B)이라 하면, 각 부재치대(20a~20d)는 그 상부의 부베이스판(21) 상의 부레일(18)의 단부가 제 1, 제 2 주레일(17a, 17b)의 단부에 밀착하도록, 부베이스판(21)의 부접속변(B)이 주베이스판(11)의 주접속변(F)과 밀착하여 배치되어 있고, 부재치대가 두 대인 경우에는 제 1, 제 2 주레일(17a, 17b)이 부레일(18)에 의해 같은 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네 대인 경우에는 제 1, 제 2 주레일(17a, 17b)의 양단이 부레일(18)의 단부와 밀착하여, 제 1, 제 2 주레일(17a, 17b)이 부레일(18)에 의해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19a, 19b는 부레일(18)에 의해 제 1, 제 2 주레일(17a, 17b)이 연장된 제 1, 제 2 연장 레일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주베이스판(11) 상에는 이동 부재인 갠트리(13)가 배치되어 있다. 이 갠트리(13)의 저면 부분에는 인쇄 헤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갠트리(13)에는 토출액이 배치된 탱크(14)가 접속되어 있다.
탱크(14)로부터 토출액을 공급하여, 인쇄 헤드 내부의 토출 기구를 동작시키면, 인쇄 헤드에 설치된 복수의 토출공으로부터 주베이스판(11) 상을 향하여 토출액이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베이스판(11) 표면의 주레일(17a, 17b)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 위에는 기판(7)이 배치되어 있다.
갠트리(13)는 제 1, 제 2 연장 레일(19a, 19b) 상에 실려 있고, 제 1, 제 2 연장 레일(19a, 19b) 상을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쇄 헤드는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토출이 제어되고 있으며, 도 6(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갠트리(13)가 기판(7) 상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인쇄 헤드로부터 토출액이 토출되면, 토출액은 기판(7) 표면에 착탄한다. 갠트리(13)를 이동시키면, 기판(7) 표면의 원하는 위치에 토출액을 착탄시킬 수 있다.
이 스테이지 장치(5)는 기판(7)으로의 토출 작업이 수행되는 본 설치 장소에 배치되는데, 주베이스판(11)이 크기 때문에, 도 5,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재치대(20a~20d)를 주재치대(10)에 연결하여 주베이스판(11)과 부베이스판(21)을 밀착시킨 상태에서는, 스테이지 장치(5)를 제조할 때에 조립한 가설치 장소로부터 본 설치 장소에 반송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의 스테이지 장치(5)에서는 부재치대(20a~20d)는 주재치대(10)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장착한 상태에서는, 각 부재치대(20a~20d) 상의 부베이스판(21)의 부접속변(B)은 주베이스판(11)의 주접속변(F)에 밀착되어 있고, 이탈시킨 상태에서는, 부베이스판(21)은 주베이스판(11)으로부터 떨어져 독립적으로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가설치 장소에서 조립, 위치 맞춤을 한 후 분리시켜 가설치 장소로부터 본 설치 장소로 반송하여, 본 설치 장소에서, 가설치 장소에서 위치 맞춤을 한 상태를 복원할 수 있다.
그 순서를 설명하면, 도 1(a)는 본 설치 장소가 아니라, 가설치 장소에 놓여진 상태의 주재치대(10)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1(b)는 그 주재치대(10)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주베이스판(11)의 이면의 네 모서리 부근에는 다리부(12a~12d)가 배치되어 있다.
도 1(a)(및 후술하는 도 3, 도 4)에서는 주베이스판(11)과 주레일(17a, 17b)을 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다리부(12a~12d)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다리부(12a~12d)는 주베이스판(11)의 이면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a)는 부재치대(20a~20d)의 평면도, 도 2(b)는 그 측면도이다.
부재치대(20a~20d)는 각각 대차(22)를 가지고 있으며, 부베이스판(21)은 대차(22) 상에 실려 있다.
대차(22)에는 복수의 반송 차륜(23)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대차(22)는 대좌(27)를 가지고 있고, 반송 차륜(23)은 대좌(27) 저면의 4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주베이스판(11)과 부베이스판(21)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이다. 부베이스판(21)은 주베이스판(11)의 절반 이하의 크기로 되어 있고, 부베이스판(21)은 주베이스판(11)의 양 옆에, 한 쪽 두 개씩 접속할 수 있다.
반송 차륜(23)은 부베이스판(21)이 주베이스판(11)에 접속되는 부분을 선두로 하여 적어도 전진과 후진이 가능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반송 차륜(23)을 바닥에 접지하여 전진 방향 또는 후진 방향을 향해 힘을 가하면, 반송 차륜(23)이 회전하여 부재치대(20a~20d)는 힘을 가한 방향으로 바닥 위를 주행한다.
대좌(27) 상에는 롤러와 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 부위치결정 부재(241, 242)가 한 개 내지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부위치결정 부재(241, 242)는 두 개 설치되어 있고, 대좌(27) 상의, 부재치대(20a~20d)의 전진 방향 선두에는, 진행하는 방향의 양측 위치에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다리부(12a~12d)는 바닥면에 접촉하여 주베이스판(11)을 지지하는 지지부(15)와, 지지부(15)의 외주 측면에 설치된 판 형상의 주위치결정 부재(16)를 가지고 있다. 주위치결정 부재(16)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상방으로 배치되어 있고, 주위치결정 부재(16)와 바닥면 사이에는 극간이 형성되어 있다.
부위치결정 부재(241, 242)는 대좌(27)에 대하여 이동과 고정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미리 부위치결정 부재(241, 242)간의 거리를 크게 해 두고, 도 3의 부재치대(20d)와 같이, 주레일(17a 또는 17b)과 부레일(18)이 일직선이 되도록 부재치대(20d)의 선두의 부분을 다리부(12d)로 향하게 하여 전진시키면, 도 3의 부재치대(20a)와 같이, 대좌(27)는 주위치결정 부재(16)와 바닥면 사이에 삽입된다.
주위치결정 부재(16)는 다리부(12a~12d)의 측면 중, 주레일(17a, 17b)과 평행한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주위치결정 부재(16)는 부위치결정 부재(241, 242)와 같은 높이에 배치되어 있지만, 부위치결정 부재(241, 242)의 간격은 미리 주위치결정 부재(16)의 폭보다도 넓게 되어 있어, 대좌(27)는 부위치결정 부재(241, 242)와 주위치결정 부재(16)가 접촉하지 않고, 주위치결정 부재(16)의 아래에 삽입되어, 도 3의 부재치대(20b)와 같이 부베이스판(21)과 주베이스판(11)이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는 주베이스판(11)과 부베이스판(21) 사이의 이상적인 위치 관계로부터의 오차는 크다.
부재치대(20a~20d)에는 부베이스판(21)의 높이와, 기울기와, 수평 방향의 위치와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조정 기구(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정 기구(30)는 부베이스판(21)의 높이, 기울기, 수평면 내의 위치 및 방향을 대략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대략 조정 기구(31)와, 대략 조정 기구(31)보다도 정밀하게 변경할 수 있는 미세 조정 기구(32)를 가지고 있다.
대략 조정 기구(31)는 미세 조정 기구(32)보다도, 부베이스판(21)의 높이와 기울기와 수평 방향의 위치를 크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먼저 부재치대(20a~20d)마다 대략 조정 기구(31)에 의해 주베이스판(11)에 대한 부베이스판(21)의 대략의 위치 맞춤을 수행한다.
가설치 장소의 바닥면은 수평이고, 주베이스판(11)은 주재치대(10)에 설치된 주조정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미리 표면이 수평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대략 조정 기구(31)에 의해, 부베이스판(21)은 주베이스판(11)의 표면과 거의 같은 높이로 수평이 됨과 동시에, 주베이스판(11)과의 상대적인 위치와 방향이 대략 조정되어, 대략의 위치 맞춤이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는, 이상적으로 위치 맞춤된 상태로부터의 오차를 포함하고 있지만, 대략 조정 전의 오차량(절대값)을 개시 오차(E1)라 하고, 대략 조정 후의 오차량(절대값)을 대략 조정 오차(E2)라 하면, 대략 조정된 만큼, 대략 조정 오차(E2)는 개시 오차(E1)보다도 작아진다.
대략 조정이 된 상태에서는, 부베이스판(21)은 주베이스판(11)과 접촉하고 있어, 부재치대(20a~20d)는 전진은 할 수 없어도 좌우 방향과 후진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대략 조정 기구(31)(의 대략 조정 나사 등)를 고정하여, 대략적으로 조정이 된 부베이스판(21)과 주베이스판(11)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지 않도록 하면서, 부위치결정 부재(241, 242)를 이동시켜 주위치결정 부재(16)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부위치결정 부재(241, 242)를 대좌(27)에 고정하면, 부위치결정 부재(241, 242)에 의해 주위치결정 부재(16)는 그 사이에 끼이게 된다.
지지부(15)는 주베이스판(11)의 외주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주위치결정 부재(16)는 주베이스판(11)의 외주로부터 먼 부분이 폭이 넓고, 주베이스판(11)의 외주에 가까운 쪽이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으며, 부위치결정 부재(241, 242)로 주위치결정 부재(16)를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는, 부재치대(20a~20d)는 주베이스판(11)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후퇴 방향), 다리부(12a~12d)에 대하여 전진도 좌우 방향 이동도 할 수 없게 된다.
이어서, 미세 조정 기구(32)에 의해, 부베이스판(21)의 높이, 기울기, 수평 방향의 위치와 방향을 조정하여, 부베이스판(21)의 주베이스판(11)에 대한 위치를, 부재치대(20a~20d)마다 미세 조정한다.
미세 조정이 된 상태에서의 부베이스판(21)과 주베이스판(11)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이상적인 위치로부터의 오차량(절대값)을 미세 조정 오차(E3)라 하면, 미세 조정 오차(E3)는 제로에 가까워져, E1>E2>E3≒0이다.
미세 조정 후, 미세 조정 기구(32)(의 미세 조정 나사)를 고정하면, 미세 조정이 된 상태가 유지된다.
대좌(27)와 부베이스판(21) 사이에는 가대(25)가 배치되어 있다. 부베이스판(21)은 가대(25)에 고정되어 있다. 이 가대(25)에는 연결 부재(3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연결 부재(33)에 의해 가대(25)를 다리부(12a~12d)에 고정하면, 주베이스판(11)과 부베이스판(21)은 대략 조정과 미세 조정이 된 상태에서 가대(25)와 다리부(12a~12d)를 통하여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된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부베이스판(21)과 주베이스판(11)의 위치 맞춤이 된 상태에서 스테이지 장치(5)가 조립되고, 주레일(17a, 17b)의 양단에 부레일(18)이 똑바로 접속되어 직선상의 제 1, 제 2 연장 레일(19a, 19b)이 얻어진다.
이러한 가조립을 가설치 장소에서 수행한 후, 연결 부재(33)를 떼어내어 주재치대(10)와 부재치대(20a~20d)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고, 부재치대(20a~20d)를 후퇴시켜 주재치대(10)와 부재치대(20a~20d)를 분리하면, 따로따로 반송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때, 부위치결정 부재(241, 242)의 고정은 해제하지 않고, 부위치결정 부재(241, 242)간의 거리는 변경하지 않는다. 또한, 대략 조정 기구(31)나 미세 조정 기구(32)(의 대략조정 나사나 미세 조정 나사)의 고정 상태도 유지하여, 대략 조정과 미세 조정이 된 상태가 변화하지 않도록 해 둔다.
주재치대(10)와 부재치대(20a~20d)는 각각 차량 등에 탑재하여 육로나 해로 등에 의해 본 설치 장소까지 반송하고, 먼저 주재치대(10)를 본 설치 장소의 소정 위치에 배치한다.
이어서, 부재치대(20a~20d)를 다리부(12a~12d)를 향하게 하여 배치하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부재치대(20a~20d)를, 가설치 장소에서 조립된 상태가 복원될 수 있도록 하여 부재치대(20a~20d)를 다리부(12a~12d)를 향하게 하여 각각 전진시킨다.
주위치결정 부재(16)의 폭은 부재치대(20a~20d)의 진행 방향의 안쪽 방향을 향해 넓어지고 있기 때문에, 각 부재치대(20a~20d)의 대좌(27)가 주위치결정 부재(16)의 아래로 들어가면, 부위치결정 부재(241, 242) 사이에 주위치결정 부재(16)가 삽입되어 부위치결정 부재(241, 242)와 주위치결정 부재(16)가 접촉하면, 부재치대(20a~20d)의 전진이 정지한다.
이 상태는 도 4에 나타낸 상태와 같으며, 가설치 장소와 본 설치 장소의 바닥면이 수평이고, 부위치결정 부재(241, 242)와 주위치결정 부재(16)가 가설치 장소에서 접촉하고 있던 위치와 같은 위치에서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는, 부재치대(20a~20d)와 주재치대(10)의 가조립 장소에서의 위치 관계가 복원되고 있다.
즉, 부베이스판(21)과 주베이스판(11)은 대략 조정과 미세 조정이 된 상태와 같아져 있기 때문에, 부재치대(20a~20d)의 가대(25)와 주재치대(20)의 다리부(12a~12d) 사이를 연결 부재(33)로 연결 고정하여, 다리부(12a~12d)에 대하여 대좌(27)를 고정하면, 본 설치 장소에서의 본조립이 종료한다.
그러나, 부재치대(20a~20d)와 주재치대(10)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고, 부재치대(20a~20d)와 주재치대(10)를 분리하여 반송하였기 때문에, 반송시의 진동이나 온도 변화 등에 의해, 작은 위치 맞춤 오차(E4)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설치 장소가 수평이 아니어서, 주베이스판(11) 표면을 수평으로 다시 설정한 경우에도 위치 맞춤 오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위치 맞춤 오차(E4)는 미세 조정 오차(E3)와 비슷한 정도의 크기로서, 대략 조정이 된 상태는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주베이스판(11)의 표면을 수평으로 한 후, 미세 조정 기구(32)의 고정을 해제하고, 미세 조정 기구(32)에 의해 부재치대(20a~20d)의 상하 방향의 높이, 기울기, 수평 방향의 위치와 방향을 미세 조정하여, 부재치대(20a~20d)의 가대(25)와 주재치대(10)의 다리부(12a~12d) 사이를 연결 부재(33)로 연결 고정하면, 부베이스판(21)의 주베이스판(11)에 대한 위치가 변경되어 위치 맞춤 오차(E4)가 작아져, 주베이스판(11)과 부베이스판(21)의 위치 맞춤 오차를 반송 전의 미세 조정 오차(E3)와 같은 정도의 크기로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스테이지 장치(5)에서는 각 부재치대(20a~20d)의 부베이스판(21)마다, 다른 부재치대(20a~20d)의 부베이스판(21)의 위치 맞춤과는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위치 맞춤을 할 수 있다. 한 장의 부베이스판 상에 두 줄의 부레일을 설치하여 제 1, 제 2 주레일(17a, 17b)과 접속하는 경우, 한 쪽 부레일과 제 1 또는 제 2 주레일(17a, 17b)의 위치 맞춤이 종료한 상태에서 다른 쪽 부레일과 제 1 또는 제 2 주레일(17a, 17b)의 위치 맞춤을 수행하면, 위치 맞춤이 종료한 부레일과 제 1 또는 제 2 주레일(17a, 17b) 사이에 위치 맞춤 오차가 발생하였지만, 본 발명의 스테이지 장치(5)에서는 한 쪽 부베이스판(21)의 위치 맞춤 작업은 다른 쪽 부베이스판(21)의 위치 맞춤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미 위치 맞춤이 된 부베이스판(21)에 오차가 생기는 일은 없다.
도 5(a), (b)는, 이상의 순서에 따라 본 설치 장소에서 조립하여, 주재치대(10) 상의 주레일(17a, 17b)과 부재치대(20a~20d) 상의 부레일(18)을 직선상으로 접속하여 제 1, 제 2 연장 레일(19a, 19b)을 형성하고, 제 1, 제 2 연장 레일(19a, 19b) 상에 갠트리(13)를 실은 상태의 스테이지 장치(5)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5에서는 갠트리(13)는 주대치대(10)의 외측 위치의 부재치대(20c, 20d) 상에 위치하고 있고, 이 위치에서는 인쇄 헤드의 클리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갠트리(13)가 기판 상에 없기 때문에 주재치대(10) 상의 기판(7)을 교환할 수 있다.
주베이스판(11)과 부베이스판(21) 사이의 위치 맞춤의 정밀도가 높기 때문에, 도 6(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갠트리(13)를 부재치대(20a~20d) 상과 주재치대(10) 상 사이에서 이동시켜도, 진동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가대(25)는 대차(22)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가대(25)가 연결 부재(33)에 의해 다리부(12a~12d)에 고정되어 있으면,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차(22)를 가대(25) 아래에서 빼내어도, 부베이스판(21)은 주베이스판(11)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설치 장소에서 부재치대(20a~20d)와 주재치대(10)를 조립하기 전에, 미리 이 스테이지 장치(5)를 제조한 공장 내 등의 가설치 장소에서 부베이스판(21)과 주베이스판(11)을 위치 맞춤한 후, 그 상태가 복원될 수 있도록 분리시켜 반송하여, 본 설치 장소에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조립에 이용하는 연결 부재(33)는 부재치대(20a~20d)에 설치할 수도 있고, 주재치대(10)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부재치대(20a~20d)와 주재치대(10) 모두에서 떼어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위치결정 부재(16)를 판 형상의 부재로 구성하고, 부위치결정 부재(241, 242)를 그 측면에 접촉하는 롤러로 구성하였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부베이스판(21)과 주베이스판(11)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재현할 수 있는 부재이면 무방하다. 주위치결정 부재를 롤러로 구성하고, 부위치결정 부재를 판 형상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위치결정 부재(16)는 다리부(12a~12d) 내에서 고정되어 있어, 주위치결정 부재(16)와 주베이스판(11) 사이의 위치 관계는 고정되어 있고, 또한, 부위치결정 부재(241, 242)가 대좌(27)에 대하여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그와 반대로, 부위치결정 부재(241, 242)와 부베이스판(21)의 위치 관계가 고정되고, 주위치결정 부재(16)와 주베이스판(11) 사이의 상대 위치를 변경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대략 조정 후, 연결 부재(33)로 고정한 후, 주위치결정 부재(16)를 이동시켜 부위치결정 부재(241, 242)와 접촉시켜, 주위치결정 부재(16)의 주베이스판(11)에 대한 위치를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의 부호 6은 한 장의 주베이스판(11)의 한 개의 주접속변(F)에 두 장의 부베이스판(21)이 접속되고, 다른 변에는 부베이스판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스테이지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스테이지 장치(5, 6)의 주 및 부재치대(10, 20a~20d) 상에는 토출 장치(13)가 배치되어, 잉크젯 장치로서 이용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스테이지 장치(5, 6)에 레이저 조사 장치를 배치하여, 가열 장치, 검사 장치, 또는 노광 장치로서 이용할 수도 있고, 기판 위치 맞춤 장치를 배치하여 얼라이너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스테이지 장치(5, 6)는 잉크젯 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동 부재는 갠트리(13)에 한정되지 않고, 주베이스판(11) 상과 부베이스판(21) 상을 이동하는 것이라면, 예를 들어 기판 등의 처리 대상물이 재치되는 재치대여도 무방하다.
5 스테이지 장치
10 주재치대
11 주베이스판
13 이동 부재(갠트리)
16 주위치결정 부재
20a~20d 부재치대
21 부베이스판
241, 242 부위치결정 부재
30 조정 기구
33 연결 부재

Claims (2)

  1. 사변형 형상의 주베이스판과,
    상기 주베이스판의 한 변에 고정되며, 서로 분리 가능한 두 장의 부베이스판과;
    상기 주베이스판의 상방 위치와, 상기 주베이스판에 고정된 상기 두 장의 부베이스판 사이의 상방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이동 부재와;
    상기 주베이스판에 대한 상기 부베이스판의 높이와 기울기와 수평 방향의 위치와 방향을, 상기 부베이스판 마다 독립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조정기구;를 가지고,
    상기 두 장의 부베이스판은 상기 주베이스판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스테이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베이스판 상에서 직선상으로 길게 설치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 1, 제 2 주레일과,
    상기 두 장의 부베이스판 상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 1, 제 2 주레일의 단부에 각각 접속되는 부레일을 가지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제 1, 제 2 주레일 상과 상기 두 장의 부베이스판의 상기 부레일 상을 주행하여, 상기 주베이스판의 상방 위치와, 상기 두 장의 부베이스판 사이의 상방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스테이지 장치.
KR1020107004167A 2007-08-28 2008-08-27 스테이지 장치 KR101204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21405 2007-08-28
JP2007221405 2007-08-28
PCT/JP2008/065245 WO2009028527A1 (ja) 2007-08-28 2008-08-27 ステージ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520A KR20100050520A (ko) 2010-05-13
KR101204067B1 true KR101204067B1 (ko) 2012-11-23

Family

ID=40387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167A KR101204067B1 (ko) 2007-08-28 2008-08-27 스테이지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00524B2 (ko)
JP (1) JPWO2009028527A1 (ko)
KR (1) KR101204067B1 (ko)
CN (1) CN101790785B (ko)
TW (1) TWI406734B (ko)
WO (1) WO20090285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90784B (zh) * 2007-08-28 2013-03-27 株式会社爱发科 机台装置组装方法
JPWO2011059003A1 (ja) * 2009-11-10 2013-04-04 株式会社アルバック 検査装置
CN102529442A (zh) * 2011-12-08 2012-07-04 苏州工业园区高登威科技有限公司 可调节式打标装置
JP5939089B2 (ja) * 2012-08-31 2016-06-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TWI804412B (zh) * 2022-08-09 2023-06-01 京元電子股份有限公司 機台對接調整裝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9411A (ja) 2003-01-06 2004-07-29 Seiko Epson Corp 液滴吐出装置、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4831A (ja) * 1993-06-11 1995-05-16 Mori Seiki Co Ltd リニアガイド装置
JP3562736B2 (ja) * 1995-06-08 2004-09-08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処理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652054B2 (en) * 2000-02-01 2003-11-25 Aprion Digital Ltd. Table and a motion unit for adjusting the height thereof
JP2003121572A (ja) * 2001-10-10 2003-04-23 Fuji Photo Optical Co Ltd 載物ステージ
CN2693441Y (zh) * 2004-04-02 2005-04-20 青岛地恩地机电科技股份有限公司 分体式木工车床
JP2007073688A (ja) * 2005-09-06 2007-03-22 Shinko Electric Co Ltd Xyステージ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315295B2 (ja) * 2006-09-12 2009-08-19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ペースト塗布装置
JP4150411B2 (ja) * 2007-03-27 2008-09-17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ステージ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9411A (ja) 2003-01-06 2004-07-29 Seiko Epson Corp 液滴吐出装置、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06734B (zh) 2013-09-01
JPWO2009028527A1 (ja) 2010-12-02
US20100177153A1 (en) 2010-07-15
CN101790785B (zh) 2013-02-06
KR20100050520A (ko) 2010-05-13
US8100524B2 (en) 2012-01-24
TW200927364A (en) 2009-07-01
WO2009028527A1 (ja) 2009-03-05
CN101790785A (zh) 201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067B1 (ko) 스테이지 장치
KR101411448B1 (ko) 변형 가능한 갠트리형 작업 장치
CN108568382A (zh) 液滴排出装置、液滴排出方法、程序和计算机存储介质
JP4315295B2 (ja) ペースト塗布装置
US20130074765A1 (en) Method of adjusting surface topography
CN101351276A (zh) 液滴涂布装置
KR101203981B1 (ko) 스테이지 장치
KR101203982B1 (ko) 스테이지 장치 조립 방법
JP2011215173A (ja) インクジェット塗布装置
KR101986892B1 (ko) 기능액 토출 장치 및 기능액 토출 위치 보정 방법
WO2013069256A1 (ja) インクジェット塗布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塗布方法
WO2010143401A1 (ja) オフセット印刷装置
JP2010075877A (ja) ペースト塗布装置
JP4449317B2 (ja) 液滴吐出装置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7186379B2 (ja) 搬送ステージとそれを使用したインクジェット装置
KR102260749B1 (ko) 액체 토출 헤드
JP2011079226A (ja) インキング装置の位置決め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