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284B1 -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284B1
KR101196284B1 KR1020120103419A KR20120103419A KR101196284B1 KR 101196284 B1 KR101196284 B1 KR 101196284B1 KR 1020120103419 A KR1020120103419 A KR 1020120103419A KR 20120103419 A KR20120103419 A KR 20120103419A KR 101196284 B1 KR101196284 B1 KR 101196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der paste
chamber
unit
bottleneck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주
Original Assignee
이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주 filed Critical 이동주
Priority to KR1020120103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284B1/ko
Priority to JP2015531000A priority patent/JP2015529397A/ja
Priority to CN201380048605.1A priority patent/CN104641733A/zh
Priority to PCT/KR2013/007448 priority patent/WO201404638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 H05K3/1233Methods or means for supplying the conductive material and for forcing it through the screen or stenci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6Solder feeding devices; Solder melting p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6Solder feeding devices; Solder melting pans
    • B23K3/0607Solder feeding devices
    • B23K3/0638Solder feeding devices for viscous material feeding, e.g. solder paste feed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1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 H05K2203/0104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for patterning or coating
    • H05K2203/0126Dispenser, e.g. for solder paste, for supplying conductive paste for screen printing or for filling ho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57Solder materials or compositions; Methods of application thereof
    • H05K3/3485Applying solder paste, slurry or pow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챔버와, 제2챔버와, 병목연결부와, 제1가압부와, 제2가압부와, 노즐부를 포함한다. 제1챔버는 내부에 솔더 페이스트를 수용하며, 솔더 페이스트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제1단면을 가진다. 제2챔버는 내부에 솔더 페이스트를 수용하며, 솔더 페이스트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제2단면을 가진다. 병목연결부는 솔더 페이스트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며 제1단면 및 제2단면보다 작은 제3단면을 가지며, 제1챔버와 제2챔버를 연결시킨다. 제1가압부는 제1챔버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에 압력을 가하여 솔더 페이스트를 병목연결부를 경유하여 제2챔버 측으로 이동시킨다. 제2가압부는 제2챔버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에 압력을 가하여 솔더 페이스트를 병목연결부를 경유하여 제1챔버 측으로 이동시킨다. 노즐부는 병목연결부에 형성되며, 병목연결부를 경유하는 솔더 페이스트가 외부로 분사된다.

Description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solder paste}
본 발명은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 프린터에 장착되며, 인쇄회로기판에 각종 칩을 실장하기 위하여 마스크 상에 솔더 페이스트를 공급하는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나 가전제품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주요 부품으로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urcuit Board)에는 반도체칩이나 저항칩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소형 전자부품이 실장될 수 있도록 용융상태의 솔더 페이스트가 일정한 패턴으로 도포된다. 이와 같은 솔더 페이스트의 도포과정은 스크린 프린터(screen printer)라고 하는 솔더 페이스트 도포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스크린 프린터는 특정 패턴의 개구부가 형성된 금속 마스크 상에 공급된 솔더 페이스트를 스퀴지로 압착하여 인쇄회로기판의 부품장착부에 도포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는, 스크린 프린터에 장착되어 마스크 상에 솔더 페이스트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솔더 페이스트(1)가 수용되는 챔버(11)와, 솔더 페이스트(1)가 외부로 분사되는 노즐부(13)와, 챔버(11) 내부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1)에 압력을 가하는 실린더(12)를 구비한다.
실린더(12)가 왕복이동하면서 챔버(11) 내부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1)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챔버(11) 내부의 압력이 증가되면서 노즐부(13)를 통해 솔더 페이스트(1)는 마스크 상에 분사된다.
그러나, 종래의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에서는 솔더 페이스트(1)를 구성하는 솔더 입자와 액상의 플럭스(flux)가 챔버(11) 내부에서 일정 시간 경과 후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솔더 입자와 플럭스가 분리되면 노즐부(13)를 통해 플럭스가 다량 함유되어 점도가 묽어진 솔더 페이스트(1)가 분사되고, 불량인 솔더 페이스트(1)로 인해 인쇄회로기판상에서 전자부품의 장착상태가 불량이 되는 품질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에서는 솔더 페이스트(1)를 외부로 분사하기 위하여 공정 중 솔더 페이스트(1)의 부족량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항상 챔버(11) 내부가 솔더 페이스트(1)로 가득 채워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공정이 완료된 후 챔버(11) 내부에 가득 채워진 솔더 페이스트(1)는 전량 폐기되므로 솔더 페이스트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2개의 챔버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를 교대로 가압하고 이로 인해 상승된 내부 압력을 이용하여 솔더 페이스트를 마스크 상에 분사함으로써, 공정이 완료될 때까지 항상 동일한 품질의 솔더 페이스트를 공급할 수 있고, 공정 완료 후에도 폐기되는 솔더 페이스트의 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는, 내부에 솔더 페이스트를 수용하며, 상기 솔더 페이스트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제1단면을 가지는 제1챔버; 내부에 솔더 페이스트를 수용하며, 상기 솔더 페이스트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제2단면을 가지는 제2챔버; 상기 솔더 페이스트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며 상기 제1단면 및 상기 제2단면보다 작은 제3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연결시키는 병목연결부; 상기 제1챔버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솔더 페이스트를 상기 병목연결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2챔버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가압부; 상기 제2챔버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솔더 페이스트를 상기 병목연결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1챔버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가압부; 및 상기 병목연결부에 형성되며, 상기 병목연결부를 경유하는 솔더 페이스트가 외부로 분사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는, 내부에 솔더 페이스트를 수용하는 제1챔버; 내부에 솔더 페이스트를 수용하며, 상기 제1챔버와 연결되는 제2챔버; 상기 제1챔버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솔더 페이스트를 상기 제2챔버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가압부; 상기 제2챔버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솔더 페이스트를 상기 제1챔버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가압부;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 중 하나의 챔버로부터 다른 하나의 챔버로 이동되는 솔더 페이스트가 외부로 분사되는 노즐부; 및 상기 제1가압부의 이동 속도와 상기 제2가압부의 이동 속도를 서로 다르게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는, 내부에 솔더 페이스트를 수용하며, 격벽에 의해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로 구획되는 챔버; 상기 격벽과 상기 챔버의 내벽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를 연결시키는 병목연결부; 상기 제1수용부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솔더 페이스트를 상기 병목연결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2수용부 측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수용부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솔더 페이스트를 상기 병목연결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1수용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부; 상기 병목연결부에 형성되며, 상기 병목연결부를 경유하는 솔더 페이스트가 외부로 분사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에 따르면, 공정이 완료될 때까지 항상 동일한 품질의 솔더 페이스트를 공급할 수 있고, 솔더 페이스트의 불균일한 점도로 인한 인쇄회로기판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에 따르면, 병목연결부를 통과하는 솔더 페이스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에 따르면, 분사 공정의 중단없이 솔더 페이스트의 감소량을 보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의 블레이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의 블레이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100)는, 스크린 프린터에 장착되며, 인쇄회로기판에 각종 칩을 실장하기 위하여 마스크 상에 솔더 페이스트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제1챔버(110)와, 제2챔버(120)와, 병목연결부(130)와, 제1가압부(140)와, 제2가압부(150)와, 노즐부(160)와, 차단판(171)과, 차단 구동부(172)와, 센서부(180)와, 탱크부(190)와, 블레이드(101)와, 승강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챔버(110)는, 내부에 솔더 페이스트(1)를 수용하며, 솔더 페이스트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제1단면(111)을 가진다. 제1챔버(1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챔버(120)는, 내부에 솔더 페이스트(1)를 수용하며, 솔더 페이스트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제2단면(121)을 가진다. 제2챔버의 제2단면(121)은 제1챔버의 제1단면(111)과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는데, 서로 다른 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챔버(120) 역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병목연결부(130)는, 제1챔버(110)와 제2챔버(120) 사이에 형성되어 제1챔버(110)와 제2챔버(120)를 연결시킨다. 병목연결부(130)는 솔더 페이스트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제3단면(131)을 가지는데, 제3단면(131)은 제1단면(111) 및 제2단면(121)보다 면적이 작다.
제1챔버(110)와 제2챔버(120)는 병목연결부(130)를 사이에 두고 전체적으로 V자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부(140)는, 제1챔버(110)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1)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가압판(141)과, 제1가압 구동부(142)를 구비한다. 제1가압판(141)은 제1챔버(110)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1)에 접촉하며, 제1챔버(110) 내부에서 왕복이동한다. 제1가압 구동부(142)는 제1가압판(141)에 결합되어 제1가압판(141)을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제1가압 구동부(142)는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공압 실린더 또는 모터 및 볼스크류를 조합한 구조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가압부(140)를 이용하여 제1챔버(110)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1)에 압력을 가하면 솔더 페이스트(1)는 병목연결부(130)를 경유하여 제2챔버(120) 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2가압부(150)는, 제2챔버(120)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1)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가압판(151)과, 제2가압 구동부(152)를 구비한다. 제2가압판(151)은 제2챔버(120)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1)에 접촉하며, 제2챔버(120) 내부에서 왕복이동한다. 제2가압 구동부(152)는 제2가압판(151)에 결합되어 제2가압판(151)을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제2가압 구동부(152) 또한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공압 실린더 또는 모터 및 볼스크류를 조합한 구조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2가압부(150)를 이용하여 제2챔버(120)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1)에 압력을 가하면 솔더 페이스트(1)는 병목연결부(130)를 경유하여 제1챔버(110) 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노즐부(160)는, 병목연결부(130)에 형성되며, 병목연결부(130)를 경유하는 솔더 페이스트(1)가 외부로 분사된다. 노즐부(160)는 마스크(M)를 마주보도록 하측을 향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100)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140)를 병목연결부(1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챔버(110)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1)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솔더 페이스트(1)는 병목연결부(130)로 이동한다. 이때, 병목연결부(130)의 단면이 좁아지므로, 마찰에 의해 병목연결부(130)에서의 유속이 감소하면서 압력은 증가하게 된다. 병목연결부(130)에서의 압력 증가로 인해 노즐부(160)를 통해 솔더 페이스트(1)는 마스크(M)로 분사된다.
제1챔버(110)의 체적 감소량과 노즐부(16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솔더 페이스트(1)의 분사량이 동일하다면, 제2챔버(120)에 설치된 제2가압부(150)는 병목연결부(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제1챔버(110)의 체적 감소량이 노즐부(16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솔더 페이스트(1)의 분사량보다 많다면, 제2가압부(150)는 병목연결부(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노즐부(160)를 통해 분사되지 않은 솔더 페이스트(1)는 병목연결부(130)를 경유하여 제2챔버(120) 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압부(150)를 병목연결부(1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2챔버(120)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1)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솔더 페이스트(1)는 병목연결부(130)로 이동하며, 병목연결부(130)에서의 압력 증가로 인해 노즐부(160)를 통해 솔더 페이스트(1)는 마스크(M)로 분사된다.
제2챔버(120)의 체적 감소량과 노즐부(16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솔더 페이스트의 분사량이 동일하다면 제1챔버(110)에 설치된 제1가압부(140)는 병목연결부(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필요는 없으나, 제2챔버(120)의 체적 감소량이 노즐부(16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솔더 페이스트의 분사량보다 많다면 제1가압부(140)는 병목연결부(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노즐부(160)를 통해 분사되지 않은 솔더 페이스트는 병목연결부(130)를 경유하여 제1챔버(110) 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솔더 페이스트(1)가 제1챔버(110)와 제2챔버(120) 사이를 왕복하면 솔더 페이스트(1)를 구성하는 솔더 입자와 플럭스가 균일하게 혼합되어 솔더 페이스트(1) 전체가 균일한 점도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분사 공정을 시작하기 전 일정 시간 동안 노즐부(160)를 폐쇄하고 제1챔버(110)와 제2챔버(120) 사이에서 솔더 페이스트(1)를 왕복시켜 솔더 페이스트(1)의 점도를 균일하게 한 후 노즐부(160)를 개방하여 분사 공정을 시작하면, 분사 공정이 완료될 때까지 항상 균일한 점도의 솔더 페이스트(1)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차단판(171)은, 병목연결부(130)에 장착되어, 병목연결부(130)의 일부 단면을 차단시킨다. 상기 차단 구동부(172)는 차단판(171)을 이동시켜 차단판(171)에 의해 병목연결부(130)가 차단되는 영역을 조정한다.
차단판(171)을 이용하여 병목연결부(130)가 개방되는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병목연결부(130)를 통과하는 솔더 페이스트(1)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 구동부(172)에 의해 차단판(171)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병목연결부(130)가 상대적으로 많이 개방되면, 병목연결부(130)를 통과하는 솔더 페이스트(1)에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이 작용한다. 반대로, 차단 구동부(172)에 의해 차단판(172)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병목연결부(130)가 상대적으로 조금 개방되면, 병목연결부(130)를 통과하는 솔더 페이스트(1)에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이 작용한다.
차단 구동부(172)는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공압 실린더 또는 모터 및 볼스크류를 조합한 구조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센서부(180)는, 제1챔버(110) 또는 제2챔버(120)에 내부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1)의 양을 감지하며, 제1챔버(110) 또는 제2챔버(120)에 설치된다. 센서부(180)는 제1챔버(110) 또는 제2챔버(120) 내부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1)의 양이 미리 설정된 기준 수용량 이하인 경우 제1챔버(110) 또는 제2챔버(120)에 솔더 페이스트(1)를 추가로 공급하도록 하는 공급 신호를 후술할 탱크부(190)로 전송한다.
상기 탱크부(190)는, 센서부(180)로부터 공급 신호를 수신하여 제1챔버(110) 또는 제2챔버(120)로 솔더 페이스트(1)를 공급한다. 따라서, 분사 공정의 중단없이 제1챔버(110) 또는 제2챔버(120) 내부의 솔더 페이스트(1)의 감소량을 보충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01)는, 노즐부(160)의 하측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노즐부(16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블레이드(101)가 마스크(M)에 접촉될 때는 블레이드(101)의 단부가 노즐부(160) 측으로 구부러졌다가, 블레이드(101)가 마스크(M)로부터 이격될 때는 블레이드(101)의 단부가 다시 원상태로 복원된다.
상기 승강 구동부(미도시)는, 블레이드(101)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킨다. 승강 구동부는 블레이드(101)를 포함하여, 제1챔버(110), 제2챔버(120), 제1가압부(140), 제2가압부(150), 병목연결부(130), 노즐부(160)를 모두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승강 구동부를 이용하여 블레이드(101)가 하강시켜 마스크(M)와 접촉하면 블레이드(101)의 단부는 노즐부(160) 측으로 구부러지면서 마스크(M)에 남겨진 솔더 페이스트(1)의 잔량을 퍼올리게 된다. 이후, 수평 구동부(미도시)를 이용하여 블레이드(101)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면 마스크(M) 상측의 솔더 페이스트(1)의 잔량과 마스크(M)의 개구부 내부의 솔더 페이스트(1)가 깨끗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후, 승강 구동부를 이용하여 블레이드(101)를 상승시키면 마스크(M)에 남겨진 솔더 페이스트(1)의 잔량이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200)는, 병목연결부를 포함하지 않고, 제1가압부의 이동 속도와 제2가압부의 이동 속도를 서로 다르게 조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1챔버(110)와, 제2챔버(120')와, 제1가압부(140')와, 제2가압부(150')와, 노즐부(160')와, 제어부(230)와, 차단판(171')과, 차단 구동부(172')와, 센서부(180)와, 탱크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챔버(110) 및 상기 제2챔버(120')의 내부에는 솔더 페이스트(1)가 수용되고, 제2챔버(120')는 제1챔버(110)와 연결된다.
상기 제1가압부(140')는 제1챔버(110)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1)에 압력을 가하여 솔더 페이스트(1)를 제2챔버(120') 측으로 이동시키며, 제2가압부(150')는 제2챔버(120')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1)에 압력을 가하여 솔더 페이스트(1)를 제1챔버(110) 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노즐부(160')는 제1챔버(110)와 제2챔버(120') 사이에 형성되며, 제1챔버(110)와 제2챔버(120') 중 하나의 챔버로부터 다른 하나의 챔버로 이동되는 솔더 페이스트(1)가 외부로 분사된다. 노즐부(160')는 마스크(M)를 마주보도록 하측을 향해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230)는, 제1가압부(140')의 이동 속도와 제2가압부(150')의 이동 속도를 서로 다르게 조정한다. 제어부(230)는 제1가압부(140') 또는 제2가압부(150')의 전진 이동 속도 및 후퇴 이동 속도를 다르게 조정함으로써, 제1챔버(110)와 제2챔버(120')의 사이에 수용되어 있는 솔더 페이스트(1)에 압력을 가한다.
제1가압부(140')의 전진 이동 속도를 제2가압부(150')의 후퇴 이동 속도보다 빠르게 조정하고, 제1가압부(140')를 제2챔버(12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챔버(110)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1)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솔더 페이스트(1)는 제2챔버(120')로 이동한다. 이때, 제1챔버(110)와 제2챔버(120')의 사이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1)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압력 증가로 인해 노즐부(160')를 통해 솔더 페이스트(1)는 마스크(M)로 분사된다.
마찬가지로, 제2가압부(150')의 전진 이동 속도를 제1가압부(140')의 후퇴 이동 속도보다 빠르게 조정하고, 제2가압부(150')를 제1챔버(1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2챔버(120')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1)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솔더 페이스트(1)는 제1챔버(110)로 이동한다. 이때, 제1챔버(110)와 제2챔버(120')의 사이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1)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압력 증가로 인해 노즐부(160')를 통해 솔더 페이스트(1)는 마스크(M)로 분사된다.
이와 같이, 솔더 페이스트(1)가 제1챔버(110)와 제2챔버(120')를 왕복하면 솔더 페이스트(1)를 구성하는 솔더 입자와 플럭스가 균일하게 혼합되어 제1챔버(110)와 제2챔버(120')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1) 전체가 균일한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차단판(171')은 제1챔버(110)와 제2챔버(120') 사이에 장착되어 솔더 페이스트(1)가 통과하는 일부 단면을 차단시킨다. 상기 차단 구동부(172')는 차단판(171')을 이동시켜 차단판(171')에 의해 솔더 페이스트(1)가 통과하는 단면을 조정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300)는, 하나의 챔버가 격벽에 의해 2개의 수용부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챔버(310)와, 병목연결부(330)와, 가압부(340)와, 노즐부(360)를 포함한다.
상기 챔버(310)는, 내부에 솔더 페이스트(1)를 수용하며, 격벽(311)에 의해 제1수용부(312)와 제2수용부(313)로 구획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31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병목연결부(330)는, 격벽(311)과 챔버(310)의 내벽 사이에 형성되며, 제1수용부(312)와 제2수용부(313)를 연결시킨다. 병목연결부(330)는 제1수용부(312) 및 제2수용부(313)와 비교하여, 솔더 페이스트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좁은 단면을 가진다.
상기 가압부(340)는, 제1수용부(312) 또는 제2수용부(313)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1)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판(341)과, 회전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판(341)은 제1수용부(312) 및 제2수용부(313)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1)에 접촉하면서 챔버(310) 내부에서 회전한다. 상기 회전 구동부(미도시)는 제1수용부(312)와 제2수용부(313)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축(C)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판(341)을 회전시킨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판(34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수용부(312)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1)에 압력을 가하여 솔더 페이스트(1)를 병목연결부(330)를 경유하여 제2수용부(313) 측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판(34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수용부(313)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1)에 압력을 가하여 솔더 페이스트(1)를 병목연결부(330)를 경유하여 제1수용부(312) 측으로 이동시킨다.
병목연결부(330)의 단면이 좁아지므로 마찰에 의해 병목연결부(330)에서의 압력 증가로 인해 노즐부(360)를 통해 솔더 페이스트(1)는 마스크(M)로 분사된다.
회전 구동부는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공압 실린더 또는 전기 모터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노즐부(360)는, 병목연결부(330)에 형성되며, 병목연결부(330)를 경유하는 솔더 페이스트(1)가 외부로 분사된다. 노즐부(360)는 마스크(M)를 마주보도록 하측을 향해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300) 또한, 센서부와, 탱크부와, 블레이드와, 승강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제1수용부(312) 또는 제2수용부(313) 내부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1)의 양을 감지하며, 제1수용부(312) 또는 제2수용부(313)에 설치된다. 센서부는 제1수용부(312) 또는 제2수용부(313) 내부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1)의 양이 미리 설정된 기준 수용량 이하인 경우 제1수용부(312) 또는 제2수용부(313)에 솔더 페이스트(1)를 추가로 공급하도록 하는 공급 신호를 탱크부로 전송한다.
상기 탱크부는 공급 신호를 수신하여 제1수용부(312) 또는 제2수용부(313)로 솔더 페이스트(1)를 공급한다.
본 실시예의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300)의 작동원리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는, 서로 다른 2개의 챔버 또는 수용부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를 교대로 가압하고 이로 인해 상승된 내부 압력을 이용하여 솔더 페이스트를 마스크 상에 분사함으로써, 공정이 완료될 때까지 항상 동일한 품질의 솔더 페이스트를 공급할 수 있고, 솔더 페이스트의 불균일한 점도로 인한 인쇄회로기판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는, 차단판을 이용하여 병목연결부가 개방되는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병목연결부를 통과하는 솔더 페이스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는, 솔더 페이스트의 수용량을 감지하고 외부로부터 추가적으로 솔더 페이스트를 공급함으로써, 분사 공정의 중단없이 솔더 페이스트의 감소량을 보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110 : 제1챔버
120 : 제2챔버
130 : 병목연결부
140 : 제1가압부
150 : 제2가압부
160 : 노즐부

Claims (11)

  1. 내부에 솔더 페이스트를 수용하며, 상기 솔더 페이스트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제1단면을 가지는 제1챔버;
    내부에 솔더 페이스트를 수용하며, 상기 솔더 페이스트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제2단면을 가지는 제2챔버;
    상기 솔더 페이스트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며 상기 제1단면 및 상기 제2단면보다 작은 제3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연결시키는 병목연결부;
    상기 제1챔버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솔더 페이스트를 상기 병목연결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2챔버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가압부;
    상기 제2챔버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솔더 페이스트를 상기 병목연결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1챔버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가압부; 및
    상기 병목연결부에 형성되며, 상기 병목연결부를 경유하는 솔더 페이스트가 외부로 분사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목연결부에 장착되어 상기 병목연결부의 일부 단면을 차단시키는 차단판; 및
    상기 차단판을 이동시켜 상기 차단판에 의해 상기 병목연결부가 차단되는 영역을 조정하는 차단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3. 내부에 솔더 페이스트를 수용하는 제1챔버;
    내부에 솔더 페이스트를 수용하며, 상기 제1챔버와 연결되는 제2챔버;
    상기 제1챔버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솔더 페이스트를 상기 제2챔버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가압부;
    상기 제2챔버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솔더 페이스트를 상기 제1챔버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가압부;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 중 하나의 챔버로부터 다른 하나의 챔버로 이동되는 솔더 페이스트가 외부로 분사되는 노즐부; 및
    상기 제1가압부의 이동 속도와 상기 제2가압부의 이동 속도를 서로 다르게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 사이에 장착되어 솔더 페이스트가 통과하는 일부 단면을 차단시키는 차단판; 및
    상기 차단판을 이동시켜 상기 차단판에 의해 상기 솔더 페이스트가 통과하는 단면을 조정하는 차단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 또는 상기 제2챔버에 설치되고, 상기 제1챔버 또는 상기 제2챔버에 내부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챔버 또는 상기 제2챔버 내부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의 양이 미리 설정된 기준 수용량 이하인 경우 공급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공급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챔버 또는 상기 제2챔버로 솔더 페이스트를 공급하는 탱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7. 내부에 솔더 페이스트를 수용하며, 격벽에 의해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로 구획되는 챔버;
    상기 격벽과 상기 챔버의 내벽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를 연결시키는 병목연결부;
    상기 제1수용부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솔더 페이스트를 상기 병목연결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2수용부 측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수용부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솔더 페이스트를 상기 병목연결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1수용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부;
    상기 병목연결부에 형성되며, 상기 병목연결부를 경유하는 솔더 페이스트가 외부로 분사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수용부 및 상기 제2수용부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에 접촉하며, 상기 챔버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판; 및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 또는 상기 제2수용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수용부 또는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수용부 또는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수용된 솔더 페이스트의 양이 미리 설정된 기준 수용량 이하인 경우 공급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공급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수용부 또는 상기 제2수용부로 솔더 페이스트를 공급하는 탱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11. 제1항, 제3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의 하측을 향해 돌출된 상태로 상기 노즐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마스크와 접촉 시 단부가 상기 노즐부 측으로 구부러졌다가 상기 마스크로부터 이격 시 단부가 다시 복원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된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가 하강하여 상기 마스크와 접촉 시,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가 상기 노즐부 측으로 구부러지면서 상기 마스크에 남겨진 솔더 페이스트의 잔량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KR1020120103419A 2012-09-18 2012-09-18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KR101196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419A KR101196284B1 (ko) 2012-09-18 2012-09-18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JP2015531000A JP2015529397A (ja) 2012-09-18 2013-08-20 ソルダーペースト供給装置
CN201380048605.1A CN104641733A (zh) 2012-09-18 2013-08-20 焊膏供给装置
PCT/KR2013/007448 WO2014046387A1 (ko) 2012-09-18 2013-08-20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419A KR101196284B1 (ko) 2012-09-18 2012-09-18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6284B1 true KR101196284B1 (ko) 2012-11-06

Family

ID=47563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419A KR101196284B1 (ko) 2012-09-18 2012-09-18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5529397A (ko)
KR (1) KR101196284B1 (ko)
CN (1) CN104641733A (ko)
WO (1) WO2014046387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7928A (ko) * 2013-10-25 2015-05-0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솔더 페이스트 프린팅 방법
KR20160009421A (ko) * 2014-07-16 2016-01-26 이동주 프린트용 용액 공급장치
KR101658406B1 (ko) 2015-06-02 2016-09-30 고형래 솔더 페이스트 균일밀도공급장치
KR20180099273A (ko) 2017-02-28 2018-09-05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190129167A (ko) 2018-05-10 2019-11-20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2100515B1 (ko) 2019-03-20 2020-04-13 고혜영 세척성이 향상된 솔더 페이스트 균일밀도공급장치
KR20210055222A (ko) 2019-11-07 2021-05-17 고혜영 진공유닛이 형성된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및 이를 통한 솔더페이스트의 덤핑방법
KR102324270B1 (ko) 2020-08-04 2021-11-10 주식회사 삼우 퍼스트 점성유체 공급용 스퀴지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98948A (zh) * 2015-11-17 2016-02-03 侯如升 一种高频加热机气流加压器
EP3292935A1 (en) 2016-09-13 2018-03-14 Unimate Robotica, S.L. Device adapted to dosing pastry substances
CN109551073B (zh) * 2017-09-26 2020-10-23 天津梦祥原科技有限公司 一种led芯片锡焊装置
CN108608086B (zh) * 2018-04-24 2019-11-12 江西艾芬达暖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点膏状焊料的设备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9332B2 (ja) 1990-03-02 1999-08-25 クェニコ アクチボラグ はんだペーストや、接着剤あるいはその類似物を基板上の継ぎ目に供給するための装置
JP2003011323A (ja) 2001-07-03 2003-01-15 Hitachi Industries Co Ltd 圧入ヘッドを備えた印刷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086Y1 (ko) * 1989-11-27 1991-10-12 삼성전기 주식회사 페이스트탱크를 부착한 스크린 프린트용해드
US6772937B2 (en) * 2000-04-24 2004-08-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viscous material
JP2001300389A (ja) * 2000-04-24 2001-10-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粘性材料塗布方法及び装置
CN1349856A (zh) * 2000-10-19 2002-05-22 上海华薪工贸有限公司 复合型喷雾泵
JP2004034138A (ja) * 2002-07-08 2004-02-05 Mitsubishi Electric Corp 金属吐出装置
JP4775136B2 (ja) * 2006-06-23 2011-09-21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クリーン印刷装置及びその印刷方法
JP4887321B2 (ja) * 2008-03-28 2012-02-29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印刷装置
KR20110004223A (ko) * 2009-07-06 2011-01-13 이익주 도전성 페이스트 압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9332B2 (ja) 1990-03-02 1999-08-25 クェニコ アクチボラグ はんだペーストや、接着剤あるいはその類似物を基板上の継ぎ目に供給するための装置
JP2003011323A (ja) 2001-07-03 2003-01-15 Hitachi Industries Co Ltd 圧入ヘッドを備えた印刷機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7928A (ko) * 2013-10-25 2015-05-0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솔더 페이스트 프린팅 방법
KR102104405B1 (ko) * 2013-10-25 2020-04-24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솔더 페이스트 프린팅 방법
KR20160009421A (ko) * 2014-07-16 2016-01-26 이동주 프린트용 용액 공급장치
KR101699356B1 (ko) * 2014-07-16 2017-01-24 이동주 프린트용 용액 공급장치
KR101658406B1 (ko) 2015-06-02 2016-09-30 고형래 솔더 페이스트 균일밀도공급장치
KR20180099273A (ko) 2017-02-28 2018-09-05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190129167A (ko) 2018-05-10 2019-11-20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2100515B1 (ko) 2019-03-20 2020-04-13 고혜영 세척성이 향상된 솔더 페이스트 균일밀도공급장치
KR20210055222A (ko) 2019-11-07 2021-05-17 고혜영 진공유닛이 형성된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및 이를 통한 솔더페이스트의 덤핑방법
KR102324270B1 (ko) 2020-08-04 2021-11-10 주식회사 삼우 퍼스트 점성유체 공급용 스퀴지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41733A (zh) 2015-05-20
WO2014046387A1 (ko) 2014-03-27
JP2015529397A (ja) 201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284B1 (ko)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KR102093525B1 (ko) 스텐실 프린터용 인쇄 헤드
US200601939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aming a viscous material on a substrate
TWI626998B (zh) 流體吐出裝置、流體吐出方法及流體塗布裝置
KR102579198B1 (ko) 음향 변환기를 갖는 분사 장치들 및 그 제어 방법들
KR101560646B1 (ko) 요철형 가압유닛이 구비된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KR101180735B1 (ko) 스크린 프린터
KR20130117028A (ko) 솔더 디스펜서
KR101658406B1 (ko) 솔더 페이스트 균일밀도공급장치
JPH10277457A (ja) 接着剤塗布装置
TW201731053A (zh) 流體吐出裝置及流體吐出方法
KR20160013616A (ko) 스크린 프린터
KR101640540B1 (ko) 미세피치 스퀴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솔더페이스트 인쇄방법
KR101699356B1 (ko) 프린트용 용액 공급장치
JP3303603B2 (ja) クリーム半田のスクリーン印刷方法
KR100861611B1 (ko) 인쇄 장치
JP2013169747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KR20150047928A (ko) 솔더 페이스트 프린팅 방법
JP3341729B2 (ja) クリーム半田のスクリーン印刷装置
KR101523010B1 (ko) 솔더 페이스트 가압펌프
JP2001009346A (ja) 粘性材料塗布装置
CN103640329A (zh) 一种锡膏供给装置
KR20090066436A (ko) 솔더페이스트 도포 장치
JPH04105355A (ja) 粘液体の塗布方法とその装置
JPH11216408A (ja) 接着剤塗布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