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167A -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167A
KR20190129167A KR1020180053418A KR20180053418A KR20190129167A KR 20190129167 A KR20190129167 A KR 20190129167A KR 1020180053418 A KR1020180053418 A KR 1020180053418A KR 20180053418 A KR20180053418 A KR 20180053418A KR 20190129167 A KR20190129167 A KR 20190129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der container
zone
solder
mount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1499B1 (ko
Inventor
김귀한
최지욱
심은혁
Original Assignee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3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499B1/ko
Priority to PCT/KR2019/000262 priority patent/WO2019216516A1/ko
Priority to CN201910349103.1A priority patent/CN110475438B/zh
Publication of KR20190129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 H05K3/1233Methods or means for supplying the conductive material and for forcing it through the screen or stenc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Screen Prin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솔더 용기가 자중에 의해 공급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솔더 용기가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로부터 공급 받은 상기 솔더 용기가 장착된 상태로 인쇄회로기판 상에 솔더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작업부; 및 상기 공급부와 상기 작업부 사이에서 상기 장착부를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부는, 상기 솔더 용기가 장착되기 전에 대기 상태로 위치하는 대기존; 상기 대기존으로부터 이동된 솔더 용기가 장착되는 장착존; 및 상기 장착존에 장착된 솔더 용기 내의 솔더 페이스트 잔량 측정값에 따라 상기 장착된 솔더 용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이동되는 배출존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 of solder container}
본 발명은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정의 중단 없이 솔더가 소진된 용기는 자동으로 배출시키고, 이와 더불어 솔더가 충진된 새로운 용기는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나 가전제품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주요 부품으로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는 반도체 칩이나 저항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소형 전자부품이 실장될 수 있도록 용융 상태의 솔더 페이스트가 일정한 패턴으로 도포된다.
이와 같은 솔더 페이스트의 도포 과정은 스크린 프린터(Screen printer)라고 하는 솔더 페이스트 도포장치에 의해 수행되는데, 스크린 프린터는 특정 패턴의 개구부가 형성된 금속 마스크 상에 공급된 솔더 페이스트를 스퀴지로 압착하여 인쇄회로기판의 부품 장착부에 도포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스크린 프린터는, 솔더 페이스트가 충진된 솔더 용기를 장착한 후, 인쇄회로기판(특히, 특정 패턴의 개구부가 표기된 마스크 상면) 상에 솔더 페이스트를 도포하게 되는데, 솔더 용기 내의 솔더 페이스트가 충분하지 못한 경우 인쇄회로기판에 솔더 페이스트가 불량으로 도포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솔더 용기 내의 솔더 페이스트가 모두 소진된 경우에는, 스크린 프린터의 작동을 중단시킨 후, 작업자가 직접 솔더 용기를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함으로써, 추가적인 작업시간 및 인력의 투입을 요하여 전체적인 공정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196284호(2012.10.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정 중에 공정의 중단 없이 솔더 용기를 자동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작업시간 및 인력의 투입을 줄여 전체적인 공정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체에 유해한 솔더 페이스트에 작업자의 접근 및 노출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작업수행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솔더 용기 내의 솔더 페이스트 잔량을 감지한 후, 감지된 솔더 페이스트의 잔량이 충분치 않은 경우에는 솔더 페이스트가 충진된 새로운 솔더 용기로 자동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에 솔더 페이스트가 불량으로 도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는, 솔더 용기가 자중에 의해 공급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솔더 용기가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로부터 공급 받은 상기 솔더 용기가 장착된 상태로 인쇄회로기판 상에 솔더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작업부; 및 상기 공급부와 상기 작업부 사이에서 상기 장착부를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부는, 상기 솔더 용기가 장착되기 전에 대기 상태로 위치하는 대기존; 상기 대기존으로부터 이동된 솔더 용기가 장착되는 장착존; 및 상기 장착존에 장착된 솔더 용기 내의 솔더 페이스트 잔량 측정값에 따라 상기 장착된 솔더 용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이동되는 배출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존에 장착된 솔더 용기 내의 솔더 페이스트 잔량 측정값에 따라 상기 장착존에 장착된 솔더 용기를 상기 배출존으로 배출시키고, 상기 대기존에 위치된 솔더 용기를 상기 장착존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공급부 및 상기 장착부를 구동시켜 새로운 솔더 용기를 상기 대기존으로 공급하도록 입력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는,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솔더 용기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경사 수용부; 상기 제어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제1 실린더; 및 상기 제1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경사 수용부 상에 배치된 새로운 솔더 용기의 이동을 단속하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솔더 용기는 상기 공급부에 제1 방향으로 공급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공급되는 솔더 용기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방향과 마주보는 면에 제2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직교되는 제2 방향과 나란하게 상기 장착부를 왕복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작업부는, 승강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장착존에 위치하는 솔더 용기의 후단에 캡을 장착시키거나 또는 분리시키는 제2 실린더; 및 상기 장착부로부터 상기 대기존, 상기 대기존으로부터 상기 장착존, 및 상기 장착존으로부터 상기 배출존 순서로 상기 솔더 용기를 밀어 내기 위한 밀핀 및, 상기 밀핀을 왕복 이동시키는 제3 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실린더 및 상기 제3 실린더는 상기 제어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방법은, (a)작업부는 대기존, 장착존 및 배출존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존에 장착된 솔더 용기 내의 솔더 페이스트 잔량을 감지하는 단계; (b)상기 솔더 페이스트 잔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장착존에 장착된 솔더 용기를 분리시키는 단계; (c)상기 대기존에 위치한 새로운 솔더 용기를 상기 장착존으로 밀어 넣어 장착시키면서 상기 소진된 솔더 용기를 상기 배출존으로 밀어 넣는 단계; (d)공급부로 공급된 솔더 페이스트가 충진된 새로운 솔더 용기를 장착부에 장착시키는 단계; (e)이송부가 상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작업부로 상기 장착부를 이송시키는 단계; (f)상기 새로운 솔더 용기를 상기 장착부로부터 상기 대기존으로 밀어 넣는 단계; 및 (g)상기 작업부의 장착존으로 새로운 솔더 용기가 공급되면, 상기 새로운 솔더 용기의 후단을 캡으로 밀봉한 후, 인쇄회로기판 상에 솔더 페이스트를 계속해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공정 중에 공정의 중단 없이 솔더 용기를 자동으로 교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공정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솔더 용기 내의 솔더 페이스트 잔량을 감지한 후, 감지된 솔더 페이스트의 잔량이 충분치 않은 경우에는 솔더 페이스트가 충진된 새로운 솔더 용기로 교체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에 솔더 페이스트가 불량으로 도포되는 것이 예방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인체에 유해한 솔더 페이스트에 작업자의 접근 및 노출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작업수행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가 적용된 스크린 프린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의 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솔더 용기 공급부로부터 장착부로 솔더 용기가 장착되기 직전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솔더 용기가 장착부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장착부가 이송부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작업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작업부의 솔더 용기가 대기존, 장착존 및 배출존 순서로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의 제어 관계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방법 순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더 용기(100)의 자동 공급 장치가 적용된 스크린 프린터(1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더 용기(100)의 자동 공급 장치가 적용된 스크린 프린터(10)는, 솔더 용기(100)의 공급부(20), 솔더 용기(100)의 장착부(30), 솔더 용기(100)의 작업부(40)를 포함하며, 솔더 용기(100)의 장착부(3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송부(50)는 이송 모터(51)와 리드 스크류(52, Lead screw)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송 모터(51)의 구동에 의해 리드 스크류(52)가 회전하면서 장착부(3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장착부(30)에 장착되어 있는 솔더 용기(100)를 작업부(40)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관한 구체적인 작동 관계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더 용기(100)의 자동 공급 장치가 적용된 스크린 프린터(10)는, 솔더 용기(100)의 페이스트 잔량을 감지하는 솔더 감지부(200), 솔더 감지부(200)의 측정 값에 따라 공급부(20), 작업부(40) 및 이송부(50)에 입력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더 용기(100)의 자동 공급 장치의 공급부(2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20)는 솔더 페이스트가 충진된 새로운 솔더 용기(100)를 자중에 의해 장착부(30)로 공급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급부(20)는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새로운 솔더 용기(100)가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는 경사 수용부(21), 제어부(3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제1 실린더(22), 및 제1 실린더(22)의 작동에 따라 승강되면서 새로 공급된 솔더 용기(100)의 이동을 단속하는 제1 스토퍼(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공급부(20)의 투입구에 솔더 페이스트가 충진된 솔더 용기(100)를 투입하게 되면, 솔더 용기(100)는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경사 수용부(21)에 의해 장착부(30) 방향으로 미끄러지게 되는데, 이 때 제1 스토퍼(23)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제1 스토퍼(23)에 의해 미끄러짐이 단속되어 경사 수용부(21) 상에 배치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입력 신호에 따라 제1 실린더(22)가 작동하여 제1 스토퍼(23)를 하강시키게 되면, 솔더 용기(100)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장착부(30)에 장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더 용기(100)의 자동 공급 장치의 공급부(20)는 경사 수용부(21)를 밀폐하는 커버(24)와, 상기 커버(24)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개폐 감지부(25)의 커버(24) 개폐 여부의 감지 결과 값에 따라, 이송부(50)가 장착부(30)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모터(51)의 구동 여부를 인가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급부(20)의 커버(24)가 열린 상태로 감지되면, 작업자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작업부(40)의 이송 모터(51) 구동을 인가하지 아니하고, 상기 공급부(20)의 커버(24)가 닫힌 상태로 감지되면, 이송 모터(51)의 구동을 인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솔더 용기(100) 공급부(20)로부터 장착부(30)로 솔더 용기(100)가 장착되기 직전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의 솔더 용기(100)가 장착부(30)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급부(20)는 제1 실린더(22)의 작동에 의해 제1 스토퍼(23)를 승강시킴에 따라 솔더 용기(100)의 이동을 차단하거나 또는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1 실린더(22)가 작동하여 제1 스토퍼(23)가 하강하게 되는 경우, 솔더 용기(100)는 자중에 의해 경사 수용부(21)의 하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솔더 용기(100)는 공급부(20)에 제1 방향으로 공급되고, 장착부(30)는 상기 공급되는 솔더 용기(100)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방향과 마주보는 면에 제2 스토퍼(3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더 용기(100)는 자 타입(Jar-type)의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제2 스토퍼(31) 역시 자 타입의 솔더 용기(100) 라운드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공급부(20)의 제1 실린더(22)는 솔더 용기(100)가 장착부(3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솔더 용기(100)에서 제2 스토퍼(31)와 반대 방향 하단부(A)를 지지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장착부(30)는 솔더 용기(100)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실린더(22)의 공압 및 제2 스토퍼(31)에 의해 솔더 용기(100)의 제1 방향 양 측이 지지되면서 장착부(30)에 대해 솔더 용기(100)가 직립하여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도 5는 장착부(30)가 이송부(50)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작업부(40)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장착부(30)에 솔더 용기(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이송부(50)의 작동에 의해 장착부(30)는 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작업부(40)로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고, 솔더 용기(100)가 장착부(30)로부터 작업부(40)로 공급된 후, 비어 있는 상태의 장착부(30)는 다시 작업부(40)로부터 공급부(20) 방향으로 복귀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장착부(30)가 공급부(20)와 작업부(40) 사이에서 왕복 이송되는 X축 방향은, 공급부(20)로 솔더 용기(100)가 공급되는 상기 제1 방향에 직교되는 제2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작업부(40)는 장착부(30)로부터 공급 받은 솔더 용기(100)가 장착된 상태로 인쇄회로기판 상에 솔더 페이스트를 도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작업부(40)는 솔더 용기(100)가 장착되기 전에 대기 상태로 위치하는 대기존(41), 대기존(41)으로부터 이동된 솔더 용기(100)가 장착되는 장착존(42) 및 배출존(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배출존(43)은 소진된 솔더 용기(100)를 장착존(42)으로부터 배출시키기 위해 이동되는 구간이다.
여기서, 작업부(40)의 장착존(42) 상부 측에는 캡(cap, 미도시)을 상하로 승강시킴에 따라 솔더 용기(100)의 후단을 밀봉되게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 실린더(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실린더의 선단에는 캡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캡의 일 측으로는 공압을 제공하는 공압 호스(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실린더는 입력 신호에 따라 승강되면서 캡을 솔더 용기(100)의 후단에 밀봉되게 장착시키거나 또는 솔더 용기(100)의 후단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캡과 대향되는 장착존(42)의 하부 측에는 대기존(41)으로부터 장착존(42)으로 이동되는 솔더 용기(100)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보정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 타입(Jar-type) 솔더 용기(100)의 라운드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작업부(40)는 스퀴즈 모터(4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스퀴즈 모터(44)는 제1 축 및 제1 축과 직교되는 X축과 나란한 제2 축 방향으로 작업부(40)를 구동시키면서 장착부(30)로부터 공급 받은 솔더 용기(100)가 장착존(42)에 장착된 상태로 인쇄회로기판 상에 솔더 페이스트를 도포할 수 있다.
도 6은 작업부(40)의 솔더 용기(100)가 대기존(41), 장착존(42) 및 배출존(43) 순서로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부(40)는 솔더 용기(100)를 장착부(30)로부터 작업부(40)의 대기존(41), 장착존(42) 및 배출존(43) 순서로 밀어내기 위한 밀핀(4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밀핀(46)은 입력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제3 실린더(45)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솔더 용기(100)를 대기존(41), 장착존(42) 및 배출존(43) 순서로 밀어 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솔더 페이스트가 소진된 솔더 용기(100)는 외부 수거 공간으로 자유 낙하되어 수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더 용기(100)는 자 타입(Jar-type)의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밀핀(46) 역시 자 타입의 솔더 용기(100) 라운드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작업부(40)에는 솔더 용기(100) 내의 솔더 페이스트 잔량을 측정하기 위한 솔더 감지부(2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솔더 감지부(200)는 장착존(42)의 솔더 용기(100) 내의 솔더 페이스트 잔여량을 감지하여 이의 신호를 제어부(300)로 송신함으로써, 제어부(300)로 하여금 공급부(20)와 장착부(30), 그리고 작업부(40)와 이송부(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솔더 감지부(200)는 빛이 반사되어 돌아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광진센서로써, 솔더 용기(100) 내에 충진되어 있다가 토출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솔더 페이스트의 잔량이 줄어들어 그 수위가 설정 위치보다 낮아지는 경우 오프(off)되고, 이와 같이 오프된 신호를 제어부(300)로 송신하도록 하는 온/오프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솔더 감지부(200)가 온/오프 센서인 것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솔더 용기(100) 내의 솔더 페이스트 잔량을 감지하는 것이라면 종래에 공지된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솔더 용기(100)의 자동 공급 장치를 이용한 솔더 용기(100)의 자동 공급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더 용기(100)의 자동 공급 장치의 제어 관계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더 용기(100)의 자동 공급 방법 순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더 용기(100)의 자동 공급 장치는, 솔더 용기(100) 내의 솔더 페이스트 잔량을 감지하는 솔더 감지부(200)가 제어부(300)와 회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300)는 공급부(20)와 작업부(40) 및 이송부(50)와도 각각 회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300)는 솔더 감지부(2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공급부(20)와 작업부(40) 및 이송부(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부(40)의 장착존(42)에 솔더 용기(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스크린 프린터(10)가 작동하여 인쇄회로기판 상에 솔더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솔더 감지부(200)는 장착된 솔더 용기(100) 내의 솔더 페이스트 잔량을 감지하여 제어부(300)에 송신한다.
이 때, 작업자는 공정에 사용되고 있는 솔더 용기(100)의 교체에 대비하여 공급부(20)의 투입구에 솔더 페이스트가 충진된 새로운 솔더 용기(10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공급해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급부(20)에 새로운 솔더 용기(100)가 공급된 상태에서, 솔더 용기(100)는 자중에 의해 공급부(20)의 경사 수용부(21)를 타고 일측 방향으로 하향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제1 실린더(22)에 의해 제1 스토퍼(23)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솔더 용기(100)는 경사 수용부(21) 상에 대기 중인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스크린 프린터(10)에 의한 솔더 페이스트의 도포 공정 중, 솔더 감지부(200)는 공정에 사용되고 있는 솔더 용기(100) 내의 솔더 페이스트 잔량을 감지하여 제어부(300)로 이 신호를 송신하게 되는데, 이 때 미리 설정된 값 이하 즉, 인쇄회로기판 상에 도포할 만큼 충분한 양의 솔더 페이스트가 남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어 제어부(300)에 이 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경우, 제어부(300)는 솔더 용기(100)의 교체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제어부(300)에 의한 솔더 용기(100)의 교체 신호가 입력되면, 작업부(40)에 입력 신호를 인가하여 공압 호스를 통한 솔더 용기(100)로의 공압 제공을 중단시키고, 이와 동시에 작업부(40) 상부 측에 배치된 제2 실린더를 작동시켜서 솔더 용기(100)의 후단으로부터 캡을 분리시키게 된다. 즉, 제2 실린더가 상승하게 됨에 따라 캡이 솔더 용기(100)의 후단으로부터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부(40)의 제3 실린더(45)가 작동하여 밀핀(46)을 수평 이동시킴에 따라 대기존(41)에 위치한 새로운 솔더 용기(100)를 장착존(42)으로 밀어 넣어 장착시키면서 캡이 분리된 솔더 용기(100)를 장착존(42)으로부터 배출존(43)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소진된 솔더 용기(100)는 배출존(43)에 누적되어 수거 공간으로 자유 낙하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부(40)의 장착존(42)으로부터 소진된 솔더 용기(100)의 제거가 완료됨과 동시에, 제어부(300)는 공급부(20)에 입력 신호를 인가하여 제1 실린더(22)를 하강시키고, 이에 따라 새로운 솔더 용기(100)는 경사 수용부(21)를 따라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자중에 의해 미끄러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 스토퍼(23)에 의한 단속이 해제되어 경사 수용부(21)를 따라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새로운 솔더 용기(100)는 장착부(30)의 상부 일측에 배치된 제2 스토퍼(31)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방향을 바꾼 후 자중에 의해 장착부(30)로 자유낙하가 이루어지게 된다.
장착부(30)에 수직 방향으로 자유낙하된 새로운 솔더 용기(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30)에 수용된 상태로 장착이 이루어지게 되며, 장착부(30)에 대한 솔더 용기(100)의 장착이 완료되면, 제어부(300)는 이송부(50)에 입력 신호를 인가하여 장착부(30)가 작업부(40)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송부(50)는 이송 모터(51)와 리드 스크류(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송 모터(51)의 구동에 의해 리드 스크류(52)가 회전하면서 장착부(3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장착부(30)에 장착되어 있는 솔더 용기(100)를 작업부(4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송부(50)는 장착부(30) 하단에 볼베어링 구조로 결합되며 장착부(3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레일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송부(50)의 작동에 의해 작업부(40)로 이송된 장착부(30)는 솔더 용기(100)를 작업부(40)의 대기존(41)에 안치시키게 된다.
한편, 상술한 내용에 따르면, 소진된 솔더 용기(100)로부터 캡이 분리된 상태에서 제3 실린더(45)에 먼저 입력 신호를 인가하여 대기존(41)에 위치한 새로운 솔더 용기(100)를 장착존(42) 방향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작업부(40)에 솔더 용기(100)를 새로 공급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더 용기(100)의 자동 공급 방법의 제어부(300)는 소진된 솔더 용기(100)로부터 캡이 분리된 상태에서 공급부(20)와 이송부(50)에 먼저 입력 신호를 인가하여 작업부(40)에 솔더 용기(100)를 새로 공급할 수도 있다.
즉, 장착부(30)로부터 대기존(41) 방향으로, 대기존(41)으로부터 장착존(42) 방향으로, 장착존(42)에서 배출존(43) 방향으로 솔더 용기(100)가 순차적이로 이동됨으로써 장착존(42)에 새로운 솔더 용기(100)를 공급할 수도 있는 것이다.
장착존(42)에 새로운 솔더 용기(100)가 공급된 상태에서 제어부(300)는 제2 실린더에 입력 신호를 인가하여 캡을 하강시킴으로써, 캡이 새로운 솔더 용기(100)의 후단을 밀폐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새로운 솔더 용기(100)의 후단에 캡이 밀폐되게 장착이 이루어지면, 작업부(40)에 대한 새로운 솔더 용기(100)의 장착이 완료된 것이므로, 이 상태에서 캡과 연결된 공압 호스를 통해 공압을 제공하게 되면, 새로운 솔더 용기(100) 내에 충진된 솔더 페이스트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도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솔더 용기(100)의 자동 공급 장치는, 솔더 용기(100) 내의 솔더 페이스트가 소진된 경우, 자동으로 새로운 솔더 용기(100)로 교체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작업자가 일일이 솔더 용기(100)를 수동으로 교체하지 않아도 되는바, 그 공정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솔더 용기(100)가 자동으로 교체됨에 따라 솔더 용기(100) 교체를 위하여 스크린 프린터(10)의 공정을 중단시키지 않아도 됨으로써, 전체적인 공정 효율성이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솔더 용기(100)의 자동 공급 장치는, 솔더 용기(100) 내의 솔더 페이스트 잔량을 감지한 후, 감지된 솔더 페이스트의 잔량이 충분치 않은 경우에는 솔더 페이스트가 충진된 새로운 솔더 용기(100)로 교체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에 솔더 페이스트가 불량으로 도포되는 것이 예방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새로운 솔더 용기(100)로 교체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솔더 페이스트의 도포 공정 중에, 솔더 용기(100) 내의 솔더 페이스트 잔량이 부족하게 되면, 공급부(20)에 새로운 솔더 용기(100)를 미리 투입시켜놓기만 하면 상기한 바의 작동 순서에 의해 자동으로 새로운 솔더 용기(100)로의 교체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스크린 프린터 20: 공급부
30: 장착부 40: 작업부
41: 대기존 42: 장착존
43: 배출존 50: 이송부
100: 솔더 용기 200: 솔더 감지부
300: 제어부

Claims (6)

  1. 솔더 용기가 자중에 의해 공급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솔더 용기가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로부터 공급 받은 상기 솔더 용기가 장착된 상태로 인쇄회로기판 상에 솔더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작업부; 및
    상기 공급부와 상기 작업부 사이에서 상기 장착부를 왕복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부는,
    상기 솔더 용기가 장착되기 전에 대기 상태로 위치하는 대기존;
    상기 대기존으로부터 이동된 솔더 용기가 장착되는 장착존; 및
    상기 장착존에 장착된 솔더 용기 내의 솔더 페이스트 잔량 측정값에 따라 상기 장착된 솔더 용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이동되는 배출존을 포함하는,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존에 장착된 솔더 용기 내의 솔더 페이스트 잔량 측정값에 따라 상기 장착존에 장착된 솔더 용기를 상기 배출존으로 배출시키고, 상기 대기존에 위치된 솔더 용기를 상기 장착존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공급부 및 상기 장착부를 구동시켜 새로운 솔더 용기를 상기 대기존으로 공급하도록 입력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솔더 용기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경사 수용부;
    상기 제어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제1 실린더; 및
    상기 제1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경사 수용부 상에 배치된 새로운 솔더 용기의 이동을 단속하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하는,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더 용기는 상기 공급부에 제1 방향으로 공급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공급되는 솔더 용기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방향과 마주보는 면에 제2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직교되는 제2 방향과 나란하게 상기 장착부를 왕복 이송시키는,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는,
    승강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장착존에 위치하는 솔더 용기의 후단에 캡을 장착시키거나 또는 분리시키는 제2 실린더; 및
    상기 장착부로부터 상기 대기존, 상기 대기존으로부터 상기 장착존, 및 상기 장착존으로부터 상기 배출존 순서로 상기 솔더 용기를 밀어 내기 위한 밀핀 및, 상기 밀핀을 왕복 이동시키는 제3 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실린더 및 상기 제3 실린더는 상기 제어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6. 스크린 프린터에 장착되어 인쇄회로기판 상에 솔더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솔더 용기를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작업부는 대기존, 장착존 및 배출존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존에 장착된 솔더 용기 내의 솔더 페이스트 잔량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솔더 페이스트 잔량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장착존에 장착된 솔더 용기를 분리시키는 단계;
    (c) 상기 대기존에 위치한 새로운 솔더 용기를 상기 장착존으로 밀어 넣어 장착시키면서 상기 소진된 솔더 용기를 상기 배출존으로 밀어 넣는 단계;
    (d) 공급부로 공급된 솔더 페이스트가 충진된 새로운 솔더 용기를 장착부에 장착시키는 단계;
    (e) 이송부가 상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작업부로 상기 장착부를 이송시키는 단계;
    (f) 상기 새로운 솔더 용기를 상기 장착부로부터 상기 대기존으로 밀어 넣는 단계; 및
    (g) 상기 작업부의 장착존으로 새로운 솔더 용기가 공급되면, 상기 새로운 솔더 용기의 후단을 캡으로 밀봉한 후, 인쇄회로기판 상에 솔더 페이스트를 계속해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방법.
KR1020180053418A 2018-05-10 2018-05-10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2051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418A KR102051499B1 (ko) 2018-05-10 2018-05-10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
PCT/KR2019/000262 WO2019216516A1 (ko) 2018-05-10 2019-01-08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
CN201910349103.1A CN110475438B (zh) 2018-05-10 2019-04-28 焊料容器自动供应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418A KR102051499B1 (ko) 2018-05-10 2018-05-10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167A true KR20190129167A (ko) 2019-11-20
KR102051499B1 KR102051499B1 (ko) 2019-12-03

Family

ID=68468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418A KR102051499B1 (ko) 2018-05-10 2018-05-10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51499B1 (ko)
CN (1) CN110475438B (ko)
WO (1) WO2019216516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284B1 (ko) 2012-09-18 2012-11-06 이동주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KR101431079B1 (ko) * 2013-02-19 2014-08-22 주식회사 두원정밀 솔더 자동공급기의 카트리지 이송장치
KR20170116447A (ko) * 2016-04-11 2017-10-19 주식회사 오토텍 자동 솔더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6102A (ja) * 2003-04-08 2004-11-04 Sony Corp はんだ供給装置及びはんだ印刷機
JP2010036573A (ja) * 2008-07-10 2010-02-18 Arata Tsurusaki ペースト供給方法とペースト供給装置および容器
JP4643719B2 (ja) * 2009-02-09 2011-03-0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はんだ供給装置、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6385571B2 (ja) * 2015-05-18 2018-09-1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基板作業装置および基板作業装置における粘性流体残量測定方法
KR20170011644A (ko) * 2015-07-23 2017-02-0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284B1 (ko) 2012-09-18 2012-11-06 이동주 솔더 페이스트 공급장치
KR101431079B1 (ko) * 2013-02-19 2014-08-22 주식회사 두원정밀 솔더 자동공급기의 카트리지 이송장치
KR20170116447A (ko) * 2016-04-11 2017-10-19 주식회사 오토텍 자동 솔더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499B1 (ko) 2019-12-03
CN110475438A (zh) 2019-11-19
CN110475438B (zh) 2022-07-05
WO2019216516A1 (ko) 2019-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818B1 (ko)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
CN106739439B (zh) 一种自动丝网印刷设备及其工作方法
US8939072B2 (en) Screen printer having paste feed syringe swayable into paste feed position and storage position
US11772110B2 (en) Method for removing a follower plate from a container
US8695498B2 (en) Screen printer
KR102051499B1 (ko) 솔더 용기의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
CN110000537B (zh) 一种包装管和塞头装配生产机械设备
KR100517635B1 (ko) 불량품 검출 및 취출 시스템
CN104742502A (zh) 膏剂供应设备、丝网印刷机和膏剂供应方法
CN112857458A (zh) 一种检测装置、料台设备以及其图像处理方法
CN107029955A (zh) 一种用于汽车天窗玻璃底涂的清洁台
CN211613493U (zh) 一种电子元件陈品检测筛分装置
CN219156496U (zh) 一种单片式封口灌装机
JP2006322359A (ja) 粘性流体の移送における残量低減方法及びシステム
CN115931499A (zh) 一种元素录井样品预制备系统及方法
WO2022149264A1 (ja) 部品有無検出装置、部品有無検出装置の学習方法及び部品実装機
CN210588747U (zh) 自动进料装置的补料机构
CN113307210A (zh) 一种高速线全自动灌装机
CN209877896U (zh) 一种瓶盖检测设备
KR101986932B1 (ko) 점착척의 점착 시트 교체 자동화 장치
JP2011143549A (ja) スクリーン印刷機及びスクリーン印刷機の異物検出方法
CN111069093A (zh) 一种电子功能件自动检查系统
CN215768294U (zh) 一种机动车号牌质量检测设备
CN110026500A (zh) 一种管座引线打扁装置
CN214348019U (zh) 一种电感喷码筛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