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004B1 -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 - Google Patents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004B1
KR101193004B1 KR1020067012933A KR20067012933A KR101193004B1 KR 101193004 B1 KR101193004 B1 KR 101193004B1 KR 1020067012933 A KR1020067012933 A KR 1020067012933A KR 20067012933 A KR20067012933 A KR 20067012933A KR 101193004 B1 KR101193004 B1 KR 101193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body portion
portions
molten metal
larg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7827A (ko
Inventor
시게유키 하마요시
신고 노가미
시게타다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7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8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borides, nitrides, i.e. nitrides, oxynitrides, carbonitrides or oxycarbonitrides or silicides
    • C04B35/584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borides, nitrides, i.e. nitrides, oxynitrides, carbonitrides or oxycarbonitrides or silicides based on silicon nitride
    • C04B35/593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borides, nitrides, i.e. nitrides, oxynitrides, carbonitrides or oxycarbonitrides or silicides based on silicon nitride obtained by pressure sin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23C2/0034Details related to elements immersed in bath
    • C23C2/00342Moving elements, e.g. pumps or mixers
    • C23C2/00344Means for moving substrates, e.g. immersed rollers or immersed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05Alkaline earth oxides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beryllium oxide
    • C04B2235/3206Magnesium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17Aluminum oxide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bauxite, alpha-alumina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24Rare earth oxide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scandium oxide
    • C04B2235/3225Yttrium oxide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50Constituents or additives of the starting mixture chosen for their shape or used because of their shape or their physical appearance
    • C04B2235/54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 C04B2235/5418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expressed by the size of the particles or aggregates thereof
    • C04B2235/5445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expressed by the size of the particles or aggregates thereof submicron sized, i.e. from 0,1 to 1 mic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2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absence or the low content of specific components, e.g. alkali metal free alumina ceramics
    • C04B2235/723Oxygen cont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4Physical characteristics
    • C04B2235/76Cryst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e.g. symmetry
    • C04B2235/767Hexagonal symmetry, e.g. beta-Si3N4, beta-Sialon, alpha-SiC or hexa-ferr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4Physical characteristics
    • C04B2235/77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4Physical characteristics
    • C04B2235/78Grain sizes and shapes, product microstructures, e.g. acicular grains, equiaxed grains, platelet-structures
    • C04B2235/786Micrometer sized grains, i.e. from 1 to 100 mic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4Physical characteristics
    • C04B2235/78Grain sizes and shapes, product microstructures, e.g. acicular grains, equiaxed grains, platelet-structures
    • C04B2235/788Aspect ratio of the gr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96Properties of ceramic products, e.g.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toughness, wear resis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96Properties of ceramic products, e.g.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toughness, wear resistance
    • C04B2235/9607Thermal properties, e.g.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96Properties of ceramic products, e.g.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toughness, wear resistance
    • C04B2235/963Surface properties, e.g. surface rough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544Roller making
    • Y10T29/49547Assembling preformed components
    • Y10T29/49549Work contacting surface element assembled to core
    • Y10T29/49552Work contacting surface element assembled to core with prestressing of component by heat differential, e.g., shrink, fi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tallur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강판과 접촉하는 중공형 보디부와, 상기 보디부에 접촉된 축부로 이루어지는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로서, 적어도 상기 보디부가 상온에서의 열 전도율이 50W/(mㆍK) 이상인 질화(窒化) 규소계 세라믹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디부의 평균 표면 거칠기 Ra가 1~20㎛인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 보디부와 축부의 접합을 수축 끼워맞춤에 의해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판, 중공형 보디부, 축부, 롤, 세라믹스.

Description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 {ROLL FOR MOLTEN METAL PLATING BATH}
본 발명은 강판에 아연 도금 등의 금속 도금을 입히는 욕(浴) 중에 침지(浸漬)하여 사용하는 싱크 롤(sink roll)이나 서포트 롤(support roll) 등의 롤에 관한 것이다.
연속 용융(溶融) 아연 도금 장치는 전형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이 연속 용융 아연 도금 장치는 용융 아연욕(3)을 넣은 욕조(4)와, 용융 아연욕(3)의 표층 부분에 침지되어, 용융 아연욕(3) 내에 도입되는 강판(1)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스나웃(snout)(2)과, 용융 아연욕(3) 중에 배치된 싱크 롤(5)과, 용융 아연욕(3) 내에서 싱크 롤(5)의 상방에 위치하는 한 쌍의 서포트 롤(6, 6)과, 용융 아연욕(3)의 표면보다 약간 상방에 위치하는 가스 와이핑 노즐(gas wiping nozzle)(7)을 구비한다. 싱크 롤(5) 자체에는 외부 구동력이 부여되지 않고, 이동하는 강판(1)과의 접촉에 의해 구동된다. 또 서포트 롤(6, 6)은 한쪽이 외부의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구동 롤이며, 다른 쪽이 비구동 롤이다. 그리고, 서포트 롤에는 외부 구동력이 부여되지 않는 무구동 타입도 있다. 싱크 롤(5) 및 한 쌍의 서포트 롤(6, 6)은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되어 있으며, 항상 일체로서 용융 아연욕(3) 내에 침지된다.
강판(1)은 스나웃(2)을 거쳐 용융 아연욕(3) 내에 진입하고, 싱크 롤(5)을 경유하여 진행 방향이 변경된다. 용융 아연욕(3) 내에서 상승하는 강판(1)은 한 쌍의 서포트 롤(6, 6)에 끼워져, 패스 라인이 유지되는 동시에, 휨이나 진동이 방지된다. 가스 와이핑 노즐(7)은 용융 아연욕(3)으로부터 나온 강판(1)에 고속 가스를 분사한다. 고속 가스의 가스압 및 분사 각도에 의해, 강판(1)에 부착한 용융 아연의 두께를 균일하게 조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용융 아연 도금이 실행된 강판(1')이 얻어진다.
용융 금속 도금욕 내에서 사용되는 싱크 롤이나 서포트 롤은 용융 금속에 의한 현저한 부식 환경 하에 드러나므로, 종래부터 내식성(耐蝕性)이 우수한 스테인레스강(鋼)이나 크롬계 내열강 등의 철계(鐵系)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롤에는, 장시간의 용융 금속욕 중에의 침지에 의해 표면이 침식되어, 마모되기 쉬워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내식성,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세라믹스에 의해, 강판이 접촉하는 롤 보디부를 구성한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이 제안되었다.
일본국 특개평 5(1993)-195178호는 용융 금속 도금욕 중에서 강대(鋼帶)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서포트 롤로서, 강제 중공(鋼製中空) 롤과, 상기 강제 중공 롤의 표면에 용사(溶射)한 산화물 또는 탄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 피막(皮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라믹 피막의 표면에 표면 거칠기 Ra가 1.0~30㎛인 달(dalle)을 형성한 서포트 롤을 개시하고 있다. 용사 세라믹 피막을 1.0~30㎛의 표면 거칠기 Ra로 하면, 롤과 강판 사이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롤의 회전 불량과, 이것에 기인하는 강판의 흠집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철계 재료제 롤 모재(母材)의 표면에 세라믹스를 용사하고 있기 때문에, 모재와 세라믹스 피막과의 열 팽찰률의 차에 의해 세라믹스 피막에 크랙이 생기고, 그곳으로부터 롤은 침식되어, 현저하게 마모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마모가 현저해지면 롤의 진원도(眞圓度)를 유지할 수 없게 되어, 롤 및 강판에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균일한 도금 두께의 강판이 얻어지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1~2주간의 연속 사용 후에 도금 작업을 중지하고, 마모된 롤을 교환할 필요가 있었다. 이것은 용융 금속 도금의 생산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도금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일본국 특개 2001-89368호는 중공형의 롤 몸체부 및 축부를 각각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로 형성하고, 롤 몸체부의 양단부에 축부를 끼워 맞춤 또는 나사 맞춤에 의해 접합한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을 개시하고 있다. 이 롤은 전체가 세라믹스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식성,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또, 일본국 특개 2001-89837호는 중공형의 롤 보디부 및 축부를 각각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로 형성하고, 롤 보디부의 양단부에 축부를 끼워 맞춤 또는 나사 맞춤에 의해 접합하고, 축부의 외주에 용융 금속을 배출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한 연속 용융 금속 도금용 롤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2003-3067562호는 중공형의 롤 보디부, 축부 및 구동 클러치부를 각각 세라믹스에 의해 형성하고, 롤 보디부의 내면과 축부의 외면 사이에 간극을 가지도록 롤 보디부의 양단부에 축부를 끼워 맞추고, 또한 구동 측 축부 의 외면과 구동 클러치부의 내면 사이에 간극을 가지도록 구동 측 축부에 구동 클러치부를 끼워 맞추는 동시에, 각각의 끼워 맞춤부를 볼이나 핀 등의 부재에 의해 고정한 연속 용융 금속 도금용 롤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국 특개 2001-89836호, 일본국 특개 2001-89837호 및 일본국 특개평 2003-306752호에서 사용된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는 모두, 예를 들면, 87중량%의 α-Si3N4과, 5중량%의 Al2O3과, 3중량%의 AIN과, 5중량%의 Y2O3로 이루어지는 사이알론(sialon)이며, 그 열 전도율은 기껏해야 17W/(mㆍK) 정도로, 내열 충격성이 불충분했다. 그러므로, 용융 금속욕에 침지하면 열 충격에 의해 파괴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시에 열 충격에 의한 파괴가 방지되도록 고내열 충격성을 가지는 동시에, 강판과의 미끄러짐을 저감하여 강판의 주행 속도 변화에 확실하게 추종할 수 있는 용융 금속 도금욕용의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 롤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은 강판과 접촉하는 중공형 보디부와, 상기 보디부에 접합된 축부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보디부가 상온에서의 열 전도율이 50W/(mㆍK) 이상의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디부의 평균 표면 거칠기 Ra가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는 질화 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소결체이며, 그 소결체 중의 알루미늄 함유량이 0.2중량% 이하이며, 산소 함유량이 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는 상대 밀도가 98% 이상이며, 상온에서의 4점 굽힘 강도가 700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의 계수 R[R=σc(1-ν)/Eα(σc: 상온에서의 4점 굽힘 강도(MPa), ν: 상온에서의 프와송비(Poisson's ratio) , E: 상온에서의 영률(Young's modulus)(GPa), α: 상온으로부터 800℃까지의 평균 열팽창 계수)로 나타남]이 6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디부의 내면은 양단 측의 대경역과 중앙의 소경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부는 소경부와 플랜지부와 대경부를 가지며, 상기 보디부의 대경역에 상기 축부의 대경부가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부에는 상기 대경부 및 상기 플랜지부를 통과하는 복수개의 길이 방향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부가 상기 보디부의 양단부에 접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홈부는 상기 롤의 내부로 연통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에서는, 상기 보디부 내면의 대경역에 상기 축부의 대경부가 수축 끼워맞춤(shrink-fitting)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디부의 대경역과 상기 축부의 대경부와의 수축 끼워맞춤률(shrink-fitting ratio)은 0.01/10000~0.5/100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디부 소경역의 내경 Sb와 보디부 대경역의 내경 Sa와의 비는 0.9 이상 1.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롤 축선 방향으로, 상기 보디부의 대경역은 상기 축부의 대경부보다 길고, 또, 상기 보디부 소경역의 단부와 상기 축부의 내단(內端)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간극은 상기 보디부의 소경역과 상기 축부 대경부의 선단부와의 접촉을 피하는 퇴피부로서 기능한다.
상기 축부 대경부의 실효 길이(수축 끼워맞춤 길이) LS과 상기 축부 대경부의 외경 DL(수축 끼워맞춤 직경)와의 비는 0.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보디부의 외경 SOUT와 상기 축부 소경부의 외경 DS와의 비는 2~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은 고열 전도율의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실제의 연속 용융 금속 도금 라인에서 롤 표면과 내부와의 전열(傳熱)이 빨라, 열응력에 의한 크랙이나 파괴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롤은 우수한 내열 충격성을 가진다. 강판과 접촉하여 내열 충격성이 가장 요구되는 보디부가 적어도 고열 전도율의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로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열팽창율을 완전히 동일하게 한다고 하는 목적으로, 보디부 및 축부의 양자가 모두 고열 전도율의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사용 조건 등에 따라 축부는 고열 전도율의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 이외의 세라믹스로 형성해도 된다. 이에 대하여, 일본국 특개 2001-89836호, 일본국 특개 2001-89837호 및 일본국 특개평 2003-306752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종래의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는 모두 상온에서의 열 전도율이 기껏해야 17W/(mㆍK)정도이며, 연속 용융 금속 도금 라인에서의 사용에서는 내열 충격성이 불충분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가 상온에서 50W/(mㆍK) 이상의 열 전도율을 가지는 것은 불순물로서 존재하는 알루미늄 및 산소의 함유량을 저감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은 또 보디부의 대경역과 축부의 대경부가 수축 끼워맞춤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므로, 용융 금속 도금욕 중에 장시간 침지되어 있어도, 보디부로부터 축부가 이탈하지 않고, 장시간의 연속 용융 금속 도금을 할 수 있다. 또, 보디부와 축부를 나사 결합하는 경우와 같은 번잡한 나사 가공도 불필요하게 되어 조립이 용이하게 되며, 제작비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롤의 보디부와 축부 사이에 롤 내부로 연통되는 복수개의 구멍을 가지므로, 롤을 용융 금속 도금욕에 침지할 때 용융 금속이 롤 내에 재빨리 진입하여, 롤 내외의 온도차를 작게 함으로써 열충격을 더욱 억제하는 동시에, 롤을 용융 금속 도금욕으로부터 인출할 때 롤 내로부터 용융 금속을 재빨리 배출할 수 있어, 롤 내에서 다량의 용융 금속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디부 소경역의 내경이 대경역의 내경보다 충분히 작으므로, 롤 내의 용융 금속이 복수개의 구멍 방향으로 원활하게 흐르기 쉽게 되어, 복수개의 구멍으로부터 재빨리 배출할 수 있다.
도 1 (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양태에 의한 용융(溶融) 금속 도금욕(鍍金浴)용 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b)는 도 1 (a)의 롤의 좌측 절반을 나타낸 부분 단면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 (a)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a)에 나타낸 롤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 (a)에 나타낸 롤 좌우의 축부에 형성된 복수개 홈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a)는 도 1 (a)에 나타낸 롤에 있어서의 수축 끼워맞춤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회전 굽힘 피로 시험용 슬리브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연속 용융 아연 도금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1]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
본 발명의 롤 중 적어도 보디부는 고열 전도율의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에 의해 형성한다.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 자체는 일본국 특개 2001-335368호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다.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 중에 존재하는 알루미늄 및 산소는 포논(phonon) 산란원으로 되어, 열 전도율을 저감시킨다.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는 질화 규소 입자와 그 주위의 입계상(粒界相)으로 구성되며, 알루미늄 및 산소는 이들 상에 함유된다. 알루미늄은 규소에 가까운 이온 반경을 가지기 때문에, 질화 규소 입자 내에 용이하게 고용(固溶)된다. 알루미늄의 고용에 의해 질화 규소 입자 자체의 열 전도율이 저하되어,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의 열 전도율은 현저하게 저하된다. 따라서,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 중에서의 알루미늄 함유량은 가능한 한 적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소결 조제(燒結助劑)로서 첨가하는 산화물 중 산소의 상당수는 입계상으로 존재한다.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의 고열 전도율화를 달성하는 데는 질화 규소 입자에 비해 열 전도율이 낮은 입계상의 양을 저감하는 것이 필요하다. 소결 조제의 첨가량의 하한은 85% 이상의 상대 밀도를 가지는 소결체가 얻어지는 양이다. 소결 조제의 첨가량을 이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적게 함으로써, 입계상 중의 산소량을 저감시킬 필요가 있다.
산소량이 적은 질화 규소 분말을 원료로 하면, 입계상 중의 산소량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입계상의 양 자체를 저감할 수 있고, 소결체의 고열 전도율화가 달성되지만, 소결 과정에서 생성되는 SiO2의 양의 감소에 의해 난소결성(難燒結性)으로 된다. 그런데, 다른 산화물보다 소결성이 우수한 Mg0를 소결 조제로서 사용하면, 소결 조제의 첨가량을 적게 하여, 치밀한 소결체를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소결체의 열 전도율은 비약적으로 높아진다.
마그네슘과 함께 첨가할 수 있는 소결 조제로서는, Y, La, Ce, Nd, Pm, Sm, Eu, Gd, Dy, Ho, Er, Tm, Yb, Lu 등의 주기율표 제3a 족 원소(IIIA)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소결 온도 및 압력이 너무 높아지지 않는다고 하는 점에서, Y, La, Ce, Gd, Dy, Yb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의 상온에서의 열 전도율은 50W/(mㆍK)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W/(mㆍK) 이상이다. 따라서,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 중의 산소 함유량은 50W/(mㆍK) 이상의 열 전도율을 얻으려면 5중량% 이하 이며, 60W/(mㆍK) 이상의 열 전도율을 얻으려면 3중량% 이하이다. 또 질화 규소 입자 중의 산소 함유량은 50W/(mㆍK) 이상의 열 전도율을 얻으려면 2.5중량% 이하이며, 60W/(mㆍK) 이상의 열 전도율을 얻으려면 1.5중량% 이하이다. 또한,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 중의 알루미늄의 함유량은 50W/(mㆍK) 이상의 열 전도율을 얻으려면 0.2중량% 이하이며, 60W/(mㆍK) 이상의 열 전도율을 얻으려면 0.1중량% 이하이다.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 중의 마그네슘(MgO 환산)과 주기율표 제3a 족 원소(IIIA)(산화물(IIIA2O3) 환산)의 합계량은 0.6~7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합계량이 0.6중량% 미만에서는, 소결체의 상대 밀도가 95% 미만으로 불충분하다. 한편, 7중량%를 넘으면, 열 전도율이 낮은 입계상의 양이 과잉으로 되어, 소결체의 열 전도율이 50W/(mㆍK) 미만으로 된다. MgO+IIIA2O3는 0.6~4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MgO/IIIA2O3의 중량비는 1~70이 바람직하고, 1~10이 보다 바람직하고, 1~5가 가장 바람직하다. MgO/IIIA2O3가 1 미만에서는, 입계상 중의 희토류 산화물의 비율이 너무 많기 때문에, 난소결성으로 되어 치밀한 소결체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 MgO/IIIA2O3가 70을 넘으면 소결 시에 있어서의 Mg의 확산을 억제할 수 없어, 소결체 표면에 색 얼룩이 생긴다. MgO/IIIA2O3가 1~70의 범위에 있으면, 1650~1850℃에서의 소결에 의해 고열 전도율화가 현저하다. 소결체를 1800~2000℃로 열처 리하면, 더욱 고열 전도율화된다. 열처리에 의한 고열 전도율화는 질화 규소 입자의 성장과 증기압의 높은 Mg0의 휘발에 의한다.
질화 규소 입자 중의 알루미늄, 마그네슘 및 주기율표 제3a 족 원소(IIIA)의 합계량은 1.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질화 규소계 소결체 중의 β형 질화 규소 입자 중, 짧은 축 직경이 5㎛ 이상인 β형 질화 규소 입자의 비율이 10체적% 초과에서는, 소결체의 열 전도율은 향상되지만, 조직 중에 도입된 조대(粗大) 입자가 파괴의 기점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파괴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되어, 700MPa 이상의 굽힘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질화 규소계 소결체 중의 β형 질화 규소 입자 중, 짧은 축 직경이 5㎛ 이상인 β형 질화 규소 입자의 비율은 10체적%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조직 중에 도입된 조대 입자가 파괴의 기점으로서 작용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β형 질화 규소 입자의 아스펙트비는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롤 보디부를 형성하는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는, 급격한 온도 변화에 대하여 충분한 저항력을 가질 필요가 있다. 급격한 온도 변화에 대한 저항력은 하기 식 (1):
R=σc(1-ν)/Eα … (1)
(단, σc: 상온에서의 4점 굽힘 강도(MPa), ν: 상온에서의 프와송비, E: 상온에서의 영률(GPa), α: 상온으로부터 800℃까지의 평균 열팽창 계수)
에 의해 나타나는 계수로 표현된다. 계수 R은 6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7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계수 R이 600 미만이면 롤이 파괴될 우려가 있 다. 계수 R은 롤로부터 잘라 낸 시험편(試驗片)에 대하여 측정한 상온에서의 4점 굽힘 강도 σc(MPa), 상온에서의 프와송비, 상온에서의 영률 E(GPa) 및 상온으로부터 800℃까지의 평균 열팽창 계수 α로부터 구한다. 상온에서의 4점 굽힘 강도는 파괴 강도라고 할 수도 있다.
[2] 롤
(1) 구조
도 1 (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며, 도 1 (b)는 한쪽의 축부가 보디부로부터 빠진 상태의 롤을 나타낸다. 이 롤은 도 7에 나타낸 용융 금속 도금욕 중 서포트 롤(6)로서 사용된다. 롤(6)은 중공 원통형의 보디부(10), 보디부(10)의 각 단부에 수축 끼워맞춤(shrink-fitting)에 의해 접합되는 축부(20, 21), 및 각 축부(20, 21)의 덮개형 스러스트(thrust)받이 부재(22, 23)로 구성된다. 스러스트받이 부재(22, 23)는 서포트 롤(6)의 회전 중에 베어링(도시하지 않음)과 접촉하여 스러스트 힘을 받으므로, 그들의 선단부는 스러스트 힘을 완화하기 위해 완만한 곡면이다.
보디부(10)는 양단 측의 대경역(10a, 10a)과, 그보다 두꺼운 중앙의 소경역(10b)으로 이루어지는 내면을 가지는 일체적인 중공 원통체이다. 또 축부(20)는 소경부(20a)와, 완만하게 직경이 커지는 플랜지부(20b)와, 대경부(20c)를 가지는 일체적인 중공 원통체이다. 소경부(20a)의 개구단에는 덮개형 스러스트받이 부재(22)가 끼워 맞춤되어 있다. 축부(21)도 동일 구조를 가진다.
서포트 롤(6)을 용융 금속욕 중에 침지할 때 용융 금속이 롤(6) 내에 진입하 여, 롤(6) 내외의 온도차가 신속하게 없어지는 동시에, 용융 금속욕으로부터 인출할 때도 용융 금속이 롤(6)로부터 신속하게 배출되기 위해, 보디부(10)와 축부(20, 21) 사이에는 각각 간극이 없어지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므로, 각 축부(20, 21)에는 길이 방향 홈부(25, 26)가 형성되어 있고, 각 홈부(25, 26)는 축부(20, 21)가 보디부(10)에 접합되면 구멍(25a, 26a)으로 된다.
축부(20, 21)는 동일 홈부(25, 26)를 가지므로, 축부(20)의 홈부(25)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a), 도 1(b)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20)의 플랜지부(20b) 및 대경부(20c)의 외주면에는, 6개의 길이 방향 홈부(25)가 원주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홈부(25)의 개수는 한정적이 아니고, 예를 들면, 4개라도 8개라도 된다. 홈부(25)의 단면 형상(폭, 깊이 등)은 수축 끼워맞춤시의 대경부(20c)의 강도, 용융 금속의 유통하기 쉬움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도 4는 좌우의 플랜지부(20b, 21b)에 있어서의 홈부(25, 26)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다. 홈부(25)와 홈부(26)는 30°어긋난 원주 방향 위치에 있다. 즉 홈부(25, 26)는 축선 방향으로 보았을 때 지그재그 모양의 배치에 있다. 그러므로, 서포트 롤(6)을 욕조의 밖으로부터 용융 아연욕 내에 침지시키면, 서포트 롤(6)이 어떠한 회전 위치에 있어도, 용융 금속은 구멍(25a, 26a) 중 어느 1개로 재빨리 들어갈 수 있다. 또 서포트 롤(6)의 회전 중에도, 용융 금속은 구멍(25a, 26a) 중 어느 1개로 재빨리 들어갈 수 있다. 서포트 롤(6)을 용융 아연욕 내로부터 욕조의 밖으로 인출할 때도, 서포트 롤(6)이 어떠한 회전 위치에 있어도, 용융 금속은 구멍(25a, 26a) 중 어느 1개로부터 재빨리 배출할 수 있다.
도 5는 보디부(10)와 축부(20)와의 수축 끼워맞춤부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축부(20, 21)의 대경부(20c, 21c) 내단이 보디부(10)의 소경역(10b) 단부에 접촉함으로써 파손되지 않도록, 보디부(10)의 대경역(10a)(길이 LB)을 각 축부(20, 21)의 대경부(20c, 21c)(길이 LS)보다 길게 한다. 이에 따라, 보디부(10)의 소경역(10b) 내단과 각 축부(20, 21)의 내단 사이에 간극 G가 형성된다. 간극 G에 의해, 가공 공차(公差)가 있어도, 대경부(20c, 21c)의 내단이 소경역(10b)의 내단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소경역(10b)과 대경역(10a)을 스무스하게 연결하기 위해, 간극 G에 면하는 소경역(10b)의 양단부에는 완만한 곡률면 또는 테이퍼 면(10b')이 형성되어 있다. 간극 G의 길이 T는 수축 끼워맞춤 길이 LS의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세라믹스제의 보디부 및 축부 중 접촉부의 코너부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완만한 곡률면 또는 테이퍼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디부(10)의 소경역(10b) 내경 Sb와 보디부(10)의 대경역(10a) 내경 Sa와의 비는 0.9 이상 1.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Sb/Sa가 0.9 이상 1.0 미만의 범위 내이면, 서포트 롤(6)을 용융 금속 도금욕으로부터 인출할 때, 롤(6) 내의 용융 금속은 구멍(25a, 26a)으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된다. Sb/Sa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0.9~0.95이다.
수축 끼워맞춤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각 축부(20, 21)의 대경부(20c, 21c)의 실효 길이(수축 끼워맞춤 길이) LS과 외경 DL와의 비는 0.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LS/DL가 0.5 미만에서는, 수축 끼워맞춤에 의한 체결력이 불충분하여, 축부(20, 21)가 빠지기 쉽다. 또 LS/DL가 2.0을 넘으면, 각 축부(20, 21)의 원통 정밀도가 나오기 어려워, 수축 끼워맞춤 작업이 곤란하게 되는 동시에, 롤의 사용 시에 보디부(10)와 축부(20, 21)의 수축 끼워맞춤부에 걸리는 굽힘 모멘트가 커져, 수축 끼워맞춤부가 파손되기 쉬워진다. 보다 바람직한 LS/DL는 0.8~1.3이다.
보디부(10)의 외경 SOUT와 각 축부(20, 21)의 소경부(20a, 21a) 외경 DS와의 비는 2~10인 것이 바람직하다. SOUT/DS가 2~10의 범위 내이면, 강판(1)의 반송에 따른 응력이 축부(20, 21)에 걸려도, 축부(20, 21)가 파손되지 않고 롤은 강판(1)에 추종하여 회전할 수 있다. SOUT/DS가 2 미만에서는, 축부(20, 21)와 베어링과의 마찰 저항이 커져, 회전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SOUT/DS가 10을 넘으면, 롤 축부(20, 21)의 네크부에 과대한 굽휨 응력이 걸려 파손되기 쉬워진다. 서포트 롤의 경우, SOUT/DS는 2~4가 바람직하다. 싱크 롤의 경우, SOUT/DS는 6~10이 바람직하다.
(2) 수축 끼워맞춤(shrink-fitting)
본 발명에서는, 축부(20, 21)의 보디부(10)에의 접합을 수축 끼워맞춤에 의해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디부(10)와 축부(20, 21)와의 수축 끼워맞춤률(shrink-fitting ratio)은 0.01/1000~0.5/100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축 끼워맞춤률이 0.01/1000 미만이면, 보디부(10)에 의한 축부(20, 21)에의 체결력이 불충분하여, 축부(20, 21)가 보디부(10)로부터 빠지거나 미끄러지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 수축 끼워맞춤률이 0.5/1000을 넘으면, 수축 끼워맞춤에 의한 체결력이 너무 커져, 보디부(10) 또는 축부(20, 21)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보다 바람직한 수축 끼워맞춤률은 0.2/1000~0.3/1000이다.
(3) 표면 거칠기
용융 금속 도금욕 중에 강판과 접촉하는 롤 보디부(10)는 1~20㎛의 산술 평균 표면 거칠기 Ra를 가질 필요가 있다. 보디부(10)의 표면 거칠기를 균일하게 하는 데는 롤 보디부(10)의 표면을 직경 10~500㎛의 강구(鋼球)나 세라믹스 입자(탄화 규소 입자, 알루미나 입자 등)로 샌드 블라스트(sand blast) 또는 숏 피닝(shot peening)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0㎛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를 가지는 보디부(10)는 강판과의 마찰력이 커(강판과의 미끄러짐이 없어), 강판의 주행 속도 변화에 확실하게 추종할 수 있다. 평균 표면 거칠기 Ra가 1㎛ 미만에서는 롤의 추종성이 불충분하다. 그러나, 평균 표면 거칠기 Ra가 20㎛를 넘으면, 도금 강판에 롤 보디부(10)의 표면 요철이 전사(轉寫)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때문에 롤 보디부(10)의 평균 표면 거칠기 Ra는 바람직하게는 2~1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5㎛이다.
본 발명을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평균 입경 0.5㎛의 질화 규소 분말 94.0중량%에, 소결 조제로서 평균 입경 0.2㎛의 산화 마그네슘 분말을 3.0중량%, 평균 입경 2.0㎛의 산화 이트륨 분말을 3.0중량% 첨가하고, 적당량의 분산제를 가해 에탄올 중에서 분쇄, 혼합했다. 얻어진 분말 혼합물을 조립(造粒)한 후, 고무형으로 충전하여 냉간 정수압(冷間靜水壓) 프레스(CIP)하고, 얻어진 성형체를 1950℃, 60기압의 질소 가스 분위기 중에서 5시간 소결했다.
얻어진 질화 규소계 소결체 중의 산소 함유량은 적외선 흡수법에 의해 측정했다. 또 질화 규소계 소결체 중의 알루미늄 함유량은 유도 플라즈마 발광 분석법(ICP법)에 의해 측정했다.
질화 규소계 소결체 중의 질화 규소 입자의 비율(체적%)은 불화 수소산으로 입계상을 에칭 제거한 후의 질화 규소계 소결체의 SEM 사진을 찍고, SEM 사진 중의 질화 규소 입자의 면적 비율(체적%에 상당)을 측정함으로써 구했다. 또 질화 규소 입자 중의 산소 함유량은 적외선 흡수법에 의해 측정했다. 또한 β형 질화 규소 입자 중, 짧은 축 직경이 5㎛ 이상인 β형 질화 규소 입자의 비율을 화상 해석 장치에 의해 측정했다.
얻어진 소결체로부터, 직경 10mm×두께 3mm의 열 전도율 및 밀도 측정용의 시험편, 및 세로 3mm×가로 4mm×길이 40mm의 4점 굽힘 시험용의 시험편을 잘라냈다. 열 전도율은 레이저 플래시법 JIS R1611에 준거하여 상온에서 측정한 비열(比熱) 및 열 확산율로부터 산출했다. 상대 밀도는, JIS R2205에 준거한 아르키메데스법에 의해 실측한 밀도를 이론 밀도로 나눔으로써 구했다. 4점 굽힘 강도는 상온에서 JIS R1601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또한, 소결체로부터 시험편을 잘라내, 상온으로부터 800℃까지의 평균 열팽창 계수, 상온에서의 프와송비, 및 영률의 측정을 실행했다. 이상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 참고예 1
평균 입경 1.0㎛의 질화 규소 분말 88.0중량%에, 소결 조제로서 평균 입경 0.5㎛의 알루미나 분말을 5.0중량%, 평균 입경 0.8㎛의 산화 이트륨 분말을 7.0중량%첨가하고, 적당량의 프와송비를 가해 에탄올 중에서 분쇄, 혼합했다. 얻어진 분말 혼합물을 조립한 후, 고무형으로 충전하여 냉간 정수압 프레스(C1P)하고, 얻어진 성형체를 1800℃, 1기압의 질소 가스 분위기 중에서 5시간 소결했다. 얻어진 질화 규소계 소결체에 대하여, 참고예 1과 동일 측정을 실행했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예 No. 참고예 1 비교 참고예 1
소결체 중의 산소 함유량(중량%) 0.1 5.2
소결체 중의 알루미늄 함유량(중량%) 0.01 4.2
짧은 축 직경이 5㎛ 이상인 β형 질화 규소 입자의 비율(체적%) 2 17
질화 규소 입자 중의 산소 함유량(중량%) 0.08 3.0
상온에서의 열 전도율(W/mㆍK) 68 18
상대 밀도(%) 99.2 99.1
4점 굽힘 강도(MPa) 928 690
프와송비 0.3 0.3
영률(GPa) 300 300
상온으로부터 800℃까지의 평균 열팽창 계수(×10.6/℃) 3.0 3.0
계수 R 721 536
실시예 1
참고예 1과 동일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를 사용하여, 도 1 (a)에 나타낸 형상의 서포트 롤(6)의 보디부(10) 및 축부(20, 21)를 이하의 수순으로 제작했다. 보디부(10)는 외경 250mm, 내경 200mm(소경역(10b)의 내경에 상당함) 및 길이 1800mm의 중공 원통형 소결체로 이루어지며, 보디부(10)의 내면에 각 단면으로부터 안 길이 250mm의 범위에 수축 끼워맞춤부로 되는 대경역(10a)(내경 210mm)을 기계 가공에 의해 형성했다. 보디부(10)의 소경역(10b) 단부(10b')를 곡면형으로 했다. 보디부(10)의 표면에 대해서는, 200㎛의 탄화 규소 입자에 의해 4㎛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에 샌드 블라스트 처리를 실시했다.
샌드 블라스트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이외 동일 방법에 의해 축부(20, 21)를 제작했다. 각 축부(20, 21)의 소경부(20a, 21a)는 외경 90mm, 내경 50mm 및 길이 200mm이며, 플랜지부(20b, 21b)는 외경 230mm 및 길이 50mm이며, 대경부(20c, 21c)는 외경 210mm, 내경 160mm 및 길이 250mm였다. 단, 보디부(10)의 대경역(10a) 내경보다 축부(20, 21)의 대경부(20c, 21c) 외경을 약간(약 40㎛) 크게 했다. 축부(20)의 전체 길이는 500mm였다. 대경부(20c, 21c)의 외주에는 원주 방향으로 균등하게 6개의 반원통형의 길이 방향 홈부(25)(폭 20mm, 깊이 10mm)를 형성했다. 따라서, 플랜지부(20b, 21b)에 있어서의 홈부(25)의 깊이는 20mm였다. 스러스트받이 부재(22, 23)를 각각 롤 축부(20, 21)의 외단부에 끼워넣었다.
보디부(10) 양단부의 대경역(10a)에 축부(20, 21)의 대경부(20c, 21c)를 각각 수축 끼워맞춤에 의해 접합했다. 수축 끼워맞춤률은 0.2/1000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경역(10b)의 단부와 각 축부(20, 21)의 내단 사이의 간극 G의 길이 T는 25mm였다.
이 롤을 도 7에 나타낸 연속 용융 아연 도금 장치에 서포트 롤(6)로서 사용하고, 판두께가 2mm, 판폭이 1300mm인 SUS300계 스테인레스 강판의 아연 도금 처리를 실행했다. 약 1개월의 연속 사용 후라도, 이 서포트 롤(6)에는 침식 및 마모가 거의 보이지 않았다. 또 롤에 균열이 전혀 보이지 않아, 내열 충격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롤을 형성하는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가 50W/(mㆍK) 이상의 고열 전도율을 가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 4㎛의 산술 평균 거칠기 Ra에 의해, 서포트 롤(6)은 강판의 주행 속도 변화에 양호하게 추종하여, 도금 표면에 흠집이 없는 고품질의 아연 도금 강판이 얻어졌다.
비교예 1
비교 참고예 1과 동일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를 사용하여, 도 1 (a)에 나타낸 형상의 서포트 롤(6)의 보디부(10) 및 축부(20, 21)를 동일 수순으로 제작했다. 이 서포트 롤(6)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아연 도금 처리를 실행했다. 그 결과, 이 서포트 롤(6)은 내식성 및 내마모성은 양호했지만, 계수 R이 600 미만이고, 열 전도율이 50W/(mㆍK) 미만이기 때문에, 사용을 개시하여 곧 롤 표면에 균열이 발생했다.
실시예 2
보디부(10)와 축부(20, 21)와의 수축 끼워맞춤부가 롤(6)의 회전 굽휨에 의해 파손되거나 빠지거나 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JIS Z 2273에 준거한 회전 굽휨 피로 시험을 실행했다. 회전 굽휨 피로 시험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 보디부(10)를 모방한 길이 50mm, 외경 25mm의 슬리브(31)에 롤 축부(20, 21)를 모방한 길이 95mm, 외경 15mm의 원주체(32, 33)를 0.2/1000의 수축 끼워맞춤률로 수축 끼워맞춤한 회전 굽휨 피로 시험용 슬리브 조립체(30)를 사용하고, 슬리브 조립체(30)에 굽휨 응력을 부여하면서 회전시켜, 압축 응력과 인장 응력을 교대로 부여했다.
하중 부가 조건은 모든 하중이 슬리브(31)와 원주체(32, 33)와의 수축 끼워맞춤부에 걸리도록 조정했다. 실기(實機)의 하중 조건과 맞추기 위해, 수축 끼워맞춤부가 받는 면압(面壓)을 2kgf/mm2로 했다. 이 조건에서, 실온의 대기 중에서 3400rpm으로 슬리브 조립체(30)를 회전시켜, 슬리브(31) 및 원주체(32, 33)의 파손이나, 슬리브(31)로부터 원주체(32, 33)가 빠지는 상태를 평가했다.
그 결과, 롤 보디부와 롤 축부의 수축 끼워맞춤부의 파손이나, 롤 보디부로부터 롤 축부의 누락이 일어나지 않는 조건으로서, 수축 끼워맞춤 길이/수축 끼워맞춤 직경(롤 축부 대경부의 실효 길이 LS/롤 축부 대경부의 외경 DL)이 0.5~2.0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은 강판과 접하여 강판과 동일 속도로 회전할 필요가 있으므로, 강판의 주행 속도 변화에 추종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회전하기 쉬운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회전 운동의 변화를 방해하는 기능을 가지는 물리량인 관성 모멘트 GD2(G는 중량, D2는 회전 직경의 2승(乘))에 주목했다. 그 결과, 도 1 (a)에 나타낸 보디부(10)의 외경 SOUT와 축부(20, 21)의 소경부(20a, 21a) 외경 DS와의 비(SOUT/DS)가 2~10의 범위 내이면, GD2가 작아, 롤은 회전하기 쉬운 것을 알수 있었다.
이상 서포트 롤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싱크 롤 등의 각종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은 높은 열 전도율을 가지는 질화 규소계 세라믹스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융 금속 도금욕으로의 출납 시에 이러한 열응력이 작고, 우수한 내열 충격성을 발휘한다. 또 롤 보디부의 평균 표면 거칠기 Ra가 1~20㎛이므로, 강판의 주행 속도 변화에 양호하게 추종하여, 도금 표면의 흠집 발생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디부에 축부를 수축 끼워맞춤 접합함으로써, 장시간 용융 금속 도금욕 중에 침지하고 있어도, 축부가 보디부로부터 탈락하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을 사용하면, 고품질의 도금 강판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Claims (12)

  1. 강판과 접촉하는 중공형(中空形) 보디(body)부(10)와, 상기 보디부(10)에 접합된 축부(20, 21)로 이루어지는 용융(溶融) 금속 도금욕(鍍金浴)용 롤(6)로서, 적어도 상기 보디부(10)가 상온(常溫)에서의 열 전도율이 50W/(mㆍK) 이상인, 질화 규소 입자와 그 주위의 입계상(粒界相)으로 구성된 소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디부(10)의 평균 표면 거칠기 Ra가 1~20㎛이며, 상기 보디부(10)의 내면은 양단 측의 대경역(大徑域)(10a)과 중앙의 소경역(小徑域)(10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부(20, 21)는 소경부(20a, 21a)와 플랜지부(20b, 21b)와 대경부(20c, 21c)를 가지며, 상기 보디부(10)의 대경역(10a)에 상기 축부(20, 21)의 대경부(20c, 21c)가 수축 끼워맞춤(shrink-fitting)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체는 알루미늄과 산소를 포함하고, 상기 알루미늄의 함유량이 0 초과 0.2중량% 이하이며, 상기 산소의 함유량이 0 초과 5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체는 상대 밀도가 98% 이상이며, 상온에서의 4점(点) 굽힘 강도가 700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체의 계수 R[R=σc(1-ν)/Eα(σc: 상온에서의 4점 굽힘 강도(MPa), ν: 상온에서의 포아송비(Poisson's ratio), E: 상온에서의 영률(Young's modulus)(GPa), α: 상온으로부터 800℃까지의 평균 열팽창 계수)로 표시됨]이 6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20, 21)에는 상기 대경부(20c, 21c) 및 상기 플랜지부(20b, 21b)를 통과하는 복수개의 길이 방향 홈부(25, 2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부(20, 21)가 상기 보디부(10)의 양단부에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홈부(25, 26)는 상기 롤(6)의 내부로 연통(連通)되는 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부(10)의 대경역(10a)과 상기 축부(20, 21)의 대경부(20c, 21c)와의 수축 끼워맞춤률(shrink-fitting ratio)이 0.01/1000~0.5/1000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부(10)의 소경역(10b)의 내경 Sb와 보디부(10)의 대경역(10a)의 내경 Sa와의 비(Sb/Sa)가 0.9 이상 1.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부(10)의 대경역(10a)은 상기 축부(20, 21)의 대경부(20c, 21c)보다 길고, 또 상기 보디부(10)의 소경역(10b)의 단부(端部)와 상기 축부(20, 21)의 내단(內端)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20, 21)의 대경부(20c, 21c)의 실효 길이 LS와 외경 DL와의 비(LS/DL)가 0.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부(10)의 외경 SOUT와 상기 축부(20, 21)의 소경부(20a, 21a)의 외경 DS와의 비(SOUT/DS)가 2~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
  11. 삭제
  12. 삭제
KR1020067012933A 2003-12-11 2004-12-13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 KR101193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13529 2003-12-11
JP2003413529 2003-12-11
PCT/JP2004/018587 WO2005056862A1 (ja) 2003-12-11 2004-12-13 溶融金属めっき浴用ロ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827A KR20060107827A (ko) 2006-10-16
KR101193004B1 true KR101193004B1 (ko) 2012-10-19

Family

ID=3467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933A KR101193004B1 (ko) 2003-12-11 2004-12-13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10999B2 (ko)
EP (2) EP1696047B1 (ko)
JP (1) JP4683217B2 (ko)
KR (1) KR101193004B1 (ko)
CN (1) CN100494466C (ko)
WO (1) WO20050568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9399B2 (ja) * 2004-11-11 2011-02-23 日立金属株式会社 連続溶融金属めっき用ロール
JP4873284B2 (ja) * 2005-01-17 2012-02-08 日立金属株式会社 溶融金属めっき浴用ロール
JP4678580B2 (ja) * 2005-01-17 2011-04-27 日立金属株式会社 溶融金属めっき浴用ロール
JP4678581B2 (ja) * 2005-01-17 2011-04-27 日立金属株式会社 溶融金属めっき浴用ロール
JP2006274302A (ja) * 2005-03-28 2006-10-12 Hitachi Metals Ltd 溶融金属めっき浴用ロール
JP5050383B2 (ja) * 2006-03-30 2012-10-1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融めっき金属帯の製造方法及び溶融めっき金属帯製造装置
EP2681910B1 (en) * 2011-02-28 2018-10-31 ArcelorMittal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 time video imaging of the snout interior on a hot dip coating line
WO2012136713A1 (de) * 2011-04-04 2012-10-11 H.C. Starck Ceramics Gmbh Stabrolleneinheit für schmelztauchverfahren
DE102011078878B4 (de) * 2011-07-08 2015-05-0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zur druckminderung in hohlkörpern in medien bei höheren temperaturen
CN102994934B (zh) * 2012-12-27 2014-07-16 攀钢集团攀枝花钢钒有限公司 带钢连续热浸镀锌防止换辊时断带的方法
JP6376342B2 (ja) * 2014-10-03 2018-08-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ハースロール、連続焼鈍設備および連続焼鈍方法
DE102015211489B3 (de) * 2015-06-22 2016-06-30 Thyssenkrupp Ag Rolle zur Umlenkung oder Führung eines zu beschichtenden Metallbandes in einem metallischen Schmelzenbad
KR20190002576A (ko) 2016-04-29 2019-01-08 에이케이 스틸 프로퍼티즈 인코포레이티드 코팅 라인의 롤을 안정화하는 캠페인 수명을 연장시키는 방법
US11168388B2 (en) 2016-04-29 2021-11-09 Cleveland-Cliffs Steel Propert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the campaign life of stabilizers for a coating line
JP6209300B1 (ja) 2017-04-27 2017-10-04 日本タングステン株式会社 アンビルロール、ロータリーカッタ、及びワークの切断方法
KR102391567B1 (ko) 2017-12-21 2022-04-29 클리블랜드-클리프스 스틸 프로퍼티즈 인코포레이티드 용융 도금 코팅 라인에서 사용하기 위한 롤
US11142817B2 (en) * 2017-12-21 2021-10-12 Cleveland-Cliffs Steel Properties Inc. Roll for use in a hot dip coating line
WO2021041491A1 (en) * 2019-08-29 2021-03-04 Roto-Die Company, Inc. Reduced weight magnetic cylinder
US11384419B2 (en) * 2019-08-30 2022-07-12 Micromaierial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depositing molten metal onto a foil substrate
KR20210122556A (ko) * 2020-04-01 2021-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가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5178A (ja) * 1992-01-21 1993-08-03 Sumitomo Metal Ind Ltd 溶融金属めっき浴中ロール
JPH05306441A (ja) * 1992-04-30 1993-11-19 Nippon Steel Corp 溶融金属めっき方法及び溶融金属めっき浴内サポートロール
JP2001335368A (ja) * 2000-05-25 2001-12-04 Hitachi Metals Ltd 高熱伝導窒化ケイ素質焼結体
JP2002161346A (ja) * 2000-11-17 2002-06-04 Hitachi Metals Ltd 連続溶融金属めっき用ロ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1543B2 (ja) * 1990-05-11 1999-06-23 株式会社礒野製作所 ローラの製作方法
US5649891A (en) * 1995-12-13 1997-07-22 Eastman Kodak Company Composite gudgeons and roller assemblies
JP3000043B2 (ja) 1996-07-08 2000-01-17 日鉄ハード株式会社 溶融金属めっき浴中に配置される浴中用機材
BE1011088A3 (fr) * 1997-04-04 1999-04-06 Cockerill Sambre Sa Rouleau deflecteur de tole immerge dans un bain de metal fondu.
JPH11349381A (ja) 1998-06-08 1999-12-21 Hitachi Metals Ltd 窒化ケイ素焼結体およびそれからなるスパッタターゲット
JP4123457B2 (ja) 1999-09-21 2008-07-23 日立金属株式会社 連続溶融金属めっき用ロール
JP4147509B2 (ja) 1999-09-21 2008-09-10 日立金属株式会社 連続溶融金属めっき用ロール
DE10165080B4 (de) * 2000-09-20 2015-05-13 Hitachi Metals, Ltd. Siliciumnitrid-Pulver und -Sinterkörper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Leiterplatte damit
JP4147515B2 (ja) 2000-11-17 2008-09-10 日立金属株式会社 連続溶融金属めっき用ロール
JP2002286397A (ja) * 2001-03-27 2002-10-03 Hitachi Metals Ltd 熱交換器用伝熱管
US6589048B2 (en) * 2001-04-06 2003-07-08 Nexpress Solutions Llc Roller construction for operation at elevated temperatures
JP3765484B2 (ja) 2002-04-18 2006-04-12 日立金属株式会社 連続溶融金属めっき用ロ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5178A (ja) * 1992-01-21 1993-08-03 Sumitomo Metal Ind Ltd 溶融金属めっき浴中ロール
JPH05306441A (ja) * 1992-04-30 1993-11-19 Nippon Steel Corp 溶融金属めっき方法及び溶融金属めっき浴内サポートロール
JP2001335368A (ja) * 2000-05-25 2001-12-04 Hitachi Metals Ltd 高熱伝導窒化ケイ素質焼結体
JP2002161346A (ja) * 2000-11-17 2002-06-04 Hitachi Metals Ltd 連続溶融金属めっき用ロ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827A (ko) 2006-10-16
EP1696047A4 (en) 2009-11-18
EP2447388B1 (en) 2014-05-14
CN1890396A (zh) 2007-01-03
WO2005056862A1 (ja) 2005-06-23
CN100494466C (zh) 2009-06-03
US20070074657A1 (en) 2007-04-05
JPWO2005056862A1 (ja) 2007-07-05
JP4683217B2 (ja) 2011-05-18
EP1696047A1 (en) 2006-08-30
EP2447388A1 (en) 2012-05-02
EP1696047B1 (en) 2014-02-12
US8210999B2 (en)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004B1 (ko) 용융 금속 도금욕용 롤
US6784131B2 (en) Silicon nitride wear resistant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ember
JP4678581B2 (ja) 溶融金属めっき浴用ロール
JP4678580B2 (ja) 溶融金属めっき浴用ロール
JP4873284B2 (ja) 溶融金属めっき浴用ロール
JP2011214115A (ja) 溶融金属めっき浴用ロール
JP2001089836A (ja) 連続溶融金属めっき用ロール
JP2004183011A (ja) 連続溶融金属めっき用ロール
JP4147515B2 (ja) 連続溶融金属めっき用ロール
JP4088885B2 (ja) 連続溶融金属めっき用ロール
JP2006274302A (ja) 溶融金属めっき浴用ロール
JP4123457B2 (ja) 連続溶融金属めっき用ロール
JP4383112B2 (ja) ロール
JP3709115B2 (ja) 溶融アルミニウムめっき浴用浸漬部材
JPH0742562B2 (ja) 連続溶融金属めっき用ロ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装置
JP4690553B2 (ja) シフトサイドガイドロール用嵌合リング
JP5674088B2 (ja) セラミックス製ローラ及びセラミックス製ローラ装置
JPH049424A (ja) 鋼材熱処理炉用ハースロール
JP2006273663A (ja) 回転加工用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金属加工装置
JP5892642B2 (ja) 回転体
JP2005060804A (ja) 連続溶融金属めっき用ロール
JP2004161511A (ja) 溶融金属浴中の軸受
JP2001342072A (ja) バーマッシャーロール
JPH10218337A (ja) 複合ローラー
JP2003004029A (ja) 複合構造を有するセラミックス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