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789B1 -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 - Google Patents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789B1
KR101183789B1 KR1020060048408A KR20060048408A KR101183789B1 KR 101183789 B1 KR101183789 B1 KR 101183789B1 KR 1020060048408 A KR1020060048408 A KR 1020060048408A KR 20060048408 A KR20060048408 A KR 20060048408A KR 101183789 B1 KR101183789 B1 KR 101183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ylindrical inlet
top cover
cylindrical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5504A (ko
Inventor
히로아끼 다까시마
유이찌로 모리야마
스스무 니와
가즈히로 우메나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Publication of KR20060125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5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6Joining parts moulded in separate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4Rigid discs or spherical members adapted to be held in sealing engagement with mouth of container, e.g. closure plates for preserving jars
    • B65D51/145Rigid discs or spherical members adapted to be held in sealing engagement with mouth of container, e.g. closure plates for preserving jars by means of an additional element connected directly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6Joining parts moulded in separate cavities
    • B29C2045/0065Joining parts moulded in separate cavities the parts being interconnected before assembling by a breaking or shearing p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6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캡의 회전에 의한 전단력으로 내측 시일재를 박리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작은 힘으로 캡의 마개 개방과 동시에 내측 시일재를 입구부로부터 박리할 수 있는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용기 본체에 마련된 통형상 입구부와, 상기 통형상 입구부를 폐지하는 캡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이며, 상기 캡은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을 덮는 통형상을 갖는 동시에, 상기 통형상의 내면에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외면에 마련된 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를 갖고,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상하 이동(착탈)하는 것이 가능한 캡 본체와,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 개구부를 덮고, 통형상 입구부를 폐쇄하는 캡 상부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 본체와 상기 캡 상부 덮개는 상기 캡 상부 덮개를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캡 본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서로 독립된 부재이며, 상기 캡 본체를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에 따라서 회전시켜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상기 캡 본체가 상기 캡 상부 덮개와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하여 상기 캡 상부 덮개를 밀어 올림으로써 통형상 입구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이다.
통형상 입구부, 도관부, 접합부, 스트로부, 캡, 용기 본체, 결합면

Description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SEALING MECHANISM FOR CONTAINER OPENING}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의 일 형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는 도1의 폐지 기구에 있어서의 캡만을 도시하는 도면.
도3은 도1의 폐지 기구에 있어서의 통형상 입구부만을 도시하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의 일 형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도4의 폐지 기구에 있어서의 캡만을 도시하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의 일 형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7은 도6의 폐지 기구에 있어서의 캡만을 도시하는 도면.
도8은 본 발명에 관한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의 일 형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9는 본 발명에 관한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의 일 형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본 발명에 관한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에 있어서의 캡의 마개 개방시의 마개 개방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11은 본 발명에 관한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에 있어서의 캡의 마개 개방시의 마개 개방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를 구성하는 캡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13은 도1의 폐지 기구를 갖는 내용물 취출 장치(101)의 일 형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14는 도13의 내용물 취출 장치(101)를 설치한 용기의 일 형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15는 실시예의 내용물 취출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16은 비교예의 내용물 취출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17은 본 발명에 관한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의 다른 일 형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18은 도17에 있어서의 선분 A-A에 따라 본 단면도.
도19는 도7에서 도시한 형태예에 있어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형상 입구부
1a :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
1b :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면
1c :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 개구부
2 : 도관부
3 : 접합부
4 : 스트로부
5 : 캡
6 : 나사부(나사산)
7 : 지지 플랜지
8 : 정렬 리브
9 : 상단부 플랜지
10 : 내용물 도출 구멍
11 : 용기 본체
12 : 캡 본체
12a : 캡 본체의 상단부면
12b : 세로 홈
12c : 결합면
12d : 결합면
13 : 캡 상부 덮개
13a : 원판부
13b : 스커트부
13c : 결합면
13d : 결합면
14 : 접촉면
16 : 볼록부
17 : 끼워 맞춤부
18 : 패킹
19 : 내측 시일재
20 : 나사부(나사 홈)
21 : 절결부
21a : 경사면
101 : 내용물 취출 장치
[문헌 1] 일본 실용신안 공고 소49-26614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4-83080호 공보
본 발명은 용기 본체에 마련된 통형상 입구부와, 상기 통형상 입구부를 폐지하는 캡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내용물의 취출구(주출구)로 기능하는 통형상 입구부와, 상기 통형상 입구부를 폐지하는 캡을 구비한 용기는 액체 음료, 유동성 식품, 조미료 등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기에 있어서, 캡과 통형상 입구부의 끼워 맞추는 것만으로 입구부를 폐지하는 경우, 끼워 맞춤부의 성형 불량이나 손상 등에 따라서, 내용물의 누설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용기 내에 내용물을 충전하여 용기 밀폐 후, 고온 가열 살균하는 레토르트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레토르트 처리시 용기 내의 압력 상승에 의해, 내용물이 누설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레토르트 처리에 의한 캡과 통형상 입구부의 수축ㆍ팽창율에 차이가 있으면, 입구부의 캡에 의한 폐지가 불충분해져 내용물이 누설되어 버릴 우려도 있다.
종래, 이 통형상 입구부를 구비한 용기의 밀봉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입구부와 접착 가능한 내측 시일재를 이용하여 입구부를 밀봉하는 것이 행해져 왔다. 그러나, 내측 시일재에 의해 밀봉된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취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캡을 마개 개방하고, 또한 입구부에 접착되어 있는 내측 시일재를 입구부로부터 박리되어야만 하여 수고가 가해지는 것이었다.
그래서, 캡의 마개 개방과 동시에, 내측 시일재가 입구부로부터 박리되도록 한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는 내측 시일재를 입구부와 캡 내면의 양쪽에 접착하고, 내측 시일재와 캡 내면과의 접착력을 내측 시일 부재와 입구부와의 접착력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캡을 마개 개방하는 내측 시일 부재는 캡 내면과의 접착 상태를 보유 지지한 상태로, 자동적으로 입구부로부터 박리되도록 한 밀봉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실용신안 공고 소49-2661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4-83080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와 같이, 캡의 회전에 의해 입구부와 내 측 시일재와의 계면에 전단력을 생기게 하고, 내측 시일재를 입구부로부터 박리하기 위해서는 큰 힘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비추어 보아 완수된 것이고, 캡의 회전에 의한 전단력으로 내측 시일재를 박리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작은 힘으로 캡의 마개 개방과 동시에 내측 시일재를 입구부로부터 박리할 수 있는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는 용기 본체에 마련된 통형상 입구부와, 상기 통형상 입구부를 폐지하는 캡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이며, 상기 캡은,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을 덮는 통형상을 갖는 동시에, 상기 통형상의 내면에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외면에 마련된 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를 갖고,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상하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캡 본체와,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 개구부를 덮고, 통형상 입구부를 폐쇄하는 캡 상부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 본체와 상기 캡 상부 덮개는 상기 캡 상부 덮개를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캡 본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서로 독립된 부재이며, 상기 캡 본체를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에 따라서 회전시켜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상기 캡 본체가 상기 캡 상부 덮개와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하여 상기 캡 상부 덮개를 밀어 올림으로써 통형상 입구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는, 상기 캡 본체를 상기 통형상 입구부 의 측면에 따라서 회전시켜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상기 캡 본체와 상기 캡 상부 덮개가 결합하는 결합면에 작동하는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 방향으로의 힘을, 상기 캡 상부 덮개를 밀어 올려 상기 통형상 입구부를 개방하는(전형적으로는, 캡 상부 덮개와 통형상 입구부와의 접착을 푼다) 힘으로서 이용하는 것이다. 이때, 캡 본체는 캡 상부 덮개와의 결합면에 대해 미끄럼 이동하면서 회전하고, 상기 캡 상부 덮개를 밀어 올리기 때문에, 캡 본체와 통형상 입구부가 접착하고 있는 경우라도, 상기 접착면에 전단력이 거의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입구부와 캡과의 접착면에 전단력을 생기게 함으로써 캡과 입구부와의 접착을 푸는 종래의 캡과 비해, 작은 힘으로 캡 본체를 회전시킬 수 있어 용이하게 캡을 마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캡에 의한 통형상 입구부의 재밀봉이 가능하므로, 상기 캡 본체와 상기 캡 상부 덮개는 분리되지 않도록 서로 끼워 맞추어 있고, 상기 캡 본체를 상기 통형상 입구부에 따라서 회전시켜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하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상기 캡 본체가 상기 캡 상부 덮개와 결합하여 상기 캡 상부 덮개가 인하되어 통형상 입구부가 재밀봉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밀봉성의 관점으로부터,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면과, 상기 캡 상부 덮개와는 접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면과 상기 캡 상부 덮개와의 접착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개봉 용이성의 관점으로부터, 상기 캡 상부 덮개가,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면과의 접촉면에 내측 시일재를 갖고 있고, 상기 내측 시일재를 통해 상기 통형상 입구부와 상기 캡 상부 덮개가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 본체를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에 따라서 회전시켜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캡 본체와 상기 캡 상부 덮개가 결합하는 결합면이, 상기 캡 본체를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에 따라서 회전시켜 가장 하단부측으로 이동시킬 때에, 완전히 접촉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경우, 캡 회전 개시 시에 필요한 힘이 약해져 캡의 개봉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캡 본체가 상기 캡 상부 덮개를 밀어 올리는 힘을 1 군데에 집중시킴으로써 캡의 마개 개방이 용이하게 되므로, 상기 캡 본체를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에 따라서 회전시켜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상기 캡 본체와 상기 캡 상부 덮개가 결합하는 위치의 서로 마주보는 결합면의 어느 쪽인지에 볼록부가 1군데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를 구성하는 캡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캡 본체와 상기 캡 상부 덮개가 파탄 가능한 박육부로 연결된 성형체를 일체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캡 상부 덮개를 상기 캡 본체측에 압박함으로써, 상기 박육부를 파탄하는 동시에 상기 캡 상부 덮개와 상기 캡 본체를 끼워 맞추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는, 용기 본체에 마련된 통형상 입구부와, 상기 통형상 입구부를 폐지하는 캡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이며, 상기 캡은,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을 덮는 통형상을 갖는 동시에, 상기 통형상의 내면에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외면에 마련된 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를 갖고,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상하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캡 본체와,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 개구부를 덮고, 통형상 입구부를 폐쇄하는 캡 상부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 본체와 상기 캡 상부 덮개는 상기 캡 상부 덮개를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캡 본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서로 독립된 부재이고, 상기 캡 본체를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에 따라서 회전시켜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상기 캡 본체가 상기 캡 상부 덮개와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하여 상기 캡 상부 덮개를 밀어 올림으로써 통형상 입구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폐지 기구에 대해, 도1 내지 도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을 적용한 통형상 입구부와 상기 통형상 입구부를 폐지하는 캡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의 일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1은 통형상 입구부(1)가 캡(5)에 의해 폐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2는 도1에 있어서의 폐지 기구의 캡만을 도시하는 도면, 도3은 도1에 있어서의 폐지 기구의 통형상 입구부만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13은 도1의 폐지 기구를 적용한 내용물 취출 장치(101)의 일 형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13A)와 측면도(13B), 도14는 도13의 내용물 취출 장치(101)를 설치한 용기의 일 형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통형상 입구부를 구비하는 용기는 도14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재질은 종이제, 수지제, 금속제, 또는 이러한 재질을 복수 조 합시켜 이용해도 좋고, 그 형상도 튜브형, 보틀형, 주머니형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용기 본체에 마련되는 통형상 입구부는 통형상이고, 캡에 의한 폐지가 가능하면 좋고, 용기 본체와 일체형이라도 일체형이 아니라도 좋다. 또한, 통형상 입구부는 도13과 같은 내용물 취출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튜브나 보틀의 주출구(주입구)로서 설치되는 구조의 입구부라도 좋다.
도13에 있어서, 내용물 취출 장치(101)는 통형상 입구부(1), 도관부(2), 도관부(2)의 상단부에 있어서 좌우에 나타낸 한 쌍의 접합부(3)를 적어도 구비한 스트로부(4)와, 통형상 입구부(1)를 폐지하는 캡(5)으로 이루어진다. 통형상 입구부(1)는, 도1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5)(캡 본체(12))에 마련된 나사부(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나사 홈)(20)와 결합할 수 있는 나사부(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나사산)(6)를 그 측면(1a)에 갖고, 캡(5)과 나사 결합함으로써 폐지된다. 용기 미개봉시에는 통형상 입구부(1)의 상단 개구부(1c)는, 그 상단부면(1b)에 있어서 캡(5)의 원판부(캡 상부 덮개(13))에 내측 시일재(19)를 통해 접착되어 있고, 밀봉성이 높게 유지되어 있다.
스트로부(4)는 캡 상부 덮개나 내측 시일재와의 접착성의 점에서, 통상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플라스틱 재료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지만, 성형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플라스틱 이외의 재료를 이용해도 좋다.
통형상 입구부(1)에는 내용물 취출 장치(101)를 용기의 제조 공정 도중에서 매달기 위한 지지 플랜지(7), 지지 플랜지(7)를 통해 매달아 올린 내용물 취출 장 치(101)를 정렬하기 위한 정렬 리브(8) 등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관부(2)에는 상단부 플랜지(9)나 내용물을 효율적으로 충전 또는 취출하기 위한 내용물 도출 구멍(10)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내용물 취출 장치(101)는, 예를 들어,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시블한 적층 필름으로 제작된 거셋트 주머니로 이루어지는 용기 본체(11)의 상방 개구부와, 내용물 취출 장치(101)의 접합부(3)를 접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취출할 때에는, 캡(5)과 통형상 입구부(1)의 나사 결합을 풀어 캡(5)을 마개 개방하고, 통형상 입구부(1)를 주출구로서 이용한다. 도14와 같이, 도관부(2)의 선단부가 용기 본체(11)의 바닥부 부근에까지 도달하는 경우에는, 내용물 취출 장치(101)를 스트로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통형상 입구부(1)에 입구를 부여하여 내용물을 빨아 올릴 수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형상 입구부(1)와 나사 결합하고, 통형상 입구부(1)를 폐지하는 캡(5)은 캡 본체(12)와 캡 상부 덮개(13)로 이루어진다.
캡 본체(12)는 통형상 입구부(1)의 측면(1a)을 덮는 통형상을 갖는 동시에, 상기 통형상의 내면에 통형상 입구부(1)의 나사부(6)와 결합할 수 있는 나사부(20)를 갖고 있다. 이 통형상 입구부(1)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캡 본체(12)는 통형상 입구부(1)의 측면(1a)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상하 이동(도1에 있어서의 화살표의 방향)하는 것이 가능하고, 통형상 입구부(1)로부터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캡 상부 덮개(13)는 통형상 입구부(1)의 상단 개구부(1c)를 덮고, 통형상 입구부(1)를 폐쇄하는 것이다.
캡(5)을 구성하는 캡 본체(12)와 캡 상부 덮개(13)와는, 캡 상부 덮개(13)를 회전시키지 않고 캡 본체(12)를 회전시킬 수 있는 서로 독립된 부재이다. 캡 본체(12)를 통형상 입구부(1)의 측면(1a)에 따라서 회전시켜 상기 통형상 입구부(1)의 상단부 방향(상단부면측)으로 이동시키면, 캡 본체(12)와 캡 상부 덮개(13)가 결합면(12c, 13c)에 있어서 결합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캡 본체(12)를 통형상 입구부(1)의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캡 상부 덮개(13)가 밀어 올려진다.
이 캡 본체(12)에 의한 캡 상부 덮개(13)의 밀어 올림에 의해, 캡 상부 덮개(13)는 통형상 입구부(1)의 상단 개구부(1c)로부터 떨어지고, 상기 통형상 입구부(1)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통형상 입구부(1)의 상단부면(1b)과 캡 상부 덮개(13)가 접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캡 본체(12)가 캡 상부 덮개(13)를 밀어 올리는 힘에 의해, 통형상 입구부(1)의 상단부면(1b)으로부터 캡 상부 덮개(13)가 박리되고, 통형상 입구부가 개방되어 용기가 개봉되게 된다(도10 및 도11 참조).
상기 마개 개방 동작에 있어서는, 캡 본체(12)는 캡 상부 덮개(13)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캡 본체(12)와 캡 상부 덮개(13)가 결합한 후도, 캡 상부 덮개(13)와의 결합면에 대해 미끄럼 이동하면서(슬립이면서), 통형상 입구부(1)의 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어, 통형상 입구부(1)의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캡 상부 덮개(13)를 밀어 올린다.
따라서, 통형상 입구부(1)와 캡 상부 덮개(13)가 접착되어 있는 경우라도, 상기한 바와 같이 캡 본체(12)가 캡 상부 덮개(13)를 밀어 올릴 때에, 캡 본체(12)는 캡 상부 덮개(13)와의 결합면을 슬립이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캡 상부 덮개(13) 와 통형상 입구부(1)와의 접착면에는 거의 전단력이 생기지 않는다. 그로 인해,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일수록 전단 방향의 저항이 크지 않아 작은 힘으로 캡 본체(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캡 본체(12)의 회전에 의해, 캡 상부 덮개(13)가 상기 캡 상부 덮개(13)와 통형상 입구부(1)와의 접착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밀어 올려지고, 상기 접착면에 전단력을 생기게 하지 않고 캡 상부 덮개(13)를 통형상 입구부(1)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는 캡 본체를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에 따라서 회전시키고,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캡 본체와 캡 상부 덮개가 결합하는 결합면에 일하는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 방향으로의 힘을, 캡 상부 덮개를 밀어 올려 통형상 입구부를 개방하는(전형적으로는 캡 상부 덮개와 통형상 입구부와의 접착을 푼다) 힘으로서 이용하는 것이다.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면과 접착한 캡 상부 덮개를, 통형상 입구부로부터 상기 캡 상부 덮개와 통형상 입구부와의 접착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분리함으로써, 통형상 입구부와 캡 상부 덮개와의 접착을 풀기 위해 필요한 힘은 캡을 회전시켜 입구부와 캡과의 접착면에 전단력을 생기게 함으로써 캡과 입구부와의 접착을 풀기 위해 필요한 힘과 비교하여 작고, 용이하게 캡을 마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전단력에 의해 용기를 개봉하는 종래의 용기에서는, 캡의 마개 개방이 곤란하게 되는 높은 접착력으로 통형상 입구부를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고, 종래보다도 밀봉성이 우수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혹, 미개봉시의 밀봉성을 보유 지지하면서, 작은 힘으로 개봉하는 것이 가능한 역개봉성이 우수한 용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캡 상부 덮개가 통형상 입구부를 폐쇄하고 있다라고 함은,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 개구부를 덮는 캡 상부 덮개가 상기 통형상 입구부와 접착하고 있는 상태 외에, 캡 상부 덮개와 통형상 입구부가 접착하지 않고, 접착 이외의 방법으로 캡 상부 덮개가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 개구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고무 등의 밀착성이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캡 상부 덮개가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면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밀착하여 장착되고, 통형상 입구부가 시일되어 있는 상태 등도 포함된다.
또한, 캡 본체와 캡 상부 덮개가 서로 독립된 부재라 함은, 상기 캡 상부 덮개를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캡 본체를 회전시킬 수 있으면, 캡 본체(12)와 캡 상부 덮개(13)가 완전히 분리(도4 및 도5, 도8 참조)하고 있어도 좋고, 캡 본체(12)가 캡 상부 덮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연결(도1 및 도2, 도6 및 도7, 도9 참조)하고 있어도 좋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캡 상부 덮개(13)와 통형상 입구부(1)는, 상기 캡 상부 덮개(13)의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 개구부(1c)와의 접촉면(14)에 배치된 내측 시일재(19)에 의해 접착되지만, 용기 미개봉시에 있어서의 캡 상부 덮개와 통형상 입구부와의 접착은 용기 미개봉시 밀봉성을 보유 지지하고, 또한 캡 본체에 의한 캡 상부 덮개의 밀어 올림에 의해, 통형상 입구부로부터 캡 상부 덮개를 박리할 수 있는 형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캡 상부 덮개와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면을 직접 용착한 형태라도 좋고, 접착제에 의해 캡 상부 덮개와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면이 접착한 형태라도 좋다. 미개봉 시의 밀봉성의 확보와 캡의 마개 개방시 개봉 용이성의 관점으로부터는, 캡 상부 덮개의 통형상 입구부와의 접촉면에 배치된 내측 시일재를 통해 캡 상부 덮개와 통형상 입구부가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시일재로서는,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 개구부를 덮고, 용기 미개봉시에 있어서 캡 상부 덮개의 접촉면과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면을 접착하여, 용기 내의 기밀성을 보유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캡의 마개 개방시에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하지만, 캡 상부 덮개로부터는 박리하지 않는 접착성을 갖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시일재를 통해 캡 상부 덮개와 통형상 입구부를 접착시킴으로써 미개봉시 통형상 입구부에 있어서의 시일성을 보유 지지하면서, 작은 힘으로 캡을 마개 개방하고, 그리고 동시에 내측 시일재를 통형상 입구부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이때, 캡의 마개 개방과 동시에, 확실하게 내측 시일재를 통형상 입구부(1)로부터 박리시키기 위해서는, 내측 시일재/캡 상부 덮개 사이의 단위 면적 또는 단위 길이당 접착 강도가, 내측 시일재/통형상 입구부 사이의 단위 면적 또는 단위 길이당의 접착 강도보다도 커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내측 시일재/캡 상부 덮개 사이의 단위 면적 또는 단위 길이당의 접착 강도가, 내측 시일재/통형상 입구부 사이의 단위 면적 또는 단위 길이당의 접착 강 도와 동등, 혹은 내측 시일재/통형상 입구부 사이의 단위 면적 또는 단위당의 접착 강도보다 작아도, 내측 시일재를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 개구부 전체를 덮는 형상으로 하고, 캡 상부 덮개와 그 전체면에 의해 접착시키면, 캡 상부 덮개와 내측 시일재 사이의 접착 면적쪽이 통형상 입구부 상단부와 내측 시일 사이의 접착 면적과 비교하여 훨씬 크기 때문에, 내측 시일재는 통상, 캡 상부 덮개쪽에 의해 강하게 고저 부착하고 있다. 따라서, 캡의 마개 개방과 동시에 확실하게 내측 시일재를 통형상 입구부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내측 시일재/캡 상부 덮개 사이, 내측 시일재/통형상 입구부 사이의 단위 면적 또는 단위당의 접착 강도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내측 시일재/캡 상부 덮개용 재료로 형성한 판형 부재 사이, 내측 시일재/통형상 입구부용 재료로 형성한 판형 부재 사이의 단위 면적 또는 단위당의 접착 강도를, 내측 시일재/캡 상부 덮개 사이, 내측 시일재/통형상 입구부 사이의 단위 면적 또는 단위 길이당의 접착 강도로서 각각 채용하면 좋다.
내측 시일재/캡 상부 덮개용 재료로 형성한 판형 부재 사이, 내측 시일재/통형상 입구부용 재료로 형성한 판형 부재 사이의 단위당의 접착 강도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JISZ0238「히트 시일 연포장 주머니 및 반강성 용기의 시험 방법」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내측 시일재로서는, 여러 가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어, 예를 들어 단층 또는 다층의 플라스틱 필름과, 금속 필름, 무기 증착층, 종이의 층 등을 임의로 포함하는 복합 플라스틱 필름 등을 들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캡 상부 덮개와 용착하는 플라스틱 필름층(표층)과, 플라스틱층, 금속 필름층 또는 무기 증착층, 혹은 이들 복수 적층한 적층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과, 통형상 입구부와 용착하는 히트 시일층(이면층)을 갖는 복합 필름이 이용된다.
히트 시일층은 통형상 입구부(1)와 용착하는 것이 가능하면, 단층 구조라도 복수의 층이 적층한 다층 구조라도 좋고, 또한 그 재질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용이 박리성을 갖는 필름(용이 박리성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이 박리성 필름의 박리 형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계면 박리, 응집 박리, 층간 박리 등, 용기의 형상이나 시일 조건, 살균 조건 등에 의해, 구별하면 좋다. 계면 박리 형식의 용이 박리성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층과 에틸렌초산비닐코폴리머(EVA) 및 점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적층한 구조의 것, 응집 박리 형식의 용이 박리성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PE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PP)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층과, PP, PE 및 필요에 따라서 그 밖의 재료를 포함하는 응집 박리층을 적층한 구조의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를 마련한 용기를 레토르트 파우치로서 이용하는 경우, 용이 박리성 필름의 박리 형식으로서는 응집 박리나 층간 박리가 바람직하고, 특히 응집 박리가 바람직하다. 레토르트 파우치용의 응집 박리 형식 용이 박리성 필름의 구조로서는, 예를 들어 내열성이 우수한 PP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층과, PP, PE 및 필요에 따라서 그 밖의 재료를 포함하는 응집 박리층을 적층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플라스틱 필름층은 캡 상부 덮개(13)의 접촉면(14)과 용착하는 것이 가능하면, 단층 구조라도 복수의 층이 적층한 다층 구조라도 좋고, 예를 들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미연신 폴리프로필렌(CPP),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에틸렌초산비닐코폴리머(EVA) 등의 미연신 필름층, 또는 이들 필름층을 적층한 것을 들 수 있다. 히트 시일층과 마찬가지, 본 발명의 폐지 기구를 마련한 용기를 레토르트 파우치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내열성을 갖고 있는 CPP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필름층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은,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연신 나일론(ONY) 등의 연신 필름층이나, 알루미늄(Al) 등의 금속 필름층이나 금속 증착층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층, 또는 이러한 층이 복수 적층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중간층으로서, 알루미늄(Al) 등의 금속 필름층이나 금속 증착층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층을 마련하는 경우에는, 전자 유도에 의해 금속층을 발열시키고, 히트 시일층과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면 및/또는 플라스틱 필름층과 캡 상부 덮개를 용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으로부터, 중간층으로서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층은 필요에 따라서 가스 배리어성 등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층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내측 시일재의 구체예로서는, 이하와 같은 것을 예로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하기 예시에 있어서 부호「#」는 해당하는 층의 두께(단위 : ㎛)를 나타낸다.
구체예 : 플라스틱 필름층[CPP#30 내지 50]/중간층[Al#6 내지 30]/히트 시일층[용이 박리성 필름#25 내지 50]
내측 시일재를, 캡 상부 덮개의 접촉면 및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면의 쌍방과 접착하고, 통형상 입구부를 시일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캡 상부 덮개를 제조할 때에 캡 상부 덮개 성형용 금형 내의 접촉면이 되는 위치에 내측 시일재를 세트하고, 금형 내에 용융한 플라스틱 재료를 사출 및 충전하고, 금형 내에서 냉각 및 고화시킴으로써, 내측 시일재와 캡 상부 덮개를 접착하여 일체화시킬 수 있다(인서트 인젝션 방식).
또한, 캡 상부 덮개의 성형 후, 혹은 캡 상부 덮개와 캡 본체를 끼워 맞춘 캡의 성형 후에 캡 상부 덮개의 통형상 입구부와의 접촉면이 되는 위치에 내측 시일재를 세트하고, 상기 내측 시일재를 히트 시일, 고주파, 초음파, 전자유도 등의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캡 상부 덮개에 용착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내측 시일재를 접착시킨 캡 상부 덮개를 구비하는 캡을, 용기에 설치된 통형상 입구부에 완전히 나사 부착시킨 상태로 고주파나 초음파 등을 작용시킴으로써 내측 시일재와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면을 용착할 수 있다.
혹, 용기에 설치된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 개구부에 내측 시일재를 세트한 상태로 캡을 닫고, 고주파나 초음파 등에 의해 내측 시일재를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면 및 캡 상부 덮개의 양쪽과 동시에 용착할 수도 있다.
캡을 구성하는 캡 본체와 캡 상부 덮개는 캡 상부 덮개를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캡 본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서로 독립된 부재이며, 캡 본체를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에 따라서 회전시켜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상기 캡 본체가 상기 캡 상부 덮개와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하여 상기 캡 상부 덮개를 밀어 올림으로써 통형상 입구부가 개방되는 것이면, 각각이 구체적인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캡 본체(12)는 통형상 입구부(1)의 측면(1a)을 덮는 통형상을 갖고, 통형상 입구부(1)와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부(20)와, 상기 캡 본체(12)를 통형상 입구부(1)의 측면(1a)에 따라서 회전시켜 상기 통형상 입구부(1)의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캡 상부 덮개(13)와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하고, 캡 상부 덮개(13)를 밀어 올리는 것이 가능한 결합면(12c)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한편, 캡 상부 덮개(13)는 통형상 입구부(1)의 상단 개구부(1c)를 덮어 통형상 입구부(1)를 폐쇄할 수 있고, 또한 캡 본체(12)를 통형상 입구부(1)의 측면(1a)에 따라서 회전시켜 상기 통형상 입구부(1)의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캡 본체(12)와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하고, 상기 캡 상부 덮개(13)가 밀어 올려지는 결합면(13c)을 갖고 있으면 좋다.
캡(5)이 구체적인 구조로서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구조 외에, 예를 들어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형상 입구부(1)의 외경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을 갖는 캡 상부 덮개(13)와, 내면에 나사부(20)를 구비하는 원통 형상을 갖는 캡 본체(12)로 이루어지는 캡(5)을 들 수 있다. 도4, 도5에 있어서의 캡(5)은 캡 상부 덮개(13)의 원판 형상의 중앙부에 있어서 통형상 입구부(1)의 상단 개구부(1c)를 덮고, 상기 캡 상부 덮개(13)의 원판 형상의 주연부에 있어서, 캡 본체(12)의 상단부면(12a)(결합면(12c))과 캡 상부 덮개(13)가 결합하고, 캡 상부 덮개(13)가 밀어 올려지게 되어 있다.
또한, 도8과 같이 내면에 나사부(20)를 구비하는 원통 형상을 갖는 캡 본체(12)와, 스커트부(13b)를 갖는 캡 상부 덮개(13)로 이루어지는 캡(5)도 이용할 수 있다. 도8의 캡 상부 덮개(13)는 통형상 입구부(1)를 덮고, 또한 캡 본체(12)의 상단부면(12a)과 결합하는 원판부(13a)와, 캡 본체(1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상기 원판부(13a)의 주연부로부터 연장하는 스커트부(13b)를 갖는다. 캡 본체(12)와 캡 상부 덮개(13)는 스커트부(13b)에 있어서 둘러싸인 원판부(13a)에 있어서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도8에 있어서, 캡(5)은 캡 상부 덮개(13)의 스커트부(13b)에서 캡 본체(12)의 상단부면(12a)이 덮어져 있기 때문에, 도4의 캡에 비교하여 캡(5)과 통형상 입구부(1)와의 간극에 먼지 등이 침입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도1 및 도2, 도6 및 도7과 같이 캡 본체(12)의 내면 또는 외면에, 캡 상부 덮개(13)와의 결합면(12c)이 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서 캡 본체(12)와 캡 상부 덮개(13)가 결합하도록 해도 좋다. 또, 캡 본체(12)의 측면부의 외표면에는 미끄럼 고정이 되는 세로 홈(12b) 등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도13 참조).
캡 상부 덮개(13)와 통형상 입구부(1)와의 접착을 푼 후도, 캡(5)에 의해 통형상 입구부(1)를 다시 폐쇄할 수 있도록, 캡(5)은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 본체(12)와 캡 상부 덮개(13)가 분리되지 않도록 서로 결합하고 있고, 상기 캡 본체(12)를 통형상 입구부(1)에 따라서 회전시켜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하단부 방향(상단부면(1b) 측과는 반대측)으로 이동시킬 때에, 상기 캡 본체(12)가 상기 캡 상부 덮개(13)와 결합하여 상기 캡 상부 덮개(13)가 인하되어 통형상 입구부(1)가 재밀봉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 및 도2에 있어서, 캡 본체(12)와 캡 상부 덮개(13)와는 캡 본체(12)가 통형상 입구부(1)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상기 통형상 입구부(1)의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캡 상부 덮개(13)와 결합하는 결합면(12c, 13c)과 같이, 캡 본체(12)가 통형상 입구부(1)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하단부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캡 상부 덮개(13)와 결합하는 결합면(12d, 13d)을 갖고 있다. 캡 본체(12)와 캡 상부 덮개(13)는, 이 결합면(12c, 13c)과 결합면(12d, 13d)을 형성하는 끼워 맞춤부(17)에 있어서 끼워 맞추어 있고, 캡 상부 덮개(13)를 통형상 입구부(1)로부터 박리한 후에 있어서도, 캡 본체(12)와 캡 상부 덮개(13)가 연결되어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캡 본체(12)를 통형상 입구부(1)의 측면(1a)에 따라서 회전시켜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하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캡 본체(12)와 캡 상부 덮개(13)가 결합면(12d, 13d)에 있어서 결합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캡 본체(12)를 통형상 입구부의 하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캡 상부 덮개(13)가 인하된다. 그 결과, 캡 상부 덮개(13)가 통형상 입구부(1)의 상단부면(1b)과 다시 접촉하고, 통형상 입구부(1)를 재밀봉할 수 있다.
여기서, 캡 본체와 캡 상부 덮개와의 끼워 맞춤은 캡 본체가 캡 상부 덮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정도가 느슨하게 끼워 맞추고, 캡 본체의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에 따른 회전을 방해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이 끼워 맞추는 캡 본체와 캡 상부 덮개의 끼워 맞춤 구조는 특별 히 한정되지 않고, 캡 본체(12)의 내측에 캡 상부 덮개(13)가 끼워 넣어진 구조(도1 및 도2 참조)로도 좋고, 캡 본체(12)의 외측에 캡 상부 덮개(13)가 끼워 넣어진 구조(도6 및 도7 참조)로도 좋다.
재밀봉시 밀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캡(18)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킹(18)은 통형상 입구부(1)에 있어서의 밀봉성을 높이는 구조이면 좋다. 예를 들어,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 상부 덮개(13)의 접촉면(14)에 마련되고, 통형상 입구부(1)의 외주면에 밀착할 수 있게, 통형상 입구부(1)의 외경보다도 약간 작게 또한 내경보다도 약간 큰 내경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갖고, 캡(5)과 통형상 입구부(1)와의 나사 부착에 의해, 상기 패킹(18)의 내주면과 통형상 입구부(1)의 외주면이 밀착하는 것(외측 패킹)을 들 수 있다.
혹은, 도시하지 않지만, 캡 상부 덮개의 접촉면에 마련되고, 통형상 입구부(1)의 내주면에 밀착할 수 있게,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내경보다도 약간 큰 외경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갖고, 캡과 통형상 입구부와의 나사 부착에 의해, 통형상 입구부의 내부로 들어가고, 통형상 입구부의 내주면과 밀착하는 것의(내측 패킹)이라도 좋다.
혹은, 상기 내측 패킹과 외측 패킹을 조합하고, 통형상 입구부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밀착하고, 상기 통형상 입구부를 밀봉하는 패킹(도시하지 않음)도 이용할 수 있다.
캡 상부 덮개로의 내측 시일재의 장착이 용이한 것, 내측 시일재와 패킹과의 구성이 복잡화하지 않은 것 등의 이유로부터, 상기 패킹 중 외측 패킹이 바람직하 다.
한편, 패킹은 내측 시일재의 사용의 유무에 상관없이 마련할 수 있다.
캡(5)은 캡 본체(12)를 통형상 입구부(1)의 측면(1a)에 따라서 회전시키고,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캡 본체(12)와 캡 상부 덮개(13)가 결합하는 결합면(12c, 13c)이,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 본체(12)를 통형상 입구부(1)의 측면(1a)에 따라서 회전시켜 가장 하단부측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완전히 접촉하지 않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캡 본체(12)가 통형상 입구부(1)의 가장 하단부측에 위치하는 상태, 즉 캡 본체(12)가 통형상 입구부(1)와 완전히 나사 부착하고, 이 이상 캡 본체(12)가 통형상 입구부(1)의 측면을 회전할 수 없는 상태에 있어서, 캡 본체(12)의 결합면(12c)과 캡 상부 덮개(13)의 결합면(13c) 사이에 간극을 갖는 경우, 캡 본체(12)를 통형상 입구부(1)의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의 개시시에는, 캡 본체(12)와 캡 상부 덮개(13)가 결합하지 않기 때문, 캡 상부 덮개(13)를 밀어 올리기 위한 힘을 필요로 하지 않고, 캡 본체(12)를 회전하기 시작하기 위한 힘만이 필요해진다(도10의 (a) 참조).
나사산의 두께 등에 의해, 통상 나사 부착한 2개의 부재 사이의 회전에 필요한 힘은, 완전히 나사 부착한 상태로부터 마개 개방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할 때에 가장 커진다. 따라서, 캡 본체의 회전 개시시에, 캡 본체(12)와 캡 상부 덮개(13)가 결합하고, 캡 상부 덮개(13)를 밀어 올리기 위한 힘이 필요한 경우(도6, 도7 참조)에는, 캡 본체(12)를 회전시키기 시작할 때에 비교적 큰 힘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 캡 본체(12)의 회전 개시시에 필요한 힘이 캡 본체(12)와 통형상 입구부(1)와의 나사 결합을 풀기 위한 힘인 경우, 비교적 작은 힘으로 편안하게 캡 본체(12)의 회전을 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캡 본체(12)가 통형상 입구부(1)의 측면(1a)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통형상 입구부(1)의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캡 본체(12)의 결합면(12c)과 캡 상부 덮개(13)의 결합면(13c)이 결합한 시점으로부터, 캡 본체(12)의 회전에 캡 상부 덮개(13)를 밀어 올리기 위한 힘이 필요해진다(도10의 (b) 참조). 이 시점에서는 캡 본체(12)와 통형상 입구부(1)와의 나사 결합을 풀기 위해 캡 본체(12)를 회전시키는 힘은, 캡 본체(12)의 회전 개시시와 비교하여 작아져 있기 때문에, 비교적 작은 힘으로 캡 본체(12)를 회전시켜 캡 상부 덮개(13)를 밀어 올릴 수 있다.
특히, 캡 상부 덮개(13)와 통형상 입구부(1)가 접착하고 있고, 캡 상부 덮개(13)를 밀어 올릴 때에, 상기 캡 상부 덮개(13)를 통형상 입구부(1)로부터 박리하기 위한 힘도 요하는 경우라도, 결합면(12c)과 결합면(13c) 사이에 상기와 같은 간극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작은 힘으로 편안하게 캡을 마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캡 본체(12)를 통형상 입구부(1)의 측면(1a)에 따라서 회전시켜 가장 하단부측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캡 본체(12)의 결합면(12c)과 캡 상부 덮개(13)의 결합면(13c)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는 구조로서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것이지만, 도4 및 도5에 도시한 구조 등이 있다.
이 결합면(12c)과 결합면(13c)과의 간극 부분에, 상기 결합면(12c) 및 상기 결합면(13c)과 접하도록 신축성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끼우고, 회전 개시시에 약한 힘으로 캡 본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면서, 캡과 통형상 입구부 사이에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해도 좋다. 신축성 부재로서는 캡 본체의 통형상 입구부(1)의 상단부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결합면(12c)과 결합면(13c) 사이에서 찌그러뜨리고, 상기 결합면(12c)과 결합면(13c) 사이에 간극이 있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갖고, 또한 캡 본체의 통형상 입구부(1)의 하단부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다시 원래의 형상을 복원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면 좋고, 예를 들어 고무 등의 탄성 부재나 주름 상자 구조를 갖는 링형 부재를 들 수 있다.
또,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 본체(12)를 통형상 입구부(1)의 측면(1a)에 따라서 회전시켜 가장 하단부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 있어서, 결합면(12c)과 결합면(13c)이 결합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경우, 캡의 회전 개시시에 캡의 회전을 개시시키기 위한 힘과 함께, 캡 상부 덮개를 밀어 올리기 위한 힘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도10에 도시한 구조만큼 약한 힘으로 캡 본체를 회전시킬 수 없지만, 종래의 캡과 비교하여 충분히 약한 힘으로 마개 개방할 수 있다.
캡 본체(12)를 통형상 입구부(1)의 측면(1a)에 따라서 회전시켜 가장 하단부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 있어서, 결합면(12c)과 결합면(13c)이 결합하는 구조로서는, 도11에 도시한 것이지만 도6 및 도7에 도시한 구조, 도8에 도시한 구조 등이 있다.
결합면(12c)과 결합면(13c)에 있어서의 캡 본체(12)와 캡 상부 덮개(13)와의 결합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캡 본체(12)의 캡 상부 덮개(13)를 밀어 올 리는 힘이 1 군데에 집중하고, 통형상 입구부(1)로부터 캡 상부 덮개(13)를 보다 박리하기 쉽게 할 수 있으므로, 이하와 같은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캡 본체(12)를 통형상 입구부(1)의 측면(1a)에 따라서 회전시켜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상기 캡 본체(12)와 캡 상부 덮개(13)가 결합하는 위치의 서로 마주보는 결합면(12c, 13c) 중 어느 한 쪽에 볼록부(16)가 1 군데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9 참조).
이와 같이, 결합면(12c, 13c) 중 어느 한 쪽에 볼록부(16)가 1 군데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볼록부(16)가 마련된 위치에 있어서 캡 상부 덮개(13)는 상기 볼록부(16)의 높이만큼 들어 올려지고, 전체로서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이때, 볼록부(16)가 마련된 위치의 캡 상부 덮개(13)와 통형상 입구부(1)와의 접착면에는 캡 상부 덮개(13)를 통형상 입구부(1)로부터 박리되는 힘이 집중하고, 통형상 입구부(1)로부터 캡 상부 덮개(13)가 박리되는 개시점이 된다. 이와 같이 접착면의 일부를 박리시키는 데 필요한 힘은, 접착면 전체면을 한번에 박리시키는 데 필요한 힘과 비교하여 작고, 또한 박리의 개시점이 생긴 접착면은 상기 개시점에 응력이 집중하기 때문에 남은 접착면의 박리가 진행하기 쉽다. 따라서, 캡 상부 덮개(13)와 통형상 입구부(1)와의 박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9와 같이, 볼록부(16)를 캡 본체(12)의 결합면(12c)에 마련하는 경우, 상기 볼록부(16)는 캡 본체(12)의 회전과 같이 주회하면서, 캡 상부 덮개(13)와 접촉하여 상기 캡 상부 덮개(13)를 밀어 올리기 때문에, 캡 상부 덮개(13)를 통형상 입구부(1)로부터 박리하는 힘은 캡 상부 덮개(13)와 통형상 입구부(1)와의 접착면에 서서히 걸린다.
한편, 볼록부(16)를 캡 상부 덮개(13)의 결합면(13c)에 마련하는 경우, 캡 상부 덮개(13)가 통형상 입구부(1)로부터 박리되기까지는, 상기 볼록부(16)는 캡 본체(12)가 회전해도 회전하지 않고, 상기 볼록부(16)가 마련된 위치로 캡 상부 덮개(13)를 집중적으로 들어 올려 간다.
캡 본체 및 통형상 입구부에 마련되는 나사부의 피처에 의해, 캡 본체의 1회전당의 상하 이동 거리가 변하기 때문에, 나사부의 피치를 조절함으로써 캡 상부 덮개를 밀어 올리기 위해 필요한 힘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즉, 나사부의 피치를 작게 하고, 캡 1회전당의 상하 이동 거리를 작게 함으로써, 캡을 작은 힘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캡의 마개 개방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폐지 기구를 구성하는 캡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캡 본체와 캡 상부 덮개를 각각 따로따로 성형하고, 조립(끼워 맞춤)해도 좋다. 혹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캡 본체(12)와 캡 상부 덮개(13)가 파탄 가능한 박육부에서 연결된 성형체를 일체로 성형하고, 상기 캡 상부 덮개(13)를 캡 본체측에 압박함으로써, 박육부를 파탄하는 동시에 캡 상부 덮개(13)와 캡 본체(12)를 끼워 맞추어도 좋다.
캡 본체와 캡 상부 덮개를 이종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경우에는, 캡 본체와 캡 상부 덮개를 따로따로 성형하는 방법을 채용하면 좋고, 캡 본체와 캡 상부 덮개를 동일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캡 본체와 캡 상부 덮개와의 조립 작업이 용이해지므로 일체로 성형하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 본체를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캡의 마개 개방시에 캡 본체에 가해지는 힘으로, 크게 변형하지 않는 강성을 갖는 재료이면 좋고,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DPE 등의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캡 상부 덮개를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통형상 입구부의 폐지 상태를 보유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 재료이면 좋고,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시일재를 통해, 캡 상부 덮개와 통형상 입구부를 접착시키는 경우에는, 내측 시일재와의 용착이 가능한 재료, 혹은 캡 상부 덮개와 통형상 입구부(1)를 직접 접착시키는 경우에는, 통형상 입구부와 용착시키는 것이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HDPE 등),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레토르트 살균하는 용기(레토르트 파우치)의 캡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캡 본체 및 캡 상부 덮개와 함께 내열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
본 발명의 폐지 기구를 구비한 용기를 레토르트 처리하면, 캡 본체와 캡 상부 덮개와의 결합 부분(17) 또는 그 근방에 존재하는 공간, 예를 들어 도2에 있어서의 캡 본체측 결합면(12c)과 캡 상부 덮개측 결합면(13c)과 캡 상부 덮개측 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물이 저장되는 쌓이는 경우가 있으므로, 위생상의 문제가 있다. 특히, 도1 및 도2에 나타낸 형태는 캡 본체를 용기 본체의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에 따라서 회전시켜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캡 본체와 캡 상부 덮개 가 결합하는 결합면이, 상기 캡 본체를 용기 본체의 통형상 입구부의 특면에 따라서 회전시켜 최하단부로 이동시켰을 때에, 완전히 접촉하지 않으므로, 약한 힘으로 개봉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상술한 바입니다만, 이러한 형태의 폐지 기구를 구비한 용기를 레토르트 처리하면, 상기 공간이 비교적 크므로 물이 쉽게 저장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폐지 기구는 캡 본체를 용기 본체의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에 따라서 회전시켜 최하단부로 이동시킨 상태에 있어서도 캡 본체와 캡 상부 덮개와의 결합 부분 또는 그 근방에 존재하는 공간(S)에 인입한 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하와 같은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지 기구는 캡 본체(12)의 내측에 캡 상부 덮개(13)가 끼워 넣어진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캡 본체를 용기 본체의 통형상 입구부으 l측면에 따라서 회전시켜 최하단부로 이동시킨 상태에 있어서 캡 본체의 결합면(12d)과 결합하는 캡 상부 덮개의 결합면(13d)에 캡 상부 덮개의 주연측에 낮아지는 경사면(21a)을 갖는 절결부(2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8은, 도17의 예에 이용된 캡 상부 덮개의 결합면(13d)의 높이에 있어서의 수평 판단면도(AA 단면도)이다. 본 예에서는, 캡 상부 덮개의 결합면(13d)에 2개의 절결부(21)가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절결부(21)는 폐지 상태에 있어서, 캡 상부 덮개의 결합면(13d)으로부터 캡 상부 덮개의 결합면(13d)보다도 하측의 측면(21c)에 통하는 관통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폐지 상태에 있어서, 결합면 상에 절결부의 오목함이 개구되어 있는 상태, 즉 캡 상부 덮개의 결합면(13d) 상에 있는 절결부의 영역이 캡 본체의 결합면(12d)으로부터 비어 있는 상태가 된다. 도17에는 그러한 절결부의 오목함의 개구 부분(21b)이 도시되어 있다.
절결부의 경사면(21a)은 전형적으로는 도시한 바와 같은 평탄한 테이퍼면이지만, 중력의 작용으로 상부 덮개의 주연을 향해 물이 흘러 떨어지는 경사면이면 좋다. 예를 들어, 평탄한 한 쌍의 경사면에서 좁혀지고, 또한 캡 상부 덮개의 주연측에 낮게 떨어져 가는 골이 좁은 형상의 경사면이라도 좋다.
캡 상부 덮개의 주연 방향으로의 경사 각도(θ)는, 바람직하게는 30도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45도 이상으로 한다. 또한, 통상은 상기 경사 각도를 70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60도 이하로 한다.
도19는 절결부의 배치에 관한 별도의 예이고, 캡 상부 덮개의 결합면(13d) 상에 4개의 절결부(21)가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절결부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2 ~ 6개의 절결부를 캡 상부 덮개의 결합면에 균등 배치한다.
<실시예>
[내용물 취출 장치의 제작]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캡과 스트로부를 기본 구조로 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내용물 취출 장치를 제작하였다. 단, 스트로부의 통형상 입구부와 캡은 도15(실시예), 도16(비교예)에 나타내는 구조를 갖고 있다.
(실시예)
우선, 캡 본체(PP제)와 캡 상부 덮개(PP제)를 별개로 제작하고, 캡 상부 덮 개에 내측 시일재(캡측으로부터 차례로 : 용이 박리성 필름#30//Al#12//ONY#15//용이 박리성 필름#30)를 열용착시킨 후, 캡 본체에 캡 상부 덮개를 끼워 넣어 실시예의 캡(외경 16 ㎜)을 제작하였다. 또, 캡 본체와 캡 상부 덮개와의 결합면의 간극은 5 ㎜(최대로)로 하였다(도15 참조).
다음에, 통형상 입구부(PP제, 내경 8.5 ㎜, 외경 10.7 ㎜)에 상기 캡을 체결 및 내측 시일재와 통형상 입구부를 고주파 용착시켜,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캡과 스트로부로 이루어지는 내용물 취출 장치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우선, 통형상 입구부(PP제, 내경 8.5 ㎜, 외경 10.7 ㎜)의 상단부면에 내측 시일재(캡측으로부터 차례로 : 용이 박리성 필름#30//Al#12//ONY#15//용이 박리성 필름#30)를 적재한 상태로, 캡(PP제, 외경 16 ㎜)을 통형상 입구부에 체결하고, 내측 시일재를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면과 캡으로 끼웠다.
다음에, 고주파에 의해 내측 시일재를 캡과 통형상 입구부의 양쪽에 용착시키고,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캡과 스트로부로 이루어지는 내용물 취출 장치를 제작하였다.
[마개 개방 토크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의 내용물 취출 장치의 최대 마개 개방 토크를, 디지털 마개 개방 토크계(일본 전산 심포지움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캡의 회전에 의해 내측 시일재와 통형상 입구부와의 접착면에 전단력을 생기게 하고, 내측 시일재를 통형상 입구부로부터 박리시키는 비교예의 내용물 취출 장 치의 마개 개방 토크는 98 Nㆍ㎝였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폐지 기구를 적용한 실시예의 내용물 취출 장치의 마개 개방 토크는, 47 Nㆍ㎝였다. 이 결과보다, 본 발명을 적응한 실시예는 비교예의 마개 개방 토크의 절반 이하의 힘으로 캡의 마개 개방이 가능한 것을 알았다. 즉, 실시예의 내용물 취출 장치는 내용물의 보존성과 용기의 역개봉성이 우수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는, 캡과 통형상 입구부 나사 결합을 풀 때,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 방향으로의 캡 본체의 이동을 통형상 입구부로부터 캡 상부 덮개를 분리하여 캡과 입구부와의 접착을 풀기 위한 힘에 이용하여 캡을 개봉하는 것이고, 캡 상부 덮개와 통형상 입구부와의 접착면에 거의 기단력이 생기지 않는다. 그로 인해, 캡을 회전시킬 때에 통형상 입구부와 캡과의 계면에 생기는 전단력에 의해 캡과 입구부와의 접착을 풀고, 캡을 개봉하는 종래의 기구와 비교하여 작은 힘으로 편안하게 용기를 개봉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7)

  1. 용기 본체에 마련된 통형상 입구부와, 상기 통형상 입구부를 폐지하는 캡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이며, 상기 캡은,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을 덮는 통형상을 갖는 동시에, 상기 통형상의 내면에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외면에 마련된 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를 갖고,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상하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캡 본체와,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 개구부를 덮고, 통형상 입구부를 폐쇄하는 캡 상부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 본체와 상기 캡 상부 덮개는 상기 캡 상부 덮개를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캡 본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서로 독립된 부재이며, 상기 캡 본체를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에 따라서 회전시켜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상기 캡 본체가 상기 캡 상부 덮개와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 맞추고 상기 캡 상부 덮개를 밀어 올림으로써 통형상 입구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와 상기 캡 상부 덮개가 분리되지 않도록 서로 끼워 맞추어 있고, 상기 캡 본체를 상기 통형상 입구부에 따라서 회전시켜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하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상기 캡 본체가 상기 캡 상부 덮개 와 결합하여 상기 캡 상부 덮개가 인하되어 통형상 입구부가 재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면과, 상기 캡 상부 덮개가 접착되어 있는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상부 덮개가,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면과의 접촉면에 내측 시일재를 갖고 있는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를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에 따라서 회전시켜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캡 본체와 상기 캡 상부 덮개가 결합하는 결합면이, 상기 캡 본체를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에 따라서 회전시켜 가장 하단부측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완전히 접촉하지 않는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를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에 따라서 회전시켜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상기 캡 본체와 상기 캡 상부 덮개가 결합하는 위치의 서로 마주보는 결합면의 어느 쪽인지에 볼록부가 1 군데 설치되어 있는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
  7. 용기 본체에 마련된 통형상 개구부를 폐지하는 캡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상기 캡이,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을 덮는 통형상을 갖는 동시에, 상기 통형상의 내면에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외면에 마련된 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를 갖고,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상하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캡 본체와,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상단 개구부를 덮고, 통형상 입구부를 폐쇄하는 캡 상부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 본체와 상기 캡 상부 덮개는 상기 캡 상부 덮개를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캡 본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서로 독립된 부재이고, 상기 캡 본체를 상기 통형상 입구부의 측면에 따라서 회전시켜 상기 통형상 입구부 상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상기 캡 본체가 상기 캡 상부 덮개와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하여 상기 캡 상부 덮개를 밀어 올림으로써 통형상 입구부가 개방되는 것이고,
    상기 캡 본체와 상기 캡 상부 덮개가 분리되지 않도록 서로 끼워 맞추어 있고, 상기 캡 본체를 상기 통형상 입구부에 따라서 회전시켜 상기 통형상 입구부 하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상기 캡 본체가 상기 캡 상부 덮개와 결합하여 상기 캡 상부 덮개가 인하되어 통형상 입구부가 재밀봉되는 것이며,
    상기 캡을 제조하는 방법이,
    상기 캡 본체와 상기 캡 상부 덮개가 파단 가능한 박육부로 연결된 성형체를 일체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캡 상부 덮개를 상기 캡 본체측에 압박함으로써, 상기 박육부를 파탄하는 동시에 상기 캡 상부 덮개와 상기 캡 본체를 끼워 맞추는 공정을 포함하는 캡의 제조 방법.
KR1020060048408A 2005-05-31 2006-05-30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 KR1011837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60265A JP4883940B2 (ja) 2005-05-31 2005-05-31 容器口部の閉止機構
JPJP-P-2005-00160265 2005-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504A KR20060125504A (ko) 2006-12-06
KR101183789B1 true KR101183789B1 (ko) 2012-09-17

Family

ID=36969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408A KR101183789B1 (ko) 2005-05-31 2006-05-30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57410B2 (ko)
EP (1) EP1728727B1 (ko)
JP (1) JP4883940B2 (ko)
KR (1) KR101183789B1 (ko)
CN (1) CN1872632B (ko)
AT (1) ATE461123T1 (ko)
DE (1) DE602006012899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4789A1 (ko) * 2022-05-03 2023-11-09 안진희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53952A1 (en) * 2006-12-20 2008-06-26 Owens-Illinois Closure Inc. Closure liner for high-temperature applications
JP5090726B2 (ja) * 2006-12-22 2012-12-05 株式会社細川洋行 容器口部の閉止機構
WO2009020352A1 (en) * 2007-08-07 2009-02-12 Jctech Corporation Bottle cap
US8342344B2 (en) * 2008-01-11 2013-01-01 Amcor Rigid Plastics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ositive pressure in the headspace of a plastic container
JP5144454B2 (ja) * 2008-09-30 2013-02-13 テルモ株式会社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GB0909189D0 (en) * 2009-05-29 2009-07-15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Closure assembly
US20110250106A1 (en) * 2010-04-07 2011-10-13 Lafond Andre Biopsy Dish and Closure Element Therefor
DE102010016866B4 (de) * 2010-05-10 2018-06-21 Helvoet Pharma Belgium N.V. Verschluss für ein Behältnis und Verfahren zur Durchführung eines Gefrier-Trocknungsverfahrens
US9469445B2 (en) 2011-02-07 2016-10-18 Berry Plastics Corporation Package with lid sealing system
US8998030B2 (en) * 2011-02-07 2015-04-07 Berry Plastics Corporation Package with lid sealing system
US9032698B2 (en) 2011-07-07 2015-05-19 Berry Plastics Corporation Package with lid sealing system
WO2013006858A1 (en) 2011-07-07 2013-01-10 Berry Plastics Corporation Canister
US10472134B1 (en) * 2013-01-07 2019-11-12 Celebrate Everywhere, LLC Container cap securing and venting
MX2015015310A (es) * 2013-05-03 2016-08-23 Berry Plastics Corp Cierre de contenedor.
US9630762B2 (en) 2014-01-22 2017-04-25 Berry Plastics Corporation Package with peelable closure
WO2016014825A1 (en) 2014-07-23 2016-01-28 Berry Plastics Corporation Package with peelable closure
DE102014016192A1 (de) * 2014-10-31 2016-05-04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Behälter
CN109125777B (zh) * 2017-12-04 2021-05-14 许浩湛 香薰头固定组件和香薰装置
KR102005276B1 (ko) * 2018-02-07 2019-07-30 유종근 폐용액 수집용기의 밀폐용 인서트 부재
TWI674998B (zh) 2018-08-29 2019-10-21 黃偉倫 採用真空原理的環保汲取裝置
JP2021037983A (ja) * 2019-09-02 2021-03-11 凸版印刷株式会社 注出口栓
US11059633B2 (en) 2019-10-31 2021-07-13 Cheer Pack North America Flip-top closure for container
KR102479970B1 (ko) * 2020-09-10 2022-12-21 제이씨텍(주) 용기 및 보조 내용물 수용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9568A (en) * 1967-12-28 1970-03-10 Jose Vinas Riera Stopper system for biological containers
US3595419A (en) * 1969-09-03 1971-07-27 Joseph Dukess Closure and seal
JPS4926614A (ko) 1972-07-05 1974-03-09
DE7436696U (de) 1974-11-02 1975-04-17 Vedder & Co Gmbh Schraubverschluss fuer Glaeser Dosen oder aehnliche Gefaesse
US4111325A (en) * 1977-03-14 1978-09-05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Sealed closure for plastic container with interlocking protective outer closure
US4176755A (en) * 1979-01-26 1979-12-04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Resealable pour bottle with severing ring
US4402417A (en) * 1981-12-28 1983-09-06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Bottle opening ring having shock absorbing means
US4747499A (en) 1983-02-14 1988-05-31 Sunbeam Plastics Corporation Tamper indicating closure with adhesive-attached gasket
US4478342A (en) * 1983-07-14 1984-10-23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Sterilizable container with inner closure and collapse-resistant cover
US4747500A (en) * 1985-01-22 1988-05-31 Sunbeam Plastics Corporation Tamper indicating transparent closure
US4673096A (en) * 1985-12-23 1987-06-16 Tbl Development Corporation Closure and rotatable liner
US4721215A (en) * 1986-01-08 1988-01-26 Abbott Laboratories Expandable ring closure device
JPS6423434A (en) * 1987-07-20 1989-01-26 Canon Kk Optical card medium
IT1211905B (it) 1987-11-10 1989-11-08 Italcaps Spa Perfezionamento nelle capsule composite di chiusura con evidenziazione della manomissione
JPH0369658U (ko) * 1989-11-07 1991-07-11
JPH0811873A (ja) * 1994-07-06 1996-01-16 Tenryu Kagaku Kogyo Kk 容器の注出口装置
FR2747646B1 (fr) 1996-04-22 1998-05-22 Cebal Procede de fabrication d'une tete de recipient avec opercule detachable et reutilisable comme bouchon
GB9806911D0 (en) 1998-03-31 1998-05-27 Dudzik Henryk Moulding method and container cap
JP3069658U (ja) 1999-12-15 2000-06-23 株式会社木村理化学製作所 高気密保存容器
SE0001147L (sv) 2000-03-31 2001-10-01 Modulpac Ab Sätt att tillverka en förslutningsanordning och enligt sättet tillverkade förslutningsanordningar
JP2001278323A (ja) * 2000-04-04 2001-10-10 Takeuchi Press Ind Co Ltd チューブ容器
US6591998B2 (en) * 2000-12-21 2003-07-15 Sulzer Carbomedics Inc. Leakproof container for implantable prosthetic device
GB0210593D0 (en) 2002-05-09 2002-06-19 Ici Plc A large can for a brushable coating composition which is sealingly closeable by a screw-thread lid
JP4515019B2 (ja) 2002-08-27 2010-07-28 東洋製罐株式会社 容器口部のシール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4789A1 (ko) * 2022-05-03 2023-11-09 안진희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78603A1 (en) 2006-12-14
EP1728727A3 (en) 2007-02-07
US8757410B2 (en) 2014-06-24
EP1728727A2 (en) 2006-12-06
DE602006012899D1 (de) 2010-04-29
CN1872632B (zh) 2011-11-09
ATE461123T1 (de) 2010-04-15
JP2006335396A (ja) 2006-12-14
JP4883940B2 (ja) 2012-02-22
CN1872632A (zh) 2006-12-06
EP1728727B1 (en) 2010-03-17
KR20060125504A (ko)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789B1 (ko) 용기 입구부의 폐지 기구
EP3854720A1 (en) Tube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7123054B2 (ja) スパウトキャップ、スパウトおよびスパウト付き容器
JP4210825B2 (ja) ヒートシール蓋付きキャップ
JP2007204092A (ja) 容器口部の閉止機構
JP4449964B2 (ja) 分岐した小室を設けた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JP5090726B2 (ja) 容器口部の閉止機構
JP4424204B2 (ja) スパウト、該スパウトを設けてなるパウチ及び該スパウトの製造方法
JP4121776B2 (ja) バッグインコンテナー用注出口
JP4549489B2 (ja) 注出口組合体
US11897669B2 (en) Spout cap, spout, and container with spout
JP4044631B2 (ja) 注出口組合体
JP6076072B2 (ja) スパウト装置および容器
JP7259240B2 (ja) 樹脂製密閉容器
JP5073453B2 (ja) 嵌合構造、チャック、再封包装体及び再封包装袋
JPH0761453A (ja) 包装袋
JP4635673B2 (ja) 軟包装袋用スパウトと該スパウトを取り付けた流動食用軟包装袋
JP4079123B2 (ja) 分岐した小室を設けたパウチ
JP3616670B2 (ja) 注出キャップ
JP4622012B2 (ja) パウチ用スパウトのシール構造
JP4923177B2 (ja) 容器口部の閉止機構
JP4154566B2 (ja) ヒートシール蓋付きキャップとそのキャップ本体へのヒートシール蓋装着方法
JPH0267125A (ja) 密封容器の製造方法
JPH1095441A (ja) プラスチック製袋体
JP2534255Y2 (ja) 容器の注出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