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250B1 - 내충격성 향상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성형품 및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내충격성 향상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성형품 및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250B1
KR101182250B1 KR1020097005000A KR20097005000A KR101182250B1 KR 101182250 B1 KR101182250 B1 KR 101182250B1 KR 1020097005000 A KR1020097005000 A KR 1020097005000A KR 20097005000 A KR20097005000 A KR 20097005000A KR 101182250 B1 KR101182250 B1 KR 101182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polymer
content rate
styrene
graft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5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9272A (ko
Inventor
오사무 오쿠나카
히로유키 니시이
다카시 쇼지
게이지 나카무라
김태욱
이병춘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69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2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08F279/06Vinyl aromatic monomers and methacrylates as the only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03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aromatic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2/00
    • C08F25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aromatic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2/00 on to polymers of styrene or alkyl-substituted styr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8F251/00 - C08F289/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부타디엔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와 스티렌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를 함유하는 중합체 혼합물의 존재 하에, 비닐 단량체 성분을 중합해서 얻어지는 그래프트 공중합체로서, 상기 중합체 혼합물 중의 부타디엔 단위의 함유율이 45~65질량%이고, 스티렌 단위의 함유율이 35~55질량%인 그래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내충격성 향상제를 열가소성 수지에 배합하여,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또한 높은 투명성을 유지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그래프트 공중합체, 부타디엔, 스티렌, 내충격성 향상제, 열가소성 수지

Description

내충격성 향상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성형품 및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IMPACT STRENGTH MODIFIER,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GRAFT COPOLYMER}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특히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높은 투명성을 유지하는 내충격성 향상제, 그것을 배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6년 8월 2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06-231776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본 명세서에 원용한다.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는, 실온에서의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이기 때문에, 투명성이 필요한 광 미디어용 재료, OA 기기, 자동차용 재료, 잡화 등의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는 굴절률이 높고, 범용의 내충격성 향상제를 배합한 경우에는, 수지와 내충격성 향상제와의 굴절률차가 커지기 때문에, 성형품의 투명성이 손상된다는 것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서 제기되고 있다.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부타디엔계 고무에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을 중합시킨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내충 격성 향상제로서 배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개소 62-240352호). 그러나, 이 방법으로 얻어지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의 경우에는,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은 향상되지만, 성형품의 투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가소성 수지, 특히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높은 투명성을 유지하는 내충격성 향상제, 그것을 배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연구 검토를 거듭한 결과, 부티디엔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Al)와 스티렌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A2)를 함유하는 중합체 혼합물(A)의 존재 하에, 비닐 단량체 성분(b)을 중합해서 얻어지는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내충격성 향상제로서 이용함으로써,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높은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본 발명은, 부타디엔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Al)와 스티렌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A2)를 함유하는 중합체 혼합물(A)의 존재 하에, 비닐 단량체 성분(B)을 중합해서 얻어지는 그래프트 공중합체로서, 중합체 혼합물(A) 중의 부타디엔 단위의 함유율이 45~65질량%이고, 스티렌 단위의 함유율이 35~55질량%인 그래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내충격성 향상제를 제공한다.
상기 내충격성 향상제는, 비닐 단량체 성분(B)(100질량%) 중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bl)의 함유율이 40~80질량%이고,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2)의 함유율이 20~6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충격성 향상제는, 그래프트 공중합체(100질량%) 중의, 중합체 혼합물(A)의 함유율이 60~85질량%이고, 비닐 단량체 성분(B)을 중합해서 얻어지는 그래프트 부(部)의 함유율이 15~4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90~99질량%와, 상기 내충격성 향상제 1~10질량%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성형해서 얻어지는 성형품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부타디엔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Al) 라텍스와, 스티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성분을 혼합하고, 이어서, 스티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성분의 중합을 개시함으로써, 부타디엔 단위의 함유율이 45~65질량%이고, 스티렌 단위의 함유율이 35~55질량%인 중합체 혼합물(A)을 제조하고, 중합체 혼합물(A)의 존재 하에 비닐 단량체 성분(B)을 중합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스티렌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A2) 라텍스의 존재 하에서, 부타디엔을 주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함으로써, 부타디엔 단위의 함유율이 45~65질량%이고, 스티렌 단위의 함유율이 35~55질량%인 중합체 혼합물(A)을 제조하고, 중합체 혼합물(A)의 존재 하에 비닐 단량체 성분(B)을 중합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에서는, 비닐 단량체 성분(B)(100질량%) 중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bl)의 함유율이 40~80질량%이고,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함유율이 20~6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에서는, 그래프트 공중합체(100질량%) 중의, 중합체 혼합물(A)의 함유율이 60~85질량%이고, 비닐 단량체 성분(B)을 중합해서 얻어지는 그래프트 부의 함유율이 15~4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내충격성 향상제에 의하면, 열가소성 수지, 특히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높은 투명성을 유지하는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은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하고,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중합체 혼합물(A)은, 부타디엔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A1)와 스티렌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A2)를 함유하는 것이다.
부타디엔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A1)는, 1,3-부타디엔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1,3-부타디엔과, 필요에 따라 기타의 다른 비닐 단량체, 및 가교성 단량체를 중합해서 얻어진다.
상기 다른 비닐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 비닐 단량체; 메틸 비닐에테르, 부틸 비닐에테르 등의 알킬 비닐에테르 단량체; 염화 비닐, 브롬화 비닐 등의 할로겐화 비닐 단량체; 염화 비닐리덴, 브롬화 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 비닐리덴 단량체;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 글리시딜에테르 등의 글리시딜기 함유 비닐 단량체를 들 수 있다.
상기 다른 비닐 단량체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가교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디비닐벤젠, 디비닐톨루엔 등의 방향족 다관능 비닐 단량체;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의 디- 또는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디알릴프탈레이트, 트리알릴트리아진 등의 디- 또는 트리알릴 단량체를 들 수 있다.
상기 가교성 단량체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중합체(Al)의 중합에 사용하는 단량체(100질량%) 중의 1,3-부타디엔의 양은, 얻어지는 성형품의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6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8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른 비닐 단량체의 양은 0~30질량%가 바람직하고, 가교성 단량체의 양은 0 ~10질량%가 바람직하다.
스티렌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A2)는, 스티렌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스티렌과, 필요에 따라 기타의 다른 비닐 단량체, 및 가교성 단량체를 중합해서 얻어진다.
기타의 다른 비닐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α-메틸 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 비닐 단량체; 메틸 비닐에테르, 부틸 비닐에테르 등의 알킬 비닐에테르 단량체; 염화 비닐, 브롬화 비닐 등의 할로겐화 비닐 단량체, 염화 비닐리덴, 브롬화 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 비닐리덴 단량체;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 글리시딜에테르 등의 글리시딜기 함유 비닐 단량체; 1,3-부타디엔을 들 수 있다.
상기 다른 비닐 단량체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가교성 단량체로서는, 중합체(A1)의 제조에서 사용한 가교성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중합체(A2)의 중합에 사용하는 단량체(100질량%) 중의 스티렌의 양은, 얻어지는 성형품의 투명성을 유지하는 점에서 8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90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른 비닐 단량체의 양은 0~20질량%가 바람직하고, 가교성 단량체의 양은 0~10질량%가 바람직하다.
중합체 혼합물(A)은, 중합체(Al)와 중합체(A2)의 단순한 혼합물일 수도 있고, 중합체(Al)와 중합체(A2)가 복합화된 중합체 복합물일 수도 있다. 중합체(Al) 중에 중합체(A2)의 도메인이 형성된 구조로 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체(Al) 중에 중합체(A2)의 도메인이 형성된 구조로 됨으로써,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을 보유한 상태로 중합체 혼합물(A)의 스티렌 함유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고, 중합체 혼합물(A) 전체의 굴절률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내충격성 향상제로서 이용함으로써,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굴절률이 높은 매트릭스 수지에 대해서도,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높은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다.
중합체 혼합물(A)(100질량%) 중의 부타디엔 단위의 함유율은 45~65질량%이고, 55~65질량%가 바람직하다. 중합체 혼합물(A)(100질량%) 중의 스티렌 단위의 함유율은 35~55질량%이고, 35~45질량%가 바람직하다.
중합체 혼합물(A)(100질량%) 중의 부타디엔 단위의 함유율이 45질량% 이상이면 내충격성의 향상 효과가 충분해지고, 65질량% 이하이면 성형품의 투명성이 유지된다. 중합체 혼합물(A)(100질량%) 중의 스티렌 단위의 함유율이 35질량% 이상이면 성형품의 투명성이 유지되고, 55질량% 이하이면 내충격성의 향상 효과가 충분해진다.
중합체 혼합물(A)(100질량%) 중의, 중합체(A1) 및 중합체(A2)의 함유율은, 이하의 (X)~ (Z)로 나타내는 수치를 이용해서 산출된다.
(X): 중합체(Al)의 중합에 사용하는 단량체(100질량%) 중의 1,3-부타디엔 및 스티렌의 함유율.
(Y): 중합체(A2)의 중합에 사용하는 단량체(100질량%) 중의 스티렌 및 1,3-부타디엔의 함유율.
(Z): 중합체 혼합물(A)(100질량%) 중의 부타디엔 단위의 함유율(45~65질량%) 및 스티렌 단위의 함유율(35~55질량%).
중합체 혼합물(A)의 제조 방법으로는 유화 중합이 적합하고, 예를 들면 하기 (1) 또는 (2)의 방법을 들 수 있다.
(1): 부타디엔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Al) 라텍스와, 스티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성분을 혼합하고, 스티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체(A1)에 함침시키고, 이어서, 스티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성분의 중합을 개시한다.
(2): 스티렌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A2) 라텍스의 존재 하에서, 부타디엔을 주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한다.
중합체 혼합물(A)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스티렌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A2)의 도메인 사이즈가 부타디엔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A1)의 입경보다 작아져서, 가시광의 파장에 비해서 충분히 작은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1)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중합체 혼합물(A)의 존재 하에, 비닐 단량체 성분(B)을 중합해서 얻어진다. 중합체 혼합물(A)의 존재 하에서 비닐 단량체 성분(B)을 중합하는 것은, 중합체 혼합물(A)에 대하여 비닐 단량체 성분(B)을 그래프트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만, 비닐 단량체 성분(B)이 중합체 혼합물(A)에 그래프트되지 않고, 단독으로 중합한 프리폴리머도 부산물로 생성되어, 그래프트 공중합체와 프리폴리머의 혼합물로서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 부산물로 생성된 프리폴리머도 포함하여 그래프트 공중합체라고 한다. 또, 비닐 단량체 성분(B)을 중합해서 얻어진 중합체에 대해서는, 프리폴리머도 포함하여 그래프트 부라고 한다.
본 발명의 비닐 단량체 성분(B)은, 1종 이상의 비닐 단량체를 함유하는 것이다. 비닐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비닐 톨루엔 등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 비닐 단량체를 들 수 있다.
또, 비닐 단량체 성분(B)은, 필요에 따라서 가교성 단량체를 함유할 수 있다. 가교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디비닐벤젠 등의 방향족 다관능 비닐 단량체;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의 디- 또는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다관능(메타)아크릴기 변성 실리콘 단량체;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디알릴프탈레이트,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등의 디- 또는 트리알릴 단량체를 들 수 있다.
가교성 단량체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비닐 단량체 성분(B)은, 방향족 비닐 단량체(bl)와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2)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비닐 단량체 성분(B)(100질량%) 중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bl)의 함유율이 40~80질량%이고,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2)의 함유율이 20~6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닐 단량체 성분(B)(100질량%) 중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bl)의 함유율이 40질량% 이상이면 그래프트 부의 굴절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성형품의 투명성이 유지되고, 80질량% 이하이면 열가소성 수지와의 상용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내충격성의 향상 효과가 충분해질 뿐 아니라, 성형품의 투명성이 유지된다.
비닐 단량체 성분(B)(100질량%) 중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2)의 함유율이 20질량% 이상이면 내충격성의 향상 효과가 충분해질 뿐 아니라, 성형품의 투명성이 유지되고, 60질량% 이하이면 성형품의 투명성이 유지된다.
또, 비닐 단량체 성분(B)은, 비닐 단량체 성분(B)(1O0질량%) 중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bl)의 함유율이 40~80질량%이고,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2)의 함유율이 20~60질량%이고, 기타의 비닐 단량체(b3)의 함유율이 0~20질량%일 수도 있다.
비닐 단량체 성분(B)(100질량%) 중의 기타의 다른 비닐 단량체(b3)의 함유율이 20질량% 이하이면 내충격성의 향상 효과가 충분해질 뿐 아니라, 성형품의 투명성이 유지된다.
그래프트 공중합체(100질량%) 중의 중합체 혼합물(A)의 함유율은, 60~85질량%가 바람직하고, 70~8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래프트 공중합체(100질량%) 중의 비닐 단량체 성분(B)을 중합해서 얻어지는 그래프트 부의 함유율은, 15~40질량%가 바람직하고, 20~3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래프트 공중합체(100질량%) 중의 중합체 혼합물(A)의 함유율이 60질량% 이상이면 내충격성의 향상 효과가 충분해지고, 85질량% 이하이면 그래프트 공중합체로서의 취급성이 저하되지 않을 뿐 아니라, 매트릭스 수지 중에서의 분산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그래프트 공중합체(100질량%) 중의 그래프트 부의 함유율이 15질량% 이상이면 그래프트 공중합체로서의 취급성이 저하되지 않을 뿐 아니라, 매트릭스 수지 중에서의 분산성이 저하되지 않고, 40질량% 이하이면 내충격성의 향상 효과가 충분해진다.
중합체 혼합물(A)의 존재 하에 비닐 단량체 성분(B)을 중합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중합체 혼합물(A) 라텍스의 존재 하에서, 비닐 단량체 성분(B)을 1단계 또는 다단계로 그래프트 중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내충격성의 향상 효과와, 성형품의 투명성 유지의 관점에서, 비닐 단량체 성분(B)을 3단계로 그래프트 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닐 단량체 성분(B)을 3단계로 그래프트 중합할 경우, 이하의 방법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단계: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2), 또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2) 및 기타의 비닐 단량체(b3)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을 사용한다.
2단계: 방향족 비닐 단량체(bl), 또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b1) 및 기타의 비닐 단량체(b3)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을 사용한다.
3단계: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2), 또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2) 및 기타의 비닐 단량체(b3)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을 사용한다.
이러한 중합 방법을 채용하면, 1단계에서의 그래프트 중합에서, 내충격성의 향상 및 열가소성 수지와의 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2단계에서의 그래프트 중합에서, 그래프트 부의 굴절률을 높일 수 있고, 3단계에서의 그래프트 중합에서, 성형품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러한 중합 방법을 채용할 경우, 1단계에서의 그래프트 중합에 사용하는 단량체 또는 단량체 혼합물을 10~50질량%, 2단계에서의 그래프트 중합에 사용하는 단량체 또는 단량체 혼합물을 40~80질량%, 3단계에서의 그래프트 중합에 사용하는 단량체 또는 단량체 혼합물을 5~3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사용하는 단량체의 합계를 100질량%로 함).
1단계에서의 그래프트 중합에 사용하는 단량체 또는 단량체 혼합물이 10질량% 이상이면 내충격성의 향상 효과가 충분해지고, 50질량% 이하이면 성형품의 외관이 저하되지 않는다.
2단계에서의 그래프트 중합에 사용하는 단량체 또는 단량체 혼합물이 40질량% 이상이면 성형품의 투명성이 유지되고, 80질량% 이하이면 내충격성의 향상 효과가 충분해진다.
3단계에서의 그래프트 중합에 사용하는 단량체 또는 단량체 혼합물이 5질량% 이상이면 성형품의 외관이 저하되지 않고, 30질량% 이하이면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매트릭스 수지 중에서의 분산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질량평균 입경은, 0.05㎛ 이상이 바람직하고, 0.08㎛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질량평균 입경은, 0.3㎛ 이하가 바람직하고, 0.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1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질량평균 입경이 0.05㎛ 이상이면 내충격성의 향상 효과가 충분해지고, 또한, 매트릭스 수지 중에서의 분산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질량평균 입경이 0.3㎛ 이하이면 성형품의 투명성이 유지되고, 특히 성형품의 헤이즈가 상승되지 않는다.
얻어진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라텍스는, 황산, 염산 등의 산; 염화칼슘, 아세트산칼슘, 황산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염 등을 용해한 열수(熱水) 중에 투입해서 응결 침전시켜, 분리, 건조함으로써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분말로서 얻을 수 있다.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라텍스를 응결 침전시키는 공정에서는, 탄산 나트륨이나 황산 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염을 병용할 수도 있다. 또, 스프레이 건조법 등의 직접 건조법으로, 라텍스로부터 분말을 직접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내충격성 향상제는, 본 발명의 그래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중합체 혼합물(A)로서, 부타디엔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Al)와 스티렌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A2)를 함유하고 있다.
부타디엔 중합체는, 유리 전이 온도가 실온 이하인 고무 중합체 중에서는 높은 굴절률(1.52)을 나타내고, 굴절률이 높은 내충격성 향상제를 제조하는 데에 유리하다. 스티렌 중합체는, 높은 굴절률(1.59)을 나타내기 때문에, 내충격성 향상제의 굴절률을 높이는 데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내충격성 향상제는, 그래프트 부에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극성기를 가지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매트릭스 수지에 대한 상용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내충격성 향상제로서의 취급성이 우수하다.
또, 부타디엔 중합체와 같은 유리 전이 온도가 낮은 성분과, 스티렌 중합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와 같은 유리 전이 온도가 높은 성분을 병용함으로써, 내충격성의 향상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내충격성 향상제로서의 취급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내충격성 향상제를 배합하는 열가소성 수지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굴절률이 1.54~1.61인 것이 바람직하고,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굴절률: 1.58~1.59)가 특히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의 굴절률이 1.54 미만이면, 본 발명의 내충격성 향상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내충격성의 향상 효과와, 성형품의 투명성 유지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열가소성 수지의 굴절률이 1.61을 넘으면, 본 발명의 내충격성 향상제를 사용해도 성형품의 투명성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는, 2가 페놀로부터 유도되는 공지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이다. 점도 평균 분자량은 10,000~6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00~3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는,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이며, 예를 들면, 2가 페놀과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용액법 또는 용융법으로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것이다. 2가 페놀로서는,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A)가 바람직하 지만, 필요에 따라서 기타의 다른 2가 페놀로 치환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2가 페놀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탄, 2,2-비스(4-하이드록시-3,5-디메틸페닐)프로판, 비스(4-하이드록시-3,5-디메틸페닐)메탄,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술폰을 들 수 있다. 카보네이트 전구체로서는, 예를 들면, 포스겐, 디페닐카보네이트, 2가 페놀의 디할로포르메이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와 내충격성 향상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100질량%) 중의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율은, 90~99질량%이며, 95~98질량%가 바람직하고, 95.5~97.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100질량%) 중의 내충격성 향상제의 함유율은, 1~10질량%이며, 2~5질량%가 바람직하고, 2.5~4.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100질량%) 중의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율이 90질량% 이상이면 성형품의 투명성이 유지되어, 99질량% 이하이면 내충격성의 향상 효과가 충분해진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100질량%) 중의 내충격성 향상제의 함유율이 1질량% 이상이면 내충격성의 향상 효과가 충분해지고, 10질량% 이하이면 성형품의 투명성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난연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난연제로서는, 예를 들면, 술폰산 금속염계 난연제, 술포네이트계 난연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난연제는, 첨가량이 적기 때문에, 성형품의 투명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적다. 더욱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피브릴 형성 능력을 가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배합할 수도 있다. 폴리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블렌 A-3700(미쓰비시레이온(주) 제품)을 들 수 있다. 메타블렌 A-3700은,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의 분산에 우수하기 때문에, 성형품의 투명성의 저하가 적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ABS, 폴리페닐렌에테르 등의 수지; 탈크, 마이카, 유리 섬유, 탄소 섬유, 섬유상 산화티타늄, 티탄산칼륨 휘스커, 붕산알루미늄 휘스커 등의 강화재를 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는 추가로, 필요에 따라서 임의 성분을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임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 포스파이트계 화합물 등의 산화 방지제; 폴리카프로락톤 등의 유동성 개질제; 이형제; 자외선흡수제; 대전방지제; 염료와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조제 방법으로서는, 통상의 수지 조성물의 조제에 이용할 수 있는 공지된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충격성 향상제와 열가소성 수지를, V형 블렌더, 리본 믹서 또는 텀블러 등에 투입해서 균일하게 혼합한 후, 1축 또는 2축 압출기 등에서 용융 혼련한다. 또, 성분의 일부를 미리 혼련한 후, 추가로 나머지 성분을 첨가해서 혼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성형품은,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성형해서 얻어지는 것이다. 성형 방법으로서는, 압출 성형법, 사출 성형법, 압축 성형법 등,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블로우 형성법, 진공 성형법 등에도 적용 할 수 있다.
성형품은 내충격성과 투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OA 기기나 섀시 등의, 투명성이나 발색성이 필요한 용도 등, 폭 넓은 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중의 "부" 및 "%"는, 각각 "질량부" 및 "질량%"를 나타낸다.
(중합률의 측정)
아래와 같이 하여 중합체의 중합률을 측정했다.
중합체 라텍스에 금지제(하이드로퀴논)을 투입하고, 180℃에서 30분간 가열해서 고형분을 측정했다. 투입량으로부터 계산된 값과 비교하여 중합체의 중합률을 구했다.
(질량평균 입경의 측정)
이하의 순서에 따라, 질량평균 입경을 측정했다.
중합체 라텍스를 증류수로 약 3%의 농도로 희석한 것을 시료로 하고, 미국 MATEC사제 CHDF2000형 입도 분포계를 이용해서 측정했다.
측정 조건은, MATEC사가 권장하는 표준 조건에서 행했다. 즉, 전용의 입자분리용 캐필러리식 카트리지 및 캐리어액을 이용하고, 액성은 거의 중성, 유속 1.4ml/분, 압력 약 4000psi(2600KPa), 온도 35℃를 유지한 상태에서, 시료 0.lml를 측정에 사용했다.
표준 물질로서, 미국 DUKE사 제품으로서 입경을 알고 있는 단분산 폴리스티 렌을 0.02~08㎛의 범위 내에서 합계 12점 사용했다.
(실시예 1) 그래프트 공중합체(G-1)
중합체(Al-1) 라텍스의 제조:
교반기, 단량체 첨가구, 온도계를 구비한 70L 오토클레이브에, 하기의 제1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내부 온도를 43℃까지 승온시켰다.
제1 단량체 혼합물:
1,3-부타디엔 194부
스티렌 6부
t-도데실메르캅탄 1.0부
디이소프로필헥센하이드로퍼옥사이드 1.0부
도데실벤젠술폰산 나트륨 2.0부
수산화나트륨 0.02부
탈이온수 585.98부
이어서, 하기의 제1 환원제 혼합물을 첨가하고 중합을 개시했다.
제1 환원제 혼합물:
황산제일철 0.002부
EDTA?2Na 0.006부
롱갈리트(Rongalit) 0.3부
탈이온수 9.692부
또한, 내부 온도를 65℃까지 승온시켜 10시간 유지하고, 중합체(A1-1) 라텍 스를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Al-1)의 중합률은 95%였다.
중합체 혼합물(A-1) 라텍스의 제조:
교반기, 환류 냉각기, 질소 도입관, 단량체 첨가구, 온도계를 구비한 5L 분리가능형 플라스크에, 20℃에서 하기 라텍스 혼합물을 주입했다.
라텍스 혼합물:
중합체(A1-1) 라텍스 720부(고형분:180부)
스티렌 l20부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0.4부
탈이온수 248.4부
20℃의 온도를 유지한 채 1시간 교반한 후, 내부 온도를 55℃까지 승온시키고, 하기 제2 환원제 혼합물을 첨가하고, 스티렌의 중합을 개시했다.
제2 환원제 혼합물:
롱갈리트 0.3부
탈이온수 9.7부
내부 온도를 75℃까지 승온시키고 90분간 유지하여 중합체 혼합물(A-1) 라텍스를 얻었다.
그래프트 공중합체(G-1)의 제조:
중합체 혼합물(A-1) 라텍스의 전량(1098.8부/고형분: 300부)에, 계속해서, 하기의 제2 단량체 혼합물을 75℃에서 15분에 걸쳐 적하해서 중합을 행했다.
제2 단량체 혼합물: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5부
에틸아크릴레이트 5부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0.4부
75℃에서 90분간 유지하고, 1단계에서의 그래프트 중합을 종료했다.
이어서, 하기의 제3 단량체 혼합물을 75℃에서 60분에 걸쳐 적하해서 중합을 행했다.
제3 단량체 혼합물:
스티렌 70부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0.4부
75℃에서 120분간 유지하고, 2단계에서의 그래프트 중합을 종료했다.
이어서, 하기의 제4 단량체 혼합물을 75℃에서 10분에 걸쳐 적하해서 중합을 행했다.
제4 단량체 혼합물: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부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0.4부
75℃에서 90분간 유지해서 3단계에서의 그래프트 중합을 종료하고, 그래프트 공중합체(G-1) 라텍스를 얻었다. 얻어진 그래프트 공중합체(G-1)의 중합률은 99% 이상, 그래프트 공중합체(G-1)의 질량평균 입경은 0.1㎛이었다.
얻어진 그래프트 공중합체(G-1) 라텍스 100부를, 80℃로 온도를 올린 5% 농도의 아세트산칼슘 수용액 200부에 투입해서 응결 침전시켰다. 응결 침전물을 온 수로 세정한 후 건조하여 그래프트 공중합체(G-1)의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2) 그래프트 공중합체(G-2)
중합체 혼합물(A-1) 라텍스의 제조에 사용하는 라텍스 혼합물을 하기의 조성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래프트 공중합체(G-2)를 얻었다.
라텍스 혼합물:
중합체(Al-1) 라텍스 600부(고형분:150부)
스티렌 150부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0.4부
탈이온수 338.4부
(실시예 3) 그래프트 공중합체(G-3)
1단계에서의 그래프트 중합에 사용하는 제2 단량체 혼합물, 및 2단계에서의 그래프트 중합에 사용하는 제3 단량체 혼합물을 하기의 조성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그래프트 공중합체(G-3)를 얻었다.
제2 단량체 혼합물: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5부
에틸아크릴레이트 5부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0.4부
제3 단량체 혼합물:
스티렌 50부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0.4부
(실시예 4) 그래프트 공중합체(G-4)
중합체(A2-4) 라텍스의 제조:
교반기, 환류 냉각기, 질소 도입관, 단량체 첨가구, 온도계를 구비한 5L 분리가능형 플라스크에, 하기의 제1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했다.
제1 단량체 혼합물:
스티렌 180부
디이소프로필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1.8부
도데실벤젠술폰산 나트륨 3부
탈이온수 550.2부
내부 온도를 60℃까지 승온시키고, 하기의 제1 환원제 혼합물을 첨가하고, 중합을 개시했다.
제1 환원제 혼합물:
황산제일철 0.003부
EDTA?2Na 0.009부
롱갈리트 0.6부
탈이온수 14.388부
60℃에서 120분간 유지해서 중합을 종료하고, 중합체(A2-4) 라텍스를 얻었다.
중합체 혼합물(A-4) 라텍스의 제조:
교반기, 단량체 첨가구, 온도계를 구비한 70L 오토클레이브에, 하기의 라텍스 혼합물을 투입하고, 교반 하면서 내부 온도를 43℃까지 승온시켰다.
라텍스 혼합물:
중합체(A2-4) 라텍스 500부(고형분:120부)
부타디엔 180부
t-도데실메르캅탄 1.5부
디이소프로필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1.5부
수산화나트륨 0.03부
탈이온수 400.77부
이어서, 하기의 제2 환원제 혼합물을 첨가하고, 중합을 개시했다.
제2 환원제 혼합물:
황산제일철 0.003부
EDTA?2Na 0.009부
롱갈리트 0.45부
탈이온수 14.538부
내부 온도를 65℃까지 승온시키고 10시간 유지하여 중합체 혼합물(A-4) 라텍스를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 혼합물(A-4)의 중합률은 98%였다.
이하, 중합체 혼합물(A-1) 라텍스를 중합체 혼합물(A-4) 라텍스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래프트 중합을 실시하고, 그래프트 공중합체(G-4)를 얻었다.
(실시예 5) 그래프트 공중합체(G-5)
중합체 혼합물(A-5) 라텍스의 제조:
교반기, 환류 냉각기, 질소 도입관, 단량체 첨가구, 온도계를 구비한 5L 분리가능형 플라스크에, 20℃에서 하기의 라텍스 혼합물을 투입했다.
라텍스 혼합물:
중합체(A1-1) 라텍스 740부(고형분: 185부)
스티렌 115부
t-도데실메르캅탄 0.6부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0.4부
탈이온수 232.8부
20℃의 온도를 유지한 채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내부 온도를 55℃까지 승온시키고, 하기의 환원제 혼합물을 첨가하고, 스티렌의 중합을 개시했다.
환원제 혼합물:
롱갈리트 0.3부
탈이온수 9.7부
내부 온도를 75℃까지 승온시키고 90분간 유지하여 중합체 혼합물(A-5) 라텍스를 얻었다.
그래프트 공중합체(G-5)의 제조:
중합체 혼합물(A-5) 라텍스의 전량(1098.8부/고형분: 300부)에, 계속해서 하기의 제1 단량체 혼합물을 75℃에서 50분에 걸쳐 적하해서 중합을 행했다.
제1 단량체 혼합물: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5부
에틸아크릴레이트 5부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0.4부
75℃에서 90분간 유지하고, 1단계에서의 그래프트 중합을 종료했다.
이어서, 하기의 제2 단량체 혼합물을 75℃에서 60분에 걸쳐 적하해서 중합을 행했다.
제2 단량체 혼합물:
스티렌 50부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0.4부
75℃에서 120분간 유지하고, 2단계에서의 그래프트 중합을 종료했다.
이어서, 하기의 제3 단량체 혼합물을 75℃에서 10분에 걸쳐 적하해서 중합을 실시했다.
제3 단량체 혼합물: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부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0.4부
75℃에서 90분간 유지하여 3단계에서의 그래프트 중합을 종료하고, 그래프트 공중합체(G-5) 라텍스를 얻었다.
이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래프트 공중합체(G-5)를 얻었다.
(실시예 6) 그래프트 공중합체(G-6)
중합체(Al-6) 라텍스의 제조:
교반기, 단량체 첨가구, 온도계를 구비한 70L 오토클레이브에, 하기의 제1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내부 온도를 43℃까지 승온시켰다.
제1 단량체 혼합물:
1,3-부타디엔 150부
스티렌 50부
t-도데실메르캅탄 1.0부
디이소프로필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1.0부
도데실벤젠술폰산 나트륨 2.0부
수산화나트륨 0.02부
탈이온수 585.98부
이어서, 하기의 제1 환원제 혼합물을 첨가하고, 중합을 개시했다.
제1 환원제 혼합물:
황산제일철 0.002부
EDTA?2Na 0.006부
롱갈리트 0.3부
탈이온수 9.692부
추가로 내부 온도를 65℃까지 승온시키고 10시간 유지하여 중합체(Al-6) 라텍스를 얻었다.
중합체 혼합물(A-6) 라텍스의 제조:
교반기, 환류 냉각기, 질소 도입관, 단량체 첨가구, 온도계를 구비한 5L 분리가능형 플라스크에, 20℃에서 하기의 라텍스 혼합물을 투입했다.
라텍스 혼합물:
중합체(A1-6) 라텍스 720부(고형분: 180부)
스티렌 120부
t-도데실메르캅탄 0.6부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0.4부
탈이온수 247.8부
20℃의 온도를 유지한 채 1시간 교반한 후, 내부 온도를 55℃까지 승온시키고, 하기의 제2 환원제 혼합물을 첨가하고, 스티렌의 중합을 개시했다.
제2 환원제 혼합물:
롱갈리트 0.3부
탈이온수 9.7부
내부 온도를 75℃까지 승온시키고 90분간 유지하여 중합체 혼합물(A-6) 라텍스를 얻었다.
이하, 중합체 혼합물(A-5) 라텍스를 중합체 혼합물(A-6)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그래프트 중합을 실시하여 그래프트 공중합체(G-6)를 얻었다.
(비교예 1) 그래프트 공중합체(G-7)
중합체(A-7) 라텍스의 제조:
교반기, 단량체 첨가구, 온도계를 구비한 70L 오토클레이브에 하기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내부 온도를 43℃까지 승온시켰다.
단량체 혼합물:
1,3-부타디엔 180부
스티렌 120부
t-도데실메르캅탄 1.0부
디이소프로필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1.0부
도데실벤젠술폰산 나트륨 2.0부
수산화나트륨 0.02부
탈이온수 784.78부
이어서, 하기의 환원제 혼합물을 첨가하고, 중합을 개시했다.
환원제 혼합물:
황산제일철 0.002부
EDTA?2Na 0.006부
롱갈리트 0.3부
탈이온수 9.692부
추가로 내부 온도를 65℃까지 승온시키고 10시간 동안 유지하여 중합체(A-7) 라텍스를 얻었다.
이하, 중합체 혼합물(A-1) 라텍스를 중합체(A-7) 라텍스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래프트 중합을 실시하여 그래프트 공중합체(G- 7)을 얻었다.
(비교예 2) 그래프트 공중합체(G-8)
중합체 혼합물(A-1) 라텍스의 제조에 사용하는 라텍스 혼합물을 하기의 조성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래프트 공중합체(G-8)를 얻었다.
라텍스 혼합물:
중합체(A1-1) 라텍스 840부 (고형분: 210부)
스티렌 90부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0.4부
탈이온수 158.4부
(비교예 3) 그래프트 공중합체(G-9)
중합체 혼합물(A-l) 라텍스의 제조에 사용하는 라텍스 혼합물을 하기의 조성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그래프트 공중합체(G-9)를 얻었다.
라텍스 혼합물:
중합체(Al-1) 라텍스 480부(고형분: 120부)
스티렌 180부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0.4부
탈이온수 428.4부
그래프트 공중합체(G-1)~(G-9)의 조성, 제조 방법, 굴절률(계산치), 질량평 균 입경에 대해서 정리한 것을 표 1에 나타낸다.
중합체 혼합물(A)의 제조 방법의 란에 기재된 (1)과 (2)는, 중합체 혼합물(A)의 제조 방법으로서 명세서 중에 기재된 (1)과 (2)를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09014498447-pct00001
(실시예 7~17, 비교예 4~7)
열가소성 수지로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유피론 S-200OF: 미쓰비시 엔지니어링플라스틱(주) 제품)을 이용하고, 내충격성 향상제로서 그래프트 공중합체(G-1)~ (G-9)를 이용하고, 표 2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했다.
상기 배합물을 직경 30mm의 2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실린더 온도 280℃에서 용융 혼련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얻었다. 상기 펠릿을 사출 성형함으로써 각종 시험편을 얻었다. 얻어진 시험편에 대해서 이하의 평가를 행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1) 아이조드 시험(내충격성 시험)
ASTM D256에 의거해서 아이조드 시험을 실시했다. 두께 1/4인치의 노치 부착 시험편을 이용해서 시험을 행했다. 측정은 저온(-30℃)과 실온(25℃)에서 실시했다. 모든 시험편이 파단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NB로 나타냈다.
(2) 투명성 (전광선투과율, 헤이즈)
두께 3mm의 평판 시험편을 작성하고, 헤이즈 미터 HR-100(村上色彩技術硏究所(株) 제품)을 이용하고, JIS-K7105에 준해서 전광선(全光線) 투과율과 헤이즈를 측정했다.
[표 2]
Figure 112009014498447-pct00002
실시예 7~17로부터, 본 발명의 내충격성 향상제는,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높은 투명성을 유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4는 부타디엔과 스티렌이 공중합되어 있고, 본 발명의 중합체 혼합물(A)의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의 향상 효과가 낮고, 본 발명의 내충격성 향상제에 비해, 내충격성과 투명성의 밸런스가 떨어진다.
비교예 5는 중합체 혼합물(A) 중의 스티렌 단위의 함유율이 낮기 때문에, 내충격성의 향상 효과는 충분하지만, 성형품의 투명성이 낮다.
비교예 6은 중합체 혼합물(A) 중의 부타디엔 단위의 함유율이 낮기 때문에, 성형품의 투명성은 유지되지만, 내충격성의 향상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
이상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충격성 향상제는, 열가소성 수지, 특히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성형품이 높은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성형품의 투명성이 유지되므로,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에 염료 및/또는 안료를 배합한 경우에는, 발색성이 양호한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충격성 향상제는, 열가소성 수지, 특히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성형품이 높은 투명성을 유지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충격성 향상제를 배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광 미디어용 재료 등의 투명성이 필요한 용도나, 섀시 등의 발색성이 필요한 용도 등, 폭 넓은 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중합체 혼합물(A)의 존재 하에, 비닐 단량체 성분(B)을 중합해서 얻어지는 그래프트 공중합체로서,
    상기 중합체 혼합물(A)은 부타디엔 단위를 60 질량% 이상 포함하는 중합체(Al) 라텍스와 스티렌을 80 질량% 이상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혼합하고, 이어서 스티렌을 80 질량% 이상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의 중합을 개시함으로써 제조되거나; 또는 스티렌 단위를 80 질량% 이상 포함하는 중합체(A2) 라텍스의 존재 하에서 부타디엔을 60 질량% 이상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함으로써 제조되고,
    상기 중합체 혼합물(A) 중의 부타디엔 단위의 함유율이 45~65 질량%이고, 스티렌 단위의 함유율이 35~55 질량%인 그래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내충격성 향상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단량체 성분(B)(100질량%) 중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bl)의 함유율이 40~80질량%이고,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2)의 함유율이 20~60질량%인, 내충격성 향상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체(100질량%) 중의, 상기 중합체 혼합물(A)의 함유율이 60~85질량%이고, 상기 비닐 단량체 성분(B)을 중합해서 얻어지는 그래프트 부(部)의 함유율이 15~40질량%인, 내충격성 향상제.
  4. 열가소성 수지 90~99질량%와,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내충격성 향상제 1~10질량%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4항에 기재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성형해서 얻어지는 성형품.
  7. 부타디엔 단위를 60 질량% 이상 포함하는 중합체(Al) 라텍스와, 스티렌을 80 질량% 이상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혼합하고, 이어서, 스티렌을 80 질량% 이상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의 중합을 개시함으로써, 부타디엔 단위의 함유율이 45~65 질량%이고, 스티렌 단위의 함유율이 35~55 질량%인 중합체 혼합물(A)을 제조하고, 중합체 혼합물(A)의 존재 하에, 비닐 단량체 성분(B)을 중합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8. 스티렌 단위를 80 질량% 이상 포함하는 중합체(A2) 라텍스의 존재 하에서, 부타디엔을 60 질량% 이상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함으로써, 부타디엔 단위의 함유율이 45~65 질량%이고, 스티렌 단위의 함유율이 35~55 질량%인 중합체 혼합물(A)을 제조하고, 중합체 혼합물(A)의 존재 하에 비닐 단량체 성분(B)을 중합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단량체 성분(B)(100질량%) 중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bl)의 함유율이 40~80질량%이고,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b2)의 함유율이 20~60질량%인,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12.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체(100질량%) 중의, 상기 중합체 혼합물(A)의 함유율이 60~85질량%이고, 상기 비닐 단량체 성분(B)을 중합해서 얻어지는 그래프트 부의 함유율이 15~40질량%인,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KR1020097005000A 2006-08-29 2007-08-29 내충격성 향상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성형품 및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KR1011822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31776 2006-08-29
JPJP-P-2006-231776 2006-08-29
PCT/JP2007/066734 WO2008026626A1 (fr) 2006-08-29 2007-08-29 Modificateur de la résistance aux impacts, composition de résine thermoplastique, article moulé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copolymère greff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272A KR20090069272A (ko) 2009-06-30
KR101182250B1 true KR101182250B1 (ko) 2012-09-12

Family

ID=39135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000A KR101182250B1 (ko) 2006-08-29 2007-08-29 내충격성 향상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성형품 및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83726B2 (ko)
EP (1) EP2058344B1 (ko)
JP (1) JP5541839B2 (ko)
KR (1) KR101182250B1 (ko)
CN (1) CN101511891B (ko)
TW (1) TWI385187B (ko)
WO (1) WO20080266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7250B2 (en) 2005-12-20 2014-11-04 Bridgestone Corporation Hollow nano-particles and method thereof
ES2527600T3 (es) 2008-12-31 2015-01-27 Bridgestone Corporation Procedimiento de formación de nanopartículas formando primero el núcleo, nanopartícula y composición
US9062144B2 (en) 2009-04-03 2015-06-23 Bridgestone Corporation Hairy polymeric nanoparticles with first and second shell block polymer arms
JP5644243B2 (ja) * 2010-08-05 2014-12-24 三菱化学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品
US9428604B1 (en) 2011-12-30 2016-08-30 Bridgestone Corporation Nanoparticle fillers and methods of mixing into elastomers
US8691915B2 (en) 2012-04-23 2014-04-08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Copolymers and polymer blends having improved refractive indices
JP2017110106A (ja) * 2015-12-16 2017-06-22 日本ポリエステル株式会社 光拡散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拡散部材
EP3395377A1 (en) * 2017-04-28 2018-10-31 Borealis AG Soft polypropylene composition with improved properties
CN114269846B (zh) 2019-08-30 2024-03-22 东丽株式会社 透明热塑性树脂组合物、其制造方法、成型品以及成型品的制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5935A (ja) * 2002-05-21 2003-11-28 Mitsubishi Rayon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519382B1 (ko) * 2002-12-10 2005-10-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 열가소성 수지 개질제 및 그 중간체인고무라텍스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0052A (en) 1965-01-25 1972-06-13 Kanegafuchi Chemical Ind Thermoplastic vinyl resin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GB1301166A (en) * 1970-10-08 1972-12-29 Toray Industries Impact resistant thermoplastic resins
CA979569A (en) 1970-12-09 1975-12-09 Toray Industries, Inc. Method for producing impact resistant thermoplastic resin by continuous bulk polymerization
JPS5622339B2 (ko) * 1973-08-30 1981-05-25
IN142236B (ko) * 1973-08-30 1977-06-11 Mitsubishi Rayon Co
JPS5760361B2 (ko) * 1974-03-12 1982-12-18 Mitsubishi Rayon Co
JPS592704B2 (ja) * 1980-10-23 1984-01-20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S57212246A (en) * 1981-06-23 1982-12-27 Kureha Chem Ind Co Ltd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JPS6284109A (ja) * 1985-10-09 1987-04-17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S62240352A (ja) 1986-04-10 1987-10-21 Mitsubishi Rayon Co Ltd 芳香族ポリカ−ボネ−ト樹脂組成物
JPH02252766A (ja) * 1989-03-28 1990-10-11 Mitsubishi Rayon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999250B2 (ja) * 1990-11-30 2000-01-17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新規なグラフト共重合体
JPH08143741A (ja) * 1994-11-22 1996-06-04 Toray Ind Inc 耐衝撃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US6130290A (en) 1998-04-29 2000-10-10 Rohm And Haas Company Impact modifier for amorphous aromatic polyester
JP2002020566A (ja) * 2000-07-11 2002-01-23 Kanegafuchi Chem Ind Co Ltd 透明、耐衝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20030012155A (ko) 2001-07-30 2003-0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압출쉬트용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열가소성 투명수지의 제조방법
AU2003281627A1 (en) * 2002-07-22 2004-02-09 Jsr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crystalline 1,2-polybutadiene
JP2004182820A (ja) * 2002-12-02 2004-07-02 Mitsubishi Rayon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4717470B2 (ja) 2005-02-25 2011-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記録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5935A (ja) * 2002-05-21 2003-11-28 Mitsubishi Rayon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519382B1 (ko) * 2002-12-10 2005-10-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 열가소성 수지 개질제 및 그 중간체인고무라텍스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41839B2 (ja) 2014-07-09
EP2058344B1 (en) 2019-03-06
TWI385187B (zh) 2013-02-11
CN101511891A (zh) 2009-08-19
CN101511891B (zh) 2012-06-27
TW200829612A (en) 2008-07-16
US20090209707A1 (en) 2009-08-20
EP2058344A1 (en) 2009-05-13
EP2058344A8 (en) 2009-10-28
EP2058344A4 (en) 2009-08-26
KR20090069272A (ko) 2009-06-30
JPWO2008026626A1 (ja) 2010-01-21
US8383726B2 (en) 2013-02-26
WO2008026626A1 (fr) 200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250B1 (ko) 내충격성 향상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성형품 및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CN103910985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和使用它的模制品
EP3103838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N104744914A (zh) 阻燃剂热塑性树脂组合物和包括该组合物的模制品
KR20100133786A (ko)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N108822245B (zh) (甲基)丙烯酸类共聚物
TW200906949A (en) Flameproof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2360367B1 (ko) 폴리오르가노실록산 함유 그래프트 공중합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JP2012140588A (ja) 離型性及び外観特性に優れた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成形品
JP2005307180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234189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CN111615538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和由其形成的模制品
KR20010032100A (ko) 내충격성을 갖는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및폴리에스테르/폴리카르보네이트 블렌드
KR101311937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277725B1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2001002908A (ja) 長期安定性に優れた高流動の難燃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
KR101670550B1 (ko) 고유동 및 고충격강도를 갖는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266293B1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803131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4748751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923812B2 (ja) 着色難燃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4201906B2 (ja) モールドデポジットが少ない難燃性樹脂組成物
JP4159157B2 (ja) 樹脂組成物成形体
US20190359812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JP2000226503A (ja) 高い難燃性を有する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