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670B1 - 고체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고체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670B1
KR101178670B1 KR1020107015311A KR20107015311A KR101178670B1 KR 101178670 B1 KR101178670 B1 KR 101178670B1 KR 1020107015311 A KR1020107015311 A KR 1020107015311A KR 20107015311 A KR20107015311 A KR 20107015311A KR 101178670 B1 KR101178670 B1 KR 101178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ster
solid
imaging device
units
state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9550A (ko
Inventor
히사노리 스즈키
야스히토 요네타
신-이치로 다카기
겐타로 마에타
마사하루 무라마츠
Original Assignee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9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62Charge transfer devices
    • H01L29/765Charge-coupled devices
    • H01L29/768Charge-coupled device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6816Output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8Charge coupled imagers
    • H01L27/14806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04N25/67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applied to fixed-pattern noise, e.g. non-uniformity of response
    • H04N25/671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applied to fixed-pattern noise, e.g. non-uniformity of response for non-uniformity detection or correction
    • H04N25/672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applied to fixed-pattern noise, e.g. non-uniformity of response for non-uniformity detection or correction between adjacent sensors or output registers for reading a singl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 H04N25/713Transfer or readout registers; Split readout registers or multiple readout regi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 H04N25/75Circuitry for providing, modifying or processing image signals from the pixel arr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일 실시 형태의 멀티 포트형인 고체 촬상 장치는 촬상 영역 및 복수의 유니트를 구비한다. 촬상 영역은 복수의 화소열을 포함한다. 복수의 유니트는 복수의 화소열이 배열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촬상 영역으로부터의 전하에 근거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각 유니트는 출력 레지스터, 증배 레지스터, 및 앰프를 가진다. 출력 레지스터는 1 이상의 대응 화소열로부터의 전하를 전송한다. 증배 레지스터는 출력 레지스터로부터의 전하를 받아 증배된 전하를 생성한다. 앰프는 증배 레지스터로부터의 증배된 전하에 근거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본 고체 촬상 장치는 복수의 유니트가 설치된 영역과 당해 영역의 상기 방향에서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 1 더미 영역과 제 2 더미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더미 영역과 제 2 더미 영역의 각각에는 증배 레지스터 및 앰프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고체 촬상 장치{SOLID-STATE IMAGING DEVICE}
본 발명은 멀티 포트형이고 전하 증배형인 고체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체 촬상 장치에는 하기의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멀티 포트형이고 전하 증배형인 고체 촬상 장치가 있다. 이와 같은 고체 촬상 장치는 촬상 영역, 및 복수의 유니트를 구비하고 있다. 촬상 영역은 복수의 화소열을 포함하고 있다. 복수의 유니트의 각각은, 복수의 화소열 중 1 이상의 대응 화소열로부터의 전하를 전송하는 출력 레지스터, 당해 출력 레지스터에 의해서 전송된 전하를 받아 증배된 전하를 생성하는 증배 레지스터, 및 증배 레지스터로부터의 증배된 전하에 근거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앰프를 가지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7-124675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 3862850호 명세서
전하 증배형인 고체 촬상 장치의 게인(gain)은 온도에 의해서 변동한다. 또, 멀티 포트형이고 전하 증배형인 고체 촬상 장치에는 모든 유니트에서의 게인의 차이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 문헌 2에 명시된 고체 촬상 장치는 증배 레지스터의 증배율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모든 포트에서의 게인의 차이를 작게 하기 위해, 각 포트의 게인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게인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구성은 복잡하다.
본 발명은 촬상 영역으로부터의 전하에 근거하는 신호를 복수의 유니트로부터 출력하는 멀티 포트형이고 전하 증배형인 고체 촬상 장치로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유니트 간의 게인의 차이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고체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는 멀티 포트 형태인 고체 촬상 장치로서, 촬상 영역 및 복수의 유니트를 구비하고 있다. 촬상 영역은 복수의 화소열을 포함하고 있다. 복수의 유니트는 촬상 영역으로부터의 전하에 근거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며, 복수의 화소열이 배열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유니트의 각각은, 출력 레지스터, 증배 레지스터, 및 앰프를 가지고 있다. 출력 레지스터는 복수의 화소열 중 1 이상의 대응 화소열로부터의 전하를 전송한다. 증배 레지스터는 출력 레지스터로부터의 전하를 받아 증배된 전하를 생성한다. 앰프는 증배 레지스터로부터의 증배된 전하에 근거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본 고체 촬상 장치는 복수의 유니트가 설치된 영역과, 당해 영역의 상기 방향에서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 1 더미 영역과 제 2 더미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더미 영역과 제 2 더미 영역의 각각에는, 증배 레지스터 및 앰프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멀티 포트형이고 전하 증배형인 고체 촬상 장치에서는 복수의 유니트 중 양단에 위치하는 유니트 이외의 유니트의 양측에는 다른 유니트가 존재하고 있지만, 양단의 유니트에 대해서는 한쪽에 하나의 유니트만이 존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각 유니트에서의 게인은 그 유니트의 온도에 의해서 크게 변동한다. 또, 각 유니트에는 앰프 및 증배 레지스터라고 하는 발열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멀티 포트형이고 전하 증배형인 고체 촬상 장치에서는 양단의 유니트의 온도와 그 이외의 유니트의 온도 사이에 차이가 생긴다. 그러므로, 종래의 멀티 포트형이고 전하 증배형인 고체 촬상 장치에서는 유니트 간의 게인을 균일하게 하는 것이 어려웠다.
한편,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유니트 중 양단에 위치하는 두 개의 유니트의 근방에 증배 레지스터 및 앰프가 설치된다. 따라서, 양단에 위치하는 두 개의 유니트의 온도와 다른 유니트의 온도간의 차이가 작아진다. 그 결과, 유니트 간의 게인의 차이가 저감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촬상 영역으로부터의 전하에 근거하는 신호를 복수의 유니트로부터 출력하는 멀티 포트형이고 전하 증배형인 고체 촬상 장치로서,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유니트 간의 게인의 차이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고체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된 고체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난 고체 촬상 장치를 배선을 포함하여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의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된 고체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난 고체 촬상 장치(10)는 촬상 영역(12), 및 복수의 유니트(14a~14d)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복수의 유니트(14a~14d)를 유니트(14)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촬상 영역(12)은 입사하는 광에 감응하여 전하를 생성하는 영역이다. 구체적으로는, 촬상 영역(12)은 이차원으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고 있고, 각 화소는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10)는 촬상 영역(12)에 부가하여 전하 축적 영역(16)을 구비하고 있다. 전하 축적 영역(16)은 촬상 영역(12)에 의해서 생성된 전하를 후술의 출력 레지스터에 전송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전하 축적 영역(16)을 가지는 고체 촬상 장치(10)는 프레임 트랜스퍼 CCD 이미지 센서로 불린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는 인터라인 CCD 이미지 센서 또는 풀 프레임 트랜스퍼 CCD 이미지 센서여도 무방하다.
촬상 영역(12)은 복수의 에어리어(area, 12a~12d)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에어리어(12a~12d)는 수평 방향으로 늘어서 있으며, 각 에어리어에는 복수의 화소열이 포함되어 있다. 복수의 에어리어(12a~12d)에 의해서 생성된 전하는 대응 유니트(14)에 출력된다. 또한, 고체 촬상 장치(10)의 촬상 영역(12)은 네 개의 에어리어를 포함하고 있는, 이를테면 4 포트의 고체 촬상 장치이지만,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의 포트 수는 네 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유니트(14a~14d)의 각각은 출력 레지스터(18), 증배 레지스터(20), 앰프(22)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복수의 유니트(14)의 각각은 또한 코너 레지스터(24)를 포함하고 있다.
출력 레지스터(18)는 촬상 영역(12)의 대응 에어리어에 의해서 생성되어 수직 방향으로 전송된 전하를 받고, 당해 전하를 수평 방향으로 전송하는 전송 레지스터이다. 코너 레지스터(24)는 출력 레지스터(18)와 동일하게 전하를 전송하는 전송 레지스터이다. 코너 레지스터(24)는 출력 레지스터(18)와 증배 레지스터(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코너 레지스터(24)는 출력 레지스터(18)에 의해서 전송되는 전하를 증배 레지스터(20)에 전송한다.
증배 레지스터(20)는 충돌 이온화(impact ionization) 효과에 의해서 전하를 증배하여, 증배한 전하를 전송하는 레지스터이다. 고체 촬상 장치(10)에서 증배 레지스터(20)는 출력 레지스터(18)로부터 전송되는 전하를 코너 레지스터(24)를 통하여 받고, 증배한 전하를 앰프(22)에 출력한다.
앰프(22)는 증배 레지스터(20)에 의해서 증배된 전하를 받고, 전하 전압 변환을 실시하여, 당해 전하의 양에 따른 신호를 생성한다. 앰프(22)로서는 플로팅 디퓨전(FD) 앰프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체 촬상 장치(10)는 영역(R), 제 1 더미 영역(R1), 및 제 2 더미 영역(R2)을 포함하고 있다. 영역(R)은 복수의 유니트(14a부터 14d)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이다. 제 1 더미 영역(R1) 및 제 2 더미 영역(R2)은 출력 레지스터(18)의 전하 전송 방향과 같은 방향(수평 방향)에서 영역(R)의 양측에 존재하고 있다.
고체 촬상 장치(10)는 제 1 더미 영역(R1) 및 제 2 더미 영역(R2)의 각각에, 더미인 증배 레지스터(20d) 및 더미인 앰프(22d)를 구비하고 있다. 더미인 증배 레지스터(20d) 및 더미인 앰프(22d)는 각각 증배 레지스터(20) 및 앰프(22)와 동일한 요소이다.
이에 더하여, 고체 촬상 장치(10)에서는 제 1 더미 영역(R1) 및 제 2 더미 영역(R2)의 각각에, 더미인 출력 레지스터(18d) 및 더미인 코너 레지스터(24d)가 설치되어 있다. 출력 레지스터(18d) 및 코너 레지스터(24d)는 출력 레지스터(18) 및 코너 레지스터(24)와 동일한 요소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고체 촬상 장치(10)의 전기적 접속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고체 촬상 장치(10)를 배선을 첨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체 촬상 장치(10)는 삼상 구동형의 고체 촬상 장치이며, 단자(P1~P3, PM1~PM3, 및 PDC)를 가지고 있다.
단자(P1~P3)는 모든 유니트(14a~14d)의 출력 레지스터(18) 및 코너 레지스터(24)에 삼상의 클록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단자이다. 단자(P1~P3)로부터 연장하는 배선은 모든 유니트(14a~14d)의 출력 레지스터(18) 및 코너 레지스터(24)에 공통의 것이며, 모든 유니트(14a~14d)의 출력 레지스터(18) 및 코너 레지스터(24)에 접속되어 있다. 단자(P1~P3)로부터의 삼상의 클록 신호가 주어지는 것에 의해서, 출력 레지스터(18) 및 코너 레지스터(24)는 전하를 전송한다. 이들 단자(P1~P3)로부터 연장하는 배선은 또한 더미인 출력 레지스터(18d) 및 더미인 코너 레지스터(24d)에 대해서도 공통의 것이며, 이들 출력 레지스터(18d) 및 코너 레지스터(24d)에도 접속되어 있다.
단자(PM1~PM3)는 모든 유니트(14a~14d)의 증배 레지스터(20)에 삼상의 클록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단자이다. 또, 단자(PDC)는 증배 레지스터(20)에 장벽을 형성하기 위한 DC전압이 입력되는 단자이다. 단자(PM1~PM3 및 PDC)로부터 연장하는 배선은 모든 유니트(14a~14d)의 증배 레지스터(20)에 공통의 것이며, 모든 유니트 (14a~14d)의 증배 레지스터(20)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단자(PM1~PM3 및 PDC)로부터 연장되는 배선은 또한 더미인 증배 레지스터(20d)에도 공통의 것이며, 당해 증배 레지스터(20d)에도 접속되어 있다.
앰프(22 및 22d)는 리셋트 게이트 단자(RG), 리셋트 드레인 단자(RD), 출력 드레인 단자(OD), 및 출력 소스 단자(OS)를 가지고 있다. 또, 앰프(22 및 22d)의 FD 영역과 증배 레지스터(20)의 최종단 사이에는 출력 게이트 단자(OG)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RG)는 앰프(22 및 22d)의 리셋트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리셋트 펄스를 주기 위한 단자이다. 단자(RG)에 리셋트 펄스가 주어지는 것에 의해서, FD 영역에 축적된 전하가 리셋트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된 단자(RD)로부터 배출된다. 단자(RD 및 OD)에는 소정의 전원 전압이 주어진다. 단자(OG)에는 증배 레지스터로부터의 전하를 전송할 시점에 온(ON) 신호가 주어진다. 이것에 의해, 증배 레지스터로부터의 전하가 FD 영역에 보내진다. 단자(OS)로부터는 증폭된 신호가 출력된다.
본 고체 촬상 장치(10)에서는 앰프(22 및 22d)의 동일한 단자에는 동일한 신호가 주어지지만, 인접하는 앰프간에서의 누화(crosstalk)을 방지하기 위해서, 배선은 공통화되어 있지 않다.
이상 설명한 고체 촬상 장치(10)에서는 복수의 유니트(14a~14d) 중 양단의 유니트(14a 및 14d)의 근방에 있는 제 1 더미 영역(R1) 및 제 2 더미 영역(R2)의 각각에, 증배 레지스터(20d) 및 앰프(22d)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증배 레지스터(20d) 및 앰프(22d)에도 유니트(14a~14d)의 증배 레지스터(20) 및 앰프(22)와 동일하게 신호가 주어진다. 이것에 의해, 증배 레지스터(20d) 및 앰프(22d)가 증배 레지스터(20) 및 앰프(22)와 동일하게 발열한다. 따라서, 양단의 유니트(14a 및 14d)의 온도와 그 이외의 유니트(14b 및 14c)의 온도의 차이가 작아진다. 그러므로, 고체 촬상 장치(10)에서는 유니트(14a~14d) 간의 게인의 차이가 작아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본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는 더미인 출력 레지스터 및 더미인 코너 레지스터를 가지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것은, 출력 레지스터 및 코너 레지스터의 발열이 증배 레지스터나 앰프에 대해서 작기 때문이다. 또,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는 삼상 구동형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사상 구동 등 여러 가지의 구동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10 : 고체 촬상 장치 12 : 촬상 영역
14a~14d : 유니트 16 : 전하 축적 영역
18: 출력 레지스터 18d : 출력 레지스터(더미)
20: 증배 레지스터 20d : 증배 레지스터(더미)
22: 앰프 22d : 앰프(더미)
24 : 코너 레지스터 24d : 코너 레지스터(더미)
OD : 출력 드레인 단자 OG : 출력 게이트 단자
OS : 출력 소스 단자 RD : 리셋트 드레인 단자
RG : 리셋트 게이트 단자 P1~P3 : 단자
PDC : 단자 PM1~PM3 : 단자
R : 영역 R1 : 제 1 더미 영역
R2 : 제 2 더미 영역

Claims (1)

  1. 멀티 포트형인 고체 촬상 장치로서
    복수의 화소열을 포함한 촬상 영역과,
    상기 촬상 영역으로부터의 전하에 근거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유니트 로서, 상기 복수의 화소열이 배열된 방향으로 배열된 이 복수의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유니트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화소열 중 1 이상의 대응 화소열로부터의 전하를 전송하는 출력 레지스터,
    상기 출력 레지스터로부터의 전하를 받아 증배된 전하를 생성하는 증배 레지스터,
    상기 증배 레지스터로부터의 증배된 전하에 근거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앰프를 가지고,
    상기 고체 촬상 장치는
    상기 복수의 유니트가 설치된 영역과, 이 영역의 상기 방향에서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 1 더미 영역과 제 2 더미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더미 영역과 상기 제 2 더미 영역의 각각에 증배 레지스터 및 앰프를 구비하고 있는 고체 촬상 장치.
KR1020107015311A 2009-01-30 2010-01-22 고체 촬상 장치 KR1011786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20457 2009-01-30
JP2009020457A JP5237843B2 (ja) 2009-01-30 2009-01-30 固体撮像装置
PCT/JP2010/050777 WO2010087278A1 (ja) 2009-01-30 2010-01-22 固体撮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550A KR20100109550A (ko) 2010-10-08
KR101178670B1 true KR101178670B1 (ko) 2012-08-30

Family

ID=42395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311A KR101178670B1 (ko) 2009-01-30 2010-01-22 고체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67999B2 (ko)
EP (1) EP2247099B1 (ko)
JP (1) JP5237843B2 (ko)
KR (1) KR101178670B1 (ko)
CN (1) CN101960837B (ko)
AT (1) ATE550874T1 (ko)
TW (1) TWI481257B (ko)
WO (1) WO20100872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0001B2 (ja) * 2009-01-30 2013-10-30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US8773563B2 (en) 2011-05-25 2014-07-08 Truesense Imaging, Inc. Multi-purpose architecture for CCD image sensors
US8411189B2 (en) * 2011-05-25 2013-04-02 Truesense Imaging, Inc. Multi-purpose architecture for CCD image sensors
US8800130B2 (en) 2011-05-25 2014-08-12 Truesense Imaging, Inc. Methods for producing image sensors having multi-purpose architecture
CN104767945B (zh) * 2015-04-14 2018-02-06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四研究所 能提高emccd转移效率的驱动电路
CN106601767B (zh) * 2016-12-02 2019-06-04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四研究所 能缩减电极信号延迟的正照帧转移cc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8039B1 (ko) * 1991-07-11 2001-10-24 윌리엄 비. 켐플러 전하증배장치및그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01200D0 (en) 1989-01-19 1989-03-15 Eev Ltd Camera using imaging array
JP2785782B2 (ja) * 1995-12-27 1998-08-13 日本電気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GB2323471B (en) * 1997-03-22 2002-04-17 Eev Ltd CCd imagers
JP3987232B2 (ja) * 1999-04-14 2007-10-03 日本放送協会 Ccd型撮像素子の駆動方法およびccd型撮像装置
US6278142B1 (en) * 1999-08-30 2001-08-21 Isetex, Inc Semiconductor image intensifier
JP2001119010A (ja) * 1999-10-18 2001-04-27 Nikon Corp マルチ出力固体撮像装置
JP5026641B2 (ja) 2000-04-28 2012-09-12 テキサス インスツルメン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固体撮像センサ
GB2371403B (en) * 2001-01-18 2005-07-27 Marconi Applied Techn Ltd Solid state imager arrangements
US7420605B2 (en) * 2001-01-18 2008-09-02 E2V Technologies (Uk) Limited Solid state imager arrangements
US7190400B2 (en) * 2001-06-04 2007-03-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harge multiplier with logarithmic dynamic range compression implemented in charge domain
JP3689866B2 (ja) * 2002-05-30 2005-08-31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Cmd及びcmd搭載ccd装置
US6791858B2 (en) * 2002-08-26 2004-09-14 Micron Technology, Inc. Power reduction in CMOS imagers by trimming of master current reference
US20050029553A1 (en) * 2003-08-04 2005-02-10 Jaroslav Hynecek Clocked barrier virtual phase charge coupled device image sensor
GB2413007A (en) * 2004-04-07 2005-10-12 E2V Tech Uk Ltd Multiplication register for amplifying signal charge
CN100539650C (zh) * 2004-07-20 2009-09-09 株式会社岛津制作所 固体摄像装置、摄像装置和摄像元件
JP4442608B2 (ja) 2004-07-20 2010-03-31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固体撮像装置、撮像装置並びに撮像素子
JP4751617B2 (ja) * 2005-01-21 2011-08-17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欠陥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GB0503827D0 (en) * 2005-02-24 2005-04-06 E2V Tech Uk Ltd Enhanced spectral range imaging sensor
JP4687155B2 (ja) * 2005-03-09 2011-05-25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GB2424758A (en) * 2005-03-31 2006-10-04 E2V Tech CCD device
GB2431538B (en) * 2005-10-24 2010-12-22 E2V Tech CCD device
US7755685B2 (en) * 2007-09-28 2010-07-13 Sarnoff Corporation Electron multiplication CMOS imager
JP5346605B2 (ja) * 2009-01-30 2013-11-20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GB2468668B (en) * 2009-03-17 2014-07-16 E2V Tech Uk Ltd CCD imaging array with extended dynamic ran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8039B1 (ko) * 1991-07-11 2001-10-24 윌리엄 비. 켐플러 전하증배장치및그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78194A (ja) 2010-08-12
WO2010087278A1 (ja) 2010-08-05
TWI481257B (zh) 2015-04-11
KR20100109550A (ko) 2010-10-08
EP2247099A4 (en) 2011-03-23
EP2247099A1 (en) 2010-11-03
US8367999B2 (en) 2013-02-05
CN101960837B (zh) 2012-11-28
US20110031377A1 (en) 2011-02-10
ATE550874T1 (de) 2012-04-15
JP5237843B2 (ja) 2013-07-17
EP2247099B1 (en) 2012-03-21
TW201127031A (en) 2011-08-01
CN101960837A (zh) 201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670B1 (ko) 고체 촬상 장치
CN101369595B (zh) 固态成像装置
JP4818018B2 (ja) 光電変換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システム
JP5631050B2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JP5764783B2 (ja) 固体撮像装置
KR101066341B1 (ko) 고체 촬상 장치
JPWO2013157423A1 (ja) 固体撮像装置
US7202462B2 (en) Solid-state imaging apparatus with reduced shading of pixel signals
WO2007108129A1 (ja) 固体撮像素子
KR101594201B1 (ko) 고체촬상장치
JP4330579B2 (ja) 固体撮像装置
JP2020005131A (ja) 固体撮像素子及び撮像システム
JP2006222356A (ja) 固体撮像装置
JP2005252350A (ja) 固体撮像装置
JP5914612B2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JP2015154451A (ja) 撮像素子駆動回路
JP2004120185A (ja) 固体撮像装置
JP2006157945A (ja) 固体撮像素子、固体撮像装置、固体撮像素子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