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681B1 - 스위치 장치 및 스냅 액션 기구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및 스냅 액션 기구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681B1
KR101174681B1 KR1020117004970A KR20117004970A KR101174681B1 KR 101174681 B1 KR101174681 B1 KR 101174681B1 KR 1020117004970 A KR1020117004970 A KR 1020117004970A KR 20117004970 A KR20117004970 A KR 20117004970A KR 101174681 B1 KR101174681 B1 KR 101174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drive
drive body
tension spring
switch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8726A (ko
Inventor
도시하루 모리
오사무 하가
슈지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8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01H13/30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one end of spring transmitting movement to the contact member when the other end is moved by the oper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Snap-action arrangements, i.e. in which during a single opening operation or a single closing operation energy is first stored and then released to produce or assist the contact movement
    • H01H5/04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5/06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by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5Switch making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복수 회로를 동기시켜 전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회로 전환의 동기 타이밍의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 (2) 과, 가압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부재 (6) 와, 하우징 (2) 의 수납부 내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병렬로 형성된 복수의 고정 접점 (5) 과, 고정 접점 (5) 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접점부를 갖는 복수의 가동 접점 (8) 과, 조작 부재 (6) 가 소정 위치까지 가압된 경우에 가동 접점 (8) 을 구동시키는 스냅 액션 기구 (7)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 및 스냅 액션 기구의 조립 방법 {SWITCHING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A SNAP ACTION MECHANISM}
본 발명은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작 부재에 대한 가압 조작에 따라 작동하는 스냅 액션 기구를 구비한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웨이퍼의 내저면에 커먼 접점을 형성하고, 이 커먼 접점 상에, 가동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슬라이더를 압입하여 조작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양(良)도전성의 복귀 스프링을 재치함과 함께, 웨이퍼의 내벽면에 노멀 클로즈 접점 및 노멀 오픈 접점을 병렬로 형성하여, 이 내벽면에 가동 접점의 탄성편을 슬라이딩 접촉시킨 스위치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스위치 장치에서는, 가동 접점의 슬라이딩면이 되는 케이스의 내벽면에 노멀 클로즈 접점 및 노멀 오픈 접점을 병렬로 형성하여 가동 접점을 접촉 이간시킴으로써 회로 전환을 할 수 있고, 이들 양 접점의 간격이나 배치 위치는 커먼 접점에 제약받지 않고 임의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용도에 따른 원하는 타이밍에 회로 전환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6661호, 도 1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스위치 장치에 의해 복수 회로를 동기시켜 전환할 수 있으면 용장(冗長)성을 확보할 수 있고, 내장해성이 우수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스위치 장치에서는, 압입 조작에 따라 가동 접점을 케이스의 내벽면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구성을 갖기 때문에, 회로 전환의 동기 타이밍에 있어서의 편차가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복수 회로를 동기시켜 전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회로 전환의 동기 타이밍의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가압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부재와, 상기 수납부 내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병렬로 형성된 복수의 고정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접점부를 갖는 복수의 가동 접점과, 상기 조작 부재가 소정 위치까지 가압된 경우에 상기 가동 접점을 구동시키는 스냅 액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스냅 액션 기구는, 일단측에 상기 가동 접점이 형성되는 한편, 타단측에 회동 지지점을 구성하는 지지점부가 형성된 복수의 제 1 구동체와, 일단측에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부가 형성되는 한편, 타단측에 회동 지지점을 구성하는 지지점부가 형성된 제 2 구동체와,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 1 구동체를 일체적으로 연결한 제 1 구동체 부재의 일부와 상기 제 2 구동체의 일부에 양 단부 (端部) 가 설치된 인장 스프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 장치에 의하면, 가동 접점을 구동시키는 스냅 액션 기구를 구비했기 때문에, 조작 부재가 소정 위치까지 가압되면, 인장 스프링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제 1 구동체 부재에 형성된 가동 접점을 순식간에 구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복수 회로를 동기시켜 전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회로 전환의 동기 타이밍의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연결 부재에 보강 부재를 일부 노출시킨 상태에서 매설하고, 당해 보강 부재의 노출 부분에 상기 인장 스프링의 일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연결 부재에 매설된 보강 부재의 노출 부분에 인장 스프링의 일단이 설치되기 때문에, 인장 스프링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연결 부재가 변형되는 사태가 잘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일체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 1 구동체에 형성된 가동 접점의 위치 정밀도를 확보하여 적절한 타이밍에 복수 회로를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구동체는, 상기 지지점부가 형성된 도체판과, 이 도체판에 설치되는 상기 가동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도체판에 대한 상기 가동 접점의 설치 부분이 상기 연결 부재에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가동 접점의 설치 부분이 연결 부재에 매설되기 때문에, 가동 접점을 강고하게 제 1 구동체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가동 접점이 빠지거나 어긋나거나 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고, 일체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 1 구동체에 형성된 가동 접점의 위치 정밀도를 확보하여 적절한 타이밍에 복수 회로를 전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도체판의 일부로 상기 보강 부재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도체판의 일부로 보강 부재를 겸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한 부재를 준비하지 않고 연결 부재를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도체판과 상기 가동 접점은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체판의 재료는 상기 가동 접점의 재료보다 강성이 높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도체판의 강성을 가동 접점보다 높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지지점부에 필요로 되는 강성이나 보강 부재에 필요로 되는 강성을 도체판에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의 1 쌍의 편 (片) 은, 상기 제 1 구동체측에서 연결됨과 함께, 상기 제 1 구동체와 반대측에 있어서의 선단에 각각 접점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 접점의 1 쌍의 편의 접점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상방측으로 연장되어 대향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가동 접점의 하방측 부분을 개방한 구성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 장치에 가동 접점을 설치할 때에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의 접점부와의 맞닿음에 의해 가동 접점의 접점부가 파손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장 스프링은,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동체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제 1 구동체 부재의 일부와 상기 제 2 구동체의 일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인장 스프링이 인접하는 제 1 구동체 사이의 위치에서 제 2 구동체에 설치되기 때문에, 인접하는 제 1 구동체에 형성된 가동 접점을 동일한 인장 스프링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회로 전환의 동기 타이밍의 편차를 보다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구동체 부재의 일부 및 상기 제 2 구동체의 일부에, 상기 인장 스프링의 탄성 지지력에 따라 걸어 맞춰서 당해 제 1 구동체 부재 및 상기 제 2 구동체를 일체화시키는 걸어맞춤 수단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제 1 구동체 부재와 제 2 구동체를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수납부 내에 설치할 때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수납부 내에서 세워서 형성된 상기 고정 접점의 커먼 접점의 상기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측에, 그 커먼 접점의 선단과 인접하여 대향하는 돌출벽을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항상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이 가해지는 커먼 접점이, 기판에 대한 단자의 고정 작업 등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열에서 기인하여 넘어지는 사태를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측에 형성한 돌출벽에 의해 억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은, 상기 제 1 구동체의 지지점부의 배치 위치로부터의 상기 제 2 구동체의 지지점부의 배치 위치보다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가동 접점이 슬라이딩 접촉하는 고정 접점이 제 2 구동체의 지지점부보다 먼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가동 접점의 이동 거리를 많이 취할 수 있으므로 접점 전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구동체 부재의 상기 연결 부재의 하면과 상기 지지체가 맞닿아, 상기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에 의한 상기 제 1 구동체 부재의 하 방향으로의 회동이 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연결 부재의 하면과 지지체의 맞닿음에 의해 제 1 구동체 부재의 하 방향으로의 회동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소정 범위에서 제 1 구동체 부재를 회동시킬 수 있어, 일정 위치 이상으로 제 1 구동체 부재가 하방측으로 회동하여 가동 접점 등이 파손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구동체 부재의 상기 연결 부재의 상면과 상기 하우징이 맞닿아, 상기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에 의한 상기 제 1 구동체 부재의 상 방향으로의 회동이 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연결 부재의 상면과 하우징의 맞닿음에 의해 제 1 구동체 부재의 상 방향으로의 회동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소정 범위에서 제 1 구동체 부재를 회동시킬 수 있어, 일정 위치 이상으로 제 1 구동체 부재가 상 방향으로 회동하여 가동 접점 등이 파손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체에는, 조립 작업시에,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지지부 상에 재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재치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재치부의 일부의 단부에 상기 지지점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제 2 구동체를 재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재치부의 일부에 지지점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당해 재치부에 지지점부로서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어, 제 2 구동체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의 전환 접점에는, 조립 작업시에, 상기 제 2 구동체의 상기 지지점부의 배치를 허용하는 허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조립 작업시에 제 2 구동체의 지지점부를 허용부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구동체 부재와의 사이에서 인장 스프링을 설치할 때에 제 2 구동체를 인장 스프링을 설치하기 쉬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치부는, 상기 고정 접점의 커먼 접점측의 제 1 재치부와, 상기 고정 접점의 전환 접점측의 제 2 재치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먼 접점으로부터 상기 전환 접점을 향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재치부보다 상기 제 2 재치부쪽이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커먼 접점측의 제 1 재치부와 전환 접점측의 제 2 재치부로 재치부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하우징의 지지부 상에 재치할 수 있게 된다. 또, 제 2 재치부를 제 1 재치부보다 길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의 지지부에 제 2 구동체를 지지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제 2 구동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체 부재에는, 조립 작업시에, 상기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에 의한 회동을 상기 고정 접점의 커먼 접점과 맞닿게 하여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구동체에는, 조립 작업시에, 상기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에 의한 회동을 상기 하우징과 맞닿게 하여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제 1 구동체 부재의 회동 규제부와 커먼 접점의 맞닿음에 의해 제 1 구동체 부재의 회동을 규제할 수 있고, 제 2 구동체의 회동 규제부와 하우징의 맞닿음에 의해 제 2 구동체의 회동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작업 과정에서 제 1 구동체 부재와 제 2 구동체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조립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스냅 액션 기구의 조립 방법은, 고정 접점이 형성된 하우징에, 고정 접점에 대한 소정 위치에 제 2 구동체를 상기 하우징 상에 재치하고, 상기 제 2 구동체 상에 제 1 구동체를 재치하고, 상기 제 1 구동체의 일부와 상기 제 2 구동체의 일부 사이에 인장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제 2 구동체를 일방측을 향하여 압입하고, 타방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 2 구동체의 지지점부를 상기 하우징의 오목부에 배치시켜, 상기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냅 액션 기구의 조립 방법에 의하면, 하우징에 제 2 구동체 및 제 1 구동체를 재치하여 양자에 인장 스프링을 설치한 후, 제 2 구동체의 지지점부를 하우징의 오목부에 배치하는 것만으로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제 1 구동체 및 제 2 구동체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번잡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하게 스냅 액션 기구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냅 액션 기구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구동체의 일부가 상기 고정 접점의 커먼 접점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에 의한 회동을 규제함과 함께, 상기 제 2 구동체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에 의한 회동을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제 1 구동체의 일부와 커먼 접점의 맞닿음에 의해 제 1 구동체의 회동을 규제할 수 있고, 제 2 구동체의 일부와 하우징의 맞닿음에 의해 제 2 구동체의 회동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작업 과정에서 제 1 구동체와 제 2 구동체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스냅 액션 기구의 조립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스냅 액션 기구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구동체가 상기 제 2 구동체에 대해 평행하게 재치된 상태에서 상기 인장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제 1 구동체와 제 2 구동체를 평행하게 한 상태에서 인장 스프링이 설치되기 때문에, 이들을 소정 상태로 유지하는 지그 등을 별도로 준비하지 않고 인장 스프링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스냅 액션 기구의 조립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 접점을 구동시키는 스냅 액션 기구를 구비했기 때문에, 조작 부재가 소정 위치까지 가압되면, 인장 스프링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제 1 구동체 부재에 형성된 가동 접점을 순식간에 구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복수 회로를 동기시켜 전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회로 전환의 동기 타이밍의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의 지지체 및 고정 접점이 고정된 하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가 갖는 제 1 구동체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가 갖는 제 1 구동체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가 갖는 제 2 구동체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의 제 1 구동체 부재와 제 2 구동체를 일체화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3 에 나타내는 상태의 하부 케이스에 일체화시킨 제 1 구동체 부재 및 제 2 구동체를 설치할 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a) 및 측단면도 (b) 이다.
도 9 는 도 3 에 나타내는 상태의 하부 케이스에 일체화시킨 제 1 구동체 부재 및 제 2 구동체를 설치할 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a) 및 측단면도 (b) 이다.
도 10 은 도 3 에 나타내는 상태의 하부 케이스에 일체화시킨 제 1 구동체 부재 및 제 2 구동체를 설치할 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a) 및 측단면도 (b) 이다.
도 11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스냅 액션 기구가 설치된 하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스냅 액션 기구가 설치된 하부 케이스의 상면도이다.
도 13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스냅 액션 기구가 설치된 하부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14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5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의 가압 조작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6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의 가압 조작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7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의 가압 조작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8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가 갖는 가동 접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 은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의 지지체 및 고정 접점이 고정된 하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1 은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가 갖는 제 1 구동체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2 는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가 갖는 제 1 구동체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3 은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가 갖는 제 2 구동체의 사시도이다.
도 24 는 도 20 에 나타내는 상태의 하부 케이스에 일체화시킨 제 1 구동체 부재 및 제 2 구동체를 설치할 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a) 및 측단면도 (b) 이다.
도 25 는 도 20 에 나타내는 상태의 하부 케이스에 일체화시킨 제 1 구동체 부재 및 제 2 구동체를 설치할 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a) 및 측단면도 (b) 이다.
도 26 은 도 20 에 나타내는 상태의 하부 케이스에 일체화시킨 제 1 구동체 부재 및 제 2 구동체를 설치할 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a) 및 측단면도 (b) 이다.
도 27 은 도 20 에 나타내는 상태의 하부 케이스에 일체화시킨 제 1 구동체 부재 및 제 2 구동체를 설치할 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a) 및 측단면도 (b) 이다.
도 28 은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스냅 액션 기구가 설치된 하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9 는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스냅 액션 기구가 설치된 하부 케이스의 상면도이다.
도 30 은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스냅 액션 기구가 설치된 하부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31 은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32 는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의 가압 조작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3 은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의 가압 조작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는, 상자 형상의 하우징 (2) 의 상면의 일부로부터 후술하는 조작 부재 (6) 의 일부를 돌출시켜, 당해 돌출 부분에서 조작자 등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 (2) 으로부터 돌출된 조작 부재 (6) 의 일부에는, 하우징 (2) 내로의 먼지나 물 등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 (3) 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 장치 (1) 는, 예를 들어 절연성 수지 재료를 성형하여 형성되는 하우징 (2) 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 (2) 은 하방측으로 개구된 상자 형상을 갖는 상부 케이스 (21) 와, 상부 케이스 (21) 의 개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스위치 장치 (1) 의 내저면을 구성하는 하부 케이스 (22) 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상부 케이스 (21) 와 하부 케이스 (22) 를 조합함으로써, 하우징 (2) 의 내부에는 스위치 장치 (1) 의 구성 부품을 수납하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 (21) 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조작 부재 (6) 의 축부 (62) 의 상단부를 관통할 수 있는 개구부 (211)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 (2) 의 상면으로서, 개구부 (211) 의 주위에는, 상기 서술한 커버 (3) 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끼워 넣어지는 홈부 (212) 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 (22)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으며, 그 상면에 상부 케이스 (21) 의 개구에 따른 형상을 갖는 돌출면 (221) 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 (21) 는, 이 돌출면 (221) 을 개구에서 수용함으로써 적절하게 위치가 결정된다. 이 돌출면 (221) 주위에는 측방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 (221a) 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 (21) 를 하부 케이스 (22) 에 씌우면, 이들 돌기 (221a) 가 상부 케이스 (21) 의 내벽면에 압입됨으로써 상부 케이스 (21) 가 하부 케이스 (22) 에 설치되게 된다. 또, 돌출면 (221) 에는 상부 케이스 (21) 의 장변을 따라 2 개의 개구부 (222a, 222b)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개구부 (222a, 222b) 에는 후술하는 지지체 (4a, 4b) 가 배치된다.
하우징 (2) 내에 형성된 수납부에는, 하부 케이스 (22) 에 고정된 1 쌍의 지지체 (4a, 4b) 및 1 쌍의 고정 접점 (5a, 5b) 이 배치됨과 함께, 조작자 등에 의한 가압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부재 (6), 조작 부재 (6) 에 대한 가압 조작에 따라 작동하는 스냅 액션 기구 (7) 가 수납된다. 스냅 액션 기구 (7) 는,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1 쌍의 가동 접점 (8a, 8b) 이 설치되는 1 쌍의 제 1 구동체 (9a, 9b) 를 연결 부재 (10) 에 의해 연결한 제 1 구동체 부재 (90) (도 2 에 도시 생략, 도 5 참조) 와, 제 2 구동체 (11) 와, 이들 제 1 구동체 부재 (90) 와 제 2 구동체 (11) 에 양 단부가 설치된 인장 스프링 (12) 으로 구성된다.
지지체 (4a) 는, 예를 들어 절연성 수지 재료를 성형하여 형성되고, 상기 서술한 하부 케이스 (22) 의 개구부 (222a) 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토대부 (41a) 와, 이 토대도 (41a) 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 (42a) 를 가지고 있다. 돌출부 (42a) 는 3 개의 돌출편 (421a ~ 423a) 을 가지고 있다. 지지체 (4a) 는, 토대부 (41a) 에 의해 개구부 (222a) 에 일체화됨과 함께, 인서트 성형된 고정 접점 (5a) 의 일부를 돌출부 (42a) 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 (4b) 는, 하부 케이스 (22) 의 개구부 (222b) 에 배치되는 한편, 고정 접점 (5b) 이 인서트 성형되는 점을 제외하고 지지체 (4a) 와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도면에 토대부 (41b) 와 같이 b 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지지체 (4a, 4b) 는, 이른바 2 중 성형에 의해 하부 케이스 (22) 에 일체화되어 형성된다. 이 2 중 성형은, 지지체 (4a, 4b) 를 형성할 때에 고정 접점 (5a, 5b) 을 인서트 성형하여 지지체 (4a, 4b) 를 성형 형성한 후에, 추가로 지지체 (4a, 4b) 의 토대부 (41a, 41b) 에서 하부 케이스 (22) 를 성형한다. 이 성형시에 개구부 (222a, 222b) 가 형성된다. 그러나, 하부 케이스 (22) 에 지지체 (4a, 4b) 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고정 접점 (5a, 5b) 을 인서트 성형한 지지체 (4a, 4b) 를 하부 케이스 (22) 의 개구부 (222a, 222b) 에 배치하고,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시켜 일체화시키도록 해도 된다.
고정 접점 (5a) 은 지지체 (4a) 에 인서트 성형되는 커먼 접점 (51a) 및 전환 접점 (52a) 을 가지고 있다. 커먼 접점 (51a) 과 전환 접점 (52a) 은, 지지체 (4a)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이간하여 세워서 형성되어 있다. 커먼 접점 (51a) 은 돌출편 (423a) 으로부터 상방측으로 연장되고, 후술하는 제 1 구동체 (9a) 의 지지점부 (92a) 와 접촉하는 접촉부 (511a) 와, 이 접촉부 (511a) 로부터 전환 접점 (52a) 과 반대측으로 절곡되고, 그 단부로부터 하방측으로 연장되는 단자부 (512a) 를 가지고 있다.
전환 접점 (52a) 은 돌출편 (421a) 으로부터 약간 돌출되는 제 1 전환 접점 (521a) 과, 돌출편 (422a) 근방에 매설되고, 제 1 전환 접점 (521a) 근방에 배치된 제 2 전환 접점 (522a) 을 가지고 있다. 제 1 전환 접점 (521a) 은, 가동 접점 (8a) 이 슬라이딩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촉부 (523a) 와, 이 슬라이딩 접촉부 (523a) 로부터 하방측으로 연장하는 단자부 (524a) 를 가지고 있다. 한편, 제 2 전환 접점 (522a) 은, 가동 접점 (8a) 이 슬라이딩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촉부 (525a) 와, 이 슬라이딩 접촉부 (525a) 의 하단부로부터 커먼 접점 (51a) 측으로 절곡되고, 그 단부로부터 하방측으로 연장되는 단자부 (526a) 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제 1 전환 접점 (521a) 의 슬라이딩 접촉부 (523a) 의 하단부와, 제 2 전환 접점 (522a) 의 슬라이딩 접촉부 (525a) 의 상단부는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가동 접점 (8a) 의 접점부 (83a) 가 슬라이딩 접촉부 (523a) 와 슬라이딩 접촉부 (525a) 사이에서 이동함으로써 회로의 상태가 전환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에 있어서는, 제 1 전환 접점 (521a) 이 노멀 클로즈 접점을 구성하는 한편, 제 2 전환 접점 (522a) 이 노멀 오픈 접점을 구성한다. 후술하는 가동 접점 (8) 의 접점부 (83a) 가 슬라이딩 접촉부 (523a) 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는, 노멀 클로즈 접점으로서의 제 1 전환 접점 (521a) 과 커먼 접점 (51a) 을 도통시키는 한편, 가동 접점 (8) 의 접점부 (83a) 가 슬라이딩 접촉부 (525a) 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노멀 오픈 접점으로서의 제 2 전환 접점 (522a) 과 커먼 접점 (51a) 을 도통시킨 회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것과 동일한 회로를 커먼 접점 (51b) 과 전환 접점 (52b) (제 1 전환 접점 (521b), 제 2 전환 접점 (522b)) 사이에서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스냅 액션 기구 (7) 의 작동에 의해 순식간에 가동 접점 (8a, 8b) 을 구동시켜, 이들 회로를 동기시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 (6) 는, 예를 들어 절연성 수지 재료를 성형하여 형성되고,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의 가압부 (61) 와, 이 가압부 (61) 의 상면에 세워서 형성된 원주 형상의 축부 (62) 를 가지고 있다. 가압부 (61) 는, 조작 부재 (6) 에 대한 가압 조작에 따라 제 2 구동체 (11) 의 일단을 가압한다. 가압부 (61) 의 하면에는 제 2 구동체 (11) 의 일단을 수용하는 수용부 (611)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도시 생략, 도 14 참조). 축부 (62) 는 상부 케이스 (21) 의 개구부 (211) 로부터 그 상단부를 돌출시켜 배치되며, 가압 조작을 받아들인다. 축부 (62) 의 상단부 근방에는 그 외주에 홈부 (621)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 (621) 에는, 상기 서술한 커버 (3) 의 상면에 형성된 구멍 (31) 의 내측 가장자리부가 배치된다. 또한, 도 2 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커버 (3) 를 조작 부재 (6) 의 상방측에 배치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상부 케이스 (21) 의 외측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의 주요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에 있어서의 지지체 (4) 및 고정 접점 (5) 이 고정된 하부 케이스 (22) 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가 갖는 제 1 구동체 부재 (90) 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 에 있어서는 제 1 구동체 부재 (90) 내지 연결 부재 (10) 를 생략하고 있다. 도 6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가 갖는 제 2 구동체 (11) 의 사시도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체 (4a, 4b) 는, 하부 케이스 (22) 의 개구부 (222a, 222b) 에 배치된다. 이 경우, 지지체 (4a, 4b) 의 상면은, 돌출면 (221) 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고, 돌출부 (42a, 42b) 만이 돌출면 (221) 의 상방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 (42a, 42b) 는, 하부 케이스 (22) 의 단변을 따라 일정 거리 사이에 두고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부 케이스 (22) 에 배치된 지지체 (4a) 에 고정 접점 (5a) 이 매설되어 있다. 커먼 접점 (51a) 은, 접촉부 (511a) 가 돌출편 (423a) 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접촉부 (511a) 에 있어서의 돌출편 (423a) 의 상단부 근방에는, 전환 접점 (52a) 측에 오목부 (513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 (513a) 는, 후술하는 제 1 구동체 (9a) 의 지지점부 (92a) 를 수용하는 부분이다. 이 오목부 (513a) 에서 제 1 구동체 (9a) 의 지지점부 (92a) 를 수용함으로써, 접촉부 (511a) 는 제 1 구동체 (9) 를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전환 접점 (52a) 중에서 제 1 전환 접점 (521a) 은, 슬라이딩 접촉부 (523a) 가 돌출편 (421a) 의 상단부에서부터 측면부에 걸쳐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전환 접점 (522a) 은, 슬라이딩 접촉부 (525a) 가 돌출편 (421a) 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돌출편 (421a) 의 측면에는, 슬라이딩 접촉부 (523a) 와 슬라이딩 접촉부 (525a)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편 (424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연편 (424a) 은, 조작 부재 (6) 에 대한 가압 조작에 따라 상하 운동하는 가동 접점 (8a) 의 도통 상태를 일시적으로 차단시키는 부분이다. 이 절연편 (424a) 은, 슬라이딩 접촉부 (523a) 및 슬라이딩 접촉부 (525a) 와 동일 평면을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가동 접점 (8a) 의 접점부 (83a) 가 슬라이딩 접촉부 (523a), 슬라이딩 접촉부 (525a) 와의 사이에서 스무스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돌출편 (422a) 은 돌출편 (421a) 과 돌출편 (423a)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돌출편 (422a) 의 돌출편 (423a) 측 (커먼 접점 (51a) 측) 의 측면에는 오목부 (425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 (425a) 는, 후술하는 제 2 구동체 (11) 의 지지점부 (115a) 를 수용하는 부분이다. 이 오목부 (425a) 에서 제 2 구동체 (11) 의 지지점부 (115a) 를 수용함으로써, 돌출편 (422a) 은 제 2 구동체 (11) 를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오목부 (425a) 는, 커먼 접점 (51a) 에 형성된 오목부 (513a) 보다 하방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체 (4b) 에 매설된 고정 접점 (5b) 은, 지지체 (4a) 에 매설된 고정 접점 (5a) 과 마찬가지로 배치되어 있다. 또, 지지체 (4b) 의 돌출편 (423b) 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커먼 접점 (51b) 의 접촉부 (511b) 에도 마찬가지로 오목부 (513b)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 (4b) 의 돌출편 (422b) 에도 마찬가지로 오목부 (425b)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 (513b) 및 오목부 (425b) 의 역할에 대해서는, 각각 오목부 (513a) 및 오목부 (425a) 와 동일하다. 또한, 지지체 (4b) 및 고정 접점 (5b) 의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도, 지지체 (4a) 및 고정 접점 (5a) 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동체 부재 (90) 에 있어서, 제 1 구동체 (9a, 9b) 는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도체판으로 구성되고, 서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 1 구동체 (9a, 9b) 의 일단측에는 돌출편 (92a, 91b) 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편 (91a, 91b) 의 단부는, 그 내측 부분이 외측 부분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고, 이 내측 부분의 단면 (端面) 에 지지점부 (92a, 92b)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지지점부 (92a, 92b) 는, 상기 서술한 접촉부 (511a, 511b) 에 형성된 오목부 (513a, 513b) 에 맞닿아 제 1 구동체 (9a, 9b) 의 회동 지지점을 구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제 1 구동체 (9a, 9b) 의 측면부에는, 절결부 (93a, 93b)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결부 (93a, 93b) 는, 제 1 구동체 (9a, 9b) 의 하면에 설치되는 가동 접점 (8a, 8b) 의 위치 결정시에 이용된다. 이들 절결부 (93a, 93b) 의 측방측 부분, 및 절결부 (93a, 93b) 와 돌출편 (91a, 91b) 사이의 부분에는, 하방측으로 돌출 형성된 원형 돌출부 (94a, 94b) 가 형성되어 있다 (도 4(b)). 이들 원형 돌출부 (94a, 94b) 는, 가동 접점 (8a, 8b) 을 제 1 구동체 (9a, 9b) 의 하면에 설치할 때에 이용된다. 또한, 이들 원형 돌출부 (94a, 94b) 는, 제 1 구동체 (9a, 9b) 를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되며, 그 상면에는 대응하는 부분에 오목부 (95a, 95b)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구동체 (9b) 의 절결부 (93b) 의 반대측 측면부에는, 제 1 구동체 (9a) 와의 사이의 위치에서 돌출편 (91b) 과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보강 부재로서의 보강부 (96) 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부 (96) 의 선단은, 후술하는 가동 접점 (8a, 8b) 의 접점부 (83a, 83b) 보다 앞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그 선단부는 하방측으로 굴곡됨과 함께 T 자 형상을 갖는 걸어맞춤편 (96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편 (96a) 은, 걸어맞춤 수단의 일부로서 기능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제 2 구동체 (11) 의 걸어맞춤 오목부 (113) 와 걸어 맞추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보강부 (96) 의 기단부 근방에는 구멍 (96b)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 (96b) 은, 제 1 구동체 (9a, 9b) 의 중앙에 배치되어, 인장 스프링 (12) 의 일단이 설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보강부 (96) 에 형성된 구멍 (96b) 에 인장 스프링 (12) 의 일단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연결 부재 (10) 가 인장 스프링 (12)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변형되는 사태를 잘 발생시키지 않게 할 수 있고, 제 1 구동체 (9a, 9b) 에 형성된 가동 접점 (8a, 8b) 의 위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히, 제 1 구동체 (9b) 를 구성하는 도체판의 일부를 보강부로서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특별한 부재를 준비하지 않고 후술하는 연결 부재 (10) 를 보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연결 부재 (10) 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로는, 제 1 구동체 (9b) 와는 다른 부재를 이용해도 된다.
가동 접점 (8a, 8b) 은, 탄성을 갖는 박육의 판 형상 부재에 프레스 가공 및 절곡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가동 접점 (8a, 8b) 의 중앙 근방에는, 그 일방의 측면부에 절결부 (81a, 81b)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절결부 (81a, 81b) 근방에는 원형의 개구부 (82a, 82b) 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점 (8a, 8b) 은, 절결부 (81a, 81b) 를 제 1 구동체 (9a, 9b) 의 절결부 (93a, 93b) 에 대응시킴과 함께, 원형의 개구부 (82a, 82b) 에서 제 1 구동체 (9a, 9b) 의 원형 돌출부 (94a, 94b) 를 수용함으로써 제 1 구동체 (9a, 9b) 의 하면으로 위치가 결정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원형 돌출부 (94a, 94b) 를 코킹함으로써 가동 접점 (8a, 8b) 이 제 1 구동체 (9a, 9b) 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가동 접점 (8a, 8b) 을 제 1 구동체 (9a, 9b) 에 코킹함으로써 설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구동체 (9a, 9b) 와 가동 접점 (8a, 8b) 을 다른 재료로 구성할 수 있어, 제 1 구동체 (9a, 9b) 의 재료에 제한받지 않고, 가동 접점에 바람직한 재료로 가동 접점 (8a, 8b) 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가동 접점 (8a, 8b) 은, 제 1 구동체 (9a, 9b) 의 돌출편 (91a, 91b) 과 반대측의 단부측에 형성된다.
가동 접점 (8a, 8b) 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U 자 형상의 편을 1 쌍 갖고, 그 제 1 구동체 (9a, 9b) 측의 상단부로 연결된 클립 형상이며, 제 1 구동체 (9a, 9b) 와 반대측 각각의 선단에 접점부 (83a, 83b) 가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이들 접점부 (83a, 83b) 의 선단부는, 가동 접점 (8a, 8b) 의 상방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일정 거리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접점부 (83a, 83b) 사이에는 상술한 전환 접점 (52a, 52b) 이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접점부 (83a, 83b) 는, 전환 접점 (52a, 52b) 의 슬라이딩 접촉부 (523a, 523b, 525a, 525b) 에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가동 접점 (8a, 8b) 에서는 그 하방측 부분을 개방한 구성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 장치 (1) 에 가동 접점 (8a, 8b) 을 설치할 때에 전환 접점 (52a, 52b) 과 가동 접점 (8a, 8b) 의 접점부 (83a, 83b) 의 맞닿음에 의해 접점부 (83a, 83b) 가 파손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제 1 구동체 부재 (90) 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배치되는 제 1 구동체 (9a, 9b) 에 대해, 제 1 구동체 (9a, 9b) 의 일부 및 보강부 (96) 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하여 연결 부재 (10) 가 배치된다. 즉,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동체 (9a, 9b) 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 (8a, 8b) 의 접점부 (83a, 83b) 측 단부의 일부, 돌출편 (91a, 91b) 의 일부, 그리고 보강부 (96) 에 있어서의 걸어맞춤편 (96a) 을 포함하는 선단의 일부, 구멍 (96b) 근방의 일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연결 부재 (10) 가 배치된다. 연결 부재 (10) 는, 예를 들어 절연성 수지 재료에 의해 제 1 구동체 (9a, 9b) 및 가동 접점 (8a, 8b) 을 인서트 성형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가동 접점 (8a, 8b) 에 있어서는,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동체 (9a, 9b) 에 대한 설치 부분, 즉 원형 돌출부 (94a, 94b) 를 수용한 개구부 (82a, 82b) 근방이 연결 부재 (10) 에 매설되기 때문에, 강고하게 제 1 구동체 (9a, 9b) 의 하면에 고정되게 된다. 이 때문에, 가동 접점 (8a, 8b) 이 빠지거나 어긋나거나 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히, 제 1 구동체 부재 (90) 에 있어서는, 제 1 구동체 (9a, 9b) 와, 전환 접점 (52a, 52b) 의 슬라이딩 접촉부 (523a, 523b, 525a, 525b) 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가동 접점 (8a, 8b) 을 다른 재료로 구성하고 있다. 제 1 구동체 (9a, 9b) 의 재료는 가동 접점 (8a, 8b) 의 재료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구동체 부재 (90) 는 인장 스프링 (12) 을 유지하는 강성을 확보하면서, 슬라이딩 접촉부 (523a, 523b, 525a, 525b) 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가동 접점 (8a, 8b) 으로서의 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제 2 구동체 (11) 는, 예를 들어 금속 재료를 기계 가공하여 형성된다. 제 2 구동체 (11)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체로 장척 (長尺)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 2 구동체 (11) 의 일단측은 상방측으로 절곡되어 있고, 그 상단부에서 조작 부재 (6) 의 가압을 받는 피가압부 (111) 를 구성하고 있다. 이 피가압부 (111) 의 하방 부분에는 개구부 (112)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 (112) 는, 제 1 구동체 (9b) 의 보강부 (96) 의 구멍 (96b) 에 일단이 설치된 인장 스프링 (12) 의 타단이 설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개구부 (112) 에 설치된 인장 스프링 (12) 의 타단의 일부는, 피가압부 (111) 에 형성된 오목부 (111a) 에 의해 걸려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 2 구동체 (11) 는 금속 재료에 한정되지 않고, 강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제 2 구동체 (11) 에 있어서의 피가압부 (111) 와 반대측의 단부에는, 그 단면에 제 1 구동체 (9b) 의 보강부 (96) 의 걸어맞춤편 (96a) 과 걸어 맞춰지는 걸어맞춤 오목부 (11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 오목부 (113) 는, 걸어맞춤 수단의 일부로서 기능하는 것으로서, 걸어맞춤편 (96a) 의 T 자 형상의 아암부를 하방측에 배치함과 함께 그 기부를 수용함으로써 걸어 맞추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제 2 구동체 (11) 의 중앙에는, 그 측방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편 (114a, 114b)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출편 (114a, 114b) 에 있어서의 피가압부 (111) 의 반대측 단부측 (걸어맞춤 오목부 (113) 측의 단면) 에는 지지점부 (115a, 115b)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지지점부 (115a, 115b) 는, 상기 서술한 지지체 (4a, 4b) 의 돌출편 (422a, 422b) 에 형성된 오목부 (425a, 425b) 에 맞닿아, 제 2 구동체 (11) 의 회동 지지점을 구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에 있어서는, 이들 제 1 구동체 부재 (90) 와 제 2 구동체 (11) 를 일체화시켜 도 3 에 나타내는 상태의 하부 케이스 (22) 에 설치함으로써 스냅 액션 기구 (7) 가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 제 1 구동체 부재 (90) 와 제 2 구동체 (11) 를 일체화시킨 상태에 대하여 설명함과 함께, 일체화시킨 제 1 구동체 부재 (90) 및 제 2 구동체 (11) 를 도 3 에 나타내는 상태의 하부 케이스 (22) 에 설치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의 제 1 구동체 부재 (90) 와 제 2 구동체 (11) 를 일체화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 ~ 도 10 은 도 3 에 나타내는 상태의 하부 케이스 (22) 에 일체화시킨 제 1 구동체 부재 (90) 및 제 2 구동체 (11) 를 설치할 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동 도 (a)) 및 측단면도 (동 도 (b)) 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 (12) 의 일단은, 제 1 구동체 부재 (90) 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 (10) 로부터 노출된 보강부 (96) 의 구멍 (96b) 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인장 스프링 (12) 의 타단은, 제 2 구동체 (11) 의 개구부 (112) 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구동체 (11) 는, 제 1 구동체 부재 (90) 의 하방측에서 보강부 (96) 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 걸어맞춤 오목부 (113) 에서 보강부 (96) 의 걸어맞춤편 (96a) 의 일부를 수용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경우, 걸어맞춤편 (96a) 에 의해 제 2 구동체 (11) 의 일단측의 하방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인장 스프링 (12) 에 의해 제 2 구동체 (11) 의 타단측의 하방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제 2 구동체 (11) 가 제 1 구동체 부재 (90) 와 일체화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일체화된 상태의 제 1 구동체 부재 (90) 및 제 2 구동체 (11) 가 하부 케이스 (22) 에 설치된다. 이 경우, 제 1 구동체 부재 (90) 및 제 2 구동체 (11) 를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설치할 때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일체화된 제 1 구동체 부재 (90) 및 제 2 구동체 (11) 를 설치할 때에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제 2 구동체 (11) 의 돌출편 (114a, 114b) 을 지지체 (4a, 4b) 의 돌출편 (422a, 422b) 의 상면에 재치하도록 배치한다. 이 경우, 제 1 구동체 부재 (90) 및 제 2 구동체 (11) 는, 가동 접점 (8a, 8b) 각각의 접점부 (83a, 83b) 사이에 전환 접점 (52a, 52b) 이 수용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가동 접점 (8a, 8b) 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그 하방측 부분을 개방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환 접점 (52a, 52b) 과 가동 접점 (8a, 8b) 의 접점부 (83a, 83b) 의 맞닿음에 의해 접점부 (83a, 83b) 가 파손되는 경우는 없다. 가동 접점 (8a, 8b) 의 접점부 (83a, 83b) 는, 전환 접점 (52a, 52b) 의 슬라이딩 접촉부 (523a, 523b) 등에 슬라이딩 접촉한 상태가 된다. 또, 제 1 구동체 (9a, 9b) 의 돌출편 (91a, 91b) 은, 커먼 접점 (51a, 51b) 의 오목부 (513a, 513b) 의 약간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동체 (9a, 9b) 의 돌출편 (91a, 91b) 에 형성된 지지점부 (92a, 92b) 를 커먼 접점 (51a, 51b) 의 오목부 (513a, 513b) 에 맞닿게 한다. 그리고, 제 2 구동체 (11) 에 있어서의 도 9 에 나타내는 좌방측 단부를 인장 스프링 (12)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우방측으로 압입하여 걸어맞춤편 (96a) 과 걸어맞춤 오목부 (113) 의 걸어맞춤을 해제함과 함께, 제 2 구동체 (11) 의 돌출편 (114a, 114b) 을 지지체 (4a, 4b) 의 돌출편 (422a, 422b) 의 오목부 (425a, 425b) 측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구동체 (11) 의 돌출편 (114a, 114b) 의 지지점부 (115a, 115b) 를 지지체 (4a, 4b) 의 돌출편 (422a, 422b) 의 오목부 (425a, 425b) 에 맞닿게 한다. 이와 같이 지지점부 (115a, 115b) 를 오목부 (425a, 425b) 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손을 떼면, 인장 스프링 (12) 에 의해 서로 끌어당기는 탄성 지지력이 작용하는 제 1 구동체 부재 (90) 와 제 2 구동체 (11) 가, 각각 오목부 (513a, 513b) 에 맞닿는 지지점부 (92a, 92b), 및 오목부 (425a, 425b) 에 맞닿는 지지점부 (115a, 115b) 에서 회동할 수 있게 유지되게 된다. 스위치 장치 (1) 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하부 케이스 (22) 에 설치된 상태의 제 1 구동체 부재 (90), 제 2 구동체 (11) 및 인장 스프링 (12) 에 의해 스냅 액션 기구 (7) 가 구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와 같이 스냅 액션 기구 (7) 가 설치된 하부 케이스 (22) 의 구성에 대하여 도 10 을 참조하면서 도 11 ~ 도 13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 는 각각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에 있어서, 스냅 액션 기구 (7) 가 설치된 하부 케이스 (22) 의 사시도 및 상면도이다. 도 13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에 있어서, 스냅 액션 기구 (7) 가 설치된 하부 케이스 (22) 의 측면도이다. 도 13(a) 에서는 도 12 에 나타내는 우방측에서 본 측면을 나타내고, 도 13(b) 에서는 도 12 에 나타내는 좌방측에서 본 측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 (22) 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제 1 구동체 부재 (90) 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좌방측을 향하여 상향된 상태로 유지되는 한편, 제 2 구동체 (11) 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우방측을 향하여 상향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 1 구동체 부재 (90) 의 하면에 배치된 가동 접점 (8a, 8b) 은,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는 좌상방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접점부 (83a, 83b) 는, 전환 접점 (52a, 52b) 의 슬라이딩 접촉부 (523a, 523b) 에 슬라이딩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접점 (52a, 52b) 은, 제 1 구동체 부재 (90) 의 지지점부 (92a, 92b) 의 배치 위치로부터의 제 2 구동체 (11) 의 지지점부 (115a, 115b) 의 배치 위치보다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접점 (8a, 8b) 의 이동 거리를 많이 취할 수 있으므로, 접점 전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도 12 및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접점 (5a, 5b) (커먼 접점 (51a, 51b) 및 전환 접점 (52a, 52b)) 은, 하부 케이스 (22) 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구동체 부재 (90) 는, 제 1 구동체 (9a, 9b) 를 각각 고정 접점 (5a, 5b) 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함과 함께, 가동 접점 (8a, 8b) 을 각각 전환 접점 (52a, 52b) 을 사이에 두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또, 제 2 구동체 (11) 는, 제 1 구동체 부재 (90) 의 하방측으로서, 그 중앙 부분을 통과하도록 배치되고, 보강부 (96) 에 형성된 구멍 (96b) 과 인장 스프링 (12) 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스냅 액션 기구 (7) 가 설치된 하부 케이스 (22) 에 대해, 조작 부재 (6) 를 수납부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 (21) 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 (6) 는, 가압부 (61) 의 하면에 형성된 수용부 (611) 로 제 2 구동체 (11) 의 피가압부 (111) 를 수용함과 함께, 축부 (62) 를 개구부 (211) 에 삽입 통과시킨 상태에서 하우징 (2) 내의 수납부에 배치된다. 개구부 (211) 로부터 돌출된 축부 (62) 에는, 그 하단부에 형성된 외측 가장자리부가 홈부 (212) 에 설치된 커버 (3) 가 설치된다. 또한, 축부 (62) 의 상단부는, 커버 (3) 의 구멍 (31) 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상부 케이스 (21) 의 내벽면 (천장면) 의 소정 위치에는, 하방측으로 약간 돌출되는 돌출벽 (213a, 214a)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출벽 (213a, 214a) 은, 커먼 접점 (51a) 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인장 스프링 (12) 의 스프링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측에 커먼 접점 (51a) 과 인접하여 대향하여 형성된 돌출벽 (214a) 에 의해 커먼 접점 (51a) 이 넘어지는 것을 억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우징의 내벽면에 형성한 돌출벽 (213a, 214a) 에 의해 커먼 접점 (51a) 의 선단을 수용하기 때문에, 항상 인장 스프링 (12) 의 스프링 하중이 가해지는 커먼 접점 (51a) 이, 기판에 대한 단자의 고정 작업 등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열에서 기인하여 넘어지는 사태를 억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4 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부 케이스 (21) 의 내벽면 (천장면) 에는, 커먼 접점 (51b) 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벽 (213b, 214b) 도 형성되어 있다. 실시형태 1 에서는 돌출벽 (213a, 213b) 과 돌출벽 (214a, 214b) 을 형성하였지만, 인장 스프링 (12) 의 스프링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측의 돌출벽 (214a, 214b) 만이어도 된다.
또한, 상부 케이스 (21) 의 내벽면 (천장면) 으로서, 돌출벽 (213a) 보다 제 2 전환 접점 (52a) 측의 위치에는 돌출벽 (215)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벽 (215) 은 제 1 구동체 부재 (90) 의 연결 부재 (10) 의 상방측에 배치되어, 연결 부재 (10) 의 상면에 맞닿아 인장 스프링 (12) 의 스프링 하중에 의한 제 1 구동체 부재 (90) 의 상방측으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연결 부재 (10) 의 상면과 돌출벽 (215) 의 맞닿음에 의해 제 1 구동체 부재 (90) 의 상방측으로의 회동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소정 범위에서 제 1 구동체 부재 (90) 를 회동시킬 수 있어, 일정 위치 이상으로 제 1 구동체 부재 (90) 가 상방측으로 회동하여 가동 접점 (8) 등이 파손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돌출벽 (215) 은, 가동 접점 (8a, 8b)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가동 접점 (8a, 8b) 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2 개 형성되어도 되는 것이다.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피가압부 (111) 상에 배치된 조작 부재 (6) 로 가압 조작을 받아들이면, 피가압부 (111) 가 하방측으로 압입된다. 이에 따라, 제 2 구동체 (11) 는, 인장 스프링 (12)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지지점부 (115a, 115b) 를 회동 지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한다. 한편, 조작 부재 (6) 에 대한 가압 조작이 해제되면, 인장 스프링 (12) 의 탄성 지지력에 따라, 지지점부 (115a, 115b) 를 회동 지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경우, 제 1 구동체 부재 (90) 는, 제 2 구동체 (11) 의 회동 위치에 따라 지지점부 (92a, 92b) 를 회동 지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C, D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에 있어서의 조작 부재 (6) 에 대한 가압 조작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 ~ 도 17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에 있어서의 가압 조작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15 ~ 도 17 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부 케이스 (21), 커버 (3) 및 조작 부재 (6) 를 생략하고 있다.
조작 부재 (6) 에 가압 조작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 (초기 상태) 에 있어서는, 스위치 장치 (1) 는, 도 10 및 도 14 에 나타내는 상태로 되어 있어, 가동 접점 (8a, 8b) 은,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는 좌상방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접점부 (83a, 83b) 는, 전환 접점 (52a, 52b) 의 슬라이딩 접촉부 (523a, 523b) 를 사이에 두고 슬라이딩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노멀 클로즈 접점으로서의 제 1 전환 접점 (521a, 521b) 과, 커먼 접점 (51a, 51b) 을 갖는 회로가 도통된 상태로 되어 있다.
조작 부재 (6) 로 가압 조작을 받아들여 피가압부 (111) 가 하방측으로 압입되면,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 (12)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제 2 구동체 (11) 가 지지점부 (115a, 115b) 를 회동 지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해 간다. 그러나, 소정의 한계 위치까지 제 2 구동체 (11) 가 회동할 때까지는, 제 1 구동체 부재 (90) 는, 초기 위치 (도 10 및 도 14 에 나타내는 위치) 에 정지된 채의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접점 (8a, 8b) 의 접점부 (83a, 83b) 는, 슬라이딩 접촉부 (523a, 523b) 에 슬라이딩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도 15 에 있어서는, 소정의 한계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의 제 2 구동체 (11) 의 상태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소정의 한계 위치까지 제 2 구동체 (11) 가 회동하면, 제 1 구동체 부재 (90) 및 제 2 구동체 (11) 에 작용하는 인장 스프링 (12) 의 탄성 지지력의 방향이 반전되어, 제 1 구동체 부재 (90) 가 하방측으로 끌려가,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순식간에 제 1 구동체 부재 (90) 가 지지점부 (92a, 92b) 를 회동 지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C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경우, 가동 접점 (8a, 8b) 의 접점부 (83a, 83b) 는, 절연편 (424b) 을 통과하여 슬라이딩 접촉부 (525a, 525b) 에 슬라이딩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로써, 노멀 오픈 접점으로서의 제 2 전환 접점 (522a, 522b) 과, 커먼 접점 (51a, 51b) 을 갖는 회로가 도통된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가동 접점 (8a, 8b) 은, 연결 부재 (10) 에 의해 연결된 제 1 구동체 (9a, 9b) 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타이밍에 전환 접점 (52a, 52b) 상을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딩 접촉부 (525a, 525b) 에 슬라이딩 접촉하게 된다.
한편, 조작 부재 (6) 에 대한 가압 조작이 해제되면,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 (12) 의 탄성 지지력에 따라, 지지점부 (115a, 115b) 를 회동 지지점으로 하여 제 2 구동체 (11) 가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해 간다. 그러나, 소정의 한계 위치까지 제 2 구동체 (11) 가 회동할 때까지는, 제 1 구동체 부재 (90) 는, 도 16 에 나타내는 위치에 정지된 채의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접점 (8a, 8b) 의 접점부 (83a, 83b) 는, 슬라이딩 접촉부 (525a, 525b) 에 슬라이딩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도 17 에 있어서는, 소정의 한계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의 제 2 구동체 (11) 의 상태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소정의 한계 위치까지 제 2 구동체 (11) 가 회동하면, 제 1 구동체 부재 (90) 및 제 2 구동체 (11) 에 작용하는 인장 스프링 (12) 의 탄성 지지력의 방향이 반전되어, 인장 스프링 (12) 을 개재하여 제 1 구동체 부재 (90) 가 상방측으로 끌려가, 순간적으로 제 1 구동체 부재 (90) 가 지지점부 (92a, 92b) 를 회동 지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D 방향으로 회동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도 14 참조). 이 경우, 가동 접점 (8a, 8b) 의 접점부 (83a, 83b) 는, 절연편 (424b) 을 통과하여 슬라이딩 접촉부 (523a, 523b) 에 슬라이딩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로써, 노멀 클로즈 접점으로서의 제 1 전환 접점 (521a, 521b) 과, 커먼 접점 (51a, 51b) 을 갖는 회로가 도통된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가동 접점 (8a, 8b) 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타이밍에 전환 접점 (52a, 52b) 상을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딩 접촉부 (523a, 523b) 에 슬라이딩 접촉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에 의하면, 가동 접점 (8a, 8b) 이 형성된 제 1 구동체 부재 (90) 를 구동시키는 스냅 액션 기구 (7) 를 구비했기 때문에, 조작 부재 (6) 가 소정의 한계 위치까지 가압되면, 인장 스프링 (12)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된 제 1 구동체 (9a, 9b) 에 형성된 가동 접점 (8a, 8b) 을 순식간에 구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복수 회로를 동기시켜 전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회로 전환의 동기 타이밍의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에 있어서는, 연결 부재 (10) 로부터 노출된 보강부 (96) 에 형성된 구멍 (96b) 에 인장 스프링 (12) 의 일단을 설치하고, 인장 스프링 (12)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연결 부재 (10) 가 변형되는 사태가 잘 발생하지 않게 하고 있기 때문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제 1 구동체 (9a, 9b) 에 형성된 가동 접점 (8a, 8b) 의 위치 정밀도를 확보하여 적절한 타이밍에 복수 회로를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에 있어서는, 제 1 구동체 (9a, 9b) 에 대한 가동 접점 (8a, 8b) 의 설치 부분을 연결 부재 (10) 에 매설하고, 가동 접점 (8a, 8b) 을 강고하게 제 1 구동체 (9a, 9b) 에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가동 접점 (8a, 8b) 이 빠지거나 어긋나거나 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고, 일체적으로 연결된 제 1 구동체 (9a, 9b) 에 형성된 가동 접점 (8a, 8b) 의 위치 정밀도를 확보하여 적절한 타이밍에 복수 회로를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에 있어서는, 인장 스프링 (12) 을 제 1 구동체 (9a) 와 제 1 구동체 (9b) 사이의 위치에서 제 2 구동체 (11) 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구동체 (9a, 9b) 에 형성된 가동 접점 (8a, 8b) 을 동일한 인장 스프링 (12)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회로 전환의 동기 타이밍의 편차를 보다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형태 2)
도 19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9 에 나타내는 스위치 장치 (100) 에 있어서,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와 마찬가지로, 하우징 (2), 커버 (3), 지지체 (4), 고정 접점 (5), 조작 부재 (6) 및 스냅 액션 기구 (7) 를 구비하고 있다.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를 설치한 경우의 구성에 대해서도,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와 마찬가지로, 상자 형상의 하우징 (2) 상면의 일부로부터 후술하는 조작 부재 (6) 의 일부를 돌출시켜, 당해 돌출 부분에서 조작자 등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 (2) 으로부터 돌출된 조작 부재 (6) 의 일부에는, 하우징 (2) 내로의 먼지나 물 등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 (3) 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참조).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에 있어서는, 대체로 지지체 (4a, 4b), 고정 접점 (5) (제 2 전환 접점 (522a, 522b)) 및 제 1 구동체 부재 (90) 의 구성에 있어서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와 상이하다. 이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의 주요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 은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에 있어서의 지지체 (4) 및 고정 접점 (5) 이 고정된 하부 케이스 (22) 의 사시도이다. 도 21 및 도 22 는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가 갖는 제 1 구동체 부재 (90) 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1 에 있어서는 제 1 구동체 부재 (90) 로부터 연결 부재 (10) 를 생략하고 있다. 도 23 은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가 갖는 제 2 구동체 (11) 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0 ~ 도 23 에 있어서, 도 3 ~ 도 6 에 나타내는 구성과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지지체 (4a, 4b) 에 있어서는, 돌출편 (423a, 423b) 에, 각각 후술하는 제 2 구동체 (11) 의 제 1 재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426a, 426b) 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지지체 (4a, 4b) 와 상이하다. 또, 돌출편 (422a, 422b) 의 상면이, 후술하는 제 2 구동체 (11) 의 제 2 재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점에서,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지지체 (4a, 4b) 와 상이하다. 또한, 돌출편 (422a, 422b) 의 외측 (측방측) 에, 스냅 액션 기구 (7) 를 설치할 때에 제 1 구동 부재 (90) 의 연결 부재 (10) 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벽부 (427a, 427b) 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지지체 (4a, 4b) 와 상이하다.
이들 지지벽부 (427a, 427b) 는, 스냅 액션 기구 (7) 를 설치할 때에 후술하는 연결 부재 (10) 의 가이드부 (10c, 10d) 를 안내하는 기능을 함과 함께, 인장 스프링 (12) 의 스프링 하중에 의한 제 1 구동체 부재 (90) 의 하방측으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연결 부재 (10) 의 하면과 지지벽부 (427a, 427b) 의 맞닿음에 의해 제 1 구동체 부재 (90) 의 하방측으로의 회동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소정 범위에서 제 1 구동체 부재 (90) 를 회동시킬 수 있어, 일정 위치 이상으로 제 1 구동체 부재 (90) 가 하방측으로 회동하여 가동 접점 (8) 등이 파손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지지부 (426a, 426b) 의 상면에 완충재를 부가하는 것은 실시형태로서 바람직하다.
또,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고정 접점 (5) (제 2 전환 접점 (522a, 522b)) 에 있어서는, 돌출편 (421a, 421b) 으로부터 돌출편 (422a, 422b) 측으로 노출된 슬라이딩 접촉부 (525a, 525b) 의 측면에, 스냅 액션 기구 (7) 를 조립할 때에 제 2 구동체 (11) 의 지지점부 (115a, 115b) 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허용부로서의 오목부 (527a, 527b) 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슬라이딩 접촉부 (525a, 525b) 와 상이하다.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제 1 구동체 부재 (90) 에 있어서는, 도 21(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부 (96) 에 걸어맞춤편 (96a) 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그 선단부가 가동 접점 (8a, 8b) 의 접점부 (83a, 83b) 와 동일 정도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점에서,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제 1 구동체 부재 (90) 와 상이하다. 또한,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제 1 구동체 (9a, 9b) 에 있어서는, 절결부 (93a, 93b) 의 형상 등,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제 1 구동체 (9a, 9b) 와의 상이점이 존재하지만, 실질적인 상이는 아니다.
또,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제 1 구동체 부재 (90) 에 있어서는, 도 2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 (10) 에 있어서의 돌출편 (91a, 91b) 측의 단부 상면에 회동 규제부로서의 맞닿음편 (10a, 10b) 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제 1 구동체 부재 (90) 와 상이하다. 이들 맞닿음편 (10a, 10b) 은, 스냅 액션 기구 (7) 를 조립할 때에, 인장 스프링 (12) 의 스프링 하중에 의한 회동을 커먼 접점 (51a, 51b) 의 접촉부 (511a, 511b) 와 맞닿게 하여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에 있어서는, 제 1 구동체 부재 (90) 의 맞닿음편 (10a, 10b) 과 커먼 접점 (51a, 51b) 의 맞닿음에 의해 제 1 구동체 부재 (90) 의 회동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작업 과정에서 제 1 구동체 부재 (90) 와 제 2 구동체 (11) 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조립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제 1 구동체 부재 (90) 에 있어서는, 도 2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 (10) 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 (8a, 8b) 의 접점부 (83a, 83b) 측의 단부 하면에 가이드부 (10c, 10d) 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제 1 구동체 부재 (90) 와 상이하다. 이들 가이드부 (10c, 10d) 는, 스냅 액션 기구 (7) 를 조립할 때에, 지지벽부 (427a, 427b) 와 슬라이딩 접촉하여 제 1 구동체 부재 (90) 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제 2 구동체 (11) 에 있어서는,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구동체 (11) 의 돌출부 (114a, 114b) 가, 그 측방측 단부에서 굴곡된 형상을 갖고, 그 굴곡된 부분의 선단에 지지점부 (115a, 115b) 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제 1 구동체 부재 (90) 와 상이하다. 이들 지지점부 (115a, 115b) 와 제 2 구동체 (11) 의 본체부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부 (116a, 116b)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공간부 (116a, 116b) 는, 스냅 액션 기구 (7) 를 조립할 때에, 가동 접점 (8a, 8b) 의 내측의 접점부 (83a, 83b) 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제 2 구동체 (11) 에 있어서, 돌출부 (114a, 114b) 의 일부는, 스냅 액션 기구 (7) 를 조립할 때에, 제 2 구동체 (11) 의 제 2 재치부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에 있어서는, 제 2 구동체 (11) 를 재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제 2 재치부의 일부에 지지점부 (115a, 115b) 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당해 제 2 재치부에 지지점부 (115a, 115b) 로서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어, 제 2 구동체 (11) 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제 2 구동체 (11) 에 있어서는, 제 2 구동체 (11) 에 걸어맞춤 오목부 (113) 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이 걸어맞춤 오목부 (113) 대신에 하방측으로 돌출되는 맞닿음편 (117) 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제 1 구동체 부재 (90) 와 상이하다. 이 맞닿음편 (117) 은 스냅 액션 기구 (7) 를 조립할 때에, 인장 스프링 (12) 의 스프링 하중에 의한 회동을 하우징 (2) 의 하부 케이스 (22) 와 맞닿게 하여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에 있어서는, 제 2 구동체 (11) 의 맞닿음편 (117) 과 하부 케이스 (22) 의 맞닿음에 의해 제 2 구동체 (11) 의 회동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작업 과정에서 제 1 구동체 부재 (90) 와 제 2 구동체 (11) 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조립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제 2 구동체 (11) 에 있어서는, 제 2 구동체 (11) 의 개구부 (112) 근방에 측방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편 (118a, 118b)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출편 (118a, 118b) 은, 피가압부 (111) 보다 약간 측방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제 2 구동체 (11) 의 제 1 재치부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에 있어서는, 커먼 접점 (51a, 51b) 측의 제 1 재치부와, 전환 접점 (52a, 52b) 측의 제 2 재치부로 재치부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지지체 (4a, 4b) 의 지지부 (426a, 426b), 및 돌출편 (422a, 422b) 의 상면에 재치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특히, 제 2 재치부를 구성하는 돌출편 (114a, 114b) 을 커먼 접점 (51a, 51b) 으로부터 전환 접점 (52a, 52b) 을 향한 방향에서 제 1 재치부보다 길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체 (4a, 4b) 의 지지부 (426a, 426b), 및 돌출편 (422a, 422b) 의 상면에 제 2 구동체 (11) 를 지지하게 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제 2 구동체 (11) 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실시형태 1 과의 상이점을 갖는 제 1 구동체 부재 (90) 및 제 2 구동체 (11) 를, 도 20 에 나타내는 상태의 하부 케이스 (22) 에 설치함으로써 스냅 액션 기구가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에 있어서는, 제 1 구동체 부재 (90) 및 제 2 구동체 (11) 를 각각 하부 케이스 (22) 에 설치하는 점에서, 이들을 일체화시킨 후에 하부 케이스 (22) 에 설치하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와 상이하다.
이하,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에 있어서, 제 1 구동체 부재 (90) 및 제 2 구동체 (11) 를, 도 20 에 나타내는 상태의 하부 케이스 (22) 에 설치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 ~ 도 27 은 도 20 에 나타내는 상태의 하부 케이스 (22) 에 제 1 구동체 부재 (90) 및 제 2 구동체 (11) 를 설치할 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동 도 (a) 및 측단면도 (동 도 (b)) 이다.
도 20 에 나타내는 상태의 하부 케이스 (22) 에 제 1 구동체 부재 (90) 및 제 2 구동체 (11) 를 설치할 때에는, 먼저,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체 (4a, 4b) 에 제 2 구동체 (11) 를 재치함과 함께, 제 1 구동체 부재 (90) 를 재치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 2 구동체 (11) 는, 제 2 재치부로서 기능하는 돌출편 (114a, 114b) 이 돌출편 (422a, 422b) 의 상면에 재치됨과 함께, 제 1 재치부로서 기능하는 돌출편 (118a, 118b) 이 지지부 (426a, 426b) 의 상면에 재치된다. 또, 제 2 구동체 (11) 는, 지지점부 (115a, 115b) 의 선단이, 제 2 전환 접점 (522a, 522b) 에 형성된 허용부로서의 오목부 (527a, 527b) 에 수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제 2 구동체 (11) 의 공간부 (116a, 116b) 는, 가동 접점 (8a, 8b) 의 내측의 접점부 (83a, 83b) 를 수용한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제 1 구동체 부재 (90) 는, 이와 같이 하부 케이스 (22) 에 재치된 제 2 구동체 (11) 에 대하여 평행하게 재치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 1 구동체 부재 (90) 는, 지지점부 (92a, 92b) 가 커먼 접점 (51a, 51b) 에 형성된 오목부 (513a, 513b) 에 수용된 상태로 배치됨과 함께, 가이드부 (10c, 10d) 가 지지부 (426a, 426b) 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배치된 제 1 구동체 부재 (90) 와 제 2 구동체 (11) 에 인장 스프링 (12) 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구동체 부재 (90) 를 구성하는 보강 부재 (96) 의 구멍 (96b) 에 인장 스프링 (12) 의 일단이 걸려 고정되는 한편, 제 2 구동체 (11) 의 개구부 (112) 에 인장 스프링 (12) 의 타단이 걸려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인장 스프링 (12) 은, 제 2 구동체 (11) 에 중첩된 제 1 구동체 부재 (90) 의 상방측으로부터 설치된다. 즉, 인장 스프링 (12) 은, 제 1 구동체 부재 (90) 와 제 2 구동체 (11) 가 평행하게 된 상태에서 설치되기 때문에, 이들을 소정 상태로 유지하는 지그 등을 별도로 준비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으므로, 스냅 액션 기구 (7) 의 조립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4 에 있어서는, 인장 스프링 (24) 을 설치하기 전의 상태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24 에 나타내는 상태의 제 1 구동체 부재 (90) 및 제 2 구동체 (11) 에 인장 스프링 (12) 을 설치한 후,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동체 부재 (90) 를 손으로 하방측으로 누르면서, 인장 스프링 (12)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제 2 구동체 (11) 를 커먼 접점 (51a, 51b) 측, 즉 동 도면에 나타내는 화살표 E 방향으로 압입한다. 이 경우, 제 1 구동체 부재 (90) 는, 지지점부 (92a, 92b) 가 오목부 (513a, 513b) 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도 24 에 나타내는 상태를 유지하여 제 2 구동체 (11) 만이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제 2 구동체 (11) 는, 돌출편 (114a, 114b) 이, 돌출편 (422a, 422b) 의 상면에 슬라이딩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한다. 제 2 구동체 (11) 가 화살표 E 방향으로 이동하면, 지지점부 (115a, 115b) 가 오목부 (527a, 527b) 로부터 나와, 도 25 에 나타내는 우방측으로 퇴피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돌출편 (114a, 114b) 이 돌출편 (422a, 422b) 의 상면보다 도 25 에 나타내는 우방측으로 도달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제 2 구동체 (11) 의 맞닿음편 (117) 의 단부를 하방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인장 스프링 (12) 의 탄성 지지력에 따라 약간 제 2 구동체 (11) 를 도 25 에 나타내는 좌방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제 2 구동체 (11) 의 맞닿음편 (117) 의 단부를 하방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제 2 구동체 (11) 의 지지점부 (115a, 115b) 가 돌출편 (422a, 422b) 의 오목부 (425a, 425b) 에 배치된 상태가 된다 (도 26(b) 참조). 이 때, 제 2 구동체 (11) 는, 그 우방측 단부가 약간 상방측으로 연장된 상태로 되어 있고, 인장 스프링 (12) 의 우방측 단부도 약간 상방측으로 연장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26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제 1 구동체 부재 (90) 를 누르고 있던 손을 떼면, 인장 스프링 (12)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제 1 구동체 부재 (90) 의 좌방측 부분이 들어올려진다. 이 경우, 제 1 구동체 부재 (90) 는, 도 2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 (10) 의 상면에 형성된 맞닿음편 (10a, 10b) 이 커먼 접점 (51a, 51b) 의 접점부 (511a, 511b) 에 맞닿는 위치까지 들어올려지고, 맞닿은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가 된다. 제 2 구동체 (11) 는, 도 2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닿음편 (117) 이 하부 케이스 (22) 의 하면에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어, 이 이상의 제 2 구동체 (11) 의 회동을 규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맞닿음편 (10a, 10b) 에 의해 제 1 구동체 부재 (90) 의 회동이 규제되고, 맞닿음편 (117) 에 의해 제 2 구동체 (11) 의 회동이 규제되게 되어, 조립 작업 과정에서 제 1 구동체 부재 (90) 와 제 2 구동체 (11) 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때, 제 1 구동체 부재 (90) 는, 그 좌방측 단부가 약간 상방측으로 연장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제 1 구동체 부재 (90) 가 도 27 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면, 인장 스프링 (12) 에 의해 서로 끌어당기는 탄성 지지력이 작용하는 제 1 구동체 부재 (90) 와 제 2 구동체 (11) 가, 각각 오목부 (513a, 513b) 에 맞닿는 지지점부 (92a, 92b), 및, 오목부 (425a, 425b) 에 맞닿는 지지점부 (115a, 115b) 에서 회동할 수 있게 유지되게 된다.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하부 케이스 (22) 에 설치된 상태의 제 1 구동체 부재 (90), 제 2 구동체 (11) 및 인장 스프링 (12) 에 의해 스냅 액션 기구 (7) 가 구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가 갖는 스냅 액션 기구 (7) 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는, 지지체 (4a, 4b) 에 제 2 구동체 (11) 및 제 1 구동체 부재 (90) 를 재치하여 양자에 인장 스프링 (12) 을 설치한 후, 제 2 구동체 (11) 의 지지점부 (115a, 115b) 를 돌출편 (422a, 422b) 의 오목부 (425a, 425b) 에 배치하는 것만으로, 하우징 (2) 의 소정 위치에 제 1 구동체 부재 (90) 및 제 2 구동체 (11) 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번잡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하게 스냅 액션 기구 (7) 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이와 같이 스냅 액션 기구 (7) 가 설치된 하부 케이스 (22) 의 구성에 대하여 도 27 을 참조하면서 도 28 ~ 도 30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8 및 도 29 는 각각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에 있어서, 스냅 액션 기구 (7) 가 설치된 하부 케이스 (22) 의 사시도 및 상면도이다. 도 30 은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에 있어서, 스냅 액션 기구 (7) 가 설치된 하부 케이스 (22) 의 측면도이다. 도 30(a) 에 있어서는 도 29 에 나타내는 우방측에서 본 측면을 나타내고, 도 30(b) 에 있어서는 도 29 에 나타내는 좌방측에서 본 측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7 및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 (22) 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제 1 구동체 부재 (90) 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좌방측을 향하여 상향된 상태로 유지되는 한편, 제 2 구동체 (11) 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우방측을 향하여 상향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제 1 구동체 부재 (90) 의 하면에 배치된 가동 접점 (8a, 8b) 은, 도 27 및 도 28 에 나타내는 좌상방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접점부 (83a, 83b) 는, 전환 접점 (52a, 52b) 의 슬라이딩 접촉부 (523a, 523b) 에 슬라이딩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제 1 구동체 부재 (90) 의 상면에 형성된 맞닿음편 (10a, 10b) 이 커먼 접점 (51a, 51b) 에 맞닿아 제 1 구동체 부재 (90) 의 회동을 규제하고, 제 2 구동체 (11) 의 맞닿음편 (117) 이 하부 케이스 (22) 의 상면에 맞닿아 제 2 구동체 (11) 의 회동을 규제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도 29 및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접점 (5a, 5b) (커먼 접점 (51a, 51b) 및 전환 접점 (52a, 52b)) 은, 하부 케이스 (22) 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구동체 부재 (90) 는, 제 1 구동체 (9a, 9b) 를 각각 고정 접점 (5a, 5b) 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함과 함께, 가동 접점 (8a, 8b) 을 각각 전환 접점 (52a, 52b) 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또, 제 2 구동체 (11) 는 제 1 구동체 부재 (90) 의 하방측으로서, 그 중앙 부분을 통과하도록 배치되고, 보강부 (96) 에 형성된 구멍 (96b) 과 인장 스프링 (12) 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스냅 액션 기구 (7) 가 설치된 하부 케이스 (22) 에 대해, 조작 부재 (6) 를 수납부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 (21) 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1 은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3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 (6) 는, 가압부 (61) 의 하면에 형성된 수용부 (611) 로 제 2 구동체 (11) 의 피가압부 (111) 를 수용함과 함께, 축부 (62) 를 개구부 (211) 에 삽입 통과시킨 상태에서 하우징 (2) 내의 수납부에 배치된다. 개구부 (211) 로부터 돌출된 축부 (62) 에는, 그 하단부에 형성된 외측 가장자리부가 홈부 (212) 에 설치된 커버 (3) 가 설치된다. 또한, 축부 (62) 의 상단부는, 커버 (3) 의 구멍 (31) 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상부 케이스 (21) 의 내벽면 (천장면) 의 소정 위치에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와 마찬가지로, 돌출벽 (215)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벽 (215) 은, 제 1 구동체 부재 (90) 의 연결 부재 (10) 의 상방측에 배치되어, 초기 상태의 제 1 구동체 부재 (90) 의 상면 (연결 부재 (10) 의 상면) 에 맞닿아 제 1 구동체 부재 (90) 의 회동의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또한,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와 달리, 상부 케이스 (21) 의 내벽면에 돌출벽 (213a, 214a) 이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이들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피가압부 (111) 상에 배치된 조작 부재 (6) 로 가압 조작을 받아들이면,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 와 동일한 요령으로 동작한다. 즉, 피가압부 (111) 가 하방측으로 압입됨에 따라, 제 2 구동체 (11) 는, 인장 스프링 (12)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지지점부 (115a, 115b) 를 회동 지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한다. 한편, 조작 부재 (6) 에 대한 가압 조작이 해제되면, 인장 스프링 (12) 의 탄성 지지력에 따라, 지지점부 (115a, 115b) 를 회동 지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경우, 제 1 구동체 부재 (90) 는, 제 2 구동체 (11) 의 회동 위치에 따라 지지점부 (92a, 92b) 를 회동 지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C, D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하,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에 있어서의 조작 부재 (6) 에 대한 가압 조작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2 및 도 33 은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에 있어서의 가압 조작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32 및 도 33 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부 케이스 (21), 커버 (3) 및 조작 부재 (6) 를 생략하고 있다.
조작 부재 (6) 에 가압 조작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 (초기 상태) 에 있어서는, 스위치 장치 (100) 는, 도 32 에 나타내는 상태로 되어 있어, 가동 접점 (8a, 8b) 은, 도 32 에 나타내는 좌상방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접점부 (83a, 83b) 는, 전환 접점 (52a, 52b) 의 슬라이딩 접촉부 (523a, 523b) 를 사이에 두고 슬라이딩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노멀 클로즈 접점으로서의 제 1 전환 접점 (521a, 521b) 과, 커먼 접점 (51a, 51b) 을 갖는 회로가 도통된 상태로 되어 있다.
조작 부재 (6) 로 가압 조작을 받아들여 피가압부 (111) 가 하방측으로 압입되면, 인장 스프링 (12)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제 2 구동체 (11) 가 지지점부 (115a, 115b) 를 회동 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해 간다. 그러나, 소정의 한계 위치까지 제 2 구동체 (11) 가 회동할 때까지는, 제 1 구동체 부재 (90) 는, 초기 위치 (도 32 에 나타내는 위치) 에 정지된 채의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접점 (8a, 8b) 의 접점부 (83a, 83b) 는, 슬라이딩 접촉부 (523a, 523b) 에 슬라이딩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소정의 한계 위치까지 제 2 구동체 (11) 가 회동하면, 제 1 구동체 부재 (90) 및 제 2 구동체 (11) 에 작용하는 인장 스프링 (12) 의 탄성 지지력의 방향이 반전되어, 제 1 구동체 부재 (90) 가 하방측으로 끌려가, 도 3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순식간에 제 1 구동체 부재 (90) 가 지지점부 (92a, 92b) 를 회동 지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C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경우, 가동 접점 (8a, 8b) 의 접점부 (83a, 83b) 는, 절연편 (424b) 을 통과하여 슬라이딩 접촉부 (525a, 525b) 에 슬라이딩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로써, 노멀 오픈 접점으로서의 제 2 전환 접점 (522a, 522b) 과, 커먼 접점 (51a, 51b) 을 갖는 회로가 도통된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가동 접점 (8a, 8b) 은, 연결 부재 (10) 에 의해 연결된 제 1 구동체 (9a, 9b) 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타이밍에 전환 접점 (52a, 52b) 상을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딩 접촉부 (525a, 525b) 에 슬라이딩 접촉하게 된다.
한편, 조작 부재 (6) 에 대한 가압 조작이 해제되면, 인장 스프링 (12) 의 탄성 지지력에 따라, 지지점부 (115a, 115b) 를 회동 지지점으로 하여 제 2 구동체 (11) 가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해 간다. 그러나, 소정의 한계 위치까지 제 2 구동체 (11) 가 회동할 때까지는, 제 1 구동체 부재 (90) 는, 도 33 에 나타내는 위치에 정지된 채의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접점 (8a, 8b) 의 접점부 (83a, 83b) 는, 슬라이딩 접촉부 (525a, 525b) 에 슬라이딩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소정의 한계 위치까지 제 2 구동체 (11) 가 회동하면, 제 1 구동체 부재 (90) 및 제 2 구동체 (11) 에 작용하는 인장 스프링 (12) 의 탄성 지지력의 방향이 반전되어, 인장 스프링 (12) 을 개재하여 제 1 구동체 부재 (90) 가 상방측으로 끌려가, 순식간에 제 1 구동체 부재 (90) 가 지지점부 (92a, 92b) 를 회동 지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D 방향으로 회동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도 32 참조). 이 경우, 가동 접점 (8a, 8b) 의 접점부 (83a, 83b) 는, 절연편 (424b) 을 통과하여 슬라이딩 접촉부 (523a, 523b) 에 슬라이딩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로써, 노멀 클로즈 접점으로서의 제 1 전환 접점 (521a, 521b) 과, 커먼 접점 (51a, 51b) 을 갖는 회로가 도통된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가동 접점 (8a, 8b) 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타이밍에 전환 접점 (52a, 52b) 상을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딩 접촉부 (523a, 523b) 에 슬라이딩 접촉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 (100) 에 의하면, 가동 접점 (8a, 8b) 이 형성된 제 1 구동체 부재 (90) 를 구동시키는 스냅 액션 기구 (7) 를 구비했기 때문에, 조작 부재 (6) 가 소정의 한계 위치까지 가압되면, 인장 스프링 (12)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된 제 1 구동체 (9a, 9b) 에 형성된 가동 접점 (8a, 8b) 을 순식간에 구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복수 회로를 동기시켜 전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회로 전환의 동기 타이밍의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크기나 형상 등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목적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구동체 부재 (90) 에 있어서, 2 개의 제 1 구동체 (9a, 9b) 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제 1 구동체 (9) 의 개수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환 대상이 되는 회로의 수량에 따라 3 개 이상의 제 1 구동체 (9) 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제 1 구동체 (9) 의 개수에 따른 개수의 가동 접점 (8) 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제 1 구동체 (9) 의 개수를 늘린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구동체 (9a, 9b) 에 가동 접점 (8a, 8b) 을 설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가동 접점 (8a, 8b) 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구동체 (9a, 9b) 에 가동 접점 (8a, 8b) 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 1 구동체 (9a, 9b) 에 가동 접점 (8a, 8b) 을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동체 (9a, 9b) 에 고정된 가동 접점 (8a, 8b) 의 고정면에서 접점부 (83a, 83b) 가 형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제 1 구동체 (9a, 9b) 에 고정되는 가동 접점 (8a, 8b) 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동체 (9a) 에 고정되는 가동 접점 (8a) 의 고정면의 일단으로부터 측방측으로 연장되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L 자 형상의 측면부 (84a) 를 형성하고, 이 측면부 (84a) 의 선단에 측면에서 봤을 때에 U 자 형상의 1 쌍의 편 중 U 자 형상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접점부 (83a) 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가동 접점 (8a) 은 소위 캔틸레버 형상으로 제 1 구동체 (9a) 에 고정되게 되어, 접점부 (8a) 를 약간 도 18 에 나타내는 화살표 F, G 방향으로 구성되는 것이 된다. 이로써, 만일 인접하는 전환 접점 (52a) 의 위치가 어긋난 경우에 있어서도, 그 어긋남에 따라 접점부 (83a) 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전환 접점 (52a) 에 형성된 슬라이딩 접촉부 (523a, 525a) 를 사이에 두고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를 포함하여 가동 접점은 전환 접점과, 소위 양면 슬라이딩 접촉하는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편면 슬라이딩 접촉하는 형상이어도 된다. 또, 인접하는 전환 접점 (52a) 의 위치 어긋남에 대응하는 양태로는, 제 1 구동체 (9a, 9b) 에 대해 가동 접점 (8a, 8b) 을 설치할 때에 여유를 갖게 하여 코킹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특별한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인접하는 전환 접점 (52a) 의 위치 어긋남에 대응하여 접점부 (83a) 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전환 접점 (52a) 에 형성된 슬라이딩 접촉부 (523a, 525a) 를 사이에 끼우고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구동체 (9a, 9b) 를 연결 부재 (10) 에 의해 연결하여 구성된 제 1 구동체 부재 (90) 와, 제 2 구동체 (11) 를 갖는 스냅 액션 기구 (7) 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련된 스냅 액션 기구 (7) 의 조립 방법에 대해서는, 이들 구성 부품을 갖는 스냅 액션 기구 (7) 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 단일의 제 1 구동체 (9) 와, 제 2 구동체 (11) 를 갖는 스냅 액션 기구 (7) 나 클립 형상 이외의 가동 접점을 갖는 스냅 액션 기구 (7) 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 단일의 제 1 구동체 (9) 와, 제 2 구동체 (11) 를 갖는 스냅 액션 기구 (7) 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번잡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하게 스냅 액션 기구 (7) 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먼 접점 (51a, 51b) 과, 노멀 클로즈 접점으로서의 제 1 전환 접점 (521a, 521b) 과, 노멀 오픈 접점으로서의 제 2 전환 접점 (522a, 522b) 을 갖는 고정 접점 (5) 을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고정 접점 (5a, 5b) 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커먼 접점을 구비하지 않고 노멀 오픈으로 조작되면, 가동 접점 (8a, 8b) 의 접점부 (83a, 83b) 에 의해 고정 접점 (5a, 5b) 의 2 개의 접점 간을 도통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Claims (20)

  1.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가압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부재와, 상기 수납부 내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병렬로 형성된 복수의 고정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접점부를 갖는 복수의 가동 접점과, 상기 조작 부재가 소정 위치까지 가압된 경우에 상기 가동 접점을 구동시키는 스냅 액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스냅 액션 기구는, 일단측에 상기 가동 접점이 형성되는 한편, 타단측에 회동 지지점을 구성하는 지지점부가 형성된 복수의 제 1 구동체와, 일단측에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부가 형성되는 한편, 타단측에 회동 지지점을 구성하는 지지점부가 형성된 제 2 구동체와,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 1 구동체를 일체적으로 연결한 제 1 구동체 부재의 일부와 상기 제 2 구동체의 일부에 양 단부가 설치된 인장 스프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에 보강 부재를 일부 노출시킨 상태에서 매설하고, 당해 보강 부재의 노출 부분에 상기 인장 스프링의 일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체는, 상기 지지점부가 형성된 도체판과, 이 도체판에 설치되는 상기 가동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도체판에 대한 상기 가동 접점의 설치 부분이 상기 연결 부재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판의 일부로 상기 보강 부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판과 상기 가동 접점은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체판의 재료는 상기 가동 접점의 재료보다 강성이 높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의 1 쌍의 편은, 상기 제 1 구동체측에서 연결됨과 함께, 상기 제 1 구동체와 반대측에 있어서의 선단에 각각 접점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 접점의 1 쌍의 편의 접점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상방측으로 연장되어 대향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스프링은,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동체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제 1 구동체 부재의 일부와 상기 제 2 구동체의 일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체 부재의 일부 및 상기 제 2 구동체의 일부에, 상기 인장 스프링의 탄성 지지력에 따라 걸어 맞춰서 당해 제 1 구동체 부재 및 상기 제 2 구동체를 일체화시키는 걸어맞춤 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내에서 세워서 형성된 상기 고정 접점의 커먼 접점의 상기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측에, 당해 커먼 접점의 선단과 인접하여 대향하는 돌출벽을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은, 상기 제 1 구동체의 지지점부의 배치 위치로부터의 상기 제 2 구동체의 지지점부의 배치 위치보다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장치는 상기 제 1 구동체 부재의 상기 연결 부재의 하면과 맞닿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에 의한 상기 제 1 구동체 부재의 하 방향으로의 회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체 부재의 상기 연결 부재의 상면과 상기 하우징이 맞닿아, 상기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에 의한 상기 제 1 구동체 부재의 상 방향으로의 회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체에는, 조립 작업시에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지지부 상에 재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재치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재치부의 일부의 단부에 상기 지지점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의 전환 접점에는, 조립 작업시에 상기 제 2 구동체의 상기 지지점부의 배치를 허용하는 허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재치부는, 상기 고정 접점의 커먼 접점측의 제 1 재치부와, 상기 고정 접점의 전환 접점측의 제 2 재치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먼 접점으로부터 상기 전환 접점을 향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재치부보다 상기 제 2 재치부쪽이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6.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체 부재에는, 조립 작업시에, 상기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에 의한 회동을 상기 고정 접점의 커먼 접점과 맞닿게 하여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구동체에는, 조립 작업시에, 상기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에 의한 회동을 상기 하우징과 맞닿게 하여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체 부재에는, 조립 작업시에, 상기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에 의한 회동을 상기 고정 접점의 커먼 접점과 맞닿게 하여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구동체에는, 조립 작업시에, 상기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에 의한 회동을 상기 하우징과 맞닿게 하여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8. 고정 접점이 형성된 하우징에, 고정 접점에 대한 소정 위치에 제 2 구동체를 상기 하우징 상에 재치하고, 상기 제 2 구동체 상에 제 1 구동체를 재치하고, 상기 제 1 구동체의 일부와 상기 제 2 구동체의 일부 사이에 인장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제 2 구동체를 일방측을 향하여 압입하고, 타방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 2 구동체의 지지점부를 상기 하우징의 오목부에 배치시켜, 상기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 액션 기구의 조립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체의 일부가 상기 고정 접점의 커먼 접점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에 의한 회동을 규제함과 함께, 상기 제 2 구동체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에 의한 회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 액션 기구의 조립 방법.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체가 상기 제 2 구동체에 대해 평행하게 재치된 상태에서 상기 인장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 액션 기구의 조립 방법.
KR1020117004970A 2008-09-22 2009-09-18 스위치 장치 및 스냅 액션 기구의 조립 방법 KR101174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43271 2008-09-22
JPJP-P-2008-243271 2008-09-22
JPJP-P-2009-181519 2009-08-04
JP2009181519 2009-08-04
PCT/JP2009/066345 WO2010032814A1 (ja) 2008-09-22 2009-09-18 スイッチ装置及びスナップアクション機構の組立て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726A KR20110038726A (ko) 2011-04-14
KR101174681B1 true KR101174681B1 (ko) 2012-08-16

Family

ID=42039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970A KR101174681B1 (ko) 2008-09-22 2009-09-18 스위치 장치 및 스냅 액션 기구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33412B2 (ko)
EP (2) EP2738782B1 (ko)
JP (1) JP5006971B2 (ko)
KR (1) KR101174681B1 (ko)
CN (2) CN102144271B (ko)
WO (1) WO20100328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38782B1 (en) * 2008-09-22 2017-06-14 Alps Electric Co., Ltd. Switch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snap action mechanism
JP4760998B1 (ja) * 2010-10-12 2011-08-31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
DE102011016945B4 (de) * 2011-03-22 2013-03-07 Methode Electronics Malta Ltd. Schaltvorrichtung
DE102011056333A1 (de) * 2011-12-13 2013-06-13 Methode Electronics Malta Ltd. Elektrischer Schalter
TWI503855B (zh) * 2013-07-05 2015-10-11 Timotion Technology Co Ltd 極限開關及具有該開關之線性致動器
EP2846341A1 (en) * 2013-09-06 2015-03-11 Defond Components Limited Electrical Switch
JP6282202B2 (ja) * 2014-09-10 2018-02-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切換え装置
EP3166121B1 (en) 2015-11-03 2019-03-27 C&K Components SAS Electrical pushbutton switch
TWI607476B (zh) * 2016-02-03 2017-12-01 達方電子股份有限公司 按鍵結構
JP6662537B2 (ja) * 2016-07-22 2020-03-11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及び該スイッチ装置の製造方法
US10304643B1 (en) 2018-02-28 2019-05-28 CoActive Technologies, LLC Single-pole, single-throw detect switch
EP3813088B1 (en) * 2018-05-29 2023-01-18 Alps Alpine Co., Ltd. Switch device
TWI698895B (zh) 2018-11-16 2020-07-11 台灣華傑股份有限公司 導通切換機構
JP2020149806A (ja) * 2019-03-12 2020-09-17 台湾華傑股▲フン▼有限公司 導通切換機構
JP7327033B2 (ja) 2019-09-19 2023-08-16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及び操作装置
USD962874S1 (en) * 2019-11-25 2022-09-06 Hitachi Energy Switzerland Ag Electrical switch
JP2022078484A (ja) * 2020-11-13 2022-05-25 Idec株式会社 マイクロスイッ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661A (ja) * 1993-06-15 1995-01-10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
JP2008210654A (ja) 2007-02-27 2008-09-11 Hst Kk スイッチ
JP2021000654A (ja) * 2019-06-21 2021-01-07 旭サナック株式会社 トランスフ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88062A (ko)
BE505847A (ko) 1950-09-16
US2905780A (en) 1956-09-24 1959-09-22 Cherry Electrical Prod Snap-action switches
NL285272A (ko) * 1959-08-20
US3602980A (en) 1968-12-23 1971-09-07 Aluminum Co Of America Method for forming a sheet metal joint
US3571541A (en) * 1969-02-17 1971-03-23 Cherry Electrical Prod Snap action switch
JPS5314906B2 (ko) 1971-06-08 1978-05-20
JPS5240379Y2 (ko) * 1971-09-30 1977-09-12
GB1388062A (en) 1972-01-18 1975-03-19 Burgess Micro Switch Co Ltd Snap-action switches
JPS4982262U (ko) * 1972-11-04 1974-07-17
DE2449120C2 (de) 1974-10-16 1983-04-28 J.& J. Marquardt, 7201 Rietheim-Weilheim Elektrischer Schalter
US4011419A (en) 1976-01-21 1977-03-08 Cherry Electrical Products Corporation Switch blade
US4230919A (en) 1978-03-13 1980-10-28 Schantz Spencer C Snap acting switch
JPS5749875Y2 (ko) 1978-07-14 1982-11-01
JPS5849543Y2 (ja) * 1979-06-01 1983-11-11 オムロン株式会社 マイクロスイツチ
JPS608355Y2 (ja) 1979-12-31 1985-03-25 日本開閉器工業株式会社 ピン端子形スイッチ
JPS6342415Y2 (ko) * 1981-06-01 1988-11-07
BR8500202A (pt) 1984-07-03 1986-04-15 Kostal Leopold Gmbh & Co Kg Chave eletrica de mola
US4673778A (en) 1985-02-05 1987-06-16 The Cherry Corporation Snap action switch
DE4037157A1 (de) 1990-11-22 1992-05-27 Burgess Gmbh Schnappschalter, insbesondere miniatur-schnappschalter
US6255611B1 (en) 2000-02-17 2001-07-03 Shin Jiuh Corp. Pushbutton switch
JP3854789B2 (ja) * 2000-08-11 2006-12-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4845163B2 (ja) 2001-07-18 2011-12-28 コスモ工機株式会社 分水栓構造体の防錆構造
US6717084B1 (en) * 2003-04-28 2004-04-06 Zippy Technology Corp. Contact switch
JP4676405B2 (ja) 2006-09-06 2011-04-27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切換スイッチ
JP4831426B2 (ja) 2007-03-27 2011-12-07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状記録装置
JP5075545B2 (ja) 2007-09-18 2012-11-21 株式会社東芝 放射線治療システム
DE102007048581B3 (de) 2007-10-10 2008-09-18 Cherry Gmbh Schleifkontaktschalter
JP2009181519A (ja) 2008-01-31 2009-08-13 Fuji Xerox Co Ltd 文書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2151839B1 (en) 2008-08-04 2011-05-11 CoActive Technologies, Inc. Electrical pushbutton snap switch
EP2738782B1 (en) * 2008-09-22 2017-06-14 Alps Electric Co., Ltd. Switch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snap action mechanism
JP4760998B1 (ja) * 2010-10-12 2011-08-31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661A (ja) * 1993-06-15 1995-01-10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
JP2008210654A (ja) 2007-02-27 2008-09-11 Hst Kk スイッチ
JP2021000654A (ja) * 2019-06-21 2021-01-07 旭サナック株式会社 トランスフ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38782A1 (en) 2014-06-04
EP2346057B1 (en) 2014-03-05
US8633412B2 (en) 2014-01-21
JP5006971B2 (ja) 2012-08-22
EP2346057A4 (en) 2013-01-23
US20110147186A1 (en) 2011-06-23
EP2738782B1 (en) 2017-06-14
CN201570403U (zh) 2010-09-01
WO2010032814A1 (ja) 2010-03-25
EP2346057A1 (en) 2011-07-20
JPWO2010032814A1 (ja) 2012-02-16
CN102144271B (zh) 2014-01-08
KR20110038726A (ko) 2011-04-14
CN102144271A (zh)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681B1 (ko) 스위치 장치 및 스냅 액션 기구의 조립 방법
JP7041258B2 (ja) スイッチ装置
EP2006868B1 (en) Push button switch device with lever
US7772508B2 (en) Switch having a base, a slider, and a conductive coil spring
US7223931B2 (en) Switch
US6064020A (en) Key switch structure
JP2012064548A (ja) スイッチ装置
US7409271B2 (en) Electronic device with height adjusting mechanism
KR100501216B1 (ko) 스위치장치
JP2010282882A (ja) スイッチ装置
EP1720186A2 (en) Switch
KR20100070898A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532341B1 (ko) 스위치
JP2007035402A (ja) 電気装置の操作機構
JP2007207563A (ja) 電気装置の操作機構
KR100551920B1 (ko)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WO2015129113A1 (ja) スイッチ
JP2006100098A (ja) スイッチ
EP1533819A1 (en) Pressable switch device
KR20100064736A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JP2006092853A (ja) スイッチ
JP2004327294A (ja) スイッチ
JP2005302346A (ja) キースイッチ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