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341B1 -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341B1
KR100532341B1 KR10-2004-0025748A KR20040025748A KR100532341B1 KR 100532341 B1 KR100532341 B1 KR 100532341B1 KR 20040025748 A KR20040025748 A KR 20040025748A KR 100532341 B1 KR100532341 B1 KR 100532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contact
base
operation lev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3002A (ko
Inventor
하마자키신야
키요노야스히로
나루오토시히로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3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3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24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 H01H21/28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0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of the contact-making surface, e.g. groov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36Driving mechanisms
    • H01H21/40Driving mechanisms having snap action
    • H01H21/42Driving mechanisms having snap action produced by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 부품으로 높은 부품의 정밀도 및 조립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생산이 용이하고, 안정된 동작 특성을 갖는 저렴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그것을 위한 수단으로서, 한쪽으로 지지된 가동 접촉편(15)의 가동 접점(15a)을 고정 접점(13a)에 접리 가능하게 대향시킨 접점 기구(10)와, 상기 접점 기구(10)를 인서트 성형한 베이스(20)와, 이면에 조작용 리브(42)를 돌설하고, 일단부를 상기 베이스(20)에 힌지 지지하는 한편, 자유 단부에 위치한 조작부(41)를 상기 베이스(20)로부터 돌출시킨 조작 레버(40)와, 상기 조작 레버(40)에 복귀력을 부여한 복귀 스프링(50)과, 상기 베이스(20)에 계합한 커버(60)로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 레버(40)의 조작부(41)에 부하된 외력에 의거하여, 상기 복귀 스프링(50)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상기 조작 레버(40)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조작 레버(40)의 조작용 리브(42)가 상기 가동 접촉편(15)을 압하하여 접점을 개폐한다.

Description

스위치{SWITCH}
본 발명은 스위치, 특히, 리드 프레임으로부터 절취하여 형성한 접점 기구를 갖는 초소형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초소형 스위치로서는 상 방향으로부터 압하하여 조작하는 스위치 장치가 있다(예를 들면, 특개2002―216589호 공보 참조).
그러나, 전술한 스위치 장치에서는, 코일 스프링으로부터 연재된 암의 자유 단부를 가동 접점으로서 사용함과 동시에, 상기 암의 자유 단부의 이동 궤적상에 판 스프링으로 된 클립형상의 고정 접점을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암의 자유 단부를 클립형상의 상기 고정 접점에 압입함으로써, 전기 접속을 도모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구성 부품으로 높은 부품의 정밀도 및 조립 정밀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생산에 시간이 걸리고,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동작 특성이 불안정하게 되기 쉬웠다. 특히, 상기 코일 스프링의 암의 자유 단부를 가동 접점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코일 스프링에 귀금속 도금을 행할 필요가 있으며, 이것이 보다 더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구성 부품으로 높은 부품의 정밀도 및 조립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생산이 용이하고, 안정된 동작 특성을 갖는 저렴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쪽으로 지지된 가동 접촉편의 자유 단부에 위치한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접리 가능하게 대향시킨 접점 기구와, 상기 접점 기구를 인서트 성형하고, 상하 방향으로 가동 접촉편 및 고정 접점이 육안으로 가능한 베이스와, 이면에 조작용 리브를 돌설함과 동시에, 일단부를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지지하는 한편, 자유 단부에 위치한 조작부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조작 레버와, 상기 조작 레버에 위치 결정되어 복귀력을 부여한 복귀 스프링과, 상기 베이스에 계합하여 상기 조작 레버 및 복귀 스프링의 탈락을 방지한 커버로 되고,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부에 부하된 외력에 의거하여, 상기 복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상기 조작 레버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용 리브가 상기 가동 접촉편을 압하하여 접점을 개폐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쪽으로 지지된 가동 접촉편의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접리 가능하게 대향시키고, 상기 가동 접촉편을 압하하고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접리시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종래 예와 같이 구성 부품으로 높은 부품의 정밀도나 조립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이 용이함과 동시에, 동작 특성이 안정된 저렴한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에서는, 리드 프레임에 프레스 가공을 하고 접점 기구를 형성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접점 기구를 연속 생산할 수 있게 되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리드 프레임에 귀금속 도금을 미리 부분적으로 실시하여 둠으로써, 종래 예와 같이 가동 접점으로 된 코일 스프링에 귀금속 도금을 행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생산 공수가 적고, 보다 더 저렴한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접점 기구를 구성한 복수의 가동 접촉편을 병설하고, 조작 레버의 이면에 병설한 복수의 조작용 리브로 상기 가동 접촉편을 각각 압박, 해제하고, 접점을 개폐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회로를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용도가 넓은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베이스의 상하면중, 적어도 하면에 시트를 접착 일체화하고 접점 기구를 구분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접점 기구를 구분하기 때문에, 프린트 기판에 실장할 때 플럭스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베이스의 상하면에 시트를 접착 일체화하면, 접점 기구를 소정의 공간내에 밀폐할 수 있기 때문에, 먼지나 부식성 가스 등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동작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신뢰성이 향상함과 동시에,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의 상면중, 만곡한 가동 접촉편을 모방한 팽출면을 상기 가동 접촉편의 양측에 형성하고, 상기 팽출면에 상면 시트를 접착 일체화해 두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만곡한 가동 접촉편을 모방하도록 상면 시트를 베이스의 상면에 접착 일체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동 접촉편에 대한 조작용 리브의 동작이 순조로워지고, 스무스한 접점 개폐를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수명이 연장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하면 시트가 표면에 점착제를 도포한 양면 테이프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원 발명에 관한 스위치를 프린트 기판에 실장할 때 가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24의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제 1 실시 형태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회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접점 기구(10)를 구비한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의 상하면에 각각 접착 일체화된 하면 시트(30) 및 상면 시트(31)와, 조작 레버(40)와, 복귀 스프링(50)과, 커버(6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20)의 접점 기구(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 가공으로 타이바(12; tie bar)를 소정의 피치에서 반출 리드 프레임(11)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타이바(12)의 양측으로부터 한 쌍의 리드(13, 14)가 연재되도록 각각 반출되어 있다(도 4의 A). 한편 상기 리드(13)의 자유 단부에는 고정 접점(13a)을 설치하고 있음과 동시에, 리드가 되는 보조 설편(13c)을 연재하고 있다. 남는 다른 쪽의 상기 리드(14)의 자유 단부에는 가동 접촉편(15)을 연재하고 있음과 동시에, 리드가 되는 보조 설편(14b)을 연재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 접촉편(15)에 프레스 가공을 하여 만곡시킨 후, 상기 리드(14)에 프레스 가공을 하여 굴곡부(14a)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타이바(12)에 상기 가동 접촉편(15)을 접근시킨다. 이 때문에, 상기 고정 접점(13a)에 상기 가동 접촉편(15)의 가동 접점(15a)이 소정의 접점간 거리에서 접리 가능하게 대향한다(도 4의 B 및 C). 상기 리드 프레임(11)의 타이바(12)의 양측에 베이스(20)를 각각 인서트 성형한 후(도 5의 A), 상기 리드(13, 14)를 절단함으로써, 베이스(20)가 완성된다(도 5의 B).
상기 베이스(20)는,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 양측 테두리부에 측벽(21)을 각각 돌설하고 있는 한편, 상기 측벽(21)이 대향한 내측면에 후술하는 조작 레버(4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베어링 오목부(21d)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측벽(21)의 내측 기부에 상면 시트(31)를 접착 일체화하기 위한 팽출면(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21)의 외측면에는 후술하는 커버(60)를 계지하기 위한 돌기(21a, 21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 하면 시트(30)를 접착 일체화함과 동시에, 상기 팽출면(24)에 상면 시트(31)를 접착 일체화함으로써, 상기 고정 접점(13a) 및 가동 접촉편(15)이 소정의 공간내에 밀폐된다. 상기 팽출면(24)에 상기 상면 시트(31)가 접착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면 시트(31) 자체가 만곡하는 상기 가동 접촉편(15)을 모방하도록 만곡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먼지나 부식성 가스 등의 침입을 방지함으로써, 동작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접촉 신뢰성이 향상함과 동시에, 수명이 연장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면 시트(30, 31)는 적어도 10 내지 20만회의 개폐 동작에 견딜 수 있는 것이며,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폴리 불화 에틸렌(등록상표 테플론)이 사용된다.
상기 조작 레버(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단측의 양측면에 동일 축심상에 돌설한 회동축(47)을, 상기 베이스(20)의 베어링 오목부(21c)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여 사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동축(47, 47)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복귀 스프링(50)을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48)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수납 오목부(48)의 이면측에는 상기 가동 접촉편(15)을 구동하기 위한 조작용 리브(42)를 돌설하고 있다.
상기 복귀 스프링(50)은 상기 조작 레버(40)에 자기 복귀력을 부여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이다. 그리고, 조작 레버(40)의 수납 오목부(48)에 수납할 수 있고, 그 양단에서 연재된 암(51, 51)을 상기 베이스(20) 및 상기 커버(60)에 각각 계지하여 사용한다.
상기 커버(60)는 상기 베이스(20)의 상면을 피복할 수 있는 평면 형상을 가지며,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양측벽에, 상기 베이스(20)의 계합용 돌기(21a, 21b)에 각각 계합하는 노치부(61) 및 계합 구멍(62)을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위치를 조립하는 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점 기구(10)를 인서트 형성한 베이스(20)의 저면에 하면 시트(30)를 접착 일체화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20)의 팽출면(24)에 상면 시트(31)를 접착 일체화한다. 계속해서, 상기 베이스(20)의 베어링 오목부(21d)에 조작 레버(40)의 회동축(47)을 끼운 후, 상기 조작 레버(40)의 수납 오목부(48)에 복귀 스프링(50)을 끼우고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0)의 계합용 돌기(21a, 21b)에 커버(60)의 노치부(61) 및 계합 구멍(62)을 각각 계합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도 1).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1의 B에 있어서 상면 시트(31) 및 커버(60)는 도시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레버(40)의 조작부(41)에 화살표 Ⅰ, Ⅱ 방향으로부터 외력이 부하되면, 상기 복귀 스프링(50)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조작 레버(40)가 회동축(47)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이 때문에, 조작용 리브(42)가 상면 시트(31)를 이용하여 가동 접촉편(15)을 압하하기 때문에, 가동 접점(15a)이 고정 접점(13a)에 접촉한다(도 6의 B). 또한, 조작 레버(40)가 압입되면, 가동 접점(15a)이 고정 접점(13a)에 소정의 접점압으로 압접된다(도 6의 C). 계속해서, 전술한 부하를 해제하면, 복귀 스프링(50)의 스프링력으로 조작 레버(40)가 반전하고, 상기 가동 접촉편(15)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가동 접점(15a)이 고정 접점(13a)으로부터 개리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20)에 하면 시트(30) 및 상면 시트(31)를 접착 일체화한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하면 시트(30) 및 상면 시트(31)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면 좋고,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또한, 상기 하면 시트(30)에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면, 박리 시트로부터 스위치를 분리한 후,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기판에 상기 스위치를 위치 결정함으로써, 상기 스위치를 가고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팽출면(24)의 곡률은, 가동 접촉편(15)의 만곡부분의 곡률과 완전하게 일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유사한 것만으로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리드 프레임(11)은, 예를 들면,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왼쪽 및 정면의 2 방향으로부터의 외력에 따라 조작 레버(40)가 슬라이드 이동하고, 1 회로를 개폐한 스위치에도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 설명한다.
즉,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리드 프레임(11)과 마찬가지로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바(12)의 양측으로부터 한 쌍의 리드(13, 14)가 연재되도록 각각 반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 리드(13)의 자유 단부에는 고정 접점(13a)을 설치하고 있음과 동시에, 리드가 되는 보조 설편(13c)을 연재하고 있다. 남는 다른 쪽의 상기 리드(14)의 자유 단부에는 가동 접촉편(15)을 연재하고 있음과 동시에, 리드가 되는 보조 설편(14b)을 연재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 접촉편(15)에 프레스 가공을 하여 만곡시킨 후, 상기 리드(14)에 프레스 가공을 하여 굴곡부(14a)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 접점(13a)에 상기 가동 접촉편(15)을 접근시킨다(도 10의 B). 이 때문에, 상기 고정 접점(13a)에 상기 가동 접촉편(15)의 가동 접점(15a)이 소정의 접점간 거리에서 접리 가능하게 대향한다(도 10의 C). 상기 리드 프레임(11)의 타이바(12)의 양측에 베이스(20)를 각각 인서트 성형한 후(도 11의 A), 상기 리드 프레임(11)으로부터 상기 리드(13, 14)를 절단함으로써, 베이스(20)가 완성된다(도 11의 B).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리드 프레임(11)은, 전술한 응용예에 관련된 스위치의 접점 기구(10)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및 정면의 3 방향으로부터의 외력에 따라 조작 레버(40)가 슬라이드 이동하고, 2 회로를 개폐한 스위치에도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 설명한다.
즉, 제 1 실시 형태의 리드 프레임과 기본적 형상이 동일한 리드 프레임(11)(도 15의 A)에 프레스 가공을 하여 굴곡부(13b, 14a)를 형성하고, 접점 기구(10)를 형성한다(도 15의 B 및 C). 계속해서, 상기 접점 기구(10)를 베이스(20)에 인서트 성형하고(도 16의 A), 리드(13, 14)를 절단하여 리드 프레임(11)으로부터 베이스(20)를 분리한다(도 16의 B). 그리고, 상기 베이스(20)의 저면에 하면 시트(30)를 접착 일체화함과 동시에, 팽출면(24)에 상면 시트(31)를 접착 일체화한다. 계속해서, 상기 베이스(20)의 상면 중앙에 설치한 수납 오목부(22)에, 조작 레버(40)의 삽입축(44)에 삽입한 복귀 스프링(40)을 위치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베이스(20)의 돌기(21a, 21b)에 커버(60)의 노치부(61) 및 계합 구멍(62)을 계합함으로써 스위치가 완성된다(도 12). 또한, 23은, 복귀 스프링(50)의 탈락을 방지한 지지부이다.
그리고, 조작 레버(40)가 슬라이드 이동하고, 조작용 리브(42)가 가동 접촉편(15)을 압박, 해제함으로써 가동 접점(15a)이 고정 접점(13a)에 접리되어, 좌우 및 정면의 3 방향의 외력에 따라 다른 2 회로를 개폐할 수 있다. 다른 것은 전술한 응용예와 거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리드 프레임(11)은, 예를 들면, 도 17 내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식의 조작 레버(40)가 수평인 2 방향의 외력으로 회동하고, 2 회로를 개폐한 스위치에도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붙여 설명한다.
즉, 전술한 응용예와 동일한 리드 프레임(11)(도 20)으로 형성한 접점 기구(10)를 베이스(20)에 인서트 성형하고(도 21의 A), 리드(13, 14)를 절단하여 리드 프레임(11)으로부터 베이스(20)를 분리한다(도 21의 B). 그리고, 상기 베이스(20)의 상하면에 하면 시트(30) 및 상면 시트(31, 31)를 각각 접착 일체화한다. 계속해서, 상기 베이스(20)의 중심축(25)에 조작 레버(40)의 중심 구멍(46a)을 끼워 관통시킨다. 또한, 상기 조작 레버(40)의 보강용 리브(45)와 대좌부(46)와의 사이에 복귀 스프링(50)을 끼움과 동시에, 상기 복귀 스프링(50)의 암(51, 51)을 상기 베이스의 측벽(21)에 설치한 노치부(21c, 21c)에 각각 계지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베이스(20)의 돌기(21a, 21b)에 커버(60)의 노치부(61) 및 계합 구멍(62)을 각각 계합함으로써 스위치가 완성된다(도 17).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모두 상개(常開) 접점만을 갖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하는 제 2 실시 형태와 같이, 상개 접점(13a) 및 상폐(常閉) 접점(16a)을 갖는 접점 기구(10)에 적용하여도 좋다. 단, 전술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붙히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베이스(20)의 접점 기구(10)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 프레임(11)으로부터 프레스 가공으로 타이바(12)가 반출되어 있다. 상기 타이바(12)의 양측으로부터는 3개 1조의 리드(13, 14, 16)가 각각 연재되어 있다(도 22의 A). 상기 리드(13)의 자유 단부에는 상개 고정 접점(13a)을 설치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리드(16)의 자유 단부에는 상폐 고정 접점(16a)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남는 상기 리드(14)의 자유 단부에는 가동 접촉편(15)이 연재되어 있음과 동시에, 리드로 된 보조 설편(14b)이 연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드(11)에 프레스 가공을 하여 상개 고정 접점(13a)을 단락시키는 한편, 상기 상폐 고정 접점(16a)을 굽힘을 일으킴과 동시에, 상기 가동 접촉편(15)을 만곡시킨다. 이 때문에, 상기 가동 접촉편(15)의 가동 접점(15a)이, 상개 고정 접점(13a)과 상기 상폐 고정 접점(16a)과의 사이에 위치한 높이로 된다(도 22의 B, 23). 또한, 프레스 가공을 하여 리드(13, 14)에 굴곡부(13b, 14a)를 형성함으로써, 상개 고정 접점(13a) 및 가동 접촉편(15)을 타이바(12)에 접근시킨다(도 22의 C). 이 때문에, 대향하는 상개 고정 접점(13a) 및 상폐 고정 접점(16a)의 사이에 가동 접촉편(15)의 가동 접점(15a)이 위치하고, 또한, 상기 가동 접촉편(15)의 상기 가동 접점(15a)이 상폐 고정 접점(16a)에 접촉한다.
또한, 상기 리드 프레임(11)의 타이바(12)의 양측에 베이스(20)를 각각 인서트 성형한 후(도 22의 D), 상기 리드 프레임(11)으로부터 상기 리드(13, 14, 16)를 절단함으로써 베이스(20)가 완성된다.
그리고,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레버(40)의 조작부(41)에 외력이 부하되면, 도시하지 않은 복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조작 레버(40)가 압입된다. 이 때문에, 조작용 리브(42)가 상면 시트(31)를 이용하여 가동 접촉편(15)을 압하하기 때문에, 가동 접점(15a)이 상폐 고정 접점(16a)으로부터 개리한 후, 상개 고정 접점(13a)에 접촉한다(도 24의 B). 또한, 조작 레버(40)가 압입되면, 가동 접점(15a)이 상개 고정 접점(13a)에 소정의 접점압으로 압접한다(도 24의 C). 계속해서, 전술한 부하를 해제하면, 복귀 스프링(50)의 스프링력으로 조작 레버(40)가 복귀되어 가동 접촉편(15)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가동 접점(15a)이 상개 고정 접점(13a)으로부터 개리한 후, 상폐 고정 접점(16a)에 접촉한다.
또한, 전술한 상개 고정 접점(13a) 및 상폐 고정 접점(16a)을 갖는 접점 기구(10)는, 전술한 실시 형태 및 응용 예의 전부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스위치는 접점 기구(10)가 상폐 고정 접점만을 갖는 경우, 또한, 상개 고정 접점 및 상폐 고정 접점을 병설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위치는, 한쪽으로 지지된 가동 접촉편의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접리 가능하게 대향시키고, 상기 가동 접촉편을 압하하고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접리시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종래 예와 같이 구성 부품으로 높은 부품의 정밀도나 조립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이 용이함과 동시에 동작 특성이 안정된 저렴한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의 제 1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스위치의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4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접점 기구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계속되는 제조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의 A, B 및 C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스위치의 동작전, 동작중 및 동작후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기구의 응용예를 도시한 스위치의 전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스위치를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스위치의 접점 기구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계속되는 제조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기구의 다른 응용예를 도시한 스위치의 전체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한 스위치를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5는 도 12에 도시한 스위치의 접점 기구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계속되는 제조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접점 기구의 다른 응용예를 도시한 스위치의 전체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서 도시한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19는 도 17에서 도시한 스위치를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20은 도 17에서 도시한 스위치의 접점 기구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계속되는 제조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관한 스위치의 제 2 실시 형태의 접점 기구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B의 확대 사시도.
도 24의 A 내지 C는 스위치의 동작 전, 동작중 및 동작후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접점 기구 11 : 리드 프레임
13, 14, 16 : 리드 13a, 16a : 고정 접점
13b, 14a : 굴곡부 15 : 가동 접촉편
15a : 가동 접점 20 : 베이스
21 : 측벽 21a, 21b : 돌기
21c : 노치부 21d : 베어링 오목부
22 : 수납 오목부 23 : 지지부
24 : 팽출면 25 : 중심축
30 : 하면 시트 31 : 상면 시트
40 : 조작 레버 41 : 조작부
42 : 조작용 리브 43 : 가이드용 리브
44 : 삽입축 46 : 대좌부
46a : 중심 구멍 47 : 회동축
48 : 수납 오목부 50 : 복귀 스프링
51 : 암 60 : 커버
61 : 노치부 62 : 계합 구멍

Claims (6)

  1. 한쪽으로 지지된 가동 접촉편의 자유 단부에 위치한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접리 가능하게 대향시킨 접점 기구와,
    상기 접점 기구를 인서트 성형하고, 상하 방향으로부터 가동 접촉편 및 고정 접점을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베이스와,
    이면에 조작용 리브를 돌설함과 동시에, 일단부를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지지하는 한편, 자유 단부에 위치한 조작부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조작 레버와,
    상기 조작 레버에 위치 결정되어 복귀력을 부여한 복귀 스프링과,
    상기 베이스에 계합하여 상기 조작 레버 및 복귀 스프링의 탈락을 방지한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부에 부하된 외력에 의거하여, 상기 복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상기 조작 레버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용 리브가 상기 가동 접촉편을 압하하여 접점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접점 기구를, 리드 프레임에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접점 기구를 구성한 복수의 가동 접촉편을 병설하고, 조작 레버의 이면에 병설한 복수의 조작용 리브로 상기 가동 접촉편을 각각 압박, 해제하여 접점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하면중, 적어도 하면에 시트를 접착 일체화하고 접점 기구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베이스의 상면중, 만곡한 가동 접촉편을 모방한 팽출면을 상기 가동 접촉편의 양측에 형성하고, 상기 팽출면에 상면 시트를 접착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하면 시트가 표면에 점착제를 도포한 양면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KR10-2004-0025748A 2003-04-25 2004-04-14 스위치 KR1005323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21929 2003-04-25
JP2003121929A JP2004327296A (ja) 2003-04-25 2003-04-25 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002A KR20040093002A (ko) 2004-11-04
KR100532341B1 true KR100532341B1 (ko) 2005-11-29

Family

ID=33500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748A KR100532341B1 (ko) 2003-04-25 2004-04-14 스위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4327296A (ko)
KR (1) KR100532341B1 (ko)
CN (1) CN126417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2878B2 (ja) 2005-05-12 2010-07-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5647526B2 (ja) * 2011-01-12 2014-12-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圧式入力装置
JP5923687B2 (ja) * 2012-03-15 2016-05-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JP5846642B2 (ja) * 2012-07-04 2016-01-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
KR20140044705A (ko) * 2012-10-05 2014-04-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노브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0962A (ja) * 1991-10-28 1993-05-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イツチ
JPH0545861U (ja) * 1991-11-15 1993-06-18 松下電工株式会社 スイツチ
JPH0656940U (ja) * 1993-01-11 1994-08-05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H10208585A (ja) * 1997-01-28 1998-08-07 Minolta Co Ltd スライドスイッチ
JP2003100182A (ja) * 2001-09-21 2003-04-04 Mitsumi Electric Co Ltd 多方向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0962A (ja) * 1991-10-28 1993-05-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イツチ
JPH0545861U (ja) * 1991-11-15 1993-06-18 松下電工株式会社 スイツチ
JPH0656940U (ja) * 1993-01-11 1994-08-05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H10208585A (ja) * 1997-01-28 1998-08-07 Minolta Co Ltd スライドスイッチ
JP2003100182A (ja) * 2001-09-21 2003-04-04 Mitsumi Electric Co Ltd 多方向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4177C (zh) 2006-07-12
KR20040093002A (ko) 2004-11-04
CN1571092A (zh) 2005-01-26
JP2004327296A (ja) 200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6971B2 (ja) スイッチ装置及びスナップアクション機構の組立て方法
EP0942446B1 (en) Lever switch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5596633B2 (ja) スイッチ装置
EP0260659A2 (en) Micro switch
US20060254901A1 (en) Switch
KR100532341B1 (ko) 스위치
US7223931B2 (en) Switch
EP1182673B1 (en) Switch device
JP2692055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100561292B1 (ko) 스위치
KR100606122B1 (ko) 스위치
JP5026379B2 (ja) スイッチ装置
JP2010282882A (ja) スイッチ装置
JP4628307B2 (ja) スイッチ装置
JP4062319B2 (ja) スイッチ
JP2580074Y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814447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3224949B2 (ja) スイッチ装置の端子かしめ構造
JP4326987B2 (ja) スイッチ装置
JPS6247164Y2 (ko)
JP5317243B2 (ja) スイッチ装置
KR20050098610A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
JPS61110921A (ja) スイツチ
JP2006100098A (ja) スイッチ
JP2000182476A (ja) スライドスイッチおよびそ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