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998B1 - 연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998B1
KR101166998B1 KR1020107022044A KR20107022044A KR101166998B1 KR 101166998 B1 KR101166998 B1 KR 101166998B1 KR 1020107022044 A KR1020107022044 A KR 1020107022044A KR 20107022044 A KR20107022044 A KR 20107022044A KR 101166998 B1 KR101166998 B1 KR 101166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ressure regulator
engine
connecting pipe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9314A (ko
Inventor
야스후미 요쿠라
아츠시 이토
요이치 다카하시
츠요시 이자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9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7/00Arrangements of fuel supply lines, taps, or the like, on motor cycles or engine-assisted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63Details on the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D19/067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Mixers
    • F02D19/0678Pressure or flow regulators therefor; Fuel metering valv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63Details on the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D19/0697Arrangement of fuel supply systems on engines or vehicle bodies;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being combined with another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8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simultaneously using pluralities of fuels
    • F02D19/082Premixed fuels, i.e. emulsions or blends
    • F02D19/084Blends of gasoline and alcohols, e.g. E8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8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simultaneously using pluralities of fuels
    • F02D19/082Premixed fuels, i.e. emulsions or blends
    • F02D19/085Control based on the fuel type or composition
    • F02D19/087Control based on the fuel type or composition with determination of densities, viscosities, composition, concentration or mixture ratios of fuels
    • F02D19/088Control based on the fuel type or composition with determination of densities, viscosities, composition, concentration or mixture ratios of fuels by estimation, i.e. without using direct measurements of a corresponding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F02M37/0064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for engines being fed with multiple fuels or fuels having special properties, e.g. bio-fuels; varying the fuel com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F02M37/00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characterised by its use in vehicles, in stationary plants or in small engines, e.g. hand held t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26Measuring or estimating parameters related to the fuel supply system
    • F02D19/0628Determining the fuel pressure, temperature or flow, the fuel tank fill level or a valve position
    • F02D19/0631Determining the fuel pressure, temperature or flow, the fuel tank fill level or a valve position by estimation, i.e. without using direct measurements of a corresponding sens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탱크(33)로부터 알코올과 가솔린을 임의의 비율로 혼합한 연료를 이용하는 다종 연료 엔진(12)에 연료를 공급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이 연료 공급 장치에서, 연료 압력 조절기(85)와 연료 분사 장치(50)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연결 배관(84)의 내부 용적은, 상기 엔진이 시동된 후, 산소 센서(88)가 계측 가능한 온도로까지 상승하기까지의 사이에 소비하는 연료 소비량과 동량(同量) 이상의 용적이다.

Description

연료 공급 장치{FUEL SUPPLY DEVICE}
본 발명은 알코올 혼합 가솔린을 이용하여 운전하는 다종 연료 엔진(Multi-fuel engine)에 최적의 연료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코올 혼합 가솔린을 이용하여 운전하는 다종 연료 엔진에 있어서, 연료 중에 포함되는 알코올의 혼합 비율에 따라 엔진의 공연비(空燃比)를 제어하는 방법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알려져 있다.
상기 엔진은, 외기를 흡입하는 흡기관과, 그 흡기관에 개재되어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와, 배기 가스가 통과하는 배기관과, 그 배기관에 개재되어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산소 농도 센서(이하, 「산소 센서」라고 함)를 구비하고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는, 배기 가스 중의 산소 농도에 따라 최적의 공연비를 연산하여 상기 엔진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연료 중에 알코올이 혼합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알코올 혼합 비율에 따른 공연비를 설정하고, 이 공연비를 운전 조건에 따라 피드백 보정하여 상기 엔진을 바람직한 상태로 제어한다.
상기 기술은, 산소 센서에 지르코니아가 이용되며, 이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산소 센서가 소정 온도 이상에 도달했을 때에, 소정의 검출 정밀도로 산소 농도를 측정한다고 하는 것이다. 즉, 지르코니아로는, 산소 센서가 소정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소정의 검출 정밀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연료의 보급은 엔진이 정지하고 있을 때에 행해지지만, 다종 연료 엔진을 구비하고 있는 차량에 있어서는, 보급할 때에, 어떤 종류의 연료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양을 보급할지는, 보급을 행하는 사람이 임의로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새롭게 보급되는 연료는, 연료 탱크에 잔류하고 있던 연료와 연료 탱크 내에서 혼합되게 되어, 그 혼합 비율을 검출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여기서, 엔진의 정지시에, 에탄올 또는 가솔린이 보급되었다고 해도, 연료 배관에 잔류하고 있는 연료의 혼합 비율은, 보급을 행하기 전의 상태이기 때문에, 시동 개시시에는 전회(前回)의 정지 직전에 사용하고 있던 기준 연료 분사량 맵을 이용하여 엔진의 시동 제어를 행하는 방법이 유효하다.
연료 배관에 잔류하고 있는 연료의 소비 중에 산소 센서가 소정 온도에 도달하면, 산소 센서의 계측값에 의한 에탄올 농도의 학습 제어 등에 따른 에탄올 농도의 검출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연료 배관에 잔류하고 있는 연료가 소비되고, 새로운 에탄올 농도의 다른 연료로 전환되어, 에탄올 농도가 급격하게 변화했다고 해도, 점차로 새로운 에탄올 농도에 맞는 공연비로 연료를 분사하도록 제어된다.
그러나, 냉간 시동시, 에탄올 농도의 검출 제어가 시작되기 전에, 연료 배관에 잔류하고 있던 연료가 소비되고, 새롭게 보급되는 혼합 비율이 불분명한 연료로 전환되며, 정지 직전에 사용하고 있던 기준 연료 분사량 맵을 이용하면, 공연비를 새로운 에탄올 농도를 목표로 하여 맞출 수 없는 상태가 될 가능성이 있다. 소정의 검출 정밀도가 얻어지지 않으면, 엔진에 바람직한 공연비를 갖게 하여 연소를 행하게 하는 것은 어렵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소화63-5131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다종 연료 엔진을 냉간 시동시킬 때에, 바람직한 공연비로 연소를 행할 수 있게 하는 연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연료 탱크로부터 알코올과 가솔린을 임의의 비율로 혼합한 연료를 이용하는 다종 연료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상기 연료 탱크로부터의 연료를 일정 압력으로 유지하는 연료 압력 조절기와, 상기 엔진에 상기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 분사 장치와, 상기 연료 압력 조절기와 상기 연료 분사 장치를 접속하는 연결 배관과, 상기 엔진의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산소량을 계측하는 산소 센서와, 상기 알코올의 농도를 상기 산소 센서의 계측값에 의해 추정하여 연료 분사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연결 배관의 내부 용적은, 상기 엔진이 시동된 후, 상기 산소 센서가 계측 가능한 온도로 상승하기까지의 사이에 소비하는 연료 소비량과 동량(同量) 이상의 용적인 것인 연료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엔진이 연소하여, 연결 배관의 내부에 잔류한 연료가 소비되고, 이 연료에 의해 배출되는 배기 가스에 의해, 산소 센서가 따뜻해지며, 연결 배관의 내부에 잔류한 연료가 소비될 때까지, 산소 센서는, 소정의 정밀도로 계측 가능한 온도로 상승한다.
연결 배관의 내부에 잔류한 연료가 소비될 때까지, 산소 센서는, 계측 가능한 온도로 상승한다. 예컨대, 가솔린과 에탄올의 혼합 비율이 변화한 연료가 연료 탱크에 급유되고, 엔진이 외기 온도까지 식었을 때에 시동하는, 이른바 냉간 시동시에 있어서, 산소 센서 및 제어부는, 혼합 비율이 변화하기 전에 급유한 연결 배관의 내부에 잔류한 연료의 혼합 비율에 기초하여, 연료 분사 장치를 포함하는 연료 공급 장치를 제어한다.
산소 센서가, 계측 가능한 온도로 상승했을 때에, 제어부는, 급유 후의 혼합 비율이 변화한 연료에 의한 연소로 발생한 배기 가스를 검출하여 연료 공급 장치를 제어한다.
차량이 에탄올과 가솔린을 혼합한 연료를 이용하는 다종 연료 엔진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급유에 의해, 연료 탱크 내에 주입된 연료 중에 포함되어 있는 에탄올의 혼합 비율이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냉간 시동 직후에, 연료 분사 장치는, 전회에 급유된 분의 연료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바람직한 공연비로 운전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급유에 의해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에서의 에탄올의 혼합 비율이 변화하고, 냉간 시동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다종 연료 엔진에 바람직한 공연비로 연소를 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료 공급 장치는 차량에 탑재되도록 되어 있고, 그 차량은, 차체 프레임과, 그 차체 프레임에 부착된 상기 연료 탱크와, 그 연료 탱크에 마련되어 연료를 상기 엔진을 향하여 송출하는 연료 펌프와, 그 연료 펌프와 상기 연료 압력 조절기 사이에 개재되어 연료를 여과하는 연료 필터를 구비하고 있다. 연료 공급 장치가, 차량에 탑재되어 있으면, 연료 탱크에 에탄올의 혼합 비율이 변화한 연료가 급유되어도, 엔진을 냉간 시동시킬 때에, 그 엔진에 바람직한 공연비로 연소를 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배관은, 그 도중에 U자형 만곡부를 갖고 있다. 따라서, U자형 만곡부를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소정의 연료 용량을 확보하면서, 연결 배관을 차량에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차량에, U자형 만곡부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으면, 연결 배관의 배치에 필요한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료 압력 조절기는, 그 장축(longitudinal shaft)이 연직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연료 분사 장치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 배관이 접속되는 입구는, 상기 연료 압력 조절기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U자형 만곡부는, 상기 연료 압력 조절기에 마련된 연료 출구와 상기 입구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연료 압력 조절기에 마련되어 있는 연료 출구를 장축 방향 하방을 향하여 배치하고, 잉여 연료를 내보내는 복귀 출구를 장축 방향 상방을 향하여 배치하도록 하면, 연료에 혼입된 또는 연료 내에서 발생한 기포는, 복귀 출구로부터 상방으로 빠져 나가기 쉬워진다. 연료 중에 포함되는 기포가 빠져 나가기 쉬워지면, 연료 압력 조절기에 있어서, 공기 빼내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공기 빼내기 효율이 높아지면, 연료 출구로부터 엔진으로 출력되는 연료에 포함되는 기포를 줄일 수 있다. 연료에 포함되는 기포가 적어지면, 내연 기관에서 바람직한 연소가 행해질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배관은, 그 도중에 권취부를 갖고 있다. 따라서, 권취부를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소정의 연료 용량을 확보하면서, 차량에, 권취부를 포함하는 연결 배관을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연결 배관을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으면, 배치에 필요한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권취부는, 상기 차체 프레임과 상기 연료 분사 장치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데드 스페이스를 활용하여, 연결 배관을 한 층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배관은, 그 도중에 유로를 왕복시키도록 접혀진 절첩(折疊) 배관부를 갖고 있다. 따라서, 연결 배관을 콤팩트화 하면서 연료 용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연료 용적이 커지면, 연결 배관에 소정 용량의 연료를 용이하게 모아 둘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배관은, 그 도중에 래버린스 통로를 갖는 케이스가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절첩 배관부를 마련할 수 없는 경우에도, 급유 전과 급유 후의 연료가 혼합되지 않고서, 연결 배관에 필요한 용량을 갖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료 분사 장치는, 상기 연료 탱크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연료 압력 조절기는, 상기 연료 탱크의 후방이며 또한 탑승자가 앉는 탑승자 시트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배관은, 상기 탑승자 시트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탑승자 시트를 열면, 연료 압력 조절기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연결 배관은,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한 배관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충분한 배관 길이가 확보되면, 산소 센서가 계측 가능한 온도까지 상승할 때까지 필요로 하는 연료 용량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료 공급 장치를 이용하면, 다종 연료 엔진을 냉간 시동시킬 때에, 바람직한 공연비로 연소를 행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차량의 좌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연료 공급 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연료 공급 장치의 상세도.
도 4는 도 3의 화살표 4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연결관이 U자형으로 만곡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제어부의 흐름도이며, 엔진이 냉간 시동시에 에탄올 농도를 학습하여 소정의 공연비를 결정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2 실시예의 연결 배관 및 그 주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연결 배관 및 그 주변부의 측면도(필터 커버를 떼어 낸 상태).
도 8은 도 7에 있어서, 필터 커버를 부착한 상태의 연결 배관 및 그 주변부의 측면도.
도 9는 연결 배관에 개재된 절첩 배관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연결 배관에 개재된 래버린스 통로를 갖는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제3 실시예의 연결 배관 및 그 주변부의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
도 13은 제4 실시예의 연결 배관 및 그 주변부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몇 개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차량(10)은, 차체 프레임(11)의 중앙부에 엔진(내연 기관)(12)이 배치되고, 차체 프레임(11)의 전단에 프론트 포크(13)가 조타 가능하게 지지되며, 차체 프레임(11)의 후방부 하부에 상하 스윙 가능하게 리어 포크(14)가 지지된 자동 이륜차이다. 주연료로서 에탄올, 가솔린, 또는 가솔린과 에탄올의 혼합유를 이용하고, 엔진 시동시, 예컨대 기온이 낮아 엔진의 시동성이 좋지 않을 때에만 부연료로서 가솔린, 또는 가솔린과 에탄올의 혼합유(단, 주연료의 혼합유보다도 가솔린의 혼합비가 높은 혼합유)를 이용한다.
차체 프레임(11)은, 전단에 구비하는 헤드 파이프(21)와, 이 헤드 파이프(2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22)과, 이 메인 프레임(22)의 중간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센터 프레임(23)과, 메인 프레임(22)의 후방부 및 센터 프레임(23)의 하부의 각각에 연결된 서브 프레임(24)과, 헤드 파이프(21)로부터 후방 경사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운 프레임(26)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프레스 성형 부품이 결합된 골격 부재이다.
헤드 파이프(21)는, 프론트 포크(13)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부분이고, 프론트 포크(13)는, 상부에 바핸들(31), 하부에 전륜(32)이 부착되어 있다. 주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33)는, 메인 프레임(22)의 전방부에 걸쳐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탑승자 시트(34)는, 메인 프레임(22)의 후방부에 부착되어 있다.
센터 프레임(23)은, 다운 프레임(26)과 함께 엔진(12)을 지지한다. 리어 포크(14)는, 센터 프레임(23)에 마련된 피벗축(36)을 중심으로 하여 스윙한다. 리어 포크(14)의 후단에는 후륜(35)이 부착되어 있다.
리어 포크(14)의 후방부와 메인 프레임(22)의 후방부 사이에 리어 쿠션 유닛(37)이 걸쳐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도면 부호 38은 메인 프레임(22)에 마련되고 리어 쿠션 유닛(37)의 상단부를 부착하는 부착축이다.
다운 프레임(26)은, 브래킷(39)을 통해 엔진(12)을 지지한다.
엔진(12)은, 차체 프레임(11)에 부착되고, 후방부에 변속기(41)가 마련되며, 상방으로 연장되는 실린더부(43)에 실린더 헤드(44)가 마련되고, 이 실린더 헤드(44)의 후방부에 흡기 장치(46)가 접속되며, 실린더 헤드(44)의 전방부에 배기 장치(47)가 접속되어 있다.
흡기 장치(46)는, 일단이 실린더 헤드(44)에 접속된 흡기관(51)과, 이 흡기관(51)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되고 연료 분사 장치(50)가 내장되어 있는 스로틀 보디(52)와, 이 스로틀 보디(52)의 타단에 커넥팅 튜브(53)(도 2 참조)를 통해 접속된 에어 클리너(54)를 포함한다.
배기 장치(47)는, 실린더 헤드(44)의 전방부에 일단이 접속되고 엔진(12)의 전방으로부터 하방 그리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배기관(56)과, 이 배기관(56)의 타단에 접속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소음기(57)를 포함한다.
도면 중, 도면 부호 58은 배터리, 도면 부호 61은 프론트 카울, 도면 부호 62는 헤드 램프, 도면 부호 63은 프론트 펜더, 도면 부호 64는 에어 클리너(54)의 측방을 덮는 사이드 커버, 도면 부호 66은 리어 사이드 커버, 도면 부호 67은 리어 펜더, 도면 부호 68은 테일 램프, 도면 부호 71은 메인 스탠드, 도면 부호 72는 변속기(41)의 출력축, 도면 부호 73은 출력축(72)에 부착된 드라이브 스프로킷, 도면 부호 74는 후륜(35)에 부착된 드리븐 스프로킷, 도면 부호 76은 드라이브 스프로킷(73)과 드리븐 스프로킷(74)에 걸쳐진 체인, 도면 부호 77은 체인 커버이다.
도 2는 자동 이륜차(10)에 마련되어 있는 엔진의 연료 공급 장치(80)를 도시하고 있다.
자동 이륜차(10)에는, 다종 연료를 이용하는 엔진(12)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장치(80)와, 그 연료 공급 장치(80)에 접속되어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33)가 마련되어 있다.
연료 공급 장치(80)는, 연료 탱크(33)의 내측에 배치되어 연료를 송출하는 연료 펌프(81)와, 이 연료 펌프(81)로부터 연료 필터(83)까지 연장되어 있는 공급관(82)과, 그 공급관(82) 앞에 접속되어 연료를 여과하는 상기 연료 필터(83)와, 그 연료 필터(83)로부터 연료 압력 조절기(85)까지 연장되어 있는 연료 호스(84)와, 그 연료 호스(84) 앞에 접속되어 연료를 일정 압력으로 유지하는 상기 연료 압력 조절기(85)와, 그 연료 압력 조절기(85)의 일단으로부터 연료 분사 장치(50)까지 연장되어 있고 공기에 연료를 분사하는 상기 연료 분사 장치(50)를 구성 요소로 하는 스로틀 보디(52)에 접속되는 고무제의 연결 배관(86)과, 상기 연료 압력 조절기(85)의 타단으로부터 연료 탱크(33)까지 연장되어 있는 리턴 호스(87)와, 배기관(56)의 내측에 마련되고 공연비의 제어를 하기 위해서 엔진(12)의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산소량을 계측하는 산소 센서(88)와, 그 산소 센서(88)에 접속되며 엔진(12)에 공급되는 혼합기(混合氣)가 소정의 공연비가 되도록 연료 분사 장치(50)를 제어하는 제어부(89)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배관(86)은 고무제이기 때문에, 연료 분사량이 비교적 많은 에탄올이어도 맥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10)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센터 프레임(23)의 측방에는, 배터리를 수납하는 배터리 박스(94)가 볼트(93)를 통해 부착되고, 그 배터리 박스(94)의 전방부에는, 필터 커버(95)가 나사(96)에 의해 부착되며, 그 필터 커버(95)에는, 연료 필터(83)가 수납되어 있다. 즉, 연료 필터(83)의 주위에는, 이 연료 필터(83)를 덮으며 지지하는 필터 커버(95)가 마련되어 있다.
자동 이륜차(10)를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 연료 필터(83)의 이면측 그리고 차폭 방향 중심 쪽에는, 연료 압력 조절기(85)가 배치되고, 그 연료 압력 조절기(85)보다도 차폭 방향 중심 쪽에, 스로틀 보디(52)[연료 분사 장치(50)를 포함함]가 배치되어 있다. 즉, 연료 압력 조절기(85)는, 자동 이륜차(1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필터 커버(95)보다도 안쪽에 그리고 필터 커버(95)에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상에 기술한 다종 연료를 이용할 수 있는 다종 연료 내연 기관이 구비되어 있는 차량의 작용을 다음에 기술한다. 냉간 시동시란, 엔진(12)을 외기 온도와 동일한 온도에서 시동시키는 경우이며, 배기관(56)에 마련되어 있는 산소 센서(88)의 온도가 300℃에 도달하고 있지 않을 때를 말한다.
도 2 내지 도 4에 기초하여, 내연 기관이 냉간 시동시에 연료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에 포함되는 에탄올 농도를 학습하여 소정의 공연비를 결정하는 흐름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이하, ST라고 약기함) 01에서 엔진(12)을 시동하고, 전회에 엔진(12)이 정지하기 직전의 에탄올 농도(E 농도)에 기초하여 공연비를 결정한다(ST02).
ST03에서, 엔진(12) 내를 순환하는 오일 온도(To)를 측정하고, To가 온도 설정값 T1을 초과하게 될 때까지 기다리며, To가 설정값 T1을 초과했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ST04로 진행한다.
오일 온도(To)와 산소 센서(88)의 온도의 관계는, 정(正)의 상관 관계를 갖고 있으며, 오일 온도의 상승에 따라 산소 센서(88)의 온도는 상승한다. To=T1일 때에, 산소 센서(88)의 온도는 300℃에 도달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ST04에서, 산소 센서(88)의 전압(VO2)을 측정하고, VO2가 전압 설정값 V1보다도 작은 값이 될 때까지 기다리며, VO2가 V1 미만이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ST05로 진행한다.
ST05에서, 산소 센서(88)의 온도는, 300℃ 이상에 도달하고 있고, 산소 센서(88)에 소정의 검출 정밀도가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산소 센서의 계측값에 기초한 에탄올 농도의 학습이 허가되어, ST06으로 진행한다.
ST06에서 학습한 에탄올 농도에 기초하여 새로운 공연비를 결정한다.
산소 센서(88)로 검출한 전압값에 기초하여, 연료 분사 장치(50)의 개방도, 스로틀 보디(52)의 개방도, 그 외 요소를 제어부(89)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학습 개시 후의 공연비가 소정값으로 제어된다.
이상에 의해, 엔진(12)을 냉간 시동시킨 후, 제어부(89)가 기능하여 공연비 설정의 지령을 개시하기까지에 이르는 1사이클이 종료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ST03에서 오일 온도를 계측하지만, 수냉 엔진이면 수온을 계측해도 된다. 또한, 직접 배기 가스의 온도를 계측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ST05에서 산소 센서(88)의 계측값에 기초한 학습 허가에 이르기까지, 즉 냉간 시동 후, 산소 센서(88)의 온도가 300℃ 이상으로 상승하기까지의 시간을 벌기 위해서, 연료 분사 장치(50)와 연료 압력 조절기(85)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86)의 용적을 산소 센서(88)가 계측 가능한 온도로 상승하기까지의 사이에 소비하는 연료 소비량과 동량 이상의 용적이 되도록 하였다.
연료 배관 중에서, 연결 배관(86)에 소정의 용적을 갖게 하도록 한 이유에 대해서 다음에 설명한다.
엔진(12)을 시동시키면, 먼저 연료 탱크(33)에 마련되어 있는 연료 펌프(81)가 작동한다. 이때, 아직, 연료 분사 장치(50)로부터 연료의 분사는 행해지지 않는다. 연료의 분사는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연료 펌프(81)에 의해 연료 호스(84)를 흐르는 연료는, 연료 압력 조절기(85)로부터 앞에 마련한 연결 배관(86)에 들어가지 않고서, 리턴 호스(87)에 들어가, 연료 탱크(33)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연료 압력 조절기(85)와 연료 분사 장치(5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86)의 용적을 소정 이상의 용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해 보면, 연결 배관(86)에는, U자형으로 만곡된 U자형 만곡부(111)가 마련되어 있고, 이 U자형 만곡부(111)에서, 연결 배관(86)의 내측 용적을 소정값 이상으로 확보하도록 하였다.
연결 배관(86)에는, U자형 만곡부(111)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U자형 만곡부(111)를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소정의 연료 용량을 확보하면서, 연결 배관(86)을 차량(10)에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자동 이륜차(10)에 있어서, U자형 만곡부(111)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으면, U자형 만곡부(111)의 배치에 필요한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연료 압력 조절기(85)는, 장축(85a)이 연직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연료 분사 장치(50)에 마련되고 연결 배관(86)이 접속되는 입구(112)는, 연료 압력 조절기(85)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U자형 만곡부(111)는, 연료 압력 조절기(85)에 마련된 연료 출구(113)와 연료 분사 장치(50)에 마련된 입구(11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2를 아울러 참조해 보면, 연료 압력 조절기(85)에 마련되어 있는 연료 출구(113)를 장축(85a) 방향 하방을 향하여 배치하고, 잉여 연료를 내보내는 복귀 출구(114)를 장축(85a) 방향 상방을 향하여 배치하면, 연료에 혼입된 또는 연료 내에서 발생한 기포는, 복귀 출구(114)로부터 상방으로 빠져 나가기 쉬워진다. 기포가 빠져 나가기 쉬워지기 때문에, 연료 압력 조절기(85)에 있어서, 공기 빼내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공기 빼내기 효율이 높아지면, 연료 출구(113)로부터 출력되는 기포를 줄일 수 있다. 연료에 포함되는 기포가 적어지면, 엔진(12)에서 바람직한 연소가 행해질 수 있게 된다.
연결 배관(86)의 용적은, 엔진(12)이 시동된 후, 산소 센서(88)가 계측 가능한 온도로 상승하기까지의 사이에 소비하는 연료 소비량과 동량 이상의 용적이다.
예컨대, 전회의 급유시에 비교하여, 에탄올의 혼합 비율이 상이한 연료를 급유하고, 그 후, 냉간 시동을 시킨 경우에 있어서, 연결 배관(86)에 잔류한 연료가 모두 소비될 때까지는, 산소 센서(88)가 소정의 정밀도로 계측 가능한 온도까지 상승한다. 산소 센서(88)가 배기 가스 내에 함유되는 산소 농도를 소정의 정밀도로 계측 가능한 온도까지 상승하면, 제어부(89)는, 산소 센서(88)의 신호를 기초로, 혼합기가 소정의 공연비가 되도록 연료 분사 장치(5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연료 탱크(33)에 저장되어 있는 하나의 연료와 다른 연료의 혼합 비율이 변화했을 때라도, 전회에 급유된 분의 연료에 맞춰 미리 설정된 공연비로 운전되고, 산소 센서(88)가 소정의 정밀도로 계측 가능한 온도에 도달한 후에는, 제어부(89)는, 소정의 공연비가 되도록 연료 분사 장치(5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시동 직후에, 연료 분사 장치(50)는, 전회에 급유된 분의 연료에 맞춰 미리 설정된 공연비로 운전되기 때문에, 엔진(12)에 의해 안정된 연소를 행하게 할 수 있고, 연료 탱크(33) 내에 주입한 연료의 혼합 비율이 변화하는 경우라도, 시동 직후에, 연료 분사 장치(50)는, 전회에 급유된 분의 연료에 맞춰 미리 설정된 공연비로 운전되기 때문에, 엔진(12)에서 최적의 연소가 행해질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은, 제2 실시예의 연결 배관 및 그 주변부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실시예와는, 연료 압력 조절기(85B)의 구성, 배치와, 연결 배관(86B)의 형상 등이 상이하다. 그 외에, 크게 변화된 것은 없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와 크게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연료 압력 조절기(85B)는, 상하로 연장되고 상단부에 리턴 호스(87B)가 접속되는 장축(85Ba)과, 이 장축(85Ba)의 하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연료 호스(84B)가 접속되는 제1 수평부(121)와, 장축(85Ba)의 하부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고 연결 배관(86B)이 접속되는 제2 수평부(122)를 포함한다.
연료 필터(83B)는 그 장축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연료 압력 조절기(85B)는 그 장축(85Ba)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연료 압력 조절기(85B)는 연료 필터(83B)에 대하여,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가 되도록, 연료 필터(83B)를 유지하는 필터 케이스(123)가 배터리 박스(94)의 전방부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필터 케이스(123)의 측방으로부터, 연료 필터(83B)를 덮으며 연료 압력 조절기(85B)를 누르는 커버 부재(124)가 부착되어 있다.
연결 배관(86B)은 연료 분사 장치(50)를 포함하는 스로틀 보디(52)와 연료 압력 조절기(85B)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이며, 이 연결 배관(86B)은 권취부(126)를 갖고 있다.
권취부(126)는 센터 프레임(23)의 하방에 스테이(12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권취부(126)는, 차체 프레임(11)과 연료 분사 장치(50)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소정의 연료 용량을 확보하면서, 차량(10)의 데드 스페이스를 활용하여, 연결 배관(86B)을 한층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면 부호 82B는, 제1 실시예의 연료 탱크(33)에 마련된 연료 펌프(81)와 연료 필터(83B) 사이에 접속된 공급관이다.
연결 배관(86B)은, 권취부(126)를 갖고 있기 때문에, 권취부(126)를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소정의 연료 용량을 확보하면서, 연결 배관(86B)을 차량(10)에 대하여 보다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차량(10)에, 연결 배관(86B)을 보다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으면, 차량(10)에서의, 배치에 필요한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연결 배관(86B)의 용적은, 엔진(12)(도 2)이 시동된 후, 산소 센서(88)가 계측 가능한 온도로 상승하기까지의 사이에 소비하는 연료 소비량과 동량 이상의 용적으로 하였다.
도 6 내지 도 8에 있어서, 도면 부호 82B는 공급관이다.
도 9는 연결 배관의 도중에 개재시킨 절첩 배관부(129)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절첩 배관부(129)는, 연결 배관(86)(도 2)의 도중에 개재되며, 유로를 왕복시키도록 접혀져 있다.
연결 배관(86)에, 유로를 왕복시키도록 접혀진 절첩 배관부(129)가 개재하면, 연결 배관(86)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연결 배관(86)을 콤팩트하게 배치하면서, 배관 내의 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용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연결 배관(86)에서 소정 용량의 연료가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
도 10은 연결 배관(86)에 개재시킨 래버린스 통로(131)를 갖는 케이스(132)를 도시하고 있다.
연결 배관(86)에, 래버린스 통로(131)를 갖는 케이스(132)가 개재되도록 하면, 예컨대 절첩 배관부(129)(도 9)를 마련할 수 없는 경우에도, 급유 전과 급유 후의 연료의 혼합을 일으키는 일 없이, 연결 배관(86)에 필요한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제3 실시예의 연결 배관 및 그 주변부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크게 상이한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센터 프레임(23)의 상방에 연료 탱크(33)가 배치되고, 연료 탱크(33)의 하방에, 스로틀 보디(52)에 포함되는 연료 분사 장치(50)가 배치되며, 연료 탱크(33)의 후방에 탑승자가 앉는 탑승자 시트(34)가 배치되고, 이 탑승자 시트(34)의 하방에 연료 필터(83C)가 배치되며, 이 연료 필터(83C)의 하방에 연료 압력 조절기(85C)가 배치되어 있다. 연료 압력 조절기(85C)와 연료 분사 장치(5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86C)은, 연료 탱크(33)의 전방에 센터 프레임(23)을 따르도록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다. 도면 부호 123C는 필터 케이스, 도면 부호 136은 필터 케이스(123C)를 센터 프레임(23)에 고정하는 나사이다.
연료 필터(83C) 및 연료 압력 조절기(85C)는, 탑승자 시트(34)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탑승자 시트(34)를 열면, 나사(136) 및 필터 케이스(123C)를 통해 센터 프레임(23)에 부착한 연료 필터(83C) 및 연료 압력 조절기(85C)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연결 배관(86C)은, 탑승자 시트(34)로부터 전방으로 연료 분사 장치(5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한 배관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충분한 배관 길이가 확보되면, 배관 내의 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배관 내의 용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산소 센서(88)(도 2)가 계측 가능한 온도까지 상승하기까지 필요로 하는 연료 용량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도면 부호 82C는 공급관, 도면 부호 84C는 연료 호스, 도면 부호 87C는 리턴 호스이다.
도 13은 제4 실시예의 연결 배관 및 그 주변부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연료 압력 조절기(85D)의 구조와, 연료 필터(83D)와 연료 압력 조절기(85D)의 배치 관계에 있고, 그 외에 있어서는 크게 상이한 점은 없다.
연료 압력 조절기(85D)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축부(85Da)의 전단부에 연료 호스(84D)가 접속되고, 후단부에 리턴 호스(87D)가 접속되며, 이 축부(85Da)의 측면(85Db)으로부터 경사 전방 하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연결 배관(86D)이 접속되는 전방 연장부(134)를 갖고 있다.
연료 필터(83D)는, 그 축(83Dj) 방향이 상하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연료 압력 조절기(85D)는, 연료 필터(83D)에 대하여,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 배관(86D)에는, 권취부(126D)가 마련되어 있다. 권취부(126D)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소정의 연료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3에 있어서, 도면 부호 82D는 공급관이다.
연결 배관에 마련되어 연료 용량을 확보하는 수단은, U자형 만곡부에 한정되지 않고, 이 외의 수단에 의한 것이어도 지장이 없다.
연료 압력 조절기는, 장축이, 연직 방향 이외의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예컨대, 차량 길이 방향 또는 차량 폭 방향 수평, 경사 전방, 경사 상방 또는 이들을 조합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어도 지장이 없다.
권취부의 배치 위치는, 차체 프레임과 연료 분사 장치의 사이 이외에도, 예컨대 차체 프레임의 상방 또는 연료 분사 장치의 하방에 배치하는 것이어도 지장이 없고, 배치 위치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연결 배관에 개재시키는 수단은, 절첩 배관부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수단이어도 지장이 없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연료 탱크의 외측에, 연료 필터와 연료 압력 조절기가 마련되고, 이 연료 압력 조절기의 유출측에, 다종 연료 내연 기관이 구비되어 있는 자동 이륜차에 적합하다.
11: 차체 프레임
15: 내연 기관
33: 연료 탱크
34: 탑승자 시트
50: 연료 분사 장치
80: 연료 공급 장치
81: 연료 펌프
83: 연료 필터
85: 연료 압력 조절기
86: 연결 배관
88: 산소 센서
89: 제어부
111: U자형 만곡부
131: 래버린스 통로
132: 케이스

Claims (9)

  1. 연료 탱크로부터 알코올과 가솔린을 임의의 비율로 혼합한 연료를 이용하는 다종 연료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상기 연료 탱크로부터의 연료를 일정 압력으로 유지하는 연료 압력 조절기와,
    상기 엔진에 상기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 분사 장치와,
    상기 연료 압력 조절기와 상기 연료 분사 장치를 접속하는 연결 배관과,
    상기 엔진의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산소량을 계측하는 산소 센서와,
    상기 알코올의 농도를 상기 산소 센서의 계측값에 의해 추정하여 연료 분사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배관의 내부 용적은, 상기 엔진이 시동된 후, 상기 산소 센서가 계측 가능한 온도로 상승하기까지의 사이에 소비하는 연료 소비량과 동량(同量) 이상의 용적인 것인 연료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 장치는 차량에 탑재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고, 이 차량은, 차체 프레임과, 이 차체 프레임에 부착된 연료 탱크와, 이 연료 탱크에 마련되어 연료를 상기 엔진을 향하여 송출하는 연료 펌프와, 이 연료 펌프와 상기 연료 압력 조절기 사이에 개재되어 연료를 여과하는 연료 필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인 연료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배관은, 그 도중에 U자형 만곡부를 갖고 있는 것인 연료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압력 조절기는, 그 장축(longitudinal shaft)이 연직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료 분사 장치에 마련되며 상기 연결 배관이 접속되는 입구는, 상기 연료 압력 조절기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U자형 만곡부는, 상기 연료 압력 조절기에 마련된 연료 출구와 상기 입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연료 공급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배관은, 그 도중에 권취부를 갖고 있는 것인 연료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상기 차체 프레임과 상기 연료 분사 장치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연료 공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배관은, 그 도중에 유로를 왕복시키도록 접혀진 절첩(折疊) 배관부를 갖고 있는 것인 연료 공급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배관은, 그 도중에 래버린스 통로(131)를 갖는 케이스(132)가 개재되어 있는 것인 연료 공급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분사 장치는, 상기 연료 탱크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연료 압력 조절기는, 상기 연료 탱크의 후방에 그리고 탑승자가 앉는 탑승자 시트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배관은, 상기 탑승자 시트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인 연료 공급 장치.
KR1020107022044A 2008-03-06 2009-02-18 연료 공급 장치 KR101166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56846 2008-03-06
JP2008056846A JP4889669B2 (ja) 2008-03-06 2008-03-06 燃料供給装置
PCT/JP2009/052755 WO2009110313A1 (ja) 2008-03-06 2009-02-18 燃料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314A KR20100129314A (ko) 2010-12-08
KR101166998B1 true KR101166998B1 (ko) 2012-07-24

Family

ID=41055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044A KR101166998B1 (ko) 2008-03-06 2009-02-18 연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544449B2 (ko)
EP (1) EP2249009B1 (ko)
JP (1) JP4889669B2 (ko)
KR (1) KR101166998B1 (ko)
CN (1) CN101960123B (ko)
AR (1) AR070805A1 (ko)
BR (1) BRPI0909109B1 (ko)
CO (1) CO6311028A2 (ko)
MX (1) MX2010009688A (ko)
PE (1) PE20100223A1 (ko)
WO (1) WO20091103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5192B2 (ja) * 2009-09-29 2013-10-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燃料供給装置
JP5520623B2 (ja) * 2010-01-29 2014-06-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JP5511460B2 (ja) * 2010-03-24 2014-06-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表示装置
WO2012077248A1 (ja) * 2010-12-06 2012-06-1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
US8893665B2 (en) * 2011-08-17 2014-11-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compensating for alcohol concentration in fuel
JP2014051894A (ja) 2012-09-05 2014-03-20 Yamaha Motor Co Ltd 燃料ポンプユニット及び車両
JP2014113835A (ja) * 2012-12-06 2014-06-26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JP6117839B2 (ja) * 2015-03-25 2017-04-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燃料供給装置
JP6282621B2 (ja) * 2015-09-30 2018-02-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BR112021010064A2 (pt) * 2018-12-12 2021-08-17 Honda Motor Co., Ltd. aparelho de avaliação de combustível, método de controle respectivo e program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6831A (ja) 2005-10-27 2007-06-14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929B2 (ja) * 1986-06-04 1994-05-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始動時燃料補正装置
JPS635131A (ja) 1986-06-24 1988-01-11 Honda Motor Co Ltd 多種燃料エンジン用空燃比制御方法
US5090389A (en) * 1989-10-09 1992-02-25 Ota Tadaki Fuel delivery control apparatus for engine operable on gasoline/alcohol fuel blend
JPH04128528A (ja) * 1990-09-20 1992-04-30 Mazda Motor Corp アルコール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装置
US5402763A (en) * 1990-11-27 1995-04-04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of controlling an engine for a flexible fuel vehicle
JPH0526087A (ja) * 1991-07-19 1993-02-02 Fuji Heavy Ind Ltd Ffv用エンジンの始動制御方法及び始動補助装置
JPH04224244A (ja) * 1990-12-21 1992-08-13 Honda Motor Co Ltd 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装置
JPH05296084A (ja) * 1992-04-16 1993-11-09 Fuji Heavy Ind Ltd エンジンの燃料噴射量制御方法
JPH05340286A (ja) * 1992-06-11 1993-12-21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燃料制御装置
JP3057470B2 (ja) * 1994-04-15 2000-06-26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車両用エンジンの給油判定装置及び燃料供給装置
JP3711582B2 (ja) * 1995-03-31 2005-11-02 株式会社デンソー 酸素濃度検出装置
JP4042270B2 (ja) * 1999-05-24 2008-02-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始動制御装置
US7047944B2 (en) * 2003-10-17 2006-05-23 Toyota Technical Center Usa, Inc. Method and system to determine engine restart
CN2760266Y (zh) * 2004-09-09 2006-02-22 中国石油西南油气田分公司川西北气矿 甲醇—汽油双燃料发动机
CN2793348Y (zh) 2005-04-19 2006-07-05 王金生 微机控制燃气内燃机
JP4322297B2 (ja) 2007-08-22 2009-08-26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9074367A (ja) * 2007-09-18 2009-04-09 Yamah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鞍乗型車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6831A (ja) 2005-10-27 2007-06-14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44449B2 (en) 2013-10-01
JP4889669B2 (ja) 2012-03-07
JP2009209909A (ja) 2009-09-17
CN101960123A (zh) 2011-01-26
EP2249009A1 (en) 2010-11-10
CN101960123B (zh) 2014-06-11
EP2249009B1 (en) 2012-06-20
MX2010009688A (es) 2011-07-01
BRPI0909109A2 (pt) 2015-08-25
US20110056465A1 (en) 2011-03-10
KR20100129314A (ko) 2010-12-08
CO6311028A2 (es) 2011-08-22
PE20100223A1 (es) 2010-03-24
BRPI0909109B1 (pt) 2019-11-05
EP2249009A4 (en) 2011-03-23
WO2009110313A1 (ja) 2009-09-11
AR070805A1 (es) 2010-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998B1 (ko) 연료 공급 장치
US8566004B2 (en) Fuel injection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S2270661B2 (es) Sistema de control de inyeccion de combustible.
JP4354662B2 (ja) 燃料装置
JP4835405B2 (ja) 自動二輪車の燃料供給装置
WO2012032859A1 (ja) 鞍乗り型車両、エンジンユニット及び制御装置
JP5264690B2 (ja) スクータ型車両
CN105757449B (zh) 一种车用lng主动增压系统及其供气方法
JP2008280031A (ja) 自動二輪車
JP2013147970A (ja) 多種燃料供給装置
JP2009068445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鞍乗型車両
EP2706219B1 (en) Fuel pump unit and vehicle
JP2007153071A (ja) 自動二輪車の燃料供給装置及び自動二輪車
JP5655216B2 (ja) 燃料供給制御装置及び内燃機関への燃料供給方法
EP2149692B1 (en) Starting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two fuels
JP4914737B2 (ja) エンジン用燃料供給装置
JP2014113835A (ja) 自動二輪車
JP2008196432A (ja) エンジン用燃料供給装置
JP5130254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EP2647818A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straddle-type vehicle including the same
JP2023150798A (ja) 鞍乗り型車両
JP2011213229A (ja) スクータ型車両
JP2004346829A (ja) 車両用内燃機関
TH114270A (th) ยานพาหนะชนิดสกูตเทอร์
JP2013209913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