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706B1 - 종형 다기통 디젤 엔진 - Google Patents

종형 다기통 디젤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706B1
KR101155706B1 KR1020050021018A KR20050021018A KR101155706B1 KR 101155706 B1 KR101155706 B1 KR 101155706B1 KR 1020050021018 A KR1020050021018 A KR 1020050021018A KR 20050021018 A KR20050021018 A KR 20050021018A KR 101155706 B1 KR101155706 B1 KR 101155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on rail
passage forming
diesel engine
cylinder
form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3611A (ko
Inventor
아키라 마에고야
타카토시 이마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60043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1/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 F02B61/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for driving propellers
    • F02B61/045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for driving propellers for marine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charging or scaveng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25/00, F02B27/00 or F02B33/00 - F02B39/00; Details thereof
    • F02B29/04Cooling of air intake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07Other engines having vertical crank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13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 F02M26/22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with coolers in the recirculation passage
    • F02M26/29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olers, e.g. pipes, plates, ribs, insulation or materials
    • F02M26/30Connections of coolers to other devices, e.g. to valves, heaters, compressors or filters; Cooler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n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02M55/025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4Arrangements of injectors with respect to engines; Mounting of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275/00Other engines, componen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02B2275/14Direct injection into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00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 F02B3/06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with compression ign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먼레일 및 그 부품을 편리하게 보호할 수 있는 종형 다기통 디젤 엔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린더블록(2)의 폭방향을 횡방향으로 하여, 실린더블록(2)의 횡방향 측에 커먼레일(3)을 배치할 때, 흡기분배수단(5)과 배기합류수단(22)의 어느 것인가로 선택되는 통로형성수단(23)이 커먼레일(3)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커먼레일(3)의 바로 위에 배치되는 통로형성수단(23)은 분기관이 없는 박스 모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엔진냉각팬(4)은 통로형성수단(23)의 아래쪽에 커먼레일(3)보다 위로 냉각풍이 통과하도록 커먼레일(3)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Figure R1020050021018
엔진, 커먼레일, 종형, 다기통, 실린더, 냉각, 유지보수

Description

종형 다기통 디젤 엔진 {VERTICAL MULTI-CYLINDER DIESEL ENGI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먼레일형의 종형 다기통 디젤 엔진의 좌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상기 엔진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상기 엔진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상기 엔진의 후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상기 엔진의 우측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상기 엔진의 실린더헤드의 평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상기 엔진의 헤드커버를 장착한 상기 실린더헤드의 평면도.
도 8a는, 도 7에 도시한 부분의 수직 단면도.
도 8b는, 레버 및 그 주변의 평면도.
본 발명은 종형 다기통 디젤 엔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기통 디젤 엔진은, 본 발명과 마찬가지로 커먼레일(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특허공개공보 No.2001-159381 참조)을 배치하고 있다.
커먼레일은 엔진 운전 중에 큰 내부압력을 받기 때문에, 이에 의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압력센서 또는 그와 같은 부품이 커먼레일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러한 부품들 역시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커먼레일 및 그 부품을 편리하게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이 존재하지 아니하였다.
상술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커먼레일 및 그 부품이 손상되기 쉽다.
커먼레일 및 그 부품을 용이하게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커먼레일 주변 부품을 유지보수할 때에, 공구 및 부품을 부주의로 낙하하게 되면, 그들은 커먼레일 및 그 부품과 충돌하고, 그에 의해 커먼레일 및 그 부품이 쉽게 손상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종형 다기통 디젤 엔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상세하게는, 커먼레일 및 그 부품을 편리하게 보호할 수 있는 종형 다기통 디젤 엔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블록(cylinder block, 2)의 폭방향을 횡방향으로 하여, 실린더블록(2)의 횡방향 측에 커먼레일(common-rail, 3)을 배치할 때, 흡기분배수단(5)과 배기합류수단(22)의 어느 것인가로 선택되는 통로형성수단(23)이 커먼레일(3)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8은, 모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먼레일형의 종형 다기통 디젤 엔진(diesel engine)을 나타낸다.
상기 엔진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실린더블록(2) 또는 실린더헤드(cylinder head, 10)의 폭방향, 크랭크축(crank shaft, 1)의 축방향 및 실린더의 축방향은, 각각 횡방향,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취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블록(2)의 상부에 실린더헤드(10)가 조립되며, 실린더헤드(10)의 상부에 헤드커버(head cover, 11)가 조립된다. 실린더블록(2)의 전방에, 라디에이터(radiator, 25)와 엔진냉각팬(4)이 배치된다. 엔진냉각팬(4)은 실린더블록(2)의 전방에 배치된 벨트전동장치(17)를 통해 크랭크축(1)에 의해 구동된다. 실린더블록(2)의 후부(後部)에는 기어 트레인(gear train, 8)을 수용하는 기어 트레인 수용부(9)가 배치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먼레일(3)은 실린더블록(2)의 횡방향 양측 중 일측에 배치된다. 커먼레일(3)은 전후방향으로 놓여 있다. 압력센서(3a)는 커먼레일(3)의 전단부(前端部)에 배치되어 있고, 릴리프밸브(relief valve)는 커먼레일(3)의 후단부(後端部)에 배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 일측에 커먼레일(3)을 배치할 때, 흡기분배수단(5)은 커먼레일(3)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또한, 배기합류수단(22)이 커먼레일(3)의 바로 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더 상세하게는, 흡기분배수단(5)과 배기합류수단(22)의 어느 것인가로 선택되는 통로형성수단(23)을 커먼레일(3)의 바로 위에 배치하면 충분하다. 비록 흡기분배수단(5)이 흡기 다기관으로 작용하지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기관이 없는 박스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러한 명칭이 사용된다. 배기합류수단(22)은 배기 다기관으로서 작용하지만, 그러한 명칭은 흡기분배수단(5)의 명칭과 조화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냉각팬(4)은, 엔진냉각팬(4)에 의해 생산된 냉각풍이 커먼레일(3)의 위쪽에 배치된 통로형성수단(23)의 아래쪽을 지나가도록 커먼레일(3)의 전방에 배치된다. 도 1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먼레일(3)의 위쪽의 통로형성수단(23)은, 장착볼트(6)의 보스(boss, 6a)를 구비한 하부벽(5a)을 가진다. 보스(6a)는 통로형성수단(23)의 하부벽(5a)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횡방향으로 하부벽(5a)을 가로지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장력기(18)로 작용하는 발전기(19) 및 스테이(stay, 27)가 커먼레일(3)의 전방에 배치되지만, 엔진냉각팬(4)에 의해 후방으로 공급되는 바람은, 스테이(27)의 위쪽과 발전기(19) 및 실린더블록(2) 사이의 틈을 통과한 다음, 통로형성수단(23)의 아래쪽으로 공급된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먼레일(3)용 펌프(7)를 연동하여 움직이게 하는 기어 트레인(8)이 엔진의 후부(後部)에 배치된다. 기어 트레인(8)은 기어 트레인 수용부(9)에 수용된다. 기어 트레인 수용부(9)는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부분을 가진다. 횡방향의 돌출부(9a)는 커먼레일(3)용 펌프(7)가 장착되는 전면(前面)을 가진다. 기어 트레인 수용부(9)의 돌출부(9a)는, 그 후방(後方)으로부터 커먼레일(3)의 후단부에 대향한다. 도 1, 2 및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먼레일(3)용 펌프(7)는, 그 횡방향 외측으로부터 커먼레일(3)의 후단부에 대향한다. 펌프(7)는 연료공급펌프 또는 고압펌프로 불린다.
도 2, 7 및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커버(11)는 실린더헤드(10)에 장착되고, 파이프(13)는 커먼레일(3)로부터 분사기(12)로 도출된다. 헤드커버(11)의 커먼레일(3) 측의 횡벽(11a)은, 부분적으로 헤드커버(11)의 다른 부분보다 더 안쪽으로 오목하게 된다. 횡벽(11a)의 오목부(11b)는 삽입구(11d)가 제공된 내부(11c)를 가진다. 분사기접속부(13a)는 삽입구(11d)를 통해 삽입되며, 파이프(13)를 헤드커버(11) 내의 분사기(12)와 접속시킨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먼레일(3)의 분사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14)는, 커먼레일(3)의 위쪽에 배치한 흡기분배수단(5)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EGR냉각기(15)는 실린더헤드(10)의 후방에서, 기어 트레인 수용부(9)의 위쪽에 배치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EGR밸브(16)는 흡기분배수단(5)의 상부(上部)에 장착된다. EGR은 배기 가스 재순환(exhaust gas recirculation)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 트레인 수용부(9)는 횡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가진다. 횡방향의 돌출부(9a)는 커먼레일(3)용 펌프(7)가 장착되는 전면(前面)을 가진다. 벨트전동장치(17)의 벨트장력기(18)는 펌프(7)의 전방에 배치된다. 발전기(19)는 벨트장력기(18)로서 작용한다. 커먼레일(3)용 펌프(7)는, 커먼레일(3)이 있는 쪽에서 실린더블록(2)의 상부 근처 부분(2a)의 횡방향 일측에 배치된다. 오일냉각기(20)와 시동모터(21)는, 전후방향으로 분리하여 배치되고, 커먼레일(3)이 있는 쪽에서 실린더블록(2)의 상하방향 중앙부의 횡방향 일측에 배치된다. 오일냉각기(20)의 후부에는 오일필터(oil filter, 56)가 분리될 수 있게 장착된다. 연료필터(57)는 흡기분배수단(5)에 장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과급기(54)는 커먼레일(3)이 배치된 엔진의 횡방향 일측과는 반대쪽인 횡방향 타측에서 배기합류수단(22)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공기압축기(55)는 이 횡방향 타측에 배치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헤드(10)는, 헤더커버(11)가 고정되는 헤드커버 장착 시트(seat, 31)를 제공하기 위해 위쪽으로 융기된 상면(上面)(30)을 가진다. 실린더헤드(10)는, 로커 암 브래킷(rocker arm bracket) 장착 시트(32)와 오일낙하구멍(33)이 설치되는 부분을 제공하기 위해, 헤드커버 장착 시트(31)에 의해 둘러싸인 상면(30)을 가진다.
헤드커버 장착 시트(31)는 로커 암 장착 시트(32)의 횡방향 측에 위치하는 부분(31a)을 가진다. 이 부분(31a)은 헤드커버 장착 시트(31)의 다른 부분보다 로커 암 장착 시트(32) 쪽으로 더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위에서 보았을 때, 오목부(31a)는 크랭크축(1)의 축(34)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내부(31b)를 가진다. 엔진이 오목부(31a)가 있는 쪽으로 경사진 경우에, 오목부(31a)의 내부(31b)는 전방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러므로 아래쪽으로 경사진 내부(31b)의 하류측에 오일낙하구멍(33)이 배치된다. 오목부(31a)의 내부(31b)는 후방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치에 따라, 실린더헤드(10)의 상면(30)의 오일은, 엔진이 횡방향으로 경사지게 될 때 헤드커버 장착 시트(31)의 아래쪽으로 경사진 부분(31b)에 의해 유도되면서 신속하게 오일낙하구멍(33)으로 이끌어져, 오일팬(oil pan)으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오일이 실린더헤드(10)의 상면(30)에 계속 머무르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헤드커버 장착 시트(31)의 형상을 개선한 단순한 수단에 의해 오일의 열화(劣化)가 방지된다. 푸시 로드(push-rod) 삽입구멍(58)은, 오일낙하구멍(33)이 있는 횡방향 일측과는 반대쪽인 횡방향 타측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엔진이 횡방향 타측으로 경사질 때, 오일은 푸시 로드 삽입구멍(58)을 통해 낙하하여 오일팬으로 되돌아간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헤드(10)는, 헤드커버 장착 시트(31)를 제공하는 융기된 상면(30)을 가진다. 헤드커버 장착 시트(31)는, 오목부(31a)를 제공하기 위해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며, 이 오목부(31a)는 더 안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가서 글로우 플러그(glow plug) 삽입 구멍(35)이 제공된, 횡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면(30a)을 형성하게 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구조는 헤드커버(11)를 분해하지 않고도 헤드커버(11)의 외측에서 글로우 플러그(51)의 착탈이 가능하게 한다. 이 때문에, 글로우 플러그(51)의 착탈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도 7 및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커버(11)의 횡벽(11a)은, 로커 암 브래킷(36)에 횡방향 측에 위치하고 헤드커버(11)의 횡벽(11a)의 다른 부분보다 로커 암 브래킷을 향해 내측으로 더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11b)을 가진다. 횡벽(11a)의 오목부(11b)는 삽입구(11d)가 제공되는 내부(11c)를 가진다. 분사기접속부(13a)는 삽입구(11d)를 통해서 삽입된다. 분사기접속부(13a)는 헤드커버(11) 내에서 분사기(12)와 연료공급파이프(13)를 접속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분사기접속부(13a)는 헤드커버(11)의 내측으로 진출한다. 따라서 연료공급파이프(13)는, 내부로 진출한 양만큼 줄어든 길이로 엔진의 횡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사기(12)와 로커 암 브래킷(36)은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분사기(12)의 주변 표면은, 연료입구(37) 및 연료회수출구(38)와 함께, 로커 암 브래킷(36)이 있는 쪽과는 반대쪽인 횡방향 타측에 제공된다. 연료입구(37)는 연료공급파이프(13)의 분사기접속부(13a)에 접속됨과 아울러, 연료회수출구(38)는 연료회수파이프(39)의 분사기접속부(39a)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분사기접속부(13a, 39a)는, 로커 암 브래킷(36) 및 로커 암(52, 53)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착탈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연료입구(37)와 연료회수출구(38)는 커먼레일(3)이 배치된 횡방향 일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커먼레일(3)과 분사기접속부(13a, 39a)는 같은 쪽에서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어,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헤드(10)는 분사기(12)를 장착하기 위한 구멍(40)을 제공한다. 분사기(12)는 분사기 장착구멍(40)을 통해 삽입된다. 이 분사기(12)의 양 옆에 한 쌍의 압력수용부(41)가 제공된다. 레버(lever, 42)에 형성된 한 쌍의 동작지점(43)에 한 쌍의 압력수용부(41)가 맞닿아 접촉하게 된다. 레버(42)는, 분사기 장착구멍(40) 안으로 분사기(12)를 눌러서 고정하기 위해 나사부재(45)에 의해 압축되는 힘점부분(44)을 가진다. 레버(42)의 힘점부분(44)은, 구(球)형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접촉면에서 나사부재(45)에 대향하여 돌출한다. 레버(42)로부터 돌출한 지레받침부(46) 역시, 구형으로 형성된 표면을 갖는다. 레버(42)의 지레받침부(46)는 레버(42)의 오목부(42a) 안으로 끼워 맞춤되는 구형부재(47)로 구성된다. 레버(42)는 소결 합금으로 만들어지고, 구형부재(47)로는 강구(鋼球)를 사용한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레버(42)와 지레받침부(46)는 각각 별도로 생산될 수 있으며, 구형부재(47)로서 강구와 같은 현존하는 부품을 사용할 수 있고, 이 때문에 레버(42)의 생산이 용이하게 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레받침부(46)는 로커 암 브래킷(36)의 상면에 위치한다. 너트(nut, 48)는 레버(42)의 힘점부분(44)을 누르는 나사부재(45)에 대해 사용된다. 너트(48)와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rod, 49)로서, 로커 암 브래킷(36)의 장착볼트가 이용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부품의 겸용이 가능하게 되어, 적은 수의 부품만을 가지는 단순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은 헤드커버(11)가 분리될 수 있게 조립된 실린더헤드(10)를 포함한다. 분사기(12)는 헤드커버(11) 내에 위치한 실린더헤드(10)의 분사기 장착구멍(40)에 장착된다. 분사기(12)에는 연료입구(37)와 연료회수출구(38)가 제공된다. 연료는, 연료탱크로부터 커먼레일(3)용 펌프(7), 커먼레일(3), 연료공급파이프(13) 순으로, 분사기(12)의 연료입구(37)에 공급된다. 분사기(12)에 공급된 연료의 일부는, 연료회수출구(38)로부터 연료회수파이프(39)를 통해, 연료탱크 또는 커먼레일(3)용 펌프(7)로 회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엔진은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연료공급파이프(13)를 분사기(12)의 연료입구(37)에 접속하고, 연료회수파이프(39)를 분사기(12)의 연료회수출구(38)에 접속할 때, 분사기(12)의 연료입구(37)와 연료회수출구(38)는 헤드커버(11) 내에 배치된다. 연료공급파이프(13)의 출구에 분사기접속부(13a)가 제공된다. 헤드커버(11)는 삽입구(11d)를 제공하는 벽을 가진다. 삽입구(11d)를 통해 삽입된 분사기접속부(13a)는, 분사기(12)의 연료입구(37)와 분리될 수 있게 접속된다.
연료회수파이프(39)는 헤드커버(11) 내에 수용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내(內) 연료회수통로(26)는 실린더헤드(10) 내에 형성된다. 연료회수파이프(39)는 헤드 내 연료회수통로(26)의 입구에 접속되는 출구를 가진다. 따라서, 분사기접속부(13a)가 분사기(12)의 연료입구(37)로부터 제거되어, 헤드커버(11)의 삽입구(11d)를 통해 헤드커버(11) 밖으로 빼내진 경우에, 헤드커버(11)는 분사기(12)와 연료회수파이프(39)를 제거함이 없이 실린더헤드(10)로부터 분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헤드커버(11)는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연료회수파이프(39)는 관의 도중(途中)에 환상의 분사기접속부(39a)가 복수개 제공되고, 분사기접속부(39a)는 각 분사기(12)의 연료회수출구(38)로부터 헤드 내 연료회수통로(26)로, 넘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각 분사기(12)의 연료회수출구(38)에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먼레일 및 그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 내지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비록 공구, 부품 및 그와 같은 것이 커먼레일(3)의 주변 부품을 유지보수하는 동안 부주의로 낙하하더라도, 커먼레일(3) 위로 낙하하는 것으로부터 그것들을 보호하기 위한 흡기분배수단(5)에 의해 막힌다. 이 때문에 커먼레일(3)과 그 부품(압력센서 및 그와 같은 부품)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먼레일의 보호를 강화할 수 있다.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커먼레일(3)의 바로 위의 흡기분배수단(5)은 분기관 없이 박스 모양 구조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공구, 부품 및 그와 같은 것이 분기관을 통해 통과할 가능성을 가진 구조에 비해, 커먼레일(3)을 보호할 수 있는 통로형성수단(23)은 비록 그것들이 커먼레일(3) 위로 낙하하더라도 더욱 확실하게 공구와 부품을 막아낸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먼레일의 과열을 막을 수 있다.
도 1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냉각팬(4)은 커먼레일(3)의 바로 위에 배치한 통로형성수단(23)의 아래쪽으로 공급되는 냉각풍이 지나가도록 커먼레일(3)의 전방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커먼레일(3)은 냉각풍에 의해 냉각되어, 커먼레일(3)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짐으로써, 커먼레일(3)과 그 부품(압력센서 또는 그와 같은 것)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먼레일의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 3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스(6a)는 통로형성수단(23)의 하부벽(5a)의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하부벽(5a)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른다. 따라서 통로형성수단(23)의 하부벽(5a)을 따라 흐르는 냉각풍은 보스(6a)에 의해 아래쪽으로 편향되어 커먼레일(3)에 부딪히게 된다. 이 때문에, 커먼레일(3)의 냉각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먼레일의 보호를 더 강화할 수 있다.
도 1, 2 및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기어 트레인 수용부(9)의 돌출부(9a)는 그 후방으로부터 커먼레일(3)의 후단부에 대향하게 된다. 따라서 유지보수 중, 기어 트레인 수용부(9)의 돌출부(9a)는 커먼레일(3)의 후방으로부터 접근하는 공구 및 그와 같은 것을 막아낸다. 이에 의해 커먼레일(3)의 보호를 더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먼레일의 보호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도 1, 2 및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커먼레일(3)용 펌프(7)는 그 횡방향 외측으로부터 커먼레일(3)의 후단부에 대향하게 된다. 그러므로 유지보수 중, 커먼레일(3)용 펌프(7)는 엔진의 횡방향 측으로부터 접근하는 공구와 부품을 막아낸다. 이에 의해 커먼레일(3)을 확실히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먼레일의 파이프를 보호할 수 있다.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헤드커버(11)의 커먼레일(3) 측에 있는 횡벽의 분사기접속부(13a)의 삽입구의 주변부(11c)는 다른 부분보다 헤드커버(11)의 내측으로 더 들어가 있다. 그러므로 그 양만큼, 파이프(13)는 헤드커버(11)에 더 가까이 올 수 있다. 이 때문에, 파이프(13)가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이 방지되어, 커먼레일(3)의 파이프(13)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제어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커먼레일(3)의 분사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14)는 커먼레일(3)의 위쪽에 배치한 통로형성수단(23)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공구, 부품 및 그와 같은 것이 커먼레일(3)의 주변 부품의 유지보수 중에 부주의로 낙하하더라도 통로형성수단(23)에 의해 막혀 전자제어장치(14)의 위로 낙하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전자제어장치(14)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유지보수의 작업능률이 높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먼레일(3)의 분사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14)가 커먼레일(3)의 위쪽에 배치한 통로형성수단(23)의 아래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커먼레일(3)의 분사시스템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14)뿐만 아니라 커먼레일(3)에 대해, 커먼레일(3)이 배치된 쪽으로부터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지보수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의 대형화를 막을 수 있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EGR냉각기(15)는 실린더헤드(10)의 후방에서, 기어 트레인 수용부(9)의 위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원래는 죽은 공간이 되는 장소에 EGR냉각기(15)를 공간을 낭비함이 없이 수용할 수 있어, 엔진이 대형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의 대형화를 막을 수 있다.
도 1 및 2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EGR밸브(16)는 흡기분배수단(5)의 상부에 장착되므로, 원래는 죽은 공간이 되는 장소에 EGR냉각기(15)를 공간을 낭비함이 없이 수용할 수 있어, 엔진이 대형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의 횡방향 폭을 작게 만들 수 있다.
도 1 및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벨트전동장치(17)의 벨트장력기(18)는 커먼레일(3)용 펌프(7)의 전방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이들이 횡방향으로 배치된 경우와 비교했을 때, 엔진의 횡방향 폭을 작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지보수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발전기(19)를 벨트장력기(18)로 했기 때문에, 유지보수의 빈도가 높은 발전기(19)와 커먼레일(3)용 펌프(7)가 같은 쪽에 배치되어, 유지보수의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지보수의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
도 1 및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커먼레일(3)용 펌프(7)는 커먼레일(3)이 있는 쪽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커먼레일(3)이 배치된 쪽으로부터 커먼레일(3)과 커먼레일(3)용 펌프(7)에 대한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지보수의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엔진의 횡방향 폭을 줄일 수 있다.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커먼레일(3)용 펌프(7)는 실린더블록(2)의 상부 근처 부분(2a)의 횡방향 일측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큰 횡방향 폭을 갖는 커먼레일(3)용 펌프(7)는, 횡방향 쪽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는 큰 수용공간에 무리 없이 수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횡방향 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지보수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일냉각기(20)와 시동모터(21)는, 커먼레일(3)이 있는 쪽에서, 실린더블록(2)의 상하방향 중앙부(2b)의 횡방향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분리되어 배치된다. 이에 의해, 유지보수의 빈도가 높은 오일냉각기(20)와 시동모터(21)와 커먼레일(3)용 펌프(7)가 같은 쪽에 배치되어, 유지보수의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엔진의 횡방향 폭을 작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오일냉각기(20)와 시동모터(21)는, 실린더블록(2)의 상하방향 중앙부(2b)의 횡방향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분리되어 배치되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횡방향 폭을 갖는 오일냉각기(20)와 시동모터(2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 케이스(24)의 횡방향 돌출에 의해 좁아진 수용공간에 무리 없이 배치될 수 있어, 엔진의 횡방향 폭을 작게 유지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실린더블록(2)의 폭방향을 횡방향으로 하여,
    실린더블록(2)의 횡방향 측에 커먼레일(common rail, 3)을 배치할 때,
    흡기분배수단(5)과 배기합류수단(22)의 어느 것인가로 선택되는 통로형성수단(23)을 커먼레일(3)의 바로 위에 배치하고,
    이 통로형성수단(23)을, 분기관이 없는 박스 모양 구조로 하며,
    크랭크축(1)의 길이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여, 그 한쪽을 전방으로 해서,
    커먼레일(3)의 전방에 엔진냉각팬(4)을 배치하고,
    통로형성수단(23)의 아래쪽을 냉각풍(冷却風)이 통과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형(縱型) 다기통 디젤 엔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통로형성수단(23)의 하부벽(5a)에 장착볼트(6)의 보스(boss, 6a)를 설치하여, 이 보스(6a)를 통로형성수단(23)의 하부벽(5a)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이 보스(6a)가 통로형성수단(23)의 하부벽(5a)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하여, 통로형성수단(23)의 하부벽(5a)을 따라 흐르는 냉각풍이 보스(6a)에 의해 아래쪽으로 편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형 다기통 디젤 엔진.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크랭크축(1)의 길이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여, 그 한쪽을 전방, 다른쪽을 후방으로 해서,
    엔진의 후부(後部)에 커먼레일(3)용 펌프(7)를 연동하는 기어 트레인(gear train, 8)을 배치하고, 기어 트레인(8)을 기어 트레인 수용부(9)에 수용하며, 기어 트레인 수용부(9)의 일부를 횡방향으로 돌출시켜 이 돌출부(9a)의 전면(前面)에 커먼레일(3)용 펌프(7)를 장착하고, 커먼레일(3)의 후단부(後端部)에 그 후방으로부터 기어 트레인 수용부(9)의 돌출부(9a)를 대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형 다기통 디젤 엔진.
  6. 제5항에 있어서,
    커먼레일(3)의 후단부에, 그 횡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커먼레일(3)용 펌프(7)를 대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형 다기통 디젤 엔진.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실린더헤드(10)에 헤드커버(11)를 장착하고, 커먼레일(3)로부터 분사기(12)에 이르는 파이프(13)를 도출하며, 헤드커버(11)의 커먼레일(3)측의 횡벽(11a)의 일부를 헤드커버(11)의 다른 부분보다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게 하고, 이 오목하게 들어간 횡벽의 오목부(11b)의 내부(11c)에 삽입구(揷入口)(11d)를 형성하며, 이 삽입구(11d)로부터 분사기접속부(13a)를 삽입하여, 이 분사기접속부(13a)에서 상기 파이프(13)를 헤드커버(11) 내의 분사기(12)와 접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형 다기통 디젤 엔진.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커먼레일(3) 위쪽의 통로형성수단(23)의 아래쪽에 커먼레일 분사시스템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14)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형 다기통 디젤 엔진.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크랭크축(1)의 길이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여, 그 한쪽을 후방으로 해서,
    실린더헤드(10)의 후방에서, 기어 트레인 수용부(9)의 위쪽에 EGR냉각기(15)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형 다기통 디젤 엔진.
  10.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흡기분배수단(5)의 상부(上部)에 EGR밸브(16)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형 다기통 디젤 엔진.
  11.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크랭크축(1)의 길이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여, 그 한쪽을 전방, 다른쪽을 후방으로 해서,
    엔진의 전부(前部)에 벨트전동장치(17)를 배치하고, 엔진의 후부(後部)에 커먼레일(3)용 펌프(7)를 연동하는 기어 트레인(8)을 배치하며, 기어 트레인(8)을 기어 트레인 수용부(9)에 수용하고, 기어 트레인 수용부(9)의 일부를 횡방향으로 돌출시켜, 이 돌출부(9a)의 전면(前面)에 커먼레일(3)용 펌프(7)를 장착하고, 이 펌프(7)의 전방에 벨트전동장치(17)의 벨트장력기(18)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형 다기통 디젤 엔진.
  12. 제11항에 있어서,
    발전기(19)를 벨트장력기(18)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형 다기통 디젤 엔진.
  13. 제11항에 있어서,
    커먼레일(3)이 있는 쪽에서, 커먼레일(3)용 펌프(7)를, 실린더블록(2)의 상부 근처 부분(2a)의 횡방향 일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형 다기통 디젤 엔진.
  14. 제13항에 있어서,
    커먼레일(3)이 있는 쪽에서, 실린더블록(2)의 상하방향 중앙부(2b)의 횡방향 일측에, 오일냉각기(20)와 시동모터(21)를 전후로 분리해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형 다기통 디젤 엔진.
KR1020050021018A 2004-03-19 2005-03-14 종형 다기통 디젤 엔진 KR101155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79675A JP4074860B2 (ja) 2004-03-19 2004-03-19 縦型多気筒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JP-P-2004-00079675 2004-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611A KR20060043611A (ko) 2006-05-15
KR101155706B1 true KR101155706B1 (ko) 2012-06-12

Family

ID=34836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018A KR101155706B1 (ko) 2004-03-19 2005-03-14 종형 다기통 디젤 엔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61635B2 (ko)
EP (1) EP1577519B1 (ko)
JP (1) JP4074860B2 (ko)
KR (1) KR101155706B1 (ko)
CN (1) CN10046066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4799B2 (ja) * 2005-09-28 2010-06-16 株式会社クボタ 多気筒エンジン
JP4551852B2 (ja) * 2005-09-28 2010-09-29 株式会社クボタ 多気筒エンジン
JP2008045491A (ja) * 2006-08-17 2008-02-28 Kubota Corp エンジン
US7870718B2 (en) * 2007-11-14 2011-01-18 General Electric Company Purge system for an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US8209983B2 (en) * 2008-06-25 2012-07-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urbocharger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reduced footprint turbocharger mounting pedestal
JP5362369B2 (ja) 2009-01-13 2013-12-11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JP5355177B2 (ja) * 2009-03-30 2013-11-27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5281994B2 (ja) 2009-09-15 2013-09-04 株式会社クボタ 多気筒ディーゼルエンジン
DE102010042655A1 (de) * 2010-10-20 2012-04-26 Man Diesel & Turbo Se Brennkraftmaschine
JP5885411B2 (ja) * 2011-07-01 2016-03-15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JP5970269B2 (ja) * 2012-07-06 2016-08-17 株式会社クボタ エンジン
JP6116195B2 (ja) * 2012-11-08 2017-04-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排気ガス再循環装置及び該排気ガス再循環装置を備えるエンジン装置
WO2016171211A1 (ja) * 2015-04-23 2016-10-27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補機取付構造
JP6107874B2 (ja) * 2015-04-23 2017-04-05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補機レイアウト
DE102015006365B4 (de) 2015-05-20 2021-09-30 Deutz Aktiengesellschaft Brennkraftmaschine mit mindestens einem Elektromotor
JP2017014961A (ja) * 2015-06-30 2017-01-19 株式会社クボタ 燃料噴射エンジン
DE102016202591A1 (de) * 2016-02-19 2017-08-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brennungskraftmaschine mit Unterdruckpumpe
JP6718570B2 (ja) * 2016-04-08 2020-07-08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WO2017175640A1 (ja) * 2016-04-08 2017-10-12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EP3441605A4 (en) * 2016-04-08 2019-07-24 Yanmar Co., Ltd. MOTOR DEVICE
JP2017187006A (ja) * 2016-04-08 2017-10-12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DE102017204897A1 (de) * 2017-03-23 2018-09-2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brennungsmotor und Abgasnachbehandlungssystem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JP2018162770A (ja) 2017-03-27 2018-10-18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JP2020122485A (ja) * 2020-05-08 2020-08-13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9991A (ja) * 1998-02-13 1999-08-24 Isuzu Motors Ltd コモンレール燃料噴射システムを備えたv型エンジン
JP2000008951A (ja) * 1998-06-29 2000-01-11 Mazda Motor Corp 直噴式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2001090621A (ja) * 1999-09-24 2001-04-03 Kubota Corp 多気筒ガソリンエンジンの吸気分配装置
JP2003161161A (ja) * 2001-09-11 2003-06-06 Kubota Corp エンジン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82571A (en) * 1917-02-26 1918-10-22 Gen Electric Engine.
CN2149482Y (zh) * 1991-09-26 1993-12-15 北京内燃机总厂 一种涡轮增压柴油机
FR2689936B1 (fr) * 1992-04-09 1994-07-08 Peugeot Dispositif a rampe integree pour le recyclage des gaz d'echappement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WO1996024758A1 (fr) * 1995-02-08 1996-08-15 Yanmar Diesel Engine Co., Ltd. Moteur diesel en v
DE19626251A1 (de) * 1996-06-29 1998-01-08 Bosch Gmbh Robert Luftführungsanlage
JPH10184417A (ja) * 1996-12-25 1998-07-14 Hitachi Ltd 筒内噴射式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H10274111A (ja) * 1997-03-28 1998-10-13 Denso Corp 吸気装置およびその組付け方法
US6098586A (en) * 1997-08-27 2000-08-08 Siemens Canada Limited Integrated intake manifold and air cleaner system
JP2000038941A (ja) * 1998-07-23 2000-02-08 Sanshin Ind Co Ltd 筒内燃料噴射式エンジン
US6367451B2 (en) * 1998-10-05 2002-04-09 Sanshin Kogyo Kabushiki Kaisha Fuel supply system for a direct injected outboard engine
US6308686B1 (en) * 1999-11-18 2001-10-30 Siemens Canada Limited Intake manifold with internal fuel rail and injectors
JP2001159381A (ja) * 1999-12-03 2001-06-12 Isuzu Motors Ltd コモンレール式v型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4174939B2 (ja) * 2000-01-14 2008-11-05 マツダ株式会社 筒内噴射式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JP2001295714A (ja) * 2000-04-13 2001-10-26 Sanshin Ind Co Ltd エンジンの燃料配管構造
JP2003065187A (ja) * 2001-08-22 2003-03-05 Sanshin Ind Co Ltd 船外機における燃料供給装置
JP2003083079A (ja) 2001-09-11 2003-03-19 Kubota Corp エンジンの製造方法
DE60221610T3 (de) * 2001-09-11 2014-12-24 Kubota Corp. Brennkraftmaschine
JP3997477B2 (ja) * 2001-10-05 2007-10-24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3893953B2 (ja) * 2001-11-26 2007-03-14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噴射システム
US6840268B2 (en) * 2002-05-23 2005-01-11 Detroit Diesel Corporation High-pressure connector having an integrated flow limiter and fil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9991A (ja) * 1998-02-13 1999-08-24 Isuzu Motors Ltd コモンレール燃料噴射システムを備えたv型エンジン
JP2000008951A (ja) * 1998-06-29 2000-01-11 Mazda Motor Corp 直噴式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2001090621A (ja) * 1999-09-24 2001-04-03 Kubota Corp 多気筒ガソリンエンジンの吸気分配装置
JP2003161161A (ja) * 2001-09-11 2003-06-06 Kubota Corp エンジ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61635B2 (en) 2008-12-09
KR20060043611A (ko) 2006-05-15
JP4074860B2 (ja) 2008-04-16
EP1577519B1 (en) 2012-04-04
JP2005264846A (ja) 2005-09-29
EP1577519A3 (en) 2006-02-22
CN1670358A (zh) 2005-09-21
EP1577519A2 (en) 2005-09-21
US20050205066A1 (en) 2005-09-22
CN100460664C (zh)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706B1 (ko) 종형 다기통 디젤 엔진
JP4551852B2 (ja) 多気筒エンジン
KR101306451B1 (ko) 입형 직렬 다기통 엔진
CN101598046B (zh) 风冷式通用发动机的润滑装置
KR20110030305A (ko) 다기통 디젤엔진
KR20200090732A (ko) 엔진
US10323614B2 (en) Supercharged engine
JP2003129921A (ja) 船外機用4サイクルエンジン
US11280233B2 (en) Ventilator-equipped engine
JP4224417B2 (ja) 立形エンジン
JP2005171981A (ja) コモンレール式ディーゼルエンジンとその製造方法
JP3997211B2 (ja) エンジン
JP2005264845A5 (ko)
JP2008069786A (ja) コモンレール式ディーゼルエンジン
KR20230133186A (ko) 엔진 및 플라이 휠 하우징
JP6588868B2 (ja) 多気筒エンジン
JP2022164852A (ja) エンジン
JP5712094B2 (ja) 立形直列多気筒エンジン
CN116733652A (zh) 发动机
JP2004245132A (ja) エンジ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