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276B1 - 연근(蓮根)의 추출액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근(蓮根)의 추출액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276B1
KR101142276B1 KR1020080113137A KR20080113137A KR101142276B1 KR 101142276 B1 KR101142276 B1 KR 101142276B1 KR 1020080113137 A KR1020080113137 A KR 1020080113137A KR 20080113137 A KR20080113137 A KR 20080113137A KR 101142276 B1 KR101142276 B1 KR 101142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otus root
lotus
extrac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4287A (ko
Inventor
배만종
추성태
Original Assignee
대구광역시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광역시,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광역시
Priority to KR1020080113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276B1/ko
Publication of KR20100054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2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32Citr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4Wat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8Oligo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06Fruct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8Vitamin 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근의 추출액을 함유하는 음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근 추출액에 다양한 성분을 적절히 배합하여 항산화 효과와 고지혈증 억제 효과를 갖도록 한 연근 음료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근 음료는, 연근 추출액 1.0중량%, 염화나트륨 0.05중량%, 구연산나트륨 0.05중량%, 염화칼륨 0.04중량%, 염화마그네슘 0.05중량%, 젖산칼슘 0.05중량%, 비타민 C 0.05중량%, 고과당 10.5중량%, 함수구연산 0.175중량%, 이소말토올리고당 1.0중량%, 오미자향 0.01중량%, 매실향 0.01중량%, 복합황금추출물 0.03중량%, 모노솔 0.003중량% 및 물 86.982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때 위 연근 추출액은 연근에 10배 중량의 물을 넣고 95~98℃에서 4~10시간 추출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근, 음료

Description

연근(蓮根)의 추출액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of beverage containing a lotus root extract}
본 발명은 연근의 추출액을 함유하는 음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근 추출액에 다양한 성분을 적절히 배합하여 항산화 효과와 고지혈증 억제 효과를 갖도록 한 연근 음료에 관한 것이다.
연(Nelumbo nucifera)은 한국, 시베리아 지역의 못이나 늪지에서 자라는 다년생 수초이다. 예전에는 연꽃은 관상용으로, 연은 차와 술로 주로 이용하였으나 근대에 이르러 연근 및 연잎, 연꽃을 식용이나 약용으로 많이 이용하게 되었다. 특히 연근(Nelumbo nucifera Gaertn.)은 가을철에 뿌리줄기의 끝 부분이 굵어져 식용으로 사용하는 부분으로 본초명으로는 우(藕)라 하며, 예로부터 한방과 민가에서 맛은 달고 떫으면서 성질이 차지도 덥지도 않아 죽으로 요리하여 장복하면 어혈을 풀어주고, 신경통이나 류머티즘 및 피로회복과 병후의 회복에 좋으며, 위장과 폐가 약하거나 설사가 잦은 사람, 스트레스와 초조감, 출혈성 위궤양이나 위염에 효과가 있다고 하여 널리 이용되어왔다. 연의 뿌리와 잎은 methylcorypalline, dimethylcocaeurine, β-sistosterol, kaempferol, quercetine 및 tannic acid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연근 및 연잎의 효능에 관한 연구를 통해 혈장 콜레스테롤 감소, 심장병과 대장암 예방효과, 당뇨병 예방효과 등이 보고된 바 있다.
한편, 생활수준의 향상과 식생활의 서구화 및 증가된 스트레스로 인해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동맥경화증, 뇌혈관 질환, 심장병 등의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부작용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약물에 대한 대체방안으로 고지혈증 및 심혈관계 질환 등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하여 천연물 및 한방약제 중 생리활성물질을 탐색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연근의 건강식품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연잎과 연근의 성분을 분석하고, 연근을 이용하여 만든 연근음료의 항산화효과를 비교하였으며, 고지방식이를 공급한 흰쥐에게 연근음료를 공급하여 혈청의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하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까지 대개 조림반찬 정도로만 사용돼온 연근을 다른 물질과 적절히 배합해, 항산화 효과와 고지혈증 억제 효과를 갖도록 한 연근 음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근의 활용도를 높이고 그 소비처의 다양화에 의한 수익 창출을 제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근 음료의 제조방법은,
(1) 연근에 10배 중량의 물을 넣고 95~98℃에서 4~10시간 추출하여 연근의 추출액을 얻는 한편; 그와는 별도로 황금, 감초, 대두, 황기를 동량으로 혼합한 다음 그 중량의 3~10배에 해당하는 물을 넣고 50~121℃의 온도에서 2~10시간 추출한 것을 62~80Brix가 되도록 농축하여 복합황금추출액을 얻는 단계;
(2) 상기 연근 추출액 1.0중량%, 염화나트륨 0.05중량%, 구연산나트륨 0.05중량%, 염화칼륨 0.04중량%, 염화마그네슘 0.05중량%, 젖산칼슘 0.05중량%, 비타민 C 0.05중량%, 고과당 10.5중량%, 함수구연산 0.175중량%, 이소말토올리고당 1.0중량%, 오미자 인공향료 0.01중량%, 매실 인공향료 0.01중량%, 상기 복합황금추출물 0.03중량%, 모노솔 0.003중량% 및 물 86.982중량%을 혼합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모노솔은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70중량%와 폴리소르베이트 28중량%, 레시틴 2중량%로 이루어지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서도 같다.
삭제
삭제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까지 대개 조림반찬 정도로만 사용돼온 연근을, 항산화 효과와 고지혈증 억제 효과를 갖는 식품으로 활용함으로써,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건강식품을 획득하는 게 가능해지고 연근의 활용도를 다각화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소비처의 다양화에 의한 수익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Ⅰ. 연구개발 수행내용
1. 실험 재료
본 실험에 사용된 연근은 대구광역시 동구 지역에서 채취하였다. 연근음료 제조용으로 사용한 연근 추출물 준비는 연근에 물 10배 분량을 넣고 95~98℃에 4~10시간 추출 여과하고, 잔사는 이 과정을 한 번 더 반복하고, 여액을 모아서 9Brix 되도록 하였다. 이것을 1% 되도록 함유한 연근음료의 조성분의 비율은 아래 표 1과 같고, 제조공정도는 표 2와 같다.
Figure 112011069505393-pat00014
Figure 112008078687660-pat00002
위 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연금음료의 제조에 사용한 물은 지하수로서, 지하수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서 활성탄을 통과시키고 지하수 중 2가의 마그네슘과 칼슘 이온을 제거해서 연수로 만들기 위해서 양이온교환수지를 통과시킨 후, 원료의 배합액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원료인 연근 추출액은 연근무게의 10배의 물을 넣고 95~98℃에서 4~ 10시간 추출한 액을 주원료로 하였다.
표 1의 연근스포츠음료의 조성분 배합비에 따라 배합해서 순간살균장치, 즉 95℃ 상태하에서 3.5초로 통과되는 열교환기를 거쳤다. 여과는 5마이크로 사이즈의 여과기를 통과시키고 음료액의 주입은 245ml 캔용기에 주입 후 마개를 마는 작업인 권채 공정을 거쳤다. 제품이 함유된 캔용기의 이상 유무를 확인 후, 유통기한 날인 포장공정을 거쳐 제품화하였다.
2. 실험방법
가. 연잎 및 연근의 성분 분석
1) 일반성분
시료의 일반성분은 AOAC법에 준해 수분은 상압건조법, 회분은 회화법, 조지방은 Soxhlet 추출법, 조단백질은 Kjeldahl법을 이용하였고, 조섬유 정량은 Henneberg-Stohmann 개량법을 사용하여 시료 분해 및 함량을 측정하였다.
2) 카페인 분석
시료 중 카페인 함량은 표준용액과 시료용액을 0.45 μm membrane filter로 여과하여 Table 1과 같은 조건으로 HPLC(Waters Co.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Figure 112008078687660-pat00003
3) 탄닌분석
탄닌함량은 Folin-Denis법에 따라 시료 및 표준품(tinnic acid)를 반응시킨 후 사용하여 7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나. 연근음료의 항산화력 측정
전자공여능(electron-donating ability) 또는 라디칼소거능(radical-scavenging activity)은 Blosis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농도별 시료(위에서 제조한 연근음료를 물과 혼합하여 0.1%, 1%, 10%, 50%, 100%짜리로 각각 만듦)에 0.4mM DPPH용액을 가하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아질산염 분해작용은 Kato 등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즉 1mM의 NaNO2용액에 농도별 시료(위에서 제조한 연근음료를 물과 혼합하여 10%, 50%, 100%짜리로 각각 만듦)를 첨가하고 여기에 pH 1.2, 3.0, 6.0 buffer를 넣어 최종 부피를 10mL로 하였다. 그리고 반응액에 2% 초산용액을 첨가한 다음 Griess reagent를 가하여 15분간 방치시킨 후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다. 연근음료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1) 실험동물의 사육
실험동물은 Sprague-Dawley 종의 이유한 웅성 흰쥐를 (주)대한바이오링크로부터 구입하여 항온항습 및 공기청정시스템(HC-ES-02, 효창사이언스)에서 일정한 조건(온도: 22±2℃, 습도 55±5%, 명암: 12시간 light/dark cycle)으로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지질대사 개선 효과에 대한 실험군은 기본식이를 공급한 정상군(A), 고지방식이를 공급한 대조군(B), 고지방식이와 연근음료 병행 공급군(C)으로 나누었다. 고지방식이는 기본식이에 lard를 20%, cholesterol을 1%, sodium cholate를 0.25% 농도로 함유되도록 첨가하여 조제하였으며, 실험기간 동안 자유급여 시켰다. 실험군의 식이에 있어서 대조군과 정상군은 생수물을 공급하였고, 연근음료 병행공급군(C)은 연근음료를 물대신 7주간 제한 없이 공급하였다.
2) 실험동물의 처치
실험동물로부터 혈액채취는 흰쥐를 에테르로 마취시켜 개복하고 21 gage의 일회용 주사기를 사용하여 복부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하여 혈액을 2시간 실온에서 방치시킨 후 3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장기처리는 간은 생리식염수로 문맥을 관류, 탈혈한 다음 여과지로 물기를 제거하여 무게를 측정하였고, 심장, 신장 및 비장의 무게도 생리식염수에 한번 씻은 후 물기를 제거하여 측정하였다.
3) 체중증가량,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 측정
체중 측정은 매주 1회 일정시각에 측정하였으며, 최종 체중에서 실험 개시 전의 체중을 감하여 실험기간 중의 체중 증가량으로 나타내었다. 식이섭취량은 매일 일정한 시각에 측정한 후 급여량에서 잔량을 감하여 계산하였고, 식이효율은 실험기간 중의 증체량을 식이섭취량으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4) 혈청 중 간기능 지표효소의 활성도 측정
혈청 alanine aminotransferase(ALT) 및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활성도는 Reitman과 Frankel의 방법에 준해 제조된 kit(Eiken Co.)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ALT와 AST의 기질액 1.0 mL를 37℃에서 5분간 전항온처리한 다음 혈청 0.2 mL를 가하여 37℃에서 ALT는 30분, AST는 60분간 반응시킨 후 정색시약 1.0 mL를 넣어 반응을 종료시켰다. 여기에 0.4 N NaOH 용액 10.0 mL를 가해 잘 혼합한 다음 10분간 방치하고 파장 505 nm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읽어 검량선에 준해 활성도를 산정하였다. 효소의 활성도는 혈청 1 mL 당 1분간에 NADH의 흡광도를 0.001 감 소시키는 활성능을 1단위로 하는 Karmen unit로 나타내었다.
5) 지질함량 측정
○ 혈청 중의 총지질 함량 : 혈청 중 총 지질 함량은 Frings와 Dunn의 방법에 준하여 혈청 0.1mL를 취해 H2SO4 용액 2.0mL를 넣고 혼합한 후 5-10분간 냉각하고, 그 혼합액 0.1mL를 취하여 포스포바닐린 용액 5.0mL를 넣어 잘 혼합한 다음, 37℃에서 15분간 가온하여 실온에서 5분간 냉각시켜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함량을 산출하였다.
○ 혈청 중 중성지질 함량 : 혈청 중 중성지질 함량은 Muller의 방법에 준한 효소법으로, 중성지질 측정용 kit(Eiken Co.)로 측정하였다. 즉 혈청 0.02mL에 효소시약 3.0mL를 가하여 잘 혼합한 다음 37℃에서 5분간 가온한 후 5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함량을 구하였다.
○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 :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Richmond의 방법에 준해 조제된 kit(Eiken Co.)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는 혈청 0.2mL에 효소시약 3.0mL를 가하고 잘 혼합하여 방치한 후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함량을 구하였다.
○ 혈청 중 HDL-콜레스테롤 함량 : 혈청 중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Richmond의 방법에 준해 조제된 kit(Eiken Co.)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혈청 0.3mL에 침전시약 0.3mL를 가하여 잘 혼합하고 실온에서 5분간 정치한 후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그 상징액 0.1mL를 취해 효소시액 3.0mL와 혼합하고 37℃에서 15분간 가온한 다음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함량을 구하였다.
라. 통계학적 분석
실험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고, 각 그룹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SPSS를 이용하여 p<0.05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test에 의해 검정하였다.
Ⅱ. 연구개발 결과 및 고찰
1. 연근의 성분분석
연근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2, 무기질 함량은 Table 3, 탄닌 함량은 Table 4, 카페인 함량은 Table 5에 나타내었다.
일반성분(Table 2) 중 시료 100g당 수분 함량은 백련잎이 81.34%로 가장 높았고 조선련잎 77.61%, 연근 76.57%, 홍련잎 74.01%순으로 나타났다. 시료 100g당 탄수화물 함량은 연근이 21.45g, 홍련잎이 16.52g, 조선련잎이 13.73g, 백련잎이 12.63g을 나타내었으며, 단백질 함량은 홍련잎 6.81g, 조선련잎 5.96g, 백련잎 3.84g, 연근 1.09g순으로 나타났다. 지방 함량은 홍련잎 0.77g, 조선련잎 0.56g, 백련잎 0.48g, 연근 0.08g을 나타내었고, 조섬유소 함량은 백련잎 4.76g, 홍련잎 4.31g, 조선련잎 4.22g 순으로 나타났으며, 연근의 조섬유소 함량이 1.26 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시료 100g당 열량은 홍련잎 100kcal, 조선련잎 85kcal, 연근 90kcal, 백련잎 70kcal를 나타내었다.
연잎의 무기질 함량(Table 3)은 칼슘, 철분, 마그네슘의 경우 조선련잎과 홍련잎이 백련잎에 비해 많았으며, 칼륨과 나트륨의 경우 백련잎의 함유량이 높았다. 연근은 나트륨을 제외한 4종류의 무기질 함량이 연잎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나트륨 함량은 백련잎이 27.12g, 조선연잎이 15.42g, 홍련잎이 11.03g인 데 반해 연근은 359.65g으로 높게 나타났다.
시료 100g당 탄닌 함량(Table 4)은 백련잎이 1601.45mg으로 연잎 중 가장 높았으며, 연근은 382.02mg을 나타내었다.
카페인 함량(Table 5)은 연근과 연잎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Figure 112008078687660-pat00004
Figure 112008078687660-pat00005
Figure 112008078687660-pat00006
Figure 112008078687660-pat00007
2. 연근음료의 기능성 평가
가. 항산화력 측정
1) 전자공여능 측정결과
연근음료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Fig. 1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연근음료는 농도에 비례하여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농도인 0.1%에서는 10.93%로 항산화 활성이 아주 미미하였고, 1%에서는 25.55%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10%에서는 87.5%로 항산화 활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50%와 100%농도에서는 연근음료가 97% 이상의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78687660-pat00008
2) 아질산염 분해작용 측정결과
식품 중에 존재하는 아질산염은 그 자체로도 독성이 강하지만 특히 2급 아민과 함께 반응하여 강력한 발암물질인 nitrosoamine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본 실험에서 연근음료의 농도별로 pH 1.2, pH 3.0 및 pH 6.0 조건에서 반응시켜 아질산염 소거능을 조사한 결과는 Fig. 2에 나타내었다. 연근음료에서는 100% 농도에서 pH 1.2 일 때 5% 미만으로 아질산염 분해활성이 미미하게 나타났으며, pH 3.0 및 pH 6.0에서는 24.97%, 23.73%의 아질산염 분해활성을 나타내었다. pH 6.0 조건에서 음료 농도가 각각 100% 일 때 연근음료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40.34%로 나타났으며, pH가 높을수록 아질산염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Park 등의 결명자 추출물과 Park 등의 쑥과 솔잎 추출물 아질산염 소거작용에서 pH의 의존성이 매우 커 pH가 낮을수록 아질산염 소거능이 크다는 보고와는 상반되는 경향을 보였다.
Figure 112008078687660-pat00009
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1) 체중증가량,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
고지방식이를 7주간 급여하며 연근음료를 병행투여하였을 때 1일 증체량,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은 Table 6에 나타내었다.
1일 체중증가량은 고지방식이 급여 시 4.97±0.29g으로서 정상군(A)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연근음료(C)를 병행급여 시 4.78±0.71g으로서 고지방식이 대조군(B)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식이섭취량은 고지방식이 급여 시 정상군(A)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식이효율은 고지방식이 급여군이 정상군(A)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비만 생쥐 및 흰쥐에 대한 연근의 항 비만효과에 대한 One 등의 보고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연근음료 급여로 체중 증가가 억제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Figure 112008078687660-pat00010
2) 장기 무게
체중 100g 당 장기 무게는 Table 7과 같다.
간의 무게는 고지방식이를 7주간 급여한 고지방식이 대조군(B)의 경우 4.30±0.27g으로서 2.77±0.20g인 정상군(A)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고지방식이 섭취 시 간의 무게가 증가하였다는 Sung과 Wursch의 보고와 일치되는 결과이다. 고지방식이와 연근음료의 병행급여 시 고지방식이 대조군(B)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신장과 심장의 무게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비장의 무게는 정상군(A)의 경우 0.18±0.01g을 나타낸 반면 고지방식이 대조군(B)은 0.23±0.03g, 연근음료 공급군(C)이 0.23±0.04g으로서 정상군(A)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연근음료 공급으로 인한 유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Figure 112008078687660-pat00011
3) 혈액 중 지질함량
혈중 총지방 함량, 총콜레스테롤 함량 및 중성지방 함량은 Table 8에 나타내었다.
흰쥐에게 고지방식이와 연근음료를 병행투여하였을 때 혈중 총지방 함량은 283.63±61.02mg/dL인 정상군(A)에 비해 고지방식이 급여 시(B) 51.05% 증가한 428.45±57.76mg/dL를 나타내었다. 연근음료(C) 급여 시 총지방 함량은 387.42±76.45mg/dL로서 고지방식이 급여군(B)에 비해 10.59%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적 이지는 않았다.
혈청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군(A)에 비해 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B)에서 139.05% 증가하였으며, 연근음료(C) 공급 시 고지방식이 급여대조군(B)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혈청 중성지질 함량은 정상군(A)에 비해 고지방식이 급여군(B)에서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고, 연근음료(C) 급여로 정상군(A)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혈액 중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식이 대조군(B)에서 정상군(A)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연근음료 공급군도 고지방식이 대조군(B)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모세혈관벽의 lipoprotein lipase에 의한 chylomicron과 VLDL의 분해 촉진으로 연근 에탄올 추출물 투여 시 혈청 중성지방 함량이 감소된다는 Lee 등의 보고 및 연잎 추출물의 햄스터의 고지혈증 예방에 대한 Kim 등의 보고와 유사한 경향이다.
Figure 112008078687660-pat00012
4) 혈액 중 AST와 ALT 활성 측정
7주간 고지방식이와 연근음료를 병행 급여 시 간기능 지표 효소인 ALT와 AST의 활성 변화는 Table 9와 같다.
혈청 ALT 활성은 고지방식이 급여 시 정상군(A)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는데, 정상군(A)에 비해 고지방식이 대조군(B)은 44.69% 정도 증가하였다. 연근음료 공급 시 혈청 ALT 활성은 고지방식이 대조군(B)에 비해 감소하였는데 유의적이지는 않았고, 음료 급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혈청 AST 활성은 정상군(A)에 비해 고지방식이 대조군(B)에서 27.27% 증가하였으며, 연근음료의 병행 급여 시 감소하였는데 특히 연근음료 공급 시(C) 고지방 식이 대조군(B)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78687660-pat00013
3. 요약
본 연구에서는 연근의 건강식품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연잎과 연근의 성분분석 및 연근을 이용하여 만든 연근음료의 항산화효과를 비교하였으며, 고지방식이를 공급한 흰쥐에게 7주간 연근음료를 공급하여 혈청의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연잎 및 연근의 성분분석 결과 시료 100g당 수분 함량은 백련잎이 81.34% 로 가장 높았고 조선련잎 77.61%, 연근 76.57%, 홍련잎 74.01%순으로 나타났다. 시료 100g당 탄수화물 함량은 연근이 21.45g, 홍련잎이 16.52g, 조선련잎이 13.73g, 백련잎이 12.63g을 나타내었으며, 단백질 함량은 홍련잎 6.81g, 조선련잎 5.96g, 백련잎 3.84g, 연근 1.09g순으로 나타났다. 지방 함량은 홍련잎 0.77g, 조선련잎 0.56g, 백련잎 0.48g, 연근 0.08g을 나타내었고, 조섬유소 함량은 백련잎 4.76g, 홍련잎 4.31g, 조선련잎 4.22g 순으로 나타났으며 연근의 조섬유소 함량이 1.26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시료 100g당 열량은 홍련잎 100kcal, 조선련잎 85kcal, 연근 90kcal, 백련잎 70kcal를 나타내었다. 연잎의 무기질 함량은 칼슘, 철분, 마그네슘의 경우 조선련잎과 홍련잎이 백련잎에 비해 많았으며, 칼륨과 나트륨의 경우 백련잎의 함유량이 높았다. 연근은 나트륨을 제외한 4종류의 무기질 함량이 연잎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나트륨 함량은 백련잎이 27.12g, 조선연잎이 15.42g, 홍련잎이 11.03g인데 반해 연근은 359.65g으로 높게 나타났다.
시료 100g당 탄닌 함량은 백련잎이 1601.45mg으로 연잎 중 가장 높았으며, 연근은 382.02mg을 나타내었다. 카페인은 연근과 연잎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 연근음료의 전자공여능은 연근음료가 10% 농도에서 87.50%로 높게 나타났으며, 음료 농도가 50% 이상인 경우 연근음료의 전자공여능은 97.26%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보다 pH 6.0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pH 6에서 50% 연근음료는 12.59%를 나타내었다. 100% 연근음료는 23.73%로서 연근음료 농도가 높을 수록 아질산염 소거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7주 동안 고지방식이를 공급한 흰쥐에게 연근음료를 병행급여하였을 때 1 일 체중증가량은 연근음료(C) 병행급여 시 각각 4.78±0.71g으로서 고지방식이 대조군(B)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식이섭취량은 고지방식이 급여 시 정상군(A)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식이효율은 고지방식이 급여군이 정상군(A)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 체중 100g당 간의 무게는 고지방식이와 연근음료의 병행급여 시 고지방식이 대조군(B)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고, 신장과 심장의 무게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비장의 무게는 정상군(A)에 비해 고지방식이 실험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연근음료 공급으로 인한 유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 흰쥐에게 고지방식이와 연근음료를 병행투여하였을 때 혈중 총지방 함량은 연근음료(C) 급여 시 각각 387.42±76.45mg/dL로서 고지방식이 급여군(B)에 비해 7.26%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혈청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연근음료(C) 공급 시 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B)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음료 종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혈청 중성지질 함량은 연근음료(C) 급여로 정상군(A)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혈액 중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식이 대조군(B)에서 정상군(A)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연근음료 공급군도 고지방식이 대조군(B)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연근음료는 항산화효과 및 고지혈증의 억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서 연근음료의 건강식품으로서의 활용가능성이 기대된다 하 겠다.

Claims (3)

  1. (1) 연근에 10배 중량의 물을 넣고 95~98℃에서 4~10시간 추출하여 연근의 추출액을 얻는 한편; 그와는 별도로 황금, 감초, 대두, 황기를 동량으로 혼합한 다음 그 중량의 3~10배에 해당하는 물을 넣고 50~121℃의 온도에서 2~10시간 추출한 것을 62~80Brix가 되도록 농축하여 복합황금추출액을 얻는 단계;
    (2) 상기 연근 추출액 1.0중량%, 염화나트륨 0.05중량%, 구연산나트륨 0.05중량%, 염화칼륨 0.04중량%, 염화마그네슘 0.05중량%, 젖산칼슘 0.05중량%, 비타민 C 0.05중량%, 고과당 10.5중량%, 함수구연산 0.175중량%, 이소말토올리고당 1.0중량%, 오미자 인공향료 0.01중량%, 매실 인공향료 0.01중량%, 상기 복합황금추출물 0.03중량%, 모노솔 0.003중량% 및 물 86.982중량%을 혼합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연근의 추출액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080113137A 2008-11-14 2008-11-14 연근(蓮根)의 추출액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KR101142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137A KR101142276B1 (ko) 2008-11-14 2008-11-14 연근(蓮根)의 추출액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137A KR101142276B1 (ko) 2008-11-14 2008-11-14 연근(蓮根)의 추출액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287A KR20100054287A (ko) 2010-05-25
KR101142276B1 true KR101142276B1 (ko) 2012-05-07

Family

ID=4227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137A KR101142276B1 (ko) 2008-11-14 2008-11-14 연근(蓮根)의 추출액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2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43215A (zh) * 2015-02-06 2015-05-27 蚌埠味多多学生营养餐有限公司 一种营养美白消炎莲藕冷鲜汁及其制备方法
CN104643212A (zh) * 2015-02-06 2015-05-27 蚌埠味多多学生营养餐有限公司 一种清肺补血行气鱼香枇杷莲藕汁及其制备方法
CN104643213A (zh) * 2015-02-06 2015-05-27 蚌埠味多多学生营养餐有限公司 一种护齿养颜胶质状莲藕黏汁及其制备方法
CN104643214A (zh) * 2015-02-06 2015-05-27 蚌埠味多多学生营养餐有限公司 一种苦中有酸、酸中带甜的爽滑绿茶多味莲藕汁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86663A (zh) * 2015-02-06 2015-06-10 蚌埠味多多学生营养餐有限公司 一种润肤补气健胃酸鲜竹藕乳及其制备方法
KR101871452B1 (ko) * 2015-12-28 2018-06-27 시흥시 연 성분이 함유된 천년초 음료 제조방법
KR101700942B1 (ko) * 2016-08-12 2017-01-31 주식회사 포텐에이드 스포츠 음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6382B1 (ko) 1999-08-09 2001-03-15 전원찬 가압 전이에 의한 무가당 홍삼 침출차의 제조방법
KR100538612B1 (ko) 2002-12-09 2005-12-22 주식회사 바이오굴바라 연을 이용한 티백 및 그 티백의 제조방법
WO2006067906A1 (ja) 2004-12-24 2006-06-29 Yugen Kaisha Konno International 蓮からの抽出エキスを含有してなる組成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6382B1 (ko) 1999-08-09 2001-03-15 전원찬 가압 전이에 의한 무가당 홍삼 침출차의 제조방법
KR100538612B1 (ko) 2002-12-09 2005-12-22 주식회사 바이오굴바라 연을 이용한 티백 및 그 티백의 제조방법
WO2006067906A1 (ja) 2004-12-24 2006-06-29 Yugen Kaisha Konno International 蓮からの抽出エキスを含有してなる組成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43215A (zh) * 2015-02-06 2015-05-27 蚌埠味多多学生营养餐有限公司 一种营养美白消炎莲藕冷鲜汁及其制备方法
CN104643212A (zh) * 2015-02-06 2015-05-27 蚌埠味多多学生营养餐有限公司 一种清肺补血行气鱼香枇杷莲藕汁及其制备方法
CN104643213A (zh) * 2015-02-06 2015-05-27 蚌埠味多多学生营养餐有限公司 一种护齿养颜胶质状莲藕黏汁及其制备方法
CN104643214A (zh) * 2015-02-06 2015-05-27 蚌埠味多多学生营养餐有限公司 一种苦中有酸、酸中带甜的爽滑绿茶多味莲藕汁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287A (ko) 201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276B1 (ko) 연근(蓮根)의 추출액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Friday et al. Investigations on the nutritional and medicinal potentials of Ceiba pentandra leaf: A common vegetable in Nigeria
KR20200004942A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20100013040A (ko) 석류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또는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70600B1 (ko) 연근(蓮根) 스낵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되는 연근스낵
KR100552398B1 (ko)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101759494B1 (ko) 항고혈압 저염 간장의 제조방법
KR100375048B1 (ko) 숙취 억제 건강음료
KR102105111B1 (ko) 생리활성성분이 강화된 에너지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39640B1 (ko) 뽕잎추출물 및 양파즙의 혼합물 코팅액을 이용한 저당미의 제조 방법
KR101461165B1 (ko) 숙취해소용 식품조성물
KR101122586B1 (ko)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333152B1 (ko) 라벤더를 첨가한 꿀의 제조방법
KR101045279B1 (ko) 비만억제효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의 조성물
KR101046787B1 (ko) 숙취해소용 음료수 조성물
KR102036522B1 (ko) 시나몬오매를 이용한 간장 제조방법
RU2353105C1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добавка к пище
KR100853939B1 (ko) 고추잎을 주원료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40097764A (ko)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 기능성 된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37020A (ko) 양잠산물과 한약재를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101405144B1 (ko) 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건강보조식품
KR20060066706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한 콜라겐 비타 감귤(柑橘) 홍차(과일침출 차)
TRANG et al. Physicochemical properties, bioactive compounds of different types of lotus tea in Thua Thien Hue province of Viet Nam
KR20200004941A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2341886B1 (ko) 벌나무 추출물 및 오리나무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