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083B1 - 기판을 수용하는데 사용되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을 수용하는데 사용되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083B1
KR101141083B1 KR1020110024381A KR20110024381A KR101141083B1 KR 101141083 B1 KR101141083 B1 KR 101141083B1 KR 1020110024381 A KR1020110024381 A KR 1020110024381A KR 20110024381 A KR20110024381 A KR 20110024381A KR 101141083 B1 KR101141083 B1 KR 101141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lipping
actuator unit
connecto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9877A (ko
Inventor
겐타 아시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9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기판을 수용하는데 사용하는 커넥터 (100) 로서, 이 커넥터 (100) 는
하우징 (110); 상기 하우징 (110) 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액츄에이터 유닛 (120); 및 제 1 클립핑부 (131a) 와 제 2 클립핑부 (132a) 를 갖는 접촉자(130) 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은, 상기 기판 (T1) 의 삽입 방향 (X) 에 대한 횡방향으로 위치하는 회전축 (123); 상기 회전축 (123) 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작용점부 (122); 및 상기 회전축 (123) 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작동점부 (124) 를 가지며, 상기 제 1 클립핑부 (131a) 와 제 2 클립핑부 (132a) 중 적어도 하나는 접촉자 (130) 와 기판 (T1) 사이의 접촉점으로서 기능하며, 상기 작동점부 (124) 는 기판 (T1) 의 삽입 방향으로 상기 클립핑부 (131a, 132a) 의 후방측 (X2) 에 위치된다.

Description

기판을 수용하는데 사용되는 커넥터{CONNECTOR FOR USE IN ACCEPTING A BASE-PLATE}
본 발명은 커넥터, 특히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또는 FFC(Flexible Flat Cable) 과 같은 평평한 연결 대상물 및 다른 연결 대상물을 연결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커넥터는 예컨대 발명의 명칭 "커넥터" 의 JP 2006-351288 A (특허 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도 14 를 참조하면, JP 2006-351288 A 에 개시된 커넥터는 하우징 (510) 과 이 하우징 (510) 에 의해 지지되는 다수의 접촉자 (530) 를 포함한다. 접촉자 (530) 는 다수 쌍의 접촉부 (531a, 532a) 를 가지며, 제 1 접촉부 (531a) 와 제 2 접촉부 (532a) 를 각각 포함한다. 제 1 접촉부 (531a) 와 제 2 접촉부 (532a) 는 제 1 접촉부 (531a) 와 제 2 접촉부 (532a) 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서로 대향한다. 제 1 접촉부 (531a) 와 제 2 접촉부 (532a) 는 제 1 접촉부 (531a) 와 제 2 접촉부 (532a)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 대상물 (T1) 에 의해 변위 또는 분리된다. 이 경우, 제 1 접촉부 (531a) 와 제 2 접촉부 (532a) 는 연결 대상물 (T1) 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이를 위해, 제 1 접촉부 (531a) 와 제 2 접촉부 (532a) 는 오목-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대향 면을 각각 갖고 있다.
특허 문헌 1 에 개시되어 있고 도 14 에 나타나 있는 커넥터 (500) 에서, 연결 대상물 (T1) 의 표면은, 연결 대상물 (가요성 기판)(T1) 이 허용 공차 내에서 두꺼울 때, 절삭 에지로서 작용하는 연결 대상물 (T1) 의 에지로 인해 제 1 접촉부 (531a) 와 제 2 접촉부 (532a) 에 의해 긁히게 된다. 그러므로, 연결 대상물 (T1) 의 패드가 제거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연결 대상물 (T1) 이 두꺼우면, 제 1 접촉부 (531a) 와 제 2 접촉부 (532a) 사이에 연결 대상물 (T1) 을 삽입하는 것이 어렵다.
커넥터 장치 (600) 가 발명의 명칭 "가요성 인쇄 배선판용 커넥터 장치"의 일본 공개 특허 공보 JP 2004-39479 A 에 개시되어 있고 도 15 및 16 에 나타나 있다. 이 커넥터 장치는, 특허 문헌 1 과 관련하여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연결 대상물 (T1) 로부터 기인하는 손상 및 접촉자의 제 1 접촉부 및 제 2 접촉부 사이에 연결 대상물 (T1) 을 삽입하는 어려움에 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5 및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커넥터 (600) 는 하우징 (610), 액츄에이터 유닛 (620) 및 다수의 접촉자 (630) 를 포함한다. 접촉자 (630) 들 각각은 상측 접촉부 (631a) 및 이 상측 접촉부 (631a) 에 대향하는 하측 접촉부 (632a) 를 가지며, 상측 접촉부 (631a) 와 하측 접촉부 (632a) 사이에는 틈 또는 간격이 존재한다. 접촉자 (630) 는 하우징 (610) 안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상측 접촉부 (631a) 와 하측 접촉부 (632a) 사이의 틈은 액츄에이터 유닛 (620) 이 작동되기 전에 가요성 인쇄 배선판 (T1) 의 두께 보다 더 넓게 되어 있다. 액츄에이터 유닛 (620) 이 손으로 작동되어, 상측 접촉부 (631a) 와 하측 접촉부 (632a) 사이의 틈을 좁힌다. 가요성 인쇄 배선판 (T1) 이 커넥터 (600) 에 부착된 다음에 커넥터 (600) 에 삽입되면, 액츄에이터 유닛 (620) 이 손으로 작동되어 상측 접촉부 (631a) 와 하측 접촉부 (632a) 로 가요성 인쇄 배선판 (T1) 을 소정의 압력으로 쥐게 된다.
그러나, 특허 문헌 2 에 개시된 커넥터 (600) 는 가요성 인쇄 배선판 (T1) 의 부착 또는 클립핑에 관해 두가지 작동을 필요로 한다. 즉, 이 두 가지 작동은 가요성 인쇄 배선판 (T1) 을 삽입하는 작동과 액츄에이터 유닛 (620) 을 조작하는 작동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이러한 두 작동은 번거로우며 가요성 인쇄 배선판 (T1) 을 커넥터 (600) 에 부착하는데 무거운 작업 부담을 준다.
또한, 액츄에이터 유닛 (620) 이 손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 유닛 (620) 과 같은 각 요소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고 또한 그 액츄에이터 유닛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더우기, 커넥터 (600) 의 케이스의 크기가 매우 작으면, 액츄에이터 유닛 (620) 을 손에 의해 보통의 조작자 손가락으로 작동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 경우, 가요성 인쇄 배선판 (T1) 을 커넥터 (600) 에 부착하는 작업은 점점 더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대표적인 목적은, 기판, 즉 평평한 연결 대상물을 수용하는데 사용되고, 한번의 작동만으로도 기판을 수용할 수 있으며, 기판의 삽입 중에 그 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액츄에이터 유닛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양태에 따르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액츄에이터 유닛; 및 제 1 클립핑부와 제 2 클립핑부를 갖는 접촉자를 포함하며 기판을 수용하는데 사용하는 커넥터가 제공되며,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은, 상기 기판의 삽입 방향에 대한 횡방향으로 위치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작용점부; 및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작동점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클립핑부와 제 2 클립핑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접촉자와 기판 사이의 접촉점으로서 기능하며, 상기 작동점부는 기판의 삽입 방향으로 상기 클립핑부들의 후방측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한번의 작동만으로도 기판을 수용할 수 있으며, 기판의 삽입 중에 그 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액츄에이터 유닛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과 관련된 대표적인 실시 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나 있고 기판의 삽입 방향의 뒤에서 본 커넥터의 후면도이다.
도 4 는 제 1 기판을 커넥터에 부착하는 동안의 커넥터의 단면 사시도.
도 5 는 제 1 기판을 커넥터에 부착하는 동안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제 1 기판을 커넥터에 부착한 후의 커넥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7 은 제 1 기판을 커넥터에 부착한 후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커넥터의 제 2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9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상면도이다.
도 10 은 제 1 기판을 커넥터에 부착하기 전에 있는 본 발명의 참조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1 은 제 1 기판을 커넥터에 부착하기 전에 있는 참조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2 은 제 1 기판을 커넥터에 부착하기 전에 있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3 은 제 1 기판을 커넥터에 부착하는 중에 있는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4 는 관련 기술에 관한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5 은 관련 기술과 관련한 가요성 인쇄 회로를 위한 다른 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6 은 가요성 인쇄 배선판이 커넥터 장치에 부착된 후의 도 15 의 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 (100) 를 설명한다.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 (100) 는 제 1 연결 대상물인 제 1 기판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과 제 2 연결 대상물인 제 2 기판 (인쇄 기판)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도 1, 2 에서, 상기 커넥터 (100) 는 제 1 기판 (T1) 을 수용하는데 사용되는 수용 공간 (111) 을 갖는 하우징 (110), 이 하우징 (110) 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액츄에이터 유닛 (120), 및 하우징 (110) 안에 위치하는 다수의 접촉자 (130) 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110) 과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은 절연성 수지로 만들어지며, 접촉자 (130) 는 인청동과 같은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 (110) 은, 제 1 기판 (T1) 을 수용하는데 사용되는 수용 공간 (111), 액츄에이터 유닛 (120) 과 대향하는 기판 설치면 (112), 이 기판 설치면 (112) 상에 형성되어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의 작용점부 (122) 를 수용하는데 사용되는 한쌍의 작용점 수용부 (113), 하우징 (110) 의 접촉폭 방향 (Y) 의 양 측벽에 형성되어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의 회전축 (123) 을 회전가능하게 각각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한쌍의 베어링부 (114), 및 상기 접촉폭 방향 (Y) 으로 하우징 (110) 의 측벽에 형성되어 제 2 기판 (T2) 의 홀드다운 (T2a) 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한쌍의 홀드다운 유지부 (115) 를 포함한다.
도 4 을 참고하면, 상기 기판 설치면 (112) 은, 접촉폭 방향 (Y)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피치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된 접촉자 (130) 를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다수의 접촉자 유지 홈 (112a) 을 갖는다.
도 1 ~ 3 을 참조하면,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은, 하우징 (110) 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몸체부 (121), 제 1 기판 (T1) 의 삽입 방향 (X) 의 전방측 (X1) 에서 몸체부 (121) 의 접촉폭 방향 (Y) 의 양 측벽에 형성되고, 제 1 기판 (T1) 이 커넥터 (100) 에 삽입될 때 작용점부 (122) 가 기판 설치면 (112) 으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이도록 제 1 기판 (T1) 에 의해 위로 밀리게 되는 한쌍의 작용점부 (122), 삽입 방향 (X) 으로 작용점부 (122) 의 후방측 (X2) 에서 몸체부 (121) 의 접촉폭 방향 (Y) 의 양 측벽에 형성되는 회전축 (123), 및 삽입 방향 (X) 으로 회전축 (123) 의 후방측 (X2) 에서 몸체부 (121) 에 형성되고, 제 1 기판 (T1) 이 커넥터 (100) 에 삽입될 때 접촉자 (130) 의 피작동 또는 가동부 (131b) 를 기판 설치면 (112) 쪽으로 내리 누르는 작동점부 (124) 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 (123) 은 삽입 방향 (X) 에 대한 횡방향으로 위치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작용점부 (122) 와 회전축 (123) 사이의 제 1 거리는 상기 작동점부 (124) 와 회전축 (123) 사이의 제 2 거리 보다 길다.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의 무게 중심은 삽입 방향 (X) 으로 회전축 (123) 의 전방측 (X1) 에 위치한다. 도 2 에서, 작용점부 (122) 는 몸체부 (121) 에서 기판 설치면 (112) 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시된 작용점부 (122) 는 삽입 방향 (X) 으로 접촉자 (130) 의 제 1 클립핑부(접촉점)(131a) 와 제 2 클립핑부 (132a) 의 전방측 (X1) 에 위치한다. 또한, 작용점부 (122) 는 삽입 방향 (X) 으로 그의 전방측 (X1) 에서 버팅 경사면 (122a) 을 갖는다. 이 버팅 경사면 (122a) 은 작용점부 (122) 가 삽입 방향 (X) 의 후방측 (X2) 으로 기판 설치면 (112) 쪽으로 가까이 가도록 경사져 있다. 도 2 에서, 작동점부 (124) 는,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이 회전할 때 접촉자 (130) 의 피작동부 (131b) 에 접촉하게 되는 볼록 곡면 (124a) 를 갖는다. 도 2 에서, 작동점부 (124) 는 삽입 방향 (X) 으로 상기 클립핑부 (131a, 132a) 의 후방측 (X2) 에 위치한다.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접촉자 (130) 는 90 도 회전한 I-형 단면 또는 H-형 단면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접촉자 (130) 는 액츄에이터 유닛 (120) 에 가까이 위치하는 제 1 비임부 (131), 기판 설치면 (112) 에 가까이 위치하는 제 2 비임부 (132), 및 제 1 비임부 (131) 와 제 2 비임부 (132)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비임부 (131) 의 중심부와 제 2 비임부 (132) 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133) 를 포함한다. 제 1 비임부 (131) 와 제 2 비임부 (132) 및 연결부 (133) 는 일체 성형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2 를 계속 참조하면, 제 1 비임부 (131) 는, 삽입 방향 (X) 으로 연결부 (133) 의 전방측 (X1) 에 위치하는 제 1 클립핑부 (131a) 와, 삽입 방향 (X) 으로 연결부 (133) 의 후방측 (X2) 에 위치하는 피작동부 (131b) 를 포함한다. 제 1 클립핑부 (131a) 는 제 1 기판 (T1) 의 패드 (T1b) 와 접촉자 (130) 사이의 접촉점으로서 작용한다. 피작동 또는 가동부 (131b) 는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의 곡면 (124a) 과 대향하는 오목 곡면 (131b') 을 갖는다.
한편, 도시된 제 2 비임부 (132) 는, 삽입 방향 (X) 으로 연결부 (133) 의 전방측 (X1) 에 위치하는 제 2 클립핑부 (132a) 와, 삽입 방향 (X) 으로 후방측 (X2) 에 위치하며 제 2 기판 (T2) 에 납땜 장착되는 단자부 (132b) 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 비임부 (132) 는 하우징 (110) 의 접촉자 유지 홈 (112a) 에 의해 유지되고 하우징 (110) 에 고정된다. 제 1 클립핑부 (131a) 는 제 2 클립핑부 (132b) 와 대향한다. 도 2 에서 쉽게 알 수 있듯이, 접촉자 (130) 는 정상 폐쇄형으로 설계되어 있다. 즉, 제 1 클립핑부 (131a) 와 제 2 클립핑부 (132a) 사이의 틈 또는 간격은 제 1 기판 (T1) 이 커넥터 (100) 안으로 삽입되기 전에는 그 제 1 기판 (T1) 의 두께 보다 좁다.
도 4 를 계속 참조하면, 제 1 기판 (T1) 은, 제 1 기판 (T1) 의 양측을 부분 절취해서 형성되며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의 작용점부 (122) 를 수용하는데 사용되는 한쌍의 작용점 수용부 (T1a) 와, 접촉자 (130) 의 제 1 클립핑부 (131a) 에 연결되는 패드 (T1b) 를 갖는다.
다시 도 1 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 (100) 는 이 커넥터 (100) 의 홀드다운 (T2a) 을 통해 제 2 연결 대상물 (도 1 에는 미도시) 로서 작용하는 제 2 기판 (T2) 에 납땜으로 장착될 수 있다. 어쨋든, 홀드다운 (T2a) 을 홀드다운 유지부 (115) 에 부착하여, 도 1 에 도시된 하우징 (100) 과 제 2 기판 (T2) 이 서로 고정된다.
도 4 ~ 7 을 참조하여, 상기 커넥터 (100) 에 제 1 기판 (T1) 을 부착하는 방법과 커넥터 (100) 에 제 1 기판 (T1) 을 부착하는 동안에 상기 커넥터 (100) 의 각 요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4 와 도 5 에서, 먼저 조작자에 의해 제 1 기판 (T1) 은 삽입 방향 (X) 의 전방측 (X1) 에서 삽입 방향 (X) 의 후방측 (X2) 을 향해 하우징 (110) 과 액츄에이터 유닛 (120) 사이에 삽입된다.
도 4 와 도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의 작용점부 (122) 는 버팅 경사면 (122a) 을 갖는데, 이 경사면은 작용점부 (122) 가 삽입 방향 (X) 의 후방측 (X2) 으로 기판 설치면 (112) 쪽으로 가까이 가도록 경사져 있다. 그러므로,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의 작용점부 (122) 는 제 1 기판 (T1) 에 의해 위로 밀려, 작용점부 (122) 는 기판 설치면 (112) 으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인다.
그리고 나서,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은 회전축 (123) 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의 작동점부 (124) 는 접촉자 (130) 의 피작동부 (131b) 를 기판 설치면 (112) 쪽으로 내리 누르게 된다. 도 4 와 도 5 에서, 작용점부 (122) 와 회전축 (123) 사이의 제 1 거리는 작동점부 (124) 와 회전축 (123) 사이의 제 2 거리 보다 길게 되어 있다. 따라서, 지렛대의 원리에 따라 작동점부 (124) 를 쉽게 내리 누룰 수 있으며 그래서 작은 삽입력으로 제 1 기판 (T1) 을 커넥터 (100) 에 삽입할 수 있다.
삽입 조작 중에, 접촉자 (130) 의 피작동부 (131b) 는 하방으로 눌리고 접촉자 (130) 의 연결부 (133) 는 탄성 변형되며, 제 1 클립핑부 (131a) 가 위로 올려져 이 제 1 클립핑부 (131a) 는 기판 설치면 (112) 으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인다. 그래서, 제 1 클립핑부 (131a) 와 제 2 클립핑부 (132a) 사이의 틈은 넓어진다. 이때, 제 1 클립핑부 (131a) 와 제 2 클립핑부 (132a) 사이의 틈은 제 1 기판 (T1) 의 두께 보다 넓다.
그리고 나서, 제 1 기판 (T1) 은 조작자에 의해 삽입 방향 (X) 의 후방측 (X2) 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 1 기판 (T1) 은 제 1 클립핑부 (131a) 와 제 2 클립핑부 (132a) 사이에 끼워진다.
도 6 과 도 7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 (T1) 은 조작자에 의해 삽입 방향 (X) 의 후방측 (X2) 으로 더 이동하게 되며, 제 1 기판 (T1) 의 작용점 수용부 (T1a) 는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의 작용점부 (122) 의 위치와 정렬된다.
이때,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의 작용점부 (122) 는 제 1 기판 (T1) 으로부터 분리되어 그 기판의 지지를 받지 않게 되며, 연결부 (133) 는 초기 형상으로 복귀하게 되며,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이 회전하여 이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의 작용점부 (122) 가 기판 설치면 (112) 에 가까이 간다.
결과적으로, 도 6 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작동부 (131b) 는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의 작동점부 (124) 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접촉자 (130) 의 제 1 클립핑부 (131a) 와 제 2 클립핑부 (132a) 는 상기 틈을 초기의 크기로 좁히려고 하는데, 다시 말해 제 1 기판 (T1) 의 두께 보다 더 좁게 되려고 한다. 그러면 제 1 클립핑부 (131a) 와 제 2 클립핑부 (132a) 는 제 1 기판 (T1) 을 쥐어, 제 1 클립핑부 (131a) 와 제 1 기판 (T1) 의 패드 (T1b) 가 서로 연결된다.
동시에,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의 작용점부 (122) 는 제 1 기판 (T1) 의 작용점 수용부 (T1a) 와 하우징 (110) 의 작용점 수용부 (113) 에 수용된다. 그 결과, 제 1 기판 (T1) 은 커넥터 (100) 에 위치되고, 제 1 기판 (T1) 은 그 커넥터 (100) 에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4 ? 7 을 참조하여, 커넥터 (100) 에서 제 1 기판 (T1) 을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먼저, 조작자는 쇄기꼴의 헤드부를 갖는 공구를 작용점부 (122) 의 버팅 경사면 (122a) 과 제 1 기판 (T1) 사이에 삽입한다. 상기 공구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결과적으로,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의 작용점부 (122) 는 위로 밀려 그 작용점부 (122) 는 기판 설치면 (112) 으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이고, 따라서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은 회전축 (123) 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런 다음,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의 작동점부 (124) 는 접촉자 (130) 의 피작동부 (131b) 를 기판 설치면 (112) 쪽으로 내리 누르게 된다.
그러면, 연결부 (133) 가 탄성 변형되고 제 1 클립핑부 (131a) 가 기판 설치면 (112) 으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이고, 그리 하여 제 1 클립핑부 (131a) 와 제 2 클립핑부 (132a) 사이의 틈이 넓어지게 된다.
그리 하여, 조작자는 제 1 클립핑부 (131a) 와 제 2 클립핑부 (132a) 사이에서 제 1 기판 (T1) 을 쉽게 빼낼 수 있다.
커넥터 (100) 의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제 1 기판 (T1) 이 삽입되고 또한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의 회전에 의해 접촉자 (130) 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이 선회 또는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접촉자 (130) 의 제 1 클립핑부 (131a) 와 제 2 클립핑부 (132a) 사이의 틈이 넓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제 1 기판 (T1) 을 삽입하는 조작 외에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을 회전시키는 수동 조작은 필요치가 않다. 이는 제 1 기판 (T1) 을 삽입하는 단지 하나의 조작만 수행해서 제 1 기판 (T1) 을 삽입할 수 있고 또한 작업 부담을 줄여서 제 1 기판 (T1) 을 삽입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시된 커넥터 (100) 의 경우,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은 손에 의한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의 수동 회전 없이 제 1 기판 (T1) 의 삽입으로 회전된다. 그러므로,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의 회전량은 제 1 클립핑부 (131a) 와 제 2 클립핑부 (132a) 사이에 제 1 기판 (T1) 을 삽입할 수 있게 하는데 필요한 필수량으로 제한된다. 그리 하여,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을 손으로 조작하는 경우에서 처럼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이 과도한 힘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리 하여 액츄에이터 유닛 (120)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기판 (T1) 이 삽입되면, 제 1 클립핑부 (131a) 와 제 2 클립핑부 (132a) 사이에 필요한 크기의 틈이 자동적으로 넓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제 1 기판 (T1) 의 두께가 허용 공차 내에서 두껍더라도, 제 1 기판 (T1) 이 제 1 클립핑부 (131a) 와 제 2 클립핑부 (132a) 에서 큰 마찰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리 하여 제 1 기판 (T1) 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손에 의한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의 조작은 필요치가 않다. 그러므로, 커넥터 (100) 의 크기가 매우 작더라도, 종래 기술처럼 손에 의해 통상의 조작자 손가락으로 액츄에이터 유닛을 조작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으며, 그리 하여 제 1 기판 (T1) 의 부착을 쉽게 이룰 수 있다.
상기 하우징 (110) 과 제 1 기판 (T1) 은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의 작용점부 (122) 를 받는데 사용되는 작용점 수용부 (113) 와 홈부 (T1a) 를 각각 갖고 있다. 그러므로, 커넥터 (100) 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제 1 기판 (T1) 을 커넥터 (100) 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제 1 기판 (T1) 이 커넥터 (100) 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래서, 제 1 기판 (T1) 의 패드 (T1b) 와 접촉자 (130) 의 제 1 클립핑부 (131a) 사이의 전자 접속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작용점부 (122) 와 회전축 (123) 사이의 제 1 거리는 작동점부 (124) 와 회전축 (123) 사이의 제 2 거리 보다 길다. 그러므로, 제 1 기판 (T1) 을 작은 힘으로 커넥터 (100) 에 삽입하더라도, 지렛대의 원리에 따라 작동점부 (124) 를 쉽게 내리 누룰 수 있으며, 그래서 제 1 기판 (T1) 의 삽입 중에 그 제 1 기판 (T1) 과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의 작용점부 (122) 사이의 과도한 물리적 접촉을 피할 수 있고, 제 1 기판 (T1) 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잇으며 또한 제 1 기판 (T1) 의 삽입을 부드럽게 이룰 수 있다.
상기 작용점부 (122) 는 삽입 방향 (X) 의 전방측 (X1) 에서 버팅 경사면 (122a) 을 가지며, 이 버팅 경사면 (122a) 은 작용점부 (122) 가 삽입 방향 (X) 의 후방측 (X2) 으로 기판 설치면 (112) 쪽으로 가까이 가도록 경사져 있다. 그러므로, 제 1 기판 (T1) 을 작은 힘으로 커넥터 (100) 에 삽입하더라도, 작용점부 (122) 를 쉽게 위로 밀 수 있으며, 그래서 제 1 기판 (T1) 과 작용점부 (122) 사이의 과도한 물리적 접촉을 피할 수 있고, 또한 제 1 기판 (T1) 의 삽입을 부드럽게 이룰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의 작동점부 (124) 는 곡면 (124a) 을 가지며 피직동부 (131b) 는 곡면 (131b') 를 갖는다. 따라서, 작동점부 (124) 가 피작동부 (131b) 를 내리 누룰 때 작동점부 (124) 의 곡면 (124a) 은 피작동부 (131b) 의 곡면 (131b') 에 부드럽게 접촉하게 되며, 그리 하여 제 1 기판 (T1) 의 삽입을 부드럽게 이룰 수 있다.
몸체부 (121) 의 무게 중심은 삽입 방향 (X) 으로 회전축 (123) 의 전방측 (X1) 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제 1 기판 (T1) 을 커넥터 (100) 에 부착하기 전 또는 후에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이 하우징 (110) 에서 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작동점부 (124) 는 삽입 방향 (X) 으로 제 1 클립핑부(접촉점)(131a) 의 후방측 (X2) 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커넥터 (100) 에 제 1 기판 (T1) 을 부착하는 동안에 제 1 기판 (T1) 이 작동점부 (124) 를 통과하지 않고 제 1 클립핑부(접촉점)(131a) 에 도달하게 할 수 있다. 그래서 제 1 클립핑부(접촉점)(131a) 와 제 1 기판 (T1) 이 작동점부 (124) 와 접촉자 (130) 의 피작동부 (131b) 사이의 슬라이딩으로 인해 작동점부 (124) 와 피작동부 (131b)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모 가루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과 도 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 (200) 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제 2 실시 형태의 구성은 접촉자 (230) 및 하우징 (210) 과 액츄에이터 유닛 (220) 사이의 힌지 기구 외에는 제 1 실시 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접촉자 (230) 와 힌지 기구 외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에는 제 1 실시 형태보다 100 만금 더 커진 참조 번호가 부여된다.
접촉자 (230) 에 관해 제 1 실시 형태와 제 2 실시 형태 간의 상이한 점만 설명할 것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접촉자 (230) 의 제 2 비임부 (232) 는 제 2 클립핑부 (232a) 와 단자부 (232b) 외에도 제 2 단자부 (232c) 를 갖는다. 제 2 단자부 (232c) 는 삽입 방향 (X) 으로 제 2 클립핑부 (232a) 의 전방측 (X1) 에 위치하며 납땜에 의해 제 2 기판 (T2) 에 장착된다.
하우징 (210) 과 액츄에이터 유닛 (220) 사이의 힌지 기구에 관해 제 1 실시 형태와 제 2 실시 형태 간의 상이한 점만 설명할 것이다. 커넥터 (100) 의 제 1 실시 형태에서, 하우징 (110) 과 액츄에이터 유닛 (120) 사이의 힌지 기구는 몸체부 (121) 의 한쌍의 회전축 (123) 과 하우징 (110) 의 한쌍의 베어링부 (114) 를 포함하는데, 즉 하우징 (110) 과 액츄에이터 유닛 (120) 은 접촉폭 방향 (Y) 의 양측에서 힌지로 연결된다.
한편, 도 8 과 도 9 에 도시된 커넥터 (200) 의 제 2 실시 형태에서, 하우징 (210) 과 액츄에이터 유닛 (220) 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촉폭 방향 (Y) 으로 다수의 지점에서 힌지로 연결된다.
즉, 도 9 에서, 하우징 (210) 은, 접촉폭 방향 (Y) 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나란히 위치되며 또한 액츄에이터 유닛 (220)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돌출벽 (216) 을 갖고 있다. 오목한 제 2 베어링부 (216a) 가 접촉폭 방향 (Y) 으로 상기 다수의 돌출벽 (216) 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 (220) 은 하우징 (210) 의 다수의 돌출벽 (216) 의 대응 위치에서 다수의 슬릿부 (225) 를 갖고 있다. 도 9 를 참조하면, 핀부 (225a) 가 접촉폭 방향 (Y) 으로 슬릿부 (225) 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핀부 (225a) 는 접촉폭 방향 (Y) 쪽으로 돌출해 있다. 핀부 (225a) 의 중심 축은 회전축 (223) 에 상당한다. 제 2 베어링부 (216a) 는 핀부 (225a) 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8 에서, 작동점부 (224) 는 삽입 방향 (X) 으로 클립핑부 (231a, 232a) 의 후방측 (X2) 에 위치한다.
커넥터 (200) 의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커넥터 (200) 는 접촉폭 방향 (Y) 에 걸쳐 다수의 핀부 (225a) 와 다수의 제 2 베어링부 (216a) 를 갖는다. 그러므로, 각각의 연결부에 미치는 힘의 가혹함을 줄일 수 있고 액츄에이터 유닛 (220) 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 과 도 1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참조예에 따른 커넥터 커넥터 (300) 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이 참조예의 구성은 접촉자 (330) 와 액츄에이터 유닛 (320) 외에는 제 1 실시 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접촉자 (330) 와 액츄에이터 유닛 (320) 외의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에는 제 1 실시 형태 보다 200 만큼 더 커진 참조 번호를 부여한다.
도 10 과 도 11 에서 보듯이, 작동점부 (324) 의 위치는 제 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즉, 도 10 과 도 11 에서, 액츄에이터 유닛 (320) 의 작동점부 (324) 는 삽입 방향 (X) 으로 축 (323) 의 전방측 (X1) 과 작용점부 (322) 의 후방측 (X2) 에서 훅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기판 (T1) 의 삽입 동안에 작동점부 (324) 는 접촉자 (330) 의 피작동부 (331b) 를 위로 밀어, 그 피작동부 (331b) 는 기판 설치면 (312) 으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인다.
또한, 제 1 비임부 (331) 의 위치와 제 1 비임부 (331) 의 피작동부 (331b) 의 위치 또한 제 1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즉, 도 10 과 도 11 을 참조하면, 접촉자 (330) 의 제 1 비임부 (331) 는 끝에서 이 제 1 비임부 (331) 의 삽입 방향 (X) 의 후방측 (X2) 에서 연결부 (333) 에 연결되어 있다. 더우기, 접촉자 (330) 의 피작동부 (331b) 는 삽입 방향 (X) 으로 제 1 클립핑부 (331a) 의 전방측 (X1) 에 위치한다.
계속 도 10 과 도 11 을 참조하면, 접촉자 (330) 의 제 2 비임부 (332) 는 제 2 클립핑부 (332a) 와 단자부 (332b) 외에도 제 2 단자부 (332c) 를 갖는다. 이 제 2 단자부 (332c) 는 삽입 방향 (X) 으로 제 2 클립핑부 (332a) 의 전방측 (X1) 에 위치하고 제 2 기판 (T2) 에 납땜 장착된다.
도 12 와 도 1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 (400) 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제 3 실시 형태의 구성은 접촉자 (430) 및 액츄에이터 유닛 (420) 의 구성이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언급한 것과 상이하다라는 것 외에는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접촉자 (430) 와 액츄에이터 유닛 (420) 외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에는 제 1 실시 형태보다 300 만금 더 커진 참조 번호가 부여된다.
상기 작동점부 (424) 의 위치는 제 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즉, 도 12 와 도 13 을 참조하면, 액츄에이터 유닛 (420) 은, 접촉폭 방향 (Y) 으로 몸체부 (421) 의 양측과 결합하며 삽입 방향 (X) 으로 연결부 (433) 의 전방측 (X1) 에서 제 1 비임부 (431) 와 제 2 비임부 (432) 사이에 개재되는 캠부 (426) 를 갖는다. 도 12 와 도 1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캠부 (426) 는 단면이 대략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도 12 에서, 삽입 방향 (X) 으로의 캠부 (426) 의 길이는 도 12 에 도시된 상태에서 삽입 방향 (X) 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캠부 (426) 의 길이 보다 길게 되어 있다. 제 1 비임부 (431) 와 대향하는 캠부 (426) 의 측면은 작동점부 (424) 로서 기능하게 되는데, 액츄에이터 유닛 (420) 이 회전할 때 이 작동점부는 접촉자 (430) 의 피작동부 (431b) 를 위로 밀어 그 피작동부 (431b) 가 기판 설치면 (412) 으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인다. 도 12 에서, 작동점부 (424) 는 삽입 방향 (X) 으로 클립핑부 (431a, 432a) 의 후방측 (X2) 에 위치한다.
제 1 비임부 (431) 의 위치와 이 제 1 비임부 (431) 의 피작동부 (431b) 의 위치 또한 제 1 실시 형태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도 12 와 도 13 에서, 접촉자 (430) 의 제 1 비임부 (431) 는 끝에서 제 1 비임부 (431) 의 삽입 방향 (X) 의 후방측 (X2) 에서 연결부 (433) 에 연결되어 있다. 더우기, 접촉자 (430) 의 피작동부 (431b) 는 삽입 방향 (X) 으로 제 1 클립핑부 (431a) 의 후방측 (X2) 에 위치된다.
도 12 와 도 13 을 참조하면, 접촉자 (430) 의 제 2 비임부 (432) 는 제 2 클립핑부 (432a) 와 단자부 (432b) 외에도 제 2 단자부 (432c) 를 갖는다. 제 2 단자부 (432c) 는 삽입 방향 (X) 으로 제 2 클립핑부 (432a) 의 전방측 (X1) 에 위치하며 제 2 기판 (T2) 에 납땜 장착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제 1 기판을 FPC(Flexible Printed Circuit) 으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제 1 기판은 편평한 연결 대상물로 형성되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될 수 있으며, 예컨대 FFC(가요성 평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일 수도 있다.
(가요성 평 케이블)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액츄에이터 유닛과 하우징은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액츄에이터 유닛은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러나, 액츄에이터 유닛과 하우징은 부품수를 줄이기 위해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우징과 액츄에이터 유닛은 가요성 재료, 예컨대 나일론 수지로 형성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접촉자의 제 1 클립핑부는 접촉자와 제 1 기판 사이의 접촉점으로서 기능한다. 하지만, 접촉자와 제 1 기판 사이의 접촉점은 제 1 클립핑부 외에도 제 1 비임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 2 클립핑부가 접촉자와 제 1 기판 사이의 접촉점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접촉자와 제 1 기판 사이의 접촉점은 제 2 클립핑부 외에도 제 2 비임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2 클립핑부 모두는 접촉자와 기판 사이의 접촉점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은 2010년 3월 3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0-079062 호에 기초한 것이고 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그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관련되어 있다.

Claims (7)

  1. 기판을 수용하는데 사용하는 커넥터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액츄에이터 유닛; 및
    제 1 클립핑부와 제 2 클립핑부를 갖는 접촉자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은,
    상기 기판의 삽입 방향에 대한 횡방향으로 위치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작용점부; 및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작동점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클립핑부와 제 2 클립핑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접촉자와 기판 사이의 접촉점으로서 기능하며,
    상기 작동점부는 기판의 삽입 방향으로 상기 클립핑부들의 후방측에 위치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는,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에 가까이 위치되며 제 1 클립핑부를 갖는 제 1 비임부;
    상기 하우징에 가까이 위치되며 제 2 클립핑부를 갖는 제 2 비임부; 및
    상기 제 1 비임부와 제 2 비임부 사이에 위치되며 제 1 비임부와 제 2 비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비임부는 기판의 삽입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의 후방측에 위치되는 피작동부를 갖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점부는 액츄에이터 유닛의 회전시 상기 접촉자의 피작동부와 접촉하게 되는 볼록 곡면을 갖는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임부는 기판의 삽입 방향으로 상기 제 2 클립핑부의 전방측에 위치되는 단자부를 갖는 커넥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임부는 기판의 삽입 방향으로 상기 제 2 클립핑부의 전방측에 위치되는 단자부를 갖는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는 제 1 클립핑부를 갖는 제 1 비임부와, 상기 제 1 클립핑부와 대향하며 제 2 클립핑부를 갖는 제 2 비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 유닛은, 상기 제 1 비임부와 제 2 비임부 사이에 개재되며 작동점부를 갖는 캠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액츄에이터 유닛은 몸체부를 가지며, 상기 작용점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작용점부는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는 작용점 수용부내에 수용되는 커넥터.
KR1020110024381A 2010-03-30 2011-03-18 기판을 수용하는데 사용되는 커넥터 KR101141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79062A JP4704505B1 (ja) 2010-03-30 2010-03-30 基板用コネクタ
JPJP-P-2010-079062 2010-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877A KR20110109877A (ko) 2011-10-06
KR101141083B1 true KR101141083B1 (ko) 2012-05-03

Family

ID=44237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381A KR101141083B1 (ko) 2010-03-30 2011-03-18 기판을 수용하는데 사용되는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75328B2 (ko)
JP (1) JP4704505B1 (ko)
KR (1) KR101141083B1 (ko)
CN (1) CN102222830A (ko)
TW (1) TWI4480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9261B1 (ja) * 2010-10-20 2012-01-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5764426B2 (ja) * 2011-08-10 2015-08-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5813411B2 (ja) 2011-08-10 2015-11-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2013080623A (ja) * 2011-10-04 2013-05-02 Jst Mfg Co Ltd コンタクトおよび電気コネクタ
KR101920623B1 (ko) * 2012-01-30 201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케이블, 케이블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호케이블 연결장치
JP5988651B2 (ja) * 2012-03-30 2016-09-07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平型電線用コネクタ
JP5392929B2 (ja) * 2012-06-11 2014-01-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30875B2 (ja) * 2012-06-28 2014-11-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半田濡れ性を制御したコンタクトを有するコネクタ、及び、コンタクトのメッキ処理方法
JP5956902B2 (ja) * 2012-10-22 2016-07-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39511B2 (ja) * 2013-07-17 2016-12-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568499B2 (en) * 2013-11-22 2017-02-14 Tektronix, Inc. High performance LIGA spring interconnect system for probing application
CN105449422B (zh) * 2014-08-28 2019-02-22 春源科技(深圳)有限公司 多件式fpc连接器
JP6282565B2 (ja) * 2014-09-22 2018-02-21 京セラ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WO2016098715A1 (ja) * 2014-12-18 2016-06-23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88271B2 (ja) * 2015-08-24 2019-10-0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588272B2 (ja) 2015-08-24 2019-10-0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675232B2 (ja) * 2016-03-09 2020-04-01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43154B2 (ja) * 2016-03-10 2020-02-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6540674B2 (ja) * 2016-12-09 2019-07-10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210200986U (zh) * 2019-08-16 2020-03-27 瀚荃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快接连接器
JP2023503130A (ja) 2019-11-22 2023-01-26 アンフェノール・エフシーアイ・アジア・ピーティーイー.・リミテッド 過大応力防止特徴部を有するffcコネクタ
CN111525305B (zh) * 2020-05-22 2021-07-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及电子设备
JP7386147B2 (ja) * 2020-11-06 2023-11-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623Y1 (ko) 2006-07-25 2006-11-23 손광자 기판 연결용 커넥터
US20090130895A1 (en) 2002-08-01 2009-05-21 Masayuki Suzuki Connector
KR20110098642A (ko) * 2010-02-26 2011-09-01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6445B2 (ja) * 2001-11-13 2005-06-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JP2004039479A (ja) 2002-07-04 2004-02-05 Fujitsu Component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装置
WO2005038992A1 (en) * 2003-10-16 2005-04-28 Molex Incorporated Flat circuit connector
WO2006016482A1 (en) * 2004-08-10 2006-02-16 Ddk Ltd. Connector
JP4578931B2 (ja) * 2004-10-18 2010-11-10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6147491A (ja) * 2004-11-24 2006-06-0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4766421B2 (ja) 2005-06-14 2011-09-07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US7179118B1 (en) * 2006-03-15 2007-02-2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TWM316535U (en) * 2006-12-29 2007-08-01 P Two Ind Inc Connector with flip top
JP4750811B2 (ja) 2008-02-27 2011-08-17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669529B2 (ja) * 2008-04-23 2011-04-13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コネクタ
JP5515352B2 (ja) 2009-03-24 2014-06-1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30895A1 (en) 2002-08-01 2009-05-21 Masayuki Suzuki Connector
KR200431623Y1 (ko) 2006-07-25 2006-11-23 손광자 기판 연결용 커넥터
KR20110098642A (ko) * 2010-02-26 2011-09-01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48011B (zh) 2014-08-01
US8075328B2 (en) 2011-12-13
US20110244709A1 (en) 2011-10-06
JP2011210655A (ja) 2011-10-20
KR20110109877A (ko) 2011-10-06
TW201212393A (en) 2012-03-16
CN102222830A (zh) 2011-10-19
JP4704505B1 (ja)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1083B1 (ko) 기판을 수용하는데 사용되는 커넥터
KR100373597B1 (ko)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박판형 물체와 평행한 방향의접촉편에 결합된 회전식 액추에이터를 가지는 커넥터
TWI446632B (zh) 板用連接器及其製造方法
KR100504057B1 (ko) 평평한 가요성 케이블용 커넥터
KR101442907B1 (ko) 기판 커넥터
US8641439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314891B1 (ko) 회전되어 연결 대상물을 가압하는 캠 작동부를 갖는 커넥터
KR100957666B1 (ko) 케이블 커넥터
EP1780834A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flat-type cable
CN101390257A (zh) 用于扁平电缆的电连接器
CN102931536A (zh) 板连接器
US9356373B2 (en)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a plate-shaped object
JP2007323867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9577398B2 (en) Assisting tool for connector
KR20130055653A (ko) 커넥터
JP4927454B2 (ja) コネクタ
KR20140051068A (ko) 커넥터
JP4651501B2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JP5077032B2 (ja) コネクタ装置
KR102143973B1 (ko) 커넥터
JP4837631B2 (ja) 電気接続部品
WO2013018269A1 (en) Lever type connector
JP4717680B2 (ja) 中継コネクタ
KR20210042807A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JP2010135085A (ja) 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